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18A -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18A
KR20210079718A KR1020190171794A KR20190171794A KR20210079718A KR 20210079718 A KR20210079718 A KR 20210079718A KR 1020190171794 A KR1020190171794 A KR 1020190171794A KR 20190171794 A KR20190171794 A KR 20190171794A KR 20210079718 A KR20210079718 A KR 2021007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runway
refractory material
refractory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438B1 (ko
Inventor
조대현
김용태
신광호
오구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27D3/145Runn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는: 철피; 철피에 수용되는 내화물; 내화물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소재의 이동을 유도하는 탕도부; 및 내화물의 내부에 장착되고, 철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용손방지부를 포함하고, 용손방지부는, 철피에 고정되고, 탕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양측면에 탕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유출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APPARATUS FOR DROPPING SLAG}
본 발명은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피의 침식을 방지하고,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 조업은 용선과 슬래그를 생산하는 공정으로, 용선과 슬래그를 고로 내부에서 배출시켜 지정된 장소까지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해 고열에 강한 내화물로 구성된 유도용 탕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3859호(2002.11.04 공개, 발명의 명칭: 고로의 슬래그탕도 낙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철피의 침식을 방지하고,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는: 철피; 상기 철피에 수용되는 내화물; 상기 내화물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소재의 이동을 유도하는 탕도부; 및 상기 내화물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철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용손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손방지부는, 상기 철피에 고정되고, 상기 탕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면에 상기 탕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유출방지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손방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출방지턱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내화물과 결합되는 앵커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출방지턱부에 고정되는 고정앵커부; 및 상기 고정앵커부의 단부에 "V"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화물에 결합되는 결합앵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손방지부는, 상기 유출방지턱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를 관통하고, 상기 철피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유출방지턱부는 상기 내화물보다 더 고온·고열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방지턱부는 상기 탕도부의 출구 측에서 상기 탕도부의 입구 측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방지턱부의 폭은 상기 탕도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에 의하면, 고온·고열의 소재에 의한 철피의 침식을 방지하고 소재의 유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비 보호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의 유출 사고를 방지하여, 내화물 보수 등이 생산 단가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손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손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손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손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는 철피(100), 내화물(200), 탕도부(300), 용손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철피(100)는 내부에 내화물(2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철피(1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철피(100)는 고온에 대한 내화성을 구비하는 철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화물(200)은 철피(10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고온의 소재(10)에 대해 내화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내화물(200)은 분말의 결합제로서, 내화성 골재와 수경성 시멘트를 혼합한 캐스터블내화물(Castable Refractor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재(10)는 고로 작업에서 생성된 슬래그(slag)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탕도부(300)는 내화물(20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소재(10)의 이동을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소재(10)는 탕도부(30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에서 타측(도 1 기준 우측)으로 탕도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용손방지부(400)는 내화물(2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철피(1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용손방지부(400)는 철피(100)와 내화물(200) 사이에 배치된다. 고온·고열의 소재(10)에 의해 내화물(200)이 용손(溶損)되어 침식이 발생되어도, 용손방지부(400)가 철피(100)를 보호하고, 소재(1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손방지부(400)는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10)는 철피(100)에 고정되고, 탕도부(300)의 일측(도 1 기준 하측)에 배치된다.
유출방지턱부(420)는 베이스부(410)의 양측면에 탕도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유출방지턱부(420)는 하측의 철피(100)를 기준으로 베이스부(410)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된다. 소재(10)가 내화물(200)을 용손하여 베이스부(410)를 따라 이동되어도, 유출방지턱부(42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베이스부(41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유출방지턱부(420)의 폭은 탕도부(30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탕도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소재(10)가 유출방지턱부(420)의 폭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는 내화물(200)보다 더 고온·고열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는 내화물(200)보다 더 고온·고열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화물(200)이 소재(10)에 의한 용손 시, 철피(100)의 침식을 방지하고, 외부로 소재(10)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는 초내열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를 이루는 초내열강은 1650℃ 이상의 고온·고열에도 용손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유출방지턱부(420)는 탕도부(300)의 출구 측(도 1 기준 우측)에서 탕도부(300)의 입구 측(도 1 기준 좌측)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도 5 참조). 탕도부(300)의 출구 측의 유출방지턱부(420)의 두께(D1)는 탕도부(300)의 입구 측의 유출방지턱부(420)의 두께(D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탕도부(300)의 출구 측에서의 유출방지턱부(420)의 두께(D1)는 탕도부(300)의 입구 측에서의 유출방지턱부(420)의 두께(D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탕도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소재(10)가 탕도부(300)의 출구 측의 유출방지턱부(42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탕도부(300)의 출구 측(도 5 기준 우측)의 길이(L1)은 철피(100)에서 외측방향(도 1 기준 우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유출방지턱부(420)와 베이스부(410)가 철피(100)를 커버하면서 철피(100)의 용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손방지부(400)는 앵커부(430)를 더 포함한다. 앵커부(430)는 베이스부(410) 또는 유출방지턱부(420)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내화물(200)과 결합된다. 앵커부(430)가 내화물(200)과 결합되어,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앵커부(430)는 고정앵커부(431)와 결합앵커부(433)를 포함한다. 고정앵커부(431)는 베이스부(410) 또는 유출방지턱부(420)에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부(410) 또는 유출방지턱부(420)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앵커부(430)는 베이스부(410) 또는 유출방지턱부(420)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고정된다.
결합앵커부(433)는 고정앵커부(431)의 단부(도 4 기준 상단부)에 "V"자형으로 형성되고, 내화물(200)에 결합된다. 결합앵커부(433)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내화물(200)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결합앵커부(433)는 분말의 결합제인 내화물(200)과 접촉되고, 내화물(200)이 고화되면서 결합앵커부(433)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손방지부(400)는 고리부(440)와 체결부(450)를 더 포함한다. 고리부(440)는 유출방지턱부(42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체결부(450)과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고리부(440)는 유출방지턱부(420)의 양측면에 베이스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체결부(450)는 고리부(440)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철피(100)에 고정된다. 체결부(450)는 볼트,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부(450)는 고리부(44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철피(100)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됨으로써, 고리부(440)를 철피(100)에 고정한다. 또는 체결부(450)는 철피(100)에 용접되어 철피(1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의 일측(도 4 기준 상측)에 복수개의 앵커부(430)가 장착된다.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는 철피(100)의 일측(도 1 기준 우측)에 배치된다.
유출방지턱부(420)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된 고리부(440)는 체결부(450)가 관통되면서 철피(100)에 고정된다. 상술한 작업에 의해 철피(100)에 용손방지부(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분말체의 내화물(200)이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적층되고 고화되면서, 앵커부(43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소재(10)는 탕도부(300)를 따라 이동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정 작업 시간이 소요된 후 고온·고열의 소재(10)에 의해 내화물(200)과 탕도부(300)가 용손될 수 있다. 이때 용손된 탕도부(300)의 하측에 배치된 용손방지부(400)에 의해 철피(100)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손방지부(400)는 탕도부(300)의 출구 측(도 7 기준 우측)에 배치되고, 베이스부(410)와 유출방지턱부(420)는 내화물(200)보다 더 고온·고열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화물(200)과 탕도부(300)의 용손이 발생되어도 철피(100)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에 의하면, 고온·고열의 소재(10)에 의한 철피(100)의 침식을 방지하고 소재(10)의 유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비 보호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10)의 유출 사고를 방지하여, 내화물(200) 보수 등이 생산 단가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소재
100: 철피 200: 내화물
300: 탕도부 400: 용손방지부
410: 베이스부 420: 유출방지턱부
430: 앵커부 431: 고정앵커부
433: 결합앵커부 440: 고리부
450: 체결부

Claims (7)

  1. 철피;
    상기 철피에 수용되는 내화물;
    상기 내화물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소재의 이동을 유도하는 탕도부; 및
    상기 내화물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철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용손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손방지부는,
    상기 철피에 고정되고, 상기 탕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면에 상기 탕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유출방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손방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출방지턱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내화물과 결합되는 앵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출방지턱부에 고정되는 고정앵커부; 및
    상기 고정앵커부의 단부에 "V"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화물에 결합되는 결합앵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손방지부는,
    상기 유출방지턱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를 관통하고, 상기 철피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유출방지턱부는 상기 내화물보다 더 고온·고열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턱부는 상기 탕도부의 출구 측에서 상기 탕도부의 입구 측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턱부의 폭은 상기 탕도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KR1020190171794A 2019-12-20 2019-12-20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KR102312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94A KR102312438B1 (ko) 2019-12-20 2019-12-20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94A KR102312438B1 (ko) 2019-12-20 2019-12-20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18A true KR20210079718A (ko) 2021-06-30
KR102312438B1 KR102312438B1 (ko) 2021-10-12

Family

ID=7660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94A KR102312438B1 (ko) 2019-12-20 2019-12-20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59A (ko)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슬래그탕도 낙구장치
KR101099680B1 (ko) * 2009-05-26 2011-1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탕도용 관통장치
KR20120121535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대탕도용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859A (ko)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슬래그탕도 낙구장치
KR101099680B1 (ko) * 2009-05-26 2011-1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탕도용 관통장치
KR20120121535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대탕도용 가이드장치
KR101246252B1 (ko) * 2011-04-27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대탕도용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38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438B1 (ko) 고로의 탕도 낙구 장치
CN114393186A (zh) 一种宽厚板坯连铸机防止开浇漏钢的方法
CN104816083B (zh) 基于铝热自蔓延技术的连铸板坯表面纵裂清理方法
WO2020196360A1 (ja) 炉底の昇温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バーナーランス
KR102068017B1 (ko) 야금로용 냉각판
KR101815372B1 (ko) 건설기계용 소모성 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209598188U (zh) 一种吹氧引流装置
JP7147496B2 (ja) 高炉樋カバー構造
KR100823301B1 (ko) 턴디쉬 커버의 용강 주입구 개폐장치
KR20020048161A (ko) 출선구 보호벽 형성장치
KR101115699B1 (ko) 산소 랜싱장치
CN114472836A (zh) 一种防止板坯连铸高碳钢开浇漏钢的方法
CN112296292B (zh) 一种双流板坯连铸的作业方法
KR100422908B1 (ko) 레이들의 휠러 개공장치
KR200302659Y1 (ko) 래들 개공용 산소 파이프 랜스
JP4199419B2 (ja) 溶融鉄用の出銑樋
KR200230026Y1 (ko) 지금제거장치
KR100865676B1 (ko) 고로 풍구 밀봉부재
KR200442413Y1 (ko) 고로 출선구의 개량된 트라프 커버
KR101572381B1 (ko) 고로 대탕도의 용융물 배출 장치
JP5685974B2 (ja) 高炉樋
KR200177702Y1 (ko) 정련로 원료 투입 장치
JPS63130708A (ja) 転炉出鋼口の補修方法
KR102144176B1 (ko) 대탕도 보수장치
KR100399820B1 (ko) 고로 출선구 내화물 축조 및 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