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850A -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850A
KR20210152850A KR1020200069847A KR20200069847A KR20210152850A KR 20210152850 A KR20210152850 A KR 20210152850A KR 1020200069847 A KR1020200069847 A KR 1020200069847A KR 20200069847 A KR20200069847 A KR 20200069847A KR 20210152850 A KR20210152850 A KR 2021015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signal strength
lo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타니스라브 페단
미코라 알리에크시에이에브
로만 구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850A/ko
Priority to PCT/KR2021/006956 priority patent/WO2021251687A1/ko
Priority to US17/921,222 priority patent/US20230171010A1/en
Priority to EP21822362.6A priority patent/EP4132018A4/en
Publication of KR2021015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49Determining position using measurements made by a non-stationary device other than the device whose position is being determ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5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taking multiple measurements
    • H04B17/253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taking multiple measurements measuring at different locations or reception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가전 및 사물인터넷(IoT) 환경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자 장치들이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들 간에 신뢰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종종 전자 장치들이 근접한 거리에 위치할 것이 요구된다. 이에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채널 외에 추가적인 저역 신호 채널을 이용하여, 저역 신호 채널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면 근접한 거리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하드웨어 및 통신 채널을 구비할 것을 요구하므로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들이 동일한 환경 개체 또는 특성을 관찰하면 근접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추가적인 입력 장치 및 센서를 필요로 하고, 계산의 복잡도가 높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높은 사용성 및 정확도로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정확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갖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근접성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시된,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개시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개시된 방법의 실시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컴퓨터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근접성 확인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개요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거리에 따라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무선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상태 기계 다이어그램이다.
도 10a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근접한 경우에 전자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공격자가 신호 예측을 시도하는 경우 전자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근접성 확인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접성 확인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200)는 각각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 통식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이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는 상호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근접성 확인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400)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400)에 신뢰할 수 있는 (trusted) 장치로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와 홈 네트워크(400) 간의 연결은 암호화된 연결일 수 있다. 다만,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홈 네트워크(400)에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 또는 홈 네트워크(400)와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200)를 새로 전자 장치(100) 또는 홈 네트워크(4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 또는 홈 네트워크(400)에 침입하고자 하는 공격자 장치(300) 역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로 가장한 무선 통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가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근접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외부 전자 장치(200)와 최초로 연결할 때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전자 장치(100)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각각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가까운 위치 및 먼 위치에 대응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들고 외부 전자 장치(200)쪽으로 팔을 펴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가까운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들고 팔을 접어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먼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위치에서 전자 장치(100)가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하고, 제1 위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한 걸음 멀리 또는 가까이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전자 장치(100)가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무선 통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 후,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하고, 재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홈 네트워크(400)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직접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0)는 공격자 장치(300)와 구분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인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및 홈 네트워크(4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개요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A)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발신한 무선 통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단계 (B)에서 신호 강도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소정의 제1 시간 동안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은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단계 (C)에서,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먼 위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외부 전자 장치(200)에 가까운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2 위치 간의 거리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간의 거리에 비하여 짧은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단계 (D)에서 신호 강도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 (D)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소정의 제2 시간 동안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은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단계 (E)에서,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다시 제1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다시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단계 (F)에서 신호 강도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 (F)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SSI)를 재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소정의 제3 시간 동안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시간은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E) 및 (F)에서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재배치하여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하는 대신, 전자 장치(100)를 제 2 위치에 재배치하여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E) 및 (F)는 생략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신호 강도의 차이(ΔRSSI)를 추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추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거리에 따라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신호의 세기는 거리에 따라 로그 함수로 (logarithmically)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발신기에 가까운 거리일수록 수신기의 위치 변동에 따른 신호 강도의 변화량이 크다.
도 3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신호를 발신하는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치, 예를 들어 1m 미만의 거리에 있는 외부 전자 장치(200)인 경우가 도시된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에 따른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RSSI)는 그래프(3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가파르게 감소한다. 즉,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약간 변경하더라도 수신 신호 강도(RSSI)가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제1 위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와 제2 위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 간의 차이 ΔRSSI는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신호를 발신하는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먼 거리에 있는 장치, 예를 들어 1~10m의 거리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신호로 가장한 신호를 발신하는 공격자 장치(300)인 경우가 도시된다. 상기 공격자 장치(300)가 신호를 증폭하여 발신하는 경우, 먼 공격자 장치의 신호는 근접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발신되는 신호와 비슷한 세기로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그래프(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공격자 장치(300) 간의 거리에 따른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RSSI)는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즉, 도 3a의 경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시켰을 때, 수신 신호 강도(RSSI)는 도 3a의 경우에 비하여 더 작게 변화한다. 따라서, 제1 위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와 제2 위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 간의 차이 ΔRSSI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와 제2 위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가 근접한 장치로부터 발신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가 근접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발신된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와 근접한 거리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변동이 크지 않더라도 신호 강도의 차이가 충분히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술한 근접성 확인 절차에서 전자 장치(100)를 많이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근접성 여부는 신호 강도 차이의 상대적인 크기만으로 판단되며, 전자 장치(100)의 설정, 안테나 위치, 또는 사용자의 동작의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들고 팔을 펴고 접는 동작이나,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들고 한 걸음 움직이는 동작으로 근접성 확인에 필요한 신호 강도의 차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근접성 결정 방법은 높은 사용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프로세서(130), 통신부(15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장치(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재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력부(11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5)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25)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 확인 절차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5)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신호 강도 측정이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5)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신호 강도 측정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5)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 판단 결과 및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5)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5)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5)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5)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200) 및 홈 네트워크(400)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55) 및 상기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하는 RSSI 측정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부(15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부(150) 등을 제어함으로써, 본 개시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가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근접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특정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의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신호 강도를 재측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위치를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랜덤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통신부(150)를 통하여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통신부(150)를 통하여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소정의 시간 동안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으로 상기 소정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무선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5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할 표준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준 암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의 연결을 최초로 인증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준 암호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간에 미리 공유되는 사전 공유 키(Pre-Shared Key, PS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200)는 상기 PSK 및 외부 전자 장치(200)의 네트워크 식별자(SSID)에 기초하여 대칭 마스터 키 (Pairwise Master Key, PMK)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S5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암호화 키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키는 상기 표준 암호로부터 생성된 임시 키(Transient Key)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는 4단계 핸드쉐이크 절차에 따라 간의 암호화 키를 교환할 수 있다. 먼저, 외부 전자 장치(200)는 nonce(ANonce)를 생성하고, ANonce가 포함된 제1 메시지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nonce(SNonce)를 생성하고, SNonce, 수신한 ANonce, 및 표준 암호에 기초하여 대칭 임시 키(Pairwise Transient Key, PTK)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전자 장치(100)는 SNonce 및 메시지 무결성 코드 (Message Integrity Code, MIC)가 포함된 제2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MIC를 확인하고, 유효할 경우 ANonce, 수신한 SNonce, 및 표준 암호에 기초하여 PTK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외부 전자 장치(200)는 그룹 임시 키(Group Temporal Key, GTK)를 생성하여, GTK와 MIC가 포함된 제3 메시지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메시지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MIC를 확인하고, 유효할 경우 PTK를 설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자 장치(100)는 확인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200)는 PTK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동작 S510 및 동작 S520에 의해서만 무선 인증을 수행할 경우, 공격자 장치(300)가 동작 S510의 표준 암호 설정 단계에서부터 외부 전자 장치(200)를 가장하는 공격 시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격자 장치(3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 가장된 서비스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 및 MAC)를 가지고, 신호를 증폭하여 발신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작 S510 및 동작 S520에 의한 무선 인증은 공격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200)와 구분하지 못하고 무선 통신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동작 S5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S5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신호 강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동작 S6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간의 거리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에 비하여 짧은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간의 거리는 50cm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신호 강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동작 S6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S5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S7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는 후술할 제2 위치보다 외부 전자 장치(100)로부터 가까운 위치 또는 먼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가까운 위치로 할 것인지, 먼 위치로 할 것인지 여부를 매 근접성 검증 시 랜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선택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외부 전자 장치(200)와 가까운 위치 또는 먼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실제 거리에 관련 없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의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측정 시작 여부를 묻는 확인 요청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7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신호 강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재배치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동작 S7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제2 위치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더 먼 위치 또는 더 가까운 위치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가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가까운 위치로 결정된 경우,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더 먼 위치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위치가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먼 위치로 결정된 경우,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더 가까운 위치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 S740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실제 거리에 관련 없이,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의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제2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위치 변경 완료 여부를 묻는 확인 요청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75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신호 강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2 위치에 재배치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동작 S760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S5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S8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시간 동안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시간은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1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간은 적어도 1초 이상일 수 있다.
동작 S8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e1 및 분산 var1 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S8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1 가 분산 문턱값 thvar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산 문턱값 thvar은 측정 시간 동안 전자 장치(100) 및 무선 통신 신호가 안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1 가 분산 문턱값 thvar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측정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e1을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동작 S84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1 가 분산 문턱값 thvar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측정 시간 동안 제1 위치에 고정되지 않았거나, 무선 통신 신호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시 동작 S81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제1 위치에서 재측정할 것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재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동작 S84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시간 동안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시간은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2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시간은 적어도 1초 이상일 수 있다.
동작 S85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e2 및 분산 var2 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S860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2 가 분산 문턱값 thvar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2 가 분산 문턱값 thvar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 측정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e2을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동작 S87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2 가 분산 문턱값 thvar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측정 시간 동안 제2 위치에 고정되지 않았거나, 무선 통신 신호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시 동작 S86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제2 위치에서 재측정할 것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재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동작 S870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1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2 간의 차이가 소정의 신호 강도 문턱값 thrss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강도 문턱값 thrss은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1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2 간의 차이가 신호 강도 문턱값 thrss보다 큰 경우, 동작 S880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1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2 간의 차이가 상기 신호 강도 문턱값 thrss 이하인 경우, 동작 S890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이 확인되지 않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인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재측정 방법은 동작 S810 내지 S830과 동일할 수 있으나, 측정 시간은 최초 측정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3 시간 동안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RSSI)를 재측정할 수 있다. 제3 시간은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e3 및 분산 var3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3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3 가 분산 문턱값 thvar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3가 분산 문턱값 thvar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재측정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e3을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3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3가 분산 문턱값 thvar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재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재측정된 신호 강도 ave3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2 간의 차이가 소정의 신호 강도 문턱값 thrss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최초 측정된 신호 강도 ave1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2 간의 차이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재측정된 신호 강도 ave3과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ave2간의 차이가 모두 소정의 신호 강도 문턱값 thrss보다 클 경우,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상태 기계 다이어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 검증 절차에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CLOSE 상태 및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먼 위치에 있는 AWAY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CLOSE 상태와 AWAY 상태 중 하나는 제1 위치에 대응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최초 상태, 즉 제1 위치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가까운 위치(CLOSE)와 먼 위치(AWAY) 중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가 가까운 위치(CLOSE)일 확률과 먼 위치(AWAY)일 확률은 동일하게 50%로 설정될 수 있다.
각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가 각 상태에 머무는 시간, 즉 각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시간은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시간은 소정의 최소 측정 시간 Tmin 및 최대 측정 시간 Tmax 범위 내에서 소정의 단위 측정 시간 Tstep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측정 시간 Tmin이 1000ms, 최대 측정 시간 Tmax가 3000ms, 단위 측정 시간 Tstep이 100ms로 설정된 경우, 각 위치의 신호 강도 측정 시간은 1000, 1100, 1200, ..., 2800, 2900, 3000 중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위 측정 시간 Tstep이 200ms인 경우, 각 위치의 신호 강도 측정 시간은 1000, 1200, 1400, ..., 2600, 2800, 3000 중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먼 거리의 공격자 장치(300)가 근접성 검증을 통과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수신하는 신호 강도의 변화를 모방한 가짜 신호를 임의로 생성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격자 장치(300)는 강한 세기의 신호와 약한 세기의 신호를 번갈아 생성하여, 가까운 위치(CLOSE)와 먼 위치(AWAY)에서 측정되는 근접한 외부 전자 장치(200)의 무선 통신 신호를 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격자 장치(300)의 모방 신호가 전자 장치(100)에서 랜덤하게 결정된 측정 시간 동안 일정한 세기로 유지될 확률은
Figure pat00001
으로 계산된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서 랜덤하게 결정된 측정 시간이 지났을 때, 공격자 장치(300)의 모방 신호의 세기가 변경될 확률은
Figure pat00002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임의로 생성된 무선 통신 신호가 근접성 검증을 통과할 확률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3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 - 제2 위치 - 제1 위치 순서로 수신 신호 강도를 3번 측정하고, 각 위치에서의 측정 시간은 최소 측정 시간 Tmin = 1000ms, 최대 측정 시간 Tmax = 3000ms 범위에서 단위 시간 Tstep = 100ms 간격으로 랜덤하게 결정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임의로 생성된 모방 신호가 CLOSE와 AWAY 중 하나로 결정되는 제1 위치를 맞출 확률은 0.5이다. 또한, 각 위치에서, 임의로 생성된 모방 신호가 랜덤하게 결정된 측정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확률은
Figure pat00004
이다. 또한, 랜덤하게 결정된 측정 시간이 지났을 때, 임의로 생성된 모방 신호가 변할 확률은
Figure pat00005
이다. 따라서 임의로 생성된 모방 신호가 근접성 검증을 통과할 확률은,
Figure pat00006
로 계산된다.
전자 장치(100)는 최초 위치 및 각 위치에서의 측정 시간을 랜덤하게 결정함으로써, 공격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변화를 모방할 확률을 낮출 수 있고, 모방된 무선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가짜 장치의 공격에 대해 충분한 보안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근접한 경우에 전자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최초 위치가 가까운 위치(CLOSE)로 선택되고, 가까운 위치(CLOSE), 먼 위치(AWAY), 가까운 위치(CLOSE)의 순서로 3회의 신호 강도 측정이 수행된 결과가 도시된다.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가까운 위치(CLOSE)와 먼 위치(AWAY) 중 최초 위치를 결정하고, 나머지 위치를 제2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1 시간 T1-T0 동안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1)과 분산 Var(RSS1)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1)이 소정의 분산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분산 Var(RSS1)가 분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재측정을 시도하거나, 또는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1)가 분산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측정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제2 위치, 즉 먼 위치(AWAY)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제2 위치로 변경하였음을 확인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1 시간 T2-T1 동안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과 분산 Var(RSS2)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2)이 소정의 분산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분산 Var(RSS2)가 분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재측정을 시도하거나, 또는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2)가 분산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1)이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보다 큰지 여부 및 Avg(RSS1)과 Avg(RSS2) 간의 차이가 소정의 신호 강도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0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까운 위치(CLOSE)와 먼 위치(WAY)에서 신호 강도는 눈에 띄게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 측정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다시 제1 위치, 즉 가까운 위치(CLOSE)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제1 위치로 변경하였음을 확인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3 시간 T3-T2 동안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시간 동안 재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3)과 분산 Var(RSS3)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시간 동안 재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3)이 소정의 분산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분산 Var(RSS3)가 분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재측정을 시도하거나, 또는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3)가 분산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재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3)이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보다 큰지 여부 및 Avg(RSS3)과 Avg(RSS2) 간의 차이가 소정의 신호 강도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0b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서, 도 10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최초 위치가 가까운 위치(CLOSE)로 선택되고, 가까운 위치(CLOSE), 먼 위치(AWAY), 가까운 위치(CLOSE)의 순서로 3회의 신호 강도 측정이 수행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1 시간 T1-T0 동안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1)과 분산 Var(RSS1)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1 시간 T2-T1 동안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과 분산 Var(RSS2)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1)이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보다 큰지 여부 및 Avg(RSS1)과 Avg(RSS2) 간의 차이가 소정의 신호 강도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경우, 가까운 위치(CLOSE)와 먼 위치(WAY)에서 신호 강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0c는 공격자가 신호 예측을 시도하는 경우 전자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일 실시예에서, 도 10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최초 위치가 가까운 위치(CLOSE)로 선택되고, 가까운 위치(CLOSE), 먼 위치(AWAY), 가까운 위치(CLOSE)의 순서로 3회의 신호 강도 측정이 수행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10c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는 실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가 아니라, 공격자 장치(300)가 외부 전자 장치(200)를 가장하여 임의로 생성한 가짜 신호이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격자 장치(300)는 강한 세기의 신호와 약한 세기의 신호를 번갈아 생성하여, 근접한 외부 전자 장치(200)의 무선 통신 신호를 가까운 위치(CLOSE)와 먼 위치(AWAY)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결과를 모방할 수 있다.
도 10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1 시간 T1-T0 동안 제1 위치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1)과 분산 Var(RSS1)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랜덤으로 결정된 제2 시간 T2-T1 동안 제2 위치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과 분산 Var(RSS2)를 계산할 수 있다.
공격자 장치(300)에서 임의로 생성된 가짜 신호의 세기가 변경되는 시간 간격들이 전자 장치(100)에서 랜덤으로 결정된 측정 시간들과 모두 일치할 확률은 충분히 낮다. 따라서 공격자 장치(300)의 가짜 신호의 경우, 도 10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정 시간 동안 신호의 세기가 변경될 수 있고, 이 경우 측정된 신호 강도의 편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신호 강도의 분산 Var(RSS1), Var(RSS2), Var(RSS3)이 소정의 분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재측정을 시도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공격자 장치(300)에서 임의로 생성된 가짜 신호는 전자 장치(100)에서 랜덤으로 결정된 최초 위치를 예측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를 가까운 위치(CLOSE), 제2 위치를 먼 위치(AWAY)로 결정하였으나, 공격자 장치(300)는 최초에 약한 신호를 생성하고 그 후 강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격자 장치(300)의 가짜 신호의 경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1)은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Avg(RSS2)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확인 절차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 메시지 표시 영역(1230),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 결과 표시 영역(1250) 및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 및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은 현재 전자 장치(100)의 근접성 확인 절차 진행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 및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은 현재 전자 장치(100)가 어느 위치에서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야 하는지 또는 어느 위치에서 신호 강도를 측정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은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은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표시 영역(1230)은 사용자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은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결과 표시 영역(1250)은 사용자에게 근접성 확인 절차의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절차 종료 버튼(126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판단 결과를 확인하고 근접성 확인 절차를 종료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객체일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확인 절차를 시작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측정 대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확인 절차를 시작함에 따라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을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1210a)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a)은 비활성화되었을 때 또는 다른 모드로 활성화되었을 때와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a)은 제1 색상으로 표시되고, 내부에 측정 대기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b)은 제1 위치가 가까운 위치(CLOSE)인지 먼 위치(AWAY)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a)은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영역 내의 클릭 또는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을 활성화시킨 동안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을 비활성화(1220a) 시킬 수 있다. 비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a)은 제2 색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 중임을 나타내는 측정 중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a)을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을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1210b)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b)은 비활성화되었을 때 또는 다른 모드로 활성화되었을 때와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b)은 제3 색상으로 표시되고, 내부에 측정 중임을 알리는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b)은 남은 측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시지 영역(1230)은, 제1 위치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장치를 움직이지 말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1230a)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은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은 측정된 신호 강도를 실시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편차가 소정의 편차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도 11c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측정에 실패하였다고 판단하고 도 11e의 재측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됨에 반응하여,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2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측정 대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됨에 반응하여,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을 비활성화(1210c) 시킬 수 있다. 비활성화된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c)은 제2 색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됨에 반응하여,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을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1220b)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b)은, 제1 위치 측정 영역과 마찬가지로, 비활성화되었을 때 또는 다른 모드로 활성화되었을 때와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b)은 제1 색상으로 표시되고, 내부에 측정 대기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b)은 제2 위치가 가까운 위치(CLOSE)인지 먼 위치(AWAY)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측정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b)은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영역 내의 클릭 또는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시지 영역(1230)은, 사용자에게 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1230b)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 중임을 나타내는 측정 중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 대기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b)을 통하여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반응하여,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을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1220c)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c)은, 제1 위치 측정 영역(1210)과 마찬가지로, 비활성화되었을 때 또는 다른 모드로 활성화되었을 때와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c)은 제3 색상으로 표시되고, 내부에 측정 중임을 알리는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 중 모드로 활성화된 제2 위치 측정 영역(1220c)은 남은 측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시지 영역(1230)은, 제2 위치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장치를 움직이지 말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1230a)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은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은 측정된 신호 강도를 실시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강도 표시 영역(1240)은 제2 위치에서 측정된 결과를 앞서 제1 위치에서 측정된 결과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편차가 소정의 편차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측정에 실패하였다고 판단하고 도 11e의 재측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됨에 반응하여,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도 11e의 인증 완료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인증 실패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됨에 반응하여, 제1 위치에서 재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1a의 측정 대기 인터페이스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11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확인 절차의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재측정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측정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재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영역(1250) 및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하는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통해 확인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재측정할 위치의 측정 대기 인터페이스 (도 11a 또는 도 11c)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인증 완료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완료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이 확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영역(1250) 및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하는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통해 확인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인증 실패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실패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영역(1250) 및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하는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차 종료 버튼(1260)을 통해 확인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인증을 거부하고 무선 인증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pairing)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어, 시계, 헤드폰, 센서 등의 웨어러블 장치로서,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하여 상호간에 연결 정보를 설정하고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페어링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신뢰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최초로 외부 전자 장치(200)를 인증할 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페어링할 수 있다.
도 13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이고,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기능을 제공하도록 잠긴(locked)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200)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발신된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탐색된 외부 전자 장치(200)가 잠긴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표준 암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 키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가 공격자 장치로부터의 가장 신호가 아니라 실제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에 잠금 해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은 공통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을 홈 네트워크(400)에 등록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 250)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 가장한 공격자 장치가 전자 장치(1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 250)가 근접한 거리에 있을 때만 외부 전자 장치(200, 250)와 신뢰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최초로 외부 전자 장치(200, 250)와 연결할 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 250)의 근접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 25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 25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 25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 25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 25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외부 전자 장치(200, 25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 25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와 장치 간(device-to-device, D2D) 직접 통신 방식으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서로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공유할 외부 전자 장치(200)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들에서 발신된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가 실제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하고, 외부 전자 장치(200)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접성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프로세서(13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장치(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재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부(11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1), 음향 출력부(122), 및 진동 모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사용자의 질의(query)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 확인 절차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신호 강도 측정이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신호 강도 측정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성 판단 결과 및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제1 위치에 배치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제어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통신 신호가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와 근접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특정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의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신호 강도를 재측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신호 강도를 재측정할 위치를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랜덤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근접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통신부(150)를 통하여 제1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전자 장치(100)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통신부(150)를 통하여 제2 위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소정의 시간 동안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으로 상기 소정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근접하다고 결정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200) 또는 홈 네트워크(4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RSSI)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와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전자 장치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프로세서(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전자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의 연결에 사용할 무선 통신 신호만을 이용하여 근접성 여부를 판단하므로, 추가적인 통신 채널 및 하드웨어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일한 무선 통신 채널만을 요구한다. 또한 거의 대부분의 스마트 장치에 본 개시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이 이미 장착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기존의 전자 장치들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근접성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접성 확인 절차에서 전자 장치(100)를 많이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근접성 여부는 신호 강도 차이의 상대적인 크기만으로 판단되며, 전자 장치(100)의 설정, 안테나 위치, 또는 사용자의 동작의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근접성 결정 방법은 높은 사용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초 위치 및 측정 시간을 랜덤화함으로써, 공격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신호 강도의 변화를 모방할 확률을 낮출 수 있고, 모방된 무선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공격에 대해 충분한 보안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가까운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는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한 시간으로 결정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으로 결정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편차가 문턱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재측정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가 문턱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재측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무선 통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 후,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재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암호화된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14. 전자 장치로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가까운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신호 강도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신호 강도 측정 시마다 랜덤한 시간으로 결정되는, 전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신호 강도의 평균 및 편차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편차가 문턱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재측정을 요청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계산된 편차가 문턱값 이하일 경우, 상기 계산된 평균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의 신호 강도로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0.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069847A 2020-06-09 2020-06-09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52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47A KR20210152850A (ko) 2020-06-09 2020-06-09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6956 WO2021251687A1 (ko) 2020-06-09 2021-06-03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7/921,222 US20230171010A1 (en) 2020-06-09 2021-06-03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of electronic device
EP21822362.6A EP4132018A4 (en) 2020-06-09 2021-06-03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ROXIMITY OF A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47A KR20210152850A (ko) 2020-06-09 2020-06-09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50A true KR20210152850A (ko) 2021-12-16

Family

ID=7884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847A KR20210152850A (ko) 2020-06-09 2020-06-09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71010A1 (ko)
EP (1) EP4132018A4 (ko)
KR (1) KR20210152850A (ko)
WO (1) WO2021251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3899B2 (en) * 2021-06-15 2023-05-30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Keyless entry message valid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5144B1 (en) * 2006-10-20 2015-09-01 Avaya Inc. Proximity-based feature activation based on programmable profile
CN107430499B (zh) * 2015-03-30 2021-04-09 阿费罗有限公司 在IoT***中精确地感测用户位置的***和方法
KR102048013B1 (ko) * 2015-07-30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페어링 방법
US9641983B2 (en) * 2015-09-29 2017-05-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Location management for access points
US10154367B2 (en) * 2016-05-16 2018-12-11 Google Llc Adaptive threshold for proximity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features
JP7076950B2 (ja) * 2017-05-18 202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1010A1 (en) 2023-06-01
EP4132018A1 (en) 2023-02-08
WO2021251687A1 (ko) 2021-12-16
EP4132018A4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74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KR102661628B1 (ko) IoT 기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73492A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2813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gestur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41758B1 (ko) 전자 장치, 인증 대행 서버 및 결제 시스템
KR20190099586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KR102484647B1 (ko)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EP3385474B1 (en) Method for lock device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138632A (ko)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6956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542822A (zh) 用于共享屏幕数据的电子装置和方法
MX2007015897A (es) Provision de conectividad inalambrica para dispositivos que utilizan un enlace de comunicacion de campo cercano (nfc).
US201702429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288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KR20160002026A (ko) 지문 입력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219957B1 (ko) 바이오메트릭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210152850A (ko) 전자 장치의 근접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62106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touch input
KR102499917B1 (ko) 측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17090B1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601704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325342B1 (ko)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50108027A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94002B1 (ko) 심카드를 인식하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US202103147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