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51A -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051A
KR20210123051A KR1020200040261A KR20200040261A KR20210123051A KR 20210123051 A KR20210123051 A KR 20210123051A KR 1020200040261 A KR1020200040261 A KR 1020200040261A KR 20200040261 A KR20200040261 A KR 20200040261A KR 20210123051 A KR20210123051 A KR 20210123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arcode
order
inspec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5258B1 (en
Inventor
김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투 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투 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투 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4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258B1/en
Publication of KR2021012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comprising: a step of scanning, by a barcode scanner, a first barcode printed on an order form; a step of obtaining, by at least one camera, an image by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seated on an inspection shelf; a step of extracting and reading, by a control part, at least one second barcode included in the image, identifying a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and calculating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and a step of determining, by the control part, whether the calculated product and quantity match an order product and an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minimizing human errors.

Description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Automatic product inspection using video inform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통 및 물류창고 내 주문지시서 상의 주문내역에 따라 주문별 상품이 맞게 준비 또는 마련되어 있는지 검수하는 작업을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하기 위한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using imag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ration of inspecting whether products for each order are properly prepared or prepared according to the order details on the order order in the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warehouse is automatically performed using image information It relates to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for

현재 유통 및 물류창고 내에서는 점포 등으로부터 발주된 주문에 따라 주문별 피킹(picking) 및 패킹(packing)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Currently, in the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warehouse, work such as picking and packing for each order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order placed from a store or the like.

대형의 물류업체에서는 대부분의 과정을 디지털화 및 자동화하여 상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피킹할 수 있는 DPS(digital picking system;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다품종 소량 피킹, 다빈도 피킹 및 분배 업무 등에 있어서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어 최근 매우 각광받고 있다.Large logistics companies use DPS (digital picking system) that can pick products quickly and accurately by digitizing and automating most processes, It is very popular recently because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그러나 중소형의 물류업체에서는 DPS를 구축하기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수분, 피킹 및 패킹 등의 작업은 인력에 의존하고 있다. 그 중 주문지시서 상의 상품들이 맞게 준비 또는 마련되어 있는지 검수하는 작업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주문에 대한 검수작업이 상품개별마다의 바코드 스캔으로 확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이 인력의 전문성에 많이 좌우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companies require a lot of money to build DPS, so watering, picking, and packing are dependent on manpower. Among them, although it is important to inspect whether the products on the order sheet are properly prepared or prepared, the inspection of orders is performed by scanning barcodes for each product, so the efficiency of work depends a lot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manpower. there is a problem that

따라서, 중소형의 물류업체에서 전산상의 주문과 피킹되어 마련된 상품들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utomation technology that can check whether a computerized order and products prepared by picking match in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companies.

KRUS 10-136655610-1366556 B1B1 KRUS 10-2011-005852310-2011-0058523 A1A1

본 발명은, 주문지시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이 검수선반 상에 마련된 상품들과 일치하는지 자동으로 확인하여,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휴먼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minimize human errors by automatically checking whether ordered products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order instruction match the products provided on the inspection shelf. want t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코드스캐너가, 주문지시서에 인쇄된 제1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코드를 추출 및 판독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code scanner, scanning a first barcode printed on an order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camera,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seated on an inspection shelf to obtain an image obtaining, by a controller, extracting and reading at least one second barcode included in the image, identifying a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and calculating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 It provides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product and quantity coincide with the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 - 외부의 주문관리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됨 - 를 이용하여, 스캔한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상기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상기 주문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주문의 유효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주문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using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order management server - receiving the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scanned first barcode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may check whether the order is valid or whether the order is chang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라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불일치하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product and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do not match the ordered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상기 주문지시서 상의 상기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의 수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on a screen, and outputting the quantity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corresponding thereto can do.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전체 상품 개수를 인식하고 그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미식별된 상품이 존재하면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캠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검수선반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재차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전체 상품 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nd calculates the number, and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 step of reading, and the control unit, if an unidentified product exists, driving the first cam dev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repeatedly reciprocating the inspection shelf along any on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identifying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nd determining whether it match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캠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검수선반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을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제2 캠장치와, 상기 제1 캠장치를 조합하여 구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first cam device to repeatedly reciprocate the inspection shelf along any on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A second cam device for upwardly moving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and the first cam device can be combined and drive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을 안착면 상에 그려진 구획선을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기 주문지시서의 제1 바코드를 동시에 각각 식별 및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품그룹별 상기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 및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별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라 식별 및 판독된 상품 및 상품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area based on the dividing line drawn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and simultaneously identifies and reads the first barcodes of the plurality of order instructions seated for each divided area. and identifying and reading, by the control unit, a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duct groups seated in each divided area, and the control unit, an order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for each divided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quantity of goods and orders and the quantity of goods and goods identified and rea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match.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주문지시서에 인쇄된 제1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스캐너,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코드를 추출 및 판독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수량을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code scanner that scans the first barcode printed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at least one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seated on an inspection shelf, and the Extracting and reading at least one second barcode included in the image, identifying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calculating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and then ordering the calculated product and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It provides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match.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주문관리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스캔한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상기 주문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문의 유효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주문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vely connecting with an external order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scanned first barcode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You can check whether the order is valid or whether the order has been chang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라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불일치하면,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when the product and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do not match the ordered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상기 주문지시서 상의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출력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의 수량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and correspondingly outputting the quantity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on the scree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코드스캐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품자동검수장치는 이동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may be movable, further comprising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rcode scanner, the at least one camera, and the control uni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검수선반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제1 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먼저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전체 상품 개수를 산출한 다음,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고, 미식별된 상품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캠장치를 구동한 이후, 재차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전체 상품 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further comprising a first cam device for repeatedly reciprocating the inspection shelf along any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s, the control unit, first on the inspection shelf After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second barcodes of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re identified, and if there is an unidentified product, the first cam device is driven and then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gain By identifying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match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을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제2 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고, 미식별된 상품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및 제2 캠장치를 구동한 이후, 재차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전체 상품 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am device for upwardly moving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second of the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fter identifying the barcode, and if there is an unidentified product, afte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cam devices,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is identified again, and whether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is identical can be judg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을 안착면 상에 그려진 구획선을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기 주문지시서의 제1 바코드를 동시에 각각 식별 및 판독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품그룹별 상기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 및 판독한 다음, 상기 분할된 영역별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라 식별 및 판독된 상품 및 상품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area based on the dividing line drawn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and simultaneously identifies and reads the first barcodes of the plurality of order instructions seated for each divided area. and identify and read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for each product group seated in each divided area, and then according to the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for each divided area and the second barcod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identified and read goods and the quantity of goods mat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문지시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이 검수선반 상에 마련된 상품들과 일치하는지 자동으로 확인하여,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휴먼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minimize human error by automatically checking whether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order instruction match the products provided on the inspection shelf.

또한, 상품검수를 위한 검수선반을 이동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상품자동검수장치에 대한 공간제약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inspection shelf for product inspection in a movable manner,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the space constraint for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또한,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의 바코드가 카메라 렌즈를 향하지 않더라도 검수선반을 왕복동시켜 빠짐없이 검수선반 상의 상품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arcode of the product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does not face the camera lens, it is possible to reciprocate the inspection shelf to recognize the product on the inspection shelf without omission.

또한, 검수선반 상에 주문지시서를 안착시켜 주문지시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여러 장의 주문지시서 및 이에 상응하는 상품그룹을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주문지시서 및 복수의 상품그룹에 대해 동시에 상품검수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order order on the inspection shelf so that the order instruction can be recognized, multiple order instructions and corresponding product groups are identified at the same time, and multiple order orders and product groups are inspected at the same time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지시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수선반에 결합된 구동장치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수선반 상에 복수의 영역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식별 상품 존재시 상품자동검수장치의 동작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주문지시서를 판독하고 그에 따라 복수 그룹의 상품들을 검수할 수 있는 상품자동검수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ppearance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order i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riving device, etc. coupled to the inspection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areas are formed on the inspection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for each operation step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when an unidentified product exi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capable of reading a plurality of order instructions and inspecting a plurality of groups of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상품자동검수장치Product automatic inspec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n exemplary external view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주문지시서(20)에 인쇄된 제1 바코드(b1)를 스캔하는 바코드스캐너(120)와,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10)에 대한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30, 131~132)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코드(b2)를 추출하여, 제2 바코드(b2)에 따른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수량을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주문지시서(20)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이 검수선반(101) 상에 마련된 상품(10)들과 일치하는지 자동으로 확인하여,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휴먼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할 수 있다.1 and 3,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code scanner 120 that scans the first barcode b1 printed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and , at least one camera 130, 131 to 132 for acquir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at least one second included in the image After the barcode (b2) is extracted,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b2) is identified,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product and quantity are ordered products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Including the control unit 11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matches, automatically check whether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order instruction 20 match the products 10 provid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to improve work efficiency It can increase and minimize human error.

다만, 도 1 및 3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상품자동검수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and 3 are not essential,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상품이 안착되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가진 렉(rack)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검수선반(10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상품(10) 또는 상품이 담긴 상품트레이(102)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가질 수 있다.The product automatic insp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has a rack shap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S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for example, on which the product is seated. can have That is,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100 may have an accommodating space S in which at least one product 10 or a product tray 102 containing products can be accommod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

수용공간(S)의 주변에는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10)에 대한 촬영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30, 131~132)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30, 131~1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10)을 인식하고 및 그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least one camera 130, 131 to 132 for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may be provided around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the control unit 110 ) can recognize th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calculate the number by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s 130 and 131 to 132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이러한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중소형의 물류업체에서 공간제약을 받지 않고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품자동검수장치(100)를 이동시키며 상품검수를 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wheel at the bottom so that a worker can move the product automatic inspection device 100 as needed and inspect the product without being limited by space in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compani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to be movable.

바코드스캐너(120)는 주문지시서(20)에 인쇄된 제1 바코드(b1)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어부(110)는 바코드스캐너(120)를 통해 읽어들인 바코드로부터 그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코드스캐너(120)는 제1 바코드(b1)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barcode scanner 120 is a means for optically reading the first barcode b1 printed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 and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from the barcode read through the barcode scanner 120 . can be obtained The type of the barcode scanner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read the first barcode b1.

여기서, 제1 바코드(b1)는, 1차원 형태의 바코드(barcode)는 물론 2차원 형태의 큐알코드(QR code), 데이터메트릭스(Data Matrix), 맥시코드(Maxi code), PDF-417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상품(10)의 외면에 표시되어 있는 제2 바코드(b2) 역시, 특정 형태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바코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rst barcode b1 includes not only a one-dimensional barcode, but also a two-dimensional QR code, Data Matrix, Maxi code, PDF-417, etc. It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course, the second barcode b2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lso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and may be a barcode of various types.

상기 제1 바코드(b1)가 인쇄된 주문지시서(20)는, 피킹(picking) 및/또는 패킹(packing)되는 상품의 목록(상품 수량 포함)을 포함한 주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정보는, 주문자에 의해 주문된 상품 및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on which the first barcode b1 is printed may includ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list of products to be picked and/or packed (including product quantity). Here, the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a product and quantity ordered by the orderer.

결국, 주문지시서(20)는 주문정보를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번호, 판매처, 주문일자, 주문번호, 주문자명, 수령자명, 배송메세지, 주소, 상품이미지, 상품명, 상품코드, 옵션, 수량, 판매가, 상품구매금액, 배송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all, the order instruction 20 includes order information, bu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management number, vendor, order date, order number, orderer name, recipient name, delivery message, address, product image, Information such as product name, product code, option, quantity, sale price, product purchase amount, and shipping cost may be included.

제어부(110)는 바코드스캐너(120)를 통해 판독한 제1 바코드(b1)를 이용하여 주문지시서(20)에 포함된 주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extract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using the first barcode b1 read through the barcode scanner 120 .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코드(b1)에 상기 주문정보가 담긴 경우에 제어부(110)는 바코드스캐너(120)를 통해 판독한 제1 바코드(b1)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바코드(b1)가 1차원 형태이어서 바코드에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적은 경우 등에는 제어부(110)가 제1 바코드(b1)에 따른 식별부호를 인자로 하여, 이에 상응하는 주문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rder information is contained in the first barcode b1, the control unit 110 may extract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barcode b1 read through the barcode scanne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barcode b1 has a one-dimensional shape and the capacity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barcode is small, the controller 110 uses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as a factor, and thus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원격의 주문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제어부(110)가 제1 바코드(b1)에 따른 식별부호를 인자로 주문정보수신요청(ack)을 하고, 이에 대한 응답(request)으로서 상기 식별부호에 상응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관리서버(200)는 상기 주문정보를 저장하되, 주문자나 주문관리자에 의해 주문상태나 주문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ses the communication unit 140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remote order management server 200 so that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An order information reception request (ack) is made as a factor, and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can be received as a response (request). Here, the order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order information, but the order status or order information may be changed by an orderer or an order manager.

따라서, 제어부(110)는 상기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할 때, 주문상태에 따라 현재 해당 주문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피킹 및 패킹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현재의 주문내용(대상상품 또는 상품수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주문자의 의도가 즉각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200, the control unit 110 checks whether the current order is valid according to the order status,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unnecessarily pick and pack. In addition, by grasping the current order contents (target product or product quantity) in real time, the intention of the orderer can be reflected immediately.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의 주변에는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10)을 피사체로 하여, 이에 대한 촬영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30, 131~132)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vicin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at least on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is taken as a subject, and at least one camera (130, 131) for photographing it. 132) may be provided.

카메라(130, 131~132)의 개수 및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검수선반(101) 상에 다양한 방향으로 놓여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20)에 나타나 있는 제2 바코드(b2)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cameras 130 , 131 to 13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econd barcode b2 displayed on the at least one product 20 placed in various directions on the inspection shelf 101 can be photograph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이때, 복수의 카메라(130, 131~13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130, 131~132)는 상기 수용공간(S)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수선반(101) 및/또는 상품트레이(102)의 저면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하부에 마련된 카메라(130, 131~132)를 통해 검수선반(101) 및/또는 상품트레이(102)의 저면에 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ameras 130, 131 to 132, as shown in FIG. 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cameras 130, 131 to 132)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and/or the product tray 10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inspection shelf 101 and/or the product tray 10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the cameras 130 and 131 to 132 provided below.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cure an image for the bottom surface.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30, 131~132)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제2 바코드(b2)를 추출하여 판독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extract and read the second barcode b2 included in the image by using at least one captur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s 130 and 131 to 132 .

카메라(130, 131~132)의 촬영영역이 검수선반(101)에 상응할 수 있으나, 카메라(130, 131~132)의 촬영영역이 검수선반(101)을 포함한 경우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검수선반(101)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자르고(crop), 잘라진 해당 영역 내에서 제2 바코드(b2)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s 130, 131 to 132 may correspond to the inspection shelf 101, but when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s 130, 131 to 132 includes the inspection shelf 101,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camera ( It is preferable to crop only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shelf 101 among the images captured by 130, 131 to 132, and to extract the second barcode b2 from within the cut area.

제어부(110)는 상품자동검수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품자동검수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품자동검수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상품자동검수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품자동검수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and execut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each component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and performs related operations. can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by processing signals or data input/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100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이미지처리를 하여, 촬영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코드(b2)를 추출하여 판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이 어떤 것인지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수량을 산출한 다음, 이렇게 제2 바코드(b2)를 이용하여 식별된 상품 및 그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정보, 즉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1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130 and 131 to 132 to extract and read at least one second barcode b2 from among the captured images. Accordingly, the product is identified as to which product i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is calculated, and the product and the quantity identified using the second barcode b2 in this way are the firs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arcode b1 is consistent with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이때, 제어부(110)는 제2 바코드(b2)에 따라 식별 및 산출된 상품 및 수량이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불일치하면,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화면출력하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소리 또는 음향으로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의 휴먼에러를 정정토록 경고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product and quantity identified an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b2 do not match the order product and the quantity ordered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the display unit 150 ), or by outputting a sound or sound through a speaker (not shown), it is possible to warn the operator to correct a human error.

물론, 작업자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는, 바코드스캐너(120)를 통해 판독된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지시서 상의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출력할 수 있고, 카메라(130, 131~132)를 통해 판독된 제2 바코드(b2)에 따른 검수선반(101) 상에 마련된 상품 및 그 수량을 출력하여, 그 일치여부를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read through the barcode scanner 120, and the camera By outputting the product and the quantity provid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b2 read through 130, 131 to 132,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matching screen.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도록, 상품자동검수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바코드스캐너(120), 카메라(130, 131~132) 및 제어부(110) 등)에 대하여 작동 전반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배터리(160)는 여기서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2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movable by an operator, so that each component (bar code) of the product 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nd a battery 160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necessary for the overall operation to the scanner 120 , the cameras 130 , 131 to 132 , and the control unit 110 , etc.), wherein the battery 160 is the battery is preferably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또한, 통신부(140)는 외부의 주문관리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통신방식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방식이나 이동통신방식, 또는 라디오주파수(RF)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order management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wired or wireles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wireless Internet method or mobile communication method, or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 Bluetooth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may be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Zigbee).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상품자동검수장치(100)를 제어 또는 구동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코드(b1) 및 이에 상응하는 주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store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or driving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and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first barcode b1 and corresponding order information can be saved.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RAM, PRAM 등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mainly use a non-volatile memory, where the non-volatile memory (NVM, NVRAM) is a storage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or example, a ROM (ROM). , a flash memory, a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 (eg, a hard disk, a diskette drive, a magnetic tape), an optical disk drive, magnetic RAM, PRAM, and the like.

도 1의 미설명부호 170은 제어부(110)에 대한 사용자입력장치로서, 일 예로 키보드 따위일 수 있으나, 제어부(110)가 작업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받기 위한 것이면 그 종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Reference numeral 170 not described in FIG. 1 is a user input device for the control unit 110 and may be, for example, a keyboard, but the type of the control unit 1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for receiving various inputs from a worker.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수선반에 결합된 구동장치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riving device, etc. coupled to the inspection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장치(100)는 검수선반(101)의 일측에 마련되어, 검수선반(101)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제1 캠장치(101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the inspection shelf 101 is repeatedly reciprocated along on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first cam device 1011 for moving.

제1 캠장치(1011)는 캠을 사용하여 모터 따위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한 회전운동을 검수선반(101)의 어느 한 수평방향을 따라 왕복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캠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경사판 캠, 원뿔 캠, 하트 캠, 홈 캠 등일 수 있다.The first cam device 1011 may use a cam to reciprocate rotational motion by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along any on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spection shelf 101 . At this time, the ca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n inclined plate cam, a conical cam, a heart cam, a groove cam, or the like.

제어부(110)는 제1 캠장치(1011)를 이용하여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한 상품(10)의 자세(pose)를 바꾸게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에 의한 촬영영상으로부터 먼저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가장자리(edge)만 추출하여 전체 상품 개수를 산출할 수 있고, 그 다음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제2 바코드(b2)만 식별 또는 판독할 수 있다. 만약 식별된 제2 바코드(b2)의 개수가 전체 상품 개수 미만인 경우, 즉 미식별된 상품이 존재하면 제1 캠장치(1011)를 구동할 수 있고, 제1 캠장치(1011)를 구동한 이후 재차 제2 바코드(b2)를 식별하여, 전제 상품 개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change the posture of at least on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by using the first cam device 1011 . The control unit 110 can calculate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by extracting only the edges of the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first from the images taken by the cameras 130 and 131 to 132, and then the inspection shelf Only the second barcode b2 of the products seated on 101 can be identified or read. If the number of identified second barcodes b2 is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that is, if unidentified products exist, the first cam device 1011 may be driven, and after the first cam device 1011 is driven By re-identifying the second barcode b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barcode b2 match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이때, 제1 캠장치(1011)의 구동 및 제2 바코드(b2) 식별과정은 기 설정된 횟수만큼(일 예로, 3번)만 반복하여 무한반복되지 않도록 하고, 미일치시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화면 및/또는 소리 등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riving of the first cam device 1011 and the second barcode b2 identification process are repeated only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3 times) so as not to be repeated indefinitely, and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in case of mismatch. and/or output as sound or the like.

한편,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10)의 안착면에 따라 제1 캠장치(1011)의 구동으로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10)의 자세가 바뀌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검수선반(101)의 상품안착면 또는 상기 상품트레이(102)의 상품안착면에는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검수선반(101)이 어느 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위에 안착된 상품(10)이 상기 돌기를 걸림턱으로 굴러 자세가 바뀌어 지도록 유도케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the posture of th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may not change due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am device 1011, ,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product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or the product seating surface of the product tray 102, and when the inspection shelf 101 moves in any one horizontal direction, it is on th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seated product 10 to change its posture by rolling the protrusion toward the locking jaw.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검수선반(101)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여, 검수선반(101)의 상기 일측을 승강시키기 위한 제2 캠장치(101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it may include a second cam device 1012 for elevating the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검수선반(101)는 제1 캠장치(1011)에 의해 어느 한 수평방향으로 왕복동할 수 있지만, 그 위에 안착된 상품(10)의 자세를 더욱 원활히 바꿀 수 있도록 제2 캠장치(1012)를 이용하여 검수선반(101)의 일 측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inspection shelf 101 can be reciprocated in either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irst cam device 1011, but the second cam device 1012 is used to more smoothly change the posture of the product 10 seated thereon. Thus,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can be raised and lowered.

제2 캠장치(1012) 마찬가디로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제1 및 제2 캠장치(1011, 1012)의 구동 조합으로 검수선반(101)을 수평으로 흔들거나 들썩이게 하여,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10)의 자세가 손쉽게 바뀌도록 할 수 있다.Similarly to the second cam device 1012, the type is not limited, and the inspection shelf 101 is horizontally shaken or shaken by the driving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 devices 1011 and 1012, so that the inspection shelf ( The posture of the product 10 seated on the 101) can be easily chang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지시서(20)는 바코드스캐너(120)에 의해 독출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상품검수시마다 매번 주문지시서(20)의 제1 바코드(b1)를 바코드스캐너(120)에 근접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order instruction 20 can be read by the barcode scanner 120, but every time the operator inspects the product, the first barcode b1 of the order instruction 20 is applied to the barcode scanner 120. There is a hassle to get clos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검수선반(10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주문지시서(20)가 안착된 경우,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를 이용하여 제1 바코드(b1)를 식별하고 판독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작업자는 검수선반(101) 상에 상품(10)을 안착시켜, 제어부(110)가 카메라(130, 131~132)를 이용하여 상품(10)의 제2 바코드(b2)를 식별 및 판독케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t least one order instruction 20 i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the control unit 110 using the cameras 130, 131 to 132 1 barcode (b1) can be identified and read, and then the operator places the product 10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the control unit 110 uses the cameras 130, 131 to 132 to control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read the second barcode (b2) of (10).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수선반(101) 상에는 복수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Using th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a plurality of areas may be form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

검수선반(101)은 안착면의 위에 그려진 구획선(l)을 기준으로 영역이 분할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에 의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각 영역별로 안착된 주문지시서(21, 22) 상의 제1 바코드(b11, b12)를 동시에 따로 식별 및 판독할 수 있다.The inspection shelf 101 can be divided into areas based on the dividing line l drawn o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orders seated for each area from the images acquired by the cameras 130 and 131 to 132. The first barcodes b11 and b12 on the instructions 21 and 22 can be identified and read separately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검수선반(101)의 안착면은 구획선(l)을 기준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영역은 사각형 등 다각형의 경계선으로 설정되거나, 안착면 위에 칠하여진 색상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를 이용하여 식별된 구획선(l)으로 나뉘어진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거나, 식별된 다각형 경계선에 의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거나, 식별된 색상에 의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may be divided based on the dividing line 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ea is set as a boundary line of a polygon such as a rectangle, or a color painted on the seating surface. can be That is, the controller 110 sets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by the identified dividing line l using the cameras 130 , 131 to 132 , sets a plurality of regions by an identified polygonal boundary line, or an identified color A plurality of areas can be set by

다음으로, 작업자는 검수선반(101) 상에 상기 설정된 영역별로 상품그룹(또는 상품군(群))을 안착(도 5(b) 참조)시킨 후, 입력장치(170)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어부(110)는 카메라(130, 131~132)에 의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 영상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별 상품그룹마다 각 상품(11 / 12a,12b)의 제2 바코드(b21 / b22a, b22b)를 식별 및 판독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선(l)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b21)와 구획선(l)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b22a, b22b)를 동시에 구분하여 식별 및 판독할 수 있다.Next, the operator seats the product group (or product group) by the set area on the inspection shelf 101 (refer to FIG. 5(b)), and the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70, the control unit 110 acquires an image by the camera 130, 131 to 132, and from the acquired image, the second barcode (b21 / b22a, b22b) of each product 11 / 12a, 12b for each product group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set above ) can be identified and rea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barcode b21 of the product seated in the left area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line l and the second barcode b22a of the product seated in the right area based on the dividing line l. , b22b) can be identified and read at the same time.

그 결과, 제어부(110)는 검수선반(101) 상에 구획 설정된 각 영역별로, 식별 및 판독된 주문지시서(21, 22) 상의 제1 바코드(b11, b12)에 따른 주문정보와, 각 영역별로 안착된 상품들(11 / 12a, 12b)의 제2 바코드(b21 / b22a, b22b)에 따라 산출된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비교하고,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불일치시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화면이나 소리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s b11 and b12 on the identified and read order instructions 21 and 22 for each area partition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for each area.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ordered products and the order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s b21 / b22a, b22b of the settled products 11 / 12a, 12b, and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discrepancy, an alarm signal may be generated and output as a screen or soun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획선(l), 다각형의 경계선, 색상면 등은 검수선반(101)의 안착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품트레이(102)의 안착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ing line (l), the boundary line of the polygon, the color plane, etc.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it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상품자동검수방법Product automatic inspection metho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방법은, 바코드스캐너(120)가 주문지시서(20)에 인쇄된 제1 바코드(b1)를 스캔하는 단계(S110)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30, 131~132)가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10)에 대한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와, 제어부(110)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코드(b2)를 추출 및 판독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10)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S130)와, 제어부(110)가 상기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S110) of the barcode scanner 120 scanning the first barcode b1 printed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 a step (S120) of at least one camera (130, 131-132)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10)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to obtain an image, and the control unit (110) Extracting and reading at least one second barcode b2 included in the image, identifying the product 10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and calculating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S13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include a step (S1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product and quantity coincide with the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주문지시서(20)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이 검수선반(101) 상에 마련된 상품(10)들과 일치하는지 자동으로 확인하여,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휴먼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heck whether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match the products 10 provid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minimizing human err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2 바코드(b2)를 이용하여 인식된 상품과 그에 따라 산출한 수량이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불일치하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uses the second barcode (b2) when the recognized product and the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ly are inconsistent with the ordered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 alarm signal (S150).

물론, 이와 반대로, 제2 바코드(b2)를 이용하여 인식된 상품과 그에 따라 산출한 수량이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면, 일치함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한 화면 출력이나, 스피커 등을 통한 소리 출력 등을 할 수 있다(S160).Of course, on the contrary, if the product recognized using the second barcode b2 and the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 to it match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display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coincidence A screen output through the unit 150, a sound output through a speaker, etc. may be performed (S160).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지시서(20) 상의 상기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의 수량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상품검수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50 outputs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20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on the screen, and correspondingly outputs the quantity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The operator can check the product inspection process in real time.

다만, 도 6에 도시한 각 단계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상품자동검수방법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ince each step shown in FIG. 6 is not essential,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having more steps or fewer steps may be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스캐너(120)가 제1 바코드(b1)를 스캔한 이후, 제어부(11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스캔한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부(110)는 주문의 유효여부를 확인하거나 주문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arcode scanner 120 scans the first barcode b1 , the controller 110 uses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display the scanned first barcode b1 .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not shown) of receiving an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order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which the control unit 110 can check whether the order is valid or whether the order is changed. .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주문관리서버(200)를 이용하지 않고, 제1 바코드(b1) 자체에 담긴 정보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may us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irst barcode b1 itself o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out using the order management server 200 .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식별 상품 존재시 상품자동검수장치의 동작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7 is a flowchart for each operation step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when an unidentified product exis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전체 상품을 인식하고 그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S210)와, 제어부(110)는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제2 바코드(b2)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단계(S220)와, 제어부(110)는 검수선반(101) 상에 미식별된 상품이 존재하면 검수선반(101)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캠장치(1011)를 구동하여, 검수선반(101)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는 단계(S230)와, 제어부(110)는 재차 검수선반(101) 상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b2)를 식별 및 판독하여, 상기 전체 상품 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recognizes all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calculates the number (S210), and the control unit 110 ) is a step (S220) of identifying and reading the second barcode (b2) of the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the control unit 110 checks if there is an unidentified product on the inspection shelf 101 By driving the first cam device 10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elf 101, repeatedly reciprocating the inspection shelf 101 along any one horizontal direction (S230), and the control unit 110 is inspected agai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and reading the second barcode b2 of the product seated on the shelf 101, and determining whether it match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이때,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S230 단계는, 제어부(110)가 검수선반(101)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여, 검수선반(101)의 일측을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제2 캠장치(1012)를 제1 캠장치(1011)와 조합하여 구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step S230, the control unit 11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and a second cam device 1012 for moving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upward. ) can be driven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cam device 1011 .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주문지시서를 판독하고 그에 따라 복수 그룹의 상품들을 검수할 수 있는 상품자동검수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8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n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capable of reading a plurality of order instructions and inspecting a plurality of groups of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검수선반(101)을 안착면 상에 그려진 구획선(l)을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w주문지시서(20)의 제1 바코드(b1)를 동시에 각각 식별 및 판독하는 단계(S310)와, 제어부(110)는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품그룹별 상품의 제2 바코드(b2)를 식별 및 판독하는 단계(S320)와, 제어부(110)는 상기 분할된 영역별 상기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제2 바코드(b2)에 따라 식별 및 판독된 상품 및 상품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110 divides the area based on the dividing line l drawn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101, but a plurality of w order instructions 20 seated for each divided area. ) of simultaneously identifying and reading the first barcodes b1 ( S310 ), and the control unit 110 identifies and reads the second barcodes b2 of products for each product group seat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step (S320), and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number of products and products identified and read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and the number of products and products identified and rea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b2 for each divided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이때,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제2 바코드(b2)에 따라 식별 및 판독된 상품 및 상품의 수량이 불일치하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ordered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and the quantity of products and products identified and rea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b2 do not match, generating an alarm signal (S340). can

물론, 이와 반대로, 제2 바코드(b2)를 이용하여 인식된 상품과 그에 따라 산출한 수량이 제1 바코드(b1)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면, 일치함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한 화면 출력이나, 스피커 등을 통한 소리 출력 등을 할 수 있다(S350).Of course, on the contrary, if the product recognized using the second barcode b2 and the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 to it match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b1, display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coincidence Screen output through the unit 150, sound output through a speaker, etc. may be performed (S350).

상기 상품자동검수방법 또는 상기 상품자동검수장치의 동작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별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included in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o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overlaps with the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will be replaced therewith.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검수방법 또는 상품자동검수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o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e.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DVD, an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상품 20: 주문지시서
100: 상품자동검수장치 101: 검수선반
1011: 제1 캠장치 1012: 제2 캠장치
102: 상품트레이 110: 제어부
120: 바코드스캐너 130, 131~132: 카메라
1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배터리 170: 입력장치
180: 에어노즐 200: 주문관리서버
b1: 제1 바코드 b2: 제2 바코드
10: Product 20: Order Instruction
100: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101: inspection shelf
1011: first cam device 1012: second cam device
102: product tray 110: control unit
120: barcode scanner 130, 131 to 132: camera
140: communication unit 150: display unit
160: battery 170: input device
180: air nozzle 200: order management server
b1: first barcode b2: second barcode

Claims (7)

바코드스캐너가, 주문지시서에 인쇄된 제1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촬영을 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코드를 추출 및 판독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A barcode scanner, scanning the first barcode printed on the order instruction;
at least one camera, acquir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t least one product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extracting and reading, by the controller, at least one second barcode included in the image, identifying a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and calculating the quantity of the identified product;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the calculated product and quantity match the order product and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 - 외부의 주문관리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됨 - 를 이용하여, 스캔한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상기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상기 주문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주문의 유효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주문의 변경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scanned first barcode from the order management server using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order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th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heck whether the order is valid or whether the order is 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라 산출된 상품과 수량이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불일치하면,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an alarm signal when the product and quantit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do not match the product ordered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and the order quantity;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상기 주문지시서 상의 상기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른 상품의 수량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utputting, by the display unit, the order product and the order quantity on the order instruction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on a screen, and correspondingly outputting the quantity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전체 상품 개수를 인식하고 그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들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미식별된 상품이 존재하면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캠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검수선반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재차 상기 검수선반 상에 안착된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전체 상품 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and calculating the number;
The control unit, the step of identifying and reading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s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The control unit, if there is an unidentified product, by driving the first cam dev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repeatedly moving the inspection shelf in any one horizontal direction;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the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seated on the inspection shelf matches the total number of products;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device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캠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검수선반을 수평의 어느 일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왕복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검수선반의 일측을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제2 캠장치와, 상기 제1 캠장치를 조합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first cam device to repeatedly reciprocate the inspection shelf along any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s,
Product automatic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and drives a second cam device for upwardly moving one side of the inspection shelf and the first cam device in combination inspec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수선반을 안착면 상에 그려진 구획선을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하되,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기 주문지시서의 제1 바코드를 동시에 각각 식별 및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별로 안착된 복수의 상품그룹별 상기 상품의 제2 바코드를 식별 및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영역별 상기 제1 바코드에 따른 주문상품 및 주문수량과 상기 제2 바코드에 따라 식별 및 판독된 상품 및 상품의 수량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상품자동검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area based on the dividing line drawn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spection shelf, and simultaneously identifying and reading the first barcodes of the plurality of order instructions seated for each divided area;
identifying and reading, by the control unit, a second barcode of the product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duct groups seat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the ordered products and the order quantity according to the first barcode for each divided area coincide with the number of products and products identified and read according to the second barcode;
Automatic product inspection method using imag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040261A 2020-04-02 2020-04-02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KR102515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61A KR102515258B1 (en) 2020-04-02 2020-04-02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61A KR102515258B1 (en) 2020-04-02 2020-04-02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51A true KR20210123051A (en) 2021-10-13
KR102515258B1 KR102515258B1 (en) 2023-03-29

Family

ID=7811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61A KR102515258B1 (en) 2020-04-02 2020-04-02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25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9630A (en) * 2023-01-14 2023-04-28 大参林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Commodity sorting rechecking system
CN116090928A (en) * 2023-01-14 2023-05-09 大参林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Logistics sor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equipment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6205549A (en) * 2023-01-14 2023-06-02 大参林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Commodity recheck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visual recogni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151720A (en)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에이앤 Method for inspecting releasing produ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504A (en) * 2009-05-26 2010-12-06 이기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KR20110058523A (en) 2009-11-26 2011-06-0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Digital picking system comprising rfid
KR20130124121A (en) * 2012-05-04 2013-11-13 주식회사 유투오코리아 Barcode location-based delivery management method in conjunction with smart device and factory management server
KR101366556B1 (en) 2011-11-22 2014-02-2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System for inspecting delivery of goods from warehouse using RFID and bar co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504A (en) * 2009-05-26 2010-12-06 이기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on-line shopping mall order commodities
KR20110058523A (en) 2009-11-26 2011-06-0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Digital picking system comprising rfid
KR101366556B1 (en) 2011-11-22 2014-02-25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System for inspecting delivery of goods from warehouse using RFID and bar code
KR20130124121A (en) * 2012-05-04 2013-11-13 주식회사 유투오코리아 Barcode location-based delivery management method in conjunction with smart device and factory management serv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720A (en)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에이앤 Method for inspecting releasing products
CN116029630A (en) * 2023-01-14 2023-04-28 大参林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Commodity sorting rechecking system
CN116090928A (en) * 2023-01-14 2023-05-09 大参林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Logistics sor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equipment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6205549A (en) * 2023-01-14 2023-06-02 大参林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Commodity recheck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visual recogni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258B1 (en)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3051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US11708217B2 (en) Relay-type goods picking system and method
US11420329B2 (e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cessing of a variety of objects
US9505554B1 (en) Capturing packaging image via scanner
US11416814B1 (en) Bin content verification
US9171278B1 (en) Item illumination based on image recognition
US10360770B2 (en) Order re-check system
US20220292563A1 (en) Mass customization system
US9120621B1 (en) Verifying bin content in an automated materials handling facility
EP3518149A1 (en) Feedback loop for image-based recognition
WO2019075911A1 (en) Merchandise sort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US2019002585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ordinate movement of automated vehicles and freight dimensioning components
KR10251525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products using video information
US2023028155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canting inventory products from cases at a retail facility
US20220327777A1 (en) System that fits a parameterized three-dimensional shape to multiple two-dimensional images
CN109522932B (en) Intelligent positioning management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for medicines in medicine cabinet
CN114253253A (en) Targe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US20200363439A1 (en) Image-based deck verification
US20220044192A1 (en) Managing automated guidance and validation of stacking items to handling units
KR102114364B1 (en) Shipment appropriateness inspection method in shipment standby rack apparatus, shipment standby rack apparatus using said method, and shipment appropriateness inspection system
EP38537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objects in a material handling system
JP2021070550A (en) Picking assist system and picking assist method
CN111861291A (en) Warehousing method and warehousing system
KR102553304B1 (en) Logistics inspection server based on deep learning vision learning mode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8097622A (en) Che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