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656A - laminate - Google Patents

lami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656A
KR20210134656A KR1020217028321A KR20217028321A KR20210134656A KR 20210134656 A KR20210134656 A KR 20210134656A KR 1020217028321 A KR1020217028321 A KR 1020217028321A KR 20217028321 A KR20217028321 A KR 20217028321A KR 20210134656 A KR20210134656 A KR 2021013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unction
layer
base film
film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스즈카 스미요시
아야노 진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0627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79434A1/en
Publication of KR2021013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6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이 적층된 개소가 복수 존재하는 적층체로서, 원하는 기재 필름을 광학 기능층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박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적층체(10)는,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2A)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2B)과, 제2 기재 필름(1B)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광학 기능층(2A)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제2 기재 필름(1B)과 제2 광학 기능층(2B)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제1 기재 필름(1A)의 두께 T1과, 제2 기재 필름(1B)의 두께 T2가 하기 식(2)를 만족한다.
0.67<P1/P2<1.50 … (1)
1.05≤T1/T2 … (2)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 in which a plurality of locations on which a base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were laminated exist, and which can preferentially peel a desired base film from an optical function layer.
The laminated body 10 is a 1st base film 1A,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containing the layer which the 1st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and the layer which the 2n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and the 2nd base film 1B to contain are provided in this order. A first base film (1A)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2A) plane peel force P 1 and the second base film (1B) and the in-plane peel for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2B) between the P to the second satisfy the formula (1), and the first to meet the thickness T 1, and a second thickness T 2 to the formula (2) of the base film (1B) of the base film (1A).
0.67<P 1 /P 2 <1.50 … (One)
1.05≤T 1 /T 2 … (2)

Description

적층체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유기 EL 표시 장치는, 발광층의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반사성이 우수한 금속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금속 전극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외광 반사가 커지고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반사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In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a metal electrode excellent in reflectivity is provided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layer. On the other hand, by using such a metal electrode, the problem that external light reflection becomes large and contrast falls arise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n antireflection function,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n the viewing side of the organic EL display element.

원편광판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적층한 것이다. 원편광판은, 넓은 파장 영역에서 일정하게 원편광으로 변환하거나,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에 반사광에 색이 부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위상차 필름은 복수의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위상차 필름은, λ/2판과 λ/4판의 적층체나, 역파장 분산성의 λ/4판과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적층체인 경우가 있다.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s a laminate of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s required to have a function of not imparting a color to the reflected light when it is constantly converted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a wide wavelength range or viewed from an angle. In order to exhibit this function, retardation film may be equipped with several retardation layers. Specifically, the retardation film may be a laminate of a λ/2 plate and a λ/4 plate, or a laminate of a λ/4 plate having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and a positive C plate.

위상차층의 재료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위상차층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층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기재 필름에 배향막을 형성한다.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배향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다.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a material for the retardation layer. Whe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used,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layer obtained can be made small. In order to obtain such a retardation layer, first, an orientation film is formed in a base film. On the alignment layer,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oated and aligned,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polymeriz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마지막으로,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위상차층이 얻어진다. Finally, a retardation layer is obtained by peeling a base film.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이 복수의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경우, 이러한 위상차 필름은, 기재 필름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끼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이 서로 접합면이 되도록 접착제로 접합하고, 순차적으로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tardation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retardation layers, the retardation film is a laminate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layer (retardation layer) in which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It is obtained by bonding with an adhesive agent so that one layer may become a mutual bonding surface, and peeling a base film sequentiall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또한, 최근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함께 이색성 색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매우 얇은 막의 편광자(편광 소자층)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편광자도, 적당한 기재 필름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층을 형성시키고, 이 조성물층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고 나서 중합시킴으로써, 기재 필름 상에 편광자(박막 편광자)를 형성하고 나서, 기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제조된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박막 편광자와, 상기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한 위상차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매우 얇은 막의 원편광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Moreover, in recent years, by using a dichroic dye with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t attracts attention at the point which can manufacture the polarizer (polarizing element layer) of a very thin film|membrane. Such a polarizer also forms a composition lay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on an appropriate base film, orients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is composition layer, and then polymerizes it to form a polarizer ( After forming a thin film polarizer), it manufactures by peeling a base film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By bonding such a thin film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 film using the abov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of a very thin film|membrane.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622145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6221455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6-17036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170368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에서는, 위상차층을 복수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때나, 박막의 원편광판을 제조할 때에는,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의도한 계면에서 박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하고자 하는 기재 필름을 일으켜 세웠을 때에, 반대측의 기재 필름과 위상차층 사이에서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종래에는 한쪽의 박리력과 다른쪽의 박리력에 차이를 두는 방법을 채택했지만, 박리력에 차이를 두면, 박리력이 무거운 기재를 박리할 때에 지핑이 생기거나, 전사성을 담보한 박리력으로 기재를 박리하고자 하면 여전히 의도한 계면에서 박리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대상이 위상차층인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광학 기능층인 경우에도 발생한다. However, in the method of peeling the base film as described above, when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having a plurality of retardation layers or when producing a thin circular polarizing plate, in the step of peeling the base film, peeling at the intended inte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When the base film to be specifically, peeled is raised, it may peel between the base film on the opposite side and retardation layer. In response to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mak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eel force of one side and the peel force of the other has been adopted. If the base material is to be peeled off with the guaranteed peeling force, it may still be impossible to peel at the intended interface. Such a problem arises not only when the object which peels a base film is a retardation layer, but also when it is another optical function layer.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이 적층된 개소가 복수 존재하는 적층체이며, 원하는 기재 필름을 광학 기능층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박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a laminated body in which the location where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were laminated|stacked exists in multiple numbers,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aminated body which can preferentially peel a desired base film from an optical function layer.

본 발명은, 제1 기재 필름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과, 제2 기재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제1 기재 필름과 제1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제2 기재 필름과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제1 기재 필름의 두께 T1과 제2 기재 필름의 두께 T2가 하기 식(2)를 만족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comprising a first base film, a layer obtained by curing a first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comprising a layer obtained by curing a seco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second provided with a substrate film in this order, and the first base film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and the in-plane peeling strength P 1 between laye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in-plane peel for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P 2 is the formula (1) is satisfied, and the thickness T 1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thickness T 2 of the second base film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2).

0.67<P1/P2<1.50 … (1)0.67<P 1 /P 2 <1.50 … (One)

1.05≤T1/T2 … (2)1.05≤T 1 /T 2 … (2)

또한, 본 발명은, 제1 기재 필름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과, 제2 기재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제1 기재 필름과 제1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제2 기재 필름과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제1 기재 필름의 강연도 S1과 제2 기재 필름의 강연도 S2가 하기 식(3)을 만족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Moreover, this invention is a 1st base film,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containing the layer which the 1st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containing the layer which the 2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and a second base film in this order, wherein the in-plane peel force P 1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in-plane peel force P 2 betwe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are I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and provides a laminate in which the stiffness S 1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stiffness S 2 of the second base film satisfy the formula (3) below.

0.67<P1/P2<1.50 … (1)0.67<P 1 /P 2 <1.50 … (One)

1.10≤S1/S2 … (3)1.10≤S 1 /S 2 … (3)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광학 기능층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In this invention,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may be bonded by the adhesive bond layer or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위상차를 갖는 층이어도 좋다. In this invention, the layer which has a phase difference may be sufficient as at least one of a 1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a 2nd optical function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편광 소자층이어도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may be a polarizing element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기재 필름과 제1 광학 기능층 사이, 및, 제2 기재 필름과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향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In this invention, you may equip the orientation film in at least one between a 1st base film and a 1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between a 2nd base film and a 2nd optical function 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이 적층된 개소가 복수 존재하는 적층체이며, 원하는 기재 필름을 광학 기능층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박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is a laminated body in which the location where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were laminated|stacked exists in multiple numbers, and can provide the laminated body which can peel a desired base film preferentially from an optical function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적층체><Lamin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0)는, 제1 원료 적층체(5A)와 제2 원료 적층체(5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이 접착제층(3)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1 원료 적층체(5A)는,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2A)을 구비하고, 제2 원료 적층체(5B)는, 제2 기재 필름(1B)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광학 기능층(2A)과 제2 광학 기능층(2B)이 대면하는 방향으로 되어, 제1 원료 적층체(5A)와 제2 원료 적층체(5B)가 서로 접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0)는,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2A)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2B)과, 제2 기재 필름(1B)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1 광학 기능층(2A)과 제2 광학 기능층(2B)은 접착제층(3)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제층(3) 대신에 점착제층으로 해도 좋다. As shown in FIG. 1 , the laminat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raw material laminate 5A and a second raw material laminate 5B, and these are mutually provided by an adhesive layer 3 . is connected. The 1st raw material laminated body 5A is equipped with the 1st base film 1A and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containing the layer which the 1st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The 2nd raw material laminated body ( 5B) is equipped with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containing the 2nd base film 1B and the layer which the 2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And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an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become a facing direction, and the 1st raw material laminated body 5A and the 2nd raw material laminated body 5B are mutually adhere|attached. That is, the laminated body 10 of this embodiment contains the 1st base film 1A and the layer which the 1st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2 A of 1st optical function layers, and 2nd polymeric liquid crystal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containing the layer which the compound hardened|cured, and the 2nd base film 1B are provided in this order.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an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are mutually bonded by the adhesive bond layer 3 . Here, instead of the adhesive layer 3, it is good also as an adhesive layer.

여기서, 제1 기재 필름(1A)이란, 2개의 기재 필름(1A, 1B) 중 적층체(10)로부터 먼저 박리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기재 필름을 말한다. 제1 기재 필름(1A)이 박리된 적층체는 제1 광학 기능층(2A) 및 제2 광학 기능층(2B)을 이용하는 용도에 제공되며, 박리한 제1 기재 필름(1A)은 통상 폐기한다. Here, the 1st base film 1A means the base film by which peeling first from the laminated body 10 among two base films 1A, 1B is scheduled. The laminate from which the 1st base film 1A was peeled is provided for the use which uses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an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and the peeled 1st base film 1A is usually discarded. .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지만, 적층체(10)는,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광학 기능층(2A) 사이, 및, 제2 기재 필름(1B)과 제2 광학 기능층(2B)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향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laminated body 10 is between the 1st base film 1A and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and the 2nd base film 1B and the 2nd optical function layer 2B An alignment film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m.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지만, 적층체(10)는, 제1 광학 기능층(2A)과 제2 광학 기능층(2B) 사이에, 적어도 1층의 또 다른 광학 기능층, 접착제층,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laminate 10 includes at least one other optical function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2A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2B. You may have it ready.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체(10)는, 제1 및 제2 기재 필름(1A, 1B)과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2A, 2B)의 사이에서 이하의 관계성을 갖고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aminated body 10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1st and 2nd base film 1A, 1B, and 1st and 2nd optical function layer 2A, 2B .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광학 기능층(2A)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제2 기재 필름(1B)과 제2 광학 기능층(2B)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또한, 제1 기재 필름(1A)의 두께 T1과 제2 기재 필름(1B)의 두께 T2가 하기 식(2)를 만족한다. A first base film (1A)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2A) plane peel force P 1 and the second base film (1B) and the in-plane peel for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2B) between the P to the second satisfy the formula (1), and further, the first to meet the base thickness of the film (1A), T 1 and the second to the thickness T 2 of the base film (1B) (2).

0.67<P1/P2<1.50 … (1)0.67<P 1 /P 2 <1.50 … (One)

1.05≤T1/T2 … (2)1.05≤T 1 /T 2 … (2)

여기서,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이란, 접합되어 있는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을 서로 박리하는 데 필요한 힘을 말한다.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 사이에 별도의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별도의 층이 기재 필름과 함께 박리될 때에 필요한 힘도, 상기 별도의 층이 광학 기능층과 함께 박리될 때에 필요한 힘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면내 박리력」이라고 한다. 예컨대, 상기 별도의 층이 2종 이상 있을 때, 박리했을 때에 기재 필름측에 1종 이상의 별도의 층이, 광학 기능층측의 1종 이상의 별도의 층이 있어도 좋다. 즉, 박리된 한쪽에 기재 필름이, 다른쪽에 광학 기능층이 있는 경우에, 박리하는 데 필요한 힘을 「면내 박리력」이라고 한다. 이러한 별도의 층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향막 등을 들 수 있다. Here, the "in-plane peeling force" between a base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means the force required for peeling the base film and optical function layer bonded together. When a separat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the force required when the separate layer is peeled off together with the base film, the force required when the separate layer is peeled together with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It is called "in-plane peeling forc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re are 2 or more types of said other layers, when peeling, 1 or more types of other layers may exist on the base film side, and 1 or more types of other layers by the side of an optical function layer may exist. That is, when a base film has an optical function layer in the other side, the force required for peeling is called "in-plane peeling force" in one side which peeled. As such a separate layer, an alignment layer or the like may be mentioned as described later.

면내 박리력의 측정(면내 박리력 측정)은,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막의 광학 기능층측에 임의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막을 유리판에 접합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을 잡고 박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면내 박리력은, 기재 필름을 일으켜 세운 후, 기재 필름을 광학 기능층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힘이 정상 상태가 되었을 때의 박리력을 말한다. 면내 박리력 측정의 상세한 것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또, 면내 박리력은, 기재 필름을 일으켜 세운 직후의 야기력과는 구별된다. 면내 박리력은, 0.70<P1/P2<1.43인 것이 바람직하고, 0.73<P1/P2<1.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measurement of in-plane peel force (in-plane peel force measurement), an arbitrary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side of a film having a base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film is bonded to a glass plate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n a tensile tester It can carry out by holding and peeling a base film using. After an in-plane peeling force has raised up a base film, while peeling a base film from an optical function layer is complete|finished, the peeling force when force becomes a steady state is said. Details of the in-plane peel force measurement will be described in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oreover, in-plane peeling force is distinguished from the induced force immediately after raising up a base film. Plane peeling strength is, 0.70 <P 1 / P 2 <1.43 is preferably, more preferably 0.73 <P 1 / P 2 < 1.30.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주식회사 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인 MH-15M을 이용하여 측정(두께 측정)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1.50≤T1/T2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T1/T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1/T2≤20.0이어도 좋고, T1/T2≤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T1/T2≤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a base film can be measured (thickness measurement) using MH-15M which is a digital micrometer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is, 1.50≤T 1 / T 2 is preferably, and 2.00≤T more preferably from 1 / T 2. T 1 / T 2 may be a ≤20.0, and is preferably T 1 / T 2 ≤10.0, more preferably from T 1 / T 2 ≤5.00.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체(10)는, 제1 및 제2 기재 필름(1A, 1B)과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2A, 2B)의 사이에서, 이하의 관계성을 갖고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laminated body 10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1st and 2nd base film 1A, 1B, and 1st and 2nd optical function layer 2A, 2B .

제1 기재 필름(1A)과 제1 광학 기능층(2A)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제2 기재 필름(1B)과 제2 광학 기능층(2B)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또한, 제1 기재 필름(1A)의 강연도 S1과 제2 기재 필름(1B)의 강연도 S2가 하기 식(3)을 만족한다. A first base film (1A)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2A) plane peel force P 1 and the second base film (1B) and the in-plane peel for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2B) between the P to the second satisfy the formula (1), and further, the first speech of the base film (1A) also satisfies the S 1 and the second base film (1B) also talks S 2 is the following formula (3).

0.67<P1/P2<1.50 … (1)0.67<P 1 /P 2 <1.50 … (One)

1.10≤S1/S2 … (3)1.10≤S 1 /S 2 … (3)

이 실시형태에서도, 면내 박리력은, 0.70<P1/P2<1.43인 것이 바람직하고, 0.73<P1/P2<1.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plane peel force is, 0.70 <P 1 / P 2 <1.43 is preferably, more preferably 0.73 <P 1 / P 2 < 1.30.

기재 필름의 강연도는, 예컨대 JIS L 1085 : 1998의 6.10.3 걸리법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강연도 측정). 기재 필름의 강연도는, 1.15≤S1/S2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S1/S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S1/S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1/S2≤40.0이어도 좋고, S1/S2≤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S1/S2≤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S1/S2≤7.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stiffness of the base film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according to 6.10.3 Gurley method of JIS L 1085: 1998 (measurement of stiffness). Lecture diagram of a base film is, 1.15≤S 1 / S 2 is desirable and, 2.00≤S 1 / S 2 is more preferable and, 3.00≤S 1 / S 2 is more preferable. S 1 / S 2 may be a ≤40.0, S 1 / S 2 ≤20.0 which it is desirable and is more preferably, S 1 / S 2 is more preferred, and ≤10.0, S 1 / S 2 it is ≤7.00.

상기 어느 실시형태의 적층체(10)도, 제1 기재 필름(1A)을 제1 광학 기능층(2A)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즉, 제1 기재 필름(1A)을 잡고 이것을 박리하도록 인장한 경우에, 파팅이나 지핑 등이 생기지 않고 우선적으로 제1 기재 필름(1A)을 박리할 수 있다. 또, 적층체(10)가 배향막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제1 기재 필름(1A)을 박리」한 경우에 제1 기재 필름(1A)측에 배향막이 잔류하고 있어도 좋고, 제1 광학 기능층(2A)측에 배향막이 잔류하고 있어도 좋다. The laminated body 10 of any said embodiment can also peel 1 A of 1st base films from 2 A of 1st optical function layers. That is, when holding the 1st base film 1A and pulling so that it may peel, parting, zipping, etc. do not arise and 1 A of 1st base films can be peeled preferentially. Moreover, when the laminated body 10 is equipped with the orientation film, the orientation film may remain on the 1st base film 1A side, when said "1 A of 1st base films are peeled", and the 1st optical The alignment film may remain on the functional layer 2A side.

여기서, 「파팅」이란, 적층체(10) 중 원하는 계면(제1 기재 필름(1A)과 제1 광학 기능층(2A) 사이)에서 박리되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제2 기재 필름(1B)과 제2 광학 기능층(2B) 사이에서 박리되거나, 접착제층(3)(또는 점착제층)의 부분에서 박리되어 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지핑」이란, 제1 기재 필름(1A)을 박리할 때에, 일정한 박리력으로 박리할 수 없고, 부분적으로 박리력이 무거워져, 제1 또는 제2 광학 기능층(2A, 2B)에 크랙 등의 결함이 생겨 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Here, "parting" not only does not peel at the desired interface (between the 1st base film 1A and the 1st optical function layer 2A) in the laminated body 10, but also partially 2nd base film 1B )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2B, or i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adhesive layer 3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With "zipping", when peeling 1 A of 1st base film 1A, it cannot peel with fixed peeling force, peeling force becomes heavy partially, and cracks etc. in 1st or 2nd optical function layer 2A, 2B. refers to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이하, 각 층의 상세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ail of each lay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laminated body are demonstrated.

<기재 필름><Base film>

기재 필름(제1 및 제2 기재 필름(1A, 1B))은, 이형성 지지체로서 기능하며, 전사용의 광학 기능층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이 박리 가능한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로는,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은, 예컨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The base film (1st and 2nd base film 1A, 1B) functions as a releasability support body, and can support the optical function layer for transcription|transfer.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has the adhesive force of the grade which can peel. The substrate may be a light-transmitting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The base film includes, for example,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chain polyolefin-based resins (polypropylene-based resins, etc.) and cyclic polyolefin-based resins (norbornene-based resins, etc.);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and di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based resins such as methyl methacrylate-based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crylonitrile-styrene-based resin;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acetal-based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polysulfone-based resins; polyether sulfone-based resin; polyarylate-based resin; polyamideimide-based resin; It may be a film made of a polyimide-based resin or the like.

기재 필름의 두께로는, 5 μm 이상 200 μ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μm 이상 150 μ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μm 이상 120 μm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가 5 μm 이상이면 강도가 부여된다. 한편, 두께가 200 μm 이하이면, 기재 필름을 재단 가공하여 매엽의 기재 필름으로 함에 있어서, 가공 부스러기의 증가, 재단날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As thickness of a base fil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5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10 micrometers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range of 20 micrometers or more and 120 micrometers or less. Strength is provided as the thickness of a base film is 5 micrometers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is 200 µm or less, cutting the base film to obtain a single-leaf base film, an increase in processing chips and abrasion of the cutting blade can be suppressed.

기재 필름은 시판품 중에서 원하는 두께의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공지의 수단에 의해, 원하는 두께의 기재 필름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공지의 수단으로는, 용융 압출법이나 용액 캐스트법 등을 들 수 있다. The base film may select an appropriate thing of a desired thickness from a commercial item, and it is good also considering the above thermoplastic resins as a base film of a desired thickness by a well-known means. As such a well-known means, a melt extrusion method, a solution casting method, etc. are mentioned.

또, 기재 필름은, 여러가지 블로킹 방지 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블로킹 방지 처리로는, 예컨대, 이접착 처리, 필러 등을 이겨 넣는 처리, 엠보스 가공(널링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 방지 처리를 기재 필름에 대하여 실시함으로써, 기재 필름을 권취할 때의 기재 필름끼리 달라붙는, 소위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 방지 처리를 실시한 기재 필름은 예컨대, 장척형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기재 필름 상에 광학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재 필름 및 광학 기능층을 구비한 필름의 생산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Moreover, various blocking prevention processes may be given to the base film. As an anti-blocking process, an easily bonding process, the process of kneading a filler etc., an embossing process (knurling proces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By performing such a blocking prevention process with respect to a base film, the so-called blocking that the base films at the time of winding up a base film stick together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Since an optical function layer can be continuously formed on a base film by using the base film which performed such antiblocking process, for example, by using a long thing, productivity of the film provided with a base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tends to become favorable. There is this.

또, 기재 필름은, 연신되어 있어도 좋고,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좋다. Moreover, the base film may be extended|stretched and may have retardation.

<광학 기능층><Optical functional layer>

광학 기능층(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2A, 2B))은,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층이다. 광학 기능층은,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편광 소자층이어도 좋고, 위상차를 갖는 층(위상차층)이어도 좋다.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2A, 2B)의 한쪽이 편광 소자층 또는 위상차층이어도 좋고, 양쪽이 편광 소자층 또는 위상차층이어도 좋다. 또한, 광학 기능층은, 편광 소자층이나 위상차층을 복수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The optical function layer (1st and 2nd optical function layer 2A, 2B) is a layer containing the layer which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mentioned later hardened|cured. The optical function layer may be, for example, a polarizing element layer described below, or a layer having a phase difference (retardation layer). A polarizing element layer or retardation layer may be sufficient as one of 1st and 2nd optical function layer 2A, 2B, and a polarizing element layer or retardation layer may be sufficient as both. Moreover, the optical function layer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polarizing element layers and retardation layers.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체에 포함되는 광학 기능층의 하나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 소자층(박막 편광자)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광 소자층도 통상,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것이 원편광판의 제조 등에 적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으로서, 서로 다른 박막 편광자를 접착함으로써, 다층으로 이루어진 편광 소자층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위상차층과 편광 소자층을 접착함으로써 얻어지는 원편광판은 산업상 이용 가치가 크기 때문에,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 중의 한쪽이 위상차층이고, 다른쪽이 편광 소자층을 이용한 원편광판인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는 매우 유용하다. 이하, 이 편광 소자층 및 위상차층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one of the optical functional layers included in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element layer (thin film polarizer)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may be applied. Since such a polarizing element layer is also generally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med on a base film,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njoyed. In addition, as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unctional layer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ultilayer polarizing element layer by adhering different thin film polarizers. is large,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s is a retardation layer and the other is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using a polarizing element layer. WHEREIN: The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is very useful. Hereinafter, this polarizing element layer and retardation layer are demonstrated briefly.

(편광 소자층)(Polarizing element layer)

편광 소자층은, 그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흡수형의 편광 필름일 수 있다. The polarizing element layer may be an absorption type polarizing film having a property of absorb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and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have.

편광 소자층의 두께는 통상 30 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 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μ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 μm 이하이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통상 1 μm 이상이며, 2 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element layer is usually 30 µm or less, preferably 15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3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0 µm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8 µm or less. The thickness of a polarizing film is 1 micrometer or more normal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micrometers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micrometers or more.

편광 소자층으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한 경화막 중에 이색성 색소가 배향된 것을 사용해도 좋다. As a polarizing element laye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you may use what the dichroic dye orientated in the cured film which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superposed|polymerized, for example.

이색성 색소로는, 파장 380∼800 nm의 범위 내에 흡수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예컨대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배향된 채로 중합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중합성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WO2011/02489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액정성을 갖는 이색성 색소로 편광 필름을 형성해도 좋다. As a dichroic dye, what has absorption with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800 nm can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organic dye. As a dichroic dye, an azo compound is mentioned, for example.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can superpose|polymerize with orientation, and may have a polymeric group in a molecule|numerator. Moreover, as described in WO2011/024891, you may form a polarizing film with the dichroic dye which has liquid crystallinity.

(위상차층)(retardation layer)

위상차층은, 공지의 λ/2판, λ/4판, 역파장 분산성의 λ/4판, 포지티브 A 플레이트,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네거티브 A 플레이트,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 복수가 적층된 것이어도 좋다. As the retardation layer, a known λ/2 plate, λ/4 plate, λ/4 plate with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positive A plate, positive C plate, negative A plate, negative C plate, etc. can be used, and a plurality of these can be used. It may be laminated.

위상차층이 A 플레이트 또는 C 플레이트인 경우, 두께는 0.1 μm 이상 5 μm 이하로 할 수 있다. A 플레이트 및 C 플레이트의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지고, 적층체의 박층화에 공헌할 수 있다. 당연히, A 플레이트 및 C 플레이트의 두께는,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 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의 원하는 면내 위상차치,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가 얻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When the retardation layer is an A plate or a C plate, the thickness may be 0.1 µm or more and 5 µ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A plate and the C plate is within this range, sufficient durability can be obtained and it can contribute to thinning of the laminate. Naturally, the thickness of the A plate and the C plate depends on the desired in-plane retardation value of a layer imparting a retardation of λ/4, a layer imparting a retardation of λ/2, a positive A plate or a positive C plate, and a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adjusted to obtain a value.

위상차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형상으로부터, 막대형 타입(막대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타입(원반형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저분자 타입과 고분자 타입이 있다. 또, 고분자란,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100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분자 물리·상전이 다이나믹스, 도이 마사오 저, 2페이지, 이와나미 서점, 1992).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with respect to the kind of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used for formation of retardation layer, According to the shape, it is classified into a rod-shaped type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k-shaped type (disk-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discotic liquid crystal compound). can do. Also, there are a low molecular type and a high molecular type, respectively. In addition, a polymer generally refers to a polymer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 or more (Physical/Phase Change Dynamics of Polymer, Masao Doi, page 2, Iwanami Bookstore, 1992).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막대형 액정 화합물이나, 2종 이상의 원반형 액정 화합물, 또는 막대형 액정 화합물과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any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used. In addition, two or more types of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s, two or more types of disk-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s, or a mixture of a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k-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used.

또, 막대형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표 평11-513019호 공보의 청구항 1, 또는, 일본특허공개 제2005-289980호 공보의 단락[0026]∼[009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형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제2007-108732호 공보의 단락[0020]∼[0067], 또는, 일본특허공개 제2010-244038호 공보의 단락[0013]∼[0108]에 기재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as the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paragraphs [0026] to [0098]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1-513019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89980 can be suitably used. can As the discoid liquid crystal compound,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paragraphs [0020] to [0067]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08732, or paragraphs [0013] to [0108]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44038 can be used appropriately.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그 경우, 적어도 1종류가 분자 내에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고 있다. 즉,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더 이상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In that case, at least 1 type has 2 or more polymeric groups in a molecule|numerato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which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cured is a layer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has a polymeric group was formed by superposition|polymerization. In this case,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exhibit liquid crystallinity after being layere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 반응을 할 수 있는 중합성기를 갖는다. 중합성기로는, 예컨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기나 고리 중합성기 등의 부가 중합 반응이 가능한 작용기가 바람직하다.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as a polymerizable group capable of a polymerization reaction. As the polymerizable group, for example,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an addition polymerization reaction such as a polymerizable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 or a ring polymerizable group is preferable.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성기로는, 예컨대, 에폭시기,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 (메트)아크릴로일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로일기란,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아크릴로일기의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s, for example, an epoxy group, a vinyl group, a vinyloxy group, a 1-chlorovinyl group, an isopropenyl group, a 4-vinylphenyl group, an oxiranyl group and an oxetanyl group, and a (meth)acryloyl group. , a styryl group, an allyl group,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a (meth)acryloyl group is preferable. In addition, a (meth)acryloyl group is a concept containing both a methacryloyl group and an acryloyl group.

<기재 필름 및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원료 적층체(부호 5A, 5B))><Laminate body provided with base film and optical function layer (raw material laminated body (symbols 5A, 5B))>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는, 기재 필름 및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원료 적층체를 2종(제1 기재 필름 및 제1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와, 제2 기재 필름 및 제2 광학 기능층을 구비하는 적층체), 식(1) 및 식(2)를 만족하도록, 혹은, 식(1) 및 식(3)을 만족하도록 하여 선택하고, 예컨대, 후술하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As for the laminated body of this embodiment, 2 types of raw material laminated bodies provided with a base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a laminated body provided with a 1st base film and a 1st optical function layer, a 2nd base film, and a 2nd optical function) layer having a layer), selected to satisfy Formulas (1) and (2), or to satisfy Formulas (1) and (3), for exampl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이용하는 2종의 기재 필름(제1 및 제2 기재 필름)은, 이미 설명한 두께 측정에 의해 각각의 두께를 구하고, 식(2)를 만족하도록 하여 선택한다. 또한, 이것도 이미 설명한 강연도 측정에 의해 각각의 강연도를 구하고, 식(3)을 만족하도록 하여 선택한다. 2종의 기재 필름 각각의 두께 및 강연도를 구하고, 식(2) 및 식(3)을 모두 만족하도록 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Two types of base film (1st and 2nd base film) to be used calculate|require each thickness by the thickness measurement already demonstrated, and make it satisfy|fill Formula (2), and select it. In addition, each of the stiffness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tiffness already described, and it is selected so as to satisfy Equation (3).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thickness and stiffness of each of the two types of base films, and to select them so as to satisfy both Expressions (2) and (3).

기재 필름 상에 광학 기능층을 형성함으로써 원료 적층체를 형성한다. 원료 적층체의 면내 박리력은,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나 광학 기능층의 형성 수단의 차에 의해 변한다. 또한, 광학 기능층이 편광 소자층인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함께 이용하는 이색성 색소의 종류에 따라서도 면내 박리력이 변한다. 나아가, 광학 기능층의 형성에 배향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배향막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서도 변하는 경우가 있다. A raw material laminate is formed by forming an optical function layer on a base film. The in-plane peeling force of the raw material layered product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forming the optical function layer or the difference in the means for forming the optical function layer. Moreover, when an optical function layer is a polarizing element layer, in-plane peeling force changes also with the kind of dichroic dye used together with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Furthermore, when an alignment film is used for formation of an optical function layer, it may change also with the kind and thickness of this alignment film.

따라서, 원하는 위상차층 및 편광 소자층의 종류에 따라,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나 이색성 색소(경우에 따라, 함께 이용하는 배향막)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여러가지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이들 여러가지 기재 필름 상에 광학 기능층을 형성시킨 원료 적층체의 면내 박리력을 상기 면내 박리력 측정에서 구하는 적당한 예비 실험에 의해, 2종의 원료 적층체를 선별한다. 물론, 이 때의 기재 필름의 두께나 강연도가, 식(2) 및/또는 식(3)을 만족하도록 하여 선별된 것은 물론이다. Therefore,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r the dichroic dye (orienting film used together in some cases) to be us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red retardation layer and the type of the polarizing element layer, various base films are used to form these various base films Two kinds of raw material laminates are selected by an appropriate preliminary experiment for determining the in-plane peeling force of the raw material laminate in which the optical function layer is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in-plane peeling force measurement. Of cour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hickness and stiffness of the base film at this time satisfies Formula (2) and/or Formula (3), and was selected.

예비 실험은 원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2종의 원료 적층체와 동일한 구성의 원료 적층체의 시험편을 준비하고, 이 시험편의 면내 박리력을 측정하여 원료 적층체를 선별할 수도 있다. 혹은, 원하는 적층체로서 장척형의 것을 얻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적층체를 형성하는 2종의 장척형의 원료 적층체의 각각으로부터 매엽의 시험편을 절취하고, 절취한 시험편을 이용하여 면내 박리력을 측정하는 예비 실험을 실시해도 좋다.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a test piece of a raw material laminat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wo kinds of raw material laminate is prepared to form a desired laminate, and the raw material laminate can be selected by measuring the in-plane peeling force of the test piece. Alternatively, when it is desired to obtain an elongated product as a desired laminate, a single sheet specimen is cut from each of the two long raw material laminates forming the laminate, and the in-plane peel force is measured using the cut specimen. You may conduct a preliminary experiment to measure.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점착제층으로는 후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As an adhesive agent which forms an adhesive bond layer, a water-based adhesive agent,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or a thermosetting adhesive agent can be used, Preferably they are a water-system adhesive agent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What will be mentioned later can be used as an adhesive layer.

수계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접착제, 수계 이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콜 호모폴리머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콜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알데히드 화합물(글리옥살 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민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an adhesive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d a water-based two-part type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Among them, a water-based adhesive composed of an aqueou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is preferably used.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addition to a vinyl alcohol hom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 polyvinyl alcohol-based c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Coalescing or a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obtained by partially modifying a hydroxyl group thereof can be used. The water-based adhesive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aldehyde compound (glyoxal or the like), an epoxy compound, a melamine compound, a methylol compound, an isocyanate compound, an amine compound, or a polyvalent metal salt.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광학 기능층끼리 접합한 후, 수계 접착제 중에 포함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후, 예컨대 20∼45℃의 온도에서 양생하는 양생 공정을 마련해도 좋다. When using a water-system adhesive agent, after bonding optical function layers togeth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drying process for removing the water contained in a water-system adhesive agent. After the drying step, for example, a curing step of curing at a temperature of 20 to 45°C may be provided.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예컨대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나, 이들 모노머에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과 같은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sai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is an adhesive agent containing a sclerosing|hardenable compound hardened|cured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an ultraviolet-ray, a visible light, an electron beam, and X-ray, Preferably it is a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agent. Examples thereof include those containing a 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ose containing a photoreactive resin, those containing a binder resin and a photoreactive crosslinking agent, and the like. As said polymeric compound,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a photocurable epoxy type monomer, a photocurable acrylic type monomer, and a photocurable urethane type monomer, the oligomer derived from these monomers, etc. are mentioned.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those containing a substance that generates active species such as neutral radicals, anionic radicals, and cationic radicals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0.1 μm 이상 25 μ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μm 이상 2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μm 이상 15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μm 이상 10 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μm 이상 5 μm 이하이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0.1 µm or more and 25 µm or less, preferably 0.5 µm or more and 2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 µm or more and 15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2 µm or more and 10 µ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Usually 2.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점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 대신 이용할 수 있는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3∼30 μm이며, 바람직하게는 3∼25 μm이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can be used instead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inly containing a resin such as (meth)acrylic, rubber, urethane, ester, silicone, or polyvinyl ether. Especially,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uses the (meth)acrylic-type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as a base polymer is suitable.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may be sufficient as an adhesive composition.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layer is 3-30 micrometers normally, Preferably it is 3-25 micrometers.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적층체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을 준비하고, 그 위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공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 상태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필름, 배향막, 광학 기능층이 적층된 전사형 광학 기능막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2장의 전사형 광학 기능막을, 광학 기능층끼리 마주보도록 하여 접착제층(또는 점착제층)으로 접합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A laminate can be manufactured as follows. A base film is prepared, an alignment film is formed thereon, and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oated on the alignment film.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in a state in which it is oriented to hard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this way,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membrane in which the base film, an orientation film,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were laminated|stacked can be produced. And the laminated body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two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s with an adhesive bond layer (or an adhesive layer) with optical function layers facing each other.

여기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상기와 같이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배향막 상에 형성하는 것 외에, 기재 필름 상에 직접 형성해도 좋지만, 배향막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ayer in which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ured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base film in addition to being formed on the alignment film formed on the base film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alignment film.

또,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에 한정되지 않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수평 배향시키는 배향막이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분자축을 경사 배향시키는 배향막이어도 좋다. A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평 배향막을 사용할 수 있고, C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직 배향막을 사용할 수 있다. 배향막으로는,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가지며, 또한, 용매의 제거나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배향막, 광배향막 및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 배향시키는 그루브 배향막을 들 수 있다. 배향막의 두께는, A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경우, 10 nm∼50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nm∼20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향막의 두께는, C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경우 500 nm∼1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 μm∼4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기재 필름과 제1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제2 기재 필름과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의 관계가 식(1)을 만족하도록 배향막의 두께를 조정하면 된다. 또한, 면내 박리력은,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의 조건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The alignment film is not limited to the vertical alignment film, and may be an alignment film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horizontally aligned, or an alignment film in which the molecular axis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tilte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A plate, a horizontal alignment layer may be used, 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C plate, a vertical alignment layer may be used. The alignment film preferably has solvent resistance that does not dissolve due to coating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has heat resistance in heat treatment for removal of the solvent or alignment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Examples of the alignment film include an alignment film containing an alignment polymer, a photo-alignment film, and a groove alignment film in which an uneven pattern or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to orientate. When producing an A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10 nm - 500 nm, and, as for the thickness of an orientation fil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0 nm - 200 nm.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is preferably 500 nm to 10 µm, more preferably 1 µm to 4 µm, when a C plate is produced. First a base film and a first optical function and the in-plane peeling strength P 1 between laye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optically functional plane peeling strength P 2 between the formula (1), the alignment film thickness so as to satisfy the between layer Adjust it. In addition, the in-plane peeling force can be adjusted also by changing the conditions of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and plasma treatment.

배향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 배향을 용이하게 한다. 수평 배향, 수직 배향, 하이브리드 배향, 경사 배향 등의 액정 배향의 상태는, 배향막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변화하고, 그 조합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배향막이 배향 규제력으로서 수평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수평 배향 또는 하이브리드 배향을 형성할 수 있고, 수직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수직 배향 또는 경사 배향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 「수직」 등의 표현은, 광학 기능층 평면을 기준으로 한 경우, 막대형 액정 화합물의 경우는, 배향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의 방향을 나타내고,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경우는, 원반면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수평 배향이란, 광학 기능층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막대형 액정 화합물의 경우는, 배향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을 갖는 배향이며,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경우는, 원반면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 배향이다. 여기서 말하는 「평행」이란, 광학 기능층 평면에 대하여 0°±20°의 각도를 의미한다. 수직 배향이란, 광학 기능층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막대형 액정 화합물의 경우는, 배향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을 갖는 배향을 말하며, 원반형 액정 화합물의 경우는, 원반면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 배향이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이란, 광학 기능층 평면에 대하여 90°±20°의 각도를 의미한다. The alignment film facilitates liquid crystal alignmen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state of liquid crystal alignment such as horizontal alignment, vertical alignment, hybrid alignment, and oblique alignment change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alignment film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If the alignment layer is a material that expresses horizontal alignment as an orientation regulating force,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form horizontal alignment or hybrid alignment. can Expressions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align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the case of a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when the optical function layer plane is taken as a reference, and in the case of a disk-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Indicate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disk. Horizontal alignment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optical function layer, in the case of a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has the long axis of the align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in the case of a disk-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k plane orientation that has "Parallel" as used herein means an angle of 0°±20° with respect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plane. The vertical alignment refers to an orientation having a long axis of the align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optical function layer, in the case of a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and in the case of a disk-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k plane orientation with . "Perpendicular" as used herein means an angle of 90°±20° with respect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plane.

배향막은 통상, 수지를 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러빙 처리나 편광 자외선을 조사하는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배향막의 종류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기재 필름과 광학 기능층의 면내 박리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사형 광학 기능막에 있어서, 배향막을 형성하는 조성물로서 동일한 조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향막의 두께는 전술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orientation film can be formed by apply|coating the composition which melt|dissolved resin in the solvent to the base film normally, and removing the solvent. Moreover, a rubbing process or the process of irradiating a polarization|polarized-light ultraviolet-ray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kind and thickness of an orientation film, the in-plane peeling force of a base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can be adjusted. Specifically, in the two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me composition as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lignment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is preferably set in the above-mentioned range.

배향막에 이용하는 수지로는, 공지의 배향막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공지의 단작용 또는 다작용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중합 개시제하에 경화시킨 경화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컨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 2-에틸헥실에테르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수지로는, 이들의 1종류이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The resin used for the alignment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known resin used as a material for the alignment film, and a cured product obtained by curing a conventionally known monofunctional or polyfunctional (meth)acrylate monomer und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can Specifically, as the (meth)acrylate-based monomer, for example, 2-ethylhex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diethylene glycol mono 2-ethylhexyl ether acrylate, diethylene glycol monophenyl ether 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monophenyl ether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lauryl acrylate, lauryl methacrylate, isobornyl 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2-phenoxyethyl acrylate, tetrahydrofurfur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benzyl acrylate, 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benz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urethane acrylate etc. can be exemplified. Moreover, as resin, these 1 type may be sufficient and a mixture of 2 or more types may be sufficient as them.

광배향막은,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광반응성기란, 광조사하는 것에 의해 액정 배향능이 생기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조사에 의해 생기는 분자의 배향 유기 또는 이성화 반응, 이량화 반응, 광가교 반응 혹은 광분해 반응 등의 액정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량화 반응 또는 광가교 반응에 관여하는 기가, 배향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광반응성기로서,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C=O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photo-alignment layer is formed of a composition including a polymer or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and a solvent. A photoreactive group means group in which liquid-crystal orientation ability arises by light irradiation. Specific examples include groups involved in photoreactions that are the origin of liquid crystal alignment ability, such as orientation induction or isomerization reaction, dimerization reaction, photocrosslinking reaction, or photolysis reaction of molecules generated by light irradiation. Especially, the group which participates in a dimerization reaction or a photocrosslinking reaction is preferable at the point excellent in orientation. As the photoreactive group, a group having an unsaturated bond, particularly a double bond, is preferable, and a carbon-carbon double bond (C=C bond), a carbon-nitrogen double bond (C=N bond), a nitrogen-nitrogen double bond (N=N A group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nd) and a carbon-oxygen double bond (C=O bond) is particularly preferred.

C=C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는, 비닐기, 폴리엔기, 스틸벤기, 스틸바졸기, 스틸바졸륨기, 칼콘기 및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C=N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는, 방향족 시프 염기, 방향족 히드라존 등의 구조를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N=N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는, 아조벤젠기, 아조나프탈렌기, 방향족 복소환 아조기, 비스아조기, 포르마잔기 및 아족시벤젠 구조를 갖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C=O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는, 벤조페논기, 쿠마린기, 안트라퀴논기 및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알릴옥시기, 시아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히드록실기, 술폰산기, 할로겐화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C bond include a vinyl group, a polyene group, a stilbene group, a stilbazole group, a stilbazolium group, a chalcone group, and a cinnamoyl group.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N bond include a group having a structure such as an aromatic Cifu base and an aromatic hydrazone.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n N=N bond include an azobenzene group, an azonaphthalene group, an aromatic heterocyclic azo group, a bisazo group, a formazan group, and a group having an azoxybenzene structure.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O bond include a benzophenone group, a coumarin group, an anthraquinone group, and a maleimide group. These groups may have a substituent such as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 aryl group, an allyloxy group, a cyano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a hydroxyl group, a sulfonic acid group, or a halogenated alkyl group.

그 중에서도, 광이량화 반응에 관여하는 광반응성기가 바람직하고, 광배향에 필요한 편광 조사량이 비교적 적고 열안정성이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광배향막이 얻어지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신나모일기 및 칼콘기가 바람직하다.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로는, 상기 폴리머 측쇄의 말단부가 계피산 구조가 되는 신나모일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mong them, a photoreactive group involved in the photodimerization reaction is preferable, and a cinnamoyl group and a chalcone group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mount of polarized light required for photo-alignment is relatively small and a photo-alignment film excellent in thermal stability and temporal stability is easily obtained. . As the poly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one having a cinnamoyl group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olymer side chain becomes a cinnamic acid structure is particularly preferable.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예컨대 배향막 상에 도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기재 필름 또는 배향막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 CAP 코팅법, 슬릿코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법, 다이코팅법,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딥코터, 바코터, 스핀코터 등의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롤 투 롤 형식으로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법, 잉크젯법, 슬릿코팅법, 다이코팅법에 의한 도포 방법이 바람직하고, 기재 필름이 매엽형인 경우에는, 균일성이 높은 스핀코팅법이 바람직하다. 롤 투 롤 형식으로 도포하는 경우, 기재 필름에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등을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하고, 또한 얻어진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도포할 수도 있다. The layer in which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ardened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co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n an alignment film,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method of applying the composition on the base film or alignment layer, extrusion coating method, direct gravure coating method, reverse gravure coating method, CAP coating method, slit coating method, micro gravure method, die coating method, inkjet method, etc. are mentioned. can Moreover, the method of apply|coating using coaters, such as a dip coater, a bar coater, and a spin coater,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in the case of continuous application in a roll-to-roll format, a coating method by a microgravure method, an inkjet method, a slit coating method, or a die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A coating method is preferred. When applying in a roll-to-roll format,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hoto-alignment film for forming an alignment film on the base film is applied to form an alignment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may be continuously applied on the obtained alignment film.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광학 기능층>의 항목에서 예를 든 중합성 액정 화합물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형식에 따라서, 예컨대,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가 선택된다. 예컨대, 광중합 개시제로는, α-카르보닐 화합물, 아실로인에테르, α-탄화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트리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도공액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1∼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said composition, components other than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quoted by the item of the said <optical function layer> may be contained. For example, th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is, for example,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photoinitiator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ization reaction. For example,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α-carbonyl compound, acyl ether, α-hydrocarbon substituted aromatic acyloin compound, polynuclear quinone compound, oxime ester compound, triarylimidazole dimer and p-aminophenyl ketone combination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01-20 mass % with respect to the total solid in the said coating liquid, and, as for the usage-amou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5-5 mass %.

광중합 개시제로서 시판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시판하는 광중합 개시제로는, 이가큐어(Irgacure)(등록상표) 907, 184, 651, 819, 250 및 369, 379, 127, 754, OXE01, OXE02, OXE03(치바·스페셜티·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세이쿠올(등록상표) BZ, Z 및 BEE(세이코 화학 주식회사 제조); 카야큐어(kayacure)(등록상표) BP100, 및 UVI-6992(다우·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52, N-1717, N-1919, SP-170, 아데카 아클스 NCI-831, 아데카 아클스 NCI-930(주식회사 ADEKA 제조); TAZ-A, 및 TAZ-PP(닛폰 시버 헤그너 주식회사 제조); 및, TAZ-104(주식회사 산와 케미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는, 1종류이어도 좋고, 광의 광원에 따라 2종류 이상의 복수의 광중합 개시제를 혼합해도 좋다. A commercially available thing can be used as a photoinitiator. Commercially available photoinitiators include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907, 184, 651, 819, 250 and 369, 379, 127, 754, OXE01, OXE02, OXE03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Seikuol (registered trademark) BZ, Z and BEE (manufactured by Seiko Chemical Co., Ltd.); kayacure (registered trademark) BP100, and UVI-6992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 Ltd.); ADEKA OPTOMER SP-152, N-1717, N-1919, SP-170, ADEKA ARCLS NCI-831, ADEKA ARCLS NCI-930 (manufactured by ADEKA Corporation); TAZ-A, and TAZ-PP (manufactured by Nippon Seaver Hegner Co., Ltd.); and TAZ-104 (manufactured by Sanwa Chemical Co., Ltd.); and the like. One type may be sufficient as the photoinitiator in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two or more types of several photoinitiators may be mixed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of light.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중합성 모노머로는, 라디칼 중합성 또는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작용성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lymerizable monomer may be contained in the said composition from the point of the uniformity of a coating film, and the intensity|strength of a film|membrane. As a polymerizable monomer, a radically polymerizable or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s mentioned. Especially, a polyfunctional radically polymerizable monomer is preferable.

또, 중합성 모노머로는, 전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공중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중합성 모노머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제2002-296423호 공보 중의 단락[0018]∼[0020]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모노머의 양은, 함께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하는 액정 상태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다. Moreover, as a polymerizable monomer, what can copolymerize with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mentioned above is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those described in paragraphs [0018] to [0020]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9642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0 mass %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s for the usage-amount of a polymerizable monom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30 mass %. The amoun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is determined so that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used together can express a desired liquid crystal state.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계면 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계면 활성제로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계면 활성제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제2001-330725호 공보 중의 단락[0028]∼[0056]에 기재된 화합물, 일본특허공개 제2005-62673호 공보 중의 단락[0069]∼[012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Moreover, surfactant may be contained in the said composition from the point of the uniformity of a coating film, and the intensity|strength of a film|membrane. As surfactant, a conventionally well-known compound is mentioned. Among them, a fluorine-based compound is particularly preferable. Specific surfactants include, for example, the compounds described in paragraphs [0028] to [0056]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30725, and the compounds described in paragraphs [0069] to [0126]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62673. compounds can be mentioned.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Moreover, the solvent may be contained in the said composition, and an organic solvent is used preferably.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콜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함유 용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아미드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ethylene glycol, iso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ethylene glycol but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γ-butyrolactone or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and ethyl lactate;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2-heptan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pentane, hexane and heptane;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xylene; nitrile solvents such as acetonitrile;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and dimethoxyethane; chlorine-containing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chlorobenzene; and amide solvents such as dimethylacetamide, dimethylformamide, N-methyl-2-pyrrolidone, and 1,3-dimethyl-2-imidazolidinone. These solv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편광 필름 계면측 수직 배향제, 공기 계면측 수직 배향제 등의 수직 배향 촉진제, 및, 편광 필름 계면측 수평 배향제, 공기 계면측 수평 배향제 등의 수평 배향 촉진제와 같은 각종 배향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밀착 개량제, 가소제,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composition, a vertical alignment accelerator such as a polarizing film interface side vertical alignment agent and an air interface side vertical alignment agent, and various horizontal alignment accelerators such as a polarizing film interface side horizontal alignment agent and an air interface side horizontal alignment agent An aligning agent may be contained. Moreover, in the said composition, the adhesion improving agent, a plasticizer, a polymer, etc. may be contained in addition to the said component.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Polymerization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방법으로는 광중합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은, 기재 필름 또는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액정 조성물이 도포된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특히,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광중합성 작용기의 종류),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 및 이들의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 자외광, 적외광, X선, α선, β선 및 γ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광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반응의 진행을 제어하기 쉬운 점, 및 광중합 장치로서 당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자외광이 바람직하고, 자외광에 의해 광중합 가능하도록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method of polymeriz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photopolymerization is preferable. Photopolymerization is performed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to the laminated body to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was apply|coated with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base film or an orientation film.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to be irradiated include the typ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dry film (in particular, the type of the photo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type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ase of containing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se It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amount. Specifically, one or more types of ligh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sible light, ultraviolet light, infrared light, X-rays, α-rays, β-rays and γ-rays can be mentioned. Among them, ultraviolet light is preferable, and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capable of being photopolymerized by ultraviolet light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easy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d that one wide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as the photopolymerization devic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type of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으로는, 예컨대, 저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카본 아크등, 텅스텐 램프, 갈륨 램프, 엑시머 레이저, 파장 범위 380 nm 이상 440 nm 이하를 발광하는 LED 광원,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light source of the active energy ray, for exampl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xenon lamp, a halogen lamp, a carbon arc lamp, a tungsten lamp, a gallium lamp, an excimer laser, a wavelength range of 380 nm or more LED light sources emitting 440 nm or less of light, chemical lamps, black light lamps, microwave-excited mercury lamps, metal halide lamps, etc. are mentioned.

자외선 조사 강도는, 통상 10 mW/㎠ 이상 3,000 mW/㎠ 이하이다. The ultraviolet irradiation intensity is normally 10 mW/cm<2> or more and 3,000 mW/cm<2> or less.

자외선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에서의 강도이다. 광을 조사하는 시간은, 통상 0.1초 이상 10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초 이상 5분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초 이상 3분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초 이상 1분 이하이다. 이러한 자외선 조사 강도로 1회 또는 복수회 조사하면, 그 적산광량은 10 mJ/㎠ 이상 3,000 mJ/㎠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mJ/㎠ 이상 2,000 mJ/㎠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J/㎠ 이상 1,000 mJ/㎠ 이하이다. 적산광량이 이 범위 내인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가 충분해지고, 양호한 전사성이 얻어지기 쉬워지고, 광학 적층체의 착색을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Ultraviolet irradiation intensity|strength, Preferably it is intensity|str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effective for activation of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light irradiation time is usually 0.1 second or more and 10 minutes or less, preferably 0.1 second or more and 5 minutes or less, more preferably 0.1 second or more and 3 minute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1 second or more and 1 minute or less. . When irradiated once or plural times with such ultraviolet irradiation intensity,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s 10 mJ/cm 2 or more and 3,000 mJ/cm 2 or less, preferably 50 mJ/cm 2 or more and 2,000 mJ/cm 2 or less, More preferably 100 mJ/cm 2 It is more than 1,000 mJ/cm<2> or less. When the amount of accumulated light is within this range, curing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becomes sufficient, good transferability is easily obtained, and there exists a tendency for it to become easy to suppress coloring of an optical laminated body.

접착제층은, 점착제,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이어도 좋다. 접착제층은, 접착제 조성물을 접합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다이코터, 콤마코터, 리버스롤코터, 그라비아코터, 로드코터, 와이어바코터, 닥터블레이드코터, 에어닥터코터 등을 이용한 통상의 코팅 기술을 채용하면 된다.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an adhesive, or a combination thereof. Although the adhesive bond layer is normally one layer, two or more layers may be sufficient as it. An adhesive bond layer can be formed by apply|coating an adhesive composition to a bonding surface. As a coating method, a conventional coating technique using a die coater, a comma coater, a reverse roll coater, a gravure coater, a rod coater, a wire bar coater, a doctor blade coater, an air doctor coater, etc. may be employed.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한 전사형 광학 기능막을 2장 준비하고, 이들 광학 기능층끼리를 접착제층(또는 점착제층)으로 접합함으로써 적층체의 제조가 완료된다. By preparing two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s produced as mentioned above, and bonding these optical function layers with an adhesive bond layer (or adhesive layer), manufacture of a laminated body is completed.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at all to the said embodimen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and "part" in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are mass % and a mass part, unless otherwise indicated.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장치 및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The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used in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re as follows.

·코로나 처리 장치에는, 카스카 전기 주식회사 제조의 AGF-B10을 이용했다. - AGF-B10 by Kasuka Electric Co., Ltd. was used for the corona treatment apparatus.

·코로나 처리는, 상기 코로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의 조건으로 1회 행했다. - 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ce using the said corona treatment apparatus on the conditions of output 0.3 kW and a processing speed of 3 m/min.

·편광 UV 조사 장치에는, 우시오 전기 주식회사 제조의 편광자 유닛 부착 SPOT CURESP-7을 이용했다. - The Ushio Electric Co., Ltd. product SPOT CURESP-7 with a polarizer unit was used for a polarization UV irradiation apparatus.

·고압 수은 램프에는, 우시오 전기 주식회사 제조의 유니큐어 VB-15201BY-A를 이용했다. - For the high pressure mercury lamp, Ushio Electric Co., Ltd. Uicure VB-15201BY-A was used.

<전사형 광학 기능막 1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orizontal alignment film]

하기 화학 구조를 갖는 광배향성 재료 5부와 시클로펜타논(용제) 95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하는 것에 의해,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기 광배향성 재료는, 일본특허공개 제2013-33248호 공보 기재의 방법으로 합성했다. The composition for horizontal alignment film formation was obtained by mixing 5 parts of photo-alignment materials which have the following chemical structure, and 95 parts of cyclopentanone (solvent), and stirring the obtained mixture at 80 degreeC for 1 hour. The following photo-alignment material was synthesiz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33248.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하기 화학 구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A와,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레벨링제)(BYK-361N; BYK-Chemie사 제조)과, 광중합 개시제(이가큐어 OXE-03;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를 혼합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having the following chemical structure, a polyacrylate compound (leveling agent) (BYK-361N; manufactured by BYK-Chemie),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gacure OXE-03; manufactured by BASF Japan) are mixed, ,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was obtained.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중합성 액정 A는, 일본특허공개 제201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양은, 중합성 액정 A 100부에 대하여 0.01부로 했다.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중합성 액정 A 100부에 대하여 3.0부로 했다. Polymeric liquid crystal A was synthesize|combined by the method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0-31223. The quantity of the polyacrylate compound was made into 0.01 part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A. The quantity of a photoinitiator was made into 3.0 parts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A.

얻어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용제로서 N-메틸-2-피롤리돈(NMP)을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교반했다. 이것을 「도공액」으로 한다. N-methyl-2-pyrrolidone (NMP) was added as a solvent to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obtaine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so that solid content concentration might be 13 %, and it stirred at 80 degreeC for 1 hour. Let this be "coating liquid".

[광학 기능층의 제조][Production of optical functional layer]

기재 필름으로서의 두께 100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했다. 기재 필름의 두께를, 주식회사 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인 MH-15M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기재 필름의 강연도를 JIS L 1085 : 1998의 6.10.3 걸리법에 따라서 산출했다. 이 기재 필름의 표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편광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100 mJ/㎠의 적산광량으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하여 수평 배향막을 얻었다. 얻어진 수평 배향막의 막두께는 122 nm였다.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µm as a base film was prepared.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was measured using MH-15M which is a digital micrometer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In addition, the stiffness of the base film was calculated according to JIS L 1085: 1998 6.10.3 Gurley metho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orizontal alignment layer was applied using a bar coater, dried at 80° C. for 1 minute, and then polarized UV exposure using a polarized UV irradiation device at an accumulated light amount of 100 mJ/cm 2 to obtain a horizontal alignment film. The film thickness of the obtained horizontal alignment film was 122 nm.

수평 배향막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코로나 처리했다. 코로나 처리를 한 배향막 상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도공액을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도공액의 도포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광학 기능층을 형성했다. 광학 기능층은 λ/4판이었다. The surface of the horizontal alignment film was corona-treated using the corona treatment apparatus. The above-mentioned coating solution is applied on the corona-treated alignment layer using a bar coater, dried at 120° C. for 1 minute, and then,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 optical function i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coating surface side of the coating solution. layer was formed. The optical function layer was a λ/4 plate.

이상에 의해, 기재 필름, 배향막, 광학 기능층(위상차를 갖는 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전사형 광학 기능막 1을 얻었다. By the above,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provided with a base film, an orientation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layer which has a phase difference) in this order was obtained.

[면내 박리력의 측정][Measurement of in-plane peel force]

이 전사형 광학 기능막 1의 광학 기능층측에 점착제층(린테크 주식회사 제조 감압식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5 μm)을 접합했다. 이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체로부터, 폭 25 mm×길이 약 150 mm의 시험편을 재단하고, 그 점착제층의 면을 유리판에 접합했다. 시험편의 기재 필름측의 표면인, 시험편에서의 폭 25 mm의 한 변에 박리용 테이프(폭 25 mm×길이 약 180 mm)를 접착했다.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박리용 테이프의 일단을 잡고, 온도 23℃,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하, 크로스헤드 스피드(그립 지그의 이동 속도) 300 mm/분으로, 박리 각도가 180°인 박리 시험을 행하여 면내 박리력을 측정했다. 면내 박리력은, 기재 필름을 일으켜 세운 후, 기재 필름을 광학 기능층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끝날 때까지의 동안에, 힘이 정상 상태가 되었을 때의 박리력으로 했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nufactured by Lintech Co., Ltd., with a thickness of 25 µm) was bonded to the optical function layer side of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From the laminate in which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a test piece having a width of 25 mm x a length of about 150 mm was cut out, and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bonded to a glass plate. A peeling tape (25 mm in width x about 180 mm in length) was adhered to one side of the test piece having a width of 25 mm, which is the surface of the test piece on the base film side. Hold one end of the peeling tape using a tensile tester, and perform a peeling test with a peeling angle of 180° at a temperature of 23°C and an atmosphere of 60% relative humidity, at a crosshead speed (moving speed of the grip jig) of 300 mm/min.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in-plane peeling force. The in-plane peeling force was set as the peeling force when a force became a steady state, while peeling a base film from an optical function layer was finished after raising up a base film.

<전사형 광학 기능막 2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a composition for forming a vertical alignment film]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는,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와, 비스(2-비닐옥시에틸)에테르를 1:1:4:5의 비율로 혼합하고, 중합 개시제로서 LUCIRIN TPO를 4%의 비율로 첨가한 혼합물을 이용했다. As a composition for forming a vertical alignment film, 2-phenoxyethyl acrylate, tetrahydrofurfuryl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bis(2-vinyloxyethyl) ether were mixed in 1:1:4:5. was mixed in a ratio of , and a mixture in which LUCIRIN TPO was added in a ratio of 4%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use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광중합성 네마틱 액정(머크사 제조, RMM28B)을 함유하고,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MEK)과, 메틸이소부틸케톤(MIBK)과, 비점이 155℃인 시클로헥사논(CHN)을, 질량비(MEK:MIBK:CHN)로 35:30:35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 용매를 포함했다. 그리고, 고형분이 1∼1.5 g이 되도록 조제했다.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s a photopolymerizable nematic liquid crystal (manufactured by Merck Corporation, RMM28B), as a solvent, methyl ethyl ketone (MEK) and methyl isobutyl ketone (MIBK), and a boiling point of 155°C The mixed solvent in which phosphorus cyclohexanone (CHN) was mixed in the ratio of 35:30:35 by mass ratio (MEK:MIBK:CHN) was included. And it prepared so that solid content might be 1-1.5 g.

[광학 기능층의 제조][Production of optical functional layer]

두께 38 μm의 PET 기재를 투명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고, 그 편면에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막두께 3 μm이 되도록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직 배향막을 제작했다. A PET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38 μm was used as a transparent substrate film, and a composition for forming a vertical alignment film was coated on one side thereof to a film thickness of 3 μm, an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prepare a vertical alignment film.

수직 배향막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코로나 처리했다. 수직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공한 후, 건조 온도를 75℃, 건조 시간을 120초간으로 하여 건조 처리를 했다. 그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광학 기능층을 제작했다. 광학 기능층은 포지티브 C층이었다. The surface of the vertical alignment film was corona-treated using the corona treatment apparatus. After coat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vertical alignment film, the drying process was performed by making the drying temperature into 75 degreeC and drying time into 120 second. Then, the liquid crystal compound was superposed|polymeriz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was produced. The optical function layer was a positive C layer.

이상에 의해, 기재 필름, 배향막, 광학 기능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전사형 광학 기능막 2를 얻었다. By the above,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provided with a base film, an orientation film, and an optical function layer in this order was obtained.

<전사형 광학 기능막 3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3>

두께 40 μm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한 것 외에는, <전사형 광학 기능막 1의 제조>와 동일한 순서로 전사형 광학 기능막 3을 얻었다. A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3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except that a 40 µm-thick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was used as the base film.

<전사형 광학 기능막 4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4>

두께 40 μm의 TAC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한 것 외에는, <전사형 광학 기능막 2의 제조>와 동일한 순서로 전사형 광학 기능막 4를 얻었다. A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4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except that a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µm was used as the base film.

<전사형 광학 기능막 5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5>

두께 80 μm의 TAC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고, 표 1에 기재된 면내 박리력이 되도록 배향막의 두께를 조정한 것 외에는, 일본특허공개 제2015-187717호 공보의 단락[0039]∼[005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전사형 광학 기능막 5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2.0 μm이고, 550 nm에서의 면내 방향의 위상차치 Re는 250 nm였다. 즉, 광학 기능층은 λ/2판이었다. In paragraphs [0039] to [0051]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87717, except that a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was used as the base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was adjusted to achieve the in-plane peel force shown in Table 1. A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5 was obtained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described metho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optical function layer was 2.0 micrometers, and the retardation value Re of the in-plane direction in 550 nm was 250 nm. That is, the optical function layer was a λ/2 plate.

<전사형 광학 기능막 6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6>

두께 40 μm의 TAC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고, 표 1에 기재된 면내 박리력이 되도록 배향막의 두께를 조정한 것 외에는, 일본특허공개 제2015-187717호 공보의 [0053]∼[006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전사형 광학 기능막 6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0.8 μm이고, 550 nm에서의 면내 방향의 위상차치 Re는 120 nm였다. 즉, 광학 기능층은 λ/4판이었다. [0053] to [0062]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87717, except that a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μm was used as the base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was adjusted to achieve the in-plane peeling force described in Table 1. A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6 was obtained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metho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optical function layer was 0.8 m, and the retardation value Re in the in-plane direction at 550 nm was 120 nm. That is, the optical function layer was a λ/4 plate.

<전사형 광학 기능막 7의 제조><Produc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7>

두께 100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이용하고, 표 1에 기재된 면내 박리력이 되도록 배향막의 두께를 조정한 것 외에는, <전사형 광학 기능막 6의 제조>와 동일한 순서로 전사형 광학 기능막 7을 얻었다. Transfer type in the same procedure as <Prepara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6> except that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was used as the base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was adjusted to achieve the in-plane peel force shown in Table 1 An optical function film 7 was obtained.

전사형 광학 기능막 2∼7에 관해서도, 전사형 광학 기능막 1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재 필름의 강연도 및 면내 박리력을 측정했다. Also about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s 2-7,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the rigidity and in-plane peeling force of the base film were measured.

<실시예 1><Example 1>

[적층체의 제조][Production of laminate]

전사형 광학 기능막 1과 전사형 광학 기능막 2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각각의 광학 기능층(기재 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이 접합면이 되도록 접합했다.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전사형 광학 기능막 1 및 전사형 광학 기능막 2의 2층의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1을 제작했다.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a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were bonded together with an ultraviolet curing adhesive so that each optical function laye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a base film) might become a bonding surface. The ultraviolet curing adhesive was cured by irradiating with ultraviolet rays. In this way, the laminated body 1 containing the optical function layer of two layers of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1 a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was produced.

[박리성의 평가][Evaluation of Peelability]

실시예에서 얻은 적층체로부터, 폭 약 1000 mm×길이 약 500 mm의 시험편을 재단했다. From the laminate obtained in Examples, a test piece having a width of about 1000 mm and a length of about 500 mm was cut.

박리기를 이용하여, 박리하고자 하는 쪽의 기재 필름의 단부를 잡고, 온도 23℃,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하, 그립 이동 속도 5 m/분으로 박리 시험을 행하여, Using a peeler, hold the end of the base film on the side to be peeled, and perform a peel test at a temperature of 23° C. and an atmosphere of 60% relative humidity, at a grip movement speed of 5 m/min,

·파팅이나 지핑이 생기지 않는 것을 「A」, ・“A” indicates that parting or zipping does not occur;

·파팅이나 지핑이 생긴 것을 「B」・Parting or zipping is “B”

로 했다. did with

<실시예 2><Example 2>

전사형 광학 기능막 3과 전사형 광학 기능막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 2를 얻었다. A laminate 2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3 a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were used.

<실시예 3><Example 3>

전사형 광학 기능막 5와 전사형 광학 기능막 6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 3을 얻었다. A laminate 3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5 a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6 were us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전사형 광학 기능막 3과 전사형 광학 기능막 4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Except having use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3 a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4,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obtained the laminated body.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전사형 광학 기능막 7과 전사형 광학 기능막 5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A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7 a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5 were used.

실시예 2∼3, 비교예 1∼2에 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리성을 평가했다. Also about Examples 2-3 and Comparative Examples 1-2, peelability was evaluated similarly to Example 1.

각종 측정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 표 2에서 「전사형 광학 기능막의 조합」의 란에 나타낸 번호는, 표 1에 나타낸 7종류의 전사형 광학 기능막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과 「제2」 중, 「제1」의 란에 나타낸 전사형 광학 기능막이, 상기 「[박리성의 평가]」에서의 「박리하고자 하는 쪽의 기재 필름」을 갖는 전사형 광학 기능막이다. 또한, 표 2에서 두께비(T1/T2), 강연도비(S1/S2), 면내 박리력비(P1/P2)는, 2개의 기재 필름 중 「박리성의 평가」에서 박리하는 대상이었던 기재 필름쪽의 값에 첨자 「1」을 붙였다. The results of various measuremen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In addition, the number shown in the column of "combination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in Table 2 has shown the number of 7 types of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membrane shown in Table 1. In addition, among "1st" and "2nd",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shown in the column of "1st" has a "base film of the side to be peeled" in the above "[Evaluation of peelability]"it's a curtain In addition, in Table 2, the thickness ratio (T 1 /T 2 ), the stiffness ratio (S 1 /S 2 ), and the in-plane peel force ratio (P 1 /P 2 ) are the target to be peeled in “evaluation of peelability” among the two base films Subscript "1" was attached to the value on the side of the base film which was.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2의 결과로부터, 양호한 박리성을 발휘하기 위한 두께비, 강연도비, 면내 박리력비가 명확해졌다. 실시예 1∼3은, 조합한 전사형 광학 기능층끼리의 면내 박리력의 차가 작은 경우에도 양호한 박리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From the result of Table 2, the thickness ratio for exhibiting favorable peelability, the softness ratio, and the in-plane peeling force ratio became clear. Examples 1-3 were able to achieve favorable peelability even when the difference in the in-plane peeling force of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layers combined was small.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 있어서, 전사형 광학 기능막 2에서의 광학 기능층(포지티브 C층)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로 형성되는 편광 소자층으로 치환한 것(면내 박리력은, 전사형 광학 기능막 2와 동일하게 0.07 N/25 mm로 한다)을 제2 전사형 광학 기능막으로서 이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를 제조한다. 이러한 적층체의 박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정도로 양호(박리성 A)해진다. In Example 1, the optical function layer (positive C layer) in the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2 was replaced with a polarizing element layer formed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in-plane peeling force is a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A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econd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was used as the second transfer type optical function film. The peelability of such a laminated body becomes favorable (peelability A) to the same extent as Example 1.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to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1A : 제1 기재 필름, 1B : 제2 기재 필름, 2A : 제1 광학 기능층, 2B : 제2 광학 기능층, 3 : 접착제층, 5A : 제1 원료 적층체, 5B : 제2 원료 적층체, 10 : 적층체. 1A: 1st base film, 1B: 2nd base film, 2A: 1st optical function layer, 2B: 2nd optical function layer, 3: Adhesive layer, 5A: 1st raw material laminated body, 5B: 2nd raw material laminated body , 10: laminate.

Claims (6)

제1 기재 필름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과, 제2 기재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상기 제2 기재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두께 T1과 상기 제2 기재 필름의 두께 T2가 하기 식(2)를 만족하는 적층체.
0.67<P1/P2<1.50 … (1)
1.05≤T1/T2 … (2)
A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ing a first base film, a layer obtained by curing a first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ing a layer obtained by curing a seco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second base film are provided in this order,
Satisfaction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and the in-plane peeling strength P 1 between laye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in-plane peel for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P 2 is the following formula (1),
A laminate in which the thickness T 1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thickness T 2 of the second base film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2).
0.67<P 1 /P 2 <1.50 … (One)
1.05≤T 1 /T 2 … (2)
제1 기재 필름과, 제1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1 광학 기능층과, 제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하는 제2 광학 기능층과, 제2 기재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1과, 상기 제2 기재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면내 박리력 P2가 하기 식(1)을 만족하고,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강연도 S1과 상기 제2 기재 필름의 강연도 S2가 하기 식(3)을 만족하는 적층체.
0.67<P1/P2<1.50 … (1)
1.10≤S1/S2 … (3)
A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ing a first base film, a layer obtained by curing a first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ing a layer obtained by curing a second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second base film are provided in this order,
Satisfaction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and the in-plane peeling strength P 1 between laye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in-plane peel for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P 2 is the following formula (1),
A laminate in which the stiffness S 1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stiffness S 2 of the second base film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3).
0.67<P 1 /P 2 <1.50 … (One)
1.10≤S 1 /S 2 …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2 광학 기능층이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적층체. 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are bonded by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2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위상차를 갖는 층인 적층체.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is a layer having a phase differen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2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은 편광 소자층인 적층체.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is a polarizing element lay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사이, 및, 상기 제2 기재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기능층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 배향막을 구비하는 적층체. An alignment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n alignment film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first optical function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optical function layer at least one side laminated body.
KR1020217028321A 2019-03-05 2020-02-18 laminate KR2021013465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9573 2019-03-05
JPJP-P-2019-039573 2019-03-05
JP2020020460A JP6800359B2 (en) 2019-03-05 2020-02-10 Laminate
JPJP-P-2020-020460 2020-02-10
PCT/JP2020/006270 WO2020179434A1 (en) 2019-03-05 2020-02-18 Lami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656A true KR20210134656A (en) 2021-11-10

Family

ID=7243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21A KR20210134656A (en) 2019-03-05 2020-02-18 laminat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00359B2 (en)
KR (1) KR20210134656A (en)
CN (1) CN11350831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0789B2 (en) * 2021-02-01 2022-09-0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JP7128932B1 (en) 2021-04-15 2022-08-31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JP2022164456A (en) * 2021-04-16 2022-10-27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JP2023076153A (en) * 2021-11-22 2023-06-01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455B2 (en) 1980-03-12 1987-05-13 Pioneer Electronic Corp
JP2016170368A (en) 2015-03-16 2016-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344A (en) * 2002-07-23 2004-03-04 Nitto Denko Corp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it
KR20060031485A (en) * 2004-10-08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lective polarizing film,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102227A (en) *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221455B2 (en) * 2013-07-23 2017-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ROLLED BODY OF OPTICAL FILM TRANSFER BODY, PROCESS FOR PRODUCING ROLLED BODY OF OPTICAL FILM TRANSFER
JP2018120119A (en) * 2017-01-26 2018-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7195041B2 (en) * 2017-02-08 2022-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102510750B1 (en) * 2017-04-04 2023-03-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with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panel
JP6920108B2 (en) * 2017-05-31 2021-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peel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455B2 (en) 1980-03-12 1987-05-13 Pioneer Electronic Corp
JP2016170368A (en) 2015-03-16 2016-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0359B2 (en) 2020-12-16
CN113508318A (en) 2021-10-15
CN113508318B (en) 2023-06-30
JP2020147029A (en)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083B1 (en) Liquid crystal cured film, optical film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cured film, and display device
KR20210134656A (en) laminate
KR102215376B1 (en)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optical membe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102359336B1 (en) Process for producing long retardation film
TWI732772B (en) Laminated body,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ncluding laminated body, display device including laminated body
US20160124131A1 (en) Optically anisotropic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anisotropic film
KR20240005236A (e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TWI785226B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19148734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O2019082745A1 (en)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446810B2 (en) Retardation film,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JP7287896B2 (en)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film
KR20210127941A (en)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JP6727390B1 (en) Laminate, laminate with adhesive layer, optical laminate with substrate layer,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0179434A1 (en) Laminate
JP6697216B2 (en) Retardation film
JP6394009B2 (en) Transfer laminate for optical film
KR20210100639A (en)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20039799A1 (en) Laminate including horizontally aligned liquid crystal cured film
JP2024050788A (en) Circular polarizer
JP2022117202A (en) plastic film
WO2020174955A1 (en) Optical laminat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2022157822A (en) plastic film
KR20210148141A (en)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film
JP2019082740A (en) Retardation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