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10A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10A
KR20210120310A KR1020200036863A KR20200036863A KR20210120310A KR 20210120310 A KR20210120310 A KR 20210120310A KR 1020200036863 A KR1020200036863 A KR 1020200036863A KR 20200036863 A KR20200036863 A KR 20200036863A KR 20210120310 A KR20210120310 A KR 2021012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overcondensation
temperature
refrigerat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주완
이인섭
차상열
배성주
배현우
이정훈
최한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310A/ko
Priority to PCT/KR2021/001651 priority patent/WO2021194085A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10A/ko
Priority to US17/949,588 priority patent/US2023001374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7Condense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1Fan speed control of condense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각 저장실에 마련된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감지하고, 응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의 저장실; 서로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발기; 상기 복수의 증발기를 통하여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방열팬; 상기 복수의 증발기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증발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고,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 음료 등과 같이 저장물을 부패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며, 냉장고는 통상 저장물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과 저장물을 냉동 저장하는 냉장실이 마련된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매의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각 사이클을 반복 수행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설정된 목표 온도로 유지시킨다. 즉, 냉장고는 각 저장실의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각 저장실에 대응되어 마련된 증발기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각 저장실 내로 공급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응축기 측으로 액상 냉매가 몰려 순환되는 냉매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발기로의 액상 냉매 공급이 지연되어 냉각 성능이 저하되거나 냉각이 지연되어 저장실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각 저장실에 마련된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감지하고, 응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의 저장실; 서로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발기; 상기 복수의 증발기를 통하여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방열팬; 상기 복수의 증발기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증발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고,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방열팬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장실에 대응하는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1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동실에 대응하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으로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의 고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고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 서로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발기, 상기 복수의 증발기를 통하여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방열팬 및 상기 복수의 증발기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증발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고;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방열팬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장실에 대응하는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1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동실에 대응하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으로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외기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의 고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고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압축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각 저장실에 마련된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감지하고, 응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각 저장실에서의 냉각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냉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온도 센서의 출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과응축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 중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저감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 중 응축기에서의 과응축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냉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저장물을 저장하는 저장실(11), 저장실(11)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10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 장치(100)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미도시)가 마련되고, 본체(10)의 하부에는 냉각 장치(100)의 일부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된다.
본체(10)에는 저장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저장실(11)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저장실(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격벽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구획되어 저장물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에 해당하는 제1 저장실(11a)과 저장물을 냉동 저장하는 냉동실에 해당하는 제2 저장실(11b)로 구분되며, 제1 저장실(11a)과 제2 저장실(11b)은 전면이 개구되어 있다.
다만, 저장실(1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 이상의 저장실(11)이 격벽으로 구분되어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저장실(11)의 목표 온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저장실(11a, 11b)이 본체(10)에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저장실(11) 각각에는, 송풍팬(13)이 마련될 수 있으며, 송풍팬(13)은, 본체(10) 내부의 덕트와 저장실(11) 사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즉, 송풍팬(13)은, 덕트에 마련된 증발기(180)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11)로 공급하고 저장실(11)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증발기(180)가 마련된 덕트로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3)은, 제1 저장실(11a)에 대응되어 마련되어 제1 저장실(11a)에 마련된 덕트와 제1 저장실(11a) 사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송풍팬(13a) 및 제2 저장실(11b)에 대응되어 마련되어 제2 저장실(11b)에 마련된 덕트와 제2 저장실(11b) 사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송풍팬(1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저장실(11)에는 저장실(11)의 온도를 감지하는 고내 온도 센서(130)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고내 온도 센서(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실(11a)에 마련되어 제1 저장실(11a)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1 저장실(11a)의 온도를 후술할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고내 온도 센서(130a)와 제2 저장실(11b)에 마련되어 제2 저장실(11b)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2 저장실(11b)의 온도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2 고내 온도 센서(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내 온도 센서(13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11)을 외기와 차폐시키는 도어(1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에는 제1 저장실(11a)을 외기와 차폐시키는 제1 도어(12a) 및 제2 저장실(11b)을 외기와 차폐시키는 제2 도어(12b)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2)에는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 장치(100)는, 압축기(150), 응축기(160), 방열팬(170), 증발기(180) 및 팽창 밸브(19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50)는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14)에 설치되고 외기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증발기(180)에 의하여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60)로 압송한다.
압축기(150)의 모터(미도시)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전류를 제공받아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모터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은 압축기(150)의 피스톤(미도시)에 의하여 직선 운동력으로 전환되고 피스톤의 직선 운동력을 통하여 기상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압축기(150)의 모터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을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회전날개로 전달하고, 회전날개와 압축기(150)의 용기(미도시) 사이의 스틱 슬립(stick-slip) 현상을 이용하여 기상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150)의 모터는 유도식 AC 서보 모터, 동기식 AC 서보 모터,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압축기(150)에 의한 압력을 통하여 냉매는 응축기(160), 팽창 밸브(190) 및 증발기(180)를 순환할 수 있다. 즉, 압축기(150)는 저장실(11)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100)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냉각 장치(100)가 구동된다는 것은 압축기(150)가 구동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응축기(160)는 본체(10)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14)에 설치되거나 본체(10)의 외기 구체적으로 냉장고(1)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50)에 의하여 압축된 기상 냉매는 응축기(160)를 통과하며 응축되어 기상에서 액상으로 상태가 변화된다. 냉매는 응축되는 과정에서 잠열(latent heat)을 응축기(160)로 방출한다. 냉매의 잠열이란 끓는점까지 냉각된 기상 냉매가 동일한 온도의 액상 냉매로 상태 변화하며 외기로 방출하는 열에너지를 의미한다. 또한 끓는점까지 가열된 액상 냉매가 동일한 온도의 기상 냉매로 상태 변화하며 외기로부터 흡수하는 열에너지 역시 잠열이라 한다.
이와 같이 냉매가 방출하는 잠열로 인하여 응축기(160)는 그 온도가 높아지므로 응축기(160)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열팬(170)이 마련된다. 즉, 냉장고(1)는, 응축기(160)의 일 측에 방열팬(170)을 마련할 수 있다.
응축기(160)를 통하여 응축된 냉매는, 증발기(18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160)를 통하여 응축된 냉매는, 제1 저장실(11a)을 냉각시키는 제1 증발기(180a)와 제2 저장실(11b)을 냉각시키는 제2 증발기(180b)를 모두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응축기(160)를 통하여 응측된 냉매는 팽창 밸브(190)에 의하여 그 압력이 낮아진다. 즉, 팽창 밸브(190)는 고압의 액상 냉매를 교축(throttling)하여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한다. 교축이란 유체가 노즐이나 오리피스와 같이 좁은 유로를 통과하면 외기와의 열교환 없이도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팽창 밸브(190)는 냉매가 증발기(180)에서 충분한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180)에 제공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팽창 밸브(190)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하여 그 개폐 및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팽창 밸브(190)는,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증발기(180)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창 밸브(190)는, 제1 증발기(180a)의 전단에 위치하는 제1 팽창 밸브(190a) 및 제2 증발기(180b)의 전단에 위치하는 제2 팽창 밸브(190b)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된 덕트에 마련되어 팽창 밸브(190)에 의하여 감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증발시킨다. 액상 냉매는 증발되는 과정에서 증발기(180)로부터 잠열을 흡수한다. 증발기(180)는 냉매에게 열에너지를 빼앗겨 냉각되고, 증발기(180) 주위의 공기는 냉각된 증발기(180)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 때, 증발기(180)는, 복수의 저장실(11)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발기(180a, 180b)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증발기(180)는, 저장실(1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180)는, 제1 저장실(11a)에 마련되어 제1 저장실(11a)을 냉각하는 제1 증발기(180a)와, 제2 저장실(11b)에 마련되어 제2 저장실(11b)을 냉각하는 제2 증발기(18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증발기(180a) 및 제2 증발기(180b)는 서로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응축기(160)를 통하여 응축된 냉매는, 제1 증발기(180a)를 통과하여 제2 증발기(180b)로 전달될 수 있다.
증발기(180)에 의하여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상술한 압축기(150)로 제공되어 냉각 사이클이 반복된다. 즉, 냉매는, 압축기(150), 응축기(160) 및 증발기(180)를 차례로 통과하여 순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실(11)을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 사이클에서 순환되는 냉매량이 감소한다면, 증발기(180)에서 증발되어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할 액상 냉매가 부족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저장실(11)의 냉각이 지연되거나 그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축기(160)는, 기계실(14)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도어(12)의 잦은 개폐로 증발기(180)에서의 열교환량이 증가하는 경우 기상 냉매를 정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이 응축할 수 있다. 즉, 기계실(14)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도어(12)의 잦은 개폐로 증발기(180)에서의 열교환량이 증가하는 경우 냉매와 열교환 대상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하여 냉매가 정상적인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이 응축되는 과응축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냉각 사이클에서 순환되는 냉매량이 감소하여 증발기(180)로 공급되는 액상 냉매가 부족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증발기(180)에서의 열교환이 지연되어 저장실(11)로의 냉기 공급이 지연될 수 있다.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응축기(160) 측에서의 액상 냉매는, 정상 조건에 비하여 많아질 수 있다. 즉, 응축기(160)의 입구(ⓐ) 및 복수의 증발기(180)로 진입하기 이전의 지점(ⓑ) 사이에서의 액상 냉매의 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조건 보다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과응축 조건에서 더 많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증발기(180) 측에서의 액상 냉매는, 정상 조건에 비하여 적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증발기(180)로 진입하는 지점(ⓒ) 및 복수의 증발기(180)로부터 배출되는 지점(ⓓ) 사이에서의 액상 냉매의 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조건 보다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과응축 조건에서 더 적을 수 있다.
즉, 냉장고(1)에 충전된 냉매의 양은 일정하므로, 응축기(160) 측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여 응축기(160) 측에서의 액상 냉매가 많아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증발기(180) 측에서의 액상 냉매가 부족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180b)에서는 열교환을 위해 증발시킬 액상 냉매가 부족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저장실(예: 11b)에서의 냉각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과응축 해소를 위하여 응축기(160)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팬(1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증발기(180) 각각의 일 측에는 복수의 증발기(180)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증발기 온도 센서(110)가 마련된다. 이 때, 증발기 온도 센서(110)는, 제상을 위하여 마련되는 제상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 온도 센서(110)는, 제1 증발기(180a)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증발기 온도 센서(110a) 및 제2 증발기(180b)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증발기 온도 센서(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 온도 센서(11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외벽에는 냉장고(1)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 센서(미도시)가 마련된다. 외기 온도 센서는 지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설치되며, 냉장고(1)의 상측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기 온도 센서(13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1)의 제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특히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판단하는 것과 과응축을 저감시키기 위해 방열팬(170)을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증발기(18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증발기 온도 센서(110)와, 냉장고(1) 외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외기 온도 센서(120)와, 저장실(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고내 온도 센서(130)와,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판단하고, 과응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방열팬(170)을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압축기(150)와, 응축기(160)와, 방열팬(170)과, 증발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증발기 온도 센서(110), 외기 온도 센서(120), 고내 온도 센서(130), 압축기(150), 응축기(160), 방열팬(170) 및 증발기(180)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냉장고(1)의 동작을 총괄하며, 제어부(140)는 냉장고(1)가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냉장고(1)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제어부(140)의 동작은 크게 저장실(11)을 냉각시키는 냉각동작 및 응축기(160)의 과응축을 판단하여 이를 저감하는 과응축 대응 동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고내 온도 센서(1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150), 응축기(160), 증발기(180) 및 송풍팬(13)을 가동시킴으로써 저장실(11)을 목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고내 온도 센서(1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저장실(11) 고내 온도를 목표 온도와 비교하고, 저장실(11) 고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150), 응축기(160) 및 증발기(180)를 가동시킴으로써, 냉각 사이클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에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2 증발기(180b)의 온도에서 제1 증발기(180a)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예: 15℃)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측에서의 액상 냉매 공급이 부족해지며, 이에 따라, 증발기(180)에서의 냉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복수의 증발기(18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할수록 냉각 성능이 정상 조건에 비하여 더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냉동실 측의 증발기)의 온도가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냉장실 측의 증발기)의 온도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에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방열팬(17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방열팬(170)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상 조건에 비하여 방열팬(170)이 오프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방열팬(170)이 온이 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방열팬(170)은, 냉매가 방출하는 잠열로 인하여 온도가 높아진 응축기(16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가동될 수 있다. 다만, 기계실(14)의 온도가 낮아지거나(외기 온도 하강), 도어(12)의 잦은 개폐로 증발기(180)에서의 열교환량이 증가하여(냉매 온도 상승), 냉매와 열교환 대상(예: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한 상황에서, 방열팬(170)이 지속적으로 가동된다면, 냉매와 열교환 대상 사이의 온도차가 더 심화되어,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방열팬(170)을 간헐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방열팬(170)이 지속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기준 시간, 외기 온도, 고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으로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한 이후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다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외기 온도 센서(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냉장고(1) 외기 온도가 기준 외기 온도(예: 27℃) 이하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응축기(160)는, 기계실(14)이나 본체(10)의 외기 구체적으로 냉장고(1)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어,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때, 외기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냉매와 열방출 대상(예: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하여 냉매가 응축기(160)에서 정상 조건에 비하여 더 많이 응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외기 온도를 과응축 판단의 트리거(trigger)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주기적으로 과응축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후술하는 고내 온도를 더 고려하여 과응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에 기초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냉장실에 해당하는 제1 저장실(11a)과 냉동실에 해당하는 제2 저장실(11b)로 복수의 저장실(11)이 구성되는 경우, 제2 저장실(11b)을 기준 저장실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저장실(11b)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고내 온도(예: -10℃) 이상이면 과응축 발생 판단을 위한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즉,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증발기(180a) 및 제2 증발기(180b)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제2 증발기(180b)에서의 냉각 성능 저하가 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제2 증발기(180b)에 대응하는 제2 저장실(11b)에서의 고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예상하고, 실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압축기(150)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 2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압축기(150)가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저장실(11)에서의 고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을 판단하여야 할 정도 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를 기준 고내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고내 온도를 고려하여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할 수 도 있다.
제어부(140)는 전술하는 동작 또는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온도 센서(110)의 출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에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증발기(180b)의 온도에서 제1 증발기(180a)의 온도를 뺀 값(ΔT)이 미리 설정된 값(예: 15℃)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측에서의 액상 냉매 공급이 부족해지며, 이에 따라, 증발기(180)에서의 냉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복수의 증발기(18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할수록 냉각 성능이 정상 조건에 비하여 더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냉동실 측의 증발기)의 온도가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냉장실 측의 증발기)의 온도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에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에 해당하는 제1 저장실(11a)에 대응하는 제1 증발기(180a)의 온도 및 냉동실에 해당하는 제2 저장실(11b)에 대응하는 제2 증발기(180b)의 온도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조건에서 각각 -15℃ 및 -30℃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증발기(180a) 및 제2 증발기(180b) 사이의 온도차(ΔT)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제2 증발기(180b)의 온도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냉각 성능 저하로 인해 정상 조건과 비교하여 증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증발기(180)의 직렬 배열에서 말단에 위치함에 따라 액상 냉매 부족이 가장 심하여, 제1 증발기(180a)의 온도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증발기(180b)의 온도에서 제1 증발기(180a)의 온도를 뺀 값은 양수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제2 증발기(180b)의 온도에서 제1 증발기(180a)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예: 15℃) 이상이 되는 경우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팬(17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방열팬(170)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방열팬(170)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상 조건에 비하여 방열팬(170)이 오프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방열팬(170)이 온이 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즉, 방열팬(170)은, 응축기(160)가 과응축 조건에 있는 경우, 응축기(160)가 정상 조건일 때의 정상 동작과 비교하여, 오프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온이 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방열팬(170)은, 냉매가 방출하는 잠열로 인하여 온도가 높아진 응축기(16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가동될 수 있다. 다만, 기계실(14)의 온도가 낮아지거나(외기 온도 하강), 도어(12)의 잦은 개폐로 증발기(180)에서의 열교환량이 증가하여(냉매 온도 상승), 냉매와 열교환 대상(예: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한 상황에서, 방열팬(170)이 지속적으로 가동된다면, 냉매와 열교환 대상 사이의 온도차가 더 심화되어,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방열팬(170)을 간헐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방열팬(170)이 지속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가 과응축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기준 시간, 외기 온도, 고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으로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한 이후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다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외기 온도 센서(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냉장고(1) 외기 온도가 기준 외기 온도(예: 27℃) 이하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응축기(160)는, 기계실(14)이나 본체(10)의 외기 구체적으로 냉장고(1)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어,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때, 외기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냉매와 열방출 대상(예: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하여 냉매가 응축기(160)에서 정상 조건에 비하여 더 많이 응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외기 온도를 과응축 판단의 트리거(trigger)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주기적으로 과응축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고내 온도를 더 고려하여 과응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에 기초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냉장실에 해당하는 제1 저장실(11a)과 냉동실에 해당하는 제2 저장실(11b)로 복수의 저장실(11)이 구성되는 경우, 제2 저장실(11b)을 기준 저장실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저장실(11b)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고내 온도(예: -10℃) 이상이면 과응축 발생 판단을 위한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즉,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증발기(180a) 및 제2 증발기(180b)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제2 증발기(180b)에서의 냉각 성능 저하가 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제2 증발기(180b)에 대응하는 제2 저장실(11b)에서의 고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예상하고, 실제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압축기(150)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 2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압축기(150)가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저장실(11)에서의 고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을 판단하여야 할 정도 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를 기준 고내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고내 온도를 고려하여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할 수 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외기 온도 및 고내 온도 모두를 조건으로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외기 온도가 기준 외기 온도(예: 27℃) 이하이면서 기준 저장실의 고내 온도가 기준 고내 온도(예: -10℃) 이상인 경우에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냉장고(1)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 방법 중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저감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710의 예), 방열팬(170)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720).
즉,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에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2 증발기(180b)의 온도에서 제1 증발기(180a)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예: 15℃) 이상이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측에서의 액상 냉매 공급이 부족해지며, 이에 따라, 증발기(180)에서의 냉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복수의 증발기(18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할수록 냉각 성능이 정상 조건에 비하여 더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냉동실 측의 증발기)의 온도가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예: 냉장실 측의 증발기)의 온도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에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온도를 뺀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냉장고(1)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방열팬(170)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상 조건에 비하여 방열팬(170)이 오프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방열팬(170)이 온이 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방열팬(170)은, 냉매가 방출하는 잠열로 인하여 온도가 높아진 응축기(16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가동될 수 있다. 다만, 기계실(14)의 온도가 낮아지거나(외기 온도 하강), 도어(12)의 잦은 개폐로 증발기(180)에서의 열교환량이 증가하여(냉매 온도 상승), 냉매와 열교환 대상(예: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한 상황에서, 방열팬(170)이 지속적으로 가동된다면, 냉매와 열교환 대상 사이의 온도차가 더 심화되어,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응축기(160)에서 과응축이 발생하는 경우 방열팬(170)을 간헐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방열팬(170)이 지속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 방법 중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기 온도가 기준 외기 온도 이하이고(810의 예), 압축기(15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 동작하고(820의 예), 기준 저장실의 고내 온도가 기준 고내 온도 이상인 경우(830의 예), 복수의 증발기(180) 사이의 온도차를 결정할 수 있으며(840), 결정된 온도차에 기초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850).
즉, 냉장고(1)는, 외기 온도 및 고내 온도 모두를 고려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응축기(160)는, 기계실(14)이나 본체(10)의 외기 구체적으로 냉장고(1)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어,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때, 외기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냉매와 열방출 대상(예: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증가하여 냉매가 응축기(160)에서 정상 조건에 비하여 더 많이 응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증발기(180)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는,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시 액상 냉매의 부족으로 인한 냉각 성능 저하로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냉장고(1)는, 외기 온도 및 고내 온도를 고려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냉장고(1)는, 압축기(150)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 2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냉장고(1)는, 압축기(150)가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저장실(11)에서의 고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을 판단하여야 할 정도 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를 기준 고내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다만, 냉장고(1)는, 실시예에 따라, 외기 온도 및 고내 온도에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도 있으며, 외기 온도 또는 고내 온도 중 어느 하나만을 고려하여 응축기(160)에서의 과응축 발생 여부 판단을 개시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냉장고 10: 본체
11: 저장실 12: 도어
13: 송풍팬 100: 냉각 장치
110: 증발기 온도 센서 120: 외기 온도 센서
130: 고내 온도 센서 140: 제어부
150: 압축기 160: 응축기
170: 방열팬 180: 증발기
190: 팽창 밸브

Claims (20)

  1. 복수의 저장실;
    서로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발기;
    상기 복수의 증발기를 통하여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방열팬;
    상기 복수의 증발기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증발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고,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방열팬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장실에 대응하는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1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동실에 대응하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으로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의 고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고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하는 냉장고.
  11. 복수의 저장실, 서로 직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발기, 상기 복수의 증발기를 통하여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방열팬 및 상기 복수의 증발기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증발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고;
    과응축의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방열팬의 오프 시간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장실에 대응하는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1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고, 상기 냉동실에 대응하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의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으로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외기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의 고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고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냉매의 흐름을 기준으로 말단에 위치하는 기준 증발기에 대응하는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응축기에서의 과응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개시할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응축기에서 과응축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 운전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저장실에서의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200036863A 2020-03-26 2020-03-2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0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63A KR20210120310A (ko) 2020-03-26 2020-03-2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01651 WO2021194085A1 (ko) 2020-03-26 2021-02-08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7/949,588 US20230013745A1 (en) 2020-03-26 2022-09-2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63A KR20210120310A (ko) 2020-03-26 2020-03-2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10A true KR20210120310A (ko) 2021-10-07

Family

ID=7789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863A KR20210120310A (ko) 2020-03-26 2020-03-26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13745A1 (ko)
KR (1) KR20210120310A (ko)
WO (1) WO20211940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504A (ja) * 1997-03-25 1998-10-09 Toshiba Corp 冷蔵庫
JP3576092B2 (ja) * 2000-11-10 2004-10-13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07064597A (ja) * 2005-09-02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US20080178621A1 (en) * 2007-01-26 200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4486B1 (ko) * 2013-11-04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3745A1 (en) 2023-01-19
WO2021194085A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2397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6727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JPH08219616A (ja) 冷蔵庫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1885547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ld air supply mea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US11226145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based on temperature of storage compartment
US1190624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48800B1 (ko) 독립된 실내 온도 제어 기능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AU202220048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0740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435205B1 (ko) 냉장고의 제어장치
KR10261727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12031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181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76178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6384042B2 (ja) 冷蔵システム
KR20070072847A (ko) 냉장고
KR2021002786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EP362373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8926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6175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4630999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2016000931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12629118A (zh) 制冷器具及其控制方法
KR2019009761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