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996A -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 - Google Patents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996A
KR20210147996A KR1020210070469A KR20210070469A KR20210147996A KR 20210147996 A KR20210147996 A KR 20210147996A KR 1020210070469 A KR1020210070469 A KR 1020210070469A KR 20210070469 A KR20210070469 A KR 20210070469A KR 20210147996 A KR20210147996 A KR 2021014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ame
holes
dust filter
conducti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일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4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9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Abstract

A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 second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a first conductive wire positioned toward a four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by passing through a third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e first holes; and a second conductive wire positioned to pass through a sixth hole having the same row as the fourth hole and being adjacent to the fourth hole by passing through a fifth hole having the same row as the third hole and being adjacent to the third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product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절연도선을 이용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Wire 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on filter using insulated wir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

본 발명은 절연도선을 이용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an insulated wire.

사용빈도가 높은 기존의 미세먼지 집진장치는 크게 전기집진방식, 싸이클론 집진방식, 여과집진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Existing fine dust collectors with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s, cyclone dust collection methods, and filter dust collection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are as follows.

전기집진방식은 코로나 방전기에서 발생하는 전자를 미세입자에 부착시켜 전극판에 포집하는 방식으로서 미세먼지의 집진성능 및 처리용량이 비교적 우수하나,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오존 발생의 문제가 있고 사이즈가 크고 무거울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서 발전소와 같은 대형처리용으로 적합하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attaches the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corona discharge machine to the fine particles and collects them on the electrode plate. In addition, because of its high price, it is suitable for large-scale processing such as power plants.

싸이클론 집진방식은 유입공기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원심력으로 입자를 분리하는 방식으로서 유입공기의 고속회전을 위한 전동기의 소비전력이 크며 PM10보다 작은 미세입자는 집진효율이 현저히 낮다.The cyclone dust collection method rotates the inlet air at high speed and separates the particles by centrifugal for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motor for high-speed rotation of the inlet air is large, an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fine particles smaller than PM10 is significantly lower.

여과집진방식은 여과포(fiber filter)에 공기를 통과시켜 미세먼지를 거르는 방식으로서 우수한 집진성능, 낮은 제작비, 경량 등의 장점이 있으나, 미세먼지가 필터에 축적됨에 따라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압력손실 증가와 처리공기량 저하로 필터의 수시 교체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과다한 교체비용이 필요하고 폐필터의 처리를 위한 환경부담이 증가한다. 또한 수분이나 기름과 같은 액적입자의 유입 시 필터막힘에 의한 성능 저하 및 세균증식의 문제가 있다.The filter dust collection method filters fine dust by passing air through a fiber filter. It has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dust collection performance, low manufacturing cost, and light weight. However, as fine dust accumulates in the filter, clogging occurs and pressure loss increases. and frequent replacement of the filter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processed air. Accordingly, an excessive replacement cost is required, and the environmental burden for disposal of the waste filter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performance degradation and bacterial growth due to filter clogging when droplet particles such as moisture or oil are introduced.

이와 같은 기존 집진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최근 유전영동 미세입자 분리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가 불균등 전계 내에서 전자기력을 받아서 이동하는 현상을 유전영동이라 하는데 유전영동 미세입자 분리기술을 사용하면 전기장만으로 입자의 운동 제어가 가능하므로 코로나 하전 없이 대용량, 고효율 포집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유동을 막는 매질이 없으므로 높은 동작유속에서도 압력손실이 매우 낮아서 전력소비가 매우 적고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As a method to solve such problems of the existing dust collection technology, dielectrophoretic fine particle separation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developed in recent years. Dielectrophoresis is a phenomenon in which electrically neutral particles move in response to electromagnetic force in an unequal electric field. Dielectrophoretic microparticle separation technology enables particle motion control with only an electric field, so large-capacity and high-efficiency collection is possible without corona charg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edium blocking the air flow, the pressure loss is very low even at high operating flow rates, so power consumption is very low and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유전영동 기술을 이용한 집진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얇은 절연체 시트 위에 전극 패턴을 인쇄하고 표면을 절연 처리(passivation)하여 제작한 후, 이를 공기통과를 위한 공극 만큼씩 띄워서 다층 조립하여 집진필터를 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시트를 이용한 유전영동 집진기는 인쇄 및 조립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여 불량률 증가, 제작비 상승, 절연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The general structure of a dust collector using dielectrophoretic technology is to print an electrode pattern on a thin insulator sheet and passivation the surface to manufacture it, then float it as much as a gap for air passage and assemble it in multiple layers to manufacture a dust collecting filter. However, th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or using such an insulating sheet causes various problems in the printing and assembly process, which causes an increase in the defect rate,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 decrease in insulation reliability.

얇은 절연시트는 보통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데 이는 휘어짐이 발생하여 다층 조립 시 일정한 공극 유지가 곤란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럴 경우 인근 필름과 가까이 접근하여 절연파괴를 유발하고 유속의 공기유동이 불균등해져 제품의 신뢰성과 포집성능을 저하시킨다.A thin insulating sheet usually uses an engineering plastic film, but it is often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void when assembling a multilayer due to warpage. In this case, it approaches close to the nearby film to cause insulation breakdown, and the airflow at the flow rate becomes uneven, reducing the reliability and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product.

또한 절연시트 위에 전극패턴의 인쇄 및 표면 passivation 시 도전성 잉크의 인쇄 불량, 재질 두께의 불균일은 집진필름의 절연성능 저하의 주된 원인이 되어 정밀한 관리가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pattern is printed on the insulating sheet and the surface passivation is performed, poor printing of conductive ink and unevenness of material thickness are the main causes of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dust collecting film, requiring precise management.

그리고 연속적으로 인쇄된 롤형태의 필름을 사각형으로 절단한 후 스택하여 조립하는 평판형 집진필터의 경우에는 각 필름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전 처리과정이 필요하여 조립비용 증가 및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된다.And in the case of a flat-type dust collecting filter that is assembled by stacking and cutting continuously printed roll-type films into squares, an energization process is required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film, which increases assembly cost and causes defects. d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필름형 유전영동 집진필터의 정밀조립 필요성, 절연성능 취약, 통전과정 필요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유전영동 집진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need for precise assembly, weak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need for an energization process of the existing film-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필터는 전극필름 대신 이미 표면이 절연처리된 상용 도선을 사용하여 필터를 조립하므로써 필름형 필터에서 요구되는 전극패턴의 정밀 인쇄과정이 필요 없고 절연성능과 통전이 용이한 필터의 제작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es a commercial conductive wire with an already insulated surface instead of an electrode film to assemble the filter, so the precise printing process of the electrode pattern required in the film-type filter is required.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a filter that has no insulation performance and is easy to conduct electricit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필름형 필터에 비하여 사용재료가 적고 제작과정이 간단하므로 제작비용을 저감하고 절연성능의 제고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형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type filter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 product reliability by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because there are fewer materials used and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compared to the existing film type filter will b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는, 복수의 제1 홀들을 포함하는 제1 판재; 복수의 제2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재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위치하는 제2 판재;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제3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홀들 중에서 제4 홀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상기 제3 홀과 행이 동일하며, 상기 제3 홀과 인접하는 제5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4 홀과 행이 동일하며, 상기 제4 홀과 인접하는 제6 홀을 통과하도록 위치하는 제2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 second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a first conductive wire positioned to pass through a third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o face a four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a fifth hole having the same row as the third hole and passing through a sixth hole having the same row as the fourth hole and passing through a fifth hole adjacent to the third hole A second conductor may be included.

상기 제3 홀은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홀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짝수 열의 홀에 해당하고, 상기 제4 홀은 상기 복수의 제2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홀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짝수 열의 홀에 해당하고, 상기 제5 홀은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짝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홀수 열의 홀에 해당하고, 상기 제6 홀은 상기 복수의 제2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짝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홀수 열의 홀에 해당할 수 있다.The third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odd column of an odd row or a hole in an even column of an even row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the fourth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odd column of an odd row or an even row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corresponds to a hole in an even column of , the fifth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even column of an odd row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or a hole in an odd column in an even row, and the sixth hole is an odd numb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It can correspond to an odd in an even column of a row or an odd in an odd column in an even row.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4 홀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5 홀과 상기 제6 홀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The third hole and the fourth hole may face each other, and the fifth hole and the sixth hole may face each other.

상기 제1 도선은 양극 또는 음극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도선은 접지(GND)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An anode or a cathod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a ground (GND) electrod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conductor.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5 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홀과 상기 제6 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third hole and the fifth hole may be the same as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hole and the sixth hole.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제4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제7 홀을 향하고, 상기 제2 도선은 상기 제6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제8 홀을 향하고, 상기 제4 홀과 상기 제7 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6 홀과 상기 제8 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wire passes through the fourth hole toward a seven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passes through the sixth hole to form an eigh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hole and the seventh hole and a distance between the sixth hole and the eighth hole may be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택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일 측면에 감겨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filter of a stack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first conductive wire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first frame and formed to face the other side.

상기 스택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위 또는 아래에 스택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에 감겨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 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stacked frame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frame stacked above or below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conductive wire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and positioned to face the other side.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형상이 동일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이 겹쳐지고,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이 겹쳐지도록 스택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have the same shape, the first frame includ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frame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a third side surface and a fourth side surface facing the third side surface,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verlap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fourth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the third side surface They can be stacked so that the sides overlap.

상기 제1 도선은 양극 또는 음극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도선은 접지(GND)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An anode or a cathod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a ground (GND) electrod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conductor.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일 측면과 상기 다른 측면에 복수의 걸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걸대에 감겨, 상기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제2 걸대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les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conductive wire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pole formed on the one side to face the second pole formed on the other side. have.

상기 제1 걸대의 폭은, 상기 제1 걸대와, 상기 제1 걸대와 인접하는 제3 걸대 사이의 거리의 절반일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rst holder may be half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der and the third holder adjacent to the first holder.

상기 제1 걸대의 폭은 상기 제1 프레임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rst hanger may be twice the height of the first frame.

상기 제1 걸대의 폭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일 측면과 상기 제1 도선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A width of the first hanger may be the same as a distance between the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conductive wi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는 도선을 사용하여 필터를 비교적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므로, 필름형 집진 필터의 제작에 요구되는 정밀 인쇄 과정이 필요 없고, 통전이 용이하여 제작 조립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작 시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assembled relatively simply using a conducting wire, the precision printing proces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film-type dust collecting filter is not required, and electricity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d cost and reduce defects in manufacturing.

또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는 절연 코팅된 도선을 사용하므로, 필름형 필터의 인쇄 시 발생하는 절연 성능의 불량 요인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es an insulating-coated conducting wire, a defective factor in insulation performance that occurs during printing of a film-type filter is eliminated, and produc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는 프레임 또는 판재와 도선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존 필름형 필터에 비하여 사용 재료 및 부품의 수가 적으며, 따라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의 재료비가 감소하고 품질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is composed of a frame or plate and conducting wires, the number of materials and parts use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film-type filter, so the material cost of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is reduced and quality control is easy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를 나타낸다.
도 2는 판재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판재의 각 홀을 통과하는 도선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도선과 제2 도선 사이에 발생하는 불균등 전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의 실제 제작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를 나타낸다.
도 6은 복수의 프레임들을 측면에서 바라 봤을 때, 복수의 프레임들에 연결된 도선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접하는 프레임들끼리 180°씩 회전하여 3개의 프레임들을 스택한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의 실제 제작된 예시를 나타낸다.
1 shows a dust collecting filter of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lectrode structure of a wire passing through each hole of the plate when the plate is viewed from the front.
3 illustrates an unequal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4 shows a actually manufactured example of a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stack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lectrode structure of a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rames when the plurality of frames are viewed from the side.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ree frames are stacked by rotating adjacent frames by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actually manufactured example of a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를 나타낸다.1 shows a dust collecting filter of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판형 프레임 구조의 제1 집진 필터(100-1)는 입자 포집을 위한 불균등 전계 발생을 위해, 제1 판재(B1), 제2 판재(B2), 제1 도선(W1) 및 제2 도선(W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having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includes a first plate B1, a second plate B2, and a first conductive wire W1 to generate an unequal electric field for collecting particles. and a second conductive wire W2.

실시예에 따라,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는 사각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절연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plate B1 and the second plate B2 may be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an insulator.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plate B1 and the second plate B2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는 복수의 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홀들은 행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판재(B1)에 포함된 복수의 홀들과 와 제2 판재(B2)에 포함된 복수의 홀들은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 각각은 인접하는(즉,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홀들과 간격이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B1 and the second plate B2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first plate B1 and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second plate B2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may have the same spacing as adjacent (ie, positioned vertically, horizontally, vertically) holes.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극 또는 (-)극의 전압이 인가되며,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중에서 다른 하나는 접지(GND)될 수 있다.A voltage of (+) pole or (-) pole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wire W1 and the second wire W2, and the other of the first wire W1 and the second wire W2 is grounded. It can be (GND).

따라서, 만약 제1 도선(W1)이 (+)극으로 인가되고, 제2 도선(W2)이 접지되는 경우, 제1 도선(W1)이 양극으로, 제2 도선(W2)이 음극으로 동작하며, 반대로, 제1 도선(W1)이 (-)극으로 인가되고, 제2 도선(W2)이 접지되는 경우, 제1 도선(W1)이 음극으로, 제2 도선(W2)이 양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first conductor W1 is applied as a (+) pole and the second conductor W2 is grounded, the first conductor W1 acts as an anode and the second conductor W2 acts as a cathode. Conversely, when the first conductor W1 is applied as a negative (-) pole and the second conductor W2 is grounded, the first conductor W1 acts as a cathode and the second conductor W2 acts as an anode. can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은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 사이에서 길이 방향이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은 상하좌우로 번갈아 가며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wire W1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B1 and the second plate B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late B1 and the second plate B2. may be positioned, and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up, down, left and right.

복수의 홀들 중에서 하나의 행(또는 열)의 홀들에는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이 각각 하나씩 사용될 수 있다.One first conductive wire W1 and one second conductive wire W2 may be used for holes in one row (or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이를 위해, 제1 도선(W1)(또는 제2 도선(W2))은 제1 판재(B1)에 포함된 홀수 열(또는 짝수 열)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로 들어가서, 동일한 행의 인접하는 홀수 열(또는 짝수 열)의 홀로 되돌아 나와 제2 판재(B2)에 포함되고, 상기 동일한 행의 인접하는 홀수 열(또는 짝수 열)의 홀과 마주보는 홀로 들어가서, 동일한 행의 인접하는 다른 홀수 열(또는 짝수 열)의 홀로 되돌아 나오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제1 집진 필터(100-1)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or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 enters any one of the holes of the odd-numbered columns (or even-numbered columns) included in the first plate material B1, and enters the adjacent odd-numbered holes in the same row. It returns to the hole of the column (or even column) and is included in the second plate material B2, enters the hole opposite to the hole of the adjacent odd column (or even column) of the same row, and enters another adjacent odd column of the same row ( Alternatively,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may be formed by repeating returning to the hole of the even-numbered column).

따라서, 제1 도선(W1)(또는 제2 도선(W2))의 상하좌우에는 제2 도선(W2)(또는 제1 도선(W1))이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or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may be positioned on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or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또한, 제1 도선(W1)과 인접하는(제1 도선(W1)의 상하좌우에 위치하는) 제2 도선들(W2)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and the adjacent second conductive wires W2 (position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is the same.

즉, 제1 도선(W1)이 판재(B)에 형성된 홀수 행의 홀들 중에서 홀수 열의 홀들을 통과하고, 짝수 행의 홀들 중에서 짝수 열의 홀들을 통과하는 경우, 제2 도선(W2)은 판재(B)에 형성된 홀수 행의 홀들 중에서 짝수 열의 홀들을 통과하고, 짝수 행의 홀들 중에서 홀수 열의 홀들을 통과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nductor W1 passes through holes in odd columns among the holes in odd rows formed in the plate B, and passes through holes in even columns among the holes in even rows, the second conductor W2 is formed in the plate B ) may pass through holes in even columns among holes in odd rows, and holes in odd columns among holes in even rows.

예컨대, 도 2를 더 참조하면, 도 2는 판재(B1, B2)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판재(B1, B2)의 각 홀을 통과하는 도선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다.For example, referring further to FIG. 2 , FIG. 2 shows an electrode structure of a conducting wire passing through each hole of the plates B1 and B2 when the plates B1 and B2 are viewed from the front.

즉, 제1 도선(W1)이 접지(GND)되고, 제2 도선(W2)에 양극 또는 음극(A)이 인가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선(W1)은 홀수 행의 홀들 중에서 홀수 열의 홀들을 통과하고, 짝수 행의 홀들 중에서 짝수 열의 홀들을 통과하고, 제2 도선(W2)은 홀수 행의 홀들 중에서 짝수 열의 홀들을 통과하고, 짝수 행의 홀들 중에서 홀수 열의 홀들을 통과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is grounded (GND) and a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A is applied to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is in an odd row Passes through holes in odd columns among holes in even rows, passes through holes in even columns among holes in even rows, and the second conductor W2 passes through holes in even columns among holes in odd rows, can pass

이를 통해,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사이의 거리(즉, 접지(GND)와 (+)극 또는 (-)극 사이의 거리)는 상하좌우로 일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or W1 and the second conductor W2 (i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GND and the (+) pole or the (-) pole) may be constant up, down, left and right.

도 3을 더 참조하면, 도 3은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사이에 발생하는 불균등 전계를 나타낸다.Referring further to FIG. 3 , FIG. 3 illustrates an unequal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W1 and the second conductor W2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극 또는 (-)극의 전압이 인가하고, 다른 하나를 접지(GND)시키면,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사이에는 도 3과 같이 불균등 전계가 발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when a voltage of a (+) pole or a (-) pole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wire W1 and the second wire W2, and the other is grounded (GND), the An unequal electric field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W1 and the second conductor W2 as shown in FIG. 3 .

따라서,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 사이를 통과하는 입자는 유전영동력이 발생하여 제1 도선(W1) 또는 제2 도선(W2)의 표면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집진 필터(100-1)은 집진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articles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W1 and W2 may be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or W1 or the second conductor W2 by generating a dielectrophoretic force. Accordingly,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 - 1 may have a dust collecting force.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제1 집진 필터(100-1)를 실제로 제작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진 필터(100-1)는 제1 판재(B1)와 제2 판재(B2) 사이에 복수의 도선들이 위치하는 큐브 형태를 띌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further to FIG. 4 , when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is actually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includes the first plate B1 and the second It may take the form of a cube in which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 positioned between the plates B2.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은 표면이 절연 내력이 높은 절연체로 코팅된 절연 도선일 수 있으며,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의 사이즈는 AWG 25 내지 35 중에서 제1 집진 필터(100-1)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W1 and the second conductor W2 may be insulated conductors whose surfaces are coated with an insulator having high dielectric strength, and the sizes of the first conductor W1 and the second conductor W2 are AWG 25 to 35 Among them, i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 - 1 .

도선의 지지를 위한 프레임의 재질은 아크릴, FR4, 폴리카보네이드 등과 같이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성과 가공성이 적절한 것을 사용한다.For the material of the frame for supporting the wire, use a material with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such as acrylic, FR4, and polycarbonate, and suitable for mechanical rigidity and workabilit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를 나타낸다.5 shows a dust collecting filter having a stacke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스택(stack)형 프레임 구조의 제2 집진 필터(100-2)는 입자 포집을 위한 불균등 전계 발생을 위해, 프레임(F) 및 제3 도선(W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dust collection filter 100 - 2 having a stack-type frame structure may include a frame F and a third conductive wire W3 to generate an unequal electric field for collecting particles. .

판형 프레임 구조를 갖는 제1 집진 필터(100-1)에서 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이 복잡하게 연결됨에 따라, 제1 집진 필터(100-1)를 제작할 때(제1 도선(W1)과 제2 도선(W2)을 연결할 때) 작업량이 많을 수 있다.As the first conductive wire W1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are intricately conn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having a plate-shaped frame structure, when manufactur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first When the conductive wire W1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W2 are connected), the amount of work may be large.

따라서, 제2 집진 필터(100-2)는 제1 집진 필터(100-1)의 제작 시에 발생하는 작업량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집진 필터(100-2)는 각 층을 하나의 프레임(F)으로 제작하고, 프레임(F) 별로 하나의 제3 도선(W3)을 설치하고, 도선이 설치된 프레임(F)을 스택(stack)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is to improve the amount of work that occurs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includes each layer in one frame. It can be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F), installing one third conductive wire W3 for each frame F, and stacking the frames F in which the conductive wires are installed.

제1 집진 필터(100-1)와는 달리 제2 집진 필터(100-2)의 프레임(F)에는 제3 도선(W3) 한 종류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F)에서는 하나의 종류의 전극만이 형성될 수 있다.Unlike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only one type of the third conductive wire W3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F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Accordingly, only one type of electrode may be formed in one frame F.

또한, 프레임(F)의 상하의 양 끝단 각각에는 걸대(R)(예컨대, 돌기형 걸대)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angers (R) (eg, protrusion-type hangers) may be present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F).

프레임(F)의 상하의 양 끝단에는 서로 동일한 수의 걸대(R)가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걸대(R)가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ame (F) have the same number of hangers (R), and the hangers (R)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걸대(R)의 폭(d1)과 프레임(F)의 좌측과 제3 도선(W3) 사이의 거리(d1)는 동일하고, 걸대(R)의 폭(d1)은 걸대(R) 사이의 거리(d2)의 1/2일 수 있다.The width d1 of the hanger R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rame F and the third conductor W3 are the same, and the width d1 of the hanger R is the distance between the hangers R It may be 1/2 of (d2).

또한, 프레임(F)의 높이는 걸대(R)의 폭(d1)의 1/2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rame (F) may be 1/2 of the width (d1) of the stand (R).

또한, 프레임(F)의 우측 공간(A1)은 좌측 공간(A2) 보다 넓어, 프레임(F)의 우측과 좌측은 서로 대칭이 아닐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ght space A1 of the frame F is wider than the left space A2,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F may not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걸대(R)의 폭(d1)이 프레임(F)의 좌측과 제3 도선(W3)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고, 프레임(F)의 우측과 좌측이 서로 대칭이 아니도록 프레임(F)이 제작된 것은, 다른 프레임을 180°만큼 회전하여 프레임(F)의 아래 또는 위에 쌓을 경우, 다른 프레임(F)의 제3 도선(W3)과 다른 프레임의 도선이 동일한 간격으로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Frame F so that the width d1 of the hanger R is equal to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rame F and the third conductor W3, and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frame F are not symmetrical to each other ) is manufactured so that when the other frame is rotated by 180° and stacked under or on top of the frame (F), the third conducting wire (W3) of the other frame (F) and the conducting wire of the other frame are positioned at the same interval in a zigzag manner. to do

즉, 다른 프레임을 180°만큼 회전하여 프레임(F)의 아래 또는 위에 쌓을 경우, 프레임(F)의 우측 공간(A1)과 다른 프레임의 좌측 공간이 서로 아래 위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ther frame is rotated by 180° and stacked under or above the frame F, the right space A1 of the frame F and the left space of the other frame may be located below and above each other.

이때, 프레임(F)에 형성된 전극은 프레임(F)의 위 또는 아래에 쌓이는 다른 프레임에 형성된 전극과 다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frame F may be different from the electrodes formed on other frames stacked above or below the frame F.

예컨대, 도 6을 더 참조하면, 도 6은 복수의 프레임들을 측면에서 바라 봤을 때, 복수의 프레임들에 연결된 도선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다.For example, referring further to FIG. 6 , FIG. 6 shows an electrode structure of a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rames when viewed from the side.

도 6에 의할 경우, 아래에서부터 제1 행의 프레임과 제3 행의 프레임에 연결된 도선에는 접지(GND) 전극이 연결되고, 제2 행의 프레임과 제4 행의 프레임에 연결된 도선에는 (+)극 또는 (-)극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6 , a ground (G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frame in the first row and the frame in the third row from the bottom, and (+)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frame in the second row and the frame in the fourth row. A voltage of ) pole or (-) pole can be applied.

또한, 동일한 종류의 전극이 인가된 도선 사이의 거리(d1)는 걸대(R)의 폭(d1)과 동일하며, 이는 같은 프레임 내에서의 거리 뿐만 아니라, 다른 프레임 간의 거리 또한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conductors to which the same type of electrode is applied is equal to the width d1 of the hanger R, which may correspond not only to a distance within the same frame but also to a distance between different frames.

따라서, 걸대(R)의 폭(d1)이 프레임(F)의 좌측과 제3 도선(W3)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고, 프레임(F)의 우측과 좌측이 서로 대칭이 아님에 따라, 프레임(F)의 아래 또는 위에 다른 프레임을 180°만큼 회전하여 쌓을 경우, 하나의 도선의 네 대각선 방향(45°, 135°, 225°, 315° 방향)에 다른 도선이 위치할 수 있다. Therefore, as the width d1 of the hanger R is equal to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rame F and the third conductor W3,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F are not symmetrical with each other. , When another frame is rotated 180° below or above the frame (F) and stacked, another conductor may be positioned in the four diagonal directions (45°, 135°, 225°, 315° direction) of one conductor.

이는, 제2 집진 필터(100-2)가 하나의 도선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다른 도선이 위치하는 제1 집진 필터(100-1)와 다른 점에 해당할 수 있다.This may correspond to a point in which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ust collecting filter 100-1 in which other conducting wires are position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one conducting wire.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3 도선(W3)은 프레임(F)의 상측의 돌기(R)를 끼고 돌아 프레임(F)의 하측 돌기(R)로 향하고, 다시 프레임(F)의 하측 돌기(R)를 끼고 진행 방향으로 돌아 프레임(F)의 상측 돌기(R)로 향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third conducting wire W3 turns around the upper protrusion R of the frame F toward the lower protrusion R of the frame F, and again the lower protrusion (R) of the frame F. R) while turning in the direction of travel, it can be directed to the upper protrusion (R) of the frame (F).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도선(W3) 사이의 간격은 걸대(R)의 폭(d1)과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al between the third conductive wires W3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d1 of the hanger R.

제3 도선(W3)은 표면이 절연 내력이 높은 절연체로 코팅된 절연 도선일 수 있으며, 제3 도선(W3)의 사이즈는 AWG 25 내지 35 중에서 제2 집진 필터(100-2)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The third conductive wire W3 may be an insulated conductive wire whose surface is coated with an insulator with high dielectric strength, and the size of the third conductive wire W3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among AWG 25 to 35. can be selected.

도 7을 더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접하는 프레임들끼리 180°씩 회전하여 3개의 프레임들을 스택한 일 예시를 나타낸다.Referring further to FIG. 7 ,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frames are stacked by rotating adjacent frames by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레임들끼리 180°씩 회전하여 스택함에 따라, 홀수 번째 프레임들은 도선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지만, 짝수 번째 프레임은 홀수 번째 프레임들과 도선의 위치가 서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as adjacent frames are rotated and stacked by 180°, the positions of the conductors in odd-numbered frames are the same, but the positions of the conductors in even-numbered fram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dd-numbered frames can confirm.

또한,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2 집진 필터(100-2)를 실제로 제작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집진 필터(100-2)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스택되어 큐브 형태를 띌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further to FIG. 8 , when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is actually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8 , the second dust collecting filter 100-2 is formed in a cube shape by stacking a plurality of frames. can be s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는 도선을 사용하여 필터를 비교적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므로, 필름형 집진 필터의 제작에 요구되는 정밀 인쇄 과정이 필요 없고, 통전이 용이하여 제작 조립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작 시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can be assembled relatively simply using a conducting wire, the precision printing proces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film-type dust collecting filter is not required, and electricity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d cost and reduce defects in manufacturing.

또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는 절연 코팅된 도선을 사용하므로, 필름형 필터의 인쇄 시 발생하는 절연 성능의 불량 요인이 제거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es an insulating-coated conducting wire, a defective factor in insulation performance that occurs during printing of a film-type filter is eliminated, and produc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는 프레임 또는 판재와 도선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존 필름형 필터에 비하여 사용 재료 및 부품의 수가 적으며, 따라서 와이어형 유전영동 집진 필터의 재료비가 감소하고 품질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is composed of a frame or plate and conducting wires, the number of materials and parts use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film-type filter, so the material cost of the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is reduced and quality control is easy can do.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block diagram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the encoding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encoding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correspond to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creates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may also produce an item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 제1 집진 필터
B1: 제1 판재
B2: 제2 판재
W1: 제1 도선
W2: 제2 도선
100-2: 제2 집진 필터
F: 프레임
W3: 제3 도선
100-1: first dust collection filter
B1: first plate
B2: second plate
W1: first conductor
W2: second conductor
100-2: second dust collection filter
F: frame
W3: 3rd conductor

Claims (14)

판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에 있어서,
복수의 제1 홀들을 포함하는 제1 판재;
복수의 제2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재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위치하는 제2 판재;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제3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홀들 중에서 제4 홀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 도선; 및
상기 제3 홀과 행이 동일하며, 상기 제3 홀과 인접하는 제5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4 홀과 행이 동일하며, 상기 제4 홀과 인접하는 제6 홀을 통과하도록 위치하는 제2 도선을 포함하는
집진 필터.
In th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plate-shaped frame structure,
a first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 second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a first conductive wire positioned to pass through a third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o face a four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and
The third hole has the same row as the third hole, passes through a fifth hole adjacent to the third hole, and passes through a sixth hole that has the same row as the fourth hole and is adjacent to the fourth hole with 2 conductors
dust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홀은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홀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짝수 열의 홀에 해당하고,
상기 제4 홀은 상기 복수의 제2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홀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짝수 열의 홀에 해당하고,
상기 제5 홀은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짝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홀수 열의 홀에 해당하고,
상기 제6 홀은 상기 복수의 제2 홀들 중에서 홀수 행의 짝수 열의 홀 또는 짝수 행의 홀수 열의 홀에 해당하는
집진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odd column of an odd row or a hole in an even column of an even row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he fourth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odd column of an odd row or a hole in an even column of an even row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The fifth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even column of an odd row or a hole in an odd column of an even row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he sixth hole corresponds to a hole in an even column of an odd row or a hole in an odd column of an even row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dust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4 홀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5 홀과 상기 제6 홀은 서로 마주보는
집진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hole and the fourth hole face each other,
The fifth hole and the sixth hole face each other
dust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양극 또는 음극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도선은 접지(GND) 전극이 인가되는
집진 필터.
According to claim 1,
An anode or a cathode i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The second conductor is a ground (GND) electrode applied
dust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5 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홀과 상기 제6 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집진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hole and the fifth hole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hole and the sixth hole
dust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제4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제7 홀을 향하고,
상기 제2 도선은 상기 제6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에서 제8 홀을 향하고,
상기 제4 홀과 상기 제7 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6 홀과 상기 제8 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집진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wire passes through the fourth hole and faces a seven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he second conductive wire passes through the sixth hole and faces an eight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hole and the seventh ho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xth hole and the eighth hole are the same
dust filter.
스택형 프레임 구조의 집진 필터에 있어서,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일 측면에 감겨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 도선을 포함하는
집진 필터.
In th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stack type frame structure,
a first frame; and
and a first conductive wire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first frame and formed to face the other side.
dust filt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위 또는 아래에 스택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일 측면에 감겨 다른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제2 도선을 더 포함하는
집진 필터.
8. The method of claim 7,
a second frame stacked above or below the first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ductive wire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and positioned to face the other side
dust filt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형상이 동일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되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이 겹쳐지고,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이 겹쳐지도록 스택되는
집진 필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have the same shape,
The first frame includ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The second frame includes a third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and a fourth side facing the third sid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stacked so that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overlap, a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overlap
dust filt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양극 또는 음극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도선은 접지(GND) 전극이 인가되는
집진 필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n anode or a cathode is applied to the first conductor,
The second conductor is a ground (GND) electrode applied
dust filt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일 측면과 상기 다른 측면에 복수의 걸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선은 상기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걸대에 감겨, 상기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제2 걸대로 향하도록 형성된
집진 필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first conductive wire is wound around the first holder formed on the one side, and is formed to face the second holder formed on the other side.
dust filt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대의 폭은,
상기 제1 걸대와, 상기 제1 걸대와 인접하는 제3 걸대 사이의 거리의 절반인
집진 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dth of the first hanger is,
Half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and and the third stand adjacent to the first stand
dust filt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대의 폭은 상기 제1 프레임의 높이의 두 배인
집진 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dth of the first hanger is twice the height of the first frame
dust filt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대의 폭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일 측면과 상기 제1 도선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집진 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dth of the first hanger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side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conductor
dust filter.
KR1020210070469A 2020-05-29 2021-05-31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 KR2021014799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5104 2020-05-29
KR1020200065104 2020-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996A true KR20210147996A (en) 2021-12-07

Family

ID=788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69A KR20210147996A (en) 2020-05-29 2021-05-31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9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9860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EP0314811B1 (en) Dust collecting electrode
US8690996B2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electrode plate thereof
KR101610024B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electrode thereof
CN101745463B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high voltage electrode thereof
CN202366788U (en) Electrostatic dedusting device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JP2018515935A (en) SOLAR BATTERY CELL, SOLAR BATTERY MODULE, BATTERY CELL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3678653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070095405A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statically charging and separating particles that are difficult to separate
US20200179946A1 (en) Filtering device
KR20210147996A (en) Wire-type dielectrophoretic dust collecting filter using insulated wire
EP33388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CN101940979B (en) Partition-free bipolar electrostatic particle coagulator
JP2009232667A (en) Electrostatic motor power generator which tub-shaped electrode in perpendicular and level electric field
CN108580440A (en) Lunar dust photoelectricity removes system dust removing electro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870990Y (en) Prickle cathode electric dust remover of flow-equalizing and limited
KR102190076B1 (en) Dust collector of Air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9967244B (en) High-voltage electrostatic purifying device
KR102409978B1 (e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KR20170054674A (en) Electric dust collect device
KR102519747B1 (en) Dust film and dust filter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05084883U (en) Improvement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odule for air purifier
KR102190081B1 (en) Dust collector of Electric precipit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77722A (en) Micro particle separator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