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134A -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34A
KR20210085134A KR1020190177866A KR20190177866A KR20210085134A KR 20210085134 A KR20210085134 A KR 20210085134A KR 1020190177866 A KR1020190177866 A KR 1020190177866A KR 20190177866 A KR20190177866 A KR 20190177866A KR 20210085134 A KR20210085134 A KR 2021008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rice cooker
wireless induction
guide
inn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규
남현식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134A/ko
Priority to CN202080096644.9A priority patent/CN115103617B/zh
Priority to PCT/KR2020/007416 priority patent/WO2021137365A1/en
Priority to US16/902,436 priority patent/US11445579B2/en
Publication of KR2021008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위치를 유도가열장치의 워킹 코일 상에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고 내부에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내솥, 상기 내솥의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에 따라 상기 내솥 외면에 나란히 배열되는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 모듈이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위치를 유도가열장치의 워킹 코일 상에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무선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다양한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밥솥 시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취사물을 가열하는 방식이 아닌, 유도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취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기장을 이용한 가열 방식은 유도가열장치와 밥솥에 의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유도가열장치와 밥솥 간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유도가열장치에서 밥솥으로 전력이 전송되고, 밥솥으로 전송된 전력이 밥솥 내 취사물을 가열함으로써 취반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서는 유도가열장치 내 워킹 코일과 밥솥 내 전력 수신 코일이 높은 결합 계수(coupling coefficient)로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워킹 코일과 전력 수신 코일이 정렬 (aligned)될 것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일본등록특허 제5943770호(이하, 선행문헌)와 같이, 유도가열장치 내 워킹 코일과 밥솥 내 전력 수신 코일의 정렬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선행문헌에 개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유도가열 밥솥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선행문헌에 기재된 도면(도 2 및 도 8)을 발췌한 것이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도면 부호는 선행문헌에 기재된 도면 부호와 일부 다를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유도가열 밥솥(1')은 취반 유닛(10)과 전원 유닛(20)을 포함한다. 취반 유닛(10) 내에서 내솥(60)은 내솥수용부(14)에 수용되며, 내솥수용부(14)의 하부에는 내솥(60)을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코일(15)이 구비된다. 또한, 취반 유닛(10)의 본체부(12) 바닥면에는 유도가열 코일(15)에 공급되는 전력을 전원 유닛(20)으로부터 수전하기 위한 가열용 수전 코일(16)이 구비된다.
한편, 전원 유닛(20)에는 수전 코일(16)과의 자기 결합을 위해 수전 코일(16)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전원 공급 코일(23)이 구비된다. 이 때, 수전 코일(16)과 전원 공급 코일(23)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취반 유닛(10)의 본체부(12)에는 취반 유닛(10)과 전원 유닛(20)을 상호 고정시키는 본체 잠금부(17)가 구비된다.
즉,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유도가열 밥솥(1')은 워킹 코일로서 기능하는 전원 공급 코일(23)과 수신 코일로서 기능하는 수전 코일(16)의 정렬을 위해, 수전 코일(16)이 고정 배치된 취반 유닛(10C)과, 전원 공급 코일(23)이 고정 배치된 전원 유닛(20C)을 본체 잠금부(17)를 통해 물리적으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선행문헌에 의하면 취반 유닛(10)이 특정 구조를 갖는 전원 유닛(20) 상에서만 동작해야 하는 한계가 있으며, 전원 유닛(20)이 아닌 다른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수전 코일(16)과 워킹 코일 간의 정렬을 보장할 수 없어 취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도가열장치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별개로 생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취사물의 조리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유도가열장치 상의 적절한 위치로 정렬시켜야 한다.
다만, 앞서 언급한 장치간 정렬의 필요성을 잘 알지 못하는 일반 사용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유도가열장치에 대략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의 워킹 코일 상에 일부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러한 장치간 오정렬에 의해 무선 유도가열 밥솥 내 취사물은 그 위치에 따라 설익거나 과열되므로, 사용자가 장치간 오정렬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정렬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 정렬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에 대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 상에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때, 정렬을 위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솥의 반경 방향에 따라 내솥 외면에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 정렬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통해 배치 상태에 대응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거나 유도가열장치를 통해 배치 상태에 대응하는 가이드 광을 출력함으로써, 유도가열장치에 대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통해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거나, 유도가열장치를 통해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 광을 출력함으로써, 유도가열장치 상에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때, 장치간 정렬을 위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 정렬되어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취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오배치를 사용자의 인지 없이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에 대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다시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오배치에 의한 취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 상에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때, 정렬을 위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유도가열 밥솥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세 개의 온도 센서가 내솥의 외면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각 온도 센서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내솥의 라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각 온도 센서가 도 7에 도시된 라운딩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워킹 코일에 일부 어긋나게 배치되었을 때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워킹 코일에 정렬되었을 때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워킹 코일에 일부 어긋나게 배치되었을 때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부(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위치를 유도가열장치의 워킹 코일 상에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과 이에 포함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유도가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세 개의 온도 센서가 내솥의 외면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각 온도 센서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내솥의 라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각 온도 센서가 도 7에 도시된 라운딩부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워킹 코일에 일부 어긋나게 배치되었을 때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워킹 코일에 정렬되었을 때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워킹 코일에 일부 어긋나게 배치되었을 때 유도가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1000)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과 유도가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과 유도가열장치(200)는 예시적인 것이며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취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유도가열장치(200)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워킹 코일(210)이 구비된 임의의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부 플레이트(220)에서 워킹 코일(210) 상에 놓여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워킹 코일(210)에는 유도가열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워킹 코일(210)에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 내 내솥(130)을 가열할 수 있고, 내솥(130)에 수납된 취사물은 가열 조리될 수 있다.
한편, 유도가열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유도가열장치(200)의 상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장치(200)는 노브 스위치(240)를 포함할 수 있고, 워킹 코일(210)의 출력은 노브 스위치(24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1000)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에서 먼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본체부(110), 뚜껑부(120), 내솥(130),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뚜껑부(120)는 그 내부에 증기 배출 모듈(121), 소음 저감 모듈(122), 압력추(123), 제어 모듈(124), 통신 모듈(125) 및 출력 모듈(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126) 및 스피커 모듈(12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하부 및 측부를 지지하는 케이스로, 예컨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110b)에 의해 하부는 밀폐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의 내부에서는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 내부에는 내솥(130)이 배치되며, 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은 내솥(130) 내부에 수납되어 가열 조리될 수 있다.
뚜껑부(12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상부를 밀폐하는 케이스로서, 개방된 본체부(11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고, 상면이 뚜껑 커버(120c)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 때,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에 힌지(hinge)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 상부 일면의 모서리에 구비된 힌지축(미도시)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 상부 모서리에 복수로 구비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본체부(110)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부(120)는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므로 뚜껑부(120)에 대한 청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부(120) 내부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24), 유도가열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25),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모듈(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126) 및 스피커 모듈(127))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뚜껑부(120)는, 전술한 제어 모듈(124), 통신 모듈(125), 출력 모듈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4), 통신 모듈(125) 및 출력 모듈은 다수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하는 물리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124), 통신 모듈(125) 및 출력 모듈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20) 내부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추(123)와, 제어 모듈(124)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모듈(121)(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뚜껑부(120)에는 증기 배출 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다수의 흡음 부재가 내부에 구비된 소음 저감 모듈(122)이 구비될 수 있다.
내솥(130)은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부(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10)가 원통 형상인 경우 내솥(13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내솥(130)은 유도가열장치(200)의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부에 놓인 경우, 내솥(130)의 하면과 워킹 코일(210)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0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13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고, 내솥(130)에는 유도된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할 수 있다.
유도 전류의 발생을 위해 내솥(130)은 자성을 띄는 임의의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30)은 철(Fe) 성분이 포함된 주철(cast iron)이나, 철(Fe)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을 접합시킨 클래드(clad)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솥(130)의 외부면에는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금속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열전도 효율의 향상을 위해 내솥(130)이, 열전도도가 높은 대신에 자성을 거의 또는 전혀 띄지 않는 물질(예컨대, 알루미늄(AI), 구리(Cu) 등)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솥(130)에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 전류가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에는, 내솥(130)의 열전도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내솥(130)에 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솥(130)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내솥(130)의 외부면에는 금속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는 자성을 띄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내솥(130)과 별개의 구성으로 본체부(110)에 수납될 수도 있고, 금속 용사(metal spraying) 등의 공정을 통해 내솥(130) 외부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에는 자기장에 의한 열이 발생할 수 있고, 금속 플레이트에 발생한 열은 내솥(13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는 내솥(130)의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에 따라 내솥(130) 외면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온도 센서(140)는 내솥(13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임의의 접촉형(contact-type) 센서일 수 있고, 예컨대, 서미스터(thermistor), 감온 페라이트(thermo sensitive ferrit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각 온도 센서(140)는 내솥(130)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임의의 열전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셋 이상인 임의의 개수의 온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온도 센서(140)의 개수가 세 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각 온도 센서(140)를 제1 내지 제3 온도 센서(140a, 140b, 140c)로 지칭하도록 한다.
한편, 내솥(130)의 반경 방향은, 내솥(130)의 둘레를 따라 정의되는 방향으로서, 내솥(130)이 원통 형상인 경우 원통의 둘레 방향일 수 있고, 내솥(130)이 다각 기둥 형상인 경우 다각 기둥의 둘레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는 본체부(110) 내부에서 원통 형상의 내솥(130)의 외주면에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의 위치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는 내솥(130) 외면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느 한 온도 센서(140)와 나머지 온도 센서(140)들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다른 한 온도 센서(140)와 나머지 온도 센서(140)들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내솥(130)의 중심 수직선(CL)과 각 온도 센서(140a, 140b, 140c)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각 온도 센서(140a, 140b, 140c)는 내솥(1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중심 수직선(CL)과 제1 내지 제3 온도 센서(140a, 140b, 140c)까지의 거리는 모두 D1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중심 수직선(CL)과 각 온도 센서(140)까지의 거리는 중심 수직선(CL)의 법선(normal) 방향의 거리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부(110)의 바닥면(110b)으로부터 각 온도 센서(140)까지의 높이(z축 방향(도 3의 좌표축 참조)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a, 140b, 140c) 중 인접하여 배치되는 임의의 두 온도 센서(140)가 내솥(130)의 중심 수직선(CL)과 이루는 중심각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온도 센서(140a)와 제2 온도 센서(140b)가 중심 수직선(CL)과 이루는 중심각은 θ일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온도 센서(140b)와 제3 온도 센서(140c)가 중심 수직선(CL)과 이루는 중심각 또한 θ일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3 온도 센서(140c)와 제1 온도 센서(140a)가 중심 수직선(CL)과 이루는 중심각 역시 θ일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는 내솥(130)의 라운딩부(RA)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솥(130)은 취사물의 조리 완료 이후 해당 취사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라운딩부(RA)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딩부(RA)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반경(R1)으로부터 내솥(130)의 최대 반경(R2) 사이에서, 내솥(130)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130)의 표면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열 전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넓은 면적의 내솥(130) 외면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각 온도 센서(140)는 구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부피로 내솥(130) 외면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다만, 최대 가열 효율을 위해 온도 센서(140)을 워킹 코일(210)과 수직적으로 배치되는 내솥(130)의 측면에 배치하는 경우, 온도 센서(140)의 높이와 취사물의 높이에 따라 내솥(1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효율의 저하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 온도 센서(140)는 상대적으로 가열 효율이 낮은 라운딩부(RA)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라운딩부(RA)에서는 내솥(130)과 워킹 코일(210) 간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라운딩부(RA)의 열 발생량은 워킹 코일(210)과 평행한 내솥(130)의 하면보다 낮을 수 있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a, 140b, 140c)는 라운딩부(RA)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온도 센서(140)가, 열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라운딩부(RA)의 외면에 배치됨으로써, 내솥(130)에 대한 전체 열 발생량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내솥(1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온도 센서(140)의 측정값을 이용한 제어 모듈(124)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과 유도가열장치(200)의 동작을 구분 설명하기 위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에 포함된 제어 모듈 및 통신 모듈을 각각 제1 제어 모듈(124) 및 제1 통신 모듈(125)로 지칭하도록 하며, 유도가열장치(200)에 포함된 제어 모듈 및 통신 모듈을 각각 제2 제어 모듈(270) 및 제2 통신 모듈(260)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26) 및 스피커 모듈(127)을 포함하는 출력 모듈과, 제1 통신 모듈(125) 및 각 온도 센서(140)는 제1 제어 모듈(1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제1 제어 모듈(124)은 각 온도 센서(140)로부터 측정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24)은 각 온도 센서(14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배치 상태에 따라 출력 모듈이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상태는 유도가열장치(200)에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배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정배치 상태와 오배치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배치 상태는 유도가열장치(200) 내 워킹 코일(210)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 내 내솥(130)의 위치가 일정 수준 이상 정렬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오배치 상태는 유도가열장치(200) 내 워킹 코일(210)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 내 내솥(130)의 위치가 일정 수준 이상 어긋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유도가열장치(200) 상에 정렬된 경우,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130)에 균등하게 제공되므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각 온도 센서(140)의 측정값은 동일하거나 서로 유사할 수 있다.
반면에,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유도가열장치(200) 상에 오정렬된 경우, 워킹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130)에 불균등하게 제공되므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각 온도 센서(140)의 측정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24)은 이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에 따른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제어 모듈(124)은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모듈(124)은 각 온도 센서(140)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차이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각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24)은 각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이면 배치 상태를 정배치 상태로 결정할 수 있고, 각 차이값 중 어느 한 차이값이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배치 상태를 오배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11a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의 정 중앙에 배치된 경우(정렬 상태), 제1 내지 제3 온도 센서(140a, 140b, 140c)의 측정값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24)은 제1 온도 센서(140a)의 측정값과 제2 온도 센서(140b)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1 차이값과, 제2 온도 센서(140b)의 측정값과 제3 온도 센서(140c)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2 차이값과, 제3 온도 센서(140c)의 측정값과 제1 온도 센서(140a)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3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어 모듈(124)은 제1 내지 제3 차이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제1 내지 제3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이면 배치 상태를 정배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10a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의 정 중앙에서 어긋나게 배치된 경우(오정렬 상태), 전술한 정렬 상태에 비해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0a, 140b)의 위치가 워킹 코일(210)의 중앙에서 -x축 방향으로 벗어남에 따라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0a, 140b)의 측정값은 낮아질 수 있고, 제3 온도 센서(140c)의 위치가 워킹 코일(210)의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온도 센서(140c)의 측정값은 높아질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24)은 앞선 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3 차이값을 산출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1 차이값은 기준값 이내일 수 있으나, 제2 및 제3 차이값은 기준값을 초과할 수 있고, 이 때, 제1 제어 모듈(124)은 배치 상태를 오배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유도가열장치(200) 상에 정렬되어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취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오배치를 사용자의 인지 없이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다.
배치 상태가 결정되면, 제1 제어 모듈(124)은 출력 모듈이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신호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임의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출력 모듈이 스피커 모듈(127)을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 모듈(127)은 제어 모듈(124)의 제어에 따라 가이드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신호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올바르게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었음을 알리는 기계음으로 출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신호는 배치 상태에 따라 달리 녹음된 육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출력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126)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26)은 제어 모듈(124)의 제어에 따라 가이드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신호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올바르게 또는 어긋나게 배치되었음을 알리는 색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200)에 대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을 다시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오배치에 의한 취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 모듈(124)은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140)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출력 모듈이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거리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에 대해 어긋난 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가이드 방향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이동이 요구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이드 거리와 가이드 방향은 각각 크기와 거리로 표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x축 및 y축에 관한 벡터(vector)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도 10a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워킹 코일(21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일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 모듈(124)은 제1 온도 센서(140a)의 측정값과 제2 온도 센서(140b)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1 차이값과, 제2 온도 센서(140b)의 측정값과 제3 온도 센서(140c)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2 차이값과, 제3 온도 센서(140c)의 측정값과 제1 온도 센서(140a)의 측정값의 차이값인 제3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24)은 제1 내지 제3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모듈(124)은 메모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Look-Up Table; LUT)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차이값에 대응하는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124)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차이값에 대응하는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a의 경우 제1 제어 모듈(124)은 가이드 거리를 5cm로 결정할 수 있고, 가이드 방향을 +x축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 모듈(124)은 디스플레이 모듈(126)이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26)에서 텍스트, 게이지(gauge), GUI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방향은 화살표 모양의 GUI(126a)로 출력될 수 있고, GUI(126a)의 길이는 가이드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살표 모양의 GUI(126a)가 가리키는 방향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이동이 요구되는 방향으로서 +x축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화살표 모양의 길이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에 대해 어긋난 거리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10cm만큼 어긋난 경우, 화살표 모양의 GUI(126a)가 가리키는 방향을 +y축 방향일 수 있고, 화살표 모양의 길이는 도 10b에 도시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 내 제1 제어 모듈(124)에 의해 배치 상태가 결정된 경우, 유도가열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유도가열장치(200)는 전술한 워킹 코일(210) 외에도 발광 모듈(250) 및 제2 통신 모듈(260)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가 결정되면, 제1 통신 모듈(125)은 배치 정보를 유도가열장치(200) 내 제2 통신 모듈(26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정보는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도가열장치(200) 내 제2 제어 모듈(270)은 제2 통신 모듈(260)을 통해 수신된 배치 정보에 따라, 발광 모듈(250)이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가이드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광 모듈(250)은 배치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색깔의 광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배치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발광 모듈(250)은 유도가열장치(200)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모듈(250)은 유도가열장치(200)의 전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워킹 코일(210)이 배치된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발광 모듈(250)은 빛을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모듈(2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부 플레이트(220) 상에서 워킹 코일(2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모듈(250)은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250')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발광 소자(250')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워킹 코일(210)을 둘러싸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1a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에 정렬됨에 따라 제1 제어 모듈(124)은 배치 상태를 정배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모듈(260)은 정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제어 모듈(270)은 발광 모듈(250)이 정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가이드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가 정배치 상태인 경우, 발광 모듈(250)을 구성하는 모든 발광 소자(250')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가 오배치 상태인 경우, 발광 모듈(250)은 가이드 광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200)에 대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을 다시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오배치에 의한 취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치 정보가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포함하는 경우, 발광 모듈(250)은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에 따른 가이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0a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배치 상태가 오배치 상태일 때, 제2 통신 모듈(260)을 통해 수신된 배치 정보 내에는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제어 모듈(270)은 발광 모듈(250)이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에 따른 가이드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 모듈(250)은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25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250')로 구성될 때, 발광 모듈(250)은 복수의 발광 소자(250') 중 가이드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광 소자(25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발광 소자(250')의 배치 방향은 x축 및 y축에 관한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거리와 가이드 방향 또한 x축 및 y축에 관한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첫 번째 예에서, 발광 모듈(250)은 가이드 거리와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와 가장 유사한 벡터를 갖는 어느 한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오배치된 경우, 가이드 거리와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는 +x축 방향으로 일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발광 모듈(250)은 +x축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배치된 어느 한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두 번째 예에서, 발광 모듈(250)은 가이드 거리와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와 가장 유사한 벡터를 갖는 어느 한 발광 소자(250')와, 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배치된 경우, 발과 모듈은 +x축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배치된 어느 한 발광 소자(250')와 이와 인접한 복수의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인접한 복수의 발광 소자(250')의 개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발광 모듈(250)은 가이드 거리에 따라 가이드 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광은 발광 소자(250')의 출력 면적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광 소자(250')가 일정 길이를 가질 때, 가이드 광이 출력되는 면적에 따라 가이드 광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앞선 첫 번째 예에서, 어느 한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이 출력될 때, 가이드 광의 길이는 가이드 거리, 즉,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워킹 코일(210)에 대해 어긋난 거리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선 두 번째 예에서, 어느 한 발광 소자(250')와 이에 인접한 복수의 발광 소자(250')를 통해 가이드 광이 출력될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발광 소자(250')에 의해 출력되는 가이드 광의 길이는 가이드 거리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고, 이에 인접한 복수의 발광 소자(250')에 의해 출력되는 가이드 광의 길이는 어느 한 발광 소자(250')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200) 상에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때, 정렬을 위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을 정렬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8)

  1.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고 내부에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내솥;
    상기 내솥의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에 따라 상기 내솥 외면에 나란히 배열되는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출력 모듈이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본체부에 탈착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는 상기 내솥 외면에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중심 수직선과 각 온도 센서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는 상기 내솥의 라운딩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의 높이는 동일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 중 인접하여 배치되는 임의의 두 온도 센서가 상기 내솥의 중심 수직선과 이루는 중심각은 모두 동일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배치 상태를 정배치 상태 및 오배치 상태로 결정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모듈이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나타내는 상기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방향은 화살표 모양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출력되고, 상기 GUI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4. 워킹 코일을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가열장치; 및
    상기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내솥의 반경 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유도가열장치에 배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유도가열장치는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가이드 광을 발광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배치 정보를 상기 유도가열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배치 정보에 포함된 가이드 거리 및 가이드 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광을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상기 가이드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통해 상기 가이드 광을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가이드 거리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광의 길이를 조절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KR1020190177866A 2019-12-30 2019-12-3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KR20210085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66A KR20210085134A (ko) 2019-12-30 2019-12-3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CN202080096644.9A CN115103617B (zh) 2019-12-30 2020-06-08 无线感应加热炊具和包括该炊具的无线感应加热***
PCT/KR2020/007416 WO2021137365A1 (en) 2019-12-30 2020-06-08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6/902,436 US11445579B2 (en) 2019-12-30 2020-06-16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66A KR20210085134A (ko) 2019-12-30 2019-12-3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34A true KR20210085134A (ko) 2021-07-08

Family

ID=7654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866A KR20210085134A (ko) 2019-12-30 2019-12-3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45579B2 (ko)
KR (1) KR20210085134A (ko)
CN (1) CN115103617B (ko)
WO (1) WO2021137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01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가열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595A (en) 1975-01-09 1976-05-25 Sperry Rand Corporation Digital signal multiplexer/concentrator
CN85203016U (zh) * 1985-07-11 1986-04-30 沈阳市第一住宅建筑公司 热水采暖自动间歇质调节控制***
US5512733A (en) * 1989-12-14 1996-04-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oker
WO1991009508A1 (en) * 1989-12-14 1991-06-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oker
CN2733810Y (zh) * 2004-09-14 2005-10-12 深圳市拓邦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红外测温电磁加热器具
JP5033733B2 (ja) * 2008-07-31 2012-09-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078945B2 (ja) * 2009-05-08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調理器
US9565970B2 (en) * 2011-04-14 2017-02-14 Electrodomesticos Taurus Sl Cooking system including a cooking hob and a cooking vessel
JP5455995B2 (ja) * 2011-09-05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943770B2 (ja) 2012-08-09 2016-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炊飯器
US10973368B2 (en) * 2012-12-12 2021-04-13 The Vollrath Company, L.L.C. Three dimensional induction rethermalizing stations and control systems
JP2016519415A (ja) * 2013-05-23 2016-06-30 マイヤ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リミテッド 低圧調理方法及びそのために適合された調理槽
EP3058130B1 (en) 2013-10-16 2021-12-08 Saronikos Trading and Services, Unipessoal Ld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5894713B (zh) * 2016-05-05 2017-11-07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基于非接触式温度检测的安全监控方法
US10356853B2 (en) * 2016-08-29 2019-07-16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frared temperature sensing in induction cooking systems
JP6786712B2 (ja) * 2017-05-12 2020-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システム
JP6932073B2 (ja) * 2017-12-01 2021-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09377343U (zh) * 2018-07-10 2019-09-13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
JP6710257B2 (ja) * 2018-11-07 202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201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가열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365A1 (en) 2021-07-08
CN115103617B (zh) 2024-01-26
US20210204369A1 (en) 2021-07-01
US11445579B2 (en) 2022-09-13
CN115103617A (zh)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080B2 (en)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KR102309295B1 (ko) 용기받침대
JP6849816B2 (ja) 加熱調理装置
JP2007026789A (ja) 電磁調理器
JP5178640B2 (ja) 加熱装置
JP6109207B2 (ja) 温度センサプローブ、及び加熱調理器
JP6961779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JP6591049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及び調理装置
GB2553906B (en) Induction heated cooking vessel
KR20210085134A (ko)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KR20150104657A (ko) 용기 가열 장치
JP6223481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温度検知装置
JP6768464B2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CN206044338U (zh) 一种基于云端服务的智能电磁饭煲
JP6270906B2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20210066227A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JP2016201211A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20200101804A (ko)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JPWO2019044169A1 (ja) 電気炊飯器
JP52140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10078795A (ko) 피가열체의 물리적 상태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0054515A1 (ja) 調理器
KR20210083568A (ko) 피가열체의 속성에 기초하여 화력이 조절되는 전기 레인지
JP6523894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76224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