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590A -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590A
KR20210146590A KR1020200063553A KR20200063553A KR20210146590A KR 20210146590 A KR20210146590 A KR 20210146590A KR 1020200063553 A KR1020200063553 A KR 1020200063553A KR 20200063553 A KR20200063553 A KR 20200063553A KR 20210146590 A KR20210146590 A KR 2021014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xtract
sagan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호
송민정
박소현
Original Assignee
(주)지플러스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플러스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지플러스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20006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590A/ko
Publication of KR2021014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간(Belamcandae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T 세포 상에서 PD-1의 활성을 저해하고, 암세포에 존재하는 PD-L1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PD-1 및 PD-L1을 타겟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로서 의약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BELAMCANDAE RHIZOM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사간(Belamcandae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면역항암요법은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자가면역력을 높여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치료법으로, 기존의 방사선요법, 세포독성 치료제, 표적항암제와 작용메커니즘부터가 다르다. 기존의 항암제는 암세포의 DNA 또는 발현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여 공격하는 반면에 면역항암제는 면역세포의 기능에 집중하여 면역세포의 암세포를 공격하는 잠재력을 깨우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항암제는 암세포 자체를 타겟으로 하지만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뿐만이 아니라 암 주변에 존재하는 세포,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를 조절한다. 이러한 작용메커니즘의 차이는 치료효과에도 차이를 보인다.
1차 항암치료제인 세포독성항암제는 2~3개월의 치료효과를, 2차 항암치료제인 표적항암제는 치료 지속기간이 10~12개월을 나타낸 반면에 3차 항암치료제인 면역항암제의 경우 그 효과가 반응기간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장기적으로 지속된다. 이렇게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효능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면역세포의 기억 능력 때문이다. 면역항암제에 의해 암세포 공격 기능이 향상된 면역세포는 암세포가 그 기능 및 성질을 완전히 바꾸지 않는 한 처음 공격했던 암세포를 기억하고 지속적으로 공격한다. 또한, 면역항암제는 내성에 대한 우려가 적은 이점이 있다.
면역항암제는 크게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와 면역세포치료제(immune cell therapy), 치료용 항체(therapeutic antibody), 항암백신(anticancer vaccin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까지 가장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면역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이다. 면역관문억제제는 T 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관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의 활성을 차단하여 T 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약제로서 대표적으로, PD-1(programmed cell death-1), PD-L1(programmed cell death ligand-1), CTLA-4(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protein 4)를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한다.
T 세포의 표면에 분포하여 예정된 세포자멸사(programmed cell death)를 유도하는 단백질인 PD-1은 T 세포의 비활성화, 즉 T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PD-1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PD-1을 억제함으로써 면역기전을 회복시키고, T 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한다. 키트루다(Pembrolizumab, MSD사), 옵디보(Nivolumab, BMS사)라는 상품명을 갖는 PD-1 억제제인 항 PD-1 항체는 2014년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악성 흑색종이나 폐암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면역관문억제제 개발과 더불어 기존 항암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장기생존율을 증가시키고자, 면역관문억제제를 다른 항암치료제와 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목표하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한편, 붓꽃과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eman.)의 뿌리 줄기 부위인 사간(Belamcanda rhizoma)은 예로부터 인간의 여러 질환에 다른 약재와 혼합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사간의 여러 가지 생물활성, 예를 들면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여성호르몬 수용체 결합작용, 피부 미백 효과 등은 보고된 바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731264호는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4566호는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간이 T 세포 상에서 PD-1 발현을 저해하여 T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사간과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함에 따라 현저하게 우수한 항암 활성을 보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면서 종래 면역관문억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예로부터 약용식물로서 사용되어 온 사간(Belamcanda rhizoma)의 추출물이 T 세포 상에서 PD-1 활성 저해 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시 현저하게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731264 B KR 10-2018-0094566 A
종래 면역관문억제제를 대체할 수 있고 부작용이 적으며,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시 항암 활성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획기적인 암치료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을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치료 방법을 비롯하여, 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및 항암 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간(Belamcandae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T 세포에서 PD-1 활성을 저해, 즉 T 세포를 활성화시켜 타겟으로 하는 다양한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고, 암세포에 존재하는 PD-1 리간드인 PD-L1의 발현 역시 우수하게 저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시 현저하게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므로,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간 에탄올 추출물(A) 및 이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물 분획물(B)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간 추출물 및 이의 용매별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간 물 추출물(A) 및 사간 에탄올 추출물(B)에 의한 농도별 PD-1 발현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100 E), 사간 80% 에탄올 추출물(80 E),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0 EE), 사간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80 EE),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물 분획물(100 EW), 사간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물 분획물(80 EW) 각각에 의한 농도별 PD-1 발현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간 추출물에 의한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에서의 PD-L1 발현 저해 활성 정도를 RT-PCR을 수행한 후 확인한 전기영동 사진(A) 및 이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B)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간(Belamcandae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간(Belamcandae Rhizoma)"은 붓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범부채의 뿌리줄기로서,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DC.)는 처음 싹이 나와서부터 질서 있게 퍼지면서 자라는 모양이 부채꼴 같다고 하여 범부채라 불리었다. 고려 때부터 호의선(虎矣扇)이라고 부르던 것이 동의보감에 범부채, 범부처로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길이 30~50㎝, 너비 2~4㎝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얼싸안는 형태를 보이고, 꽃은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는데 7~8월에 핀다. 범부채의 뿌리줄기, 즉 사간(射干)의 성분으로는 벨람칸딘(belamcandin), 이리딘(iridin), 텍토리딘(tectoridin), 텍토리게닌(tectorigenin), 아이리스플로렌틴(irisflorentin)이 함유되어 있으며, 효능으로는 항미생물작용, 소화작용, 천식과 편도선염과 같은 이비인후과적 치료용으로 사용되어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사간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사간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간(Belamcandae Rhizoma)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물 분획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사간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사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사간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간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사간은 채집,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100% 에탄올 또는 8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초음파 추출, 진탕추출, 속슬렛(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범부채의 뿌리줄기, 즉 사간 분량에 1 내지 15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내지 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5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EtOAc)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사간 100% 에탄올 또는 80%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사간 100% 에탄올 또는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예방, 치료 대상 질병인 "암"은 정상인 조직세포가 어떤 원인으로 무제한 증식하여 그 생체의 생활현상이나 주위의 조직상태 등에 관계없이 급속한 발육을 계속하는 질환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의 암은 인체의 각종 암, 예컨대 비소세포성 폐암, 폐암, 방광암, 골암, 혈액암, 유방암, 흑색종양,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골수암, 직장암, 인후암, 후두암, 식도암, 췌장암, 위암, 설암, 피부암, 뇌종양, 자궁암, 두부 또는 경부암, 담낭암, 구강암, 결장암, 항문 부근암, 중추신경계 종양, 간암 및 대장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암일 수 있으나, 상기 종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는 본 발명의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에 의해 T 세포 상의 PD-1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암 세포에 존재하는 PD-1 리간드인 PD-L1의 발현을 감소시킴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은 PD-1 및 PD-L1의 결합을 차단(blocking)하여 T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활성화된 T 세포에 의해 암세포를 공격하여 암을 경감,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은 암 치료를 위해 PD-1 및 PD-L1을 타겟으로 한 면역관문억제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면역관문억제제로서 작용하는 본 발명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항암제와 병용 투여함으로써, 이들의 병용에 따른 상승 보완 효과, 즉 시너지 효과(synergic effect)로 인하여 암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이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항암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알킬화제(alkylating agent), 미세소관 억제제(microtuble inhibitor), 대사길항제(antimetbolite), 또는 토포이소머라아제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일 수 있다.
상기 알킬화제는 메클로르에타민(mechloretham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멜팔란(melphal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티오테파(thiotepa), 알트레타민(altretamin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부설판(busulfan),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카르무스틴(carmustine), 이오무스틴(iomustine), 다카바진(dacarbazine),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미소세관 억제제는 도세탁셀(docetaxel), 빈블라스틴(vinblastine), 온코빈(Oncovin), 비노렐빈(vinorelb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대사길항제는 플루오로유라실(fluorouracil), 카페시타빈(capecitabine), 시타라빈(cytarabine), 젬시타빈(gemcitabine), 플루다라빈(fludarabin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페메트렉시드(Pemetrexed), 메르캅토퓨린(mercaptopur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토포이소머라아제 억제제는 하이캄틴(hycamtin), 캠토사(camptosar), 베페시드(vepesid), 탁솔(taxol), 블레오마이신(bleomycin),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세루비딘(cerubid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표적항암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퍼투주맙(pertuzumab), 파니투무맙(panitumumab), 세툭시맙(cetuxi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라무시루맙(ramucirumab),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 리툭시맙(rituximab), 오비누투주맙(obinutuzumab), 다라투무맙(daratumumab), 데노수맙(denosumab), 이브루티닙(ibrutinib), 다사티닙(dasatinib), 닐로티닙(nilotinib), 이마티닙(imatinib), 보수티닙(bosutinib), 오시머티닙(osimertinib), 엘로티닙(erlotinib), 제피티닙(gefitinib), 닌테다닙(nintedanib), 수니티닙(sunitinib), 소라페닙(sorafenib), 카보잔티닙(cabozantinib), 렌바티닙(lenvatinib), 레고라페닙(regorafenib), 액시티닙(axitinib), 파조파닙(pazopanib), 카보잔티닙(cabozantinib), 트라메티닙(trametinib), 다브라페닙(dabrafenib), 아베마시클립(abemaciclib), 팔보시클립(palbociclib),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 록소리티닙(ruxolitinib), 알렉티닙(alectinib), 크리조티닙(crizotinib), 올라파립(olaparib), 베네토클락스(venetoclax)일 수 있다.
또한, '면역항암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면역관문억제제, 면역세포 치료제(CAR-T), ADC(antibody drug conjugate), 이중항체, 항암 바이러스, 또는 항암백신일 수 있다.
상기 면역관문억제제는 PD-1 항체, PD-L1 항체, CTLA-4 항체, TIM3 항체 또는 LAG3 항체일 수 있다. 상기 PD-1 항체는 펨브로리주맙(pembrolizumab), 니볼루맙(nivolumab), 세미플리맙(cemiplimab)일 수 있고, 상기 PD-L1 항체는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아벨루맙(avelumab), 더발루맙(durvaluma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CTLA-4 항체는 이필리무맙(ipilim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일 수 있고, 상기 TIM3 항체는 MBG452일 수 있으며, LAG3 항체는 BMS-986016, LAG52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면역세포 치료제는 티사젠렉류셀(tisagenlecleucel), 애시카브타겐실루셀(axicabtagene ciloleuce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ADC는 젬투주맙 오조가미신(gemtuzumab-ozogamicin), 브렌툭시맙 베도틴(brentuximab vedotin), 트라스투주맙 엠탄신(trastuzumab emtansine), 이노츠맵 오조감신(inotuzumab ozogamicin), 에리불린 메실산염(eribulin mesyl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이중항체는 블리나투모맙(blinatumomab)일 수 있고, 상기 항암 바이러스는 탈리모진 라헤르파렙벡(talimogene laherparepvec)일 수 있으며, 상기 항암백신은 시풀루셀-T(sipuleucel-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항암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용어 "동시에(simultaneously)"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동시에 발생하거나 수행됨을 의미하며, 용어 "별도로(separately)"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서로 떨어지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순차적으로(sequentially)"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규칙적인 시퀀스 또는 순서에 의해 특징됨을 의미하며, 순차적 투약 요법은 사간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투여 전, 동시, 또는 후에 항암제를 포함한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지만, 두 조성물 모두는 규칙적인 시퀀스 또는 순서로 투여될 것이다. 순차적 투여는 본 발명에 기술된 조성물들의 일시적으로 분리된 투여를 지칭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의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사간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 "개체"란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암의 발병이 예상되거나 또는 암이 발병된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게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암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의미하는데,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각종 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단독으로 투여할 수도 있고, 방사선 조사를 수행하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과 기존의 다른 항암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간 추출물에 관한 것과, 상기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사간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능성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강식품용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간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품에는 예컨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스낵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 등 모든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간 추출물에 관한 것과, 상기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사간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항암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암 보조제"는 기존의 암 치료 물질과 병용되어 암의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항암제의 치료학적 유효 투여량을 감소시켜 항암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거나, 암의 성장을 유의적으로 저해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은 항암제와 병용 처리하였을때, T 세포 상의 PD-1의 발현을 저해함에 따라 T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궁극적으로 PD-1 및 PD-L1의 결합을 차단하여 암세포에 대한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은 항암 보조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지시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사간 추출물에 관한 것과, 상기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항암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와 같은 항암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는 사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지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서는 사간 추출물 및 항암제, 예컨대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를 소정의 중량비로 병용 투여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시서는 타겟으로 하는 특정 암 치료를 위해 적합한 개체를 선택하는 내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의도된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약 스케쥴, 및 투여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 분획물 제조
제조예 1.1. 사간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 및 분쇄된 사간(Belamcandae Rhizoma) 100 g을 100%(v/v) 에탄올(EtOH) 500 ㎖에 넣고 45℃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분쇄(sonication) 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를 탈지면을 이용해 여과를 진행하고 여액만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질소농축기(nitrogen evaporator)로 농축하여 10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도 1의 A).
한편, 건조 및 분쇄된 사간 500 g을 80%(v/v) 에탄올 2.5 ℓ에 넣고 45℃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분쇄 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를 탈지면을 이용해 여과를 진행하고 여액만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질소농축기로 농축하여 8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도 1의 A).
제조예 1.2. 사간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증류수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건조 및 분쇄된 사간 100 g을 100%(v/v) 에탄올 500 ㎖에 넣고 45℃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분쇄 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를 탈지면을 이용해 여과를 진행하고 여액만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감압 농축하여 100% 에탄올 추출물 27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10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1 ℓ에 현탁시키고, 필터 페이퍼를 이용해 용매를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추출물을 분획 깔때기에 넣어준 뒤 1:1 비율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를 첨가하고 쉐이킹하였다. 30분 동안 방치한 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35 g 및 증류수(distilled water, DW) 분획물 8.32 g을 각각 수득하였다(도 1의 B 및 도 2).
한편, 건조 및 분쇄된 사간 500 g을 80%(v/v) 에탄올 2.5 ℓ에 넣고 45℃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분쇄 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를 탈지면을 이용해 여과를 진행하고 여액만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감압 농축하여 80% 에탄올 추출물 165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8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500 ㎖에 현탁시키고, 필터 페이퍼를 이용해 용매를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된 추출물을 분획 깔때기에 넣어준 뒤 1:1 비율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쉐이킹하였다. 30분 동안 방치한 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09 g 및 증류수 분획물 69.74 g을 각각 수득하였다(도 1의 B 및 도 2).
실시예 1. 사간 추출물의 항암 활성 분석
실시예 1.1.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한 사간 추출물의 PD-1 활성 저해 효과 분석
사간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고자, BPS Bioscience(Catalogue No. 60535)로부터 구입한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하여 사간 추출물에 의한 PD-1 활성 저해 정도, 즉 T 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는 인간 PD-1의 구성적 발현(constitutive expression)을 갖는 NFAT(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반응요소의 제어하에 파이어플라이 루시퍼라아제 유전자(firefly luciferase gene)를 발현하는 재조합 Jurkat T 세포로서, 암세포에 존재하는 PD-1의 리간드인 PD-L1에 대한 PD-1의 결합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세포주는 PD-1과 PD-L1 결합을 차단(blocking) 할 수 있는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루시퍼라아제 리포터를 기반으로 한 세포주로서, 발광 신호에 비례적으로 약물의 효능이 보이게 된다.
이에,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간 추출물이 PD-1에 대한 활성 저해 효능이 있는지, 즉 항암 활성이 있는지를 루시퍼라아제 어세이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타겟 세포(target cell)로서 암세포주 CHO-PD-L1을 클리어 바텀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clear bottom 96-well microplate)에 3.5×104 cells/well/100㎕로 분주하였다. 분주 후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밤새(overnight) 배양하였다.
이펙터 세포(effector cell)로서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는 4×105 cells/㎖로 희석하였다.
한편, 배양액을 이용하여 사간 물 추출물 및 사간 9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로 단계 희석하였다. 이후, 상기 단계 희석한 사간 물 추출물 및 사간 에탄올 추출물을 이펙터 세포와 각각 혼합하여 30분 동안 미리 인큐베이션(incubation) 하였다.
밤새 배양한 타겟 세포의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여기에 상기 미리 인큐베이션하여 둔 이펙터 세포와 사간 추출물의 혼합물 각각을 100 ㎕/well 추가하였다. 이때, 이펙터 세포의 최종농도는 2×104 cells/well이며, 단계 희석한 사간 추출물의 최종농도는 100 ㎍/㎖, 30 ㎍/㎖, 10 ㎍/㎖, 3 ㎍/㎖, 1 ㎍/㎖이다. 모든 실험은 3 반복(triplicate)으로 수행되었다.
상기 타겟 세포에 미리 인큐베이션하여 둔 이펙터 세포와 사간 추출물의 혼합물을 추가한 뒤,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원-스텝 루시퍼라아제 시약(One-step Luciferase reagent)을 50 ㎕/well 추가한 뒤, 원-스텝 루시퍼라아제 시스템(ONE-step luciferase system)을 이용하여 발광(luminescence) 신호를 측정하였다.
루시퍼라아제 어세이를 수행하여 발광 신호 측정 결과, 사간 물 추출물 및 사간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의 PD-1 활성을 저해, 즉 Jurkat T 세포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1.2.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한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PD-1 활성 저해 효과 분석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고자,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BPS Bioscience(Catalogue No. 60535)로부터 구입한 PD-1/NFAT 리포터-Jurkat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하여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에 의한 PD-1 활성 저해 정도, 즉 항암 활성이 있는지를 루시퍼라아제 어세이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최종농도는 500 ㎍/㎖, 200 ㎍/㎖, 100 ㎍/㎖, 30 ㎍/㎖, 10㎍/㎖이다. 모든 실험은 3반복(triplicate)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 시료는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100 E), 사간 80% 에탄올 추출물(80 E),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0 EE), 사간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80 EE),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물 분획물(100 EW), 사간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물 분획물(80 EW)을 사용하였다. 루시퍼라아제 어세이를 수행하여 발광 신호 측정 결과,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을 처리한 경우 양성 대조물질인 PD-1 항체를 처리한 경우에 비해 발광 신호가 보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즉, 사간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분획물의 PD-1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 알 수 있었다(도 4).
실시예 1.3.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를 이용한 사간 추출물의 PD-L1 발현 저해 효과 분석
사간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고자,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 HCC827, H460 및 H1563를 이용하여 사간 10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PD-L1(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발현 저해 정도를 RT-PCR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GAPDH를 내재적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PD-L1 발현 자체가 낮은 세포주인 H1563을 대조군 세포로 사용하였다. RT-PCR 수행 결과, 사간 추출물이 PD-L1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5). 하기 표 1에 PD-L1 및 GAPDH 증폭용 프라이머 서열을 나타내었다.
프라이머명 염기서열 서열번호
PD-L1_F(정방향) 5'-CAATGTGACCAGCACACTGAGAA-3' 1
PD-L1_R(역방향) 5'-GGCATAATAAGATGGCTCCCAGAA-3' 2
GAPDH_F(정방향) 5'-GCGACACCCACTCCTCCACCTTT-3' 3
GAPDH_R(역방향) 5'-TGCTGTAGCCAAATTCGTTGTCATA-3' 4
<110> G+FLAS Life Sciences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BELAMCANDAE RHIZOM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130> SPD20-048/GFS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L1_F <400> 1 caatgtgacc agcacactga gaa 23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L1_R <400> 2 ggcataataa gatggctccc agaa 24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 <400> 3 gcgacaccca ctcctccacc ttt 23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 <400> 4 tgctgtagcc aaattcgttg tcata 25

Claims (12)

  1. 사간(Belamcandae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간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간 추출물은 T 세포에서 PD-1(programmed cell death-1)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되는 것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비소세포성 폐암, 폐암, 방광암, 골암, 혈액암, 유방암, 흑색종양,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골수암, 직장암, 인후암, 후두암, 식도암, 췌장암, 위암, 설암, 피부암, 뇌종양, 자궁암, 두부 또는 경부암, 담낭암, 구강암, 결장암, 항문 부근암, 중추신경계 종양, 간암 및 대장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10. 제9항에 있어서,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항암 보조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화학항암제, 표적항암제, 또는 면역항암제인, 항암 보조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되는 것인, 항암 보조제.
KR1020200063553A 2020-05-27 2020-05-27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4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53A KR20210146590A (ko) 2020-05-27 2020-05-27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53A KR20210146590A (ko) 2020-05-27 2020-05-27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90A true KR20210146590A (ko) 2021-12-06

Family

ID=7893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553A KR20210146590A (ko) 2020-05-27 2020-05-27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5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441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Nk 세포를 포함한 면역 세포의 활성을 우수하게 증진시키는 녹용 효소분해 추출물 및 면역 항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264B1 (ko) 2015-08-10 2017-05-1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4566A (ko) 2017-02-16 2018-08-2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264B1 (ko) 2015-08-10 2017-05-1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4566A (ko) 2017-02-16 2018-08-2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441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Nk 세포를 포함한 면역 세포의 활성을 우수하게 증진시키는 녹용 효소분해 추출물 및 면역 항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893B1 (ko) 고지혈증 개선제 및 빈혈 개선 조성물, 요산치 저하 조성물 및 음식품
KR102520571B1 (ko) 암 치료를 위한 절대혐기성 인체 장내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20230152614A (ko) 인지 기능 속도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210146590A (ko) 사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33671B1 (ko)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33733B1 (ko) 오리나무, 재쑥 및 백화전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6443B1 (ko) 잣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KR102556464B1 (ko) 월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JP4744297B2 (ja) 糖脂質含有組成物、その用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2249A (ko)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40106058A (ko) 수용성 연어이리 추출물 및 식물성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728094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873605B2 (ja)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101595987B1 (ko) 오스만투스 마츠무라누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209646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75702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25602A (ko) 산뽕나무 줄기 추출물 oxyresveratrol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1561736B1 (ko) 트레쿨리아 아프리카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591412B1 (ko) 린데라 톰소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165727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551293B1 (ko) 은방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3434B1 (ko) 줄베르나디아 글로비플로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