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537A -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537A
KR20210090537A KR1020200117557A KR20200117557A KR20210090537A KR 20210090537 A KR20210090537 A KR 20210090537A KR 1020200117557 A KR1020200117557 A KR 1020200117557A KR 20200117557 A KR20200117557 A KR 20200117557A KR 20210090537 A KR20210090537 A KR 20210090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foreign language
grapheme
text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훈
Original Assignee
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훈 filed Critical 정영훈
Publication of KR2021009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글 텍스트 및 상기 한글 텍스트를 변환하고자 하는 외국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상기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상기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해당 한글 자소와 동일 색상으로 변환하되, 자소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변환단계 및 색상 변환된 한글 텍스트 및 한글 텍스트에 매칭된 외국어를 함께 디스플레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OUTPUT COLORS MATCHED HANGUL AND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여 동일 음가의 한글 및 외국어를 동일 색상으로 매칭시켜 출력함으로써 직관적으로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류로 인해 외국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한글을 공부하는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외국인의 한글 학습을 제공하는 다양한 앱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35087호(이하, 선행문헌)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문헌은 한글 조합 체계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이 한글 단어 등을 보고 인지적으로 음소를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글은 음절 알파벳 문자로서 음소 알파벳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쉽게 한글을 읽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여성경제신문 2015년 05월 15일자 기사를 참조하면, 실제로 외국인이 한글을 배울 때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점은 ‘발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과 로마자는 음소문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같은 음소문자인 한글은 로마자 음가(Pronunciation)대로 표현 가능하다. 하지만, 로마자 음소단위 배열과 한글 음소단위 배열에는 차이가 있다.
조합형 글꼴인 한글은 음소 단위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음절단위로 표기하는 반면 로마자는 음소 단위별로 나열하여 배열표기한다. 이런 이유로 로마자 문화에서 자라거나 영향을 받은 국외의 사람에게 한글 글꼴 조합체계를 알리기 용이한 실정이 아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글에 관심을 갖고 학습을 원하는 로마자 알파벳 문화권의 국외 사용자에게 한글 글꼴 조합 체계를 활용한 로마자 알파벳 동일 음소단위를 한글과 색상 매칭 표기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들의 한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한글 글꼴 조합체계 와 로마자 알파벳의 음소를 색상기반으로 이해함으로써, 한글 글꼴 조합 체계기반으로 동일 음소를 이해할 수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2035087호(2019.10.23.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여 동일 음가의 한글 및 외국어를 동일 색상으로 매칭시켜 출력함으로써, 동일 음가의 한글 및 외국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은 한글 텍스트 및 상기 한글 텍스트를 변환하고자 하는 외국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상기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상기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해당 한글 자소와 동일 색상으로 변환하되, 자소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변환단계 및 색상 변환된 한글 텍스트 및 한글 텍스트에 매칭된 외국어를 함께 디스플레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한글 자소를 음절단위로 배치하고,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상기 추출된 한글 자소의 매칭순으로 나열 배치하는 글자 조합체계 변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한글 자소를 음절단위로 단위표기영역에 표시하되, 음절의 한글 조합체계에 따라 세부표기영역에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를 배치하고,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동일한 단위표기영역의 세부표기영역에 매칭시켜 배치하는 글자 조합체계 변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표기영역은, 다수의 구분선에 의해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배치 위치가 구분된 세부표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한글 텍스트 및 한글 텍스트에 매칭되어 배치된 외국어를 인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국어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는 한글 텍스트 및 상기 한글 텍스트를 변환하고자 하는 외국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상기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상기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동일 색상으로 변환하되, 자소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색상 매칭된 한글 텍스트 및 외국어를 함께 디스플레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는, 동일 음가의 한글 및 외국어를 자소별로 색상 매칭하여 표시함으로써 동일 음소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음절단위의 단위표기영역을 한글 조합 체계를 기반으로 초성, 중성 및 종성이 구분된 세부표기영역으로 구분하여 동일 음가의 한글 자소 및 외국어의 자소를 매칭배치함으로써 음절 및 음소를 구분하여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고, 한글의 조합체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매칭 출력된 한글 및 외국어를 통해 한글 학습을 제공하거나, 출력물을 간판 또는 상품(goods)의 브랜드 태그(tag)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표시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글자체계기반 유형별 단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음절단위의 한글 자소 표기시 음가가 없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나열배치된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100)는 입력부(110), 추출부(120), 저장부(130), 글자체계 변환부(140), 색상 변환부(150) 및 출력부(1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에 앱 또는 웹을 통해 한글 및 외국어 매칭 출력을 제공하는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한글 텍스트 및 변환 외국어를 선택입력 받을 수 있다(S10).
다음으로, 추출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한글 텍스트를 자소단위로 구분하고(S11),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생성된 한글-외국어 자소 매칭테이블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저장부(130)는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서로 매칭시킨 한글-외국어 자소매칭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외국어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경우,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생성된 한글-외국어 자소매칭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다음으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추출부(120)에서 구분된 한글 자소의 표시위치에 대응되게 S12단계에서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기설정된 조합체계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S13).
이때, 조합체계에 따른 자소의 배치는 외국인들에게 익숙한 나열 방식 또는 한글조합체계를 기반으로 단위표기영역에 한글 자소 및 동일 음가의 외국어 자소를 매칭시켜 배치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열 방식의 조합체계를 기반으로 하면, S12 단계의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한글 자소를 음절단위로 배치하고,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된 한글 자소의 매칭순으로 나열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된 한글텍스트가 "불고기"이면,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즉, 'ㅂㅜㄹ'에서 각 한글 자소에 각각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 B, U, L을 추출하고, 'ㄱㅗ'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 G, O를 추출하고, 'ㄱㅣ'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 'G', 'I'를 추출하여 불고기-BULGOGI로 매칭시켜 나열배치할 수 있다.
한편, 한글 조합체계를 기반으로 하면,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한글 텍스트를 음절단위로 단위표기영역에 표시하되 음절의 한글 조합체계에 따라 세부표기영역에 매칭되는 한글 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동일한 단위표기영역의 세부표기영역에 매칭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30)는 글자 조합체계 변환을 위한 단위표시영역 및 한글 조합 체계별 세부표시영역에 대한 정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표시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위표기영역(20)은, 한글의 형태를 고려하여 정방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단위표기영역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단위표기영역(20)에는 음절 단위로 한글을 표기할 수 있고, 음절 단위에 매칭되는 외국어의 자소를 매칭시켜 표기할 수 있다. 이때, 음절을 구성하는 음소단위로 구분되도록 단위표기영역(20)은 다수의 구분선(a 내지 d)에 의해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배치 위치가 구분된 복수 개의 세부표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구분선은 세로 1/2선(a), 가로 1/2선(b), 제1 가로 1/3선(c) 및 제2 가로 1/3선(d)이 되고, 음절의 한글조합체계에 따라 음소단위의 자소가 배치되는 세부표기영역을 구분하여 주는 선이 될 수 있다.
이때,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의 글꼴 조합체계에 따라 음소단위의 자소가 배치되는 세부표기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한글 글꼴 조합체계는 9개의 유형으로 도 4 내지 도 12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도 4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글자체계기반 단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유형(가로모임꼴)으로, 자음과 모음이 가로 조합체계를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세로 1/2선(a)에 의해 구분된 세부표기영역에 음절(자)의 음소단위 자소(자음과 모음)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배치 위치는 세부표기영역의 중심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가"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4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와 "ㅏ"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를 해당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의 (b)와 같이, "ㄱ"자소에 대응되는 음가(음소)의 외국어 자소인 "G"를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하고, "ㅏ"자소에 대응되는 음가(음소)의 외국어 자소인 "A"를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제2유형(세로모임꼴)으로, 자음과 모음이 세로 조합체계를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가로 1/2선(b)에 의해 구분된 세부표기영역에 음절(자)의 음소단위 자소(자음과 모음)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배치 위치는 세부표기영역의 중심이 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고"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5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와 "ㅗ"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를 해당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의 (b)와 같이, "ㄱ"자소에 대응되는 음가(음소)의 외국어 자소인 "G"를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하고, "ㅗ"자소에 대응되는 음가(음소)의 외국어 자소인 "O"를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제3유형(섞임모임꼴)으로, 자음, 모음이 가로/세로 조합체계를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세로 1/2선(a) 및 가로 1/2선(b)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과"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6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ㅗ"자소 및 "ㅏ"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o" 및 "A"를 도 6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제4유형(가로모임 홑받침꼴)으로, 자음, 모음이 가로 조합체계를 형성하며, 홑받침을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세로 1/2선(a) 및 가로 1/2선(b)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간"이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7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ㅏ"자소 및 "ㄴ"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A" 및 "N"을 도 7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제5유형(가로모임 겹받침꼴)으로, 자음, 모음이 가로 조합체계를 형성하며, 겹받침을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세로 1/2선(a) 및 가로 1/2선(b)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걺"이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8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ㅓ"자소, "ㄹ"자소 및 "ㅁ"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EO", "R" 및 "M"을 도 8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제6유형(세로모임 홑받침꼴)으로, 자음, 모음이 세로 조합체계를 형성하며, 홑받침을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제1 가로 1/3선(c) 및 제2 가로 1/3선(d)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골"이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9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ㅗ"자소 및 "ㄹ"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O" 및 "L"을 도 9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제7유형(세로모임 겹받침꼴)으로, 자음, 모음이 세로 조합체계를 형성하며, 겹받침을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세로 1/2선(a), 제1 가로 1/3선(c) 및 제2 가로 1/3선(d)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곯"이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10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ㅗ"자소, "ㄹ"자소 및 "ㅎ"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O", "R" 및 "H"를 도 10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제8유형(섞임모임 홑받침꼴)으로, 자음, 모음이 가로/세로 조합체계를 형성하며, 홑받침을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세로 1/2선(a), 제1 가로 1/3선(c) 및 제2 가로 1/3선(d)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괌"이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11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ㅏ"자소 및 "ㅁ"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O", "A" 및 "M"을 도 11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제9유형(섞임모임 겹받침꼴)으로, 자음, 모음이 가로/세로 조합체계를 형성하며, 겹받침을 가지는 유형이 된다. 이때, 세로 1/2선(a), 제1 가로 1/3선(c) 및 제2 가로 1/3선(d)을 이용하여 세부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괆"이라는 한글텍스트의 음절을 단위표시영역(20)에 표시하는 경우, 도 12의 (a)와 같이 세부표시영역을 구분하여 "ㄱ"자소, "ㅗ"자소, "ㄹ"자소 및 "ㅁ"자소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음절단위의 한글자소 배치에 매칭되게 동일음가의 외국어 자소인 "G", "O", "A", "R" 및 "M"을 도 12의 (b)와 같이 매칭되는 세부표시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글자체계 변환부(140)는 9가지 유형의 한글조합체계에 따라 도 4 내지 도 12와 같이 한글텍스트의 음절단위로 한글자소 및 외국어 자소를 매칭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구분된 한글 자소 중에 음가가 없는 초성이 있는 경우, 매칭되는 해당 외국어의 자소위치에 공집합(ø)을 배치하여 직관적으로 해당 한글 자소에 음가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음절단위의 한글 자소 표기시 음가가 없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글 조합체계에 따르면,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되며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의 음가가 없는 음절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을 참고하면, "워"라는 한글텍스트가 입력된다면, 한글 자소는 도 13의 (a)와 같이 "o", "ㅜ" 및 "ㅓ"로 세부표기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외국어의 자소가 배치되어야 하나, "o"에 대한 음가가 없으므로 공집합(ø)표시를 해당 세부표기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13의 (b)와 같이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외국어의 자소로 "ø", "W" 및 "O"를 배치할 수 있다.
색상 변환부(150)는 글자체계 변환부(140)에 의해 배치된 한글텍스트 및 외국어에 대해, 음가가 매칭되는 한글 자소 및 외국어 자소별로 색상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패턴, 명암 등으로 구분되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색상 변환부(150)는 동일 음가의 한글 자소 및 매칭되는 외국어 자소를 동일한 색상을 적용하여(S14) 시각적으로 매칭시켜 구분할 수 있게 하며, 다른 자소와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되도록 자소별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150)는 색상 변환부(150)에 의해 동일 음가의 자소별로 색상을 부여된 한글텍스트 및 한글 텍스트에 매칭된 외국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S15). 즉, 한글텍스트에 대한 음절단위의 한글 자소 및 이에 대응되는 외국어 자소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미도시)의 요청에 따라 인쇄 출력되거나 이미지 파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출력된 인쇄물 및 이미지 파일은 간판, 광고, 상품(Goods)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미도시)의 편집에 따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된 한글 텍스트 및 매칭 배치된 외국어의 단위표시영역 사이즈 조절, 글자체 및 색상 변경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의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에 의해 출력된 이미지는 일 예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나열배치된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된 한글텍스트 "불고기"에 대해, 자소의 음가가 동일한 외국어 자소가 나열배치되어 BULGOGI 도시되었다. 여기서, 동일 자소를 동일 색상으로 표기하고, 자소별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기함으로써, 음가가 동일한 자소를 시각적, 인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국인은 한글 조합체계에 매칭시켜 색상을 통해 해당 자소의 음가를 발음함으로써 한글을 익힐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음절단위의 단위표시영역에 음소단위의 자소가 세부표시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한글텍스트 및 한글텍스트에 포함된 각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외국어 자소가 한글 조합체계를 기반으로 색상 매칭되어 표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국인은 한글 조합체계를 인식하면서 매칭되는 동일 음가를 시각적, 인지적으로 인식하여 발음을 구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15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1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
110 : 입력부 120 : 추출부
130 : 저장부 140 : 글자체계 변환부
150 : 색상 변환부 160 : 출력부

Claims (5)

  1. 한글 텍스트 및 상기 한글 텍스트를 변환하고자 하는 외국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상기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상기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해당 한글 자소와 동일 색상으로 변환하되, 자소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변환단계; 및
    색상 변환된 한글 텍스트 및 한글 텍스트에 매칭된 외국어를 함께 디스플레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한글 자소를 음절단위로 배치하고,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상기 추출된 한글 자소의 매칭순으로 나열 배치하는 글자 조합체계 변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한글 자소를 음절단위로 단위표기영역에 표시하되, 음절의 한글 조합체계에 따라 세부표기영역에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를 배치하고,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동일한 단위표기영역의 세부표기영역에 매칭시켜 배치하는 글자 조합체계 변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표기영역은, 다수의 구분선에 의해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배치 위치가 구분된 세부표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디스플레이된 한글 텍스트 및 한글 텍스트에 매칭되어 배치된 외국어를 인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국어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5. 한글 텍스트 및 상기 한글 텍스트를 변환하고자 하는 외국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한글 텍스트를 한글 자소로 구분하고, 상기 외국어에 대한 외래어 한글표기법을 기반으로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에 매칭되는 음가를 가지는 외국어의 자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구분된 한글 자소의 음가에 매칭되는 상기 추출된 외국어의 자소를 동일 색상으로 변환하되, 자소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색상 매칭된 한글 텍스트 및 외국어를 함께 디스플레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장치.
KR1020200117557A 2020-01-10 2020-09-14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90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3926 2020-01-10
KR1020200003926 2020-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537A true KR20210090537A (ko) 2021-07-20

Family

ID=7712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57A KR20210090537A (ko) 2020-01-10 2020-09-14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0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932B1 (ko) * 2022-12-30 2024-04-15 신우영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87B1 (ko) 2017-11-20 2019-10-23 주식회사 이르테크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87B1 (ko) 2017-11-20 2019-10-23 주식회사 이르테크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932B1 (ko) * 2022-12-30 2024-04-15 신우영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üpke Orthography development
Seifart Orthography development
Al Rowais et al. An Arabic framework for dyslexia training tools
US8438008B2 (en) Method of generating a transliteration font
Kessler et al. Writing systems: Their properties and implications for reading
US20240071250A1 (en) Method for learning to read using specialized text
CN110442839A (zh) 英语文本的拼读标注方法、拼读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Sampson Writing systems: methods for recording language
KR102531614B1 (ko)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90537A (ko)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aran Writing system development and reform: A process
Lew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Lao writing system and its suitability for minority language orthographies
Cruttenden Writing systems and phonetics
KR101470751B1 (ko) 외국어 발음이 표시된 매체
KR20110077085A (ko) 문자표시방법과 문자입력방법
Cook Background to the English writing system
AU2017100059A4 (en) Code Mapping refers to the technique of visually 'mapping' phonemes (English speech sounds) with the letter or letter string that represents each separate phoneme, on paper. Text displays this 'Code Mapping' technique using 2 colours, with a third to segment split vowel digraphs. These show the 'reader' where speech sounds will change as the word is decoded. The ability to segment words in this way, orally, is known to be difficult for Dyslexic learners, who generally have poor phonemic awareness. Therefore the typing or writing of text using this technique is highly beneficial.
KR20170050486A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20210005109A1 (en) Chinese Language Teaching Material
Papadima et al. The Greek-Cypriot dialect in writing: orthographic conventions and typographic practices
KR100946227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한글 로마자 표기 변환방법 및 이 변환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JP2014142762A (ja) 外国語の発音表記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2014142762A5 (ko)
KR101857111B1 (ko)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Capestrani Outlining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hangeul type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