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856A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856A
KR20210131856A KR1020200170462A KR20200170462A KR20210131856A KR 20210131856 A KR20210131856 A KR 20210131856A KR 1020200170462 A KR1020200170462 A KR 1020200170462A KR 20200170462 A KR20200170462 A KR 20200170462A KR 20210131856 A KR20210131856 A KR 2021013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ributor
account
smart contract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20017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856A/ko
Publication of KR2021013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스마트계약과 연동된 운영절차에 따라 컨텐츠 수익분배가 진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컨텐츠 기여자 또는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정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상기 스마트계약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 또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정산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단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계약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에 상기 컨텐츠의 수익배분을 위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토큰을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누적된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Method for distributing profit of contents using block chain network and comput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컨텐츠에 대한 각 기여자의 기여비율을 기초로 해당 컨텐츠의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이라는 무한히 제공되는 가상 공간과 이를 뒷받침하는 인프라의 발전 덕분에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들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사용자들이 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된 컨텐츠를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등 컨텐츠 시장의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컨텐츠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컨텐츠 관련 수익이 늘어나는 반면, 컨텐츠 제작에 참여한 다수의 기여자들은 컨텐츠로부터 발생된 수익에 대해 계약된 약정된 계약금만을 지급받거나, 참여도와 관계없이 동일한 수익을 분배 받는 등의 불합리한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에는 컨텐츠 제작에 참여한 다수의 기여자들에게 컨텐츠 제작 기여도에 따른 적정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컨텐츠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기여자가 분배 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소요 및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여자들은 컨텐츠 제작 초기에 투입되는 막대한 인건비와 기술료 등 제작비의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컨텐츠로 발생한 수익에 대한 분배시점을 앞당기고, 발생된 수익을 간단한 절차를 통해 지급받거나 새로운 컨텐츠 제작에 재투자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니즈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컨텐츠로 인해 발생한 총 수익을 산정하고, 해당 컨텐츠의 제작에 기여한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기여비율을 기초로 배당금을 산정하여, 각각의 기여자에게 산정된 배당금을 분배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을 수행하는 운영프로그램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참여한 기여자의 워킹타임, 투자금 또는 계약내용을 기초로 산출된 각 기여자의 기여비율을 기초로, 해당 컨텐츠의 각 기여자에 대한 배당금을 산정하여 분배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을 수행하는 운영프로그램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컨텐츠를 이용함에 따라 전송한 토큰량과 해당 컨텐츠의 할인율을 기초로, 사용자의 환급금을 산정하여 환급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을 수행하는 운영프로그램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스마트계약과 연동된 운영절차에 따라 컨텐츠 수익분배가 진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컨텐츠 기여자 또는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정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상기 스마트계약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 또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정산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단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계약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에 상기 컨텐츠의 수익배분을 위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토큰을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누적된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제작에 기여한 복수의 기여자, 및 상기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각각의 기여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상기 각각의 기여비율을 직접 입력받거나, 별도 입력된 상기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기여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컨텐츠 제작에 대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워킹타임, 투자금, 또는 계약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을 상기 스마트계약 계정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전송되는 토큰의 양은 상기 컨텐츠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츠의 이용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에 대한 할인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할인율과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이용시간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환급금을 산정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계정에 산정된 상기 환급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기여자 및 상기 기여비율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배당금을 산정하고,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산정된 상기 배당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산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토큰을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기여자가 신청한 정산요청금액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토큰에 대응되는 금액보다 큰 경우, 상기 토큰에 대응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은행계좌에 입금하고, 상기 컨텐츠 기여자가 신청한 정산요청금액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상기 토큰에 대응되는 금액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산요청금액을 미리 설정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은행계좌에 입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배당금의 지급내역을 분산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정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좌에 이체된 입금내역을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한 뒤,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지급내역 및 상기 입금내역과,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좌에 남은 잔여금 내역을 기초로 정산의 적정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수행되되,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주기는, 분배 대상이 되는 토큰과 전송에 소모되는 전송 수수료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비율 이하인 시점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컴퓨팅 장치는, 전술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자산분할거래 운영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S260단계에서 기여자에게 정산요청을 수신한 경우, 서버에서 실행되는 정산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Contents)'란,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매체에 체화된 무형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컨텐츠는 최종 결과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과정의 작업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로 구성되는 영상 콘텐츠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일 예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결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컨텐츠 기여자는 해당 컨텐츠를 만드는데 기여한 사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기여자에는 자본을 제공한 투자자, 직접 컨텐츠 제작에 참여하여 자신의 노동을 제공한 제작자, 컨텐츠의 최종 권리를 갖는 권리자(혹은, 계약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제작에 기여한 각각의 기여자에 대한 기여비율(이하, 기여자별 기여비율)을 포함하는 기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의 총 수익을 분배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을 제공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플랫폼 서버(200)(이하, 서버), 분산 저장소(distributed storage)(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7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수익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앱(70)은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 상의 정보를 분산해 저장 및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디앱(70)에서 생성된 데이터나 거래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또한, 디앱(70)에서 생성된 정보는 모두 공개되고 공공 거래 장부에 모두 기록되기에, 해킹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보안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디앱(70)은 일반적으로 토큰이나 코인을 매개로 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앱(70)은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명령을 수행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가져오게 된다. 여기에서,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 상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달성되면 블록체인의 자산에 대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통화에 대응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 특정 통화를 입금하고, 입금된 통화량에 대응되는 토큰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원화(KRW)를 입금 받고 이에 대응되는 토큰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이종의 통화(예를 들어, 외국환 또는 가상화폐)를 토큰으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계좌 자체를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계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의 사용자 계좌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서버(200)의 간섭(intervention) 없이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계정주소(Account Address)를 보유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완성된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하는 컨텐츠 제공자(CS), 상기 컨텐츠를 만드는데 기여한 컨텐츠 기여자(CR),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사용자(CU)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계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계약은 사용자에게 특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고, 구현된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배포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렉트(CSC)(이하, 컨텐츠 스마트계약)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저장관리, 컨텐츠 기여자(CR)에 대한 정보의 저장관리, 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사용자(CU)의 이용시간 산출, 누적된 총이용시간을 기초로 전송할 토큰 산정, 누적된 토큰을 기초로 총수익 산정, 산정된 총수익을 컨텐츠 기여자(CR) 및 컨텐츠 사용자(CU)에게 배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토큰의 발행 및 교환(redeeming), 토큰의 이동(예: 토큰의 입금 및 정산), 사용자 계정의 잔액 장부 관리, 토큰의 수익 배분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 포함된 별도의 서버(예를 들어, 도 6의 금융 전산망)는 은행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사이에서 중개 동작, 예를 들면 은행으로부터 원화 입금 여부 확인, 은행 계좌의 잔고 확인, 컨텐츠 스마트계약으로의 입금 트랜잭션 전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사용자(CU)는 컨텐츠 이용에 필요한 토큰을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 내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 사용자(CU)는 구매한 토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사용자 계정에 입금(deposit)하고, 입금된 토큰에 대응되는 이용시간 동안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토큰은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에 주기적으로(또는, 비주기적으로) 자동 전송되고, 토큰의 이동내역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기록된다. 이때, 컨텐츠 스마트계약은 컨텐츠의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토큰의 전송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도 3의 55)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컨텐츠 스마트계약(CSC)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운영프로그램(이하, 간략히 '운영프로그램'이라고 함)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수익분배 운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200)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운영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컨텐츠 수익분배의 참여자인 컨텐츠 제공자(CS), 컨텐츠 기여자(CR) 및 컨텐츠 사용자(CU)를 의뢰를 수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50) 또는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의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서 동작하는 스마트계약프로그램과 연동된 운영절차에 따라 컨텐츠 수익분배가 진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간략히 “스마트계약”로 언급되는 것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프로그래밍된 계약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하려는 관리자가 계약의 조건, 내용을 코딩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하면,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계약 내용에 따라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Ethereum)에 기반할 경우,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솔리디티(Solidity)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코딩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된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에 의해 작동되는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앞서 설명한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일종으로서, 스마트계약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컨텐츠 수익분배 절차가 진행되도록 참여자들(즉, 컨텐츠 제공자(CS), 컨텐츠 기여자(CR), 컨텐츠 사용자(CU) 등)과 스마트계약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영프로그램은 복수의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컨텐츠 수익분배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의뢰를 수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의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요청패킷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로 전송할 수 있다. 요청패킷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부합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 기반하는 경우, 요청패킷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요청패킷은 다양한 종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운영프로그램은 블록체인(도 3의 55)에 기록된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계정에 입금된 토큰들의 잔고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관련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기여자(CR) 또는 컨텐츠 사용자(CU)로부터 보유한 토큰에 대한 정산요청이 발생되면, 운영프로그램은 정산요청된 토큰을 사용자 계정에서 출금하고, 해당 국가의 화폐로 변환하여 미리 설정된 은행 계좌에 입금하는 정산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이 수행하는 복수의 단계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거래들은 거래 당사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계정(예: 이더리움 계정)의 개인 키(private key)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될 수 있다(cryptographically signed). 이러한 암호화 서명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특정 계좌의 소유자에 의하여 발생된 거래들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계정은 이미 공개된 암호화 알고리즘(예를 들어, secp256k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공개 키 및 일반 키로 참조될 수 있다. 특정 계정에 의하여 서명된 트랜잭션들은 특정 계정에 맵핑된 트랜잭션들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거래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 키에 의하여 암호화되고 요청된 거래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이 발생될 수 있다.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발생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블록체인(55) 상에 기록할 수 있다.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들의 일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블록체인 상(on blockchain)에서 처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서버(200)를 통하여 블록체인 밖(off block chain)에서 처리될 수 있다. 모든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상에서 처리되면 과도한 트랜잭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고,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일부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밖에서 처리함으로써 수수료를 감소시키고, 빠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들(50-1, 50-2, 50-3, 50-n)(피어 또는 노드)을 포함하는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들(50)은 하나의 공공 원장(public ledger)을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하나의 공공 원장(public ledger)이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들(50) 각각에 의하여 생성되는 점에서 분산 네트워크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공공 원장은 복수의 블록체인 블록(55)으로 참조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블록체인 블록(55)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에서 정의된 트랜잭션들을 처리하고 블록체인 블록(55)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Block)이란 거래내역 및 발생시간 등의 내용을 문자, 숫자형태로 암호화한 것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일종의 데이터 패킷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블록(55)은 복수의 블록(BL)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블록(BL)은 헤더 영역(BH)과 데이터 영역(BD)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헤더 영역(BH)은 이전 블록의 해시값, 또는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BD)은 스마트계약의 구성에 필요한 계약코드(contract code)와 토큰의 전송이력(transa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영역(BD)은 계약코드를 생략하고 전송이력만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55)의 계약코드는 컨텐츠 정보와 기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정보는 작품의 제목, 작품 ID, 작품 종류, 작품 장르, 작품 스토리지 정보 및 작품 할인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여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제작에 기여한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CR), 상기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CR)에 대한 기여자별 기여비율(즉, 기여도), 기여자별 계정, 작품 할인율 및 기여자별 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정보 및 기여 정보가 과다하여, 블록(BL)의 생성 및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자원이 증가되는 경우, 기여 정보의 기여자별 기여비율만을 블록(BL)에 포함시키고, 나머지 정보는 서버(200)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여자별 기여도 및 작품 할인율은 추후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컨텐츠 사용자(CU)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된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컨텐츠 사용자(CU)가 보유한 토큰의 일부를 해당 컨텐츠의 스마트계약 계정에 대한 주소(즉, 컨트랙트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토큰의 양은 컨텐츠 사용자(CU)의 컨텐츠 이용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은 계정에 누적된 토큰을 상기 기여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기여자(CR) 및 컨텐츠 사용자(CU)에게 분배할 수 있다. 분배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토큰의 전송이력 및 분배내역은 블록(55)의 데이터 영역(BD)에 저장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트랜잭션 처리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트랜잭션 처리 모듈(215)을 구동 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처리 모듈(215)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및 분산 저장소(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발생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트랜잭션 또는 상기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를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분산 저장소(300)로 송신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수신한 트랜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의하여 처리된 트랜잭션은 블록체인(55)에 저장될 수 있고, 서버(200)에 의하여 처리된 트랜잭션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또는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트랜잭션들은 불변성과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한 불변성 및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예를 들어,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으로 참조될 수 있다. IPFS에 게재된(published) 데이터에 대한 불변성은 머클 DAG(merkle directed acyclic graph) 구조에 의하여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저장된 데이터들의 주소 값(예: 해시 주소 값)을 통하여 상기 저장된 데이터들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모든 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감시할 수 있다.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은 분산 저장소(300)에 모든 거래 내역을 저장함으로써, 서버(200)에 의하여 처리되는 트랜잭션들에 대하여도 투명성과 불변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이 저장 및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프로그래밍된 계약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운영프로그램이 미리 규정한 운영절차를 따르도록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프로그램은 복수의 운영절차를 미리 규정하고, 서버(200)는 운영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운영절차 중에서 하나의 운영절차를 선택하고, 해당 운영절차를 따르도록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프로그램은 토큰 운용에 대한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큰 운용에 대한 사항은, 예를 들어, 선급금, 보유금, 유지보수비용, 거래화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래화폐는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컨텐츠 이용시 사용되는 가상화폐로 이해될 수 있다. 거래화폐는, 예를 들어, 법정화폐(KRW)와 1:1로 대응되는 가상화폐(dKRW)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 포함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및 서버(200)의 동작을 운영프로그램의 동작으로 포괄하여 컨텐츠 수익 분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제공자(CS)에 의해 제공된 컨텐츠를 수신한다(S110). 운영프로그램은 업로드된 컨텐츠에서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등록번호, 컨텐츠 유형 또는 컨텐츠 제목 등)을 추출하여 컨텐츠 정보 스토리지(CIS)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 스토리지(CIS)는 서버(200)의 메모리(220)에 포함된 데이터 섹터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에는 이용자에 대한 할인율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제공자(CS) 및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제공자(CS) 또는 컨텐츠 기여자(CR)로부터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수신한다(S120). 여기에서, 기여정보는,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기여비율 및 기여자의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입력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기여자 정보 스토리지(RIS)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여자 정보 스토리지(RIS)는 서버(200)의 메모리(220)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섹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여자별 기여비율은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는 컨텐츠 제작에 대한 기여자의 워킹타임, 투자금, 또는 계약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여자의 기여비율은 각 기여자의 실제 근무시간의 비율, 각 기여자가 투자한 투자금의 비율, 또는 계약내용에 명시된 각 기여자의 지분율 등을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가 자막을 포함한 동영상 종류인 경우, 기여자별 기여비율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배경음악, 자막, 비디오에 대한 각 기여자들의 제작참여율을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스마트계약등록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등록요청 패킷은 컨텐츠의 스마트계약등록에 필요한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계약등록요청 패킷은 컨텐츠 정보, 기여 정보, 스마트계약프로그램 및 스마트계약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운영프로그램은 스마트계약등록요청 패킷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는 업로드된 컨텐츠와 관련된 작품 컨트랙트가 생성된다.
이어서, 컨텐츠 사용자(CU)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된 컨텐츠를 이용한다(S130).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의 사용자 계정에 귀속된 토큰에 대응되는 컨텐츠 이용가능시간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의 이용이 종료된 이후, 운영프로그램은 이용가능시간의 잔여분을 사용자 계정에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잔여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의 컨텐츠 이용 대가로, 컨텐츠 사용자(CU)의 계정에 귀속된 토큰을 해당 컨텐츠의 스마트계약 계정으로 전송한다(S140).
이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상에서 스마트계약이 수행됨에 따라, 컨텐츠의 스마트계약 계정에 귀속된 토큰으로부터 컨텐츠 기여자(CR)에게 제공될 배당금과, 컨텐츠 기여자(CR)에게 환급될 환급금이 산출된다(S150).
이때, 배당금 및 환급금은 컨텐츠의 스마트계약에 포함된 기여자별 기여비율 또는 이용자에 대한 할인율을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배당금과 환급금은 스마트계약 계정에 귀속된 토큰에서 운영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기초로 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산출된 배당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컨텐츠 기여자(CR)에게 전송한다(S160).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산출된 환급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컨텐츠 사용자(CU)에게 전송한다.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미리 등록된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 주소에 배당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의 계정 주소에 환급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배당금 및 환급금에 해당하는 토큰을 일정시간 보관하였다가 주기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다만, 토큰의 배분 주기는 일정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프로그램은 수익분배를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상의 전송 수수료가 과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토큰의 전송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큰을 분배하는 주기는, 분배 대상이 되는 토큰과 전송에 소모되는 전송 수수료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비율 이하인 시점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용시간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된 환급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사용자의 계좌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플랫폼 이용률 및 컨텐츠 이용률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컨텐츠의 소비에 따른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기여비율, 투자금 또는 워킹타임을 이용하여 기여자별 기여비율을 산출하고, 컨텐츠로 인해 발생한 종합적인 수익을 산출된 기여비율을 기초로 차등 배분함으로써, 기여자들에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로 인해 발생한 수익의 즉각적인 분배를 통하여, 컨텐츠의 제작자들에게 컨텐츠 제작비용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총이용수익과 총 기타수익을 합한 총 수익을 기여자별 기여비율에 따라 복수의 기여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컨텐츠 기여자가 받는 배당금의 절대량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기여자에게 분배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으며, 분배된 수익의 재투자를 촉진시켜 컨텐츠 제작량 및 제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 나은 품질과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의 수행주체를 컨텐츠 수익분배 시스템(10)에서 동작하는 운영프로그램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산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CS)는 컨텐츠 스마트계약(CSC)를 통하여,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등록한다(S210).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관리 및 정산을 위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의 메모리(220) 및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은 작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정보는 작품의 제목, 작품 ID, 작품 종류, 작품 장르, 작품 스토리지 정보 및 작품 할인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내용은 컨텐츠 제공자(CS) 및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CR)들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에 컨텐츠의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한다(S220). 기여자별 기여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제작에 기여한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CR), 상기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CR)에 대한 기여자별 기여비율(즉, 기여도), 기여자별 계정, 작품 할인율 및 기여자별 은행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입력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에 저장한다. 이때, 기여정보는 컨텐츠 제공자(CS) 또는 복수의 컨텐츠 기여자(CR)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별도 입력된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를 기초로 서버(200)에서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의 컨텐츠 이용에 따른 비용을 토큰으로 지불한다(S230).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가 사용자 계정에 보유한 토큰을 기초로 컨텐츠의 이용가능시간을 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한다. 이어서, 컨텐츠 사용자(CU)의 이용시간을 기초로 이용가능시간을 차감한 뒤,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양의 토큰을 해당 컨텐츠의 스마트계약 계정(즉, 해당 컨텐츠의 어카운트 주소)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200)는 각 컨텐츠(예를 들어,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등)에 대응되는 컨텐츠 사용자(CU)의 컨텐츠 이용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에 저장된 이용시간에서 사용자별 이용시간을 합산하여 사용자별 컨텐츠에 대한 총 이용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의 계정에 귀속된 이용가능시간에서 컨텐츠 총 이용시간을 차감할 수 있다. 컨텐츠 총 이용시간이 차감된 후, 운영프로그램은 이용가능시간의 잔여분을 사용자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스마트계약(CSC)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컨텐츠의 스마트계약 계정에 누적된 토큰을 컨텐츠 기여자(CR) 및 컨텐츠 사용자(CU)에게 배분한다(S240).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산정된 총 수익(즉, 총 누적된 토큰)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할인율에 따른 환급금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정보에서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참조한다.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별 컨텐츠 이용시간(또는, 전송한 토큰량)에 할인율을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컨텐츠 사용자(CU)들에 대한 환급금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의 기여자별 기여비율을 기초로 복수의 기여자 각각에 대한 배당금을 산정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정보로부터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여자별 기여정보에는 기여자별 기여비율 및 기여자의 계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 총 환급금을 제외한 총 수익에 대해 기여자별 기여비율을 기초로 기여자별 배당금을 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 및 컨텐츠 기여자(CR)에게 산정된 배당금 및 환급금을 지급하고, 분산 저장소(300)에 지급된 배당금 및 환급금에 대한 지급내역을 저장한다(S250).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정보에 저장된 기여자별 계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기여자별 산정된 배당금을 토큰 형태로 각각의 컨텐츠 기여자(CR)에게 지급할 수 있다. 지급된 배당금은 해당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산정된 사용자별 환급금을 사용자의 계정에 귀속시킬 수 있다. 이때, 환급금은 환급금에 대응되는 토큰 또는 이용가능시간으로 대체되어 사용자의 계정에 귀속될 수 있다.
한편, 운영프로그램은 기여자별 배당내역 및 사용자별 환급내역을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배당내역에는 지급된 배당금에 해당하는 컨텐츠 등록번호, 기여비율, 배당금액, 배당금 지급 계정 및 배당금 지급 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환급내역에는 지급된 환급내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등록번호, 할인율, 환급금액, 환급금 지급 계정 및 환급금 지급 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 및 컨텐츠 기여자(CR)로부터 정산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60).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 사용자(CU)로부터 환급금에 대한 정산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 사용자(CU)에게 정산요청금액 및 사용자 계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로부터 배당금에 대한 정산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의 정산요청금액 및 기여자 계좌를 컨텐츠 스마트계약(CSC)로부터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계좌 또는 기여자 계좌 미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해 정산요청자의 보유 토큰이 정산요청금액 이상인지 확인한다(S270).
이어서, S270 단계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정산요청에 대한 정산을 실행한다(S271). 운영프로그램은 수신한 정산요청금액과 계정(예를 들어, 컨텐츠 사용자(CU)의 계정 또는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 등)에 귀속된 금액(예를 들어, 배당금 또는 환급금 등)을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정산금액(예를 들어, 정산요청금액, 환급금 또는 배당금)에 대해 출금을 요청한다(S273). 이때, 정산요청금액이 계정에 귀속된 배당금 또는 환급금 이상인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배당금 또는 환급금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 출금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반면에, 정산요청금액이 계정에 귀속된 배당금 또는 환급금 미만인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정산요청금액에 대해 출금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 계정 및 기여자의 계정에서 정산금을 출금한다(S280, S290). 여기에서, 정산금은 출금 승인된 토큰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통화를 의미한다. 이때, 정산금은 컨텐츠 사용자(CU)의 은행계좌 및 컨텐츠 기여자(CR)의 은행계좌로 입금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금융 전산망을 통해 정산요청자의 계좌로 정산금을 입금처리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운영프로그램은 분산 저장소(300)에 잔액확인내역(즉, 잔여금내역) 및 정산 입금내역을 저장한다(S285).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 및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환급금 및 배당금에서 정산 요청된 출금액을 차감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사용자 및 기여자의 계정에 출금액을 차감한 후 잔여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프로그램은 잔여금내역 및 정산 입금내역을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산 입금내역에는 정산금에 해당하는 정산금액, 정산금 지급 계정, 정산금 지급계좌 및 정산금 지급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배당금 또는 환급금에 대한 지급내역. 정산 입금내역, 잔액확인내역(즉, 잔여금내역)을 기초로 정산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한다(S285).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텐츠 사용자(CU) 및 컨텐츠 기여자(CR)의 총 배당내역, 총 환급내역 및 총 정산내역을 계산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사용자(CU) 및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에 귀속될 최종 예상 잔여금을 산정할 수 있다. 운영프로그램은 산정된 최종 예상 잔여금과 컨텐츠 사용자(CU) 및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에 귀속된 최종 잔여금의 동일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S285 단계의 토큰 전송 검증 동작과, S290 단계의 출금 처리 동작의 순서는 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개시된 것처럼, S285 단계의 토큰 전송 검증 동작이 S290 단계의 출금 처리 동작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정산 요청자의 계좌에 통화가 입금되기 전에 전송 내역을 검증함으로써,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운용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산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200)에서 정산금액을 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도 6의 S260단계에서 기여자에게 정산요청을 수신한 경우, 서버에서 실행되는 정산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로부터 정산요청을 수신한다(S270).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로부터 배당금에 대한 정산요청, 정산요청금액 및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의 정산요청금액과 컨텐츠 기여자(CR)의 배당금을 비교할 수 있다(S375).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으로부터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에 귀속된 배당금의 금액을 수신하여, 요청된 정산요청금액과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 기여자(CR)의 정산요청금액이 배당금보다 작은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에 정산요청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S377). 즉, 지급 가능한 배당금이 정산요청금액보다 큰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정산요청금액을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에 지급한다.
반면에, 컨텐츠 기여자(CR)의 정산요청금액이 배당금보다 큰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에 배당금을 입금할 수 있다(S379). 여기에서, 배당금은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에 있는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지급 가능한 배당금이 정산요청금액보다 작은 경우,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에 있는 배당금의 전부를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좌에 지급한다.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에게 배당금에 해당하는 금액만 정산 가능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급이 완료된 후, 운영프로그램은 분산 저장소(300)를 이용하여 정산에 대한 정기 검증작업을 실행한다(S280). 이때, 운영프로그램은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에 귀속될 최종 예상 잔여금을 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운영프로그램은 산정된 최종 예상 잔여금과 컨텐츠 기여자(CR)의 계정에 귀속된 최종 잔여금의 동일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기여비율, 투자금 또는 워킹타임을 이용하여 기여자별 기여비율을 산출하고, 컨텐츠로 인해 발생한 종합적인 수익을 산출된 기여비율을 기초로 차등 배분함으로써, 기여자들에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로 인해 발생한 수익의 즉각적인 분배를 통하여, 컨텐츠의 제작자들에게 컨텐츠 제작비용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총이용수익과 총 기타수익을 합한 총 수익을 기여자별 기여비율에 따라 복수의 기여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컨텐츠 컨텐츠 기여자(CR)가 받는 배당금의 절대량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컨텐츠 기여자(CR)에게 분배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으며, 분배된 수익의 재투자를 촉진시켜 컨텐츠 제작량 및 제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 나은 품질과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은, 컨텐츠 이용수익과 광고 수익 및 유료 수익을 포함한 기타수익을 합한 총 수익을 기여자별 기여비율에 따라 기여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컨텐츠 기여자(CR)의 제작량 및 제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 나은 품질과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블록체인 네트워크
200: 플랫폼 서버
300: 분산 저장소

Claims (10)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으로써,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스마트계약과 연동된 운영절차에 따라 컨텐츠 수익분배가 진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컨텐츠 기여자 또는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정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상기 스마트계약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 또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정산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단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계약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에 상기 컨텐츠의 수익배분을 위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토큰을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누적된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제작에 기여한 복수의 기여자, 및 상기 복수의 기여자에 대한 각각의 기여비율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여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컨텐츠 제작에 대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근무시간, 투자금, 또는 계약내용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배경음악, 자막, 비디오에 대한 각 기여자들의 제작참여율을 기초로 상기 기여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여자별 기여정보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에 대한 할인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할인율과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이용시간 또는 전송한 토큰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환급금을 산정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계정에 산정된 상기 환급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누적된 토큰과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기여비율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배당금을 산정하고,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산정된 상기 배당금에 대응되는 토큰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6.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계약을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으로써,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스마트계약과 연동된 운영절차에 따라 컨텐츠 수익분배가 진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컨텐츠 기여자 또는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정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상기 스마트계약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 또는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정산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단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계약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에 상기 컨텐츠의 수익배분을 위한 기여자별 기여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시간에 대응되는 토큰을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계약의 계정에 누적된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정산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토큰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배당금의 지급내역을 분산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정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좌에 이체된 입금내역을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한 뒤,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지급내역 및 상기 입금내역과,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좌에 남은 잔여금 내역을 기초로 정산의 적정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저장소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이용하며,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값을 통해 누구나 상기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기여자가 신청한 정산요청금액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토큰에 대응되는 금액보다 큰 경우, 상기 토큰에 대응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은행계좌에 입금하고,
    상기 컨텐츠 기여자가 신청한 정산요청금액이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계정에 귀속된 상기 토큰에 대응되는 금액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산요청금액을 미리 설정된 상기 컨텐츠 기여자의 은행계좌에 입금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9.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수행되되,
    상기 토큰을 분배하는 주기는, 분배 대상이 되는 토큰과 전송에 소모되는 전송 수수료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비율 이하인 시점을 기초로 결정되는 컨텐츠 수익분배 운영프로그램.
  10. 청구항 제1 항 또는 제6 항의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컨텐츠 수익분배 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수익분배 운영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00170462A 2020-04-24 2020-12-0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20210131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62A KR20210131856A (ko) 2020-04-24 2020-12-0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59A KR102190870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00170462A KR20210131856A (ko) 2020-04-24 2020-12-0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59A Division KR102190870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856A true KR20210131856A (ko) 2021-11-03

Family

ID=737800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59A KR102190870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00170462A KR20210131856A (ko) 2020-04-24 2020-12-0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59A KR102190870B1 (ko) 2020-04-24 2020-04-24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0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70B1 (ko) * 2022-06-29 2023-04-25 김낙현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한 pos 및 erp 연동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899A1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스태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102543258B1 (ko) * 2021-05-25 2023-06-14 주식회사 에어브릿지 수소 생산 및 충전 시스템과 연동된 수소코인 발행 시스템
KR102371071B1 (ko) * 2021-06-29 2022-03-07 전호근 토큰 이코노미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93616B1 (ko) * 2021-09-28 2023-10-25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원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417639B1 (ko) 2021-10-07 2022-07-05 박대순 협업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KR102423079B1 (ko) 2021-10-07 2022-07-19 박대순 협업 컨텐츠 운용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66B1 (ko) * 2018-01-29 2019-07-03 탁기영 콘텐츠 제작자 및 이용자간 거래에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가 사용되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비용분배방법 및 시스템
KR102152501B1 (ko) * 2018-08-31 2020-09-04 (주)아이디어 콘서트 블록체인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70B1 (ko) * 2022-06-29 2023-04-25 김낙현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한 pos 및 erp 연동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870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870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US1098617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lf-forking blockchain protocol
JP7128111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介して資産関連活動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400462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reward processing
CN108369703B (zh) 使用加密货币***管理支付和支付替代方式的方法和***
KR20200129073A (ko)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00107770A (ko) 블록 체인 시스템에서 인증서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582844A (zh) 基于区块链的手续费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801649B (zh) 基于区块链的流量统计***、方法及装置
Kanani et al. Matic whitepaper
KR20190118376A (ko)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EP33048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cly verifiable authorization
US20210374843A1 (en) Debt Resource Management in a Distributed Ledger System
CN110417917B (zh) 用于票据流转的方法、***、计算机设备和介质
CN111401873A (zh) 一种任务创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Gómez et al. Blockverse: A cloud blockchain-based platform for tracking in affiliate systems
CN110874800B (zh) 数据转移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342773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of managing digital assets, including digital asset deposits, digital asset term deposits, digital asset withdrawals, and early withdrawals of digital asset term deposits
KR102111711B1 (ko)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 기반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74362A (ko) 전송수수료를 지원하는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US11861602B2 (en) Payment token
WO2022244899A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수익분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US20240089131A1 (en) Customized blockchain infrastructure
KR20230162341A (ko)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제공자의 특정 구간별 과금 및 분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