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040A -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040A
KR20210116040A KR1020200032675A KR20200032675A KR20210116040A KR 20210116040 A KR20210116040 A KR 20210116040A KR 1020200032675 A KR1020200032675 A KR 1020200032675A KR 20200032675 A KR20200032675 A KR 20200032675A KR 20210116040 A KR20210116040 A KR 2021011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module
metal pattern
batter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선모
박주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040A/en
Publication of KR2021011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0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novel sensing structure capable of sensing a battery module without a PCB or an FPCB,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battery module includes: a cell stack in which secondary battery cells including a lead tab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lead tab of a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and a bus bar panel which is placed on a side surface of the cell stack, through which the lead tab is inserted, and on which a bus bar moun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ead tab of each of the penetrating secondary battery cells is disposed, wherein the bus bar panel has a metal pattern connected to the bus bar.

Description

신규한 센싱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센싱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novel sensing structur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자동차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는 고출력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많은 수의 이차전지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배터리 모듈의 형태로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다수 연결한 형태의 배터리 팩이 사용되기도 한다.Since medium and large-sized devices such as automobiles use energy at high output, a large-capacity battery is required. Accordingly, a battery is used in the form of a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n which a large number of secondary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such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also used.

한편,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모듈이 일반적으로 차체 또는 트렁크 공간에 탑재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은 가능한 부피가 작으면서도 에너지 밀도는 매우 높아야 하고, 진동 및 충격이 지속되는 환경에서도 구조적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적층이 용이하고 부피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들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a battery module is generally mounted in a vehicle body or a trunk space. Therefore,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used in an electric vehicle must have as small a volume as possible and have a very high energy density, and structural stability must be maintain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vibration and shock continue. For this purpos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s, which are easy to stack and have high energy density to volume ratio, are widely used to construct battery modules for electric vehicles.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들은 전극 단자 기능을 하는 전극 리드들이 박형의 금속 시트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 리드들을 쉽고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수단으로서 금속판 형상의 버스바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2019-0114406호와 같이 버스바들은 일반적으로 보드 형태의 버스바 판넬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장착될 수 있다. I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s, since electrode leads that function as electrode terminal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thin metal sheets, the battery module composed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s uses metal plate-shaped bus bars as a means to easily and stably connect the electrode leads. include For example,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114406, the bus bars may be moun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board-shaped bus bar panel.

한편, 상기와 같은 버스바 판넬이 장착된 배터리 모듈에는, 일부 이차전지 셀들이 과전압, 과전류 또는 과발열되는 경우, 이를 센싱하고 제어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PCB(Printed Circuit Board)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센싱 부품들이 연결된다. 다만, 상기 PCB나 FPCB를 상기 버스바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는 상기 PCB나 FPCB를 용접하는 등의 별도 작업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the bus bar panel as described above, when some secondary battery cells are overvoltage, overcurrent, or overheated, in order to sense and control it, as shown in FIG. 1 ,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flexible Sensing components such as Printed Circuit Board) are connected. However, the PCB or FPCB is connected to the bus bar. For this connection, a separate operation such as welding the PCB or FPCB is required.

본 발명은 PCB나 FPCB 없이도 배터리 모듈의 센싱이 가능한 신규한 센싱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novel sensing structure capable of sensing a battery module without a PCB or FPCB,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양극의 리드탭 및 음극의 리드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셀들을 적층시킨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제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탭이 삽입 관통하며, 관통된 각 이차전지 셀들의 리드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장착된 버스바가 배치된 버스바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판넬은 버스바와 연결된 금속 패턴이 형성된 것인,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stack in which secondary battery cells including a lead tab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lead tab of a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and a bus bar panel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ell stack, through which the lead tab is inserted, and in which a bus bar moun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ead tab of each of the penetrating secondary battery cells is disposed, the bus bar panel It provides a battery module that is formed with a metal pattern connected to the bus bar.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별도의 센싱 부품인 PCB나 FPCB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 제조 시 상기 PCB나 FPCB 부품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PCB나 FPCB의 조립 공정을 축소하여,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 제조 시 공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use a separate sensing component, such as a PCB or FPCB,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PCB or FPCB component when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and further reduc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CB or FPCB, so that the battery Process time can be saved when manufacturing modules or battery packs.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을 센싱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버스바 판넬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금속 패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패턴이 형성된 버스바 판넬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partial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for sensing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2 shows an example of a metal pattern formed in a protruding form on a bus ba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emplary view of a bus bar panel on which a metal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모듈의 이차전지 셀을 센싱하기 위하여 버스바에 PCB(Printed Circuit Board)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사용한다. 다만, PCB나 FPCB를 버스바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과 같은 공정이 필요하며, 나아가 PCB나 FPCB 자체의 비용이 발생한다. In general, a battery module us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n a bus bar to sense the secondary battery cells of the battery module. However, in order to connect the PCB or FPCB to the bus bar, a process such as welding is required, and furthermore, the cost of the PCB or FPCB itself occurs.

이를 위해, 본 발명은 PCB나 FPCB의 사용을 축소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the use of a PCB or FPCB.

상세하게, 본 발명은 양극의 리드탭 및 음극의 리드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셀들을 적층시킨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제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탭이 삽입 관통하며, 관통된 각 이차전지 셀들의 리드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장착된 버스바가 배치된 버스바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판넬은 버스바와 연결된 금속 패턴이 형성된 것인,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stack in which secondary battery cells including a lead tab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lead tab of a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and a bus bar panel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ell stack, through which the lead tab is inserted, and in which a bus bar moun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ead tab of each of the penetrating secondary battery cells is disposed, the bus bar panel It provides a battery module that is formed with a metal pattern connected to the bus bar.

상기 셀 적층체는 다수의 이차전지 셀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셀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전해질 및 파우치 외장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파우치 외장재는, 상부 파우치 외장재 및 하부 파우치 외장재와 같은 2개의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의 내부 공간에 전극 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다. 2개의 파우치 외주면에는 실링부가 구비되어 실링부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내부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The cell stack may be an aggregate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cell may b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 For example,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lyte, and a pouch packaging material. In this case, the pouch exterior material may be composed of two pouches such as an upper pouch exterior material and a lower pouch exterior material, and a concave inner spac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m. And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uch. Sealing part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wo pouches, so that the sealing parts are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can be sealed.

나아가,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극 리드가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한 전극 리드는 파우치 외장재의 실링부 사이에 개재되어 파우치 외장재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이차전지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단자는 전극 리드 또는 전극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또는 리드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전지에는 양극 리드탭과 음극의 리드탭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an electrode lead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lea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s of the pouch cas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 case, thereby functioning as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de lead or an electrode tab, or may be referred to as a lead tab. For example, a positive lead tab and a negative lead tab may be formed in the secondary battery.

이 때, 본 발명의 이차전지 셀은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양방향 타입, 또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타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들이 수평 방향으로 밀착 배열되어 셀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ary battery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 of a bidirectional type in which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or a type in which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battery module,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s may be close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cell stack.

한편, 이차전지 셀들 사이에는 완충 패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 패드는 충방전 과정에서 이차전지 셀들의 스웰링(swelling)에 따른 팽창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a buffer pad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he buffer pad may serve to absorb the expansion force caused by swelling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d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본 발명의 버스바 판넬은 상기 셀 적층체의 측면에 위치하여 각 리드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버스바 판넬에는 버스바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버스바는 이차전지 셀의 리드 단자(리드탭) 등을 버스바 판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탭은 상기 버스바 판넬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 관통되어 버스바 판넬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버스바 판넬에 배치된 상기 버스바는 관통된 양극의 리드탭 사이 및 음극의 리드탭 사이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적층된 이차전지 셀들의 리드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bus bar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ell stack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lead tab. To this end, a bus bar may be disposed on the bus bar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is case, the   bus bar may fix the lead terminal (lead tab)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to the bus bar panel. The lead tab may be inserted through a 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bus bar panel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panel, and the bus bar disposed on the bus bar panel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ead tabs of the anode and between the lead tabs of the cathode, respectively. By positioning, the lead tabs of the stacked secondary battery cell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버스바의 소재는 전도성이 있는 소재일 수 있으며,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 구리, 금 및 이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bus bar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for examp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gold, and an alloy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metal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한편, 상기 버스바 판넬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 판넬의 소재는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소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 판넬은 아크릴,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판넬일 수 있다. Meanwhile, the bus bar panel may be a plat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bus bar panel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plastic, polymer resin, etc., for example, the bus bar panel may be acrylic, epoxy resin, polyethylene, polyisobutylene, polypropylene, or polyamide. It may be a panel comprising a plastic such as the like.

나아가, 상기 버스바 판넬에는 이차전지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버스바들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판넬은 좌우로 하여 이등분 하였을 때, 서로 대칭된 위치에 조립되어 이차전지의 리드탭을 연결할 수 있다. Furthermore,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ing secondary battery cells may be assemb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bus bar panel. For example, when the bus bar panel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halves, the bus bar is assembled at symmetrical positions to connect the lead tabs of the secondary battery.

이 때, 상기 버스바 판넬은 이차전지 셀들의 리드탭 부분이 끼워지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에 각 이차전지 셀들의 리드탭이 통과, 삽입하여 관통되면, 버스바가 상기 이차전지 셀의 리드탭들을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이차전지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s bar panel has a slot into which the lead tab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is fitted, and when the lead tab of each secondary battery cell passes through the slot and is inserted therethrough, the bus bar is the lead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It is mounted to connect the tabs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cell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bus bar may connect positive terminals and negative terminals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또한, 상기 버스바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두께로 형성되어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s ba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capable of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respectively, for example, may be formed to the thickness of the pouch cas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respectively.

나아가, 본 발명의 버스바 판넬은 버스바와 연결된 금속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Furthermore, the bus bar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metal pattern connected to the bus bar.

상기 금속 패턴은 상기 버스바 판넬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스바 판넬에 양각 형태로 사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판넬 상에 사출된 패턴으로 금속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전기 통전이 가능하도록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bus bar panel,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injected into the bus bar pane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a metal pattern may be formed as a pattern injected on the bus bar panel. In addition, the pattern may be a pattern formed to enable electricity to pass through.

이 때, 상기 금속 패턴은 최소 버스바 판넬의 도금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돌출된 형태여야 하며, 버스바와 버스바 판넬의 평탄도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mm의 두께가 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금속 패턴이 0.1mm 미만으로 돌출될 경우 버스바 판넬 기본면 대비 돌출이 되어 있지 않아, 전기 통전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al pattern should be protruded compared to the minimum plating portion of the bus bar panel, and in consideration of the flatness of the bus bar and the bus bar panel, it may protrude preferably to have a thickness of 0.1 to 0.2 mm. have. At this time, when the metal pattern protrudes less than 0.1 mm, it does not protrude compared to the base surface of the bus bar panel, so a problem in which electricity is not performed properly may occur.

나아가, 상기 금속 패턴은 각 패턴이 서로 0.5㎛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5mm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이 0.5㎛ 미만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에는 절연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1mm를 초과하여 이격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버스바 판넬에 상기 금속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so that each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0.5 μm to 1 mm, preferably 0.5 μm to 0.5 mm. When the metal patter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less than 0.5 μm, an insulation problem may occur, and when the metal patter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more than 1 mm,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metal pattern on the bus bar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금속 패턴은 금속 분말 패턴으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패턴은 전도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도성 잉크는 은, 구리 및 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금속 패턴은 버스바로 연결된 전극 단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통전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metal pattern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etal powder pattern, and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by conductive ink. In this case, the conductive ink may include at least one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and gold. Accordingly, the metal pattern may conduct electricity provided from electrode terminals connected to the bus bar.

또한, 상기 금속 패턴은 상기 버스바 판넬에서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는 영역에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도 3과 같은 형태로 금속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금속 패턴은 버스바와 연결되어 각 셀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이 버스바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버스바는 상기 금속 패턴의 일부와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버스바와 접촉된 상기 금속 패턴 중 일부에서 상기 금속 패턴이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 region in which the bus bar is disposed in the bus bar panel, and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in the form shown in FIG. 3 . In this case, the metal pattern may be connected to the bus bar to sense each cell. In order for the metal pattern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the bus bar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metal pattern, and the metal pattern may be extended from a portion of the metal pattern contacted with the bus bar.

나아가, 상기와 같이 연장된 금속 패턴은 외부 신호 전달을 위해, 버스바 판넬의 일 영역으로 모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버스바 판넬에 형성된 금속 패턴은 버스바 판넬의 중심 상부에 모이는 형태로 형성되어, 쉽게 센싱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패턴은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연결되어 배터리에 이상이 있는 경우, 외부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패턴은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etal pattern exten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to gather in one area of the bus bar panel for external signal transmiss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metal pattern formed on the bus bar panel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gather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bus bar panel, and may be easily sensed. Accordingly, the metal pattern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s described above to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battery. For example, the metal pattern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to sense a temperature.

상기와 같이 버스바 판넬에서 금속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금속 패턴이 기존의 PCB나, FPCB와 같은 센싱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별도의 PCB나 FPCB가 없더라도 배터리의 온도 등을 센싱할 수 있어, 별도의 PCB나 FPCB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나아가, 기존과 같이 PCB나 FPCB를 버스바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정 시간까지 축소시킬 수 있다. When the metal pattern is formed on the bus bar panel as described above, the metal pattern can obtain the same sensing effect as the conventional PCB or FPCB. Therefore,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even without a separate PCB or FPCB, and there is no need to mount a separate PCB or FPCB, thereby reducing cost. Furthermore, a separate process for mounting the PCB or FPCB to the bus bar is not required as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process time can be reduced.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 판넬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PCB나 FPCB 없이도 배터리의 온도 등을 센싱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includes the bus bar panel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without a PCB or an FPCB.

나아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은 차량의 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전기차와 같은 차량의 배터리로 사용될 경우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vehicle battery, and when used as a vehicle batter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the cost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12)

양극의 리드탭 및 음극의 리드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셀들을 적층시킨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제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리드탭이 각각 삽입 관통하며, 관통된 각 리드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장착된 버스바가 배치된 버스바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판넬은 버스바와 연결된 금속 패턴이 형성된 것인, 배터리 모듈.
a cell stack in which secondary battery cells including a lead tab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lead tab of a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a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ll laminate,
and a bus bar panel in which each of the lead tabs is inserted through, and a bus bar mounted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of the penetrated lead tabs is disposed,
The bus bar panel will have a metal pattern connected to the bus bar is formed, the batter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관통된 양극의 리드탭 사이 및 음극의 리드탭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적층된 이차전지 셀들의 리드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버스바 판넬에 배치된 것인,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is positioned between the lead tabs of the anode and the lead tab of the anode, respectively, and is disposed on the bus bar panel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ead tabs of the stacked secondary battery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소재는 은, 구리, 금 및 이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of the bus bar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gold, and an alloy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a batter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판넬의 소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절연성 소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of the bus bar panel includes a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plastic, a batter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은 상기 버스바 판넬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인,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ttern is formed in a protruding form on the bus bar panel, the batter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은 0.5㎛ 내지 1mm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인,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tter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0.5㎛ to 1mm, the batter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은 전도성 잉크에 의해 형성된 것인,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ttern is formed by conductive ink, the battery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은, 구리 및 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ive ink includes at least one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and g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금속 패턴의 일부와 접촉하여 연결된,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is connected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metal pattern, the batter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은 상기 버스바 판넬에서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는 영역에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는 형태인,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ttern starts from an area in which the bus bar is disposed in the bus bar panel and extends from the bus bar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은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와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배터리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ttern is connected to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o sense the temperature, the battery module.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200032675A 2020-03-17 2020-03-17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2101160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75A KR20210116040A (en) 2020-03-17 2020-03-17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75A KR20210116040A (en) 2020-03-17 2020-03-17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040A true KR20210116040A (en) 2021-09-27

Family

ID=7792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675A KR20210116040A (en) 2020-03-17 2020-03-17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04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002B1 (en) Battery module with a fixing for a temperature sensitive element
EP1807900B1 (en) Member for measurement of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in battery pack
EP3686956A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nd battery pack
EP1817808B1 (en) Electrode connector containing plat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US11848432B2 (en) Battery module
KR100846956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Protecting Circuit Module
CN109891661B (en)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structure for temperature sensing element
KR20190064835A (en) Battery pack
US10270138B2 (en) Battery module with a fixture for a temperature sensitive element
CN111418090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dule bus bar
CN114651370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having bus bar
EP3316386B1 (en) Connector par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system compris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or part
CN112787043A (en) Battery module and electric device
KR20090055699A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assembly of novel structure
KR20210116040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ens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CN113906621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4730930A (en) Battery module with simplified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leads an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30126920A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configuration for battery cell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110919A (en)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terminal part of pcb and a bus bar are directly connected
KR20240047853A (en)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JP2023511215A (en) Battery modules, battery packs containing same and automobiles
KR20090026698A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