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22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221A
KR20210117221A KR1020210035538A KR20210035538A KR20210117221A KR 20210117221 A KR20210117221 A KR 20210117221A KR 1020210035538 A KR1020210035538 A KR 1020210035538A KR 20210035538 A KR20210035538 A KR 20210035538A KR 20210117221 A KR20210117221 A KR 2021011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iner
cooling water
tub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우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338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87929A1/ko
Publication of KR2021011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로서, 개구부를 갖는 전방면과, 상기 전방면에서 연장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단에 연결되는 후방면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히터;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인접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물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냉각수 투입부;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서 상기 컨테이너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수 투입부 하측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하는데,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와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은 세탁물이 저장된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뒤 가열하여 수용공간에 재공급하는 방식이고, 배기식 건조시스템은 수용공간에 열풍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수용공간의 외부에 배기하는 방식이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열교환을 마친 후 수용공간에서 배출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과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순환식 건조시스템에서는 건조시간의 단축 및 냉각수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제습과정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해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냉각수를 낭비하지 않고 투입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만, 효과적인 열교환을 위한 구조에 대한 개시를 하지 않고 있으며, 특허문헌 2에서는 냉각수가 효과적으로 흐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지만, 개략적인 방법에 대한 내용만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1979호(2013.10.16)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8513호(2018.05.10)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드럼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건조기, 세탁기, 세탁기 겸용 건조기 또는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유도 가열 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응축효율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응축을 위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리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냉각수가 공기와 열교환하는 시간을 늘리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가 적절하게 분지되어 응축 효율을 높인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를 분지할 때 분지된 냉각수의 유선들이 합쳐지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의 유선들 각각에서 흐르는 냉각수 유량이 서로 비슷하게 유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상기 드럼이 배치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개구부를 갖는 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전방면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전방면에서 연장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전방면과 후술하는 후방면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면은 상기 바디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에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컨테이너는 터브일 수 있다. 상기 터브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바디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마주하는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후술하는 덕트 내부에 배치된 건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히터는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상기 드럼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드럼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컨테이너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드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코일에 대향하는 상기 드럼 바디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회전하고,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 전체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드럼 바디뿐만아니라, 열전도에 의해 드럼 전방부와 후방부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냉각수 투입부와 냉각수 투입부 하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물을 투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또는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컨테이너 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서 상기 컨테이너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각수 투입부 하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컨테이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의 상단을 지나는 수직선과 30도 내지 60도 범위 내의 사이 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드럼의 배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소정거리는,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한 드럼이 불균형 부하에서 회전하더라도 드럼의 배면과 가이드가 충돌하지 않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길이는 상기 컨테이너 후방면의 반경의 1/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테이너 후방면을 관통하고, 상기 드럼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의 배면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컨테이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로 흐르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간격을 통해 하측으로 흐르는 물의 양과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는 물의 양이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1 내지 5mm 범위 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경은, 3mm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전단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높이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의 3배 내지 5배 길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에 위치하는 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 중심축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는, 상기 터브의 중심을 지나는 반경방향 수평축에서 터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22.5도 내지 67.5도 범위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상단은,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의 상단은,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에서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상단은 수평방향에서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입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와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배치된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컨테이너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세탁건조기의 건조시스템에서 터브 내 습공기가 함유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수를 투입할 때 냉각수를 분산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냉각수가 투입되는 부분에 가이드부가 제공되어 냉각수를 분지하고 이에 따라 전열면적이 증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가 분지되어 터브 후면과 측면을 따라서 흐르도록 유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를 터브 면을 따라 낙하시켜 열교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방면에 터브 투입구가 구비되는 터브바디, 상기 터브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드럼, 상기 터브바디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바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출구, 상기 터브바디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유입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팬,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터브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바디 내부로 냉각수가 투입되는 냉각수 투입부 및 상기 냉각수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냉각수가 분지되어 흐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터브바디의 반경방향 중심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수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터브바디의 원주면 및 상기 터브바디의 후방면과 접촉하여 흐르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수 투입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수 투입부에서 냉각수가 토출됨과 동시에 분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투입부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상기 터브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 및 수직축을 기준으로 22.5도 내지 67.5도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바디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드럼의 불균형 부하 상황에서 진동시 상기 드럼과 상기 터브의 후방면의 최소 이격거리보다 작게 상기 터브바디의 후방면에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냉각수 투입부가 형성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수평축 및 수직축을 설정할 때 상기 수평축 및 상기 수직축 사이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평축 또는 상기 수직축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평축 및 상기 수직축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터브바디의 반경 길이의 1/2 이하의 길이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 중 상기 터브바디의 원주면과 n+1번째로 가까운 가이드부는 n번째 가까운 가이드부보다 3배 내지 5배 길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투입부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가이드부가 n개 구비될 때 유선의 개수가 n+1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냉각수 유선들 각각에서 흐르는 냉각수 유량은 동일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분지되는 냉각수 유선들 중 상기 터브바디와 첫번째로 인접한 가이드부에 의해 분지되는 냉각수 유선 중 하나는 상기 터브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하강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터브바디와 두번째로 인접한 가이드부 측으로 이동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터브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를 구비하여 응축을 위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를 분지하여 공기와 열교환하는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가이드를 구비하여 공기와 열교환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길이, 가이드의 각도, 및 또는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를 통해 분지된 냉각수의 유선들이 합쳐지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통해 터브 후방면을 따라 흐르는 분지된 복수의 냉각수 유선들이 서로 비슷한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응축성능 향상을 통해 건조시 사용되는 필요 에너지와 건조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응축을 통해 투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응축열량이 증가하여 기존보다 적은 수량으로 터브 내 수분응축량이 증가하여 건조시간 단축 및 건조효율의 증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투입부와 가이드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냉각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또는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과 드럼(3)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히터는 덕트(71) 내부에 배치되어 덕트(71)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7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히터는 드럼(3)과 이격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드럼(3)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일 수도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드럼(3)이 배치되는 컨테이너(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는 물과 드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인 경우, 컨테이너(2)는 상기 터브일 수 있다.
이하, 의류처리장치로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컨테이너(2)를 터브(2)라 칭하기도 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대상물(일례로, 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 또는 리프레쉬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의류를 세탁수에 의해 세탁하는 경우 이를 세탁대상물이라 할 수 있고, 젖은 의류를 열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 이를 건조대상물이라 할 수 있고, 마른 의류를 열풍, 냉풍 또는 스팀 등을 이용하여 리프레쉬하는 경우 이를 리프레쉬대상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드럼(3)을 통해서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구비되어 대상물이 출입되는 캐비닛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환형의 도어프레임(121)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된 투시창(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하 설명될 의류처리장치의 세부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방향을 정의하자면, 상기 캐비닛(1)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Front)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의 정반대 방향이 후방(Rear)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우측(Right) 및 좌측(Left) 방향은 위에서 정의된 전후방 방향에 종속하여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전방에 터브 개구부(21)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2)는 지지바(13a)와 상기 지지바(13a)에 연결된 댐퍼(13b)를 포함하는 하부지지부(13)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하면(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터브(2)에 발생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의 상면에는 상기 캐비닛(1)의 상면에 고정된 탄성지지부(14)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바닥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대상물을 수용하며, 전방에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에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 대한 상기 터브(2)와 드럼(3)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드럼(3)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을 통해서 드럼(3) 내부와 터브(4) 내부 사이의 공기와 세탁수의 출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드럼의 회전 시 대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3)은 터브(2)의 후방에 구비된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6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3),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63)를 연결하는 회전축(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는 상기 터브(2) 배면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66)의 후방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63)는 상기 스테이터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로터자석(632) 및 상기 로터자석(632)과 회전축(65)을 연결하는 로터하우징(6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에는 내부에는 회전축(65)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베어링(68)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의 배면에는 로터(63)의 회전력을 드럼(3)에 용이하게 전달시키는 스파이더(6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파이더(67)에는 상기 로터(63)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65)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의 투입구와 터브 개구부(21) 사이에는 가스켓(4)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켓(4)은 터브(2) 내부의 물이 캐비닛(1)으로 누출되는 문제와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52)는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이 이동하는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관(522) 및 상기 배수관(522)을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522) 내부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배수펌프(5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배수관(522)은 상기 터브(2)의 하면과 상기 배수펌프(52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522a) 및 일단이 상기 배수펌프(521)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관(522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건조 겸 세탁기라 할 수 있다. 상기 터브(2)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713)과 드럼(3) 및/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인덕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는 터브(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은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 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를 인덕션 히터라 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가 구동되면 상기 인덕션 히터와 대향되는 드럼의 외주면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터브(2) 내에는 복수개의 온도센서(95, 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들은 터브(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부 온도센서(95)는 터브(2)의 상부에 위치되어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부 온도센서(96)는 터브(2)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탁수 또는 습공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들은 인덕션 모듈에 의해 목표 온도까지 공기가 가열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인덕션 모듈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14)를 포함할 수 있다.
팬(713) 및 히터(714)는 덕트(7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714)는 건조히터(714)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인덕션 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팬(713), 건조히터(714) 및 덕트(71)를 추가적으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터브 내면에서 공기의 냉각이 수행되고 수분이 응축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의 순환이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수분 응축을 하여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수분 응축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건조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냉각수가 터브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냉각수와 터브와 만나는 표면적 즉 냉각수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냉각수는 터브의 배면이나 일측 또는 양측면에서 넓게 퍼지면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 공급을 통해서, 냉각수는 터브 내부 표면을 따라서 흐르게 되어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를 위해서 덕트나 팬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서 매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는 터브바디(23), 터브 투입구(21), 터브 후방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브(2)는 가스켓(4)과 연결되는 부분인 터브 투입구(21)가 형성되도록 전방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는 캐비닛(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터브 투입구(21)가 형성된 부분을 전방으로 정의할 때 터브(2)의 최후단에 후방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2)의 후방면(22)은 터브 투입구(21)와는 다르게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브(2)의 후방면(22)의 반경방향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면(22)의 반경방향 중심이 관통되는 것은 상술한 드럼(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65)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터브(2)는 터브(2)의 후방면(22)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터브 투입구(2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브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바디(23)는 터브(2)의 후방면(22)과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터브바디(23)는 터브(2)의 실직적인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터브바디(23) 및 터브(2)의 후방면(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터브(2)는 전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6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3)을 구동하기 위한 여러 구성이 연결될 수 있다.
터브바디(23)에는 냉각수 투입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냉각수 투입부(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각수 투입부(24)는 냉각수 유입유로(90)의 출구를 제공한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에 구비될 수 있다. 터브바디(23)에 구비되는 냉각수 투입부(24)를 따라 냉각수가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잇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와 터브(2)의 후방면(22)의 경계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경계영역이란, 냉각수 투입부(24)를 통해 투입된 냉각수가 터브(2)의 후방면(22)에 의해 가이드되어 흐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의 후단측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와 터브(2)의 후방면(22)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터브바디(23) 중 터브(2)의 후방면(22)이 접하는 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경계영역은 터브바디(23)의 후측 영역을 의미하며, 냉각수가 터브(2)의 후방면(2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가 터브(2)의 후방면(22)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도 이격거리는 크지 않을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터브바디(23)에는 냉각수 투입부(24)에 의해 냉각수가 안내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터브바디(23)는 터브(2)의 후방면(22)과 함께 터브(2)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터브바디(23)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형의 형상은 완벽한 원통형의 형태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원형의 형상이 아니어도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의 전면, 즉, 터브 투입구(21)가 형성되는 부분 또는 터브바디(23) 중 터브(2)의 후방면(22)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 투입부(24)를 통과한 냉각수가 적절하게 분배되기 위해서는 터브바디(23)의 후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 투입부(24)는 반경방향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22.5 내지 67.5도의 각도를 갖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가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공간의 반경방향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크기에 비해 냉각수가 효과적으로 열교환할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공간의 반경방향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 중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공간의 반경방향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이하 터브바디 수평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터브바디 수평축에 수직하도록 냉각수 투입부(24)가 구비되는 경우 가장 오랜 시간동안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하강하는 것은 아니다. 터브바디 수평축에 수직하도록 구비되면 냉각수 투입부(24)는 터브바디(23)의 최상측에 구비된다.
다만, 냉각수가 투입되는 냉각수 투입부(24)가 터브바디(23)의 최상측에 구비되는 경우 냉각수가 중력방향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냉각수가 빠르게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와 공기가 열교환을 할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투입부(24)는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터브바디 수평축을 기준으로 22.5도 내지 67.5도의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수 투입부(24)가 터브바디 수평축을 기준으로 22.5도 미만의 각도로 구비되는 경우 유선의 길이가 짧아지고 분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가 터브바디 수평축을 기준으로 67.5도 초과의 각도로 구비되는 경우 유선이 분리되지 않고 후술하는 가이드(25)를 따라서 흐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냉각수 투입부(24)에서 투입된 냉각수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25)를 더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25)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이드(25) 중 냉각수 투입부(24)와 가장 인접한 가이드(25a) 및 이와 이웃하는 가이드(25b)로 나뉘어 표현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아니다.
가이드(25)의 개수는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공간의 크기, 나아가 의류처리장치의 크기 또는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25)와 냉각수 투입부(2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의 부분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 투입부(24)가 형성되는 위치는 터브바디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Φ)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22.5도 내지 67.5도일 수 있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에서 토출된 냉각수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냉각수 투입부(24)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25)가 설치되는 높이는 냉각수 투입부(24)와 인접하며, 의류처리장치가 불균형 부하에서 탈수 시 드럼(3)이 접촉하지 않을 수 있는 최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드럼(3)은 탈수 시 높은 RPM으로 회전되며, 의류들이 드럼 내측으로 쏠리는 현상 및 진동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불균형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25)가 구비되는 이유는 드럼(3) 측으로 냉각수를 비산시키지 않으면서 터브(2)의 후방면(22) 및 터브바디(23)의 내주면과 냉각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함일 수 있다.
가이드(25)가 드럼(3)과 충돌할 경우, 소음이 발생하고, 가이드(25)가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불균형 부하에서 드럼(3)이 회전하더라도, 드럼(3)과 가이드(25)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이드(25)가 최대한 높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가이드(25)에 의해 분산되는 냉각수의 유선들이 진동 등으로 인해 다시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가이드(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25a, 25b)들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가이드(25)의 전체 길이(L)는 상기 터브바디(23)의 반경 길이의 1/2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25)의 길이가 짧을 경우 가이드(25)에 의해 분지되는 냉각수 유선이 터브바디(23)의 원주면(내주면) 및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흐르다가 다시 합쳐질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25)의 길이가 터브바디(23)가 형성하는 공간의 반경보다 1/2보다 크게 구비되는 경우 냉각수가 드럼(3)의 회전축으로 흘러 냉각효과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건조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즉, 가이드(25)는 터브바디(23)의 반경 길이의 1/2 이하로 구비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가 형성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수평축(A1) 및 수직축(A2)을 기준으로 할 때 수평축(A1) 및 수직축(A2) 사이에 소정각도(θ)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가 형성된 위치에서 수평축(A1) 또는 수직축(A2)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축(A1) 또는 수직축(A2)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직축(A2)과 가이드(25) 사이의 각도(θ)가 30도 보다 작을 경우 가이드(25)에 의해 분배된 유선이 합쳐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유선의 흔들림이 커져 응축 표면적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수직축(A2)과 가이드(25) 사이의 각도(θ)가 60도 보다 큰 경우 냉각수가 가이드(25)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25)를 타고 넘어 하측으로 흐를 수 있다. 즉, 냉각수가 제대로 분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25)는 수직축(A2)과 소정의 각도(θ)를 갖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에서 토출되는 냉각수를 분지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냉각수가 가이드(25)의 상단과 만나면, 일부는 가이드(25) 아래로 흐르고 일부는 가이드(25)를 따라 흐르게 된다.
가이드(25)의 상단에 의해 분지되어 아래로 흐르는 냉각수는 터브바디(23)의 원주면(내주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냉각수가 터브바디(23)의 내면 또는 후방면(22)을 따라 흐르지 않고 바로 낙하하게 되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빠르게 낙하될 수 있다. 낙하시간이 짧을수록 효과적으로 열교환할 시간이 줄어든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브(2)의 하측으로 냉각수가 떨어지고 난 뒤에는 냉각수의 표면에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으나, 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유선의 전체 표면적을 통해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낙하시간이 길어질수록 효과적인 열교환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냉각수를 터브바디(23)의 원주면 및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흐르면서 효과적인 열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25)는 소정의 경사(θ)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투입부와 가이드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투입부와 가이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투입부의 냉각수 출구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5)는 하나의 가이드(25)일 수 있다.
가이드(25)가 상단에서 하단까지 끊어지지 않고 연장된 하나의 가이드(25)인 경우 냉각수는 2개의 유선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25)는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마찬가지로 냉각수 투입부(24)의 출구에 중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의 출구로 냉각수가 나오면서 바로 가이드(25)에 의해 냉각수가 분지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바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가이드(25)의 좌측으로 분지된 냉각수(24a)는 터브바디(23)의 내주면으로 안내되어 하강할 수 있고, 가이드(25)의 우측으로 분지된 냉각수(24b)는 가이드(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어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터브(2) 내부로 하강하도록 안내된다.
가이드(25)가 냉각수 투입부(24)에 접하여 위치하게 되면, 냉각수 투입부(24)에서 토출되는 냉각수가 터브바디(23) 내로 들어옴과 동시에 분지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유선 분리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의 출구와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25)가 냉각수 투입부(24)의 출구와 이격되는 경우, 금형 설계가 용이하고, 사출시 불량률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 제조상의 문제나, 사출물의 불량을 고려하여 냉각수 투입부가 막힐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부(25)가 냉각수 투입부(24)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25)가 냉각수 투입부(24)와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의 여러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는 범위에서 최소거리일 수 잇다.
도 5 및 도 6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보면,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의 출구와 이격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냉각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가이드(25)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는 가이드(25)들이 냉각수 투입부(24)와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이드(25)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도 냉각수 투입부(24)와 가이드(25)는 접하여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25)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분지되는 냉각수의 유선도 복수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25)가 n개(n=1 이상의 자연수) 구비되는 경우에 냉각수의 유선은 n+1개 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일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가이드(25)는 냉각수 투입부(24)와 인접한 제1 가이드(25a) 및 제1 가이드(25a)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제1 가이드(25a)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가이드(25b)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수 투입부(24)에 의해 투입된 냉각수를 투입되는 방향을 따라 터브(2)의 내측 공간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냉각수는 제1 가이드(25a)의 꼭지점 부근과 만나면서 분지될 수 있다. 가이드부(25)의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고 냉각수의 유선이 분리되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즉, 가이드부(25)의 꼭지점 부분이 원형으로 구비되어도 가이드부(25)의 좌우측으로 냉각수가 분지될 수 있으면 족하다.
제1 가이드(25a)에 의해 분지되어 도 7 상의 좌측으로 분지되는 냉각수 유선은 터브바디(23)의 원주면을 따라 하강하며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는 가이드부(25)들이 우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냉각수 투입부(24)의 위치가 달라지면 좌 하향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다만 개시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가이드(25a)에 의해 분지되어 제2 가이드(25b)를 향해 이동하는 냉각수는 제2 가이드(25b)로 이동될 때 다시 한번 분지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5a)와 제2 가이드(25b)가 이격된 공간으로 냉각수가 유동됨에 따라 냉각수가 터브(2)의 하측으로 조금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전부가 제2 가이드(25b)의 상면으로 유동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제2 가이드(25b)의 좌측으로 분지되어 터브바디(23) 내로 하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지된 냉각수는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하강하며 터브(2) 내의 공간과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분지되지 않은 냉각수는 제2 가이드(25b)의 상면으로 유동되며 제2 가이드(25b)의 단부에서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5)가 2개 구비되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25a)의 전단에서 냉각수 유선이 분지되고, 제2 가이드(25b)의 전단 및 후단으로 냉각수 유선이 분지될 수 있다.
각각의 냉각수 유선의 유량은 유량은 냉각수의 총 유량을 유선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유선마다 동일한 냉각수의 유량을 흘려 각 유선에서의 전열량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하면 효과적으로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부(25)의 개수는 여러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가이드부(25)가 2개 혹은 3개 구비되면 족할 수 있으나, 대용량의 의류처리장치나 특수한 목적이나 형태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3개 이상의 가이드부(25)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부(25)가 복수개 구비도되는 경우 터브바디(23)의 원주면과 n+1번째로 가까운 가이드부(25)는 터브바디(23)의 원주면에서 n번째 가까운 가이드부(25)보다 3배 내지 5배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5)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측면속도 증가로 유선의 움직임이 커질 수 있다. 가이드부(25)의 길이가 충분히 길다면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가이드부(25)에 의해 분리된 냉각수 유선이 큰 움직임을 가져 냉각수 유선이 합쳐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 유선이 합쳐지면 열교환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가이드부(25)의 길이는 적절하게 구비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8은 실제 터브바디(23) 내에서 냉각수를 흘릴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가이드부가 구비되지 않은 도면이고, 도 8(b)는 가이드부가 2개 구비되어 3개의 냉각수 유선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25a)에 의해 첫번째 분지된 냉각수 유선은 터브바디(23)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한다. 제1 가이드(25a)의 상면을 따라 제2 가이드(25b)를 향해 하강하는 냉각수 중 제2 가이드(25b)에 의해 분지되는 두번째 냉각수 유선은 첫번째 냉각수 유선과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터브(2)의 후방면(22)을 따라 하측으로 하강한다. 제2 가이드(25b)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냉각수는 제2 가이드(25b)의 단부에서 세번째 냉각수 유선을 형성하며 터브(2)의 하측으로 하강한다.
첫번째 냉각수 유선, 두번째 냉각수 유선 및 세번째 냉각수 유선은 터브 하측으로 하강하며 서로 합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3개의 냉각수 유선 각각에서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5a) 및 제2 가이드(25b)의 상면을 지날때에도 터브(2)의 후방면(22)과의 점성으로 인해 지나치게 빠른 유속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선간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는 컨테이너;로서, 개구부를 갖는 전방면과, 상기 전방면에서 연장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단에 연결되는 후방면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히터;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인접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물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냉각수 투입부;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서 상기 컨테이너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수 투입부 하측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단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의 각도는 30도 내지 60도 범위 내인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마주하는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드럼의 배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컨테이너 후방면의 반경의 1/2 이하인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테이너 후방면을 관통하고, 상기 드럼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의 배면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가이드;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로 흐르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흐르도록 서로 이격된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전단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높이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높이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보다 긴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의 3배 내지 5배 긴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투입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디에 위치하는 출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접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는,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 중심축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는, 상기 터브의 중심을 지나는 반경방향 수평축에서 터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22.5도 내지 67.5도 범위내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단은,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단은, 상기 냉각수 투입부의 출구에서 하측으로 이격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전방에 위치하는 유입구;
    상기 컨테이너 후방면에 배치된 배출구;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덕트; 그리고,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컨테이너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 물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35538A 2020-03-18 2021-03-18 의류처리장치 KR20210117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3388 WO2021187929A1 (ko) 2020-03-18 2021-03-1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44 2020-03-18
KR20200033144 2020-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221A true KR20210117221A (ko) 2021-09-28

Family

ID=7792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538A KR20210117221A (ko) 2020-03-18 2021-03-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2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979B1 (ko) 2012-04-06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180048513A (ko) 2018-04-26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979B1 (ko) 2012-04-06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180048513A (ko) 2018-04-26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8012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rying function
EP2636788B1 (en) Clothes dryer and washer/dryer
US2005022965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rying function
JP2019017532A (ja) 洗濯乾燥機
US9057153B2 (en) Dryer appliance with an impeller assembly
US20150020318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2412861B1 (en)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KR20210111179A (ko) 의류처리장치
CN111394928A (zh) 具有感应加热器的洗衣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60115637A1 (en) Impeller housing for an appliance
KR101033584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방열판 체결구조
KR102577087B1 (ko) 의류처리장치용 배수펌프
KR2021011722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79935A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11721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40380A (ko) 건조겸용 세탁장치
KR101111511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KR101740437B1 (ko) 건조기
US20230136799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740438B1 (ko) 건조기
KR102616494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3809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