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347A -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347A
KR20210115347A KR1020200030956A KR20200030956A KR20210115347A KR 20210115347 A KR20210115347 A KR 20210115347A KR 1020200030956 A KR1020200030956 A KR 1020200030956A KR 20200030956 A KR20200030956 A KR 20200030956A KR 20210115347 A KR20210115347 A KR 2021011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ylinder
sludge collector
type sludg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498B1 (ko
Inventor
박기운
홍모세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기술
Priority to KR102020003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에 마련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침전조에 마련되며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부; 구동스프라켓에 연결되는 본체용체인; 침전조에 구동부의 구동스프라켓과 이격 마련되어 본체용체인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어 침전조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아이들부; 본체용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 및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되어 침전조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수중의 유동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여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Chain Flight type 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이 적으며 효율이 개선된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는 각종 오염 물질이 포함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약품 처리하여 침전조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는 긁어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부의 스컴은 밀어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된다.
통상의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스프라켓 및 종동 회전하는 복수의 아이들 스프라켓과,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형상의 체인과, 체인에 설치되어 침전조 바닥의 슬러지는 긁어모으고 상부의 스컴은 밀어내는 플라이트와, 플라이트에 의해 밀린 스컴을 배출하는 스키머를 포함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08746호(2007.01.18.) 상기한 문헌은 침전조 내의 바닥에 가라않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을 배출시키는 구성은 개시하고 있지만, 수중을 부유하는 미세 슬러지 입자와 같은 수중 유동 이물질 처리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 수중의 유동 이물질은 침전조 내에서 원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정화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처리수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처리되는 수질의 개선과 다음 공정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침전조에 마련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침전조에 마련되며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부; 구동스프라켓에 연결되는 본체용체인; 침전조에 구동부의 구동스프라켓과 이격 마련되어 본체용체인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어 침전조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아이들부; 본체용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 및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되어 침전조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수중의 유동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여과부;를 포함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의 축 상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수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여과막의 상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보조실린더는 상기 여과막의 하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실린더는 자중에 의해 상기 여과막의 하부를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실린더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실린더는 상기 아이들부 중 침전조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막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중량부재의 자중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함께 회전하는 실린더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체인은 상기 여과막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스컴이 배출되는 스키머에 인접한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의해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에 인접한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의해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에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슬러지 입자와 같은 수중 유동 이물질을 여과막으로 걸러내기 때문에, 최종 처리수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전체 설비의 공정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여과막을 별도의 동력원 없이 기설치된 구동부의 구동스프라켓이나 아이들부의 종동스프라켓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시공 중이거나 또는 운전 중인 슬러지 수집기에 간편하게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보조실린더를 통해 여과막에 수집된 유동 이물질들을 떼어내고, 여과막으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은 근접한 바닥 슬러지에 쌓이도록 하기 때문에 오염물의 처리 효율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구동부 및 여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여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보조실린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1)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1)는 원수가 유입되는 침전조(6)에 상호 이격 설치되는 구동부(10) 및 아이들부(15)와, 구동부(10)와 아이들부(15)에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용체인(20)과, 본체용체인(2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바닥의 슬러지 및 수면의 스컴을 수집하는 플라이트(30)와, 플라이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40)과, 수중에서 유동하는 미세 슬러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을 수집하는 여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6) 내에 원수의 유입 방향(도면에 화살표로 표시)과 반대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본체용체인(20)에 마련된 플라이트(30)를 이용하여, 침전조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는 바닥 한편에 마련되는 배출구(7)로 밀어 이동시키고,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은 배출구(7)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스키머(8)까지 플라이트(30)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염 물질들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원수에 포함되어 수중을 부유하는 미세 슬러지 입자 등의 유동 이물질들은 여과부(50)에 의해 수집되어 걸러진다.
먼저, 구동부(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와, 구동모터(11)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체인(12)과, 구동체인(12)의 타단이 연결되는 체인스프라켓(13a)과, 체인스프라켓(13a)과 나란히 마련되며 본체용체인(20)이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13)과, 구동스프라켓(13)과 체인스프라켓(13a)을 동축 상에서 연결하는 구동샤프트(13b)를 포함한다.
아이들부(15)는 침전조(6) 내에서 구동부(10)의 구동스프라켓(13)으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종동스프라켓(16,17,18)을 포함하여, 구동스프라켓(13)과 함께 본체용체인(20)을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여 플라이트(30)가 침전조(6) 내부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아이들부(15)는 침전조(6)의 하부에서 스키머(8) 측에 인접 마련되어 본체용체인(2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방향 전환하는 언더리턴스프라켓(16)과, 침전조(6)의 하부에서 스키머(8) 측으로부터는 멀고 슬러지 배출구(7)에는 가깝게 마련되어 본체용체인(20)을 하부에서 상부로 방향 전환하는 언더헤드스프라켓(17)과, 침전조(6)의 상부에서 스키머(8) 측으로부터는 멀고 슬러지 배출구(7)에는 가깝게 마련되어 본체용체인(2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방향 전환하는 업퍼리턴스프라켓(18)을 포함한다. 후술하겠지만, 언더리턴스프라켓(16)과 언더헤드스프라켓(17) 사이에는 바텀 레일(42)이 위치하며, 업퍼리턴스프라켓(18)과 구동스프라켓(13) 사이에는 리턴 레일(44)이 위치한다.
구동부(10)의 구동스프라켓(13)과 아이들부(15)의 종동스프라켓(16,17,18)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용체인(20)을 양단에서 수평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좌우 한 쌍의 스프라켓들(13,16,17,18)은 하나의 샤프트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용체인(20)은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원형의 체인링크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연결하여 마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체인링크는 2 개의 체인링크를 관통하는 체인축을 중심으로 2열 씩 내측과 외측, 외측과 내측으로 교호로 순차 배치되어 연결된다. 또한, 체인링크와 체인축 사이에는 좌우 밀림방지 및 상대 회전을 위한 부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체인축의 끝단에는 체인링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링크핀이 마련될 수 있다.
플라이트(30)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좌우 한 쌍의 본체용체인(20)에 양측이 지지되며, 본체용체인(20)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침전조(6) 하부에서는 슬러지를 수집하고 상부에서는 스컴을 수집하여 일방향으로 밀어낸다.
레일(40)은 플라이트(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6)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텀 레일(42)과, 침전조(6)의 상측에 마련되는 리턴 레일(44)을 포함한다.
바텀 레일(42)은 본체용체인(20)의 하측 구체적으로 본체형체인(20)의 직하 방향에 마련되며, 리턴 레일(44)은 본체용체인(20)의 측면 외측에 마련된다. 이는 플라이트(30)를 길이방향 정면에서 봤을 때 리턴 레일(44)은 바텀 레일(42)(또는 본체형체인(20))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리턴 레일(44)은 침전조(6)의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구(도 1의 46 참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후륜 방식으로, 구동부(10)가 스키머(8)와 가장 인접한 종래 리턴 레일(44)의 본체용체인 이동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스프라켓(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스프라켓(13)) 상부에 위치하여 구동체인(12)을 통해 구동모터(11)와 구동스프라켓(13)이 연결된다. 따라서, 리턴 레일(44)을 통과하는 본체용체인(20)은 구동스프라켓(13)의 인장력에 의해 항상 팽팽하게 당겨져 본체용체인(20)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과부(50)는 침전조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수중을 유동하는 미세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낸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와 여과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50)는 구동부(10)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실린더(51)에 의해 회전되며, 유동하는 원수와 넓은 표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원수의 유동 방향에 대해 대향 마련되는 여과막(52)을 포함한다.
실린더(51)는 구동부(1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체인(12)과, 구동체인(12)의 일단이 연결되는 체인스프라켓(13a)과, 구동샤프트(13b)와, 구동스프라켓(13)을 포함하는데, 실린더(51)는 구동샤프트(13b)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실린더(51)의 내경 측에는 구동샤프트(13b)가 결합되고, 외경 측에는 여과막(52)이 마련된다.
또한, 실린더(5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직경이 클수록 여과막(52)과 마찰이 커지므로 여과막(52)의 회전에 용이하며, 또한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어 수중 유동 이물질의 수집 및 포집이 용이해진다.
여과막(52)은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은 메쉬나 미세모를 갖는 융 형태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린더(51)를 감싸고 회전하면서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동 이물질을 포집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쉬의 크기를 크게 한정하고 있지 않지만, 그 크기가 작을 수록 보다 미세한 유동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어 침전조(6)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막(5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H)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여과막은 상부 높이(H1)가 구동샤프트(13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데 반해, 하부의 높이(H0)는 침전조(6)의 설비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적어도 바닥에 쌓여 있는 슬러지의 표면(S)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근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막(52)으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지는 슬러지 입자들은 다시 수중을 부유하지 않고 바닥 슬러지에 용이하게 쌓일 수 있다.
한편,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여과막(52)은 일측은 상술한 실린더(5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보조실린더(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조실린더(53)는 실린더(51)와 나란하게 마련되되, 실린더(5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보조실린더(53)는 자중을 이용하여 여과막(52)의 하부를 내측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실린더(51)와 보조실린더(53) 사이의 간격은 여과막(52)의 높이(H)에 상응한다. 보조실린더(53)는 실린더(5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또는 직경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자중에 의해 여과막(52)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중량부재로 지칭할 수도 있다. 중량부재로서의 보조실린더(53) 형상은 도시된 원통형은 물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실린더(53)와 실린더(51)는 여과막(52)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체인(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체인(55)은 여과막(52)의 좌우측에 적어도 하나가 나란하게 마련되어 여과막(52)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실린더(51)와 보조실린더(53)를 동일하게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실린더(51)와 보조실린더(53)에는 각각 스프로켓(56, 5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로켓(56)은 체인스프라켓(13a)과 구동스프라켓(13)과 구동샤프트(13b)를 이용하여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미도시된 감속 또는 증속 부재로 실린더체인(55)과 구동샤프트(13b)를 연결할 경우, 여과막(52)은 본체용체인(20)과 다른 속도로 운전될 수 있어 원수의 유속에 대한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여과막을 갖는 슬러지 수집기는 서로 응집하면서 중량에 의해 낙하하여 슬러지에 침전되는 미세 슬러지 입자의 특성 상 침전조(1) 내부에서 슬러지 배출구(7) 보다는 스키머(8)에 인접하도록 설치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수중 부유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50')은 상기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50')는 가림부(52a)와 개방부(52b)가 그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호 배치되어 있는 여과막(52')을 포함한다. 가림부(52a)는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미세 메쉬 형태를 가지며, 개방부(52b)는 이웃하는 가림부(52a) 사이에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여과막(52')은 원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동 이물질을 원수의 유동 방향 전방은 물론 후방에서도 포집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예 및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여과막(52, 52')을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여과막은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유수에 대향하는 표면에 타공된 복수의 구멍을 갖거나 또는 도시된 가로 방향 외에 세로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도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50")은 상기 실시 예들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50")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53a)를 갖는 보조실린더(5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여과막(52)은 침전조(6) 내의 원수 흐름에 따라 그 유동 방향에 대향하는 전방(여과막(52)의 외측)에서 대부분의 수중의 유동 이물질을 수집한다. 이에 반해, 보조실린더(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막(52)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과막(52)에 달라붙은 유동 이물질들은 보조실린더(53)를 통과하면서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여과막의 표면으로부터 유동 이물질들을 박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실린더(53")에 마련되는 복수의 돌기(53a)는 여과막(53)의 메쉬 사이즈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경우, 상술한 유동 이물질의 여과막 박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예 및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보조실린더(53", 53)를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보조실린더의 돌기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돌기가 아니더라도 보조실린더의 표면을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유동 이물질의 박리가 바닥 슬러지에 근접한 보조실린더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51)에도 돌기를 설치하여 유동 이물질을 박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2)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륜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와 달리 구동부(10)가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7)에 인접한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전륜 방식을 나타낸다. 전륜일 경우에도 여과부(50)는 상기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침전조 상에서의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하게 수중을 유동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키머(8)에 인접하게 아이들부(15)의 종동스프라켓(19)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 종동스프라켓(19)에 여과부(50)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3)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술한 4축의 전륜 또는 후륜 방식의 슬러지 수집기와 달리 3축의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3축일 경우에도, 여과부(50)는 상기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침전조 상에서의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하게 수중을 유동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6..침전조 10..구동부
11..구동모터 12..구동체인
13..구동스프라켓 15..아이들부
16, 17, 18, 19..종동스프라켓 20..본체용체인
30..플라이트 40..레일
42..바텀 레일 44..리턴 레일
50..여과부 51..실린더
52..여과막 53..보조실린더(중량부재)

Claims (11)

  1. 침전조에 마련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침전조에 마련되며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연결되는 본체용체인;
    상기 침전조에 구동부의 구동스프라켓과 이격 마련되어 상기 본체용체인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어 침전조를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아이들부;
    상기 본체용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 및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되어 침전조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수중의 유동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여과부;를 포함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의 축 상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수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여과막을 포함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여과막의 상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보조실린더는 상기 여과막의 하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실린더는 자중에 의해 상기 여과막의 하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실린더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실린더는 상기 아이들부 중 침전조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막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중량부재의 자중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함께 회전하는 실린더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체인은 상기 여과막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마련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스컴이 배출되는 스키머에 인접한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해 동작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에 인접한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스프라켓 또는 종동스프라켓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0200030956A 2020-03-12 2020-03-12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51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956A KR102510498B1 (ko) 2020-03-12 2020-03-12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956A KR102510498B1 (ko) 2020-03-12 2020-03-12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47A true KR20210115347A (ko) 2021-09-27
KR102510498B1 KR102510498B1 (ko) 2023-03-16

Family

ID=7792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956A KR102510498B1 (ko) 2020-03-12 2020-03-12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083B1 (ko) 2022-09-28 2023-03-17 주식회사 가온텍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46A (ko)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현서 Pbt 핀틀체인 절단전기검출식 전체 비금속 슬러지수집장치
KR100871352B1 (ko) * 2008-05-23 2008-12-02 (주)탑스엔지니어링 나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065257B1 (ko) * 2010-12-30 2011-09-19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플럭 제거를 위한 방류수 여과막
KR101214548B1 (ko) * 2012-08-17 2012-12-24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생 오니 응집 고도처리 침전 및 배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46A (ko)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현서 Pbt 핀틀체인 절단전기검출식 전체 비금속 슬러지수집장치
KR100871352B1 (ko) * 2008-05-23 2008-12-02 (주)탑스엔지니어링 나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065257B1 (ko) * 2010-12-30 2011-09-19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플럭 제거를 위한 방류수 여과막
KR101214548B1 (ko) * 2012-08-17 2012-12-24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생 오니 응집 고도처리 침전 및 배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한 문헌은 침전조 내의 바닥에 가라않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을 배출시키는 구성은 개시하고 있지만, 수중을 부유하는 미세 슬러지 입자와 같은 수중 유동 이물질 처리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 수중의 유동 이물질은 침전조 내에서 원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정화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처리수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083B1 (ko) 2022-09-28 2023-03-17 주식회사 가온텍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498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762B2 (en) Horizontally traveling water screen
KR101884783B1 (ko) 엉킴 방지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일체형 무빙스크린
KR101540242B1 (ko)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EP3003526A2 (en) Continuous belt screen
KR20210115347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111951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963372B1 (ko) 종합 전처리설비
KR102003484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511082B1 (ko) 하, 폐수용 종합 전처리장치
KR200349383Y1 (ko) 제진기
KR101147784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EP0638003B1 (en) Screening apparatus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976013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갖춘 협잡물 처리장치
KR101044248B1 (ko) 수 처리용 회전식 플레이트형 제진기
KR100893400B1 (ko)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US8136673B2 (en) Grit elevator
KR20210126466A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10259504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0430146Y1 (ko) 오,폐수의 협잡물 제거장치의 레이크 구조
KR200177689Y1 (ko) 오물수거용 스크린컨베이어
KR202000438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567531B1 (ko) 회전 벨트방식의 필터스크린 시스템
KR102481167B1 (ko) 삼방향종합물질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