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92A - Touch sensor - Google Patents

Touch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92A
KR20210114292A KR1020200029831A KR20200029831A KR20210114292A KR 20210114292 A KR20210114292 A KR 20210114292A KR 1020200029831 A KR1020200029831 A KR 1020200029831A KR 20200029831 A KR20200029831 A KR 20200029831A KR 20210114292 A KR20210114292 A KR 2021011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ser
electrode
reg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범모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2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292A/en
Priority to PCT/KR2021/002667 priority patent/WO2021182796A1/en
Publication of KR2021011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of a use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ouch sensor that can enhance a security by leaving no trace of the user. The touch sensor comprises: a sensing part; and a signal processing part.

Description

터치 센서{TOUCH SENSOR}touch sensor {TOUCH SENSOR}

본 발명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user's touch action.

기업체 출입문, 주거 공간 및 금고 등에는 절도 방지 등 보안의 목적으로 보안 시스템을 구비한다. 일 예로서 보안 시스템으로는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A security system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security, such as theft prevention, at corporate entrances, residential spaces, and safes. As an example, a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as a security system.

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잠금 장치에는 사용자의 손 끝으로 누르면 화면 상에 표시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저항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A locking device mainly used recently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capable of inputting an instruction displayed on a screen when the user's fingertip is pressed. The touch sensor may sense a user's input signal using a capacitive method or a resistive method.

이러한 터치 센서에 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65807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한국등록특허 제 10-190044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Patents for such a touch sensor include those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6580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nd Korean Patent No. 10-190044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as patents. is known.

특허문헌 1은 터치가 발생할 때 서로 간에 상호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두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전 용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screen having a touch sensor panel including two electrodes whose mutual capacitance changes with each other when a touch occurs, so that a user's input signal can be sensed using a capacitive method. .

특허문헌 1은 암호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해서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터치하고, 해당 영역의 터치 면적과 모두 일치하면 잠금이 해제된다.Patent Document 1 touches the same area as the stored area as a preset password for each of the encryption code input areas, and when all of the touch areas of the corresponding area match, the lock is released.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암호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사용자의 지문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잠금 암호의 추측이 쉽고, 이로 인해 보안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user's fingerprint remains in each of the encryption code input areas, it is easy to guess the lock password,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security strength is weakened.

특허문헌 2는 사용자 터치에 의한 압저항 패턴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패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압저항 센서부를 포함하는 터치 판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atent Document 2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panel unit including a piezoresistive sensor unit that detects a piezoresistive pattern by a user's touch and generates a patter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hereto.

특허문헌 2는 압저항 센서부를 구성하는 압력 전달 패드가 일종의 패드형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눌려진 후 다시 복원되는 방식으로 잠금 해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Patent Document 2, the pressure transmission pad constituting the piezoresistive sensor unit is configured as a kind of pad-type button, and the lock release process may be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it is restored after being pressed by the user's finger pressure.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장기간 사용시 압력 전달 패드의 복원력이 저하되어 눌러진 버튼에 의해 암호가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the restoring force of the pressure transmission pad is lowered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a problem in which the password is exposed by the pressed button may occur.

위와 같이, 특허문헌 1, 2는 터치 센서의 암호로 지정된 부분을 각각 터치하는 과정을 통해 잠금 해제 과정이 수행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지문 및 터치 흔적이 그대로 남아서 보안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Patent Documents 1 and 2, the unlocking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touching a portion designated as a password of the touch sensor, respectively.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fingerprint and touch traces remain in the portion where the user's touch is input, so that security is weak.

따라서,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에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a security system using a touch sensor.

한국등록특허 제10-165807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58072 한국등록특허 제10-1900446호Korean Patent No. 10-190044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속적인 터치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흔적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or capable of enhancing security by not leaving a trace of a user through a continuous touch operation.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터치 센서는, 복수의 전극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 가능한 센싱부; 및 적어도 2개의 전극부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uch sens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capable of identifying a user's touch position throug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a user's input signal using continuous sliding touches on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또한, 상기 센싱부는, 복수의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전극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and at least one insula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unit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unit, and a user's touch position can be identified through each electrode unit. .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고, 상기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 최종 위치 및 연속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generates a continuous sliding touch in one direction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user, and processes at least one of an initial position, a final position, and a continuous position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n input signal of the user. do.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사용자의 터치가 불연속적이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generated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user, but when the user's touch is discontinuous, it is generated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사용자의 터치 방향이 전환되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generated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user, but is generated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hen the direction of the user's touch is changed.

또한, 상기 전극부는 구동 라인 또는 센싱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라인 및 상기 센싱 라인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riving line or a sensing line, and the driving line and the sensing line ar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상기 센싱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lay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또한, 터치 위치가 상기 구동 라인에 연결된 전극부인 경우, 상기 센싱부는 상기 터치 위치와 상기 터치 위치의 양쪽에 위치하는 전극부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osition is an electrode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he sensing unit identifies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electrode uni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osition.

또한, 터치 위치가 상기 센싱 라인에 연결된 전극부인 경우, 상기 센싱부는 상기 터치 위치와 상기 터치 위치의 양쪽에 위치하는 전극부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osition is an electrode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the sensing unit identifies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electrode uni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osition.

또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각 행이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each ro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또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행 간에 행간 절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ine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rows.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센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센서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통해 일련의 패턴으로 암호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자릿수의 번호 형태로 암호가 설정되더라도,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한 잠금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흔적 제거 과정이 별도로 수행되지 않더라도 잠금 해제 과정에서 사용자의 흔적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보안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a password in a series of patterns through continuous sliding touches. In addition, even if the password is set in the form of a number of a specific number, it may be possible to unlock the lock by continuous sliding touch. Due to this, even if the user's trace removal process is not separately performed, the user's traces can be removed in the unlocking process, so it has an effect of having a very good security func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 구비되는 센싱부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터치 위치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5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전극부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도시한 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10은 전극부의 면적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감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nsing unit provided in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ng principl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identifying a touch position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ield formed in an electrode part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input;
6 to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s input signal by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user's finger movement sensitivity according to an area of an electrode part;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vise various devices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ventive concep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폭 및 영역들의 두께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erspective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dths and thicknesses of regions shown in thes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복수의 전극부(M)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 가능한 센싱부(3', 3") 및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부(M) 사이에는 절연부(I)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도 1, 2에서는 센싱부(3', 3")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절연부(I)가 생략되어 도시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4)가 생략되어 도시된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ing units 3 ′, 3 ″, which can identify the user's touch position throug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and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processing unit 4 that processes a user's input signal using a continuous sliding touch. An insulating unit I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In 1 and 2, in order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units 3' and 3″, the insulating unit I is omitted. Also,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is omitted and sh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센싱부(3', 3")를 통해 전극부(M)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부(3', 3")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구조에 대한 한정은 없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unit M through the sensing units 3' and 3" to identify the user's touch position.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If (3', 3") is a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identifying a user's touch loca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tructure.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3')는 복수이 전극부(M)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부(3')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라면, 그 구조에 대한 한정은 없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sensing unit 3 ′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as long as the sensing units 3'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truct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3')는 구동 라인(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전극부(DM)의 상부로 이격되게 센싱 라인(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 전극부(SM)가 구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ensing unit 3 ′ is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D ( SM)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provided with.

이 경우, 도 1의 도면상에는 센싱부(3')가, 하나의 구동 전극부(DM) 및 상기 구동 전극부(DM)와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구동 전극부(DM)의 상부에 복수의 센싱 전극부(SM)가 구비되는 구조로 도시된다. 센싱부(3')는 복수의 전극부(M)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일 경우,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in the drawing of FIG. 1 , a sensing unit 3 ′ has one driving electrode unit DM an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located o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with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t is show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part SM is provided. When the sensing unit 3 ′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nsing unit 3 ′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이와는 달리, 센싱부(3')는 복수의 구동 전극부(DM)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부(DM)와 이격 거리를 두고 그 상부에 각각의 상기 구동 전극부(DM)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센싱 전극부(DM)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the sensing unit 3 ′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driving electrode units DM o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 units DM and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 units DM. It may be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electrode part D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3')의 복수의 전극부(M)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의 터치에 따른 전기장(EF)의 변화에 의해 변화된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한다.As shown in FIG. 1 ,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of the sensing part 3'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EF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user's finger F A method of measuring the capacitance changed by the ?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한편, 센싱부(3")는 복수의 전극부(DM)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부(M)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각각이 구동 라인(D) 또는 센싱 라인(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라인(D) 및 센싱 라인(S)은 교번적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전극부(M)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3″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DM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or the sensing line S. In this case, the driving line D and the sensing line S are alternately provided to form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부(M)가, 교번적으로 구비되는 구동 라인(D) 및 센싱 라인(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센싱부(3")는 구동 전극부(DM) 및 센싱 전극부(SM)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when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s D and the sensing lines S which are alternately provided, sensing The part 3 ″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and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의 전극부(M)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 이격된 거리에는 절연부(I)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절연부(I)가 생략되어 도시된다.Wh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sulating part I may be provided at the spaced distance. In FIG. 2 , the insulating portion I is omitted.

복수의 전극부(M)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에서, 센싱부(3")가 사용자의 손가락(F) 터치에 의해 변화된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한다.In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method for the sensing unit 3 ″ to measure the capacitance changed by the user's finger F tou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 .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터치 위치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ng principle for explaining a touch position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복수의 전극부(M)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이격 거리에 절연부(I)가 구비되어 복수의 전극부(M)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구조의 센싱부(3)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싱부(3)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센싱부(3')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복수의 전극부(M)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센싱부(3")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복수의 전극부(M)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3 ,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sulating part I is provided at the separation distance to provide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Although the sensing unit 3 having a structure in which ) is continuously provided is illustrated,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unit 3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3 ′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3 ″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복수의 전극부(M) 및 전극부(M)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부(M)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I)를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부(M)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 가능한 센싱부(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and the electrode parts M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electrode part 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insulating part (I) for separating, and a sensing part (3) capable of identifying a user's touch position through each electrode part (M).

센싱부(3)의 상면에는 커버층(2)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층(2)은 절연층 및 /또는 유전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라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cover layer 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 . The cover layer 2 may be comprised of an insulating layer and/or a dielectric layer, and may comprise, for example, glass.

도 3에서는 복수의 전극부(M)가 8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전극부(M)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의 전극부(M)에 도시된 ⓞ 내지 ⑦은 각각의 전극부(M)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역 구성일 수 있고,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숫자를 표시한 구성일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전극부(M)에 도시된 'ⓞ 내지 ⑦'은 전극부(M)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역 구성일 수 있다.In FIG. 3 ,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with eight, bu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is not limited thereto. ⓞ to ⑦ shown in the electrode part M of FIG. 3 may be a region configuration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each electrode part M, or a configuration in which numbers displayed on the cover layer 2 are indicated. . In FIG. 3 , 'ⓞ to ⑦' shown in the electrode part M may be a region configuration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In FIG.

복수의 전극부(M)는 구동 라인(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구동 전극부(DM)로서 기능할 수 있고, 센싱 라인(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센싱 전극부(SM)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may function as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and function as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S. can d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절연부(I)을 사이에 두고 구동 라인(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전극부(DM) 및 센싱 라인(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 전극부(SM)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그 상면으로 커버층(2)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electrode part DM and a sensing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with the insulating part I interposed therebetween. Sensing electrode units SM electrically connected to S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nd a cover layer 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이 때 구동 전극부(DM)에 전압을 가하면, 구동 전극부(DM)와 센싱 전극부(SM)간에 전기장(EF)이 형성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an electric field EF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을 이용한 터치가 커버층(2)에 입력될 수 있다. 커버층(2)은 투명성을 갖는 글라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state, a touch using the user's finger F may be input to the cover layer 2 . The cover layer 2 may include glass having transpar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버층(2)에 터치가 입력되면, 구동 전극부(DM) 및 센싱 전극부(SM)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F)이 변화하게 된다.When a touch is input to the cover layer 2 ,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and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is changed.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커버층(2)에 사용자의 손가락(F)을 이용한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터치가 입력된 커버층(2)의 터치 위치가 센싱 전극부(SM)의 위치일 수 있다. 터치가 입력된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a touch using a user's finger F may be input to the cover layer 2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n the drawing of FIG. 3 , as an example, the touch position of the cover layer 2 to which the touch is input may be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is inp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층(2)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 위치의 센싱 전극부(SM)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입력을 수신 받은 센싱 전극부(SM)와 그 양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구동 전극부(DM)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F)이 변화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 when a touch is input to the cover layer 2 ,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at the touch position may receive the touch input. As a result,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receiving the touch input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thereof is changed.

그 결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터치가 입력되지 않은 비터치 상태의 전극부(M)간의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터치 위치의 센싱 전극부(SM)와 그 양쪽에 인접하게 배치된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가 감소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ouch position compared to the capacitance of the initial value between the electrode units M in a non-touch state in which a touch is not input to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jacent to both sides thereof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s DM which are arranged in such a way as to decreas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제5영역에 위치하는 센싱 전극부(SM)에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F)의 적어도 일부의 방향과, 제6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F)의 적어도 일부의 방향이 사용자의 손가락(F)측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일부의 전기장(EF)의 방향의 변화에 의해, 터치 위치의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와,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가 상기한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와,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6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가 상기한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touch input may be received by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located in the fifth region.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fth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and the fifth region of the sixth region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s SM of the region may change toward the user's finger F. Due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 field EF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fth region of the touch position and the fourth sensing electrode unit SM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fth regio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parts DM in the region decrease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initial capacitance. In additio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fth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ixth reg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fth region is the above-described initial capacitance. will decrease compared to

센싱부(3)는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와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간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하는 것을 측정하고, 제5영역이 센싱 전극부(SM)와 제6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하는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제5영역의 센싱 전극부(SM)임을 식별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 measures that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fth region decreases compared to the initial capacitance, and the fifth region is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ixth region decreases compared to the initial capacitance, and thus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user's touch position is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fifth region.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센싱부(3)를 통해 터치 위치의 센싱 전극부(SM)와 그 양쪽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구동 전극부(DM)와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하는 것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at the touch position and each driving electrode unit DM adjacent to both sides thereof is initially determ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3 . By measuring the decrease compared to the capacitance of the valu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user's touch lo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전극부(M)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도시한 도이다. 이 경우, 도 4에서는 센싱부(3)의 상면에 커버층(2)이 생략된 형상이 도시되고, 도 5에서는 센싱부(3)의 상면에 커버층(2)이 구비된 형상이 도시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ntinuous sliding touch by a user's finger F is input to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ntinuous sliding touch input.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electrode part M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 shape in which the cover layer 2 is omitted is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 in FIG. 4 , and a shape in which the cover layer 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 is shown in FIG. 5 .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복수의 전극부(M) 및 각각의 전극부(M)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부(I)를 포함하는 센싱부(3) 및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and an insulating part (I) for electrically separating each electrode part (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sing unit 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4 that processes a user's input signal using a continuous sliding touch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전극부(M)는 구동 라인(D) 또는 센싱 라인(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라인(D) 및 센싱 라인(S)은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art M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or the sensing line S, and the driving line D and the sensing line S may be alternately disposed.

전극부(M)는 구동 라인(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구동 전극부(DM)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극부(M)는 센싱 라인(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센싱 전극부(SM)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부(M)는 구동 전극부(DM) 및 센싱 전극부(S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part 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it may be implemented as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part 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S, it may be implemented as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Accordingly, the electrode part M may include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and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 sliding touch to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may be input by a user's finger F.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센싱부(3)를 통해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신호 처리부(4)를 통해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처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through the sensing unit 3 , and the user input using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 A signal may be processed.

먼저, 센싱부(3)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터치 위치 식별을 위한 작동 원리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싱부(3)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 위치의 전극부(M)와 상기 전극부(M)의 양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부(M)간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First, the sensing unit 3 may identify the touch posi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using the operating principle for identifying the touch posi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In other words, the sensing unit 3 measures the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 part M at the touch position where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and the electrode part M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electrode part M to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ouch location of the sliding touch.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센싱부(3)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시작되는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와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의 양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부(M)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w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to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3 is an electrode at the initial position ST where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starts.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portion M and the electrode portion M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electrode portion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may be measured.

또한, 센싱부(3)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종료되는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와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의 양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부(M)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3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the electrode part M at the final position FI where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ends and the electrode part M at the final position FI. ) can be measured.

또한, 센싱부(3)는,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 및 상기 초기 위치(ST) 전극부(M)와 최종 위치(FI)의 전극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전극부(M)로 구성된 연속 위치(SE)의 전극부(M)에서, 각각의 전극부(M)의 양쪽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부(M)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3 includes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the electrode part M at the final position FI, and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final position FI. In the electrode portion M at the continuous position SE composed of the electrode portions M continuously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portions of change can be measured.

구체적으로, 연속 위치(SE)의 전극부(M)는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와,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 및 초기 위치(ST)의 전극부와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른 전극부(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센싱부(3)는 연속 위치(SE)의 각각의 전극부(M)와 그 양쪽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부(M)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lectrode part M at the continuous position SE includes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the electrode part M at the final position FI, the electrode part at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final pos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other electrode part M continuously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arts M at the position FI.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3 may measure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each electrode part M at the continuous position SE and the electrode parts M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thereof.

도 4에서는 일 예로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가 제2영역의 전극부(M)의 위치일 수 있다. 제2영역의 전극부(M)는 구동 라인(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전극부(DM)일 수 있다.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초기 위치(ST)에서 시작하여 제8영역의 전극부(M)의 위치에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제8영역의 전극부(M)의 위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최종 위치(FI)일 수 있다. 이 경우, 제8영역의 전극부(M)는 구동 라인(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전극부(DM)일 수 있다.In FIG. 4 , as an example,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cond region.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cond region may be a driving electrode part D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As shown in FIG.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start at the initial position ST and end at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in the eighth region.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in the eighth region may be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n this case, the electrode part M of the eighth region may be a driving electrode part D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As shown in FIG.

또한, 제2영역의 전극부(M) 내지 제8영역의 전극부(M)는 연속 위치(SE)의 전극부(M)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cond region to the electrode part M of the eighth region may be the electrode part M of the continuous position S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초기 위치(ST)인 제2영역의 전극부(이하,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라 함)에서부터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고, 최종 위치(FI)인 제8영역 전극부(이하, '제8영역의 센싱 전극부'라 함)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속 위치(SE)의 전극부(M)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내지 제8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the electrode part of the second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riving electrode part of the second region')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ST. A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made, and may end at the eighth region electrode p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ighth region sensing electrode part'), which is the final position FI. In this case, the electrode part M of the continuous position SE may be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of the eighth region.

도 5(a)는 도 4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인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전기장(EF)의 방향 및 나머지 전극부(M)의 전기장(EF)의 방향을 도시한 도이고, 도 5(b)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해 초기 위치(ST)인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3영역의 전극부(이하,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라 함)로 사용자의 손가락(F)이 이동하였을 경우,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의 전기장(EF)의 방향 및 나머지 전극부(M)의 전기장(EF)의 방향을 도시한 도이다. FIG. 5( a ) shows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of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second region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of FIG. 4 and the electric field EF of the remaining electrode part M of FIG. 4 . It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and FIG. 5(b) is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ST, to the electrode part of the third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f the third region') by continuous sliding touch. When the user's finger F moves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i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and It is a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도 5에서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 및 초기 위치(ST)에서부터 이동된 터치 위치의 전극부(M)의 전기장(EF)의 방향 변화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기 위하여 도 5(a) 및 (b)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도 5(a) 및 (b)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하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이다.In FIG. 5, in order to specifically show the direction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EF of the electrode part M of the touch position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IG. 5(a) and FIG. Although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ly illustrated in (b), FIGS. 5(a) and (b) are a tou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sensor (1).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이 초기 위치(ST)의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 위치할 경우,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와 인접하는 제1영역의 센싱 전극부(SM)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F)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EF)의 적어도 일부의 방향이 사용자의 손가락(F)측으로 변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 when the user's finger F is positioned on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of the initial position ST,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s SM of the adjacent first region and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s SM of the third region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finger F. can change

이로 인해 제1영역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간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pacita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rst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may decrease compared to the initial capacitance. Also,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initial capacitanc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위치가 구동 라인(D)에 연결된 전극부(구체적으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인 경우, 센싱부(3)는 터치 위치와 터치 위치의 양쪽에 위치하는 전극부(구체적으로, 제1영역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 when the touch position is an electrode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D (specifically,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the sensing unit 3 is connected to the touch position and The user's position may be identified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 unit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osition (specifically,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센싱부(3)는 이와 같은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를 식별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 may measure the capacitance change to identify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그런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 위치가 초기 위치(ST)인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로 이동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5(b) , the touch position is the initial position ST by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nput of the user's finger F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area to the third area. may be moved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이로 인해 제2영역의 구동 센싱부(3)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간에 형성된 전기장(EF) 중 적어도 일부의 방향이 사용자의 손가락(F)측으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에 형성된 전기장(EF)중 적어도 일부의 방향이 사용자의 손가락(F)측으로 변화하게 된다.Accordingly,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driving sensing unit 3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changes toward the user's finger F.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changes toward the user's finger F.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위치가 센싱 라인(S)에 연결된 전극부(구체적으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인 경우, 센싱부(3)는 터치 위치와 터치 위치의 양쪽에 위치하는 전극부(구체적으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 when the touch position is an electrode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S (specifically,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the sensing unit 3 is connected to the touch position and The user's touch position can be identified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 uni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osition (specifically,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fourth region). .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간에 형성된 전기장(EF)의 방향 변화에 의해,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간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에 형성된 전기장(EF)의 방향 변화에 의해,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간의 커패시턴스가 초기값의 커패시턴스 대비 감소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second region is caused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second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in the third region. A capacitance between the sub-DM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may be reduced compared to an initial capacitance. In addition, due to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units DM may be reduced compared to an initial capacitance.

이로 인해, 센싱부(3)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로 이동된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ing unit 3 may identify the touch position mov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도 5에서는 초기 위치(ST)의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연속 위치(SE)의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로 터치 위치가 이동될 경우 전기장(EF)의 방향 변화만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8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부(3)가 터치 위치에 따른 전기장(EF)의 방향 변화에 의한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In FIG. 5 , when the touch position is mov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of the initial position ST to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of the third region of the continuous position SE, the direction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EF Only it is shown by way of example. As shown in FIG. 4 , w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eighth reg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sensing unit 3 ) may measure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to identify the user's touch position.

위와 같이, 센싱부(3)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터치 위치는 신호 처리부(4)에 의해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touch position identified through the sensing unit 3 may be generated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6 to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s input signal by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일 예로서 암호가 설정되는 잠금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는 설명에서는 잠금 장치로 제공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되는 암호는 자릿수가 제한된 특정 번호(예를 들어, 4자리의 특정 번호), 연속적인 패턴에 의한 일련의 번호로 구성될 수 있고, 연속적인 패턴, 자릿수가 제한된 특정 그림 문자 및 연속적인 패턴에 의한 연속적인 특정 그림 문자 등의 형태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locking device in which a password is set as an example.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s input signal by the touch sensor 1 provided as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password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specific number with a limited number of digits (eg, a 4-digit specific number), and a series of numbers by a continuous pattern. and may be in the form of a continuous pattern, a specific pictogram with a limited number of digits, and a continuous specific pictogram by a continuous patter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센싱부(3)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신호 처리부(4)를 통해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user's touch position identified through the sensing unit 3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

신호 처리부(4)는 센싱부(3)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한 터치 위치가 식별되면, 연속적으로 식별된 터치 위치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하나의 터치 입력 신호로 감지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identifies the touch position by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by the sensing unit 3, the continuously identified touch 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sensed by the touch sensor 1 as a single touch input signal, continuous sliding touches with respect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may be generated as individual input patterns.

신호 처리부(4)는 일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고,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초기 위치(ST) 및 연속 위치(S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generates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in one direction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user, and the final position FI,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continuous position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t least one of (SE) may be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호 처리부(4)는, 센싱부(3)에 의해 초기 위치(ST), 연속 위치(SE) 및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가 순차적으로 연속되게 식별되면, 이를 토대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에 따라 구분되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초기 위치(ST) 및 연속 위치(S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입력하려고 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을 서로 구분하는 방법은, (i)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종료되어 사용자의 터치가 불연속적인 경우, (ii)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방향이 일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 (iii)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 과정에서 특정 전극부(M)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소정의 설정 시간 이상으로 머무르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is sequentially and continuously identified by the sensing unit 3, the electrode part M of the initial position ST, the continuous position SE, and the final position FI, Based on this, individual input patterns can be created. Then, at least one of the final position FI,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divided accordingly may be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to be input by the user.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from each other is: (i) when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on the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ends and the user's touch is discontinuous, (ii)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 when th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switched from one direction to the other, (iii) the user's touch is predetermined at a specific electrode portion M in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process for at least two electrode portions M. It may be at least any one of the cases of staying longer than the set time of .

신호 처리부(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되는 암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 처리를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초기 위치(ST) 및 연속 위치(SE)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processes the user input signal for the password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position (FI),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 can be treated as at least one of

개별 입력 패턴의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초기 위치(ST) 및 연속 위치(SE) 중 어느 위치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지는 암호 설정을 위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시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예를 들어, 암호가 자릿수가 제한된 특정 번호일 경우, 전체 번호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암호를 구성하는 각각의 번호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Which position of the final position (FI),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is determined by the user during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password setting. It may be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Such a setting, for example, when the password is a specific number with a limited number of digits, may be collectively set for all numbers. Alternatively, it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number constituting the password.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되는 암호가 '3247'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는 '3'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 또는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겠다는 위치선택설정이 입력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o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247', the password is '3' o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user. Before a continuous sliding touch corresponding to is made, a position selection setting to process the initial position ST or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as a user input signal may be input.

다음 번호 '2'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 또는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겠다는 위치선택설정이 입력될 수 있다.Before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corresponding to the next number '2' is made, a position selection setting to process the initial position ST or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as an input signal of the user may be input.

이와는 달리, 암호 '3247' 각각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모든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시 초기 위치(ST) 또는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겠다는 위치선택설정이 일괄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efore successive sliding touch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ssword '3247' are made, the initial position (ST) or the final position (FI) when successive sliding touches for all numbers are selected as the user's input signal Settings may be entered in batche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되는 암호가 자릿수가 제한된 특정 번호가 아닌 특정 패턴 형태일 경우에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 최종 위치(FI) 또는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겠다는 위치선택설정이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word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specific pattern rather than a specific number with a limited number of digits, the initial position ( ST), the final position FI, or the continuous position SE may be inputted as a position selection setting to be processed as an input signal of the user.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초기 위치(ST) 및 연속 위치(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지는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기설정될 수 있다.Whether to process at least one of the final position (FI),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is determ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도 6은 일 예로서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는 일 예로서 제한된 자릿수의 특정 번호(구체적으로, '3247')로 구성된 암호가 설정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nal position FI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n input signal of a user as an example. At this time, a password consisting of a specific number (specifically, '3247') of a limited number of digits may be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도 6(a) 내지 도 6(d)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경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6(a) to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ase in which a final position FI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한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전극부(M)상에 표시된 숫자 및 특수 문자 표시 구성은, 각각의 전극부(M)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역 구성일 수 있고, 도 6의 도면에 생략된 센싱부(3)의 상면에 구비되는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숫자 및 특수 문자 표시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a continuous sliding touch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by the user's finger F may be made to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and special character display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electrode part M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6 may be a region configuration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each electrode part M There may be a number and special character display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cover layer 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 omitted in the drawing of FIG. 6 .

제0영역의 전극부(M)에 대응되어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숫자는 'ⓞ'이고, 제1영역 내지 제9영역의 전극부(M) 각각에 대응되어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숫자는 '① 내지 ⑨'일 수 있다. 또한, 특수 문자 영역(구체적으로, 도 6의 도면상 '*'이 도시된 제1특수 문자 영역 및 '#'이 도시된 제2특수 문자 영역)의 전극부(M) 각각에 대응되어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수 문자는 '*' 및 '#'일 수 있다.The number displayed on the cover layer 2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part M of the 0th region is 'ⓞ', and is applied to the cover layer 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lectrode parts M of the first to ninth regions. The displayed number may be '① to ⑨'. In addition, the cover layer corresponds to each of the electrode parts M of the special character region (specifically, the first special character region in which '*' is shown and the second special character region in which '#' i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6) Special characters displayed in (2) may be '*' and '#'.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경우,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는 어느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져 개별 입력 패턴이 생성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When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the user's input signal,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with respect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is not limited to any region. However,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a position at which an individual input pattern can be generated by performing continuous sliding touches on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도 6(a)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가 제0영역이고, 제0영역에서부터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이다.6A shows that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the 0th area, and when continuous sliding touches are made in one direction from the 0th area, individual inputs generated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It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먼저, 암호 '3247'의 첫번째 자리인 '3'에 대응하는 개별 입력 패턴은,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서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일방향은 우측 방향일 수 있다.First,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git '3' of the password '3247' is generated by the user's finger (F)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It may be generated by continuously inputting sliding touches in one direction until As an example, one direction in which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performed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ight direction.

이 경우, 먼저 센싱부(3)가 전극부(M)에서 발생된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 위치를 식별하고, 이를 토대로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first, the sensing unit 3 measures the capacitance change generated in the electrode unit M to identify the user's continuous sliding touch positions for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and based on thi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 can create individual input patterns.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인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위치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영역은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숫자 '3'과 대응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which i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In this case, the third region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3' displayed on the cover layer 2 .

그런 다음,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센싱부(3)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진 전극부(M)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 위치를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는 암호 '3247'의 두번째 자리인 '2'에 대응하는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in one direction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0th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may be input by the user's finger F. The sensing unit 3 identifies the touch position by measur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unit M on which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and using thi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uses the second digit '2' of the code '3247'. You can create individual input patterns corresponding to .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인 제2영역을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제2영역은 커버층(2)에 디스플레이되는 숫자 '2'와 대응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second region, which i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The second region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2' displayed on the cover layer 2 .

그런 다음,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되고,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T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input in one direction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0th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fourth region by the user's finger F, and the driving electrode part in the 0th region is input. A continuous sliding touch in one direction may be input from the DM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seventh region.

센싱부(3)는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내지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발생된 순차적인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4)는 제0영역에서부터 제4영역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 may identify successive sliding touch positions by measuring sequential capacitance changes generated i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0th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 continuous sliding touch in one direction from the 0th area to the 4th area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user.

또한, 센싱부(3)는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내지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 발생된 순차적인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연속적인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는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sensing unit 3 may identify continuous touch positions by measuring sequential capacitance changes generated i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7th region. Using thi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 continuous sliding touch in one direction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7th region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신호 처리부(4)는 순차적으로 생성된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각각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final positions FI of the user's individual input patterns sequentially generated as input signals of the user, respectively.

도 6(b)는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이다.6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ividual input pattern generated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when continuous sliding touches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are made discontinuously.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 되고, 제2영역 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 및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되고, 제6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of the third region are continuously slidably touched by the user's finger F, and the second regio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may be continuously slidably touched. Then,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are continuously slidably touched, and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ixth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unit of the seventh region ( SM) may be continuously slidably touched.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려고 하는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와, 상기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와 인접하는 적어도 어느 한쪽(예를 들어, 도 6(b)에서는 최종 위치(FI)의 전극부(M)의 왼쪽)의 전극부(M)에서부터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방향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려고 하는 최종 위치(ST)의 전극부(M)와 인접하는 어느 한쪽의 전극부(M)에서부터 일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part M at a final position FI that is to be processed as a user's input signal, and an electrode part M at the final position FI. A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made from the electrode part M of at least one adjacent to (eg, the left side of the electrode part M at the final position FI in FIG. 6(b) ).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made in one direction from one electrode part M adjacent to the electrode part M of the final position ST to be processed by the user's input signal.

이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전극부(M)를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터치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 형태이면서, 초기 위치(ST)의 전극부(예를 들어,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최종 위치(FI)의 전극부(예를 들어,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 사이에서 다른 전극부(M)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되지 않는 불연속적인 터치 형태일 수 있다.This is a continuous sliding touch type in which two adjacent electrode parts M are sequentially slidably touched, and the electrode part at the initial position ST (eg,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second region) and the final It may be a discontinuous touch type in which the other electrode parts M are not continuously slidably touched between the electrode parts at the position FI (eg,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of the third region).

이 경우, 센싱부(3)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진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전극부(M)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3 may identify a touch posi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of two electrode units M adjacent to each other to which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신호 처리부(4)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가 불연속적이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고,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generates a continuous sliding touch as a user's individual input pattern, but if the user's touch is discontinuous, as shown in FIG. The final position FI of may be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신호 처리부(4)는 불연속적으로 터치된 나머지 '2, 4, 7'에 대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여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for the discontinuously touched remaining '2, 4, 7' and proces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s input signal.

도 6(c)는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방향이 다를 경우,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이다.Figure 6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ividual input pattern generated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when th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is different.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도면상 왼쪽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6(c) ,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code '3' may be perform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In the drawing of FIG. 6 , continuous sliding touches may be made from the left direction to the right direction.

이로 인해 신호 처리부(4)는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로 초기 위치(ST), 최종 위치(FI) 및 연속 위치(SE)가 구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has an initial position ST, a final position FI, and a continuous position SE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Individual input patterns can be created.

그런 다음,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구체적으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위치로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에서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set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specifically, the final position FI in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generated a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of the user. It can be processed as an input signal.

또한, 암호 '2'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2특수 문자 영역(도 6의 '#'으로 식별된 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부터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에서 왼쪽 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password '2' is made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second special character region (the region identified by '#' in FIG. 6)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can In the drawing of FIG. 6 , continuous sliding touches may be made from the right direction to the left direction.

이로 인해 신호 처리부(4)는 제2특수 문자 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부터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로 초기 위치(ST), 최종 위치(FI) 및 연속 위치(SE)가 구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oves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second special character area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area to the initial position ST, the final position FI, and the continuous position SE. can create individual input patterns composed of

그런 다음,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구체적으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로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에서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set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specifically, the final position FI in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generated a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second region) of the user. It can be processed as an input signal.

신호 처리부(4)는, 암호 '3,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암호 '4, 7'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 초기 위치(ST), 최종 위치(FI) 및 연속 위치(SE)가 구분되는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신호 처리부(4)는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처리로 처리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the initial position (ST), the final position (FI) and the continuous position ( SE) can create distinct input patterns. 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final position FI of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as the user's input processing.

도 6(d)는 기설정된 암호(예를 들어, '3247')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번호 각각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한번의 터치로 이어질 경우, 각각의 번호에 대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도시한 도이다. 6 (d) shows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generated for each number w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each of at least two or more numbers among preset passwords (eg, '3247') is followed by a single touch. It is a city shown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내지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되고,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한 터치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채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d),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password '3' may be made. In this case,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are continuously slidably touched, and the user's finger F at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A direction change may be made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second region without the touch input by .

이 때, 신호 처리부(4)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사용자의 터치 방향이 전환되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 continuous sliding touch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of the user, but may generate each distinct input pattern when the user's touch direction is switch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최종 위치(FI, 구체적으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전극부(M)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지 않고, 터치 입력된 상태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d), the electrode part (FI, specifically,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of the third area) of the last posi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code '3' In M), the user's touch input is not terminated, and the direction may be changed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second region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is input.

그런 다음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종료되지 않고, 터치 입력된 상태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위치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위치로 방향이 전환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종료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s touch input does not end a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and a direction change may be made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third region in a state of the touch input.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n which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to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may be terminated at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이 때, 신호 처리부(4)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번호에 대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for each number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4)는 방향 전환의 위치를 최종 위치(FI)로 인식하여, 최종 위치(FI)로 인식된 전극부(M)의 위치까지 입력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change as the final position FI, and converts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nput up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recognized as the final position FI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can create

따라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0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입력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하나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여, 최종 위치(FI)의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d ), continuous sliding touch input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0th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is generated as one individual input pattern. ,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of the final position FI may be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그런 다음,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의 위치에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하나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고 다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를 최종 위치(FI)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from the posi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is generated as one individual input pattern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region is changed again.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may be recognized as the final position FI and processed as a user's input signal.

그런 다음,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터치 방향을 전환하여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입력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측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이용하여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by changing the touch direction in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continuous sliding touch input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may be generated a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use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generated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toward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fourth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fourth region. ) can be processed as the user's input signal.

그런 다음,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암호 '7'에 대한 별도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제2특수 문자 영역의 전극부(M)에서부터 제7영역의 전극부(M)까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처리부(4)는 이에 대한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인 제7영역의 전극부(M)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6(d), a separat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final code '7' is performed from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cond special character area to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venth area. can be made wit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venth region, which i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the user's input signal.

이 경우, 도 6(d)에서는 최종 암호 '7'만 별도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암호 '3247'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한번의 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최종 위치(FI)로 처리할 전극부(M)의 위치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한번의 터치로 암호 '3247'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FIG. 6( d ), only the final password '7' is exemplified as a separate continuous sliding touch, but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e password '3247' may be made with one touch. In this case, as the direction is changed at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to be processed as the final position FI, continuous sliding touches for the code '3247' can be made with one touch.

도 7은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는 일 예로서 제한된 자릿수의 특정 번호(구체적으로, '3247')로 구성된 암호가 설정될 수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itial position ST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At this time, the password consisting of a specific number (specifically, '3247') of a limited number of digits may be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as an example.

도 7(a) 내지 도 7(d)는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경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ase in which an initial position ST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n input signal of a user.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to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is the same as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 Therefore,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4)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암호 '3247' 각각의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for processing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as a user input signal.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each number of password '3247' may be made on the touch sensor 1 .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a),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each number can be made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구체적으로, '3'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3영역의 전극부(M)에서부터 제2특수 문자 영역의 전극부(M)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는 '3'에 대한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3' may be made from the electrode part M of the third region to the electrode part M of the second special character region. Using such a touc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for '3'.

이 때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종료되는 최종 위치(FI)는 제2특수 문자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서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를 포함하여 일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processes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the user's input signal, the final position FI at which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ends is not limited to the second special character area. However, continuous sliding touches to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 parts M in one direction including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may be made by the user's finger F.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려고 하는 위치의 전극부(M)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의 전극부(M)에 대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진다면,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최종 위치(FI)는 어느 위치의 전극부(M)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ther words, 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processes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the user's input signal, two or more electrodes including the electrode part M at the position to be processed as the user's input signal If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with respect to the part M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not limited to the electrode part M at any position.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247'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려고 하는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와, 상기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와 인접하는 적어도 어느 한쪽(예를 들어, 도 7(b)에서는 초기 위치(ST)의 전극부(M)의 오른쪽)의 전극부(M)에만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 continuous sliding touches for the password '3247' may be made discontinuously. In this case,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to be processed by the user's input signal and at least one adjacent to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for example, FIG. 7 ( In b), a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made only to the electrode part M at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de part M at the initial position ST.

신호 처리부(4)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사용자의 터치의 불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각각 구별되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에서,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initial position ST as the user's input signal in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separately generated by the discontinuous touch of the user's touch as shown in FIG. 7(b) .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c), th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may be different.

이 경우, 신호 처리부(4)는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고,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generate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by using continuous sliding touches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and sets the initial position (ST) of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as the user's input signal. can be processed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247'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번호 각각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한번의 터치로 이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d ),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each of at least two or more numbers among the password '3247' may lead to a single touch.

이 때, 신호 처리부(4)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사용자의 터치 방향이 전환되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 continuous sliding touch as a user's individual input pattern, but may generate each distinct input pattern when the user's touch direction is switched.

신호 처리부(4)는 방향 전환을 기준으로 각각 구별되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that are respectively differentiated and generated based on the direction change as the user's input signal.

도 8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방향에 따라 각각 구별되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ntinuous position SE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generated separately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processed as an input signal of a us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가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특정 패턴 형태의 암호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도 6 및 도 7은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 특정 자릿수의 암호가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특정 패턴 형태의 암호가 설정되어 특정 패턴에 대응되는 전극부(M)의 위치 전체가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when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a password in a specific pattern form is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6 and 7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password of a specific number of digits is set in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8 ,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word of a specific pattern form is set, so that the entire position of the electrode unit 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ttern is input by the user. It can be processed as a signal.

이 경우,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설정된 특정 패턴 암호가 번호화 되어 사용자 입력 신호로서 도시된다.In this case, in FIG. 8,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redetermined specific pattern password is numbered and shown as a user input signa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특정 패턴 암호는 '3, 2, 2, 3, 4, 5, 6, 7'이다.As shown in FIG. 8 , as an example, the specific pattern password is '3, 2, 2, 3, 4, 5, 6, 7'.

먼저,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부터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는 하나의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First, a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performed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by the user's finger F. By using such continuous sliding touc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one individual input pattern.

그런 다음,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 및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 및 최종 위치(ST)를 순차적으로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4)는 생성된 일련의 개별 입력 패턴을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 2'가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될 수 있다.Then,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can be processed as the user's input signal.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may be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part SM of the third reg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sequentially process the initial position ST and the final position ST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as user input signals. In other word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generated series of individual input patterns as user input signals. Accordingly, '3, 2' may be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그런 다음,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처리부(4)는 이와 같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고,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continuous sliding touches in one direction may be perform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to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in the seventh reg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using such continuous sliding touches, and may process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 시작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터치 입력을 종료한 다음, 다시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처리부(4)는 이에 따른 각각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inuous sliding touch starting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terminates the touch input at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and then again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Up to 7 sensing electrode units SM may be formed.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by using each successive sliding touch accordingly.

이와 같은 경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되는 특정 패턴 형태의 암호가, 각각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과 같이 복수개로 설정되는 경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ssword of a specific pattern type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in plurality, such as each generated individual input pattern.

이와는 달리, 제3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 시작되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 이루어진 다음,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터치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채로 터치 방향이 전환된 다음, 제7영역의 센싱 전극부(SM)에서 종료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는 이처럼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한번의 터치로 이어질 경우, 터치 방향 전환 위치까지의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하나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Contrary to this,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starting from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third region is made up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and then the touch input is receiv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second region. After the touch direction is switched without being terminated, the sensing electrode unit SM of the seventh region may be terminated. When such continuous sliding touches lead to one touc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continuous sliding touches up to the touch direction change position as one individual input pattern.

그런 다음, 신호 처리부(4)는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이와 같은 경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기설정된 특정 패턴 형태의 암호가 터치 방향은 다르나 일련의 특정 패턴으로 기설정된 경우일 수 있다.In such a case, it may be a case in which the password in the form of a specific pattern pre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t in a series of specific patterns although the touch direction is differ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3,2,2,3,4,5,6,7'와 같이, 연속적으로 중복되는 위치(구체적으로, '2, 2'를 포함할 경우)가 존재할 경우, 신호 처리부(4)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인 '3,2,2,3,4,5,6,7' 중 연속적으로 중복되게 입력된 신호, 즉, '2, 2'를 하나의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4)는 개별 입력 패턴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중복되게 입력된 위치를 하나의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user's input signal is continuously overlapping, such as '3,2,2,3,4,5,6,7' (specifically, it may include '2, 2' case) exist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continuously overlaps input signals among the user input signals '3,2,2,3,4,5,6,7', that is, '2, 2' can be processed as one user's input signal.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individual input patterns as user input signal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consecutively overlapping positions as one user input signal.

도 9는 한 위치의 전극부(M)에 대한 터치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일 경우, 각각 구별되어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는, 한 위치의 전극부(M)에 대한 터치 설정 시간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설정 시간이 '3초'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continuous positions SE of individually generated individual input patterns are processed as user input signals when the touch time for the electrode part M at one position is longer than a set time. . At this time,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tting time for the electrode part M at one position may be preset. Hereinafter, as an example, the set time is '3 second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는 특정 패턴의 암호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패턴 암호는 '2, 3, 4,(4), 5, 6, 7, 8, 9'이다.As shown in FIG. 9 , as an example, a password of a specific pattern may be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specific pattern cipher is '2, 3, 4, (4), 5, 6, 7, 8, 9'.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에 의해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도 9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 설정 시간 이상의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에 설정 시간(구체적으로 3초)이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F)이 머물러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a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input by a user's finger F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in a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of FIG. 9 . In this case, a touch longer than a set time may be input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In other words, the user's finger F may stay a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part DM in the fourth region for a set time (specifically, 3 seconds) or longer.

이 경우, 신호 처리부(4)는 제2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까지의 위치를 하나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generate a position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second region to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fourth region as one individual input pattern.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에서 설정 시간 이상 입력된 다음, 다시 연속적으로 제1특수 문자 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까지 입력되어 종료될 수 있다.The continuous sliding touch may be input a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fourth region for a set time period or longer, and then may be continuously input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first special character region to be terminated.

신호 처리부(4)는 터치 입력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입력되었던 제4영역의 구동 전극부(DM)에서부터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종료된 제1특수 문자 영역의 구동 전극부(DM)의 위치까지 하나의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oves from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of the fourth region in which the touch input time is input for more than the set time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unit DM in the first special character region where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terminated. of individual input patterns can be created.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4)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시작된 다음 설정 시간 이상으로 터치가 입력되는 위치까지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고, 이와 구별되는 다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시작되고 종료되는 위치까지의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generates an individual input pattern up to a position where a touch is input for more than a set time after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started, and separates each input pattern up to a position where a separate continuous sliding touch starts and ends. You can create input patterns.

그런 다음, 신호 처리부(4)는 각각 구별되어 생성한 개별 입력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처리부(4)는 연속적으로 중복되게 입력된 위치(구체적으로, '4, (4)')를 하나의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user's input signal by using each separately generated individual input pattern. 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consecutively and overlappingly input positions (specifically, '4, (4)') as one user input signal.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암호가 설정되고 난 후, 다음과 같이 잠금 해제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 after a password is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locking method may be performed as follow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잠금 해제시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 초기 위치(ST) 및 연속 위치(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처리할지에 대한 위치선택설정이 먼저 입력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nal position FI and the initial position ST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s before continuous sliding touches are made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when the lock is released. ) and a position selection setting for processing at least one of the continuous positions SE as a user input signal may be input first.

이와 같은 위치선택설정은, ⅰ)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잠금 암호를 설정할 때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ⅱ)잠금 암호를 설정하고 난 후 잠금 해제시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ⅲ)잠금 암호를 설정하고 난 후, 잠금 해제를 시작하기 전에 한번의 설정으로 잠금 해제시마다 자동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uch location selection setting may be performed collectively when i) set a lock password o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i) every time the lock is released after setting the lock password. . Alternatively, iii) after setting the lock password, it can be set to be automatically applied every time the lock is unlocked with a single setting before starting to unlock the loc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잠금 해제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A continuous sliding touch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for unlocking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는 기설정된 암호에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continuous sliding touch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may be made in response to a preset password.

이 때, 센싱부(3)에 의해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진 전극부(M)의 위치가 식별되면, 이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art M where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is identified by the sensing part 3 , the signal processing part 4 may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using this.

센싱부(4)가 전극부(M)의 터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식별된 터치 위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암호를 설정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method for the sensing unit 4 to identify a touch position of the electrode unit M and a method for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to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using the identified touch position a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It may be the same as the method performed by any one of the process of setting a password o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신호 처리부(4)는 생성된 개별 입력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 최종 위치(FI) 및 연속 위치(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처리할지는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설정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user's input signal using the generated individual input pattern. In this case, whether the user's input signal is processed using at least one of the initial position (ST), the final position (FI), and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is determ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t in the sensor 1 .

이와 같은 설정은, 상술한 ⅰ), ⅱ) 및 ⅲ)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선택설정일 수 있다.Such a setting may be a position selection setting of at least one of i), ii) and iii) described above.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 위치에 포함되는 각각의 위치를 사용자 입력의 신호로서 처리하거나, 연속적인 터치 위치 중 특정 위치만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서 처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itions of continuous sliding touches with respect to the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M and uses each position included in the touch position as a signal of a user input. Alternatively, only a specific position among successive touch positions may be processed as the user's input signal.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가 특정 장소나, 장치의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잠금 장치로서 제공될 경우 매우 높은 보안 기능을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lock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security in a specific place or device,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having a very high security function.

구체적으로, 잠금 장치로서 기능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 사용자에 의한 암호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 위치의 감지 및 이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한 암호가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assword by the user may be set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ing as a locking device. In this case, since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continuous sliding touch position and process it as a user input signal, continuous sliding of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is possible. A password may be set by touch.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에는, 암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커버층(2)에는 사용자의 흔적(구체적으로, 지문)이 남지 않게 된다. 이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해 커버층(2)에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 sliding touch by a user may be made to input a password. The user's trace (specifically, a fingerprint) is not left on the cover layer 2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inuous sliding touch. This may be implemented by continuously sliding touches on the cover layer 2 by continuous sliding touches.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종래의 터치 센서의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흔적이 그대로 남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r's trace remains in the portion where the user's touch of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is input.

종래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에 사용자의 흔적이 그대로 남기 때문에 별도의 흔적 제거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 센서는 남아 있는 흔적에 의해 암호가 그대로 노출되어 보안이 취약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a separate trace removal process may be required because the user's trace remains at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the password may be exposed as it is by the remaining traces, and thus security may be weak.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M)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통해 일련의 패턴으로 암호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자릿수의 번호 형태로 암호가 설정되더라도,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에 의한 잠금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However,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ossible to set a password in a series of patterns through continuous sliding touches on at least two electrode parts M. In addition, even if the password is set in the form of a number of a specific number, it may be possible to unlock the lock by continuous sliding touch.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사용자의 흔적 제거 과정이 별도로 수행되지 않더라도 잠금 해제 과정에서 사용자의 흔적이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매우 우수한 보안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race can be removed in the unlocking process even if the user's trace removing process is not separately performed. As a result,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very good security function.

도 10은 전극부(M)의 면적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F) 움직임 감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the motion sensitivity of the user's finger F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electrode part M. Referring to FIG.

도 10(a)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전극부(M)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10(b)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전극부(M)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터치 센서(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10 (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lectrode part M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nd FIG. 10 (b) is a relatively small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lectrode portion M having an area.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전극부(M)의 면적을 서로 다르게 구비할 경우, 손가락(F) 움직임 감도 및 손가락(F) 터치 감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 ) and 10 ( b ), whe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areas of the electrode part M, the movement of the finger F There may be differences in sensitivity and touch sensitivity of the finger F.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부(M)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복수의 전극부(M)간의 거리(P)와 전극부(M)의 폭(W)의 합, 즉, 피치를 초과해야 손가락(F)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a ), when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M is relatively large, the distance P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M and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portions M are The motion of the finger F can be detected only when the sum, ie, the pitch, is exceeded.

전극부(M)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손가락(F)의 이동 거리가 피치(P+W)이하의 거리일 경우, 손가락(F) 움직임 감지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area of the electrode part M is relatively large, wh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 F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itch P+W, it may be relatively difficult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finger F.

하지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M)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터치 감도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0A , when the area of the electrode part M is relatively large,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touch sensitivity.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극부(M)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손가락(F)에 의한 터치가 없을 때의 전극부(M)간의 초기값의 커패시턴스가 크다. 이 때, 손가락(F)에 의한 터치로 인해 전기장(EF)의 방향이 변화하여 커패시턴스가 감소하면, 초기값의 커패시턴스와 변화된 커패시턴스와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터치 감도가 우수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area of the electrode parts M is relatively large, the capacitance of the initial value between the electrode parts M when there is no touch by the finger F is large. At this time, when the capacitance is decreased due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due to the touch by the finger 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capacitance and the changed capacitance is large, so that the touch sensitivity may be excellent.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우수한 터치 감도를 목적으로 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전극부(M)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vantageously provided with the electrode part M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for the purpose of excellent touch sensitivity.

이와는 달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부(M)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피치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손가락(F)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b) , when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M is relatively small, the pitch may be formed to be sho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fine finger F.

그런데, 전극부(M)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전극부(M)간의 초기값의 커패시턴스가 작을 수 있다. 이 때, 손가락(F) 터치로 인해 전기장(EF)의 방향이 변화하여 커패시턴스가 감소하면, 초기값의 커패시턴스와 변화된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가 작다. 따라서, 초기값의 커패시턴스와 변화된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가 큰 경우보다 터치 감도가 낮을 수 있다.However, when the area of the electrode parts M is relatively small, the capacitance of the initial value between the electrode parts M may be small. At this time, when the capacitance is decreased due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EF due to the touch of the finger 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capacitance and the changed capacitance is small. Accordingly, the touch sensitivity may be lower tha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capacitance and the changed capacitance is larg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미세한 손가락(F)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전극부(M)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ly,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lude the electrode part M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a minute finger F movement.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는, 센싱부(3)가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1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설명에서는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한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sensing unit 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1, only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3)는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3)는 6개의 전극부(M) 및 전극부(M)간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부(I)로 구성되어 제1행(FL) 및 제2행(SL)으로 구비될 수 있다.11 , the sensing unit 3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sensing unit 3 is composed of six electrode units M and an insulating unit I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electrode units M in the first row FL. ) and the second row SL.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와 동일한 암호가 기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may be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As an example,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ssword as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is preset. can be

도 11(a)는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a)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만이 도시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는, 도 6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다양한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1( a )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nal position FI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In FIG. 11( a ), only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sliding touches are continuously performed in one direction is illustrated. In this case,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 various embodiments of processing the user's input signal to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re provided. The same can be applied.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신호 처리부(4)에 의해 암호 '3247'의 각각에 대해 개별 입력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 ), when continuous sliding touches are made in one direction, an individual input pattern may be generated for each of the passwords '3247'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

이 경우,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고,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방법은 도 6(a)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센싱부(3)가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각 행이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행에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고, 이를 이용하여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한 다음,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a method for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to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and proces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s input signal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a ). have. However, the sensing unit 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each row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but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in each row, and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generated using this. The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final location FI as the user's input signal may be the same.

도 11(b)는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b)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만이 도시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는, 도 7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다양한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1( b )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itial position ST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In FIG. 11( b ), only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sliding touches are continuously performed in one direction is illustrated. In this case,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 various embodiments of processing the user's input signal to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re provided. The same can be applied.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3247'의 각각의 번호에 대해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신호 처리부(4)에 의해 암호 '3247'의 각각에 대해 개별 입력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1 (b), when a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in one direction for each number of the password '3247', an individual input pattern for each of the password '3247'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is can be created

이 경우,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고, 개별 입력 패턴의 최종 위치(FI)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방법은 도 7(a)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센싱부(3)가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각 행이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행에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고, 이를 이용하여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한 다음, 초기 위치(ST)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a method for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to generate an individual input pattern and to process the final position FI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s input signal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a). have. However, the sensing unit 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each row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but continuous sliding touch is made in each row, and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generated using this. The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initial position ST as the user's input signal may be the same.

도 11(c)는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의 신호 처리부(4)가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에는 특정 패턴 형태의 암호가 기설정된 경우일 수 있다. 암호가 특정 패턴 형태로 기설정될 경우, 복수개의 특정 패턴으로 구성되어 기설정될 수 있다.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터치 방향의 방향 전환을 포함하여 암호의 터치 방향은 다르나 일련의 특정 패턴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다.11( c )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ntinuous position SE of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processed as a user input signal. 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of the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the user's input signal, the touch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ified example of the sensor 1 may be a case in which a password in a specific pattern form is preset. When the password is preset in the form of a specific pattern, it may be preset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pecific patterns. Alternatively, the touch direction of the password is different, including the direction change of the continuous slide touch direction, but may be preset as a series of specific patterns.

도 11(c)에는 일 예로서, 복수개의 특정 패턴으로 기설정된 암호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신호 처리부(4)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11( c ) shows, as an example, an embodiment in which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generates continuous sliding touches as individual input patterns when continuous sliding touches are made to a preset password with a plurality of specific patterns. do.

신호 처리부(4)는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의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4 may process the continuous position SE of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이 경우, 신호 처리부(4)가 각각의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하고,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센싱부(3)가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각 행이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행에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가 이루어지고, 이를 이용하여 개별 입력 패턴을 생성한 다음, 연속 위치(SE)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of generating each individual input pattern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4 and processing the continuous position SE as the user's input signal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 However, the sensing unit 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each row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but continuous sliding touches are made in each row, and an individual input pattern is generated using this The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continuous position SE as the user's input signal may be the same.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가 센싱부(3)가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각 행이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의 변형 예는 센싱부(3)가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행 간에 행간 절연층이 구비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11 , a modification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which the sensing unit 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each row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bu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sensing unit 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between rows is provided between row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3)의 구조가 변형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그 구조에 대한 한정은 없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unit 3 is deform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1 ,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위치에 포함되는 각각의 위치 또는 연속적인 위치 중 특정 위치 만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여 기설정된 암호에 대한 해제를 실시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tinuous sliding touch, and processes only each position included in the touch position or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continuous positions as the user's input signal to obtain a preset password. release can be carried o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이와 같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한 암호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의 터치 흔적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가 잠금 장치로서 제공될 경우, 사용자의 터치 흔적이 남지 않는 높은 보안성을 갖는 잠금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s touch trace can be removed in the password input process using such a continuous sliding touch. For this reason, when the touch senso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locking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as a locking device having high security that does not leave traces of a user's touch.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Or it can be carried out by modification.

1: 터치 센서
2: 커버층
3: 센싱부 4: 신호 처리부
M: 전극부 I: 절연부
1: Touch sensor
2: cover layer
3: sensing unit 4: signal processing unit
M: electrode part I: insulating part

Claims (11)

복수의 전극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 가능한 센싱부; 및
적어도 2개의 전극부에 대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a sensing unit capable of identifying a user's touch position throug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and
A touch sensor comprising a;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a user's input signal using a continuous sliding touch on at least two electrode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의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전극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 가능한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A touch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and at least one insula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art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part, and capable of identifying a user's touch position through each of the electrode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고,
상기 개별 입력 패턴의 초기 위치, 최종 위치 및 연속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입력 신호로 처리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unit,
Generates continuous sliding touch in one direction as user's individual input pattern,
A touch sensor for processing at least one of an initial position, a final position, and a continuous position of the individual input pattern as a user in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사용자의 터치가 불연속적이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unit,
Produces continuous sliding touch as user's individual input pattern,
When the user's touch is discontinuous, a touch sensor that generates distinct individual input patter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연속적인 슬라이딩 터치를 사용자의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되,
사용자의 터치 방향이 전환되면 각각 구별되는 개별 입력 패턴으로 생성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unit,
Produces continuous sliding touch as user's individual input pattern,
A touch sensor that generates a distinct input pattern when the user's touch direction is swit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구동 라인 또는 센싱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라인 및 상기 센싱 라인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riving line or a sensing line,
The driving line and the sensing line are alternately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or further comprising a cover lay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터치 위치가 상기 구동 라인에 연결된 전극부인 경우,
상기 센싱부는 상기 터치 위치와 상기 터치 위치의 양쪽에 위치하는 전극부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하는 터치 센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touch position is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he sensing unit is a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electrod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터치 위치가 상기 센싱 라인에 연결된 전극부인 경우,
상기 센싱부는 상기 터치 위치와 상기 터치 위치의 양쪽에 위치하는 전극부간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식별하는 터치 센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touch position is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nsing line,
The sensing unit is a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electrod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각 행이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each row is a touch sensor provid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행 간에 행간 절연층이 구비되는 터치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with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rows.
KR1020200029831A 2020-03-10 2020-03-10 Touch sensor KR2021011429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31A KR20210114292A (en) 2020-03-10 2020-03-10 Touch sensor
PCT/KR2021/002667 WO2021182796A1 (en) 2020-03-10 2021-03-04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31A KR20210114292A (en) 2020-03-10 2020-03-10 Touch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92A true KR20210114292A (en) 2021-09-23

Family

ID=7767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31A KR20210114292A (en) 2020-03-10 2020-03-10 Touch sens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4292A (en)
WO (1) WO202118279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72B1 (en) 2014-02-14 2016-09-20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creen included device performing unlocking by using touch extent
KR101900446B1 (en) 2017-12-22 2018-11-08 (주)성광유니텍 A Door lock apparatus and Door lock system using a piezoresistiv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542B1 (en) * 2016-06-17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touch sensor
KR102603597B1 (en) * 2016-10-24 2023-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nger sensor integrated type touch screen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507281B1 (en) * 2018-03-23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ornic device comprising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966600B1 (en) * 2018-11-02 2019-04-05 김길수 Digital door 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72B1 (en) 2014-02-14 2016-09-20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creen included device performing unlocking by using touch extent
KR101900446B1 (en) 2017-12-22 2018-11-08 (주)성광유니텍 A Door lock apparatus and Door lock system using a piezoresistiv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796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3631B (en) Cipher inputting keyboard, antitheft unlocking method and ATM
US9652097B2 (en)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ouch level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JP4670970B2 (en) Display input device
CA291655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ser authentication
EP2506178A1 (en) User interface, touch-controlled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touch-controlled device
JP2005202527A (en) Input device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20160210452A1 (en) Multi-gesture security code entry
CN107407998B (e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electronic and/or computer device implementing a capacitive control surface and a peripheral surface, interface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JP4284319B2 (en)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6243938A (en) Password input device
CN102854986B (en) The touch-control conductive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keyboard and capacitive touch keyboard
US10318785B2 (en) Creation of virtual intersection points on a touchscreen to permit static, non swiping fingerprint user authentication
CN106815504A (en) The method and terminal of a kind of unlock terminal
KR20210114292A (en) Touch sensor
CN114821861A (en) Intelligent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intelligent door lock
KR101585201B1 (en) Apparatus for double security interworking transparent fingerprint recognition and password
CN109814763A (en) The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of touch scree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ouch-control
JP2006277522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information processor
KR201301155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confidentiality of door lock
WO2017135547A1 (en) Dual security device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in conjunction with password recognition
CN106815506A (en) A kind of identification and the method and terminal of unlock terminal
CN107423644B (en) Peep-proof touch feedback password input system and method
KR20080095336A (en) Identifing device and door lock device having the same
CN108089810A (en) A kind of button unlocking method and touch control display terminal
JP7115140B2 (en) Password authentic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