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162A - 재순환 수직 풍동 - Google Patents

재순환 수직 풍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162A
KR20210090162A KR1020217010118A KR20217010118A KR20210090162A KR 20210090162 A KR20210090162 A KR 20210090162A KR 1020217010118 A KR1020217010118 A KR 1020217010118A KR 20217010118 A KR20217010118 A KR 20217010118A KR 20210090162 A KR20210090162 A KR 2021009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unnel
plenum
section
vertical wind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 앨런 메트니
저스틴 유진 월드론
웨이드 오스틴 루이스
마크 아리트
Original Assignee
스카이벤쳐 인터내셔널 (유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벤쳐 인터내셔널 (유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스카이벤쳐 인터내셔널 (유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9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3/00Training of parachutis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2031/005Skydiv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16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strand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36Stran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37Stran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wires or filaments regarding the dimension of the wires or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ntilation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 Wind Motor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재순환 수직 풍동
하나 이상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이 있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를 수용하는 제 1 수직 부재, 상부 수평 부재, 제 2 수직 부재 및 하부 수평 부재를 포함한다. 하부 수평 부재에는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이 있다. 코너 섹션은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을 제 1 수직 부재와 연결한다.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으로의 출구 사이에서 하부 수평 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기류를 수축시킨다. 코너 섹션은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을 빠져 나가는 기류를 제 1 수직 부재를 향해 더 수축시킨다.

Description

재순환 수직 풍동
본 발명은 재순환 수직 풍동(wind turnels), 특히 실내 스카이 다이빙을 위한 터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널은 안전하고 통제된 실내 환경에서 야외 스카이 다이빙의 경험을 재현한다. 그러나 재순환 수직 풍동은 건설 및 운영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허용 가능한 수준의 소음 및 에너지 소비 내에서 한 명 이상의 사람을 매달 수 있을 만큼 강한 기류를 생성하는 동시에 일관된 품질의 공기 흐름을 유지하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기류는 낮은 난류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이 종종 바람직한다. 공기 흐름 방향으로 이동하는 재순환 수직 풍동은 일반적으로 비행 챔버, 비행 챔버 위의 디퓨저, 제 1 코너 또는 턴(turn), 상부 수평 플레넘, 제 2 코너 또는 턴, 수직 리턴 플레넘, 제 3 코너 또는 턴, 하부 수평 플레넘, 제 4 코너 또는 턴, 유입 컨트랙터(비행 챔버 아래에 있는 수축 덕트 또는 제트 노즐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터널은 단일 유동 경로 루프 또는 복수의 유동 경로 루프로 설계되었으며, 이 경우 서로 다른 기류 경로가 일반적으로 비행 챔버에서 하류(예: 제 1 코너에서 또는 그 근처)로 갈라진 다음 비행 챔버에서 상류(예: 제 4 코너 또는 그 근처)로 다시 수렴한다.
일부 재순환 수직 터널 시설은 터널 구조의 플로어 부분(예: 바닥 코너, 하부 수평 플레넘, 유입 컨트랙터, 수직 리턴 플레넘의 하부)을 지하에 설치하여 비행 챔버가 지면 레벨 또는 그 근처에 있도록 한다. 상기 방식에서는 터널의 구조적 무결성을 강화하는 한편, 시설의 상층에 비행 챔버를 배치하지 않아 상업적 가시성/접근성을 감소시키고 관련 건설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설계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시설이 지역 건물 높이 제한을 준수할 수도 있다. 또한, 유로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지하에 배치하면 터널에서 열과 소음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재순환 수직 풍동 설계의 치수 요구 사항으로 인해 비행 챔버가 지면 수준 또는 그 근처에 있을 경우 필요한 기초를 놓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당한 지하 굴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일부 설계에서 비행 챔버 바닥과 하부 수평 플레넘 바닥 사이의 높이는 약 25 피트(7.6m) 이상일 수 있다. 건설 비용 및 프로젝트 기간은 일반적으로 굴착 길이와 폭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굴착 깊이에 따라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비용 및 시간 요구 사항은 지역 토양 구성 및 수분 함량에 따라 추가로 증폭될 수 있다. 굴착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적 문제도 발생할뿐만 아니라 더 깊은 위치에서 주변 지형에 의해 가해지는 더 높은 측면 압력으로 인한 물 침투 및 붕괴의 높은 위험의 고려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일부 위치의 얕은 기반암으로 인해 원하는 깊이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들 수 있다. 구조 기초를 놓을 때,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풍동의 플로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타설 시멘트를 사용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순서대로 서로 다른 재료로 생산된 맞춤형 설계 형상을 갖는 미리 형성된 제작과 비교하여 건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흐름 경로 단면을 정의하는 단순한 형상을 생성한다. 필요한 것은 터널 효율 또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을 위한 기류 품질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면서 비행 챔버와 유로 구조의 플로어 사이의 높이가 감소된 재순환 수직 풍동이다.
더욱이, 풍동은 일반적으로 비행 챔버 내에 서있는 사용자에게 지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실내 스카이 다이빙 중에 사용자를 정지시키기 위해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또는 구조를 갖는다. 많은 터널에서 케이블은 비행 챔버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용접물에 장착된다. 용접물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하중 지지 대들보 또는 시설 구조의 다른 요소에 의해 지지되어 건설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많은 비행 챔버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실질적으로 원형이기 때문에 비행 챔버 주변의 용접물에 필요한 수평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의 크기가 다양한 경우가 많다. 즉, 비행 챔버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케이블이 길어질 필요가 없다. 비행 챔버의 중심 직경을 통해 케이블로. 용접물은 일반적으로 용접물 내에 단단히 장착된 케이블의 끝에 접근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상단 덮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는 일반적으로 상업적 수준(예: 비행 챔버를 둘러싼 관측 구역 또는 준비실)의 설비에 있는 작업자가 위에서부터 설치, 교체 및 유지 관리한다. 케이블이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고 용접물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용접물 내부는 종종 터널 유동 경로와 공기 역학적으로 연결된다. 용접물을 통해 비행 챔버 주변 상업 지역으로의 소음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단 덮개를 밀봉하여 고객이 풍동 내부의 높은 데시벨 수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는 부품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비행 챔버를 둘러싼 눈에 보이는 접근 덮개로 인해 주관적으로 미적 매력이 적으며; 상대적으로 길고 복잡하며 힘든 설치/유지 보수 프로세스로 인건비와 프로젝트 기간이 증가하고; 및 요구 사항의 복잡성으로 인해 가능한 공급 업체의 범위가 제한된다.
풍동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또 다른 고려 사항은 유로의 수평 치수 요건이다. 예를 들어, 일부 장소에는 특정 풍동 설계의 요구 사항의 수평 길이 치수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나 설치 공간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작은 장소는 풍동 건설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한 것은 유동 경로 구조의 길이를 따라 치수 요구 사항이 감소된 재순환 수직 풍동이다.
관련 기술 및 이에 대한 임의의 제한에 대한 전술한 논의는 배타적이지 않고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관련 기술의 다른 한계는 명세서 및 도면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 및 그 양태는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예시적인 것을 의미하는 시스템, 도구 및 방법과 관련하여 기술되고 예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설명된 문제가 감소되거나 제거된 반면, 다른 실시예는 다른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순환 수직 풍동 설계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양태는 비행 챔버의 베이스와 제 4 코너 및/또는 하부 수평 플레넘의 베이스 사이의 수직 거리 또는 높이를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유입 컨트랙터와 비행 챔버 아래의 제 4 코너를 단일 구조 및 공기 흐름 경로 요소로 병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비행 챔버가 지면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때 깊이 굴착과 관련된 건설 비용 및 시간 요구 사항을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터널의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전력 소비이다. 또 다른 양태는 그러한 풍동 내에서 난류, 마찰 및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균일성 및 난류와 관련하여 이전의 터널 설계와 품질면에서 적어도 비교할 만한 비행 챔버 내부의 기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태는 다음을 포함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제 1 수직 부재, 상부 수평 부재, 제 2 수직 부재 및 하부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을 통해 그리고 제 1 수직 부재에서 상향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하부 수평 부재와 제 1 수직 부재를 연결하는 코너 섹션;
여기서 하부 수평 부재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가지며, 하부 수평 부재는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되고,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하부 수평 부재를 제 1 수직 부재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으로의 출구 사이에서 하부 수평 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기류를 수축시키는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을 빠져 나가는 기류를 제 1 수직 부재를 향해 더 수축시키는 코너 섹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수평 부재를 비행 챔버가 있는 제 1 수직 부재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이동하는 기류가 수축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이러한 수직 풍동의 전체 높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비행 챔버 상류에 필요한 유입 컨트랙터가 코너 섹션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비행 챔버의 플로어는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의 터널보다 훨씬 더 낮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비행 챔버의 플로어는 제 1 수직 부재의 가장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원활한 기류 수축을 제공하기 위해 수직 풍동은 2 단계 수축을 제공하며, 상기 두 수축 단계는 반드시 서로 분리될 필요는 없지만 연속적일 수 있다. 하나의 수축 영역이 제 1 수직 부재의 플로어에 있는 코너 섹션에 배열되고, 상류 수축 섹션이 하부 수평 부재 내에 배열된다.
비행 챔버를 유입 컨트랙터로 하는 제 1 수직 부재의 플로어에 있는 코너 섹션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믿어진다.
본 발명의 장점은 하나의 단일 복귀 기류 플레넘을 갖거나 하나 이상의 복귀 기류 플레넘, 예를 들어 그 반대 측면에서 제 1 수직 부재와 관련하여 배열된 2개의 기류 플레넘을 갖는 터널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내용의 장점은 공기 흐름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인 팬 조립체가 복귀 기류 플레넘에서 어디에 배치되는지에 관계없이 달성될 수 있다. 팬 조립체는 상단 수평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직 부재, 특히 상부 섹션에 팬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축 코너 섹션 내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코너 섹션에 들어가는 기류를 제 1 수직 부재 내에서 비행 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흐르는 방향을 바꾸는 터닝 베인 세트를 코너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터닝 베인이 기류에 제공하는 안내 길이에 따라 기류의 이동 방향으로 더 짧은 터닝 베인이 코너 섹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터널 구성에 따라 두 세트 이상의 터닝 베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터닝 베인은 코너 섹션의 아치형 섹션 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아치 섹션은 일반적으로 플레넘 벽의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아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기류가 코너 섹션에서 방향 전환되는 곡률 방향으로 만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너 섹션에서 기류를 방향 전환 및 수축시키는 동안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조치는 바닥 섹션에 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리지는 코너 섹션으로 들어가는 기류의 적어도 아래쪽 부분의 흐름을 방향을 바꾸는 터닝 베인와 같은 기능을 한다. 터널에 제 1 수직 부재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복귀 기류 플레넘이 있는 경우, 두 개의 리지가 일반적으로 후면과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제 1 수직 부재의 비행 챔버를 통해 수직 중심선과 정렬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두 개의 리지가 중심과 함께 비행 챔버 중앙의 돌출부에 배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2개의 리지는 단일 구성 요소에 의해 제공되거나, 예를 들어이 위치에서 플레넘 벽에 일체로 형성된 개별 구성 요소일 수 있다.
풍동의 많은 추가 측면이 다음에 개시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개시된 모든 특징은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각 기능의 개별 기능 및 장점이 다른 기능과 함께 설명 되더라도 해당 기능과 함께 공개된 다른 기능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양태는 구성 조립체 구성 요소에 대해 감소된 제조 비용을 갖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또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대형 풍동 시설 건물의 건설 비용을 줄이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설치에 필요한 시간을 단순화하고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순화하고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그러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를 갖는 새로운 풍동 건설의 시장 출시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을 위한 잠재적인 공급 업체 풀을 늘리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비행 챔버를 둘러싼 바닥과 관련하여 유선형 또는 미니멀한 미감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아래에서 유지 보수 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풍동의 코너 사이의 치수 요건을 감소시키기 위해 풍동의 코너에 계단식 플레넘 발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코너에서 바로 하류에 배열된 덕트 및/또는 덕트 팬을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풍동의 코너에서 계단식 플레넘 분기이다. 또 다른 양태는 지지 기둥 또는 빔과 같은 다른 구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풍동의 코너에서 계단식 플레넘 분기이다.
다른 양태는 기류 플레넘이 수직 복귀 부재 전체에 걸쳐 분리되는 재순환 수직 풍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태는 비행 챔버과 시설의 주변 관측 영역 사이의 참가자 이동 및 환경 교환을 제어하기 위한 전단 교환 시스템을 갖는 재순환 수직 풍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 한 양태 및 실시예에 추가하여, 추가 양태 및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의 측면도;
도 1a는 라인 A-A를 따른 도 1의 풍동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풍동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풍동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풍동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라인 6-6을 따른 풍동의 상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라인 7-7을 따른 도 2의 풍동의 제 4 코너의 부분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라인 8-8을 따른 도 2의 풍동의 제 4 코너의 부분 측단면도;
도 9는 풍동의 하부 수평 플레넘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하부 수평 플레넘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라인 11-11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라인 12-12를 따른 단면도;
도 13은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터닝 베인 구조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박스 B의 영역에서 터닝 베인 구조의 베이스의 중심을 통한 단면도;
도 16은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평면도;
도 18은 도 16의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의 용접부 중 하나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도;
도 20은 도 16의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의 저면도;
도 21은 도 20의 박스 C의 부분 절단 상세도;
도 22는 도 17의 라인 22-22를 따른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박스 D의 상세도;
도 24는 도 23의 더 넓은 사시도;
도 25는 계단식 코너 구성을 갖는 단일 리턴 재순환 풍동의 측면도;
도 26은 이중 복귀 순환 풍동의 코너와 계단식 코너 구성의 부분 측면도;
도 27은 수축 코너를 갖는 단일 복귀 재순환 풍동의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터널의 다른 사시도;
도 29는 분할 리턴 에어 타워를 갖는 재순환 풍동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터널의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 교환 장치를 구비한 풍동 시설의 개략적 평면도;
도 32는 전단 교환 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33은 플라이어 교환 시스템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의 측면도;
도 34는 도 33의 라인 34-34를 따른 단면도;
도 35는 도 33의 라인 35-35를 따른 단면도.
도 6, 7, 34 및 35의 단면도에서 내부 터널 공간은 일반적으로 대각선 해칭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추가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도시된 특정 배열의 세부 사항으로 그 적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은 제한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100)을 도시한다. 기류 방향으로 이동하는 풍동(100)은 비행 챔버(101), 비행 챔버(101) 위의 디퓨저(102), 제 1 코너(103), 상부 수평 플레넘(104), 제 2 코너(105), 수직 복귀 플레넘(106), 제 3 코너(107), 하부 수평 플레넘(108), 제 4 코너(109), 및 비행 챔버(101) 아래의 유입 컨트랙터(110)를 포함한다. 하부 수평 플레넘(108)은 수축하는 단면을 갖는 제 1 섹션(111) 및 제 2 섹션(112)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팬(미도시)이 유동 경로 플레넘에 배열되어 이를 통해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기류의 방향은 도 1에서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터닝 베인(113)은 각각 확산기(102) 및 상부 수평 플레넘(104), 상부 수평 플레넘(104) 및 수직 리턴 플레넘(106), 수직 리턴 플레넘(106) 및 하부 수평 플레넘(108), 하부 수평 플레넘(108) 및 유입 컨트랙터(110) 사이의 기류를 보내기 위해 코너(103, 105, 107, 109)에 배치된다. 터닝 베인 구조(113)의 위치는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공기 흐름의 속도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에서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비행 챔버(101)에 들어가기 전에 하부 수평 플레넘(108)의 제 2 섹션(112) 및 유입 컨트랙터(110)의 감소하는 단면을 통해 증가된다. 수직 풍동에는 단일 유로 루프 또는 복수의 유로 루프가 제공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리턴 루프를 갖는 터널에서, 상이한 기류 경로는 일반적으로 비행 챔버(101) 위의 제 1 코너(103) 또는 그 근처에서 분기되고 비행 챔버(101) 아래의 제 4 코너(109) 또는 그 근처에서 수렴한다. 다중 경로 풍동은 일반적으로 설계에서 대칭이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비행 챔버보다 구성하는 데 더 비싸지만,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비행 챔버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의 단단한 코너가 난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더 균일하고 낮은 난류 기류를 갖는다. 동일한 방식으로, 유입 컨트랙터(110)의 네 코너는 또한 비행 챔버(101)로 들어가는 기류에 난류를 도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200)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류 방향으로 이동하는 풍동(200)은 비행 챔버(201), 비행 챔버(201) 위의 디퓨저(202), 제 1 코너(203), 상부 수평 플레넘(204), 제 2 코너(205), 수직 복귀 플레넘(206), 제 3 코너(207), 하부 수평 플레넘(208) 및 제 4 또는 수축 코너(209). 풍동(200)은 제 1 코너(203)에서 발산하고 제 4 코너(209)에서 수렴하는 2개의 대칭 기류 복귀 경로를 갖는다.
다음 설명은 일반적으로 편리함과 간결함을 위해 풍동(200)의 단면 또는 루프만을 언급한다; 풍동(200)의 양측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구조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풍동(200)은 단일 복귀 유동 경로(도 27 및 28 참조) 또는 2개 이상의 복귀 유동 경로(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의 단일 복귀 재순환 수직 풍동은 도 2-8의 풍동(200)과 원칙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며 따라서 여기서는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부 수평 플레넘(204)은 풍동(200)을 통해 기류를 생성하는 2개의 덕트 팬(210)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팬(210) 또는 2개 이상의 팬(21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중 팬(210)은 유로 루프를 따라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부 수평 플레넘(208)에 없는 위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다중 팬(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플레넘보다는 단일 플레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이중 복귀 풍동(200)은 비행 챔버(201)에서 예를 들어 난류, 전단 및 속도 맵 균일 성과 관련하여 이전의 터널 설계와 유사한 기류 품질(실내 스카이 다이빙을 위해)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3 코너(207)는 굴착 깊이를 줄이기 위해 비교적 넓은 직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수평 플레넘(208)이 있는 교차점에서 제 3 코너(207)의 단면이 더 정사각형이라면, 동일한 단면적을 유지하기 위해 수직 치수를 따라 제 3 코너(207)의 필요한 높이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기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제 3 코너를 통과한다. 제 3 코너(207)를 수평으로 확장함으로써, 기초에 대한 측면 풋 프린트 요구 사항은 증가하고 깊이 요구 사항은 감소하며, 이는 비행 챔버가 지면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경우 굴착 비용과 관련하여 순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수직 복귀 플레넘(206)은 수직 복귀 플레넘(206)과 제 3 코너(207)의 교차점에서 제 3 코너(207)의 확장된 형상을 공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수평 플레넘(208)은 또한 하부 수평 플레넘(208)과 제 3 코너(207)의 접합시 제 3 코너(207)의 확장된 형상을 공유할 수 있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은 제 1 섹션(211) 및 제 2 섹션(2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류 방향에서, 수직 복귀 플레넘(206)은 제 3 코너(207)를 통해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1 섹션(211)으로 전이한다. 그 다음, 제 1 섹션(211)은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2 섹션(212)으로 전이한다. 제 2 섹션(212)은 비행 챔버(201) 아래의 제 4 또는 수축 코너(209)에 연결된다. 여기서 수직 복귀 플레넘(206) 및/또는 제 3 코너(207)는 직사각형 단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1 단면(211)은 또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들 플레넘(206, 207, 208)은 다른 다각형 기하학 또는 곡선 기하학(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그렇게)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이외의 다른 기하학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의 다른 조합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평평한 벽은 일반적으로 유동 경로의 이러한 위치에서 사용되어 비록 어려운 부분이 기류에 추가 난류를 도입할 수 있으나 건설 비용과 복잡성(곡선 또는다면 형상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증가 함)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1 섹션(211)은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2 섹션(212)으로의 전이를 위한 코너 전이 부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로의 단면은 제 1 섹션(211)과 제 2 섹션(212) 사이의 접합부는 일반적으로 둥근 상단 코너를 갖는 직사각형이다. 제 1 섹션(211)의 상부 코너는 제 3 코너(208) 근처의 하드 코너 사이에서 코너 전이 부분(213)을 통해 제 2 섹션(212)의 이러한 둥근 코너로 점진적으로 전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너 전이 부분(213)은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너 전이 부분(213)은 제 1 섹션(211)의 길이 방향 길이의 적어도 2/3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코너 부분(213)은 제 1 섹션(211)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섹션(211)의 길이의 4 분의 3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코너 전이 부분(213)은 제 2 섹션(212)의 상부 코너에서 하류의 난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2 섹션(212)은 제 1 섹션(211)과의 접합부에서 둥근 코너를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으로부터 세로축을 따라 볼 때 제 4 코너(209)와의 접합부에서 일반적으로 세미 타원형 또는 세미 타원형 단면으로 수축한다.(도 7 참조). 상기 단면의 형상에 대한 다른 설명 용어는 세미-경기장, 터널, 무지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아치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기저면을 지칭한다. 제 2 섹션(212)의 유로 단면은 제 1 섹션(211)과 제 4 코너(209) 사이의 수직 및 수평 치수 모두에서 수축한다. 이러한 기하학적 수축은 제 4 코너(209)로 들어가는 기류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제 2 섹션(212)(제 1 섹션(211)과 제 4 코너(209) 사이)의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수축하는 단면 기하학은 또한이를 통한 기류의 가속 동안 낮은 난류 기류를 촉진한다. 더욱이, 제 2 섹션(212)의 이러한 수축은 제 4 코너(209)로 그리고이를 통한 원활한 전환을 위해 유로 단면을 위치시킨다. 제 4 코너(209)에 있는 제 2 섹션(212)의 일반적으로 세미 타원 또는 세미 타원 단면 기하학적 형상은 일단 제 4 코너(209)를 통해 수평면으로 턴되면 상승하는 기류에 대해 일반적으로 둥근 수평 단면의 형성을 용이하게한다. 비행 챔버(201) 아래의 제 4 코너(209)의 출구에서, 이는 더 짧은 낮은 난류 수축을 허용한다.
수축 코너(209)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기류를 비행 챔버(201)로 직접 상향으로 전환시킨다. 동시에, 수축 코너(209)는 또한 비행 챔버(201) 내에서 사용자의 정지를 위한 기류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 및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 사이의 유동 경로의 총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2개 이상의 리턴 루프가 있는 실시예에서, 수축 코너(209)는 또한 동일한 것이 비행에 들어가기 전에 별도의 기류를 병합한다. 제 4 코너와 유입 컨트랙터를 단일 구조로 통합함으로써, 비행 챔버 아래에 별도의 유입 컨트랙터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와 수축 코너(209) 및/또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베이스 사이의 수직 거리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코너 또는 수축 코너(209)의 베이스와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 사이의 터널 유동 경로의 높이는 효율성에 큰 희생없이 유사한 풍동 설계에 비해 약 35 %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약 10 피트 이상의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높이 절감은 또한 전체 터널 유동 경로의 단축에 해당한다. 공개된 설계로, 굴착 감소 구조와 심지어 완전히 높은 수준의 구조도 가능하다. 장점에는 건설 비용 절감, 건설 시간 절약 및 건설 위험 감소가 포함된다. 또한 높이 요구 사항이 줄어들어 높이 제한이 있는 위치에 건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실시예에서,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의 경우,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와 수축 코너(209)(또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또는 비행 챔버(201) 직경의 1.3 배와 동일하다. 즉, [비행 챔버 바닥과 수축 코너의 기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1.3 x 비행 챔버 직경]이다.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의 경우, 특정 실시예에서,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와 수축 코너(209)의 베이스(또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201) 직경에 1.9를 곱한 값 보다 작거나 같도록 달성될 수 있다. 즉, [비행 챔버 바닥과 수축 코너 바닥 사이의 수직 거리]는 ≤[1.9 x 비행 챔버 직경]이다.
비용 및 이에 따른 잠재적인 절감과 관련하여, 풍동을 건설하는 비용은 위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요인(factors)에는 터널 재료 비용, 인건비, 재료를 위치로 운반하는 비용, 특정 위치의 토공 비용 등이 포함된다. 요인은 품질과 가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프로젝트 기간과 시장력 측면에서 타이밍은 비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각 프로젝트에는 완성된 터널 위치를 직접 비교하기 어려운 고유한 과제와 상황이 있다. 사용 가능한 데이터 및 프로젝트 추정치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동은 피트 굴착 당 약 $ 20,000 ~ $ 100,000 USD를 절약할 수 있으며, 추정 평균은 약 $ 40,000 USD이다. 이는 건설 당 미화 400,000 달러 이상에 해당한다. 일부 프로젝트는 $ 1,000,000 USD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감은 맞춤 제작, 운송 또는 상대적으로 더 비싼 재료 사용과 같은 다른 양태에서 증가된 비용을 보상할 수 있다. 굴착 깊이 고려 사항을 제쳐두고, 본 발명 내용에 따른 수축 코너의 복잡한 형상 및 곡률이 더 기본적인 형상(예: 타설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코너)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다. 그러나 동일한 모델의 향후 프로젝트에 재사용할 수 있는 곡선 형 벽 플레넘(예: 하부 수평 플레넘 섹션 212)에 대한 몰드가 생성되면 실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곡률이 있는 미리 형성된 유리 섬유 플레넘을 사용하면 간단한 플레넘 형상(예: 평평한 벽)을 위한 타설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부품 및 설치 비용과 관련하여 최대 $ 100,000 USD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이는 배송 및 재료 비용의 잠재적 증가를 상쇄한다. 높이 감소를 통해 콘크리트(건설 사양 연구소(CSI) 2012 부문 코드 03) 및 토공(CSI 2012 부문 코드 31) 비용을 수십만 달러의 규모로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토공사는 터널 위치에 따라 상당한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위치 수분, 토양 유형, 기반암 깊이 등만으로도 굴착 및 필요한 버팀목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특히 까다로운 건설 현장의 경우 총 $ 1,000,000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평균 프로젝트 기간은 본 발명에 따라 초기에 1 ~ 2개월 단축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시간 절약은 프로젝트 비용을 낮추고 풍동 시설 개통으로 인한 수익을 가속화하는 것과 관련하여 과소 평가할 수 없다. 다시 말하지만, 모든 건설 프로젝트는 고유하며 여러 요소의 상호 작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여기서 논의된 잠재적 인 절감은 각 경우에 실현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한된 데이터와 현재 추정치는 일반적으로 특정 프로젝트 위치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라 수축 코너 설계를 갖는 풍동을 건설하는 데 상당한 절감이 예상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축 코너(209)는 플레넘 벽 전이 전체에 걸쳐 매끄 럽거나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곡률을 포함한다. 이 구조는 또한 코너(209)를 통한 난류를 감소시킨다. 이중 복귀 또는 이중 루프 풍동 설계(도 2-8 참조)에서, 수축 코너(209)는 두 개의 곡선 아치(2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결합은 풍동(200)의 횡축을 따라 수축 코너(209)의 일 단부에서 중심선(215)을 형성한다. 그러면이 중심선(215)은 수축 코너(209)의 베이스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수축 코너(209)의 아치(214)는 각각의 제 2 섹션(212) 사이의 플레넘 벽의 전이에서 유동 경로의 단면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경사로 중심선(215)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치(214)는 터널(200)의 횡축에 의해 양분된 V 자형을 형성하며, 중심선(215)은 V 자형의 플로어 또는 베이스 중간 점에 형성된다(참조: 그림 8). 각각의 아치(214)는 수축 코너(209)의 덕트 구조가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덕트 구조와 결합되는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아치(214) 자체는 플레넘 벽 전이를 따라 독립적 인 구조에 의해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부 수평 플레넘(들)(208) 및 수축 코너(209)의 적어도 일부는 또한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치(214)는 플레넘 전이를 따라 공간의 포인트를 설명하며 플레넘 세그먼트 사이의 물리적 접합에 의해 반드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조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코너" 와 "플레넘"사이의 임의의 묘사는 다른 위치에서 풍동(200)의 유동 경로 구조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또한, 중심선(215)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지를 구성한다. 여기서, 리지(215)는 중앙선(215)에서 만나도록 위쪽으로 턴하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플로어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지(215)는 상기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플로어 표면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위로 향하지 않는다). 리지(215)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플로어 표면을 따라 위쪽으로 수축 코너(209)로 공기 흐름을 재지향시키고, 적어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리지 구조를 갖지 않는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공기 흐름이 바닥 표면이 정면으로 만나게된다. 그러나, 리지는 본 발명의 장점을 실현하기 위해 엄격하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중심선(215)(위에서 설명된 V 자형의 플로어 또는 베이스 중간 점)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넘(208)의 플로어 표면은 중심선 위치에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탄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중심선(215)은 특정 구성에 따라이 위치에서 단일 플레넘 구성 요소의 표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단일 리턴 실시예에서, 중앙선(215)은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플로어 표면이 예를 들어 단단한 에지에서 또는 곡면 전이를 통해 수축 코너(209)의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단부 벽과 결합하는 곳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아치(214)와 같이, 중심선(215)은 공간의 점을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례를 사용하여, 수축 코너(209)는 비행 챔버(201)의 원형베이스로부터 아치(214) 중 하나를 따라 점으로 부드럽게 전환된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세로 축을 따라 플레넘의 매끄러운 전환 수축 코너(209)의 벽은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와 각각의 각 아치(214)의 정점 사이를 이동할 때 단일 또는 실질적으로 단일 곡률을 포함한다(도 8 참조). 다른 실시예는 여기서 약간의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면에서 세로축에 수직인 가로축을 따라, 수축 코너(209) 벽의 매끄러운 전이는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와 각각의 끝 사이를 이동할 때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중심선 또는 리지부(215)에 있는 각각의 아치(214)(도 7 참조). 수축 코너(209)의 벽은 어떠한 경각 코너도 포함하지 않는다; 모든 표면은 곡선을 통해 영향을 받는 전환으로 부드럽다. 이것은 난류를 최소화하면서 공기 역학적 효율성을 촉진한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제 2 섹션(212)의 단면은 수축 코너(209)에 접근 할 때 세미 타원형일 수 있으며, 각 경사 아치(214)는 수축과의 접합부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상부 및 측벽을 정의한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만곡될 수 있다.
하부 수평 플레넘(208), 또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 및 제 3 코너(207) 및/또는 제 4 코너(209)의 플로어 표면 또는 플로어(216)은 풍동(200)에 축적될 수 있는 임의의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4 코너(209)의 각 측면상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표면(216)은 보울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보울형 표면(216)의 가장 낮은 지점(217)에는 배수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로어(216)의 가장 낮은 지점(217)은 하부 수평 플레넘(208)(도 5 참조)을 통해 중심 종축을 따라 제 1 섹션(211)과 제 2 섹션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3 코너(207) 내외의 종축을 따른 플로어(216)의 "낙하"는 제 3 코너(207)를 통해 하부 수평 플레넘(208)으로의 기류의 방향 변화를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섹션(211)과 수축 코너(209) 사이의 제 2 섹션(212)을 통해 이동하는 종축을 따라 플로어(216)은 제 2 섹션(212)에서의 유동 경로의 수축과 일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횡축을 따라 보울 형상은 바닥 플로어(216)은이를 통한 난류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보울 형상의 둘레를 따라 플로어(216)의 감소된 수직 깊이는 추가 굴착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제 3 코너(207)의 베이스는 제 4 코너(209)의 베이스 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액체 축적을 배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제 1 섹션(211)(부분도) 및 제 2 섹션(212)을 포함하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2 섹션(212)은 제 1 섹션(211)에 연결된 수축 부분(218)을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 및 수축 코너(209)에 연결되는 일정한 단면적 전이 부분(219)를 갖는다. 또한, 기류의 폐쇄된 유로를 완성하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플로어(216)은 플레넘 벽 구조와는 별도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플로어(216)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일 수 있는 반면 벽 구조는 일반적으로 비용을 증가시키는 특정 모양으로 제조된 유리 섬유 또는 기타 재료일 수 있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유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선택적으로 구성 및 조립될 수 있는 방법의 또 다른 예이다. 마찬가지로, 전이 부분(219)는 하부 수평 플레넘(208)의 일부 또는 수축 코너(209)의 일부로서 특징 화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섹션(211)은 코너 전이 부분(213)를 형성하도록 성형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전이 부분(213)는 제 1 섹션(211)의 플레넘 내부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예를 들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섹션(211)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편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너 전이 부분(213)은 코너에서 제 1 섹션(211)을 통한 유로의 단면을 정의한다. 코너 전이 부분(213)은 제 3 코너(207) 근처의 단단한 코너 사이에서 제 2 섹션(212)과의 접합부에서 둥글거나 일반적으로 둥근 코너 사이를 이동할 때 유동 경로의 단면을 부드럽게 수축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수축 코너(209)의 아치(214)가 복수의 터닝 베인(221)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220)에 대응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220)의 각 측면은 전이 부분(219)에 측면으로 연결된다. 제 2 섹션(212)은 하부 수평 플레넘(208)도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프레임 구조(220)는 수축 코너(209)에 연결된다. 터닝 베인(221)은 공기 흐름을 비행 챔버(201)를 향해 위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터닝 베인(221), 따라서 아치(214)는 수평 평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열된다. 도 1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214)는 예를 들어 대략 45 °로 경사 질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지(215)에 대응하는 중심선(215)은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한 플레넘 플로어로부터 분리된 구조(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지(215)는 일부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리지 구성 요소가 터닝 베인 방식으로 플레넘(208)의 플로어면을 따라 위쪽으로 공기 흐름을 턴시킴으로써 비행 챔버의 중심을 통한 흐름 균일 성을 개선하지만,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모든 장점을 실현하는 것이 엄격하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터닝 베인(221)은 중공일 수 있거나 재순환 기류로부터 발생하는 마찰 열에 대응하기 위해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220)은 수축 코너(209)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축 코너(209) 위에 장착된 터널(200)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구조(220)은 하중을 지탱하고 터널 플레넘에 인접한 바닥에 단단히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구조(예를 들어, 건물 지지 빔)도 터널 구성 요소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레임 구조(220)는 설계에 따라 하중을 지탱할 필요가 없다.
이제 도 16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추가 실시예에서, 풍동(200)은 또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또는 구조(222)을 포함한다.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222)는 도 13-1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레임 구조(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222)는 풍동(200)의 구조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며,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222)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하중 지지 요소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풍동 시설의 건설 비용이 절감된다.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222)는 사용자가 서있을 수 있고 사용자를 매달기 위해 기류가 통과할 수 있는 비행 챔버(201)의 플로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케이블(223)을 포함한다.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222)는 또한 비행 챔버(201)의 주변 주위에 복수의 케이싱 또는 용접부(224)를 포함한다. 이제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각각의 용접부(224)는 그 위에 케이블(223)의 단부를 단단히 장착하기 위한 장착 플레이트(225); 비행 챔버(201)와 수축 코너(209)의 접합부에서 기류 플레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페어링(226)(도 23 및 24 참조); 및 풍동 시설의 관측 레벨에서 비행 챔버(201)에 인접한 바닥 표면을 제공하는 커버 플레이트(227)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비행 챔버(201)의 벽을 형성하는 패널(228)을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1(구성 요소의 추가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타원형 절단 영역을 포함 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케이블(223)은 동일한 길이일 수 있고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를 가로 질러 정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프로파일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단일 케이블 사양을 전체 바닥에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 및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케이블(223)을 위한 적절한 공급자의 풀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 케이블(223)은 아이 볼트(229)에 부착된다. 아이 볼트(229)는 장력을 받는 너트(231) 및 와셔(232)(다른 커플 링 구성 요소도 사용될 수 있음)를 통해 압축 스프링(230)에 부착하기 위해 각각의 용접물(224)의 장착 플레이트(225)를 통해 연장된다. 부싱(233)은 아이 볼트(229)의 마모를 줄이고 적절한 정렬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케이블(223)은 비행 챔버(201)를 가로 질러 팽팽하게 유지되고 압축 스프링(230)을 통해 힘(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떨어지는 것)을 유연하게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운팅 구성으로, 케이블(223) 자체는 마운팅 플레이트(225)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를 분해 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물(224)의 페어링(226)은 케이블(223)이 장착 플레이트(225)에 부착하기 위해 비행 챔버(201)를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멍 또는 슬롯을 포함한다. 페어링(226)은 사이에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비행 챔버(201)의 베이스에서 수축 코너(209)의 플레넘 벽과 중첩한다. 패널(228)은 페어링(226) 주위의 커버 플레이트(228)에 단단히 장착되어 비행 챔버(201)의 벽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패널(228)은 패널(228)의 내부 표면을 페어링(226)의 내부 표면과 정렬하기 위해 세팅 블록에 위치할 수 있고, 유지 각도는 패널(228)의 반대쪽에 있는 커버 플레이트(227)의 상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구조적 접착제는 패널(228)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유지 각도와 페어링(226) 사이의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패널(228)은 특정 설계를 위한 비행 챔버(201)의 원하는 단면 형상에 따라 만곡, 편평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패널(228)은 일반적으로 풍동 시설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비행 챔버(201) 내에서 발생하는 활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222)는 용접물(224) 위가 아닌 아래에서 유지 보수를 위해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덮개 판(227)은 주변의 상업 영역에서 접근 할 필요가 없거나 반드시 밀봉될 필요가 없다. 대신, 완성된 바닥(예를 들어, 카펫, 나무, 타일, 합성물 등)이 커버 플레이트(227) 위에 설치되어 비행 챔버(201)를 둘러싸는 바닥의 유선형 또는 미니멀한 미감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의 구성 요소를 확인 또는 교체하는 것과 같은 유지 관리 목적을 위해, 프레임(220)은 용접물(224) 아래로부터 케이블(223) 및 장착 플레이트(225)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도 16 참조). 또한, 제 4 코너(209)를 둘러싼 서브 플로어 또는 지하실 영역은 일반적으로 비행 챔버 입구에 인접한 플라이어 스테이징 영역 챔버의 개구부를 통해 이미 기류 플레넘으로 배출되어 그 사이의 압력을 균등화한다. 즉, 이러한 케이블 플로어 설계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방식으로 비공개 영역인 환경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용접물의 플로어를 덮거나 용접물을 구조적으로 장착하여 풍동 시설 구조의 하중 지지 가로보 또는 기타 지지 요소를 분리 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설/제작 비용을 더욱 줄이고 조립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이중 복귀 재순환 풍동의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블(223)과 그 아래의 터널 플레넘의 플로어면(또는 코너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는 비행 챔버 직경의 1.3 배 이하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케이블과 코너 바닥 사이의 수직 거리]는 ≤[1.3 x 비행 챔버 직경]이다.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의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블(223)과 그 아래의 터널 플레넘의 플로어 표면(또는 코너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는 비행 챔버 직경의 1.9 배 이하이다. 달리 설명하면: [케이블과 코너 바닥 사이의 수직 거리]는 ≤[1.9 x 비행 챔버 직경]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풍동(300)은 풍동(300)의 코너(302) 중 하나 이상에 계단식 턴(3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단일 복귀 유동 경로를 나타냄). 계단식 턴(301)이 제 1 코너에 도시되어 있지만, 계단식 턴(301)은 원하는대로 풍동의 다른 코너(302)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계단식 턴(301)은 플레넘(303)의 유로를 2개 이상의 유로로 분할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너 출구 유로는 풍동(300)을 통해 기류를 생성하는 팬(305)을 포함하는 덕트(304)에 대응한다. 덕트(304)가 반드시 팬(305)을 수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플레넘(303)과 덕트(304) 사이의 기류를 방향 전환하기 위해 덕트(304)의 각각의 입구에서 코너(302) 내에 터닝 베인 구조(30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계단식 턴(301)은 인접한 덕트(304) 사이에 공간 또는 간극(307)을 제공하기 위해 기류를 발산한다. 계단식 턴(301)은 다중 개별 덕트 팬(305) 사이에 적절한 분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팬(305)이 팬(305)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304)를 통해 세로 축을 따라 필요한 터널 유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계단식 턴(301)은 요소(예를 들어, 구조 빔/콜루)를 수용하고 제거하기 위해 분리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풍동(300)의 치수 풋 프린트를 줄일 수 있어 공간이 제한된 위치에서 풍동 건설이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간 또는 여유 공간(307)의 생성은 시설 설계에서 추가적인 자유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계단식 선회(301)의 장점은 반드시 수직 풍동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풍동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이러한 장점을 실현하기 위해이 계단식 턴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풍동(400)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풍동(400)은 위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이는 풍동(400)의 제 2 코너 및 수직 복귀 플레넘이 하나 이상의 흐름 경로로 분할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설명이 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의미한다. 풍동(400)은 제 1 리턴 에어 타워(402) 및 제 2 리턴 에어 타워(404)를 포함한다. 리턴 에어 타워(402, 404)는 제 2 코너 및 수직 복귀 플레넘에 대응한다. 리턴 에어 타워(402, 404)는 기류를 위한 별도의 평행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기류는 제 1 코너에서 풍동(400)의 각 측면 또는 루프 사이, 그리고 상부 수평 플레넘, 제 2 코너 및 수직 복귀 플레넘을 통한 2개의 유동 경로 사이에서 분리된다. 리턴 에어 타워(402, 404)의 유로는 제 3 코너에서 재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턴 에어 타워(402, 404)는 물리적으로 갭(도 30 참조)에 의해 분리되지만, 다른 실시예는 사이에 갭이 없는 리턴 에어 타워(예: 두 리턴 에어 타워 유로의 일부를 정의하는 플레넘 디바이더 벽)에 의해 공유되는 물리적 분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턴 에어 타워(402, 404) 사이의 이러한 분할은 수직 리턴 플레넘이 플레넘 벽으로부터 기류 분리를 생성하지 않고 제 2 및 제 3 코너 사이에서 더 빠르게 확장되도록 하여(단면적 증가), 이러한 분리로 인해 난류가 증가하고 불안정하며 효율성이 떨어진다 제 2 및 제 3 코너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기류 벽 분리없이 단일 유동 경로 수직 리턴 플레넘에 비해 분할 리턴 에어 타워(402, 404)를 사용하여 수직 리턴 플레넘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 같은 거리에 걸쳐 벽 발산 능력이 향상 되었기 때문이다. 수직 복귀 플레넘의 길이 감소 또는 높이 감소는 터널(400) 및 그에 따라 터널(400)을 수용하는 시설의 전체 높이 감소를 가능하게한다. 수축 코너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높이 감소의 장점도 여기에 적용된다. 리턴 에어 타워(402, 404)의 설명된 분리는 이전에 설명된 풍동(200)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은 플라이어 교환 시스템(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은 비행 챔버 영역 주변의 개략적 인 풍동 시설 부분 평면도를 보여준다. 풍동은 참가자들이 실내 스카이 다이빙에 참여하는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비행 챔버(502)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는 다른 형태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실(504)은 비행 챔버(50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시설 직원은 플라이어 활동(예: 참가자가 부상을 입은 경우) 및 터널 상태(예: 온도, 풍속 등)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터널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밀폐된 복도(506)는 비행 챔버(502)를 전단 교환 장치(500)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참가자는 복도(506)와 비행 챔버(502)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비행 챔버(502)의 벽에 형성된 열린 문틀을 통과할 수 있다. 506은 시설의 주변 관찰 영역(508)에서 봉인된다. 전단 교환 장치(500)는 2개의 대향하는 도어를 갖는 밀폐된 챔버를 포함한다. 도어 중 하나인 외부 도어(510)는 관찰 영역(508)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도어인 내부 도어(512)는 복도(506)에 연결되어 있다. 참가자가 풍동에 들어가고 싶을 때 전단 교환기의 외부 도어(510)이 연결된다. 장치(500)가 먼저 열린다. 그 다음 참가자는 외부 도어(510)를 통해 관찰 영역(508)으로부터 플라이어 교환 시스템(500)으로 들어간다. 그 다음 외부 도어(510)가 닫힌다. 참가자가 외부 도어(510)가 닫힌 상태에서 전단 교환 장치(500) 내부에 있으면 내부 도어(512)가 열릴 수 있다. 그런 다음 참가자는 내부 도어(512)를 통해 플라이어 교환 장치(500)를 나와 복도(506)로 들어간다. 이 시점에서 참가자는 복도(506)를 통해 비행 챔버(502)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런 다음 내부 도어(512)가 닫힐 수 있다. 참가자는 역방향으로 풍동에서 나갈 수 있다.
도어(510, 512)의 작동은 자동, 수동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기 및/또는 닫기는 조작 실(504)의 푸시 버튼 또는 다른 입력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푸시 버튼(들) 또는 다른 입력 장치(들)는 플라이어 교환기 (500) 및/또는 복도(506) 내부와 같이 참가자에 의한 작동을 위해 도어 (510, 512) 자체에 제공 될 수있다. 자동화된 시간 설정 작동은 또한 문(510, 512)이 열리고/또는 닫히는 시기뿐만 아니라 특정 문이 열리고 /또는 닫히는 순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는 자동 도어 작동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FID 또는 바/QR 코드 판독기가 외부 도어(510)에 근접하여 제공되어 외부 도어(510)가 열리기 전에 참가자가 착용 한 손목 밴드 또는 키 카드를 스캔하여 출입 승인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 교환 장치(500)는 비행 챔버(502)와 관찰 영역(508) 사이의 전단 교환을 위한 제어되고 연속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비행 챔버(502)와 관찰 영역(508) 사이의 압력 및 소음 교환은 2 도어 시스템을 통해 예방 또는 감소된다. 사용자 액세스는 인증 스캔 방법을 통해 제어 및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관찰 영역(508)으로부터의 비행 챔버(502)의 시야는 비행 챔버 주변으로 연장되는 참가자의 배치를 수용하기 위한 전체 스테이징 영역 챔버를 갖는 이전의 풍동 시설에 비해 덜 방해된다. 상기 양태는 또한 다른 용도를 위해 비행 챔버(502)에 인접한 관찰 영역(508)을 위한 추가 바닥 공간을 비워 준다.
도 33 내지 35는 전단 교환 시스템(500)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수직 풍동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설의 상업 층(미도시)은 일반적으로 비행 챔버(502), 복도(506)의 베이스와 일렬로 위치한다. 상업용 층은 그 위의 공간(예를 들어, 비행 챔버(502)를 둘러싸는 관찰 영역(508))을 그 아래의 공간(예를 들어, 수축 코너 주변의 영역, 하부 수평 플레넘 등)과 분리한다. 도 34 및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도(506)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 통풍구(514)와 공기 역학적으로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도(506)의 플로어는 복도(506)의 내부를 대기 통풍구(514)의 내부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통풍구(514)는 건물의 외부 환경 또는 상업용 층 아래 공간(예를 들어, 수축하는 코너 주변의 영역, 하부 수평 플레넘 등)과 공기 역학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기 벤트(514)는이 공간에서 공기 통풍을 유발할 수 있는 상업 층 아래의 공간으로 개방되지 않고 건물 외부로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폐쇄된 도관이다. 복도(506)와 대기 통풍구(514) 사이의 기류는 도면에서 화살표가 있는 선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복도(506)의 압력은 대기 통풍구(514)와의 공기 역학적 통신을 통해 균등화된다. 이것은 소음(예를 들어, 압력 파동 소리)을 줄이고 복도(506) 내의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통풍 통로(506)가 있는 상기 실시예에서, 플라이어 교환 장치(500)의 이중 도어(510, 512)는 복도(506)와 상업 또는 관찰 구역(508) 사이의 압력 교환을 방지하기보다는 사용자 액세스를 제어하고 소음 교환을 줄이기 위해 더 많이 작동한다.
다수의 측면 및 실시예가 논의되었지만, 당업자는이를 위한 특정 수정, 순열, 추가 및 하위 조합을 인식 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첨부된 청구 범위는 그 진정한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수정, 순열, 추가 및 하위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여기에 설명된 각 실시예는 수많은 등가물을 가지고 있다.
사용된 용어 및 표현은 제한이 아닌 설명의 용어로 사용되며, 이러한 용어 및 표현을 사용하여 도시 및 설명된 특징의 균등 물 또는 그 일부를 배제하려는 의도는 없다.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 및 선택적 특징에 의해 구체적으로 개시되었지만, 여기에 개시된 개념의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에 의해 의지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다음과 같이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명세서에서 범위가 주어질 때마다, 모든 중간 범위 및 하위 범위뿐만 아니라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 모든 개별 값은 본 발명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마커시(Markush) 그룹 또는 다른 그룹화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룹의 모든 개별 구성원 및 그룹의 모든 가능한 조합 및 하위 조합은 개별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문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텍스트, 문헌, 저널 참조 및 문맥을 참조하여 찾을 수 있는 당 업계에서 인정된 의미를 갖는다. 상기 정의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들의 특정 용도를 명확히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재순환 수직 풍동을 위한 수축 코너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재순환 수직 풍동의 비행 챔버 바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비행 챔버는 한 명 이상의 사람을 비행할 수 있는 벽에서 벽으로의 공기 흐름을 포함하고;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수축 코너는 리지와 하나 이상의 아치를 갖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리지는 수축 코너의 한쪽 끝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아치는 리지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기울어지고; 및
수축 코너의 벽은 재순환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수축시키고, 비행 챔버와 직접 연결함으로써 재순환 수직 풍동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유입 컨트랙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수축 코너의 기류 경로의 단면적이 약 2: 1의 비율로 수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는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 사이에서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 상부로 기류를 재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사이에서 전환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기류 경로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7. 전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와 수축 코너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약 4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재순환 수직 풍동을 위한 수축 코너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재순환 수직 풍동의 비행 챔버 바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수축 코너는 리지와 아치를 갖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리지는 수축 코너의 플로어에 형성되고;
아치는 리지의 끝 사이에 걸쳐 있으며 비행 챔버를 향해 위쪽으로 기울어지고; 및
수축 코너의 벽은 재순환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켜 재순환 수직 풍동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유입 컨트랙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3.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프레임 구조의 아치는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는 하부 수평 플레넘의 세미 타원형 단면 사이에서 비행 챔버의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으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공기 흐름을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위로 비행 챔버로 재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기류 경로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는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수축 코너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약 4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재순환 수직 풍동을 위한 수축 코너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재순환 수직 풍동의 비행 챔버 바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비행 챔버는 한 명 이상의 사람을 비행할 수 있는 벽에서 벽으로의 공기 흐름을 포함하고;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수축 코너는 중심선과 하나 이상의 아치를 갖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중심선은 수축하는 코너의 일단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아치는 중심선의 끝단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및
수축 코너의 벽은 재순환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수축 전이를 포함하고, 비행 챔버와 직접 연결되어 재순환 수직 풍동의 높이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유입 컨트랙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수축 코너의 기류 경로의 단면적을 약 2: 1의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는 2개의 하부 수평 플레 넘 각각의 세미 타원형 단면 사이에서 비행 챔버의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으로 전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상부로 기류를 재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기류 경로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수축 코너의 높이는 ≤(1.3 ㅌ 비행 챔버의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수축 코너의 높이는 ≤(1.9 x 비행 챔버의 직경)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재순환 수직 풍동을 위한 수축 코너에 있어서,
수축 코너는 재순환 수직 풍동의 비행 챔버 바로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수축 코너는 비행 챔버를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수축 코너는 중심선과 아치를 갖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한다. 중심선은 수축하는 코너의 플로어에 형성되고;
아치는 중심선의 끝 사이에 걸쳐 있으며 비행 챔버를 향해 위쪽으로 기울어지고; 및
수축 코너의 벽은 재순환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켜 재순환 수직 풍동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유입 컨트랙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체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체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아치는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 사이에 S- 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축 코너를 통한 기류 경로는 하부 수평 플레넘의 세미 타원형 단면 사이에서 비행 챔버의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으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프레임 구조체의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공기 흐름을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위로 비행 챔버로 재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기류 경로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는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수축 코너의 높이는 ≤(비행 챔버의 직경 x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수축 코너의 높이는 ≤(비행 챔버의 직경 x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코너.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리지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킨다; 제 2 섹션의 벽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개별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반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리지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와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약 4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갖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리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하나 이상의 아치중 한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리지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코너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에 수직으로 배향된 입구 수축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리지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와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약 4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갖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리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하나 이상의 아치들 중 한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코너 섹션은 리지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제 2 섹션의 벽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ㅌ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리지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와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약 4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리지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코너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에 수직으로 배향된 입구 수축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추가로 감소 시키며;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스카이 다이빙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 인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 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반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리지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구조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와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약 4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코너 섹션은 중심선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킨다;
제 2 섹션의 벽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 인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라운드 또는 실질적으로 라운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 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 개의 바닥 수평 플레 넘 각각에서 반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중심선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 x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의 베이스와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 x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갖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중심선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하나 이상의 아치들 중 한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5.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코너 섹션은 중심선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킨다;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코너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에 수직으로 배향된 입구 수축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또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모서리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모서리 전이 부분은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단단한 모서리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에 있는 둥근 모서리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 인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중심선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x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 x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갖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중심선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하나 이상의 아치 등중 한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코너 섹션.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코너 섹션은 중심선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제 2 섹션의 벽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중심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중심선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 x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 x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중심선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코너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에 수직으로 배향된 입구 수축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추가로 감소 시키며;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중심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이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별도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보울 형상이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 인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라운드 또는 실질적으로 라운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중심선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x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 x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다른 가능한 청구 범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있어서,
제 1 수직 부재, 상부 수평 부재, 제 2 수직 부재 및 하부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을 통해 그리고 제 1 수직 부재에서 상향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하부 수평 부재와 제 1 수직 부재를 연결하는 코너 섹션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부재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가지며, 하부 수평 부재는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되고,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하부 수평 부재를 제 1 수직 부재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으로의 출구 사이에서 하부 수평 부재를 통해 이동하는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은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을 빠져 나가는 기류를 제 1 수직 부재를 향해 더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부재를 제 1 수직 부재와 연결하는 코너 섹션은 그 바닥 부분에 리지를 포함하고, 리지는 코너 섹션을 통해 흐르는 기류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수직 부재의 입구쪽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제 1 수직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리지는 기류를 향하는 측면에서 오목한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사이에서 전이하는 것 인 수직 풍동.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지는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코너 섹션은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코너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아치를 포함하는 아치 섹션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치의 베이스는 리지에 또는 그 옆에 배열되고, 특히 약 45 도로 기울어 진 60도 미만의 수평면에 대해 위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제 1 수직 부재로의 출구와 터닝 베인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입구는 바닥이 평평하고 반원형 또는 세미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부재의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부재의 제 2 섹션 근처에 둥근 코너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부재를 통해 이동할 때 기류의 주요 수축이 제 2 섹션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의 중심선 아래의 코너 섹션의 벽은 S 자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의 플로어는 코너 섹션의 출구에 연결된 제 1 수직 부재의 입구에 또는 그 입구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포함하고, 두 하부 수평 부재는 제 1 수직 부재 아래에 배열된 코너 섹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제 22 항에 있어서, 두 재순환 플레넘은 양쪽 재순환 플레넘에 공통 인 제 1 수직 부재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고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리지는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팬 조립체로부터 비행 챔버의 입구까지의 기류 이동 거리가 비행 챔버의 출구로부터 팬 조립체 까지의 거리보다 길도록 비행 챔버의 입구 측에 배열된 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제 25 항에 있어서, 팬 조립체는 기류 플레넘의 제 2 수직 부재의 상부 섹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제 25 항에 있어서, 팬 조립체는 기류 플레넘의 상부 수평 부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형성하는 수직 풍동의 코너를 위한 터닝 베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두 개의 아치가 포함되는 프레임 구조;
리지의 끝 사이에 걸쳐 있고,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및 터닝 베인은 두 개의 아치 각각을 따라 장착되며, 터닝 베인은 재순환 공기 흐름 플레넘 내부에 위치하며 코너를 통해 공기 흐름을 재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코너는 비행 챔버 아래에 위치되고, 터닝 베인은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위로 비행 챔버로 재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아치의 정점은 프레임 구조의 기둥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4 개의 기둥 및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위치된 2개의 크로스 빔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로스 빔은 프레임 구조의 2개의 컬럼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로스 빔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일부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플레넘 구조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플레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은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구조가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 수축 코너, 및/또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형성하는 수직 풍동의 코너를 위한 터닝 베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두 개의 아치가 포함되는 프레임 구조;
아치는 중심선의 끝 사이에 걸쳐 있고;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아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괴; 및
터닝 베인은 두 개의 아치 각각을 따라 장착되며, 터닝 베인은 재순환 공기 흐름 플레넘 내부에 위치하며 코너를 통해 공기 흐름을 재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코너는 비행 챔버 아래에 위치되고, 터닝 베인은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위로 비행 챔버로 재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아치의 정점은 프레임 구조의 기둥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에 연결되는 터닝 베인 구조.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4 개의 기둥 및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위치된 2개의 크로스 빔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로스 빔은 프레임 구조의 2개의 컬럼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로스 빔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일부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플레넘 구조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플레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터닝 베인 구조.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은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선은 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2개의 대향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 수축 코너 및/또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형성하는 수직 풍동의 코너를 위한 터닝 베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프레임 구조; 프레임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리지의 끝 사이에 걸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및 적어도 하나의 아치를 따라 장착되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 내부에 위치하고 코너를 통해 기류를 재지향하도록 구성된 터닝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풍동의 코너는 비행 챔버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터닝 베인은 수직 풍동의 적어도 하나의 수평 플레넘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위로 비행 챔버로 재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의 정점은 프레임 구조의 기둥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4 개의 기둥 및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위치된 2개의 크로스 빔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로스 빔은 프레임 구조의 2개의 컬럼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로스 빔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일부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플레넘 구조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플레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은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 수축 코너 및/또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수직 풍동용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비행 챔버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의 베이스 주위에 배열되는 용접물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
각 용접물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넘 벽 페어링과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가 있고;
플레넘 벽 페어링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인접한 플레넘 벽과 플러시 또는 실질적으로 플러시 표면을 형성하고;
플레넘 벽 페어링은 관통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고;
케이블은 비행 챔버의 베이스에 케이블 플로어를 형성하기 위해 재순환 공기 흐름 플레넘에 걸쳐 있고;
각 케이블의 끝은 마주 보는 용접물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각각의 케이블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는 풍동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배열된 지지 컬럼을 포함하고, 용접부는 지지 컬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케이블 유지 보수 동안 아래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는 풍동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플랫폼을 지지하고, 사용자 플랫폼은 케이블 유지 보수 동안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용접부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비행 챔버에 인접한 바닥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마운팅 플레이트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각 케이블의 단부가 대향 용접부의 아이 볼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아이 볼트;
각각 비행 챔버로부터 멀리 아이 볼트를 편향 시키도록 구성된 비행 챔버 반대편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압축 스프링에서 아이 볼트를 통해 케이블에 도입된 장력에 의해 케이블이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팽팽하게 당겨지고; 및
압축 스프링은 케이블에 충분한 반대 힘이 가해 지면 압축되어 아이 볼트가 비행 챔버쪽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이 볼트를 관통하여 장착하기 위해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의 개구에 부싱이 제공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너트와 와셔가 케이블 반대편의 각 아이 볼트의 단부에 제공되고, 압축 스프링이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와 너트 및 와셔 사이에 위치하며, 압축 스프링이 너트와 와셔를 통해 아이 볼트와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4 개의 용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4 개의 용접부를 가지며, 용접부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는 정사각형을 형성하거나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대향하는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는 인접한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물들 사이에 형성된 케이블 플로어는 정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다른 케이블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두 방향으로 연장되고, 두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대향 용접물 사이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은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단면이 둥글거나 실질적으로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를 형성하는 교차 케이블이 짜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용접물은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는 플레넘 벽 페어링 및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를 가로 질러 연장되고, 커버 플레이트는 케이블 유지 보수 동안 제거를 위해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비행 챔버의 벽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유지 각도가 제공되고, 벽 패널은 용접부의 플레넘 벽 페어링과 유지 각도 사이에 커버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2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플레넘 벽은 인접한 플레넘 벽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플레넘 벽 페어링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인접한 플레넘 벽은 평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플레넘 벽 페어링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여기에 설명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 수축 코너 및/또는 터닝 베인 구조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능한 클레임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풍동에 있어서,
코너 섹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플레넘에 연결되는 플레넘, 코너 섹션은 풍동을 통해 제 1 플레넘에서 제 2 플레넘으로 공기 흐름을 재지향시키고;
코너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측을 가지며, 출구 측은 제 2 플레넘의 2개 이상의 덕트에 연결되며, 터닝 베인 구조는 제 1 플레넘에서 직접 제 2 플레넘내로 공기 흐름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코너 섹션의 출구 측을 따라 제공되고;
코너 섹션의 출구 측은 계단식 턴을 포함하고;
계단식 턴은 기류를 제 2 플레넘의 덕트로 분할하고; 및
제 2 플레넘의 덕트는 제 1 플레넘을 통한 기류의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이에 의해 제 2 플레넘의 인접한 덕트 사이의 코너 섹션의 출구 측 옆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2. 전항에 있어서, 상기 풍동은 2개의 제 2 플레넘을 갖는 풍동.
3. 전항에 있어서, 2개의 제 2 플레넘 각각은 계단식 턴을 통해 코너 섹션에 연결된 2개 이상의 덕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넘은 정확히 2개의 덕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출구 측은 제 1 플레넘을 통한 기류의 방향에 대해 대략 45 도의 각도로 제 2 플레넘의 덕트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상기 제 1 플레넘을 통한 기류의 방향에 대해 대략 45 도의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출구 측에 연결될 때, 제 1 플레넘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 2 플레넘의 덕트는, 제 2 플레넘의 인접한 덕트가 제 1 플레 넘의 세로 축으로 연장하는 것보다 제 1 플레넘의 세로 축에 더 가깝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플레넘의 각각의 덕트는 단면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넘의 각 덕트는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덕트 사이의 계단식 턴에 의해 형성된 간극 공간은 풍동을 위한 풍동 설비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요소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동은 실내 스카이 다이빙을 위한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12. 전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풍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 인 것 인 수직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다른 가능한 청구항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있어서.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포함하고;
제 2 수직 부재는 제 1 리턴 에어 타워 및 제 2 리턴 에어 타워를 포함하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2 수직 부재를 통해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 부재는 제 1 플레넘 부재 및 제 2 플레넘 부재로 분리되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상부 수평 부재를 통해 제 1 플레넘 부재와 제 2 플레넘 부재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넘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넘 부재 각각은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상기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분리는 상부 수평 부재를 통해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상기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에서 분리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하부 수평 부재에서 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상기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에서 분리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하부 수평 부재와 제 2 수직 부재 사이의 코너에서 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상기 제 2 리턴 에어 타워는 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풍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본 발명 내용에 따른 다른 가능한 청구항 세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있어서: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있는 밀폐된 챔버를 갖는 전단 교환 시스템;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의 관찰 영역을 향하는 제 1 도어;
비행 챔버과 연결되는 밀폐된 복도를 향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관찰 영역으로부터 전단 교환 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제 1 도어에 근접한 RFID 또는 바/QR 판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RFID 또는 바코드/QR 코드 리더기가 승인된 RFID 칩 또는 바코드/QR 코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개폐는 시간 지연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개폐는 별도의 제어실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단 교환 시스템의 밀폐된 챔버 내에 수동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도와 공기 역학적으로 소통하는 통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와 복도 사이의 복도 바닥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건물 내부에 수용되고, 통풍구는 또한 건물 외부의 외부 환경과 공기 역학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청구항 세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0: 풍동 101: 비행 챔버
102: 디퓨저 103: 제 1 코너
104: 상부 수평 플레넘 105: 제 2 코너
106: 수직 리턴 플레넘 107: 제 3 코너
108: 하부 수평 플레넘 109: 제 4 코너
110: 유입 수축기 111: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1 섹션
112: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
113: 터닝 베인 200: 풍동
201: 비행 챔버 202: 디퓨저
203: 제 1 코너 204: 상부 수평 플레넘
205: 제 2 코너 206: 수직 리턴 플레넘
207: 제 3 코너 208: 하부 수평 플레넘
209: 제 4 또는 수축 코너 210: 팬
211: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1 섹션
212: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
213: 코너 전이 부분 214; 수축 코너 아치
215; 리지 216: 하부 표면 또는 플로어
217: 플로어의 하부 지점 218: 제 2 섹션의 수축 부분
219: 제 2 섹션의 전이 부분
220: 프레임 구조 221: 터닝 베인
222: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223: 케이블 224: 용접부
225: 장착 플레이트 226; 페어링
227: 커버 플레이트 228: 플라이트 챔버 벽 패널
229: 아이 볼트 230: 압축 스프링
231: 너트 232: 와셔
233: 부싱 300: 풍동
301: 계단식 턴 302: 코너
303: 플레넘 304: 덕트
305: 팬 306 터닝 베인 구조
307: 공간 또는 간극 400: 재순환 풍동
402: 제 1 리턴 에어 타워
404: 제 2 리턴 에어 타워
500: 플라이어 교환 시스템 또는 장치
502: 비행 챔버 504: 제어실
506: 복도 508 관측 구역
510: 외부 도어 512: 내부 도어
514: 통풍구

Claims (98)

  1.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있어서,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중심선 및 아치를 포함하는 터닝 베인 구조를 포함하고, 비행 챔버 아래에 배열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을 비행 챔버에 연결하는 코너 섹션을 포함하고;
    하부 수평 플레넘은 제 1 섹션 및 제 2 수직 부재로부터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가지며, 제 1 섹션은 제 2 수직 부재에 연결되고, 제 2 섹션은 코너 섹션에 연결되고;
    제 1 섹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섹션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제 2 섹션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제 2 섹션의 벽은 제 1 섹션과 코너 섹션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기류를 수축시키고;
    코너 섹션의 벽은 제 2 섹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전이를 포함하여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제 2 섹션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섹션의 방향으로 중심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코너 섹션의 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하부 수평 플레넘을 더 포함하고,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각각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2개의 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2 수직 부재 근처의 경질 코너 사이에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둥근 코너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제 1 섹션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너 전이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 내에 장착된 개별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는 수직 풍동에 축적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보울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 제 7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플로어의 가장 낮은 지점은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조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 바닥의 보울 형상은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코너 섹션의 베이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부재의 베이스는 굴착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넓어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코너 섹션과의 조인트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와 비행 챔버 사이의 비행 챔버의 중심 축 주위에 수직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유입 컨트랙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코너 섹션을 통해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벽은 비행 챔버와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 사이에 S 자형 이중 곡률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과 비행 챔버 사이의 코너 섹션의 단면적이 약 2: 1 비율로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1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은 비행 챔버를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에 연결하고, 코너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비행 챔버에서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에 대한 2개의 하부 수평 플레넘 각각에서 세미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치가 중심선의 단부 사이에 걸쳐 있고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프레임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위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는 제 1 아치 및 제 2 아치를 포함하고, 제 1 아치는 제 2 아치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의 각 아치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터닝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터닝 베인은 기류를 하부 수평 플레넘으로부터 비행 챔버 위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하부 수평 플레넘을 통한 기류에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비행 챔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닝 베인 구조의 중심선은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곡면을 갖는 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제공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터닝 베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아치가 프레임 구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29. 제 28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터닝 베인 구조의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고,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이중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x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단일 루프 재순환 풍동이고, 비행 챔버를 가로 지르는 케이블 플로어과 코너 섹션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가 ≤(비행 챔버 직경x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의 벽은 하부 수평 플레넘의 코너 섹션과 제 1 섹션 사이에 수평으로 배향된 유입 컨트랙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3.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 플레넘의 제 2 섹션을 통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1 섹션 근처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및 코너 섹션 근처에 세미 타원 또는 실질적으로 세미 타원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34. 수직 풍동의 코너를 위한 터닝 베인 구조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형성하고,
    터닝 베인 구조는:
    두 개의 아치가 포함되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프레임 구조;
    아치는 중심선의 끝 사이에 걸쳐 있고;
    각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아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및
    터닝 베인은 2개의 아치 각각을 따라 장착되며, 터닝 베인은 재순환 공기 흐름 플레넘 내부에 위치하며 코너를 통해 공기 흐름을 재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5. 제 35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코너는 비행 챔버 아래에 위치되고, 터닝 베인은 수직 풍동의 수평 플레넘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위쪽으로 비행 챔버로 재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각 아치의 정점은 프레임 구조의 기둥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7.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위치된 4 개의 기둥 및 2개의 크로스 빔을 포함하고, 각각의 크로스 빔은 프레임 구조의 2개의 컬럼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8. 제 37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로스 빔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일부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39. 제 34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0. 제 34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수직 풍동의 플레넘 구조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1. 제 34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의 플레넘 벽은 터닝 베인 구조의 아치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2. 제 34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5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3. 제 34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은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4. 제 34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가 프레임 구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5. 제 34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선은 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에서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전환되는 2개의 대향 만곡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 베인 구조.
  47. 제 34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베인 구조는 제 48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및/또는 제 1 항 내지 제 33 항 또는 제 80-9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직 풍동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베인 구조.
  48. 수직 풍동을 위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비행 챔버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비행 챔버의 베이스 주위에 배열된 용접물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고;
    각 용접물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넘 벽 페어링과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가 있고;
    플레넘 벽 페어링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인접한 플레넘 벽과 플러시 또는 실질적으로 플러시 표면을 형성하고;
    플레넘 벽 페어링은 관통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고;
    케이블은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가로 질러 비행 챔버의 플로어에 케이블 플로어를 형성하고;
    각 케이블의 끝은 마주 보는 용접물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여기서 각각의 케이블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49. 제 48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는 풍동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배열된 지지 컬럼을 포함하고, 용접부는 지지 컬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0. 제 48 항 또는 제 49 항에 있어서, 용접물은 케이블 유지 보수 동안 아래에서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1. 제 48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는 풍동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플랫폼을 지지하고, 사용자 플랫폼은 케이블 유지 동안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용접부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2. 제 51 항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는 비행 챔버에 인접한 바닥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3. 제 48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마운팅 플레이트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각 케이블의 단부가 대향 용접부의 아이 볼트에 부착되는 복수의 아이 볼트;
    비행 챔버 반대편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를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압축 스프링은 비행 챔버로부터 멀리 아이 볼트를 편향 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고;
    압축 스프링에서 아이 볼트를 통해 케이블에 도입된 장력에 의해 케이블이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팽팽하게 당겨지고; 및
    압축 스프링은 케이블에 충분한 반대 힘이 가해 지면 압축되어 아이 볼트가 비행 챔버쪽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4. 제 53 항에 있어서, 아이 볼트를 관통하여 장착하기 위해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의 개구에 부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5. 제 53 항 또는 제 54 항에 있어서, 너트와 와셔가 케이블 반대편의 각 아이 볼트의 단부에 제공되고, 압축 스프링이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와 너트 및 와셔 사이에 위치하며, 압축 스프링이 너트와 와셔를 통해 아이 볼트와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6. 제 48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4 개의 용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7. 제 48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4 개의 용접부를 가지며, 용접부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는 정사각형을 형성하거나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8. 제 48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는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대향하는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59. 제 48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는 인접한 용접물의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0. 제 48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물들 사이에 형성된 케이블 플로어는 정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1. 제 48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다른 케이블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2. 제 48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비행 챔버를 가로 질러 두 방향으로 연장되고, 두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3. 제 48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대향 용접물 사이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은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4. 제 48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 챔버는 단면이 둥글거나 실질적으로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5. 제 48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를 형성하는 교차 케이블이 짜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6. 제 48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용접물은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는 플레넘 벽 페어링 및 케이블 장착 플레이트를 가로 질러 연장되고, 커버 플레이트는 케이블 유지 보수 동안 제거를 위해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7. 제 48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에는 비행 챔버의 벽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유지 각도가 제공되고, 벽 패널은 유지 각도와 용접물의 플레넘 벽 페어링 사이의 커버 플레이트 위에 위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8. 제 48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플레넘 벽은 인접한 플레넘 벽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플레넘 벽 페어링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인접한 플레넘 벽은 평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플레넘 벽 페어링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69. 제 48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는 제 34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닝 베인 구조 및/또는 제 1 항 내지 33 항 또는 제 80-9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직 풍동으로 통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플로어 조립체.
  70. 풍동에 있어서,
    코너 섹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플레넘에 연결되고, 코너 섹션은 풍동을 통해 제 1 플레넘에서 제 2 플레넘으로 공기 흐름을 재지향시키는 플레넘;
    코너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측을 가지며, 출구 측은 제 2 플레넘의 2개 이상의 덕트에 연결되며, 코너 섹션의 출구 측을 따라 제공되는 터닝 베인 구조를 사용하여 제 1 플레넘의 공기 흐름을 직접 제 2 플레넘을 포함하고;
    코너 섹션의 출구 측은 계단식 턴을 포함하고;
    계단식 턴은 기류를 제 2 플레넘의 덕트로 분할하고; 및
    제 2 플레넘의 덕트는 제 1 플레넘을 통한 기류의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이에 의해 제 2 플레넘의 인접한 덕트 사이의 코너 섹션의 출구 측 옆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1. 제 70 항에 있어서, 풍동은 2개의 제 2 플레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2. 제 71 항에 있어서, 2개의 제 2 플레넘 각각은 계단식 턴을 통해 코너 섹션에 연결된 2개 이상의 덕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3. 제 70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넘은 정확히 2개의 덕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4. 제 70 항 내지 제 7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출구 측이 제 1 플레넘을 통한 기류의 방향에 대해 대략 45 도의 각도로 제 2 플레넘의 덕트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5. 제 70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인 구조는 제 1 플레넘을 통한 기류의 방향에 대해 대략 45 도의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6. 제 70 항 내지 제 7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섹션의 출구 측에 연결될 때, 제 1 플레넘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 2 플레넘의 덕트가 제 1 플레넘의 종축에 더 가깝게 연장되고, 제 2 플레넘의 인접 덕트는 제 1 플레넘의 종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7. 제 70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플레넘의 각 덕트는 단면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8. 제 70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넘의 각 덕트는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79. 제 70 항 내지 제 7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덕트 사이의 계단식 턴에 의해 형성된 간극 공간은 풍동을 위한 풍동 설비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요소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80. 제 70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풍동은 실내 스카이 다이빙을 위한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동.
  81. 제 80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2.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있어서,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상부 수평 부재, 하부 수평 부재 및 제 2 수직 부재를 포함하는 재순환 기류 플레넘을 포함하고;
    제 2 수직 부재는 제 1 리턴 에어 타워 및 제 2 리턴 에어 타워를 포함하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제 2 수직 부재를 통해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부 수평 부재는 제 1 플레넘 부재 및 제 2 플레넘 부재로 분리되고,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상부 수평 부재를 통해 제 1 플레넘 부재와 제 2 플레넘 부재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넘 부재 및 제 2 플레넘 부재 각각은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5.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의 재순환 기류 플레넘의 분리가 상부 수평 부재를 통해 제 1 수직 부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6. 제 82 항 내지 제 8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상기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에서 분리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하부 수평 부재에서 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7. 제 82 항 내지 제 8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제 2 리턴 에어 타워 사이에서 분리된 재순환 기류 플레넘은 하부 수평 부재와 제 2 수직 부재 사이의 코너에서 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8. 제 82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턴 에어 타워와 상기 제 2 리턴 에어 타워는 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89. 제 82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제 1 항 내지 33 항 또는 제 80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0. 실내 스카이 다이빙용 수직 풍동에 있어서:
    재순환 기류 플레넘;
    기류 플레넘의 제 1 수직 부재 내에 수용된 비행 챔버;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있는 밀폐된 챔버를 갖는 전단 교환 시스템; 재순환 기류 플레넘 외부의 관찰 영역을 향하는 제 1 도어;
    비행 챔버과 연결되는 밀폐된 복도를 향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제 2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1. 제 90 항에 있어서, 관찰 영역으로부터 전단 교환 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제 1 도어에 근접한 RFID 또는 바/QR 판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RFID 또는 바/QR 코드 리더가 승인된 RFID 칩 또는 바/QR 코드를 감지하지 않는 한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2. 제 90 항 또는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개폐는 시간 지연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3. 제 90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개폐는 별도의 제어실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4. 제 90 항 내지 제 9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단 교환 시스템의 밀폐된 챔버 내에 수동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5. 제 90 항 내지 제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도와 공기 역학적으로 소통하는 통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6. 제 95 항에 있어서, 통풍구와 복도 사이의 복도 바닥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7. 제 95 항 또는 제 96 항에 있어서, 수직 풍동은 건물 내부에 수용되고, 통풍구는 또한 건물 외부의 외부 환경과 공기 역학적으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98. 제 90 항 내지 제 9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풍동은 제 1 항 내지 제 33 항 또는 제 80 항 내지 제 8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직 풍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풍동.
KR1020217010118A 2018-11-16 2019-11-16 재순환 수직 풍동 KR20210090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68384P 2018-11-16 2018-11-16
US62/768,384 2018-11-16
US201962929260P 2019-11-01 2019-11-01
US62/929,260 2019-11-01
PCT/IB2019/059857 WO2020100120A2 (en) 2018-11-16 2019-11-16 Recirculating vertical wind tu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162A true KR20210090162A (ko) 2021-07-19

Family

ID=6865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118A KR20210090162A (ko) 2018-11-16 2019-11-16 재순환 수직 풍동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1707689B2 (ko)
EP (2) EP3880329B1 (ko)
JP (1) JP2022505407A (ko)
KR (1) KR20210090162A (ko)
CN (1) CN111196368A (ko)
AU (2) AU2019378252B2 (ko)
CA (1) CA3114629A1 (ko)
DK (1) DK3880329T3 (ko)
MX (1) MX2021005528A (ko)
SG (1) SG11202103489QA (ko)
TW (3) TWM601719U (ko)
WO (1) WO20201001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162A (ko) * 2018-11-16 2021-07-19 스카이벤쳐 인터내셔널 (유케이) 엘티디 재순환 수직 풍동
LV15627B (lv) * 2020-09-30 2023-07-20 Storm Adventures, Sia Horizontāls vēja tunelis
CN113188752B (zh) * 2021-06-11 2022-02-22 日照坤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非定常立式风洞
CN114858403B (zh) * 2022-05-17 2023-03-10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连续式风洞气流温度冷却方法
CN117490968B (zh) * 2023-12-22 2024-03-08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喷流模拟器整流装置及喷口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1364A (en) 1930-06-07 1931-06-23 Dimitry E Olshevsky Wind tunnel for testing aeroplanes
US3109670A (en) 1960-10-17 1963-11-05 Charles F Engel Air duct installations
US3484953A (en) 1967-05-15 1969-12-23 Ray H Norheim Jr Apparatus for simulating free fall through air
GB2062557B (en) 1979-11-03 1983-11-02 Louttit I A Apparatus for simulating free-fall conditions
DE3007950A1 (de) 1980-03-01 1981-09-10 Brown Boveri - York Kälte- und Klimatechnik GmbH, 6800 Mannheim Windkanal
US4457509A (en) 1981-03-05 1984-07-03 Airflite, Inc. Levitationarium for air flotation of humans
WO1983001380A1 (en) * 1981-10-20 1983-04-28 Macangus, Alexander Skydiving simulator
JPH0236887A (ja) 1988-07-28 1990-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空中遊泳模擬体験装置
JP2689396B2 (ja) 1989-09-29 1997-12-1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ホローカソード型金属蒸気レーザ管
JPH03136128A (ja) 1989-10-23 1991-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FR2659620B1 (fr) 1990-03-13 1995-11-24 Labrucherie Jean Banc d'entrainement au parachutisme.
US5099685A (en) 1990-08-09 1992-03-31 The Boeing Company Boundary layer control diffuser for a wind tunnel or the like
JPH06296764A (ja) 1993-04-16 1994-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レジャー用鉛直風洞
US5495754A (en) 1994-01-04 1996-03-05 Sverdrup Technology, Inc. Environmental wind tunnel
JPH08182791A (ja) 1994-12-28 1996-07-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風洞装置の空気取入口における空気流入量調整機構
JPH08182787A (ja) 1994-12-28 1996-07-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カイダイビング及びパラシュート降下訓練シミュレータ
US5655909A (en) 1995-03-06 1997-08-12 Kitchen; William J. Skydiving trainer windtunnel
JPH08299515A (ja) 1995-05-02 1996-1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由降下模擬体験装置
JPH08299516A (ja) 1995-05-12 1996-11-19 Nishi Nippon Ryutai Giken:Kk 自由降下模擬体験装置
JPH1082715A (ja) 1996-09-10 1998-03-31 Hitachi Ltd 垂直風洞
JPH10156047A (ja) 1996-11-26 1998-06-16 Mitsubishi Heavy Ind Ltd 空中遊泳シアター
JPH10234919A (ja) 1997-02-25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由降下模擬用竪型風洞
JPH10311774A (ja) 1997-05-12 1998-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回流装置
JP3873369B2 (ja) 1997-05-15 2007-01-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複合型排気装置
JP3865472B2 (ja) * 1997-07-24 2007-01-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自由降下訓練用竪型風洞
US6083110A (en) 1998-09-23 2000-07-04 Sky Venture, Inc. Vertical wind tunnel training device
WO2000059595A1 (es) 1999-03-30 2000-10-12 Escandar, S.L. Instalacion para simular el vuelo libre de personas, por accion de una corriente de aire
WO2004026687A2 (en) 2002-08-20 2004-04-01 Aero Systems Engineering Inc. Free fall simulator
US7156744B2 (en) 2004-07-30 2007-01-02 Skyventure, Llc Recirculating vertical wind tunnel skydiving simulator
US7028542B2 (en) * 2004-07-30 2006-04-18 Metni N Alan Reduced drag cable for use in wind tunnels and other locations
UA78399C2 (en) * 2005-05-30 2007-03-15 Viktor Borysovych Petruk Wind channel
UA78420C2 (en) 2005-07-12 2007-03-15 Viktor Borysovych Petruk Aerodynamic tunnel for training parachutists
ES2289908B1 (es) 2005-12-21 2008-12-01 Voralcel, S.L. Tunel de viento vertical panoramico perfeccionado.
JP4738301B2 (ja) 2006-09-22 2011-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流型風洞装置
NZ568424A (en) 2008-05-21 2010-03-26 Deltavdevelopment Ltd Closed circuit wind tunnel with inclined section
CN201281652Y (zh) * 2008-07-17 2009-07-29 罗海林 新型回流式旅游风洞
DE102008046759A1 (de) 2008-09-11 2010-03-18 Indoor Skydiving Bottrop Gmbh Freifallsimulator
CN201492925U (zh) * 2009-09-10 2010-06-02 罗海林 新型双回流娱乐风洞
CZ20638U1 (cs) * 2009-10-12 2010-03-15 Strojírna Litvínov spol. s r.o. Simulátor volného pádu
KR100954238B1 (ko) 2009-10-29 2010-04-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양한 바람 환경의 제공이 가능한 소형 풍동
TR201000065A2 (tr) * 2010-01-06 2011-01-21 Stm Savunma Teknoloj�Ler� M�H.Ve T�C.A.�. Yüzey açıklıklarında akış kaynaklı rezonans sönümleyici kabin
KR101810706B1 (ko) 2010-01-15 2017-12-19 스카이벤쳐 인터내셔널 (유케이) 엘티디 풍동 터닝 베인 열 교환기
LV14423B (lv) 2010-04-26 2012-01-20 Aerodium, Sia Recirkulācijas vertikālais vēja tunelis
CN202420815U (zh) 2011-12-01 2012-09-05 成都盛尔嘉科技有限公司 一种风洞试验装置
CN202393581U (zh) 2011-12-10 2012-08-22 常州晟宇车辆部件厂 一种风洞试验装置
US9045232B1 (en) 2013-03-14 2015-06-02 Timothy A. Burke Transportable system for simulating free fall in air
EP3151937B1 (de) 2014-06-04 2018-08-08 Indoor Skydiving Germany GmbH Luftumlenkeinrichtung
US9327202B2 (en) * 2014-06-30 2016-05-03 Airborne America, Inc. Wind tunnel design with expanding corners
USD770383S1 (en) 2014-07-28 2016-11-01 Black Swan Equity Llc Wind tunnel
WO2016170365A2 (en) 2015-04-22 2016-10-27 Romanenko Ruslan Vertical wind tunnel skydiving simulator
JP2016202523A (ja) * 2015-04-22 2016-12-08 ルスラン ロマネンコ スカイダ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
DE102015107227A1 (de) 2015-05-08 2016-11-10 Jochen Schweizer Projects AG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en geschlossenen Vertikalwindtunnel
ITUB20151891A1 (it) 2015-07-07 2017-01-07 Extreme Flight Fze Galleria del vento a flusso ricircolante, in particolare per effettuare simulazioni di caduta libera o paracadutismo.
ITUB20156888A1 (it) * 2015-12-11 2017-06-11 Extreme Flight Fze Galleria del vento dotata di una piattaforma di lancio, in particolare per effettuare simulazioni di caduta libera o paracadutismo.
ITUB20159229A1 (it) 2015-12-18 2017-06-18 Extreme Flight Fze Camera di volo per galleria del vento e galleria del vento associata.
CN105854304A (zh) * 2016-04-18 2016-08-17 中国人民解放军63837部队 一种具有矩形飞行段的娱乐风洞
GB201612638D0 (en) * 2016-07-21 2016-09-07 Romanenko Ruslan And Langley Peter J And Parmanin Alexandr And Ivoninskii Aleksandr And Lisin Svjato Wind tunnel skydiving simulator
WO2018122575A1 (en) 2016-12-29 2018-07-05 Aerodium Technologies, Sia Recirculating vertical wind tunnel with passive cooling
US10537816B2 (en) * 2017-06-30 2020-01-21 Antonio Arias, IV Body flight simulator
CZ309893B6 (cs) 2017-07-28 2024-01-17 Strojírna Litvínov spol. s.r.o. Simulátor volného pádu, jeho použití a uzavřený chladicí systém pro uzavřený cyklický větrný tunel tohoto simulátoru volného pádu
IT201700122220A1 (it) 2017-10-27 2019-04-27 Vertical Dwc Llc Galleria del vento ricircolante trasferibile.
WO2019097292A1 (en) 2017-11-17 2019-05-23 Skyventure International (Uk) Ltd Interactive modular sensor system for indoor skydiving wind tunnels
US10765958B2 (en) 2018-04-02 2020-09-08 Maida Engineering,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imited sky diving wind tunnel drive train/fan
WO2020067917A1 (ru) 2018-09-28 2020-04-02 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 ПЛЕТНЕВ Рома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Вертикальная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ая труба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вободного парения человека в воздухе
KR20210090162A (ko) * 2018-11-16 2021-07-19 스카이벤쳐 인터내셔널 (유케이) 엘티디 재순환 수직 풍동
CN112717428A (zh) 2020-11-25 2021-04-30 飞行家(荆门)风洞科技有限公司 矩形飞行舱演艺风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5407A (ja) 2022-01-14
EP3880329B1 (en) 2024-01-31
SG11202103489QA (en) 2021-05-28
TW202348295A (zh) 2023-12-16
US20220001288A1 (en) 2022-01-06
CA3114629A1 (en) 2020-05-22
TWM601719U (zh) 2020-09-21
AU2019378252B2 (en) 2023-02-02
MX2021005528A (es) 2021-06-18
WO2020100120A3 (en) 2020-07-23
CN111196368A (zh) 2020-05-26
AU2019378252A1 (en) 2021-06-17
US11707689B2 (en) 2023-07-25
AU2022291630B2 (en) 2024-07-11
US20230052575A1 (en) 2023-02-16
DK3880329T3 (da) 2024-03-25
WO2020100120A2 (en) 2020-05-22
TWI819144B (zh) 2023-10-21
AU2022291630A1 (en) 2023-02-02
EP4400187A2 (en) 2024-07-17
TW202027828A (zh) 2020-08-01
EP3880329A2 (en)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0162A (ko) 재순환 수직 풍동
KR20020041425A (ko) 클린룸 및 방법
US20140325937A1 (en) Support beam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span and reducing height of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AU2018305254B2 (en) Device for improving inlet flow pattern of multihole inflow pump station
US20060211365A1 (en) Induction diffuser
KR20160094649A (ko) 터널 환기용 풍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3914479A (zh) 一种组装方便的模块化房间
US11846116B2 (en) Theater having a modular auditoriu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theater
EP1614823A2 (en) Reinforcement form, in particular for making cross-ribbed reinforcement floors, and related floor
US20180132428A1 (en) Building Structure, Building and Greenhouse
CN215977727U (zh) 一种组装方便的模块化房间
KR101679315B1 (ko) 조립 방식의 복합 구조물
AU2013100181A4 (en) Air Delivery
KR102224713B1 (ko) 비정형 다면체의 그리드 쉘 구조물용 노드 조인트
JP3112852U (ja) ユニット観覧席
KR20190088309A (ko) 비계용 가변발판
CN210685521U (zh) 一种降噪通风发电机房
JP4582968B2 (ja) 二重床用単位パネル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44850B1 (ko) 조명타워와 일체화된 에어돔용 급기장치
CN104389345B (zh) 多连柱建筑支撑结构
KR200360829Y1 (ko) 접이식 가설벤트
JP2021181676A (ja) 養生ユニット
JP2019214839A (ja) アリーナ及びアリーナの工法
WO2005038169A1 (en) Building structure with a tensile membrane
KR20080000774A (ko) 교차아치형 공기막 가설건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