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850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850A
KR20210078850A KR1020190170731A KR20190170731A KR20210078850A KR 20210078850 A KR20210078850 A KR 20210078850A KR 1020190170731 A KR1020190170731 A KR 1020190170731A KR 20190170731 A KR20190170731 A KR 20190170731A KR 20210078850 A KR20210078850 A KR 2021007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space
recovery pipe
evaporator
ai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원영
배재현
윤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850A/en
Publication of KR2021007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1/2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omprising: a through hole provided in one wall of a cold air recovery pipe to introduce a heater in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a defrost water tray provided below an evaporator to collect the defrost water of the evaporator. Accordingly,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intensively provided in a narrow space, and water generated during defrosting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efrost water tray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evaporato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진공단열체는 몸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열전달을 억제하는 물품이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장장치 및 냉장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로써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A vacuum insulator is an article that suppresses heat transfer by maintaining a vacuum inside the body. Since the vacuum insulator can reduce heat transfer by convection and conduction, it can be applied to a heating device and a refrigeration devic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ins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differs depending on refrigeration and freezing, it was a general method to provide a foamed polyurethane insulation wal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cm or mo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is reduced by this.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에 진공단열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There is an attempt to apply a vacuum insulator to the refriger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먼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343719(인용문헌 1)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르면 진공단열패널(Vacuum adiabatic panel)을 제작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을 냉장고의 벽에 내장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의 외부를 스티로폼인 별도 성형물로 마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에 따르면 발포가 필요 없고,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비용이 상승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First, there is the applicant's registered patent 10-0343719 (cited document 1).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a vacuum insulation panel is manufactured, the vacuum insulation panel is built into the wall of the refrigerator, and the outside of the vacuum insulation panel is finished with a separate molded product made of Styrofoam.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foaming is not requir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This method has problems in that the cost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becomes complicated.

다른 예로서 공개특허 10-2015-0012712(인용문헌 2)에는 진공단열재로 벽을 제공하고 그에 더하여 발포 충전재로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식도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10-2015-0012712 (Citation Document 2) provides a wall with a vacuum insulation material and in addition, it is presented in a technique for providing an insulation wall with a foam filler. This method also has problems in that the cost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licated.

또 다른 예로서 냉장고의 벽을 전체로 단일물품인 진공단열체로 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인용문헌 3)에는 진공상태로 냉장고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벽을 충분한 진공상태로 제공하여 실용적인 수준의 단열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도가 서로 다른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와의 접촉부분의 열전달 현상을 막기가 어렵고, 안정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진공상태의 음압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용문헌 3의 기술도 극저온의 냉장장치에 국한하고, 일반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은 제공하지 못한다. As another example, there was an attempt to manufacture the wall of the refrigerator as a single product, a vacuum insulator. For example,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40226956A1 (Citation 3) discloses providing an insulating structure of a refrigerator in a vacuum st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ractical level of insulation effect by providing the wall of the refrigerator in a sufficient vacuum state. In detail,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between the contact part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table vacuum state, and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ase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vacuum state. There is a problem of Due to these problems, the technology of Citation 3 is also limited to cryogenic refrigeration equipment, and it does not provide a level of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at home.

더 다른 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16187호(인용문헌 4),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출원한 바가 있다. 본 기술은 본체와 도어가 모두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있다. 진공단열체는 물건 그 자체만으로는 단열작용만을 수행하고,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냉장고 등의 물품에는 필요한 부품들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그에 대해서는 고려된 바가 없다. As another metho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pplied for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6187 (Cited Document 4), a vacuum insulator and a refrigerator. This technology proposes a refrigerator in which both the main body and the door are provided with vacuum insulators. A vacuum insulator performs only an insulating action by itself, and necessary parts must be installed in an article such as a refrigerator to which the vacuum insulator is applied, but there is no consideration thereto.

냉장고에서 고내공간으로의 냉기공급은, 고내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기가 팬에 의해서 고내의 다양한 개소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는 냉장실로 적절히 공급되는 것뿐만 아니라, 공급된 냉기가 물품의 냉각에 사용된 후에 증발기측으로 원활히 귀환하는 것도 중요하다.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귀환하도록 하는 선행기술로는 KR10-2004-0048766(인용문헌 5), 냉장고의 귀환덕트구조가 제안된 바가 있다. The cold air is supplied from the refrigerator to the interior space so that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interior evaporator is supplied to various places in the refrigerator by the fan.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not only for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be properly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but also for the supplied cold air to smoothly return to the evaporator after being used for cooling the article. As a prior art for allowing cold air to return to the evaporator, KR10-2004-0048766 (Citation 5), a return duct structure of a refrigerator has been proposed.

상기 기술은 냉장고의 벽을 제공하는 발포부재의 내부에 귀환덕트 및 보조귀환덕트를 매립하고, 그 덕트를 통하여 냉기가 증발기로 귀환하도록 하였다. 상기 덕트는 더 구체적으로 냉장고의 측벽과 멀리언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In the above technique, the return duct and the auxiliary return duct are embedded in the foam member providing the wall of the refrigerator, and cold air is returned 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duct. The duct is more specifically embedded in the sidewall of the refrigerator and the interior of the mullion.

상기 기술에 따르면, 덕트에 대한 단열이 어려워 외부로 소실되는 냉기가 많고, 덕트의 단열을 위해서는 발포부재의 두께가 더 커져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내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단열공간인 진공공간부의 내부공간이 좁고 얇기 때문에, 덕트를 매립하는 것이 애초에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ot of cold air that is lost to the outside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sulate the duct, a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foam member must be increased to insulate the duct, the overall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is reduc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acuum insulator,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vacuum space part, which is an insulating space, is narrow and th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embed the duct in the first place.

등록특허 10-0343719Registered Patent 10-0343719 공개특허 10-2015-0012712의 도 77 of Patent Publication 10-2015-0012712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US Patent Publication No. US2040226956A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16187호 도 2,3,4, 및 8와, 그 관련설명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16187 with FIGS. 2, 3, 4, and 8, and related descriptions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48766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48766

본 발명은, 증발기로 귀환하는 귀환덕트가 진공단열체의 진공공간부의 벽 내부에 놓이지 못하는 것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귀환덕트의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고온공기가 유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turn duct returning to the evaporator cannot be placed inside the wall of the vacuum space part of the vacuum insulator. This is a bigger problem because relatively hot air cannot flow inside the return duct.

본 발명은, 상기 귀환덕트가 차지함으로써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냉장고의 고내 물품수용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최대한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냉장고는 넓은 고내 물품수용공간이 큰 장점임에도 그 장점을 헤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s much as possible that th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provided as a vacuum insulator is reduced by the return duct occupies. Although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vacuum insulator has a large storage space for goods, it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overcoming the advantage.

본 발명은, 상기 귀환덕트의 입구단과 출구단의 배치에 좌우되는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저하현상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효율을 더 크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a decrease in heat exchange efficiency of an evaporator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an inlet end and an outlet end of the return duct, thereby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 귀환덕트가 노출되는 것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귀환덕트 막힘 및 재상수 처리를 원활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clogging of the return duct and the re-water treatment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return du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벽을 가지는 제 1 수용공간;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냉매관이 포함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제 1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제 2 수용공간;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냉기 회수관이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단일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구획되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wall provided with a vacuum insulator;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including at least a refrigerant pipe;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to defrost the evaporator;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receiving cold air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cold air recovery pipe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included in order to recover the air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the evapora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ly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divided by using a single evaporator.

상기 히터를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의 어느 일 벽에 제공되는 통공; 및 상기 증발기의 제상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상수 트레이가 포함된다. 좁은 공간에서 집약적으로 냉기 회수관을 마련할 수 있고, 냉기 회수관의 제상시에 발생되는 물이, 증발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상수 트레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provided in any one wall of the cold air return tube to introduce the heater into the cold air return tube; and a defrost water tray provid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the defrost water of the evaporator. A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intensively provided in a narrow space, and water generated during defrosting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efrost water tray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evaporator.

상기 히터가 상기 냉기 회수관을 통과하도록, 상기 통공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마주보는 두 벽에 각각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히터가 냉기 회수관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냉기 회수관의 좌우 전체영역에 대하여 제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증발기의 영역에 상기 냉기 회수관이 전체적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더 집약적으로 냉동실의 내부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through-holes are provided in two opposite walls of the cold air return pipe, respectively, so that the heater passes through the cold air return pipe. In this case, the heater may pass through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n this case, defrosting may be performed on the entir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In this cas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reezing compartment can be more intensively provided by allowing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entirely overlap the area of the evaporator.

상기 냉매관이 통과하도록, 상기 냉기 회수관에는 또 다른 통공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의 내부에도 냉매관이 놓여서, 냉장실에서 회귀하는 공기를 직집 냉각시킬 수 있어서, 냉각을 위한 열교환작용이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Another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passes. According to this, the refrigerant pipe is also placed inside the cold air recovery pipe, so that the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directly cooled, so that the efficiency of heat exchange for cooling can be increased.

상기 냉매관이 상기 냉기 회수관을 통과하도록, 상기 또 다른 통공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마주보는 두 벽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증발기의 영역에 상기 냉기 회수관이 전체적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더 집약적으로 냉동실의 내부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refrigerant pipe to pass through the cold air return pipe, the other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in two opposite walls of the cold air return pipe, respectively, in this case, by making the cold air return pipe entirely overlap in the area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more intensively.

상기 제상수 트레이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서 낙하하는 제상수 전부를 상기 제상수 트레이가 포집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tray may extend to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turn pipe. Therefore, the defrost water tray can collect all of the defrost water falling by gravity.

상기 제상수 트레이의 성에를 제거하는 또 다른 히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상수 트레이의 내부에서 결빙된 얼음을 제거할 수 있다.Another heater for defrosting the defrost water tray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the ice frozen inside the defrost water tray can be removed.

상기 또 다른 히터가 상기 냉매 회수관의 안으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부 일측에서 개구되는 측면유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또 다른 히터를 이용하여 냉기 회수관의 하부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other he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recovery pipe, a side flow path opened from a lower 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this, the ice in the lower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can be removed using the another heater.

상기 측면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수용공간으로부터 회수된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다. 상기 측면유로가 히터도입 및 냉기유로의 두가지 기능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냉동실의 내부 구조를 더 집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cold air recover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side passage. Since the side flow passage performs both functions of a heater introduction and a cold air flow passag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can be used more intensively.

상기 냉기 회수관에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핀이 놓여서, 열교환작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Fins for facilitating heat exchange may be placed on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further promote heat exchange.

상기 냉기 회수관의 유로방향을 기준으로, 상류보다 하류에서 핀의 밀도가 높다. 이에 따르면, 냉장실에서 유입되는 고습의 공기에 의한 결빙현상을 방지하고, 얼음이 냉기 회수관의 내부공간에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히터의 동작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Based on the flow path direc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density of the fins is higher in the downstream than in the upstre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caused by the high-humidity air flowing in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o ensure that ice is uniformly generated throughout the inner sp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ccording to this, the operation cycle of the heater can be lengthened.

상기 냉기 회수관의 유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핀의 밀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결빙현상이 냉기 회수관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등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Based on the flow path direction of the cold air return pipe, the density of the fins may be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freezing phenomenon may occur even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ld air return pipe.

상기 냉매관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관과 연결되는 냉매입출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냉매입출구는 상기 냉기 회수관이 놓이는 쪽의 반대쪽에 놓인다. 이에 따르면, 부재 간의 간섭을 피하고, 고내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A refrigerant inlet/outlet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is further included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refrigerant inlet/outlet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placed. According to this, interference between members can be avoided, and th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상기 히터와 연결되는 히터입출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히터입출구는 상기 냉기 회수관이 놓이는 쪽의 반대쪽에 놓인다. 이에 따르면, 부재 간의 간섭을 피하고, 고내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A heater inlet/outlet connected to the heater is further included, and the heater inlet/outlet is plac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placed. According to this, interference between members can be avoided, and th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에는, 상기 히터 및 상기 냉매관을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로 도입하도록 상기 냉기 회수관의 적어도 어느 일 벽에 제공되는 통공; 및 상기 히터에 의해서 냉기 회수관에서 발생한 제상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방 투사영역에 마련되는 제상수 트레이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누수없이 포집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through hole provided in at least one wall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introduce the heater and the refrigerant pipe into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a defrost water tray provided in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collect defrost water generated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by the heater. According to this, the defrost water generated from the cold air recovery pipe can be collected without leakage.

상기 통공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마주보는 두 벽에 제공되어, 상기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을 지나간다. 이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과 증발기가 중첩될 수 있어서, 고내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wo opposite walls of the cold air return pipe, so that the heater passes through the cold air return pipe. Accordingly,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evaporator can overlap,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more widely used.

상기 제싱수 트레이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상수 트레이에 마련되는 또 다른 히터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또 다른 히터는 냉기 회수관의 하부에 대응하여, 냉기 회수관의 얼음을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order to defrost the defrosting water tray, another heater provided in the defrosting water tray is included. Accordingly, the other heater may completely remove the i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by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상기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상부의 성에를 제거하고, 상기 또 다른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부의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냉기 회수관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상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The heater may defrost an upper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another heater may defrost a lower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ccording to this, the defros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entire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which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냉기 회수관에는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핀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핀은 하방으로 갈수록 핀의 밀도가 증가된다. 이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의 내부가 균등하게 성에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히터 및 상기 또 다른 히터의 동작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The cold air recovery pipe further includes a fin that promotes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density of the fin increases as the fin goes downward. According to this, frost is uniformly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cycle of the heater and the another heater can be lengthened.

상기 제상수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방 투사영역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제상수 트레이를 이용하여 냉동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제상수를 포집할 수 있다.Since the defrost water tray accommodates the downward projection area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collect all the defrost water generated in the freezing chamber using a single defrost water tray.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에는,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냉매관을 가지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관을 따라서 연장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제 1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제 2 수용공간; 및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제 2 수용공간과 제 1 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냉기 회수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히터가 연장된다. 이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 내부의 얼음을 편리하고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n evaporator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t least a refrigerant pipe; a heater extend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and generating heat to defrost the evaporator;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receiving cold air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 cold air recovery pipe extending vertically by connec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recover the air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the evaporator, and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he heater extend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d air return pipe. According to this, the ice inside the cold air recovery pipe can be removed using a convenient and simpl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냉장고에서, 진공단열체의 내부 진공공간부를 통과하지 않으면서도, 증발기로 회귀되는 냉기의 이송위치가 효과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frigerator to which the vacuum insulator is applied,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old air returning to the evaporator can be effectively provid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vacuum space of the vacuum insul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이 고내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치지 어렵거나, 고애의 부품에 삽입됨으로써, 고내의 공간을 더욱 크게 제공할 수 있고, 진공단열체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수용공간의 확대라는 장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difficult to reach by the user in the refrigerator or is inserted into the poor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r space in the refrigerator, and the advantage of expanding the accommodation space obtained by the vacuum insulator can be further emphasized.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의 넓은 면적을 통하여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상승하고, 특히 좌우 대칭으로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냉동기관의 비가역 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through a large area of the evaporator,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since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symmetrically, irreversible loss of the refrigerating engine can be reduced. .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실에서 냉동실로 회수되는 공기의 유로를 막히지 않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nblocked flow path of air returne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the freezing compartment.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 회수관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efrost water generated from the cold air recovery pipe can be easily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frigerator is improv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7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8은 진공단열체 테두리의 단면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내면부가 펼쳐진 가상 상태에서 본체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체가 도어에 의해서 닫힌 상태로 도시된 접촉부의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의 단면도.
도 13과 도 14는 내면부가의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도 13은 체결이 완료된 상태이고, 도 14는 체결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15는 실링프레임이 두 부재로 제공되는 실시예의 경우에 실링프레임의 체결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실링프레임의 어느 일 단부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16은 도어힌지가 설치되기 전이고, 도 17은 도어힌지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도면.
도 18은 발명에 따른 실링프레임의 효과를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측 진공단열체와 도어와의 접촉부의 단면도이고, 도 18(b)는 종래기술에 따른 본체와 도어와의 단면도.
도 19 내지 도 24는 실링프레임이 설치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상단우측을 전방에서 관찰하는 도면.
도 26과 도 27은 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진공단열체의 모서리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 26은 램프의 배선이 통과하지 않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27은 램프의 배선이 통과하는 부분의 단면도.
도 28은 부품의 주변부의 분해 사시도.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A-A'과 B-B'의 절단면.
도 31은 냉장고의 상측부의 일측 부분을 정면에서 관찰한 도면.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33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후방사시도.
도 34 내지 도 38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34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35는 정면도이고, 도 36은 좌측면도이고, 도 37은 배면도이고, 도 38은 상면도.
도 39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회수관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사시도.
도 40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회수관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도.
도 41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냉기유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42는 상기 멀리언 안착프레임과 상기 냉기 회수관의 지지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3은 상기 멀리언이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회수관이 놓인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4는 상기 냉기 회수관과 그 주변부를 보이는 정면사시도.
도 45는 상기 냉기 회수관과 그 주변부를 보이는 후면사시도.
도 46 내지 도 50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46은 정면사시도이고, 도 47은 정면도이고, 도 48은 배면도이고, 도 49는 측면도이고, 도 50은 상면도.
도 51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을 따라서 유동하는 냉기의 방향을 상세하게 보이는 도면.
도 52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 회수관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사시도.
도 53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 회수관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4는 상기 측면패널와 진공단열체의 체결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5는 상기 후면패널이 제공되는 냉장고의 내부를 간략하게 보이는 도면.
도 56은 상기 후면패널의 사시도.
도 57은 상기 후면패널이 제공되는 냉장고의 대략적인 단면도.
도 5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후면도.
도 59는 증발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후면사시도.
도 60은 낙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상하 이송부의 하단부를 확대해서 보이는 도면.
도 6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후방사시도.
도 6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절단평면도이다.
도 63은 냉기의 순환과정을 보이는 냉동실의 정면도.
도 6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의 사시도.
도 65는 냉동실에 놓이는 증발기와 냉기 회수관과 제상수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6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 회수관이 증발기에 대하여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증발기의 정면도.
도 67은 증발기의 핀 배치를 설명하는 증발기의 사시도.
도 68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설치영역 및 그로 인한 효과를 보이는 냉동실의 정면도로서, 도 68(a)는 도 58 내지 도 63에 제시되는 냉기회수관의 실시예이고, 도 68(b)는 본 실시예의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insulator used for a main body and a door of a refrigerator;
3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acuum space part.
4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its peripheral portion.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a change in gas conductivity according to vacuum pressure by applying a simulation;
6 is a graph for observing the process of evacuating the inside of the vacuum insulator with time and pressure when the supporting unit is used.
7 is a graph comparing vacuum pressure and gas conductivity.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rim of the vacuum insulator.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in a virtual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unfolde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portion shown with the body closed by the door;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portion between a body and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and 14 are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s of the inner surface, FIG. 13 i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is completed,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process.
15 is a view sequentially explaining the fastening of the sealing frame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aling frame is provided with two members.
16 and 17 are views showing one end of the sealing frame. FIG. 16 is a view before the door hinge is installed, and FIG. 17 is a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hinge is installed.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eal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and the d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9 to 24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sealing frame is installed.
25 is a view observing the upper right sid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from the front.
26 and 2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rners of the vacuum insulator in a state in which the lamp is installed.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ing of the lamp does not pass, and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ing of the lamp passes.
Fig.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part;
29 and 30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28;
31 is a view of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as viewed from the front;
32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4 to 38 are views showing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where FIG. 3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IG. 35 is a front view, FIG. 36 is a left side view, FIG. 37 is a rear view, and FIG. 38 is a top view.
3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turn pipe.
4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turn pipe.
4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cold air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4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the mullion seating frame and the cold air return pipe.
4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mullion is shown by an imaginary line;
4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ts periphery;
4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ts periphery;
46 to 50 are views showing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wherein FIG. 4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IG. 47 is a front view, FIG. 48 is a rear view, FIG. 49 is a side view, and FIG. 50 is a top view.
5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direction of cold air flowing along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5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5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5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 and the vacuum insulator;
55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rear panel;
5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panel;
5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rear panel.
58 is a rear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evaporator is removed;
60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including the falling water guide;
6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2 is a cut-away plan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3 is a front view of the freezing compartment showing the circulation process of cold air;
6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vaporator, the cold air return pipe, and the defrost water tray plac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66 is a front view of the evaporator for explaining a position in which a cold air recovery pipe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6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vaporator for explaining the fin arrangement of the evaporator;
68 is a front view of the freezing chamber showing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effect thereof. FIG. 68 (a) is an embodimen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shown in FIGS. 58 to 63, and FIG. drawing of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p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and add components to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It will be easy to suggest by, etc.,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제시되는 도면은 실제 물품과는 다르거나 과장되거나 간단하거나 세밀한 부품은 간략하게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 이해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제시되는 크기와 구조와 형상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가급적 실제의 모양을 나타내기 위하여 노력한다. In the drawings present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different from the actual article, exaggerated, simple or detailed parts may be briefly displayed, but this is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presented in th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 to structure and shape. However, we try to represent the actual shape as much as possible.

이하의 실시예는,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설명이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설명에 적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 다른 하나의 구성에 특정 부분만이 변형된 상태에서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the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another embodiment, and in a state in which only a specific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is modified in the other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이하의 설명에서 진공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그 어떤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A가 B보다 진공도가 높다는 표현은 A의 진공압이 B의 진공압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vacuum pressure means any pressure stat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expression that A has a higher degree of vacuum than B means that the vacuum pressure of A is lower than that of B.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캐비티(9)가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9)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캐티비(9)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refrigerator 1 includes a main body 2 provided with a cavity 9 for storing stored items, and a door 3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2 . The door 3 may be rotatably arranged or slidably arranged to open and close the cavity 9 . The cavity 9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상기 캐비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부품이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와,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7)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7)가 인접하는 위치에 팬을 설치하고, 팬으로부터 송풍된 유체가 상기 증발기(7)를 통과한 다음에 캐비티(9)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한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조정하거나 순환 냉매의 양을 조절하거나 압축기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냉동부하를 조절하여, 냉장공간 또는 냉동공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 component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cavity is provided. Specifically, a compressor 4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5 for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 expander 6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nd an evaporator 7 for evaporating the expanded refrigerant to take heat ) is included. As a typical structure, a fan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vaporator 7 , and the fluid blown from the fan may be blown into the cavity 9 afte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7 .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fan and the blowing direction, adjusting the amount of circulating refrigerant, or adjusting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compressor, the refrigeration load may be adjusted, thereby controlling the refrigerating space or the refrigerating space.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는 상면과 측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어 측 진공단열체는 전면의 벽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전도저항쉬트(60)(63)가 제공되는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이해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였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insulator used for the main body and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vacuum insulator on the body side is shown with the upper and side walls removed, and the vacuum insulator on the door side is part of the front wall. is a diagram of the removed state.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are provided is schematically show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체에는, 저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사이 간격부로 정의되는 진공공간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밀폐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를 밀봉하는 밀봉부(61)가 제공된다. 냉장고 또는 온장고에 상기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공간의 안쪽에 설치되는 이너케이스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상기 제어공간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아웃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측 후방에는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부품이 수납되는 기계실(8)이 놓이고, 상기 진공단열체의 어느 일측에는 진공공간부(50)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또한, 제상수 및 전기선로의 설치를 위하여 진공공간부(50)를 관통하는 관로(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vacuum insulator includes a first plate member 10 providing a wall of a low temperature space, a second plate member 20 providing a wall of a high temperature space, and the first plate member 10 ) and a vacuum space portion 50 defined as a gap between the second plate member 20 is included. Conduction resistance sheets 60 and 63 for preventing heat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are included. A sealing part 61 for sealing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is provided in order to seal the vacuum space part 50 . When the vacuum insulator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or a hot cabinet, the first plate member 10 may be an inner case installed inside a control spa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is the It can be said that the outer case is installed outside the control space. A machine room 8 is plac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in which parts providing a refrigeration cycle are accommodated, and on either side of the vacuum insulator, air in the vacuum space part 50 is exhausted to create a vacuum state. An exhaust port 40 is provided for In addition, a conduit 64 passing through the vacuum space 50 may be further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defrost water and electric lines.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공간의 위한 벽은, 공간에 직접 접하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간에 접하지 않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에 접하는 별도의 벽을 더 가지는 물품의 경우에도 실시예의 진공단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plate member 10 may define at least a part of a wall for a first spac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plate member. The second plate member 20 may define at least a part of a wall for a second spac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late member.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may be defined as space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Here, the wall for each space may function not only as a wall in direct contact with the space but also as a wall not in contact with the space. For example, the vacuum insulator of the embodiment may be applied even to an article having a separate wall in contact with each space.

상기 진공단열체가 단열효과의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복사, 및 진공공간부(50)의 가스전도(gas conduction)가 있다. Factors causing the loss of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vacuum insulator include heat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heat radia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gas conduction of the vacuum space part 50 .

이하에서는 상기 열전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단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되는 열저항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는 진공단열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또 다른 단열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쪽 일면에 발포 등을 이용하는 단열수단을 더 가질 수도 있다.Hereinafter, a heat resistance unit provided to reduce adiabatic loss in relation to the factor of heat transfer will be described. On the other hand, the vacuum insulator and the refrigerator of the embodiment do not exclude further having another heat insulating mean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vacuum insulator. Therefore, it may further have a heat insulating means using foam or the like on the other surface.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acuum space part.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A , the vacuum space unit 50 is provided as a third space at a press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preferably in a vacuum state, so that insulation loss can be reduced. The third space may be provided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 temperatur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Since the third space is provided as a space in a vacuum state,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contract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by a force equal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 each space. The vacuum space 50 may be deformed in a smaller direction because of the In this cas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adiation transmission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vacuum space portion an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onduction transmission due to the contact of the plate members 10 and 20 may cause thermal insulation loss.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A supporting unit 30 may be provided to reduce deformation of the vacuum space 50 . The supporting unit 30 includes a bar 31 . The bar 31 may exte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te member to support a gap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A support plate 35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bar 31 . The support plate 35 may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bars 31 and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 The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a grid shape so tha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is reduced to reduce heat transfer. The bar 31 and the support plate may be fixed in at least one part and inserted togeth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 The support plate 35 may conta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 In addition, based o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r 31 ,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late 35 is greater than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r 31 , so that the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bar 31 is It may be diffused through the support plate 35 .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로는, 높은 압축강도, 낮은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 낮은 열전도율, 고온에서 높은 압축강도, 및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하여, PC,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 및 LCP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As a material of the supporting unit 30, in order to obtain high compressive strength, low outgassing and water absorption, low thermal conductivity, high compressive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and excellent workability, PC,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 PPS, and a resin selected from LCP may be used.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과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로는 충분한 복사열 차단작용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A radiation resistance sheet 32 for reducing thermal radi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through the vacuum space portion 5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may be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corrosion and providing sufficient strength. Since the stainless material has a relatively high emissivity of 0.16, a lot of radiant heat transfer may occur. In addition, the emissivity of the supporting unit made of resin is lower than that of the plate member, and since it is not entire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radiant heat. Therefore,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cross most of the area of the vacuum space part 50 in order to focus on the reduction of radiant heat transfer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 can be As a material of the radiation-resisting sheet 32, an article having a low emissivity is preferable, and in an embodiment, an aluminum thin plate having an emissivity of 0.02 may b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sinc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radiation heat shielding effect with one sheet of radiation resistance sheet, at least two sheets of radiation resistance sheet 32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In addition, at least one radiation resistance sheet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

도 3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Referring to FIG. 3B , the spacing between the plate members may be maintained by the supporting unit 30 , and the porous material 33 may be filled in the vacuum space 50 . The porous material 33 may have a higher emissivity than stainless steel, which is a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but since the vacuum space is filled, the resistance efficiency of radiant heat transfer is high.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없이도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acuum insulator can be manufactured without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32 .

도 3c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대신하여 다공성물질(33)이 필름(34)에 싸인 상태로 제공되었다. 이때 다공성물질(33)은 진공공간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34)은 예시적으로 PE재질로서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C , the supporting unit 30 for maintaining the vacuum space part 50 is not provided. Instead of this, the porous material 33 was provided in a state wrapped in the film 34 . At this time, the porous material 33 may be provided in a compressed state so a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vacuum space portions. The film 34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hole is punched, for example, as a PE material.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30)이 없이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기능과 상기 서포팅유닛(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vacuum insulator can be manufactured without the supporting unit 30 . In other words, the porous material 33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32 and the function of the supporting unit 30 together.

도 4는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각 전도저항쉬트가 구조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도면을 통하여 더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4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its peripheral portion. Although the structure of each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simply illustrated in FIG. 2 , it will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through this drawing.

먼저, 도 4a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Firs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shown in FIG. 4A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In detail,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the first plate member 10 must be sealed to maintain the vacuum inside the vacuum insulator. In this case, since the two plate members have different temperatures, heat transfer may occur between them.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provided to prevent heat conduction between two plate members of different types.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된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may be provided as a sealing portion 61 that is sealed at both ends to define at least a part of a wall for the third space and maintain a vacuum stat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provided as a micrometer thin plat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conduction flowing along the wall of the third space. The sealing part 610 may be provided as a welding part. That is,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nd the plate members 10 and 20 may be fus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nduce a fusion action between each other,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nd the plate members 10 and 20 may use the same material, and stainless steel may be used as the material. The sealing part 610 is not limited to a welding part and may be provided through a method such as caulki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ly, the distance of heat conduction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provided longer than the linear distance of each plate member, so that the amount of heat conduction can be further reduced.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A temperature change occurs alo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 Therefore, in order to block the heat transfer with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elding part 6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so that the heat insulating action occur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the second plate member 20 is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first plate member 10 is at a low temperature. In additio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undergoes heat conduction from a high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heet changes abruptly along the heat flow. Therefore, whe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opened to the outside, heat transfer through the open place may occur severely. In order to reduce such heat loss, a shielding part 6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 For example, even whe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exposed to either a low temperature space or a high temperature spac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does not perform the role of conductive resistance as much as the exposed amount, which is undesirable. do.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 측 진공단열체가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대하여 닫힐 때 대응하는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의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62)는 다공성물질 또는 별도의 단열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hielding part 62 may be provided as a porous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or may be provided as a heat insulating structure exemplified by a separate gasket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 when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vacuum insulator on the door side, it may be provided as a part of the vacuum insulator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rresponding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 In order to reduce heat loss even when the body and the door are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elding part 62 is provided with a porous material or a separate heat insulating structure.

도 4b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4a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바깥쪽으로는 사이드 프레임(70)이 더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도어와 본체와의 실링을 위한 부품과 배기공정에 필요한 배기포트와 진공유지를 위한 게터포트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부품의 장착이 편리할 수 있지만, 도어측은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shown in FIG. 4B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door-side vacuum insulator, and the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FIG. 4A, and the same description will be applied to the same parts. A side frame 70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 The side frame 70 may include parts for sealing the door and the body, an exhaust port necessary for an exhaust process, and a getter port for maintaining a vacuum.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it may be convenient to install parts, but the position of the door side is limited.

도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진공공간부의 선단부, 즉 모서리 측면부에 놓이기 어렵다. 이는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본체와 달리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진공공간부의 선단부에 놓이면, 상기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단열을 위하여 별도의 단열부를 구성해야 하는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In the case of the door-side vacuum insulator, it is difficult for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to be placed on the front end of the vacuum space, that is, on the side of the corner. This is because the corner edge portion of the door 3 is exposed to the outside unlike the body. In more detail, whe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placed on the front end of the vacuum space portion, the corner edge portion of the door 3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a separate heat insulating part must be constructed for the insulation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Because there are disadvantages.

도 4c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진공공간부를 관통하는 관로에 바람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4a 및 도 4b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관로(64)가 제공되는 주변부에는 도 4a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주름형 전도저항쉬트(63)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전달경로를 길게 할 수 있고, 압력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저항쉬트의 단열을 위한 별도의 차폐부재도 제공될 수 있다.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shown in FIG. 4C may be preferably installed in a pipe passing through the vacuum space, and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FIGS. 4A and 4B, and the same description will be applied to the same parts. The peripheral portion where the conduit 64 is provided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FIG. 4A , and more preferably, a corrugated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is, the heat transfer path can be lengthened and deformation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 separate shielding member for insulati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provided.

다시 도 4a를 참조하여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A heat transfer path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again.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vacuum insulator includes a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more specifically, a surface conductive heat (①) transmitted alo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nd a supporting unit 30 provided inside the vacuum insulator. ) can be divided into supporter conduction heat (②), gas conduction heat through the internal gas of the vacuum space (③), and radiant transfer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vacuum space portion (④).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The transfer heat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various design values. For example, the supporting unit can be chang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can withstand the vacuum pressure without being deformed, the vacuum pressure can be changed, and the interval length of the plate members can be varied, The length of the conduction resistance unit may be changed, and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s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provided by the plate member is mad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 preferable configuration was found when considering that the total heat transfer amount is made smaller than the heat-insulating structure provided by foaming the conventional polyurethane. Here, the actual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conventional polyurethane foaming refrigerator may be presented as 19.6 mW/mK.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If the heat transfer amount of the vacuum insu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relatively analyzed, heat transfer by the gas conduction heat (③) can be made the smallest. For example, this can be controlled to less than 4% of the total heat transfer. Heat transfer by solid conduction heat, which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surface conduction heat (①) and the supporter conduction heat (②), is the largest. For example, it can reach 75%. The radiation transfer heat (③) is smaller than the solid conduction heat, but larger than the heat transfer by gas conduction heat. For example, the radiation transfer heat (③) may account for approximately 20% of the total heat transfer amount.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heat transfer distribution, the eff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eK) (W/mK) may have the order of Equation 1 when comparing the heat transfer heat (①②③④).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real heat transfer coefficient (eK) is a value that can be measured using the shape and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target article, and is a value that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total heat transfer amount and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part to which heat is transferred. For example, by placing a quantitatively measurable heating source in the refrigerator, the amount of heat is known (W),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door is measured for the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door body of the refrigerator and the edge of the door, respectively (K), and the heat is transmitted The actual heat transfer coefficient can be obtained by confirming the path that becomes a converted value (m).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The actual heat transfer coefficient (eK) of the entire vacuum insulator is a value given by k = QL/AΔT, Q is the heat transfer amount (W), which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calorific value of the heater, and A is the The cross-sectional area (m 2 ), L is the thickness (m) of the vacuum insulator, ΔT can be defined as a temperature difference.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The surface conduction heat 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nd 63,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L),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k) (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can be found out in advance a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find out the amount of conduction heat. The supporter conduction he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supporting unit 30, the cross-sectional area (A) of the supporting unit, the length (L) of the supporting uni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pporting unit (k). . He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pporting unit can be found in advance as a physical property value of the material. The sum of the gas conduction heat (③) and the radiation transfer heat (④) can be found by subtracting the surface conduction heat and the supporter conduction heat from the heat transfer amount of the entire vacuum insulator. The ratio of the gas conduction heat to the radiative transfer heat can be found out by finding the radiant transfer heat when the vacuum degree of the vacuum space is significantly lowered so that there is no gas conduction heat.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⑤)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porous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vacuum space unit 50, the porous material conduction heat (⑤) can be considered as the sum of the supporter conduction heat (②) and radiant heat (④). The heat of conduction of the porous material may be chang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type and amount of the porous material.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바(31)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바가 위치하는 곳과의 온도차(△T1)는 0.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바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와의 온도차(△T2)는 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1 ) between the geometric center formed by the adjacent bars 31 and the location where the bars are positioned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less than 0.5°C. In addit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2 ) between the geometric center formed by the adjacent bars and the edge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may preferably be provided to be less than 5 degrees Celsius. In addition, in the second plate member, at a point where the heat transfer path passing through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s 60 and 63 meets the second plate memb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greatest. hav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pace is a region that is hotter than the first space, the temperature at the point of the second plate member where the heat transfer path passing through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eets the second plate member is the lowest. Similarly, when the second space is a region that is colder than the first space, the temperature becomes the highest at the point of the second plate member where the heat transfer path passing through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eets the second plate member.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heat transfer through other places except for the surface conduction heat passing through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should be sufficiently controlled, and only when surface conduction heat occupies the largest heat transfer amount, the total amount of heat transfer satisfied by the vacuum insulator as a whole can be achieved. It means getting an advantage. To this end,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controlled to be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of the plate member.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이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providing the vacuum insulator will be described. In the vacuum insulator, a force by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all part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a certain level of strength (N/m 2 ).

이러한 배경하에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진공압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strength)가 있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포터전도열을 제한하기 위하여 바(31)의 개수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진공압에 의한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여 외관이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방사율이 낮으면서 용이하게 박막가공이 가능한 물품이 바람직하고, 외부충격에 변형되지 않은 정도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의한 힘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공되고 가공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판상이면서도 진공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nder this backgr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s 10 and 20 and the side frame 7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not to be damaged despite vacuum pressur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bars 31 is reduced to limit supporter conduction heat, deformation of the plate member by vacuum pressure may occur,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appearance. The radiation-resisting sheet 32 is preferably an article that can be easily processed into a thin film with low emissivity, and must have a degree of strength that is not deformed by external impact. The supporting unit 30 must be provided with strength to support the force by vacuum pressure and withstand external impact and have workability.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preferably made of a thin plate-like material that can withstand vacuum pressure.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드 프레임, 및 전도저항쉬트는 동일한 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스테인레스보다는 약한 강도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알루미늄보다 약한 강도인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late member, the side frame, and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the same strength.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may be made of aluminum having a weaker strength than stainless steel. The supporting unit may use a resin having a weaker strength than aluminum as its material.

상기되는 바와 같은 재질의 측면에서 바라본 강도와 달리, 강성 측면에서의 분석이 요청된다. 상기 강성(stiffness)(N/m)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성질로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그 형상에 따라서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강도가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저항을 높이고 진공압이 가하여질 때 거친면이 없이 고르게 펼쳐져 방사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변형으로 다른 부품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특히,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테두리 부분은 자중에 따른 처짐이 발생하여 전도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플레이트 부재로부터의 압축응력 및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이 요청된다. Unlike the strength seen in terms of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 analysis in terms of rigidity is required. The stiffness (N/m) is a property that is not easily deformed, and even if the same material is used, the stiffness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there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strength, but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thermal resistance and to spread evenly without a rough surface when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minimize the radiated heat.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32 is required to have a certain level of rigidity in order not to touch other parts due to deformation. In particular, the edge portion of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may sag according to its own weight to generate conductive heat. Therefore, a certain level of rigidity is required. The supporting unit 30 is required to be rigid enough to withstand the compressive stress and external impact from the plate member.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은 진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가장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팅유닛, 특히 바는 두번째로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서포팅유닛보다는 약하지만 전도저항쉬트보다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진공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가장 강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and the side frame have the highest rigidity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vacuum pressure. Preferably, the supporting unit, particularly the bar, has the second greatest stiffness.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is weaker than the supporting unit, but it is preferable to have rigidity tha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Las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be easily deformed by vacuum pressure, so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with the lowest rigidity.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를 다공성물질(33)로 채우는 경우에도 전도저항쉬트가 가장 강성이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이 가장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Even when the inside of the vacuum space 50 is filled with the porous material 33,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have the lowest rigidit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member and the side frame have the highest rigidity.

이하에서는 진공단열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제시되는 진공압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는 열전달을 줄일 수 있도록 진공압을 유지해야 한다. 이때에는 가급적 낮은 진공압을 유지하는 것이 열전달의 저감을 위해서 바람직한 것은 용이하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a vacuum pressure preferably suggested according to the internal state of the vacuum insulator will be described. As already described, the inside of the vacuum insulator must maintain a vacuum pressure to reduce heat transfer. In this case, it can be easily predicted that it is desirable to maintain a vacuum pressure as low as possible to reduce heat transfer.

상기 진공공간부는,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만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서포팅유닛과 함께 다공성물질(33)이 충전되어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서포팅유닛은 적용하지 않고 다공성물질로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다. The vacuum space may resist heat transfer only by the supporting unit 30, and the porous material 33 may be filled with the supporting unit in the vacuum space 50 to resist heat transfer, and the supporting unit may be It is also possible to resist heat transfer with a porous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서포팅유닛만이 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case in which only the supporting unit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도 5는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a change in gas conductivity according to vacuum pressure by applying a simulation.

도 5를 참조하면,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즉,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본체만의 경우(그래프 1) 또는 본체와 도어를 합한 경우(그래프 2)의 열부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한 물품과 비교하여 열부하(heat load)가 줄어들어서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정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가스전도도(그래프 3)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단열성능 및 가스전도도가 개선되는 비율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진공압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한 진공압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고, 과도한 게터(getter)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점에서 최적의 진공압을 제안한다. 5, the lower the vacuum pressure,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vacuum, the higher the heat load in the case of only the body (graph 1) or when the body and the door are combined (graph 2),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olyurethane foamed articl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load is reduced and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gradually lower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the vacuum pressure, the lower the gas conductivity (graph 3). However, it can be seen that even if the vacuum pressure is lowered, the rate of improvement i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gas conductivity is gradually lower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lower the vacuum pressure as much as possible, but there are problems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obtain an excessive vacuum pressure, and costs are high due to the use of an excessive getter. In the embodiment, the optimum vacuum pressure is proposed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도 6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for observing the process of evacuating the inside of the vacuum insulator with time and pressure when the supporting unit is us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baking)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 6Torr이다. Referring to FIG. 6 , in order to create the vacuum space part 50 in a vacuum state, while heating (baking), the gas of the vacuum space part is exhausted by a vacuum pump while vaporizing the potential gas remaining in the parts of the vacuum space part. However, when the vacuum pressure exceeds a certain level, it reaches a point where the level of the vacuum pressure no longer increases (Δt 1 ). After that, the connection of the vacuum space of the vacuum pump is disconnected and heat is applied to activate the getter (Δt 2 ). When the getter is activated, the pressure in the vacuum space decreas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it is normalized and the vacuum pressure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When the vacuum pressure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after activation of the getter, the vacuum pressure is approximately 1.8×10 - 6 Torr.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 6Torr로 설정한다. In the embodiment, the point at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no longer substantially lowered even if the gas is exhausted by operating the vacuum pump is set as the lower limit of the vacuum pressure used in the vacuum insulator, so that the lowest internal pressure of the vacuum space is 1.8×10 - 6 Torr set to

도 7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comparing vacuum pressure and gas conductivity.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Referring to FIG. 7 , the actual heat transfer coefficient (eK) of the gas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vacuum pressu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inside of the vacuum space part 50 is shown as a graph. The gap of the vacuum space part was measured in three cases of 2.76 mm, 6.5 mm, and 12.5 mm. The gap of the vacuum space is defined as follows. When there is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32 inside the vacuum space part, i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adiation resistance sheet and an adjacent plate, and when there is no radiation resistance sheet inside the vacuum space part,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late members.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 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 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 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 2Torr이다. The point at which the conventional response with the actual heat transfer coefficient 0.0196 W / mk to provide an insulating material by foaming a polyurethane, even when the size of the small gap 2.76mm 2.65 × 10 - could be seen that the 1 Torr. On the other hand, true even if the pressure is low, the point at which the saturation effect of reducing the heat-insulating effect due to the gas conducted heat is approximately 4.5 × 10 - was confirmed that the point of 3 Torr. The 4.5×10 - 3 Torr pressure can be determined as a point at which the effect of reducing the gas conduction heat is saturated. In addition, when the substance i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0.1 W / mk 1.2 × 10 - it is 2 Torr.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 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 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When the supporting unit is not provided in the vacuum space and the porous material is provided, the size of the gap ranges from several micrometers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In this case, even when the vacuum pressure is relatively high due to the porous material, that is, even when the degree of vacuum is low, radiant heat transfer is small. Therefore, an appropriate vacuum pump suitable for the vacuum pressure is used. The appropriate vacuum pressure for the corresponding vacuum pump is approximately 2.0×10 - 4 Torr. In addition, the vacuum pressure at which the effect of reducing gas is conducted heat saturation is approximately 4.7 × 10 - is 2 Torr. In addition, the pressure at which the reduction effect of gas conduction heat reaches the conventional rea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0.0196 W/mk is 730 Torr.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만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장 낮은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porous material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vacuum space, a vacuum pressure intermediate between the case of using only the supporting unit and the case of using only the porous material may be used. When only the porous material is used, the lowest vacuum pressure can be created and used.

상기 진공단열체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insulator includes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a second space different in temperature from the first space. can do. The first plat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The second plat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insulator seals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so as to provide a third space that is a spa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and is a space in a vacuum state. 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unit.

한편,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3 공간의 내측공간에 위치할 경우, 그 플레이트 부재는 내측 플레이트 부재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 3 공간의 외측 공간에 위치할 경우, 그 플레이트 부재는 외측 플레이트 부재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공간의 내측공간은 냉장고의 저장실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의 외측공간은 냉장고의 외부공간일 수 있다.Meanwhile, when any on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space, the plate member may be expressed as an inner plate member.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is located in an outer space of the third space, the plate member may be expressed as an outer plate member. For example,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space may be a storage room of the refrigerator. The outer space of the third space may be an outer space of the refrigerator.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insulato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unit for maintaining the third space.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전도저항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insulator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connecting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to each other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공간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제 1 공간을 마주보는 면과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제 2 공간을 마주보는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측면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측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disposed to face the third spac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disposed between an edg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an edge of the second plate member.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disposed between a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facing the first space and a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facing the second space.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may be disposed between a side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a side por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formed to exten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두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보다 얇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열전달을 더 저감할 수 있다. A thickness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thinner than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A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decreases, heat transfer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further reduced.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얇을수록 열전달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결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As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thin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eat transfer can be reduced, but it may be difficult to coupl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일단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일단과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방식은 용접을 포함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This is to provide a spac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first plate member. Here, the coupling method may include welding.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타단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타단과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방식은 용접을 포함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This is to provide a space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second plate member. Here, the coupling method may include welding.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대체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삭제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두께가 다른 하나보다 얇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두께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길이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 구성은,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삭제하는 것에 따라서 열전달이 증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결합하는데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replaci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may be deleted, and the thickness of on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thinner than the other.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any one of the above may be thicker tha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n this case, the length of any one of the abov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This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increase in heat transfer by eliminati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lso, this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difficulty in coupling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두께가 얇은 어느 하나의 위에는, 추가적인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얇아진 플레이트 부재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This is to provide a space for coupling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An additional cover may be disposed on any on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having a thin thickness. This is to protect the thinned plate member.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진공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insulator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vacuum space.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insulator may further include a decor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여기서, 상기 데코는 도 8내지 도 29에서 실링 프레임(200)으로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decoration may be represented by the sealing frame 200 in FIGS. 8 to 29 .

도 8은 진공단열체 테두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rim of the vacuum insulator.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플레이트 부재(10), 제 2 플레이트 부재(20), 및 전도저항쉬트(60)가 제공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박판으로 제공되어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 전도에 저항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박판으로서 도면에는 편평한 평면으로 제공되지만, 진공공간부(50)에 진공이 인가되는 때에는 내측으로 당겨져서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first plate member 10 , a second plate member 20 , and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re provided.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60 may be provided as a thin plate to resist heat conduction between the plate members 10 and 20 .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provided as a thin plate in a flat plane in the drawing, but when a vacuum is applied to the vacuum space part 50, it may be pulled inward to have a curved shape.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판상으로서 강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파손되면 진공공간부의 진공이 파괴되어 진공단열체의 성능이 발휘되지 못한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는 실링프레임(2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00)에 따르면, 상기 도어(3)의 부품이나 외부의 다른 물품은 상기 전도저항쉬트(60)에 직접 접하지 않고 상기 실링프레임(200)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전도저항쉬트(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상기 전도저항쉬트(60)에 충격을 전달하지 않기 위하여, 두 부재 간의 간격은 서로 이격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입될 수도 있다.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a thin plate and has low strength, so it can be damaged even by a small external impact, and whe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s damaged, the vacuum in the vacuum space is destroy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insulator is not exhibited. can not do it.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sealing frame 20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 According to the sealing frame 200, the parts of the door 3 or other external articles do not directly contac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but indirectly contact through the sealing frame 200, so conduction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heet 60 . In order for the sealing frame 200 not to transmit an impact to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60,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emb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uffer memb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진공단열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에는 보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로서,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10)의 테두리 부분에 체결되는 제 1 보강부재(100)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테두리 부분에 체결되는 제 2 보강부재(1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00)(110)는 진공단열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정도로,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보다는 두껍거나 강도가 높은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강부재(100)는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공간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2 보강부재(110)는 상기 본체(2)의 내면부에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vacuum insulator, a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plate members 10 and 20 . For example, in the reinforcing member, a first reinforcing member 100 is fastened to the edge of the second plate member 10 ,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is fastened to the edg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 ) may be included. The reinforcing members 100 and 110 may be thicker or stronger than the plate members 10 and 20 to the extent that the strength of the vacuum insulator can be increase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0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vacuum space portion 50 ,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보강부재(100)(110)와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도저항쉬트(60)에서 발생하는 열전도 저항 특성이 보강부재에 의해서 파괴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열전도에 저항하기 위한 좁은 열 다리(히트 브릿지: Heat Bridge)의 폭이 보강부재에 의해서 크게 확장되고, 좁은 열 다리 특성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members 100 and 110 . This is because the heat conduction resistance characteristic generated in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60 is destroy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other words, the width of a narrow thermal bridge (heat bridge) for resisting heat conduction is greatly expanded by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narrow thermal bridge characteristic is destroyed.

상기 진공공간부(50)는 내부 공간의 폭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 1 보강부재(100)는 단면이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내면에 제공되는 제 2 보강부재(110)는 단면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Since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vacuum space portion 50 is narrow,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00 may be provided in a flat cross-secti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 is bent.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상기 본체(2)의 내부공간에 놓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지지되는 내면부(230), 상기 본체(2)의 외부공간에 놓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 지지되는 외면부(210), 및 상기 본체(2)를 이루는 진공단열체의 테두리 측면에 놓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커버하고 상기 내면부(230)와 상기 외면부(210)를 연결하는 측면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ealing frame 200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supported by the first plate member 10, the second plate member placed in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2)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supported by the 20, and the vacuum insulator forming the main body 2 are placed on the edge side to cover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6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 may include a side portion 220 for connecting them.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약간의 변형이 허용되는 수지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상기 내면부(230)와 상기 외면부(210)의 상호작용, 다시 말하면 잡는 작용에 의해서 장착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설정위치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made of a resin that is slightly deformable. The sealing frame 200, the mounting position may be mainta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that is, a gripping action. In other words, the setting position may not be deviated.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위치고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fixing of the posi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평면상의 연장방향(도 8에서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진공단열체에서 외부로 빠지는 위치이동은,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에 걸려서 방해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진공단열체의 내부로 이동하는 위치이동은, 첫째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에 걸려서 지지되는 작용(이 작용은 수지로 제공되는 실링프레이의 탄성복원력을 포함하여 양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측면부(220)가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멈춰지는 작용, 셋째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대하여 상기 y축 방향의 이동을 막는 작용 중의 어느 작용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First, the movement of the plate members 10 and 2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plane (the y-axis direction in FIG. 8 ) is carried out by the inner surface 230 being caught and supported by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can be fixed. In more detail, the movement of the sealing frame 200 to the outside from the vacuum insulator may be hindered by the inner surface 230 being caught by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Conversely, the movement of the sealing frame 200 to the inside of the vacuum insulator is an action in which the inner surface part 230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this action is a sealing provided by resin). It can act in both directions includ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pry), secondly, the side part 220 stops with respect to the plate members 10 and 20, and thirdly, the inner surface part 230 is the first plate member ( 10), any action of blocking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hindered by at least one action.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단면에 대한 수직연장방향(도 8에서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외면부(210)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보조작용으로는,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를 잡는 작용 및 접하는 작용에 의해서 상기 x축 방향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extens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FIG. 8 )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members 10 and 20 is fixed by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being caught and supported by the second plate member 20 . can be As an auxiliary action, the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hindered by the action of the inner surface 230 grabbing and contacting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연장방향(도 8에서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어느 하나의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가 인접하는 다른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에 접하는 제 1 작용과 어느 하나의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가 멀리언(300)에 접하는 제 2 작용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멈추어질 수 있다. The movement in the extending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FIG. 8) of the sealing frame 200 is such that the inner surface 230 of any one sealing frame 2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other sealing frame 200. The first action and the inner portion 230 of any one of the sealing frames 200 may be stopped by at least one of the second action in contact with the mullion 300 .

도 9와 도 10은 본체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측면부(220)와 평행한 방향으로 펼쳐진 가상 상태를 나타내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in the drawing, the sealing frame 200, it is noted that the inner surface part 230 represents a virtual state in which the side surface part 220 is spread in a parallel direction. shall.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에는 상기 본체(2)의 상단테두리과 하단테두리을 각각 실링하는 부재(200b)(200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측면 테두리는, 상기 멀리언(300)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각 고내 공간을 분리(도 9의 경우) 또는 일체로(도 10의 경우) 실링하는 가의 여부에 따라서 나뉘어 질 수 있다. 9 and 10 , the sealing frame 200 may include members 200b and 200e for sealing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main body 2 , respectively.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2 can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each inner space divided based on the mullion 300 is sealed separately (in the case of FIG. 9) or integrally (in the case of FIG. 10). have.

도 9와 같이 분리하여 본체(2)의 측면 테두리를 실링하는 경우에는, 네 개의 실링프레임(200a)(200c)(200d)(200f)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일체로 본체(2)의 측면 테두리를 실링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실링프레임(200g)(200c)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sealing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2 by separating as shown in FIG. 9, it may be divided into four sealing frames 200a, 200c, 200d, and 200f. In the case of sealing the side edge of the body 2 integrally as shown in FIG. 10 , it may be divided into two sealing frames 200g and 200c.

도 10과 같이 두 개의 실링프레임(200g)(200c)으로 본체(2)의 측면 테두리를 실링하는 경우에는, 두 번의 체결작업이 필요로 하므로 제작이 편리해지지만, 실링프레임의 열전도에 의해서 분리된 저장고 간의 열전달이 일어나서 냉기 손실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sealing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2 with two sealing frames 200g and 200c as shown in FIG. 10, it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because two fastening operations are required, but the storage space separated by the heat conduction of the sealing frame There is a risk of loss of cold air due to heat transfer between the livers, so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is.

도 9와 같이 네 개의 실링프레임(200a)(200c)(200d)(200f)으로 본체(2)의 측면 테두리를 실링하는 경우에는, 네 번의 체결작업이 필요로 하므로 제작은 불편하지만, 실링프레임 간의 열전도가 방해되어 분리된 저장고 간의 열전달이 줄어들어 냉기손실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sealing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2 with four sealing frames 200a, 200c, 200d, and 200f as shown in FIG. 9, since four fastening operations are required, manufacturing is inconvenient, but between the sealing frames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loss of cold air as heat transfer between the separated storages is reduced by interfering with the heat conduction.

한편, 도 8에 제시되는 진공단열체의 실시예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제공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어(3)에 가스켓이 설치되므로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측면부(220)는 가스켓이 접하기에 충분한 폭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더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vacuum insulator shown in FIG. 8 may preferably illustrate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However, it does not exclude that it is provided in the door-side vacuum insulator. However, since the gasket is generally installed in the door 3,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aling frame 200 is provided in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In this case, the side portion 220 of the sealing frame 200 can further obtain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width sufficient to contact the gasket.

상세하게 설명하면, 진공단열체의 단열두께, 즉 진공단열체의 폭에 비하여 상기 측면부(220)의 폭이 더 넓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가스켓의 단열폭이 충분히 넓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단열체의 단열두께를 10mm로 하는 경우에는, 고내의 저장공간을 크게 제공하여 냉장고의 수납공간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10mm는 가스켓이 접하는 충분한 간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측면부(220)는 가스켓의 접촉면적에 대응하여 넓은 간격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2)와 상기 도어(3) 사이의 접촉간격을 통한 냉기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스켓의 접촉 폭이 20mm인 경우에는, 진공단ž‰체의 단열두께가 10mm이더라도, 가스켓의 접촉 폭에 대응하여 상기 측면부(220)의 폭을 20mm 또는 그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In detail, since the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that is, the width of the side part 220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insulator, the insulating width of the gasket can be sufficiently wide. For example, when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is 10 mm,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can be enlarged by providing a larg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However, 10 mm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 sufficient gap in contact with the gasket. In this case, since the side part 220 can provide a wide ga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ea of the gaske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loss of cold air through the contact gap between the main body 2 and the door 3 . have. That is, when the contact width of the gasket is 20 mm,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220 can be provided to be 20 mm or more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width of the gasket, even if the insulating thickness of the vacuum end body is 10 mm.

상기 실링프레임(200)에 의해서 전도저항쉬트의 쉴드 및 냉기손실을 방지하는 실링의 작용이 수행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hielding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sealing to prevent cold air loss are performed by the sealing frame 200 .

도 11은 본체가 도어에 의해서 닫힌 상태로 도시된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portion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closed by the door.

도 11을 참조하면, 가스켓(80)은 본체(2)와 도어(3)의 사이 경계면에 개입된다. 상기 가스켓(80)은 도어(3)에 체결될 수 있고 연질재질로서 변형이 가능한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0)은 마그넷을 일 부품으로 포함하고, 마그넷이 자성체(즉, 본체 테두리부의 자성체)를 당겨서 접근할 때, 가스켓(80)이 부드럽게 변형되는 작용에 의해서 본체(2)와 도어(3)의 접촉면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실링면에 의해서 고내의 냉기누설이 차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gasket 80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2 and the door 3 . The gasket 80 may be fastened to the door 3 and may be provided as a deformable member as a soft material. The gasket 80 includes a magnet as a part, and when the magnet pulls a magnetic material (ie,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body rim portion) and approaches, the gasket 80 is gently deformed by the action of the main body 2 and the door 3 ) can be blocked from leakage of cold air in the refrigerator by a sealing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켓의 가스켓 실링면(81)이 상기 측면부(220)에 접할 때, 충분한 폭의 측면부 실링면(221)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부 실링면(221)은, 상기 가스켓(80)이 상기 측면부(220)에 접할 때, 상기 가스켓 실링면(81)과 대응하여 면접하는 상기 측면부(220) 상의 접촉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gasket sealing surface 81 of the gaske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22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ide sealing surface 221 of sufficient width. The side sealing surface 221 may be defined as a contact surface on the side portion 2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asket sealing surface 81 when the gasket 8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220 .

이에 따르면 상기 진공단열체의 단열 두께와는 상관없이 충분한 면적의 실링면(81)(221)을 확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진공단열체의 단열 두께가 좁더라도, 예시로 진공단열체의 단열 두께가 가스켓 실링면(81)보다 좁더라도, 상기 측면부(220)의 폭을 길게 하면 충분한 폭의 측면부 실링면(221)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와 도어의 접촉면의 변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재의 변형과는 무관하게, 충분한 면적의 실링면(81)(221)을 확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측면부(220)를 설계함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실링면(221)의 안과 밖으로 소정의 여유 간격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실링면(81)(221) 간의 약간의 틀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실링면의 폭과 면적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ealing surfaces 81 and 221 of sufficient area regardless of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Because, even if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is narrow, for example, even if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vacuum insulator is narrower than the gasket sealing surface 81, if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220 is increased, the side sealing surface 221 of sufficient width can ge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ealing surfaces 81 and 221 of sufficient area regardless of the deformation of the member that may affect the deformation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ody and the door. Because, in designing the side part 220, a predetermined clearance can be provided in and out of the side sealing surface 221, so even if a slight deviation between the sealing surfaces 81 and 221 occurs, the sealing surface This is because the width and area can be maintained.

상기 실링프레임(200)에는, 상기 외면부(210), 상기 측면부(220), 및 상기 내면부(230)가 제공되어 그 설정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간단하게 상기 외면부(210)와 상기 내면부(230)가 오무라드는 형태, 즉 요입홈의 구조를 가져서 자ㅣ진공단열체의 단부, 더 정확하게는 플레이트 부재(10)(20)를 잡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입홈은 상기 측면부(220)의 폭보다는 상기 외면부(210)와 상기 내면부(230)의 단부 사이의 폭이 작은 구성으로서 요입홈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sealing frame 200 may be provided with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 the side surface portion 220 ,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to maintain a set position thereof. Simply,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have a concave shape, that is, have a concave groove structure to hold the end of the self-vacuum insulator, more precisely, the plate members 10 and 20 can be provided as Here, the concave groove may be understood as hav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cave groove 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220 .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체결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외면부(210)를 제 2 플레이트 부재(2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면부(210)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외면을 따라서 안쪽으로 이동하며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변형 전에 설계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체결이 완료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The fastening of the sealing frame 200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caught 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the side surface portion 220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 Then, the sealing frame 20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moves in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to complete the fastening. When the coupling of the sealing frame 200 is completed,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restored to an original shape designed before deformation. When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installation position may be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상세구성 및 상세작용을 설명한다.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detailed opera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외면부(210)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고외 연장부(211)과, 상기 고외 연장부(211)의 끝단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외면과 접하는 고외 접촉부(212)가 제공될 수 있다. In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 an outer surface extension 211 extending i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at the end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211 . An external contact portion 212 that abuts may be provided.

상기 고외 연장부(21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데, 이는 외부의 약한 작용력에 의해서 상기 외면부(2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외면부(210)가 도어쪽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더라도, 외면부(210)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길면 수리시에 의도적인 제거시에 어려움이 있고, 체결작업이 어려워지므로 소정의 길이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extension portion 2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from falling out due to a weak external action force. In other words, even if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receives a pulling force toward the door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econd plate member 20 . However, if it is too long, it is difficult to intentionally remove it during repair, and since the fastening operation becomes difficult, it is preferable to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고외 접촉부(212)는, 상기 고외 연장부(211)의 끝단이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외면을 향하여 약간 구부러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면부(2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접촉에 의한 실링이 완벽해 짐으로써 이물질의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contact portion 2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nd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211 is slightly bent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 Accordingly, since the sealing by the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is perf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외면부(210)에서 본체(2)의 개구를 향하여 대략 90도 절곡되고, 충분한 측면부 실링면(221)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제공된다.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내면부(210) 및 상기 외면부(230)에 비하여 얇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체결이나 제거 시에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목적과, 가스켓(80)에 설치되는 마그넷과 본체 측의 자성체 간의 자기력 약화를 야기하는 거리를 허용하지 않는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보호하고, 외부의 드러나는 부분으로서 외관을 정리하는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면부(220)의 내부에 단열부재를 부설하는 경우에는 전도저항쉬트(60)의 단열성능을 보강할 수도 있다.The side portion 220 is bent from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toward the opening of the body 2 by approximately 90 degrees, and is provided with a width sufficient to secure a sufficient width of the side sealing surface 221 . The side portion 220 may be provided thinner than the inner surface portion 210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30 . This has the purpose of allowing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sealing frame 200 is fastened or removed, and the purpose of not allowing a distance that causes a weakening of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 installed in the gasket 80 and the magnetic body on the body side. have. The side part 220 may have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nd arranging the exterior as an external exposed part. When a heat insulating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side part 220 , the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may be reinforced.

상기 내면부(230)는, 상기 측면부(220)에서 고내 방향, 즉 본체의 후면방향으로 대략 90도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내면부(230)는 실링프레임(200)을 고정하는 작용, 냉장고 등과 같이 진공단열체가 부설되는 제품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설치되는 작용, 및 외부의 이물질의 내부유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bent from the side portion 22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abinet, that i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by bending approximately 90 degrees to exte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performs an action of fixing the sealing frame 200, an action of installing par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product on which a vacuum insulator is installed, such as a refrigerator, and an action of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ior. can

상기 내면부(230)의 각 구성에 대응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will be described.

상기 내면부(230)에는, 상기 측면부(220)의 내측단부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되는 고내 연장부(231), 및 상기 고내 연장부(231)의 안쪽단부에서 바깥쪽 방향, 즉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는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의 돌기부(112)에 접촉하여 걸릴 수 있다. 상기 고내 연장부(231)는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제 2 보강부재(110)의 안쪽에 걸리도록 고내 측으로 연장되는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an inner extension portion 231 extending by bending from the inner end of the side portion 220, and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of the inner extension portion 231, that is, a first plate member ( 10) A first member fastening portion 232 bent toward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may contact and engage the protrusion 112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The inner extension part 231 may provide a gap exten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abinet so that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caught insid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에 결림으로써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지지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상기 제 2 보강부재(11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체결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에서 절곡연장되는 돌기부(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1)와 상기 돌기부(112)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의 관성이 커짐으로써 굽힘강도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커질 수 있다.As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fastened to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a supporting ac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derive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111 fasten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a protrusion 112 bent and extended from the base portion 111 .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ase part 111 and the protrusion part 112 , the inertia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increases, so that the ability to resist bending strength may be increased.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에는 제 2 부재 체결부(233)가 체결될 수 있다.상기 제 1, 2 부재 체결부(232)(233)는 서로 체결되는 별도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고, 설계시부터 단일의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A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The first and second member fastening parts 232 and 233 may be provided as separate members fastened to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as a single member from the time of design.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의 안쪽단부에서 고내의 안쪽으로 더 연장되는 간격 형성부(234)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격형성부(234)는 진공단열체가 제공되는 냉장고 등의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놓이는 간격 또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A gap forming portion 234 that further extends inwardly from the inner end of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ortion 233 may be further provided. The gap forming part 234 may act as a part providing a space or space in which parts necessary for operation of a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vacuum insulator are placed.

상기 간격 형성부(234)의 내측으로는 고내 경사부(235)가 더 마련된다. 상기 고내 경사부(235)는 끝단을 향할수록, 즉 고내의 안쪽으로 향할수록 제 1 플레이트 부재(10)측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다. 상기 고내 경사부(235)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실링프레임과 제 1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이 작아지게 제공됨으로서, 실링프레임(200)이 고내 공간을 차지하는 부피를 가급적 작게 하면서도, 상기 간격형성부(234)와의 협력에 의해서 램프 등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n inward inclined portion 235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gap forming portion 234 . The inclination portion 235 in the cabinet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to approach the first plate member 10 toward the end, that is,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The inclination part 235 in the cabinet is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aling frame and the first plate member becomes smaller as it goes inward, so that the volume occupied by the sealing frame 200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while the space forming part 234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 the effect of securing a space where parts such as lamps are installed can be expected.

상기 고내 경사부(235)의 안쪽단부에는 고내 접촉부(236)가 마련된다. 상기 고내 접촉부(236)는, 상기 고외 경사부(235)의 끝단이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측으로 약간 구부러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내면부(230)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접촉에 의한 실링이 완벽해 짐으로써 이물질의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다. A contact portion 236 is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inclination portion 235 in the refrigerator. The inner contact portion 236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nd of the outer inclined portion 235 is slightly ben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 According to this, the sealing by the contact between the inner surface part 230 and the first plate member 10 is perfected,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램프 등과 같은 부속부품이 상기 내면부(23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부품의 설치 상의 편의를 위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면부(230)는 두 개의 부품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내 연장부(231)와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를 제공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와 상기 간격 형성부(234)와 상기 고내 경사부(235)와 상기 고내 접촉부(236)를 제공하는 제 2 부재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재에 램프 등으로 예시되는 물품이 장착되는 상태에서 제 1 부재 체결부(232)에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내면부(230)가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단일의 부재로 상기 내면부(230)가 제공될 수도 있다. When an accessory such as a lamp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230 , the inner surface 230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such as for convenience in installation of the part. For example, a first member providing the inner extension part 231 and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 the gap forming part 234 , and the inner inclination It may be divided into a portion 235 and a second member providing the contact portion 236 in the refrigerator.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astened in such a way that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is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n a state where an article exemplified by a lamp is mounted on the second member. can be Of course, it does not exclude that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provided in more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may be provided as a single member.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도저항쉬트의 위치 및 그에 따른 다른 부분의 변경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portion between a body and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in the position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change of other parts accordingly.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진공단열체의 끝단 테두리 부분이 아닌 고내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외측과 진공단열체의 테두리 부분을 넘어서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내측까지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b에 제시되는 도어 측 진공단열체의 전도저항쉬트와 유사한 위치에 전도저항쉬트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rather than at the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The second plate member 20 may extend beyond the outside of the high cabinet and the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In some cases, it may be extended a certain length to the inner side of the cabine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can be provided at a position similar to the conduction resistance sheet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door side shown in FIG. 4B.

이 경우에, 전도저항쉬트(60)의 높은 열전도 단열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상기 제 2 보강부재(110)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접촉하지 않고 고내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저항쉬트의 히트브릿지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전도저항쉬트(60)와 제 2 보강부재(110)는 접하지 않고, 전도저항쉬트에 의한 전도단열성능과, 보강부재에 의한 진공단열체의 강도보강성능을 함께 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not to affect the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is moved inside the refrigerator without contacting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Do. This is to achieve the function of the heat bridg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ccordingly,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are not in contact, and the conductive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erformance of the vacuum insulator by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achieved together.

본 실시예는 진공단열체의 테두리 부분에 대한 완벽한 열적 보호 및 물리적 보호가 요구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when perfect thermal and physical protection for the edge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is required.

도 13과 도 14는 내면부가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두 부재의 체결을 설명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도 13은 체결이 완료된 상태이고, 도 14는 체결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13 and 14 are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of the two members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divided into two members, FIG. 13 i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is completed,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process.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보강부재(110)의 돌기부(112)에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 외면부(210)가 지지된다. 이로써 실링프레임(200)이 진공단열체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13 and 14 ,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caught on the protrusion 112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and the outer surface part 210 is support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20 . . Accordingly,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fix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에는 고내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제 1 부재 삽입부(237)가 적어도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냉장고에 설치되는 실링프레임(200) 별로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씩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는 서로 비슷한 크기 및 형상으로써, 제 1 부재 삽입부(237)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에 삽입되고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bent and exten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and preferably, at least one or more first member insertion parts 237 are provided at the end of each sealing frame 20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each. A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have similar sizes and shapes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and It can be fitted and fixed.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체결을 설명한다. 제 1 부재가 진공단열체의 테두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에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부재를 제 1 부재에 대하여 정렬한다.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의 안으로 제 1 부재 삽입부(237)를 끼워 넣으면 두 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The fastening of the said 1st member and the said 2nd member is demonst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ember is fastened to the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the second member is aligned with the first member so that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corresponds to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 . When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 the two members may be fastened.

한편, 체결된 제 2 부재가 제 1 부재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에 비하여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양부재가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와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가 소정 깊이 삽입된 후에 걸려서 지지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이후의 어느 지점에는 돌기와 홈이 양 부재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두 부재가 일정 깊이 삽입된 다음에는, 턱을 넘어서 더 삽입됨으러써 두 부재의 고정이 더 견고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작업자는 경쾌한 느낌을 통해서 올바르게 삽입되었음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fastened second memb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insertion portion 237 . Thereby, both members can be press-fitted. After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and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are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protrusions and grooves are formed on both members, respectively, at any point after the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y can perform the function of being caught and supported.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fter the two members are inserted to a certain depth, they may be further inserted beyond the chin so that the fixing of the two members may be performed more firmly. Of course, the operator can feel that it has been correctly inserted through the light feeling.

상기 내면부를 이루는 두 부재는, 이와 같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서 위치 및 결합관계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상기 제 2 부재가 별도의 구성부품을 고정하는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적재하중이 큰 경우에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고내 체결구(239)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The two members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may have a fixed position and a coupling relationship by a configuration that is fitted and coupled in this way. As another method, when the loading load is large due to the action of the second member fixing separate components,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nected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uch as an in-house fastener 239 . They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5는 실링프레임이 두 부재로 제공되는 실시예의 경우에 실링프레임의 체결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상기 내면부에 부품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15 is a view sequentially explaining the fastening of the sealing fram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aling frame is provided with two members. In particular, a case in which the componen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is illustrated.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을 진공단열체의 테두리 부분에 체결한다. 이때 체결은 별도로 나사 등의 부재가 없이, 실링프레임(200)의 탄성변형 및 그에 따른 복원력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5 (a), the sealing frame 200 is fasten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At this time, the fastening may be performed by us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and a restoring force corresponding thereto, without a separate member such as a screw.

예를 들어, 상기 내면부(230)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내면부(230)와 상기 측면부(220)의 연결지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외면부(210)를 제 2 플레이트 부재(2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작용은 측면부(220)의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caught 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and the side portion 220 is a rotation center, and the side portion 220 is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 This action may caus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ide portion 220 .

이후에, 상기 외면부(210)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외면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측면부(220)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외면부(210)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외면에 경쾌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설계된 원래 형상으로 설계된 원래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다. Thereafter,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moves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ide portion 220 acts so that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is formed by the second plate member 20 . It can be lightly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hen the coupling of the sealing frame 200 is completed,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positioned in an original position designed in the originally designed shape.

도 15(b)를 참조하면, 실링프레임(200)의 제 1 부재가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실링프레임의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 작용으로, 실링프레임(200)이 상기 진공단열체의 테두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외면부(210) 및 상기 내면부(230)에 비하여 얇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5 (b), the first member of the sealing frame 200 show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is completed. In order to enable the sealing frame 200 to be fastened to the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by th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action of the sealing frame, the side part 220 is the outer surface part 210 and the inner surface part 230. It may be formed thinner than

도 15(c)를 참조하면, 내면부(230)를 제공하는 제 2 부재로서 부품안착부재(250)가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된다. 상기 부품안착부재(250)는 부품(399)이 놓여서 그 설정위치가 지지될 수 있는 부품으로서, 상기 부품(399)의 작용에 필요한 부수적인 기능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품(399)이 램프인 경우에는, 상기 부품안착부재(250)에 상기 간격형성부(234)가 투명한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내면부(230)를 통과하여 고내로 조사되고 사용자는 고내의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c ), as the second member providing the inner surface 230 , the component seating member 250 is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The component seating member 250 is a component on which the component 399 is placed and its setting position can be supported, and an additional func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 399 may be further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component 399 is a lamp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p forming part 234 may be provided as a transparent member on the component mounting member 250 .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passes through the inner surface 230 and is irradiated into the cabinet, and the user can identify the articles in the cabinet.

상기 부품안착부재(250)에는 상기 부품(399)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품(399)과 피팅이 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품(399)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seat the component 399 on the component mounting member 250 , it may have a predetermined shape that can be fitted with the component 399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399 is fixed.

도 15(d)는 상기 부품안착부재(250)에 부품(399)이 놓인 상태를 도시한다. FIG. 15( d )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399 is placed on the component mounting member 250 .

도 15(e)를 참조하면, 상기 부품(399)이 안착된 상기 부품안착부재(250)가, 내면부를 제공하는 제 1 부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실시예에서는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은 서로 연장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물론 이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립의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15E , the component mounting member 250 on which the component 399 is seated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providing the inner surface portion. In the embodiment,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exten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 direction can be align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this way, but may be preferably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ssembly.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가 억지끼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는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보다 조금 크게 제공될 수 있고, 경쾌한 삽입을 위하여 단턱 및 돌기 등의 걸림구조를 도입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force-fit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slightly larger than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 It may be provided, and a locking structure such as a step and a protrusion may be introduced for light insertion.

도 15(f)를 참조하면,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내면부를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f) ,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ed state can be seen.

도 16 및 도 17은 실링프레임의 어느 일 단부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16은 도어힌지가 설치되기 전이고 도 17은 도어힌지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16 and 17 are views showing one end of the sealing frame. FIG. 16 is a view before the door hinge is installed, and FIG. 17 is a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hinge is installed.

냉장고의 경우에 상기 도어 측 진공단열체가 상기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기 위하여, 그 접속부에는 도어힌지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힌지는 스스로가 소정의 강도를 가질 뿐 아니라, 도어가 체결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한 도어처짐을 방지하고 본체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a door hinge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door-side vacuum insulator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side vacuum insulator. The door hinge should not only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by itself, but also prevent deflection of the door due to its own weight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fastened and prevent distortion of the body.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 힌지(263)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는 도어 체결구(260)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 체결구(260)는 세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체결구(260)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 및/또는 상기 보강부재(100)(110) 및/또는 별도의 추가보강부재(예를 들어,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외면에 더 제공되는 추가 플레이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은 용접 등의 융착방법에 의한 것을 지칭할 수 있고, 간접은 융착 등의 방법이 아닌 보조체결도구 등을 이용한 체결방법을 지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a door fastener 260 is provided in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so that the door hinge 263 is fastened. Three door fasteners 260 may be provided. The door fastener 260 is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or the reinforcing members 100 and 110 and/or a separate additional reinforcing member (e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fixed directly or indirectly to additional plates). Here, direct may refer to a method using a fusion method such as welding, and indirect may refer to a fastening method using an auxiliary fastening tool, not a method such as fusion.

상기 도어체결구(260)는 높은 지지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 접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링프레임(200)은 절개될 수 있고, 절개되는 실링프레임(200)은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상단모서리의 상단 실링프레임(200b)일 수 있다. 또한,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우측모서리의 우측 실링프레임(200a)(200f)(200g), 및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단모서리의 하측 실링프레임(200e)일 수 있다. 만약, 도어 설치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좌측모서리의 좌측 실링프레임(200a)(200f)(200g)일 수 있다. The door fastener 260 may be fasten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20 because high support strength is required. To this end,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cut, and the cut-out sealing frame 200 may be the upper sealing frame 200b of the upper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In addition, there may be right sealing frames 200a, 200f, and 200g of the right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and the lower sealing frame 200e of the lower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body side. If the door installation direction is different, it may be the left sealing frame 200a, 200f, or 200g of the left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절개되는 실링프레임(200)은 절단면(261)을 가지고,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는 도어 체결구(260)가 체결되는 도어 체결구 안착면(26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링프레임(200)의 절개에 의해서 도어 체결구 안착면(262) 바깥으로 드러날 수 있고, 상기 도어 체결부 안착면(262)에는 추가적인 플레이트 부재가 더 개입될 수 있다. The cut-out sealing frame 200 may have a cut surface 261 ,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may have a door fastener seating surface 262 to which the door fastener 260 is fastened. Accordingly, the door fastener seating surface 262 may be exposed outside by the incision of the sealing frame 200 , and an additional plate member may be further interposed in the door fastener seating surface 262 .

실링프레임(200)의 단부가 전체로서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도어체결구(260)가 제공되는 부분에만 실링 프레임(200)의 일부분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링프레임(200)의 단부가 모두 제거되는 것이 제작의 편의, 및 도어 힌지(263)가 진공단열체 측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더 바람직할 수 있다. The end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not be removed as a whole, but a por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removed only at a portion where the door fastener 260 is provided. However,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ends of the sealing frame 200 are all removed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and so that the door hinge 263 is firmly supported and fastened to the vacuum insulator side.

도 18은 발명에 따른 실링프레임의 효과를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측 진공단열체와 도어와의 접촉부의 단면도이고, 도 18(b)는 종래기술에 따른 본체와 도어와의 단면도이다. 18 is a view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eal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and FIG. 18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part between the vacuum insulator and the door on the body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b) )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and the do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8을 참조하면,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와 본체의 접촉부에는 급격한 온도변화에 기인하는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핫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핫라인은 본체의 외면 및 테두리에 가까울수록 작은 열용량으로도 이슬맺힘을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 in the refrigerator, a hotline may be install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door and the body to prevent dew formation due to a sudden temperature change. The closer the hotline is to the outer surface and rim of the body, the less dew condensation can be removed with a small heat capacity.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핫라인(270)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실링프레임(200) 사이 간격의 내부 공간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핫라인(270)이 놓이는 핫라인 수용부(271)가 실링프레임(200)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270)은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기 때문에 고 내로 전달되는 열량도 작다. 이로써 더 작은 열용량으로도 본체 및 도어 접촉부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핫라인(270)이 비교적 고 외측에, 즉 본체 테두리와 본체 외면의 사이 절곡되는 부분에 놓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내 공간으로의 열기 침입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tline 270 may b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ap between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the sealing frame 200 . A hotline accommodating part 271 on which the hotline 270 is placed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aling frame 200 . Since the hotline 270 is placed outsid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60,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into the furnace is also small.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dew formation on the body and door contact parts even with a smaller heat capacity. In addition, by allowing the hotline 270 to be placed on a relatively high outer side, that is, at a portion bent between the main body rim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intrusion of heat into the inner space can be prevented.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측면부(220)는, 상기 가스켓(80)과 진공공간부(50)와 정렬되는 부분(w1), 및 진공공간부(50)와 정렬되지 않고 상기 가스켓(80)과 상기 고내공간과 정렬되는 부분(w2)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마그넷에 의한 충분한 냉기차단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220)에 의해서 제공되는 부분이다. 이로써, 상기 실링프레임(200)에 의해서 가스켓(80)에 의한 실링작용이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ide portion 220 of the sealing frame 200 is not aligned with the portion w1 aligned with the gasket 80 and the vacuum space 50 , and the vacuum space 50 . It may have a gasket 80 and a portion w2 aligned with the inner space. This is a part provided by the side part 220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cold air blocking by the magnet. Accordingly, the sealing action by the gasket 80 by the sealing frame 200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내 경사부(235)는 소정의 각도(β)로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제공된다. 이는 빗금친 부분과 같이 고내의 용적을 더욱 크게 하여, 좁은 고내 공간을 더욱 넓게 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과 같이 고내 공간을 향하는 소정의 각도(α)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도어 근방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에 음식물을 더 많이 수용할 수도 있고,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더 얻을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inclination portion 235 is provi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at a predetermined angle β. This can gi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box like the hatched part, so that the narrow inside space can be used more widely. In other words, as in the prior art, the space near the door can be widely utilized by incli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determined angle α toward the interior space. For example, more food may be accommodated in the door, and more space may be obtained for accommodating various par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이하의 도 19 내지 도 24는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설치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The following FIGS. 19 to 24 show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sealing frame 200 is installed.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보강부재(110)가 베이스부(111)만을 제공하고 돌기부(112)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111)에 그루브(275)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275)에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 2 보강부재(110)에 돌기부(112)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물품의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may provide only the base 111 and not the protrusion 112 . In this case, a groove 275 may be provided in the base part 111 . An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75 . This embodiment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an article that can provide sufficient strength even if the protrusion 112 is not provided 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실링프레임(200)의 체결 시에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를 홈(275)에 끼워넣어 정렬하는 과정으로써, 실링프레임(200)이 진공단열체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a process of aligning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by inserting it into the groove 275 when the sealing frame 200 is fastened, the sealing frame 200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vacuum insulator. can be contracted.

상기 홈(275)과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체결작용에 따르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 및 제 2 보강부재(110)의 체결만으로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y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astening action of the groove 275 and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the sealing frame 200 is only fastened with the inner surface 230 of the sealing frame 20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stopped.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19에 제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베이스부(111)에 보강베이스부(276)를 더 제공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보강베이스부(276)에는 그루브(277)가 더 제공되어,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치공간의 부족이나 간섭 등으로 인하여 제 2 보강부재(110)에 돌기부(112)가 제공되지 못하더라도, 소정의 수준으로 강도를 보강해야 하는 필요가 있을 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부(111)의 외측단에 보강베이스(276)을 더 설치하는 것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강도보강의 수준으로,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강도보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때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9 in that the base part 1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se part 276 . A groove 277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reinforcing base portion 276 to allow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ortion 232 to be inserted. Although the protrusion 112 is not provided 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due to a lack of an actual installation space or interference,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when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the strength to a predetermined level.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trength reinforcement obtainable by further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base 276 at the outer end of the base portion 111, preferably applied when the strength reinforcement effect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can be provided. can

상기 보강베이스부(276)에 그루브(277)가 제공되고, 상기 그루부(277)에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가 끼워넣어 정렬하는 과정으로써, 실링프레임(200)이 진공단열체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A groove 277 is provided in the reinforcing base part 276, and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77 to align, and the sealing frame 200 is a vacuum insulator. may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상기 홈(277)과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체결작용에 따르더라도,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 및 제 2 보강부재(110)의 체결만으로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y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Even according to the fastening action of the groove 277 and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the sealing frame 200 is only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230 of the sealing frame 20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stopped.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19에 제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베이스부(111)에 보강돌기(278) 더 제공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보강돌기(278)에에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치공간의 부족이나 간섭 등으로 인하여, 제 2 보강부재(110)에 돌기부(112) 또는 보강베이스부(276)가 제공되지 못하더라도, 소정의 수준으로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걸리도록 해야 하는 필요가 있을 때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부(111)의 외측단부에서 보강돌기(278)을 더 설치함으로써,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강도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돌기(278)는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걸림작용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9 in that it further provides a reinforcing protrusion 278 on the base part 111 .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may be caught by the reinforcing protrusion 278 .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protrusion 112 or the reinforcing base 276 is not provided 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due to lack of actual space or interferenc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reinforces the strength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applied when there is a need to make the one-member fastening part 232 engage. In other words, by furth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protrusion 278 at the outer end of the base portion 111, the strength reinforcing effect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rotrusion 278 can be preferably applied because it can provide a locking action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상기 보강돌기(278)에 제 1 부재 체결부(232)가 걸려서 지지되는 것으로써 실링프레임(200)이 진공단열체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vacuum insulator by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being caught on the reinforcing protrusion 278 .

도 19 내지 도 21에 제시되는 실시예는 상기 내면부(230)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로 분리되지 않고 단일의 물품으로 제공되고 진공단열체에 체결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두 부재로 분리될 수도 있다. 19 to 21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provided as a single article without being separated into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and is fastened to a vacuum insula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parated into two members.

이상의 실시예는 제 2 보강부재(110)가 제공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하의 실시예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측에 별도의 보강부재가 제시되지 않는 경우에 실링프레임(200)이 체결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presents a case in which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is provided, the following embodiment shows the sealing frame 200 when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is not provided inside the first plate member 10 . This engagement will be described.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보강부재(100)는 진공단열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공되지만, 제 2 보강부재(110)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실링프레임(200)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에 이너돌기(28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돌기(281)는 용접 또는 끼워박기 등의 방법으로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 1 보강부재(100), 즉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제공되는 보강부재만으로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거, 제 2 플레이트 부재(20) 측에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00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vacuum insulator, but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is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is case, an inner protrusion 28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so that the sealing frame 200 is fastened. The inner protrusion 281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0 by welding or fitting. In this embodiment, sufficient strength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can be obtained only with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00 , that is, the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vacuum space 50 , or the second plate member 20 is reinforced on the side. It can be applied when the member can be installed.

상기 이너돌기(281)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부재 체결부(232)에는 제 1 부재 체결홈(28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 체결홈(282)의 안에는 상기 이너돌기(28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체결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A first member fastening groove 282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n order to be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protrusion 281 . A fastening posi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fixed by inserting the inner protrusion 281 .

도 23을 참조하면, 도 22에 제시되는 실시와 비교할 때 제 1 부재 체결홈(282)가 제공되지 않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일측단이 이너돌기(281)에 지지됨으로써, 실링프레임(200)의 위치가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2 , the first member fastening groove 282 is not provided, which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is supported by the inner protrusion 281 ,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supported.

본 실시예는, 도 22에 제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할 때, 이너돌기(281) 및 제 1 부재 체결홈(282)에 의해서 실링프레임(200)의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양방향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대신에, 일방향으로의 이동만 멈출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실링프레임(200)의 체결작업시에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2 , 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is stopped in both directions by the inner protrusion 281 and the first member fastening groove 282 . Instea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only movement in one direction can be stopped. However,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work conveniently during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can be expected.

도 19 내지 도 23에 제시되는 실시예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 측이 고정되고, 제 2 플레이트 부재(20) 측은 슬라이등 등의 움직임은 허용되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외면부(210)는 상대적인 슬라이등이 허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내면부(230)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허용되지 않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서로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구성을 제안한다. 19 to 23 , the first plate member 10 side is fixed,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side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movement such as a slide light is allowed. In other words, relative sliding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is permitted, 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30 is not permitted. . Such a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opposite to each other. Hereinafter, such a configuration is proposed.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외면에는 외측 돌기(283)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외면부(210)에는 외측 걸림부(21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측 걸림부(213)는 외측 돌기(283)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 an outer protrusion 283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20 , and an outer engaging portion 213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210 of the sealing frame 200 . can The outer locking part 213 may be supported by being caught by the outer protrusion 283 .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부에 대하여 슬라이등 등의 운동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링프레임(200)의 장착 및 고정은 방향만이 다르고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230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allow movement such as a slid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and fixing of the sealing frame 200 is different only in the direction and the same description can be applied.

도 24와 관련되는 실시예에 더해서 다양한 실시예가 더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드어, 보강부재(100)(110)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에 더 설치될 수 있고, 도 19 내지 도 21의 다양한 구조물이 그 보강부재에 대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걸림부(213)도 도 22와 같은 홈의 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related to FIG. 24, various embodiments may be further proposed. For example, reinforcing members 100 and 11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20 , and various structures of FIGS. 19 to 21 may be provided for the reinforcing member. In addition, the outer locking part 213 may also be provided as a groove structure as shown in FIG. 22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체결방향이 원 실시예와 반대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는 등의 구성 상의 차이점은 있다. 그러나, 실링프레임의 근본적인 작용은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such as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sealing frame 200 may b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riginal embodiment. However, the fundamental action of the sealing frame can be obtained in the same way.

이하에서는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냉장고 등의 기기에 부품설치 및 부품으로 배선이 인가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installing parts and applying wiring to a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to which a vacuum insulator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25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상단우측을 전방에서 살핀 도면이다. 25 is a view looking at the upper right sid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from the front.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함께 보강부재(100), 더 상세하게는 제 2 보강부재(110)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보강부재(1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에 놓여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보강부재(110)는 진공단열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진공단열체의 모서리를 따라서 긴 막대 형상으로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25 , a reinforcing member 100 , more specifically, a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may be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long rod along the edge of the vacuum insulator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vacuum insulator.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의 상기 돌기부(112)에는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5)(116)은 배선이 통과하는 홀의 역할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배선을 편리하게 자리잡을 수 있다. 상기 슬릿이 배선이 놓임으로써 배선의 굽힘으로 인하여 배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A slit may be provided in the protrusion 112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The slits 115 and 116 serve as a hole through which the wiring passes, so that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locate the wiring. The slit may prevent the wiring from being damaged due to bending of the wiring by laying the wiring.

상기 슬릿은, 상기 진공단열체의 상면 모서리 부분의 제 2 보강부재(110)에 제공되는 제 1 슬릿(115) 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측면 모서리 부분의 제 2 보강부재(11)에 제공되는 제 2 슬릿(116)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릿은 배선이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어서, 제 2 보강부재(11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lit is a first slit 115 provided i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of the upper surface edge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or a second reinforcing member 11 provided in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Two slits 116 may be provided. The sli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ing passes, and may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실시예의 경우에는, 냉장고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부품으로 예시되고, 부품(도 26의 399참조)의 배선을 안내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의 단부에 슬릿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 lamp for irradia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is exemplified as a component, and in order to guide wiring of the component (see 399 in FIG. 26 ), a slit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each corner.

상기 슬릿(115)(116)은 보강부재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응력집중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돌기부(112)의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 램프 등의 부품에서 배선이 빠져나오는 수순의 높이까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lits 115 and 116 can act as a stress concentration point that weakens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ntire protrusion 112 without removing the entirety of the protrusion 112 to the height of the sequence in which the wiring exits from the lamp. it is preferable

상기 슬릿(115)(116)의 꼭지점 부분은 모따기가 되어 부드러운 라운드 형상의 꼭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슬릿을 통과하는 배선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es of the slits 115 and 116 may be chamfered to provide vertices of a smooth round shap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ing passing through the slit from being damaged.

도 26과 도 27은 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진공단열체의 모서리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 26은 램프의 배선이 통과하지 않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27은 램프의 배선이 통과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부품으로서 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램프라고 지칭을 하지만 부품을 칭하는 일도 있다. 26 and 2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rners of the vacuum insulator in a state in which the lamp is installed.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through which wiring of the lamp does not pass, and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through which wiring of the lamp passes. Hereinafter, a lamp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s referred to as a lamp, but a component is also referred to as a component.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부품(399)이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간격형성부(234)의 내부에 냉장고에 필요한 일 부품으로서 램프가 놓여 있다. 상기 부품(399)의 배선(402)(403)은 상기 내면부(230)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의 사이 간격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와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와 상기 제 2 보강부재(110)의 사이 간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S. 26 and 27 ,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nent 399 is installed, and a lamp is placed inside the gap forming unit 234 as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refrigerator. The wirings 402 and 403 of the component 399 extend outward from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23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In detail, it extends outward from a gap between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and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가 상기 배선(402)(403)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의 단부는 베이스부(112)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물론, 제 2 부재 체결부(233)에 상기 돌기부(112)에 제공되는 것과 같은 슬릿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order for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to provide a gap through which the wires 402 and 403 can pass, the end of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is separated from the base part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have Of course,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ortion 233 may be provided with a slit similar to that provided in the protrusion portion 112 .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와 상기 돌기부(112)는,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지지작용을 위하여 접촉하고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슬릿(115)(116)은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끝단을 지나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5)(116)과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의 간격을 통하여 배선이 돌기부(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따. 상기 슬릿(115)(116)의 구성에 따르면, 배선(402)(403)이 슬릿을 통과하여 외부로 안내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배선(402)(403)을 파손시킬 수 있는 간섭 구조물을 없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and the protrusion 1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pport the sealing frame 200 . Referring to FIG. 27 , the slits 115 and 116 may extend beyond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A wiring may be drawn out of the protrusion 112 through a gap between the slits 115 and 116 and the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lits 115 and 116 , the wirings 402 and 403 can be gu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ts, and at this time, an interference structure that can damage the wirings 402 and 403 is removed. there may not be

도 28은 부품의 주변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ipheral part of the part;

도 28을 참조하면, 부품(399)과, 상기 부품(399)이 안착되는 부품 고정 프레임(400)과, 상기 실링프레임(200)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28 , a component 399 , a component fixing frame 400 on which the component 399 is mounted, and the sealing frame 200 are illustrated.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은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를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은 부품(399)가 안착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provides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230 of the sealing frame 200 .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has components for mounting the component 399 .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서, 단면에서 관찰하면, 상기 내면부를 이루는 제 2 부재와 대응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2 부재 체결부(233)와 상기 간격 형성부(234)와 상기 고내 경사부(235)와 상기 고내 접촉부(236)를 제공할 수 있다. 단면에서 관찰 할 때의 상기 각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의 기능 및 작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The part fixing frame 400 has a shape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and when viewed from a cross-section, is a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ember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part, and the second member fastening part 233 and the gap forming part 234 . ), the inclination portion 235 and the contact portion 236 in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When observed from a cross-section, the functions and actions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s may be applied as they are.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에는,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2)의 단부에는 고내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제 1 부재 삽입부(237)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는 서로 비슷한 크기 및 형상으로써, 제 1 부재 삽입부(237)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에 삽입되고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 및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는 추가적인 고내 체결구(239)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은 제 2 보강부재(11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In the part fixing frame 400 , at an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2 , a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bent and extended in the inner direction. may be provided.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have similar sizes and shapes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and It can be fitted and fixed.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may be fastened by an additional internal fastener 239 . In another case,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may be directly fastened to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

상기 간격 형성부(234) 및 상기 고내 경사부(235)의 내부 공간은 부품(399)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 형성부(234) 및 상기 고내 경사부(235)의 내면에는 부품 안착 리브(40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안착 리브(404)는 램프 본체의 양 단부가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램프의 안착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An inner space of the gap forming part 234 and the internal inclined part 235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component 399 is seated. A component seating rib 404 may be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the gap forming part 234 and the inward inclined part 235 . The component seating rib 404 is a part at which both ends of the lamp body are supported, and may fix a seating position of the lamp.

상기 부품 안착 리브(404)의 바깥쪽에는 전선수납리브(406)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안착 리브(404)와 상기 전선수납리브(406)의 사이 간격부는 전선수납부(405)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선수납부(405)는 부품(399)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이 놓이거나, 부품(399)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부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전선수납리브(406) 및 상기 전선수납부(405)는 부품 고정 프레임(400)의 양쪽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통하여 재고비용을 줄일 수 있다. A wire receiving rib 406 may be formed outside the component seating rib 404 . A gap between the component seating rib 404 and the wire receiving rib 406 may provide a wire receiving portion 405 . The wire accommodating part 405 provides a space in which a wire for a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 399 is placed or a predetermined component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 399 can be accommodated. The wire accommodating rib 406 and the wire accommodating part 405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rt fixing frame 4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ventory cost through common use of parts.

상기 전선수납부(405)에서 바깥쪽으로 인출된 배선(402)(403)은, 상기 제 1 부재 체결부(233)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부(111)의 사이 간격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2)(403)은 상기 슬릿(115)(116)을 통과하여 상기 실링프레임(200)의 측면부(220)와 상기 돌기부(112)의 사이 간격부로 인입하고 그 사이 간격부를 따라서 다른 곳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wires 402 and 403 drawn out from the wire receiving part 405 may pass through a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member fastening part 233 and the base part 111 . The wirings 402 and 403 pass through the slits 115 and 116 and enter into the gap between the side part 220 of the sealing frame 200 and the protrusion 112, and follow the gap between them to another place. can be guided to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의 양 단부에는 경사리브(407)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사리브(407)는 부품 고정 프레임(400)의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제공된다. 도면에서 상기 전선수납리브(406)를 따라서 연장되는 지시선과 상기 경사리브(407)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두 지시선을 참조할 때 그 사이각(γ)을 참조하면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clined ribs 407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 The inclined rib 407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wider toward the rear from the front end of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 In the drawings, when referring to the leader line extending along the wire receiving rib 406 and the two leader lines extending along the end of the inclined rib 407, it will be understood more accurately by referring to the angle γ therebetween.

상기 경사리브(407)는,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과 인접하는 실링프레임(200)의 내면부(230)에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이 접촉하여 부재 간의 간격이 없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냉장고의 경우에 고 내의 내부공간을 더 넓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β로 제공되는 상기 고내 경사부(235)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부품 고정 프레임(400)과 인접하는 실링 프레임(200)이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inclined rib 407 causes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230 of the sealing frame 200 adjacent to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members is eliminat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der internal space in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ation portion 235 in the high cabinet provided as β in FIG. 18 ,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and the adjacent sealing frame 200 may be in accurate contact.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A-A'과 B-B'의 절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시간 순서로 도시된다. 도 29는 실링프레임과 부품 고정 프레임의 체결을 이해할 수 있고, 도 30은 실링프레임과 부품 고정 프레임의 정렬을 이해할 수 있다. 29 and 30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in FIG. 28 and are shown in chronological order. Figure 29 can understand the coupling of the sealing frame and the component fixing frame, Figure 30 can understand the alignment of the sealing frame and the component fixing frame.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부품(399)이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에 놓이고 부품(399)의 하측에는 부품이 램프인 경우에는 상기 간격형성부(234)가 투명한 부재로 제공되어 빛이 조사될수 있다. 이로써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내면부(230)를 통과하여 고내로 조사되고 사용자는 고내의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29 and 30 , when the component 399 is placed on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and the component is a lamp on the lower side of the component 399, the gap forming part 234 is provided as a transparent member. light can be irradiated.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passes through the inner surface 230 and is irradiated into the cabinet, and the user can identify the articles in the cabinet.

상기 부품(399)이 안착된 상기 부품 고정 프레임(400)이, 실링프레임(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실시예에서는 제 1 부재 삽입부(237)가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은 서로 각 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The component fixing frame 400 on which the component 399 is seated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ealing frame 200 . In the embodiment,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are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member inserting part 237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member inserting recess 238 . It may be align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ember.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와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가 억지끼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부재 삽입부(237)는 상기 제 2 부재 삽입 리세스(238)보다 조금 크게 제공될 수 있고, 경쾌한 삽입을 위하여 단턱 및 돌기 등의 걸림구조를 도입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force-fit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and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into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 the first member insertion part 237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second member insertion recess 238 . It may be provided, and a locking structure such as a step and a protrusion may be introduced for light insertion.

상기 슬릿(115)(116)을 통하여 제 2 보강부재(110)의 돌기부(112)의 바깥으로 인출된 배선의 경로를 설명한다. The path of the wiring drawn out of the protrusion 112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10 through the slits 115 and 116 will be described.

도 31은 냉장고의 상측부의 일측 부분을 정면에서 관찰한 도면이다.31 is a view of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tor as viewed from the front.

도 31을 참조하면, 슬릿(115)를 통과하여 인출된 배선(402)(403)은, 상기 돌기부(112)와 상기 실링 프레임(200) 측면부(220)의 사이 간격을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든지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the wires 402 and 403 drawn out through the slit 115 may move in any direction along the interval between the protrusion 112 and the side portion 220 of the sealing frame 200 . have.

이동된 배선은 적절한 위치, 예를 들어 상면의 중앙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나갈 수 있다. 인출된 배선은 제어기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oved wiring may be drawn out through an appropriate location,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 drawn wiring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되는 냉장고에서 냉기의 유동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단일의 진공단열체가 멀리언(300)에 의해서 두 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냉장고를 예로 든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수용공간을 제 1 수용공간(일 예로, 냉동실)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수용공간을 제 2 수용공간(일 예로, 냉장실)이라고 할 수 있다. The flow of cold air in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xemplifies a refrigerator in which a single vacuum insulator is divided into two accommodating spaces by the mullion 300 . A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eg, a freezer compartment), and a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eg, a refrigerating chamber).

더 구체적으로는, 단일의 진공단열체가 멀리언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되고, 구획된 상측은 냉장실, 구획된 하측은 냉동실로 동작한다. 상기 냉동실에는 증발기가 놓인다.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기는 소정의 유로구조를 거쳐서 윗쪽의 냉장실로 안내되어 냉장실의 온도분위기를 조성한다. 이후에, 상기 냉장실에서 하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증발기로 안내된다. More specifically, a single vacuum insulator is partitioned up and down by a mullion, and the partitioned upper part operates as a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partitioned lower part operates as a freezing chamber. An evaporator is plac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is guided to the upper refrigerating chamber through a predetermined flow path structure to create a temperature atmosphere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reafter, it is guided downwar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guided to the evaporator.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33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후방사시도이다. 32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3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고내공간의 뒷쪽에 증발기(7)가 진공단열체의 후면과 나란히 놓인다.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는 냉동실 유로가이드(700)가 놓인다. 32 and 33 , the evaporator 7 is placed side by sid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at the rear of the inner space. A freezing compartment flow guide 700 is plac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의 상부에는 팬모듈(503)이 제공되어,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의 뒷쪽공간에서 앞쪽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이때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거치며 냉각된 공기이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전체적으로 윗쪽방향이다. A fan module 50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to discharge air from the rear sp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to the front space. At this time, the discharged air is air cooled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generally upward.

상기 팬모듈(50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격벽으로 제공되는 리브(706)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 위치로 안내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팬모듈(503)에서 토출되는 토출냉기는, 냉장실(R)로 안내되는 유로 및 냉동실(F)로 안내되는 유로를 통과하여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ol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503 is guid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rib 706 provided as a partition wall to perform a cooling action.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503 may perform a cooling action by passing through a flow path guid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and a flow path guided to the freezing compartment F.

먼저, 상기 냉장실(R)로 안내되는 냉기의 유로를 설명한다. First, a flow path of cold air guid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R will be described.

상기 팬모듈(503)로부터의 토출냉기의 일부는 상기 리브(706)를 따라 안내되어 냉기토출관(502)의 입구에 이른다. 상기 냉기토출관(502)의 입구는 도 32에서 볼 때 상기 팬모듈(503)의 오른쪽에 놓여있다. A part of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503 is guided along the rib 706 to reach the inlet of the cold air discharge pipe 502 . The inlet of the cold air discharge pipe 502 lies on the right side of the fan module 503 as seen in FIG. 32 .

상기 냉기토출관(502)을 따라서 유동하는 냉기는, 상기 멀리언(300)을 통과하여 냉장실 유로가이드(550)의 하단에 이른다. 상기 냉장실 유로가이드(550)는 냉장실(R)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냉장실의 내부에서 골고루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e cold air flowing along the cold air discharge pipe 502 passes through the mullion 300 and reaches the lower end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550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low guide 550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to evenly discharge cold air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냉장실(R)의 내부 공간을 냉각시킨 공기는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을 통하여 증발기의 하측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은 증발기의 양측단부 바깥쪽에 적어도 일부가 놓인다.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은 냉동실(F)의 고내공간 후면부의 좌우측 단부의 공간에 놓인다.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의 상세한 구성은 이후에 다시 설명한다. 상기 냉기 회수관은 약칭하여 회수관이라고 할 수도 있다.The air coo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is placed outside both ends of the evaporator.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are placed in the space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inner sp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abbreviated as a recovery pipe.

상기 냉동실(F)로 안내되는 냉기의 유로를 설명한다. A flow path of cold air guided to the freezing chamber F will be described.

상기 팬모듈(503)로부터의 토출냉기의 일부는, 상기 리브(706)를 따라 안내되어 냉동실 토출구(703)(704)(705)(7051)로 토출된다. 상기 냉동실 토출구에서 토출된 냉기는 냉동실 물품을 냉동시킨 후에 제 1, 2 냉동측 회수구(7052)(7053)를 거쳐서 냉동실로 흡입될 수 있다. A part of the cool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503 is guided along the ribs 706 and discharg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discharge ports 703 , 704 , 705 , and 7051 .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discharge port may be sucked into the freezing compartmen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reezing side recovery ports 7052 and 7053 after freezing the items in the freezing compartment.

상기 제 1, 2 냉동측 회수구(7052)(7053)의 후방 상측에는 제 1, 2 회수냉기흡입구(707)(708)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2 냉동측 회수구(7052)(7053) 및 상기 제 1, 2 회수냉기흡입구(707)(708)는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각각 냉동실(F)에서 냉동에 사용된 냉기, 및 냉장실(R)에서 냉장에 사용된 냉기가 증발기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First and second recovery cold air suction ports 707 and 708 are provid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reezing side recovery ports 7052 and 7053 . The first and second freezing side recovery ports 7052 and 7053 and the first and second recovery cold air intake ports 707 and 708 are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and are respectively frozen in the freezing compartment F. The cold air used in the refrigeration chamber (R)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ld air used for refrigeration flows into the evaporator.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상기 제 1, 2 냉동측 회수구(7052)(7053), 및 제 1, 2 회수냉기흡입구(707)(708)는 모두, 증발기의 좌우측에 한 쌍이 서로 균형을 잡아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It can be seen here that the first and second refrigeration side recovery ports 7052 and 7053 and the first and second cold recovery air intake ports 707 and 708 are all provided in a balanced mann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there will b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상기 제 1, 2 회수냉기흡입구(707)(708)는 각각,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의 토출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의 흡입측은 냉장실의 하측 후면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노출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ld recovery air intakes 707 and 708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 The suction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turn pipes 501 and 5011 are exposed one at a tim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01)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설명이 반대쪽에 놓이는 상기 제 2 냉기 회수관(5011)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only the first cold air return pipe 501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cold air return pipe 5011 on the opposite side.

도 34 내지 도 38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01)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34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35는 정면도이고, 도 36은 좌측면도이고, 도 37은 배면도이고, 도 38은 상면도이다. 도 34에서 화살표는 정면방향을 나타낸다. 34 to 38 are views showing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501, in which FIG. 3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IG. 35 is a front view, FIG. 36 is a left side view, FIG. 37 is a rear view, and FIG. It is a top view. In Fig. 34, arrows indicate the front direction.

도 34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01)에는, 상단의 헤드부(511), 상기 헤드부(5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냉기를 하방으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부(512), 상기 상하이송부의 하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냉기를 우측으로 이송하는 측방이송부(513), 및 상기 상하이송부의 하단부에 놓이는 하측베이스(514)가 포함될 수 있다. 34 to 38, in the first cold air return pipe 501, a head portion 511 at the upper end, a vertical transfer unit 5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511 to transfer cold air downward. , a lateral transfer unit 513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to the right to transfer cold air to the right, and a lower base 514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may be included.

상기 하측베이스(514)는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의 자리잡음을 할 수 있고, 밀폐구조로 제공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으로 유입되지도 않고, 내부공기가 냉동실의 고내로 유출되지도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base 514 can position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and is provided in a sealed structure so that external air does not flow into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and internal air does not flow into the freezer of the freezer compartment. It is preferable not to do so.

상기 측방이송부(513)의 오른쪽 후면 하래쪽에는 후방토출구(519)가 제공되어, 우측으로 이송된 냉기는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A rear discharge port 519 is provided at a lower right rear side of the side transfer unit 513, so that cold air transferred to the right may be discharged rearward.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냉장실에서 증발기로 향하는 유동은, 순차적으로 하측유동, 측방유동, 및 후방유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ow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the evaporator may include a downward flow, a lateral flow, and a rear flow sequentially.

상기 헤드부(511)는 뒷쪽은 막혀있고, 앞쪽에는 상방흡입구(518)가 형성되어 냉장실의 냉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상방흡입구(518)는 앞쪽으로 향할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상기 헤드부에 따르면 냉장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데 방해가 없다. The head portion 511 is closed at the back side, and an upper suction port 518 is formed at the front side to receive cold air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upper suction port 518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ccording to the head part, there is no obstruction in sucking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헤드부(511)는 상기 상하이송부(512)에 비하여 크게 제공되어, 상기 헤드부(511)의 하단에는 멀리언 걸림턱(515)이 마련된다. 상기 멀리언 걸림턱(515)은 멀리언(도 43의 300참조)의 상면에 놓여서 멀리언에 상기 헤드부(511)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e head part 511 is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vertical transport part 512 , and a mullion locking protrusion 51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d part 511 . The mullion locking jaw 515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llion (see 300 in FIG. 43 ) so that the head part 511 can be supported by the mullion.

상기 헤드부(511)와 상기 상하이송부(512)의 사이에는 홈이 제공된다. 상기 홈에는 측면홈(512)과, 후면홈(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홈(512)과 상기 후면홈(516)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01)의 자리잡음을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홈(512)와 상기 후면홈(516)은 멀리언 안착 프레임(도 42의 130참조)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A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part 511 and the vertical transport part 512 . The groove may include a side groove 512 and a rear groove 516 . The side grooves 512 and the rear grooves 516 are for positioning the first cold air return pipe 501 . The side grooves 512 and the rear grooves 516 may be inserted into the mullion mounting frame (see 130 of FIG. 42 ) to be hooked.

상기 측방이송부(513)의 후면의 하부에만 후방토출구(519)가 제공되는데, 이는 공기의 유동을 가급적 증발기의 하측공간으로 유도하여, 열교환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이송부(512)로부터 이송된 공기가 측방이송부(513)로 유동할 때 병목현상을 없애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A rear discharge port 519 is provid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transfer unit 513, which is to induce the flow of air into the space below the evaporator as much as possible to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air transferred from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flows to the side transfer unit 513, it can also serve to eliminate the bottleneck.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은, 증발기를 가운데 두고, 증발기 양측 바깥에 상하이송부(512)를 두고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성이 커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증발기의 양쪽공간은 진공단열체의 안쪽 코너부로서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는 부적절한 것을 감안하여, 공간활용성이 커지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As will be described,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have an evaporator in the center, and vertical transfer units 512 a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vapora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at both spaces of the evaporator are inappropriate as spaces for accommodating articles as inner corners of the vacuum insulator, the advantag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can be expected.

상기 제 1, 2 냉기 회수관(501)(5011)은 냉기의 하측유동, 냉기의 측방유동, 및 냉기의 후방유동을 순차적으로 대칭으로 수행한다. 이에 따르면,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이 좌우양측에서 대칭을 이룰 수 있고, 열교환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return pipes 501 and 5011 sequentially and symmetrically perform a lower flow of cold air, a lateral flow of cold air, and a rear flow of cold air. According to this, heat exchange by the evaporator can be symmetric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39 및 도 40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회수관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39 and 40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turn pipe.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7)의 좌우측의 간격을 충분히 촬용하여 냉장실에서 귀환하는 냉기의 유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9 and 40 , a flow of cold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created by sufficiently photographing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of the evaporator 7 .

상기 증발기(7)의 좌우측 공간은 고내의 다른 공간과의 접촉이 적은 구간으로서 냉동실 내의 더 차가운 냉기와의 열교환으로 비가역 손실을 일으킬 우려도 적다. The space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evaporator 7 is a section with little contact with other spaces in the refrigerator, and is less likely to cause irreversible loss due to heat exchange with cooler air in the freezing chamber.

냉장실에서 귀환하는 공기는, 상기 냉동실의 귀환공기와 함께 상기 증발기의 전면으로 유입되므로, 서로 높은 온도차이로 증발기의 다른 장소에서 서로 불균등한 열교환에 의한 것에 비하여 비가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증발기의 좌우양측에서 각각 균등하게 냉기 회수관(501)(5011)의 토출측 공기가 흡입되므로, 비가역손실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Since the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lows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evaporator together with the return air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irreversible los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at caused by uneven heat exchange in different places of the evaporator due to a high temperature difference. In addition, since the air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is equally sucke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the irreversible loss can be further reduced.

한편, 상기 냉동실(F)을 제공하는 측면벽에는 측면패널(800)과 상기 측면패널(800)에 고정될 수 있는 레일(80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801)에는 선반이 고정되어 선반이 앞뒤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800)에는 레일 뿐만 아니라, 냉동실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Meanwhile, a side panel 800 and a rail 801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side panel 8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providing the freezing compartment F. A shelf may be fixed to the rail 801 so that the shelf can be withdrawn back and forth.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ide panel 800 may be equipped with not only rails, but also various par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zing compartment.

상기 측면패널(800)은 평면상의 판상의 물품과 함께 측면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도 의미할 수 있다. The side panel 800 may refer to any member that is fixed to the side together with the flat plate-shaped article and the component can be mounted thereon.

도 41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냉기유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4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cold air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도 41을 참조하면, 냉장실 후면하단의 좌우양측에서 각각 냉장실에서 역할을 다한 냉기가 흡입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하방으로 이동한 냉기는 증발기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으로 안내되어 증발기의 하부로 이송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1 , the cold air, which has serv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sucked in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moves downward. It can be clearly seen that the cold air that has moved downward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evaporator and is guided to the rear and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도 42는 멀리언 안착프레임과 상기 냉기 회수관의 지지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3은 멀리언이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회수관이 놓인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4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the mullion seating frame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FIG. 4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re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mullion is shown in an imaginary line.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면에는, 진공단열체의 내면에 체결되는 부분과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는 멀리언 안착 프레임(130)이 마련된다. 상기 멀리언 안착 프레임(130)은 상기 냉기 회수관(501)(5011)의 측면홈(517)과 후면홈(516)에 끼워져서 두 부재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42 and 43 ,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a mullion mounting frame 130 having a portion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and a portion extending into the inner space is provided. The mullion mounting frame 130 is fitted into the side grooves 517 and the rear grooves 516 of the cold air return pipes 501 and 5011 so that the two members can be fixed to each other.

상기 멀리언 안착 프레임(130)에 의해서 멀리언 뿐만 아니라, 상기 냉기 회수관도 고정될 수 있다. By the mullion mounting frame 130 , not only the mullion but also the cold air return pipe may be fixed.

상기 냉기 회수관(501)(5011)은 상기 멀리언(30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멀리언 걸림턱(515)은 상기 멀리언(300)의 상면에 걸려서 멀리언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멀리언과 상기 냉기 회수관의 접촉부는 실링이 되어 원하지 않는 두 공간 간의 열교환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ld air return pipes 501 and 5011 may extend downward through the mullion 300 . The mullion locking jaw 515 may b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llion 300 to support the mullion's own weight. Preferably,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ullion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sealed to prevent unwanted heat loss due to heat exchange between the two spaces.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 회수관 및 그와 관련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기 회수관 및 그와 관련되는 구성은 도 32 내지 도 43에 제시되는 냉기 회수관 및 그와 관련되는 구성과 유사한 부분은 같은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달라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ld air recovery pipe and a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ts relat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re similar 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ts related configuration shown in FIGS. 32 to 43, and the same description will be appli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different parts do.

도 44는 냉기 회수관과 그 주변부를 보이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45는 후면사시도이다. 한편, 설명에 있어 좌측의 냉기 회수관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우측의 냉기 회수관도 포함되는 것은 당연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4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ts periphery, and FIG. 4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nly the cold air recovery pipe on the left side is shown and described, but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ld air recovery pipe on the right side is also included.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냉기 회수관(521)이 측면패널(800)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상기 측면패널(8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장될 수도 있고, 어느 일면에서 붙어서 연장될 수도 있고, 상기 측면패널(800)을 절개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44 and 45 , in this embodiment,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in that it extends vertically along the side panel 800 .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be exten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ide panel 800 , may be extended by being attached to one side, or may be provided by cutting the side panel 800 .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증발기의 양측부에 이격되어 놓이고, 레일 등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보다 조금 앞에 후단부다 놓여 있을 수 있다. The side panel may b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evaporator, and a rear end may be placed a little in front of the evaporator for installation of a rail or the like.

도 46 내지 도 50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21)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46은 정면사시도이고, 도 47은 정면도이고, 도 48은 배면도이고, 도 49는 측면도이고, 도 50은 상면도이다. 도 46에서 화살표는 정면방향을 나타낸다. 46 to 50 are views showing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521, in which Fig. 4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ig. 47 is a front view, Fig. 48 is a rear view, Fig. 49 is a side view, and Fig. 50 is a top view. It is also In Fig. 46, the arrow indicates the front direction.

도 46 내지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21)에는, 냉장실의 냉기흡입을 위한 상방흡입구(566)가 형성되는 헤드부(528), 상기 헤드부(528)로 유입된 냉기가 하방 이송되는 상하이송부(522), 상기 상하이송부(522)의 하측에 제공되어 냉기가 후방 이송되는 후방이송부(523), 및 후방이송부(523)의 우측에 제공되어 냉기가 측방 이송되는 측방이송부(524)가 포함될 수 있다.46 to 50 , in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521 , an upper suction port 566 for sucking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formed in a head 528 , and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head 528 .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that is transferred downward, the rear transfer unit 523 provided below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to transfer the cold air backward, and the right side of the rear transfer unit 523 so that the cold air is transferred laterally A side transfer unit 524 may be included.

상기 측방이송부(524)의 후면에는 후방토출구(525)가 제공되어 증발기가 있는 후방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A rear discharge port 52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transfer unit 524 to guide cold air to the rear of the evaporator.

상기 구성에 따르면, 냉장실에서 증발기로 향하는 유동은, 순차적으로 하측유동, 제 1 후방유동, 측방유동, 및 제 1 후방유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ow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the evaporator may include a downward flow, a first backward flow, a lateral flow, and a first backward flow in sequence.

상기 제 1 후방유동은, 상기 측면패널(800)의 후방으로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21)이 인출되어 상기 증발기로 접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냉동실(F)의 고내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보다 넓은 냉동실의 고내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하측유동이 있은 후에 바로 측방유동을 하는 것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21)이 고내공간을 침범할 수 있거나, 측면패널이 증발기의 측면까지 연장되어야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을 비교하면 잘 이해할 수 있다. The first backward flow is to allow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521 to be drawn out to the rear of the side panel 800 to access the evapora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larger inner sp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without occupying the inner sp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F). The lateral flow immediately after the downward flow can be understood well when compar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invade the internal space or the side panel has to extend to the side of the evaporator. have.

상기 상하이송부(522)는 그 내부가 길게 좁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측면패널(800)이 넓은 고개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좁게 제공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이송부(522)가 측면패널(800)에 대응하여 좁게 제공됨으로써, 고내공간을 최대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The vertical sending unit 522 may be provided with a long and narrow interior, because the side panel 800 is provided narrowly to secure a wide head spa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is provided narrowly to correspond to the side panel 800 ,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as wide as possible.

상기 상하이송부(522)가 상기 측면패널(80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냉동실의 고내 냉기와 상기 상하이송부(522)를 따라서 이송되는 냉장실 냉기의 열교환이 차단됨으로써, 비가역 손실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is inserted into the side panel 800 , heat exchange between the cold air in the freezer and the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ransferred along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is blocked, thereby reducing irreversible loss and efficiency. can increase

상기 헤드부(528)의 하측에는 걸림턱(527)이 제공되어 멀리언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that a locking protrusion 527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portion 528 to be supported by the mullion.

도 51은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을 따라서 유동하는 냉기의 방향을 상세하게 보이는 도면이다. 5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direction of the cold air flowing along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도 51을 참조하면, 상기 상방흡입구(526)를 통하여 흡입된 냉장실의 냉기는, 상기 상하이송부(522)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그 냉기는 측면패널을 따라서 이송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이 효율적인 이용과, 열효율의 향상과, 비용절감을 위하여, 상기 상하이송부(522)는 상기 측면패널(80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하이송부(522)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고, 상기 측면패널(800)의 개구된 내면이 상하이송부(522)의 벽면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51 , the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sucked in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526 is transferred downward through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 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ld air is transferred along the side panel. For efficient use of space, improvement of thermal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the vertical transfer unit 522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side panel 800 . In some cases, the open inner surface of the side panel 800 may provide a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port unit 522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the vertical transport unit 522 .

하방으로 이송된 공기는 증발기를 항하여 후방으로 안내된다. The downwardly transported air is guided backward through the evaporator.

후방으로 안내된 공기는 증발기의 가운데 쪽을 향하여 측방으로 안내된다. The rearwardly guided air is guided laterally towards the center of the evaporator.

측방으로 안내된 공기는 증발기를 향하여 후방으로 안내된다. The laterally guided air is directed rearward towards the evaporator.

상기 증발기로의 흡입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에 제공되는 상기 제 1, 2 회수냉기흡입구(707)(708)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냉기 회수관은 좌우 양측에 각 하나씩 두 개가 마련되어 있다. As previously described, the suction into the evaporator may be ma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covery cold air inlets 707 and 708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 As already described, two cold air return pipes are provided, one on each left and right sides.

도 52 및 도 53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 회수관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52 and 53 are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패널(800)의 공간을 충분히 촬용하여 냉장실에서 귀환하는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52 and 53 ,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of the side panel 800 is sufficiently captured to guide the flow of cold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측면패널의 내부 공간은 고내의 다른 공간과는 단열되는 구간으로서 냉동실 내의 더 차가운 냉기와의 열교환으로 비가역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side panel is a section that is insulated from other spaces in the refrigerator, and irreversible loss can be reduced by heat exchange with cooler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냉장실에서 귀환하는 공기는, 상기 냉동실의 귀환공기와 함께 상기 증발기의 전면으로 유입되므로, 서로 높은 온도차이로 증발기의 다른 장소에서 서로 불균등한 열교환에 의한 것에 비하여 비가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증발기의 좌우양측에서 각각 균등하게 냉기 회수관(501)(5011)의 토출측 공기가 흡입되므로, 비가역손실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Since the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lows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evaporator together with the return air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irreversible los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at caused by uneven heat exchange in different places of the evaporator due to a high temperature difference.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side air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s 501 and 5011 is equally sucke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the irreversible loss can be further reduced.

본 발명의 냉장고는 후면을 따라 배치되는 증발기(1)를 가지는 제 1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제 2 수용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수용공간과 상기 제 2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멀리언(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위치한 팬모듈(5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 2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토출관(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 1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냉기 회수관(5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the evaporator 1 disposed along the rear surfac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receiving cold air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mullion 300 that partitions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an module 503 locat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502 extending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recovery pipe 501 extending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냉기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팬모듈(503)에 의해 상기 토출관(50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된 냉기는 상기 냉기토출관(502)을 따라서 상기 멀리언(300)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유로가이드(550)의 하단에 도달될 수 있다. 상기 도달한 냉기는 상기 제 2 수용공간에서 상하로 연장된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유로가이드(550)를 따라 상기 제 2 수용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된 냉기는 상기 냉기 회수관(501)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 측으로 회수될 수 있다. After cooling by the evaporator, the cold air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ipe 502 by the fan module 503 . The transferred cold air may pass through the mullion 300 along the cold air discharge pipe 502 to reach the lower end of the flow path guide 550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 reached col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long the flow path guide 550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extending up and down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 discharged col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501 to be recovered toward the evaporator.

상기 제 1 수용공간은 진공단열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may be provided by a vacuum insulator.

상기 냉기 회수관(501)은 상기 제 2 수용공간으로 개구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헤드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501)은 상기 제 1 수용공간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상하이송부(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501)은 상기 상하이송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를 이송하는 측방이송부(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501)은 상기 측방이송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로 공기를 토출하는 후방토출구(5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recovery pipe 501 may include a head portion 511 that is open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ha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cold air recovery pipe 501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transport unit 512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extending vertically to transport air. The cold air recovery pipe 501 may further include a lateral transfer unit 513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in a lateral direction to transfer air. The cold air recovery pipe 501 may further include a rear discharge port 519 provid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transfer unit to discharge air to the evaporator.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에는, 상기 냉기 회수관이 상기 냉장고의 단열벽 내부에 형성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 진공단열체에 의해 상기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 즉 상기 제 3 공간에 냉기 덕트를 포함한 부품을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a general refrigerator, the cold air return pipe is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wall of the refrigerator.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can be formed by the vacuum insulator,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part including a cold air duct inside the vacuum insulator, that is, in the third space. have.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3 공간에는 상기 진공단열체를 지지하는 서포팅 유닛을 포함한 부품이 존재하므로, 상기 냉기덕트를 상기 서포팅 유닛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작업 공정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냉기덕트를 포함한 부품이 상기 제 3 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부품을 상기 제 3 공간 내에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냉기덕트는 유로형성을 위해 소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지만, 상기 제 3 공간의 높이는 상기 덕트를 수용하기에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냉기 회수관은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parts including a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the vacuum insulator are present in the third space, it may be difficult to dispose the cold air duct between the supporting units in a work process.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ncluding a cold air duct is disposed in the third space, it may be difficult to configure the component to be supported in the third space. In addition, although the cold air duct ha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form a flow path, the height of the third space may not be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duct. To reduce such difficulties,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공간을 전방부, 후방부, 측방부, 상부, 및 하부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가 상기 전방, 후방, 측방,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냉기 회수관은 상기 전방, 후방, 측방,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증발기가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냉기 회수관은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 side portio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When the evaporator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front, rear, side, upper, and lower spaces, the cold air return pipe may be disposed in the other one of the front, rear, side, upper, and lower spaces have. For example, when the evaporator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즉,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방에 증발기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기 회수관은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방을 배제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evaporator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be disposed in a space excluding the rear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상기 냉기 회수관이 상기 증발기와 함께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방에 배치된다면,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이나 상기 증발기를 충분히 크게 설계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냉각용량이 크지 않은 소형의 냉장고의 경우에는, 상기 냉기 회수관이 상기 증발기와 함께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If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evaporator, it may not be possible to design the cold air recovery pipe or the evaporator to be sufficiently large due to space constraints. However, in the case of a small refrigerator having a small cooling capacity,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gether with the evaporator.

상기 냉기 회수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용공간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패널(80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이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소비자의 사용 시에 미관을 고려하여 측면 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패널의 외면에는 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부품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장착부는 선반, 서랍, 온도센서, 조명, 필터, 바스켓, 증발기, 제상수 트레이, 및 팬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공간를 포함할 수 있다.A side panel 800 disposed on a side surface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further provided. When the cold air return pip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side panel may b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when used by a consumer.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to which components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panel. The component mounting unit may include a space to which at least one of a shelf, a drawer, a temperature sensor, a light, a filter, a basket, an evaporator, a defrost water tray, and a fan module is coupled.

변형 예로, 내부에 상기 냉기 회수관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측면 패녈(8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800)의 외면에는 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상기 부품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a modified example, the side panel 800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formed may be provide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to which components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anel 800 .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는 냉동실 유로 가이드(70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및 제상수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냉기 유로 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측면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A freezing compartment flow guide 700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At least one of the evaporator and the defrost water tray may be supported by the cold air flow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air flow guide may be coupled to the side panel.

상기 측면패널 (800)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멀리언에 결합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anel 800 may be coupled to the mullion.

상기 진공단열체의 외면에 부품을 장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진공 누설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외면에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부품 장착부를 용접하여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측면 패널을 비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패널에 각종 부품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장착할 수 있다. It may be difficult to mount the par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In order to reduce vacuum leakage,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this reason, in order to mount the component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must be formed by welding. On the other hand, the side panel may be formed of a non-metal material. Various parts can be mounted on the side panel.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panel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도 54는 상기 측면패널와 진공단열체의 체결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5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 and the vacuum insulator.

도 54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패널(800)은 진공단열체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내면에는 측면 체결부(90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800)은, 상기 측면 체결부(901)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체결부(901)는 금속재의 보스로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체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4 , 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To this end, a side fastening part 90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 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side fastening part 901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 side coupling part 90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0 by a method such as welding as a boss of a metal material.

상기 측면 체결부(901)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체결부(901)에는 상기 측면패널(800)의 측면부가 체결될 수 있다. The side coupling part 901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 A side part of 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side fastening part 901 .

다른 방식으로, 상기 측면패널(800)은 상기 멀리언(3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800)은 상기 멀리언 안착 프레임(1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멀리언 안착 프레임(130)은 상기 멀리언(300)에 체결되고, 상기 멀리언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mullion 300 . 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mullion mounting frame 130 . The mullion mounting frame 130 may be coupled to the mullion 300 and provide a portion of the mullion.

상기 측면패널(800)에는, 선반, 서랍, 온도센서, 조명, 필터, 바스켓, 증발기, 제상수 트레이, 및 팬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는 상기 측면패널(8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서랍, 온도센서, 조명, 필터, 바스켓, 증발기, 제상수 트레이, 및 팬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에 체결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a shelf, a drawer, a temperature sensor, a lighting, a filter, a basket, an evaporator, a defrost water tray, and a fan module may be fastened to the side panel 800 .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may be fastened to the side panel 800 . At least one of the shelf, drawer, temperature sensor, lighting, filter, basket, evaporator, defrost water tray, and fan module may be fastened to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

상기 측면패널(800)의 후면부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후면 체결부(90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체결부(902)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체결부(902)에는 상기 측면패널(800)의 후면부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체결부(902)의 체결, 및 작용은 상기 측면 체결부(901)과 마찬가지로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fasten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panel 800 , a rear fastening portion 902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ear fastening portion 90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0 . A rear portion of 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rear fastening portion 902 . The fastening and action of the rear fastening part 902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side fastening part 901 .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면에는 후면패널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은 각종 부품의 체결을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후면패널과 관련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A rear panel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he rear panel may provide an area for fastening various compon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rear pa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5는 상기 후면패널이 제공되는 냉장고의 내부를 간략하게 보이는 도면이고, 도 56은 후면패널의 사시도이다. 5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rear panel, and FIG. 5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panel.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패널(800), 상기 레일(801), 및 상기 멀리언 안착프레임(130)은 이전에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후면에는 후면패널(920)이 체결되어 있다. 55 and 56 , the side panel 800 , the rail 801 , and the mullion mounting frame 130 are provided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 rear panel 920 is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상기 후면패널(920)의 전방에는, 상기 증발기(7), 및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가 더 마련되지만, 도시는 생략하였다. The evaporator 7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path guide 700 ar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rear panel 920 , but are not shown.

상기 후면패널(920)은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면, 즉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920)에는, 선반, 서랍, 온도센서, 조명, 필터, 바스켓, 증발기, 제상수 트레이, 냉동실 유로가이드, 및 팬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체결될 수 있다. The rear panel 920 may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that is, the first plate member 10 . At least one of a shelf, a drawer, a temperature sensor, a light, a filter, a basket, an evaporator, a defrost water tray, a freezing compartment flow guide, and a fan module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rear panel 920 .

결국, 상기 선반, 서랍, 온도센서, 조명, 필터, 바스켓, 증발기, 제상수 트레이, 및 팬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면패녈(800), 상기 후면패널(920), 상기 냉동실 유로가이드(7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After all, at least one of the shelf, drawer, temperature sensor, lighting, filter, basket, evaporator, defrost water tray, and fan module may include the side panel 800 , the rear panel 920 ,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flow guide 700 . ) can be fastened to at least one of.

상기 후면패널(920)에는, 냉동실의 후면의 대략적인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평면 프레임(921), 상기 평면 프레임(92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상단 절곡부(9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평면 프레임(921)의 후면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평면 프레임(921)의 전면은, 증발기로 예시되는 다양한 부품 중의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The rear panel 920 may include a rectangular flat frame 921 corresponding to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an upper bent portion 922 bent forward from the top of the flat frame 921 . A rear surface of the flat frame 9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0 .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frame 921 may be fastened to at least one of various components exemplified as an evaporator.

상기 후면패널(920)과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과의 사이에는 단열쉬트(9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열쉬트(930)는, 단열재 및 알루미늄 쉬트가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열쉬트(930)는 상기 후면패널(920)과 진공단열체와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A heat insulating sheet 9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panel 920 and the first plate member 10 . The insulating sheet 9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aluminum sheet overlap. The heat insulating sheet 930 may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rear panel 920 and the vacuum insulator.

상기 후면패널(920)에는 냉매관통부(92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통부(923)에는 냉매관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냉매관통부(923)를 통해서는 냉매가 전후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8)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후면패널(920)의 냉매관통부(923)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7)에서 증발된 냉매가 상기 후면패널(920)의 냉매관통부(923)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A refrigerant penetrating portion 92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anel 920 . A refrigerant pipe may pass through the refrigerant penetrating portion 923 . The refrigerant may flow back and forth through the refrigerant penetrating portion 923 .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machine room 8 may flow forward through the refrigerant penetrating portion 923 of the rear panel 920 .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7 may flow backward through the refrigerant penetrating portion 923 of the rear panel 920 .

상기 냉매관통부(923)은 상기 후면패널(920)의 상단부에 'U'자 형으로 제공되어, 상하로 정렬되는 인입냉매관(9241)과 인출냉매관(9242)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penetrating portion 923 may be provided in a 'U'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panel 920 to guide the inlet refrigerant pipe 9241 and the outgoing refrigerant pipe 9242 that are vertically aligned.

상기 인입냉매관(9241) 및 상기 인출냉매관(9242)가 상기 진공단열체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패널(920)이 진공단열체의 후면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냉매관통부(923)가, 상기 인입냉매관(9241)과 상기 후면패널(920)과의 간섭과 상기 인출냉매관(9242)과 상기 후면패널(92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refrigerant pipe 9241 and the outgoing refrigerant pipe 9242 are fastened to the vacuum insulator, the rear panel 920 may be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acuum insulator.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refrigerant penetration part 923 avoid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inlet refrigerant pipe 9241 and the rear panel 920 and the outgoing refrigerant pipe 9242 and the rear panel 920 . .

상기 후면패널(920)의 전면에는 냉장고의 작용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이 체결되는 부품체결부(92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품체결부(925)는 돌기, 홈, 및 절개부 등 다양한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A part fastening part 925 to which various par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re fastene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anel 920 . The part fastening part 925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tructures such as protrusions, grooves, and cutouts.

도 57은 상기 후면패널이 제공되는 냉장고의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7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설명은 이미 설명된 실시예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5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rear panel. In the description not specifically presented in FIG. 57 , the content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may be applied as it is.

도 57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패널(920)과 상기 진공단열체는 상기 후면체결부(902)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면체결부(902)의 구성 및 작용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7 , the rear panel 920 and the vacuum insulator may be fastened by the rear fastening part 902 . As fo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ar fastening part 902 , the description as already described may be applied as it is.

상기 후면패널(920)과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사이에는 단열쉬트(9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열쉬트(930)는 상기 후면패널(920)의 일부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면패널(920)의 전체면에 대하여 마련될 수도 있고, 증발기와 전후로 정렬되는 일 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A heat insulating sheet 9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panel 920 and the first plate member 10 . The insulating sheet 93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rear panel 92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ar panel 920 , or it may be provided only on a portion aligned with the evaporator in front and behind.

상기 측면패널(800)은 상기 후면패널(920)에 체결될 수 있다.The side panel 800 may be fastened to the rear panel 920 .

상기 진공단열체는 발포부재를 사용하는 일반 냉장고와는 달리 냉기 회수관이 고내 공간에 노출된다. In the vacuum insulator, unlike a general refrigerator using a foam member, the cold air recovery tube is exposed to th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상세하게, 상기 일반 냉장고는 발포부재의 내부에 냉기 회수관이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냉동실의 차가운 분위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진공단열체를 사용하는 냉장고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냉기 회수관을 둘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은 냉동실의 분위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냉기 회수관이 얼음으로 막히거나 공기의 유동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In detail, the general refrigerator is not affected by the cold atmosphere of the freezing chamber because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introduced into the foam member. However, in the refrigerator using the vacuum insulator, since the volume of the vacuum space is small, the cold air recovery tube cannot be placed inside the vacuum space. For this reason,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exposed to the atmosphere of the freezing chamber.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clogged with ice or the flow efficiency of air is reduced.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Described specifically.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냉장실의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가 냉동실의 일 측면을 통과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냉동실 내부에서 증발기와 인접하여 상하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냉장실에서 유출된 공기를 증발기(7)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안내한다.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relatively hot ai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flows into the evaporator.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extends vertically and vertically adjacent to the evaporator in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7 .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긴 영역이 냉동실의 차가운 분위기에 노출되고, 상기 증발기(7)의 차가운 분위기의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급속히 차가워질 수 있다. 냉각된 공기의 온도는 물의 어는점 이하로 냉각되고,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냉기 회수관(521)의 내면에 얼어 붙어 성에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long reg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is exposed to the cold atmosphere of the freezing chamber, and is affected by the cold atmosphere of the evaporator 7 . For this reaso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be rapidly cooled. The temperature of the cooled air is cooled below the freezing point of water,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froze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to form frost.

냉장고의 운전이 반복되면,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결국 얼음으로 막힐 수 있다. 냉장실의 문이 개방되었을 때 고외 공기가 상기 냉기 회수관(521)으로 흡입되면,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막힘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If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is repeated,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eventually be clogged with ice. If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opened, the clogging of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may be accelerated.

성에로 인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막히는 곳은,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유입단부 측이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가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입구단에서 급속하게 냉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ere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is blocked due to frost, the inlet end side of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may be more affected. This is because relatively hot air can be rapidly cooled at the inlet end of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

이와 같이, 상기 냉기 회수관(521)에 얼음이 고착되는 현상은 진공단열체를 이용하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발생할 수 밖에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phenomenon of ice adhering 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is inevitable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using a vacuum insulator.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성에를 제거하는 냉장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for defrosting the cold air recovery pi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since the content already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may be applied as it is for parts not specifically describe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8은 냉동실의 후면도이고, 도 59는 증발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냉동실의 후면사시도이다. 두 도면에서 고내 공간을 제공하는 진공단열체는 모두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정면을 기준으로 한다. 58 is a rear view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FIG. 5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n a state in which the evaporator is removed. In both drawings, the vacuum insulator providing the interior space is shown in a removed state.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front side.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7)의 좌측에 좌우로 정렬된 상태로 상기 냉기 회수관(521)이 놓인다. 상기 증발기(7)에는 핀과 냉매관이 마련되어 냉매의 증발시에 발생하는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5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7)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58 and 59 ,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evaporator 7 in a left and right alignment state. The evaporator 7 may be provided with a fin and a refrigerant pipe to supply cool air generated when the refrigerant evaporat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flow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7 and receive cold air.

상기 냉기 회수관(521)에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11), 상하이송부(512), 및 하측 베이스(514) 등의 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s previously described,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may include each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head unit 511 ,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 and the lower base 514 .

상기 증발기(7)에 얼음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붙은 경우에는, 냉매증발 및 공기유동에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상기 증발기(7)에는, 증발기(7)에 얼어붙는 얼음을 제거하는 제 3 히터(1300)가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3 히터(1300)는 철을 사용하는 시즈히터가 서로 연결되어 다수 개가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에서 얼음을 제거할 때 상기 제 3 히터(1300)가 동작될 수 있다. When ice is attached to the evaporator 7 above a certain level, it must be removed because it causes problems in refrigerant evaporation and air flow. At least one third heater 1300 for removing ice frozen in the evaporator 7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evaporator 7 . As for the third heater 1300, a plurality of sheath heaters using ir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extend left and right. When removing ice from the evaporator, the third heater 1300 may be operated.

상기 증발기(7)의 하측에는 제상수 트레이(1000)가 좌우방향로 길게 마련된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는 상기 제 3 히터(1300)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제상수를 모아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는 상방으로 열린 개구를 통하여 제상수를 받아 들이고, 바닥면에 뚫인 토출개공을 통하여 제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는, 상기 증발기(7)에서 낙하하는 제상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증발기(7)의 하방 투사영역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A defrost water tray 1000 is provid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nder the evaporator 7 .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collect defrost water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heater 1300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receive defrost water through an opening opened upward, and discharge the defrost water through a discharge hole drilled in the bottom surface.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be provided in the entire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evaporator 7 to collect the defrost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7 .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에 포집되는 제상수가 모여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의 바닥면에는 구배가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개공을 중앙으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제 1 구배부(1001) 및 제 2 구배부(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배부(1001)(1002)를 따라서 이동하여 낙하된 제상수는 상기 토출개공으로 안내될 수 있다. In order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defrost water collected in the defrost water tray 1000,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have a gradient. For example, with the discharge hole as the center,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1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2 may be formed in both directions. The defrost water that has moved along the slopes 1001 and 1002 and has fallen may be guided to the discharge hole.

상기 제 2 구배부(1002)는 상기 제 1 구배부(1001)에 비하여 크거나 작은 경사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배부(1001)(1002)의 구배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토출개공이 어디에 있더라도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 상단테두리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2 has a larger or small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1 . By adjusting the slope angle of the slope portions 1001 and 1002, the horizontal state of the upper edge of the defrost water tray 1000 can be maintained no matter where the discharge hole is.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남은 제상수가 다시 얼어 붙은 얼음, 및 제상수 트레이(1000)의 표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 1 히터(11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는 시즈히터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A first heater 1100 may be provided in order to remove the ice that has not been discharged through the defrost water tray 1000 and the remaining defrost water is frozen again and the ice frozen on the surface of the defrost water tray 1000 . . As the first heater, a sheath heater may be preferably used.

상기 제 1 히터(1100)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 1 히터(1100)의 일 부분을 제 1 히터 연장부(1101)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연장부(1101)는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내부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벽에 붙어 있는 얼음을 녹일 수 있다.Like the defrost water tray 1000 , the first heater 1100 may extend to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A portion of the first heater 1100 extending to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heater extension part 1101 . The first heater extension part 1101 may melt ice adhering to the wall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by providing heat to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상기 제 1 히터 연장부(1101)에서 발생한 열은 상방으로 대류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상하방향 전체 영역에서 얼음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전도 및 복사방식으로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얼음을 녹일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Since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extension part 1101 convectively moves upward, ice can be removed from the entire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melt the ice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by conduction and radiation.

상기 제 1 히터(1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도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가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도입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측면에는 절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소정의 상하간격 및 좌우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가 냉기 회수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의 하측으로는 하측 베이스(514)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측 베이스(514)에 의해서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Like the first heater 1100 ,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also extend to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In order for the defrost water tray 1000 to be introduced to the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a cutout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The cutouts may have predetermined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so that the defrost water tray 1000 is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A lower base 514 may be positioned below the cutou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may be fixed by the lower base 514 .

상기 절개부는 도 59에서 B로 표시하였다. The cutout is indicated by B in FIG. 59 .

상기 제 1 히터(1100)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내부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1100 may extend to an inner reg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defrost water tray 1000 . Specifically, it may extend to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가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내부 영역까지 확장됨으로써,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제상수가 중력으로 자유 낙하하여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로 포집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의 제상수 및 상기 증발기(7)의 제상수는 모두 동일한 제상수 트레이(1000)에 포집되고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s the defrost water tray 1000 is extended to the inner reg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the defrost water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freely fall due to gravity and be collected by the defrost water tray 1000 . . As a result, both the defrost water of the defrost water tray 100 and the defrost water of the evaporator 7 may be collected in the same defrost water tray 1000 and discharged together.

상기 제 1 히터 연장부(1101)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냉기 회수관(521) 내부의 얼음을 녹여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히터 연장부(1101)의 열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증발기 및 제상수 트레이에서 얼음이 녹는 시간 동안, 냉기 회수관(521)의 얼음이 녹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히터 연장부(1101)의 열량이 부족할 수 있다.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extension part 1101 may be removed by melting the ice inside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However, when the heat of the first heater extension part 1101 is insufficient, the ice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may not melt during the time the ice melts in the evaporator and the defrost water tray. That is, the amount of heat of the first heater extension 1101 may be insufficient.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521)는 제 2 히터(1200)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는 엘코드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상단에서 상기 상하 이송부(512)의 상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1200)는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상부에 대하여 주로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는, 냉기 회수관(521)의 하부에 놓이는 제 1 히터 연장부(1101)와 함께 작용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상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얼음을 제거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second heater 12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The second heater may use an Elcord heater. The second heater may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in the vertical extension direc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 The second heater 1200 may mainly ac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The second heater may work together with the first heater extension 1101 disposed under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to remove ice from the entir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상기 제 1 히터(1100)는 증발기와 냉기 회수관의 하부, 상기 제 2 히터(1200)는 증발기, 및 제 3 히터(1300)는 냉기 회수관의 상부에 대하여 각각 얼음을 녹이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3 히터는 큰 용량으로서 넓은 면적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히터보다 용량이 큰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는 용량이 작은 히터로서 엘코드 히터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3 히터는 용량이 큰 히터로서 시즈 시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1100 melts ice on the evaporator and the lower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second heater 1200 on the evaporator, and the third heater 1300 on the upper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respectively. The first heater and the third heater have a large capacity, and in order to remove ice from a large area, a heater having a capacity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heater may be used. The second heater may use an Elcord heater as a heater having a small capacity, and the first heater and the third heater may use a sheath seater as a heater having a large capacity.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히터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상기 제 2 히터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제 2 히터의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히터 연장부는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apacity of the first heater is large, the second heater may not be separately provided. As another case, when the capacity of the second heater is sufficient, the extension of the first heater may not be provided.

상기 상하 이송부(512)의 하단에는 위에서 녹은 물이 모이는 수집되는 영역이다. 상기 상하 이송부(512)를 타고 낙하한 물이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로 올바르게 포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이송부(512)의 하단부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송부(512)의 하부에는 물의 낙하를 안내하는 낙수 가이드(5121)가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 512 is a collection area where water melted from above is collecte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may be contracted in order to properly collect the water that has fallen on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unit 512 into the defrost water tray 1000 . A falling water guide 5121 for guiding the drop of water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

도 60은 상기 낙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상하 이송부의 하단부를 확대해서 보이는 도면이고, 도 61은 냉동실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62는 냉동실의 절단평면도이다. FIG. 60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including the drip guide, FIG. 6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FIG. 62 is a cut-away plan view of the freezing compartment.

도 60 내지 도 62를 참조하면, 상기 상하 이송부(512)의 각 내면에는 수축되는 형상으로 낙수 가이드(5121)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낙수 가이드(5121)에 의해서, 낙하하는 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로 완전히 포집될 수 있다. 60 to 62 , it can be seen that the falling water guide 5121 is provided on each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in a contracted shape. By the falling water guide 5121 , falling water may be completely collected into the defrost water tray 1000 without leaving the outside.

상기 상하 이송부(512)가 사각단면의 터널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네 면 각각이 수축되어 낙수 가이드(5121a ~ 5121d)를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When the vertical transfer unit 51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nnel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four surfaces is contracted to provide the falling water guides 5121a to 5121d.

도 63은 냉동실의 정면도이다. 63 is a front view of the freezer compartment;

도 63을 참조하면,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냉동실의 좌측 모서리에서 상하로 연장된다. 냉장실에서 회귀하는 냉기는, 유로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동한 다음에, 전방으로 이동하고,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유로를 완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냉기는 증발기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3 ,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extends vertically from the left edg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old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mov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low path, then moves forward, moves rightward, and moves backward, completing the flow path. The cold air moving backward may be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side.

냉동실의 냉기는 냉동실의 하측에 마련되는 냉동측 회수구(7052)(7053)을 통하여 증발기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cold air in the freezing chamber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through the freezing-side recovery ports 7052 and 7053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한편, 본 도면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냉기 회수관(521)은 냉동실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고, 증발기와 직근 좌측에 놓이기 때문에, 상당한 저온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understood from this figure,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is expos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reezing chamber and is placed on the left right near the evaporator, so it can be seen that it is exposed to a considerable low temperature environment.

도 58 내지 도 63에는 제 1 냉기 회수관(501)의 바람직한 사양을 제시하고 있고,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01)은 도 34 내지 도 38에 더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상기 도 34 내지 도 38의 설명은 도 58 내지 도 63에 제시되는 제상수단이 구비되는 냉기 회수관(521)에 적용될 수 있다. 58 to 63 show preferred specifications of the first cold air return pipe 501, and the first cold air return pipe 501 is more specifically presented in FIGS. 34 to 38. The description of FIGS. 34 to 38 may be applied 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provided with the defrosting means shown in FIGS. 58 to 63 .

한편, 도 58 내지 도 63에 제시되는 냉기 회수관(521)은 상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 2 히터(1200)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하부는 상기 제 1 히터를 연장하여 제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냉기 회수관(521)의 상부에는 별도의 제 2 히터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별도의 제 2 히터를 더 구비하는 것은, 재료비 상승, 제어 어려움, 및 설치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shown in FIGS. 58 to 63 has a problem in that the second heater 1200 must be provided in the upper internal space. A lower portion of the cold air return pipe 521 may extend the first heater to perform a defrosting function, but a separate second heater should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d air return tube 521 . Further providing a separate second heater may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difficulty in control, and difficulty in installation.

또한, 냉기 회수관(521)이 설치되기 위하여 냉장고 내부에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냉기 회수관의 설치공간이 커지면 고내의 수용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inside the refrigerator in order to install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 Whe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old air return pip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is reduced.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히터(1200)을 구비함이 없이도, 냉기 회수관에 대하여 제상작용을 할 수 있고, 냉기 회수관이 고내에서 점유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실시예를 제시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defrosting action can be performed on the cold air return pipe without the second heater 1200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cold air return pipe in the refrigerator is reduced is presented.

먼저, 냉기 회수관의 내부에 성에가 발생하여, 냉기 회수관이 좁아지고, 궁극적으로는 냉기 회수관이 막힐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된 기재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냉기 회수관 외에 냉장고의 구성은 이미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First, frost occurs in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turn tube, the cold air return tube is narrowed, and ultimately the cold air return tube may be blocked, the previously described content can be applied as it is.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other than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applied as it i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공간으로, 증발기의 제상시에 열을 제공하는 제 3 히터가 도입되는 것과, 상기 냉기 회수관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드는 것에 일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a third heater for providing heat during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a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reduced.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의 사시도이고, 도 65는 냉동실에 놓이는 증발기와 냉기 회수관과 제상수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6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ezing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a cold air recovery pipe, and a defrost water tray plac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도 64 및 도 6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회수관(6011)은 증발기(7)와 중첩된다.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은 예를 들어 사각단면의 관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입구는 냉장실과 연결되고,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출구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64 and 65 ,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verlaps the evaporator 7 .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a form in which a tub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extends vertically up and down.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may connec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n inle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an outle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상기 냉기 회수관(6011)에는, 윗쪽에 입구부를 가지고 상하로 연장되는 상하이송부(5012)와, 상기 상하이송부(5012)의 하단에서 상기 증발기(7) 측으로 개구되는 측면유로(5013)를 가질 수 있다. The cold air return pipe 6011 may have a vertical conveying part 5012 that has an inlet at the upper side and extends vertically, and a side flow path 5013 that is opened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part 5012 toward the evaporator 7 side. have.

이하에서 냉기 회수관의 제상운전과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frosting opera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내부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공간에는 증발기의 제상운전에 사용되는 제 3 히터(1300)가 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히터(1300)는, 증발기(7)에서 냉매관(1301)과 유사하게 증발기에서 상하 좌우로 연장되는 다수의 시즈히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히터(1300)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공간으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6100)의 측벽에는 제 1 통공(5014)가 마련될 수 있다. A third heater 1300 used for a defrosting operation of the evaporator may be introduced into a space in which cold air flows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Here, the third heater 1300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sheath heaters exten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om the evaporator similarly to the refrigerant pipe 1301 in the evaporator 7 . In order to introduce the third heater 1300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 first through hole 5014 may be provided in the sidewall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100 .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로 도입되는 상기 제 3 히터(1300)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상부에 발생한 성세를 제거할 수 있다. The third heater 1300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remove the growth gener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내부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공간에는 냉매가 증발하는 냉매관(1301)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1301)이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보공간으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측벽에는 제 2 통공(5015)이 마련될 수 있다. A refrigerant pipe 1301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es may be introduced into a space in which cold air flows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In order for the refrigerant pipe 1301 to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 second through hole 5015 may be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상기 제 1 통공(5014) 및 상기 제 2 통공(5015)은 상하이송부(5012)의 마주보는 양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7)는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을 통과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모든 벽이 증발기와 간섭을 하기 때문에, 상기 냉기 회수관(6011)과 증발기(7)를 중첩하여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냉기 회수관(6011) 만을 위하여 고내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through hole 50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015 may be provid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012 . In this case, the evaporator 7 may further extend through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In this embodiment, since all the walls of the cold air return pipe 6011 interfere with the evaporator,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cold air return pipe 6011 and the evaporator 7 to overlap each other.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eparate space in the refrigerator only for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증발기(7)가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을 통과하여 더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evaporator 7 further extends through the cold air return pipe 6011 .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통공(5014) 및 상기 제 2 통공(5015)은,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이송부(5012)의 어느 일면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7)의 일측 단부가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냉기 회수관(6011)과 증발기(7)를 중첩하여 설치는 어려움은 줄어들 수 있지만, 냉기 회수관(6011)만을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hole 50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015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012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case, one end of the evaporator 7 may be located inside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In this embodiment, the difficulty of installing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and the evaporator 7 by overlapping can be reduce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separate space must be secured only for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내부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공간에는 냉매관(1301)과 함께, 열교환 작용을 촉진시키는 핀(130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핀(1302)는 상기 냉매관(1301)과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A fin 1302 that promotes heat exchange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pipe 1301 in a space in which the cold air flows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The fin 1302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refrigerant pipe 1301 .

상기 증발기(7)의 하측에는 제상수 트레이(1000), 제상수 트레이는 제상운전하는 제 1 히터(1100)가 마련될 수 있다. A defrosting water tray 1000 and a first heater 1100 for defrosting the defrosting water tray may be provided below the evaporator 7 .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증발기(7)의 하측만이 아니라, 냉기 회수관(6011)의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제상운전시에 발생하는 제상수를 포집할 수 있다.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extend not only to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7 , but also to the lower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defrosting water generated during the defrosting opera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상기 제 1 히터(1100)는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1100)는 상기 측면유로(5013)을 통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측면유로(5013)는 냉장실에서 토출된 냉기가 증발기로 도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히터(110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하부에서 발생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1100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The first heater 11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through the side flow path 5013 . The side flow path 5013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1100 may remove the frost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좁은 냉동실의 내부공간에 냉기 회수만을 위한 별도의 냉기 회수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cold air recovery pipe only for recovering cold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narrow freezing chamber.

뿐만 아니라, 냉기 회수관의 제상운전에 필요한 별도의 히터, 예를 들어 상기 제 2 히터(1200)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 3 히터(1300)가 상기 냉기 회수관(6011) 상부의 성에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heater required for the defrosting opera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for example, the second heater 1200 . This is because the third heater 1300 can remove the frost on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도 66은 실시예에 따른 냉기 회수관이 증발기에 대하여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증발기의 정면도이다. 66 is a front view of the evaporator for explaining a position where the cold air recovery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상기 증발기(7)의 좌우측 중의 어느 일측에는, 냉매의 입출 및 히터의 입출을 위하여, 냉매입출구(1304) 및 히터입출구(1305)가 마련된다. 상기 냉매입출구(1304) 및 상기 히터입출구(1305)는, 제작편의, 집약적인 공간활용, 및 제상효율향상을 위하여, 상기 증발기(7)의 좌우측 중의 어느 일측에 함께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6에서 A영역은 상기 냉매입출구(1304) 및 상기 히터입출구(1305)가 놓이는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A영역에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이 놓이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A refrigerant inlet/outlet 1304 and a heater inlet/outlet 1305 ar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7 for entering/exiting the refrigerant and entering/exiting the heater.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1304 and the heater inlet and outlet 1305 are preferably located together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vaporator 7 for manufacturing convenience, intensive use of space, and improvement of defrosting efficiency. In FIG. 66, area A indicates an area in which the refrigerant inlet/outlet 1304 and the heater inlet/outlet 1305 are placed. When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is placed in the area A, interference may occur.

상기 냉매입출구(1304) 및 상기 히터입출구(1305)는, 상기 제 2 냉기 회수관(6011)가 설치되는 반대쪽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냉매입출구(1304) 및 상기 히터입출구(1305)가 상기 냉기 회수관(6011)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입출구(1304) 및 상기 히터입출구(1305)가 상기 냉기 회수관(6011)과 같은 쪽에 놓이면, 제작이 어려워지고, 부재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refrigerant inlet/outlet 1304 and the heater inlet/outlet 1305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ides where the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 6011 is install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1304 and the heater inlet and outlet 1305 from interfering with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When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1304 and the heater inlet and outlet 1305 are placed on the same side as the cold air return pipe 6011, manufacturing becomes difficult and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members.

한편, 도 66을 통해서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는, 상기 증발기(7) 및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이 놓이는 하방 투사영역과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증발기 및 냉기 회수관에서 낙하하는 제상수를 모두 포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하방 투사영역은 상기 증발기의 하방 투사영역과 중복될 수 있다. Meanwhile, as clearly understood through FIG. 66 , the defrost water tray 1000 may be aligned with a lower projection area in which the evaporator 7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are placed.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collect all of the defrost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Of course, the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may overlap with the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evaporator.

그러나, 상기 제 1 통공(5014) 및 상기 제 2 통공(5015)이 상하이송부(5012)의 어느 일면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1000)가,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방 투사영역과 상기 증발기의 하방 투사영역 모두와 정렬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However, the first through hole 50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015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5012 . In this case,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defrost water tray 1000 to be aligned with both the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evaporator.

상기 냉기 회수관과 상기 증발기는 모두 성에가 발생한다. 상기 제 3 히터(1300)의 운전 시에는 냉기 회수관과 증발기의 얼음을 함께 제거한다. 상기 제 3 히터는 연결되는 히터가, 상기 냉기 회수관과 상기 증발기를 함께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Both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evaporator generate frost. When the third heater 1300 is operated,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ice of the evaporator are removed together. This is because a heater connected to the third heater supplies energy 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evaporator together.

상기 냉기 회수관에만 성에가 많이 발생하고 상기 증발기에는 성에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 히터에 의한 제상운전 시에 증발기로 불필요한 에너지를 가하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엔트로피의 증가로 인하여 에너지 효율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When a lot of frost occurs only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no frost occurs in the evaporator, unnecessary energy is applied to the evaporator during the defrosting operation by the third heater, and thus energy waste may occur. That is,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energy efficiency due to an unnecessary increase in entropy.

또한, 냉장실로부터 유입되는 고습의 공기는, 상기 냉기 회수관(6011)의 입구에서 이슬점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회수관의 입구부에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성에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gh-humidity air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may go down to a dew point or less at the inle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 Accordingly, more frost may occur in the inle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an in other parts.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불균등한 성에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의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uneven formation of frost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arrangement of the fins may be different.

도 67은 상기 증발기의 핀 배치를 설명하는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6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vaporator for explaining the fin arrangement of the evaporator.

도 67을 참조하면, 상기 냉기 회수관의 입구부(B)의 핀 밀도, 상기 냉기 회수관의 출구부(C)의 핀 밀도, 상기 증발기의 입구부(D)의 핀 밀도, 및 상기 증발기의 출구부(E)의 핀 밀도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7 , the fin density of the inlet part B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fin density of the outlet part C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fin density of the inlet part D of the evaporator, and the fin density of the evaporator The fin density of the outlet portion E may b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Described specifically.

상기 냉기 회수관의 입구부(B)의 핀 밀도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출구부(C)의 핀 밀도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출구부(C)에서 더 많은 냉기가 공기에 가하여짐으로써, 상기 입구부(B)의 성에발생량은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샹기 냉기 회수관의 전체영역에서 균등하게 성에가 발생할 수 있다. The fin density of the inlet part B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be set to be lower than the fin density of the outlet part C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ccordingly, as more cold air is applied to the air at the outlet portion C, the amount of frost generated at the inlet portion B may be reduced. In addition, frost may occur evenly in the entire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상기 냉기 회수관의 입구부(B)로 부터 상기 냉기 회수관의 출구부(C)로 갈수록 상기 핀 밀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더 균등하게 냉기 횟관의 내부에서 성에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n density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inlet (B)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the outlet (C)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more evenly cause frost to occur inside the cold air pipe.

상기 증발기의 입구부(D)의 핀 밀도, 및 상기 증발기의 출구부(E)의 핀 밀도보다 낮다. 이에 따르면, 상기 출구부(E)에서 더 많은 냉기가 공기에 가하여짐으로써, 상기 입구부(D)의 성에 발생량은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증발기의 전체영역에서 균등하게 성에가 발생할 수 있다.The fin density of the inlet portion D of the evaporator and the fin density of the outlet portion E of the evaporator are lower than the fin density. Accordingly, as more cold air is applied to the air at the outlet portion E, the amount of frost generated at the inlet portion D may be reduced. In addition, frost may occur evenly in the entire area of the evaporator.

상기 냉기 회수관의 출구부(C)의 핀 밀도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부(D)의 핀 밀도보다 낮다. 이에 따르면, 다습한 공기가 핀을 거치는 과정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성에를 맺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냉기 회수관의 출구측과 상기 증발기의 입구측에 균등하게 성에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n density of the outlet portion (C)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lower than the fin density of the inlet portion (D) of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gradually form fros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fi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venly generate frost on the outlet 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결국, 상기 냉기 회수관에서 냉기의 하방유동에서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입구부(B)의 핀 밀도 < 상기 냉기 회수관의 출구부(C)의 핀 밀도'의 부등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downward flow of cold air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fin density of the inlet part (B)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 the fin density of the outlet part (C)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may have an inequality sign relationship.

상기 증발기에서 냉기의 상방유동에서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부(D)의 핀 밀도 < 상기 증발기의 출구부(E)의 핀 필도'의 부등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In the upward flow of cold air in the evaporator, it may have an inequality relationship of 'fin density of the inlet part (D) of the evaporator < fin filliness of the outlet part (E) of the evaporator'.

상기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기 회수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성애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generate frost as a whole for the evaporator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도 68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설치영역 및 그로 인한 효과를 보이는 냉동실의 정면도로서, 도 68(a)는 도 58 내지 도 63에 제시되는 냉기회수관의 실시예이고, 도 68(b)는 본 실시예의 도면이다. 68 is a front view of the freezing chamber showing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its effect. FIG. 68 (a) is an embodimen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shown in FIGS. 58 to 63, and FIG. 68 (b) is this view. It is a drawing of an embodiment.

도 68을 참조하면, 도 58 내지 도 63에 제시되는 제 1 냉기회수관의 경우에는 증발기의 설치폭이 W1으로 제한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냉기 회수관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증발기의 설치폭이 W2로 증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8, in the case of the first cold air recovery pipe shown in FIGS. 58 to 63, the installation width of the evaporator is limited to W1.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d air recovery pi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he installation width of the evaporator may increase to W2.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냉동실의 좌우폭이 동일한 경우에 증발기의 폭을 더 넓게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동실의 좌우폭을 완전히 활용하여 증발기 규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동 시스템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가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the same, the width of the evaporator can be realized wider. Likewise, the evaporator standard can be set by fully utiliz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in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of the refrigeration system is increased.

도 64 내지 도 68에 제시되는 냉기 회수관(6011)은 도 32 및 도 33 등에 제시되는 제 2 냉기 회수관(5011)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설명은 상기 제 2 냉기 회수관의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 5011 shown in FIGS. 32 and 33 may be applied to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shown in FIGS. 64 to 68 . Therefore, the description without specific reference is assumed to be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cold air recovery pipe.

상기 제 1 냉기 회수관(501)과 상기 제 2 냉기 회수관(5011) 중에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58 내지 도 63에 제시되는 냉기 회수관(521)과 상기 도 64 내지 도 68에 제시되는 냉기 회수관(6011) 중에 어느 하나가 구비되거나, 두 개의 냉기 회수관이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Any one of the first cold air return pipe 501 and the second cold air return pipe 5011 may be provided. Similarly, either on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521 shown in FIGS. 58 to 63 and the cold air recovery pipe 6011 shown in FIGS. 64 to 68 may be provided, or both cold air recovery pipes may be provided. .

본 발명은 단일의 진공단열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멀리언에 의해서 서로 구획되는 냉장고의 각 구성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utilizing each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mullion when a single vacuum insulator is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과 냉동이 함께 필요한 냉장고에 있어서, 진공단열체를 활용하여 고내의 환경을 필요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frigerator that requires both refrigeration and freezing, a method for actively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the refrigerator as needed by using a vacuum insulator is proposed.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실에서 귀환하는 냉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교환손실이 줄어들고, 귀환유로상의 제상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 진공단열체를 이용한 냉장고의 제작기술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exchange loss caused by cold air returning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reduced, and defrost water on the return flow path can be easily treated, which serves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a refrigerator using a vacuum insulator.

냉기 회수관: 501, 5011, 521
회수냉기 흡입구:707, 708
제상수 트레이:1000
제 1 히터:1100
제 2 히터:1200
제 3 히터:1300
통공: 5014, 5015
Cold return pipe: 501, 5011, 521
Recovery cold air intake: 707, 708
Defrost water tray: 1000
1st heater: 1100
2nd heater:1200
3rd heater: 1300
Aperture: 5014, 5015

Claims (20)

진공단열체로 제공되는 벽을 가지는 제 1 수용공간;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냉매관이 포함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제 1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제 2 수용공간;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냉기 회수관;
상기 히터를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의 어느 일 벽에 제공되는 통공; 및
상기 증발기의 제상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상수 트레이가 포함되는 냉장고.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wall provided with a vacuum insulator;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including at least a refrigerant pipe;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to defrost the evaporator;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receiving cold air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cold air recovery pipe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recover the air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the evaporator;
a through hole provided in any one wall of the cold air return tube to introduce the heater into the cold air return tube; and
and a defrost water tray provid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the defrost water of the evapo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상기 냉기 회수관을 통과하도록, 상기 통공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마주보는 두 벽에 각각 제공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holes are provided in two opposite walls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respectively, so that the heater passes through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이 통과하도록, 상기 냉기 회수관에는 또 다른 통공이 제공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another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old air return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pas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이 상기 냉기 회수관을 통과하도록, 상기 또 다른 통공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마주보는 두 벽에 각각 제공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ther through-holes are provided in two opposite walls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respectively,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passes through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트레이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방 투사영역까지 연장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rost water tray extends to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트레이의 성에를 제거하는 또 다른 히터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nother heater for defrosting the defrost water tr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히터가 상기 냉매 회수관의 안으로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부 일측에서 개구되는 측면유로가 포함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and a side flow path that is opened from a lower 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allow the other he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recovery pi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수용공간으로부터 회수된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A refrigerator through which the cold air recover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flows in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side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회수관에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핀이 놓이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fin that promotes heat exchange in the cold air return pi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회수관의 유로방향을 기준으로, 상류보다 하류에서 핀의 밀도가 높은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A refrigerator having a higher density of fins downstream than upstream based on the flow path direc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회수관의 유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핀의 밀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ensity of the fins is gradually increased based on a flow path direc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관과 연결되는 냉매입출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냉매입출구는 상기 냉기 회수관이 놓이는 쪽의 반대쪽에 놓이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are further included,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a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cold air recovery pipe is pla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연결되는 히터입출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히터입출구는 상기 냉기 회수관이 놓이는 쪽의 반대쪽에 놓이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heater inlet and outlet connected to the heater are further included,
The heater inlet and outlet is plac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cold air return pipe is placed.
제 1 수용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수용공간과 온도가 다른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진공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 및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냉매관을 가지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관을 따라서 연장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제 1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제 2 수용공간;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제 2 수용공간과 제 1 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냉기 회수관;
상기 히터 및 상기 냉매관을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로 도입하도록 상기 냉기 회수관의 적어도 어느 일 벽에 제공되는 통공; 및
상기 히터에 의해서 냉기 회수관에서 발생한 제상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방 투사영역에 마련되는 제상수 트레이가 포함되는 냉장고.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the first receiving space;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an external space having a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sealing part sealing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to provide a vacuum space that is a temperatur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space and is a space in a vacuum state;
a supporting unit for maintaining the vacuum space;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vacuum space; and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t least a refrigerant pipe;
a heater extend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and generating heat to defrost the evaporator;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receiving cold air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cold air recovery pipe extending vertically by connec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recover the air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the evaporator and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through hole provided in at least one wall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introduce the heater and the refrigerant pipe into the insid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and a defrost water tray provided in a lower projection area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o collect defrost water generated in the cold air recovery pipe by the heat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냉기 회수관의 마주보는 두 벽에 제공되어, 상기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을 지나가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wo opposite walls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and the heater passes through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싱수 트레이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상수 트레이에 마련되는 또 다른 히터가 포함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order to defrost the defrosting water tray, the refrigerator includes another heater provided in the defrosting water tray.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상부의 성에를 제거하고,
상기 또 다른 히터는 상기 냉기 회수관의 하부의 성에를 제거하는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eater removes the frost on the upper part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The other heater is a refrigerator for defros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회수관에는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핀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핀은 하방으로 갈수록 핀의 밀도가 증가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ld air recovery pipe further includes a fin that promotes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pip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ensity of the fins increases as the fins go downwar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트레이는 상기 증발기의 하방 투사영역을 수용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frost water tray is a refrigerator for accommodating a downward projection area of the evaporator.
제 1 수용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수용공간과 온도가 다른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진공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 및
상기 제 1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냉매관을 가지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관을 따라서 연장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제 1 수용공간으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제 2 수용공간; 및
상기 제 2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제 2 수용공간과 제 1 수용공간을 연결하여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냉기 회수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냉기 회수관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히터가 연장되는 냉장고.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the first receiving space;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an external space having a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sealing part sealing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to provide a vacuum space that is a temperatur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space and is a space in a vacuum state;
a supporting unit for maintaining the vacuum space;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vacuum space; and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t least a refrigerant pipe;
a heater extend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and generating heat to defrost the evaporator;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receiving cold air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In order to recover the air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the evaporator,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tend vertically, and a cold air recovery pipe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further included;
A refrigerator in which the heater extends into an inner space of the cold air recovery pipe.
KR1020190170731A 2019-12-19 2019-12-19 Refrigerator KR20210078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31A KR20210078850A (en) 2019-12-19 2019-12-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31A KR20210078850A (en) 2019-12-19 2019-12-19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50A true KR20210078850A (en) 2021-06-29

Family

ID=7662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731A KR20210078850A (en) 2019-12-19 2019-12-19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850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719B1 (en)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door equipped with vacuum insulating material panel
KR20040048766A (en) 2002-12-04 200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ing air returnning duct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KR20150012712A (en)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70016187A (en)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719B1 (en)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door equipped with vacuum insulating material panel
KR20040048766A (en) 2002-12-04 200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ing air returnning duct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KR20150012712A (en)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70016187A (en)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3535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N111480044B (en) Vacuum insulator and refrigerator
KR102634458B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1906232B2 (en) Refrigerator
KR20230125764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00001349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N114080531B (en) Vacuum insulator and refrigerator
KR20210078850A (en) Refrigerator
KR20210078848A (en) Refrigerator
CN114127495B (en) Vacuum insulator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5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2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JP3369899B2 (en) Cooling storage
KR20210078841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06702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4A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6A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