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63A -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263A
KR20210141263A KR1020200058682A KR20200058682A KR20210141263A KR 20210141263 A KR20210141263 A KR 20210141263A KR 1020200058682 A KR1020200058682 A KR 1020200058682A KR 20200058682 A KR20200058682 A KR 20200058682A KR 20210141263 A KR20210141263 A KR 2021014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angle
upper housing
hous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807B1 (ko
Inventor
권예찬
이화석
위석환
이혁재
Original Assignee
권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예찬 filed Critical 권예찬
Priority to KR102020005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8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가변형 자동 볼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종목을 혼자서 연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각도 가변형 자동 볼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휠이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상면에 볼 투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볼 발사구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에 위치한 볼이 정렬되어 유입되는 가이드부와,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유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외부로 발사하는 발사부와, 수용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하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볼을 가이드부에 하나씩 공급하는 정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ANGLE ADJUSTABLE AUTOMATIC BALL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니스, 야구 등의 구기종목을 혼자서 연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니스는 코트 중앙에 네트를 치고 양쪽에서 라켓으로 테니스 볼을 서로 치고 받으며 경쟁하는 스포츠로서, 개인의 체력 향상이나 취미생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테니스는 상대편 코트로 볼을 서브하는 기술 및 자신의 코트로 넘어온 볼을 리시브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때, 상대편 코트로 볼을 서브하는 기술은 홀로 연습이 가능하지만, 자신의 코트로 넘어온 볼을 리시브하는 기술은 볼을 넘겨주는 보조자가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함으로 홀로 연습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볼을 공급해주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일정한 곳에 고정되어 일정한 속도와 각도로 볼을 공급해주는 것으로 볼의 이동경로가 일정하여 연습에 실효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실제 경기를 진행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이동경로로 볼을 제공하는 공 자동 공급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85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제 경기를 진행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이동경로로 볼을 제공하는 볼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휠이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회전축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상면에 볼 투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볼 발사구가 형성되는 내부가 빈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에 위치한 볼이 정렬되어 유입되는 유로를 갖는 가이드부와,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축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유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볼 발사구를 통해 외부로 발사하는 발사부와, 수용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자리 회전하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볼을 가이드부에 하나씩 공급하는 정리부를 포함하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에 위치한 볼을 수용부로 이동시키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고, 회수부는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볼 회수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볼 토출구가 형성되는 내부가 빈 케이스와, 케이스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한 쌍의 안내바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볼 회수구를 통해 유입된 볼을 볼 토출구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볼 토출구는 수용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안내바는 축회동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며 케이스에 얹어 놓여지는 제1회동상태 및 바닥에 위치한 볼을 볼 회수구 측으로 안내하는 제2회동 상태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리부는 수용공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복수의 이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각 이동홀마다 원호형으로 굽어진 안내홈이 함몰 형성되는 원판과,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판을 회전시키는 원판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안내홈은 원판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홀로부터 원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이동홀에서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함몰 깊이가 점차 얕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사부는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동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의 개방된 내부에 아래위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발사휠과,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의 수직방향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프레임 구동수단와, 회동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발사휠을 회전시키는 발사휠 구동수단를 포함하고, 회동 프레임은 볼 발사구와 인접한 일측면이 개방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한 쌍의 발사휠 사이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 유입구가 형성되고, 볼 유입구의 둘레에서 가이드부를 향해 안내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부는 내주면에 정리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돌출되는 이탈 방지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평방향 회전 각도 및 수직방향 회전 각도 조절에 따라 다양한 이동 경로를 갖는 볼을 발사할 수 있으며, 발사휠의 속도 조절에 따라 다양한 구질의 볼을 발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위치한 볼을 수용부로 이동시키는 회수부가 존재하여, 볼 소진에 의한 끊김이 없이 연속적인 연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내부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내부모습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내부모습을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에 회수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에 회수부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의 회수부의 단면도이다.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1)의 단면도이다.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1)는 하부 하우징(10), 상부 하우징(20), 하우징 구동수단(30), 수용부(40), 가이드부(50), 발사부(60) 및 정리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2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빈 공간(11)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복수의 이동휠(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휠(12)은 하부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휠 하우징(13)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0)의 빈 공간(11)에 설치되는 휠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 하우징(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하우징(20)은 발사부(60)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빈 공간(21)이 형성되는 다면체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0)의 상면에 제1회전축(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0)은 상면에 빈 공간(21)과 연통하는 볼 투입구(2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측면에 빈 공간(21)과 연통하는 볼 발사구(2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20)의 상면은 중심부가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절곡요홈(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요홈(22)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볼 투입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볼 투입구(22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경이 하나의 볼이 이동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 발사구(23)는 발사부(60)의 수직방향으로의 회전 각도 변화에도 볼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구동수단(30)은 하부 하우징(10)의 빈 공간(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구동수단(30)은 하부 하우징(10)의 빈 공간(11)에 고정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정, 역회전이 가능한 발생시키는 모터(31), 모터(3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32) 및 제1기어(32)와 치합되어 상부 하우징(20)을 회전시키는 제2기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0)는 발사부(60)로 공급될 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수용공간(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41)은 다수의 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수용부(40)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상단부(42) 및 상단부(4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내경을 갖는 하단부(43)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하단부(43)는 볼 투입구(22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절곡요홈(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절곡요홈(2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50)는 수용부(40)의 볼을 발사부(60)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볼이 정렬되어 유입되는 유로(51)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볼 투입구(221)에 삽입되어 상부 하우징(20)의 빈 공간(2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50)는 타단이 발사부(60)를 향햐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사부(60)는 가이드부(50)의 유로(51)를 따라 볼을 외부로 발사하는 구성으로, 상부 하우징(20)의 빈 공간(21)에 제2회전축(611)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볼의 발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발사부(6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61), 회동 프레임(62), 한 쌍의 발사휠(63), 프레임 구동수단(64) 및 회전시키는 휠 구동수단(6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61)은 판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의 내부 바닥면과 수직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빈 공간(21)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 프레임(62)은 개방된 내부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 프레임(61) 사이에 제2회전축(611)에 의해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다.
이때, 회동 프레임(62)은 볼 발사구(23)와 인접한 일측면이 개방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볼 유입구(6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볼 유입구(621)는 한 쌍의 발사휠(63) 사이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 프레임(62)은 타측면에 볼 유입구(621)의 둘레에서 가이드부(50)의 타단을 향해 안내관(622)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관(622)은 볼 유입구(621) 및 유로(51)보다 넓은 내경을 갖는 굽어진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발사휠(63)은 회동 프레임(62)의 내부에 아래위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 구동수단(64)은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61)의 일면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62)의 수직방향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휠 구동수단(65)은 회동 프레임(6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발사휠(6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휠 구동수단(65)은 발사휠(63)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한 쌍의 발사휠(63)을 상호 동일한 속도 또는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정리부(70)는 수용공간(41)에 수용된 볼을 하나씩 가이드부(5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수용공간(41)에 위치하며 제자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정리부(70)는 절곡요홈(22)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71) 및 상부 하우징(20)의 빈 공간(21)에 고정 설치되며 원판(71)을 회전시키는 원판 구동수단(72)을 포함할 수 있다.
원판(71)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복수의 이동홀(7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각 이동홀(711)마다 원호형으로 굽어지며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안내홈(7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판(71)은 회전에 따라 모든 이동홀(711)이 볼 투입구(221)와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상태 및 어느 하나의 이동홀(711)이 볼 투입구(221)와 일치하고, 나머지 이동홀(711)이 볼 투입구(221)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 일치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각 이동홀(711)은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볼 투입구(221)와 일치할 수 있다.
부분 일치 상태에서 볼 투입구(221)와 일치된 어느 하나의 이동홀(711)에 위치한 볼은 가이드부(50)로 이동될 수 있으며, 볼 투입구(221)와 일치하지 않은 나머지 이동홀(711)에 위치한 볼은 절곡요홈(22)의 바닥면에 의해 가로막혀 가이드부(50)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불일치 상태에서 볼 투입구(221)에 위치한 볼은 모두 절곡요홈(22)의 바닥면에 의해 가로막혀 가이드부(50)로 이동될 수 없다.
한편, 안내홈(712)은 원판(7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홀(711)로부터 원판(71)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이동홀(711)에서 중심부를 갈수록 그 함몰 깊이가 점차 얕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원판(71)의 회전에도 이동홀(711)에 위치한 볼은 이동홀(711)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으며, 원판(71)의 중심부에 위치한 볼이 이동홀(711)로 안내될 수 있다.
원판 구동수단(72)은 상부 하우징(20) 빈 공간(21)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21), 모터(7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7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판(71)은 외주연에 기어(722)와 치합되는 기어 이가 형성되어, 기어(7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40)는 정리부(7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 방지막(4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 방지막(431)은 잘린 원판 형상으로 하단부(43)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볼 투입구(221)와 높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볼 투입구(221)로투입될 볼이 충격에 의해 이동홀(7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하우징(1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볼을 발사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 조절 및 발사부(60)의 수직방향 회전 각도 조절에 따라 다양한 이동 경로를 갖는 볼을 발사할 수 있고, 발사휠(63)의 속도 조절에 따라 다양한 구질의 볼을 발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1)에 회수부(80)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1)는 바닥에 위치한 볼을 수용부(40)로 이동시키는 회수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회수부(80)는 케이스(81), 한 쌍의 안내바(82) 및 컨베이어(8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81)는 내부에 빈 공간(811)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20)의 측면과 마주보는 케이스(81)의 일측면은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20)은 중심부 함몰 부위로 삽입되는 브라켓(90)이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81)는 일측면과 수직한 타측면의 하부에 빈 공간과 연통하는 볼 회수구(812)가 형성될 수 있고, 일측면의 상부에 빈 공간(811)과 연통하는 볼 토출구(8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 회수구(812)는 볼 토출구(813)는 수용부(4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바(82)는 케이스(81)의 일측면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내바(82)는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축회동될 수 있으며, 케이스(81)의 일측면에 상호 나란하게 얹어 놓여지는 제1회동상태 및 바닥에 위치한 볼을 볼 회수구(812) 측으로 안내하는 제2회동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즉, 볼의 회수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안내바(82)는 제2회동상태로 두고, 볼의 회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안내바(82)는 제1회동상태로 두어, 하부 하우징(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안내바(82)는 케이스(81)의 일측면에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821), 베이스(821)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부(822) 및 제1연장부(822)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연장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동상태에서 제1연장부(822)는 케이스(81)의 일측면에 얹어 놓여질 수 있으며, 제2연장부(823)는 케이스(81)의 상면에 얹어 놓여질 수 있다.
제2회동상태에서 제1연장부(822)는 베이스(821)와 연결된 일단에서 제2연장부(823)와 연결된 타단으로 갈수록 하부 하우징(10)의 측면과 점차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제2회동상태로 놓여진 안내바(82)의 제2연장부(823)는 하부 하우징(10)의 측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바(82)의 형상으로 인해, 바닥에 위치한 볼은 하부 하우징(10)의 이동에 따라 볼 회수구(81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베이어(83)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볼 회수구(812)를 통해 빈 공간(811)으로 유입된 볼을 볼 토출구(81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83)는 유연성을 갖는 벨트(831) 및 벨트(831)를 폐루프 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8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벨트(831)의 외측면에는 벨트(831)의 회전에 따라 볼이 이송될 수 있도록 볼을 받치는 복수의 지지대(833)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833)는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은 볼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81)는 볼 토출구(813)의 하단에 케이스(81)의 빈 공간(811)을 향해 경사지게 낙하방지돌기(8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낙하방지돌기(814)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지지대(833)의 이동에 따라 굽어진 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대(833)에 의해 케이스(81)의 상측으로 이동된 볼은 낙하방지돌기(814)에 의해 가로 막혀 빈 공간(811)으로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볼 자동 공급 장치
10 : 하부 하우징
20 : 상부 하우징
30 : 하우징 구동수단
40 : 수용부
50 : 가이드부
60 : 발사부
70 : 정리부

Claims (5)

  1. 이동휠이 결합되는 내부가 빈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회전축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상면에 볼 투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볼 발사구가 형성되는 내부가 빈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하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볼이 정렬되어 유입되는 유로를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축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상기 볼 발사구를 통해 외부로 발사하는 발사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자리 회전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볼을 상기 가이드부에 하나씩 공급하는 정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에 위치한 볼을 상기 수용부로 이동시키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볼 회수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볼 토출구가 형성되는 내부가 빈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한 쌍의 안내바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 회수구를 통해 유입된 볼을 상기 볼 토출구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볼 토출구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바는,
    축회동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며 상기 케이스에 얹어 놓여지는 제1회동상태 및 상기 바닥에 위치한 볼을 볼 회수구 측으로 안내하는 제2회동 상태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복수의 이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각 이동홀마다 원호형으로 굽어진 안내홈이 함몰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판을 회전시키는 원판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원판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이동홀로부터 상기 원판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에서 상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함몰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개방된 내부에 아래위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발사휠과,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의 수직방향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프레임 구동수단와,
    상기 회동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사휠을 회전시키는 발사휠 구동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볼 발사구와 인접한 일측면이 개방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발사휠 사이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볼 유입구의 둘레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안내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주면에 상기 정리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돌출되는 이탈 방지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KR1020200058682A 2020-05-15 2020-05-15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KR10239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82A KR102392807B1 (ko) 2020-05-15 2020-05-15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82A KR102392807B1 (ko) 2020-05-15 2020-05-15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263A true KR20210141263A (ko) 2021-11-23
KR102392807B1 KR102392807B1 (ko) 2022-04-29

Family

ID=7869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82A KR102392807B1 (ko) 2020-05-15 2020-05-15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168B1 (ko) * 2021-10-07 2022-11-09 주식회사 큐링이노스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9326A1 (en) * 2005-12-27 2007-06-28 Michael Timothy York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3-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피칭머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9326A1 (en) * 2005-12-27 2007-06-28 Michael Timothy York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3-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피칭머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168B1 (ko) * 2021-10-07 2022-11-09 주식회사 큐링이노스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KR102464170B1 (ko) * 2021-10-07 2022-11-09 주식회사 큐링이노스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KR102464171B1 (ko) * 2021-10-07 2022-11-09 주식회사 큐링이노스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KR102496422B1 (ko) * 2021-10-07 2023-02-06 주식회사 큐링이노스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US11844992B2 (en) 2021-10-07 2023-12-19 Curinginnos Inc. Tennis self-trai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807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US9050520B2 (en) Ball pitching machine
US2918915A (en) Tennis ball projecting machine
KR102392807B1 (ko)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KR101728659B1 (ko) 타격용 볼 공급장치
KR101273544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418077B1 (ko) 셔틀콕 발사장치
JP2002502645A (ja) テーブルゲーム機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709590B1 (ko) 사격게임용 탄알 공급장치
JP4454600B2 (ja) 遊技機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KR101934727B1 (ko) 족구 연습용 공 배급장치
KR102638331B1 (ko) 이동형 볼 토스 머신
EP0458854B1 (en) Table tennis robot
JP2009273613A (ja) 遊技機
KR20080001279U (ko)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JP4531009B2 (ja) 遊技機
CN218740135U (zh) 一种发球机
CN115228070A (zh) 一种便于调节的足球射门训练设备
US20240017131A1 (en) Ball Dispensing Mechanism for Arcade Games
KR102214343B1 (ko) 타격 연습용 볼 공급장치
KR102536493B1 (ko) 운동용 공 자동 공급장치
JP4895709B2 (ja) 遊技機
KR20170043924A (ko) 피칭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