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552A -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 Google Patents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552A
KR20210157552A KR1020200075479A KR20200075479A KR20210157552A KR 20210157552 A KR20210157552 A KR 20210157552A KR 1020200075479 A KR1020200075479 A KR 1020200075479A KR 20200075479 A KR20200075479 A KR 20200075479A KR 20210157552 A KR20210157552 A KR 2021015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alloy
valve seat
matrix
content
matrix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우
권순우
김현기
이충안
홍승현
김영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552A/ko
Priority to US17/075,029 priority patent/US11560610B2/en
Priority to CN202011256386.4A priority patent/CN113897509A/zh
Priority to DE102020214240.8A priority patent/DE102020214240A1/de
Publication of KR2021015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2Cu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2Selecting particular materials for valve-members or valve-seats; Valve-members or valve-seats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4Laser welding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 B23K26/342Build-up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22C30/02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6Alloys based on copper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4/0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 C23C24/08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by application of heat or pressure and heat
    • C23C24/1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by application of heat or pressure and heat with intermediate formation of a liquid phase in the layer
    • C23C24/103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i.e. metals or metal alloys, optionally comprising hard particles, e.g. oxides, carbides or nitrides
    • C23C24/106Coating with metal alloys or metal element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1/00Using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3/00Manufacturing of components used in 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1Absolute 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은 중량%로, Ni: 12 ~ 24%, Si: 2 ~ 4%, Cr: 7 ~ 13%, Fe: 20 ~ 35% 나머지 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Copper alloy for valve seat}
본 발명은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에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와 같은 엔진 밸브가 구비되고, 엔진이 구동되는 동안 발생되는 연소 폭발열 및 기계적 충격이 엔진 밸브로부터 실린더 헤드로 전달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실린더 헤드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고열 및 충격에 의해 실린더 헤드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실린더 헤드를 제작하는 경우에, 엔진 밸브가 접촉되는 부위에 Fe계열의 분말 소결재로 제작된 밸브 시트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Fe계열의 분말 소결재로 제작된 밸브 시트는 기계적인 결합으로 실린더 헤드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밸브 시트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로 직선화가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엔진 작동시 밸브 시트가 이탈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한편, 밸브 시트는 엔진 밸브와 접촉 및 마찰되는 조건을 견디면서, 배기가스에 노출되는 조건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우수한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실린더 헤드를 제작하는 경우에,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Cu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레이저 클래딩 공법으로 엔진 밸브가 접촉되는 부위에 클래드층을 직접 쌓는(clad) 방식으로 해당 부위를 보강하고 있다.
하지만, Cu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레이저 클래딩 공법으로 형성되는 클래드층은 Fe계열의 분말 소재로 제작된 밸브 시트 대비 내마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Cu계열 소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Fe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레이저 클래딩 공법으로 밸브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Fe계열 소재의 융점이 약 1400℃ 이상으로서 융점이 약 1000℃ 수준인 Cu계열의 소재 대비 입열량이 높아져야 한다. 그러면, 알루미늄(Al) 소재의 실린더 헤드에 더 큰 열 데미지가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열영향부가 넓어 지면서 계면 크랙 및 클래드부 열크랙 등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리크(leak) 발생이 없는 온전한 밸브 시트 형상의 클래드 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8-158379호 (2018.10.11)
본 발명은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되는 2상(dual phase)의 클래드층을 형성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은 중량%로, Ni: 12 ~ 24%, Si: 2 ~ 4%, Cr: 7 ~ 13%, Fe: 20 ~ 35% 나머지 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구리 합금의 기지조직은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리 합금은 기지조직 내에 (Ni,Cr)Si계 경질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리 합금은 상기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이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리 합금은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7〈 1.27[Fe]-0.36[Cr]〈 42.0 … (관계식 1)
여기서, [Fe] 및 [Cr]은 Fe 및 Cr의 함량(wt%)을 의미함.
상기 구리 합금은 체심입방구조(BCC)의 Cr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리 합금은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되는 고온 마찰마모 실험에 의한 마모량이 20,000㎛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온 마찰마모 실험 조건)
- 핀(Pin) 재질: Inconel
- 하중 : 50N
- 온도 : 200℃
- 스트로크 : 7㎜
- 진동수 : 6Hz
- 분위기 : Air
- 시간 : 10Min
상기 구리 합금은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 이후에 열영향부의 두께가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질의 Fe 기지조직을 Cu 기지조직에 20~40%의 면적비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클래드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밸브 시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실린더 헤드에 체결하는 방식 대비 클래드층을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엔진의 흡기 및 배기 유로의 직선화를 달성하여 흡기 및 배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린더 내 고 텀블화가 가능하여 엔진의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Cu-17Ni-3Si-30Fe 소재를 사용한 클래드층의 미세조직 사진이고,
도 2a 내지 도 2i는 합금 첨가 원소에 따른 Fe의 함량별 상태도 계산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은 Cr의 함량별 상태도 계산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성분 및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며,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7의 미세조직 사진이고,
도 6은 Fe 및 Cr의 함량 변화에 따른 관계식 1과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은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에 사용할 수 있는 합금으로써, 예를 들어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서 엔진 밸브가 접촉되는 부위에 레이저 클래딩 방식으로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클래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래드층은 종래의 실린더 헤드에 체결되던 밸브 시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을 이용하여 레이저 클래딩 방식으로 형성되는 층을 '클래드층'이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되는 클래드층의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되는 2상(dual phase) 기지조직을 형성하면서, 기지조직 내에 (Ni,Cr)Si계 경질상이 형성되도록 합금 성분의 종류 및 성분을 조정하였다. 또한, 합금 성분의 종류 및 성분을 조정하여 Fe 기지조직의 면적비율을 조정하면서, 체심입방구조(BCC)의 Cr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특히, 합금 성분의 종류 및 성분을 조정하여 Fe 기지조직이 침상 또는 망상형 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원형(roundish)의 조직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 분리(Liquid immiscibility) 반응을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은 중량%로, Ni: 12 ~ 24%, Si: 2 ~ 4%, Cr: 7 ~ 13%, Fe: 20 ~ 35% 나머지 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합금성분 및 그 조성범위를 한정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조성범위의 단위로 기재된 %는 중량%를 의미한다.
니켈(Ni)은 12 ~ 24%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은 Cu-Ni-Si계 응고조직을 형성하고, NiSi, NiSi2, Ni2Si, Ni3Si, Ni31Si12, Ni3Si2 및 Ni5Si2와 같은 NixSiy로 표현될 수 있는 강화상을 형성하여 합금으로 형성되는 클래드층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클래드층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 함량을 12%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니켈(Ni)의 함량이 2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재인 실린더 헤드와 클래드층의 계면 접합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규소(Si)는 2 ~ 4%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Si)는 모재인 실린더 헤드와 클래드층의 계면 접합성을 향상시키면서, Cu-Ni-Si계 응고조직을 형성하고, NiSi, NiSi2, Ni2Si, Ni3Si, Ni31Si12, Ni3Si2 및 Ni5Si2와 같은 NixSiy로 표현될 수 있는 강화상을 형성한다. 그래서, 실린더 헤드와 클래드층의 계면 접합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적절한 강화상의 형성을 위하여 그 함량을 2%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규소(Si)의 함량이 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Cu-Ni-Si계 응고조직의 분율 증대로 인하여 클래드층의 연성이 감소하여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크롬(Cr)은 7 ~ 13%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Cr)은 액상 분리(Liquid immiscibility)를 유도하는 원소로서, 침상 또는 망상(network) 조직 형성을 억제시킨다. 그래서, 크롬(Cr)의 함량이 7% 미만인 경우에는 응고시 액상 분리가 발생되지 않아 침상 및 망상 조직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내크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크롬(Cr)의 함량이 1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체심입방구조(BCC)의 Cr상이 형성되어 취성이 발생되는 문제가 생긴다.
철(Fe)은 20 ~ 35%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Fe)은 경질의 Fe 기지조직을 형성하는 원소로서, 내마모성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철(Fe)의 함량이 20% 미만인 경우에는 Fe 기지조직의 분율이 적어지면서 내마모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철(Fe)의 함량이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클래드층에서 크랙이 발생하고, 열영향부의 두께가 1㎜보다 커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한 성분 이외의 잔부는 구리(Cu) 및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구리 합금은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이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 40%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철(Fe)와 크롬(Cr)의 함량 관계를 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철(Fe)와 크롬(Cr)의 함량 관계가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한다.
20.7〈 1.27[Fe]-0.36[Cr]〈 42.0 … (관계식 1)
여기서, [Fe] 및 [Cr]은 Fe 및 Cr의 함량(wt%)을 의미한다.
이하, 비교예와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레이저 클래딩 공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금 소재인 Cu-Ni-Si계 소재를 사용하여 레이저 클래딩 공법으로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종래의 Fe계열의 분말 소재로 제작된 밸브 시트 대비 내마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먼저, Cu-Ni-Si계 소재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u-Ni-Si계 소재에 Fe를 첨가하여 Cu 기지조직에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부연하자면, Cu-17Ni-3Si-30Fe 소재를 사용하여 레이저 클래딩 공법으로 알루미늄 모재(Al)에 클래드층을 형성하고, 클래드층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Cu-17Ni-3Si-30Fe 소재라 함은 17wt%의 Ni, 3wt%의 Si, 30wt%의 Fe와 나머지 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구리 합금 소재를 의미한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u-17Ni-3Si의 성분계에 Fe를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에는 기지조직으로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이 형성되었지만, Fe 기지조직이 침상 및 망상형 조직으로 형성되었다. 도 1에서 상대적으로 짙은 색으로 나타나는 조직이 Fe 기지조직이고, 상대적으로 연한 색으로 나타나는 조직이 Cu 기지조직이다.
이렇게 Fe 조직이 침상 및 망상형 조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액상 분리(Liquid immiscibility) 반응이 발생되지 않아 Fe 기지조직이 형성되더라도 랜덤하게 분산되지 않고 침상 및 망상형 조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1과 같이 Fe 조직이 침상 및 망상형 조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직간 계면이 증가되고, 그 계면이 파괴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클래드층의 내마모성이 상당히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액상 분리(Liquid immiscibility)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Cu-17Ni-3Si-aFe-20Y 소재를 이용하여 Cu 기지조직에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되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a는 Fe의 함량(wt%)이고, Y는 Fe와 함께 첨가되는 합금 원소이다. 본 실험에서 Y는 Mn, Cr, W, Co, Nb, Ti, V, Al 및 Zr 중 어느 하나의 합금 원소를 선택적으로 첨가하였다. 그래서, 각 소재에 대한 Fe의 함량별 상태도 계산 결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 내지2i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2i에서 짙은 색상으로 표시된 영역이 액상 분리 발생영역이다.
도 2a 내지 2i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 V 및 Zr을 첨가하는 경우에 액상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Mn, W, Co, Nb, Ti, 및 Al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액상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Cr, V 및 Zr의 첨가에 의해 Cu에 대한 액상(Liquid) 상태의 Fe 고용도가 낮아짐에 따라 Cu계 성분과 Fe계 성분의 액상 분리가 유도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Cr, V 및 Zr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Fe 기지조직이 침상 또는 망상형 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원형(roundish)의 조직을 형성하면서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 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첨가된 성분 중 V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합금원소이고, Zr는 액상 분리 영역 작아 효과적으로 조직 변화가 유도되지 않기 때문에 Cu-Ni-Si계 소재에 Fe와 Cr을 함께 첨가하여 Cu계 성분과 Fe계 성분의 액상 분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Cr의 적정 함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Cu-17Ni-3Si-25Fe-bCr 소재를 이용하여 합금의 상태 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b는 Cr의 함량(wt%)이다. 그래서, Cr의 함량별 상태도 계산 결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의 함량이 5wt%, 바람직하게는 7wt% 미만인 영역에서는 액상 분리가 발생되는 온도영역이 좁아서 침상 및 망상 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기 어렵다. 그리고, Cr의 함량이 15wt%, 바람직하게는 13wt% 초과인 영역에서는 체심입방구조(BCC)의 Cr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인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r의 함량은 7 ~ 13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Cu-Ni-Si계 소재에 Fe와 Cr의 적정 함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성분의 함량이 조정된 구리 합금을 이용하여 알루미늄(Al) 모재에 레이저 클래딩 기술을 사용하여 클래드층을 형성하였고, 클래드층의 크랙발생 여부, 열영향부의 두께, 마모량 및 미세조직을 측정 및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6의 미세조직을 도 5a 및 도 5b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크랙발생 여부에 대한 평가는 염료 침투 검사(Dye penetrant inspection; ISO 3452-1, Non-destructive testing. Penetrant testing.)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부연하자면, 염료 침투 검사법(DPI)은 모세관 현상을 활용한 방법으로서, 먼저 세척액으로 시편을 세척하고, 침투액을 의심부위에 뿌린 다음 5분간 건조하고, 다시 세척액으로 시편 표면의 침투액을 없앤다. 이후 현상액을 시편의 표면에 뿌려서 침투액이 유색으로 발현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래서 침투액은 크랙부분에 남아있게 되므로 유색으로 발현되는 침투액이 있으면 해당 부위에 크랙이 발생된 것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마모량은 고온 마찰마모 실험에 의해 측정하였고, 실험의 조건은 아래와 같았다.
(고온 마찰마모 실험 조건)
- 핀(Pin) 재질: Inconel
- 하중 : 50N
- 온도 : 200℃
- 스트로크 : 7㎜
- 진동수 : 6Hz
- 분위기 : Air
- 시간 : 10Min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합금 성분 및 그 함량을 만족하는 실시예로서, 모든 실시예들에서 크랙은 발생하지 않았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열영향부의 두께 조건(1㎜ 이하), 마모량 조건(20,000㎛2 미만) 및 Fe 기지조직의 면적비 조건(20 ~ 40%)을 모두 만족하였다.
그리고, 도 5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미세조직 사진에서는 기지조직으로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 조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미세조직은 원형(roundish)의 조직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은 Fe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함량에 미달되는 비교예로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열영향부의 두께도 얇았다. 하지만, Fe 기지조직이 형성되지 않거나 적게 형성되면서 마모량이 상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는 Fe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함량을 초과하는 비교예로서, Fe 기지조직이 너무 많이 형성되면서 크랙이 발생하였고, 열영향부의 두께도 두꺼워졌다. 이때 마모량은 측정이 불가하였다.
특히 크랙이 발생하는 이유는 입열량이 높을 수록 알루미늄 모재(Al)와 합금에 의해 형성되는 클래드층의 계면에 AlCu2와 같은 금속간화합물층이 형성되면서 그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렇게 두꺼워진 금속간화합물층은 취성을 갖는다. 그래서, 크래드층을 형성하는 합금의 응고 수축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래서, 크랙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금속간화합물층이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입열량을 낮추고, 고융점 원소인 Fe의 함량을 제한하여야 한다.
또한, 비교예 10 내지 비교예 12는 Cr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함량을 초과하는 비교예로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열영향부의 두께도 얇았다. 하지만, BCC의 Cr상이 형성되면서, 마모량이 상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예 10 내지 비교예 12에서는 피팅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3 내지 15는 Cr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함량에 미달되는 비교예로서, 열영향부의 두께는 얇았고, 기지조직으로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침상 또는 망상형의 Fe 기지조직이 형성되면서 깊은 크랙이 생성되었고, 마모량도 상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6은 Cu-17Ni-3Si의 성분계에 Fe를 단독으로 첨가한 비교예로서, 비교예 13 내지 비교예 15와 마찬가지로 열영향부의 두께는 얇았고, 기지조직으로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이 형성되었지만, 침상 또는 망상형의 Fe 기지조직이 형성되면서 깊은 크랙이 생성되었고, 마모량도 상당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6의 미세조직 사진에서는 기지조직으로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 조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액상 분리가 적절히 일어나지 않아 침상 또는 망상형의 Fe 기지조직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이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 40%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Fe와 Cr의 함량 관계를 하기의 (관계식 1)과 같이 한정하였다.
20.7〈 1.27[Fe]-0.36[Cr]〈 42.0 … (관계식 1)
여기서, [Fe] 및 [Cr]은 Fe 및 Cr의 함량(wt%)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의 (관계식 1)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Cu-17Ni-3Si의 성분계에 Fe와 Cr의 함량을 도 6과 같이 변경한 합금을 형성하였고, 각 합금에 대한 1.27[Fe]-0.36[Cr] 값과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6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Fe와 Cr의 함량을 만족하는 No. 1 내지 9 합금의 경우 (관계식 1)도 만족하였고,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도 만족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Fe의 함량을 만족하는 No. 10 내지 18 합금의 경우 (관계식 1)도 만족하지 못하였고,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Cr의 함량을 만족하는 No. 19 합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관계식 1)과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8)

  1. 중량%로, Ni: 12 ~ 24%, Si: 2 ~ 4%, Cr: 7 ~ 13%, Fe: 20 ~ 35% 나머지 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의 기지조직은 Cu 기지조직과 Fe 기지조직이 함께 형성된 2상(dual ph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기지조직 내에 (Ni,Cr)Si계 경질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상기 Fe 기지조직의 면적 분율이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20.7〈 1.27[Fe]-0.36[Cr]〈 42.0 … (관계식 1)
    여기서, [Fe] 및 [Cr]은 Fe 및 Cr의 함량(wt%)을 의미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체심입방구조(BCC)의 Cr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되는 고온 마찰마모 실험에 의한 마모량이 20,000㎛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고온 마찰마모 실험 조건)
    - 핀(Pin) 재질: Inconel
    - 하중 : 50N
    - 온도 : 200℃
    - 스트로크 : 7㎜
    - 진동수 : 6Hz
    - 분위기 : Air
    - 시간 : 10Min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 이후에 열영향부의 두께가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KR1020200075479A 2020-06-22 2020-06-22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KR20210157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79A KR20210157552A (ko) 2020-06-22 2020-06-22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US17/075,029 US11560610B2 (en) 2020-06-22 2020-10-20 Copper alloy for valve seats
CN202011256386.4A CN113897509A (zh) 2020-06-22 2020-11-11 用于阀座的铜合金
DE102020214240.8A DE102020214240A1 (de) 2020-06-22 2020-11-12 Kupferlegierung für Ventilsit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79A KR20210157552A (ko) 2020-06-22 2020-06-22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552A true KR20210157552A (ko) 2021-12-29

Family

ID=7882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479A KR20210157552A (ko) 2020-06-22 2020-06-22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60610B2 (ko)
KR (1) KR20210157552A (ko)
CN (1) CN113897509A (ko)
DE (1) DE1020202142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8379A (ja) 2017-12-11 2018-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ルブシート合金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187B2 (ja) 1989-07-31 1994-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肉盛用分散強化銅基合金
US5004581A (en) 1989-07-31 1991-04-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spersion strengthened copper-base alloy for overlay
JP2748717B2 (ja) 1991-01-28 1998-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肉盛用耐摩耗性銅基合金
US5468310A (en) 1993-02-01 1995-11-21 Nissan Motor Co., Ltd. High temperature abrasion resistant copper alloy
JPH10339117A (ja) 1997-06-05 1998-12-22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肉盛りバルブ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346321B2 (ja) * 1999-02-04 2002-11-1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強度Fe基焼結バルブシート
WO2002055748A1 (fr) * 2001-01-15 2002-07-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lliage a base de cuivre hydroresistant
JP4472979B2 (ja) 2003-12-17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肉盛用耐摩耗性銅基合金
CA2559103A1 (en) * 2004-03-12 2005-09-22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Copper allo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494048B2 (ja) * 2004-03-15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肉盛耐摩耗性銅合金及びバルブシート
US7757396B2 (en) 2006-07-27 2010-07-20 Sanyo Special Steel Co., Ltd. Raw material powder for laser clad valve seat and valve seat using the same
JP6729461B2 (ja) 2017-03-22 2020-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肉盛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6675370B2 (ja) 2017-11-09 2020-04-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肉盛合金および肉盛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8379A (ja) 2017-12-11 2018-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ルブシート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60610B2 (en) 2023-01-24
DE102020214240A1 (de) 2021-12-23
US20210395862A1 (en) 2021-12-23
CN113897509A (zh)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9492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排気弁用の排気弁スピンド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7037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Ni基耐熱合金
JP3350058B2 (ja) 内燃機関の排気弁スピンドル又はピストンの形態の可動壁部材
JP3370338B2 (ja) シリンダ部材及びニッケル基表面合金
US9163302B2 (en) Castable heat resistant aluminium alloy
US9745649B2 (en) Heat-resisting steel for exhaust valves
KR20210157552A (ko) 밸브 시트용 구리 합금
KR100435324B1 (ko) 고온 내산화성을 갖는 내열구상흑연주철
US11091821B2 (en) Copper-based alloy
EP0749365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zzle for a fuel valve, and a nozzle
KR20210158659A (ko) 레이저 클래딩으로 제조된 엔진 밸브시트용 구리합금
JPH051622A (ja) 内燃機関用Al合金製ピス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3050A (ja) 耐熱合金
JPH06297188A (ja) 肉盛用Fe基合金
KR100716356B1 (ko) 자동차용 실린더 헤드의 제조방법
JP3563250B2 (ja) 冷鍛性、靭性に優れた耐熱鋼
Janssen et al. EFFECT OF SPRAY FORMING ON THE FRACTURE PROPERTIES OF HIGH-CHROMIUM WHITE IRON
US20070026256A1 (en) Turbine blade capable of inhibiting reaction
JPH1162698A (ja) 軽合金製内燃機関用シリンダヘッド
JPH0225262A (ja) Al合金製ピストン
JPS6312810A (ja) 内燃機関用バルブ
JPH0941073A (ja) フェライト系耐熱鋳鋼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予燃焼室部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