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593A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593A
KR20210147593A KR1020200065037A KR20200065037A KR20210147593A KR 20210147593 A KR20210147593 A KR 20210147593A KR 1020200065037 A KR1020200065037 A KR 1020200065037A KR 20200065037 A KR20200065037 A KR 20200065037A KR 20210147593 A KR20210147593 A KR 2021014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insulating member
protrusion
secondary batte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호
양천모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593A/en
Publication of KR2021014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5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and lifesp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is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overlapping laminates of a first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the long side and shor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insulating member has a protruding unit on a surface facing the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스마트폰, 피처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의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 및 전력 저장용 전지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Low-capacity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in sm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feature phones, notebook computers, digital cameras and camcorders, and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ies are batteries for driving motors such as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and for power storage. etc. are widely used.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에 캡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구성된다.Such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shape, and a pouch shape. It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cap plate on the case.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and lifespan.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는 제1전극판, 세퍼레이터, 제2전극판의 적층제를 겹쳐서 형성된 스택 타입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과 단측면을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overlapping a lamination material of a first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the long side and shor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insulating member has a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a long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적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 면적의 50% 내지 90% 일 수 있다. An area i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may be 50% to 90% of an area of a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의 10배 내지 15배 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may be 10 to 15 time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ember.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과,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이 교차하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in which a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cross each other.

상기 절연 부재는 절연성 재질의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heat-shrinkable tu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절연 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계열 물질, 폴리아미드(polyamid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물질, 고무(rubber) 계열 물질,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열,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폴리설폰(PSF), 폴리아릴설폰(PA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E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member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material, polyamide-based, polyester-based material, rubber-based material, polyurethane-based material , polyamideimide (PAI), perfluoroalkoxy (PFA), polysulfone (PSF), polyarylsulfone (P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and polyethylene naphthalene (PEN) may include a single substanc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단측면에 결합된 제1집전판 및 제2집전판을 함께 감쌀 수 있다.The insulating member may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s coupled to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전극 조립체의 스웰링 시 전극 조립체의 중앙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제1,2전극판과 세퍼레이터 사이의 계면을 균일하게 하여 이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otrusion on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an electrode assembly to pre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he electrode assembly swells, thereby forming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nd the separator. By making it uniform,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and the lifespan can be exten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연 부재가 적용된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insulating member of FIG. 5 is applied.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될 수 있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may include any one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an be connec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not only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member C is interposed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to indirectly connect member A and member B. it mea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할 수 있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 to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these It specifies the presence of a group,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so that they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or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iscuss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refer to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hese space-related term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conditions or usag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figure is turned over, an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below" or "below" becomes "above" or "above". Accordingly, "lower"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제1단자(120), 제2단자(130), 케이스(140), 캡 조립체(150) 및 절연 부재(160)를 포함한다.1 and 2 ,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0 , a first terminal 120 , a second terminal 130 , a case 140 , and a cap assembly. 150 and an insulating member 160 .

전극 조립체(1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1전극판(111), 세퍼레이터(113), 제2전극판(112)의 적층체가 겹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극 조립체(110)를 스택 타입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전극판(111)은 음극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전극판(112)은 양극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stack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1 , the separator 113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2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or a film shape. This type of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stack type. In some example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1 may serve a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2 may serve as an anode. Of course,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일부 예들에서, 제1전극판(111)은 구리, 구리 합금, 니켈 또는 니켈 합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1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1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제1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1전극 무지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전극판(11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2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제2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인 제2전극 무지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 무지부(111a)는 전극 조립체(11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제2전극 무지부(112a)는 전극 조립체(110)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1 is formed by coat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graphite or carbon on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med of a metal foil such as copper, a copper alloy, nickel, or a nickel alloy, 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1a that is an area on whic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In some examples,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2 is formed by coating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a transition metal oxide on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med of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12a may be included.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area 111a may protrude to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area 112a may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일부 예들에서, 세퍼레이터(113)는 제1전극판(111)과 제2전극판(1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또는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113)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전해액을 필요로 하지 않는 황화물계, 산화물계 또는 인산염화합물계와 같은 무기물계 고체 전해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10)의 양측 단부에는 제1전극판(111)과 제2전극판(11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120) 및 제2단자(130)가 위치된다. In some examples, the separator 11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2 to prevent a short circuit and to enable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and is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poly It may include a composite film of ethylene and polypropylene. In addition, the separator 113 may be replaced with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such as a sulfide-based, oxide-based, or phosphate compound-based electrolyte that does not require a liquid or gel electrolyte. A first terminal 120 and a second terminal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2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s described above.

일부 예들에서, 전극 조립체(110)는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140)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해액은 EC, PC, DEC, EMC, DMC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은 액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무기물계 고체 전해질이 사용될 경우, 전해액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some examples,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40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In some examples, the electrolyte may include a lithium salt such as LiPF 6 and LiBF 4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EC, PC, DEC, EMC, or DMC. Also, the electrolyte may be in a liquid or gel form. In some examples, when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s used, the electrolyte may be omitted.

제1단자(120)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제1전극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단자(120)는 제1집전판(121), 제1단자 기둥(122) 및 제1단자 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집전판(121)은 전극 조립체(11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된 제1전극 무지부(111a)와 접촉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집전판(121)은 제1전극 무지부(111a)에 용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집전판(121)은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단자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단자홀(121a)에는 제1단자 기둥(122)이 끼워져 리벳팅 및/또는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전판(121)에서 하부로 연장된 부분은 제1전극 무지부(111a)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집전판(121)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단자 기둥(122)은 후술되는 캡 플레이트(151)를 관통하여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되며, 캡 플레이트(151)의 하부에서 제1집전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단자 기둥(122)은 캡 플레이트(151)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된 동시에, 캡 플레이트(151)의 하부에 제1단자 기둥(122)이 캡 플레이트(1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 기둥(122)에서 플랜지(122a)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은 제1집전판(121)의 제1단자홀(121a)에 끼워진 후 리벳팅 및/또는 용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단자 기둥(122)은 캡 플레이트(151)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단자 기둥(122)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단자 플레이트(124)는 홀(124a)을 가지며, 이러한 홀(124a)에 제1단자 기둥(122)이 결합되고 리벳팅 및/또는 용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부로 노출된 제1단자 기둥(122)과 제1단자 플레이트(124) 사이의 계면이 상호간 용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빔이 상부로 노출된 제1단자 기둥(122)과 제1단자 플레이트(124)의 경계 영역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경계 영역이 상호간 용융된 후 냉각되어 용접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단자 플레이트(124)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용접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1 . In some examples, the first terminal 120 may include a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 a first terminal pole 122 , and a first terminal plate 124 . In some examples,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1a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Substantially,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may be welded to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1a. In some examples,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and a terminal hole 121a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n some examples, the first terminal pole 122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121a to be riveted and/or welded. In addition, th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2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region 111a. In some examples,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may be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In some examples, the first terminal pole 122 protrudes and extends upward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a cap plate 151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21 under the cap plate 151 . can Also, in some examples, the first terminal pole 122 protrudes and extends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15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erminal pole 122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plate 151 . ) so as not to fall out from the flange (122a) may be formed. The region positioned below the flange 122a of the first terminal post 12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21a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and then riveted and/or welded. In some examples, the first terminal pole 122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151 . In some examples, the first terminal pole 122 may be made of copper, a copper alloy,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he first terminal plate 124 has a hole 124a, and the first terminal pole 122 may be coupled to the hole 124a and riveted and/or welded thereto. In some examples,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le 122 exposed upward and the first terminal plate 124 may be welded to each other. For example, since a laser beam is provided to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le 122 and the first terminal plate 124 exposed upward, the boundary regions may be melted and then cooled and welded. Meanwhile, a bus bar (not shown) formed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y be weld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terminal plate 124 .

제2단자(130) 역시 금속으로 형성되며, 제2전극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단자(130)는 제2집전판(131), 제2단자 기둥(132) 및 제2단자 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집전판(131)은 전극 조립체(110)의 타측 단부로 돌출된 제2전극 무지부(112a)와 접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제2집전판(131)은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단자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단자홀(131a)에는 상기 제2단자 기둥(132)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제2집전판(131)에서 하부로 연장된 부분은 제2전극 무지부(112a)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집전판(131)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단자 기둥(132)은 후술되는 캡 플레이트(151)를 관통하여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되며, 또한 캡 플레이트(151)의 하부에서 상기 제2집전판(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단자 기둥(132)은 캡 플레이트(151)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된 동시에, 캡 플레이트(151)의 하부에는 제2단자 기둥(132)이 캡 플레이트(1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자 기둥(132)에서 플랜지(132a)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은 제2집전판(131)의 제2단자홀(131a)에 끼워진 후 리벳팅 및/또는 용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자 기둥(132)은 캡 플레이트(151)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2단자 기둥(13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단자 플레이트(134)는 홀(134a)을 갖는다. 또한, 제2단자 플레이트(134)는 제2단자 기둥(132)에 결합된다. 즉, 제2단자 플레이트(134)의 홀(134a)에 제2단자 기둥(132)이 결합된다. 또한, 제2단자 기둥(132)과 제2단자 플레이트(134)는 상호간 리벳팅 및/또는 용접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부로 노출된 제2단자 기둥(132)과 제2단자 플레이트(134)의 경계 영역은 상호간 용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빔이 상부로 노출된 제2단자 기둥(132)과 제2단자플레이트(134)의 경계 영역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경계 영역이 상호간 용융 및 냉각되어 용접될 수 있다. 더불어, 제2단자 플레이트(134)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자 플레이트(134)는 캡 플레이트(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캡 플레이트(151) 및 케이스(140)는 제2단자(130)와 같은 극성(예를 들면, 양극)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30 is also formed of metal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12 . In some examples, the second terminal 130 may include a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31 , a second terminal post 132 , and a second terminal plate 134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12a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In some examples,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31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and a terminal hole 131a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n some examples,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terminal hole 131a. In addition, th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13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region 112a.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131 may be made of,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may protrude and extend upward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a cap plate 151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131 under the cap plate 151 . . The second terminal post 132 protrudes a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plate 15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t the same time, a flange ( 132a) may be formed. The region positioned under the flange 132a of the second terminal post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hole 131a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31 and then riveted and/or welded. Here,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151 . In some examples,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may be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has a hole 134a. Also,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is coupled to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 That is,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is coupled to the hole 134a of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 Also, the second terminal post 132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may be riveted and/or welded to each other. In some examples, the boundary region of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exposed upward may be weld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s a laser beam is provided to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ost 132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exposed upward, the boundary area may be melted and cooled to be welded. In addition, an aluminum or aluminum alloy bus bar (not shown) may be easily welded to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 Here,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151 , and thus the cap plate 151 and the case 140 to be described below have the same polarity (eg, the second terminal 130 ). For example, it may have an anode).

케이스(14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1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40)의 개구부에는 캡 플레이트(151)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40)를 밀봉한다. 케이스(140)의 내면은 기본적으로 절연 처리되어, 내부에서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10)의 한 극성은 캡 플레이트(151)를 통해 케이스(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케이스(140) 내부의 절연 처리에 의해 내부에서의 전기적 단락은 방지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40)는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The case 140 is made of aluminum, an aluminum alloy, or a conductive metal such as nickel-plated steel, and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which an opening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10 can be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 cap plate 151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ase 140 to seal the case 140 .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40 is basically insulated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from occurring therein. In addition, one polar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140 through the cap plate 151 . Even in this case, an electrical short circuit inside the case 140 is prevented by the insulation treatment inside. For example, case 140 may act as an anode.

캡 조립체(150)는 케이스(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캡 조립체(150)는 캡 플레이트(151), 시일 가스켓(152), 마개(153), 안전벤트(154), 상부 결합부재(155) 및 하부 절연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51)는 케이스(140)의 개구부를 밀봉하며, 케이스(1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캡 플레이트(151)는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케이스(14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캡 플레이트(1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단자(130)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캡 플레이트(151) 및 케이스(140)는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시일 가스켓(152)은 절연성 재질로 캡 플레이트(151)의 하부에서 제1단자 기둥(122) 및 제2단자 기둥(132)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형성되어, 제1단자 기둥(122) 및 제2단자 기둥(132)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시일 가스켓(152)은 외부의 수분이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마개(153)는 캡 플레이트(151)의 전해액 주입구(151a)를 밀봉하며, 안전벤트(154)는 캡 플레이트(151)의 벤트홀(151b)에 설치되며,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노치(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재(155)는 캡 플레이트(151)의 상부에서 제1단자 기둥(122) 및 제2단자 기둥(132)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결합부재(155)는 캡 플레이트(151)와 밀착된다. 더욱이, 상부 결합부재(155)는 시일 가스켓(152)에도 밀착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재(155)는 제1단자 기둥(122) 및 제2단자 기둥(132)과 캡 플레이트(151)를 절연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단자 기둥(132)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재(155)는 제2단자 플레이트(134)와 캡 플레이트(151)를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단자(130)는 캡 플레이트(151) 및 케이스(140)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절연부재(156)는 제1집전판(121) 및 제2집전판(131)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형성되어, 불필요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한다. 즉, 하부 절연부재(156)는 제1집전판(121)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의 단락, 그리고 제2집전판(131)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The cap assembly 150 may be coupled to the case 140 . In some examples, the cap assembly 150 may include a cap plate 151 , a seal gasket 152 , a stopper 153 , a safety vent 154 , an upper coupling member 155 , and a lower insulating member 156 . have. The cap plate 151 seals the opening of the case 140 ,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se 140 . In some examples, the cap plate 151 may be coupled to the case 140 by laser welding. Here, since the cap plate 151 may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second terminal 130 as described above, the cap plate 151 and the case 140 may have the same polarity. The seal gasket 15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formed between the cap plate 151 and each of the first terminal posts 122 and the second terminal posts 132 under the cap plate 151, and the first terminal posts 122 ) and the second terminal post 132 and each of the cap plate 151 is sealed. The seal gasket 152 prevents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or prevents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stopper 153 seals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51a of the cap plate 151, and the safety vent 154 is installed in the vent hole 151b of the cap plate 151, and a notch ( 154a) may be formed. The upper coupling member 155 may be formed between the cap plate 151 and each of the first terminal posts 122 and the second terminal posts 132 on the cap plate 151 . In addition, the upper coupling member 1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plate 151 . Furthermore, the upper coupling member 155 may als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 gasket 152 . The upper coupling member 155 may insulate the first terminal pole 122 and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from the cap plate 151 . In some examples, the upper coupling member 155 formed on the second terminal pole 132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terminal plate 134 and the cap plate 151 between them, and thus the second terminal 130 . may have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ap plate 151 and the case 140 . The lower insulating member 156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s 121 and 131 and the cap plate 151 to prevent unnecessary short circuit. That is, the lower insulating member 156 prevents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21 and the cap plate 151 and a short circuit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31 and the cap plate 151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또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양측에 결합된 제1집전판(121) 및 제2집전판(131)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전극 조립체(110)의 단측면(110b)에 결합된 제1집전판(121) 및 제2집전판(13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은 단측면(11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면을 말한다. 일부 예들에서,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측면들뿐만 아니라 바닥면을 감싸며, 상부만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적어도 4면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160)는 스택 타입의 전극 조립체(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insulating member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or tube having an empty interior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10 can be inserted thereinto, and having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insulating member 160 is formed to surround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Also, the insulating member 160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s 121 and 131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In some examples, the insulating member 160 includes a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21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coupled to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short side surface 110b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131) may be formed to surround it. Here,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refers to a surface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short side surface 110b. In some examples,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surround the bottom surface as well as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and may be formed in an open shape with only the upper portion. In other words,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four surfac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serve to fix the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110 .

절연 부재(160)는 절연성 재질의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절연 부재(160)는 수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관 형태의 절연 부재(160)의 내부에 제1집전판(121)과 제2집전판(131)이 결합된 전극 조립체(110)를 넣고 열을 가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부재(160)는 수축되어 전극 조립체(110) 및 제1,2집전판(121, 131)에 밀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절연 부재(160)는 약 60℃ 내지 80℃의 온도로 수초간 핫 프레스(hot press) 또는 열풍을 가하여, 전극 조립체(110) 및 제1,2집전판(121, 131)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와 케이스(14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formed of a heat-shrinkable tu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insulating member 160 shown in FIG. 3 shows a state before being contracted. Accordingly,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to which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21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131 are combined is put into the tubular insulating member 160 and heat is applied, as shown in FIG. 4 , ,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contra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s 121 and 131 . In some examples, the insulating member 160 is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s 121 and 131 by applying a hot press or hot air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C. to 80° C. for several seconds. can be adhered to.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e 140 .

일부 예들에서, 절연 부재(16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계열 물질, 폴리아미드(polyamid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물질, 고무(rubber) 계열 물질,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열,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폴리설폰(PSF), 폴리아릴설폰(PA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E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insulating member 160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based material, a polyamide-based material, a polyester-based material, a rubber-based material, Polyurethane-based, polyamideimide (PAI), perfluoroalkoxy (PFA), polysulfone (PSF), polyarylsulfone (P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and polyethylene naphthalene (PEN) may include a single substanc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절연 부재(1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61)를 포함한다. 돌출부(161)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61)는 전극 조립체(110)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여 제1,2전극판(111, 112)과 세퍼레이터(113) 사이의 계면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이차 전지(10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택 타입의 전극 조립체는 와인딩 타입의 전극 조립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앙 부분의 가압이 안되므로, 가스 트랩 및 저항 증가로 인해 전이금속이 용출되어 이차 전지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택 타입의 전극 조립체(110)를 감싸는 절연 부재(160)에 돌출부(161)를 형성하여, 전극 조립체(110)의 스웰링 시 전극 조립체(110)의 중앙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제1,2전극판(111, 112)과 세퍼레이터(113) 사이의 계면을 균일하게 하여 이차 전지(10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The insulating member 16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1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rotrusion 161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rotrusion 161 press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o make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and the separator 113 uniform,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nd can increase lifespan. In general,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is not pressurized relatively compared to the winding-type electrode assembly, transition metals are eluted due to gas traps and increased resistance, thereby reducing the lifespan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61 is formed on the insulating member 160 surrounding the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110 , an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swells,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pressed. , by mak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111 and 112 and the separator 113 uniform,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can be improved and the lifespan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can be increased.

돌출부(161)가 형성된 면적(S)은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 면적의 약 5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61)가 형성된 면적(S)이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 면적의 50%보다 작으면 전극 조립체(110)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전이금속이 용출되어 이차 전지(100)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돌출부(161)가 형성된 면적(S)이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 면적의 90%보다 크면 전극 조립체(110) 전체를 가압하는 형태가 되어 중앙 부분을 가압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The area S in which the protrusion 161 is formed may be formed to be about 50% to 90% of the area of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Here, when the area S in which the protrusion 161 is formed is less than 50% of the area of the long sid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it is not sufficient to pre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so that the transition metal is eluted. As a result, the lifespan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reduced. When the area S in which the protrusion 161 is formed is greater than 90% of the area of the long sid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 entire electrode assembly 110 is pressed,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effect of pressing the central portion. .

돌출부(161)는 전극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1)는 전극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61)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라인을 포함한다. 더불어, 다수의 라인의 이격 간격은 적어도 2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10)의 중앙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돌출부(161)는 절연 부재(160)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말한다. 돌출부(161)의 두께는 절연 부재(160)의 두께의 약 10배 내지 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61)의 두께가 절연 부재(160)의 두께의 10배보다 작으면 전극 조립체(110)를 가압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15배보다 크면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져 이차 전지(100)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일부 예들에서, 절연 부재(160)의 두께가 200㎛ 라면 돌출부(161)의 두께는 2mm 내지 3mm 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6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at is, the protrusion 161 includes a plurality of lin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lines is formed to be at least 2 mm or more,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efficiently distributed. The protrusion 161 refers to a relatively thick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160 .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161 may be about 10 to 15 time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ember 160 . Here, if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161 is less than 10 time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ember 160, it is not sufficient to press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if it is greater than 15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thicker than necessary. size will increase. In some examples, if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ember 160 is 200 μm,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161 may be 2 mm to 3 mm.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연 부재가 적용된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insulating member of FIG. 5 is applied.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2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61)를 포함한다. 돌출부(261)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61)는 전극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61)는 전극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61)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 the insulating member 26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61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rotrusion 261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rotrusion 26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6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at is, the protrusion 26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360)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361)를 포함한다. 돌출부(361)는 전극 조립체(110)의 장측면(110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61)는 전극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라인과, 전극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라인이 교차하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insulating member 36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61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rotrusion 361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rotrusion 361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cross each other.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it departs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i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이차 전지 110: 전극 조립체
120: 제1단자 121: 제1집전판
130: 제2단자 131: 제2집전판
140: 케이스 150: 캡 조립체
160, 260, 360: 절연 부재 161, 261, 361: 돌출부
100: secondary battery 110: electrode assembly
120: first terminal 121: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30: second terminal 131: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0: case 150: cap assembly
160, 260, 360: insulating member 161, 261, 361: protrusion

Claims (10)

제1전극판, 세퍼레이터, 제2전극판의 적층제를 겹쳐서 형성된 스택 타입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과 단측면을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a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overlapping a laminate of a first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insulating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적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장측면 면적의 5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An area i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is 50% to 90% of an area of a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의 10배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A thickness of the protrusion is 10 to 15 times that of the insula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과, 상기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이 교차하는 격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portion is formed in a grid shape in which a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ntersect cross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절연성 재질의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ng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heat-shrinkable tu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계열 물질, 폴리아미드(polyamid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계열 물질, 고무(rubber) 계열 물질,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열,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폴리설폰(PSF), 폴리아릴설폰(PA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E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ng member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material, polyamide-based, polyester-based material, rubber-based material, polyurethane-based material , polyamideimide (PAI), perfluoroalkoxy (PFA), polysulfone (PSF), polyarylsulfone (P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and polyethylene naphthalene (P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ingle substanc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단측면에 결합된 제1집전판 및 제2집전판을 함께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ng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coupled to the shor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KR1020200065037A 2020-05-29 2020-05-29 Secondary battery KR202101475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37A KR20210147593A (en) 2020-05-29 2020-05-29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37A KR20210147593A (en) 2020-05-29 2020-05-29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593A true KR20210147593A (en) 2021-12-07

Family

ID=7886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037A KR20210147593A (en) 2020-05-29 2020-05-29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5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3121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201306B1 (en) Secondary Battery
US8722239B2 (en)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method of assembling the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rechargeable battery module
EP2426751B1 (en) Rechargeable battery
JP6574084B2 (en) Secondary battery
US9136524B2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04041A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337492B1 (en) Secondary battery
JP2012064337A (en) Gastight storage battery
US10211446B2 (en) Rechargeable battery
JP2014138001A (en) Secondary battery
JP6122338B2 (en) Secondary battery
US20170279157A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2136561A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40094205A (en) Rechargeable battery
US9257686B2 (en) Secondary battery
US8673468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20089900A (en) Rechargeable battery
KR20040005243A (en) Battery unit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102470495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097485A (en) Assembly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WO2023132181A1 (en) Electric power storage module
US20240145865A1 (en) Secondary battery
KR20210147593A (en) Secondary battery
KR102502554B1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