KR20220001171U -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 Google Patents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171U
KR20220001171U KR2020200004141U KR20200004141U KR20220001171U KR 20220001171 U KR20220001171 U KR 20220001171U KR 2020200004141 U KR2020200004141 U KR 2020200004141U KR 20200004141 U KR20200004141 U KR 20200004141U KR 20220001171 U KR20220001171 U KR 20220001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woven fabric
space
supply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성 왕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2020200004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171U/ko
Publication of KR20220001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식재된 관상용 식물 또는 식용 식물에게 장기간동안 물공급을 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수분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물관리 자동화분은 상기 화분의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된 단차를 갖는 평판 융기부와; 상기 평판 융기부의 측면과 화분 내경면 사이에 상호 이격가능하게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에 수분과 양액 중 어느 하나의 생육액을 수용하는 생육액공급공간과; 상기 생육액공급공간에 상기 평판 융기부 높이만큼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흡수하여 점진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생육액흡수부재와; 상기 평판 융기부 및 상기 생육액흡수부재와 접촉가능하고 수평으로 평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흡수부재의 생육액을 상측을 향하여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패드와; 상기 부직포패드의 등각도 간격으로 연장가능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생육액흡수부재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생육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상기 부직포패드에게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날개와; 상기 화분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상기 수분공급공간으로 자연 유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the automatic water management flowerpot for the bottom pipe}
본 고안은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에 식재된 관상용 식물 또는 식용 식물에게 장기간동안 물공급을 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수분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게 수분공급은 두상공급방식으로 하방을 향하여 수분이 유출되어 소실되거나, 화분의 생육용토에 잔류하는 수분에 의해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에 식물의 생육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상공급방식의 수분공급은 관리자가 소홀히하거나 장기간동안 관리하지 못할 경우, 공급수분이 부족하여 수분에 의한 생육관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식물의 치명적인 상태를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위해 본 출원인은 "물통과 화분의 일체형 식물재배기(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7-0000590, 2007.05.21.)"를 고안하였지만, 식재배물질인 배합토와 배양토와 배지와 난석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난석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수분에 의해 유실되기 때문에 식재환경을 유지하기 어렵고, 유실된 식재환경을 다시 재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에 의한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식재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식물의 생육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식재환경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육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관리자 및 사용자가 원하는 식재환경으로 연출가능할 수 있는 새로운 화분구조를 고안할 필요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식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생육액을 흡수하여 요구시간동안 점진적으로 배출하는 펄라이트, 피트모스, 난석 중 어느 하나의 생육액흡수부재와 부직포패드 및 부직포날개를 구조적으로 조성하여 상기 생육액을 식물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은 포트화분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물 형태를 다수개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물관리를 가능케하는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에 따라,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된 단차를 갖는 평판 융기부와; 상기 평판 융기부의 측면과 화분 내경면 사이에 상호 이격가능하게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에 수분과 양액 중 어느 하나의 생육액을 수용하는 생육액공급공간과; 상기 생육액공급공간에 상기 평판 융기부 높이만큼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흡수하여 점진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생육액흡수부재와; 상기 평판 융기부 및 상기 생육액흡수부재와 접촉가능하고 수평으로 평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흡수부재의 생육액을 상측을 향하여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패드와; 상기 부직포패드의 등각도 간격으로 연장가능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생육액흡수부재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생육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상기 부직포패드에게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날개와; 상기 화분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상기 수분공급공간으로 자연 유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을 포함하는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패드 상에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생육용토와, 상기 관상용 식물이 생육포트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상태로 다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분의 하측 일부가 잠기도록 일정량의 상기 생육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유통공으로 생육액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육액은 장기간동안 생육공급량에 해당하는 것입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육액흡수부재는 생육액을 흡수하여 요구시간동안 점진적으로 배출하는 펄라이트, 피트모스, 난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식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생육액을 흡수하여 요구시간동안 점진적으로 배출하는 펄라이트, 피트모스, 난석 중 어느 하나의 생육액흡수부재와 부직포패드 및 부직포날개를 구조적으로 조성하여 상기 생육액을 식물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은 포트화분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물 형태를 다수개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물관리를 가능케하기 때문에 포트화분형상을 유지하는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물을 여러개 동시에 인접하게 배치하여 안정적인 수분공급으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장기간동안 관상용 식물의 안정적인 생육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상용식물이 식재된 포트화분형상의 생육용토를 여러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 및 사용자가 원하는 몇몇의 관상용 식물을 아름답게 조합하고 배치하여 연출할 수 있으며, 포트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포트형상의 생육용토 상태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옮겨 복수개 배치하므로 신속하고 최적의 생육상태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과 수조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은 일정한 용량의 물을 수용하거나 일정한 수위를 조성하는 환경 즉, 물을 수용하는 용기나 물이 유동적으로 흐르더라도 일정한 수위가 형성되는 물흐름상태에서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수분공급을 유지한다.
본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용 식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충분한 생육재배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생육재배공간에 평판융기부(3)와, 생육액공급공간(5)과, 생육액흡수부재(9)와, 부직포패드(11)와, 부직포날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판융기부(3)는 본 자동화분(1)의 바닥면이 일정한 설정된 높이만큼 융기된 상태로 형성된 단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보다 작은 크기의 융기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자동화분의 내면과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측면을 가지면서 융기되어 있다.
상기 생육액공급공간(5)은 상기 편판융기부(3)의 측면과 상기 자동화분(1)의 내경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격공간에 수분과 양액 중 어느 하나의 생육액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육액공급공간(5)을 형성하는 즉, 자동화분(1) 내측면과 상기 평판융기부(3)의 기울어진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설정된 요구되는 영역에 상기 생육액이 생육액공급공간(5)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유통공(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 유통공(7)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즉각적인 유입을 위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는 상기 생육액공급공간(5)의 생육액을 흡수하여 상기 평판융기부(3)의 평판 측으로 점진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생육액공급공간에 상기 평판융기부(3)의 높이만큼 단차없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는 상기 생육액을 흡수하여 요구시간동안 점진적으로 배출하는 펄라이트, 피트모스, 난석 중 어느 하나이나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것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는 편리하고 안전한 생육관리를 위하여 완효성 비료가 7부에 해당하는 높이위치에 적당하게 혼합되어 있다.
상기 부직포패드(11)는 상기 평판융기부(3)와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가 수평하게 이루어진 수평면에 평평하고 접촉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의 생육액을 흡수하여 촉촉하게 유지하면서 그 생육액을 상측을 향하여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 재질은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극세사 등의 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직포날개(12)는 상기 부직포패드(11)의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또는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생육액공급공간(5)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거나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보다 신속하게 흡수하여 상기 부직포패드(11)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패드(11)와 부직포날개(12)는 상호 봉재기법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육액이 올라오면, 상기 부직포패드(11)에 생육액이 촉촉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부직포패드(11) 상에 형성된 생육식재용토 등에 식재된 식물에게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생육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장기적으로 생육액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용기(15)가 필요하고, 상기 수조용기는 상기 자동화분(1)의 하측 일부가 잠기도록 일정량의 상기 생육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유통공으로 생육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수조용기(15)에 수용된 생육액은 유통공(7)을 통하여 상기 생육액공급공간(5)에 자연적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생육액은 상기 생육액흡수부재(9)와 상기 부직포날개(12)에게 동시에 흡수되어 부직포패드(11)를 촉촉하게 적신 상태를 유지한다.
촉촉하게 적셔진 부직포패드(11)는 생육약공급공간(5)에 형성된 상기 생육식재용토 등에게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생육액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생육식재용토는 일반 생육용토 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생육포트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상태 그대로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은 관상용 식물에 해당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식용 식물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생육포트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식물은 상기 생육액공급공간()에 하나 뿐만아니라 적어도 복수개 이상 배치하여 아릅답게 조합하므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창의적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식물이 생육포트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상태를 도면부호 13으로 하며, 이는 작은 포트화분(미도시)에서 빼내면 그 형태를 유지한 상태의 생육용토부분 만을 노출시킨 것이다.
1 ; 자동화분 3 ; 평판융기부
5 ; 생육액공급공간 7 ; 유통공
9 ; 생육액흡수부재 11 ; 부직포패드
12 ; 부직포날개
13 ; 식물이 생육포트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상태
15 ; 수도용기

Claims (4)

  1.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된 단차를 갖는 평판 융기부와;
    상기 평판 융기부의 측면과 화분 내경면 사이에 상호 이격가능하게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에 수분과 양액 중 어느 하나의 생육액을 수용하는 생육액공급공간과;
    상기 생육액공급공간에 상기 평판 융기부 높이만큼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흡수하여 점진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생육액흡수부재와;
    상기 평판 융기부 및 상기 생육액흡수부재와 접촉가능하고 수평으로 평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흡수부재의 생육액을 상측을 향하여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패드와;
    상기 부직포패드의 등각도 간격으로 연장가능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생육액흡수부재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생육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상기 부직포패드에게 공급하기 위한 부직포날개와;
    상기 화분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육액을 상기 수분공급공간으로 자연 유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패드 상에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상기 관상용 식물이 생육포트 형상의 생육용토에 식재된 상태로 다수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하측 일부가 잠기도록 일정량의 상기 생육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유통공으로 생육액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육액은 장기간동안 생육공급량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액흡수부재는 생육액을 흡수하여 요구시간동안 점진적으로 배출하는 펄라이트, 피트모스, 난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KR2020200004141U 2020-11-17 2020-11-17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KR202200011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41U KR20220001171U (ko) 2020-11-17 2020-11-17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41U KR20220001171U (ko) 2020-11-17 2020-11-17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71U true KR20220001171U (ko) 2022-05-25

Family

ID=8176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41U KR20220001171U (ko) 2020-11-17 2020-11-17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1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005B1 (ko) * 2022-08-31 2023-12-15 주식회사 플러스틱 발코니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005B1 (ko) * 2022-08-31 2023-12-15 주식회사 플러스틱 발코니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594A (en) Vertical gardens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100499203B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US3271900A (en) Automatic pure cultivator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KR20220001171U (ko)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US20070283622A1 (en) Method for hydroponic plant culture and container for same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JP2002272275A (ja) 植物栽培装置
JPH0937663A (ja) 植木鉢ユニット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2492425B1 (ko)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580157B1 (ko) 포트 밀집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6704024B2 (ja) 植物栽培器、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容器
KR102571949B1 (ko) 포복형 식물의 수경재배용 정식판
JPH0410757Y2 (ko)
JPH08228605A (ja) 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