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20A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20A
KR20210123920A KR1020200041746A KR20200041746A KR20210123920A KR 20210123920 A KR20210123920 A KR 20210123920A KR 1020200041746 A KR1020200041746 A KR 1020200041746A KR 20200041746 A KR20200041746 A KR 20200041746A KR 20210123920 A KR20210123920 A KR 2021012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esture
electronic device
editing
input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혜미
김선화
문희경
오영일
이보나
한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920A/en
Priority to PCT/KR2021/003789 priority patent/WO2021206336A1/en
Publication of KR2021012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n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display device; at least one sensor;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memor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memory, during execution of the at least one processor, identifies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at least one sensor when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a start input of the air gesture is detected through a sensing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allows the instructions configured to perform editing for an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to be stored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editing-related work efficiency and convenience.

Description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storage medium

다양한 실시 예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using an air gesture,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storage medium.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특정한(specified)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 손가락을 통해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광범위한 전자 장치들에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방식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 장치의 접촉 또는 비접촉 근접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가 제공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구동 중인(running)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해당 동작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receive various inputs through a specified input device (eg, a stylus pen)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a user's finger. In particular, a touch screen input method is used in a wide rang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s, or notebook computers. For example, the input method may be made in a contact or non-contact proximity state of the input device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that a user can touch may be provided.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in an optimized shap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opera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more easily and quickly.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화면 위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거나 손가락을 사용함으로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에 대한 입력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 상에서 물리적인 키가 최소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순차적 메뉴 경로를 통해 어느 하나를 선택 및 설정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효과적인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게다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도중에는 터치 오동작 방지를 위해 팜 리젝(palm reject) 기능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멀티 터치 인터랙션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conveniently us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the graphic user interface by using a stylus pen or a finger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as input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are diversified, a process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is also becoming more complicated.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physical keys on electronic devices is being minimized, in the case of applications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the user may have to select and set one through a sequential menu path in order to use a specific function, so effective control can be difficult In addition, since a palm reject function is applied to prevent a touch malfunction while using the stylus pen,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multi-touch interaction.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 방식을 직관적으로 제공하여 특정 기능에 대한 빠른 접근성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mote quick access to a specific function by intuitively providing an input method in the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표시 장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장치의 센싱 패널을 통해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isplay device, at least one sensor,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memory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memory When executing, when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an air gesture input star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panel of the display device,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cts the at least one sensor in the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detected air gesture may be identified, and instructions configured to perform editing o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may be stor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an air gesture input start is detected,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identifying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t least one sensor; and performing editing on an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en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operation is , identifying whether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start of an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identifying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t least one sensor and performing editing o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에어 제스처를 통해 직관적으로 전자 장치의 특정 기능에 대한 빠른 접근이 가능하며, 특히 터치 입력과 에어 제스처의 조합을 통해 편집 관련 작업 효율 및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quick access to a specific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tuitively possible through an air gesture, and in particular, editing-related work efficiency an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touch input and an air gesture.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다양한 입력 방식 예컨대, 터치 입력 방식과 에어 제스처 입력 방식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명령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어, 전자 장치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simply execute various commands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input methods, for example, a touch input method and an air gesture input method,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us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를 이용한 편집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객체를 이동, 확대, 축소하여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어 더욱 세밀하고 직관적인 편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providing an editing mode using an air gestu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rrange a selected object by moving, enlarging, and reducing it, so that more detailed and intuitive editing is possib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현재 화면 상에서 선택된 객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연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bject select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moved to another application screen by using an air gestur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pplications can be interlock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을 쥔 반대쪽 손의 에어 제스처를 통해 편집 기능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양손 조작을 통한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diting func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air gesture of the opposite hand holding the stylus pen, work efficiency may be increased through both hands manipulation.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 활성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의 종류를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시 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편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이후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시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텍스트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텍스트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이미지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이미지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객체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객체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 상에서의 객체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ctivating an edit mode based on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B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table illustrating types of air ges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ir gesture-based ed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operation when editing by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editing tex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arget applications displayed after select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arget applications displayed when selecting an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text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completion operation for text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edit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completion operation for an image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an image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an object on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completion operation for an object on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an object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only us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constru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a)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a)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 , in a network environment 100a , the electronic device 101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2 through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second network 199 . It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through (eg,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a processor 120 , a memory 130 , an input device 150 , a sound output device 155 , a display device 160 , an audio module 170 , and a sensor module ( 176 , interface 177 , haptic module 179 , camera module 180 , power management module 188 , battery 189 , communication module 190 ,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 or antenna module 197 . ) may be included.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display device 160 or the camera module 180 )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In some embodiments, some of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tegrated circuit.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76 (eg, a fingerprint sensor, an iris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may be implemented while being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60 (eg, a display).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for example, executes software (eg, a program 140) to execute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a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 It can control and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or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t least part of data processing or operation, the processor 120 convert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eg,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to the volatile memory 132 . may be loaded into the volatile memory 132 , process commands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32 , and store the resulting data in the non-volatile memory 134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20 includes a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n auxiliary processor 123 (eg, a graphic processing unit or an image signal processor) that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 ,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to use less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121 or to be specialized for a designated function.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or as a part of the main processor 121 .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be, for example, on behalf of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when the main processor 121 is active (eg, executing an application). ),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display device 160,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related functions or st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xiliary processor 123 (eg, an image signal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the camera module 180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have.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processor 120 or the sensor module 176 ).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eg, the program 140 )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The memory 13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132 or a non-volatile memory 134 .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gram 1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the memory 130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142 , middleware 144 , or an application 146 .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150 may receive a command or data to be used by a component (eg, the processor 120 )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from the outside (eg,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input device 150 may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a keyboard, or a digital pen (eg, a stylus pen).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155 may output a sound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sound output device 155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a receiver. The speaker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and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incoming c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ive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or as a part of the speaker.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60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outside (eg,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display device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m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60 may include a touch circuitry configured to sense a touch or a sensor circuit (eg,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a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have.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module 170 may convert a sound into an electric signal or, conversely, convert an electric signal into a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dio module 170 acquires a sound through the input device 150 ,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sound output device 155 ) connected directly or wirelessly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1 .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2 (eg, a speaker or headphones).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76 detects an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an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tate. can d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176 may include,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177 may support one or more specified protocols that may be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1 to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rface 1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79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stimulus (eg, vibration or movement) or an electrical stimulus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actile or kinesthetic se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aptic module 179 may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80 may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18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may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189 may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ttery 189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cell, a rechargeable secondary cell, or a fuel cell.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is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It can support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processor 120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94 (eg, : It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is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a second network 199 (eg,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It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a computer network (e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separate from each o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us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e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identified and authenticated.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tenna module 197 may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or power to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may include one antenna including a conductor formed on a substrate (eg, a PCB) or a radiator formed of a conductiv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97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is connected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 can be selected. A signal or power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lected at least one antenn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ther components (eg, RFIC) other than the radiator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a part of the antenna module 197 .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eripheral devices (eg, a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and a signal ( e.g. commands or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and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through the server 108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199 .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102 and 104 may be the same or a different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l or part of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performed by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 104 , or 108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1 needs to perform a function or service automaticall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user or other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erform the function or service itself instead of executing the function or service itself.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ay be requested to perform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 or the service. The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received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a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a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cess the result as it is or additionally and provide it as at least a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may be used.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200)이다.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200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202)에 의한 입력 또는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210)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표시 장치(26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가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뿐만 아니라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display device 260 (eg, the display device 160 of FIG. 1 ) that detects an input by the stylus pen 202 or an input by a user's body (eg, a finger) 210 is an electronic device. It may be provided to the device 201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 The display device 260 may simultaneously support input/output functions of data and may sense a touch.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260)는 센싱 패널(261), 디스플레이 패널(262)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센싱 패널(261)이 표시 장치(26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262)과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표시 장치(260)와는 다른 입력 패널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260)를 터치 스크린이라고 칭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260 may include a sensing panel 261 , a display panel 262 , and a display control unit 263 .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the sensing panel 261 i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60 in FIG. 2 , it may form a layered structure with the display panel 262 to operate as an input panel different from the display device 26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260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 패널(261)은 손가락(210) 또는 스타일러스 펜(202)의 터치 입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63)는 디스플레이 패널(262)을 통해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62)을 제어하는 구동회로일 수 있다. The sensing panel 261 may detect a position of a touch input of the finger 210 or the stylus pen 202 , and the display panel 262 may output an image. The display controller 263 may be a driving circuit that controls the display panel 262 to output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panel 262 .

센싱 패널(261)은 스타일러스 펜(202)이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전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EMR 방식 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ace) 방식의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의 입력 패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stylus pen 202 supports the EMR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sensing panel 261 may be configured as an EMR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ic sensor or an EMI (electro-magnetic interface) type input pad, which As an example,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n 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ECR) type input pad.

센싱 패널(261)은 스타일러스 펜(202)으로부터 자기장을 인가받고 이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02)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싱 패널(261)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ing panel 261 may receive a magnetic field from the stylus pen 202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202 therefrom. The sensing panel 261 may include one or more panels forming a mutually layered structure in order to sense an input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또한, 센싱 패널(261)은 터치 스크린 패널(TSP)(touch screen panel)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만일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극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반하여 손가락(210)에 의한 터치 위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202)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스타일러스 펜(202)은,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구현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ing panel 26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TSP). If the sensing panel 26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the touch position by the finger 210 is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an electrode.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202 may be check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stylus pen 202 may be implemented in an active electrostatic (AES) method,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type of implementation.

또한, 센싱 패널(261)은 사용자의 손가락(210) 또는 스타일러스 펜(202)이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패널(261)은 스타일러스 펜(스타일러스 펜(202))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 패널(261)은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프로세서(22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 패널(261)은 호버링 입력의 발생 위치, 스타일러스 펜(스타일러스 펜(202)), 스타일러스 펜(스타일러스 펜(202))에 구비되는 버튼에 의한 조작 상태를 기반으로, 호버링 입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lso, the sensing panel 261 may sense that the user's finger 210 or the stylus pen 202 touches or approaches. For example, the sensing panel 261 may sense a hovering input by a stylus pen (stylus pen 202 ). The sensing panel 261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overing input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220 . The sensing panel 261 includes information of the hovering inpu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hovering input, the stylus pen (stylus pen 202), and the operation state by the button provided in the stylus pen (stylus pen 202).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이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스타일러스 펜(202))으로부터의 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EMR 방식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하드웨어를 센싱 패널(261)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패널(261)은 인체(210)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거나 스타일러스 펜(스타일러스 펜(202))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26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표시 장치(260)를 구성하는 패널의 종류 및 개수, 패널의 상하층 위치는 전자 장치(201)의 제조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hardware implemented as an EMR method or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sensing a signal from the stylus pen (stylus pen 202 ) may be referred to as a sensing panel 261 . The sensing panel 261 may detect a touch input by the human body 210 or detect an input by a stylus pen (stylus pen 202 ).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60 illustrated in FIG. 2 is only an example, and the types and number of panels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260 and positions of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panels may vary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 can be changed drasticall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276)(예: 도 1의 센서 모듈(176))는 사용자의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를 센싱할 수 있다. 에어 제스처 동작은 전자 장치(201)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고 손 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동작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276 (eg, the sensor module 176 of FIG. 1 ) may sense an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210 . The air gesture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moves a hand or finger without touching the touch screen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276)는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210)은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 스타일러스 펜(202)을 쥐지 않은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의 반대쪽 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276)를 이용한다면 전자 장치(201)의 후면이 바닥에 닿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1)의 전면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방향에서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가 검출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센서(276)에 의해 전자 장치(201)의 전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가 검출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276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n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210 . For example, the user's hand 210 may be one of a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 a hand not holding the stylus pen 202 , or a hand opposite to the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 If such a sensor 276 is used, the air gesture made by the user's hand 210 in the upward direc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placed so as to touch the floor.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or not is detected. Also, the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210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276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일 예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276)는 RF 스펙트럼 방식의 센서일 수 있다. 센서(276)는 60Ghz의 WiFi 무선 안테나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물체를 향해 RF 신호를 보내고 반사되어 되돌아온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사된 RF 신호가 대상 물체에 반사된 후 되돌아오는 RF 신호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RF 신호의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신호에 기초한 에어 제스처 인식은 5Ghz to 60Ghz의 주파수 도메인을 사용하며, 160 ~ 180도의 시야각(field of view: FOV)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RF 신호를 사용한 에어 제스처의 경우 편집과 관련한 기능에 대한 미세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air gestu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276 may be an RF spectrum type sensor. The sensor 276 may use the frequency of the WiFi wireless antenna of 60Ghz. For example, by sending an RF signal toward a target object and receiving a reflected radio wave signal, the pattern of the RF signal returning after the radiated RF signal is reflected by the target object may be analyzed. The user's hand gesture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pattern of the RF signal. For example, air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an RF signal uses a frequency domain of 5Ghz to 60Ghz, and may have a field of view (FOV) of 160 to 180 degrees. In the case of an air gesture using such an RF signal, fine control of functions related to editing may be possib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276)는 적외선(Infrared) 센서, 초음파 센서, 모션 센서, 3D 센서, 비전 센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손에 의한 에어 제스처 검출에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손에 의한 에어 제스처를 검출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276 may be any one of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otion sensor, a 3D sensor, and a vision sensor, but the type of the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se sensors may be combined and utilized to detect an air gesture by a user's hand. For example, the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output from the ultrasonic sensor and the camera.

센서(276)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는 프로세서(2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0)에 의해 센싱 데이터가 처리될 수도 있다. The sensed data from the sensor 276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220 , and the sensed data may be processed by the processor 22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센서(276)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에어 제스처(예: 에어 제스처 타입)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는 전자 장치(201)를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는 근접 거리에서의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an air gesture (eg, an air gesture type) based on the sensed data of the sensor 276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gesture may mean a gesture at a close distance that does not directly touch the electronic device 201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센서(276)에 의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 손 중 어느 하나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인지의 여부 및 반대쪽 손을 구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가 스타일러스 펜(202)을 쥐지 않은 손,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 어느 한 손의 1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어느 한 손의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멀티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주먹 쥔 손 제스처, 손바닥을 편 제스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distinguish any one of the user's hands based on data sensed by the sensor 276 .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distinguish whether the hand is holding the stylus pen 202 and the opposite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determines that the air gesture is a hand not holding the stylus pen 202 , a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 a gesture using one finger of either hand, or two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gesture corresponds to any one of a finger gesture, a multi-finger gesture, a clenched hand gesture, and an open palm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양 손 중 어느 한 손으로 현재 실행 화면을 터치로 제어하다가 에어 제스처 모드가 활성화되면, 동일한 손 또는 다른 한 손에 의한 에어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다. 에어 제스처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 동일한 손 또는 다른 한 손에 의한 에어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에 매핑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air gesture mode is activated while controlling the currently running screen by touch with one of both hands of the user, an air gesture by the same hand or the other hand may be input. When an air gesture by the same hand or the other hand is input while the air gesture mode is activated, the processor 220 may transmit a function mapped to the air gesture to the application.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에 기반하여, 현재 실행 화면 상에서 선택된 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선택된 객체의 편집과 관련한 기능을 매핑시킬 수 있으며, 매핑된 기능을 확인하여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edit the object currently selected on the execution screen based on the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map a function related to editing of a selected object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and may check and perform the mapped fun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센서(276)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201)의 근접 영역 예컨대, 에어 제스처를 인식하는 공간적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양 손을 인식할 수 있으나,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과 아닌 손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스타일러스 펜(202)을 쥐고 있지 않은 손을 먼저 인식한 후,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이 어느 손인지를 먼저 인식한 후, 프로세서(220)는 인식된 손의 반대되는 방향에서 에어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recognize both hands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276 within the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for example, within a spatial range recognizing an air gesture. The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and the hand not holding the stylus pen 202 may be recogniz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Alternatively, the hand not holding the stylus pen 202 may be recognized first, and then the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may be recognized. Alternatively, after first recognizing which hand the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is, the processor 220 may perform a sensing operation for detecting an air gestu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cognized han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의 활성화는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 활성화를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detect the air gesture, the processor 220 may activate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when an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Here, activation of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may mean activation of an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입력은 미리 지정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 이후 핀치 앤 업(pinch and up) 입력 검출 시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시스템 클럭과 같은 클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 기반의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펜(202) 기반의 입력 신호가 처음 수신된 때로부터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기반의 숏 프레스, 롱 프레스, 싱글 터치, 멀티터치, 호버링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may be a predetermined touch input.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activate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when a pinch and up input is detected after a long press input in which a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uses clock information such as a system clock to determine the time from when the user's hand-based input or the stylus pen 202-based input signal is first received until the signal is no longer received. can be counted, an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a touch-based short press, a long press, a single touch, a multi-touch, and a hovering input may be detected.

다르게는 스타일러스 펜(202)의 버튼이 눌릴 경우,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 모드 활성화를 위한 아이콘이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0)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 button of the stylus pen 202 is pressed,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con for activating the air gesture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nd the processor 220 may activate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when the icon is selected.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센서(276)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양 손 중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손을 식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a hand to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among both hands based on the sensed data of the sensor 276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또는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표시 장치(260) 즉,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에서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검출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편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란, 화면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그래픽 요소, 동영상 파일, 소리 파일,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다른 화면으로 이동 또는 붙여넣기를 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현재 화면 상에서 클립 가능한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redetermined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the processor 220 may detect a location (or coordinates) wher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processor 220 may recognize in which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260 , that is, the touch screen, the first touch input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identify at least one editable object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Here, the at least one editable object indicates at least one of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text, image, graphic element related to a running application, video file, sound file, and widget, and moves to another screen or It may mean a target that can be pasted. The at least one editable object as described above may mean an object that can be clipped on the current scree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기반하여, 현재 화면 상에서 클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현재 표시된 화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면 데이터에 대한 HTML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편집 가능한 객체가 선택되어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객체를 사용자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표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객체의 색 변경 방식, 상기 선택된 객체를 둘러싸는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방식과 같이 다양한 식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search for at least one object that can be clipped on the current screen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ouch input is received. To this end, the processor 220 may use currently displayed screen data, for example, HTML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data. Accordingly, an editable object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input and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nd the display of the selected object may be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selected object at a glance. For example, various identification methods such as a method of changing a color of the selected object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guide line surrounding the selected object may be applied.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제1 터치 입력의 검출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된 상태에서 에어 제스처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에어 제스처가 검출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대해 상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매핑된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매핑된 편집 기능은 이동, 확대, 축소, 회전, 실행 취소(undo), 다시 실행(redo)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determine whether an air gesture is detected while any on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of a predetermined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selected. If the air gesture is detected, a mapped edit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on the selected object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Here, the editing function mapped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may be any one of movement,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undo, and redo.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객체의 이동은 현재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며,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현재 화면 상에서 선택된 객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260) 상에 표시된 화면이 복수의 홈 화면들 중 어느 하나의 홈 화면인 경우,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홈 화면들 중 다른 하나의 홈 화면으로 상기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vement of the selected object indicates movement from the current screen to another screen, and an air gesture may be used to move the selected object on the current screen to another application screen. For exampl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60 is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screens, the screen is chang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screens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The selected object may be mov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할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영역 예컨대,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20 may execute a target application to which the selected object is to be pasted, and paste the selected object onto an input area of the target application, for example,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검출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가능한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0)는 상기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y one object is selected in response to detection of the first touch input, the processor 220 may display items representing target applications to which the selected object can be pasted.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items representing each of the target applications, and the processor 220 may paste the selected object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target applic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객체를 타겟 어플리케이션으로 옮겨와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에어 제스처만으로도 상기 객체의 정렬 위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편집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객체는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의 빈 공간 또는 빈 공간이 없을 경우 정렬 기준에 따라 해당 영역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노트 어플리케이션, 메일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desired object to the target application, adjust the alignment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with only an air gesture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so that more precise editing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lected object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in an empty space i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or in a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an alignment criterion when there is no empty space. For example,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a selected object, such as a note application, a mail application, or an SNS application, and the type may not be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상기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안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입력은 미리 지정된 제2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은 더블 탭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더블 탭 터치는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두 번 두들기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스타일러스 펜(202)의 버튼이 길게 눌릴 경우,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집이 완료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input indicating the end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editing by the air gesture is performed, the processor 220 may deactivate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indicating the end of the air gesture input may be a predetermined second touch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he end of the air gesture input may include a double tap touch. Here, the double tap touch may represent a user tapping twice with one finger. Alternatively, when the button of the stylus pen 202 is pressed for a long time, the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may be deactivated, and accordingly, the editing may be completed.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완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편집 완료된 객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편집 완료된 객체를 붙여넣기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the processor 220 may complete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Accordingly, the processor 220 may display the edited object, and accordingly,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o which the edited object is pasted may be display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또는 처리 루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1)가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230 may stor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n algorithm, or a processing loop)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gesture. The memory 230 may store an instruction for causing the electronic device 201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230 may store an instruction for performing an editing function on a selected object in response to an air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표시 장치(260), 적어도 하나의 센서(276),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276)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23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230)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가, 상기 표시 장치(260)의 센싱 패널(261)을 통해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276)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201)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includes a display device 260 , at least one sensor 276 , at least one processor 220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ensor 276 , and the at least one sensor 276 . and a memory 230 operatively connected to one processor, wherein the memory 230, when executed, causes the at least one processor 220 to control the sensing panel 261 of the display device 260 . When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at least one sensor 276 , the air gesture detected in the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identified, and the identified air gesture is applied to the first touch input. Correspondingly, instructions configured to perform editing o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may be stor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안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종료하고, 상기 편집된 객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tructions include, when a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is editing the selected object, editing the selected object ,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edited obje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 또는 핀치 앤 업(pinch and up)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은, 더블 탭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at least one of a long press input and a pinch and up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may include a double tap inpu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paste)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표시하며,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executes an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the selected object, displays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identifies the It may be configured to edit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tructions display items representing applications in which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can paste the selected object, and when any one of the items representing each of the applications is selected, It may be configured to paste the selected object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선택된 객체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자동으로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automatically places the selected object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selected obje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편집 가능한 객체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 내의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truction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selects an editable object from at least a portion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uch input. and the editable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and an image in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이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 경우, 상기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he editable object may include a graphic element related to the map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축적이 달라지는 상기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to display a graphic element related to the map application whose scale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은,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이동, 확대, 축소, 회전, 실행 취소(undo), 다시 실행(redo)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is any one of movement,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undo, and redo of the selected objec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can repres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20)가,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이 복수의 홈 화면들 중 어느 하나의 홈 화면인 경우,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홈 화면들 중 다른 하나의 홈 화면으로 상기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420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one of a plurality of home screens.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selected object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screen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276)는, 상기 전자 장치(201)의 근접 영역에서 상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RF 스펙트럼 방식의 센서, 적외선(Infrared) 센서, 초음파 센서, 모션 센서, 3D 센서, 비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ensor 276 is an RF spectrum typ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ir gesture in a proximity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 infrared (Infrared). )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otion sensor, a 3D sensor, and a vision sensor.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 활성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00a)이다.3A is a diagram 300a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ctivating an edit mode based on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a를 참조하면, 편집 모드의 활성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터치 제스처동작을 통한 객체 선택 과정(310), 에어 제스처 동작을 통한 편집 과정(320) 및 터치 제스처 동작을 통한 편집 완료 과정(3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edit mode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steps. An object selection process 310 through a touch gesture operation, an editing process 320 through an air gesture operation, and editing through a touch gesture operation It may be divided into a completion process 330 .

먼저, 터치 제스처 동작을 통한 객체 선택 과정(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손(210)에 의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 입력(311)과 핀치 앤 업(pinch and up) 터치 입력(312) 검출 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핀치 앤 업은, 살짝 열린 자세의 두 손가락을 오므려서 엄지와 검지가 만나게 집는 동작으로, 상기 롱 프레스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the object selection process 310 through a touch gesture operation, a long press touch input 311 in which a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more by the user's hand 210 and a pinch-and-up ( pinch and up) When the touch input 312 is detected, an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may be activated. Accordingly,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may be activated. Here, the pinch-and-up is a motion of pinching two fingers in a slightly open posture so that the thumb and index finger meet, and may represent an operation of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ng press input.

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터치 제스처에 의해 객체가 선택되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는데, 편집 과정(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를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는 근접 거리에서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313)를 이용하여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객체에 대한 편집을 완료(done)하고자 할 경우, 편집 완료 과정(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탭 터치 입력(314)을 통해 편집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더블 탭 터치 입력(314)이 수신되면,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서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n object is selected by a predetermined touch gesture, the editing mode is activated. Editing may be performed on the selected object using the air gesture 313 . Thereafter, when the user wants to finish editing the object, the editing may be completed through the double tap touch input 314 as shown in the editing completion process 330 . In this case, when the double-tap touch input 314 is received, the sensor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may be deactivated.

한편, 편집 완료 과정(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2)을 사용하는 경우 센서(예: 도 2의 센서(276))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양 손 중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210a)을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르게는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의 반대쪽 손(210b) 즉, 스타일러스 펜(202)을 쥐지 않은 손(210b)을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손에 대한 설정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미리 지정해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210a)에 의한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지만, 스타일러스 펜(202)을 쥔 손(210a)의 반대쪽 손(210b)에 의한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편집 도중에 사용자가 편집을 완료하고자 하는 경우 편집 완료 과정(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탭 터치 입력(315)을 통해 편집이 완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editing completion process 330 , when the stylus pen 202 is used, a hand to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is selected among both hands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a sensor (eg, the sensor 276 in FIG. 2 ). can be identified. For example, the hand 210a holding the stylus pen 202 may be used as the input interface, but the hand 210b opposite to the hand holding the stylus pen 202 , that is, the hand not holding the stylus pen 202 . The 210b may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and a setting for a hand to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may be pre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ccordingly, although the user can perform editing using the air gesture by the hand 210a holding the stylus pen 202, the air gesture by the hand 210b opposite to the hand 210a holding the stylus pen 202 Editing can also be performed using . Thereafter, when the user wants to complete the editing during editing, the editing may be completed through the double tap touch input 315 as shown in the editing completion process 330 .

한편, 전술한 도 3a의 에어 제스처(320) 동작을 통한 편집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3b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00b)이다.Meanwhile, in order to take a detailed look at the editing proces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ir gesture 320 of FIG. 3A ,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3B . 3B is a diagram 300b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의 후면이 바닥에 닿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1)의 전면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방향에서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가 검출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의 화면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예: 에어 제스처 모양,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의 전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상관없이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가 검출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객체(350)에 대한 편집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제스처가 핀치 아웃일 경우 상기 핀치 아웃의 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35)가 확대되는 시각적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B , an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210 in the upward direc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placed so as to touch the floor.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or not is detected. For example, an air gesture (eg, air gesture shape and type) detect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identified. Also, the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210 may be detected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ront central axis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 Visual data corresponding to editing of the object 350 may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For example, when the air gesture is a pinch out, visual data in which the object 35 is enlarge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he pinch out may be displayed.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의 종류를 예시한 테이블(400)이다. 4 is a table 400 illustrating types of air ges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제스처의 종류를 예시한 테이블(400)은 에어 제스처의 모양(410), 에어 제스처에 대한 설명(420), 에어 제스처에 의한 동작(430)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table 400 exemplifying the types of air gestures may include a shape 410 of the air gesture, a description 420 of the air gesture, and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430 by the air gesture. have.

핀치 앤 업 제스처는 살짝 열린 자세의 두 손가락을 오므려서 엄지와 검지가 만나게 집어 올리는 동작으로, 편집할 또는 클립할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핀치 앤 업 제스처는 터치된 상태에서의 제스처일 수도 있으나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일 경우에는 에어 제스처로서 인식될 수도 있다.The pinch-and-up gesture is a gesture of pinching two fingers in a slightly open position and lift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 meet, and may represent an operation of selecting an object to be edited or clipped. Here, the pinch-and-up gesture may be a gesture in a touched state, but may be recognized as an air gesture when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is activated.

핀치 인/아웃 제스처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모았다가 벌리거나 다시 모으는 동작을 나타내고, 객체를 확대/축소시킬 수 있다. The pinch-in/out gesture may represent a motion of gather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together and then spreading them apart or gathering them again, and may enlarge/reduce the object.

회전 제스처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는 동작을 나타내고, 객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rotation gesture represents a movement of turn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left or right, and may rotate the object.

드래그 제스처는 손가락을 어느 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내며,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rag gesture represents an action of dragging a finger in one direction, and may move an object.

플릭 제스처는 사용자가 손바닥을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나타내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실행된 내용을 언두(Undo)/리두(Redo)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바닥을 왼쪽으로 문지를 경우 언두가 수행될 수 있으며, 손바닥을 오른쪽으로 문지를 경우 리두가 수행될 수 있다. The flick gesture represent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rubs the palm of his/her palm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may undo/redo contents executed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For example, when the user rubs the palm to the left, undo may be performed, and when the user rubs the palm to the right, redo may be performed.

상기한 바에서는 에어 제스처의 종류와 그에 맵핑되는 편집 기능을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에어 제스처가 객체의 편집을 위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제스처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서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이레이저(eraser) 제스처를 이용하여 객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지우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건을 집는 제스처를 화면의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적용하는 것과 같이 상기한 바 이외에도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동작들을 그대로 에어 제스처로 적용할 수 있으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객체의 편집과 관련된 매핑 가능한 동작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types of air gestures and editing functions mapped thereto have been described, various air gestures may correspond to editing an object. For example, an operation of erasing part or all of an object may be performed using an eraser gesture indicating a rubbing operation with a finger within an air gesture recognizable range. In addition to the above, actions used in real life can be applied as an air gesture, such as applying a picking up gesture as an action to select an object on the screen. This may not be limited.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500)이다.5 is a flowchart 500 of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ir gesture-based ed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도 2의 프로세서(2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505 동작 내지 525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Each step/operation of the operating method of FIG. 5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processor 120 of FIG. 1 , and the processor 220 of FIG. 2 ) ))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operations 505 to 525 may be omitted, the order of some operations may be changed, or another operation may be added.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01)는 에어 제스처 개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에어 제스처 개시 이벤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에어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2)으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에어 제스처 개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 제스처 개시 이벤트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02)에 구비된 버튼의 눌린 상태 검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identify an air gesture initiation event.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input is received,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event is an air gesture initiation, and an operation for detecting the air gesture may be performed. Alternatively, for example,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stylus pen 202 , the air gesture initiation event may be identified. The air gesture initiation event may be, for example, detection of a pressed state of a button provided in the stylus pen 202 .

이하, 에어 제스처 개시 이벤트가 미리 지정된 제1 터치 입력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air gesture initiation event is a predetermined first touch inpu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50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0는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선택 가능한 즉, 클립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립 가능한 객체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그래픽 요소, 동영상 파일, 소리 파일,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다른 화면으로 이동 또는 붙여넣기를 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In operation 505, the electronic device 201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o select a desired object on the screen, it corresponds to the touch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at least one selectable object that is selectable, that is, clippable in the area to be clipped, where the clippable object includes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text, images, graphic elements related to a running application, video files, It represents at least one of a sound file and a widget, and may mean a target that can be moved or pasted to another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기반하여, 현재 화면 상에서 클립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identify at least one object that can be clipped on the current screen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st touch input is received.

만일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된 경우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510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전자 장치(201)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제스처가 검출되는 경우, 에어 제스처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는데, 전자 장치(201)는 에어 제스처가 손의 1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손의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멀티 손가락을 이용한 제스처, 주먹 쥔 손 제스처, 손바닥을 편 제스처와 같이 복수의 에어 제스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If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may be activated, and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201 uses at least one sensor in operation 510 to activate the electronic device 201 .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area of . For example, when an air gesture is detected, the form of the air gesture may be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201 determines that the air gesture is a gesture using one finger of a hand, a gesture using two fingers of a hand, and a multi-finger gestur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ich one of a plurality of air gestures, such as a gesture using , a clenched fist gesture, and a palm open gesture.

51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은 현재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가능한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에어 제스처에 의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에어 제스처가 핀치 인 제스처일 경우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를 확대시키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편집 기능이 현재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operation 515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edit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In this case, editing of the object selected by one touch input may be performed on a screen other than the current screen.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target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the selected object through a touch input, the selected target application may be executed, and the selected object may be edited by an air gesture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 For example, if the identified air gesture is a pinch-in gesture, editing to enlarge the selected object may be perform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the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screen. It can be performed on the screen.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5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집된 객체가 반영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최종적으로 확정하고자 하는 경우, 편집을 완료시키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While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is being performed, in operation 520 ,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etermine whether a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When it is desired to finally determine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o which the edited object is reflected, it may be necessary to complete the editing.

이에 따라 52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 종료 및 상기 편집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더블 탭 입력과 같은 편집을 완료시키는 동작을 할 경우 전자 장치(201)는 편집 완료된 객체가 반영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를 이용한 편집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객체를 이동, 확대, 축소하여 정밀하게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현재 화면 상에서 선택된 객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연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in operation 525 ,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he end of the air gesture inpu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finish editing the selected object and display the edited object. For example,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o complete editing, such as a double tap inpu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which the edited object is reflected.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providing the editing mode using the air gesture, the selected object can be moved, enlarged, or reduced to precisely arrange it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bject selected on the current screen can be moved to another application screen by using an air gestur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pplications can be interlock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an air gesture input start is detected,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identifying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t least one sensor; and performing editing on an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안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종료하는 동작 및 상기 편집된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includes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an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editing the selected object; if the second touch input is detected, the selected objec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of terminating editing of ,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edited obje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 또는 핀치 앤 업(pinch and up)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은, 더블 탭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at least one of a long press input and a pinch and up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may include a double tap inpu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paste)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edit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may include execut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the selected object and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edit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displaying operation and the identified air ges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객체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utomatically arrang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on the basis of the size of the selected object. ha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편집 가능한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 내의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selecting an editable object from at least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uch input, wherein the editable object include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and an image in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은,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이동, 확대, 축소, 회전, 실행 취소(undo), 다시 실행(redo)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is any one of movement,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undo, and redo of the selected objec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can represent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시 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00)이다.6 is a diagram 600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operation when editing by an ai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611)에 대응하여, 제1 화면(610)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아이템(650)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제스처(61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편집 가능한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는데, 선택되는 객체는 표시된 화면 내의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s in the first screen 610 , any one item 650 may be selected in response to a touch gesture 611 for activating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Here, an editable item may be select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ed screen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gesture 611 , and the selected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and an image in the displayed screen.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아이템(650)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선택된 아이템(650)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선택된 아이템(650)에 대한 표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아이템(650)의 아웃라인이 일시적으로 변경되거나 선택된 아이템(650)이 불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제2 화면(620)에서와 같이 에어 제스처(621) 기반의 편집 동안에는 선택된 아이템(650)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어 제스처가 드래그 제스처일 경우 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선택된 아이템(65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As such, when any one item 650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selected item 650 may be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selected item 650 at a glance. For example, the outline of the selected item 650 may be temporarily changed or the selected item 650 may be displayed opaquely. Next, as in the second screen 620 , the selected item 650 can be moved during the air gesture 621-based editing. For example, when the air gesture is a drag gesture, the selected item 650 through the drag gesture ) can be moved.

이때, 선택된 아이템(650)의 위치 이동 시 미리보기 형태로 배치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만일 선택된 아이템(650)을 배치시킬 만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제3 화면(630)에서와 같이 마지막 부분에 선택된 아이템(650)을 자동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편집 완료를 위한 터치 제스처(631)에 대응하여 편집이 완료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item 650 is moved, the arrangement posi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preview. The item 650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and the editing may be completed in response to the touch gesture 631 for completing the editing.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편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00)이다.7 is a diagram 700 for explaining an operation during text edit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예: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인터넷 화면 내의 텍스트를 편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7 , a case in which text in an Internet screen is edited using an air gesture while a first application (eg, an Internet application) is running will be described.

제1 화면(710)에서와 같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1)는 제2 화면(720)에서와 같이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텍스트는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의 위치에 기반하여 띄어쓰기 단위로 지정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집어 올리는 제스처(721)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선택된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요청이라고 간주하여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When a long press touch input is input while the Intern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s being displayed as in the first screen 710 , the electronic device 201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long press touch input as in the second screen 720 . You can select the text you want to edit. The selected text may be designated in units of space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ong press touch input. Then, when a gesture 721 for picking up the selected text is input by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regard it as a request for editing the selected text and activate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이에 따라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730)가 수행될 수 있으며, 편집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제3 화면(740)에서와 같이 선택된 텍스트(741)가 현재 화면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선택된 텍스트(741)를 붙여넣기할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텍스트(741)가 분리된 상태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홈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742)이 눌리면 제4 화면(750)에서와 같은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원하는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751)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제5 화면(760)에서와 같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선택된 텍스트(741)가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텍스트(741)는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에서 자동으로 배치(761)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730 may be performed, and the selected text 741 may be display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current screen as in the third screen 740 when the editing mode is activated. Next, the user may perform an operation of selecting a target application to which the selected text 741 is to be pasted. For example, when the switch to home screen button 742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selected text 741 is displayed in a separated state, the same home screen as in the fourth screen 750 may be displayed. Next, the user can select (751) a desired target application, and the target applica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hereto, so that the selected text 741 is reflected and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in the fifth screen 760. can In this case, the selected text 741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761 i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이후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800)이다. 8 is a diagram 800 illustrating that target applications are displayed after object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830)에서 제1 화면(840)에서와 같이 선택된 객체(예: 텍스트)(841)가 분리(또는 클립)되어 표시되는 경우 홈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842)이 눌리면 제2 화면(850)에서와 같은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when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is activated 830 , the selected object (eg, text) 841 is separated (or clipped) and displayed as in the first screen 840 . In this case, when the switch to home screen button 842 is pressed, the same home screen as in the second screen 850 may be display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제2 화면(850)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된 객체(841)를 붙여넣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851, 852, 853)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나타내는 항목들(851, 852, 85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3 화면(860)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displays items 851 , 852 , and 853 indicating applications to which the selected object 841 can be pasted, as in the second screen 850 , and selects the applications. When any one of the items 851 , 852 , and 853 representing each is selected, the selected object may be past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application as in the third screen 860 .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선택 시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900)이다.9 is a diagram 900 illustrating target applications displayed when an object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930)에서 제1 화면(940)에서와 같이 선택된 객체(예: 텍스트)(941)가 분리(또는 클립)되어 표시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예: 텍스트)(941)에 대한 선택(942)에 대응하여, 제2 화면(950)에서와 같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선택된 객체(941)를 붙여넣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951, 952, 953)을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when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is activated ( 930 ), as in the first screen 940 , the selected object (eg, text) 941 is separated (or clipp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942 of the selected object (eg, text) 941 , as in the second screen 950 , items representing applications in which the selected object 941 can be pasted on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screen The ones 951 , 952 , and 953 can be displayed.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텍스트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000)이다.10 is a diagram 10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text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면(1010)은 선택된 객체(1011)가 붙여넣기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편집이 완료되기 전까지 에어 제스처에 의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는 선택된 객체(101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210)에 의한 핀치 아웃 제스처(1012)가 식별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제2 화면(1020)에서와 같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확대된 객체(1021)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first screen 1010 may be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o which the selected object 1011 is pasted. Until editing is completed, the selected object 1011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may be edited by the air gesture. For example, when the pinch-out gesture 1012 by the user's hand 210 is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201 displays the enlarged object 1021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in the second screen 1020 . can be reflected and displayed.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텍스트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100)이다.11 is a diagram 11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completion operation for text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화면(11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적인 터치 없이 화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손바닥을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릭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1110)에서와 같이 사용자 손(210)에 의한 왼쪽으로의 플릭 제스처(1112)가 식별되는 경우, 제2 화면(1120)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선택된 객체(1121)에 대해 실행된 내용을 언두(Undo)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1110)에서의 확대된 객체(1111)는 제2 화면(1120)에서와 같이 원래 크기(1121)로 돌아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 손(210)에 의한 오른쪽으로의 플릭 제스처(1122)가 식별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선택된 객체(1121)에 대해 실행된 내용을 리두(Redo)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1120)에서의 객체(1121)는 제3 화면(1130)에서와 같이 확대된 크기(1131)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 손(210)에 의한 더블 탭 터치(1132) 동작을 통해 편집이 완료될 수 있으며, 제4 화면(1140)에서와 같이 편집된 객체가 반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in a state in which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is activated, as in the first screen 1110 , the user moves the palm of the left or right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direct touch. You can make a flick gesture that indicates a swiping motion in a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flick gesture 1112 to the left by the user's hand 210 is identified as in the first screen 1110 , as in the second screen 1120 , the selected object 1121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 can be undoed. For example, the enlarged object 1111 in the first screen 1110 may return to its original size 1121 as in the second screen 1120 . Conversely, when the flick gesture 1122 to the right by the user's hand 210 is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redo the contents executed on the object 1121 selected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 For example, the object 1121 in the second screen 1120 may be displayed in an enlarged size 1131 as in the third screen 1130 . Next, editing may be completed through a double tap touch 1132 operation by the user's hand 210 ,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flecting the edited object may be displayed as in the fourth screen 1140 .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예: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인터넷 화면 내의 텍스트를 편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in the above-mentioned bar, the case of editing the text in the Internet screen using the air gesture while the first application (eg, the Internet application) is running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case of editing an imag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do it with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200)이다.12 is a diagram 1200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edit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화면(1210)에서와 같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롱 프레스 터치 입력(1211)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1)는 제2 화면(1220)에서와 같이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현재 화면 내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립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면 데이터에 대한 HTML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롱 프레스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와 관련된 항목(1222)이 표시될 수 있지만, 만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집어 올리는 제스처(1212)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요청이라고 간주하여 이미지와 관련된 항목(1222) 표시를 제거한 후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when a long press touch input 1211 is input while the Intern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s being displayed as in the first screen 1210 , the electronic device 201 performs the same steps as in the second screen 1220 . Likewise, you can select an image to be edit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long press touch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select an image to be clipped using screen data currently displayed in the current screen, for example, HTML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data may be used. In this case, an item 1222 related to an image may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long press touch input. However, if a gesture 1212 to pick up the selected image is input by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201 displays the selected image. Considering that it is a request for editing, after removing the display of the item 1222 related to the image,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may be activated.

이에 따라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1230)가 수행될 수 있으며, 편집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제3 화면(1240)에서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1241)가 현재 화면으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선택된 이미지(1241)를 붙여넣기할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이미지(1241)가 분리된 상태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홈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1242)이 눌리면 제4 화면(1250)에서와 같은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원하는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선택(1251)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제5 화면(1260)에서와 같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선택된 이미지(1241)가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이미지(1241)는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내에서 자동으로 배치(1261)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1230 may be performed, and the selected image 1241 may be display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current screen as in the third screen 1240 in the editing mode activation state. Next, the user may perform an operation of selecting a target application to which the selected image 1241 is to be pasted. For example, when the switch to home screen button 1242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selected image 1241 is displayed in a separated state, the same home screen as in the fourth screen 1250 may be displayed. Next,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target application ( 1251 ), and the target applica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hereto, so that the selected image 1241 is reflected and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in the fifth screen 1260 . can In this case, the selected image 1241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1261 i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이미지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300)이다.13 is a diagram 13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completion operation for an image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면(1310)은 선택된 객체(예: 이미지)(1311)가 붙여넣기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편집이 완료되기 전까지 에어 제스처에 의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는 선택된 객체(131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210)에 의한 핀치 인 제스처(1312)가 식별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제2 화면(1320)에서와 같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축소된 객체(1311)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3 화면(1330)에서와 같이 사용자 손(210)에 의한 더블 탭 터치(1331) 동작을 통해 상기 객체(1311)에 대한 편집이 완료될 수 있으며, 제4 화면(1340)에서와 같이 편집된 객체가 반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first screen 1310 may be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o which a selected object (eg, an image) 1311 is pasted. Until editing is completed, the selected object 1311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may be edited by the air gesture. For example, when the pinch-in gesture 1312 by the user's hand 210 is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201 displays the reduced object 1311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in the second screen 1320 . can be reflected and displayed. Next, as in the third screen 1330 , editing of the object 1311 may be completed through a double tap touch 1331 operation by the user's hand 210 , as in the fourth screen 1340 .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which the edited object is reflected may be displayed.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이미지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400)이다.14 is a diagram 14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an image on a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이 완료되기 전까지 에어 제스처에 의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는 선택된 객체(1411)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1410)에서 사용자 손(210)에 의한 핀치 인 제스처(1412)가 식별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제2 화면(1420)에서와 같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축소된 객체(1411)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3 화면(1430)에서와 같이 에어 제스처 인식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용자 손(210)에 의한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이레이저(eraser) 제스처(1431)를 이용하여 객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지우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4 화면(1440)에서와 같이 객체가 삭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selected object 1411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may be edited by the air gesture until the editing is completed. For example, when the pinch-in gesture 1412 by the user's hand 210 is identified on the first screen 1410 ,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in the second screen 1420 . The reduced object 1411 may be reflected and displayed. Then, as in the third screen 1430, part or all of the object is erased using an eraser gesture 1431 indicating an operation of rubbing with a finger by the user's hand 210 within an air gesture recognizable range. You can also perform actions. Accordingly, as in the fourth screen 1440 ,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which an object is deleted may be displayed.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객체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500)이다.15 is a diagram 15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an object on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에서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편집을 예시하고 있는데, 전자 장치(201)는 터치스크린 상에 제1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예: 지도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화면(1510)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201)는 어느 한 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제스처 예컨대, 핀치 줌 앤 업(pinch zoom & up) 제스처(1511) 동작을 통해, 상기 터치 제스처가 입력된 위치에 기반하여, 제2 화면(154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 중 적어도 일부(1541)를 분리(또는 클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 중 적어도 일부(1541)의 크기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FIG. 15 exemplifies editing on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the electronic device 201 displays a graphic element (eg, a map or a screen/graphic interface of a map application)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eg, map application) on the touch screen. ) can be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creen 1510 is displayed, the electronic device 201 performs a touch gesture for selecting an area, for example, through a pinch zoom & up gesture 1511 operation, the touch gesture Based on the input position, as in the second screen 1540 , at least a portion 1541 of graphic elements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eg, a map application) may be separated (or clipped). Here, the size of at least some of the graphic elements 1541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eg, a map application)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pplication (eg, the map application) is being displayed, the object editable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may include a graphic element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이어, 상기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에어 제스처 인식을 위한 센싱 기능이 활성화되며, 이에 따라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분리(또는 클립)된 적어도 일부(예: 지도 일부)(1541)를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붙여넣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또는 클립)된 적어도 일부(예: 지도 일부)(1541)를 붙여넣기 가능한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분리(또는 클립)된 적어도 일부(예: 지도 일부)(또는 클립된 객체)(1541)를 붙여넣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터치 또는 에어 제스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노트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클립된 객체를 붙여넣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Subsequently, a sensing function for air gesture recognition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touch gesture, and accordingly, an air gesture-based editing mode may be activated. Accordingly, the user may paste the separated (or clipped) at least part (eg, a map part) 1541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ems representing target applications to which the separated (or clipped) at least part (eg, a map part) 1541 can be pasted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and among the items representing each of the target applications, When any one is selected, the separated (or clipped) at least part (eg, a map part) (or clipped object) 1541 may be past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target application. Here,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target application through a touch or an air gesture. For example, the target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a clipped object, such as a note application, an SNS application, or an email application.

한편, 타겟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붙여넣기할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154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예: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 중 적어도 일부(1541)가 클립된 상태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작 예컨대, 홈 화면으로의 전환 버튼(1542)이 눌리면 제3 화면(1550)에서와 같은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items representing target applications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but a user may also find and select a target application to be directly pasted. For example, moving to another application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some of graphic elements 1541 related to the first application (eg, map application) are displayed in a clipped state as in the second screen 1540 . For example, when the switch to home screen button 1542 is pressed, the same home screen as in the third screen 1550 may be displayed.

이어, 사용자에 의한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제4 화면(1560)에서와 같이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클립된 객체(1541)가 붙여넣기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된 객체(1541)는 자동으로 지정된 위치에 배치(1561)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배치 위치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된 객체(1541)는 다른 내용을 가리지 않는 위치로 자동 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립된 객체(1541)의 크기에 기반하여,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을 통해 붙여넣기할 객체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16을 참조하기로 한다.Next,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target application by the user, the clipped object 1541 may be past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s in the fourth screen 1560 . In this case, the clipped object 1541 may be automatically placed 1561 at a designated position, or the user may designate the arrangement position otherwise. Here, the clipped object 1541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 a position that does not block other contents, and may be displayed in a preview form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rrangement position. For example, based on the size of the clipped object 1541, it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lternatively, the user may adjust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pasted through air gesture-based editing. To describe this in detail,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16 .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의 객체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600)이다.16 is a diagram 16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completion operation for an object on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화면(1610)에서는 SNS 어플리케이션에 클립된 객체(1610)가 붙여넣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 손(210)에 의한 에어 제스처에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클립된 객체(1610)에 대한 편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에어 제스처가 핀치 아웃 제스처(1612)인 경우, 제2 화면(1620)에서와 같이 지도 좌표가 조절된 즉,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축적이 달라지는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1621)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한 스프레드, 핀치 줌과 같은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1621)와 관련한 축적을 변경할 수 있으며, 편집 완료를 위한 터치 제스처(1622)가 입력되는 경우, 제3 화면(1630)에서와 같이 편집이 완료된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가 타겟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완료되는 경우 SNS와 같은 타겟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전자 장치(201)는 편집된 객체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6 , the first screen 1610 exemplifies a case in which the clipped object 1610 is pasted into the SNS application. In this case, when the air gesture by the user's hand 210 is detected, the clipped object 1610 may be edited in response to the detected air gesture.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ed air gesture is the pinch-out gesture 1612 , as in the second screen 1620 , the map coordinates are adjusted, that is, graphic elements related to the map application whose scale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1621) may be indicated. In this way, the user can change the scale related to the graphic element 1621 related to the map application by using an air gesture such as spread and pinch zoom using two fingers, and when a touch gesture 1622 for completing editing is input, As in the third screen 1630 , a graphic element related to the map application that has been edited may be reflected and displayed on the target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ccordingly, when the air gesture-based editing is completed, in the case of a target application such as SNS,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transmit the edited object to the counterpart.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 상에서의 객체에 대한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00)이다.17 is a diagram 1700 for explaining an air gesture-based editing operation for an object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에서는 홈 화면에 대한 편집 모드를 예시하고 있는데, 홈 화면은 대기 화면으로 사용자는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원하는 아이템(예: 위젯)을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에 표시되는 위젯(또는 단축 아이콘)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에어 제스처를 이용하여 위젯의 크기,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17 exemplifies an editing mode for the home screen, the home screen is a standby screen, and a user can edit a desired item (eg, a widget) using an air gesture. For example, various functions can be directly used using a widget (or a shortcut ic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nd the user can change or mov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widget using an air gesture.

예를 들어, 제1 화면(1710)은 전자 장치(201)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홈 화면들 중 하나이며, 복수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제1 화면(1710)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위젯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위젯을 집어 올리는 제스처 예컨대, 핀치 줌 앤 업(pinch zoom & up) 제스처 동작을 통해 어느 하나의 위젯이 제1 화면(1710) 상에서 분리(또는 클립)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creen 1710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home screens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1 , and may be a first home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home screens. As in the first screen 1710 , any one widget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rough a gesture of picking up any one widget while at least one widget is displayed, for example, a pinch zoom & up gesture operation. It can be detached (or clipped on) on 1710 .

분리된 위젯에 대해서는 에어 제스처 기반의 편집이 가능하게 되는데, 전자 장치(201)는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에 기반하여 상기 위젯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1720)에서와 같이 에어 제스처 중 핀치 줌(예: 핀치 인/아웃) 제스처를 통해 상기 위젯에 대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separated widget may be edited based on an air gesture, and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edit the widget based on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area. For example, as in the second screen 1720 , the size of the widget may be adjusted through a pinch zoom (eg, pinch in/out) gesture among the air gestures.

한편, 제3 화면(1730)에서와 같이 에어 제스처가 드래그 제스처 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일 경우 전자 장치(201)는 상기 위젯(1731)을 상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 화면들 중 다른 홈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위젯(1731)이 현재 홈 화면과 분리되어 클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넘기는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201)는 다른 홈 화면으로의 페이지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화면(1740)에서와 같이 위젯은 다른 홈 화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홈 화면 상에서 편집을 완료하는 입력을 할 경우 예컨대, 더블 탭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경우, 제5 화면(1750)에서와 같이 상기 위젯 배치가 완료된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air gesture is a drag gesture or a swipe gesture as in the third screen 1730 , the electronic device 201 displays the widget 1731 to another one of a plurality of home screens in response to the air gesture. You can move it to the home screen.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move a page to another home screen through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and turns over the screen while the widget 1731 is separated from the current home screen and clipped. Accordingly, as in the fourth screen 1740, the widget may be disposed on another home screen, and when the user inputs an input to complete editing on the currently displayed home screen, for example, when inputting a double tap touch gesture, As in the fifth screen 1750 , the home screen on which the widget arrangement is completed may be display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위젯(1731)이 현재 홈 화면과 분리되어 클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넘기는 동작을 통해 홈 화면들 간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다르게는 위젯 내에 표시되는 그래픽 요소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넘기는 제스처에 대응하여 날씨 위젯, 시계 위젯, 세계 정보 위젯과 같이 서로 다른 위젯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possible to move between home screens through a user touching and flicking the screen while the widget 1731 is clipped and separated from the current home screen, but otherwise a graphic element displayed in the widget is may vary. For example, graphic elem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widgets, such as a weather widget, a clock widget, and a world information widget,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a user's gesture of touching the screen.

또한, 전술한 바에서는 홈 화면 상에서의 위젯 이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객체들이 배치된 페이지에 대해 에어 제스처를 이용할 경우 선택된 객체를 원하는 다른 페이지로 손쉽게 이동시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존에 화면 가장자리까지 상기 객체를 터치한 상태로 드래그해야만 다른 페이지로 옮길 수 있었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는 에어 제스처를 통해 원하는 페이지에 손쉽게 객체를 이동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Also, in the above bar, the movement of the widget on the home scree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when an air gesture is used for a page on which objects representing applications are arranged, the selected object may be easily moved to another desired page and arranged. Accordingly, in order to move the object desired by the user,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he object to another page by dragging the object to the edge of the screen in a touch-and-drag state is eliminated. can be placed.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a device of various typ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B, or C" each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n question, and may refer to components in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It is said that one (eg, first) component i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referenced, it means that on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module”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part or a minimum unit or a part of the part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internal memory 136 or external memory 138) readable by a machine (eg,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the program 140) including For example,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120 ) of the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 may call at least one of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command call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 and this term is used in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on two user devices (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online between smartphones (eg: smart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a module or a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erein the instructions are configured to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at least one operation is to initiate air gesture input. An operation of identifying whether an indicated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t least one sensor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and the identified air gesture In response, the method may include an operation of edit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refore, in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입력 장치, 160: 표시 장치, 190: 통신 모듈101: electronic device, 120: processor, 130: memory, 150: input device, 160: display device, 19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장치의 센싱 패널을 통해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t least one sensor;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memory operative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memory, when executed, the at least one processor,
When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at least one sensor is identified;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the electronic device stores instructions configured to perform editing o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안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종료하고, 상기 편집된 객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The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when a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editing the selected object, end the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and display the edited o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 또는 핀치 앤 업(pinch and up)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은, 더블 탭 입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ncludes at least one of a long press input and a pinch and up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includes a double tap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paste)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표시하며,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Executes an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the selected object, and displays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edit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나타내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Display items representing applications in which the selected object can be pasted,
and paste the selected object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application when any one of the items representing each of the applications is sel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객체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자동으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The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lace the selected object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selecte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편집 가능한 객체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 내의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configured to select an editable object from at least a portion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uch input,
The editabl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of text and an image in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이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 경우, 상기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ditable object,
and a graphic element related to the map application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a map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축적이 달라지는 상기 지도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요소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and display a graphic element associated with the map application whose scale varies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은,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이동, 확대, 축소, 회전, 실행 취소(undo), 다시 실행(redo)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comprises: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indicating any one of movement,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undo, and redo for the selected object, the electronic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이 복수의 홈 화면들 중 어느 하나의 홈 화면인 경우,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홈 화면들 중 다른 하나의 홈 화면으로 상기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structions includ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screens, move the selected object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screens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configured,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상기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RF 스펙트럼 방식의 센서, 적외선(Infrared) 센서, 초음파 센서, 모션 센서, 3D 센서, 비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or,
At least one of an RF spectrum type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otion sensor, a 3D sensor, and a vis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ir gesture in the proximity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at, electronic devices.
전자 장치에서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in an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whether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initiation of an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identifying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t least one sensor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and
and performing editing o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안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종료하는 동작; 및
상기 편집된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dentifying whether a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an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editing the selected object;
terminating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when the second touch input is detected;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edited objec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 또는 핀치 앤 업(pinch and up)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제스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제2 터치 입력은, 더블 탭 입력을 포함하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ir gesture input includes at least one of a long press input and a pinch and up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or longer,
The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wherein the second touch input indicating termination of the air gesture input includes a double tap inpu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객체를 붙여넣기(paste)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diting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comprises:
execut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pasting the selected object;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and performing editing on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객체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객체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isplaying of the selected objec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comprises:
and automatically arranging the selected object on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selected objec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편집 가능한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집 가능한 객체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화면 내의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an editable object on at least a portion of a display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uch input;
The editabl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of text and an image in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은,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이동, 확대, 축소, 회전, 실행 취소(undo), 다시 실행(redo)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에어 제스처에 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diting of the selected object comprises:
A method for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by an air gesture indicating any one of movement, enlargement, reduction, rotation, undo, and redo for the selected objec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에어 제스처 입력 개시를 나타내는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근접 영역에서 검출되는 에어 제스처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에어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A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erein the instructions are configured to cause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at least one operation comprising:
identifying whether a first touch input indicating initiation of an air gesture input is detected;
identifying an air gesture detected in a proximit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t least one sensor when the first touch input is detected; and
and performing editing on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inpu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air gesture.
KR1020200041746A 2020-04-06 2020-04-06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21012392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46A KR20210123920A (en) 2020-04-06 2020-04-06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PCT/KR2021/003789 WO2021206336A1 (en) 2020-04-06 2021-03-26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means of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46A KR20210123920A (en) 2020-04-06 2020-04-06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20A true KR20210123920A (en) 2021-10-14

Family

ID=7802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46A KR20210123920A (en) 2020-04-06 2020-04-06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23920A (en)
WO (1) WO2021206336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006A (en) *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user interface controlling method using three dimension multi-touch
WO2013138052A1 (en) * 2012-03-13 2013-09-19 Microsoft Corporation Web page application controls
KR102096581B1 (en) * 2012-09-14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diting display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14437B1 (en) * 2014-01-10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pying contents in a computing device, method for pasting contents in a computing device, and the computing device
KR102295170B1 (en) * 2017-11-30 2021-08-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operating multimedia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336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KR102090964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AU2014208041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EP2972669B1 (en) Depth-based user interface gesture control
EP3754471B1 (e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haptic effect
KR10203114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WO2013094371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29882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put interface
KR102189787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40285453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EP3557398A1 (en)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of processing split screen display
US20140055386A1 (en) Touch and non touch based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device
KR102155836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objects display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US20140055385A1 (en) Scaling of gesture based input
EP2746924A2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EP2863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US2015000242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20150253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images
KR20210123920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diting functio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1199526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a touch input
KR20210117540A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 associated to stylus pen by air gesture,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210123156A (en)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uncontact gesture
KR2021010576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touch ges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