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910A -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910A
KR20210152910A KR1020200096905A KR20200096905A KR20210152910A KR 20210152910 A KR20210152910 A KR 20210152910A KR 1020200096905 A KR1020200096905 A KR 1020200096905A KR 20200096905 A KR20200096905 A KR 20200096905A KR 20210152910 A KR20210152910 A KR 2021015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conductive
electronic device
expos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환
송권호
안정철
윤신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57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51628A1/ko
Priority to CN202180041290.2A priority patent/CN115700025A/zh
Priority to EP21822819.5A priority patent/EP4138534A4/en
Publication of KR2021015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910A/ko
Priority to US17/989,278 priority patent/US202300791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과,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과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써, 윈도우층과, 상기 제2하우징과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층 아래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으로 우회되고, 상기 배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밴딩부 주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획일적인 장방형 형상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형상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휴대가 편리하면서, 사용될 경우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구조의 일환으로,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용에 따른 다양한 개선책이 마련되고 있다.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는 힌지 장치와, 힌지 장치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장치를 통해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서 in-folding 및/또는 out-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180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굽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측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예: 접지)되고, 제어 회로가 배치된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더블 전자 장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에서 바라볼 때, 밴딩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는 밴딩부를 통해 전자 장치의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플레이트로 유도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영향을 줌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흑화 현상 또는 Bit 빠짐(예: 데이터 라인의 short 현상)과 같은 오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로부터 밴딩부를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전자 장치의 메인 그라운드로 유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정전기 유도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과,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과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써, 윈도우층과, 상기 제2하우징과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층 아래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으로 우회되고, 상기 배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밴딩부 주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밴딩부 근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가장자리 외측으로 노출(예: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를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전자 장치의 메인 그라운드로 유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동작 및/또는 파손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역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4b의 라인 7-7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가 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보호 프레임의 씰링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8a의 도전성 연결 부재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가 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측면 부재의 도전성 지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가 도전성 연결 부재들을 통해 보호 프레임의 씰링 부재 및 측면 부재의 도전성 지지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밴딩부에 형성된 오프닝과 도전성 플레이트의 노출부와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밴딩부가 밴딩된 상태에서, 도 10a의 라인 10b-10b에서 바라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와 윈도우층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a의 도전성 플레이트와 윈도우층이 적용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unfolded stag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폴딩축(A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예: 폴더블 하우징),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을 통해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151)(예: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는, 접힘 상태에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고,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를 보호하고,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폴딩축(A1)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축(A1)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폴딩축(A1)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접힐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unfolded stage)인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111), 제1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112), 및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의 제1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은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121), 제3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122), 및 제3면(121) 및 제4면(122) 사이의 제2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111)은, 펼침 상태에서 제3면(12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3면(12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구조적 결합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101)는 제1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가릴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에 따라,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사이에서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커버(165)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1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상태) 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 폴딩 영역(130c) 및 제2영역(130b)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에 대하여 360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제2면(112)과 제4면(1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힐 수도 있다(out folding 방식).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 및 제2하우징(120)의 제3면(1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은 폴딩 영역(130c)를 통해, 서로 좁은 각도(예: 0도 ~ 10도 범위)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130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130c)의 곡률 반경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클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 사이의 지정된 폴딩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free stop 기능).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지정된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펼쳐지는 방향 또는 접히는 방향으로, 가압받으면서 동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 입력 장치(115), 음향 출력 장치(127, 128), 센서 모듈(117a, 117b, 126), 카메라 모듈(116a, 116b, 125), 키 입력 장치(119),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또는 커넥터 포트(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는,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제2하우징(120)의 제3면(121)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2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서 제4면(122)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151)는,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간 상태의 경우,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제1디스플레이(130) 또는 제2디스플레이(151)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100)는 한 쌍의 하우징(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제1하우징(110)과 대면하는 제1영역(130a), 제2하우징(120)과 대면하는 제2영역(130b) 및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을 연결하고,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와 대면하는 폴딩 영역(130c)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에 의한 예시적인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110, 120)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130)는 이음매 없는(seamless),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영역(130a)과 제2영역(130b)은 폴딩 영역(130c)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거나, 부분적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되는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측면 부재(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측면 부재(1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 또는 불투명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면 커버(140)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과 같은, 불투명한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후면 커버(150)는, 예를 들어, 글래스 또는 폴리머와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151)는, 제2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15)는, 마이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115)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27, 128)는 스피커들(127, 128)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들(127, 128)은,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을 통해 배치되는 통화용 리시버(127) 및 제2하우징(120)의 측면 부재를 통해 배치되는 외부 스피커(12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마이크(115), 스피커들(127, 128) 및 커넥터(129)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공간들에 배치되고,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홀들은 마이크(115) 및 스피커들(127, 128)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127, 128)는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16a, 116b, 125)은,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제1카메라 장치(116a),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제2카메라 장치(116b)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되는 제3카메라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카메라 장치(116b) 근처에 배치되는 플래시(1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118)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들(116a, 116b, 12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카메라 장치들(116a, 116b, 1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는 2개 이상의 렌즈들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제1하우징(110)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어느 한 면에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7a, 117b, 126)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7a, 117b, 126)은, 제1하우징(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제1센서 모듈(117a), 제1하우징(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제2센서 모듈(117b)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제4면(122)에 배치되는 제3센서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117a, 117b, 126)은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조도 센서, 초음파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또는 거리 검출 센서(TOF 센서 또는 RiDAR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센서는 제1하우징(110)의 제1측면 부재(113) 및/또는 제2하우징(120)의 제2측면 부재(12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를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119)는, 제1하우징(110)의 제1측면 부재(1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119)는 제2하우징(120)의 제2측면 부재(1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9)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1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포트(1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 또는 IF 모듈(interface connector port 모듈))를 수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넥터 포트(1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수행하거나,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 포트(예: 이어잭 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들(116a, 116b, 1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16a, 125), 센서 모듈(117a, 117b, 12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17a, 1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30, 15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16a, 125),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17a, 1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0, 12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130, 140)의 활성화 영역(display area) 아래에 배치되고, 커버 부재(예: 제1디스플레이(130)의 윈도우층(미도시 됨) 및/또는 제2후면 커버(150))까지 천공된 오프닝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카메라 장치 또는 센서 모듈(104)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01)(예: 디스플레이 패널)의, 카메라 장치 및/또는 센서 모듈과 대면하는 영역은,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디스플레이(130), 제2디스플레이(151),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 또는 SUS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실질적으로 제1디스플레이(130)와 동일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130c)의 폴딩 영역(130c)과 대면하는 영역이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151)는 제2하우징(120)과 제2후면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151)는 제2하우징(120)과 제2후면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으로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지지 부재(161)(예: 제1지지 플레이트), 제2지지 부재(162)(예: 제2지지 플레이트), 제1지지 부재(161)과 제2지지 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장치(164), 힌지 장치(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161)는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 부재(162)는 제1디스플레이(130)의 제2영역(131b)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와 힌지 장치(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는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130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은, 제1지지 부재(161)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지지 부재(162)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1후면 커버(140) 및/또는 제2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110)의 제1공간에서, 제1지지 부재(161)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제1지지 부재(161)의 제1스웰링 홀(161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배터리(19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182)(예: 도 1의 제1카메라 장치(116a) 및/또는 제2카메라 장치(116b))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예: 도 1의 제1센서 모듈(117a) 및/또는 제2센서 모듈(117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의 제2공간에는 제2지지 부재(162)를 통해 형성된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제2지지 부재(162)의 제2스웰링 홀(162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터리(19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과 제1지지 부재(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과 제2지지 부재(16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110)은 제1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120)은 제1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영역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면(311)(예: 도 1의 제1면(111)), 제1면(3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312)(예: 도 1의 제2면(112)) 및 제1면(311)과 제2면(312) 사이의 제1공간을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313)(예: 도 1의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310)(예: 도 1의 제1하우징(110))(예: 제1하우징 구조)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제1면(311)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3면(321)(예: 도 1의 제3면(121)), 제2면(312)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4면(322)(예: 도 1의 제4면(122)) 및 제3면(321)과 제4면(322) 사이의 제2공간을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323)(예: 도 1의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320)(예: 도 1의 제2하우징(120))(예: 제2하우징 구조)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310) 및 제2하우징(320)은 힌지 장치(364)(예: 도 3의 힌지 장치(16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폴딩축(A1)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0)는 힌지 장치(364)를 통해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접힘 상태에서, 제1면(311)과 제3면(321)이 대면할 수 있으며, 펼침 상태에서 제1면(311)과 제3면(321)은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1면(311)과 제3면(32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제1하우징(310), 힌지 장치(364) 및 제2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제1영역(h1), 제2하우징 구조(320)에 대면하는 제2영역(h2) 및 힌지 모듈(364)과 대면하는 폴딩 영역(h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1영역(h1)에 대응하는 제1하우징(310)이 폴딩 영역(h3)에 대응하는 힌지 모듈(364)을 통해 제2영역(h2)에 대응하는 제2하우징(32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프레임(340, 350)(예: 장식 부재 또는 데코)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 프레임(340, 350)은 제1영역(h1)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보호 프레임(340) 및 제2영역(h2)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보호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프레임들(340, 350)는 폴리머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각 하우징들(310, 320)에 본딩, 테이핑, 융착 또는 구조적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방식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제1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는 제1가장자리(4001), 제2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는 제2가장자리(4002), 제1가장자리(4001)의 일단과 제2가장자리(400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가장자리(4003) 및 제1가장자리(4001)의 타단과 제2가장자리(400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가장자리(400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제1가장자리(4001) 및 제3가장자리(4003)와 제4가장자리(4004)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310)과 제1보호 프레임(3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제2가장자리(4002) 및 제3가장자리(4003)와 제4가장자리(4004)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하우징(320)과 제2보호 프레임(35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보호 프레임들(340, 550)은 힌지 장치(364)를 기준으로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의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을 위하여, 힌지 장치(364)와 대응되는 폴딩 영역(h3)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이러한 폴딩 영역(h3)에서, 외부로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제3가장자리(4003)의 적어도 일부 및 제4가장자리(4004)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보호 구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h3)을 통해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들은 보호 구조(50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구조(500)는, 힌지 장치(364)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 받도록 배치되는 지지 바디(510) 및 지지 바디(510)의 지지를 받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감추도록 배치되는 차단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바디(510)는 필름 타입의 차단 부재(5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바디(510)의 좌, 우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제1지지프레임(340) 및/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와 제2지지 프레임(350) 사이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내부로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된 정전기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정전기 유도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메인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구조물로 유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5의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오동작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 1의 디스플레이(1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윈도우층(410), 윈도우층(410)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편광층(POL(polarizer))(420)(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은 폴리머층(411)(예: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머층(411)과 합지되는 글라스층(예: UTG(ultra thin galss))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층은 PET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층은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예: 도 1의 제1하우징(11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1))과 제2하우징(예: 도 1의 제2하우징(120))의 제3면(예: 도 1의 제3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점착제(P1, P2, P3)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P1, P2, P3)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일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또 다른 접착 부재(예: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또 다른 접착 부재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어두운 색상(예: 블랙)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off시 배경 시현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부재(cush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SUS(steel use stainless)(예: STS(stainless steel)), Cu, Al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기타 다른 합금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300))의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부분과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부분이 힌지 장치(예: 도 4a의 힌지 장치(364))와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굴곡 가능부(예: 복수의 오프닝 및/또는 슬릿들을 포함하는 래티스(lattice) 구조를 통해 굴곡성이 제공된 부분)와 연결됨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힌지 장치(도 4a의 힌지 장치(364))와 대면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부분과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부분이 각각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도전성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보강 플레이트들(4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들(460)은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에 대면하는 제1보강 플레이트(461)와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에 대면하는 제2보강 플레이트(46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폴리머 부재(44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방열 시트, 도전 / 비도전 테이프 또는 open cell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굽힘이 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4a의 힌지 장치(364))를 통해,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까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필기 부재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밴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43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321)와, 연장부(4321)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4311)를 포함하는 연결 패드(4322) 및 연결 패드(43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4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4311)는, 전기적 배선 구조를 갖는 연결 패드(4322)에 실장되는 DDI(display driver IC) 또는 TDDI(touch display dir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패드(4322)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어 회로(4311)를 포함하는 별도의 FPCB 또는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4311)는 연결 패드(4322) 없이 연장부(4321)에 직접 실장되는 COP(chip on panel 또는 chip on plastic) 구조일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FPCB(4323)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 소자들(4324)을 포함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FPCB(4323)로부터 연장되고,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제2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제2인쇄 회로 기판(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기 소자들(4324)은 touch IC, 디스플레이용 플래시 메모리, ESD 방지용 다이오드, 압력 센서 또는 decap과 같은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밴딩부(432)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 중 제1하우징(예: 도 1의 제1하우징(110))과 대면하는 영역에 배치될 경우, 전기 커넥터(433)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제1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제1인쇄 회로 기판(1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연장된 밴딩부(432)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예: 제2가장자리(4502))를 통해 접힌 후, 도전성 플레이트(450)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는 전자 장치의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밴딩부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밴딩부(432) 근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51, 4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51, 452)는 밴딩부(43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노출부(451) 및/또는 밴딩부(43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노출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51, 45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밴딩부(432)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300)의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밴딩부(432) 근처를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는, 밴딩부(432)로 유도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밴딩부(53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51, 452)를 통해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플레이트(450) 및/또는 주변 도전성 구조물(예: 기판 및/또는 도전성 지지 부재)로 접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4b의 라인 7-7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300)는 제2측면 부재(323)(이하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320)(이하 '하우징')과, 측면 부재(323)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제2보호 프레임(350)(이하 '보호 프레임) 및 측면 부재(323)와 보호 프레임(350)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측면 부재(323)로부터 하우징(320)의 제2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거나, 구조적으로 결합된 제2도전성 지지 부재(3231)(이하 '도전성 지지 부재')를 통해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부재(323)의 적어도 일부, 보호 프레임(350) 및 도전성 지지 부재(3231)를 통해 형성된 내부 공간(3201)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는 보호 프레임(35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제1방향(① 방향)과 대면하는 면에 배치되는 윈도우층(410)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제1방향(① 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② 방향)과 대면하는 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은 폴리머층(411)(예: PET) 및 폴리머층(411) 아래에 배치되는 글라스층(412)(예: UTG 또는 폴리이미드)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글라스층(412)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층(420)(예: POL)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되는 폴리머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층들은 점착제(P1, P2, P3)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접착 부재(P4)를 통해 도전성 지지 부재(3231)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윈도우층(410)의 폴리머층(411)과 보호 프레임(350)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부재(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351)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내부 공간(3201)으로 연장된 밴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43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가장자리를 우회하여 굽어지고, 밴딩부(432)에 연결된 FPCB(4323)의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테이프(4325)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밴딩부(43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가장자리보다 내부 공간(320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밴딩부(432) 근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451)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돌출량(d1)을 갖도록 도전성 플레이트(45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부(451)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밴딩부(432)와 동일하거나, 밴딩부(432)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가장자리와 보호 프레임(350) 사이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내부 공간(3201)으로 유입된 정전기는, 도전성 플레이트(450)로부터 밴딩부(432)와 동일하거나, 더 돌출된 노출부(451)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메인 그라운드(common grou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플레이트(450)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정전기 유도 구조는, 유입된 정전기가 도전성 플레이트(450)가 아닌, 밴딩부(43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로 유입됨으로써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오동작 및 파손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가 도전성 연결 부재(455)를 통해 보호 프레임(350)의 씰링 부재(3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7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1)는 도전성연결 부재(455)를 통해 도전성 씰링 부재(351)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연결 부재(455)는 도전성 스폰지,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는 도전성 연결 부재(455)를 통해 노출부(451)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로 유도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정전기 유도를 위하여, 도전성 연결 부재(455)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밴딩부(432)를 사이에 두고 돌출된 두 노출부(451, 4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두 노출부(451, 452)는 각각 별개의 도전성 연결 부재들을 통해 개별적으로 씰링 부재(351)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가 도전성 연결 부재(456)를 통해 측면 부재(323)의 도전성 지지 부재(3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30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a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7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1)는 도전성연결 부재(456)를 통해 전자 장치(300)에 배치되는 도전성 구조물(323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연결 부재(456)는 도전성 스폰지,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3231)은 전자 장치(300)의 내부 공간(3201)에 배치되고,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지지 부재(3231)(예: 도전성 브라켓 또는 도전성 프론트 구조물),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172)) 또는 쉴드 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 및 도전성 연결 부재(456)를 통해 연결된 도전성 구조물(3231)을 통해 기판의 그라운드로 유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전성 지지 부재(3231)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플레이트(450)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도전성 연결 부재(456)와의 부착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메인 그라운드(G)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측면 부재(323)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3201)에서, 도전성 지지 부재(323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연결 부재(456)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도전성 측면 부재(323)의 노출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가 도전성 연결 부재들(455, 456)을 통해 보호 프레임(350)의 씰링 부재(351) 및 측면 부재(323)의 도전성 지지 부재(3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b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8a 및 도 9a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정전기 유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1)는 도 8a에 도시된 도전성 연결 부재(455)를 통해 도전성 씰링 부재(351)와 접촉되고, 도 9a에 도시된 도전성 연결 부재(456)를 통해 도전성 구조물(3231)에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는 노출부(451)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로 유도되는 제1경로 및 노출부(451) 및 도전성 구조물(3231)을 통해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172))의 그라운드로 유도되는 제2경로를 모두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밴딩부(432)에 형성된 오프닝(432a)과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3)와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밴딩부(432)가 밴딩된 상태에서, 도 10a의 라인 10b-10b에서 바라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3)는 밴딩부(432) 근처가 아닌, 밴딩부(432)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되도록 돌출될 수도 있다. 예컨대, 밴딩부(43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정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오프닝(432a)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닝(432a)은 밴딩부(432)가 밴딩축(BA)를 기준으로 굽어지는 형상에도, 노출부(453)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432)에 배치되는 배선 구조는 오프닝(432a)을 회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플레이트(450)가 폴리머 부재(440)를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배치될 경우, 노출부(453)는 밴딩부(432)에 형성된 오프닝(432a)을 관통한 후, 도전성 연결 부재(456)를 통해 전자 장치의 메인 그라운드(G)에 연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450)로부터 돌출되는 노출부(453)는 지정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오프닝(432a) 역시 노출부(453)의 개 수에 대응하는 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오프닝(432a)은 복수 개의 노출부들 중 두 개 이상의 노출부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오프닝(432A)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출부(453)와, 전술한 밴딩부(432) 주변에 형성되는 노출부들(예: 도 6b의 노출부들(451, 452))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윈도우층(410)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a의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윈도우층(410)이 적용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b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7의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정전기 유도 구조는 윈도우층(410)(예: 폴리머 층(411)))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마련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윈도우층(410)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밴딩부(432) 주변의,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가장자리의 일부에서, 지정된 폭(C1)을 갖도록 노출되는 노출부(457, 4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플레이트(450)가 보이도록 노출되더라도, 노출부(457, 458)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 프레임(350)을 통해 가려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윈도우층(410)을 통해 밴딩부(432)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7, 458)는 밴딩부(432)로부터 지정된 거리(L)로 이격된 부분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가장자리보다 내부 공간(3201) 방향으로 제1돌출량(d1)을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내부 공간 방향으로 더 돌출된 제2돌출량(d2)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돌출량(d1)은 제2돌출량(d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제1돌출량(d1)에서 제2돌출량(d2)을 제외한 부분만큼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윈도우층(410)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윈도우층(410)보다 내부 공간(3201) 방향으로 돌출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노출부(457, 458)로 유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오동작 및/또는 파손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300))는, 제1하우징(예: 도 4a의 제1하우징(310))과, 힌지 장치(예: 도 4a의 힌지 장치(364))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과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하우징(예: 도 4a의 제2하우징(320)) 및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4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로써, 윈도우층(예: 도 7의 윈도우층(410))과, 상기 제2하우징과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층 아래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밴딩부(예: 도 7의 밴딩부(43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4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도 7의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으로 우회되고, 상기 배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밴딩부 주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예: 도 7의 노출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밴딩부보다 외측으로 더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층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는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는 상기 보호 프레임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층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도전성 씰링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노출부 및 상기 밴딩부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2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도전성 연결 부재는 상기 제1노출부로부터 상기 제2노출부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도전성 씰링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도전성 연결 부재는 상기 제1노출부와 상기 제2노출부를 각각 상기 도전성 씰링 부재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노출부 및 상기 밴딩부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2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노출부와 상기 제2노출부는 제2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및/또는 상기 측면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도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정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두 개 이상의 노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노출부들이 하나의 오프닝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윈도우층의 가장자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형상 변경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부와 상기 노출부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지정된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층은 폴리머층 및 상기 폴리머층보다 작게 형성되는 글래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폴리머층의 형상 변경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전자 장치 310: 제1하우징
320: 제2하우징 340: 제1보호 프레임
350: 제2보호 프레임 4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410: 윈도우층 430: 디스플레이 패널
432: 밴딩부 450: 도전성 플레이트
451, 452, 457, 458 : 노출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과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써,
    윈도우층;
    상기 제2하우징과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층 아래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메인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으로 우회되고, 상기 배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밴딩부 주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밴딩부보다 외측으로 더 노출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층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하우징에 배치되는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는 상기 보호 프레임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층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도전성 씰링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노출부; 및
    상기 밴딩부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2노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도전성 연결 부재는 상기 제1노출부로부터 상기 제2노출부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도전성 씰링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도전성 연결 부재는 상기 제1노출부와 상기 제2노출부를 각각 상기 도전성 씰링 부재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노출부; 및
    상기 밴딩부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제2노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부와 상기 제2노출부는 제2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도전성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 및/또는 상기 측면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도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정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전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두 개 이상의 노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노출부들이 하나의 오프닝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전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윈도우층의 가장자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형상 변경을 통해 배치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와 상기 노출부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지정된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전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층은 폴리머층 및 상기 폴리머층보다 작게 형성되는 글래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폴리머층의 형상 변경을 통해 배치되는 전자 장치.
KR1020200096905A 2020-06-09 2020-08-03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52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5798 WO2021251628A1 (ko) 2020-06-09 2021-05-10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2180041290.2A CN115700025A (zh) 2020-06-09 2021-05-10 包括静电引入结构的电子装置
EP21822819.5A EP4138534A4 (en) 2020-06-09 2021-05-10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US17/989,278 US20230079135A1 (en) 2020-06-09 2022-11-17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9573 2020-06-09
KR1020200069573 2020-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910A true KR20210152910A (ko) 2021-12-16

Family

ID=7903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05A KR20210152910A (ko) 2020-06-09 2020-08-03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9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110A1 (ko) * 2022-07-29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0006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03149B2 (en) 2020-07-31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KR20240020145A (ko) * 2022-08-05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3149B2 (en) 2020-07-31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WO2024025110A1 (ko) * 2022-07-29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0006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0145A (ko) * 2022-08-05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2910A (ko)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5394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KR20210047753A (ko)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423943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charge structure for connecting static electricity to ground
KR20220060773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439287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構造を含む電子装置
US2022021786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to reduce damage to glass
EP427115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aterproof structure
EP418090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EP4391500A1 (en) Display module compris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US2023004419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izer
US2023005126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20220099047A (ko) 글라스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EP413853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JP7365490B2 (ja) シーリング部材を含む電子装置
US20230047246A1 (en) Flexible display module including shielding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408374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KR102604357B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398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08423A (ko)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822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287A (ko) 차폐 구조 및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166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8318510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ic shielding structure
KR20230086464A (ko) 쿠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