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063A -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063A
KR20210124063A KR1020210042758A KR20210042758A KR20210124063A KR 20210124063 A KR20210124063 A KR 20210124063A KR 1020210042758 A KR1020210042758 A KR 1020210042758A KR 20210042758 A KR20210042758 A KR 20210042758A KR 20210124063 A KR20210124063 A KR 2021012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welling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정
류덕현
정민기
박한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1785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34408A4/en
Priority to US17/789,339 priority patent/US20220376289A1/en
Priority to CN202180007474.7A priority patent/CN114901766B/en
Priority to JP2022537896A priority patent/JP2023508012A/en
Priority to PCT/KR2021/004147 priority patent/WO2021206381A1/en
Publication of KR2021012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0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elling tape which comprises a base material layer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wherein the adhesive swelling layer comprises a water-based self-recovery binder;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swelling tape attach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m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batter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정보사회의 발달로 인해 개인 IT 디바이스와 전산망이 발달되고 이에 수반하여 전반적인 사회의 전기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personal IT devices and computer networks are developed, and the overall society's dependence on electric energy increases with it.

이를 위해 개발된 기술 중 여러 용도에 가장 적합한 기술이 이차전지 기반 기술이며, 이 중 이론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리튬 이차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Among the technologies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most suitable technology for various uses is a secondary battery-based technology, and among them,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the highest theoretical energy density is in the spotlight.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n operating voltage of about 3.6V, which has about three times the capacity of nickel-cadmium batteries or nickel-hydrogen batteries, which are often used as power sources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is in a rapidly increasing trend.

리튬 이차전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이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 및 이들을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져 있다.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sists of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 electrolyte, and a packaging material for sealingly accommodating them together.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캔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캔형 이차전지는 금속 캔의 형태에 따라 다시 원통형 이차전지와 각형 이차전지로 다시 분류될 수 있으며, 양극,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권취된 젤리 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를 금속 캔에 수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 안에 다수의 양극,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스택(stack) 타입의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다음, 밀봉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into a can-type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The can-type secondary battery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etal can, and can be manufactured by accommodating a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wound in a metal can.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by embedding a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separators,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pouch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and then sealing.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이동이 잦고 자동차처럼 강한 진동을 받는 기계 내부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 및 진동에 강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frequently moved and can be accommodated in a machine that is subjected to strong vibration like a car, portability and strong vibration-resistant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그러나,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전지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기 위하여,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전지 케이스(금속 캔)에 비해 작은 사이즈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의 내벽 사이에 간극(gap)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은 낙하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시키는 원인이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 order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metal can), there is a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wall of the battery case. (gap) is formed. Such a gap causes the electrode assembly to flow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side the battery case when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due to a drop or the like.

전극 조립체의 유동은 전지의 내부 저항 증가나, 전극 조립체와 캡 조립체 사이에 연결된 탭이 절단에 의해 이차전지의 전원 무감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 상단 개방부에 결합된 캡 조립체에 충격을 가하여 밀봉 부분이 파손 또는 분리됨으로써 이차전지 내부의 전해질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flow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cause an in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or a power insensitivity phenomenon of the secondary battery due to cutting of a tab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p assembly. In addition,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cap assembly coupled to the upper open part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sealing part is damaged or separa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which the electrolyt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is leaked.

이러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 스웰링 테이프(swelling tape)와 같은 특수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a method using a special tape such as a swelling tape is recently applie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권취된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 면에 점착층(110) 및 스웰링층(120)으로 이루어진 스웰링 테이프를 부착하고, 이를 원통형 전지 케이스 내부에 수납한 다음, 전해질을 주액하면 상기 스웰링층이 팽창하면서, 전극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충전되어,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a swelling tape consisting of an adhesive layer 110 and a swelling layer 120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100 o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wound, and this is a cylindrical battery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case, the swelling layer expands and fills a gap existing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flowing.

상기 스웰링층으로 종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또는 경화성 우레탄 등의 우레탄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우레탄 수지의 경우, 내열 및 내화성이 낮고, 전극 조립체에 진동이나 충격을 쉽게 전달하기 때문에, 전지 내부의 진동이나 충격 방지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As the swelling layer, a conventional urethane resin such as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or curable urethane is u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urethane resin, heat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are low, and since vibration or shock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weak in preventing vibration or shock inside the battery.

이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스웰링 테이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welling tap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flowing even in strong vibration or impac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47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47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지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flow of an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ies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wherein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ncludes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상기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는 점착층 및 배면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ie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dhesive layer and a back coating layer.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조립체, 전해질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납하는 원통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lyte, and a cylindrical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는 기재층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포함하는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권취 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저비용으로 전극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 내벽 사이의 간극을 충전하여,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변형에 의한 단락으로 이차전지가 파손되거나,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캡 조립체의 결합 부분 파손으로 인한 전해질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정성이 높고, 저항 증가율 및 전원 무감 현상 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swelling layer containing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being unw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at low cost By filling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flow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from being damaged, ignition and explosion due to a short circuit due to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lso to prevent electrolyte leakage due to breakag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p assemb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stability and effectively improved resistance increase rate and power insensitivity phenomeno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다.
도 1은 종래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상에 스웰링 테이프를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웰링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스웰링 테이프가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schematic view of applying a swelling tape on a conventional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welling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welling tape is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용어 「스웰링 테이프」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대상의 사이의 간극(gap)에 위치하여, 상기 간극을 메우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두 개의 대상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테이프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스웰링 테이프는 상기 두 개의 대상 중 어느 하나의 대상에 상기 점착층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웰링층이 팽창함에 따라 발생하는 힘과 점착제층의 고정력의 상호 균형에 의해 상기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테이프를 칭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swelling tape" is located in a gap between two objec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lls the gap, and if necessary, serves to fix the two objects to each other. It can mean tape. In one example, the swelling tape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two objects through the adhesive layer, by the mutual balance of the force generated as the swelling layer expands and the fixing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fers to a tape capable of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can fill the gap.

스웰링 테이프swelling tape

본 발명에 따른 스웰링 테이프는 기재층 및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며,The swelling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y include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1) 기재층(1) base layer

상기 기재층은 전해질 등의 액체와 같은 유체와 접촉하면 변형 (팽창) 특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의 층으로서, 사각형 외에도 원형, 삼각형 또는 무정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se layer is a film or sheet-shaped layer having deformation (expansion) properties when in contact with a fluid such as an electrolyte,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or an amorphous shape in addition to a square shape.

상기 기재층은 종래 스웰링 테이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재층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s the base layer, various base layers commonly used in conventional swelling tape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specifically, polyacrylate,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olymer material of amide, polycarbonate, polyimide, and polystyrene, and preferab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and polystyrene.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 형상이나 충전하고자 하는 간극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40㎛,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to be implemented or the size of the gap to be filled, and may be specifically formed to a thickness of 10 μm to 40 μm, specifically 20 μm to 40 μm.

(2) 점착성 스웰링층(2) adhesive swelling layer

본 발명의 점착성 스웰링층은 전해질이 함침되거나 열이 가해지는 경우 팽윤되어 전극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충전할 수 있는 층으로, 최대 100% 이상의 부피 증가율을 구현할 수 있다. Tacki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lling layer is a layer capable of filling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by swelling when the electrolyte is impregnated or heat is applied, and a volume increase rate of up to 100% or more can be realized.

이러한 점착성 스웰링층 성분으로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30℃인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this stickiness As a component of the swelling layer,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C to -30°C may be included.

상기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는 전해질에 포함된 유기용매와의 접촉에 의해 팽윤(팽창)하거나, 열 등에 의하여 팽윤하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 CMC(Ceramic Matrix Composite), 아르지네이트(Arginate) 및 키토산(Chitosa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는 아르지네이트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is a polymer having a property of swelling (expanding) by contact with an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or swelling by heat,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CMC (Ceramic Matrix Composite), arginate.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und of chitosan (Chitosan). Specifically, 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ginate and chitosan.

상기 아르지네이트는 매우 큰 고분자량의 중합체로서, 자가 회복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스웰링 테이프에 이용하는 경우 충격 시에 내부 간극을 충전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곁사슬에 강한 음이온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해질 내 이온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전기장 하에서도 전지 구동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아르지네이트는 구체적으로 소듐 아르지네이트를 의미하며, 이 외에도 에틸 라우로일 아르지네이트(ethyl lauroyl Arginate)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아르지네이트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arginate is a very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and since it has excellent self-healing ability, when it is used for swelling tap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filling the internal gap during impact, so that the flow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have. In addition, since it has a strong anion component in the side cha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on movement in the electrolyte can be smoothed and the battery driving characteristics can be expressed even under an electric field. The arginate specifically refers to sodium arginate, and in addition to this, ethyl lauroyl arginate or propylene glycol arginate may be applied.

상기 키토산은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서,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결착 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스웰링 테이프에 이용하는 경우, 전극 조립체에 대한 스웰링 테이프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공정성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은 구조 내에 질소(nitrogen) 원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스웰링 테이프에 이용하는 경우 질소 원자에 의한 산소 환원 반응으로 산소의 흡착 및 분해능력이 향상되어 이차전지의 전기전도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The chitosan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inexpensive and has excellent binding performance because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hydroxyl groups. Therefore, when this is used for the swelling tap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welling tape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reduced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chitosan contains a nitrogen element in its structure, when it is used in a swelling tape, the adsorption and decomposition ability of oxygen is improved by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by the nitrogen atom,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do.

본 발명에서는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스웰링 테이프에 이용함으로써, 높은 점착성을 확보하여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와 같은 부가적인 점착제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고, 열이나 충격에 의해 팽창하는 물성에 의해 전극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의 낙하 등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도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충격 내성이 향상된 안정한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for the swelling tape, high adhesiveness is ensured, and the use of an additional adhesive such as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can be omitted, and the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may be completely filled by the expansion propert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even when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due to dropping of the battery, and thus a stable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can be realized.

한편,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상기 기재층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물에 용해시켜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기재층에 코팅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in water to prepare a binder composition, then coating and drying it on a base layer.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기재층 전체 두께에 대하여 약 10 내지 50%, 구체적으로 10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극 조립체(젤리롤)와 전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충전하여, 진동 등 외부 충격에 강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의 두께가 기재층 전체 두께에 대하여 약 10 % 이상인 경우, 간극을 충분히 충전하여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의 두께가 기재층 전체 두께에 대하여 약 50%를 초과하는 경우, 스웰링 테이프의 두께 증가로 전극 조립체(J/R)의 외경이 증가하므로, 사이클 구동 시 전극 조립체의 팽창에 의한 전지 변형이 발생하여, 셀(cell)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10 to 50%, specifically, 10 to 3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base layer.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welling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jelly roll) and the battery case may be filled to provide a battery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such as vibration. 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s about 1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base laye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flowing by sufficiently filling the gap may be real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welling layer exceeds about 50%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base layer,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J/R)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welling tape, the electrode assembly expands during cycle driving Deformation of the cell may occur,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cell performance.

한편,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의 전체 면적 대비 5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50% to 99%, preferably 70% to 95% of the total area of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의 면적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비용 대비 효과적인 내진동성을 구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의 면적이 기재층의 전체 면적 대비 99 %를 초과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50% 미만인 경우, 점착성 스웰링층의 면적이 너무 작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When the area of the adhesive swelling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st-effective vibration resistance. If the area of the adhesive swelling layer exceeds 99% of the total area of the base layer, it is economically undesirable. The effect may be negligible.

한편,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는 접착력 및 팽윤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점착층 및 배면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dhesive layer and a back coating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f necessar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ve force and the swelling effect.

(3) 점착층 (3)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층은 전극 조립체에 대한 스웰링 테이프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층으로, 전극 조립체에 대한 적절한 점착력, 다시 말하자면 적절한 박리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is a layer added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welling tape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may be designed to implement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to the electrode assembly, that is, an appropriate peel force.

상기 점착층의 박리력은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 형상의 크기나 충전하고자 하는 간극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하한은 100 gf/25mm 이상, 200 gf/25mm 이상, 400gf/25mm 이상, 600 gf/25mm 이상, 800 gf/25mm 이상, 1,000 gf/25mm 이상, 1,200 gf/25mm 이상, 1,400 gf/25mm 이상, 1,600 gf/25mm 이상 또는 1,80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박리력 상한은 일반적인 범위를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대략 5,000 gf/25mm 이하일 수 있다.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to be implemented or the gap to be filled, and the lower limit thereof is 100 gf/25mm or more, 200 gf/25mm or more, 400gf/25mm or more, 600 gf/25mm or more. or more, 800 gf/25mm or more, 1,000 gf/25mm or more, 1,200 gf/25mm or more, 1,400 gf/25mm or more, 1,600 gf/25mm or more, or 1800 gf/25mm or mor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general range, but may be about 5,000 gf/25mm or less.

상기 박리력은 상온에서 측정된 박리력이며, 5 mm/sec의 박리 속도와 180°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상온"은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30℃,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약 30℃, 더욱 구체적으로 약 25℃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The peel force is a peel forc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 is a result of measurement at a peeling rate of 5 mm/sec and a peeling angle of 180°. The "room temperature" is a natural temperature that is not heated or cooled, for example, from about 10°C to about 30°C, specifically from about 20°C to about 30°C, more specifically, it may mean a temperature of about 25°C. have.

상기 점착층의 박리력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상회하는 경우, 스웰링층의 변형을 지나치게 억제하여 입체 형상의 구현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박리력이 상기 범위에 미달하면 상기 스웰링 테이프의 팽창 시에 확보하고자 하는 점착성 구현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When 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exceeds the above range, deformation of the swelling layer may be excessively suppressed,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shape. In addition, when the peel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e adhesiveness to be secured when the swelling tape is expanded may be insignificant.

이러한 점착층은 중량평균분자량(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이 40만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가 중합된 형태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단량체의 중량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박리력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400,000 or more. Specifically, the acrylic polymer may include a polymer in which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a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re polymerized. At this time, the weight ratio of each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a desired peeling force.

한편,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유리전이온도 또는 점착성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1 내지 15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may be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5 carbon atoms in consideration of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the adhesiveness. Such monomer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Acrylate, sec-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2-ethylbutyl (meth)acrylate, n-octyl (meth)acrylate, isooctyl One or two or more of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and tetradecyl (meth)acrylate may be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가교 결합을 통해 공중합될 수 있고, 공중합된 후에 중합체의 주쇄에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가교점을 제공할 수 있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기 또는 아미드기 등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 등과 같은 광가교성 관능기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그 대표적인 예로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등과 같은 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중합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be copolymerized with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through crosslinking, and after copolymerization, a monomer capable of providing a crosslinking point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n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may include.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be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 glycidyl group or an amide group, and in some cases, a photo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n acryloyl group or a methacryloyl group.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6-hydroxy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such as hexyl (meth)acrylate, 8-hydroxyoctyl (meth)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or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2-(meth)acryloyloxy acetic acid, 3-(meth)acryloyloxy propyl acid, 4-(meth)acryloyloxy butyric acid, acrylic acid duplex,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such as maleic anhydride; and glycidyl (meth)acrylate, (meth)acrylamide, N-vinyl pyrrolidone, or N-vinyl caprolact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or two or more of these monomers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상기 점착층은 5 ㎛ 내지 20 ㎛, 구체적으로 10 ㎛ 내지 20 ㎛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20㎛ 초과하면, 젤리롤 전극 조립체의 외경(부피)가 증가하여 생산성 문제 및 셀 내부 공간의 감소로 전해질 분산성이 낮아지므로, 이차전지의 안전성 및 제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5 μm to 20 μm, specifically 10 μm to 20 μm.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exceeds 20 μm, the outer diameter (volume) of the jelly roll electrode assembly increases and electrolyte dispersibility is lowered due to productivity problems and a decreas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ell, so that the safety and overall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reduced. can

한편, 상기 점착층은 기재층과 점착성 스웰링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보다 향상된 점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재층 및 점착성 스웰링층 중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or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n order to secure more improved adhesion.

(4) 배면 코팅층(4) back coating layer

상기 배면 코팅층은 간극 충전 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부가되는 층으로서, 전해질과의 접촉 및 함침에 의해 부분적으로 방향성이 풀어지면서 팽윤되거나, 열이 소정량 이상 인가될 때 접착성이 발현되는 열경화성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ck coating layer is a layer added to further improve the gap filling effect, and it swells while partially releasing directionality by contact and impregnation with an electrolyte, or a thermosetting adhesive material that exhibits adhesiveness when heat is appli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can be made with

구체적으로, 상기 배면 코팅층은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h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퍼플루오로알콕시 (perfluoroalkoxy, PFA), 폴리설폰(polysulfone, PSF), 폴리아릴설폰(polyarylsulfone, PA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ene, PE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ck coating layer may include polyimid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amideimide (PAI), perfluoroalkoxy (PFA), and polysulfone (PSF). ), polyarylsulfone (P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PE), and polyethylene naphthalene , PEN) may include a single substanc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배면 코팅층의 경우, 열에 의해 접착성이 발현되기 때문에, 상기 배면 코팅층을 적용한 스웰링 테이프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 삽입할 때에는 접착성이 발현되지 않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back coating layer, since adhesiveness is expressed by heat, adhesiveness is not expresse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swelling tape to which the back coating layer is applied is attached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ase, so that it can be easily accommodated.

이후, 전지 케이스에 전해질을 주액하면 상기 배면 코팅층이 팽창하면서 간극을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이차전지 제조 과정에서 열 인가 공정이 수행되면, 배면 코팅층의 접착성이 발현되어 스웰링 테이프의 접착력이 향상되면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인가 공정은 기존 이차전지 제조 공정 시에 수행된 에이징 공정 등일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추가 공정이 부가될 수도 있다. Then,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battery case, the gap may be filled while the rear coating layer expands. Moreover, when the heat application process is perform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adhesiveness of the back coating layer is expressed to improve the adhesive force of the swelling tape, and the flow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more effectively improved. In this case, the heat application process may be an aging process performed during the existing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or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may be added.

상기 배면 코팅층은 기재층과 점착성 스웰링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보다 향상된 점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점착성 스웰링층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back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or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n order to secure improved adhesion.

한편,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의 전체 두께는 200 ㎛ 이하, 구체적으로 20 ㎛ 내지 200 ㎛, 보다 구체적으로 20 ㎛ 내지 150 ㎛, 더욱 구체적으로 40 ㎛ 내지 1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스웰링 테이프의 두께가 20 ㎛ 미만일 경우 열이나 전해질과의 접촉에 의해서도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기 어려워 전극 조립체의 유동성 방지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웰링 테이프의 두께가 200 ㎛를 초과할 경우,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지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 사이의 공간이 축소되어 전해질 분산성이 낮아지고, 내부 전해질 주입량이 그 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용량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μm or less, specifically 20 μm to 200 μm, more specifically 20 μm to 150 μm, and more specifically 40 μm to 120 μm. If the thickness of the swelling tape is less than 20 μm,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thickness even by heat or contact with an electrolyte,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effect of preventing fluid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swelling tape exceeds 200 μm, it is not easy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battery case, and the space between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reduced to lower electrolyte dispersibility, Since the electrolyte injection amount is reduced by that much,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상기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는 기재층 및 스웰링 테이프와, 선택적으로 점착층 및/또는 배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웰링 테이프의 다양한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a base layer and a swelling tape, and optionally an adhesive layer and/or a back coating layer. Specifically,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examples of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swelling ta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즉,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200)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 (202) 및 상기 기재층 일면에 형성된 점착성 스웰링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welling tap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layer 202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2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s shown in FIG. 2A .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200)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 (202)의 양면에 형성된 점착성 스웰링층(220(a) 및 220(b))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elling tap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b, the adhesive swelling layer (220 (a) and 220 (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202. can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200)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201), 기재층 (202), 배면 코팅층(203) 및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코팅층(203)은 기재층(202)과 점착성 스웰링층(2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c, the swelling tap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dhesive layer 201, a base layer 202, a back coating layer 203,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and the The back coating layer 203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layer 202 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220 .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with swelling tap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ill be described.

(1)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1)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ies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전극 조립체 외주면에 부탁된 스웰링 테이프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ies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orm of the swelling tap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에 전극 조립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과 전지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여 전지 케이스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flowing inside the battery cas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는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의 높이 전체를 둘러싸도록 부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 중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to surround the entir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more preferably,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except for a portion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단부는 전지 케이스와 전극 조립체 사이로 전해질이 스며들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게 되는 부분이며, 상기 하단부는 전지 케이스 바닥에 주입되어 있는 전해질이 전극 조립체와 접하게 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에 함침되는 전해질의 함침성을 고려한다면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일부에는 스웰링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serves as a space for the electrolyte to permeate between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lower end is a portion where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bottom of the battery cas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assembly. Therefore, considering the impregnability of the electrolyte impregn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preferable not to attach the swelling tap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아울러 상기 스웰링 테이프는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 길이 전체를 덮도록 감아서 부착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의 유동성 방지를 위하여,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 길이 전체를 덮는 범위 내에서 1회 이상 감아서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welling tape may be wound and attached so as to c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in order to prevent fluid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preferable to wind and attach it at least once within the range covering the entir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do.

본 발명의 스웰링 테이프의 길이 및 두께는 전지의 규격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스웰링 테이프의 단축 길이(폭)는 후술하는 전극 조립체의 높이(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 1% 내지 10% 이하로 작거나, 클 수 있으며, 이 중 약 10% 이하로 작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스웰링 테이프의 단축 길이(폭)가 후술하는 전극 조립체의 높이(길이)를 기준으로 10% 이상으로 작은 경우,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웰링 테이프의 단축 길이(폭)가 후술하는 전극 조립체의 높이(길이)를 기준으로 1% 이상 더 긴 경우, 전극 조립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일부에까지 스웰링 테이프가 부착되어, 전해질 함침성이 저감되는 단점이 있다.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swell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because it can be varia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attery. ), or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 to 10% or less, and most preferably less than about 10% or less. If the minor length (width) of the swelling tape is less than 10% based on the height (length) of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flowing cannot be sufficiently implemented. In addition, when the minor axis length (width) of the swelling tape is 1% or more longer than the height (length)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be described later, the swelling tape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electrolyte impregnating property 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is is reduced.

(2) 전극 조립체(2) electrode assembly

다음으로, 전극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electrode assembly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은 함께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not shown)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o electrically insulate,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wound together in a jelly-roll shape to form can be

i)i) 양극anode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양극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도전재 및/또는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if necessary,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nd/or a binder.

상기 양극활물질은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MnO2, LiMn2O4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MnYO2(여기에서, 0<Y<1), LiMn2-zNizO4(여기에서, 0<Z<2) 등),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1CoY1O2(여기에서, 0<Y1<1) 등),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1-Y2MnY2O2(여기에서, 0<Y2<1), LiMn2-z1Coz1O4(여기에서, 0<Z1<2) 등),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pCoqMnr1)O2(여기에서, 0<p<1, 0<q<1, 0<r1<1, p+q+r1=1) 또는 Li(Nip1Coq1Mnr2)O4(여기에서, 0<p1<2, 0<q1<2, 0<r2<2, p1+q1+r2=2) 등), 또는 리튬-니켈-코발트-전이금속(M) 산화물(예를 들면, Li(Nip2Coq2Mnr3MS2)O2(여기에서, M은 Al, Fe, V, Cr, Ti, Ta, Mg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p2, q2, r3 및 s2는 각각 자립적인 원소들의 원자분율로서, 0<p2<1, 0<q2<1, 0<r3<1, 0<s2<1, p2+q2+r3+s2=1이다)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uch as cobalt, manganese, nickel, or aluminum and lithium metal oxide including lithium. More specifically, the lithium metal oxide is a lithium-manganese oxide (eg, LiMnO 2 , LiMn 2 O 4 , etc.), a lithium-cobalt-based oxide (eg, LiCoO 2 etc.), a lithium-nickel-based oxide ( For example, LiNiO 2 etc.), lithium-nickel-manganese oxide (for example, LiNi 1-Y Mn Y O 2 (here, 0<Y<1), LiMn 2-z Ni z O 4 (here , 0<Z<2, etc.), lithium-nickel-cobalt-based oxides (eg, LiNi 1-Y1 Co Y1 O 2 (here, 0<Y1<1), etc.), lithium-manganese-cobalt-based oxides Oxides (eg, LiCo 1-Y2 Mn Y2 O 2 (here, 0<Y2<1), LiMn 2-z1 Co z1 O 4 (here, 0<Z1<2), etc.), lithium-nickel- Manganese-cobalt-based oxide (eg, Li(Ni p Co q Mn r1 )O 2 (here, 0<p<1, 0<q<1, 0<r1<1, p+q+r1=1) ) or Li(Ni p1 Co q1 Mn r2 )O 4 (where 0<p1<2, 0<q1<2, 0<r2<2, p1+q1+r2=2), etc.), or lithium-nickel -Cobalt-transition metal (M) oxide (eg, Li(Ni p2 Co q2 Mn r3 M S2 )O 2 , where M consists of Al, Fe, V, Cr, Ti, Ta, Mg and Mo. is selected from the group, and p2, q2, r3 and s2 are atomic fractions of independent elements, respectively, 0<p2<1, 0<q2<1, 0<r3<1, 0<s2<1, p2+q2+ r3+s2=1), etc.) and the like, and any one or two or more compounds may be included.

상기 양극 활물질은 양극 활물질층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0 중량% 내지 99 중량%, 구체적으로 93 중량% 내지 9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positive a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90 wt% to 99 wt%, specifically 93 wt% to 98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또는 서멀 블랙 등의 탄소 분말; 결정구조가 매우 발달된 천연 흑연, 인조흑연,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흑연 분말;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for example,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or thermal black. carbon powder; Graphite powder,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or graphite with a highly developed crystal structure;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polyphenylene derivative may be used.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층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The conductive material is typical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 간의 부착 및 양극 활물질과 집전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층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포함하는 불소 수지계 바인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계 바인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전분, 히드록시 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바인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폴리알코올계 바인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 올레핀계 바인더; 폴리 이미드계 바인더; 폴리 에스테르계 바인더; 및 실란계 바인더 등을 들 수 있다.The binder is a component serving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adhesion between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is typical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layer. Examples of such a binder include a fluororesin-based binder including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 rubber binder including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and styrene-isoprene rubber; Cellulose binders including 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 cellulose, and regenerated cellulose; a polyalcohol-based binder comprising polyvinyl alcohol; Polyolefin-based binders includ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olyimide-based binders; polyester-based binders; and silane-based binders.

*본 발명의 양극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양극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또는 도전재를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양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상기 양극 활물질층을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지지체를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양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하는 방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sitive electrod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n the positive electrode, a positive electrode slurry prepar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or a conductive material in a solvent is applied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rolling to form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lternatively, the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cast on a separate support, and then a film obtained by peeling the support may be laminated on a cathode current collector.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양극 활물질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or carbon on the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 nickel, titanium, silver, etc. may be use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form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n the surface to enhance bonding strength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용매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활물질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10 중량%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 20 중량% 내지 6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The solvent may include an organic solvent such as N-methyl-2-pyrrolidone (NMP),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having a desirable viscosity when the positive active material and optionally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re included. For example, it may be included such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n the active material slurry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optionally,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s 10 wt% to 70 wt%, preferably 20 wt% to 60 wt%.

ii)ii) 음극cathod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음극은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필요에 따라, 도전재 및/또는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negative electrode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an anode active material, and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nd/or a binder, if necessary.

상기 음극 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의 산화물; 및 상기 금속류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음극 활물질을 들 수 있다.The negative active material i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arbonaceous material;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Si, Sn, Li, Zn, Mg, Cd, Ce, Ni or Fe metals (Me); alloys composed of the metals (Me); oxides of the above metals; and one or more negative activ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posite of the metal and carbon.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활물질층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anode a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80 wt% to 99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상기 도전재 및 바인더는 양극 제조 시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재는 활물질층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고, 상기 바인더는 음극 활물질층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ose used in manufacturing the positive electrode.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bind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상기 음극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음극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과,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고 압연, 건조하여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을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지지체를 박리시켜 얻은 필름을 음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negative electrode is a method of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y apply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prepar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optionally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in a solvent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olling and dry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r It can be prepared by casting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on a separate support and then laminating a film obtained by peeling the support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상기 음극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For example, a surface of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Carbon, nickel, titanium, a surface-treated one with silver, etc., an aluminum-cadmium alloy, etc. may be used. In addition, like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forming fin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 non-woven body.

상기 용매는 물 또는 NMP,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활물질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50 중량%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 50 중량% 내지 65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The solvent may include water or an organic solvent such as NMP or alcohol,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having a desirable viscosity wh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optionally,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re included. For example, it may be included such that the concentration of solids in the active material slurry including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optionally,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s 50 wt% to 75 wt%, preferably 50 wt% to 65 wt%.

iii) 세퍼레이터iii) separator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세퍼레이터는 종래에 세퍼레이터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물 입자(예: Al2O3)가 도포된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porous polymer film conventionally used as a separator, for example, ethylene homopolymer, propylene homopolymer,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hexene copolymer, and ethylene/methacrylic. A porous polymer film made of polyolefin such as a rate copolymer may be used alone or by laminating them, and a polyolefin-based porous polymer film coated with inorganic particles (eg, Al 2 O 3 ) or a conventional porous nonwoven fabric,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made of glass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etc. having a high melting poi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납하는 원통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electrolyte, and a cylindrical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swelling tape for the secondary battery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the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1) 전해질(1) electrolyte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전극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이온이 이동 가능하도록 전해질을 포함한다.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so that lithium ions generated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in an electrode can mov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이러한 전해질로는 리튬염이 용해된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 또는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에 겔화 가능한 고분자 수지가 함유된 젤 폴리머 전해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electrolyte, a liquid electrolyte containing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in which a lithium salt is dissolved, or a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a polymer resin capable of being gelled in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리튬염으로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리튬염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은, 양이온으로 Li+를 포함하고,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10Cl10 -, BF2C2O4 -, BC4O8 -, PF4C2O4 -, PF2C4O8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CH3SO3 -,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s the lithium salt, various lithium salts commonly used in electrolyt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lithium salt includes Li + as a cation and F - , Cl - , Br - , I - , NO 3 - , N(CN) 2 - , BF 4 - , ClO 4 - as an anion. , AlO 4 - , AlCl 4 - , PF 6 - , SbF 6 - , AsF 6 - , B 10 Cl 10 - , BF 2 C 2 O 4 - , BC 4 O 8 - , PF 4 C 2 O 4 - , PF 2 C 4 O 8 - , (CF 3 ) 2 PF 4 - , (CF 3 ) 3 PF 3 - , (CF 3 ) 4 PF 2 - , (CF 3 ) 5 PF - , (CF 3 ) 6 P - , CF 3 SO 3 - , C 4 F 9 SO 3 - , CF 3 CF 2 SO 3 - , (CF 3 SO 2 ) 2 N - , (FSO 2 ) 2 N - , CF 3 CF 2 (CF 3 ) 2 CO - , (CF 3 SO 2 ) 2 CH - , CH 3 SO 3 - , CF 3 (CF 2 ) 7 SO 3 - , CF 3 CO 2 - , CH 3 CO 2 - , SCN - and (CF 3 CF 2 SO 2 ) 2 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BF4, LiClO4, LiAlO4, LiAlCl4, LiPF6, LiSbF6, LiAsF6, LiB10Cl10, LiBOB (LiB(C2O4)2), LiCF3SO3, LiTFSI (LiN(SO2CF3)2), LiFSI (LiN(SO2F)2), LiCH3SO3, LiCF3CO2, LiCH3CO2 및 LiBETI (LiN(SO2CF2CF3)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튬염은 LiBF4, LiClO4, LiPF6, LiBOB (LiB(C2O4)2), LiCF3SO3, LiTFSI (LiN(SO2CF3)2), LiFSI (LiN(SO2F)2) 및 LiBETI (LiN(SO2CF2CF3)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thium salt is LiCl, LiBr, LiI, LiBF 4 , LiClO 4 , LiAlO 4 , LiAlCl 4 , LiPF 6 , LiSbF 6 , LiAsF 6 , LiB 10 Cl 10 , LiBOB (LiB(C 2 O 4 ) 2 ) , LiCF 3 SO 3 , LiTFSI (LiN(SO 2 CF 3 ) 2 ), LiFSI (LiN(SO 2 F) 2 ), LiCH 3 SO 3 , LiCF 3 CO 2 , LiCH 3 CO 2 , and LiBETI (LiN(SO 2 )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F 2 CF 3 ) 2. Specifically, the lithium salt is LiBF 4 , LiClO 4 , LiPF 6 , LiBOB (LiB(C 2 O 4 ) 2 ), LiCF 3 SO 3 , LiTFSI (LiN(SO 2 CF 3 ) 2 ), LiFSI (LiN(SO 2 F) 2 ) and LiBETI (LiN(SO 2 CF 2 CF 3 ) 2 ) can

상기 리튬염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나, 최적의 전극 표면의 부식 방지용 피막 형성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전해질 내에 0.8 M 내지 4.0 M의 농도, 구체적으로 1.0M 내지 3.0M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The lithium sal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used in general, but to be included in the electrolyte at a concentration of 0.8 M to 4.0 M, specifically, at a concentration of 1.0M to 3.0M, in order to obtain an optimal effect of forming a film for preventing corrosion of the electrode surface. can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환형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 선형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 cyclic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a linear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or a mixed organic solvent thereof.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는 고점도의 유기 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킬 수 있는 유기 용매로서, 그 구체적인 예로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및 비닐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yclic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is a high-viscosity organic solvent that has a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can well dissociate lithium salts in the electrolyt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1,2-butylene.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ate, 2,3-butylene carbonate, 1,2-pentylene carbonate, 2,3-pentylene carbonate and vinylene carbonate, among them, ethylene carbonate may include.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는 저점도 및 저유전율을 가지는 유기용매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ar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is an organic solvent having a low viscosity and a low dielectric constant,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 EMC),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propyl carbonate, and ethylpropyl carbonate may be used, and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dimeth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and dipropyl carbonate.

상기 전해질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를 구성하는 고분자와 고분자 사이에 용이하게 침투하여, 팽창시킬 수 있다.The electrolyte may easily permeate between the polymer and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expanded.

(2) 원통형 전지 케이스(2) Cylindrical battery case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원통형 전지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전지 케이스 상부에 원통형 전지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ylindrical battery case for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for sealing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on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상기 캡 조립체는 절연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장치로 흐르게 할 수 있다.The cap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gasket, and may allow current gener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to flow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원통형 전지 케이스의 내부 표면은 알루미늄(Al) 또는 철(Fe) 등 전해질과 비교적 친화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good affinity with the electrolyte, such as aluminum (Al) or iron (F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300)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330)의 외주면에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310a)를 부착한 다음, 상기 스웰링 테이프(310a)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330)를 원통형 전지 케이스 (원통형 캔)(320)에 수납한다.3, after attaching the swelling tape 310a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330, the electrode assembly 330 to which the swelling tape 310a is attached is appli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It is stored in (cylindrical can) 320 .

그런 다음, 원통형 전지 케이스(320)의 내부에 상술한 전해질(미도시)을 주입한다. Then,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not shown) is injected into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320 .

그 결과, 전극 조립체(330)의 외부에 부착된 스웰링 테이프(310a)와 전해질이 접촉하면서, 전해질에 포함된 비수성 유기용매가 스웰링 테이프(310a)를 구성하는 기재층 및 점착성 스웰링층 등을 구성하는 고분자와 고분자 사이에 침투하여, 스웰링 테이프가 1차 팽창(미도시)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330)와 전지 케이스(320) 사이의 간극을 충전할 수 있다.As a result, while the swelling tape 310a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330 and the electrolyte are in contact,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is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constituting the swelling tape 310a, etc. Penetrating betwe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the polymer, the swelling tape first expands (not shown). Accordingly, a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330 and the battery case 320 may be filled.

그런 다음,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에 캡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공지의 방법으로 이차전지를 조립한 후, 통상적인 후처리 공정, 예컨대 화성 공정 및 에이징 공정을 실시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Then, after assembling the secondary battery by a known method of fixing the cap assembly to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se, a conventional post-treatment process, such as a chemical conversion process and an ag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nufacture the secondary battery.

이때, 상기 화성 공정은 전지 조립 후에 충방전을 반복하여 전지를 활성화하는 공정이다. 상기 화성 공정에서, 충전시 양극으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 산화물로부터 나온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사용되는 카본전극으로 이동하여 삽입되는데, 이때 리튬은 반응성이 강하므로 카본 음극과 반응하여, Li2CO3, LiO, LiOH 등의 화합물을 만들어내고, 이것들은 카본전극의 표면에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라 불리우는 피막을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chemical formation process is a process of activating the battery by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fter assembling the battery. In the chemical conversion process, it is inserted lithium ions emitted from the lithium metal oxide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upon charging to move to a carbon electrode used as a cathode, wherein the lithium is because reactivity is strongly reacts with the carbon negative electrode, Li 2 CO 3, LiO , LiOH, etc. are produced, and these form a film called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electrode.

또한, 상기 에이징 공정은 SEI 피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전지를 일정 기간 동안 방치하는 공정이다. 통상 에이징 공정은 조립단계를 거친 이차전지(5)를 50℃ 내지 70℃의 환경에 18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ag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battery is left for a certain period to stabilize the SEI film. In general, the aging process is performed by exposing the secondary battery 5 that has undergone the assembly step to an environment of 50° C. to 70° C. for 18 hours to 36 hours.

이러한 에이징 공정에 의해 스웰링 테이프가 2차 팽창(310(b))하게 되면서, 간극을 완전히 충전하여 전극 조립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330)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the swelling tape is secondarily expanded 310(b) by the aging process, the gap is completely filled to fix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330 from flowing.

상기 이차전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 device may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capable of using a secondary batter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Example 1.

(스웰링 테이프의 제조) ( Manufacture of swelling tape)

기재층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제조된 두께 약 30 ㎛의 무연신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10 ㎛ 두께의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되는 기재층의 일면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여 15㎛ 두께의 배면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로 키토산(Merck, CAS No. 9012764, 제품명: 419419)을 물에 용해시켜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배면 코팅층 일면에 7 ㎛ 두께(기재층에 대하여 약 23%)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는 스웰링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도 2(c) 참조).As a base layer, a non-stretched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μm made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was prepared. A 10 μm-thick adhesive layer made of an acrylate-based resi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and a 15 μm-thick rear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was formed. Then, as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chitosan (Merck, CAS No. 9012764, product name: 419419) was dissolved in water to prepare a binder composition, and it was 7 μm thick on one surface of the back coating layer (about 23%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was coated with and dried to prepare a swelling tape including an adhesive swelling layer (see FIG. 2(c)).

(전극 조립체 및 전지의 제조) ( Manufacture of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음극 (음극활물질: 인조흑연), 세퍼레이터 및 양극 (양극활물질: LCO)을 포함하는 젤리롤 형상의 전극 조립체(단면 지름: 17.2mm)의 외주 면에 스웰링 테이프를 부착하였다. 상기 스웰링 테이프는 전극 조립체 외주면의 약 50%의 면적을 덮도록 부착할 수 있다. A swelling tape wa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jelly roll-shaped electrode assembly (cross-sectional diameter: 17.2 mm)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tificial graphite), a separator, and a posi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CO). The swelling tape may be attached to cover an area of about 50%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그런 다음, 상기 조립체를 원통형 전지 케이스(단면 지름: 17.5mm)에 삽입한 후, 전해질 (1.0M LiPF6/EC:EMC=30:70 부피비)를 주액하고, 캡 조립체로 원통형 전지 케이스 상부를 밀봉하여 원통형 이차전지를 완성하였다.Then, after inserting the assembly into a cylindrical battery case (cross-sectional diameter: 17.5 mm), electrolyte (1.0M LiPF 6 /EC:EMC=30:70 volume ratio) is injected, and the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is sealed with a cap assembly Thu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was completed.

실시예 2. Example 2.

상기 스웰링 테이프 제조 시에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로 소듐 아르지네이트(sodium alginate, Merck, CAS No. 9005383)을 사용하여 점착성 스웰링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웰링 테이프와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dhesive swelling layer was formed using sodium alginate (Merck, CAS No. 9005383) as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when the swelling tape was manufactured. A ring tape and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ere manufactured.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배면 코팅층 상에 점착성 스웰링층을 형성하지 않고 스웰링 테이프를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welling tape was prepared without forming an adhesive swelling layer on the back coating layer.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1. 내충격 평가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Impact resistance evaluation experiment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를 상온(25℃)에서 0.33C rate로 4.2V까지 정전류/정전압 조건으로 충전 및 0.05C cut off 충전을 실시하고, 0.33C 2.5V로 방전을 실시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각각 1회 진행한 이후의 방전용량을 기준으로 SOC(State Of Charge) 30%로 맞추고, 5A(2.5C)로 10초 동안 방전 펄스(pulse)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직류 내부 저항을 측정(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V, 6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저항을 초기 저항으로 설정하였다.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were charged under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conditions up to 4.2V at room temperature (25°C) at 0.33C rate and 0.05C cut off charging. , and discharge was performed at 0.33C and 2.5V. Based on the discharge capacity after each of the charge/discharge is performed once, the SOC (State Of Charge) is set to 30%, and the voltage drop appears when a discharge pulse is applied at 5A (2.5C) for 10 seconds. 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was measured (measured using a PNE-0506 charger/discharger (manufacturer: PNE Solution Co., Ltd., 5V, 6A)). The measured resistance was set as the initial resistance.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를 각각 1.0m 높이에서 콘크리트 지면에 3회 랜덤(random) 낙하한 후, 외관 손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Then, after randomly dropping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from a height of 1.0 m to the concrete ground three times, the degree of external damage was measured.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충격 외관 손상 정도Degree of Impact Appearance Damage 44 55 33

상기 표 1에서, 외관 손상이 가장 심한 정도(기준)를 1로 하고, 외관 손상이 가장 낮은 정도를 5로 표시하였다.In Table 1, the degree of the most severe appearance damage (standard) was indicated as 1, and the degree of the lowest appearance damage was indicated as 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로 이루어진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에 비하여 충격 외관 손상 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de of 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appearance was damaged compared to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is low.

실험예 2. 저항 증가율 평가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Resistance increase rate evaluation experiment

상기 실험예 1의 내충격 평가 실험이 완료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를 상온(25℃)에서 3A 전류밀도로 4.2V까지 정전류/정전압 조건으로 50 mA cut off 충전을 실시하고, 0.4A 전류 밀도로 2.5V까지 CC 조건으로 방전한 다음, 30분 휴지 후 방전용량(Dis-charge capacity: DCH) 기준으로 SOC(State Of Charge) 30%로 맞추었다. 이후, 상온(25℃)에서 0.1A로 10sec 및 10A 로 1sec 동안 3회 방전 펄스(pulse)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직류 내부 저항(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V, 6A)를 이용하여 측정)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측정된 초기 저항(0%)과 비교하여 저항증가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shock resistance evaluation test of Experimental Example 1 was completed, was subjected to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up to 4.2V at room temperature (25° C.) at 3A current density. 50 mA cut-off charge under the condition, discharge under CC condition with 0.4A current density up to 2.5V, rest for 30 minutes, then 30% SOC (State Of Charge) based on Dis-charge capacity (DCH) adjusted to After that, the DC internal resistance (PNE-0506 charger/discharger (manufacturer: PNE Solution, Inc.) 5V, 6A) was measured). The resistance increase rate (%) was calculated as compared with the initial resistance (0%)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저항 증가율(%)Resistance increase rate (%) 1616 1010 202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로 이루어진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 비교예 1의 원통형 이차전지에 비하여 저항 증가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in the case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de of 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increase r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checked

실험예 3. 전압 증가율 평가 실험 Experimental Example 3. Voltage increase rate evaluation experiment

전압저항측정기 (Hioki RM 3548)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의 내충격 평가 실험이 완료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통형 이차전지에 대한 전압 증가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Using a voltage resistance measuring instrument (Hioki RM 3548), the voltage increase rate for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shock resistance evaluation experiment of Experimental Example 1 was completed,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전압 증가율(%)Voltage increase rate (%) 2.02.0 1.81.8 2.42.4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로 이루어진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 비교예 1의 원통형 이차전지에 비하여 전압 증가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in the case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dhesive swelling layer made of 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increase r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checked

100, 330: 전극 조립체,
110, 201: 점착층
120: 스웰링층
200: 스웰링 테이프
202: 기재층
203: 배면 코팅층
220, 220(a), 220(b):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포함하는 점착성 스웰링층
300: 원통형 이차전지
310(a): 스웰링 테이프
310(b): 팽창한 스웰링 테이프
320: 원통형 전지 케이스 (원통형 캔)
100, 330: electrode assembly;
110, 201: adhesive layer
120: swelling layer
200: swelling tape
202: base layer
203: back coating layer
220, 220(a), 220(b): an adhesive swelling layer containing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300: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310(a): swelling tape
310(b): Expanded Swelling Tape
320: cylindrical battery case (cylindrical can)

Claims (11)

기재층 및 점착성 스웰링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It includes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swelling layer,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은 상기 기재층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는 CMC(Ceramic Matrix Composite), 아르지네이트(Arginate) 및 키토산(Chitosa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und of CMC (Ceramic Matrix Composite), arginate, and chitosa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계 자가 회복 바인더는 아르지네이트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based self-healing bind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ginate and chitosa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스웰링층의 두께는 기재층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10% 내지 50%인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welling lay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of 10% to 50% based 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bas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웰링 테이프는 점착층 및 배면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elling tape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layer of an adhesive layer and a back coating lay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및 배면 코팅층은 각각 기재층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back coating layer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respectively,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기재층과 점착성 스웰링층 사이 또는 점착성 스웰링층 상에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dhesive lay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is form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or on the adhesive swelling lay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면 코팅층은 기재층과 점착성 스웰링층 사이 또는 점착성 스웰링층 상에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ack coating layer is a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is form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swelling layer or on the adhesive swelling layer.
청구항 1의 이차전지용 스웰링 테이프가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swelling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구항 10의 전극 조립체,
전해질,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수납하는 원통형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0,
electrolyte, and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ylindrical battery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KR1020210042758A 2020-04-06 2021-04-01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10124063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85670.7A EP4134408A4 (en) 2020-04-06 2021-04-02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7/789,339 US20220376289A1 (en) 2020-04-06 2021-04-02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202180007474.7A CN114901766B (en) 2020-04-06 2021-04-02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22537896A JP2023508012A (en) 2020-04-06 2021-04-02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CT/KR2021/004147 WO2021206381A1 (en) 2020-04-06 2021-04-02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1322 2020-04-06
KR1020200041322 2020-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063A true KR20210124063A (en) 2021-10-14

Family

ID=7815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58A KR20210124063A (en) 2020-04-06 2021-04-01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406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209A (en) * 2022-06-08 2022-11-11 嘉兴瑞冠包装材料有限公司 Swelling adhesive tap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787A (en) 2014-12-18 2016-06-29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Polyurethane film and swelling tap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787A (en) 2014-12-18 2016-06-29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Polyurethane film and swelling tape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209A (en) * 2022-06-08 2022-11-11 嘉兴瑞冠包装材料有限公司 Swelling adhesive tap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115320209B (en) * 2022-06-08 2023-07-28 嘉兴瑞冠包装材料有限公司 Swelling adhesive tap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630B1 (en)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tability
US9252413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752574B2 (en)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EP2238643B1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574760B2 (en) Safety-enhance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electrode containing binder and wax
US20060240290A1 (en) High rate pulsed battery
KR20100094363A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090050001A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WO2017018810A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fety member
CN110249473B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872950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20220223948A1 (en)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546809B (en) Battery cell comprising sealing tape for accelerating heat conduction
CN111952658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815845B2 (en) Polymer battery
US20220376289A1 (en)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4551539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802217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824450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210124063A (en) Swelling tape for secondary battery an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210242489A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CN112771705B (en) Electrolyt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220400662U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311493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US11784312B1 (en) Current collec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electr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