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612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612A
KR20210131612A KR1020200049934A KR20200049934A KR20210131612A KR 20210131612 A KR20210131612 A KR 20210131612A KR 1020200049934 A KR1020200049934 A KR 1020200049934A KR 20200049934 A KR20200049934 A KR 20200049934A KR 20210131612 A KR20210131612 A KR 2021013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discharge
grill
safet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동률
박형호
최지은
김창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612A/en
Priority to PCT/KR2020/012979 priority patent/WO2021215596A1/en
Publication of KR2021013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6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2The tubes being an electrical isolator containing the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including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filtered ai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first blower provided to suck air in a relatively low position, filter the air, and then blow the filtered air; a second blower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er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provided to blow air after suction and filtering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a heat exchange unit disposed inside the first blower and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er; and a safety guide device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 unit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and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Air Cleaner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 이해되며,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고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히터 내지 열 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열 교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polluted air into the interior, filters it, and then discharges the filtered ai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 indoor space such as a home or office. In general, an air purifier includes a blower provided to suck in and discharge external air to the inside,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blower to filter dust or bacteria in the air. In this case, 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or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here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exposed to the body of a person and can cause burns.

종래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40583호,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은 송풍장치 내부의 하부에 배치된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 내부의 상부로 이동하여 토출그릴을 통해 일정한 유동 형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1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히터 내지 열 교환부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4058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lower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to create a discharge grill. Disclosed is an air purifier prepared to be discharged in a constant flow form through the air purifier. However, since the air purifier disclosed in Prior Art 1 does not include a heater or a heat exchanger, it is inconvenien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cannot be increased.

다른 종래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4105호, 이하 종래기술2라 함)은 송풍장치의 내부에 히터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히터유닛에 의해 상승된 온도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2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더라도,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적접 또는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741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includes a heater unit in the inside of the blower unit and is provided to blow air of a temperature increased by the heater unit. We are launching an air purifier. However, even with the air purifier of the prior art 2,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exposed to the user's body, resulting in burns.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필터링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열 교환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cluding a heat exchanger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filtered air.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필터링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열 교환부, 및 상기 열 교환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열 교환부에 의해 상승된 온도의 공기로부터 화상을 입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안전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exchanger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filtered air, and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r to prevent a user from getting burned from the air of the temperature raised by the heat exchanger. It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cluding a safety guide device for guiding.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열 교환부, 및 상기 송풍장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열 교환부에 의해 상승된 온도를 갖는 공기로부터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안전가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는 상기 송풍장치의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분포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편평하지 않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wer provided to suck and filter external air and blow it, and is disposed inside the blow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and a safety guide device disposed above the blower to guide the user from getting burned from the air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d by the heat exchanger. The safety guide device may have a non-uniform height according to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air discharged upward of the blower, and may have a non-flat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 지면에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송풍장치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열 교환부, 및 상기 제1송풍장치와 상기 제2송풍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열 교환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1송풍장치의 외측을 향하여 구비된 안전가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blower provided to suck in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filter it, and then blow it, located above the first blower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econd blower provided to suck in, filter, and blow air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disposed inside the first blow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er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and a safety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 unit between the first blower device and the second blower device,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devic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device A guide device may be included.

상기 제1송풍장치는 상기 제1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위부로 토출하도록 구비된 제1토출가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토출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1송풍장치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er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filtered inside the first blower to an upper portion, and the first discharge device may be provided. The guide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의 상방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respectively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wherein the safety guide grills are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s. can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양 말단부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safety guide grill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portions other than the both end portions may not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상기 제1토출그릴은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측에 인접한 제1부분, 상기 제1송풍장치의 외측에 인접한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rill includes a first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lower, a secon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lower,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portion may have a smaller height than the second portion.

상기 제1토출그릴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rill may have a height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제1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4부분,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제2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5부분, 및 상기 제4부분과 상기 제5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6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상기 제6부분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grill includes a fourth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 fifth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the fourth portion and the A sixth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fifth portions may be included, and the sixth portion of the safety guide grill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6부분 상에서 최고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grill may be provided to have the highest height on the sixth part.

상기 제6부분의 최고 높이를 갖는 부분은 상기 제4부분보다 상기 제5부분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ortion having the highest height of the sixth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fifth portion rather than the fourth portion.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두께는 상기 제4부분으로부터 상기 제5부분까지 일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afety guide grill may be constant from the fourth part to the fifth part.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전체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grill may be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s a whole.

상기 제1토출그릴은 지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rill may be provid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폭과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afety guide grill may be the same 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1송풍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외부로 송풍되는 제1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a first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blower is blown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1토출그릴 및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the safety guide grill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pair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들은 함께 상기 제1송풍장치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and the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may be arranged to surrou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together.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1송풍장치와 상기 제2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2송풍장치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구획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1송풍장치와 상기 구획장치 사이에서 상기 열 교환부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and block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er from being sucked into the second blower. 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device provided to do so, and the safety guide device may be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 unit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partition devi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열 교환부, 및 상기 송풍장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열 교환부에 의해 상승된 온도를 갖는 공기로부터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안전가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는 상기 송풍장치의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분포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편평하지 않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wer provided to suck and filter external air and blow it, and is disposed inside the blow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and a safety guide device disposed above the blower to guide the user from getting burned from the air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d by the heat exchanger. The safety guide device may have a non-uniform height according to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air discharged upward of the blower, and may have a non-flat upper surface.

이때,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상기 열 교환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의 상방에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므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로부터 사용자가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purifier includes the heat exchange unit inside the b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can be increased, and since the safety guide device is included above the blower, the blower Since the user can secure a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device, the risk of burns to the user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송풍장치의 상방에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길이 및 유로 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의해 발생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afety guide device is installed above the blower device, the flow path length and flow path area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device may increase, and accordingly, the air volu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device may increase. and noise generated by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blower and radiated to the outside can be reduc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하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정의하고,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수평 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defined as a vertical direc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center is the rotation radius. A direction of an imaginary circle formed when rotating is defined 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20) 및 상기 송풍장치(10,2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lowers 10 and 20 for generating air flow and discharge of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ers 10 and 20 . It may include a flow diverter 30 for diverting the direction.

상기 송풍장치(10,20)는, 제1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장치(10) 및 제2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s 10 and 20 may include a first blower 10 for generating a first air flow and a second blower 20 for generating a second air flow.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송풍장치(2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제1송풍장치(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공기유동은 공기청정기(1)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공기유동은 공기청정기(1)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송풍장치(1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econd blower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er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first air flow is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purifier 1 . A flow for sucking the indoor air present on the side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air flow may form a flow for sucking the indoor air exis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purifier 1 . That is, the first blower 10 may be provided to blow air in a relatively low position after suction and filtering, and the second blower 20 sucks in air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filters the air, and then blows the air. may be provided to do so.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ases 100 and 200 that form an exterior.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0,200)는 제1송풍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ses 100 and 200 may include the first case 10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lower 10 .

제1케이스(100)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케이스(100)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케이스(100)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ase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first case 100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cut off.

제1케이스(100)는, 제1케이스(100)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된 제1분리부(101) 및 제1분리부(101)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ase 100 includes a first separation unit 101 provided so that two parts constituting the first case 100 are coupled or separated, and a first separation unit 101 provided opposite the first separation unit 101 . It may include a hinge part (not shown). The two parts may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hinge part.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1케이스(100)가 개방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가 결합되는 부분, 즉 상기 힌지부의 맞은편 측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장치는 걸림돌기 또는 자석부재룰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00)를 개방하여, 제1송풍장치(1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two parts rotates, the first case 100 may be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air purifier 1 . A portion to which the two parts are coupled,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ortion, a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and the locking device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or a magnet member. By opening the first case 100 , internal parts of the first blower 10 may be replaced or repaired.

제1케이스(10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부(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흡입부(102)는 제1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부(10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uction unit 10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case 100 , and the first suction unit 102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 . can do. The first suction unit 102 may be formed in plurality.

상기 복수 개의 제1흡입부(102)는, 제1케이스(1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케이스(100)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기 수직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units 102 may be formed even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0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100 . Accordingly, air may be sucked in a 360 degre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case 100 .

이와 같이, 제1케이스(10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제1흡입부(102)가 상기 제1케이스(1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제1송풍장치(10)의 공기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se 10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units 10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0 , so that the air intake amount of the first blower 10 is may increase, and flow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air sucked into the first blower 10 may be reduced.

제1송풍장치(10)는, 제1케이스(100)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5)는 제1케이스(10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5)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may further include a base 105 provided under the first case 100 and placed on the ground. The base 105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se 100 . A base suction part 103 may b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base 105 .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베이스(105)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Air sucked through the base suction unit 103 may flow upward through the suction port 115 of the suction grill 110 (refer to FIG. 2 )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5 .

즉, 제1송풍장치(10)는 복수 개의 흡입부(102,103)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제1송풍장치(1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송풍장치(10)의 공기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blower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102 and 103, the Existing air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first blower 10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102 and 103 , and accordingly, an air intake amount of the first blower 10 may increase.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는 제1토출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부(170)는, 제1송풍장치(10)에 구비되는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 도 2 참조)의 제1토출그릴(165)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는 제1송풍장치(1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토출부(17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방향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A first discharge unit 170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10 . The first discharge unit 170 may be formed on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refer to FIG. 2 ) provided in the first blower 10 .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may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lower 10 .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170 may flow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케이스(100,200)는 제2송풍장치(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s 100 and 200 may include a second case 200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second blower 20 .

제2케이스(200)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케이스(200)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케이스(200)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ase 2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second case 200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cut off.

제2케이스(200)는 제2분리부(201)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 및 제2분리부(201)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제2힌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200)는 제1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200)의 개방에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제1케이스(10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제2케이스(200)를 개방하여, 제2송풍장치(2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200 may include two parts that can be separated or coupled through the second separating part 201 and a second hinge part (not show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separating part 201 . can The second cas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like the first case 100 ,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case 200 will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ase 100 . do. By opening the second case 200 , internal parts of the second blower 20 may be replaced or repaired.

제2케이스(200)의 하단부 직경은 제1케이스(100)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200)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상기 케이스(100,200)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20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se 100 . Accordingly, in view of the overall shape of the cases 100 and 200 , the low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ses 100 and 20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 and thus the air cleaner 1 may be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제2케이스(20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부(2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흡입부(202)는 제2케이스(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입부(20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suction unit 20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e 200 , and the second suction unit 202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 can do. The second suction part 202 may be formed in plurality.

상기 복수 개의 제2흡입부(202)는, 제2케이스(2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2케이스(2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케이스(200)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기 수직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parts 202 may be uniform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200 . Accordingly, air may be sucked in a 360 degre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case 200 .

이와 같이, 제2케이스(20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제2흡입부(202)가 상기 제2케이스(2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제2송풍장치(20)의 공기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ase 20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units 20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0 , so that the air intake amount of the second blower 20 is may increase, and flow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blower 20 may be reduced.

공기청정기(1)는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는 구획장치(400)에 의해 제1송풍장치(1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device 400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 The second blower 20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lower 10 by the partition device 400 .

유동 전환장치(30)는 제2송풍장치(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공기유로를 경유할 수 있으며, 제2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토출부(305)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installed above the second blower 20 . Based on the air flow, the air flow path of the second blower 20 may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blower 20 may pass through the air passag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 The second discharge part 305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유동 전환장치(3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 전환장치(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2위치) 또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제3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movably provided. That is,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s shown in FIG. 1, may be disposed in a lying state (first position), and although not shown, an inclinedly erected state (second position) or vertically erected It may be arranged in a state (third position).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에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유동 전환장치(30)와 함께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500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The display device 50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together wit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송풍장치(10)는 베이스(105) 및 베이스(105)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할 수 있다.2 and 3 , the first blower 1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105 and a suction grill 1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5 . have.

베이스(105)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 및 상기 베이스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는 베이스(105)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105 may include a base body placed on the ground and a base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body to place the suction grill 110 . The bas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05 .

상기 베이스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와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베이스(105)와 흡입그릴(110)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By the base protrusion, the base body and the suction grill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ase suction unit 103 forming an air suc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105 and the suction grill 110. can

흡입그릴(110)은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 및 상기 그릴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본체 및 상기 테두리부의 구성에 의하여,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uction grill 110 may include a substantially ring-shaped grill body and a rim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ll body. By the configuration of the grill body and the rim portion, the suction grill 110 may have a stepped configuration.

흡입그릴(110)은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흡입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115)는 상기 테두리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115)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흡입공은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The suction grill 110 may include a suction unit 115 formed in the edge portion. The suction part 11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dge part, an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may be formed inside the suction unit 115 , and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uction unit 103 .

상기 복수 개의 흡입공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그릴(110)은 제1필터부재(1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nd the base suction unit 103 may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filter surface for filtering ai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may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rst filter member 120 and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suction grill 11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또한, 제1송풍장치(10)는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레버장치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lower device 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110 and may further include a user-operable lever device, the lever device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송풍장치(10)는 제1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1필터프레임(12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필터프레임(125)은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또는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20)는 제1필터프레임(125)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lter frame 125 forming a mounting sp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and the first filter frame 125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It may include a dust sensor and/or a gas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gas in the air.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detachably mounted from the first filter frame 125 .

제1필터부재(12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impurities such as fine dust in the air may be filtered out.

제1필터부재(120)가 원통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ir may be introduced from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and accordingly, an air filtering area may be increased.

제1필터프레임(125)은 제1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제1필터프레임(125)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제1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제1필터프레임(125)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frame 12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slidably retracted toward the first filter frame 125 during the mounting process. Conversely,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slidably drawn out from the first filter frame 125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제1송풍장치(10)는 제1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1팬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팬하우징(130)은 제1송풍팬(135)을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필터프레임(12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n housing 130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first fan housing 13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first blowing fan 135 , and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filter frame 125 .

제1팬하우징(130)의 하부에는, 제1팬하우징(13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1팬유입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팬유입부(133)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제1필터부재(1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제1팬하우징(13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first fan inlet 133 for guid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first fan housing 130 may be provided under the first fan housing 130 . A grill is provided in the first fan inlet 133 to prevent a user from inserting a finger or the like into the first fan housing 130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separated.

제1송풍장치(10)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오나이저는 제1팬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제1팬하우징(13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may further include an ionizer for removing or sterilizing odor particles in the air, and the ionizer is coupled to the first fan housing 130 to form an inside of the first fan housing 130 . can act on the flowing air.

상기 먼지센서, 상기 가스센서 및 상기 이오나이저는 각각 후술되는 제2송풍장치(202)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먼지센서, 상기 가스센서 및 상기 이오나이저는 제1송풍장치(10) 및 제2송풍장치(2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The dust sensor, the gas sensor, and the ionizer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econd blower 202 to be described later, bu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dust sensor, the gas sensor, and the ionizer may be installed in only one of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

제1송풍팬(135)은 제1팬유입부(1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송풍팬(135)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ing fan 135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fan inlet 133 . In one embodiment, the first blowing fan 135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that introduces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air upward in a radi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1팬(135)은 원심팬 모터인 제1팬모터(137)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허브(136), 허브(136)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37) 및 허브(136)와 쉬라우드(137)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모터(137)는 제1송풍팬(135)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fan 135 includes a hub 136 to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fan motor 137, which is a centrifugal fan motor, is coupled, a shroud 137 and a hub 136 spaced apart from the hub 136. and a plurality of blades 138 disposed between the shroud 137 and the shroud 137 . The first fan motor 137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5 .

제1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제1팬유입부(133)를 통하여 제1팬하우징(130)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후 제1송풍팬(135)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방으로 유출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flow upward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an housing 130 through the first fan inlet 133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135 . It can flow to and outflow upwards.

제1송풍장치(10)는 제1송풍팬(135)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1송풍팬(135)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ir guide device 14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lowing fan 135 to guid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wing fan 135 . .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외벽(14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는 내벽(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의 외벽(141)은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의 내벽(14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 외벽(141)의 내주면과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 내벽(14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143)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may include an outer wall 141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ner wall 142 positioned inside the outer wall 171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wall 141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wall 142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A first air flow path 143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outer wall 141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inner wall 142 .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는 제1공기유로(143)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 리브(145)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 내벽(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 외벽(141)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5)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리브(145)는 제1송풍팬(135)을 거쳐 제1공기유로(143)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may include a guide rib 145 disposed in the first air flow path 143 , and the guide rib 145 is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42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It may be provided to exten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outer wall (141). A plurality of guide ribs 145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guide ribs 145 may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143 through the first blowing fan 135 upward.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의 내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팬모터(13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수용부(144)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accommodating part 14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to accommodate the first fan motor 135 .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44 may have the shape of a bowl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제1팬모터(137)는 모터 수용부(144)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터(137)의 회전축은 제1팬모터(13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모터 수용부(144)의 저면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an motor 137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44 .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fan motor 137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fan motor 137 , and may be coupled through a bottom surface of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44 .

제1팬모터(137)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결합부는 제1팬모터(137)를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 motor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an motor 137 , and the motor coupling part may guide the first fan motor 137 to be fixed to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제1송풍장치(10)는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의 상측에 결합되며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를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로 가이드 하는 제2에어가이드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device 1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and blow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to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 16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ir guide device 150 for guiding.

제2에어가이드 장치(15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벽 및 상기 제1가이드벽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벽은 상기 제2가이드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air guide device 150 may include a first guide wa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guide wall positioned inside the first guide wall and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first guide wall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guide wall.

상기 제1가이드벽의 내주면과 상기 제2가이드벽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의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의 상측에는 제1토출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flow path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air flow path and flow upward. A first discharge unit 17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air flow path.

제2에어가이드 장치(150)의 내측에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PCB 장치(4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는 전원 공급부(480) 및 메인 PCB(455)가 포함될 수 있다.A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PCB device 45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50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CB device may include a power supply 480 and a main PCB 455 .

상기 전원 공급부는 공기청정기(1)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메인 PCB(455) 및 공기 청청기(1) 내의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AC전원용 PCB(파워 PC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455)는 상기 AC전원용 PCB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DC전원용 PC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device that receives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1 and supplies power to the main PCB 455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air purifier 1 . 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PCB (power PCB) for AC power. The main PCB 455 may include a PCB for DC power driven by the DC voltage converted from the PCB for AC power.

PCB 장치(450)는 상기 전원 공급부(480) 및 메인 PCB(455)를 지지하기 위한 PCB지지판(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455)는 PCB지지판(470)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고, 전원 공급부(480)는 PCB지지판(470)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The PCB device 450 may further include a PCB support plate 470 for supporting the power supply 480 and the main PCB 455 . The main PCB 455 may be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PCB support plate 470 , and the power supply 480 may be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CB support plate 470 .

PCB 장치(450)는 공기 청정기(1)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모듈(460)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60)은 PCB지지판(470)에 지지될 수 있으며, 메인 PCB(45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CB device 45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460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r 1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460 may include a Wi-Fi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460 may be supported on the PCB support plate 470 ,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main PCB 455 .

제1송풍장치(10)는 제2에어가이드 장치(15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제2에어가이드 장치(15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청정기(1)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하는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50, that is, on the outlet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50 based on the air flow path, and the air purifier 1 )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 to the outside.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는 대략 중앙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환형 형상의 제1토출본체(16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토출본체(163)의 내측에는 PCB 장치(4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body 163 of an annular shape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nd a PCB device 450 inside the first discharge body 163 . ) can be accommodated.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는 제1토출그릴(16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토출그릴(165)은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grill 165 , and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제1토출그릴(165)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165)의 사이에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제1토출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165)은 상기 제2공기유로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그릴(165) 측으로 유동하여 제1토출부(1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may be provided, and a first discharge portion 170 through which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air flow path,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flow path flows toward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side to the first discharge unit 170 . ) can be released through

제2송풍장치(20)는 제2송풍장치(20)의 제2필터부재(220) 또는 레버장치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지지장치(210)는 대략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blower 20 may further include a lever support device 210 for suppor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or the lever device of the second blower 20 . The lever support device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고, 구획장치(400)는 제1송풍장치(1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제2송풍장치(2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송풍장치(10) 및 제2송풍장치(20)는 구획판(410)에 의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의 사이에는 구획판(41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의 하단부에는 제1송풍장치(10)의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의 상단부에는 제2송풍장치(20)의 레버 지지장치(210)가 위치될 수 있다.A partition device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wer device 10 and the second blower device 20 , and the partition device 400 is formed between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irst blower device 10 and the second blower device. A partition plate 410 for separating or blocking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er 20 may be included, and accordingly,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have a partition plate 410 .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separation spac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410 is loc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of the first blower 1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lever support device 210 of the second blower 2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space. can be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구획판(410)에 의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의 제1토출부(17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경유되는 제1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공간은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를 이동할 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으로서 제2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separation space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the partition plate 410 . The lower space may be understood as a first spac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170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flows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 The upper space may be understood as a second space as a holding space in which a user can put his or her hand when moving the air purifier 1 .

상기 제1토출부(17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구획판(4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170 may be guided by the partition plate 410 to flow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 , and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blower 20 side. .

구획판(410) 상에는 공기청정기(1)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는 공기 오염도 또는 공기 청정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460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 may be installed on the partition plate 410 . In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air pollution level or an air cleanliness level.

제2송장치(20)는 제2필터부재(220), 제2필터프레임(225), 제2팬하우징(230), 제2팬(235) 및 제2팬모터(2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제1송풍장치(10)에 구비되는 제1필터부재(120), 제1필터프레임(125), 제1팬하우징(130), 제1팬(135) 및 제1팬모터(137)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1송풍장치(1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The second feeding device 20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220 , a second filter frame 225 , a second fan housing 230 , a second fan 235 , and a second fan motor 237 . have. These configurations includ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first filter frame 125 , the first fan housing 130 , the first fan 135 , and the first fan motor provided in the first blower 10 . 137)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refers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blower 10 .

제2송풍장치(20)는 제2팬(235) 상측에 결합되어 제2팬(235)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3에어가이드 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에어가이드 장치(24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에어가이드 장치(240)는 상기 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제외하면,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The second blower 2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ir guide device 24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an 235 to guid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n 235 , The air guide device 240 may include a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Sinc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device,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lated to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 use an explanation

제2송풍장치(20)는 제3에어가이드 장치(2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3에어가이드 장치 (24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2토출가이드 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토출가이드 장치(250)의 상측에는 유동 전환장치(300)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blower 20 is installed abov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40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5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40 . can do. A flow switching device 300 may be provided movably above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50 .

유동 전환장치(30)는 제3팬(3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팬(335)은 제3에어가이드 장치(24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3팬(335)에는 제3팬모터(337)가 결합될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include a third fan 335 , and the third fan 335 may allow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 . can guide you. A third fan motor 337 may be coupled to the third fan 335 .

제3팬(335)은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팬(335)은 제3에어가이드 장치(240)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3팬(335)을 통과한 공기는 제3팬(335)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third fan 335 may be configured as an axial fan. Accordingly, the third fan 335 may be operated to axially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40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fan 33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positioned above the third fan 335 .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송풍장치(10)의 제1토출부(170)와 함께 제2토출부(305)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together with the first discharge unit 170 of the first blower 10, the discharge air volume is improved. and may have the effect of discharging air in various directions.

공기청정기(1)의 상면에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PCB(5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PCB(505)는 공기청정기(1)의 상면과 제3팬(33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500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1 . The display device 500 may include a display PCB 505 , and the display PCB 505 may b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 third fan 335 .

제1팬모터(137) 및 제2팬모터(237)는 공기청정기(1)의 상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팬모터(237) 및 제3팬모터(337)도 공기청정기(1)의 상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an motor 137 and the second fan motor 237 may be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 second fan motor 237 and the third fan motor 337 ) may also be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 .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동 전환장치(30)의 하부에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는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의 동작에 따라 누워있는 상태(제1위치),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2위치), 또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disposed in a lying state (first position), an inclinedly erected state (second position), or a vertically erected state (thir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guide device.

유동 전환장치(300)에 의하여, 공기청정기(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By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1 may be increased, and purified air may be supplied to a location far away from the air purifier 1 .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at which a safety guide device is disposed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diagrams of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송풍장치(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열 교환부(180), 및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 사이에서 열 교환부(180)의 상방에 배치되어 제1송풍장치(10)의 내측으로부터 제1송풍장치(1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안전가이드 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가이드 장치(190)는 열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4 and 5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blower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er 10 . is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 unit 180 between the heat exchange unit 180 provided to raise the A safety guide device 190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1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afety guide device 19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도 4는 열 교환부(180)가 제1에어가이드 장치(140)와 제2에어가이드 장치(150)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열 교환부(180)는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서 제1송풍팬(135)과 제1토출그릴(16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열 교환부(180)의 종류 및 작동 방식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열 교환부(180)는 전열선이 코일 모양으로 내장된 열선 및 상기 열선과 함께 절연 분말이 충진된 보호관으로 구성된 시즈 히터(Sheath Heater) 등 다양한 종류의 히터로 마련될 수 있다.4 shows that the heat exchange unit 180 is arranged to extend between the first air guide device 140 and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50,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heat exchange unit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er fan 135 and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inside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position thereof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typ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heat exchanger 18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for example, the heat exchange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heaters, such as a heating wire having a built-in heating wire in a coil shape, and a sheath heater including a protective tube filled with insulating powder together with the heating wire. .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는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위부로 토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내측으로부터 제1송풍장치(1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16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10 to discharge the air filter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10 to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blower 10 )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10 .

안전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165)의 상방에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19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제1토출그릴(165)의 상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device 1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195 respectively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 and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grill 165 . ) may be provided so as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upper surface.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양 말단부가 제1토출그릴(165)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토출그릴(165)의 상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be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both end portions do not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 It may be provided not to.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165)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195)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폭과 제1토출그릴(165)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may be provid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195 may also be provid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exemplary embodiment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be the same 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한 쌍을 이루는 제1토출그릴(165) 및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165) 및 상기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함께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and the safety guide grill 195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pair may be integrally formed.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165 and the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195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10 together.

도 6을 참조하면, 안전가이드 장치(190)는 제1송풍장치(10)와 구획장치(40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제1토출가이드 장치(160)과 구회판(410) 사이에서 열 교환부(18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afety guide device 190 exchanges heat betwee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partition device 400 ,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60 and the old plate 410 . It may be disposed above the unit 180 .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송풍장치(20)가 내부에 열 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안전가이드 장치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방에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송풍장치(10)의 상방에 구비된 안전가이드 장치(190)를 제1안전가이드 장치로 지칭할 수 있고,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방에 구비된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를 제2안전가이드 장치로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second blower 20 further includes a heat exchanger therein, the safety guide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above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in this case the first blower 10 ) may be referred to as a safety guide device 190 provided above the first safety guide device, and the safety guide device provided above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afety guide device. .

이와는 달리, 제2송풍장치(20)가 별도로 제2토출가이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가이드 장치가 제2송풍장치(20)와 유동 전환장치(30)의 사이에 구비된 제2토출그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안전가이드 장치는 제2송풍장치(20)의 상기 제2토출그릴의 상방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Unlike this, the second blower 20 separately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lower 20 and the flow switching device 30 . When a discharge grill is included, the second safety guide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above the second discharge grill of the second blower 20 .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1토출그릴(165)은 제1송풍장치(10)의 내측에 인접한 제1부분(165a), 제1송풍장치(10)의 외측에 인접한 제2부분(165b), 및 제1부분(165a)과 제2부분(165b)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부분(165c)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includes a first portion 165a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10 , a second portion 165b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10 , and a third portion 165c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165a and the second portion 165b.

제1토출그릴의 제1부분(165a)은 제1토출그릴의 제2부분(165b)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토출그릴(165)의 높이를 제1토출그릴(165)의 하부면으로부터 제1토출그릴(165)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제1토출그릴(165)의 높이를 제1높이(h1)라고 할 때, 제1토출그릴(165)의 제1높이(h1)는 제1토출그릴의 제1부분(165a)에서 제2부분(165b)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토출그릴(165)의 제1높이(h1)는 제1토출그릴의 제1부분(165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제1토출그릴의 제2부분(165b)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토출그릴의 제3부분(165c) 부분에서 중간값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ortion 165a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may be provided to have a smaller height than the second portion 165b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is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and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when the height of said first height (h 1),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h 1) is increasing from the first portion (165a)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in the second portion (165b) may gradually decrease.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height h 1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may have a maximum value in the first portion 165a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It may have a minimum value in the portion 165b, and may have an intermediate value in the third portion 165c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제1토출그릴의 제1부분(165a)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4부분(195a), 제1토출그릴의 제2부분(165b)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5부분(195b), 및 제4부분(195a)과 제5부분(195b)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6부분(19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가이드 그릴의 제6부분(195c)은 제1토출그릴의 제3부분(195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grill 195 includes a fourth portion 195a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portion 165a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a fifth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portion 165b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 195b), and a sixth portion 195c extending between the fourth portion 195a and the fifth portion 195b. In this case, the sixth portion 195c of the safety guide grill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portion 195a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제6부분(195c) 상에서 최고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높이를 제1토출그릴(165)의 상부면으로부터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높이를 제2높이(h2)라고 할 때,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제2높이(h2)는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즉,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제2높이(h2)는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제6부분(195c) 상에서 최고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6부분(195c)의 최고 높이를 갖는 부분으로부터 양 말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제6부분(195c)의 최고 높이를 갖는 부분은 안전가이드 그릴의 제4부분(195a)보다 안전가이드 그릴의 제5부분(195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be provided to have the highest height on the sixth portion 195c.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is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and the height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is defined as a second height (h 2) when said second height (h 2)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be reduced while increasing. That is, the second height h 2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have the highest height on the sixth part 195c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and has the highest height of the sixth part 195c. It may have a gradually decreasing height from the portion toward both distal ends.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portion having the highest height of the sixth portion 195c of the safety guide grill is adjacent to the fifth portion 195b of the safety guide grill than the fourth portion 195a of the safety guide grill. can be plac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토출그릴(165)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두께는 제1부분(165a)으로부터 제2부분(165b)까지 일정할 수 있으며,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두께도 제4부분(195a)으로부터 제5부분(195b)까지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토출그릴(165)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두께와 안전가이드 그릴(195)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thickne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may be constant from the first portion 165a to the second portion 165b, and A thickne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also be constant from the fourth portion 195a to the fifth portion 195b.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safety guide grill 19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afety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안전가이드 그릴(195)은 제1토출그릴(165)의 상부면에 전체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afety guide grill 195 may be provided to ful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165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송풍장치(10), 송풍장치(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송풍장치(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열 교환부(180), 및 송풍장치(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열 교환부(180)에 의해 상승된 온도를 갖는 공기로부터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안전가이드 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가이드 장치(190)는 송풍장치(10)의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분포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편평하지 않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blower 10 and the blower 10, which are provided to blow the outside air after suction and filtering. The heat exchange unit 180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 , and the air disposed above the blower 10 and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d by the heat exchange unit 180 . It may include a safety guide device 190 for guiding the user from getting burned. In this case, the safety guide device 190 may have a non-uniform heigh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air discharged upward of the blower 10 , and may have a non-flat upper surface.

따라서, 공기청정기(1)가 송풍장치의(10) 내부에 열 교환부(180)를 포함하므로, 송풍장치(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송풍장치(10)의 상방에 안전가이드 장치(190)를 포함하므로, 송풍장치(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로부터 사용자가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ir purifier 1 includes the heat exchange unit 180 inside the blower 10 ,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 may increase, and Since the safety guide device 190 is included, the user can secure a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burns to the user.

또한, 송풍장치(10)의 상방에 안전가이드 장치(190)가 설치됨에 따라, 송풍장치(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 길이 및 유로 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장치(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할 수 있고, 송풍장치(10)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의해 발생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afety guide device 190 is installed above the blower 10 , the flow path length and flow path area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 may increase, and accordingly, the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may be increased, and noise generated by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blower 10 and radiated to the outside may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공기청정기 10: 제1송풍장치
20: 제2송풍장치 30: 유동 전환장치
100: 제1케이스 101: 제1분리부
102: 제1흡입부 105: 베이스
190: 안전가이드 장치 195: 안전가이드 그릴
200: 제2케이스 201: 제2분리부
202: 제2흡입부 305: 제2토출부
500: 디스플레이 장치
1: air purifier 10: first blower
20: second blower 30: flow conversion device
100: first case 101: first separation unit
102: first suction unit 105: base
190: safety guide device 195: safety guide grill
200: second case 201: second separation unit
202: second suction unit 305: second discharge unit
500: display device

Claims (17)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
지면에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송풍장치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된 열 교환부; 및
상기 제1송풍장치와 상기 제2송풍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열 교환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1송풍장치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된 안전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 first blower provided to suck in, filter, and blow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 second blower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er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provided to blow air after filtering and sucking air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a heat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first blower and provid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er; and
a safety guide device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 unit between the first blower device and the second blower device and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devic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device;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장치는 상기 제1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위부로 토출하도록 구비된 제1토출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토출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제1송풍장치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lower includes a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er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filtered inside the first blower to an upper portion, and
and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l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의 상방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fety guid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respectively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and
The safety guide grill is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양 말단부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양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afety guide grill is provid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both end portions do not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그릴은 상기 제1송풍장치의 내측에 인접한 제1부분, 상기 제1송풍장치의 외측에 인접한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discharge grill includes a first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lower, a secon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lower,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ncluding, and
The first portion is an air purifier provided to have a smaller height than the second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그릴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discharge grill is provided to have a height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제1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4부분,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제2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5부분, 및 상기 제4부분과 상기 제5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6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상기 제6부분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afety guide grill includes a fourth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 fifth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the fourth portion and the a sixth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fifth portion; and
The sixth portion of the safety guide grill is an air purifi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6부분 상에서 최고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afety guide grill is an air purifier provided to have the highest height on the sixth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부분의 최고 높이를 갖는 부분은 상기 제4부분보다 상기 제5부분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rtion having the highest height of the sixth portion is an air purifier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fifth portion than the fourth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두께는 상기 제4부분으로부터 상기 제5부분까지 일정한 공기청정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ckness of the safety guide grill is constant from the fourth part to the fifth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부면에 전체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fety guide grill is an air purifier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s a w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그릴은 지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discharge grill is an air purifier provid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폭과 상기 제1토출그릴의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폭은 서로 동일한 공기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afety guide grill and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are the same as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1송풍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외부로 송풍되는 제1토출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a first discharge unit for blowing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blower to the outside is formed.
제14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1토출그릴 및 상기 안전가이드 그릴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discharge grill and the safety guide grill,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form a pair, are integrally form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그릴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안전가이드 그릴들은 함께 상기 제1송풍장치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공기청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grills and the plurality of safety guide grills are arranged to surrou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장치와 상기 제2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2송풍장치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구획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1송풍장치와 상기 구획장치 사이에서 상기 열 교환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and provided to blo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er from being sucked into the second blower,
The safety guide device is an air purifier disposed above the heat exchange unit between the first blower device and the partition device.
KR1020200049934A 2020-04-24 2020-04-24 Air Cleaner KR2021013161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34A KR20210131612A (en) 2020-04-24 2020-04-24 Air Cleaner
PCT/KR2020/012979 WO2021215596A1 (en) 2020-04-24 2020-09-24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934A KR20210131612A (en) 2020-04-24 2020-04-24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612A true KR20210131612A (en) 2021-11-03

Family

ID=7826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934A KR20210131612A (en) 2020-04-24 2020-04-24 Air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31612A (en)
WO (1) WO2021215596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12394U1 (en) * 2005-08-06 2005-12-08 Microhellix Systems Gmbh Electric heating module for airflow warming especially in vehicles, has heat emission section constructed in ring-form and especially circular, with heat conducting vanes arranged to extend radially
JP5774212B2 (en) * 2012-04-23 2015-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Corona dischar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9951791B2 (en) * 2014-08-0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180065164A (en)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Multiplex air cleaner
KR102114666B1 (en) * 2019-08-20 2020-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596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961B2 (en) Air cleaner
US9943794B2 (en) Air cleaner
KR10201103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CN107023885B (en) Air cleaner
CN106931525B (en) Air cleaner
CN111765554B (en) Air cleaner
US9827523B2 (en) Air cleaner
KR101833302B1 (en) Pot exhausting device
US20170246582A1 (e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leaner
KR10202139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US11364459B2 (en) Air cleaner
US20200191153A1 (en) Flow generator
US20190277521A1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US11938433B2 (en) Air cleaner
AU2005244606B2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20210131613A (en) Air Cleaner
KR101938647B1 (en) Air cleaning apparatus
TWI807424B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210131612A (en) Air Cleaner
KR102536072B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210131614A (en) Air Cleaner
KR20210131615A (en) Air Cleaner
KR20220013879A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180039216A (en) A dust collector having a spiral oil collecting part and an oil melting part
KR101809407B1 (en) Air clean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