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664A -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 Google Patents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664A
KR20210149664A KR1020210165994A KR20210165994A KR20210149664A KR 20210149664 A KR20210149664 A KR 20210149664A KR 1020210165994 A KR1020210165994 A KR 1020210165994A KR 20210165994 A KR20210165994 A KR 20210165994A KR 20210149664 A KR20210149664 A KR 2021014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trail running
race
management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6745B1 (en
Inventor
장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쎄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쎄노
Priority to KR102021016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745B1/en
Publication of KR2021014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22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in connection with sports or g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checkpoint device and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body, when approached by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trail running race, identifying the participant to measure a pass record of the participant, and guiding a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participant needs to run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nd a body support part fixing the body onto the ground.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s communication-connected with at least one checkpoint device installed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nd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participant and providing a guide screen for the trail running race,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heckpoint pass records of the race participant from the checkpoint device, and provides race-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heckpoint pass record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ecuring an efficient competition management capability.

Description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Check point device and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본 발명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 러닝 코스에 설치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point device and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checkpoint device installed on a trail running course and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트레일 러닝(trail running)은 사람이 다니는 포장되지 않은 길(trail)과 달리기(running)의 합성어로, 포장되지 않은 자연의 길을 뛰는 아웃도어 스포츠를 말한다. 이러한 트레일 러닝은 평지, 오르막길, 내리막길, 비포장 도로 등 다양한 패턴으로 지루함을 덜어줄 수 있으며, 상하체 단련, 심폐 지구력 향상, 피톤치드(phytoncide) 효과 등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최근 들어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각종 대회가 개최되는 등 각광을 받고 있다.Trail running is a compound word of unpaved trail and running, and refers to outdoor sports that run on unpaved natural roads. Such trail running can relieve boredom with various patterns such as flat ground, uphill road, downhill road, and unpaved road, and it can maximize exercise effects such as upper and lower body training, cardiopulmonary endurance improvement, and phytoncide effect. Various competitions are also held in Korea,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2165호 (공개일: 2017.06.07.)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2165 (published on: 2017.06.07.)

트레일 러닝 레이스는 대부분 50km 내외의 장거리 위주이고, 경기 시간이 9시간 이상 장시간 걸리며, 산악 등 야외에서 대회가 개최된다. 따라서 경기 도중에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이 빈번하여, 참가자들에게 수시로 공지할 전달 사항이 발생하지만, 원활하게 전달할 방법이 부재하다.Most of the trail running races are long-distance races of around 50 km, and the race takes more than 9 hours, and the competition is held outdoors, such as in the mountains. Therefore, unexpected unexpected situations occur frequently during the game, and there is a message to be notified to the participants from time to time, but there is no way to deliver it smooth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레일 러닝 레이스의 참가자에게 전달 사항 및/또는 필요물품을 전달할 수 있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ckpoint device capable of delivering items and/or necessary items to a participant in a trail running r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트레일 러닝 레이스를 운영 및 관리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a trail running race using the checkpoint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참가한 참가자가 접근하면, 상기 참가자를 식별하여 상기 참가자의 통과 기록을 계측하고, 상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서 상기 참가자가 진행해야 할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면 상에 고정하는 본체 지지부를 포함하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상기 참가자가 휴대하고, 상기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관한 안내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로부터 레이스 참가자의 식별 정보와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레이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스 관련 정보는, 대회 경로 지도, 경로 상에서의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위치, 및 전체 참가자의 위치를 포함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trail running race approaches, identifies the participant, measures the participant's passing record, and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t least one checkpoint device installed on a trail running course and carried by the participant, comprising a main body for guiding a movement direction for a participant to proceed, and a main body support for fixing the main body on the ground, the trail running race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for providing a guidance screen regarding,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heckpoint passing record of a race participant from the checkpoint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heckpoint passing record and provide race-related information, wherein the rac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map of a competition route, a location of the checkpoint device on the route, and a location of all participants.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상기 레이스 관련 정보를 대회 관리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race-related information on a competition management screen.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상기 대회 경로 지도의 등록 및 관리,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설치 등록 및 관리, 대회 관련 홈페이지 및 어플 관리, 참가자 인적사항 관리, 상기 참가자의 위치 관리, 및 대회 진행상황 및 운영진에 대한 공지사항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ncludes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mpetition route map, installati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heckpoint device, management of website and applications related to the competition, management of participant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participant's location, and competition progress and management team It is configured to perform notice management for

상기 참가자의 위치 관리는, 상기 참가자의 현재 위치 확인, 상기 참가자의 컷오프 현황 관리 및 경로 이탈 참가자 확인을 포함한다.The location management of the participant includes checking the participant's current location, managing the cutoff status of the participant, and checking the participant out of the route.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컷오프 통과자 및 탈락자의 대회 진행 여부를 조회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inquire and manage whether the cutoff passers and the losers proceed with the competition.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경로 이탈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경로 이탈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로 경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lert to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path deviate when a path deviate occurs.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참가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참가자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mergency rescue service by determining that the participant is in dang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ticipant's location has not changed for a preset time.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상기 참가자의 서로 다른 두 지점 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으로 판단되거나 이동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참가자가 불법 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하여 페널티를 부가하도록 구성된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participant has committed an illegal ac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speed between the two different points of the participa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speed or the movement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time, and a penalty is added. is configured to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은,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참가한 참가자가 접근하면, 상기 참가자를 식별하여 상기 참가자의 통과 기록을 계측하고, 상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서 상기 참가자가 진행해야 할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면 상에 고정하는 본체 지지부를 포함하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상기 트레일 러닝 레이스를 관리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관한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지도 상에 갈림길에서의 진행 방향, 대회 경로, 시간 기록, 현재 속도가 표시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지도 상에 체크 포인트, 반환 지점 및 결승 지점이 더 표시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대회 경로 상에서의 상기 참가자의 현재 위치, 이탈자의 위치 및 컷오프 탈락자의 위치가 더 표시되며,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참가자의 현재 순위 및 현재 기록이 더 표시된다.The user terminal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a trail running race approaches, identifies the participant and measures the participant's passing record, and on the trail running course, the participant At least one checkpoint device installed on a trail running course and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main body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to be progressed, and a main body support for fixing the main body on the ground, and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trail running race; Communication is connected,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 guide screen about the trail running race, wherein the guide screen displays a running direction at a fork in the road, a competition route, a time record, and a current speed on a map, and the guide screen includes: A check point, a return point, and a finish point are further displayed on the map, and the guidance screen further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rticipant on the competition route, the location of the dropout, and the location of the cutoff dropout, the guide screen comprising: The participant's current ranking and current record are further displayed.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참가자가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점에 도착할 때마다 상기 참가자의 현재 위치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calibrate a current location of the participant whenever the participant arrives at a point where the checkpoint device is located.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컷오프 통과 여부, 컷오프 탈락 여부 및 레이스 진행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guide whether the cutoff has been passed, whether the cutoff has been eliminated, and the race progress status by voice.

상기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 참가자들 중 선두와의 거리 차이 및 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 차이 및 상기 시간 차이를 상기 안내 정보로서 더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difference and a time difference from a leader among race participants, and further provide the distance difference and the time difference as the guide information.

본 발명은 대회 참가자의 사용자 단말(110)(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대회를 운영 관리할 수 있다. 장시간 펼쳐지는 트레일 러닝 대회의 특성상 대부분의 참가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적극 활용하여 대회 운영 상황 및 본인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etition can be operated and managed by using the user terminal 110 (eg, a smart phone) of the competition participant. Due to the nature of trail running competitions that take place for a long time, most participants can actively utilize their smartphon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mpetition and their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연동 통신 기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다. 갈림길 및 체크 포인트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통해 경로 안내와 CP 통과 기록을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대회에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site by using a wireless interworking communication-based device. Through devices installed at crossroads and checkpoints, route guidance and CP passing records can be measured and reflected in the competition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안내 및 경고음 제공을 통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레이스 참가자는 장시간의 경주로 문자 안내를 읽기 힘든 상황을 고려하여, LED 표시등과 스마트폰 음성을 통해 전달하여 쉽게 알아들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guidance by providing voice guidance and warning sound. Considering the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read the text guidance due to the long race, the race participants can easily understand it by transmitting it through the LED indicator and smartphone voic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앱 활용을 통한 실시간 대회 진행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모바일 앱 로그인을 통해 참가자 자동 입력이 가능하고, GPS 위치 확인을 통해 참가자 전체의 위치 및 현황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real-time contest progress status through the use of a mobile app.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enter participants through mobile app login, an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anage the location and status of all participants through GPS location checking.

또한, 본 발명은 대회 운영 본부가 트레일 러닝 등 아웃도어 레이스 대회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조기 대응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대회 운영 상황을 관리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회 관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etition operation headquarters can respond early to risks that may occur during outdoor race competitions such as trail running, and can secure safe and efficient competition management capabilities by managing the competition operation status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모델을 통한 부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레이스 참가자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광고 및 유료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dditional revenue through the service model. Through the race participant mobile service, advertising and paid services can be expanded.

또한, 본 발명은 대회 운영 역량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해진다. 스마트 모바일 기반 대회 관리 및 참가자 서비스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국제 규모의 트레일 러닝 대회 위탁 운영 사업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nter the global market through competition management capabilities. By securing smart mobile-based competition management and participant service technology, it becomes possible to expand into an international-scale trail running competition consignment operation busi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정보 출력 모듈의 출력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heckpoint device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check 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output form of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constituting a check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emplarily explaining a function of a check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ird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s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configured to (or configured to)" according to the context, for example, hardware or software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modified to ,"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may be used interchangeably. In some circumstance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ith other devices or parts. 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 may refer to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module” includes a unit composed of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r a part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A “module” may be implemented mechanically or electronically, for example, known or to be developed,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chip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or It may include a programmable logic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an apparatus (eg, modules or functions thereof) or method (eg,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instruction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g, memory) in the form of a program module. can When the instruction is executed by a processor (eg, a processor), the processor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floppy disks, magnetic media (eg,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eg, CD-ROM, DVD, magneto-optical media (eg, floppy disks), built-in memory, etc.) An instruction may include a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a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n interpreter A module or program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 some may be omitt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a program module, or other components are sequentially, parallelly, repetitively or heuristically executed, or at least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CP(Check Point) device; 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100 is to be configured including a user terminal 110 , a check point device (CP (Check Point) device; 120 ),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and a database 140 . can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말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10)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랩탑 PC, 넷북 컴퓨터,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refers to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 user.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terminal 110 i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eckpoint device 120 and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and any terminal that the user can carry and carry is possibl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for example,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 laptop PC, a netbook computer, a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MP3 player, a medical devic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A wearable device may be an accessory (e.g.,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eyewear, contact lens, or head-mounted-device (HMD)), a textile or clothing integral (e.g. electronic garme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dy-attached (eg, skin pad or tattoo), or bioimplantable circuitry.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트레일 러닝 레이스(trail running race)의 참가자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향후 트레일 러닝 레이스 참가를 목표로 트레일 러닝 코스에서 훈련하는 자일 수도 있고, 트레일 러닝 코스의 관리자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Here, the user may be a participant in a trail running rac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user may be, for example, a person who trains on a trail running course with the goal of participating in a future trail running race, or may be a manager of the trail running course.

사용자 단말(110)은 유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네트워크(15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무선 네트워크(15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다양한 기지국 통신망으로 구현되거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위성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유무선 네트워크(150)는 사용자 단말(110)과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간에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의 네트워크여도 무방하다.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heckpoint device 120 through the wired/wireless network 150 . Here, the wired/wireless network 15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local area networks, such a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and Wi-Fi.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Wired and wireless network 150 i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 I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base st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Long Term Evolution-Advanced), or it may be implemented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d/wireless network 150 may be any type of network as long a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eckpoint device 120 .

한편, 사용자 단말(110)은 유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와 통신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through the wired/wireless network 150 .

사용자 단말(110)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의 푸시(push)에 따라,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어플(APP)을 통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heckpoint device 12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heckpoint device 12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etc.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For example, according to a push of the checkpoint device 12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heckpoint device 12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etc. do.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for exampl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heckpoint device 12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through an application (APP).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와 통신하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즉, 인스트럭션들의 집합), 각종 데이터를 기초로 트레일 러닝을 관리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eckpoint device 120, and manages trail running based on a program (ie, a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database 140 and various data. have.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으나,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예를 들어, 대회 경로 지도 등록/관리,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의 설치 등록/관리, 대회 관련 홈페이지/앱 관리, 참가자 인적사항 관리(예를 들어, 성명, 전화번호, 대회 참가번호, 기존 기록, 비상연락망, 위급상황시 필요한 약 등), 참가자의 위치 관리(예를 들어, 참가자의 현재 위치 확인, 참가자의 컷오프 현황 관리, 경로 이탈 참가자 확인 등), 대회 진행상황 및 운영진에 대한 공지사항 관리(예를 들어, 실시간 문자/음성을 통해서 전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관리서버, 보안 관리 서버, 통신 서버, 터미널 서버 등 다양한 형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중앙 관리형 데이터 저장환경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분산형 데이터 저장환경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for example, registration/management of the competition route map, installation registration/management of the checkpoint device 120, management of the website/app related to the competition, management of participant personal information (eg, For example, name, phone number, contest entry number, existing records, emergency contact network, medications needed in case of emergency, etc.), participant location management (e.g., participant current location check, participant cut-off status management, route deviated participant check) etc.), management of announcements to the event progress and the management team (for example, real-time text/voice delivery), etc. In additio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of various types, such as a web server, an application server, a database management server, a security management server, a communication server, and a terminal server. In additio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ly managed data storage environment, or may be implemented as a distributed data storage environment.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과 통신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저속망 저전력 통신 연동 비콘(beacon)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할 수 있다.The checkpoint device 120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10 using, for example, a low-speed network low-power communication interworking beacon.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도착 지점, 갈림길 등을 포함하여 트레일 러닝 코스(trail running course)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야외 설치가 편리하고 관리가 쉬운 구조 및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checkpoint device 120 may be installed on a trail running course including, for example, a starting point, an arrival point, a fork, and the like.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be installed and designed with a structure and design that is convenient for outdoor installation and easy to man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정보 출력 모듈의 출력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heckpoint device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check 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output form of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constituting a check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본체 지지부(220) 및 고정용 와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body 210 , a body support 220 and a wire 230 for fixing as shown in FIG. 2 . .

*본체(210)는 소정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 부재(211) 내에 정보 처리 모듈(212), 통신 모듈(213), 메모리 모듈(214), 센싱 모듈(215), 전원 모듈(217) 및 주제어 모듈(2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커버 부재(211)의 외측면 상에 정보 출력 모듈(216)을 구비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10 processes and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 the main body 210 inclu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 a communication module 213 , a memory module 214 , a sensing module 215 , and a power module 217 in the cover member 211 . and a main control module 218 , and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11 .

정보 처리 모듈(212)은 소정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 처리 모듈(212)은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정보 출력 모듈(216)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모듈(212)은 사용자 단말(110)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processes and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may proces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3 and may provid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may als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

정보 처리 모듈(212)은 사용자 단말(11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모듈(212)은 사용자 단말(11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지시/정보가 없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 처리 모듈(212)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경우, 시간 정보(즉, 사용자 단말(110)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접근한 시간)를 기록하여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경로 정보(예를 들어, 이후의 코스 상에 위치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까지의 경로)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may process and prov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may automaticall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even if there is no instruction/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eck point device 120, time information (ie, the user terminal 110 from the check point device 120) Access tim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recorded and provided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and rou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oute to the checkpoint device 120 located on the subsequent cours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10 .

통신 모듈(213)은 유무선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11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과 통신한다. 통신 모듈(213)은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과의 통신을 위한 비콘, 각 비콘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중계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3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in a wired/wireless environment. When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10 , the communication module 213 may include, for example, a beac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 a Bluetooth relay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beacon, and the like.

메모리 모듈(214)은 정보 처리 모듈(212)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 모듈(214)은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module 214 store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 The memory module 214 may also sto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3 .

센싱 모듈(215)은 소정의 정보를 센싱한다. 센싱 모듈(215)은 레이스 참가자가 착용하고 있는 착용품(예를 들어, 배번호, 등번호 등)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이용하여 레이스 참가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태그 인식부(예를 들어, NFC 태그 인식부, RFID 태그 인식부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 모듈(215)은 카메라 센서, 열 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레이스 참가자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며, 레이스 참가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215 sens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sensing module 215 is a tag recognition unit (eg, NFC tag) to recognize the race participant using a tag attached to a wear item (eg, boat number, back number, etc.) worn by the race participant. recognition unit, RFID tag recognition unit, etc.). The sensing module 215 may be implemented with a camera sensor, a thermal sensor, etc. to recognize a race participant, and may include a timer sensor to measure the race participant's checkpoint passing record.

전원 모듈(217)은 본체(210) 내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듈 즉, 정보 처리 모듈(212), 통신 모듈(213), 메모리 모듈(214) 및 정보 출력 모듈(216)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모듈(217)은 본체(210)가 소정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본체(210) 내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모듈(217)은 야외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module 217 supplies power to each module included in the main body 210 , that i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 the communication module 213 , the memory module 214 , and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The power module 217 may supply power to each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main body 210 processes and provi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power module 217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typ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outdoors.

주제어 모듈(218)은 정보 처리 모듈(212), 통신 모듈(213), 메모리 모듈(214), 센싱 모듈(215), 정보 출력 모듈(216), 전원 모듈(217) 등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주제어 모듈(218)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module 218 includes a checkpoint device 120 such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 a communication module 213 , a memory module 214 , a sensing module 215 ,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and a power module 217 . Controls each module composing In this embodiment, various functions performed by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be performed by each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module 218 .

정보 출력 모듈(216)은 정보 처리 모듈(212)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 출력 모듈(216)은 예를 들어, LED 표시부(또는 LED 표시등)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2 .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n LED display (or LED indicator).

정보 출력 모듈(216)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어 정보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출력 모듈(216)은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어 정보를 청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 출력 모듈(216)은 정보를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장치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as a visual signal.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as an audible signal.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include both a display device and a speaker device to output information as a visual signal and an audible signal.

정보 출력 모듈(216)은 시각적 신호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지시등으로 작동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출력 모듈(216)은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outputting information as a visual signal,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output information by, for example, operating as a direction indicator as shown in FIG. 4A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output information in text for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b) .

한편, 정보 출력 모듈(216)은 사용자 단말(11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동 방향(예를 들어, 갈림길 등에서 레이스 참가자가 진행해야 할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여러가지 정보를 같이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may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etc., and the moving direction (eg, the running direction that the race participant should proceed at a fork in the road, etc.) ), it may be provided so that various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2 .

본체 지지부(220)는 본체(210)를 지지한다. 이러한 본체 지지부(220)는 지면 상에 본체(210)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support part 220 supports the body 210 . The main body support 22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main body 210 is fixed on the ground.

고정용 와이어(230)는 본체 지지부(220)와 더불어 본체(210)를 고정시킨다. 고정용 와이어(230)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로 구현되어, 나무 등에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wire 230 fixes the body 210 together with the body support 220 . The fixing wire 23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provided to fix the body 210 to a tree or the lik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지지부(220)와 고정용 와이어(230)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ly one of the main body support 220 and the fixing wire 230 is provided.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정보 출력 모듈(216)을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사용자가 시각적/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예를 들어,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출력 모듈(216)을 이용하여 이후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일 러닝은 장시간동안 참가자 혼자서 달릴 수 있기 때문에, 갈림길 등에서 이동 방향을 착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가 이동 방향을 알려주면, 참가자는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서 다음에 위치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까지의 경로를 제공하거나,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서 목적지에 해당하는 도착 지점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a route guidance service using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The checkpoint device 120 is such that when the user terminal 110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user can visually/auditively check (eg, as shown in (a) and (b) of FIG. 4 . )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can be used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subsequent movement. For example, in trail running, the participant can run alone for a long time, so the direction of movement may be mistaken at a crossroads or the like. Accordingly, if the checkpoint device 120 informs the moving direction, the participant may not deviate from the rout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a route to a checkpoint device located next on the trail running course or provide a route to an arrival point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n the trail running course.

한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정보 출력 모듈(216)을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10)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also provide a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the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same manner as when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service using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RFID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대회에 참가한 사용자의 착용품(예를 들어, 배번호, 등번호 등)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tag)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utilize RFID technology to measure the user's checkpoint pass record. In this case,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measure the user's checkpoint passing record by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110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heckpoint device 120 recognizes a tag attached to a wear item (eg, ship number, uniform number, etc.) of a user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to measure the user's checkpoint pass record.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하여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고하여,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 계측 기능을 설명한다.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measure the user's checkpoint passing record and provide it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checkpoint passing record measurement function of the checkpoint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a function of a check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 레이스 참가자의 착용품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 등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레이스 참가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카메라 센서, 열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레이스 참가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1, 3 and 5, first, the checkpoint device 120 determines whether the race participant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S310).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ace participant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110, a tag attached to a wear item of the race participant, or the like is recognized. Alternatively,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race participan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a camera sensor, a thermal sensor, or the like.

레이스 참가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 및/또는 레이스 참가자의 착용품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 등으로부터 레이스 참가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며(S320), 레이스 참가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한다(S33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의 식별 정보로 아이디(ID), 이름(name), 개인 번호(personal number) 등의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ace participant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checkpoint device 120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e participant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or the tag attached to the race participant's wear (S320) , the race participant's checkpoint passing record is measured (S330).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acquir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ID, name, and personal number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ace participant.

이후,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의 식별 정보와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에 제공한다(S34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이렇게 획득된 정보(레이스 참가자의 식별 정보와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를 기초로 트레일 러닝 레이스 참가자에게 레이스 참가자 관련 정보(예를 들어, 컷오프 통과 여부, 레이스 참가자의 통과 기록, 레이스 참가자의 현재 순위 등)를 제공하거나, 트레일 러닝 레이스 참가자들의 순위를 매기는 등 대회를 운영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Then, the checkpoint device 120 provides the race participa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heckpoint pass record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S340).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provides race participant-related information (eg, whether the cutoff has passed, or the race participant's passing record) to the trail running race participant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ce participant and the checkpoint passing record). , the current ranking of race participants, etc.) or to run the competition, such as ranking participants in trail running races.

한편, 통신 모듈(도 3의 213 참조)이 비콘, NFC 통신부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비콘과 사용자 단말(110) 간 통신, NFC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110) 간 통신 등을 통해 사용자가 체크 포인트를 통과한 시간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또는, 기록 계측은 필수적인 부분이므로, 사용자 단말(110)이 오프(OFF)될 경우를 대비하여, 레이스 참가자의 착용품에 부착되어 있는RFID 칩을 이중으로 인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refer to 213 of FIG. 3) is implemented as a beacon, an NFC communication unit, etc., the checkpoint device 120 communicates between th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110, the NFC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erminal 110, etc. This allows the user to accurately measure the time the user passed the checkpoint. Alternatively, since the record measurement is an essential part, in preparation for the case that the user terminal 110 is turned off, the RFID chip attached to the wear item of the race participant can be recognized as a double.

주요 체크 포인트(CP)에서 NFC 태그 등을 통해 실시간 기준 컷오프 통과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주요 체크 포인트(예를 들어, 출발 지점, 도착 지점, 중간 지점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에 제공하여, 트레일 러닝 레이스 시청자가 관심 있는 참가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여부 및 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다른 참가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여부 및 기록을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major checkpoints (CP), it is possible to notify whether the real-time reference cutoff has been passed through an NFC tag or the like. The checkpoint device 120 located at at least one of the main checkpoints (eg, departure point, arrival point, waypoint, etc.) provides the user's checkpoint passing record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It can be provided so that running race viewers can check whether the interested participant has passed the checkpoint and the record. In addition, the checkpoint device 120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hether or not the checkpoint has passed and a record of another participant.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의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계측할 때, 사용자 단말(110)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를 참작하여 레이스 참가자의 착용품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예를 들어,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110)에 대해 먼저 인식을 시도하며, 사용자 단말(110)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용품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에 대해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먼저 태그에 대한 인식을 먼저 시도하고, 추가적으로/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을 인식해 볼 수 있다.When the checkpoint device 120 measures the user's checkpoint passing record, the tag attached to the race participant's wearable articl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RFID tags). Specifically, the checkpoint device 120 attempts to recognize the user terminal 110 first when the user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and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not recognized, the tag attached to the user's wearables can try to recognize. Or, conversely, recognition of the tag may be first attempted, and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dditionally/selectively recognized.

전술한 것과 같이,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통신을 위한 비콘, 각 비콘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중계부 등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비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가 블루투스 비콘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beacon system including a beac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and a Bluetooth relay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beacon. When the checkpoint device 120 is implemented as a Bluetooth beacon system, the following functions may be performed.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저전력(BLE) iBeacon으로서, 센서와 비슷하여 단방향(즉, 싱글 모드) 통신 모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measure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ace participant. A beacon is a Bluetooth low energy (BLE) iBeacon, similar to a sensor, and may serve as a one-way (ie, single mode) communication module.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비콘을 활용한 일정 거리 이내 접근 확인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갈림길이나 체크 포인트 등 주요 위치에 비콘 디바이스를 설치한 후, 사용자 단말(110)이 일정 거리 이내일 때 체크인하며, 이탈시 체크아웃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변경시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The check point device 120 may function as an access confirmation system within a certain distance using a beacon. After installing the beacon device at a major location such as a fork in the road or a check point, check-in is performed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heck-out can be performed when departing.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한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드롭 백(drop ba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과 같이 장거리 레이스의 경우, 대회 중간에 참가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물품(예를 들어, 양말, 옷, 약, 배터리 등)을 찾아서 쓸 수 있도록, 사전에 필요한 물품을 대회 운영 본부에 맡길 수 있다. 대회 운영 본부에서는 상기 필요한 물품을 기설정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에 미리 보관해 둔다. 도면으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은 필요한 물품을 보관해 둘 수 있는 보관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은 다수의 참가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구분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a drop bag function. In the case of long-distance races such as trail running, you can leave the necessary items to the event management headquarters in advance so that participants can find and use the items they need (eg socks, clothes, medicine, batteries, etc.) . The tournament operation headquarters stores the necessary items in the preset checkpoint device 120 in adva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torage box for storing necessary items. The locker may contain separate sections for use by multiple participants.

상기 기설정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를 인식한 후, 사용자에게 드롭 백 기능(즉, 필요한 물품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지문, 안구, 얼굴, RFID 태그, 비밀번호 등 다양한 인식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되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보관함이 열리고, 사용자는 열린 보관함에서 필요한 물품을 가져갈 수 있다.After recognizing the user, the preset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a drop-back function (ie, a function of providing necessary goods) to the user.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recognize a user through various recognition methods, such as a fingerprint, an eyeball, a face, an RFID tag, and a password. When the user is recognized, a storage box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is opened, and the user can take a necessary item from the opened storage box.

한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택배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이스 참가자가 미리 맡겨두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어플에 접속하여 필요한 물건(예를 들어, 긴급약 등)을 요청하면, 대회 관계자는 레이스 참가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에 레이스 참가자가 요청한 물건을 미리 맡겨둘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물건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heckpoint device 120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urier function. Even if the race participant does not leave it in advance, when accessing the appli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requesting a necessary item (eg, emergency medicine, etc.) The item requested by the race participant may be left in the checkpoint device 120 in advance. Similarly, the checkpoint device 120 recognizes the user and provide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추가적으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를 인식한 후, 레이스 참가자가 확인할 수 있게 레이스 참가자의 통과 시간, 레이스 참가자의 컷오프 통과 여부 등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정보 출력 모듈(216)에 표시할 수 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다음 지점까지의 경로, 거리 등을 정보 출력 모듈(216)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display, on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user-customized information, such as the passing time of the race participant and whether the race participant has passed the cutoff, so that the race participant can check after recognizing the race participant. .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heckpoint device 120 to display a route, a distance, etc. to the next point on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또한,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를 인식한 후, 레이스 참가자와 관련된 응원 메시지를 정보 출력 모듈(216)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응원 메시지는 레이스 참가자의 가족이나 지인이 전송한 메시지일 수 있으며, 대회 운영 본부에서 전송한 메시지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display a cheering message related to the race participant on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after recognizing the race participant. Here, the cheering message may be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race participant's family or acquaintance, or may be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competition operation headquarters.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복수의 레이스 참가자가 인식되는 경우, 복수의 레이스 참가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결합하여 정보 출력 모듈(216)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일부 레이스 참가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정보 출력 모듈(216)에 표시하고, 나머지 레이스 참가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일부 레이스 참가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정보 출력 모듈(216)에 표시하는 경우, 레이스 참가자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간 거리를 기초로 일부 레이스 참가자를 선택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race participants are recognized,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combin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race participants and display it on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display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some race participants on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and provid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remaining race participants to the user terminal 110 . When the checkpoint device 120 display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some race participants on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216 ,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select some race participant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ace participants and the checkpoint device 120 .

한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복수의 레이스 참가자가 인식되는 경우, 드롭 백 기능이나 택배 기능을 제공받아야 하는 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race participants are recognized, 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voice guidance to a person who should be provided with a dropback function or a delivery service.

한편,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대회를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상시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heck point device 120 may be temporarily installed for the competi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on a regular basis.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레이스 참가자를 감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는 이전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통과 기록과 현재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통과 기록을 토대로 레이스 참가자의 이동 시간을 산출하며, 이 이동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레이스 참가자가 불법 행위를 한 것(예를 들어, 자전거나 차량 등을 이용함)으로 판단하고, 이 사실을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heckpoint device 120 may provide the ability to monitor race participants. The checkpoint device 120 calculates the movement time of the race participant based on the passing record of the previous checkpoint device and the passing record of the current checkpoint device. It may be determined as one thing (eg, using a bicycle or vehicle), and this fact may be provided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1 .

사용자 단말(110)은 어플을 이용하여 대회 참가자에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레이스가 진행되는 지역의 지형도 및 경로 상의 표시 루트(route)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map) 상에 갈림길에서의 진행 방향 표시(411), 현재 위치 표시(412), 대회 경로 표시(413), 대회 지역 지형도(414), 주행 거리(415), 시간 기록(416), 현재 속도(417), 평균 속도(418) 등을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a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contest participants using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visualize and provide a topographic map of an area in which the race is performed and a displayed route on the route. The user terminal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a progress direction display 411 at a fork in the map, a current location display 412 , a competition route display 413 , and a topographic map of the competition area 414 , mileage 415 , time record 416 , current speed 417 , average speed 418 ,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s a guide screen. 6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10)은 각종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도 및 고도를 포함하여 대회 전체 경로(420)를 맵 상에 표시하여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체크 포인트(CP), 반환 지점, 결승 지점(Goal line) 등 주요 지점을 맵 상에 표시하여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a guide screen. The user terminal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may display the entire competition route 420 including the topographic map and altitude on the map and provide it as a guide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major points such as a check point CP, a return point, and a goal line on the map and provide it as a guide screen. 7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user terminal constituting a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110)은 대회 경로 상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GPS 정보를 활용하여 대회 경로 상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가 위치한 지점에 도착할 때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교정(calibration)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참가자의 위치(431), 이탈자의 위치(432), 컷오프 탈락자의 위치(433) 등을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참가자 특정인(예를 들어, 팀(크루)별 구성원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예시도이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the user's current location on the competition route.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on the competition route by using GPS information, and whenever the user arrives at a point where the checkpoint device 120 is located, a step of calibra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performed Th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rror with respec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for example, the location 431 of all participants, the location 432 of the dropouts, the location 433 of the cutoff dropouts,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8 .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location of each participant (eg, team (crew)). Figure 8 i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constituting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3rd example diagram.

사용자 단말(110)은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컷오프 통과 여부, 컷오프 탈락 여부, 레이스 진행 상황 등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긴급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경로 이탈시 경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대회 운영진의 공지 사항 등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110 may gu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y voice. The user terminal 110 may guide, for example, whether the cutoff has been passed, whether the cutoff has been eliminated, and the progress of the race by voice. Also, the user terminal 110 may guide emergency information by voice. The user terminal 110 may, for example, guide an alert when a route is deviated by voice, and may also provide voice guidance for announcements of the contest management team.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정된 시간마다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레이스 참가자 중 선두와의 거리 차이, 시간 차이 등을 계산하여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현재 순위, 현재 기록, 백분율 등을 안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레이스 참가자 중 특정인(예를 들어, 소속 팀별/크루별 구성원)의 위치를 안내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user-customized information as a guide screen.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user-customized information when there is a user's request, and may provide user-customized information every specified time.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for example, the user's current location as a guide screen, and may calculate a distance difference and a time difference with the leader among race participants and provide it as a guide scree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the user's current ranking, current record, percentage, etc. as a guide screen, and provides the location of a specific person (eg, member per team/crew) among race participants as a guide screen. It is also possible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유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등과 통신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처리 및 제공한다. 이러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서버 형태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처리 기능, 저장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형태의 컴퓨터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heckpoint device 120 through the wired/wireless network 150 to process and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type computer, but may be implemented with any type of computer as long as it can perform a processing function, a storage function,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like.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아웃도어 레이스 대회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be equipped with an outdoor race competition management program to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 희망자를 등록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레이스 참가 희망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전용 어플을 다운로드한 후 이름, 전화번호, 대회 참가 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을 할 수 있다. 그러면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 희망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레이스 참가 희망자를 레이스 참가자로 등록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function to register race participants. A race participant may download a dedicated appli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110 , enter information such as a name, phone number, and competition participation number, and register as a member. The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create an account of the race participant and register the race participant as the race participant.

한편,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 희망자가 전용 전용 어플을 통해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대회 참가 정보를 확인하며, 참가 번호를 매칭하여 개인 계정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automatically checks the competition participation information when a person wishing to participate in the race logs i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personal account by matching the participation number.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대회를 운영하기 위해 대회 경로 지도를 등록할 수 있으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를 설치한 후 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설치 위치 등)를 등록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를 대회 경로 상에 설치한 후 통신 개통시 자동으로 등록 및 관리되도록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register a competition route map to operate the competition, and after installing the checkpoint device 120, information about it (e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stallation location, etc.) can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so that the checkpoint device 120 is automatically registered and managed when communication is opened after installing the checkpoint device 120 on the competition route.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레이스 참가자에게 대회 정보와 경로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예를 들어, 대회 경로 지도, 경로 상에서의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의 위치, 전체 참가자의 위치 등을 대회 관리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competition information and routes to race participants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display, for example, the competition route map, the location of the checkpoint device 120 on the route, the location of all participants, etc. on the competition management scree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

또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대회 진행 상황 및 운영진 공지 사항을 관리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대회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문자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운영진의 공지 사항이 발생하면 이 역시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manage the progress of the competition and announcements from the management team.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the progress of the competi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al time as a text service, a voice service, etc., and when a notice from the management occurs, it is also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al time can do.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특정 위치의 참자가 인적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참가 번호를 입력하면 조회하여 상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 guide screen so that participants in a specific location can check personal informatio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the above function by inquiring upon entering the participation number.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컷오프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컷오프 통과자 및 탈락자의 대회 진행 여부를 조회하여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manage the cutoff status.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erform the above function by inquiring whether the cutoff passer and the loser have progressed in the competition.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경로 이탈자를 파악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경로 이탈자가 발생한 경우 경로 이탈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10)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identify a path deviat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n alert to the user terminal 110 carried by the path deviate when a path deviate occurs.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레이스 참가자에게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trail running; 산악 달리기)은 여러 날에 걸쳐 달리기가 진행될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마라톤의 경우와 달리 산 속에서 진행 요원이 기다리면서 레이스 참가자에게 길 안내, 식음료 제공 등을 할 수 없으며, 트레일 러닝 레이스 도중에 산 속에서 길을 잃어버릴 수 있으므로 참가자에게 길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race participa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rail running (mountain running) may be run over multiple days. Therefore, unlike in the case of a general marathon,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directions, food and drink to the race participants while the operator waits in the mountains, and it is not necessary to guide the participants because they may get lost in the mountains during the trail running race. have. Accordingly, whe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provides a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gether.

한편,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응원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자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를 통과할 때마다 응원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 cheer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10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 cheer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10 whenever a race participant passes the checkpoint device 120 ,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in real time.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대회가 개최되는 동안 한시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상시적으로 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be temporarily operated while the competition is being held.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be operated all the time.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를 통해 레이스 참가자에게 택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레이스 참가자에게 필요한 물건이 요청되면, 레이스 참가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에 레이스 참가자에게 필요한 물건이 미리 맡겨질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 courier service to the race participants through the checkpoint device 120 . Whe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requests an item required for a race participa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he item required for the race participant is transferred to the checkpoint device 120 at the nearest distan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ace participant. Measures can be taken so that it can be entrusted in advance.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자의 이동 속도를 참작하여 레이스 참가자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에 도달하기 전에 물건 배송이 어려운 경우, 그 다음에 위치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에 물건이 맡겨지도록 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자에게 대기 시간을 알려주어 레이스 참가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예를 들어, 물건이 배송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다음 장소로 물건을 배송하여 줄 것을 요청함)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takes into account the movement speed of the race participant, and if it is difficult to deliver the goods before the race participant reaches the checkpoint device 120, the goods are entrusted to the checkpoint device 120 located next. You may be able to take steps to reduce it. In additio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informs the race participant of the waiting time so that the race participant can take an appropriate action (for example, wait for the goods to be delivered, or request that the goods be delivered to the next location). We can provide services to do so.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구조 요원을 파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참가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n emergency rescue ser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location is not chang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danger and provide an emergency rescue servic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dispatch a rescue worker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may request help from a participan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자의 서로 다른 두 지점(예를 들어, 제1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점과 제2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점) 간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레이스 참가자가 불법 행위를 한 것(예를 들어, 자전거나 차량 등을 이용함)으로 판단하고, 레이스 참가자에게 적절한 페널티(penalty)를 부가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may provide a monitoring servic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determines that the speed of movement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eg, a point where the first checkpoint device is located and a point where the second checkpoint device is located) of the race participa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peed, It is judged that the participant has committed an illegal act (eg, using a bicycle or vehicle), and an appropriate penalty may be added to the race participant.

한편,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는 레이스 참가자의 서로 다른 두 지점 간 이동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레이스 참가자가 불법 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하고, 레이스 참가자에게 패널티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time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of the race participa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race participant has committed an illegal act,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penalty to the race participant.

데이터베이스(140)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 칩 형태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와 별개로 하드디스크 형태로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atabase 140 is linked with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to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is database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in the form of a memory chip, and is provided outside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in the form of a hard disk separately from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It is also possible to be

데이터베이스(140)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11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등으로부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130)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atabase 140 may stor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atabase 140 may also sto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checkpoint device 120 , and the like to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30 .

이상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100)은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 통신 연동 모바일 기반 아웃도어 레이스 운영 시스템으로서, 트레일 러닝 등 야외 레이스 대회 참가자가 장시간 장거리 펼쳐지는 대회에서 길을 잃거나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것에 대비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대회 경로상 자신의 위치를 수시로 알려주고, 갈림길에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120)를 설치하여 진행 방향을 신호로 안내하며, 참가자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100 is a mobile-based outdoor race operation system linked to the checkpoint device 120 communication, and it is a system where participants in outdoor race events such as trail running get lost or unexpected unexpected situations occur in long-distance competitions. In preparation for this,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erminal 110 of his/her location on the competition route from time to time, install the checkpoint device 120 at the fork in the road to signal the progress direction, and determine the participant's location in real time.

구체적으로,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첫째, 대회 참가자의 사용자 단말(110)(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대회를 운영 관리할 수 있다. 장시간 펼쳐지는 트레일 러닝 대회의 특성상 대부분의 참가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적극 활용하여 대회 운영 상황 및 본인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competition may be operated and managed by using the user terminal 110 (eg, a smart phone) of the competition participant. Due to the nature of trail running competitions that take place for a long time, most participants can actively utilize their smartphon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mpetition and their location.

둘째, 무선 연동 통신 기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현장을 관리할 수 있다. 갈림길 및 체크 포인트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통해 경로 안내와 CP 통과 기록을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대회에 반영할 수 있다.Second, the site can be managed by using a wireless interworking communication-based device. Through devices installed at crossroads and checkpoints, route guidance and CP passing records can be measured and reflected in the competition in real time.

셋째, 음성 안내 및 경고음 제공을 통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레이스 참가자는 장시간의 경주로 문자 안내를 읽기 힘든 상황을 고려하여, LED 표시등과 스마트폰 음성을 통해 전달하여 쉽게 알아들을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guidance by providing voice guidance and warning sound. Considering the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read the text guidance due to the long race, the race participants can easily understand it by transmitting it through the LED indicator and smartphone voice.

넷째, 모바일 앱 활용을 통한 실시간 대회 진행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모바일 앱 로그인을 통해 참가자 자동 입력이 가능하고, GPS 위치 확인을 통해 참가자 전체의 위치 및 현황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ourth,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progress of the competi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use of a mobile app.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enter participants through mobile app login, an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anage the location and status of all participants through GPS location checking.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100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첫째, 대회 운영 본부가 트레일 러닝 등 아웃도어 레이스 대회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조기 대응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대회 운영 상황을 관리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회 관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First, the tournament operation headquarters can respond early to risks that may occur during outdoor race events such as trail running, and secure safe and efficient tournament management capabilities by managing the event operation status in real time.

둘째, 서비스 모델을 통한 부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레이스 참가자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광고 및 유료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다.Second, additional revenue can be created through the service model. Through the race participant mobile service, advertising and paid services can be expanded.

셋째, 대회 운영 역량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해진다. 스마트 모바일 기반 대회 관리 및 참가자 서비스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국제 규모의 트레일 러닝 대회 위탁 운영 사업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rd, it will be possible to enter the global market through competition management capabilities. By securing smart mobile-based competition management and participant service technology, it becomes possible to expand into an international-scale trail running competition consignment operation business.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130: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140: 데이터베이스 150: 유무선 네트워크
210: 본체 211: 커버 부재
212: 정보 처리 모듈 213: 통신 모듈
214: 메모리 모듈 215: 센싱 모듈
216: 정보 출력 모듈 217: 전원 모듈
218: 주제어 모듈 220: 본체 지지부
230: 고정용 와이어
100: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110: user terminal
120: checkpoint device 130: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140: database 150: wired and wireless network
210: body 211: cover member
212: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3: communication module
214: memory module 215: sensing module
216: information output module 217: power module
218: main control module 220: main body support
230: wire for fixing

Claims (12)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에 있어서,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참가한 참가자가 접근하면, 상기 참가자를 식별하여 상기 참가자의 통과 기록을 계측하고, 상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서 상기 참가자가 진행해야 할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면 상에 고정하는 본체 지지부를 포함하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상기 참가자가 휴대하고, 상기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관한 안내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로부터 레이스 참가자의 식별 정보와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체크 포인트 통과 기록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레이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이스 관련 정보는,
대회 경로 지도, 경로 상에서의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위치, 및 전체 참가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In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When a participant in a trail running race approaches, a main body for identifying the participant, measuring the participant's passing record, and guiding the movement direction to be performed by the participant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nd fixing the main body on the ground It includes a main body support that is, at least one checkpoint device installed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nd the participant carried by the participant, and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that provides a guide screen about the trail running rac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ace participants and a checkpoint passing record from the checkpoint device;
and provide race-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heckpoint passing record;
The race-related information,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a map of the competition route, the location of the checkpoint device on the route, and the location of all particip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상기 레이스 관련 정보를 대회 관리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display the race-related information on a competition managemen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상기 대회 경로 지도의 등록 및 관리,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의 설치 등록 및 관리, 대회 관련 홈페이지 및 어플 관리, 참가자 인적사항 관리, 상기 참가자의 위치 관리, 및 대회 진행상황 및 운영진에 대한 공지사항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mpetition route map, installati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heckpoint device, management of website and applications related to the competition, management of participant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 and management of announcements to the competition progress and management team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자의 위치 관리는,
상기 참가자의 현재 위치 확인, 상기 참가자의 컷오프 현황 관리 및 경로 이탈 참가자 확인을 포함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ocation management of the participant,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ncluding checking the participant's current location, managing the participant's cutoff status, and checking the participant leaving the rou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컷오프 통과자 및 탈락자의 대회 진행 여부를 조회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4,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query and manage cutoff passers and losers for competition progre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경로 이탈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경로 이탈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로 경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4,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A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n alert to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path deviate when a path deviate occ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참가자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참가자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 has not changed for a pre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ticipant is in danger and configured to provide emergency rescue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는,
상기 참가자의 서로 다른 두 지점 간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으로 판단되거나 이동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참가자가 불법 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하여 페널티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speed between the two different points of the participa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speed or the movement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ticipant has committed an illegal act and a penalty is added,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참가한 참가자가 접근하면, 상기 참가자를 식별하여 상기 참가자의 통과 기록을 계측하고, 상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서 상기 참가자가 진행해야 할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면 상에 고정하는 본체 지지부를 포함하며, 트레일 러닝 코스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 및 상기 트레일 러닝 레이스를 관리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트레일 러닝 레이스에 관한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지도 상에 갈림길에서의 진행 방향, 대회 경로, 시간 기록, 현재 속도가 표시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지도 상에 체크 포인트, 반환 지점 및 결승 지점이 더 표시되고,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대회 경로 상에서의 상기 참가자의 현재 위치, 이탈자의 위치 및 컷오프 탈락자의 위치가 더 표시되며,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참가자의 현재 순위 및 현재 기록이 더 표시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In the user terminal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When a participant in a trail running race approaches, a main body for identifying the participant, measuring the participant's passing record, and guiding the movement direction to be performed by the participant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nd fixing the main body on the ground It includes a main body support that is, at least one checkpoint device installed on the trail running course and communication with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trail running race,
configured to provide a guide screen regarding the trail running race,
The guide screen displays the progress direction at the fork in the map, the competition route, the time record, and the current speed,
The guide screen, the check point, the return point and the finish point are further displayed on the map,
The guidance screen further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rticipant on the competition route, the location of the dropout, and the location of the cutoff dropout,
The guide screen, the current ranking and the current record of the participant is further displayed, the user terminal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참가자가 상기 체크 포인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지점에 도착할 때마다 상기 참가자의 현재 위치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terminal,
and calibrate the participant's current location whenever the participant arrives at the point where the checkpoint device is loc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컷오프 통과 여부, 컷오프 탈락 여부 및 레이스 진행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provide voice guidance of whether the cutoff has passed, whether the cutoff has been eliminated, and the progress of the r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 참가자들 중 선두와의 거리 차이 및 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 차이 및 상기 시간 차이를 상기 안내 정보로서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일 러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of the trail running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difference and a time difference from a leader among race participants, and further provide the distance difference and the time difference as the guide information.
KR1020210165994A 2020-02-14 2021-11-26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KR102556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994A KR102556745B1 (en) 2020-02-14 2021-11-26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40A KR20210107925A (en) 2020-02-14 2020-02-14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KR1020210165994A KR102556745B1 (en) 2020-02-14 2021-11-26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40A Division KR20210107925A (en) 2020-02-14 2020-02-14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664A true KR20210149664A (en) 2021-12-09
KR102556745B1 KR102556745B1 (en) 2023-07-18

Family

ID=777941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40A KR20210107925A (en) 2020-02-14 2020-02-14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KR1020210165994A KR102556745B1 (en) 2020-02-14 2021-11-26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40A KR20210107925A (en) 2020-02-14 2020-02-14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0792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875A (en) * 2013-01-10 2014-07-18 주식회사 핀포텍 Climbing guide system using RFID
KR20150068177A (en) * 2013-12-11 2015-06-19 주식회사 브레인넷 Marathon record measurement system using rfid tag
KR20170062165A (en) 2015-11-27 2017-06-07 (주)포스트미디어 Smart signs device
KR20170068942A (en) * 2015-12-10 2017-06-20 오중수 Method of managing a completed cour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875A (en) * 2013-01-10 2014-07-18 주식회사 핀포텍 Climbing guide system using RFID
KR20150068177A (en) * 2013-12-11 2015-06-19 주식회사 브레인넷 Marathon record measurement system using rfid tag
KR20170062165A (en) 2015-11-27 2017-06-07 (주)포스트미디어 Smart signs device
KR20170068942A (en) * 2015-12-10 2017-06-20 오중수 Method of managing a completed cour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745B1 (en) 2023-07-18
KR20210107925A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998B2 (en) Adaptive advisory engine and methods to predict preferential activities available at a region associated with lodging
US10412210B2 (en) Multi-level control, variable access, multi-user contextual intelligent communication platform
US11727074B2 (en) Venue recommendations based on shared guest traits
US11337030B2 (en) Assisted venue staff guidance
US11678144B2 (en) Real-time location and alert system
US10438141B2 (en) Venue traffic flow management
CN112884967B (en) Virtual queuing system and method
US20180240176A1 (en) Electronic routing and messaging in a venue based on activity level
US9992630B2 (en) Predicting companion data types associated with a traveler at a geographic region including lodging
US20130346016A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control program
US10317230B2 (en) Machine learning travel management system with wearable device integration
US20160162945A1 (en) Travel customization system and method to channelize travelers relative to available activities
KR102556745B1 (en) Check point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rail running with the device
KR102266863B1 (en) Server and method for calculating mobile reward using real-time location search function
Peraković et al. Smart wristband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users in traffic environment
US10883847B2 (en) Route suggestion for time optimization
KR1023033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il running race
US20230276201A1 (en) Real-time location and alert system with smart compass
KR1021874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ickup solution
JP7244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hiba et al. Securing Children Based On IoT And Emotion Prediction
JP2023000786A (en)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221453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2304377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20077153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