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246A - Vehicle lift - Google Patents

Vehicle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246A
KR20210158246A KR1020200076746A KR20200076746A KR20210158246A KR 20210158246 A KR20210158246 A KR 20210158246A KR 1020200076746 A KR1020200076746 A KR 1020200076746A KR 20200076746 A KR20200076746 A KR 20200076746A KR 20210158246 A KR20210158246 A KR 20210158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ails
support
lifting device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246A/en
Publication of KR2021015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2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hoist capable of improving vehicle transport efficiency. A vehicle hoist comprises: a chamber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multi-layered running rails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accommodating a vehicle running along the running rails;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provided in the chamber to be lifted and lowered to the height of the traveling rails, and each supporting the vehicle; and a circulation device for circulating the support rails along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rails maintain a horizontal state.

Description

비히클 승강 장치{Vehicle lift}vehicle lifting device {Vehicle lift}

본 발명은 비히클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층 레일들 사이에서 비히클을 승강시키는 비히클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ifting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 vehicle between multi-layer rails having different heights.

일반적으로, 물품 이송 장치는 증착, 노광, 식각, 세정 등을 각각 수행하는 물품 처리부들로 웨이퍼, 인쇄회로 기판, 레티클 등과 같은 물품을 이송한다. 상기 물품들은 FOUP, FOSB, 매거진, 레티클 포드 등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물품 이송 장치는 비히클이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처리부들에 상기 물품을 이적재한다. In general, an article transfer apparatus transfers articles such as wafers, printed circuit boards, and reticles to article processing units that respectively perform deposition, exposure, etching, and cleaning. The articles may be transported loaded in a FOUP, FOSB, magazine, reticle pod, or the like.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transports the article or loads the article to the article handling units while the vehicle moves along the traveling rail.

상기 주행 레일이 서로 다른 높이의 다층 주행 레일인 경우, 상기 물품 이송 장치가 상기 다층 주행 레일들 사이에서 상기 비히클을 이동시키기 위해 슬로프 레일이나 비히클 리프트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running rails are multi-level running rails of different heights,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may use a slope rail or a vehicle lift to move the vehicle between the multi-level running rails.

상기 슬로프 레일은 상기 비히클이 주행하기 위해 경사가 낮으므로, 상기 슬로프 레일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로프 레일에서 상기 비히클의 이적재 및 분기 조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슬로프 레일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Since the slope rail has a low inclination for the vehicle to travel, a length of the slope rail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load and steer the vehicle on the slope rail.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slope rail may be reduced.

상기 비히클 리프트는 천장에 고정되므로, 상기 비히클 리프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상기 비히클 리프트의 무게로 인해 상기 비히클 리프트를 상기 천장에 고정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비히클 리프트는 하나의 비히클만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비히클 리프트의 이송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Since the vehicle lift is fixed to the ceiling, it is difficult to fix the vehicle lift to the ceiling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lift when the length of the vehicle lif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lift can raise and lower only one vehicle,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vehicle lift may be reduced.

본 발명은 비히클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히클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if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vehicle transport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층의 주행 레일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행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는 비히클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상기 주행 레일들의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 레일들 및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레일들을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A vehicl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for accommodating a vehicle that is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multi-layered traveling rails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traveling along the traveling rails;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each supporting the vehicle and a circulation mechanism that circulates the support rai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rails maintain a horizontal state.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순환 기구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트 레일들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 암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annular guide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member, each fixing the support rails It may include fixed ar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암들은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상기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arms may rotate the support rails about a rotation support shaft so that the support rails may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챔버 내에 상기 주행 레일들의 높이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이 상기 높이들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트 레일들에 지지된 상기 비히클을 감지하는 비히클 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ehicle detection sensors are provided in the chamber at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respectively, and detect the vehicle supported on the support rails so that the vehicle is precisely positioned at the heights.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레일들은 상기 주행 레일들의 연장 방향인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ails may be arranged to circulate in a left-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aveling rai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챔버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주행 레일과 더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비히클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traveling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same height, and the vehicle may be transpo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the support rails circu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레일들은 상기 비히클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 서포트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ails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rail for maintaining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히클의 주행 휠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height measuring sensor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rail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driving wheels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비히클의 좌측 주행 휠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좌측 높이 측정 센서와 상기 비히클의 우측 주행 휠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우측 높이 측정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ft h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s of the left driving wheels of the vehicle and a right h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s of the right driving wheels of the vehicle are located above the second support rail A sensor may be dis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높이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econd height measuring sensor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rail for measuring a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rail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히클의 상부 가이드 휠들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uide rail disposed above the second support rail and configured to support upper guide wheels of the vehicl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비히클의 주행 휠들과 대응하는 리세스들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sses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wheels of the vehicl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들에 삽입되며 상기 리세스들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acers inserted into the recesses and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depth of the recesse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기 비히클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상기 서포트 레일들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다수의 상기 비히클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히클들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ifting device may circulate the plurality of support rails each supporting the vehic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hicle lifting device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the vehicles and can simultaneously raise and lower the vehicles.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lifting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이 용이하므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주행 레일들과 연결될 수 있다. Also, since the vehicle lifting device easily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raveling rail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기 비히클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 서포트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에 대한 다양한 유지 보수 작업들이 상기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비히클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lift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rail for maintaining the vehicle. Since various maintenance operations for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in the chamber,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 승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히클 승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히클 승강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행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포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서포트 레일과 비히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휠들의 위치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vehicl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modules shown in FIG. 1 .
5 is an enlarged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support rail and vehicle shown in FIG. 1 .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base panel shown in FIG. 6 .
FIG. 8 is a schematic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positions of guide wheels shown in FIG. 4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 승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히클 승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히클 승강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행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포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서포트 레일과 비히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휠들의 위치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illustrating the vehicle lifting device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shown in FIG. It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lifting device,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modules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structure shown in FIG. It is a plan view, 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support rail and vehicle shown in FIG. 1 ,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base panel shown in FIG. 6 , FIG. 8 is a schematic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guide wheels shown in FIG. 4 .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 승강 장치(100)는 비히클(30)을 상하 방향(X축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는 천장 주행 이송 장치(10)에서 상기 비히클(30)의 승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1 and 2 ,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aise and lower the vehicle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X-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may be used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vehicle 30 in the overhead traveling transfer device 10 .

상기 천장 주행 이송 장치(10)는 클린룸의 천장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며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층의 주행 레일(20)들 및 상기 주행 레일(20)들 상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비히클(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비히클(30)은 상기 주행 레일(20)들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주행 모듈들(40)과 상기 주행 모듈들(40)의 하부에 장착되며 물건의 이송을 위한 호이스트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 모듈(70)은 이송 대상물의 픽업을 위한 그리퍼 유닛과, 상기 그리퍼 유닛의 수직 이동을 위한 호이스트 유닛과, 상기 그리퍼 유닛과 호이스트 유닛의 수평 이동 및 회전을 위한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iling traveling transport device 10 is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eiling of the clean room, and includes multi-layered traveling rails 20 and the traveling rails 2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the vehicle 30 configured to be movable in each phas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vehicle 30 is mounted on the driving modules 40 that provide driving force for moving along the driving rails 20 and the driving modules 40 and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modules 40 to transport goods. It may include a hoist module 70 for The hoist module 70 may include a gripper unit for picking up an object to be transported, a hoist unit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gripper unit, and a robot for horizontal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gripper unit and the hoist unit.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주행 모듈(40)은, 상기 상부 주행 레일(20)과 상기 하부 주행 레일(22) 상에 배치되는 주행 휠들(42)과, 상기 주행 휠들(42)이 장착되는 본체(44)와, 상기 본체(44) 상에 배치되며 분기 지점에서 상기 주행 모듈(40)을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휠들(46)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44)는 상기 주행 휠들(42)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가이드 휠들(46)을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휠들(46)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동 부재(48)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본체(44)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가동 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구조물(5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each driving module 40 includes driving wheels 42 disposed on the upper driving rail 20 and the lower driving rail 22 , and the driving wheels 42 are mounted thereon. A main body 44 and guide wheels 46 disposed on the main body 44 and for supporting and guiding the driving module 40 at a branch point may be provide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main body 44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s 42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guide wheels 46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can do. The guide wheels 46 may be disposed on the movable member 48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t both upper sides of the main body 44,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movable member 48 ( 5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서포트 구조물(50)은 상기 본체(44) 상에 장착된 서포트 프레임(52)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부재(54)와, 상기 스토퍼 부재(54)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 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한 폴리아세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서포트 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서포트 부재(56)는 파티클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부재(56)와 상기 스토퍼 부재(54)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서포트 프레임(52)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each support structure 50 includes a support frame 52 mounted on the main body 44 and a stopper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frame 5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mber 54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56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opper member 54 and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acetal for supporting the movable member 48 . The plastic support member 56 may be used to reduce particle generation, and the support member 56 and the stopper member 54 may be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52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can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52)과 스토퍼 부재(54)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휠들(4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심 플레이트들(60)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2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심 플레이트들(60)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52)과 스토퍼 부재(54)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된 심 플레이트들(60)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가이드 휠들(46)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shim plates 60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guide wheels 46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52 and the stopper member 54 . For example, shim plates 60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2 mm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52 and the stopper member 54 ,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inserted shim plates 60 . Accordingly, the positions of the guide wheels 46 may be adjusted.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는, 상기 주행 레일(20)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행 레일(20)들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비히클(30)을 승강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 내부에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30)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 레일(120)들 및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traveling rails 20 and provides a space for elevating the vehicle 30 traveling along the traveling rails 20 .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120 and the support rail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to the height of the traveling rails 20 inside the chamber 110 and support the vehicle 30, respectively (120) may include a circulation mechanism 130 for circulating the support rails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상기 챔버(110)는 대략 직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chamber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상기 챔버(110)의 전면과 후면에서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에 상기 비히클(30)의 출입을 위한 개구(111)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111)들의 내측에는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단부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Openings 111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30 may be provided at the height of the traveling rails 20 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hamber 110 . That is, ends of the traveling rails 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side the openings 111 as shown.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은 상기 비히클(30)을 각각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들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은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들보다 높거나 낮도록 승강할 수 있다.The support rails 120 may support the vehicle 30 , respectively, and may move up and down to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 In this case, the support rails 120 may be raised or lowered to be higher or lower than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

상기 순환 기구(130)는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시켜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들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순환 기구(130)는 회전 목마 타입일 수 있다. The circulation mechanism 130 may circulate the support rails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aise or lower the support rails 120 to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 For example, the circulation mechanism 130 may be a carousel type.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 기구(130)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가이드 부재(131), 상기 가이드 부재(13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32) 및 상기 가이드 부재(131)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 암(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irculation mechanism 130 is connected to the annular guide member 1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on driving unit 132 for rotating the guide member 131 and the guide member 131 , and the It may include fixing arms 133 for fixing the support rails 120,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 부재(131)의 예로는 벨트, 체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구동부(132)의 예로는 풀리 또는 기어를 포함하는 모터일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guide member 131 may be a belt or a chain, and an example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132 may be a motor including a pulley or a gear.

상기 고정 암(133)들은 상기 가이드 부재(131)에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arms 13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uide member 131 .

상기 고정 암(133)들은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고정하기 위해 회전 지지축(134)을 각각 갖는다. 상기 회전 지지축(134)들은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은 상기 회전 지지축(13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재(131)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더라고 상기 고정 암(133)들에 고정된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이 상기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fixing arms 133 each have a rotation support shaft 134 for fixing the support rails 120 . The rotation support shafts 134 may respectively fix the support rails 120 , and the support rails 120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support shaft 134 . Accordingly, even when the guide member 131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rails 120 fixed to the fixing arms 133 may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이 상기 비히클(30)을 각각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비히클(30)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므로, 상기 다수의 비히클(30)들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는 상기 비히클(30)들을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들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support rails 120 can each support the vehicle 30 ,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can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vehicles 30 .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rails 120 circu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vehicles 30 can be simultaneously raised and lowered. Accordingly,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can quickly transport the vehicles 30 to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 and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은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연장 방향인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좌우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110)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주행 레일(20)들과 더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upport rails 120 have a left-r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aveling rails 20 . It can be arranged to cycle along. In this case, the chamber 11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traveling rails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same height.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일한 높이의 상기 주행 레일(20)들 사이에서 상기 비히클(30)을 이송할 수 있다. The support rails 120 may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circul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 may transport the vehicle 30 between the traveling rails 20 of the same height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비히클 승강 장치(100a)와 같이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은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상기 전후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100a)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일한 높이의 상기 주행 레일(20)들 사이에서 상기 비히클(30)을 이송할 수 없다. Alternatively, like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a shown in FIG. 3 , the support rails 120 may be arranged to circul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aveling rails 20 . In this case, the vehicle lifting device 100a cannot transport the vehicle 30 between the traveling rails 20 of the same height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은 상기 비히클(30)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 서포트 레일(120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rails 12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rail 120a for maintaining the vehicle 30 .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은 상기 서포트 레일(120) 중에서 하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is preferably provided with one of the support rails 120, bu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은 연결 브릿지들(1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브릿지들(122)의 상부에는 베이스 패널(124)이 배치될 수 있다. 6 and 7 ,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on bridges 122 , and a base panel 124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bridges 122 . have.

일 예로, 상기 베이스 패널(124)의 하부면에는 상기 비히클(30)의 주행 휠들(42)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측정 센서(1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측정 센서(150)는 상기 주행 모듈(40)의 좌측 및 우측 주행 휠들(42)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높이 측정 센서들(150)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height measuring sensor 150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driving wheels 42 of the vehicle 30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anel 124 . The height measuring sensor 150 may include left and right height measuring sensors 150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42 of the driving module 40 .

또한, 상기 베이스 패널(124)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높이 측정 센서들(152)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측 및 우측 높이 측정 센서들(15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주행 휠들(42)의 높이와 상기 제2 높이 측정 센서들(15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의 높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주행 휠들(42)의 마모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휠들(42)의 교체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second height measuring sensors 152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nel 124 . That is, the height of the driving wheels 42 measured by the left and right height measuring sensors 15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measured by the second height measuring sensors 152 . may be compared to each oth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wear of the driving wheels 42 , and whether to replace the driving wheels 4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그러나, 상기와 다르게,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의 높이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높이 측정 센서들(150)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높이 측정 센서들(152)은 생략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above,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may be measured by the left and right height measuring sensors 150 . In this case, the second height measuring sensors 152 may be omitted.

아울러, 상기 베이스 패널(124)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 휠들(4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60)은 상기 비히클(30)의 주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 레일들(160)이 상기 주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guide rail 160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guide wheels 46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anel 124 . The guide rail 160 may be disposed to be elong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0 , or two guide rails 16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raveling direction as show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의 상부에는 상기 비히클(30)의 주행 휠들(42)과 대응하는 리세스들(12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들(126)에는 상기 리세스들(126)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들(128)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행 휠들(42)이 상기 스페이서들(128) 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휠들(46)이 상기 가이드 레일들(160)의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recesses 126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wheels 42 of the vehicle 3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and the recesses 126 may be provided. Spacers 128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depth of the recesses 126 may be inserted therein. In particular, when the driving wheels 42 are positioned on the spacers 128 , the guide wheels 46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guide rails 160 .

상기와 같이 가이드 휠들(46)이 상기 가이드 레일들(160)의 측면들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들(128) 중 하나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128)가 제거된 리세스(126)의 저면과 이에 대응하는 주행 휠(42)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세스(126)의 깊이는 약 2mm 정도일 수 있다.As shown above, when one of the spacers 128 is removed while the guide wheels 46 are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guide rails 160, the spacer 128 is removed. A predetermined gap G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126 and the corresponding driving wheel 42 .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recess 126 may be about 2 mm.

한편, 상기 심 플레이트들(60)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갭(G)도 함께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갭(G)이 기 설정된 수치가 되도록 상기 심 플레이트(60)의 장착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갭(G)이 약 2.3mm 내지 2.5mm 정도가 되도록 상기 심 플레이트(60)의 장착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가이드 휠들(46)의 위치 조절 단계는 각각의 주행 휠들(42)에 대하여 4번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number of the shim plates 60 increases, the gap G may also increase, so that the number of the shim plates 60 mounted may be adjusted so that the gap G becomes a preset value. have. For example, the number of mounting of the shim plate 6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gap G is about 2.3 mm to 2.5 mm. (42) can be repeated 4 times.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이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과 같이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에 지지된 상기 비히클(30)에 대한 상태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 while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circulat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like the support rails 120 , o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is stopped, the A state check of the vehicle 30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may be perform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챔버(110)의 측면에는 상기 비히클(30)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제1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히클(30)이 상기 제2 서포트 레일(120a)에 의해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높이들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된 후 작업자는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비히클(30)의 동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행 모듈들(40)과 호이스트 모듈(70)의 동작 상태, 각종 센서들의 동작 상태 등이 작업자에 의해 점검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first door (not shown) for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30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hamber 110 . After the vehicle 30 is lower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by the second support rail 120a, the operator opens the first door and then operates the vehicle 30 can be checked. For example, the operating states of the driving modules 40 and the hoist module 70, the operating states of various sensors, etc. may be checked by the operator.

한편, 상기 비히클(30)의 동작 상태가 불량하여 고장 수리, 부품 교체 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비히클(30)은 상기 챔버(110)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챔버(110)에는 상기 비히클(30)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제2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30 is poor and repair or replacement of parts is required, the vehicle 30 may be taken out from the chamber 110 . To this end, the cha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oor (not shown) for carrying in and taking out the vehicle 30 .

상기 챔버(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상기 높이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30)이 상기 높이들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에 지지된 상기 비히클(30)을 감지하기 위한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the vehicle ( 30),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may be provided.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은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상기 높이들에 각각 배치된다.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비히클(30)을 감지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은 상기 비히클(30)을 직접 감지할 수 있다. The vehicle 30 may be detected by sensing the support rails 120 with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 Alternatively,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may directly detect the vehicle 30 .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은 근접 센서들 또는 광 센서들일 수 있다.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may be proximity sensors or light sensors.

일 예로서,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로서 상기 광 센서들이 사용될 경우,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이나 상기 비히클(30)에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the optical sensors are used as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 reflectors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rails 120 or the vehicle 30 .

상기 순환 기구(130)는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이 상기 비히클(30)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을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순환시킨다. 상기 비히클 감지 센서(180)들을 이용하여 상기 챔버(110) 내에서 상기 비히클(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 기구(130)가 상기 서포트 레일(120)들에 지지된 상기 비히클(30)을 상기 주행 레일(20)들의 상기 높이들로 정확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mechanism 130 circulates the support rails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until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detect the vehicle 30 . Sinc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30 in the chamber 110 can be confirmed using the vehicle detection sensors 180 , the circulation mechanism 130 is supported by the vehicle 30 supported on the support rails 120 . ) can be precisely raised to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20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기 비히클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상기 서포트 레일들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다수의 상기 비히클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히클들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lifting device may circulate the plurality of support rails each supporting the vehic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hicle lifting device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the vehicles and can simultaneously raise and lower the vehicles.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lifting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이 용이하므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주행 레일들과 연결될 수 있다. Also, since the vehicle lifting device easily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raveling rail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비히클 승강 장치는 상기 비히클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 서포트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에 대한 다양한 유지 보수 작업들이 상기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비히클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lift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rail for maintaining the vehicle. Since various maintenance operations for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in the chamber,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천장 주행 이송 장치 20 : 주행 레일
30 : 비히클 40 : 주행 모듈
42 : 주행 휠 44 : 본체
46 : 가이드 휠 48 : 가동 부재
50 : 서포트 구조물 60 : 심 플레이트
70 : 호이스트 모듈
100 : 비히클 승강 장치 110 : 챔버
120 : 서포트 레일 120a : 제2 서포트 레일
122 : 연결 브릿지 124 : 베이스 패널
126 : 리세스 128 : 스페이서
130 : 순환 기구 131 : 가이드 부재
132 : 회전 구동부 133 : 고정 암
134 : 회전 지지축 150 : 높이 측정 센서
152 : 제2 높이 측정 센서 160 : 가이드 레일
180 : 비히클 감지 센서
10: ceiling traveling transport device 20: traveling rail
30: vehicle 40: driving module
42: driving wheel 44: body
46: guide wheel 48: movable member
50: support structure 60: shim plate
70: hoist module
100: vehicle lifting device 110: chamber
120: support rail 120a: second support rail
122: connecting bridge 124: base panel
126: recess 128: spacer
130: circulation mechanism 131: guide member
132: rotation driving unit 133: fixed arm
134: rotation support shaft 150: height measuring sensor
152: second height measuring sensor 160: guide rail
180: vehicle detection sensor

Claims (13)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층의 주행 레일들과 연결되며, 상기 주행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는 비히클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상기 주행 레일들의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 레일들; 및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레일들을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a chamber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multi-layered running rail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ccommodating the vehicle running along the running rails;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provided in the chamber to be elevated to a height of the traveling rails, each supporting the vehicle; and
and a circulation mechanism for circulating the support rai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rails ar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기구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고리형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트 레일들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 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lation mechanism,
an annular guide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guide member; and
and fixed arms connected to the annular guide member and fixing the support rails,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들은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상기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The vehicl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xing arms rotate the support rails about a rotation support shaft so that the support rails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상기 주행 레일들의 높이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이 상기 높이들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트 레일들에 지지된 상기 비히클을 감지하는 비히클 감지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mber includes vehicle detection sensor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heights of the traveling rails and sensing the vehicle supported on the support rails so that the vehicle is precisely positioned at the heights. vehicle lif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레일들은 상기 주행 레일들의 연장 방향인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The vehicle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rails are arranged to circulate in a left-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aveling rai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주행 레일과 더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레일들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비히클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hamber is further connected to the traveling rai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same height,
The vehic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ails circu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ransport the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레일들은 상기 비히클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 서포트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 The vehicle lif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rails include a second support rail for maintaining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히클의 주행 휠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8. The vehicl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comprising at least one height measuring sensor disposed above the second support rail and configur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traveling wheels of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비히클의 좌측 주행 휠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좌측 높이 측정 센서와 상기 비히클의 우측 주행 휠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우측 높이 측정 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left h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s of the left driving wheels of the vehicle and a right height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s of the right driving wheels of the vehicle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ail Vehic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높이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8. The vehic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height measuring sensor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rail and configured to measure a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rai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히클의 상부 가이드 휠들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8. The vehicle lifting device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guide rail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rail and configured to support upper guide wheels of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 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비히클의 주행 휠들과 대응하는 리세스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The vehic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recesses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wheels of the vehicle are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ai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들에 삽입되며 상기 리세스들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승강 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spacers inserted into the recesses and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e depth of the recesses.
KR1020200076746A 2020-06-23 2020-06-23 Vehicle lift KR202101582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46A KR20210158246A (en) 2020-06-23 2020-06-23 Vehicle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46A KR20210158246A (en) 2020-06-23 2020-06-23 Vehicle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246A true KR20210158246A (en) 2021-12-30

Family

ID=7917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746A KR20210158246A (en) 2020-06-23 2020-06-23 Vehicle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824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187B2 (en) Vehicle battery exchange device
KR101106401B1 (en) Carrying apparatus and carrying control method for sheet-like substrate
KR102169581B1 (en) Vehicle maintenance lift
JP5263075B2 (en) Battery replacement position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KR101436764B1 (en) Plate-shaped member transfer facility
KR102172066B1 (en) Vehicle maintenance lift
WO2017038268A1 (en) Teaching device, conveyance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for positioning pin
TW200827283A (en) Transfer device
JP5447941B2 (en) Stacker crane
KR102300630B1 (en) Tower lift
KR102259283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KR102150670B1 (en) Stocker
KR20210158246A (en) Vehicle lift
KR20110089856A (en) Article conveying device
KR20210128784A (en) Unit for fixing cassett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220023462A (en) Rail alignment unit and Vehicle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027753A (en) Turntable device for motor inspection and repair line
KR102166345B1 (en) Stocker
JP5471261B2 (en) Lifting type article transport device
KR102490595B1 (en) Buffer apparatus
KR20200072689A (en) Load port assembly of substrate processing system
CN114798457B (en) PAD metal backboard flatness and section difference detection equipment
CN113741152B (en) Substrate conveying method and device
KR2021015823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rriers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carriers using the same
US20230211950A1 (en) Pallet suppl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