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194A -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194A
KR20210081194A KR1020190173491A KR20190173491A KR20210081194A KR 20210081194 A KR20210081194 A KR 20210081194A KR 1020190173491 A KR1020190173491 A KR 1020190173491A KR 20190173491 A KR20190173491 A KR 20190173491A KR 20210081194 A KR20210081194 A KR 2021008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ame
wearing means
sensing signal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오
Original Assignee
강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오 filed Critical 강연오
Priority to KR102019017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194A/ko
Publication of KR2021008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1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involving bio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limb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세계의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자세를 게임 내 캐릭터에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용 수단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들과, 캐릭터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자세 및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의 캐릭터를 포함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STEREOSCOPIC G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세계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여 이를 게임 내 캐릭터에 반영할 수 있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컴퓨터 게임과 오프라인 게임은 별도로 발전되어 왔다. 온라인 컴퓨터 게임은 완전한 가상세계에서만 이루어지고, 컴퓨터 간의 온라인 접속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오프라인 게임은 카드 게임, 보드 게임 등과 같이 한정적인 게임 컨텐츠만 제공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최근 오프라인 현실세계의 정보를 온라인 가상세계에 반영하기 위하여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작용을 하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이 많이 개발되어 왔고, 이러한 가상현실은 게임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0379호는 카메라를 이용한 카드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카드를 카메라로 인식하여 이를 온라인 게임에 반영하고,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게임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9463호는 혼합현실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웹캠과 마커를 이용하여 각 마커에 맵핑된 동영상, 3D 객체, 게임 등 각 종 디지털콘텐츠를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9873호는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연계한 로봇 게임 시스템 및 로봇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상의 실제 로봇의 움직임이 온라인상에서의 로봇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 상에서의 가상 로봇의 움직임으로 반영되어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두 장르의 게임이 연계된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현재 아케이드 시장은 체감형과 비디오 게임기기로 양분화되어 있으며 시장 포화상태로서 신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탑재한 제품의 출시로 침체 되어 있는 시장 활성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의 시장상황의 체감형 아케이드 기기는 기존제품의 업그레이드 버전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비디오형 게임기기는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2D 내지 3D 그래픽과 디스플레이 기술 안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입체 영상, 그리고 체감형 게임 시장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차원(이하, 3D)의 입체 영상에 관한 처리 및 디스플레이 기술은 방송 분야뿐만 아니라 통신 분야, 의료 분야 및 항공 분야에 있어서도 매우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그리고 체감형 게임 시장에서 현재 단순형 라이더 기기는 한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극장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4D 라이더 기기 체험관, 2D 라이더는 아케이드화 되어 있으나 컨텐츠와 모션 플랫폼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3D 컨텐츠(위치정보, 기타 물리정보)의 신호를 체감형 시뮬레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모션 콘트롤 SDK(Software Development Kit)의 표준화된 기술로 체감형 시뮬레이터 게임, 영상시장과 산업, 과학 분야의 시장의 급신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그동안 군사, 의료, 훈련분야에 제한되었던 시뮬레이터 장치가 디스플레이기술 발전, 3D 입체영화에 대한 기술 및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4D 극장용 시스템의 활성화 등 일반인을 위한 대형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에서 유니버셜 스튜디오 등 일부 테마파크에서 흥행하던 3D 입체영상 및 4D 체감형 시뮬레이터 산업이 도심형으로 발전함에 따라 4D 산업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 한 단계 발전된 형식의 3D 입체 영상기술과 모션 플랫폼 라이더의 자체기술 개발에 의한 국산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체감형 입체영상 컨텐츠에 기반하여 인터랙티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시스템과 같은 체감형 5D 시스템 개발을 완성하여 극장식 체험관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0001)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9463호(2011.10.07.) 0002)한국등록특허 제10-0969873호(2010.07.06)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착용 또는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자세 정보를 감지한 후 이를 기반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랙티브한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회전 움직임 및 공중 돌기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여 게임 캐릭터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역동적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용 수단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들과, 캐릭터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자세 및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의 캐릭터를 포함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부착된 등받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수단은 후면이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는 타측이 회전형 베어링을 갖는 조인트부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착용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부는 천정에 고정되며,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된 센서는 상기 착용 수단의 회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은 천정에 결합되고 회전형 베어링을 갖는 조인트부와, 일측이 상기 조인트부에 전후좌우 및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지지대와, 일측이 상기 제 1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 1 지지대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착용 수단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 2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된 센서는 상기 착용 수단의 회전 및 전후좌우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수단은 양측이 제 1 및 제 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착용 수단을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 사이에서 공중 돌기가 가능하도록 상기 착용 수단과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결합되며,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된 센서는 공중 돌기와 같은 사용자의 회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에 대응되는 구현 화면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표시하는 기기이거나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 Head Up Display)이거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IoT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되는 센서는 롤(Roll), 피치(pitch) 및 요(Yaw)와 같은 정보를 센싱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롤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 수단의 좌우 기울어진 각도, 상기 피치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 수단의 앞뒤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요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착용 또는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자세 정보를 감지한 후 이를 기반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랙티브한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회전 움직임 및 공중 돌기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여 게임 캐릭터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역동적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착용 수단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착용 수단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착용 수단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착용 수단이 적용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착용 수단이 적용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부착된 착용 수단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은 크게 게임자인 사용자(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10), 센서(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내 캐릭터의 움직임을 반영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200), 컴퓨팅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게임에 따른 영상과 영상 내 캐릭터의 자세 정보 및 동작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10)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100)에게 착용되거나 사용자(100)가 착용 가능한 착용 수단(110)에 장착되어 사용자(100)의 움직임 및 자세 정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10)는 사용자(100)가 착용한 착용 수단(110), 예컨대 등받이에 장착되어 사용자(100)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서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 위치 센서, 미끄러짐 감지가 가능한 촉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10)가 장착된 착용 수단(110)인 등받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대(20), 예컨대 봉 형태의 지지대(20)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수단(110)은 사용자의 등에 착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그 후면이 지지대(20)의 일측과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0)의 타측은 천정(1)에 회전형 베어링을 갖는 조인트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착용 수단(110)을 통해 지지대(20)와 연결되고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전후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0)가 지지대(20)를 기준으로 등받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등받이에 부착된 센서(10)는 회전 움직임, 전후진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며, 사용자(100)의 신체 부위에 착용하고 있는 센서(10), 예컨대 손목, 발목 및 발바닥 등에 착용된 센서는 사용자(100)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10)가 장착된 착용 수단(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지지대(30, 32)에 전후좌우 및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수단(110)은 후면이 제 2 지지대(32)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 2 지지대(32)의 타측은 제 1 지지대(30)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 1 지지대(3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대(30)의 타측은 천정(1)에 고정되고 회전 베어링을 구비한 조인트부(12)에 전후좌우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착용 수단(110)을 착용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지지대(30, 32)를 기준으로 회전,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면(2)과 사용자(100)가 접촉되는 부분, 예컨대 신발에 장착되는 센서(10)는 촉각 센서로서, 사용자(100)의 전후좌우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천정(1)에 회전형 베어링을 갖는 조인트부(12)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10)가 장착된 착용 수단(110)은 제 3 및 제 4 지지대(40, 42)에 전후좌우 및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수단(110)은 후면이 제 3 지지대(4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 3 지지대(40)의 타측은 제 4 지지대(42)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 4 지지대(4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4 지지대(42)의 타측은 지면(2)에 고정되고 회전 베어링을 구비한 조인트부(12)에 전후좌우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착용 수단(110)을 착용한 사용자는 제 3 및 제 4 지지대(40, 42)를 기준으로 회전,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10)는 사용자(100)의 신체에 웨어러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0)는 사용자(100)의 각 신체 부위, 예컨대 팔, 발, 손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팔, 발, 손 등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0)는 스티커 형태로 사용자(100)의 신체 부위, 옷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10)들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와 무선, 예컨대 블루투스 LE(Low Energy), 적외선 통신, RF 통신 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 센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IoT(Internet Of Thing)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0)는 사용자(100)의 움직임(동작 등)을 감지하는 센싱 기능, 센싱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능 및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IoT 기기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캐릭터 움직임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100)의 게임 선택에 따라 선택된 게임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10)들과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100)의 자세,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센싱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롤(Roll), 피치(Pitch), 요(yaw) 등과 같은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100)의 좌우 기울림 정도, 앞뒤의 기울림 정도, Z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회전각) 등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100)의 실세계 상에서 자세 및 움직임 등을 감지하며, 감지한 움직임을 기반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사용자(100)의 각 신체에 부착된 센서(10)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팔의 움직임, 손 움직임, 발 움직임 등을 체크한 후 이를 기반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팔, 손, 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센서(10)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게임 내 캐릭터와 사용자(100)간의 자세 및 움직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각 센서(10)들과의 무선 연동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210),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모듈(220) 및 감지된 움직임을 기반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임 연동 모듈(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 모듈(220) 및 게임 연동 모듈(230)은 컴퓨팅 디바이스(200) 내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저장매체(미도시됨)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어 센싱 신호의 수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100)가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가상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100)가 게임을 선택함에 따라 게임 내 캐릭터 기반의 가상공간을 제공하며, 현실 공간 상에서 사용자(100)의 자세 및 움직임의 변화에 따라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이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제어에 따라 게임 내 가상 공간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구성하여 표시하거나 고글형식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100)가 착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 Head Up Display)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은 착용 수단(110)에 장착 또는 부착된 센서(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100)의 전체적인 자세 및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100)의 신체에 장착 또는 부착된 센서(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100)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무선 연결 설정을 통해 각 센서(10)들과 연결된다(S400).
이후, 사용자(100)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에서 제공되는 게임들 중 자신이 원하는 게임을 선택함에 따라(S402),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선택한 게임 진행을 위해 게임 캐릭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한다(S404).
그런 다음,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각 센서(1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며(S406), 수신한 센싱 신호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408).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감지된 사용자(100)의 움직임에 의거하여 게임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한다(S410).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센서 20 : 지지대
30 : 제 1 지지대 32 : 제 2 지지대
100 : 사용자 200 : 컴퓨팅 디바이스
210 : 무선 통신 모듈 220 : 감지 모듈
230 : 게임 연동 모듈 30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6)

  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용 수단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들과,
    캐릭터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자세 및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 및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의 캐릭터를 포함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부착된 등받이 형태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수단은 후면이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는 타측이 회전형 베어링을 갖는 조인트부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착용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부는 천정에 고정되며,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된 센서는 상기 착용 수단의 회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은,
    천정에 결합되고 회전형 베어링을 갖는 조인트부와,
    일측이 상기 조인트부에 전후좌우 및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지지대와,
    일측이 상기 제 1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 1 지지대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착용 수단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 2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된 센서는 상기 착용 수단의 회전 및 전후좌우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에 대응되는 구현 화면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표시하는 기기이거나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 Head Up Display)이거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인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수단에 부착되는 센서는 롤(Roll), 피치(pitch) 및 요(Yaw)와 같은 정보를 센싱한 후 이에 대응되는 센싱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롤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 수단의 좌우 기울어진 각도, 상기 피치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 수단의 앞뒤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요의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내 캐릭터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KR1020190173491A 2019-12-23 2019-12-23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KR20210081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91A KR20210081194A (ko) 2019-12-23 2019-12-23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91A KR20210081194A (ko) 2019-12-23 2019-12-23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94A true KR20210081194A (ko) 2021-07-01

Family

ID=7686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91A KR20210081194A (ko) 2019-12-23 2019-12-23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19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73B1 (ko) 2008-06-27 2010-07-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연계한 로봇 게임 시스템 및 로봇게임 방법
KR20110109463A (ko) 2010-03-31 2011-10-06 넥스트키 주식회사 혼합현실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73B1 (ko) 2008-06-27 2010-07-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연계한 로봇 게임 시스템 및 로봇게임 방법
KR20110109463A (ko) 2010-03-31 2011-10-06 넥스트키 주식회사 혼합현실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097B2 (en) Spatially-correlated human-machine interface
US11173392B2 (en) Spatially-correlated human-machine interface
US8419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objects in a videogame
JP6342038B1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6027747B2 (ja) 空間相関したマルチディスプレイ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692335B1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US10589176B2 (en)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space,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space
EP224352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shared game space for a networked game
US10223064B2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pace, program and apparatus therefor
JPH1118025A (ja) 画像呈示装置
WO201420433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6dof location and orientation of head-mounted display and associated user movements
JP7316282B2 (ja) 拡張現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832442A (zh) 注视点渲染***中的优化的阴影和自适应网状蒙皮
US10860089B2 (en) Method of suppressing VR sickness,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80299948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via virtual spa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Lee et al. A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game utilizing Kinect, Oculus Rift and smartphone
WO2017061890A1 (en) Wireless full body motion control sensor
JP6554139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210081194A (ko) 입체 게임 운영 시스템
JP2018200688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