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317A -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 Google Patents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317A
KR20210095317A KR1020200009006A KR20200009006A KR20210095317A KR 20210095317 A KR20210095317 A KR 20210095317A KR 1020200009006 A KR1020200009006 A KR 1020200009006A KR 20200009006 A KR20200009006 A KR 20200009006A KR 20210095317 A KR20210095317 A KR 2021009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zed water
air
case
stand
ty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882B1 (ko
Inventor
나기원
Original Assignee
나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기원 filed Critical 나기원
Priority to KR102020000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는,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공기여과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전해수를 고압 공급하기 위한 전해수 모듈 및 이 전해수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모듈로 이루어진 살균유닛;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전해수를 상시적으로 실내 공간에 분무함으로써 건축물의 내벽을 비롯하여 각종 물품이나 집기류 및 재실자의 의류 등에 부착된 균이나 미생물과 같은 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제거와 소독을 가능하게 하므로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하여 거주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실자의 신체 및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을 실시간 추적하여 공기청정과 살균소독이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Stand type air sterilizer using electrolyzed water}
본 발명은 스탠드형 스마트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에 대한 여과작용과 함께 인체에 무해한 전해수를 미립자 상태로 분무하여 멸균 및 세정 작용을 통해 실내 공기질 향상을 통한 거주환경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실내에서의 거주 시간이 늘어나고 실내 공간이 점차 밀폐됨으로써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은 외기에서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거주자의 실내 활동에 따라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 수록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외기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살펴보면 미세먼지를 비롯하여 차량 운행과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대기오염물질이 있고, 실내 공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살펴보면 크게는 건축자재, 주방 난방연료, 거주자의 생활 활동 및 각종 생활용품에서 다양한 오염 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내 공기 오염물질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각종 공해물질을 건축물 자재에서 발생하는 라돈(radon) 및 석면(asbestos) 그리고 각종 생활용품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분진,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비롯하여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담배연기, 미생물성 물질(microorganism) 등이 있으며, 각종 산업현장의 휴게실에는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등이 일반적인 실내오염물질 외에 추가되며, 실내 공기 오염물질은 외기에서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실내공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보면 크게는 건축자재, 주방 난방연료, 인간의 활동, 각종 생활용품에서 다양한 오염 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오염물질은 호흡기 질환을 비롯하여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여러 기술이 제안된바 있으며, 대표적으로 건식방식과 습식방식의 공기청정기가 있다.
건식 방식의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한 뒤, 필터를 강제 통과시켜 이 과정에서 먼지나 세균류가 걸러지도록 한 것으로 여과 밀도가 서로 다른 필터를 순차 배치하여 입자가 큰 먼지에서 미세 먼지를 걸러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0.3의 입자에 대해 집진효율이 80%에서 99.97%에 이르는 고밀도의 필터로서 작은 입자의 집진에 효율적이지만, 사용기간이 오래되어 필터의 여재에 침착된 먼지입자가 늘어나게 되면 압력손실이 커지게 되면서 풍량이 감소하게 되어 공기 청정기의 정화용량이 감소하게 되고, 필터의 오염으로 인한 오염 배출원이 될 수도 있으므로 새로 교체를 해야만 한다.
따라서, 주기적인 여과필터의 교환과 폐기로 인한 고비용 발생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으며, 대부분의 건식방식의 공기청정기에서는 집진용량과 여과필터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전처리 필터와 중성능 필터를 함께 사용하고 있으나, 수시로 각각의 필터를 청소,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습식 방식의 공기청정기는 흡입한 공기를 물을 분사시켜 생성되는 액적액막기포 등에 공기 중의 부유하고 있는 먼지 입자들이 접촉함으로써 관성충돌직접흡수확산이 이루어져 먼지 입자들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은 건식방식에 비하여 별도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교체 필요성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물을 자주 갈아주지 않는 경우 세균번식에 의한 오염발생 및 비교적 큰 입자의 오염물질 처리만 가능하여 미세 먼지에 대한 집진효율이 낮은 폐단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상기 건식방식의 공기청정기에 양전하를 띠고 있는 오염된 먼지나 양이온을 중화시킬 수 있도록 음이온 발생장치를 부가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경우 음이온 발생시 오존 발생에 따른 폐해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자외선(UV)램프를 부가 설치하여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을 도모하는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자외선 광원으로부터 일정거리(예컨대, 대략 20cm 이내)에서 일정한 접촉시간을 거쳐야 오염원에 대한 살균, 탈취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장치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어야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광원으로 사용되는 램프의 오염정도나 수명한계에 따라 그 효과는 제한적이다. 또한 공기 중에 부유하는 오염원이 아닌 시설내부에 부착된 오염원은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오존발생장치를 부가 설치한 공기청정기가 있으나, 오존살균은 공기 또는 산소를 이온화하여 만들어진 오존을 사용하여 공기중 오염원의 제거와 함께 부착된 오염원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잔여물이 남지 않아 최근의 소비형태의 제품을 다루는 시설에 적합하지만, 오존 사용시 실내 거주 안전성의 문제 외에 생활환경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오염원의 효과적 제거를 위한 보완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일반적인 공기살균기의 경우 기준은 0.05ppm이하로 규정하고 있는데 식품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오존농도가 최소 0.5ppm이상일 때 수초에서 수분의 시간에 사멸율은 99.9%이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이하 농도의 오존 또는 활성종이 가지는 살균력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기나 오존 발생기 및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경우 공기 중 부유하는 미생물의 부착 및 증식속도를 고려하거나 잦은 오염원이 유입되는 시설의 경우 살균력을 안정되게 유지시질 수 있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오존이나 플라즈마의 경우 반응시간이 수초 이하이어서 생성과 동시에 소멸됨에 따라 실내 공기 내 부유균과 같은 미생물 제거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의 잦은 유입 및 유입된 미생물이 시설, 장치, 보관품 등의 표면에 고착하여 부착균이 되는 경우 이러한 오염원 제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헤파 필터 등의 고밀도 여과재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내 오염정도를 낮출 수는 있는 것에 불과하고, 플라즈마 발생기, 이온발생기, 자외선 램프 및 오존발생기를 부착한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도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 등과 같은 병원성 균을 비롯하여 실내벽이나 물품등에 고착한 곰팡이 및 각종 악취의 원인물질 등에 대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살균소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실자의 현재 상태나 선호도를 고려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059380호(2019.12.19.) 등록특허 제10-2050278호(2019.11.25.) 공개특허 제10-2020-0001918호(2020.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아울러 전해수를 이용하여 실내벽이나 물품 등에 고착된 곰팡이를 비롯한 다양한 부착균에 대한 살균소독을 가능하게 하여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실자의 신체 및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을 실시간 추적하여 공기청정과 살균소독에 의한 양호한 실내 거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과된 공기에 분무화된 전해수를 휘산시켜 전해수 물입자가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비롯한 병원균과 바이러스와 흡착하여 살균 소독작용이 이루어지 질 수 있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는,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공기여과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전해수를 고압 공급하기 위한 전해수 모듈 및 이 전해수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모듈로 이루어진 살균유닛;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여과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흡입구의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필터를 구비한 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노즐모듈은 공기와 전해수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거나 또는 전해수를 공급받아 연무화하는 초음파 발진기 중 어느 하나 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받는 버튼과 화면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조작패널; 상기 조작패널과 회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공기여과유닛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구와 관로로 연결되는 흡입송풍기; 상기 흡입구와 흡입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 상기 여과필터를 경유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분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피벗토출 하우징;이 마련된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살균유닛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전해수가 저장된 전해수 저장탱크를 저장하는 전해수 저장탱크로 이루어진 전해수 공급모듈과; 상기 컴프레서와 전해수 저장탱크와 관로로 연결되어 고압의 전해수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분사노즐을 구비한 노즐모듈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살균유닛은 전해수를 저장하는 전해수 저장태크; 상기 전해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전해수를 공급받아 연무화하는 초음파 발진기; 상기 초음파 발진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무화 된 전해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확산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유닛은 실내의 공기오염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것으로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오염감지센서; 상기 오염감지센서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계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는 인체에 무해한 전해수를 상시적으로 실내 공간에 분무함으로써 건축물의 내벽을 비롯하여 각종 물품이나 집기류 및 재실자의 의류 등에 부착된 균이나 미생물과 같은 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제거와 소독을 가능하게 하므로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하여 거주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실자의 신체 및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을 실시간 추적하여 공기청정과 살균소독이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 전면과 양측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가 마련되고, 상부 전면에는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5)와, 살균수를 분무하기 위한 분사노즐(35)이 마련된 케이스(10)를 포함한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하부 전면측에 제공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흡입구(11)와, 상기 흡입구(11)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버튼을 구비하고 일측에는 기기의 동작상태를 화면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조작패널(13)과, 상기 조작패널(51a)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5) 및 이 토출구(15)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해수를 일정량 분무하기 위한 분사노즐(35)을 구비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컴프레서(31)와 관로(33)를 구비한 살균유닛(30)과, 상기 살균유닛(30)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시키고 이를 토출구(15)를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여과유닛(20)으로 이루어진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살균유닛(30) 및 이 살균유닛(30)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공기여과유닛(20)으로 이루어진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1)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이 포함되어 있는 전해수를 실내로 분무하여 공기중의 각종 병원균을 비롯한 바이러스 등을 살균시킴과 아울러 실내벽이나 물품 또는 집기류에 고착된 곰팡이 등의 균에 대한 살균소독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크게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에 대한 오염원을 여과시키기 위한 요소로 공기여과유닛(20)을 구비하고, 아울러 실내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작용을 하는 살균유닛(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게 케이스(10)와, 공기여과유닛(20)과, 살균유닛(30) 그리고 제어유닛(4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직사각 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1)와,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과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조작패널(51a)과,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5)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케이스(10)는 상기 토출구(15)를 통해 송풍되는 여과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여 먼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의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여과를 실시하는 공지의 헤파필터 등의 여과필터로 이루어진 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여과유닛(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토출구(15)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공기여과유닛(2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구(11)와 관로로 연결되는 흡입송풍기와, 상기 흡입구(11)와 흡입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를 경유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분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피벗토출 하우징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살균유닛(3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전해수를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해수 모듈과, 이 전해수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분무하기 위한 노즐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모듈은 공기와 전해수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거나 또는 전해수를 공급받아 연무화하는 초음파 발진기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부연 설명을 하면, 상기 살균유닛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31)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전해수가 저장된 전해수 저장탱크(33)로 이루어진 전해수 공급모듈과; 상기 컴프레서(31)와 전해수 저장탱크(33)와 관로로 연결되어 고압의 전해수를 공급받아 실내로 토출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분사노즐(35)을 구비한 노즐모듈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례로, 상기 살균유닛(30)은 전해수를 저장하는 전해수 저장태크와, 상기 전해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전해수를 공급받아 연무화하는 초음파 발진기 그리고 상기 초음파 발진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무화 된 전해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확산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살균유닛(30)은 살균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살균발생기는 전해수 저장탱크(33) 내부의 염소가 유입된 물과 전기적으로 작용하여 전해수인 차아염소산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차아염소산의 농도는 안정적인 살균력을 유지하면서 염소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인 5~6ppm이 되도록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해수 저장탱크(33)의 내부에는 염소가 포함된 용수가 채워지며, 이 전해수 저장탱크(33)내에 채워진 용수에 대해 전기분해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분해를 실시함으로써 전해수 생성이 가능하다. 즉, 전해수 저장탱크(33) 내에 PWM제어를 통해 4.5V 기준 최대 0.3A, 최소 0.1A 정도만 통전되도록 하여 5~6ppm 농도의 차아염소산 생성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전극은 루테인(Ru)재질 전극과 티타늄(Ti) 재질 전극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분해는 유격막 전해수 기법와 무격막 전해수 기법 중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과 전기분해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유닛은 상기 공기여과유닛(20)과 살균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받는 버튼과 화면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조작패널(13)과, 상기 조작패널(13)과 회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어유닛은 실내의 공기오염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것으로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오염감지센서와, 상기 오염감지센서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계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10 : 케이스
11 : 흡입구
13 : 조작패널
15 : 토출구
20 : 공기여과유닛
30 : 살균유닛
31 : 컴프레서
33 : 관로
35 : 분사노즐

Claims (9)

  1.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강제 흡기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공기여과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전해수를 고압 공급하기 위한 전해수 모듈 및 이 전해수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모듈로 이루어진 살균유닛;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여과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유도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흡입구의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필터를 구비한 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은 공기와 전해수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거나 또는 전해수를 공급받아 연무화하는 초음파 발진기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일측에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받는 버튼과 화면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조작패널;
    상기 조작패널과 회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여과유닛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구와 관로로 연결되는 흡입송풍기;
    상기 흡입구와 흡입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
    상기 여과필터를 경유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분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피벗토출 하우징;이 마련된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외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전해수가 저장된 전해수 저장탱크를 저장하는 전해수 저장탱크로 이루어진 전해수 공급모듈과;
    상기 컴프레서와 전해수 저장탱크와 관로로 연결되어 고압의 전해수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분사노즐을 구비한 노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전해수를 저장하는 전해수 저장태크;
    상기 전해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전해수를 공급받아 연무화하는 초음파 발진기;
    상기 초음파 발진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무화 된 전해수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확산송풍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실내의 공기오염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것으로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오염감지센서;
    상기 오염감지센서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계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기여과유닛과 살균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기.
KR1020200009006A 2020-01-23 2020-01-23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KR10234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06A KR102346882B1 (ko) 2020-01-23 2020-01-23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06A KR102346882B1 (ko) 2020-01-23 2020-01-23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17A true KR20210095317A (ko) 2021-08-02
KR102346882B1 KR102346882B1 (ko) 2022-01-04

Family

ID=7731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006A KR102346882B1 (ko) 2020-01-23 2020-01-23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742B1 (ko) * 2021-10-26 2022-04-11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KR102513672B1 (ko) * 2022-08-29 2023-03-23 문성필 휘산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090A (ko) * 2006-03-08 2007-09-1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KR20080008973A (ko) * 2006-07-20 2008-01-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KR20090102359A (ko) * 2008-03-26 2009-09-30 준 최 공기 살균 정화기
JP2012075484A (ja) * 2010-09-30 2012-04-1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及び電解水ミスト発生器
KR20120076870A (ko) * 2010-12-30 2012-07-10 곽진준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07559B1 (ko) * 2014-06-11 2015-03-31 (주)메가이엔씨 공기와 액체 플라즈마 반응 방식의 살균, 탈취 및 미립 분사 기능을 가지는 환경 공기 청정용 하이브리드 모듈
KR20170031949A (ko) * 2015-09-14 2017-03-2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050278B1 (ko) 2019-05-27 2019-12-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2059380B1 (ko) 2019-09-04 2019-12-26 주식회사 플라랩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정부착형 공기살균 및 시설소독 장치
KR20200001918A (ko) 2018-06-28 2020-01-07 (주)빅케어리저브 실내공기의 살균 및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090A (ko) * 2006-03-08 2007-09-1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KR20080008973A (ko) * 2006-07-20 2008-01-2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KR20090102359A (ko) * 2008-03-26 2009-09-30 준 최 공기 살균 정화기
JP2012075484A (ja) * 2010-09-30 2012-04-1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及び電解水ミスト発生器
KR20120076870A (ko) * 2010-12-30 2012-07-10 곽진준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07559B1 (ko) * 2014-06-11 2015-03-31 (주)메가이엔씨 공기와 액체 플라즈마 반응 방식의 살균, 탈취 및 미립 분사 기능을 가지는 환경 공기 청정용 하이브리드 모듈
KR20170031949A (ko) * 2015-09-14 2017-03-2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 시스템
KR20200001918A (ko) 2018-06-28 2020-01-07 (주)빅케어리저브 실내공기의 살균 및 세척 장치
KR102050278B1 (ko) 2019-05-27 2019-12-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2059380B1 (ko) 2019-09-04 2019-12-26 주식회사 플라랩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정부착형 공기살균 및 시설소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742B1 (ko) * 2021-10-26 2022-04-11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WO2023075003A1 (ko) * 2021-10-26 2023-05-04 (주)에이버츄얼 하이브리드 살균 로봇
KR102513672B1 (ko) * 2022-08-29 2023-03-23 문성필 휘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882B1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084B1 (ko) 실내공기의 살균 및 세척 장치
US6673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air in a ventilation system
JP4621095B2 (ja) 空気清浄化装置
CN104534572A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KR101708799B1 (ko) 히드록실 라디칼을 이용한 살균 정화 장치
KR20040035092A (ko) 오존살균이 가능한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KR101430120B1 (ko) 기체의 정화기구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102296744B1 (ko) 가습살균공기청정기
KR102346882B1 (ko)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KR20080059959A (ko) 공기 살균장치
JP3924589B2 (ja) 空気清浄機
KR102174210B1 (ko) 실내공기를 살균 및 세척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KR102346883B1 (ko) 이동형 전해수 살포 공기살균 소독기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JP3051083B2 (ja) 空気清浄機
KR102104285B1 (ko) 가습공기정화장치
KR20110004617A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CN20455507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KR20220104428A (ko) 제트기류 노즐 분사형 공기살균기
KR20220104572A (ko) 상·하 양방향 흡입형 확산기류 공기살균장치
KR20220099224A (ko) 알에프 여기 단분자형 물방울 및 알에프 여기 플라즈마방전 라디칼과 이온을 이용한 기체처리장치
KR20220104489A (ko) 확산기류 형성용 공기살균장치
KR20220053829A (ko) 살균탈취 바이오 전해 살균수 및 그 제조방법
KR102566939B1 (ko) 공기 정화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