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457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457A
KR20210117457A KR1020200033676A KR20200033676A KR20210117457A KR 20210117457 A KR20210117457 A KR 20210117457A KR 1020200033676 A KR1020200033676 A KR 1020200033676A KR 20200033676 A KR20200033676 A KR 20200033676A KR 20210117457 A KR20210117457 A KR 2021011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over
plug connector
contac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457A/ko
Publication of KR2021011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바(bar)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홈부 내에 노출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컨텍트 핀을 포함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인슐레이터의 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복수의 홀드다운부(hold-down)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대물과의 접촉시 탄성변형하여 상기 상대물을 지지하는 암(arm)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plug connector}
본 출원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의 구조를 개선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출원은, 상대물과의 접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표면실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바(bar)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홈부 내에 노출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컨텍트 핀을 포함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인슐레이터의 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복수의 홀드다운부(hold-down)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대물과의 접촉시 탄성변형하여 상기 상대물을 지지하는 암(arm)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단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시 기판과 연결되는 하부커버부; 상기 하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의 길이방향 내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내부커버부; 상기 내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상부커버부; 및 상기 상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외부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부는 상기 하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커버부 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암부가 위치하는 단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커버부는,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벤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상부커버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부의 폭방향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부커버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면실장시 기판과 연결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커버부는, 상기 단부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상기 하부커버부로부터 적어도 설정간격 이상 이격하여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탄성변형가능한 암(arm)부를 더 포함하므로, 상대물과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홀드다운부에 연결된 암부의 구조에 의하여, 외력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상대물과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홀드다운부의 하부커버부를 이용하여 표면실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적어도 3개소에서 납땜을 통한 표면실장이 가능하므로, 표면실장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홀드다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홀드다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는, 인슐레이터(110), 컨텍트부(120) 및 홀드다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인슐레이터(110)는 플라스틱(plastic)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 홀드다운부(130) 등이 인슐레이터(11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터(110)는, 컨텍트부(120)와 홀드다운부(130)를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인슐레이터(110)를 사출성형 등으로 먼저 제조한 후, 컨텍트부(120)와 홀드다운부(130)를 인슐레이터(110)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슐레이터(1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bar) 형상의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융기부(미도시) 등 상대물은 홈부(112)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는 홈부(112) 내에서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부(120)는 금속 등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컨텍트 핀(1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텍트 핀(121)들은 홈부(112) 내에 노출될 수 있으며, 홈부(112) 내에서 상대물과의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 핀(112)을 몸체부(111)의 폭방향 내벽을 따라 벤딩(Bending)하여 노출하는 방식으로 컨텍트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텍트 핀(121)들은 각각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홀드다운부(130)는 금속재질의 소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인슐레이터(110)의 길이 방향 단부를 각각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드다운부(130)는 인슐레이터(110)의 강도보강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대물과의 결합시 상대물에 대한 가이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홀드다운부(130)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기판(미도시)에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하기 위한 구조나, 상대물과의 결합시 체결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미도시)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00)는 회로패턴에 의하여, 기판에 실장된 다른 전자부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면, 홀드다운부(130)는 인슐레이터(1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암(arm)부(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암부(A)는 상대물과의 접촉시 탄성변형하여 인슐레이터(110)의 내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암부(A)는 탄성에 의하여 상대물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대물과 플러그 커넥터(100)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홈부(112) 내에서의 전기적 접점의 접촉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드다운부(130)는 하부커버부(131), 내부커버부(132), 상부커버부(133) 및 외부커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커버부(131)는 단부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면실장시 하부커버부(131)에 납땜을 수행하여 기판(미도시)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 등과 비교할 때, 표면실장을 위해 하부커버부(131)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표면실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암부(A)를 하부커버부(13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에 상대물이 충돌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내부커버부(132)나 상부커버부(133)에 대부분의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암부(A)를 하부커버부(131)에 형성함으로써, 암부(A)에 대한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대물과 결합된 이후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하부커버부(131)에 형성된 암부(A)는 상대물과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암부(A)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부(133) 방향으로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인슐레이터(110)는 단부홈(H)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부홈(H)은 암부(A)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암부(A)는 단부홈(H) 내에서 휘어지는 등 탄성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암부(A)는 단부홈(H)의 구조에 의하여 가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내부커버부(132)는 하부커버부(131)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단부의 길이방향 내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부(133)는 내부커버부(132)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단부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즉, 내부커버부(132) 및 상부커버부(133)는 각각 인슐레이터(111) 단부의 길이방향 내측면 및 상부면을 커버하므로, 홈부(112) 내에 상대물 삽입시, 상대물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111)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커버부(132) 및 상부커버부(133)는 상대물과 결합시, 상대물에 대한 가이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내부커버부(132) 및 상부커버부(133)에 접촉한 상대물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여, 상대물이 플러그 커넥터(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외부커버부(134)는 상부커버부(133)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단부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즉, 외부커버부(134)는 길이방향 외측면에서 인가되는 외력으로부터 인슐레이터(110)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커버부(134)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의 길이방향 외측면 중 일부만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날개부(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B)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커버부(134)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날개부(B)는 연결부(B1), 고정부(B2) 및 실장부(B3)로 구분될 수 있다.
연결부(B1)는 외부커버부(134)로부터 연장되어 인슐레이터(110)의 길이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고정부(B2)와 실장부(B3)는 연결부(B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부(B1)의 벤딩을 통하여 고정부(B2) 및 실장부(B3)를 단부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B1)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B) 사이에 이격부(P1)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4(b)의 이격부가 없는 구조(P2)와 비교하면, 하부커버부(131)과 연결부(B1) 사이의 간격을 설정간격(D1) 이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커버부(131)에서 표면실장이 수행되므로, 납땜에 따른 납 타오름(solder wicking) 현상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때, 납 타오름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커버부(133)와 하부커버부(131)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설정간격(D1) 이상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4(a)와 같이, 이격부(P1)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부커버부(131)와 외부커버부(133) 사이의 간격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4(a)와 같이, 이격부(P1)를 포함하도록 연결부(B1)를 형성하여,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벽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부(P1)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고정부(B2)는 연결부(B1)로부터 상부커버부(133)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의 폭방향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B2)는 상부커버부(133) 방향으로 연장된 이후, 다시 단부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B2)는 홀드다운부(130)를 인슐레이터(110) 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단부의 폭방향 외측면에 대한 강도 보강을 구현할 수 있다.
실장부(B3)는 연결부(B1)로부터 하부커버부(13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표면실장시 기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표면실장시 실장부(B3)를 납땜하여 기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부마다 하부커버부(131)와, 실장부(B3) 2개소가 각각 기판 상에 실장되므로, 표면실장의 실장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인슐레이터(210), 컨텍트부(220) 및 홀드다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210)는 플라스틱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텍트부(220)와 홀드다운부(230)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터(210)는, 컨텍트부(220)와 홀드다운부(230)를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서는 인슐레이터(210)를 사출성형 등으로 먼저 제조하고, 이후 컨텍트부(220)와 홀드다운부(230)를 인슐레이터(210)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슐레이터(210)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11), 홈부(212) 및 융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바(bar) 형상의 몸체부(211)는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홈부(212) 내에는 융기부(213)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 등 상대물은 홈부(212)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홈부(212) 내에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부(220)는 금속 등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컨텍트 핀(221)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텍트 핀(221)들은 홈부(212) 내에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부(220)는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컨텍트부(220)를 통하여 컨텍트 핀(221)은 상대물과의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 핀(221)을 융기부(213)와 몸체부(211)의 폭방향 내벽을 따라 벤딩(Bending)하여, 홈부(212) 내에 노출하는 방식으로 컨텍트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컨텍트 핀(221)들은 홈부(212) 내에 삽입된 상대물과 복수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홈부(212) 내에 노출된 복수의 컨텍트 핀(221)들은 각각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홀드다운부(2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슐레이터(210)의 양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드다운부(230)는 인슐레이터(210)의 강도보강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대물과 결합시 상대물에 대한 가이딩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00)의 암부(A)에 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00)와의 체결력이 충분히 구현될 수 있으므로, 홀드다운부(230)는 체결력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체결력 강화를 위한 도피부 등을 포함하는 경우, 홀드다운부(230)가 커버하는 인슐레이터(210)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도피부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높은 강도의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홀드다운부(230) 내에 플러그 커텍터(100)의 암부(A)에 대응하는 체결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암부(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여,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은 코이닝(coining) 가공 등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8은 도7의 x-x 선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홈부(212) 내에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플러그 커넥터(100)의 홈부(112) 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융기부(2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의 암부(A)는 탄성변형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홈부(212)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후 암부(A)는 홈부(212) 내에 접촉부(T)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암부(A)는 접촉부(T) 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0)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암부(A)는 탄성변형에 따른 탄성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추가적인 구조없이, 플러그 커넥터(100)에 포함된 암부(A)의 구성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 사이의 체결강도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체결강도 강화를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할 필요가 없으므로, 홀드다운부(230)를 이용하여 인슐레이터(210)에 대한 강도를 보다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플러그 커넥터 110: 인슐레이터
111: 몸체부 112: 홈부
120: 컨텍트부 121: 컨텍트핀
130: 홀드다운부
200: 리셉터클 커넥터 210: 인슐레이터
211: 몸체부 212: 홈부
213: 융기부 220: 컨텍트부
230: 홀드다운부

Claims (5)

  1. 바(bar)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홈부 내에 노출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컨텍트 핀을 포함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인슐레이터의 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복수의 홀드다운부(hold-down)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대물과의 접촉시 탄성변형하여 상기 상대물을 지지하는 암(arm)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단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시 기판과 연결되는 하부커버부;
    상기 하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의 길이방향 내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내부커버부;
    상기 내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상부커버부; 및
    상기 상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외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하부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커버부 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암부가 위치하는 단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부는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벤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상부커버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부의 폭방향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벤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부커버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면실장시 기판과 연결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부는
    상기 단부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상기 하부커버부로부터 적어도 설정간격 이상 이격하여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00033676A 2020-03-19 2020-03-19 플러그 커넥터 KR20210117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76A KR20210117457A (ko) 2020-03-19 2020-03-19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76A KR20210117457A (ko) 2020-03-19 2020-03-19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57A true KR20210117457A (ko) 2021-09-29

Family

ID=7792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676A KR20210117457A (ko) 2020-03-19 2020-03-19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4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1074195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186126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26428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7125260B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7695289B1 (en) Connector
JP7208115B2 (ja) コネクタ
JP4618745B1 (ja) 電気コネクタ
KR102631033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JP3148855B2 (ja) 電気コネクタ
JP5094343B2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接続部の検査方法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KR101267158B1 (ko) 전기 커넥터
JP2021114399A (ja) 端子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4044646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330375B1 (ko) 보호소자가 구비된 커넥터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67410A (ko) 플러그 커넥터
JP2003173831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5019053A (ja) 電気コネクタ
JP3083796B2 (ja) 複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