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557A -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 Google Patents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557A
KR20210086557A KR1020200188314A KR20200188314A KR20210086557A KR 20210086557 A KR20210086557 A KR 20210086557A KR 1020200188314 A KR1020200188314 A KR 1020200188314A KR 20200188314 A KR20200188314 A KR 20200188314A KR 20210086557 A KR20210086557 A KR 2021008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solvate
acceptable salt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영
박윤희
이건중
오지혜
김성민
박경은
박용규
류현민
한나라
정철웅
채제욱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21008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7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n enzy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5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9Sugars, nucleosides, nucleotides or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61K47/68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the tumour determinant being from breast cancer cel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6Acyclic or carbo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리간드와의 접합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혈장 내에서 보다 안정하고 순환시에도 안정적이며, 우수한 유효성(efficacy)을 나타나며, 또한 특히 리간드와의 접합체는 약물이 암세포 내에서 쉽게 방출되어 약효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링커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접합체가 표적 세포에 보다 안정적으로 도달하여 약효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독성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암과 같은 증식성 질환의 표적화, 특이적 치료, 약효의 극대화 및 부작용 발현의 최소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Pyrrolobenzodiazepine derivatives and its ligand-linker conjugate}
본 발명은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NA는 뉴클레오타이드의 중합체인 두 개의 긴 가닥이 서로 꼬여있는 이중나선 구조로 되어있는 고분자화합물을 의미하며, 사이토신(Cytosine, C), 구아닌(Guanine, G), 아데닌(Adenine, A), 티민(Thymine, T)의 독특한 핵염기로 구분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중합을 통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DNA는 염색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염색질의 응축된 구조로 인해 DNA에 대한 세포의 기계적인 접근은 제한되고, 이를 통해 전사, 복제, 복구 및 재조합과 같은 필수 프로세스를 억제한다.
피롤로벤조디아제핀(Pyrrolobenzodiazepine, PBD)은 항생 또는 항종양 특성을 갖는 천연물질로서, 서열 선택적 DNA 알킬화 화합물을 의미한다. 피롤로벤조디아제핀은 DNA의 마이너 그루브(minor groove)에서 5′-퓨린(purine)-구아닌(guanine)-퓨린 서열에 대한 선택성을 통해 결합하고, 구아닌 염기 3, 4의 엑소사이클릭 아미노 그룹과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생물활성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전신화학요법제보다 강력하며, DNA 나선을 파괴하지 않고 암세포의 분열을 차단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약물내성에 대한 현상없이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 PBD는 안트라마이신(anthramycin)으로서, 1965년에 발견되었다. 그 때 이후로, 다수의 자연발생적 PBD가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유사체에 대한 10개 이상의 합성경로도 개발되었다 (Hu Y 등, Benzodiazepine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refuineus. Chem Biol. 2007 Jun;14(6):691-701).
발견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항생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작용제로는 아베이마이신(abbeymycin), 시카마이신(chicamycin), DC-81, 마제트라마이신(mazethramycin), 네오트라마이신(neothramycin) A, 포로트라마이신(porothramycin), 프로트라카신(prothracarcin) 등이 발견되었으며, 피롤로벤조디아제핀의 유사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피롤로벤조디아제핀은 하기의 일반식을 가진다.
Figure pat00001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은 방향족 고리 A 및 피롤로 C 고리에서의 치환기의 수, 유형 및 위치, 그리고 C 고리의 포화도에 있어 차이가 있다. B 고리에는 DNA의 알킬화를 담당하는 친전자성 중심인 N10-C11 위치에 이민(N=C), 카르비놀아민(NH-CH(OH)) 또는 카르비놀아민 메틸에테르(NH-CH(OMe))가 존재한다.
또한, 피롤로벤조디아제핀은 C8 위치를 통해 다른 단량체와 연결되어 이량체(dimer)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를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최근 연구를 통해 알려졌다. 예를 들어, SG3199를 페이로드(payload)로 하는 SG3249 (테시린, tesirine), 엔도-엑소 불포화를 갖는 이량체 SGD-1882를 페이로드로 하는 SGD-1910 (탈리린, talirine)등이 존재하며, 최근 테시린을 포함하는 ADCT-301, ADCT-402, ADCT-601 및 ADCT-602가 임상 시험에 들어간 바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롤로벤조디아제핀에 관한 등록특허(메디뮨, KR 10-1960130) 피롤로벤조디아제핀 및 그의 접합체에 관한 등록특허(메디뮨, KR 10-1891859), 피롤로벤조디아제핀에 관한 등록특허(스피로젠, KR 10-1059183),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CD22-항체 컨주게이트에 관한 등록특허(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KR 10-1995620),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체 컨주게이트에 관한 공개특허(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KR 10-2019-0100413), 피롤로벤조디아제핀 및 이의 접합체에 관한 공개특허(Mersana Therapeutics, US 2017-0369453), 피롤로벤조디아제핀 프로드러그에 관한 공개특허(ENDOCYTE, WO 2016-148674) 등이 존재한다.
한편, 단량체 형태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화합물을 전구체 형태로 하여 세포독성이 적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 개시된 논문(Masterson, Luke 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pyrrolo[2,1-c][1,4]benzodiazepine prodrugs for use in antibody directed enzyme prodrug therapy,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6(2), 252-256 (2006)),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이량체의 형태에 대해 카바메이트(carbamate)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항체-약물 접합체에 관한 기술(Zhang, Donglu et al, Linker Immolation Determines Cell Killing Activity of Disulfide-Linked Pyrrolobenzodiazepine Antibody-Drug Conjugates,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7(11), 988-993 (2016))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의 경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합성 시 낮은 수율로 인해 스케일 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는 점, 또한 투약 후 혈중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기에는 부족하다는 점, 약효가 우수하더라도 그만큼 독성이 나타나 임상에 적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DNA 마이너 그루브 바인더는 렉시트롭신(Lexitropsin)의 패밀리 화합물로서, 처음 발견된 화합물은 디스타마이신 A(Distamycin A)와 네트롭신(Netropsin)으로서, 디스타마이신 A는 1962년 Strptomyces distallicus의 배양에서 분리된 항생제로 밝혀졌다. 이 밖에도 안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암제인 악티노마이신 A(Actinomycin A),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등이 존재하며, 이 항암제들은 G-C 염기쌍 부위에 끼어들거나 DNA 마이너 그루브에 결합하여 염기쌍들과 수소결합을 이루어 DNA 및 RNA의 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작용제들을 통해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이들은 공통적으로 심장독성이 강해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장 손상이 나타낸다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매우 적은 부작용을 가지면서도 보다 선택적이고 효과적인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모핵 구조에 다양한 치환기를 접합시켜 새로운 화합물을 제조하였고, 합성된 화합물이 종래 알려진 피롤로벤조디아제핀 화합물에 비하여 유효성(efficacy)은 동등 수준으로 나타내면서도 독성 발현 등의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특허등록 KR 10-1960130 한국특허등록 KR 10-1891859 한국특허등록 KR 10-1059183 한국특허등록 KR 10-1960130 한국특허등록 KR 10-1995620 한국특허공개 KR 10-2019-0100412
Abedawn I. Khalaf 외 2명, DNA Minor Groove Binders-Inspired by Nature, Acta Chim. Slov. 2016, 63, 689-704 정근영, 항암 화학요법의 소개 및 치료동향, BRIC View 2016-T20. Hu Y, Phelan V, Ntai I, Farnet CM, Zazopoulos E, Bachmann BO. Benzodiazepine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refuineus. Chem Biol. 2007 Jun;14(6):691-701. Antonow D, Thurston DE (2011) Synthesis of DNA-interactive pyrrolo[2,1-c][1,4]benzodiazepines (PBDs). Chem Rev 111: 2815-2864. doi: 10.1021/cr100120f Parijat Majumder 외 6명, Minor Groove Binder Distamycin Remodels Chromain but Inhibits Transcription, PLoS One. 2013; 8(2): e57693 Parijat Majumder, Dasgupta D (2011), Effect of DNA Groove Binder Distamycin A upon Chromatin Structure, PLOS ONE 6(10): e26486 Masterson, Luke 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pyrrolo[2,1-c][1,4]benzodiazepine prodrugs for use in antibody directed enzyme prodrug therapy,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6(2), 252-256 (2006) Zhang, Donglu et al, Linker Immolation Determines Cell Killing Activity of Disulfide-Linked Pyrrolobenzodiazepine Antibody-Drug Conjugates,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7(11), 988-993 (2016)
본 발명에서는 종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화합물에 비하여 동등 수준의 유효성(efficacy)을 나타내면서도 독성 발현 등의 부작용이 크게 감소한 신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리간드와의 접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리간드와의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증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리간드와의 접합체를 개체에 투여하여 증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이고,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P-(B)a-(B′)b-D (I)
상기 식에서,
P는 하기 화학식 II이고, 여기에서 P는 링커 I(Linker I)과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는 것이며;
Figure pat00002
(II)
상기 식에서,
점선은 C1과 C2 또는 C2와 C3 사이의 이중결합의 임의의 존재 및 N10과 C11 사이의 이중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며;
Q1은 H, OH, O, CH2, CN, Rm, ORm, CH-Rm′, C(Rm′)2, O-SO2-Rm, CO2Rm, CORm, 할로 및 디할로(dihalo)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Rm′는 Rm, CO2Rm, CORm, CHO, CO2H, 및 할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에서, Rm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12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12알케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12알키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20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20헤테로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6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치환되는 경우, C1-12알킬, C1-12알콕시,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5-20아릴, C5-20헤테로아릴, C3-6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의 각 수소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5-20아릴, C5-20헤테로아릴, C3-6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고;
Q2, Q3, Q5, 및 Q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Rm, -OH, -ORm, -SH, -SRm, -NH2, -NHRm, -NRmRm′, -NO2, 및 할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에서 Rm 및 R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Q4는 -H, -Rm, -OH, -ORm, -SH, -SRm, -NH2, -NHRm, -NRmRm′, -NO2, 할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알콕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6알케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6알키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6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12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 -CN, -NCO, -ORn, -OC(=O)Rn, -OC(=O)NRnRn′, -OS(=O)Rn, -OS(=O)2Rn, -SRn, -S(=O)Rn, -S(=O)2Rn, -S(=O)NRnRn′, -S(=O)2NRnRn′, -OS(=O)NRnRn′, -OS(=O)2NRnRn′, -NRnRn′, -NRnC(=O)Ro, -NRnC(=O)ORo, -NRnC(=O)NRoRo′, -NRnS(=O)Ro, -NRnS(=O)2Ro, -NRnS(=O)NRoRo′, -NRnS(=O)2NRoRo′, -C(=O)Rn, -C(=O)ORn 및 -C(=O)NRnR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치환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케닐, C2-6알키닐, C3-C6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10아릴,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 -ORp, -OC(=O)Rp, -OC(=O)NRpRp′, -OS(=O)Rp, -OS(=O)2Rp, -SRp, -S(=O)Rp, -S(=O)2Rp, -S(=O)NRpRp′, -S(=O)2NRpRp′, -OS(=O)NRpRp′, -OS(=O)2NRpRp′, -NRpRp′, -NRpC(=O)Rq, -NRpC(=O)ORq, -NRpC(=O)NRqRq′, -NRpS(=O)Rq, -NRpS(=O)2Rq, -NRpS(=O)NRqRq′, -NRpS(=O)2NRqRq′, -C(=O)Rp, -C(=O)ORp 또는 -C(=O)NRpRp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n, Rn′, Ro, Ro′, Rp, Rp′, Rq 및 Rq′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7알킬, C2-7알케닐, C2-7알키닐, C3-13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0아릴, 및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링커 I(Linker I)과 결합되는 부분이며, 링커 I과 결합되지 않는 경우 부존재하며,
Y는 -O-, -S-, 및 -NH-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Q6은 부재하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3-12탄화수소 쇄이며,
B 및 B′은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 -O-, -NH-, -S-, -C(=O)-, -S(=O)-, -O-(CH2)n-, -(CH2)n-, -(CH2)n(C=O)-, -(CH2)n(C=O)NH-, -C6-10아릴렌-, -O-(-C6-10아릴렌)-, -(CH2)n-C6-10 아릴렌-,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 -O-(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 또는 -(CH2CH2O)n-이고,
여기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의 정수이고,
D는 하기 화학식 III이며,
Figure pat00003
(III)
여기에서,
Figure pat00004
는 P, B 또는 B′와 결합하는 부위를 의미하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 -NH-, -O-, -C(=O)-, -C(=O)NH-, -NHC(=O)-, C6-10 아릴렌 또는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6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렌이며,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인,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 또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에서 선택되고,
Z1, Z2, Z3, Z1′, Z2′ 및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S이며,
R1, 및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원자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1-10 헤테로알킬, C1-10 알킬, -(CH2)mOH, -(CH2)mNH2, -(CH2)mNHCH3, 수소, 할로, 또는 -C(=O)OH이고,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 -NH-, -O-, -C(=O)-, 또는 -S-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며; 여기에서 a1+a2는 2 이하의 정수이고,
E1은 결합, -NH-, -C(=O)-, -C(=O)O-, -O-, -S-, -OCH2-, C1-20 알킬렌, 또는 -((CH2)p(CH2E11))q-이며, e1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E2는 결합, C1-20 알킬렌 또는 -((CH2)p(CH2E11))q-이며, e2는 0 내지 20의 정수이고,
여기에서, E11은 결합, O, 또는 S이고, p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F1은 수소, -OH, -OCH3, -SH, -SCH3,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또는
Figure pat00007
이고,
여기에서,
F11, F12, F13, F14, F15, F16, F17, 및 F18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O 또는 S이며,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고,
F21, F22 및 F22′은 각각 독립적으로 -H, -NH2, -CH3, -(CH2)rCH3, -(CH2)rOH, -(CH2)rNH2, -F33(CH2)rCH3, -F33(CH2)rOH, -F33(CH2)rNH2, 또는 링커 II (Linker II)에서 선택되고, F33은 -O-, -S-, -CH2-, -C(=O)-, -NH-, -C(NH2)- 또는 -C(=NH)-에서 선택되며,
F21′은 =CH2, =NH, =F33′(CH2)rCH3, =F33′(CH2)rOH, 또는 =F33′(CH2)rNH2에서 선택되고, F33′은 =N-, =CH-, =C(OH)- 또는 =C(NH2)-에서 선택되며, r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여기에서, 링커(Linker) I 및 링커(Linker) II는 하기 화학식 IV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Figure pat00008
(IV)
상기 식에서,
G는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moiety 또는
Figure pat00009
이며;
상기 Rc는 수소 또는 카복실 보호기이고,
상기 각각의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실 보호기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또는 C3-8사이클로알킬이고;
W는 -C(=O)-, -C(=O)NR′-, -C(=O)O-, -S(=O)2NR′-, -P(=O)R″NR′-, -S(=O)NR′- 또는 -P(=O)2NR′-이며, 상기 C, S 또는 P는 직접적으로 페닐링(phenyl ring)에 결합하고,
여기에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C3-8-원 사이클로알킬, C1-8 알콕시, C1-8 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 C1-8알킬아미노, 3 내지 20-원 헤테로아릴 또는 C6-20-원 아릴인 화합물이며;
T는 독립적으로 C1-8알킬, 할로겐, 시아노 또는 나이트로이고;
s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L은 연결 유닛(connection unit) 및 브랜칭 유닛(branching unit)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닛, 또는 이들 유닛의 조합이고,
여기에서 연결 유닛은 W와 Rz를, W와 브랜칭 유닛을, 또는 브랜칭 유닛과 브랜칭 유닛을 연결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은 연결 유닛과 W를, 또는 연결 유닛과 또 다른 연결 유닛을 연결하며,
연결 유닛은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CH2CH2V)t-, -(CH2)t(V(CH2)u)v-,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여기에서 L1은 단일결합 또는 C2-30알케닐이며, R11은 H 또는 C1-10알킬이고, L2는 C2-30알케닐이며;
여기에서, t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u는 0 내지 12의 정수이며, v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V는 단일결합, -O-, 또는 -S-이며,
브랜칭 유닛은 C2-100알케닐,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 -C(=O)-, -C(=O)NRv-, -C(=O)O-, -(CH2)n1-NHC(=O)-(CH2)n2-, -(CH2)n3-C(=O)NH-(CH2)n4-, -(CH2)n1-NHC(=O)-(CH2)n2-C(=O)-, -(CH2)n3-C(=O)NH-(CH2)n4-C(=O)-, -S(=O)2NRv-, -P(=O)RwNRv-, -S(=O)NRv-, 및 -P(=O)2NRv-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이 C2-100알케닐인 경우, 알케닐의 탄소 원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 O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알케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1-2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v 및 Rw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8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1-8알콕시, C1-8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C1-8알킬아미노, C3-20헤테로아릴 또는 C5-20아릴이며,
n1, n2, n3 및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z는 -O-NH2, -NH2, N3,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12알킬, C1-12 알키닐, C1-3알콕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20-원 헤테로아릴, 3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20아릴, 또는
Figure pat00014
이고,
여기에서, Rz′은 N 또는 C이며,
여기에서 치환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 할로, 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케닐, 옥시, 카르복시, C1-6알콕시카르보닐, C1-6알킬카르보닐, 포르밀, C3-8아릴, C5-12아릴옥시, C5-12아릴카르보닐 또는 C3-6헤테로아릴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링커는 1,3-dipolar cycloaddition 반응, hetero-Diels-Alder 반응, 친핵성 치환(nucleophilic substitution) 반응, 비-알돌형 카르보닐 반응, 탄소-탄소 다중 결합 첨가(addition to carbon-carbon multiple bond), 산화 반응 또는 클릭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결합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결합 유닛은 아세틸렌 및 아자이드 사이의 반응, 또는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기 및 하이드라진 또는 알콕시아민 사이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링커는
Figure pat00015
의 구조를 갖는 최소 하나 이상의 이소프레닐 유닛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i는 최소 2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최소 하나의 이소프레닐 유닛은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의 기질 또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의 생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링커의 이소프레닐 유닛은 티오에테르 결합에 의해 항체와 공유결합하며, 티오에테르 결합은 항체의 시스테인의 황원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항체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에 의해 인식되는 아미노산 모티프를 포함하고, 티오에테르 결합은 아미노산 모티프의 시스테인의 황원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점선은 C2 및 C3 사이의 이중결합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Q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6알케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7아릴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6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Q2, Q3 Q5, 및 Q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O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Q4는 메톡시, 에톡시 또는 부톡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X는 링커 I의
Figure pat00016
부분과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Y는 -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Q6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3-8탄화수소 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G는
Figure pat00017
이고,
Rc는 수소 또는 카복실 보호기이고, 상기 각각의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실 보호기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Rc는 수소이고, 상기 각각의 Rd는 수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T는 독립적으로 C1-C8 알킬, 할로겐, 시아노 또는 나이트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s는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W는 -C(=O)-, -C(=O)NR′- 또는 -C(=O)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W는 -C(=O)NR′- 이고, 상기 C(=O)는 페닐링에 결합하고, NR′은 L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G는
Figure pat00018
이고, W는 -C(O)NR′ -이며, 상기 C(O)는 페닐링에 결합하고, NR′은 L에 결합하고, Rc 및 Rd는 수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브랜칭 유닛은 C2-8알케닐,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 -C(O)-, -C(O)NRv-, -C(O)O-, -(CH2)n1-NHC(O)-(CH2)n2-, -(CH2)n3-C(O)NH-(CH2)n4-, -(CH2)n1-NHC(O)-(CH2)n2-C(O)-, 및 -(CH2)n3-C(O)NH-(CH2)n4-C(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이 C2-8알케닐인 경우, 알케닐의 탄소 원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 O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알케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1-2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v H, C1-8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1-8알콕시, C1-8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C1-8알킬아미노, C3-20헤테로아릴 또는 C5-20아릴이고,
n1, n2, n3 및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은 -(CH2)t(V(CH2)u)v-이고, 여기에서, t은 0 내지 8의 정수이고, u는 0 내지 12의 정수이며, v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V는 단일결합 또는 -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은 -(CH2)t(V(CH2)u)v-이고, 여기에서, t은 2의 정수이고, u는 2의 정수이며, v는 2의 정수이고, V는 -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은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또는
Figure pat00022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L1은 단일결합 또는 C2-8알케닐이며, R11은 H 또는 C1-6알킬이고, L2는 C2-8알케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Rz는 -O-NH2, -NH2, N3, -OCH3, -OCH2CH3, -O(CH2)2CH3, 또는
Figure pat0002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B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C(=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또는 -N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Z1, Z2, Z3, Z1′, Z2′, 및 Z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1 및 A-2는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 또는
Figure pat00027
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며, Za는 Z1 또는 Z1′이고, Zb는 Z2 또는 Z2′이며, Zc는 Z3 또는 Z3′이고,
Z1, Z2, Z3, Z1′, Z2′ 및 Z3′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며,
R1 또는 R1′은 Za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또는
Figure pat00030
이고, 여기에서,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며, Za는 Z1 또는 Z1′이고, Zb는 Z2 또는 Z2′이며, Zc는 Z3 또는 Z3′이고,
Z1, Z2, Z3, Z1′, Z2′, 및 Z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N 또는 S이고,
R1 또는 R1′은 Za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1 및 a2는 1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E1은 결합, -NH- 또는 -C(=O)-이고, e1은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E2는 결합, C1-5 알킬렌, 또는 -((CH2)p(CH2E11))q-이고,
E2가 -((CH2)p(CH2E11))q-일 때, E11은 O이며,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15의 정수이며, e2는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R1 및 R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5 알킬, (CH2)mOH 또는 (CH2)mNH2이고, m은 1 내지 7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F1은 -OH, -OCH3, -SH, -SCH3,
Figure pat00031
또는
Figure pat00032
이고,
F11 및 F12는 각각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며,
F21, F22 및 F22′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H2)rCH3, -(CH2)rOH, -(CH2)rNH2, -F33(CH2)rCH3, -F33(CH2)rOH, -F33(CH2)rNH2, 또는 링커(Linker) II에서 선택되고, F33은 -C(=O)-, -NH-, 또는 -C(=NH)-에서 선택되며,
F21′은 =CH2, =NH, =F33′(CH2)rCH3, =F33′(CH2)rOH, =F33′(CH2)rNH2, 또는 링커(Linker) II에서 선택되고, F33′은 =N-, =CH-, =C(OH)- 또는 =C(NH2)-에서 선택되며,
F21, F22 및 F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CH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하기 일반식 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33
(V)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34
부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링커 또는 수소와 결합하며, 여기에서 제1링커는 상기 링커 I 또는 링커 II이고;
SL은 제2링커를 의미하며, 제2링커는 하기 식 VI이고,
L′-Rzz′ (VI)
상기 식에서, L′ 및 Rzz′은 각각 상기 화학식 IV의 L 및 Rz와 동일하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링커는 최소 하나 이상의 브랜칭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은 -C(O)-, -C(O)NRv-, -C(O)O-, -(CH2)n1-NHC(O)-(CH2)n2-, -(CH2)n3-C(O)NH-(CH2)n4-, -(CH2)n1-NHC(O)-(CH2)n2-C(O)-, -(CH2)n3-C(O)NH-(CH2)n4-C(O)-, -S(O)2NRv-, -P(O)RwNRv-, -S(O)NRv-, 및 -PO2NRv-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v 및 Rw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8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1-8알콕시, C1-8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C1-8알킬아미노, C3-20헤테로아릴 또는 C5-20아릴이며,
n1, n2, n3 및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L′은 하나 이상의 브랜칭 유닛 및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은 C2-8알케닐,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 -C(O)-, 및 -C(O)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연결 유닛은 -(CH2)t(V(CH2)u)v-이며,
여기에서, t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u는 2의 정수이며, v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V는 -O-이며;
Rzz′은 -O-NH2, -NH2, N3, -OCH3, 또는 -OCH2CH3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035
,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
Figure pat00046
, 및
Figure pat00047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및
Figure pat00051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트리스 구조를 포함하는 링커를 더 포함하는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05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VII이고,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P′-B′-D′ (VII)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P와 동일하고;
B′는 Ba′-Bb′-Bc′이며,
여기에서, Ba′는 결합, -O-, -NH-, -S-, -C(=O)-, -S(=O)-, -(CH2)n′(C=O)-, -(CH2)n′-, C6-10 아릴렌,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 -((CH2)n′B1)m′B2-이고, 여기에서 B1 및 B2는 각각 CH2, NH, O, 또는 S이며,
Bb′는 결합, C5-20 아릴렌, C5-20 사이클로알킬렌,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인,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 또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이며,
Bc′는 결합, -O-, -NH-, -S-, -C(=O)-, -S(=O)-, -CH2(C=O)-, -(CH2)n′- 또는 -(CH2CH2O)n′-이고,
여기에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며,
D′는 상기 D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Ba′는 결합, -(CH2)n′- 또는 -(CH2)n′B2-이고, 여기에서 B2는 O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Bb′는 결합,
Figure pat00053
,
Figure pat00054
,
Figure pat00055
, 또는
Figure pat00056
이고,
여기에서, 상기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며,
B1′, B2′ 및 B3′는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Bc′은 결합, -C(=O)-, -NH- 또는 -(CH2CH2O)n-이고, 여기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D′은 D와 동일하며, a1+a2는 2를 제외한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VI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057
,
Figure pat00058
,
Figure pat00059
,
Figure pat00060
,
Figure pat00061
,
Figure pat00062
,
Figure pat00063
,
Figure pat00064
,
Figure pat00065
,
Figure pat00066
,
Figure pat00067
,
Figure pat00068
,
Figure pat00069
,
Figure pat00070
,
Figure pat00071
,
Figure pat00072
,
Figure pat00073
,
Figure pat00074
,
Figure pat00075
,
Figure pat00076
,
Figure pat00077
, 및
Figure pat00078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간드는 항체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아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모티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아제는 FTase(farnesyl protein transferase) 또는 GGTase(geranylgeranyl transferase)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아미노산 모티프가 CYYX, XXCC, XCXC 또는 CXX이고, 여기에서 C는 시스테인, Y는 지방족 아미노산, X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아제의 기질 특이성을 결정하는 아미노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X는 각 경우 독립적으로, 글루타민, 글루타메이트, 세린, 시스테인, 메티오닌, 알라닌, 또는 루신을 나타내고; 티오에테르 결합은 아미노산 모티프의 시스테인의 황원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아미노산 모티프는 CYYX일 수 있고, Y는 각 경우 독립적으로 알라닌, 이소루신, 루신, 메티오닌 또는 발린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백질은 항체이고, 항체는 GGGGGGGCVIM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모티프를 갖는 단백질은 A-HC-(G)zCVIM, A-HC-(G)zCVLL, A-LC-(G)zCVIM 및 A-LC-(G)zCVL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A는 항체를 나타내고, HC는 중쇄를 나타내고, LC 는 경쇄를 나타내고, G는 글리신 유닛을 나타내고, z는 0 내지 20의 정수일 수 있다.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는 이소기질(isosubstrate) 뿐만 아니라 기질을 인식할 수 있다. 이소기질은 기질에 변형을 갖는 기질 유사체를 말한다.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는 단백질의 C-말단에서 특정 아미노산 모티프(예: CAAX 모티프)를 알킬화시킨다(참조: Benjamin P. Duckworth et al, ChemBioChem 2007, 8,98; Uyen T. T. Nguyen et al, ChemBioChem 2007, 8, 408; Guillermo R. Labadie et al, J. Org. Chem. 2007, 72(24), 9291; James W. Wollack et al, ChemBioChem 2009, 10, 2934). 관능화 단백질은 C-말단 시스테인(들)에서 알킬화를 통하여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 및 이소기질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말단 CAAX 모티프의 시스테인 잔기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를 사용하여 이소기질과 반응시킬 수 있다. 특정 경우, AAX는 이어서 프로테아제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수득한 시스테인은 이어서 효소에 의하여 카복시 말단에서 메틸화시킬 수 있다(참조: Iran M. Bell, J. Med. Chem. 2004, 47(8), 1869).
본 발명의 단백질은 당해 기술분야에 익히 공지된 어떠한 분자 생물 또는 세포 생물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시적 트랜스펙션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아미노산 모티프를 인코딩하는 유전적 서열은 이의 C-말단에 특정 아미노산 모티프를 갖는 단백질(단편 또는 이의 유사체)을 발현하도록 표준 PCR 기술을 사용하여 공지된 플라스미드 벡터로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모티프를 갖는 단백질이 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단백질이 단일클론 항체인 경우, 단일클론 항체의 하나 이상의 경쇄, 단일클론 항체의 하나 이상의 중쇄 또는 둘 다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아미노산 모티프를 갖는 아미노산 부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관심 있는 표적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단백질(예: 피검체의 표적 세포)을 즉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관심 있는 표적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원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증식성 질환은 신생물, 종양, 암, 백혈병, 건선, 뼈 질환, 섬유증식성 장애, 및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암은 폐암, 소세포성 폐암, 위장관암, 대장암, 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고환암, 간암, 신장암, 방광암, 췌장암, 뇌암, 육종, 골육종, 카포시 육종 및 흑색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1종 이상의 치료적 공동-작용제(therapeutic co-agent);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1종 이상의 치료적 공동-작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1종 이상의 치료적 공동-작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리간드와의 접합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혈장 내에서 보다 안정하고 순환시에도 안정적이며, 우수한 유효성(efficacy)을 나타낸다.
또한 특히 리간드와의 접합체는 약물이 암세포 내에서 쉽게 방출되어 약효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링커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접합체가 표적 세포에 보다 안정적으로 도달하여 약효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독성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암과 같은 증식성 질환의 표적화, 특이적 치료, 약효의 극대화 및 부작용 발현의 최소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큰 이점이 있다.
도 1은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를 통한 ADC(Antibody-drug conjugate)의 합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과학 및 기술적 용어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대로의 의미를 가진다. 나아가 문맥상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다면,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고, 복수는 단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하기 정의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접합체(conjugates)”는 세포독성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결합되는 세포 결합제를 말한다. 여기서, “세포 결합제”는 생물학적 타깃에 대한 친화도를 갖는 분자로서, 예를 들어 리간드, 단백질, 항체, 구체적으로 모노클로날 항체, 단백질 또는 항체 단편, 펩타이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올리고사카라이드일 수 있으며, 결합제는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을 생물학적 타깃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접합체는 세포 표면 항원을 통해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항원은 비정상적인 세포 타입에서 과다발현되거나 또는 발현되는 세포 표면 항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적 항원은 증식성 세포(예컨대 종양 세포) 상에서만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표적 항원은 통상 증식성 조직 및 정상 조직 사이의 상이한 발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간드는 링커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이뮤노글로불린 분자의 가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항원 인식 부위를 통해 표적, 예컨대 탄수화물, 폴리뉴클레오티드, 지질, 폴리펩티드 등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이뮤노글로불린 분자이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무손상 폴리클로날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뿐만 아니라, 소정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무손상 항체의 임의의 항원 결합 부분 (예를 들어,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의 단일 쇄, 항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항원 인식 부위를 포함하는 이뮤노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다른 변형된 배열,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Fab; Fab'; F(ab')2 Fd 단편; Fv 단편; 단일 도메인 항체 (dAb) 단편; 단리된 상보성 결정 영역 (CDR); 단일 쇄 (scFv) 및 단일 도메인 항체 (예를 들어, 상어 및 낙타류 항체), 맥시바디, 미니바디, 인트라바디,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v-NAR 및 비스-scFv를 포괄한다 (예를 들어, 문헌 [Hollinger and Hudson, 2005, Nature Biotechnology 23(9): 1126-1136] 참조). 항체는 임의의 부류의 항체, 예컨대 IgG, IgA 또는 IgM (또는 그의 하위부류)을 포함하며, 항체가 임의의 특정한 부류일 필요는 없다. 항체의 중쇄의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이뮤노글로불린은 상이한 부류로 배정될 수 있다. 5 가지 주요 부류의 이뮤노글로불린: IgA, IgD, IgE, IgG 및 IgM이 존재하고, 이들 중 몇몇은 하위부류 (이소형),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로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상이한 부류의 이뮤노글로불린에 상응하는 중쇄 (HC) 불변 도메인은 각각 알파, 델타, 엡실론, 감마 및 뮤로 불린다. 상이한 부류의 이뮤노글로불린의 서브유닛 구조 및 3차원 배위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 예컨대 재조합 기술,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 합성 기술 또는 상기 기술들의 조합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용이하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리된 항체”는 상이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다른 항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항체를 지칭하며, 다른 세포 물질 및/또는 화학물질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물학적 타깃”은 종양, 암세포, 세포간질(extracellular matrix) 표면에 위치하는 항원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비치환되거나 치환된”은 비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치환될 수 있는 모기(parent group)를, “치환된”은 1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모기(parent group)를, 치환기는 모기(parent group)에 공유결합되거나 모기(parent group)에 융합된 화학적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할로”는 플루오린, 클로라인, 브로마인, 요오드 등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알킬”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포화 또는 불포화(불포화, 완전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얻어진 1가 부분으로서, 포화 알킬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등을, 포화 직쇄형 알킬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n-펜틸(아밀), n-헥실, n-헵틸 등, 포화 분지쇄형 알킬의 예로는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콕시”는 -OR[여기서, R은 알킬기]을 의미하며,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이소부톡시, tert-부톡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릴”은 고리 원자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방향족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얻어진 1가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케닐”은 1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알킬로서, 불포화 알케닐기의 예로는 에테닐(비닐, -CH=CH2), 1-프로페닐(-CH=CHCH3), 2-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키닐”은 1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알킬기로서, 불포화 알키닐기의 예는 에티닐 및 2-프로피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르복시”는 -C(=O)OH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포르밀”은 -C(=O)H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아릴”은 방향족 화합물의 방향족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얻어진 1가 모이어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C5-7아릴”은 모이어티가 5 내지 7 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것으로서, 방향족 화합물의 방향족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되는 1 가 모이어티를 의미하고, “C5-10 아릴”은 모이어티가 5 내지 10 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것으로서, 방향족 화합물의 방향족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되는 1 가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접두사(C5-7, C5-10 등)는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고리원자의 수 또는 고리 원자의 수의 범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C5-6아릴”은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아릴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고리 원자는 “카르보아릴기”에서와 같이 모두 탄소 원자일 수 있다. 카르보아릴기의 예는 벤젠, 나프탈렌, 아줄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나프타센 및 피렌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 고리인 융합 고리를 포함하는 아릴기의 예는 인단, 인덴, 이소인덴, 테트랄린, 아세나프텐, 플루오렌, 페날렌, 아세페난트렌 및 아세안트렌으로부터 유도된 기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고리 원자는 “헤테로아릴기”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헤테로아릴”은 1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로서, 예로는 피리딘, 피리미딘, 벤조티오펜, 푸릴, 디옥살라닐, 피롤릴, 옥사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등, 보다 구체적으로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인돌, 이소인돌, 인돌리진, 인돌린, 이소인돌린, 푸린(아데닌 또는 구아닌), 벤즈이미다졸, 인다졸, 벤즈옥사졸, 벤즈이속사졸, 벤조디옥솔, 벤조푸란, 벤조트리아졸, 벤조티오푸란, 벤조티아졸, 벤조티아디아졸로부터 유도된 2개의 융합고리를 갖는 C9, 크로멘, 이소크로멘, 크로만, 이소크로만, 벤조디옥산,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놀리진, 벤족사진, 벤조디아진, 피리도피리딘, 퀴녹살린, 퀴나졸린, 신놀린, 프탈라진, 나프티리딘, 프테리딘으로부터 유도된 2개의 융합고리를 갖는 C10, 벤조디아제핀으로부터 유도된 2개의 융합고리를 갖는 C11, 카르바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 카르볼린, 페리미딘, 피리도인돌로부터 유도된 3개의 융합고리를 갖는 C13, 아크리딘, 크산텐, 티오크산텐, 옥산트렌, 페녹사티인, 페나진, 페녹사진, 페노티아진, 티안트렌, 페난트리딘, 페난트롤린, 페나진으로부터 유도된 3개의 융합고리를 갖는 C14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알킬”은 시클릴기인 알킬기이고, 고리(cyclic) 탄화수소 화합물의 지환족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얻어진 1가 부분에 관한 것이다. 사이클로알킬기의 예는 하기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포화 단일고리 탄화수소 화합물: 사이클로프로판, 사이클로부탄,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헵탄, 메틸사이클로프로판, 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 메틸사이클로부탄, 디메틸사이클로부탄, 메틸사이클로펜탄, 디메틸사이클로펜탄 및 메틸사이클로헥산;
불포화 단일고리 탄화수소 화합물: 사이클로프로펜, 사이클로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메틸사이클로프로펜, 디메틸사이클로프로펜, 메틸사이클로부텐, 디메틸사이클로부텐, 메틸사이클로펜텐, 디메틸사이클로펜텐 및 메틸사이클로헥센; 및 포화 헤테로사이클릭 탄화수소 화합물: 노르카란, 노르피난, 노르보르난.
본 발명에서 “헤테로사이클릴”은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고리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얻어진 1가 부분에 관한 것이다.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은 고리(cyclic) 구조 내의 결합이 단일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2개 이상의 융합고리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접두사(예를 들어 C1-12, C3-8 등)는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고리 원자의 수 또는 고리 원자의 수의 범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C3-6헤테로사이클릴”은 3 내지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릴기에 관한 것이다.
단일고리 헤테로사이클릴기의 예는 하기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N1: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롤린, 2H- 또는 3H-피롤, 피페리딘, 디하이드로피리딘,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아제핀;
N2: 이미다졸리딘, 피라졸리딘, 이미다졸린, 피라졸린, 피페라진;
O1: 옥시란, 옥세탄, 옥솔란, 옥솔, 옥산, 디하이드로피란, 피란, 옥세핀;
O2: 디옥솔란, 디옥산 및 디옥세판;
O3: 트리옥산;
N1O1: 테트라하이드로옥사졸, 디하이드로옥사졸, 테트라하이드로이속사졸, 디하이드로이속사졸, 모르폴린, 테트라하이드로옥사진, 디하이드로옥사진, 옥사진
S1: 티이란, 티에탄, 티올란, 티안, 티에판;
N1S1: 티아졸린, 티아졸리딘, 티오모르폴린;
N2O1: 옥사디아진;
O1S1: 옥사티올, 옥사티안; 및
N1O1S1: 옥사티아진.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리 산으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예컨대, 화합물이 음이온이거나 또는 음이온일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예컨대 -COOH는 -COO-일 수 있음), 적절한 양이온으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한 무기 양이온의 예는 알칼리 금속 이온, 예컨대 Na+ 및 K+,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예컨대 Ca2+ 및 Mg2+ 및 다른 양이온, 예컨대 Al3+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절한 유기 양이온의 예는 암모늄 이온(즉, NH4 +) 및 치환된 암모늄 이온(예컨대 NH3R+, NH2R2 +, NHR3 +, NR4 +)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적절한 치환된 암모늄 이온의 예는 하기로부터 유도된 것들이다: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트리에틸아민, 부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라진, 벤질아민, 페닐벤질아민, 콜린, 메글루민 및 트로메타민 뿐 아니라,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및 아르기닌. 통상적인 4급 암모늄 이온의 예는 N(CH3)4+이다.
화합물이 양이온이거나 또는 양이온일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예컨대 -NH2는 -NH3 +일 수 있음), 적절한 음이온으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한 무기 음이온의 예는 하기 무기 산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아황산, 질산, 아질산, 인산 및 아인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적절한 유기 음이온의 예는 하기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2-아세티옥시벤조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아스파르트산, 벤조산, 캠퍼설폰산, 신남산, 시트르산, 에데트산, 에탄디설폰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쳅톤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히드록시말레산, 히드록시나프탈렌 카르복실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말산, 메탄설폰산, 점액산, 올레산, 옥살산, 팔미트산, 팜산, 판토텐산, 페닐아세트산, 페닐설폰산, 프로피온산, 피루브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설파닐산, 타르타르산, 톨루엔설폰산 및 발레르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적절한 중합체 유기 음이온의 예는 하기 중합체 산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닌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매화물(solvate)”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용매 분자(solvent molecules) 사이의 분자 복합체(molecular complex)를 말하며, 용매화물의 예는 물,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탄올아민 또는 이의 혼합용매와 결합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 화합물의 상당하는 용매화물을 제조, 정제 및/또는 취급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또는 바람직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본 명세서에서 용질(예컨대 활성 화합물, 활성 화합물의 염) 및 용매의 착체를 지칭하기 위해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용매가 물인 경우, 용매화물을 편리하게 수화물, 예컨대 일수화물, 이수화물, 삼수화물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통상적으로 서서히 대사되는 거대분자, 예를 들어 단백질, 다당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중합체성 아미노산, 아미노산 공중합체, 지질 응집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 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제,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정맥내, 피부 또는 피하 주사 등을 위해, 활성 성분은 무발열성(pyrogen-free)이고 적절한 pH, 등장성 및 안정성을 갖는 비경구 투여용의, 허용가능한 수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당업자는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수용액, 링거액, 락테이트 링거액 등과 같은 등장성 비히클을 사용하여 적절한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보존제, 안정화제, 완충제, 산화 방지제 또는 기타 다른 첨가제로 필요한 경우 포함될 수 있다. 주사에 적합한 고체 형태는 또한 에멀젼으로서 또는 리포솜에 캡슐화된 폴리펩티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 “유효량” 또는 “치료 유효량”은 목적 치료 결과를 달성하는데 (투여량 및 투여 기간 및 수단에 대해) 필요한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적어도 대상체에게 치료 이익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활성제의 최소량이며, 독성량 미만이다. 예를 들어 투여량은 환자 당 약 100 ng 내지 약 100 mg/kg 범위로, 보다 전형적으로 약 1 μg/kg 내지 약 10 mg/kg의 범위로 투여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이 염, 에스테르, 아미드, 전구체약물(prodrug) 등인 경우에 투여양은 모 화합물을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사용되는 실제 중량은 비례하여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화합물은 단위 제형(dosage form)당 활성 성분 0.1 mg 내지 3000 mg, 1 mg 내지 2000 mg, 10 mg 내지 1000 mg을 포함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 성분은 약 0.05 μM 내지 100 μM, 1 μM 내지 50 μM, 5 μM 내지 30 μM의 활성 화합물의 피크 플라즈마 농도를 얻도록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로 식염수내에서 활성 성분 0.1 w/v% 내지 5 w/v% 용액의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에서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약물의 흡수, 불활성화 및 배출율 및 당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다른 인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투여량은 증상/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어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량 및 투여요법은 환자의 증상/질환의 정도, 필요성, 나이, 약물에 대한 반응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여 감독자의 직업적 판단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된 농도 범위는 단지 일예이며 청구된 조성물의 실시양태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활성 성분은 1회 투여될 수 있거나, 보다 적은 투여량을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증식성 질환”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 내에서 신생 또는 과다형성 성장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세포의 원치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세포 증식을 말한다. 증식성 질환은 예를 들어 신생물, 종양, 암, 백혈병, 건선, 뼈 질환, 섬유증식성 장애, 죽상동맥경화증 등을 포함하며, 양성, 전악성 또는 악성 세포 증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암은 폐암, 소세포성 폐암, 위장관암, 대장암, 장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고환암, 간암, 신장암, 방광암, 췌장암, 뇌암, 육종, 골육종, 카포시 육종 또는 흑색종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치료제”는 증식성 질환, 예를 들어 암 세포 또는 활성화된 면역 세포에 세포독성, 세포증식억제 및/또는 면역조절 효과를 행사하는 작용제이다. 치료제의 예는 세포독성제, 화학요법제, 세포증식억제제 및 면역조절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와 그의 전구체, 및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7의 제조
Figure pat00079
화합물 1 제조
4-브로모뷰티르산 (10.0 g, 59.9 mmol)과 알릴 알코올 (40.7 mL, 598.7 mmol)을 톨루엔 (240 mL)에 녹인 후 p-톨루엔설폰산 (1.1 g, 6.0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17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면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묽힌 뒤 0.1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200 mL)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층을 소금물 (2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 (11.5 g, 92%)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5.93 (m, 1H), 5.30 (d, 1H), 5.26 (d, 1H), 4.59 (d, 2H), 3.47 (t, 2H), 2.54 (t, 2H), 2.19 (q, 2H).
화합물 3의 제조
화합물 2 (36 g, 62.1 mmol, 화합물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4802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증류수 (300 mL/6 mL)에 녹인 후 소듐 아세테이트 (6.1 g, 74.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3 시간 후 증류수 (500 mL)를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증류수 (200 mL), 그리고 소금물 (200 mL)순으로 닦은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 (26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7.77-7.76 (m, 1H), 6.81-6.76 (m, 1H), 6.05-6.01 (m, 1H), 5.10-4.83 (m, 2H), 4.58-4.54 (m, 1H), 3.99 (s, 3H), 3.89-3.56 (m, 3H), 3.34-3.26 (m, 1H), 2.81-2.67 (m, 2H), 0.89 (s, 9H), 0.09 (s, 6H).
화합물 4 제조
화합물 3 (9.1 g, 21.7 mmol)과 화합물 1 (6.8 g, 32.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0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6.0 g, 43.5 mmol)과 아이오딘화 나트륨 (1.6 g, 10.8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100 ℃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층을 소금물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 (11.0 g, 92%)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7.69 (s, 1H), 6.73 (s, 1H), 5.93 (m, 1H), 5.30 (d, 1H), 5.26 (d, 1H), 4.98 (s, 1H), 4.83 (s, 1H), 4.59 (d, 2H), 4.58 (brs, 1H), 4.13 (t, 2H), 3.89 (s, 4H), 3.75 (brs, 1H), 3.71 (s, 1H), 3.31-3.27 (m, 1H), 2.73 (m, 2H), 2.57 (t, 2H), 2.20 (q, 2H), 0.91 (s, 9H), 0.09 (s, 6H).
화합물 5의 제조
화합물 4 (11.0 g, 20.0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80 mL)와 에탄올 (120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26.1 g, 400.2 mmol)를 넣고 포름산 (15.1 mL, 400.2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2.5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여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 그리고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 (9.9 g, 95%)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6.74 (s, 1H), 6.25 (s, 1H), 5.92 (m, 1H), 5.30 (d, 1H), 5.24 (d, 1H), 4.97 (s, 1H), 4.90 (s, 1H), 4.59 (d, 2H), 4.33 (brs, 1H), 4.18 (m, 1H), 4.09 (m, 1H), 4.03 (t, 2H), 3.76 (s, 3H), 3.61 (brs, 1H), 2.68 (m, 2H), 2.57 (t, 2H), 2.16 (q, 2H), 0.87 (s, 9H), 0.09 (s, 6H).
화합물 7의 제조
화합물 5 (9.9 g, 19.1 mmol)를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5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2.0 g, 6.8 mmol), 트라이에틸아민 (10.7 mL, 76.3 mmol)을 첨가하고 화합물 6 (16.4 g, 21.0 mmol, 화합물 6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645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을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에 녹여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7 시간 교반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 (14.4 g, 60%)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95 (brs, 1H), 8.02 (s, 1H), 7.83 (s, 1H), 7.72 (s, 1H), 7.49 (d, 1H), 7.43 (t, 1H), 7.03 (d, 1H), 6.67 (s, 1H), 5.9 1(m, 1H), 5.40-5.22 (m, 6H), 5.12 (s, 2H), 5.00 (s, 1H), 4.97 (s, 1H), 4.59 (d, 2H), 4.19 (d, 2H), 3.98 (t, 2H), 3.86 (m, 2H), 3.80 (s, 1H), 3.77 (s, 3H), 3.70-3.65 (m, 12H), 3.53 (m, 1H), 2.68 (m, 2H), 2.56 (t, 2H), 2.15 (q, 2H), 2.05 (s, 9H), 1.46 (s, 9H), 0.87 (s, 9H), 0.09 (s, 6H). EI-MSm/z:[M+H]+1275.8.
<실시예 2> 화합물 10의 제조
Figure pat00080
화합물 8의 제조
화합물 7 (14.4 g, 11.3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50 mL/50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50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2 x 100 mL) 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 (12.6 g, 9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37 (s, 1H), 8.03 (s, 1H), 7.74 (s, 1H), 7.72 (s, 1H), 7.51 (t, 1H), 7.43 (d, 1H), 7.02 (d, 1H), 6.81 (s, 1H), 5.92 (m, 1H), 5.40-5.22 (m, 6H), 5.13 (s, 2H), 5.00 (s, 1H), 4.91 (s, 1H), 4.60 (d, 2H), 4.19 (d, 1H), 4.16 (s, 1H), 4.11 (m, 3H), 3.98 (t, 2H), 3.78 (s, 3H), 3.73-3.65 (m, 12H), 3.53 (m, 1H), 2.76 (m, 1H), 2.57 (t, 2H), 2.50 (m, 1H), 2.17 (q, 2H), 2.05 (s, 9H), 1.46 (s, 9H). EI-MSm/z:[M+H]+1161.6.
화합물 9의 제조
화합물 8 (12.6 g, 10.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rtin periodinane, 5.6 g, 13.1 mmol)를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50 mL)와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 (6.6 g, 52%)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97 (s, 1H), 7.80(s, 1H), 7.45(s, 1H), 7.23 (d, 1H), 7.19 (s, 1H), 7.00 (d, 1H), 6.61 (s, 3H), 5.92 (m, 1H), 5.58 (d, 1H), 5.41-5.22 (m, 8H), 5.13 (s, 2H), 4.83 (d, 1H), 4.59 (d, 2H), 4.27 (m, 2H), 4.11 (m, 2H), 3.96 (m, 2H), 3.88 (s, 3H), 3.74-3.65 (m, 15H), 3.52 (m, 1H), 2.90 (m, 1H), 2.70 (d, 1H), 2.57 (t, 2H), 2.13 (q, 2H), 2.05 (s, 9H), 1.46 (s, 9H). EI-MSm/z:[M+H]+1159.6.
화합물 10의 제조
화합물 9 (600 mg, 0.52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238 mg, 0.21 mmol)과 피롤리딘 (0.05 mL, 0.57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0 (570 mg, 98%)을 노란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19.6, [M/2+H]+510.3.
<실시예 3> 화합물 14의 제조
Figure pat00081
화합물 11의 제조
1-메틸피롤 (20.0 g, 246.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mL)에 녹아있는 트라이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7.5 ml, 246.5 mmol)를 적하 깔때기를 이용해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올리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후, 증류수 (100 mL)로 닦아 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여 화합물 11 (55.7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7.51-7.49 (m, 1H), 6.96 (s, 1H), 6.23-6.21 (m, 1H), 3.97 (s, 3H).
화합물 12의 제조
화합물 11 (15.8 g, 69.7 mmol)을 무수아세트산 (17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질산구리 (II) 수화물 (17 g, 73.2 mmol)을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0 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수용액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추출 한 다음 증류수 (20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헥세인 (50 mL/50 mL)으로 재결정하고, 남은 여액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 (0.8 g, 72%)를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94 (d, J = 1.6 Hz, 1H), 7.75 (s, 1H), 4.05 (s, 1H).
화합물 13의 제조
화합물 12 (45.7 g, 168.4 mmol)를 메탄올 (300 mL)에 묽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소듐 메톡사이드 (1.8 g, 33.6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6 N 염산 수용액을 넣어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하고, 증류수 (200 mL)를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였다. 아세톤 (50 mL)을 첨가한 후 생긴 흰색의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13 (29.6 g, 95%)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59 (d, J = 1.6 Hz, 1H), 7.41 (d, J = 1.6 Hz, 1H), 3.99 (s, 3H), 3.86 (s, 3H).
화합물 14의 제조
화합물 13 (15.1 g, 81.9 mmol)를 메탄올 (200 mL)에 묽힌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증류수 (200 mL)에 녹아있는 수산화 나트륨 (9.8 g, 245.9 mmol)을 첨가 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6 N 염산 수용액을 넣어 pH ~2 정도로 맞춘 후 감압 농축하고, 증류수 (200 mL)를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 (50 mL/50 mL)을 이용해 재결정하여 화합물 14 (13.4 g, 96%)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13.14 (brs, 1H), 8.23 (d, J = 1.6 Hz, 1H), 7.25 (d, J = 2 Hz, 1H), 3.91 (s, 3H).
<실시예 4> 화합물 18의 제조
Figure pat00082
화합물 15의 제조
화합물 13 (7.5 g, 40.8 mmol)을 메탄올 (20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 녹인 다음 0 ℃, 질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w/w, 1.5 g)을 첨가하였다. 증류수 (100 mL)에 녹인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4.6 g, 122.5 mmol)를 적하 깔때기를 이용해 천천히 첨가한 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0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 (6.2 g, 99%)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6.45 (d, J = 2.4 Hz, 1H), 6.36 (d, J = 2 Hz, 1H), 3.81 (s, 3H), 3.77 (s, 3H).
화합물 16의 제조
화합물 14 (4.8 g, 28.2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7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6.8 g, 42.3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14.7 mL, 84.6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70 mL)에 녹인 화합물 15 (6.2 g, 40.8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으로 묽힌 후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16 (8.5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0.25 (s, 1H), 8.19 (s, 1H), 7.55 (d, J = 1.6 Hz, 1H), 7.45 (s, 1H), 6.88 (d, J = 1.6 Hz, 1H), 3.94 (s, 3H), 3.84 (s, 3H), 3.74 (s, 3H).
화합물 17의 제조
화합물 16 (6.0 g, 19.58 mmol)을 메탄올 (60 mL)와 N,N-다이메틸 폼아마이드 (6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1.0 g)과 다이-t-뷰틸 다이카보네이트 (13.5 mL, 58.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 (5.7 g, 78%)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41 (s, 2H), 6.82 (s, 1H), 6.72 (s, 1H), 6.56 (s, 1H), 6.20 (s, 1H), 3.90 (s, 6H), 3.81 (s, 3H), 1.50 (s, 9H).
화합물 18의 제조
화합물 17 (651 mg, 1.73 mmol)에 1,4-다이옥세인 (15 mL)를 첨가 한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증류수 (5 mL)에 녹아있는 수산화 나트륨 (345 mg, 8.64 mmol)을 첨가 하였다. 용액을 70 ℃에서 가열시키고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4-다이옥세인을 농축 한 후 6 N 염산 수용액으로 pH ~2 정도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18 (630 mg, 98%)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64 (s, 1H), 7.49 (s, 1H), 6.90 (s, 1H), 6.78 (s, 1H), 6.73 (s, 1H), 6.24 (s, 1H), 3.90 (s, 6H), 1.44 (s, 9H).
<실시예 5> 화합물 20의 제조
Figure pat00083
화합물 19의 제조
화합물 18 (1.3 g, 3.72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3-(다이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0.56 mL, 4.46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2.2 g, 5.58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2.0 mL, 11.16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로 희석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100 mL)와 증류수 (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 (1.2 g, 72%)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64 (s, 1H), 7.57 (s, 1H), 7.20 (s, 1H), 6.80 (s, 1H), 6.62 (s, 1H), 6.44 (s, 1H), 6.31 (s, 1H), 3.90 (s, 6H), 3.48-3.43 (m, 2H), 2.56-2.53 (m, 2H), 2.38 (s, 6H), 1.81-1.76 (m, 2H), 1.49 (s, 9H).
화합물 20의 제조
화합물 19 (300 mg, 0.67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4 mL)에 녹인 후 염산 (4 M 1,4-다이옥세인 용액, 2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0 (278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347.53, 1/2[M+H]+174.32.
<실시예 6> 화합물 23의 제조
Figure pat00084
화합물 21의 제조
화합물 10 (144 mg, 0.128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20 (70 mg, 0.167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77 mg, 0.193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1 mL, 0.645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첨가 후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0 mL)와 증류수 (5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 (163 mg, 87%)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448.25, 1/2[M+H]+724.57.
화합물 22의 제조
화합물 21 (163 mg, 0.126 mmol)을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mL/2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14 mg, 0.337 mmol)을 증류수 (2 mL)에 녹인 용액을 -4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2 (150 mg, crude)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08.03, [M/2+H]+664.60.
화합물 23의 제조
화합물 22 (150 mg, 0.1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6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4 mL)를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3을 흰색의 고체 (12 mg)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07.93, [M/2+H]+604.59.
<실시예 7> 화합물 26의 제조
Figure pat00085
화합물 24의 제조
화합물 16 (5.46 g, 17.8 mmol)에 1,4-다이옥세인 (100 mL)를 첨가 한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증류수 (40 mL)에 녹아있는 수산화 나트륨 (3.56 g, 89.1 mmol)을 첨가 하였다. 용액을 80 ℃에서 가열시키고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4-다이옥세인을 농축 한 후 6 N 염산 수용액으로 pH ~2 정도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24 (4.63 g, 89%)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8.19 (s, 1H), 7.56 (s, 1H), 7.42 (s, 1H), 6.83 (s, 1H), 3.95 (s, 3H), 3.83 (s, 3H).
화합물 25의 제조
화합물 24 (217 mg, 0.74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3- 아미노 -1- 프로판올 (0.07 mL, 0.97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443 mg, 1.12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6 mL, 1.49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100 mL), 증류수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다이클로로메테인 (5 mL/10 mL)에 녹이고 0 ℃에서 이미다졸 (101.3 mg, 1.49 mmol)과 t-뷰틸다이메틸실릴 클로라이드 (168 mg, 1.1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 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 (310 mg, 90%)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0.22 (s, 1H), 8.17 (s, 1H), 8.01 (t, 1H), 7.57 (s, 1H), 7.19 (s, 1H), 6.82 (s, 1H), 3.95 (s, 3H), 3.80 (s, 3H), 3.63 (t, 2H), 3.21 (q, 2H), 1.72-1.65 (m, 2H), 0.87 (s, 9H), 0.03 (s, 6H).
화합물 26의 제조
화합물 25 (158 mg, 0.34 mmol)를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8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26 (142 mg, 9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55 (s, 1H), 7.93 (t, 1H), 7.13 (s, 1H), 6.79 (s, 1H), 6.35 (s, 1H), 6.25 (s, 1H), 3.77 (s, 3H), 3.71 (s, 3H), 3.63 (t, 2H), 3.21 (q, 2H), 1.71-1.65 (m, 2H), 0.87 (s, 9H), 0.03 (s, 6H).
<실시예 8> 화합물 29의 제조
Figure pat00086
화합물 27의 제조
화합물 10 (crude 146 mg, 0.1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27 mg, 0.20 mmol),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다이이미드 염산염 (38 mg, 0.20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화합물 26 (114 mg, 0.2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 mL)에 녹여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50 mL), 그리고 증류수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7 (85 mg, 42%)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534.88, 1/2[M+H]+768.49, 1/2[M-BOC+H]+718.36.
화합물 28의 제조
화합물 27 (85 mg, 0.05 mmol)을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1.0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7 mg, 0.16 mmol)을 증류수 (1.0 mL)에 녹인 용액을 -4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하고,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8 (18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TBS+H]+1280.82, 1/2[M-BOC+H]+591.04.
화합물 29의 제조
화합물 28 (18 mg)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5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9를 연한 노랑색의 고체 (6.1 mg)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80.59, [M/2+H]+591.88.
<실시예 9> 화합물 34의 제조
Figure pat00087
화합물 30의 제조
에틸렌다이아민 (6 mL, 90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9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 (25 mL)에 녹아있는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1.5 g, 9 mmol)를 천천히 첨가 후 상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으로 묽히고, 소금물 (100 mL)로 닦아 주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30 (1.75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32-7.28 (m, 5H), 5.07 (s, 2H), 3.21 (t, J = 6.4 Hz, 2H), 2.73 (t, J = 2 Hz, 2H).
화합물 31의 제조
화합물 30 (880 mg, 4.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다이-Boc-1H-피라졸-1-카르복사미딘 (N,N′-Di-Boc-1H-pyrazole-1-carboxamidine, 1.68 g, 5.4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0.8 mL, 5.4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1 (1.96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11.43 (s, 1H), 8.53 (s, 1H), 7.35-7.29 (m, 5H), 5.09 (s, 1H), 3.62-3.54 (m, 2H), 3.40-3.36 (m, 2H), 1.48 (s, 9H), 1.44 (s, 9H).
화합물 32의 제조
화합물 31 (1.9 g, 4.3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4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w/w, 19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2 (0.92 g, 67%)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11.51 (s, 1H), 8.66 (s, 1H), 3.51-3.46 (m, 2H), 2.91-2.88 (m, 2H), 1.50 (s, 18H).
화합물 33의 제조
화합물 24 (150 mg, 0.51 mmol)를 N,N-다이메틸 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32 (186 mg, 0.62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305 mg, 0.77 mmol), 그리고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8 mL, 1.02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3 (174 mg, 59%)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1.55 (s, 1H), 8.69 (s, 1H), 7.59 (s, 1H), 7.50 (s, 1H), 7.22 (s, 1H), 7.12 (s, 1H), 6.46 (s, 1H), 4.02 (s, 3H), 3.92 (s, 3H), 3.74-3.62 (m, 2H), 3.56-3.52 (m, 2H), 1.53 (s, 9H), 1.50 (s, 9H).
화합물 34의 제조
화합물 33 (174 mg, 0.3 mmol)을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7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34 (158 mg, 96%)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547.30.
<실시예 10> 화합물 35의 제조
Figure pat00088
화합물 35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34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07.44, [M/2+H]+604.50.
<실시예 11> 화합물 37의 제조
Figure pat00089
화합물 36의 제조
화합물 18 (200 mg, 0.55 mmol)을 N,N-다이메틸 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H2-PEG6-OH(232mg, 0.83 mmol),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328 mg, 0.83 mmol), 그리고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 mL, 1.66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50 mL)와 증류수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6 (255 mg, 74%)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8.35(s, 1H), 7.36(s, 1H), 6.95(s, 1H), 6.88(s, 1H), 6.65(s, 3H), 3.91(s, 6H), 3.72-3.54(m, 24H), 1.49(s, 9H).
화합물 37의 제조
화합물 36 (139 mg, 0.22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에 녹인 후 1,4-다이옥세인에 녹아 있는 염산 (4 M 1,4-다이옥세인 용액, 1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37 (124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 526.33, 1/2 [M+H]+ 282.37.
<실시예 12> 화합물 38의 제조
Figure pat00090
화합물 38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37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86.33, [M/2+H]+694.09.
<실시예 13> 화합물 40의 제조
Figure pat00091
화합물 39의 제조
화합물 18 (100 mg, 0.27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NH2-PEG12-OH (238 mg, 0.4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64 mg, 0.4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4 mL, 0.8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39 (245 mg, crude)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47 (s, 1H), 7.33 (s, 1H), 6.66 (s, 2H), 3.99 (s, 3H), 3.89 (s, 3H), 3.75-3.42 (m, 48H), 1.49 (s, 9H). EI-MS m/z: [M+Na]+912.42, [M+H]+890.45, 1/2[M-BOC+H]+395.99.
화합물 40의 제조
화합물 39 (245 mg, 0.27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8 mL)으로 묽힌 후 염산 (4 M 1,4-다이옥세인 용액, 2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40 (213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Na]+813.47, [M/2+H]+395.94.
<실시예 14> 화합물 41의 제조
Figure pat00092
화합물 41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4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651.57, [M/2+H]+826.17.
<실시예 15> 화합물 44의 제조
Figure pat00093
화합물 42의 제조
3-(메틸아미노)프로필 아민 (20.0 g, 228.02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mL)에 녹인다이-t-뷰틸 다이카보네이트 (9.8 g, 44.9 mmol)를 적하 깔때기를 이용해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올리고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묽히고, 증류수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2 (5.1 g, 60%)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3.29 (s, 2H), 2.83 (s, 3H), 2.70-2.67 (m, 2H), 1.68-1.61 (m, 2H), 1.43 (s, 9H).
화합물 43의 제조
화합물 24 (400 mg, 1.36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778 mg, 2.05 mmol),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7 mL, 2.73 mmol)을 첨가하고 3분 동안 교반하였다. 화합물 42 (309 mg, 1.64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에서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올려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2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15 mL)와 증류수 (15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3 (582 mg, 92%)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69 (brs, 1H), 7.59 (s, 1H), 7.36 (brs, 1H), 7.29 (brs, 1H), 7.19 (s, 1H), 6.58 (brs, 1H), 4.02 (s, 3H), 3.93 (s, 3H), 3.37 (m, 4H), 2.85 (s, 3H), 1.71 (m, 2H), 1.49 (s, 9H), EI-MS m/z : [M+H]+463.39.
화합물 44의 제조
화합물 43 (160 mg, 0.34 mmol)을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팔라듐/차콜 (10% w/w, 8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44 (140 mg)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36 (brs, 1H), 7.30 (brs, 1H), 6.53 (s, 1H), 6.33 (s, 1H), 6.19 (s, 1H), 3.92 (s, 3H), 3.86 (s, 3H), 3.37-3.32 (m, 4H), 2.84 (s, 3H), 1.71 (m, 2H), 1.48 (s, 9H), EI-MS m/z : [M+H]+433.41.
<실시예 16> 화합물 45의 제조
Figure pat00094
화합물 45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44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 7.76 (brs, 1H), 7.30 (m, 2H), 7.14 (s, 3H), 6.87 (s, 1H), 6.79 (s, 1H), 6.76 (brs, 1H), 5.57 (d, J =8.8 Hz, 1H), 5.23-5.18 (m, 3H), 5.11 (d, J =7.6 Hz, 1H), 4.25-4.21 (m, 1H), 4.15 (m, 2H), 4.08-4.03 (m, 3H), 3.88-3.80 (m, 12H), 3.69-3.52 (m, 13H), 3.41 (t, J =6 Hz, 2H), 3.03 (t, J =7.2 Hz, 2H), 2.94 (m, 1H), 2.50 (m, 2H), 2.11 (m, 2H), 1.93(m, 2H), EI-MS m/z : [M+H]+1193.44, [M/2+H]+597.49.
<실시예 17> 화합물 51의 제조
Figure pat00095
화합물 46의 제조
1-메틸이미다졸 (5 g, 95.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4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 (40 mL)에 녹아있는 트라이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6.79 ml, 95.9 mmol)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해 1 시간 동안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올리고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라이에틸아민 (13.3 mL, 95.9 mmol)을 상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클로로포름과 헥세인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46 (12.6 g, 9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35 (s, 1H), 7.16 (s, 1H), 4.06 (s, 3H).
화합물 47의 제조
-10 ℃, 질소 대기 하에서 무수 아세트 산 (110 mL)에 질산 (8 mL, 193.9 mmol), 황산 (0.35 mL, 6.6 mmol)을 첨가 한 다음 화합물 46 (12.6 g, 55.3 mmol)을 첨가 후 하였다. 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클로로포름 (200 mL)으로 묽힌 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0 m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수용액층을 클로로포름 (100 mL)으로 추출 한 다음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고 메탄올 (200 mL)을 첨가 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으로 희석하여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47 (6.3 g, 61%)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84 (s, 1H), 4.12 (s, 3H), 3.98 (s, 3H).
화합물 48의 제조
화합물 47 (6.3 g, 34.1 mmol)에 메탄올 (300 mL)을 첨가한 후, 다이-t-뷰틸 다이카보네이트 (20 mL, 102.4 mmol), 팔라듐/차콜 (10% w/w, 630 mg) 순으로 첨가하고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대기 하에서 12 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8 (7.9 g, 91%)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9.69 (s, 1H), 7.32 (s, 1H), 3.88 (s, 3H), 3.78 (s, 3H), 1.46 (s, 9H).
화합물 49의 제조
화합물 48 (300 mg, 1.17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 mL)에 녹인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1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으로 희석한 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30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용액 층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으로 추출한 후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여 화합물 49 (160 mg)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6.37 (s, 1H), 3.92 (s, 3H). 3.90 (s, 3H), 3.56 (brs, 2H) EI-MS m/z : [M+H]+156.17.
화합물 50의 제조
화합물 14 (300 mg, 1.76 mmol)를 싸이오닐 클로라이드 (3 mL)에 녹인 후 70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한 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4 mL)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92 mL, 5.29 mmol)을 -5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한 뒤 화합물 49 (329 mg, 2.12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4 mL)에 묽혀서 반응 용액에 넣어주었다. 상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5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 증류수 (20 mL),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 mL)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0 (140 mg, 25%)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27 (brs, 1H), 7.61 (s, 1H), 7.53 (s, 1H), 7.13 (d, J =1.6 Hz, 1H), 4.11 (s, 6H), 3.95 (s, 3H), EI-MS m/z : [M+H]+308.20.
화합물 51의 제조
화합물 50 (140 mg, 0.45 mmol)을 메탄올 (2.5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25.8 mg, 0.61 mmol)을 증류수 (2.5 mL)에 녹인 용액을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70 ℃로 가열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4) 산성화 시켜주고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51 (133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1.11 (s, 1H), 8.19 (s, 1H), 7.80 (d, J =2 Hz, 1H), 7.64 (s, 1H), 3.96 (s, 3H), 3.93 (s, 3H), EI-MS m/z : [M+H]+294.09.
<실시예 18> 화합물 53의 제조
Figure pat00096
화합물 52의 제조
화합물 51 (133 mg, 0.45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258 mg, 0.68 mmol),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6 mL, 0.91 mmol)을 첨가하였다. N,N'-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아민 (0.11 mL, 0.91 mmo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뒤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암모늄 수용액(15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 증류수 (20 mL), 그리고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 mL)순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2 (70 mg, 40%)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10.78(s, 1H), 8.19(s, 1H), 8.02(t,J =6.4 Hz, 1H), 7.75 (d, J =0.8 Hz, 1H), 7.51 (s, 1H), 3.95 (s, 3H), 3.93 (s, 3H), 3.25 (m, 2H), 2.24 (m, 2H), 2.21 (m, 6H), 1.62 (m, 2H), EI-MS m/z : [M+H]+378.30.
화합물 53의 제조
화합물 52 (70 mg, 0.18 mmol)를 메탄올 (3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팔라듐/차콜 (10% w/w, 35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53 (58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348.34, [M/2+H]+174.75.
<실시예 19> 화합물 54의 제조
Figure pat00097
화합물 54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53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 7.76 (brs, 1H), 7.40 (brs, 1H), 7.29-7.26 (m, 2H), 7.15 (m, 2H), 6.79 (m, 2H), 5.58 (d, J =10 Hz, 1H), 5.25 (d, J =12 Hz, 1H), 5.17-5.12 (m, 4H), 4.24-4.15 (m, 4H), 4.11 (d, J =9.2 Hz, 2H), 4.09-3.99 (m, 6H), 3.87-3.80 (m, 11H), 3.69-3.55 (m, 17H), 3.46 (t, J =6.4 Hz, 2H), 3.21 (m, 3H), 2.92 (m, 10H), 2.67-2.62 (m, 2H), 2.52 (m, 2H), 2.12 (m, 2H), 2.00 (m, 2H), EI-MS m/z : [M+H]+1208.43, [M/2+H]+605.08.
<실시예 20> 화합물 56의 제조
Figure pat00098
화합물 55의 제조
화합물 51 (156 mg, 0.5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303 mg, 0.79 mmol),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8 mL, 1.59 mmol)을 첨가하였다. 3-아미노-1-프로판올 (0.12 mL, 1.59 mmo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뒤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5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클로로포름 (20 mL * 3)으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 증류수 (20 mL), 그리고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 mL)순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5 (115 mg, 61%)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0.79 (s, 1H), 8.17 (s, 1H), 7.92 (t, J =6 Hz, 1H), 7.74 (d, J =1.2 Hz, 1H), 7.50 (s, 1H), 4.54 (brs, 1H), 3.93 (s, 3H), 3.92 (s, 3H), 3.46 (m, 2H), 3.27 (m, 2H), 1.62 (m, 2H), EI-MS m/z : [M+H]+351.26.
화합물 56의 제조
화합물 55 (115 mg, 0.32 mmol)을 메탄올 (5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팔라듐/차콜 (10% w/w, 5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56 (100 mg)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92 (s, 1H), 7.91 (t, J =6 Hz, 1H), 7.42 (s, 1H), 6.47 (d, J =1.6 Hz, 1H), 6.28 (d, J =2 Hz, 1H), 4.52 (brs, 1H), 3.90 (s, 3H), 3.78 (brs, 2H), 3.71 (s, 3H), 3.44 (m, 2H), 3.27 (m, 2H), 1.66 (m, 2H), EI-MS m/z : [M+H]+321.29.
<실시예 21> 화합물 57의 제조
Figure pat00099
화합물 57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56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 7.76 (brs, 1H), 7.38 (s, 1H), 7.29-7.26 (m, 2H), 7.16 (d, J =10 Hz, 2H), 6.81 (brs, 1H), 6.75 (brs, 1H), 5.58 (m, 1H), 5.27 (d, J =11.6 Hz, 1H), 5.15 (m, 3H), 4.24-4.09 (m, 4H), 4.09 (s, 1H), 4.00 (m, 4H), 3.87-3.79 (m, 9H), 3.68-3.55 (m, 14H), 3.44 (t, J =6.8 Hz, 2H), 2.98 (m, 1H), 2.63 (m, 1H), 2.50 (m, 2H), 2.11 (m, 2H), 1.80 (m, 2H), EI-MS m/z : [M+H]+1181.44, [M/2+H]+591.51.
<실시예 22> 화합물 60의 제조
Figure pat00100
화합물 58의 제조
화합물 48 (7.9 g, 31.2 mmol)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0 mL)을 첨가한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증류수 (150 mL)에 녹인 수산화 나트륨 (12.5 g, 312 mmol)을 첨가 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농축 한 후 6 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 (pH ~2) 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2 × 500 mL)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였다. 아세톤 (100 mL)을 첨가 한 다음 교반하고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58 (5.6 g, 74%)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9.63 (s, 1H), 7.25 (s, 1H), 3.86 (s, 3H), 1.46 (s, 9H).
화합물 59의 제조
화합물 58 (686 mg, 2.84 mmol)과 화합물 15 (570 mg, 3.69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9 mL)에 녹인 후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61 g, 4.26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99 mL, 5.68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상온으로 올린 뒤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모인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10 mL)과 증류수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9 (1.0 g, 93%)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77 (brs, 1H), 7.41 (d, J =1.6 Hz, 1H), 7.14 (brs, 1H), 6.90 (brs, 1H), 6.78 (brs, 1H), 4.04 (s, 3H), 3.91 (s, 3H), 3.81 (s, 3H), 1.51 (s, 9H), EI-MS m/z : [M+H]+378.16.
화합물 60의 제조
화합물 59 (260 mg, 0.68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4.8 mL)에 녹인 후 염산 (4 M in 1,4-다이옥세인, 2.4 mL, 9.63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24 시간 동안 교반한 뒤 반응 용액을 포화 탄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염기화 (pH ~ 12)시켰다. 이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0 (70 mg, 3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11 (s, 1H), 7.40 (d, J =1.6 Hz, 1H), 6.78 (d, J =2 Hz, 1H), 6.31 (s, 1H), 3.99 (s, 3H), 3.90 (s, 3H), 3.80 (s, 3H), EI-MS m/z : [M+H]+278.23.
<실시예 23> 화합물 61의 제조
Figure pat00101
화합물 61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6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0.22 (brs, 1H), 10.07 (brs, 1H), 8.28 (brs, 1H), 7.74 (brs, 1H), 7.50 (s, 1H), 7.45 (s, 1H), 7.37 (m, 1H), 7.23 (m, 1H), 7.04 (s, 1H), 6.98 (s, 1H), 6.71 (brs, 1H), 5.35 (m, 1H), 5.19-5.13 (m, 4H), 4.84 (m, 1H), 4.10-3.73 (m, 18H), 3.62 (brs, 3H), 3.54-3.51 (m, 6H), 2.00 (m, 1H), EI-MS m/z : [M+H]+1138.36, [M/2+H]+569.85.
<실시예 24> 화합물 64의 제조
Figure pat00102
화합물 62의 제조
화합물 59 (200 mg, 0.52 mmol)를 메탄올 (3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63.5 mg, 1.58 mmol)을 증류수 (3 mL)에 녹인 용액을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80 ℃로 가열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묽힌 뒤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4)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62 (166 mg)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0.06 (brs, 1H), 9.34 (br s, 1H), 7.43 (s, 1H), 7.20 (br s, 1H), 6.91 (br s, 1H), 3.92 (s, 3H), 3.82 (s, 3H), 1.45 (s, 9H), EI-MS m/z : [M+H]+364.28.
화합물 63의 제조
화합물 62 (166 mg, 0.45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259 mg, 0.68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6 mL, 0.91 mmol)을 첨가하였다. N,N'-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아민 (0.11 mL, 0.91 mmo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뒤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암모늄 수용액(15 mL)을 반응 용액에 넣어 희석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모인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 증류수 (20 mL),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 mL)순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3 (188 mg, 92%)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72 (s, 1H), 7.73 (br s, 1H), 7.19 (d, J =1.2 Hz, 1H), 7.13 (br s, 1H), 6.85 (br s, 1H), 6.43 (d, J =1.6 Hz, 1H), 4.04 (s, 3H), 3.92 (s, 3H), 3.46 (m, 2H), 2.46 (t, J =5.6 Hz, 2H), 1.71 (m, 2H), EI-MS m/z : [M+H]+448.27, [M/2+H]+224.93.
화합물 64의 제조
화합물 63 (188 mg, 0.42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2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1.6 mL)를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기체 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64 (145 mg)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0.32 (s, 1H), 9.29 (br s, 1H), 8.18 (t, J =5.2 Hz, 1H), 7.23 (s, 2H), 7.03 (s, 1H), 3.96 (s, 3H), 3.81 (s, 3H), 3.24 (m, 2H), 3.06 (m, 2H), 2.79 (m, 6H), 1.83 (m, 2H), EI-MS m/z : [M+H]+348.34, [M/2+H]+174.75.
<실시예 25> 화합물 65의 제조
Figure pat00103
화합물 65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64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 7.77 (br s, 1H), 7.40 (s, 1H), 7.35-7.28 (m, 2H), 7.24 (s, 1H), 7.14 (s, 1H), 6.92 (s, 1H), 6.70 (s, 1H), 5.56 (d, J =9.6 Hz, 1H), 5.30 (d, J =9.6 Hz, 1H), 5.17 (m, 3H), 4.80 (d, J =11.6 Hz, 1H), 4.25-4.01 (m, 6H), 4.03-3.95 (m, 5H), 3.89 (s, 3H), 3.83 (s, 3H), 3.74 (m, 2H), 3.67-3.54 (m, 14H), 3.41 (t, J =6 Hz, 2H), 3.16 (t, J =7.6 Hz, 2H), 2.66 (m, 1H), 2.53 (m, 2H), 2.11 (m, 2H), 1.99 (m, 2H), EI-MS m/z : [M+H]+1208.51, [M/2+H]+605.05.
<실시예 26> 화합물 67의 제조
Figure pat00104
화합물 66의 제조
화합물 62 (240 mg, 0.66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376 mg, 0.99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4 mL, 1.98 mmol)을 첨가하였다. 3-아미노-1-프로판올 (0.15 mL, 1.98 mmo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뒤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5 mL)을 반응 용액에 넣어 희석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모인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 증류수 (20 mL), 그리고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 mL)순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6 (242 mg, 87%)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80 (br s, 1H), 7.14 (br s, 2H), 7.06 (br s, 1H), 6.56 (s, 1H), 6.27 (br s, 1H), 4.03 (s, 3H), 3.89 (s, 3H), 3.69 (m, 2H), 3.53 (m, 2H), 3.26 (br s, 1H), 1.51 (s, 9H), EI-MS m/z : [M+H]+421.33.
화합물 67의 제조
화합물 66 (100 mg, 0.23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 mL)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1 mL)과 증류수 (0.2 mL)를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탄산 나트륨으로 염기화 (pH ~8) 시키고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뒤 여과 및 농축하여 화합물 67 (46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9.90 (s, 1H), 7.95 (t, J =5.6 Hz, 1H), 7.16 (s, 1H), 6.90 (s, 1H), 6.37 (s, 1H), 4.47 (m, 1H), 4.38 (br s, 2H), 3.83 (s, 3H), 3.76 (s, 3H), 3.36 (m, 2H), 3.21 (m, 2H), 1.60 (m, 2H), EI-MS m/z : [M+H]+321.30, [M/2+H]+159.08.
<실시예 27> 화합물 68의 제조
Figure pat00105
화합물 68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67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181.37, [M/2+H]+591.49.
<실시예 28> 화합물 75의 제조
Figure pat00106
화합물 69의 제조
에틸 2-아미노싸이아졸-4-카복실레이트 (1.0 g, 5.81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7 mL)에 녹인 후, 질소 대기 하에서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14.0 mg, 0.12 mmol)과 다이-t-뷰틸 다이카보네이트 (1.76 mL, 7.55 mmol)를 첨가 후 상온에서 18 시간 교반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으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소금물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화합물 69 (1.7 g, crude)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273.21.2, [M+H]+545.17.
화합물 70의 제조
화합물 69 (1.7 g, 5.81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6 mL)과 메탄올 (6 mL)에 녹인 후, 질소 대기 하에서 수산화 나트륨 (697 mg, 17.3 mmol)을 증류수 (1 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 (50 mL)로 희석하여 6 N 염산 수용액으로 pH ~4 정도로 맞춘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70 (1.4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2.80 (br s, 1H), 11.70 (s, 1H), 7.91 (s, 1H), 1.48 (s, 9H).
화합물 71의 제조
화합물 70 (700 mg, 2.87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에 녹인 후, 질소 대기 하에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 (668 mg, 4.30 mmol)와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581 mg, 4.30 mmol)을 첨가한 후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 (0.59 mL, 4.30 mmol)과 3-아미노-1-프로판올 (0.65 mL, 8.60 mmol)을 넣은 뒤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과 소금물 (2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1 (520 mg, 60%)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1.59 (s, 1H), 7.75 (t, J = 6 Hz, 1H), 7.69 (s, 1H), 4.52 (s, 1H), 3.45 (s, 2H), 3.30 (s, 2H), 1.64 (m, 2H), 1.48 (s, 9H).
화합물 72의 제조
화합물 71 (260.0 mg, 0.86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2 mL)으로 묽힌 후, 질소 대기 하에서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첨가한 후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증류수 (10 mL)를 첨가한 후 2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1 정도로 맞춘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 × 5)으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화합물 72 (170 mg, 98%)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202.19.
화합물 73의 제조
화합물 72 (490 mg, 0.8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6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이미다졸 (250 mg, 3.66 mmol)과 t-뷰틸다이메틸실릴 클로라이드 (440 mg, 2.93 mmol)를 첨가한 후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를 첨가한 후 pH ~11 정도인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2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3 (430 mg, 80%)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42 (s, 1H), 7.33 (s, 1H), 4.91 (s, 2H), 3.75 (t, J = 5.6 Hz, 2H), 3.50 (q, J = 6.4 Hz, 2H), 1.80 (m, 2H), 0.91 (s, 9H), 0.08 (s, 6H).
화합물 74의 제조
화합물 73 (210.0 mg, 1.24 mmol)을 싸이오닐 클로라이드 (6 mL)에 녹여 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다시 녹인 후 여러 번 감압 농축시켰다. 생성된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 mL, 6.20 mmol)과 화합물 14 (430 mg, 1.36 mmol)를 차례로 첨가한 후 100 ℃로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를 첨가한 후 증류수 (2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4 (130 mg, 23%)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9.05 (s, 1H) 7.79 (s, 1H), 7.70 (s, 1H), 7.55 (s, 1H), 7.36 (s, 1H), 4.09 (s, 3H), 3.79 (t, J = 5.6 Hz, 2H), 3.57 (m, 2H), 1.83 (m, 2H), 0.95 (s, 9H), 0.13 (s, 6H).
화합물 75의 제조
화합물 74 (130 mg, 0.27 mmol)를 메탄올 (3 mL)과 에틸 아세테이트 (3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w/w, 6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75 (115 mg, 97%)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438.37.
<실시예 29> 화합물 76의 제조
Figure pat00107
화합물 76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75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184.49, [M/2+H]+592.85.
<실시예 30> 화합물 84의 제조
Figure pat00108
화합물 77의 제조
화합물 13 (5.5 g, 29.8 mmol)을 메탄올 (10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에 녹인 다음 0 ℃, 질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w/w, 1.1 g)을 첨가하였다.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NaBH4, 3.4g, 89.6 mmol)을 증류수 (100 mL)에 첨가한 후 이 용액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해 천천히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450 mL)으로 희석하였다. 이 용액에 다이-t-뷰틸 다이카보네이트 (9.4 g, 43.1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300 mL)에 녹인 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가열 환류 시키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증류수 (3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7 (6.0 g, 80%)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08 (s, 1H), δ 6.60 (s, 1H), δ 6.21 (s, 1H), 3.86 (s, 3H), 3.79 (s, 3H), 1.49 (s, 9H).
화합물 78의 제조
화합물 77 (3.7 g, 14.51 mmol)을 1,4-다이옥세인 (30 mL)으로 묽힌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증류수 (15 mL)에 녹아있는 수산화 나트륨 (1.1 g, 29.0 mmol)을 첨가 하였다. 용액을 70 ℃로 가열하면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농축한 후 6 N 염산 수용액으로 pH ~2 정도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78 (3.4 g, 97%)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18 (s, 1H), δ 6.72 (s, 1H), δ 6.28 (s, 1H), 3.86 (s, 3H), 1.50 (s, 9H).
화합물 79의 제조
2-클로로-5-나이트로벤즈알데하이드 (3.7 g, 19.9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40 mL)에 녹인 후 메틸 머캡토아세테이트 (methyl mercaptoacetate, 1.82 mL, 19.9 mmol)와 탄산 칼륨 (3.3 g, 24 mmol)을 넣고 상온에서 18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 (50 mL)를 넣어주고,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79 (4.65 g, 95%)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00 (d, J = 1.6 Hz, 1H), 8.45 (s, 1H), 8.38-8.30 (m, 2H), 3.93 (s, 3H).
화합물 80의 제조
화합물 79 (1.6 g, 6.74 mmol)를 메탄올 (5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w/w, 312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80 (1.23 g, 81%)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7.92 (s, 1H), 7.65 (d, J = 8.8 Hz, 1H), 7.04 (s, 1H), 6.88 (d, J = 8.8 Hz, 1H), 5.28 (s, 2H), 3.84 (s, 3H).
화합물 81의 제조
화합물 78 (564 mg, 2.35 mmol)과 화합물 80 (444 mg, 2.14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 (821 mg, 4.28 mmol)와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645 mg, 5.35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를 첨가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3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30 mL), 그리고 증류수 (30 mL)순으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다이에틸 이써와 헥세인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81 (770 mg, 84%)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99 (s, 1H), 9.15 (s, 1H), 8.96 (d, J = 1.6 Hz, 1H), 8.18 (s, 1H), 7.98-7.96 (m, 1H), 7.80-7.78 (m, 1H), 6.98 (d, J = 7.6 Hz, 2H), 3.88 (s, 3H), 3.81 (s, 3H), 1.46 (s, 9H). EI-MS m/z : [M+H]+430.1.
화합물 82의 제조
화합물 81 (270 mg, 0.627 mmol)을 메탄올 (10 mL)에 녹인 후 수산화 나트륨 (250 mg, 6.26 mmol)을 증류수 (1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4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3으로 맞춘 뒤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82 (227 mg, 87 %)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9.96 (s, 1H), 9.14 (s, 1H), 8.45 (s, 1H), 8.06 (s, 1H), 7.95-7.93 (m, 1H), 7.77-7.75 (m, 1H), 6.98 (d, J = 7.6 Hz, 2H), 3.83 (s, 3H), 1.46 (s, 9H).
화합물 83의 제조
화합물 82 (227 mg, 0.54 mmol)와 3-(다이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0.75 mL, 0.59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 (209 mg, 1.09 mmol)와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167 mg, 1.36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를 첨가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 mL), 그리고 증류수 (10 mL)순으로 세척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83 (280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500.23.
화합물 84의 제조
화합물 83 (170 mg, 0.34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에 녹이고 염산 (4 M 1,4-다이옥세인 용액, 2 mL) 넣은 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84 (160 m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400.3.
<실시예 31> 화합물 85의 제조
Figure pat00109
화합물 85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84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 1260.41, [M/2+H]+ 631.1.
<실시예 32> 화합물 87의 제조
Figure pat00110
화합물 86의 제조
화합물 82 (253 mg, 0.609 mmol)와 3-아미노-1-프로판올 (0.07 mL, 0.91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 (233 mg, 1.21 mmol)와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186 mg, 1.52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를 첨가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 mL), 그리고 증류수 (10 mL)순으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과 다이에틸 이써 (20 mL)로 묽힌 후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86 (123 mg, 43%)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92(s, 1H), 9.14 (s, 1H), 8.68 (t, J = 5.6 Hz, 1H), 8.32 (s, 1H), 7.98-7.89 (m, 2H), 7.75-7.73 (m, 1H), 6.96 (s, 1H), 4.49 (t, J = 5.2 Hz, 1H) 3.82 (s, 3H), 3.60-3.45 (m, 2H), 3.35-3.30 (m, 2H), 1.73-1.66 (m, 2H), 1.46 (s, 9H).
화합물 87의 제조
화합물 86 (123 mg, 0.26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에 녹이고 염산(4 M 1,4-다이옥세인 용액, 2 mL)을 넣은 후 상온에서 3 시간 교반 후 감압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와 탄산 나트륨 수용액 (10 mL)로 닦아주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농축하여 화합물 87 (97 mg)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92(s, 1H), 9.14 (s, 1H), 8.79(br, 2H), 8.68 (t, J = 5.6 Hz, 1H), 8.32 (s, 1H), 7.98-7.89 (m, 2H), 7.75-7.73 (m, 1H), 6.96 (s, 1H), 4.49 (t, J = 5.2 Hz, 1H) 3.82 (s, 3H), 3.60-3.45 (m, 2H), 3.35-3.30 (m, 2H), 1.73-1.66 (m, 2H), 1.46 (s, 9H).
<실시예 33> 화합물 88의 제조
Figure pat00111
화합물 88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87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34.41, [M/2+H]+617.56.
<실시예 34> 화합물 93의 제조
Figure pat00112
화합물 89의 제조
화합물 14 (300 mg, 1.72 mmol)에 싸이오닐 클로라이드 (2 mL)를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8 mL)으로 녹인 후 이 용액을 3-(다이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466 mg, 5.29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0.74 mL, 5.2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용액에 -50 ℃,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로 묽히고 증류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여 화합물 89 (396 mg, 94%)를 얻었다. 1H-NMR(400 MHz, DMSO-d6) δ 8.40 (t, 1H), 8.11 (d, 1H), 7.40 (d, 1H), 3.90 (s, 3H), 3.20 (m, 2H), 2.23 (t, 2H), 1.61 (m, 2H).
화합물 90의 제조
화합물 89 (150 mg, 0.59 mmol)를 메탄올 (6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8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90 (132 mg, 100%)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91의 제조
화합물 79 (300 mg, 1.26 mmol)에 메탄올 (5.5 mL)를 첨가 한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 mL))을 첨가 하고 3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메탄올을 농축 한 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2 정도로 맞춘 후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91 (248 mg, 88%)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8.98 (d, J = 1.6 Hz, 1H), 8.35-8.28 (m, 3H).
화합물 92의 제조
화합물 91 (166 mg, 0.744 mmol)에 싸이오닐 클로라이드 (3 mL)를 첨가한 후 7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를 첨가하여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트라이에틸아민 (0.3 mL, 2.23 mmol)과 화합물 90 (217 mg, 0.967 mmol)을 넣은 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 후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2 (189 mg, 60%)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0.57(s, 1H), 8.96 (d, J = 1.6 Hz, 1H), 8.41 (s, 1H), 8.35-8.32 (m, 1H), 8.28-8.25 (m, 1H), 8.16 (t, J = 5.6 Hz, 1H), 7.28 (s, 1H), 6.88 (s, 1H), 3.83 (s, 3H), 3.22-3.18 (m, 2H), 2.32-2.26 (m, 2H), 2.16 (s, 6H), 1.66-1.59 (m, 2H), 1.24-1.21 (m, 1H). EI-MS m/z : [M+H]+430.2.
화합물 93의 제조
화합물 92 (110 mg, 0.25 mmol)를 메탄올 (2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110 mg)을 첨가하고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93 (102 mg, 99%)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400.2.
<실시예 35> 화합물 94의 제조
Figure pat00113
화합물 94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93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60.61, [M/2+H]+630.90.
<실시예 36> 화합물 99의 제조
Figure pat00114
화합물 95의 제조
화합물 14 (600 mg, 3.526 mmol)에 싸이오닐 클로라이드 (10 mL)를 첨가한 후 7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을 첨가하여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트라이에틸아민 (1.47 mL, 10.58 mmol)과 3-아미노-1-프로판올 (0.8 mL,, 10.6 mmol)을 넣은 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을 첨가한 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으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화합물 95 (527 mg, crude)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55 (s, 1H), 7.08 (s, 1H), 6.72 (br, 1H), 3.99(s, 3H), 3.78-3.75 (m, 2H), 3.59-3.54 (m, 2H), 3.03-2.98 (m, 1H), 1.88-1.78(m, 2H).
화합물 96의 제조
화합물 95 (527 mg, 2.32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에 녹이고 0 ℃에서 t-뷰틸다이메틸실릴 클로라이드 (524 mg, 3.48 mmol)와 이미다졸 (315 mg, 4.64 mmol)을 넣고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30 mL)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6 (660 mg, 83%)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53 (s, 1H), 7.07 (s, 1H), 6.88 (br, 1H), 3.98 (s, 3H), 3.84-3.81 (m, 2H), 3.54-3.50 (m, 2H), 1.84-1.20 (m, 2H), 0.91 (s, 9H), 0.10 (s, 6H).
화합물 97의 제조
화합물 96 (400 mg, 1.17 mmol)을 메탄올 (3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200 mg)을 첨가하고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97 (293 mg, 7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53 (s, 1H), 7.07 (s, 1H), 6.88 (br, 1H), 6.66 (br, 2H), 3.98 (s, 3H), 3.84-3.81 (m, 2H), 3.54-3.50 (m, 2H), 1.84-1.20 (m, 2H), 0.91 (s, 9H), 0.10 (s, 6H).
화합물 98의 제조
화합물 91 (100 mg, 0.446 mmol)과 화합물 97 (145 mg, 0.490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 (171 mg, 0.892 mmol)와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136 mg, 1.11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를 첨가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 mL), 그리고 증류수 (10 mL)순으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8 (117 mg, 51%)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0.85 (2, 1H), 8.96 (s, 1H), 8.41 (s, 1H), 8.35-8.31 (m, 1H), 8.28-8.25 (m, 1H), 8.05 (t, J = 5.2 Hz, 1H), 7.28 (s, 1H), 6.89 (s, 1H), 3.82 (s, 3H), 3.67-3.62 (m, 2H), 3.24-3.21 (m, 2H), 1.73-1.68 (m, 2H), 0.87 (s, 9H), 0.06 (s, 6H).
화합물 99의 제조
화합물 98 (117 mg, 0.226 mmol)을 메탄올 (2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100 mg)을 첨가하고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99 (110 mg, crude)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487.33.
<실시예 37> 화합물 100의 제조
Figure pat00115
화합물 100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99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34.41, [M/2+H]+617.60.
<실시예 38> 화합물 109의 제조
Figure pat00116
화합물 101의 제조
3-아미노-1-프로판올 (1.5 g, 20.0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에 녹이고 0 ℃에서 t-뷰틸다이메틸실릴 클로라이드 (3.15 g, 21.0 mmol)과 이미다졸 (2.72 g, 40.0 mmol)을 넣고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1 (3.65 g, 96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71-3.67 (m, 2H), 2.81-2.78 (m, 2H), 2.06 (br, 2H), 1.69-1.62 (m, 2H), 0.88 (s, 9H), 0.04 (s, 6H).
화합물 102의 제조
3-(메틸아미노)-1-프로판올 (1.2 g, 13.4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다이-t-뷰틸 다이카보네이트 (3.2 g, 14.74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여 천천히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0 ℃에서 0.1 N 염산 수용액 (10 mL)을 넣어주었다. 유기층을 증류수 (10 mL)와 소금물(10 mL)로 닦아준 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2 (2.0 g, 78 %)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54-3.48 (m, 2H), 3.42-3.39 (m, 2H), 2.83 (s, 3H), 1.78-1.68 (m, 2H), 1.46 (s, 9H).
화합물 103제조
화합물 102 (1 g, 5.28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6 mL)에 녹인 후 트라이페닐포스핀 (2.12 g, 8.08 mmol)을 첨가하였다. 0 ℃, 질소 대기 하에서 카본 테트라브로마이드 (2.6 g, 8.08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에 녹여 첨가하고 30 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한 뒤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3 (0.6 g, 45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41-3.33 (m, 4H), 2.87 (s, 3H), 2.10-2.06 (m, 2H), 1.46 (s, 9H).
Figure pat00117
화합물 104의 제조
에틸 4-나이트로-1H-파이롤-2-카복실레이트 (292 mg, 1.56 mmol)를 아세톤 (20 mL)에 녹이고 화합물 103 (0.6 g, 2.38 mmol)과 탄산 칼륨 (493 mg, 3.57 mmol)을 첨가하고 60 ℃, 질소 대기 하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와 증류수 (20 mL)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뒤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4 (0.53 g, 98%)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74 (br s, 1H), 7.52 (s, 1H), 4.37-4.28 (m, 4H), 3.42 (s, 2H), 2.86 (s, 3H), 2.06-1.99 (m, 2H), 1.46 (s, 9H), 1.38-1.30 (t, J = 7.2 Hz, 3H).
화합물 105의 제조
화합물 104 (0.53 g, 1.55 mmol)를 에탄올 (10 mL)에 녹이고, 질소 대기 하에서 1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하고 6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탄올을 농축 한 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5 정도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여 화합물 105 (493 mg, 96%)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80 (br s, 1H), 7.55 (s, 1H), 4.39-4.35 (m, 2H), 3.32 (s, 2H), 2.87 (s, 3H), 2.17-2.03 (m, 2H), 1.46 (s, 9H).
화합물 106의 제조
화합물 105 (350 mg, 1.07 mmol)과 화합물 101 (303 mg, 1.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637 mg, 1.60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5 mL, 3.20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묽힌 후 증류수 (20 mL)와 소금물 (20 mL)로 닦아 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6 (290 mg, 54%)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65 (br s, 1H), 7.01 (s, 1H), 6.89 (br s, 1H), 4.37-4.30 (m, 2H), 3.83-3.81 (m, 2H), 3.53-3.49 (m, 2H), 3.28-3.26 (m, 2H), 2.84 (s, 3H), 2.07-2.00 (m, 2H), 1.83-1.78 (m, 2H), 1.45 (s, 9H), 0.90 (s, 9H), 0.10 (s, 6H).
화합물 107 의 제조
화합물 106 (290 mg, 0.58 mmol)을 메탄올 (30 mL)에 녹인 다음 수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 w/w, 100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07 (250 mg, 92%)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6.99 (br s, 1H), 6.83 (br s, 1H), 6.61 (br s, 2H), 4.28-4.24 (m, 2H), 3.71-3.70 (m, 2H), 3.45-3.40 (m, 2H), 3.23-3.19 (m, 2H), 2.84 (s, 3H), 1.97-1.94 (m, 2H), 1.81-1.75 (m, 2H), 1.45 (s, 9H), 0.88 (s, 9H), 0.11 (s, 6H).
화합물 108의 제조
화합물 14 (76 mg, 0.44 mmol)와 화합물 107 (250 mg, 0.5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 (171 mg, 0.88 mmol)와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136 mg, 1.11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를 첨가 후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 (1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 mL)와 증류수 (1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8 (197 mg, 72%)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60 (s, 1H), 7.19 (br s, 2H), 6.54 (br s, 1H), 6.37 (br s, 1H), 4.29 (s, 2H), 4.03 (s, 3H), 3.78-3.75 (m, 2H), 3.50-3.46 (m, 2H), 3.26 (s, 2H), 2.84 (s, 3H), 2.04-1.99 (m, 2H), 1.82-1.76 (m, 2H), 1.45 (s, 9H), 0.98 (s, 9H), 0.08 (s, 6H). EI-MS m/z : [M+H]+621.80.
화합물 109 의 제조
화합물 108 (197 mg, 0.317 mmol)을 메탄올 (20 mL)에 녹인 다음 수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 w/w, 80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09 (185 mg, 99%)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29 (br s, 1H), 7.19 (br s, 1H), 6.54 (br s, 1H), 6.33 (br s, 2H), 6.15 (s, 1H), 4.30-4.26 (m, 2H), 3.88 (s, 3H), 3.77-3.74 (m, 2H), 3.48-3.44 (m, 2H), 3.29 (s, 2H), 2.84 (s, 3H), 2.05-1.98 (m, 2H), 1.79-1.76 (m, 2H), 1.40 (s, 9H), 0.90 (s, 9H), 0.08 (s, 6H).
<실시예 39> 화합물 110의 제조
Figure pat00118
화합물 110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109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38.03, [M/2+H]+619.81.
<실시예 40> 화합물 117의 제조
Figure pat00119
화합물 111의 제조
3-브로모-1-프로판올 (1.0 g, 7.1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에 녹이고 0 ℃에서 t-뷰틸다이메틸실릴 클로라이드 (1.08 g, 7.19 mmol)와 이미다졸 (0.49 g, 7.19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1 (1.47 g, 81%)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72 (t, J = 5.6 Hz, 2H), 3.51 (t, J = 5.62 Hz, 2H), 2.06-2.00 (m, 2H), 0.89 (s, 9H), 0.06 (s, 6H).
화합물 112의 제조
에틸 4-나이트로-1H-파이롤-2-카복실레이트 (500 mg, 2.71 mmol)를 아세톤 (30 mL)에 녹이고 화합물 111 (1.03 g, 4.07 mmol)과 탄산 칼륨 (1.12 g, 8.14 mmol)을 첨가한 후 60 ℃, 질소 대기 하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로 묽힌 후 증류수 (20 mL)로 세척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뒤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2 (894 mg, 92%)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67 (s, 1H), 7.45 (s, 1H), 4.50-4.47 (m, 2H), 4.35-4.29 (m, 2H), 3.59-3.56 (m, 2H), 2.02-1.96 (m, 2H), 1.38-1.36 (m, 2H), 0.93 (s, 9H), 0.07 (s, 6H).
화합물 113의 제조
화합물 112 (890 mg, 2.49 mmol)을 에탄올 (20 mL)에 녹이고, 질소 대기 하에서 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 하고 60 ℃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탄올을 농축 한 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2 정도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농축하여 화합물 113 (724 mg, 88%)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70 (br s, 1H), 7.55 (s, 1H), 4.48 (br s, 2H), 3.56 (s, 2H), 1.99 (s, 2H), 0.91 (s, 9H), 0.10 (s, 6H).
화합물 114의 제조
화합물 113 (548 mg, 1.66 mmol)과 화합물 101 (537 mg, 2.8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999 mg, 2.50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8 mL, 3.30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를 첨가한 후 증류수 (20 mL)와 소금물 (20 mL)로 닦아 준 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4 (556 mg, 67%)를 수득 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60 (s, 1H), 7.01 (s, 1H), 6.87 (br s, 1H), 4.49-4.45 (m, 2H), 3.83-3.81 (m, 2H), 3.56-3.49 (m, 4H), 2.01-1.98 (m, 2H), 1.81-1.76 (m, 2H), 0.91 (s, 18H), 0.10 (s, 6H), 0.05 (s, 6H).
화합물 115 의 제조
화합물 114 (300 mg, 0.60 mmol)를 메탄올 (30 mL)에 녹인 다음 수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 w/w, 100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15 (276 mg, 98%)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6.35 (s, 1H), 6.27 (br s, 1H), 6.05 (s, 1H), 4.30-4.27 (m, 2H), 3.77-3.74 (m, 2H), 3.58-3.56 (m, 2H), 3.46-3.43 (m, 2H), 1.96-1.89 (m, 2H), 1.80-1.76 (m, 2H), 1.72 (br s, 2H), 0.91 (s, 18H), 0.08 (s, 6H), 0.05 (s, 6H). . EI-MS m/z : [M+H]+470.5.
화합물 116의 제조
화합물 14 (83 mg, 0.48 mmol)와 화합물 115 (276 mg, 0.58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350 mg, 0.73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0 mL, 0.97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6 (208 mg, 57%)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7.71 (s, 1H), 7.60 (s, 1H), 7.20 (br s, 1H), 6.55 (s, 1H), 6.36 (br s, 1H), 4.40-4.36 (m, 2H), 4.02 (s, 3H), 3.77-3.74 (m, 2H), 3.61-3.58 (m, 2H), 3.49-3.45 (m, 2H), 2.07-1.94 (m, 2H), 1.82-1.80 (m, 2H), 0.91 (s, 18H), 0.08 (s, 6H), 0.05 (s, 6H). EI-MS m/z : [M+H]+622.7.
화합물 117 의 제조
화합물 116 (100 mg, 0.16 mmol)을 메탄올 (20 mL)에 녹인 다음 수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 w/w, 30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17 (88 mg, 93%)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592.5.
<실시예 41> 화합물 118의 제조
Figure pat00120
화합물 118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117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24.9, [M/2+H]+623.08.
<실시예 42> 화합물 124의 제조
Figure pat00121
화합물 120의 제조
화합물 5 (1.84 g, 3.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767 mg, 2.59 mmol)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1.69 mL, 9.72 mmol)을 첨가하고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다이뷰틸틴 다이라우레이트 (dibutyltin dilaurate, 227 mg, 0.36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5 mL, 7.2 mmol)을 첨가하여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화합물 119 (16.4 g, 21.0 mmol, 화합물 119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645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한 후 서서히 온도를 올리고 상온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5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 3)로 추출하고 증류수 (50 mL)와 염화 나트륨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0 (2.84 g, 72%)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93 (br s, 1H), 8.04 (d, J =2.4 Hz, 1H), 7.83 (br s, 1H), 7.52-7.44 (m, 2H), 7.05 (d, J =8.8 Hz, 1H), 6.81 (s, 1H), 5.93 (m, 1H), 5.41-5.22 (m, 7H), 5.13 (s, 2H), 4.97 (br s, 1H), 4.89 (br s, 1H), 4.59 (d, J =5.6 Hz, 2H), 4.18 (d, J =8.4 Hz, 2H), 4.12 (m, 3H), 3.80 (s, 3H), 3.73 (s, 3H), 3.69 (m, 1H), 3.62-3.53 (m, 4H), 3.41 (s, 3H), 2.66 (m, 2H), 2.58 (t, J =7.6 Hz, 2H), 2.19 (m, 2H), 2.05-2.04 (m, 9H), 0.87 (s, 9H), 0.02 (br s, 6H), EI-MS m/z : [M+H]+1087.49, [M/2+H]+544.13.
화합물 121의 제조
화합물 120 (2.84 g, 2.6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4 mL/4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8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뒤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 3)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증류수 (30 mL)와 염화 나트륨 수용액 (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1 (2.34 g, 92%)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37 (br s, 1H), 8.06 (s, 1H), 7.74 (br s, 1H), 7.52 (m, 1H), 7.44 (dd, J =8.8 Hz, 2 Hz, 1H), 7.05 (d, J =8.4 Hz, 1H), 6.81 (s, 1H), 5.93 (m, 1H), 5.42-5.22 (m, 7H), 5.14 (br s, 2H), 5.00 (br s, 1H), 4.91 (br s, 1H), 4.59 (m, 3H), 4.18 (d, J =8.4 Hz, 2H), 4.13-4.04 (m, 5H), 3.83 (s, 3H), 3.72-3.67 (m, 6H), 3.62-3.53 (m, 4H), 3.41 (s, 3H), 2.81 (m, 1H), 2.59 (t, J =7.6 Hz, 2H), 2.52 (m, 1H), 2.22 (m, 2H), 2.05-2.04 (m, 9H), EI-MS m/z : [M+H]+972.48, [M/2+H]+486.99.
화합물 122의 제조
화합물 121 (2.34 g, 2.4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4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1.23 g, 2.9 mmol)을 0 ℃에서 첨가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질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v/v=1/1, 30 mL)으로 희석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 * 3)으로 추출한 뒤 증류수 (30 mL)와 소금물 (30 mL)로 세척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2 (1.75 g, 75%)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99 (br s, 1H), 7.50 (br s, 1H), 7.23-7.19 (m, 2H), 7.01 (d, J =7.2 Hz, 1H), 6.60 (s, 1H), 5.92 (m, 1H), 5.59 (m, 1H), 5.43-5.22 (m, 7H), 5.14 (m, 2H), 4.89 (d, J =11.6 Hz, 1H), 4.59 (d, J =5.6 Hz, 2H), 4.30-4.23 (m, 2H), 4.15-4.09 (m, 2H), 3.95 (m, 1H), 3.88 (s, 3H), 3.72-3.69 (m, 4H), 3.63-3.52 (m, 5H), 3.41 (s, 3H), 2.89 (m, 1H), 2.70 (d, J =12 Hz, 1H), 2.56 (t, J =7.2 Hz, 2H), 2.10 (m, 2H), 2.05-2.04 (m, 9H), EI-MS m/z : [M+H]+970.46, [M/2+H]+485.97.
화합물 123의 제조
화합물 122 (250 mg, 0.25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119 mg, 0.10 mmol)과 피롤리딘 (0.02 mL, 0.28 mmol)을 서서히 첨가하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1 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 (pH ~4) 시킨 뒤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하고 염화 나트륨 수용액 (20 mL) 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23 (239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930.40, [M/2+H]+466.13.
화합물 124의 제조
화합물 123 (239 mg, 0.25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 mL)에 녹인 후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46 mg, 0.38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9 mL, 0.51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화합물 44 (133 mg, 0.30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 mL)에 녹인 용액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 mL)과 증류수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4 (267 mg, 77%)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44.69, [M/2+H]+673.20.
<실시예 43> 화합물 129의 제조
Figure pat00122
화합물 125의 제조
화합물 124 (170 mg, 0.12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6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4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기체 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25 (156 m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 1244.67, [M/2+H]+ 623.13.
화합물 127의 제조
화합물 125 (156 mg, 0.25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6 mL, 0.37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화합물 126 (123 mg, 0.13 mmol, 화합물 126은 공개특허 WO2017089890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3.4 mg, 0.38 mmol)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4 mL, 0.19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올려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증류수 (10 mL)와 염화 나트륨 수용액 (10 mL)으로 세척한 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7 (143 mg, 56%)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 2001.40, [M/2+H]+ 1001.52.
화합물 128의 제조
화합물 127 (142 mg, 0.07 mmol)을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mL/2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18 mg, 0.42 mmol)을 증류수 (3 mL)에 녹인 용액을 -4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산성화 (pH ~4) 한 후 감압 농축하고, HPLC로 정제한 후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128 (70.4 mg, 57%)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 1721.15, [M/2+H]+ 861.25.
화합물 129의 제조
화합물 128 (70.4 mg, 0.04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6 mL)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4 mL)를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기체 하에서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129 (53.8 mg, 81%)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 1621.35, [M/2+H]+ 811.21.
<실시예 44> 화합물 134의 제조
Figure pat00123
화합물 130의 제조
에틸 m-톨릴아세테이트 (3 g, 16.83 mmol)를 사염화탄소 (20 mL)에 녹인 후 N-브로모석신이마이드 (NBS, 3.6 g, 20.19 mm)와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AIBN, 111 mg, 0.67 mmol)을 넣고 18 시간 동안 환류 교반시켰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헥세인 (20 mL)으로 세척하고 여과액은 감압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0 (2.63 g, 60%)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35-7.28 (m, 3H), 7.24-7.20 (m, 1H), 4.49 (s, 2H), 4.16 (q, 2H), 3.61 (s, 2H), 1.26 (t, 3H).
화합물 131의 제조
화합물 3 (3.5 g, 8.28 mmol)과 화합물 130 (2.4 g, 9.3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1.72 g, 12.42 mmol)과 아이오딘화 나트륨 (0.25 g, 1.65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60 mL)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층을 소금물 (6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1 (4.7 g, 94%)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rotamers) δ 7.67 (s, 1H), 7.32-7.24 (m, 3H), 7.19 (m, 1H), 6.68 (s, 1H), 5.10 (s, 2H), 5.01 (d, 1H), 4.89 (s, 1H), 4.75 (s, 1H), 4.10-4.01 (m, 2H), 3.87 (s, 3H), 3.79 (m, 1H), 3.70-3.60 (m, 2H), 3.55 (s, 2H), 2.76-2.58 (m, 2H), 1.16 (t, 3H), 0.80 (s, 6H), 0.70 (s, 3H), -0.09 (s, 4H), -0.21 (d, 2H).
화합물 132의 제조
화합물 131 (4.7 g, 7.85 mmol)을 1,4-다이옥세인 (20 mL)에 녹인 후 0 ℃에서 1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9.4 mL)을 넣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감압 농축한 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3으로 맞추고 다이클로로메테인 (3 × 40 mL)으로 추출한 후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여 화합물 132 (4.56 g, 100%)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rotamers) δ 7.73 (s, 1H), 7.37-7.34 (m, 2H), 7.25 (t, 1H), 7.18 (s, 1H), 6.75 (s, 1H), 5.22 9s, 2H), 5.09 (d, 1H), 4.99 (s, 1H), 4.84 9s, 1H), 4.59 (m, 1H), 3.89 (s, 4H), 3.75 (s, 2H), 3.71 (s, 8H), 3.58 (s, 3H), 2.82-2.64 (m, 2H), 0.89 (s, 6H), 0.79 (s, 3H), 0.09 (s, 4H), -0.11 (d, 3H).
화합물 133의 제조
화합물 132 (4.56 g, 7.85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40 mL)에 녹인 후 0 ℃에서 탄산 칼륨 (1.63 g, 11.77 mmol)과 알릴 브로마이드 (0.81 mL, 9.42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로 묽힌 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2 x 60 mL)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유기층을 소금물 (6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3 (4.36 g, 91%)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rotamers) δ 7.76 (s, 1H), 7.39-7.36 (m, 3H), 7.28 (t, 1H), 6.77 (s, 1H), 5.95-5.86 (m, 1H), 5.30-5.19 (m, 5H), 5.09 (m, 1H), 4.99 (s, 1H), 4.84 (s, 1H), 4.60 (d, 3H), 4.03-3.95 (m, 4H), 3.93-3.85 (m, 1H), 3.81-3.72 (m, 2H), 3.68 (s, 3H), 3.32 (m, 1H), 2.84-2.65 (m, 2H), 0.90 (s, 9H), 0.09 (s, 6H).
화합물 134의 제조
화합물 133 (4.36 g, 7.13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와 에탄올 (60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14 g, 214 mmol)를 넣고 포름산 (5.38 mL, 143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 그리고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4 (2.52 g, 61%)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38-7.30 (m, 3H), 7.24 (s, 1H), 6.77 (s, 1H), 6.26 (s, 1H), 5.95-5.85 (m, 1H), 5.30-5.10 (m, 2H), 5.10 (s, 2H), 5.10-4.85 (m, 2H), 4.59 (d, 2H), 4.40-4.18 (m, 3H), 4.20-4.05 (m, 2H), 3.80 (s, 3H), 3.66 (s, 2H), 3.61 (m, 1H), 2.68 (m, 2H), 0.87 (s, 9H), 0.02 (s, 6H). EI-MS m/z : [M+H]+581.42.
<실시예 45> 화합물 138의 제조
Figure pat00124
화합물 135의 제조
화합물 134 (2.4 g, 4.13 mmol)를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mL)에 녹인 후 -10 ℃에서 트라이포스겐 (0.44 g, 1.48 mmol), 트라이에틸아민 (2.32 mL, 16.5 mmol)을 첨가하고 화합물 6 (3.32 g, 4.54 mmol)를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여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5 (4.2 g, 76%)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37.94.
화합물 136의 제조
화합물 135 (4.21 g, 3.14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20 mL/20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20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2 x 7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6 (3.5 g, 91%)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23.61.
화합물 137의 제조
화합물 136 (3.5 g, 2.68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40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1.33 g, 3.14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증류수 (8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7 (2.03 g, 58%)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97 (s, 1H), 7.80 (s, 1H), 7.45 (s, 1H), 7.23 (d, 1H), 7.19 (s, 1H), 7.00 (d, 1H), 6.61 (s, 1H), 5.92 (m, 1H), 5.58 (d, 1H), 5.41-5.22 (m, 8H), 5.13 (s, 2H), 4.83 (d, 1H), 4.59 (d, 2H), 4.27 (m, 2H), 4.11 (m, 2H), 3.96 (m, 2H), 3.88 (s, 3H), 3.74-3.65 (m, 15H), 3.52 (m, 1H), 2.90 (m, 1H), 2.70 (d, 1H), 2.57 (t, 2H), 2.13 (q, 2H) 2.05 (s, 9H), 1.46 (s, 9H). EI-MS m/z : [M+H]+1121.65.
화합물 138의 제조
화합물 137 (350 mg, 0.28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132 mg, 0.114 mmol)과 피롤리딘 (0.026 mL, 0.314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8 (279 mg, 83%)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81.52.
<실시예 46> 화합물 139의 제조
Figure pat00125
화합물 139는 화합물 138과 화합물 26으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28.7.
<실시예 47> 화합물 147의 제조
Figure pat00126
화합물 140의 제조
2-클로로에탄올 (5.0 g, 62.1 mmol)과 소듐 아자이드 (5.6 g, 86.9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5 mL)에 녹인 후 100 ℃, 질소 대기 하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 후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13.0 g, 68.3 mmol)와 트라이에틸아민(13.0 mL, 93.1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에틸 이써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0 (8.8 g, 58%)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82 (d, 2H), 7.37 (d, 2H), 4.16 (t, 2H), 3.48 (t, 2H), 2.46 (s, 3H).
화합물 142 제조
화합물 141 (2.26 g, 4.73 mmol, 화합물 14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4802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과 화합물 140 (1.7 g, 7.10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1.3 g, 9.46 mmol)을 첨가하고 100 ℃, 질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 100 mL)와 소금물 (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2 (2.3 g, 89%)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rotamers) δ 7.86 (s, 1H), 6.84 (s, 1H), 5.98-5.91 (m, 1H), 5.35 (d, 1H), 5.24 (d, 1H), 4.99 (br s, 1H), 4.92 (br s, 1H), 4.25 (t, 2H), 4.17 (br s, 1H), 3.82 (s, 3H), 3.66 (t, 2H), 2.70 (br s, 2H), 0.91 (s, 9H), 0.09 (s, 6H).
화합물 143의 제조
화합물 142 (2.3 g, 4.21 mmol)를 1,2-다이클로로에테인 (50 mL)에 녹인 후 트라이메틸틴 하이드록사이드 (7.6 g, 42.1 mmol)를 첨가하였다. 질소 대기 하에서 가열 환류 시키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0.01 N 황산 수소 칼륨 수용액 (100 mL)과 소금물 (1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3 (1.7 g, 88%)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462.25.
화합물 144의 제조
화합물 143 (1.7 g, 3.69 mmol)을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393 mg, 1.33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2.1 mL, 14.8 mmol)을 첨가하고, 화합물 6 (3.2 g, 4.43 mmol)를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4 (3.5 g, 78%)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18.70, 1/2[M-BOC+H]+559.82.
화합물 145의 제조
화합물 144 (3.5 g, 2.87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10 mL/10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10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2 * 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5 (2.9 g, 92%)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04.53, 1/2[M-BOC+H]+502.74.
화합물 146의 제조
화합물 145 (2.9 g, 2.63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60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1.3 g, 3.15 mmol)를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6 (1.37 g, 47%)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02.45, 1/2[M+H]+501.98.
화합물 147의 제조
화합물 146 (150 mg, 0.14 mmol)와 프로피올산 (0.01 mL, 0.16 mmol)을 에탄올 (4 mL)과 증류수 (2 mL)에 녹인 후 황산구리 5수화물 (14 mg, 0.05 mmol)과 L-아스코르빈산 나트륨(22 mg, 0.11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으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7 (154 mg, 96%)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72.26.
<실시예 48> 화합물 148의 제조
Figure pat00127
화합물 148은 화합물 147과 화합물 26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33.49, [M/2+H]+617.29.
<실시예 49> 화합물 151의 제조
Figure pat00128
화합물 149의 제조
프로피올산 (4 ml, 64.52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5 mL)에 녹인 후 탄산수소 나트륨 (10.9 g, 129.1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알릴 브로마이드 (8.4 mL, 96.8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에틸이써 (25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x 3 mL)와 소금물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9 (6.9 g, 97%)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5.98-5.41 (m, 1H), 5.39 (dd, 1H), 5.31 (dd, 1H), 4.69 (d, 2H), 2.89 (s, 1H).
화합물 150의 제조
화합물 149 (800 mg, 7.26 mmol)와 3-아지도-1-프로판올 (734 mg, 7.26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t-뷰틸 알콜/증류수 (8 mL/2 mL)에 녹인 후 황산구리 5수화물 (180 mg, 0.72 mmol)과 L-아스코르빈산 나트륨 (718 mg, 3.62 mmol)을 증류수 (1 mL)에 녹인 용액을 반응 용액에 첨가한 뒤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0 (720 mg, 4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15 (s, 1H), 6.09-5.99 (m, 1H), 5.44 (dd, J = 17.2 Hz, 1.6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6 Hz, 2H), 4.61 (t, J =6.8 Hz, 2H), 3.67 (q, J =4.8 Hz, 2H), 2.17 (quin, 2H), 1.91 (t, 1H).
화합물 151의 제조
화합물 150 (265 mg, 1.2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11 mL, 1.38 mmol)와 트라이에틸아민 (0.34 mL, 2.51 mmol)을 첨가하고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0 mL)을 첨가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2)으로 추출하고, 증류수 (10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얻어진 화합물 151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18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2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6 Hz, 2H), 4.61 (t, J =7.2 Hz, 2H), 4.25 (t, J =6 Hz, 2H), 3.02 (s, 3H), 2.43 (m, 2H).
<실시예 50> 화합물 157의 제조
Figure pat00129
화합물 152의 제조
화합물 3 (528 mg, 1.25 mmol)과 화합물 151 (361 mg, 1.25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2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탄산 세슘 (488 mg, 1.49 mmol)을 첨가하고 6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40 mL)로 추출한 뒤 증류수 (10 * 2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2 (455 mg, 60%)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rotamers) δ 8.25 (s, 1H), 7.69 (d, 2H), 6.81 (d, 1H), 6.09-6.00 (m, 1H), 5.45 (d, 1H), 5.32 (d, 1H), 5.11-5.00 (m, 1H), 4.87 (d, 2H), 4.71 (t, 2H), 4.61 (t, 1H), 4.16-4.15 (m, 2H), 3.97 (s, 3H), 3.79-3.71 (m, 2H), 2.79-2.69 (m, 2H), 2.58-2.52 (m, 2H). EI-MS m/z : [M+H]+616.4.
화합물 153의 제조
화합물 152 (455 mg, 0.73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6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1.5 g, 22.2 mmol)와 에탄올 (6 mL)에 희석시킨 포름산 용액 (0.56 mL, 14.8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시킨 뒤 감압 농축하였다. 여과 용액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으로 염기화 (pH ~8)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3 (406 mg, 94%)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rotamers) δ 8.26 (s, 1H), 6.76 (s, 1H), 6.21 (s, 1H), 6.07-5.98 (m, 1H), 5.41 (dd, J = 17.2 Hz, 1.6 Hz, 1H), 5.29 (dd, J = 10.4 Hz, 1.6 Hz, 1H), 4.98 (bs, 1H), 4.91 (bs, 1H), 4.86 (d, J = 6 Hz, 2H), 4.59 (t, 2H), 4.26-4.19 (m, 2H), 3.96 (t, 2H), 3.79 (s, 3H), 2.71 (m, 2H), 2.48-2.42 (m, 2H), 0.87 (s, 9H), 0.03 (s, 6H). EI-MS m/z : [M+H]+587.5.
화합물 154의 제조
화합물 153 (406 mg, 0.6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2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74 mg, 0.25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0.29 mL, 2.07 mmol)을 첨가하고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화합물 6 (607 mg, 0.83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0.19 mL, 1.38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8 mL)에 녹인 용액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올려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20 mL)으로 희석하고, 증류수 (20 mL)를 첨가한 후 추출하였다. 수용액 층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2)으로 추출한 뒤 모인 유기층을 소금물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4 (780 mg, 84%)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46 (s, 1H), 8.04-8.03 (m, 1H), 7.84 (s, 1H), 7.51-7.42 (m, 2H), 7.04-7.02 (m, 1H), 6.82 (s, 1H), 6.07-6.01 (m, 1H), 5.44-5.25 (m, 6H), 5.12 (s, 2H), 4.98 (m, 1H), 4.87-4.86 (m, 3H), 4.59 (t, J =6.8 Hz, 2H), 4.20-4.11 (m, 5H), 4.01-3.97 (m, 3H), 3.83 (s, 3H), 3.74-3.53 (m, 18H), 2.69 (m, 2H), 2.47 (m, 2H), 2.05-2.03 (m, 9H), 1.85-1.83 (m, 2H), 1.47-1.46 (m, 9H), 0.87 (s, 9H), 0.03 (s, 6H). EI-MS m/z : [M+H]+1343.3.
화합물 155의 제조
화합물 154 (780 mg, 0.58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3 mL/3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6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 후 반응 용액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50 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 3)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뒤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5 (460 mg, 63%)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29.1.
화합물 156의 제조
화합물 155 (460 mg, 0.37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190 mg, 0.45 mmol)을 0 ℃에서 첨가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질소 대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v/v=1/1, 30 mL)으로 희석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한 뒤 증류수 (20 mL)와 염화나트륨 수용액 (20 mL)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6 (340 mg, 72%)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26.9.
화합물 157의 제조
화합물 156 (340 mg, 0.27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5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128 mg, 0.11 mmol)과 피롤리딘 (0.04 mL, 0.54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얻은 화합물 157 (165 mg)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EI-MS m/z : [M+H]+1187.1.
<실시예 51> 화합물 158의 제조
Figure pat00130
화합물 158은 화합물 157과 화합물 2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75.3.
<실시예 52> 화합물 161의 제조
Figure pat00131
화합물 159의 제조
4-클로로-1-부탄올 (3 g, 27.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소듐 아자이드 (3.58 g, 55.2 mmol)를 첨가하고 70 ℃로 가열하여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에틸 이써 (3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소금물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59 (2.21 g, 69%)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3.70 (m, 2H), 3.33 (t, J =6.4 Hz, 2H), 1.73-1.64 (m, 4H).
화합물 160의 제조
화합물 149 (1 g, 9.1 mmol)와 화합물 159 (1.04 g, 9.1 mmol)를 0 ℃, 질소 대기 하에서 삼차 뷰틸 알콜/증류수 (12 mL/3 mL)에 녹인 뒤 교반하였다. 황산구리 5수화물 (227 mg, 0.91 mmol)과 L-아스코르빈산 나트륨 (901 mg, 4.55 mmol)을 증류수 (3 mL)에 녹인 후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60 (997 mg, 48%)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11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6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6 Hz, 2H), 4.49 (t, J =7.2 Hz, 2H), 3.71 (q, J =4.8 Hz, 2H), 2.07 (m, 2H), 1.60 (m, 2H), 1.35 (br, 1H). EI-MS m/z : [M+H]+226.20, [M/2+H]+113.82.
화합물 161의 제조
화합물 160 (450 mg, 1.9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에 녹인 뒤 0 ℃, 질소 대기 하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251 mg, 0.17 mL)와 트라이에틸아민 (404 mg, 3.99 mmol)을 차례대로 첨가하고 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모인 유기층을 증류수 (10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여 화합물 161 (606 mg)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11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2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6 Hz, 2H), 4.49 (t, J =7.2 Hz, 2H), 4.27 (t, J =6 Hz, 2H), 3.02 (s, 3H), 2.12 (m, 2H), 1.81 (m, 2H).
<실시예 53> 화합물 162의 제조
Figure pat00132
화합물 162는 화합물 3과 화합물 161로부터 화합물 157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00.91.
<실시예 54> 화합물 163의 제조
Figure pat00133
화합물 163은 화합물 158과 화합물 2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 8.53 (s, 1H), 7.75 (s, 1H), 7.35 (m, 1H), 7.29-7.27 (m, 2H), 7.18-7.15 (m, 2H), 7.01 (s, 1H), 6.90 (s, 1H), 6.73 (s, 1H), 5.57 (d, J =7.2 Hz, 1H), 5.28-5.24 (m, 1H), 5.17-5.11 (m, 3H), 4.57 (m, 2H), 4.23-4.06 (m, 6H), 3.92-3.89 (m, 11H), 3.78 (m, 3H), 3.67-3.54 (m, 15H), 3.39 (t, J =6.4 Hz, 2H), 3.17 (t, J =7.6 Hz, 2H), 2.91 (s, 8H), 2.10 (m, 2H), 2.02-1.97 (m, 3H), 1.75 (m, 2H). EI-MS m/z : [M+H]+1289.09, [M/2+H]+645.13.
<실시예 55> 화합물 166의 제조
Figure pat00134
화합물 164의 제조
1-클로로-5-하이드록시펜테인 (1 g, 8.15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소듐 아자이드 (2.1 g, 32.6 mmol)를 첨가하고 80 ℃로 가열하여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에틸 이써 (3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소금물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64 (980 mg, 93%)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66 (t, J = 6 Hz 2H), 3.29 (t, J = 6.8 Hz, 2H), 1.68-1.53 (m, 4H), 1.54-1.42 (m, 2H).
화합물 165의 제조
화합물 149 (919 mg, 8.34 mmol)와 화합물 164 (980 mg, 7.58 mmol)를 0 ℃, 질소 대기 하에서 삼차 뷰틸 알콜/증류수 (16 mL/4 mL)에 녹인 후 교반하였다. 황산구리 5수화물 (189 mg, 0.75 mmol)과 L-아스코르빈산 나트륨 (751 mg, 3.79 mmol)을 증류수 (1 mL)에 녹인 후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65 (920 mg, 50%)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09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6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 6 Hz, 2H), 4.43 (t, J = 7.2 Hz, 2H), 3.65 (bs, 2H), 1.98 (quin, 2H), 1.61 (quin, 2H), 1.41 (quin, 2H).
화합물 166의 제조
화합물 165 (920 mg, 3.84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4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32 ml, 4.22 mol)와 트라이에틸아민 (1.07 ml, 7.68 mmol)을 첨가하고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40 mL)을 첨가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2)으로 추출하고, 증류수 (10 mL)와 소금물 (1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여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11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2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 6 Hz, 2H), 4.44 (t, J = 7.2 Hz, 2H), 4.22 (t, J = 6 Hz, 2H), 3.01 (s, 3H), 2.01 (quin, J = 7.6 Hz, 2H), 1.81 (quin, J = 7.6 Hz, 2H), 1.512-1.452 (m, 2H).
<실시예 56> 화합물 167의 제조
Figure pat00135
화합물 167은 화합물 3과 화합물 166으로부터 화합물 157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15.2.
<실시예 57> 화합물 168의 제조
Figure pat00136
화합물 168은 화합물 167과 화합물 2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03.4, [M+Na]+ 652.1
<실시예 58> 화합물 171의 제조
Figure pat00137
화합물 169의 제조
1-브로모-7-하이드록시헵테인 (1 g, 5.12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소듐 아자이드 (666 mg, 10.2 mmol)를 첨가하고 80 ℃로 가열하여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소금물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69 (800 mg, 99%)를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3.64 (t, J = 6 Hz, 2H), 3.26 (t, J = 6.8 Hz, 2H), 1.61-1.54 (m, 4H), 1.42-1.36 (m, 6H).
화합물 170의 제조
화합물 149 (564 mg, 5.12 mmol)와 화합물 169 (800 mg, 5.12 mmol)를 0 ℃, 질소 대기 하에서 삼차 뷰틸 알콜/증류수 (8 mL/2 mL)에 녹인 후 교반하였다. 황산구리 5수화물 (127 mg, 0.51 mmol)과 L-아스코르빈산 나트륨 (507 mg, 2.5 mmol)을 증류수 (1 mL)에 녹인 후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3)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0 (566 mg, 41%)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09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6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 6 Hz, 2H), 4.41 (t, J = 7.2 Hz, 2H), 3.63 (bs, 2H), 1.98 (quin, 2H), 1.61-1.54 (m, 4H), 1.42-1.36 (m, 6H).
화합물 171의 제조
화합물 170 (566 mg, 2.11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19 mL, 2.54 mol)와 트라이에틸아민 (0.59 ml, 4.23 mmol)을 첨가하고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20 mL)을 첨가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 2)로 추출하고, 증류수 (10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하여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09 (s, 1H), 6.09-5.99 (m, 1H), 5.42 (dd, J = 17.2 Hz, 1.6 Hz, 1H), 5.31 (dd, J = 10.8 Hz, 1.2 Hz, 1H), 4.86 (d, J =6 Hz, 2H), 4.41 (t, J =7.2 Hz, 2H), 3.63 (bs, 2H), 3.01 (s, 3H), 1.98 (quin, 2H), 1.61-1.54 (m, 4H), 1.42-1.36 (m, 6H).
<실시예 59> 화합물 172의 제조
Figure pat00138
화합물 172는 화합물 3과 화합물 171로부터 화합물 157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43.2.
<실시예 60> 화합물 173의 제조
Figure pat00139
화합물 173은 화합물 167과 화합물 26으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467.8.
<실시예 61> 화합물 175의 제조
Figure pat00140
화합물 174 제조
4-피라졸 카복실산 (500 mg, 4.4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와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 알릴 알코올(0.37 mL, 5.35 mmol),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54 mg, 0.45 mmol), 그리고 1,3-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 (0.83 mL, 5.35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한 후 60 oC로 가열하여 3 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4 (328 mg, 48%)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07 (s, 1H), 6.04-5.96 (m, 1H), 5.38 (d, 1H), 5.27 (d, 1H), 4.76 (d, 2H).
화합물 175 제조
화합물 174 (328 mg, 2.16 mmol)와 1,4-다이아이오도부테인 (0.71 mL, 5.39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녹인 후 탄산 세슘 (913 mg, 2.80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5 (535 mg, 74%)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93 (s, 1H), 7.90 (s, 1H), 6.03-5.96 (m, 1H), 5.37 (d, 1H), 5.27 (d, 1H), 4.74 (d, 2H), 4.16 (t, 2H), 3.18 (t, 2H), 2.05-1.98 (m, 2H), 1.84-1.79 (m, 2H).
<실시예 62> 화합물 176의 제조
Figure pat00141
화합물 176은 화합물 3과 화합물 175로부터 화합물 157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00.21.
<실시예 63> 화합물 177의 제조
Figure pat00142
화합물 177은 화합물 176과 화합물 2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88.24, 1/2[M+H]+644.73.
<실시예 64> 화합물 181의 제조
Figure pat00143
화합물 179의 제조
3-(2-(3-메톡시-3-옥소프로폭시)에톡시)프로판산 (200 mg, 0.8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4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440 mg, 1.11 mmol),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2 mL, 1.28 mmol), 그리고 화합물 178 (259 mg, 0.94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0 mL)을 첨가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 x 3)으로 추출한 뒤 증류수 (10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9 (391 mg, 93%)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δ 7.68 (d, 1H), 7.44-7.24 (m, 7H), 6.53 (t, 1H), 5.14 (d, 1H), 4.15 (q, 2H), 3.79-3.44 (m, 9H), 3.42-3.30 (m, 1H), 3.28-3.14 (m, 2H), 2.59 (t, 2H), 2.56-2.46 (m, 1H), 2.33 (t, 2H), 2.02-1.92 (m, 2H), 1.25 (t, 3H).
화합물 180의 제조
화합물 179 (391 mg, 0.79 mmol)를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5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50 mg, 1.19 mmol)을 증류수 (5 mL)에 녹인 용액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4 정도로 맞춘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3)로 추출하고,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180 (380 mg, 100%)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66 (d, 1H), 7.46-7.22 (m, 7H), 6.83 (t, 1H), 5.15 (d, 1H), 3.79-3.44 (m, 9H), 3.42-3.32 (m, 1H), 3.28-3.12 (m, 2H), 2.56 (t, 2H), 2.51 (t, 1H), 2.42-2.32 (m, 2H), 2.12 (t, 1H).
화합물 181의 제조
화합물 180 (200 mg, 0.36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하이드록시석신이마이드 (50 mg, 0.43 mmol)와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미드 (84 mg, 0.43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증류수 (10 mL)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 x 2)으로 추출한 뒤 증류수 (10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정제없이 화합물 181 (220 mg, crude)을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EI-MS m/z : [M+H]+562.5.
<실시예 65> 화합물 186의 제조
Figure pat00144
화합물 183의 제조
화합물 5 (500 mg, 0.96 mmol)를 건조한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206 mg, 0.69 mmol)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5 mL, 2.60 mmol)을 첨가하고 화합물 182 (679 mg, 1.06 mmol, 화합물 18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645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를 건조한 다이클로로메테인 (3 mL)에 녹여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3 (1.14 g, 79%)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85.8.
화합물 184의 제조
화합물 183 (899 mg, 0.76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5 mL/5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5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 mL)와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 mL) 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4 (812 mg, 86%)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071.7.
화합물 185의 제조
화합물 184 (700 mg, 0.65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60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rtin periodinane, 333 mg, 0.78 mmol)를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4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50 mL)과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5 (460 mg, 66%)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069.9.
화합물 186의 제조
화합물 185 (450 mg, 0.42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97 mg, 0.08 mmol)과 피롤리딘 (0.04 mL, 0.51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186 (354 mg, 82%)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029.7.
<실시예 66> 화합물 190의 제조
Figure pat00145
화합물 187의 제조
화합물 186 (354 mg, 0.35 mmol)과 화합물 26 (164 mg, 0.38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8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96 mg, 0.52 mmol)와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9 mL, 0.52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0 mL)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추출한 뒤, 증류수 (10 x 2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7 (497 mg, 70%)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45.4
화합물 188의 제조
화합물 187 (325 mg, 0.24 mmol)을 메탄올 (4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41 mg, 0.97 mmol)을 증류수 (4 mL)에 녹인 용액을 -4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188 (297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05.1.
화합물 189의 제조
화합물 188 (297 mg, 0.11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1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189를 흰색의 고체 (51 mg, 41%)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2+H]+1090.9, [M/2+H]+546.1.
화합물 190의 제조
화합물 189 (51 mg, 0.047 mmol)와 화합물 181 (29 mg, 0.052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7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2 mL, 0.12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190을 흰색의 고체 (38 mg, 52%)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2+H]+769.4
<실시예 67> 화합물 192의 제조
Figure pat00146
화합물 191 제조
3-하이드록시벤조산 (2.0 g, 14.5 mmol)을 증류수(15 mL)에 녹인 후 수산화 칼륨 (893 mg, 15.9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고 반응 용액을 농축하였다. 농축한 반응물에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0 mL)로 묽힌 후 알릴 브로마이드(1.4 mL, 15.9 mmol)를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와 소금물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1 (2.5 g, 9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65 (d, 1H), 7.57 (s, 1H), 7.32 (t, 1H), 7.07-7.05 (m, 1H), 6.06-5.98 (m, 1H), 5.41 (d, 1H), 5.36 (s, 1H), 5.29 (d, 1H), 4.82 (d, 2H).
화합물 192 제조
화합물 191 (2.5 g, 14.0 mmol)과 1,5-다이아이오도펜테인 (6.5 mL, 43.5 mmol)을 아세톤 (100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2.2 g, 15.95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가열 환류 시키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2 (3.8 g, 70%)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65 (d, 1H), 7.56 (s, 1H), 7.34 (t, 1H), 7.10-7.08 (m, 1H), 6.09-5.99 (m, 1H), 5.41 (d, 1H), 5.29 (d, 1H), 4.82 (d, 2H), 4.01 (t, 2H), 3.22 (t, 2H), 1.94-1.87 (m, 2H), 1.86-1.79 (m, 2H), 1.64-1.5 (m, 2H).
<실시예 68> 화합물 193의 제조
Figure pat00147
화합물 193은 화합물 3과 화합물 192로부터 화합물 157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40.09, [M/2+H]+570.48.
<실시예 69> 화합물 194의 제조
Figure pat00148
화합물 194는 화합물 193과 화합물 2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28.38, [M/2+H]+664.82.
<실시예 70> 화합물 200의 제조
Figure pat00149
화합물 195의 제조
5-하이드록시피리딘-3-카르복실산 (500 mg, 3.6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알릴 알코올(0.3 mL, 4.31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4 mg, 0.36 mmol), 그리고 1,3-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0.67 mL, 4.31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5 (347 mg, 54%)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8.81 (s, 1H), 8.45 (s, 1H), 7.83 (s, 1H), 6.06-5.98 (m, 1H), 5.42 (d, 1H), 5.32 (d, 1H), 4.85 (d, 2H).
화합물 196의 제조
1,5-펜테인다이올 (2.0 g, 19.2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 mL)에 녹인 후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4.4 g, 23.04 mmol),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234 mg, 1.92 mmol), 그리고 트라이에틸아민 (8.0 mL, 57.6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으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6 (2.6 g, 52%)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79 (d, 2H), 7.35 (d, 2H), 4.03 (t, 2H), 3.60 (t, 2H), 2.45 (s, 3H), 1.72-1.65 (m, 2H), 1.54-1.48 (m, 2H), 1.42-1.38 (m, 2H).
Figure pat00150
화합물 197의 제조
화합물 3 (1.78 g, 4.19 mmol)과 화합물 196 (1.3 g, 5.03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40 mL)에 녹인 후 탄산 세슘 (1.78 g, 5.45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7 (1.42 g, 67%)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rotamers) δ 7.71(s, 1H), 6.75 (s, 1H), 4.98 (br s, 1H), 4.83 (br s, 1H), 4.59 (br s, 1H), 4.11 (t, 2H), 3.95 (s, 3H), 3.73-3.69 (m, 4H), 2.82-2.67 (m, 2H), 1.94-1.91 (m, 2H), 1.69-1.56 (m, 4H), 0.91 (s, 9H), 0.09 (s, 6H).
화합물 198의 제조
화합물 197 (1.1 g, 2.61 mmol)과 화합물 195 (342 mg, 1.90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5 mL)에 녹인 후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40% 톨루엔 용액, 1.4 mL, 2.85 mmol)와 트라이페닐포스핀 (750 mg, 2.85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8 (915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671.85, [M/2+H]+336.07.
화합물 199의 제조
화합물 198 (915 mg)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와 에탄올 (20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2.2 g, 33.5 mmol)를 넣고 포름산 (1.3 mL, 33.48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3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여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과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99 (582 m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640.74, [M/2+H]+320.99.
화합물 200의 제조
화합물 199 (582 mg)를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61.4 mg, 0.24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0.4 mL, 2.69 mmol)을 첨가하고 화합물 6 (589 mg, 0.81 mmol)을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녹여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4 시간 교반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00 (330 mg, 35%)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97.36, 1/2[M-BOC+H]+649.30.
<실시예 71> 화합물 203의 제조
Figure pat00151
화합물 201의 제조
화합물 200 (330 mg, 0.24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2 mL/2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6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2 x 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01 (254 mg, 84%)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83.09, 1/2[M-BOC+H]+592.09.
화합물 202의 제조
화합물 201 (254 mg, 0.20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8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100 mg, 0.24 mmol)를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02 (139 mg, 55%)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81.20, 1/2[M-BOC+H]+591.08.
화합물 203의 제조
화합물 202 (139 mg, 0.11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50 mg, 0.04 mmol)과 피롤리딘 (0.01 mL, 0.13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화합물 203 (144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41.18, 1/2[M-BOC+H]+571.21.
<실시예 72> 화합물 204의 제조
Figure pat00152
화합물 204는 화합물 203과 화합물 2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29.71, [M/2+H]+665.39.
<실시예 73> 화합물 209의 제조
Figure pat00153
화합물 206의 제조
화합물 205 (500 mg, 0.97 mmol, 화합물 205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645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와 비스(4-나이트로페닐)카보네이트 (356 mg, 1.17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에서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5 mL, 1.46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15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를 첨가한 후 증류수 (30 x 3 mL)로 추출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소금물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06 (528 mg, 79%)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687.5.
화합물 207의 제조
화합물 125 (687 mg, 0.51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6 mL, 1.51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화합물 206 (451 mg, 0.66 mmol),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30 mg, 0.22 mmol), 그리고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6 mL, 1.51 mmol)을 차례대로 첨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올려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2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40 mL)로 추출하고 증류수 (20 x 3 mL)와 소금물 (10 mL)로 세척한 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07 (629 mg, 70%)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792.8.
Figure pat00154
화합물 209의 제조
화합물 207 (273 mg, 0.15 mmol)과 화합물 208 (50 mg, 0.069 mmol, 화합물 208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7891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삼차 뷰틸 알콜/증류수 (2.3 mL/0.8 mL)에 녹인 후 교반하였다. 황산구리 5수화물 (3.46 mg, 0.013 mmol)과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13.7 mg, 0.069 mmol)을 증류수 (1 mL)에 녹인 후 반응 용액에 첨가한 후 3,3′,3′′-(4,4′,4′′-(나이트로트리스(메틸렌))트리스(1H-1,2,3-트리아졸-4,1-다이일))트리스(프로페인-1-올) (THPTA, 12mg, 0.027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셀라이트를 통과시켜 무기물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여과된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20 mL x 3) 추출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09 (210 mg, 69%)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3+H]+1435.4.
<실시예 74> 화합물 211의 제조
Figure pat00155
화합물 210의 제조
화합물 209 (210 mg, 0.05 mmol)를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1 mL/1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8.2 mg, 0.19 mmol)을 증류수 (1 mL)에 녹인 용액을 -4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10 (220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2+H]+1872.6, [M/3+H]+1248.6.
화합물 211의 제조
화합물 210 (220 mg, 0.0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4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1 mL)를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11을 흰색의 고체 (45 mg, 21%)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2+H]+1822.4, [M/3+H]+1215.4.
<실시예 75> 화합물 214의 제조
Figure pat00156
화합물 213의 제조
화합물 14 (300 mg, 1.72 mmol)에 싸이오닐 클로라이드 (2 mL)를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 환류시켰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12를 얻었다.
3-(다이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466 mg, 5.29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 -50 ℃, 질소 대기 하에서 트라이에틸아민 (0.74 mL, 5.29 mmol)을 첨가하였다. 합성한 화합물 212를 다이클로로메테인 (8 mL)에 녹여서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으로 묽히고 증류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여 화합물 213 (396 mg, 94%)을 얻었다. 1H-NMR(400 MHz, DMSO-d6) δ 8.40 (t, 1H), 8.11 (d, 1H), 7.40 (d, 1H), 3.90 (s, 3H), 3.20 (m, 2H), 2.23 (t, 2H), 1.61 (m, 2H).
화합물 214의 제조
화합물 213 (150 mg, 0.59 mmol)을 메탄올 (6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8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214 (132 mg, 10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6> 화합물 215의 제조
Figure pat00157
화합물 215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214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085.68, [M/2+H]+543.46.
<실시예 77> 화합물 217의 제조
Figure pat00158
화합물 216의 제조
3-클로로프로판올 (3.0 g, 31.7 mmol)과 소듐 아자이드 (3.1 g, 47.6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5 mL)에 녹인 후 100 ℃, 질소 대기 하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6.6 g, 34.9 mmol)와 트라아에틸아민 (6.7 mL, 47.6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에틸 이써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6 (1.9 g, 23%)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80 (d, 2H), 7.36 (d, 2H), 4.11 (t, 2H), 3.38 (t, 2H), 2.45 (s, 3H), 1.92-1.86 (m, 2H).
화합물 217의 제조
화합물 217은 화합물 141과 화합물 216로부터 화합물 146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116.42.
<실시예 78> 화합물 223의 제조
Figure pat00159
화합물 218의 제조
4-메톡시-4-옥소부탄산 (2.0 g, 15.13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보레인 다이메틸설파이드 (1.0 M, 19.6 mL, 19.6 mmol)를 첨가하고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증류수와 탄산칼슘을 천천히 첨가한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농축한 화합물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에 녹인 후 t-뷰틸클로로다이페닐실레인 (TBDPS-Cl, 4.3 mL, 16.65 mmol),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184 mg, 1.51 mmol), 그리고 트라이에틸아민(4.2 mL, 30.27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1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8 (2.3 g, 42%)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65-7.63 (m, 4H), 7.42-7.35 (m, 6H), 3.68 (t, 2H), 3.65 (s, 3H), 2.46 (t, 2H), 1.92-1.84 (m, 2H), 1.04 (s, 9H).
화합물 219의 제조
화합물 218 (500 mg, 1.40 mmol)을 1,2-다이클로로에테인 (10 mL)에 녹인 후 트라이메틸틴 하이드록사이드 (1.2 g, 7.0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대기 하에서 가열 환류시키고 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으로 희석하고, 0.01 N 황산수소 칼륨 수용액 (50 mL)과 소금물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19 (451 mg, 94%)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66-7.64 (m, 4H), 7.44-7.38 (m, 6H), 3.70 (t, 2H), 2.52 (t, 2H), 1.92-1.89 (m, 2H), 1.07 (s, 9H).
Figure pat00160
화합물 220의 제조
화합물 217 (472 mg, 0.42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4 mL)와 에탄올 (4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1.1 g, 16.91 mmol)를 넣고 아세트산 (1.0 mL, 16.91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 시간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한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과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여 화합물 220 (423 mg, 92%)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090.85, 1/2[M-BOC+H]+496.13.
화합물 221의 제조
화합물 220 (423 mg, 0.42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24 (185 mg, 0.50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252 mg, 0.63 mmol), 그리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 mL, 1.26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21 (321 mg, 56%)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64.84, 1/2[M-BOC+H]+633.20.
화합물 222의 제조
화합물 221 (321 mg, 0.24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4 mL)와 에탄올 (4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615 mg, 9.41 mmol)를 넣고 아세트산 (0.5 mL, 9.41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 시간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한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 그리고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농축하여 화합물 222 (266 mg, 85%)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34.92, [M/2+H]+668.29, 1/2[M-BOC+H]+618.19.
화합물 223의 제조
화합물 222 (266 mg, 0.11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219 (75 mg, 0.22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96 mg, 0.24 mmol), 그리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6 mL, 0.33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23 (122 mg, 66%)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660.02, [M/2+H]+830.52, 1/2[M-BOC+H]+780.43.
<실시예 79> 화합물 225의 제조
Figure pat00161
화합물 224의 제조
화합물 223 (122 mg, 0.07 mmol)을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1.0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9.2 mg, 0.22 mmol)을 증류수 (2.0 mL)에 녹인 용액을 -4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서서히 0 ℃로 올리면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24 (22 m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519.97, [M/2+H]+760.30, 1/2[M-BOC+H]+710.32.
화합물 225의 제조
화합물 224 (22 mg)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5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25 (4.5 m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82.18, [M/2+H]+591.16.
<실시예 80> 화합물 230의 제조
Figure pat00162
화합물 226의 제조
화합물 16 (4.6 g, 15.0 mmol)을 메탄올 (70 mL),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7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팔라듐/차콜 (10% w/w, 0.9 g)을 첨가하였다. 증류수 (35 mL)에 녹아있는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1.7 g, 45.0 mmol)를 적하 깔때기를 이용해 천천히 첨가한 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26 (4.08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9.59 (s,1H), 7.42 (d, J = 1.6 Hz, 1H), 6.85 (d, J = 1.6 Hz, 1H), 6.33 (d, J = 2 Hz, 1H), 6.26 (d, J = 2 Hz, 1H), 3.82 (s, 3H), 3.73 (s, 3H), 3.72 (s, 3H).
화합물 227의 제조
화합물 14 (2.3 g, 13.5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4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8.0 g, 20.2 mmol)와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7.0 mL, 40.5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녹인 화합물 226 (4.1 g, 14.8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클로로포름 (50 mL)을 첨가하여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227 (5.65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10.28 (s, 1H), 9.97 (s, 1H), 8.18 (d, J = 1.6 Hz, 1H), 7.58 (d, J = 2 Hz, 1H), 7.46 (d, J = 1.6 Hz, 1H), 7.26 (d, J = 1.6 Hz, 1H), 7.05 (d, J = 1.6 Hz, 1H), 6.90 (d, J = 2 Hz, 1H), 3.96 (s, 3H), 3.85 (s, 3H), 3.83 (s, 3H), 3.73 (s, 3H).
화합물 228의 제조
화합물 227 (3.7 g, 8.6 mmol)에 메탄올 (120 mL)을 첨가 한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증류수 (90 mL)에 녹아있는 수산화 나트륨 (1.72 g, 43.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90 ℃로 가열시키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농축한 후 6 N 염산 수용액으로 pH ~2 정도로 맞춘 후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228 (3.5 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2.15 (bs, 1H), 10.30 (s, 1H), 9.95 (s, 1H), 8.18 (d, J = 1.2 Hz, 1H), 7.59 (d, J = 2 Hz, 1H), 7.42 (d, J = 1.6 Hz, 1H), 7.26 (d, J = 1.6 Hz, 1H), 7.05 (d, J = 1.2 Hz, 1H), 6.85 (d, J = 1.6 Hz, 1H), 3.96 (s, 3H), 3.85 (s, 3H), 3.82 (s, 3H).
화합물 229의 제조
화합물 228 (500 mg, 1.2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3-(다이메틸아미노)-1-프로필아민 (0.18 mL, 1.4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623 mg, 1.5 mmol), 그리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63 mL, 3.6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을 첨가 한 다음 교반하여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229 (600 mg, 99%)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0.31 (s, 1H), 9.96 (s, 1H), 8.19 (s, 1H), 7.60 (s, 1H), 7.27 (s, 1H), 7.19 (s, 1H), 7.04 (s, 1H), 6.90 (s, 1H), 3.96 (s, 3H), 3.85 (s, 3H), 3.81 (s, 3H), 3.25-3.22 (m, 2H), 2.68-2.64 (m, 2H), 1.77-1.76 (m, 2H).
화합물 230의 제조
화합물 229 (300 mg, 0.6 mmol)를 메탄올 (3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w/w, 24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230 (275 mg, 98%)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469.20.
<실시예 81> 화합물 231의 제조
Figure pat00163
화합물 231은 화합물 10과 화합물 230으로부터 화합물 23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30.07, [M/2+H]+665.5.
<실시예 82> 화합물 234의 제조
Figure pat00164
화합물 232의 제조
화합물 228 (980 mg, 2.36 mmol)과 3-아미노-1-프로판올 (0.26 mL, 3.54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2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4 g, 3.54 mmol)와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82 mL, 4.72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히고 증류수 (60 mL x 3)로 세척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32 (3.93 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491.80, 1/2[M+H]+746.41.
화합물 233의 제조
화합물 232 (3.93 g, 2.3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0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이미다졸 (321 mg, 4.72 mmol)과 t-뷰틸다이이메틸실릴 클로라이드 (534 mg, 3.54 mmol)를 넣고 상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80 mL)로 묽히고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33 (1.01 g, 74%)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10.30 (s, 1H), 9.96 (s, 1H), 8.02 (s, 1H), 7.99 (t, 1H), 7.60 (d, 1H), 7.28 (d, 1H), 7.19 (d, 1H), 7.03 (d, 1H), 6.84 (d, 1H), 3.96 (s, 3H), 3.86 (s, 3H), 3.79 (s, 3H), 3.63 (t, 2H), 3.22 (m, 2H), 1.69 (m, 2H), 0.87 (s, 9H), 0.04 (s, 6H).
화합물 234의 제조
화합물 233 (750 mg, 1.28 mmol)을 메탄올 (20 mL)과 에틸 아세테이트 (10 mL)에 녹인 후 팔라듐/차콜 (10 % w/w, 44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 수소 대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화합물 234 (704 mg, 99%)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DMSO-d6) δ 9.88 (s, 1H), 9.63 (s, 1H), 7.96 (t, 1H), 7.21 (d, 1H), 7.17 (d, 1H), 7.00 (d, 1H), 6.84 (d, 1H), 6.39 (d, 1H), 6.28 (d, 1H), 3.83 (s, 3H), 3.79 (s, 3H), 3.74 (s, 3H), 3.63 (t, 2H), 3.22 (m, 2H), 1.69 (m, 2H), 0.87 (s, 9H), 0.04 (s, 6H) EI-MS m/z : [M+H]+556.30.
<실시예 83> 화합물 235의 제조
Figure pat00165
화합물 235는 화합물 10과 화합물 234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303.22, [M/2+H]+652.07.
<실시예 84> 화합물 239의 제조
Figure pat00166
화합물 236의 제조
화합물 5 (2.49 g, 4.8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25 mL)에 녹인 후 - 78 ℃, 질소 대기 하에서 피리딘 (0.85 mL, 10.56 mmol)과 알릴 클로로포메이트 (0.56 mL, 5.28 mmol)를 차례대로 첨가하고 온도를 상온으로 올려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농축한 용액을 증류수 (20 mL)와 소금물 (20 mL)로 세척한 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36 (2.86 g)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7.82 (s, 1H), 6.81 (s, 1H), 5.94 (m, 1H), 5.36-5.32 (m, 2H), 5.27 (m, 2H), 4.98 (brs, 1H), 4.90 (brs, 1H), 4.64-4.59 (m, 5H), 4.20 (m. 2H), 4.12 (t,J =6.4 Hz, 2H), 3.81 (s, 3H), 2.69 (m, 2H), 2.57 (t, J =7.6 Hz, 2H), 2.19 (m, 2H), 0.87 (s, 9H), 0.03 (s, 6H), EI-MS m/z : [M+H]+603.54.
화합물 237의 제조
화합물 236 (2.86 g, 4.7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5 mL/5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15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1.5 mL)을 추가로 첨가한 후 상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을 종결하였다. 감압 농축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 3)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0 mL), 증류수 (30 mL), 그리고 소금물 (30 mL)순으로 세척한 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37 (1.96 g, 85%)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8.50 (brs, 1H), 7.75 (brs, 1H), 6.82 (s, 1H), 5.96 (m, 1H), 5.37-5.30 (m, 2H), 5.26-5.22 (m, 2H), 5.02 (brs, 1H), 4.94 (brs, 1H), 4.64-4.59 (m, 5H), 4.18(m, 2H), 4.12(t,J = 6.4 Hz, 2H), 3.83 (s, 3H), 3.70 (br s, 1H), 2.79 (m, 1H), 2.57 (t, J =7.2 Hz, 2H), 2.47 (m, 2H), 2.19 (m, 2H), EI-MS m/z : [M+H]+490.39.
화합물 238의 제조
화합물 237 (1.95 g, 4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40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2.03 g, 4.8 mmol)을 0 ℃에서 첨가하고 상온으로 온도를 올려 질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포화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0 mL/20 mL)으로 희석하고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 * 3)으로 추출한 뒤 포화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5 mL/15 mL), 증류수 (20 mL), 그리고 소금물 (20 mL)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38 (899 mg, 4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7.21 (s, 1H), 6.86 (brs, 1H), 5.94 (m, 1H), 5.80 (m, 1H), 5.56 (m, 1H), 5.32 (m, 1H), 5.30 (m, 1H), 5.13 (m, 4H), 4.67 (dd, J =13.2 Hz, 5.2 Hz, 1H), 4.66 (d, J = 5.6 Hz, 2H), 4.45 (m, 1H), 4.32 (d, J = 15.6 Hz, 1H), 4.15 (d, J = 15.6 Hz, 1H), 4.09 (m, 2H), 3.90 (s, 3H), 3.63 (m, 1H), 3.48 (m, 1H), 2.91 (m, 1H), 2.71 (m, 1H), 2.57 (t, J = 7.2 Hz, 2H), 2.17 (m, 2H), EI-MS m/z : [M+H]+487.39.
화합물 239의 제조
화합물 238 (100 mg, 0.2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녹인 후 수산화 리튬 (17.2 mg, 0.41 mmol)을 증류수 (3 mL)에 녹인 용액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0 ℃로 유지시키면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으로 닦아준 뒤 수용액 층을 1 N 염산 수용액으로 (pH ~4) 산성화 시켜주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 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39 (91.5 mg)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22 (s, 1H), 6.75 (brs, 1H), 5.77 (m, 1H), 5.58 (d, J = 10 Hz, 1H), 5.14 (m, 4H), 4.66 (dd, J = 13.2 Hz, 5.2 Hz, 1H), 4.43 (m, 1H), 4.32 (d, J = 16 Hz, 1H), 4.16-4.06 (m, 5H), 3.90 (s, 3H), 3.63 (t, J = 8 Hz, 1H), 2.90 (m, 1H), 2.70 (m, 1H), 2.58 (t, J = 6.4 Hz, 2H), 2.16 (m, 2H), EI-MS m/z : [M+H]+447.24.
<실시예 85> 화합물 242의 제조
Figure pat00167
화합물 240의 제조
화합물 239 (141 mg, 0.32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26 (150 mg, 0.35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63 mg, 0.41 mmol), 그리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1 mL, 0.63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0 mL), 그리고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0 (178 mg, 66%)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862.44, [M-TBS+H]+748.36, [M/2+H]+423.04, 1/2[M-TBS+H]+374.92.
화합물 241의 제조
화합물 240 (178 mg, 0.2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에 녹인 후 테트라-n-뷰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0 M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 1.2 mL, 1.2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1 (115 mg, 74%)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748.42, [M/2+H]+374.96.
화합물 242의 제조
화합물 241 (115 mg, 0.1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4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8.8 mg, 0.01 mmol)과 피롤리딘 (0.05 mL, 0.62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2 (74 mg, 75%)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646.18.
<실시예 86> 화합물 244의 제조
Figure pat00168
화합물 243의 제조
화합물 239 (155 mg, 0.35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3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37 (200 mg, 0.38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79 mg, 0.45 mmol), 그리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8 mL, 1.04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50 mL), 그리고 증류수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3 (281 mg, 85%)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954.54, [M/2+H]+478.04.
화합물 244의 제조
화합물 243 (281 mg, 0.1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6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17 mg, 0.01 mmol)과 피롤리딘 (0.1 mL, 1.18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4 (28 mg)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852.57, [M/2+H]+427.06.
<실시예 87> 화합물 245의 제조
Figure pat00169
화합물 245는 화합물 239와 화합물 40으로부터 화합물 244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OH]+1138.69, [M+H]+1116.70, [M/2+H]+559.15.
<실시예 88> 화합물 248의 제조
Figure pat00170
화합물 246의 제조
화합물 239 (137 mg, 0.30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5 mL)에 녹인 후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75 mg, 0.46 mmol)와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 mL, 0.61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화합물 44 (160 mg, 0.36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1 mL)에 녹인 용액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10 mL)을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3)로 추출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10 mL)과 증류수 (1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6 (210 mg, 79%)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89 (br s, 0.5H), 8.02 (m, 0.5H), 7.73 (br s, 0.5H), 7.32-7.27 (m, 1H), 7.25-7.22 (m, 2H), 7.05 (br s, 1H), 6.81 (m, 1.5H), 6.66 (br s, 0.5H), 6.39 (br s, 0.5H), 5.97 (br, 0.5H), 5.75 (br s, 0.5H), 5.57 (m, 1H), 5.37 (m, 0.5H), 5.13 (m, 3H), 4.67 (m, 1H), 4.43 (m, 1H), 4.30 (m, 1H), 4.13 (m, 2H), 3.92-3.90 (m, 7H), 3.69-3.62 (m, 3H), 3.36 (m, 4H), 2.88 (s, 3H), 2.70 (m, 1H), 2.50 (m, 2H), 2.21 (m, 2H), 1.72 (m, 2H), 1.46 (s, 9H), EI-MS m/z : [M+H]+861.49
화합물 247의 제조
화합물 246 (140 mg, 0.16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6 mL)으로 묽힌 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4 mL)을 0 oC,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기체 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247 (123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761.56, [M/2+H]+381.5
화합물 248의 제조
화합물 247 (123 mg, 0.16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3.5 mg, 0.003 mmol)과 피롤리딘 (0.06 mL, 0.81 mmol)을 0 ℃, 질소 대기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질소 기체 하에서 농축한 뒤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48 (20.3 mg, 38%)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659.55, [M/2+H]+330.45
<실시예 89> 화합물 250의 제조
Figure pat00171
화합물 249의 제조
화합물 239 (215 mg, 0.439 mmol)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5 mL)에 녹인 후 0 ℃, 질소 대기 하에서 화합물 230 (180 mg, 0.337 mmol),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189 mg, 0.498 mmol), 그리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9 mL, 1.68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첨가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 (50 mL),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0 mL), 그리고 증류수 (50 mL)로 닦아주었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9 (233 mg, 77%)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897.59, 1/2[M+H]+440.35.
화합물 250의 제조
화합물 249 (233 mg, 0.12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3 mL)에 녹이고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6.0 mg, 0.005mmol)과 피롤리딘 (0.021 mL, 1.298 mmol)을 질소 대기 하에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뒤 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화합물 250을 흰색의 고체 (24 mg)로 수득하였다. EI-MS m/z : [M+H]+795.50, [M/2+H]+398.34.
<실시예 90> 화합물 251의 제조
Figure pat00172
화합물 251은 화합물 239와 화합물 234로부터 화합물 242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9.87 (m, 3H), 7.94 (t, J =5.6 Hz, 1H), 7.20 (m, 2H), 7.15 (s, 2H), 7.03 (m, 1H), 6.84 (dd, J =11.2 Hz, 1.2 Hz, 2H), 6.57 (s, 0.5H), 6.34 (s, 1H), 6.10 (s, 0.5H), 5.08 (m, 1H), 4.94 (m, 1H), 4.50-4.44 (m, 2H), 4.24-4.18 (m, 1H), 4.13-4.11 (m, 2H), 4.03-3.95 (m, 2H), 3.86-3.77 (m, 10H), 3.70-3.65 (m, 4H), 3.45 (m, 2H), 2.42 (m, 2H), 2.05 (m, 2H), 1.61 (m, 2H), EI-MS m/z : [M+H]+768.32, [M/2+H]+384.97.
<실시예 91> 화합물 255의 제조
Figure pat00173
화합물 253의 제조
화합물 252 (1.0 g, 2.36 mmol, 화합물 25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4802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와 화합물 1 (735 mg, 3.54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654 mg, 4.73 mmol)과 아이오딘화 나트륨 (177 mg, 1.18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90 ℃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3 (1.12 g, 86%)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70 (s, 1H), 6.78 (s, 1H), 5.91-5.88 (m, 1H), 5.53 (s, 1H), 5.33 (d, 1H), 5.25 (d, 1H), 4.65 (br s, 1H), 4.61 (d, 2H), 4.15 (t, 2H), 3.93 (s, 3H), 2.82-2.75 (m, 1H), 2.61-2.57 (m, 3H), 2.23-2.20 (m, 2H), 1.62 (s, 3H), 0.90 (s, 9H), 0.10 (s, 6H).
화합물 254의 제조
화합물 253 (2.4 g, 20.0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20 mL)와 에탄올 (20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5.7 g, 87.4 mmol)를 넣고 포름산 (3.3 mL, 87.4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2.0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여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 그리고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4 (2.2 g, 97%)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519.38.
화합물 255의 제조
화합물 254 (2.2 g, 4.24 mmol)를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452 mg, 1.53 mmol)과 트라이에틸아민 (2.4 mL, 16.9 mmol)을 첨가한 후 화합물 6 (3.4 g, 4.66 mmol)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5 (3.2 g, 60%)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75.53, [M/2+H]+638.53.
<실시예 92> 화합물 258의 제조
Figure pat00174
화합물 256의 제조
화합물 255 (3.2 g, 2.51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10 mL/10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10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6 (2.6 g, 89%)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61.45, [(M-BOC)/2+H]+531.47.
화합물 257의 제조
화합물 256 (2.0 g, 1.72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876 mg, 2.0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50 mL)과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7 (1.4 g, 71%)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59.40, [(M-BOC)/2+H]+530.46.
화합물 258의 제조
화합물 257 (200 mg, 0.17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2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60 mg, 0.05 mmol)과 2-에틸 헥사노에이트 나트륨 (91 mg, 0.61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258 (196 mg)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119.37, [M/2+H]+510.44.
<실시예 93> 화합물 259의 제조
Figure pat00175
화합물 259는 화합물 258과 화합물 26으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180.48, [M/2+H]+591.67.
<실시예 94> 화합물 264의 제조
Figure pat00176
화합물 261의 제조
화합물 260 (4.6 g, 6.45 mmol, 화합물 260는 ACS. Med. Chem. 2016, 7, 11, 983-987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을 에탄올/톨루엔/증류수 (10 mL/20 mL/10 mL)에 녹인 후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4-메톡시페닐 보론산 (1.27 g, 8.39 mmol), 탄산 나트륨 (2.0 g, 19.36 mmol), 그리고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 (0) (745 mg, 0.6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85 ℃,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반응 용액을 묽히고 소금물 (100 mL)과 증류수 (100 mL)로 유기층을 세척하였다. 모인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증류수 (50 mL/1.0 mL)에 녹이고 소듐 아세테이트 (688 mg, 8.38 mmol)를 첨가한 후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1 (2.75 g, 83%)을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81 (s, 1H), 7.14 (d, 2H), 6.85 (s, 1H), 6.80 (d, 2H), 6.15 (s, 1H), 6.05 (br s, 1H), 4.79 (br s, 1H), 4.00 (s, 3H), 3.78 (s, 3H), 3.18 (br, 1H), 3.02-2.98 (m, 1H), 0.90 (s, 9H), 0.10 (s, 6H).
화합물 262의 제조
화합물 261 (3.7 g, 7.19 mmol)과 화합물 1 (2.2 g, 10.78 mmol)을 아세톤/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40 mL/10 mL)에 녹인 후 탄산 칼륨 (2.0 mg, 14.4 mmol)과 아이오딘화 나트륨 (538 mg, 3.59 mmol)을 첨가하고 질소 대기 하에서 가열 환류하면서 1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묽힌 뒤 증류수 (2 x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2 (4.2 g, 91%)를 수득하였다. 1H-NMR(400 MHz, CDCl3) δ 7.73 (s, 1H), 7.13 (d, 2H), 6.82 (s, 1H), 6.80 (d, 2H), 6.13 (s, 1H), 5.97-5.90 (m, 1H), 5.33 (d, 1H), 5.25 (d, 1H), 4.79 (brs, 1H), 4.62 (d, 2H), 4.18 (t, 2H), 3.95 (s, 3H), 3.78 (s, 3H), 3.18 (br , 1H), 3.02-2.98 (m, 1H), 2.61 (t, 2H), 2.27-2.20 (m, 2H), 0.90 (s, 9H), 0.10 (s, 6H).
화합물 263의 제조
화합물 262 (2.0 g, 3.12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20 mL)와 에탄올 (30 mL)에 녹인 후 0 ℃에서 아연 가루 (Zinc dust, 5.1 g, 78.0 mmol)를 넣고 포름산 (2.9 mL, 78.03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3 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희석하여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7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 그리고 소금물 (50 mL)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3 (1.9 g, 96%)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612.83.
화합물 264의 제조
화합물 263 (1.9 g, 3.08 mmol)을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포스겐 (328 mg, 1.11 mmol), 트라이에틸아민 (1.7 mL, 12.33 mmol)을 첨가하고 화합물 6 (2.5 g, 3.39 mmol)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1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4 (2.9 g, 70%)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368.79, [(M-BOC)/2+H]+634.80.
<실시예 95> 화합물 267의 제조
Figure pat00177
화합물 265의 제조
화합물 264 (2.9 g, 2.15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증류수 (5 mL/5 mL)에 녹이고 0 ℃에서 아세트산 (5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고, 증류수 (50 mL)와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2 x 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5 (2.2 g, 81%)를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54.45, [(M-BOC)/2+H]+577.73.
화합물 266의 제조
화합물 265 (507 mg, 0.40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8 mL)에 녹인 후 데스-마틴 펄아이오디네인 (Dess-Matin periodinane, 206 mg, 0.49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150 mL)과 싸이오황산 나트륨 수용액 (10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6 (483 mg, 48%)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52.34, [(M-BOC)/2+H]+576.42.
화합물 267의 제조
화합물 266 (300 mg, 0.24 mmol)을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6 mL)에 녹인 후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14 mg, 0.01 mmol)과 피롤리딘 (0.04 mL, 0.48 mmol)을 첨가하고 상온, 질소 대기 하에서 1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과 증류수 (5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7 (232 mg, 80%)을 수득하였다. EI-MS m/z : [M+H]+1211.80, [(M-BOC)/2+H]+556.42.
<실시예 96> 화합물 268의 제조
Figure pat00178
화합물 268은 화합물 267과 화합물 26으로부터 화합물 29의 합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EI-MS m/z : [M+H]+1272.65, [M/2+H]+637.12.
<실시예 97> ADC의 제조
실시예 97-1. ADC의 제조방법
ADC의 제조는 다음의 두 단계를 거처 제조 되었으며, 공통적으로 사용한 isoprenoid인 LCB14-0511, 0512 및 0606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5393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CB14-0511, 0512 및 0606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179
1 단계 : 프레닐화 항체 (prenylated antibody)의 제조
본 발명에서 항체의 프레닐레이션 (prenylation) 반응은 24 μM 항체, 200 nM FTase와 0.144 mM 혹은 0.250 mM isoprenoid (LCB14-0511, 0512 혹은 0606)를 포함하는 완충용액 {50 mM 트리스 염산염 (Tris-HCl, pH 7.4), 5 mM 염화마그네슘 (MgCl2), 10 μM 염화아연 (ZnCl2), 0.250 mM 다이싸이오쓰레이톨 (DTT)}의 반응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반응 종료 후 프레닐레이션된 항체는 PBS 완충용액으로 평형화된 G25 Sepharose 컬럼 (AKTA purifier, GE healthcare)으로 제염시켰다.
2 단계 : 약물 컨쥬게이션 (drug-conjugation) 반응
옥심 결합반응을 이용한 ADC는 100 mM 아세트산 나트륨 (NaOAc) 완충용액 (pH 5.2), 10%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 24 μM 프레닐레이션된 항체와 240 μM 링커-약물을 섞어서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고 30 ℃에서 약하게 교반하였다. 2 시간 또는 24 시간 반응 후에 G25 Sepharose 컬럼으로 과량의 저분자 화합물을 제거하고 단백질 분획은 수집하여 농축하였다.
Copper-free 클릭 (click) 결합반응을 이용한 ADC는 PBS 완충용액 (pH 7.4), 1%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 10 μM 프레닐레이션 항체와 100 μM 링커-약물을 섞어서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고 25 ℃에서 6 시간 반응 후에 G25 Sepharose 컬럼으로 과량의 저분자 화합물을 제거하고 단백질 분획은 수집하여 농축하였다.
Copper를 이용한 클릭 결합반응을 이용한 ADC는 20 μM 프레닐레이션 항체, 200 μM 링커-약물, 10%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 1 mM 황산구리 5수화물, 2 mM (BimC4A)3 (Sigma-Aldrich), 10 mM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sodium ascorbate) 및 10 mM 아미노구아니딘 염산염을 섞어 제조하고 25 ℃에서 3 시간 반응 후에 20 mM EDTA를 처리하여 30 분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종료 후, G25 Sepharose 컬럼으로 과량의 저분자 화합물을 제거하고 단백질 분획은 수집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97-2. 항체 HER2를 사용한 ADC의 제조
상기 실시예 23, 29 등을 포함한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링커-약물 및 항체 HER2를 사용하여 ADC를 제조하였다. 항체 HER2는 실시예 97-1에 개시된 방법 1 단계에 의해 프레닐화 하였고, 그 후, 실시예 97-1에 개시된 방법 2 단계의 옥심 결합반응 및 Copper-free 클릭 결합반응 또는 Copper를 이용한 클릭 결합반응을 이용하여 ADC를 제조하였다. 이 때, 사용한 화합물 및 제조된 ADC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 ADC 제조 목록)
ADC 번호 화합물 번호
ADC1 23
ADC2 29
ADC3 35
ADC4 38
ADC5 41
ADC6 45
ADC7 54
ADC8 57
ADC9 61
ADC10 65
ADC11 68
ADC12 76
ADC13 85
ADC14 88
ADC15 94
ADC16 100
ADC17 110
ADC18 118
ADC19 129
ADC20 139
ADC21 148
ADC22 158
ADC23 163
ADC24 168
ADC25 173
ADC26 177
ADC27 190
ADC28 194
ADC29 204
ADC30 211
비교예 1 (실시예 81) 231
비교예 2 (실시예 83) 235
<실시예 98> In vitro 세포 독성 평가
실시예 91에서 제조한 ADC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판 중인 암세포주 (SK-BR3, JIMT-1, MDA-MB-46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각 암세포주를 웰당 1500~5000개씩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뒤 ADC 시료를 연속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44 시간 뒤에 살아있는 세포수는 SRB assay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항원이 발현되는 암세포주에서 ADC 시료의 세포 독성 비교)
ADC 번호 IC50(pM)
SK-BR3 JIMT-1
ADC1 13.6 52.8
ADC2 22.5 74.4
ADC3 13.5 30.7
ADC4 22.4 307.0
ADC5 29.2 285.3
ADC6 11.5 79.9
ADC7 31.1 406.2
ADC8 31.6 ND
ADC9 85.1 ND
ADC10 13.9 115.1
ADC11 29.2 ND
ADC12 43.3 ND
ADC13 63.3 ND
ADC14 27.9 224.1
ADC15 33.5 ND
ADC16 33.2 ND
ADC17 12.0 83.1
ADC18 10.9 57.0
ADC19 44.5 65.8
ADC21 150.7 ND
ADC22 94.9 ND
ADC23 71.5 ND
ADC24 44.0 ND
ADC25 513.5 ND
ADC26 121.7 ND
ADC27 20.8 270.0
ADC28 50.9 ND
ADC30 18.6 108.5
비교예 1 (실시예 81) 19.1 188.5
비교예 2 (실시예 83) 8.6 55.8
* ND : Not determined.
항원이 과발현된 암세포주에서 ADC1~7, 10, 14, 17~19, 27, 30이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와 세포 독성이 유사하거나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ADC2는 비교예 1보다 우수하고, 비교예 2와 유사한 세포 독성을 보였다.
항원 발현이 되지 않는 MDA-MB-468 세포주에서 ADC를 고농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표 3. 항원이 발현되지 않는 암세포주에서 ADC 시료의 세포 독성 비교)
ADC 번호 IC50(nM)
MDA-MB-468
ADC2 238.9
비교예 2 (실시예 83) 57.3
항원이 발현되지 않는 MDA-MB-468 암세포주에서 ADC2가 비교예 2보다 세포 독성이 4 배 이상 약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으로 도출된 ADC2가 항원발현 세포주에서의 효능은 비교예와 유사하고, 항원을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서 독성이 약함을 나타내어 치료 범위(therapeutic window)가 훨씬 넓은 장점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9> Rat 예비 독성 평가
실시예 91에서 제조한 ADC를 8주령의 SD rat에 단회 정맥 투여하여 70일 동안 체중 변화 및 사망여부를 관찰하였다. 각 ADC 및 용량에 따른 사망 여부를 기반으로 치사량과 최대허용용량 (Maximum Tolerable Dose, MTD)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4. SD rat에서 ADC 시료의 독성 비교)
MTD 치사량
ADC2 9 mg/kg 12 mg/kg
비교예 1 NA 2 mg/kg
비교예 2 NA 4 mg/kg
(* NA : not available (실험 용량에서 모두 사망하여 MTD 확인 불가)
본 발명으로 도출한 ADC2의 rat 독성시험에서의 치사량이 비교예 1, 비교예 2보다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본 발명으로 도출된 ADC2가 비교예 1과 2에 비해 SD rat에서의 치사량이 매우 높아 ADC2가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하고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7)

  1. 화학식 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P-(B)a-(B′)b-D (I)
    상기 식에서,
    P는 하기 화학식 II이고, 여기에서 P는 링커 I(Linker I)과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는 것이며;
    Figure pat00180
    (II)
    상기 식에서,
    점선은 C1과 C2 또는 C2와 C3 사이의 이중결합의 임의의 존재 및 N10과 C11 사이의 이중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며;
    Q1은 H, OH, O, CH2, CN, Rm, ORm, CH-Rm′, C(Rm′)2, O-SO2-Rm, CO2Rm, CORm, 할로 및 디할로(dihalo)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Rm′는 Rm, CO2Rm, CORm, CHO, CO2H, 및 할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에서, Rm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12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12알케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12알키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20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20헤테로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6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치환되는 경우, C1-12알킬, C1-12알콕시,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5-20아릴, C5-20헤테로아릴, C3-6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의 각 수소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5-20아릴, C5-20헤테로아릴, C3-6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고;
    Q2, Q3, Q5, 및 Q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Rm, -OH, -ORm, -SH, -SRm, -NH2, -NHRm, -NRmRm′, -NO2, 및 할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에서 Rm 및 R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Q4는 -H, -Rm, -OH, -ORm, -SH, -SRm, -NH2, -NHRm, -NRmRm′, -NO2, 할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알콕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6알케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6알키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6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12아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 -CN, -NCO, -ORn, -OC(=O)Rn, -OC(=O)NRnRn′, -OS(=O)Rn, -OS(=O)2Rn, -SRn, -S(=O)Rn, -S(=O)2Rn, -S(=O)NRnRn′, -S(=O)2NRnRn′, -OS(=O)NRnRn′, -OS(=O)2NRnRn′, -NRnRn′, -NRnC(=O)Ro, -NRnC(=O)ORo, -NRnC(=O)NRoRo′, -NRnS(=O)Ro, -NRnS(=O)2Ro, -NRnS(=O)NRoRo′, -NRnS(=O)2NRoRo′, -C(=O)Rn, -C(=O)ORn 및 -C(=O)NRnR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치환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케닐, C2-6알키닐, C3-C6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5-10아릴,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 -ORp, -OC(=O)Rp, -OC(=O)NRpRp′, -OS(=O)Rp, -OS(=O)2Rp, -SRp, -S(=O)Rp, -S(=O)2Rp, -S(=O)NRpRp′, -S(=O)2NRpRp′, -OS(=O)NRpRp′, -OS(=O)2NRpRp′, -NRpRp′, -NRpC(=O)Rq, -NRpC(=O)ORq, -NRpC(=O)NRqRq′, -NRpS(=O)Rq, -NRpS(=O)2Rq, -NRpS(=O)NRqRq′, -NRpS(=O)2NRqRq′, -C(=O)Rp, -C(=O)ORp 또는 -C(=O)NRpRp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n, Rn′, Ro, Ro′, Rp, Rp′, Rq 및 Rq′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7알킬, C2-7알케닐, C2-7알키닐, C3-13사이클로알킬, 3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6-10아릴, 및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링커 I(Linker I)과 결합되는 부분이며, 링커 I과 결합되지 않는 경우 부존재하며,
    Y는 -O-, -S-, 및 -NH-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Q6은 부재하거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3-12탄화수소 쇄이며,
    B 및 B′은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 -O-, -NH-, -S-, -C(=O)-, -S(=O)-, -O-(CH2)n-, -(CH2)n-, -(CH2)n(C=O)-, -(CH2)n(C=O)NH-, -C6-10아릴렌-, -O-(-C6-10아릴렌)-, -(CH2)n-C6-10 아릴렌-,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 -O-(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 또는 -(CH2CH2O)n-이고,
    여기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의 정수이고,
    D는 하기 화학식 III이며,
    Figure pat00181
    (III)
    여기에서,
    Figure pat00182
    는 P, B 또는 B′와 결합하는 부위를 의미하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 -NH-, -O-, -C(=O)-, -C(=O)NH-, -NHC(=O)-, C6-10 아릴렌 또는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6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렌이며,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인,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 또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에서 선택되고,
    Z1, Z2, Z3, Z1′, Z2′ 및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S이며,
    R1, 및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원자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1-10 헤테로알킬, C1-10 알킬, -(CH2)mOH, -(CH2)mNH2, -(CH2)mNHCH3, 수소, 할로, 또는 -C(=O)OH이고,
    m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 -NH-, -O-, -C(=O)-, 또는 -S-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며; 여기에서 a1+a2는 2 이하의 정수이고,
    E1은 결합, -NH-, -C(=O)-, -C(=O)O-, -O-, -S-, -OCH2-, C1-20 알킬렌, 또는 -((CH2)p(CH2E11))q-이며, e1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E2는 결합, C1-20 알킬렌 또는 -((CH2)p(CH2E11))q-이며, e2는 0 내지 20의 정수이고,
    여기에서, E11은 결합, O, 또는 S이고, p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q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F1은 수소, -OH, -OCH3, -SH, -SCH3,
    Figure pat00183
    ,
    Figure pat00184
    또는
    Figure pat00185
    이고,
    여기에서,
    F11, F12, F13, F14, F15, F16, F17, 및 F18은 각각 독립적으로, C, N, O 또는 S이며,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고,
    F21, F22 및 F22′은 각각 독립적으로 -H, -NH2, -CH3, -(CH2)rCH3, -(CH2)rOH, -(CH2)rNH2, -F33(CH2)rCH3, -F33(CH2)rOH, -F33(CH2)rNH2, 또는 링커 II (Linker II)에서 선택되고, F33은 -O-, -S-, -CH2-, -C(=O)-, -NH-, -C(NH2)- 또는 -C(=NH)-에서 선택되며,
    F21′은 =CH2, =NH, =F33′(CH2)rCH3, =F33′(CH2)rOH, 또는 =F33′(CH2)rNH2에서 선택되고, F33′은 =N-, =CH-, =C(OH)- 또는 =C(NH2)-에서 선택되며, r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여기에서, 링커(Linker) I 및 링커(Linker) II는 하기 화학식 IV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Figure pat00186
    (IV)
    상기 식에서,
    G는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moiety 또는
    Figure pat00187
    이며;
    상기 Rc는 수소 또는 카복실 보호기이고,
    상기 각각의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실 보호기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또는 C3-8사이클로알킬이고;
    W는 -C(=O)-, -C(=O)NR′-, -C(=O)O-, -S(=O)2NR′-, -P(=O)R″NR′-, -S(=O)NR′- 또는 -P(=O)2NR′-이며, 상기 C, S 또는 P는 직접적으로 페닐링(phenyl ring)에 결합하고,
    여기에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C3-8-원 사이클로알킬, C1-8 알콕시, C1-8 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 C1-8알킬아미노, 3 내지 20-원 헤테로아릴 또는 C6-20-원 아릴인 화합물이며;
    T는 독립적으로 C1-8알킬, 할로겐, 시아노 또는 나이트로이고;
    s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L은 연결 유닛(connection unit) 및 브랜칭 유닛(branching unit)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닛, 또는 이들 유닛의 조합이고,
    여기에서 연결 유닛은 W와 Rz를, W와 브랜칭 유닛을, 또는 브랜칭 유닛과 브랜칭 유닛을 연결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은 연결 유닛과 W를, 또는 연결 유닛과 또 다른 연결 유닛을 연결하며,
    연결 유닛은
    Figure pat00188
    ,
    Figure pat00189
    ,
    Figure pat00190
    ,
    Figure pat00191
    , -(CH2CH2V)t-, -(CH2)t(V(CH2)u)v-,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여기에서 L1은 단일결합 또는 C2-30알케닐이며, R11은 H 또는 C1-10알킬이고, L2는 C2-30알케닐이며;
    여기에서, t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u는 0 내지 12의 정수이며, v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V는 단일결합, -O-, 또는 -S-이며,
    브랜칭 유닛은 C2-100알케닐,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 -C(=O)-, -C(=O)NRv-, -C(=O)O-, -(CH2)n1-NHC(=O)-(CH2)n2-, -(CH2)n3-C(=O)NH-(CH2)n4-, -(CH2)n1-NHC(=O)-(CH2)n2-C(=O)-, -(CH2)n3-C(=O)NH-(CH2)n4-C(=O)-, -S(=O)2NRv-, -P(=O)RwNRv-, -S(=O)NRv-, 및 -P(=O)2NRv-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이 C2-100알케닐인 경우, 알케닐의 탄소 원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 O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알케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1-2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v 및 Rw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8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1-8알콕시, C1-8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C1-8알킬아미노, C3-20헤테로아릴 또는 C5-20아릴이며,
    n1, n2, n3 및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z는 -O-NH2, -NH2, N3,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12알킬, C1-12 알키닐, C1-3알콕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 내지 20-원 헤테로아릴, 3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20아릴, 또는
    Figure pat00192
    이고,
    여기에서, Rz′은 N 또는 C이며,
    여기에서 치환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OH, =O, 할로, 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케닐, 옥시, 카르복시, C1-6알콕시카르보닐, C1-6알킬카르보닐, 포르밀, C3-8아릴, C5-12아릴옥시, C5-12아릴카르보닐 또는 C3-6헤테로아릴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은 C2 및 C3 사이의 이중결합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알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6알케닐,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7아릴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6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2, Q3, Q5, 및 Q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OH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4는 메톡시, 에톡시 또는 부톡시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는 -O-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6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3-8탄화수소 쇄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는
    Figure pat00193
    이고,
    Rc는 수소 또는 카복실 보호기이고,
    상기 각각의 Rd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록실 보호기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c는 수소이고, 상기 각각의 Rd는 수소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는 -C(=O)-, -C(=O)NR′- 또는 -C(=O)O-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는 -C(=O)NR′- 이고, 상기 C(=O)는 페닐링에 결합하고, NR′은 L에 결합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는
    Figure pat00194
    이고,
    W는 -C(O)NR′ -이고, 상기 C(O)는 페닐링에 결합하며, NR′은 L에 결합하고, Rc 및 Rd는 수소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칭 유닛은 C2-8알케닐,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 -C(O)-, -C(O)NRv-, -C(O)O-, -(CH2)n1-NHC(O)-(CH2)n2-, -(CH2)n3-C(O)NH-(CH2)n4-, -(CH2)n1-NHC(O)-(CH2)n2-C(O)-, 및 -(CH2)n3-C(O)NH-(CH2)n4-C(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이 C2-8알케닐인 경우, 알케닐의 탄소 원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N, O 및 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알케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1-2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v H, C1-8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1-8알콕시, C1-8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C1-8알킬아미노, C3-20헤테로아릴 또는 C5-20아릴이고,
    n1, n2, n3 및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CH2)t(V(CH2)u)v-이고, 여기에서, t은 0 내지 8의 정수이고, u는 0 내지 12의 정수이며, v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V는 단일결합 또는 -O-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CH2)t(V(CH2)u)v-이고, 여기에서, t은 2의 정수이고, u는 2의 정수이며, v는 2의 정수이고, V는 -O-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Figure pat00195
    ,
    Figure pat00196
    ,
    Figure pat00197
    또는
    Figure pat00198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L1은 단일결합 또는 C2-8알케닐이며, R11은 H 또는 C1-6알킬이고, L2는 C2-8알케닐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z는 -O-NH2, -NH2, N3, -OCH3, -OCH2CH3, -O(CH2)2CH3, 또는
    Figure pat00199
    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C(=O)-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또는 -NH-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1, Z2, Z3, Z1′, Z2′, 및 Z3′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N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 및 A-2는
    Figure pat00200
    ,
    Figure pat00201
    ,
    Figure pat00202
    또는
    Figure pat00203
    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며,
    Za는 Z1 또는 Z1′이고,
    Zb는 Z2 또는 Z2′이며,
    Zc는 Z3 또는 Z3′이고,
    Z1, Z2, Z3, Z1′, Z2′ 및 Z3′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며,
    R1 또는 R1′은 Za에 연결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204
    ,
    Figure pat00205
    또는
    Figure pat00206
    이고,
    여기에서,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며,
    Za는 Z1 또는 Z1′이고,
    Zb는 Z2 또는 Z2′이며,
    Zc는 Z3 또는 Z3′이고,
    Z1, Z2, Z3, Z1′, Z2′, 및 Z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N 또는 S이고,
    R1 또는 R1′은 Za에 연결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 및 a2는 1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1은 결합, -NH- 또는 -C(=O)-이고, e1은 1 내지 5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2는 결합, C1-5 알킬렌, 또는-((CH2)p(CH2E11))q-이고,
    E2가 -((CH2)p(CH2E11))q-일 때, E11은 O이며,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15의 정수이며,
    e2는 1 내지 5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5 알킬, (CH2)mOH 또는 (CH2)mNH2이고, m은 1 내지 7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1은 -OH, -OCH3, -SH, -SCH3,
    Figure pat00207
    또는
    Figure pat00208
    이고,
    F11 및 F12는 각각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며,
    F21, F22 및 F22′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H2)rCH3, -(CH2)rOH, -(CH2)rNH2, -F33(CH2)rCH3, -F33(CH2)rOH, -F33(CH2)rNH2, 또는 링커(Linker) II에서 선택되고, F33은 -C(=O)-, -NH-, 또는 -C(=NH)-에서 선택되며,
    F21′은 =CH2, =NH, =F33′(CH2)rCH3, =F33′(CH2)rOH, =F33′(CH2)rNH2, 또는 링커(Linker) II에서 선택되고, F33′은 =N-, =CH-, =C(OH)- 또는 =C(NH2)-에서 선택되며,
    F21, F22 및 F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CH3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V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Figure pat00209
    (V)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210
    부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링커 또는 수소와 결합하며, 여기에서 제1링커는 상기 링커 I 또는 링커 II이고;
    SL은 제2링커를 의미하며, 제2링커는 하기 식 VI이고,
    L′-Rzz′ (VI)
    상기 식에서, L′ 및 Rzz′은 각각 상기 화학식 IV의 L 및 Rz와 동일하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커는 최소 하나 이상의 브랜칭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은 -C(O)-, -C(O)NRv-, -C(O)O-, -(CH2)n1-NHC(O)-(CH2)n2-, -(CH2)n3-C(O)NH-(CH2)n4-, -(CH2)n1-NHC(O)-(CH2)n2-C(O)-, -(CH2)n3-C(O)NH-(CH2)n4-C(O)-, -S(O)2NRv-, -P(O)RwNRv-, -S(O)NRv-, 및 -PO2NRv-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v 및 Rw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8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1-8알콕시, C1-8알킬티오, 모노- 또는 다이-C1-8알킬아미노, C3-20헤테로아릴 또는 C5-20아릴이며,
    n1, n2, n3 및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L′은 하나 이상의 브랜칭 유닛 및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브랜칭 유닛은 C2-8알케닐, 친수성(hydrophilic) 아미노산, -C(O)-, 및 -C(O)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연결 유닛은 -(CH2)t(V(CH2)u)v-이며,
    여기에서, t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u는 2의 정수이며, v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V는 -O-이며;
    Rzz′은 -O-NH2, -NH2, N3, -OCH3, 또는 -OCH2CH3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211
    ,
    Figure pat00212
    ,
    Figure pat00213
    ,
    Figure pat00214
    ,
    Figure pat00215
    ,
    Figure pat00216
    ,
    Figure pat00217
    ,
    Figure pat00218
    ,
    Figure pat00219
    ,
    Figure pat00220
    ,
    Figure pat00221
    ,
    Figure pat00222
    , 및
    Figure pat00223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224
    ,
    Figure pat00225
    ,
    Figure pat00226
    , 및
    Figure pat00227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228
    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4. 화학식 VI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P′-B′-D′ (VII)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P와 동일하고;
    B′는 Ba′-Bb′-Bc′이며,
    여기에서, Ba′는 결합, -O-, -NH-, -S-, -C(=O)-, -S(=O)-, -(CH2)n′(C=O)-, -(CH2)n′-, C6-10 아릴렌,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 -((CH2)n′B1)m′B2-이고, 여기에서 B1 및 B2는 각각 CH2, NH, O, 또는 S이며,
    Bb′는 결합, C5-20 아릴렌, C5-20 사이클로알킬렌,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인,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5 내지 20-원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 또는 5 내지 20-원 헤테로아릴렌이며,
    Bc′는 결합, -O-, -NH-, -S-, -C(=O)-, -S(=O)-, -CH2(C=O)-, -(CH2)n′- 또는 -(CH2CH2O)n′-이고,
    여기에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며,
    D′는 상기 D와 동일하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Ba′는 결합, -(CH2)n′- 또는 -(CH2)n′B2-이고, 여기에서 B2는 O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Bb′는 결합,
    Figure pat00229
    ,
    Figure pat00230
    ,
    Figure pat00231
    , 또는
    Figure pat00232
    이고,
    여기에서, 상기 점선은 이중결합이거나 단일결합을 의미하며,
    B1′, B2′ 및 B3′는 각각 독립적으로 C, N, 또는 S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Bc′은 결합, -C(=O)-, -NH- 또는 -(CH2CH2O)n-이고, 여기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D′은 D와 동일하며, a1+a2는 2를 제외한 1 내지 10의 정수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VII의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Figure pat00233
    ,
    Figure pat00234
    ,
    Figure pat00235
    ,
    Figure pat00236
    ,
    Figure pat00237
    ,
    Figure pat00238
    ,
    Figure pat00239
    ,
    Figure pat00240
    ,
    Figure pat00241
    ,
    Figure pat00242
    ,
    Figure pat00243
    ,
    Figure pat00244
    ,
    Figure pat00245
    ,
    Figure pat00246
    ,
    Figure pat00247
    ,
    Figure pat00248
    ,
    Figure pat00249
    ,
    Figure pat00250
    ,
    Figure pat00251
    ,
    Figure pat00252
    ,
    Figure pat00253

    Figure pat00254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40.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항체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아제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모티프를 갖는 것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아제는 FTase(farnesyl protein
    transferase) 또는 GGTase(geranylgeranyl transferase)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모티프가 CYYX, XXCC, XCXC 또는 CXX이고,
    여기에서 C는 시스테인, Y는 지방족 아미노산, X는 이소프레노이드 트랜스퍼라아제의 기질 특이성을 결정하는 아미노산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링커-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5. 제40항에 따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6. 제40항에 따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7. 제40항에 따른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리간드 접합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1종 이상의 치료적 공동-작용제(therapeutic co-agent);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88314A 2019-12-31 2020-12-30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KR20210086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9748 2019-12-31
KR1020190179748 2019-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557A true KR20210086557A (ko) 2021-07-08

Family

ID=7668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314A KR20210086557A (ko) 2019-12-31 2020-12-30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10640A1 (ko)
EP (1) EP4086268A1 (ko)
JP (1) JP2023508508A (ko)
KR (1) KR20210086557A (ko)
CN (1) CN115210247A (ko)
BR (1) BR112022013008A2 (ko)
WO (1) WO2021137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12324A (ja) 2021-03-05 2024-03-19 ジーオ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グリコcd44抗体およびその使用
CA3228178A1 (en) 2021-08-05 2023-02-09 Go Therapeutics, Inc. Anti-glyco-muc4 antibodies and their uses
CN113651721A (zh) * 2021-09-23 2021-11-16 苏州昊帆生物股份有限公司 3-(叔丁氧羰基甲氨基)丙酸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83B1 (ko) 2002-11-14 2011-08-25 스피로젠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KR101891859B1 (ko) 2011-10-14 2018-08-24 메디뮨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KR101960130B1 (ko) 2012-04-30 2019-03-19 메디뮨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KR101995620B1 (ko) 2012-10-12 2019-07-03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체 컨주게이트
KR20190100412A (ko) 2017-02-08 2019-08-28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체 컨주게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06199D1 (de) * 2005-10-05 2009-05-20 Spirogen Ltd 4-ä4-(5-oxo-2,3,5,11a-tetrahydro-5h-pyrrolo ä2, 1-cüä1,4übenzodiazepin-8-yloxy)-butyrylaminoü-1h-pyrrol-2-carbonsäurealkylesterderivate und verwandte verbindung zur behandlung einer proliferativen erkrankung
EP3610889A1 (en) 2011-05-08 2020-02-19 LegoChem Biosciences, Inc. Protein-active agent conjugat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3268046A4 (en) 2015-03-13 2018-11-21 Endocyte, Inc. Conjugates for treating diseases
US11413353B2 (en) 2015-11-25 2022-08-16 Legochem Biosciences, Inc. Conjugates comprising self-immolative group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TW201808936A (zh) * 2016-05-18 2018-03-16 美商梅爾莎納醫療公司 吡咯并苯并二氮呯類及其共軛物
US10526294B2 (en) 2016-06-24 2020-01-07 Mersana Therapeutics, Inc.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DK3579883T3 (da) 2017-02-08 2021-09-06 Adc Therapeutics Sa Pyrrolobenzodiazepin-antistofkonjugater
CA3058360A1 (en) 2017-03-29 2018-10-04 Legochem Biosciences, Inc. Pyrrolobenzodiazepine dimer prodrug and ligand-linker conjugate compound of the same
KR20200084802A (ko)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안전성이 향상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이량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501394B1 (ko) 2019-05-02 2023-02-21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트리스 구조를 가지는 링커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83B1 (ko) 2002-11-14 2011-08-25 스피로젠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KR101891859B1 (ko) 2011-10-14 2018-08-24 메디뮨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KR101960130B1 (ko) 2012-04-30 2019-03-19 메디뮨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KR101995620B1 (ko) 2012-10-12 2019-07-03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체 컨주게이트
KR20190100412A (ko) 2017-02-08 2019-08-28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체 컨주게이트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edawn I. Khalaf 외 2명, DNA Minor Groove Binders-Inspired by Nature, Acta Chim. Slov. 2016, 63, 689-704
Antonow D, Thurston DE (2011) Synthesis of DNA-interactive pyrrolo[2,1-c][1,4]benzodiazepines (PBDs). Chem Rev 111: 2815-2864. doi: 10.1021/cr100120f
Hu Y, Phelan V, Ntai I, Farnet CM, Zazopoulos E, Bachmann BO. Benzodiazepine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refuineus. Chem Biol. 2007 Jun;14(6):691-701.
Masterson, Luke 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pyrrolo[2,1-c][1,4]benzodiazepine prodrugs for use in antibody directed enzyme prodrug therapy,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6(2), 252-256 (2006)
Parijat Majumder 외 6명, Minor Groove Binder Distamycin Remodels Chromain but Inhibits Transcription, PLoS One. 2013; 8(2): e57693
Parijat Majumder, Dasgupta D (2011), Effect of DNA Groove Binder Distamycin A upon Chromatin Structure, PLOS ONE 6(10): e26486
Zhang, Donglu et al, Linker Immolation Determines Cell Killing Activity of Disulfide-Linked Pyrrolobenzodiazepine Antibody-Drug Conjugates,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7(11), 988-993 (2016)
정근영, 항암 화학요법의 소개 및 치료동향, BRIC View 2016-T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46A1 (ko) 2021-07-08
CN115210247A (zh) 2022-10-18
US20230310640A1 (en) 2023-10-05
BR112022013008A2 (pt) 2022-09-06
EP4086268A1 (en) 2022-11-09
JP2023508508A (ja)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250B1 (ko)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이량체 전구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화합물
KR101671360B1 (ko) 표적화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접합체
KR20210086557A (ko)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링커 접합체
EP3907226A2 (en) Pyrrolobenzodiazepine dimer compound with improved safety and use thereof
IL261759A (en) A process for making drug binders that are converted to polyethylene glycol and their intermediates
JP2023105175A (ja) グルクロニド薬物-リンカーの調製の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その中間体
KR10259107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이량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BR112017018706B1 (pt) Agentes citotóxicos bifuncionais contendo o farmacoforo cti,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os mesmos
TWI839055B (zh) 聚乙二醇化的藥物-連接劑及其中間體
EP3917933A1 (en) Duocarmycin analogues
TW202334176A (zh) 新穎的澳瑞他汀(auristatin)類似物及其免疫綴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