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628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628A
KR20210088628A KR1020217016921A KR20217016921A KR20210088628A KR 20210088628 A KR20210088628 A KR 20210088628A KR 1020217016921 A KR1020217016921 A KR 1020217016921A KR 20217016921 A KR20217016921 A KR 20217016921A KR 20210088628 A KR20210088628 A KR 20210088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heet
width direction
absorbent article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74151B1 (en
Inventor
퀸이 무
마사히로 가시와기
웨이 지앙
크슈에키 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은 흡수체(10); 피부측 시트(2); 비피부측 시트(7); 및 이들과 분리된 사이드 시트(6)를 구비한다. 사이드 시트(6)는 각각, 피부측 접음부(6f) 및 비피부측 접음부(6b)를 갖는다. 비피부측 접음부(6b)의 선단부는, 비피부측 접합부(40)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7)에 접합된다. 비피부측 접합부(40)는 각가, 길이 방향 전측부에 마련된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 길이 방향 후측부에 마련된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 및 적어도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와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 사이에 마련된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를 갖는다.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 및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에 대하여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n absorbent body 10; skin side sheet (2); non-skin side sheet 7; and a side sheet 6 separated therefrom. The side sheet 6 has a skin-side folding portion 6f and a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respectively. The tip end of 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is joined to the non-skin-side sheet 7 by the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0 . Each of the non-skin-side bonding portions 40 includes a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provided on the fron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provided on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a first non-skin side bonding portion. It has a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provided between (41)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is located inside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in the width direction.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착용자의 착의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및 흡수 패드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냅킨(1)과 같이, 톱 시트(3)가 흡수성 코어(21)의 피부측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비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여, 흡수성 코어(21)의 비피부측에서 백 시트(5)에 고정됨으로써, 장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As absorbent articles fixed to the wearer's clothes, sanitary napkins, panty liners, and absorbent pads are known. Like the napkin 1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top sheet 3 is folded back to the non-skin side while covering the skin sid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21, and the back sheet from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core 21 is It is known to improve attachability by being fixed to (5).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21136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221136

특허문헌 1에 나타낸 흡수성 물품(냅킨(1))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압축력이 가해졌을 때에, 톱 시트(3)의 접음부가 변형되어진다. 이는 흡수성 코어(21)가 착용자의 다리에 가하는 압력을 완화시켜, 흡수성 물품(1)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sorbent article (napkin 1) shown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orn,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inner side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wearer's legs, the top sheet 3 ) is deformed. This relieves the pressure exerted by the absorbent core 21 on the leg of the wearer, thereby improving the wearability of the absorbent article 1 .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성 코어(21)의 피부측면 및 측면이 톱 시트(3)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톱 시트(3)의 피부측에 부착된 배설물 등이, 흡수성 코어(21)에 도달하기 전에 톱 시트(3)를 가로질러 확산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새어 버릴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absorbent articl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skin side and side surfaces of the absorbent core 21 are covered with the top sheet 3, excreta adhering to the skin side of the top sheet 3 is removed from the absorbent core ( 21), it spreads across the top sheet 3,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xcrement may leak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흡수성 물품의 장착성을 향상시키면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leakage of excrement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improving the attachability of the absorbent article.

상기 양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양태는, The mai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spect is,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I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흡수체;absorbent;

상기 흡수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배치된 피부측 시트;a skin-side sheet disposed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body;

상기 흡수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 시트; 및a non-skin-side sheet disposed on a non-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r; and

상기 피부측 시트 및 상기 비피부측 시트와 분리되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사이드 시트Side sheets separated from the skin-side sheet and the non-skin-side sheet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Each of the side sheets

폭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피부측으로 접힌 피부측 접음부, 및 A skin-side fold folded from the out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skin, and

상기 폭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비피부측으로 접힌 비피부측 접음부 A non-skin-side fold folded from the out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non-skin side

를 가지고,have,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피부측 접합부에 의해 상기 피부측 시트의 상기 피부측에 접합되어 있고,The front end of the skin-side fold is joined to the skin side of the skin-side sheet by a pair of skin-side joint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비피부측 접음부의 선단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비피부측 접합부에 의해 상기 비피부측 시트에 접합되어 있고,The tip of the non-skin-side fold is joined to the non-skin-side sheet between the absorbent body and the non-skin-side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a pair of non-skin-side joining par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비피부측 접합부는 각각Each of the non-skin side junctions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한 전측부에 마련된 제1 비피부측 접합부, A first non-skin side joint provided on the anterior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 후측부에 마련된 제2 비피부측 접합부, 및 a second non-skin side joint provided on the rear side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적어도 상기 제1 비피부측 접합부와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제3 비피부측 접합부 At least a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를 가지고,have,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는, 상기 제1 비피부측 접합부 및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이다.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is an absorbent article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의 장착성을 향상시키면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can suppress that excrement leaks out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improving the attachability of an absorbent article.

도 1은 생리용 냅킨(1)(냅킨(1))을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냅킨(1)을 비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A-A선에 있어서의 냅킨(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이드 시트(6)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비피부측 접합부(40)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6)의 변형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6)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 is the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sanitary napkin 1 (napkin 1) from the skin side.
Fig. 2 is a plan view of the napkin 1 viewed from the non-skin side.
3 :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the napkin 1 in the AA line in FIG.
4 :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ide seat 6. As shown in FIG.
5 : is a schematic plan view explaining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non-skin side joint part 40. As shown in FIG.
6 :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of the side sheet 6 at the time of wearing of the napkin 1. As shown in FIG.
7 :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ide sheet 6 at the time of wearing of the napkin 1. As shown in FIG.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clear by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n accompanying drawing.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I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흡수체;absorbent;

상기 흡수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배치된 피부측 시트;a skin-side sheet disposed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body;

상기 흡수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 시트; 및a non-skin-side sheet disposed on a non-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r; and

상기 피부측 시트 및 상기 비피부측 시트와 분리되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사이드 시트Side sheets separated from the skin-side sheet and the non-skin-side sheet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Each of the side sheets

폭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피부측으로 접힌 피부측 접음부, 및 A skin-side fold folded from the out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skin, and

상기 폭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비피부측으로 접힌 비피부측 접음부 A non-skin-side fold folded from the out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non-skin side

를 가지고,have,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피부측 접합부에 의해 상기 피부측 시트의 상기 피부측에 접합되어 있고,The front end of the skin-side fold is joined to the skin side of the skin-side sheet by a pair of skin-side joint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비피부측 접음부의 선단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비피부측 접합부에 의해 상기 비피부측 시트에 접합되어 있고,The tip of the non-skin-side fold is joined to the non-skin-side sheet between the absorbent body and the non-skin-side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a pair of non-skin-side joining par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비피부측 접합부는 각각Each of the non-skin side junctions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한 전측부에 마련된 제1 비피부측 접합부, A first non-skin side joint provided on the anterior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 후측부에 마련된 제2 비피부측 접합부, 및 a second non-skin side joint provided on the rear side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적어도 상기 제1 비피부측 접합부와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제3 비피부측 접합부 At least a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를 가지고,have,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는, 상기 제1 비피부측 접합부 및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The said 3rd non-skin side bonding part is located inside the said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aid 1st non-skin side bonding part and the said 2nd non-skin side bonding part.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되어, 제3 비피부측 접합부를 기점으로 하여 피부측으로 기립하도록 변형됨으로써 샘 방지벽이 형성된다. 폭 방향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 시트가 변형됨으로써, 착용자의 서혜부에 대한 피부 접촉을 소프트하게 하면서, 샘 방지벽에 의해 배설물의 옆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측 시트와 사이드 시트가 별개 부재임으로써, 피부측 시트와 사이드 시트의 이음매(단차)에 의해 배설물의 이동이 제한되기 쉬워, 배설물의 옆샘이 더욱 억제된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er, the side sheet is compress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deformed so as to stand on the skin side with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portion as a starting point to form a leak prevention wall. When the side sheets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deformed, the skin contact with the groin of the wearer is softened, and the side leakage of excrement can be suppressed by the leakage barrier. In addition, since the skin-side sheet and the side sheet are separate members, the movement of excrement is easily restricted by the joint (step difference) between the skin-side sheet and the side sheet, and the side leakage of excretion is further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의 외측단은,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of the third non-skin-side joint por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ip of the skin-side fold por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비피부측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가 제3 비피부측 접합부의 외측단을 기점으로 하여 절곡 변형되었을 때에, 사이드 시트가 피부측에 있어서 피부측 접음부의 전체가 피부측으로 기립하도록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샘 방지벽이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 옆샘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the side sheet on the non-skin side is bent and deformed start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the side sheet is deformed so that the entire skin-side fold stands on the skin side on the skin side. easy to become Thereby, the leak prevention wall is formed high enough, and side leakage can be suppressed furth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2 이상의 시트 부재층이 서로 적층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side sheets preferably has a portion in which two or more sheet member layers are laminated on each oth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2장 이상의 시트 부재가 서로 적층된 부분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의 강도가 높아지며, 배설물의 침투가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시트가 샘 방지벽으로서 기립하였을 때에, 배설물의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배설물의 옆샘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portion where two or more sheet members are laminated on each other, the strength of the side sheet is increased, and the penetration of excrement can be suppressed. Thereby, when the side sheet stands up as a leak prevention wall, the movem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excrement is restricted, and the side leakage of excrement can be suppressed furth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서 1장의 시트 부재가 되접어 꺾여 서로 적층되어진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side sheets preferably has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one sheet member is folded and laminated on each other at the tip of the skin-side fol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서, 각각의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의 끝가장자리부(엣지부)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시트 부재의 엣지부가 착용자의 피부로 파고드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이 부드러워져, 착용자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at the tip of the skin-side fold, the edge portion (edg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constituting each side sheet is not exposed, so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penetrates into the wearer's skin, etc. can be suppressed. Thereby, the skin contact in the front-end|tip of a skin-side fold part becomes soft, and a wearer's discomfort can be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2 이상의 시트 부재층이 서로 적층되어 있는 상기 사이드 시트의 각각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In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each portion of the side sheet in which two or more sheet member layers are laminated on each other, the side sheet

대향하는 시트 부재층이 함께 접합되어 있는 부분, 및a portion to which the opposing sheet member layers are joined together, and

상기 대향하는 시트 부재층이 함께 접합되지 않는 부분A portion where the opposing sheet member layers are not joined together

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hav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층이 함께 접합되지 않는 부분에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극에 의해 배설물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이드 시트에 대하여 배설물(액체)이 침투하기 어려워짐으로써, 배설물의 옆샘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a void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heet member layers constituting the side sheet are not joined together, so that the movement of excrement can be restricted by the void. That is, by making it difficult for excrement (liquid) to permeate into the side sheet, the side gland of excretion can be further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이 상기 피부측 시트와 접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of the skin-side fold is not joined to the skin-side 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 드라이 엣지가 형성되어, 선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의 피부 접촉이 보다 부드러워져, 착용자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a dry edge is formed at the front-end|tip of a skin-side fold part, and the rigidity in a front-end|tip part can be made low. Thereby, the skin contact of the said front-end|tip part at the time of wear of an absorbent article becomes softer, and a wearer's discomfort can be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피부측 접합부에서는,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피부측 시트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skin-side bond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heet and the skin-side sheet are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사이드 시트는 보다 높은 강성과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샘 방지벽으로서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쉬워지며, 기립 후 그의 형상을 유지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압착 가공에 의해 시트 부재의 일부가 함께 접합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통기성이 향상되고, 양호한 촉감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side sheet can provide higher stiffness and thickness. For this reason, it becomes easy for the said side sheet to stand up to the skin side as a leakage barrier, and it becomes easy to maintain its shape after standing up.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sheet member is joined together by the crimping process,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an adhesive or the like is used, and a good tactile feel can be achiev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상기 피부측 시트보다 소수성이 높은 시트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each of the side sheets is preferably formed using a sheet member having a higher hydrophobicity than the skin-side 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배설물이, 사이드 시트의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측 시트의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배설물의 옆샘을 억제하면서, 배설물을 흡수체에 빠르게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excretion becomes easier to move from the skin side to the non-skin side of the skin-side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rather than mov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de sheet.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absorber rapidly absorb excrement while suppressing the side glands of excre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폭방향 부분에서는, 상기 비피부측 접음부가 단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width direction portion in which the third non-skin-side junction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skin-side fold has a single-layer structure.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가 2층 이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제3 비피부측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강성이 낮아져, 사이드 시트가 변형되기 쉬워진다. 즉, 제3 비피부측 접합부를 절곡 기점으로 하여 비피부측 접음부가 기립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샘 방지벽이 형성되기 쉬워져, 배설물의 옆샘을 억제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heet|seat member which comprises a side sheet is two or more layers, the rigidity of the part in which the 3rd non-skin side joint part is formed becomes low, and a side sheet becomes easy to deform. That is, using the third non-skin-side junction portion as the bending starting point, 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easily stands up. Thereby, it becomes easy to form a leak prevention wall, and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side leakage of excrement.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In this absorbent article,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첩하는 복수의 절첩선이 마련되고,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old lines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의 전측단은, 상기 복수의 절첩선 중에서 가장 후측의 절첩선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non-skin side junction portion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most fold line among the plurality of fold lines.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가장 후측의 절첩선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후측에 위치한 영역에서는, 흡수체와 각각의 제2 비피부측 접합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짧아져, 사이드 시트(샘 방지벽)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대략 평면 형상으로 유지되기 쉬워져, 상기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 더욱 용이하게 피트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region located at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most fold line, the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absorbent body and each of the second non-skin side junctions is shortened, and the side sheet (leakage prevention wall) ) can lower the height that can stand up to the skin side. Accordingly,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orn, the absorbent article tends to be held in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in a region located on the wearer's buttocks, so that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more easily fitted along the rounding of the wearer's buttocks.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In this absorbent article,

적어도 상기 피부측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본체 압착부가 마련되고, A body pressing unit for pressing at least the skin-side sheet and the absor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는, 상기 본체 압착부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축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본체 압착부보다 먼저 제3 비피부측 접합부를 절곡 기점으로 하여 사이드 시트 등이 절곡 변형을 일으킨다. 즉, 본체 압착부가 절곡 기점이 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사이드 시트를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확실하게 기립시켜, 샘 방지벽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side sheet or the like causes bending deformation with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portion as the bending starting point before the main body pressing portion. That is, it is suppressed that a main body crimping|compression-bonding part becomes a bending origin. Thereby, the side sheet can be reliably made to stand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leak prevention wall can be formed more easily.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외측단과 접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n absorbent article WHEREI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ide sheet is not joined with the outer edg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absorb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사이드 시트는, 흡수체로부터 독립하여 자유롭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가 피부측으로 기립하여 샘 방지벽을 형성하면서, 폭 방향으로 찌부러지도록 변형되어 압축력을 완화하는 쿠션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피부 접촉을 향상시키면서 배설물의 옆샘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bsorbent article, it becomes possible for a side sheet to deform|transform freely independently from an absorber. Therefore, the side sheet is deformed so as to be crushed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standing up to the skin side to form a leak-proof wall, and it becomes easy to exhibit the function as a cushion which relieves a compressive force. Thereby, the side gland of excretion can be suppressed, improving skin contact.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냅킨을 예로 들어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생리용 냅킨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팬티 라이너 또는 경실금용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착의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임의의 흡수성 물품에 적용가능하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aking a sanitary napkin as an example as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sanitary napk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y absorbent article used by fixing to a user's clothing, such as a panty liner or a pad for light incontinence.

생리용 냅킨(1)의 기본 구성Basic composition of sanitary napkin (1)

도 1은 생리용 냅킨(1)(이하 "냅킨(1)"이라고도 함)을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냅킨(1)을 비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냅킨(1)의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sanitary napkin 1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napkin 1”) viewed from the skin side. Fig. 2 is a plan view of the napkin 1 viewed from the non-skin sid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pkin 1 taken along arrows A-A in FIG. 1 .

냅킨(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냅킨(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하복부에 접촉하는 측을 "전측"이라고 하고, 착용자의 둔부에 접촉하는 측을 "후측"이라고 한다. 또한, 냅킨(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도면 중 X-X선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이다.The napkin 1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pkin 1, the side contacting the wearer's lower abdomen is called "front side", and the side contacting the wearer's buttocks is called "rear side". In addi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apkin 1, the side which contacts the wearer's skin is called "skin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called "non-skin side". In the figure, X-X-rays are a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냅킨(1)은,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폭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윙부(1W)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냅킨(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윙부(1W)가 마련된 부분을 중앙부(1B), 중앙부(1B)에 대하여 전측의 부분을 전측부(1A), 중앙부(1B)에 대하여 후측의 부분을 후측부(1C)라고 한다.The napkin 1 includes a pair of wing portions 1W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Hereinaf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pkin 1,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wing portion 1W is the central portion 1B, the fro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B is the front portion 1A, and the re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B. is called the rear portion (1C).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냅킨(1)이 피부측 시트(2); 중간 시트(3); 흡수체(10); 백 시트(4); 및 사이드 시트(6)를 또한 포함한다.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부측 시트(2), 중간 시트(3), 흡수체(10) 및 백 시트(4)가 적층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6)는, 피부측 시트(2)의 피부측면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흡수체(10)의 비피부측면의 폭 방향의 단부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즉, 사이드 시트(6)는, 부재(2, 3, 및 10)를 두께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시트(6)는 각각, 사이드 시트(6)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2 이상의 시트 부재층이 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1장의 시트 부재가 자체로 되접어 꺾어진 2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2장의 시트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여 접합한 구조 등도 가능하다. 사이드 시트(6)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된다.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napkin 1 is a skin-side sheet 2; middle sheet (3); absorbent body 10; back seat (4); and a side seat 6 as well. The skin-side sheet 2, the intermediate sheet 3, the absorbent body 10, and the back sheet 4 are laminated sequentially from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ide sheet 6 is disposed from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kin side of the skin side sheet 2 to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body 10 . That is, the side sheet 6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members 2, 3, and 10 may be pinched|interpo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Each of the side sheets 6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heet member layers are laminated on each other in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heet 6 . Although Fig. 3 shows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one sheet member is folded back by itself, a structure in which two sheet members are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joined together is also possible. Details of the side sheet 6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사이드 시트(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장의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1장의 시트 부재가 자체로 접힌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부측 시트(2), 중간 시트(3), 흡수체(10), 백 시트(4) 및 사이드 시트(6)는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 고정되어 있다. 접착제는, 이들 부재의 피부측면 및 비피부측면에 걸쳐 임의의 도포 패턴으로 도포되어 있고, 선택가능한 도포 패턴의 예로는 Ω 패턴, 스파이럴 패턴, 및 스트라이프 패턴을 포함한다. 도 3 등에 있어서, 편의상, 접착제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Further, the side sheet 6 may be constituted by one sheet member as shown in FIG. 3 or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one sheet member is folded by itself. The skin-side sheet 2, the intermediate sheet 3, the absorbent body 10, the back sheet 4, and the side sheet 6 are bonded and fix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such as a hot melt adhesive. The adhesive is applied in any application pattern over the skin side and non-skin side of these members, and examples of the selectable application pattern include an Ω pattern, a spiral pattern, and a stripe pattern. In FIG. 3 and the like, the adhesive is omitted for convenience.

피부측 시트(2)는, 면으로 제조된 액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다. 피부측 시트(2)는, 냅킨의 착용 중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피부측 시트(2)에 친수성의 천연 섬유인 면을 이용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촉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생리용 냅킨을 착용하는 생리 기간 동안은, 착용자의 피부는 민감해지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점에서, 냅킨(1)의 피부측 시트(2)에 면을 이용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의 자극을 경감하여, 착용자의 피부의 가려움이나 발진 등이 일어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인상과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skin-side sheet 2 is a liquid-permeable sheet member made of cotton. The skin-side sheet 2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while the napkin is being worn. Therefore, by using cotton, which is a hydrophilic natural fiber, for the skin-side sheet 2,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eel of the wearer's skin.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 wearer's skin tends to become sensitive during the menstrual period when the sanitary napkin is worn. In this regard, by using cotton for the skin-side sheet 2 of the napkin 1, irritation to the wearer's skin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tching, rash, or the like of the wearer's skin. In addition, it can visually give a soft impression and a sense of luxury.

중간 시트(3)는, 에어 스루 부직포 시트, 스펀 본드 부직포 시트 등으로 구성된 액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다. 윙 시트(5) 및 사이드 시트(6)는 각각, 에어 스루 부직포 시트, 스펀 본드 부직포 시트 등으로 구성된 소수성의 시트 부재이다. 백 시트(4)는, 폴리에틸렌(PE) 수지 필름 등으로 구성된 액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다. 백 시트(4)는, 평면 사이즈가 흡수체(10)보다 크며, 흡수체(10)의 평면 전체를 덮고 있다.The intermediate sheet 3 is a liquid-permeable sheet member composed of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sheet, a spunbond nonwoven fabric sheet, or the like. Each of the wing sheet 5 and the side sheet 6 is a hydrophobic sheet member composed of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sheet,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sheet, or the like. The back sheet 4 is a liquid-impermeable sheet member made of a polyethylene (PE) resin film or the like. The back sheet 4 has a larger plane size than the absorber 10 , and covers the entire plane of the absorber 10 .

윙부(1W)는, 피부측 시트(2) 등의 폭 방향의 양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윙 시트(5) 및 백 시트(4)의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냅킨(1)은 윙부(1W)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백 시트(4)와 윙 시트(5)를 합쳐서 "비피부측 시트(7)"라고도 부르는 경우가 있다.The wing portion 1W is formed by portions of the wing sheet 5 and the back sheet 4 extending outward from both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kin-side sheet 2 or the like. The napkin 1 may have a form which does not include the wing part 1W. Hereinafter, the back sheet 4 and the wing sheet 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non-skin side sheet 7".

흡수체(10)는, 배설물을 흡수하여 내부에 유지하는 부재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0)는, 흡수성 코어(11)와, 흡수성 코어(11)를 덮는 커버 시트(12)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11)는 하기와 같이 얻어진다: 액체 흡수성 섬유인 펄프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흡수성 섬유 등에,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으로 이루어진 액체 흡수성 입상물이 가해져,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진다. 커버 시트(12)는, 티슈 등으로 제조된 액 투과성의 시트이다.The absorbent body 10 is a member that absorbs excrement and holds it inside. As shown in FIG. 3 , the absorbent body 10 includes an absorbent core 11 and a cover sheet 12 covering the absorbent core 11 . The absorbent core 11 is obtained as follows: a liquid-absorbing granular material made of a super-absorbent polymer (so-called SAP) or the like is added to pulp fibers or cellulosic absorbent fibers, which are liquid-absorbing fibers, and mold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cover sheet 12 is a liquid-permeable sheet made of tissue or the like.

냅킨(1)의 비피부측(즉, 백 시트(4)의 비피부측면)에는, 접착제의 도포 등에 의해 중앙 점착부(8)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서는, 11개의 직사각형의 중앙 점착부(8)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변을 가지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중앙 점착부(8)의 형상, 수 및 배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냅킨(1)의 사용 시에, 중앙 점착부(8)는 사용자의 착의(예를 들어, 속옷)의 피부측면에 첩부됨으로써, 냅킨(1)이 착용자의 속옷 등에 고정된다.On the non-skin side of the napkin 1 (that is,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4), a central adhesive portion 8 is provided by application of an adhesive or the like. In Fig. 2, eleven rectangular central adhesive portions 8 have long sid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However,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central adhesive portions 8 are not limited to this example. When the napkin 1 is used, the central adhesive portion 8 is affixed to the skin side of the user's clothing (eg, underwear), whereby the napkin 1 is fixed to the wearer's underwear or the like.

마찬가지로, 윙부(1W)의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면(백 시트(4)의 비피부측면)에는, 윙 점착부(9)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서는, 4개의 직사각형의 윙 점착부(9)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변을 가지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지만, 윙 점착부(9)의 수, 형상 및 배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냅킨(1)의 사용 시에, 윙부(1W)는 비피부측으로 절곡되고, 윙 점착부(9)는, 착용자의 속옷 등의 비피부측면에 첩부된다. 이에 의해, 윙부(1W)는 속옷 등에 고정된다.Similarly, the wing adhesive part 9 is provided on the non-skin side surface (non-skin side surface of the back sheet 4)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g part 1W. In FIG. 2 , four rectangular wing adhesive portions 9 have long sid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but the number,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wing adhesive portions 9 are in this example. is not limited to When the napkin 1 is used, the wing portion 1W is bent to the non-skin side, and the wing adhesive portion 9 is affixed to the non-skin side of the wearer's underwear or the like. Thereby, the wing part 1W is fixed to an undergarment or the like.

냅킨(1)은 또한, 복수의 선형 압착부(Es), 복수의 본체 압착부(Eb) 및 복수의 구멍부(H)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1)을 피부측면에서 보면, 선형 압착부(Es), 본체 압착부(Eb) 및 구멍부(H)를 시인할 수 있다. 선형 압착부(Es)는, 피부측 시트(2)와 중간 시트(3)가 중첩된 영역의 대략 전역에 배치되고, 적어도 피부측 시트(2)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압착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선형 압착부(Es)에서, 피부측 시트(2) 및 중간 시트(3)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라인 형상의 선형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에 의해, 피부측 시트(2)의 섬유 밀도와 중간 시트(3)의 섬유 밀도가, 압착을 하지 않는 부분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냅킨(1)의 선형 압착부(Es)는 각각, 도트형(원형) 압착부의 집합에 의해 라인으로 성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선형 압착부(Es) 각각은, 복수의 라인 형상의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형 압착부(Es)가 연속한 라인 형상의 압착부인 경우와 비교하여, 냅킨(1)과 같이 도트형(원형) 압착부의 집합에 의해 선형 압착부(Es)를 형성함으로써, 피부측 시트(2) 및 중간 시트(3)가 과도하게 딱딱해져 버릴 우려를 경감하여, 냅킨의 착용 시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napkin 1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linear pressing portions Es, a plurality of body pressing portions Eb and a plurality of holes H. 1 and 3, when the napkin 1 is seen from the skin side, the linear compression part Es, the main body compression part Eb, and the hole part H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 linear compression portion Es is formed by arranging approximately the entire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skin-side sheet 2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overlap and performing compression processing on at least the skin-side sheet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ine-shaped linear crimping section is formed by crimping the skin-side sheet 2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each of the linear crimping sections Es. By crimping, the fiber density of the skin-side sheet 2 and the fiber density of the intermediate sheet 3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portion not subjected to crimping. Further, each of the linear compression portions Es of the napkin 1 is formed into a line by a set of dot-shaped (circular) pressing por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ach of the linear compression parts 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e-shaped compression part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linear compression part Es is a continuous line-shaped compression part, the skin-side sheet is formed by forming a linear compression part Es by a set of dot-shaped (circular) pressing parts like the napkin 1 . (2)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intermediate sheet 3 will become excessively hard can be reduced, and the feel at the time of wearing a napkin can be improved.

구멍부(H)는, 냅킨(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및 폭 방향의 중앙부에, 대략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멍부(H)는, 피부측으로부터 피부측 시트(2), 중간 시트(3) 및 흡수체(10)를 관통한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구멍이다. 냅킨(1)의 구멍부(H)는, 피부측면으로부터 흡수체(10)까지 핀 등을 찌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구멍부(H)는 선형 압착부(Es)를 구성하는 원형 압착부보다 더 크다. 또한, 냅킨(1)의 구멍부(H)는, 흡수체(10)의 비피부측면에 달할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멍부(H)는, 피부측으로부터 피부측 시트(2)와 중간 시트(3)를 관통하여 흡수체(10)까지 달하는 깊이를 갖는다면 충분하다.The hole part H is arrange|position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entral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napkin 1 in substantially zigzag shape. The hole H is a circular hole in plan view that penetrates the skin-side sheet 2,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absorbent body 10 from the skin side. The hole H of the napkin 1 is formed by piercing a pin or the like from the skin side to the absorbent body 10 . In plan view, the hole portion H is larger than the circular pressing portion constituting the linear pressing portion Es. Moreover, although the hole part H of the napkin 1 has a depth enough to reach the non-skin 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body 10,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sufficient if the hole H has a depth from the skin side to the absorber 10 through the skin-side sheet 2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

본체 압착부(Eb)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질구가 접촉할 것으로 생각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체 압착부(Eb)는, 원하는 형상을 가지며 피부측 시트(2), 중간 시트(3) 및 흡수체(10)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압착 가공하여 형성된 압착부이다. 압착에 의해, 피부측 시트(2)의 섬유 밀도, 중간 시트(3)의 섬유 밀도 및 흡수체(10)의 섬유 밀도가 모두, 압착을 하지 않는 부분보다 크게 되어 있다.The main body crimping portion Eb is provided in a shape so as to surround a region where the wearer's vaginal mouth is supposed to be in contact in the worn state. The body crimping portion Eb is a crimping section formed by crimping the skin-side sheet 2 ,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absorbent body 10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having a desired shape. By crimping, the fiber density of the skin-side sheet 2, the fiber density of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fiber density of the absorbent body 10 are all greater than those of the portion not subjected to compression.

사이드 시트(6)의 상세Details of the side seat (6)

계속해서, 사이드 시트(6)의 구성 및 기능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사이드 시트(6)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흡수체(10) 및 한장의 사이드 시트(6)의 우측 단부 영역에 대해서 확대한 도면에 상당한다.Then, the structure of the side seat 6 and the detail of a function are demonstrated. 4 :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ide seat 6. As shown in FIG. 4 : corresponds to the figure which expanded about the right end area|region of the absorber 10 and the side sheet 6 of one sheet in FIG.

2장의 사이드 시트(6)가, 흡수체(10)의 폭 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고, 각각은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 부재로 구성된다. 사이드 시트(6) 각각은, 도 4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의 끝(6e)에서, 두께 방향의 피부측 및 비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이하,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인 사이드 시트(6)의 부분을 피부측 접음부(6f)로 하고, 비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을 비피부측 접음부(6b)로 한다.Two side sheets 6 are provid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absorber 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eet memb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Each of the side sheets 6 is folded back to the skin side and non-skin 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outermost edge|tip 6e in the width direction like FIG. Hereinafter, the portion of the side sheet 6 folded back toward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and the portion folded back toward the non-skin side is referred to as 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도 4에 있어서, 피부측 접음부(6f) 중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의 끝(6fe))은, 피부측 시트(2)에 대하여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부측 접음부(6f)는, 이의 선단(6fe)측의 소정의 영역(선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피부측 접합부(30)에 의해 피부측 시트(2)의 피부측에 접합되어 있다. 즉, 피부측 접음부(6f)의 비피부측의 면과, 피부측 시트(2)의 피부측의 면이 피부측 접합부(30)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부측 접합부(30)는, 사이드 시트(6)와 피부측 시트(2)를, 엠보스 가공 등의 공지의 압착 수단을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 6f (in FIG. 4, the innermost end 6fe of the skin-side fold 6f in the width direction) has a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skin-side sheet 2 . It is arranged on the skin side of the direction. And, the skin-side fold portion 6f is, in a predetermined region (tip portion) on the tip side 6fe side thereof, the skin-side sheet 2 by a pair of skin-side joint portions 30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s attached to the skin side. That is, the skin-side surface of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and the skin-side surface of the skin-side sheet 2 are joined together by the skin-side bonding portion 3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kin-side bonding portion 30 is formed by crimping the side sheet 6 and the skin-side sheet 2 using a known crimping means such as embossing.

한편, 비피부측 접음부(6b)의 선단(6be)(도 4에 있어서, 비피부측 접음부(6b) 중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의 끝)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0)와 비피부측 시트(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백 시트(4) 및 사이드 시트(6)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7)가 구성되어 있지만, 백 시트(4) 단체, 또는 사이드 시트(6) 단체를 비피부측 시트(7)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10)의 비피부측에, 백 시트(4) 및 사이드 시트(6)와는 다른 별도의 시트 부재를 배치하여, 비피부측 시트(7)로 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tip 6be of the non-skin-side fold 6b (in Fig. 4, the innermost end of the non-skin-side fold 6b in the width direction) is the absorbent body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non-skin side sheet 7 . In Fig. 4, the non-skin side sheet 7 is constituted by the back sheet 4 and the side sheet 6, but the back sheet 4 or the side sheet 6 alone is used as the non-skin side sheet ( 7) can be treated as Further, on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body 10 , another sheet member different from the back sheet 4 and the side sheet 6 may be disposed to form the non-skin side sheet 7 .

비피부측 접음부(6b)는, 이의 선단(6be)측의 소정의 영역(선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비피부측 접합부(40)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7)의 피부측에 접합되어 있다. 즉, 비피부측 접음부(6b)의 비피부측의 면과, 비피부측 시트(7)의 피부측의 면이 비피부측 접합부(40)에 의해 합쳐져 있다. 또한, 비피부측 접음부(6b)의 선단부의 피부측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흡수체 접합부(50)에 의해 흡수체(10)의 비피부측면과 접합되어 있다.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is, in a predetermined region (tip portion) on the tip 6be side thereof, by a pair of non-skin-side bonding portions 40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forming a non-skin-side sheet ( 7) is attached to the skin side. That is, the non-skin-side surface of 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and the skin-side surface of the non-skin-side sheet 7 are joined by the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0 . In addition, the skin side surface of the front-end|tip part of the non-skin side folding|folding part 6b is joined to the non-skin 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body 10 by a pair of absorber bonding parts 50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5는 비피부측 접합부(40)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비피부측 접합부는, 3종의 접합부, 즉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 및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를 포함한다. 비피부측 접합부(41∼43)는, 접착재(예컨대, 핫 멜트 접착제)를 길이 방향을 따라 띠형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5 : is a schematic plan view explaining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non-skin side joint part 40. As shown in FIG. The non-skin-side bonding portion includes three types of bonding portions, namely,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 and 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 The non-skin side bonding portions 41 to 43 are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eg, hot melt adhesive) in a strip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한 전측부(1A)의 일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 후측부(1C)의 일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와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는, 폭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의 후측단(41ef)과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의 전측단(42ef)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는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이들 영역은 비접합부로 되어 있다.The first non-skin side junction portion 41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front side portion 1A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milarly, the second non-skin side bonding portion 42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rear side portion 1C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over, the 1st non-skin side bonding part 41 and the 2nd non-skin side bonding part 42 are provided in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urther, as shown in Fig. 5, an adhesive is provided in the region sandwiched by the rear end 41ef of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and the front end 42ef of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 and these regions are unbonded.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와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적어도 길이 방향의 중앙부(1B)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전측단(43ef)이, 냅킨(1)의 전측단(1ef)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후측단(43eb)은, 냅킨(1)의 후측단(1eb)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냅킨(1)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냅킨(1)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third non-skin side bonding portion 43 is provided at least in the central portion 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in FIG. 5, the front end 43ef of the 3rd non-skin side joining part 43 is located in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1ef of the napkin 1.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rear end 43eb of the third non-skin side bonding portion 43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1eb of the napkin 1 . That is, the 3rd non-skin side bonding part 43 is not provided over the whole area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apkin 1 . However, the third non-skin side bonding portion 43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apkin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 및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에 대하여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폭 방향에 대하여, 각 측에 있어서, 흡수체(10)의 가장 외측의 끝(10e)과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외측의 끝(43eo)의 간격(h3)은, 흡수체(10)의 가장 외측의 끝(10e)과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의 외측의 끝(41eo)(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의 외측의 끝(42eo))의 간격(h1)(=h2)보다 크게 되어 있는데, 즉 h3>h1, h2이다.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is locat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n each side, the interval h3 between the outermost end 10e of the absorbent body 10 and the outer end 43eo of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43 is equal to the absorber ( The distance h1 between the outermost end 10e of 10) and the outer end 41eo of the first non-skin-side junction portion 41 (outer end 42eo of the second non-skin-side junction portion 42) (=h2), that is, h3>h1, h2.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사이드 시트(6)는, 1장의 시트 부재를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폭 방향의 내측단)(6fe)에서,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 시트 부재의 부분들을 서로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의 이들 층이 서로 적층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시트 부재의 대향하는 부분들 사이에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사이드 시트 접합부(60)에 의해 시트 부재의 이들 층이 함께 접합하고 있다. 예컨대, 사이드 시트 접합부(6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의 접착부를 포함하고, 사이드 시트(6)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장의 시트 부재를 절곡하여 2층의 사이드 시트(6)가 형성되어 있지만, 2장의 다른 시트 부재를 서로 적층하여 접합함으로써 사이드 시트(6)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4 , each side sheet 6 is fold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p (inn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6fe of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of one sheet member. , formed by laminating parts of the sheet member to each other. In the portion where these layers of the sheet member are laminated on each other, these layers of the sheet member are layered by a plurality of side sheet bonding portions 60 formed by intermittently applying an adhesive such as a hot melt adhesive between opposing portions of the sheet member. are joining together For example, the side sheet bonding portion 60 includes a belt-shaped bo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de sheet 6 . In this embodiment, one sheet member is bent to form two layers of side sheets 6, however, the side sheets 6 can be formed by laminating and bonding two different sheet members to each other.

이러한 구조의 사이드 시트(6)는,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일부가 변형됨으로써, 냅킨(1)의 샘 방지성을 높이고, 착용자의 서혜부에 있어서의 쿠션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6은 냅킨(1) 착용 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6)의 변형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사이드 시트(6)가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변형되었을 때의 모습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The side sheet 6 of such a structure ha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leak-proof property of the napkin 1 and improving the cushioning properties in the groin of the wearer by partially deforming the napkin 1 when wearing it. 6 :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of the side sheet 6 at the time of the napkin 1 wearing. Fig. 6 shows a state when the side sheet 6 is deform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 .

냅킨(1)의 착용 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의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서혜부)에 중앙부(1B)가 끼워지고, 냅킨(1)을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축하는 힘이 냅킨(1)에 작용한다. 따라서, 폭 방향의 양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사이드 시트(6)에 대하여도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6)는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의 부드러운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력을 받음으로써 변형된다.When the napkin 1 is worn, the central part 1B is sandwiched between the wearer's legs (groin part) of the wearer's crotch, and the force compressing the napkin 1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inside is applied to the napkin 1 ) works on Therefore, the compressive force which go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cts also with respect to the side sheet 6 provided in the both outer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de sheet 6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spun-bonded nonwoven fabric, it deforms by receiving the compressive force.

구체적으로는, 흡수체(10)의 비피부측에 있어서,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43eo)을 기점으로 하여 사이드 시트(6)(비피부측 접음부(6b))가 피부측으로 기립하도록 굴곡 변형이 일어난다.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외측단(43eo))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의 영역에는, 사이드 시트(6)와 흡수체(10)의 커버 시트(12) 등, 강성이 낮은 시트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 압축력을 받음으로써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한편, 사이드 시트(6)(비피부측 접음부(6b))가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를 통해 비피부측 시트(7)와 접합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강성이 높게 되어 있어,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다. 즉, 외측단(43eo)을 경계로 하여 사이드 시트(6)에 강성차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6)는, 비피부측에 있어서 외측단(43eo)을 기립 기점으로 하여 굴곡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Specifically, on the non-skin side of the absorbent body 10, the side sheet 6 (non-skin side fold) with the outer end 43eo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rd non-skin side joining portion 43 as a starting point. The bending deformation occurs so that (6b)) stands up to the skin side. A sheet member with low rigidity, such as the side sheet 6 and the cover sheet 12 of the absorber 10, is disposed in the region outside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43 (outer end 43eo)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easy to cause deformation by receiving a compressive force.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where the side sheet 6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is joined to the non-skin-side sheet 7 via 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the rigidity is high, and deformation is not prevented. hard to get up That is, a difference in stiffness is generated in the side sheet 6 with the outer end 43eo as a boundary. Accordingly, the side sheet 6 tends to cause bending deformation on the non-skin side with the outer end 43eo as the standing starting point.

도 5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0)의 흡수성 코어(11)는, 착용자의 가랑이부(냅킨(1)의 중앙부(1B))에 있어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폭)가 좁아진 잘록부(11c)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가랑이부(중앙부(1B))에서는, 강성이 높은 흡수성 코어(11)에 의해 사이드 시트(6)의 변형이 저해되어 버릴 가능성은 낮다. 즉, 사이드 시트(6)는, 적어도 도 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h3)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5, the absorbent core 11 of the absorbent body 10 has a narrow length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wearer's crotch part (central part 1B of the napkin 1). It has a section 11c. Therefore, in the crotch part (central part 1B), the possibility that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of the side sheet 6 will be inhibited by the high rigid absorbent core 11 is low. That is, the side sheet 6 is freely deformable within the range of the space|interval h3 in the width direction of FIG. 5 at least.

한편, 흡수체(10)의 피부측에 있어서는, 폭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된 사이드 시트(6)의 일부가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솟도록 변형이 일어난다. 그 결과, 사이드 시트(6)는, 도 6과 같이 피부측으로 기립하여, 소위, 샘 방지벽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6)는, 도 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h3)의 넓은 범위에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피부측으로 솟는 천의 양도 많아지고, 그만큼 샘 방지벽을 높게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kin side of the absorber 10, a deformation|transformation arises so that a part of the side sheet 6 compress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may rise to the skin 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As a result, the side sheet 6 stands up to the skin side like FIG. 6, and forms what is called a leak prevention wal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de sheet 6 can be deformed in a wide range of the interval h3 in the width direction in Fig. 5, the amount of fabric protruding toward the skin increases, and the leakage prevention wall is formed high by that much. can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서는, 폭 방향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 시트(6)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됨으로써 변형되어, 피부측으로 돌출한 샘 방지벽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피부측 시트(2)에 의해 흡수된 배설물 등이, 피부측 시트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때, 착용자의 서혜부에 끼워진 냅킨(1)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6)가 폭 방향으로 찌부러지면서 변형됨으로써, 서혜부에 대한 쿠션으로서 기능하여,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napkin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sheets 6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deformed by being compress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leak prevention wall protruding to the skin side. Thereby, it is suppressed that the excrement etc. absorbed by the skin-side sheet 2 leak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kin-side sheet|sea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at time, in the napkin 1 sandwiched by the wearer's groin, the side sheet 6 deforms while being crushed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functioning as a cushion for the groin, and improving the skin contact when the napkin 1 is worn. do.

전술한 바와 같이, 냅킨(1)에서는,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가,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 및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에 대하여 폭 방향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10)와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h3)이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폭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사이드 시트(6)가 크게 변형되기 쉬워, 쿠션성과 샘 방지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쉽다.As described above, in the napkin 1, 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2 . Accordingly, the gap h3 between the absorber 10 and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43 in the width direction is widened. Therefore, when a compressive force acts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easy to deform|transform large the side sheet 6, and cushioning property and leak-proof property are easy to fully ensure.

또한, 냅킨(1)에서는, 피부측 시트(2)와 사이드 시트(6)가 별체의 부재이므로, 피부측 시트(2)의 피부측면과 사이드 시트(6)(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 사이에, 두께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부측 시트(2)에 있어서, 배설물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선단(6fe)의 단차에 의해 그러한 이동이 제한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배설물의 옆샘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napkin 1, since the skin-side sheet 2 and the side sheet 6 are separate members, the skin-side sheet and the side sheet 6 of the skin-side sheet 2 (skin-side fold 6f) A step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tips 6fe of the . Therefore, in the skin-side sheet 2, even if the excrement tries to move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such movement is easily restricted by the step of the tip end 6fe. Thereby, the lateral gland of excretion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1)의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에 대하여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은,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43eo)에 대하여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6)가 비피부측에 있어서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의 외측단(43eo)을 기점으로 하여 기립하면, 사이드 시트(6) 중 상기 외측단(43eo)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변형이 생기기 쉬워진다. 즉, 피부측 접음부(6f)의 전체가 피부측으로 기립하도록 변형되기 쉬워진다(도 6 참조). 이에 의해, 샘 방지벽이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 옆샘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3rd non-skin side joining part 43 of the napkin 1 is arrange|pos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end|tip 6fe of the skin-side fold part 6f. In other words,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edge 43eo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rd non-skin-side joint portion 43 . Therefore, when the side sheet 6 stands on the non-skin side with the outer end 43eo of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portion 43 as a starting point, the width with respect to the outer end 43eo of the side sheet 6 is provided. It becomes easy to produce a deformation|transformation in the part located outside the direction. That is, it becomes easy to deform so that the whole skin-side fold part 6f may stand up to the skin side (refer FIG. 6). Thereby, the leak prevention wall is formed high enough, and side leakage can be suppressed further.

또한, 냅킨(1)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6)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서,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시트 부재의 2 이상의 층이 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2 이상의 시트 부재층이 서로 적층된 부분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 적층된 부분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6)의 강도가 높아지며 배설물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6)가 샘 방지벽으로서 기립하였을 때에, 배설물의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배설물의 옆샘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2층 구조를 갖는 사이드 시트(6)에 대해서 설명되어 있지만, 사이드 시트(6)가 3층 이상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설물의 옆샘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napkin 1,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side sheets 6, two or more layers of a sheet memb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are laminated on each other. By having the two or more sheet member layers stacked on each other in this way, the strength of the side sheet 6 in the stacked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penetration of excrement can be suppressed. Therefore, when the side sheet 6 stands up as a leak prevention wall, the movem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excrement is restricted, and the side leakage of excrement can be suppressed further. In addition, although the side sheet 6 which has a two-layer structure is demonstrated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the side sheet 6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contain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his structure, the side glands of excretion can be further suppres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6)는 각각, 1장의 시트 부재가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에 있어서 되접어 꺾여 자체적으로 적층되어진 2층 구조를 가진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에서 사이드 시트(6)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부직포 시트 등)의 끝가장자리부(엣지부)가 노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선단(6fe)은, 냅킨(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부위이다. 그 때문에, 만약 선단(6fe)에 있어서 시트 부재의 엣지가 노출된다면, 냅킨(1)을 착용할 때에 상기 시트 부재의 엣지가 착용자의 피부로 파고드는 등에 의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6fe)에 있어서 시트 부재가 되접어 꺾여 있음으로써, 상기 선단(6fe)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이 부드러워져,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side sheets 6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one sheet member is folded back at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and laminated on its own. That is, in this structure, the edge portion (edge portion) of the sheet member (non-woven fabric sheet, etc.) constituting the side sheet 6 at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 portion 6f is not exposed. As is clear from FIGS. 4 and 6 , this tip 6fe is a site with a high probability of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when the napkin 1 is worn. Therefore, if the edge of the sheet member is exposed at the tip 6fe, when the napkin 1 is worn, the edge of the sheet member penetrates into the wearer's skin, etc., which may cause discomfort to the wearer.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heet member is folded back at the tip 6fe, skin contact at the tip 6fe is softened,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discomfort to the wearer.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폭 방향에서의 가장 내측의 끝)(6fe)에서는, 사이드 시트(6)가 피부측 시트(2)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단(6fe)에서는, 사이드 시트(6)의 적층된 부분들도 함께 접합되어 있지 않다. 즉,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에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선단(6fe)은 소위, 드라이 엣지로 되어 있어, 강성이 낮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선단(6fe)의 피부 접촉이 보다 부드러워져,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At the tip (the innermost end in the width direction) 6fe of the skin-side fold 6f, the side sheet 6 is not joined to the skin-side sheet 2 . Also, at the tip 6fe, the laminated portions of the side sheets 6 are not joined together. That is, a joint is not formed at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 6f, and the tip 6fe has a so-called dry edge, so that the rigidity is low. Thereby, the skin contact of the front-end|tip 6fe at the time of wearing of the napkin 1 becomes softer, and it can make it difficult to generate|occur|produce discomfort to a wearer.

또한, 사이드 시트(6)의 피부측 접음부(6f)는, 엠보스 가공 등의 압착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된 피부측 접합부(30)에 의해 피부측 시트(2)와 접합되어 있다. 피부측 접음부(6f)와 피부측 시트(2)가 적층된 상태로 함께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피부측 접합부(30)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6)의 강성이 높아지고,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측 접음부(6f)를, 샘 방지벽으로서 피부측으로 기립시키기 쉽게 하며, 기립 후의 그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울 수 있다. 또한, 압착(엠보스 가공)에 의해 피부측 접합부(3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핫 멜트 접착제 등을 광범위하게 도포함으로써 피부측 접합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통기성이 향상되어, 사이드 시트(6)의 강성이 높아져 버리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시트(6)(샘 방지벽)의 양호한 촉감을 달성할 수 있다.Further,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of the side sheet 6 is joined to the skin-side sheet 2 by a skin-side bonding portion 30 formed using a crimping means such as embossing. Since the skin-side fold portion 6f and the skin-side sheet 2 are joined together in a stacked state, in the region where the skin-side joint portion 30 is provided, the rigidity of the side sheet 6 is increased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increased. can be thicken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skin-side fold 6f can be easily raised to the skin side as a leak-preventing wall, and its shape after standing up can be easily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skin-side joint 30 is formed by crimping (embossing),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kin-side joint 30 is formed by applying a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extensively. , the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rigidity of the side sheet 6 increases can be made small. Thereby, the good feel of the side sheet 6 (leakage barrier) can be achieved.

또한, 압착된 피부측 접합부(30)가,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폭 방향에서의 가장 내측의 끝)(6fe)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6fe)에 있어서 드라이 엣지가 형성되기 쉬워,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sed skin-side joint portion 3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ip (the innermost end in the width direction) 6fe of the skin-side fold portion 6f.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a dry edge is easily formed at the tip 6fe, so that the tactile feel when the napkin 1 is worn can be made soft.

또한, 사이드 시트(6)는 각각, 피부측 시트(2)보다 소수성이 높은 시트 부재(부직포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수성"이란, 시트 부재의 표면에 액체가 적하된 경우에 있어서 액체가 퍼지기 어려운 특성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시트(6)는, 적하된 액체가 90°보다 큰 접촉각을 갖는 상태가 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배설물이 피부측 시트(2)측으로부터 사이드 시트(6)를 투과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설물은, 폭 방향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6)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측 시트(2)의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흡수체(10)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배설물이 흡수체(10)에 빠르게 흡수되기 쉬워져, 배설물의 누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Each of the side sheets 6 is formed of a sheet member (such as a nonwoven fabric sheet) having a higher hydrophobicity than the skin side sheet 2 . Here, "hydrophobicity" refers to a property in which the liquid is difficult to spread when the liquid is dripped onto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heet 6 of this embodiment has the characteristic used as the state in which the dripped liquid has a larger contact angle than 90 degrees. With such a structure,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at excrement permeates|transmits the side sheet 6 from the skin side sheet|seat 2 side, and leaks out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excrement moves from the skin side of the skin-side sheet 2 to the non-skin side (absorbent body 10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rather than mov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sheet 6 in the width direction. easier to do Thereby, excrement is easily absorbed by the absorbent body 10, and leakage of excretion can be further suppressed.

또한,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가 마련되어 있는 각각의 부분에서는, 사이드 시트(6)(비피부측 접음부(6b))가 단층(1층)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시트(6)는, 기본적으로, 시트 부재의 일부가 서로 적층된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피부측 접음부(6b)의 일부에서는, 시트 부재가 2층 구조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비피부측 접음부(6b)를 구성하는 2층의 시트 부재(부직포 시트) 중, 한층의 시트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의 끝(6be1)과, 다른층의 시트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의 끝(6be2)의 위치가, 폭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즉, 비피부측 접음부(6b)는, 끝(6be1)과 끝(6be2) 사이의 폭 방향 영역에서, 단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이 2층 구조를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시트(6)가 강성이 낮아져, 굴곡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비피부측 접음부(6b)가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를 굴곡 기점으로 하여 기립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샘 방지벽이 형성되기 쉬워져, 배설물의 옆샘이 억제되기 쉬워진다.Moreover, in each part in which the 3rd non-skin side junction part 43 is provided, the side sheet 6 (non-skin side fold part 6b) has a single-layer (one-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heet 6 of the present embodiment basically has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sheet member is laminated on each other. However, as shown in Fig. 4, in a part of 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the sheet member does not have a two-layer structure. Specifically, among the two-layer sheet members (nonwoven sheets) constituting the non-skin-side fold 6b, the inner edge 6be1 in the width direction of one sheet member and the width of the other layer sheet member The position of the inner edge 6be2 in the direction is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non-skin-side fold 6b has a single-layer structure in the width direction region between the ends 6be1 and 6be2.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aid area|region has a two-layer structure, the rigidity of the side sheet 6 becomes low, and it is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a bending deformation. Therefore, it becomes easy for the non-skin-side folding part 6b to stand up using the 3rd non-skin-side joint part 43 as a bending origin. Thereby, it becomes easy to form a leak prevention wall, and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side leakage of excrement.

냅킨(1)을 제품으로서 시장에 유통시킬 때에는, 길이 방향의 두 위치에서,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절첩선(F1 및 F2)에서, 냅킨(1)이 접혀지고, 접혀진 냅킨(1)은, 소정의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개별 포장체(도시하지 않음)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냅킨(1)에서는,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의 전측의 끝(42ef)이, 가장 후측에 마련되어 있는 절첩선(도 5에서는 F2)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서는, 가장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절첩선(F2)에 대하여 길이 방향 후측에 위치한 전역에,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 절첩선(F2)에 대하여 후측의 영역은, 냅킨(1)의 후측부(1C)에 포함되며 냅킨(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둔부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절첩선(F2)에 대하여 후측의 영역에서는, 사이드 시트(6)를 피부측으로 기립시키는 일없이, 냅킨(1)이 착용자의 둔부의 라운딩을 따른 대략 평면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napkin 1 is distributed in the market as a product, the napkin 1 is folded at two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t the fold lines F1 and F2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The folded and folded napkin 1 is packaged with a predetermined packaging material to be in a state of an individual packaging body (not shown). In such a napkin 1, the front end 42ef of the 2nd non-skin side bonding part 42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2 in FIG. 5) provided at the rearmost side. Therefore, in FIG. 5, the 2nd non-skin side joining part 42 is provided in the whole area located at the re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2 arrange|positioned most rearward. The region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2 is a region included in the rear portion 1C of the napkin 1 and positioned on the buttocks of the wearer when the napkin 1 is worn. Therefore, in the region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2, it is preferable that the napkin 1 maintains the substantially planar shape along the rounding of the wearer's buttocks without making the side sheet 6 stand on the skin side.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첩선(F2)에 대하여 후측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10)와 제2 비피부측 접합부(4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h2)이 짧아, 사이드 시트(6)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부분의 면적이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절첩선(F2)에 대하여 후측의 영역에서는, 사이드 시트(6)가 피부측으로 높게 기립하는 것이 억제되어, 냅킨(1)이 착용자의 둔부에 피트하기 쉬워진다.In this embodiment, in the area|region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2, the space|interval h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10 and the 2nd non-skin side junction part 42 is short, and the side sheet 6 The area of the freely deformable part is narrowed. Therefore, in the area|region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2, it is suppressed that the side sheet 6 stands high to the skin side, and the napkin 1 becomes easy to fit a wearer's buttocks.

또한, 가장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절첩선(F1)에 대하여 길이 방향 전측의 영역에 있어서도, 흡수체(10)와 제1 비피부측 접합부(4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h1)이 짧게 되어 있어, 사이드 시트(6)가 피부측으로 기립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영역은,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부에 위치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냅킨(1)이 착용자의 복부의 형상을 따라 대략 평면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냅킨(1)에서는, 상기 영역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6)가 피부측으로 높게 기립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복부에서도 냅킨(1)을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Moreover, also in the area|region on the longitudinal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1 arrange|positioned at the most front side, the space|interval h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10 and the 1st non-skin side junction part 41 becomes short.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side sheet 6 to stand on the skin side. Since this area is located on the abdomen of the wearer when the diaper 1 is worn, it is preferable that the napkin 1 maintains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abdomen of the wearer. In the napkin 1, since it is suppressed that the side sheet 6 stands high to the skin side in the said area|region, it can make it easy to fit the napkin 1 also from the abdomen of a wearer.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는 본체 압착부(Eb)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 압착부(Eb)는 피부측 시트(2), 중간 시트(3) 및 흡수체(10)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고 있다. 따라서, 냅킨(1)에 대하여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한 경우, 본체 압착부(Eb)에 있어서 굴곡 기점이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냅킨(1)에 대하여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압축력이 작용한 경우에, 사이드 시트(6)가 굴곡 변형을 일으킬 때 본체 압착부(Eb)보다 먼저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에 굴곡 기점이 형성되어, 본체 압착부(Eb)가 굴곡 기점이 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6)를 확실하게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기립시켜, 샘 방지벽을 형성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3rd non-skin side bonding part 43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rimping|compression-bonding part Eb. The main body crimping portion Eb presses the skin-side sheet 2,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absorbent body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compressive force toward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acts with respect to the napkin 1,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bending origin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crimping|compression-bonding part Eb.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compressive force direct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s applied to the napkin 1, when the side sheet 6 causes bending deformation, the third non-skin side before the main body crimping portion Eb. Since the bending origin is formed in the joint part 43, the possibility that the body compression part Eb becomes a bending origin is low. Therefore, the side sheet 6 can be reliably made to stand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leak prevention wall can be easily formed.

또한, 냅킨(1)에서는, 사이드 시트(6)의 각각을 구성하는 시트 부재(부직포 시트 등)의 적층된 부분에 있어서, 시트 부재의 대향하는 부분들을 접합하는 사이드 시트 접합부(60)가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사이드 시트(6) 중 시트 부재의 일부가 적층되어 있는 영역에는, 시트 부재의 대향면들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사이드 시트 접합부(60)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과, 시트 부재의 대향면들이 접합되지 않는 부분(사이드 시트 접합부(6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시트 접합부(60)가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시트 부재의 대향면들이 접합되지 않는 부분에 공극이 형성되어, 사이드 시트(6)에 있어서 배설물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사이드 시트(6)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의 섬유를 따라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설물(수분)이, 적층된 부분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이동 경로가 차단되어 더 이상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배설물의 옆샘이 억제되기 쉬워진다.Further, in the napkin 1, in the laminated portions of the sheet members (non-woven sheets, etc.) constituting each of the side sheets 6, the side sheet bonding portions 60 for bonding the opposing portions of the sheet members are intermittently arranged (see Fig. 4). Specifically, in the region of the side sheet 6 where the part of the sheet member is laminated, the portion where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sheet member are joined (the portion where the side sheet joint portion 60 is provided) and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sheet member are The parts not joined (the part where the side sheet joining part 60 is not provided) are arrange|positioned alternately. By intermittently disposing the side sheet joining portions 60 in this way, a void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sheet member are not joined, thereby suppressing the penetration of excrement in the side sheet 6 . That is, the excrement (moisture) mov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ong the fibers of the sheet member constituting the side sheet 6 is blocked by the void formed in the laminated portion, making it difficult to move any more. Thereby,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lateral gland of excrement.

또한, 흡수체(1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끝(10e)과, 사이드 시트(6)는 서로 접합되지 않는다(도 4 참조). 이에 의해, 사이드 시트(6)는, 흡수체(10)와는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측으로 기립하여 샘 방지벽을 형성하면서, 폭 방향으로 찌부러지도록 변형되어 압축력을 완화하는 쿠션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dge 10e of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10 and the side sheet 6 are not mutually joined (refer FIG. 4). Thereby, the side sheet 6 becomes possible to deform|transform freely independently of the absorber 1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side sheet 6 is deformed to be crushed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standing up to the skin side to form a leak prevention wall, and thus it is possible to exert a function as a cushion to relieve the compressive force.

냅킨(1)의 착용 시에, 사이드 시트(6)가 피부측으로 기립하도록 변형되어 샘 방지벽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사이드 시트(6)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부드러운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반드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6) 중 하나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냅킨(1)에 대하여 폭 방향의 양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압축하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의 상태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When the napkin 1 is wor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ide sheet 6 is deformed to stand up to the skin side to form a leak-proof wall, but the side sheet 6 is composed of a soft sheet member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Considering that there is, it is not necessarily deform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7 :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one of the side sheets 6 at the time of wearing of the napkin 1. As shown in FIG. In FIG. 7,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6, it has shown about the state when the compressive force acts with respect to the napkin 1 from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7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서는, 사이드 시트(6)의 비피부측 접음부(6b)가, 제3 비피부측 접합부(43)(끝(43ef))를 기점으로 하여 굴곡하여, 피부측으로 기립한다. 즉, 샘 방지벽의 기립 기점은 도 6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서는,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이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한다. 즉,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이 정점이 되도록, 샘 방지벽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6)가 폭 방향으로 찌부러지도록 변형됨으로써 착용자의 서혜부에 대한 피부 접촉을 향상시키면서, 변형된 사이드 시트(6)가 피부측으로 세워져 샘 방지벽을 형성함으로써, 배설물의 옆샘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경우에, 피부측 접음부(6f)의 선단(6fe)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세워짐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와 보다 접촉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러나, 냅킨(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6fe)에서 시트 부재가 되접어 꺾여 엣지가 노출되지 않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을 부드럽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As in the case of Fig. 6, on the non-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Fig. 7, the non-skin-side folding portion 6b of the side sheet 6 forms the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43 (end 43ef). It bends as a starting point, and stands on the skin side.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leak prevention wall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6 . However,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 portion 6f stands up toward the skin side. That is, the leakage preventing wall is formed so that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 6f becomes the apex. Eve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heet 6 is deformed so as to be crushed in the width direction to improve skin contact with the wearer's groin, while the deformed side sheet 6 is raised to the skin side to form a leak prevention wall. ,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side glands of excre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7, since the tip 6fe of the skin-side folding portion 6f is raised to the wearer's skin side, it is easier to contact the wearer's skin. However, in the napkin 1, as described above, the sheet member is folded back at the tip 6fe so that the edge is not exposed, so that the skin contact in the above part can be maintained smoothly, which causes discomfort to the wearer. may make it difficult to cause

그 외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이상,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내용의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개시내용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hanged or improv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thereof,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equivalents thereof. For example, modifications as shown below are possible.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선형 압착부(Es), 복수의 본체 압착부(Eb) 및 복수의 구멍부(H)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도 좋고, 각각의 수를 냅킨(1)의 촉감의 정도나 흡수될 배설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선형 압착부(Es), 본체 압착부(Eb) 및 구멍부(H)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some linear crimping|compression-bonding part Es, the some main body crimping|compression-bonding part Eb and the some hole part H are provided, it is not limited to this. Each may be arranged one by one, or each number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ouch of the napkin 1 or the amount of excrement to be absorbed. Similarly, the shape and size of the linear crimping portion Es, the body crimping portion Eb, and the hole portion H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액체 흡수성 섬유를 성형하여 형성된 흡수성 코어(11)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수성 코어(11)는, 고흡수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흡수성 코어(11)는 액체 흡수성 섬유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커버 시트가 마련될 필요는 없고, 흡수성 코어(11)만으로 흡수체(10)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absorbent core 11 formed by molding the liquid absorbent fiber mixed with the super absorbent polymer was used,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bsorbent core 11 may be composed of a sheet member made of only a superabsorbent polymer, and the absorbent core 11 may be composed of only a liquid absorbent fiber. In addition, the cover sheet is not necessarily provided, and the absorbent body 10 may be formed only by the absorbent core 11. As shown in FIG.

1 냅킨(흡수성 물품),
1A 전측부, 1B 중앙부, 1C 후측부, 1W 윙부,
2 피부측 시트, 3 중간 시트,
4 백 시트, 5 윙 시트,
6 사이드 시트, 6e 끝,
6f 피부측 접음부, 6fe 끝,
6b 비피부측 접음부, 6be 끝, 6be1 끝, 6be2 끝,
7 비피부측 시트,
8 중앙 점착부, 9 윙 점착부,
10 흡수체, 10e 끝,
11 흡수성 코어, 12 커버 시트,
30 피부측 접합부(압착부),
40 비피부측 접합부,
41 제1 비피부측 접합부, 41eo 끝,
42 제2 비피부측 접합부, 42eo 끝, 42ef 끝(전측),
43 제3 비피부측 접합부, 43eo 끝,
50 흡수체 접합부,
60 사이드 시트 접합부,
Es 선형 압착부, Eb 본체 압착부, H 구멍부
1 napkin (absorbent article);
1A front part, 1B middle part, 1C rear part, 1W wing part,
2 skin side sheet, 3 middle sheet,
4 back seats, 5 wing seats,
6 side seats, 6e end,
6f skin side fold, 6fe end,
6b non-cutaneous fold, 6be end, 6be1 end, 6be2 end,
7 non-skin side sheet,
8 center adhesive, 9 wing adhesive,
10 absorber, 10e end,
11 absorbent core, 12 cover sheet,
30 Skin side joint (compression part),
40 non-skin junction;
41 first non-cutaneous junction, 41eo end;
42 second non-cutaneous junction, 42eo end, 42ef end (anterior),
43 third non-cutaneous junction, 43eo end,
50 absorber joint,
60 side seat joints,
Es linear crimp section, Eb body crimp section, H hole section

Claims (12)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체;
상기 흡수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배치된 피부측 시트;
상기 흡수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 시트; 및
상기 피부측 시트 및 상기 비피부측 시트와 분리되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사이드 시트
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폭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피부측으로 접힌 피부측 접음부, 및
상기 폭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비피부측으로 접힌 비피부측 접음부
를 가지며,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피부측 접합부에 의해 상기 피부측 시트의 상기 피부측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비피부측 접음부의 선단부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비피부측 접합부에 의해 상기 비피부측 시트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비피부측 접합부는 각각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한 전측부에 마련된 제1 비피부측 접합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후측에 위치한 후측부에 마련된 제2 비피부측 접합부, 및
적어도 상기 제1 비피부측 접합부와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제3 비피부측 접합부
를 가지며,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는, 상기 제1 비피부측 접합부 및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I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bsorbent;
a skin-side sheet disposed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nt body;
a non-skin-side sheet disposed on a non-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sorber; and
Side sheets separated from the skin-side sheet and the non-skin-side sheet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ach of the side sheets
A skin-side fold folded from the out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skin, and
A non-skin-side fold folded from the out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non-skin side
has,
The front end of the skin-side fold is joined to the skin side of the skin-side sheet by a pair of skin-side joining par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non-skin-side fold is joined to the non-skin-side sheet between the absorbent body and the non-skin-side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a pair of non-skin-side joining par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non-skin side junctions
A first non-skin side joint provided on the anterior portion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non-skin side joint provided on the rear side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a thir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non-skin-side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non-skin-side bonding portion.
has,
The said 3rd non-skin side bonding part is located inside the said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aid 1st non-skin side bonding part and the said 2nd non-skin side bond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의 외측단은,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According to claim 1,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outer end of the third non-skin-side joint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of the skin-side fold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2 이상의 시트 부재층이 서로 적층된 부분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each of the side sheets has a portion in which two or more sheet member layers are laminated on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에서 1장의 시트 부재가 되접어 꺾여 서로 적층되어진 2층 구조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each of the side sheets has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one sheet member is folded and laminated on each other at the tip of the skin-side fold.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시트 부재층이 서로 적층된 상기 사이드 시트의 각각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대향하는 시트 부재층이 함께 접합되어 있는 부분, 및
상기 대향하는 시트 부재층이 함께 접합되지 않는 부분
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The method of claim 3 or 4,
In each part of the side sheet in which two or more sheet member layers are laminated on each other,
the side sheet
a portion to which the opposing sheet member layers are joined together, and
A portion where the opposing sheet member layers are not joined together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측 접음부의 선단이 상기 피부측 시트와 접합되지 않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tip of the skin-side fold is not joined to the skin-side shee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측 접합부에서는,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피부측 시트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skin-side junction,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side sheet and the skin-side sheet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각각, 상기 피부측 시트보다 소수성이 높은 시트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each of the side sheets is formed using a sheet member having a higher hydrophobicity than the skin-side shee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폭 방향 부분에 있어서,
상기 비피부측 접음부가 단층 구조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n the width direction portion in which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portion is formed,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non-skin-side fold has a single-layer structur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첩하는 복수의 절첩선이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비피부측 접합부의 전측단은, 상기 복수의 절첩선 중에서 가장 후측의 절첩선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전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lurality of fold lines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non-skin side joint portion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most fold line among the plurality of fold lines.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피부측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본체 압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비피부측 접합부는, 상기 본체 압착부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body pressing unit for pressing at least the skin-side sheet and the absor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third non-skin side joint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body crimp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외측단과 접합되지 않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said side sheet is not joined to the outer edg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absorber.
KR1020217016921A 2018-11-08 2019-11-06 absorbent article KR1026741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323718.9 2018-11-08
CN201811323718.9A CN111150554B (en) 2018-11-08 2018-11-08 Absorbent article
PCT/JP2019/043519 WO2020095953A1 (en) 2018-11-08 2019-11-06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628A true KR20210088628A (en) 2021-07-14
KR102674151B1 KR102674151B1 (en)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136A (en) 2015-06-03 2016-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136A (en) 2015-06-03 2016-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59342B2 (en) 2022-10-24
CN111150554A (en) 2020-05-15
WO2020095953A1 (en) 2020-05-14
CN111150554B (en) 2022-08-02
JPWO2020095953A1 (en)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9613B2 (en) Sanitary napkin
JP2004181084A (en) Absorbent article with longitudinally compressed grooves
KR20060094028A (en) A sanitary napkin
JP5827770B1 (en) Absorbent articles
JP6641559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720731B1 (en) Absorbent article
KR20160065125A (en) Absorbent article
KR20190089876A (en) Absorbent article
CN114040738B (en) Absorbent article
JP6761238B2 (en) Absorbent article
JP2006167141A (en) Absorbent article
JP6080909B2 (en) Absorbent articles
CN109562002B (en) Absorbent article
JP6051285B1 (en) Absorbent articles
JP6101730B2 (en) Absorbent articles
KR102674151B1 (en) absorbent article
JP7159342B2 (en) absorbent article
KR20230029697A (en) panty pad
JP2017113406A (en) Absorbent article
JP6901854B2 (en) Absorbent articles for men
JP6091555B2 (en) Absorbent articles
JP6668032B2 (en) Absorbent articles
JP6118748B2 (en) Disposable diapers
WO2023127548A1 (en) Panty-type sanitary napkin
JP7423227B2 (en) absorbent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