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550A -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및 패널 커버링 - Google Patents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및 패널 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550A
KR20210078550A KR1020217015858A KR20217015858A KR20210078550A KR 20210078550 A KR20210078550 A KR 20210078550A KR 1020217015858 A KR1020217015858 A KR 1020217015858A KR 20217015858 A KR20217015858 A KR 20217015858A KR 20210078550 A KR20210078550 A KR 2021007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ongue
upward
downwar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디 알버릭 부케
Original Assignee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filed Critical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ublication of KR2021007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04F2201/014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with snap action of the edg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1Tongues or grooves with slits or cuts for expansion or flexi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2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grooves positioned on the rear-side of the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 E04F2203/023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having triangular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패널은 중앙에 위치한 코어,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향 그루브는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제2 결합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하향 그루브는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및 패널 커버링
본 발명은 패널, 특히 바닥 패널, 천장 패널 또는 벽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상호 결합된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지난 10년간 경질 바닥 커버링용 라미네이트 시장에서 엄청난 발전이 있었다. 다양한 방법으로 기초 바닥 위에 바닥 패널을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바닥 패널은 접착제로 붙이거나 못을 박아 바닥에 부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다소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이후의 변경은 바닥 패널을 떼어 내야 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안적인 설치 방법에 따르면, 바닥 패널은 하부 바닥재 위에 느슨하게 설치되어, 바닥 패널이 텅 앤 그루브 결합을 통해 서로 맞물리게 되며, 대부분 텅 앤 그루브에서 함께 접착도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바닥은 플로팅 쪽모이 세공 바닥이라고도 하며,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과 전체 바닥 표면이 움직일 수 있어 발생가능한 팽창 및 수축 현상을 수용하기에 대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유형의 바닥 커버링의 단점은 무엇보다도, 바닥 패널이 하부 바닥재 위에 느슨하게 설치되는 경우, 바닥의 팽창 및 그 이후의 수축 중에 바닥 패널 자체가 서로 떨어져 이탈될 수 있고, 그 결과로, 예를 들어 접착제 연결이 파손되면 원하지 않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제 연결 요소를 단일 바닥 패널들 사이에 제공하여 패널들을 함께 유지하는 기술이 이미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 요소는 만드는 데 다소 비용이 많이 들고 더욱이 이들의 제공 또는 설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대향 패널 에지에 상보적인 형태의 결합부를 갖는 바닥 패널도 알려져 있다. 이들 공지의 패널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대향하는 긴 패널 에지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앵글링-다운 결합부와 대향하는 짧은 패널 에지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폴드-다운 결합부를 갖는다. 이러한 공지의 바닥 패널의 설치는 소위 폴드-다운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설치될 제1 패널의 긴 에지는 먼저 제1 열에 이미 설치된 제2 패널의 긴 에지에 결합되거나 삽입되고, 그 후 제1 패널을 내리는(폴드-다운 하는) 동안 제2 열에 이미 설치된 제3 패널의 짧은 에지에 제1 패널의 짧은 에지가 결합되며, 이러한 설치는 간단한 설치의 목표 요구사항을 충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 바닥 패널의 평행하게 배향된 복수의 열로 구성된 바닥 커버링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패널이 개선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두에 따른 패널로서, 상부측 및 하부측을 구비하고, 평면을 정의하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로서, 제1 결합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제2 결합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하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향 플랭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의 패널을 각각의 에지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프리텐션(pretension)이 결합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하향 텅 및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향 텅 및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에서,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의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어 하향 텅이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되거나 상향 텅이 제2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며, 상향 텅은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두에 따른 패널로서, 상부측 및 하부측을 구비하고, 평면을 정의하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로서, 제1 결합부는: 상향 텅,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향 그루브, 및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의 원위 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하향 텅,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 및 인접한 패널의 제1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하향 플랭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의 패널을 각각의 에지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프리텐션이 결합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하향 텅 및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향 텅 및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에서,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의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어 하향 텅이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되거나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며, 상향 텅은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프리텐션은 결합부가 결합 상태에서 서로에 힘을 가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합부 및 따라서 각각의 에지에 있는 각각의 패널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도록(밀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제1 결합부 및 상보적인 제2 결합부는 클램핑 방식으로 상호 협력한다. 이렇게 하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고 결합부가 서로 떨어져 이탈되는(인접 패널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음)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패널은 가위질 동작 또는 지퍼 올리기 동작으로도 지칭되는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따라서 사용자 친화적인 폴드-다운 기술의 사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프리텐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하향 텅과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향 텅과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중첩 윤곽은 전체 윤곽이 중첩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제1 결합부의 (외부) 윤곽선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결합부의 (외부) 윤곽선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기만 하면 된다. 윤곽은 일반적으로 측면도(또는 단면도)에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윤곽을 고려하여 비교된다.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제1 결합부 및/또는 제2 결합부는 일반적으로 결합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된, 특히 압착되고/되거나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되어, 결합의 원하는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첩 윤곽을 사용하면 하향 텅이 상향 그루브에 대해 (약간) 과대크기가 되고/되거나 상향 텅이 하향 그루브에 대해 (약간) 과대크기가 된다. 그러나, 중첩 윤곽은 예를 들어 중첩되는 제1 및 제2 잠금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패널을 결합하는 동안, 상향 텅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특히 압착되고/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구부러짐은 그 초기 위치로부터 (약간) 외측 방향으로, 상향 플랭크로부터 멀어지면서 발생한다. 상향 텅의 구부러진 상태는 두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유지될 것이다.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의 구부러진 각도는 일반적으로 제한되며 0도에서 2도 사이에 위치한다. 과대크기는 원하는 프리텐션을 실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하며, 프리텐션은 일반적으로 최소 과대크기에서 이미 발생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적절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설치를 허용하고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제한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텅의 폭은 상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이다. 이 과대크기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0.5 mm 정도이다. 하향 텅의 최대 폭은 바람직하게는 상향 그루브의 최대 폭을 초과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결합, 따라서 이음매를 가급적 촘촘하게(유격이 없도록) 유지하기 위해 패널이 서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추가로 기여한다. 단일(수평) 평면에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향 텅의 높이가 상향 그루브의 높이와 같거나 더 작은 경우가 유리하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상향 텅이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향 텅의 폭이 하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이다. 여기서, 상향 텅의 최대 폭이 하향 그루브의 최대 폭을 초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는 또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프리텐션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패널 사이의 촘촘한 이음매를 확보하고 패널 사이의 오프셋을 방지하기 위해 하향 그루브가 결합 중에 넓어지지 않거나 적어도 결합 상태에서 넓어진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에지가 모따기된 경우, 특히 사면으로 된 경우, 작은 오프셋은 보이지 않으므로 (결합 상태에서 하향 그루브가 (약간) 넓어지고 하향 텅이 상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기인한) 작은 오프셋은 허용된다. 상향 텅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하향 그루브의 높이와 같거나 더 작다. 이렇게 하면 결합된 패널을 (이음매 없이) 동일한 높이(수평면)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과대크기, 바람직하게는 하향 그루브에 대한 상향 텅의 (최대) 폭 과대크기 및/또는 단면 표면적 과대크기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0.5 mm 정도이다. 이는 허용 가능한 프리텐션 연장을 초래하며, 결합 상태에서 각각의 에지에 있는 각 패널은 서로를 향해 가압되고, 이때 제1 결합부 및 상보적인 제2 결합부는 상당한 (원하지 않는) 재료 응력을 유발하지 않고 클램핑 방식으로 상호 협력한다. 그러나 텅의 과대크기가 0.5 내지 1.0 mm 정도이거나 또는 과대크기가 1 mm 이상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과대크기가 1 mm 이상인 경우, 약간 가요성의 (반강성인) 코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과대크기 텅은 결합 중 및/또는 결합 상태에서 약간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하향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 특히 (인접한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상향 텅의 상기 과대크기 부분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적어도 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과대크기로 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폭 방향일 수 있고/있거나 이는 단면 표면적 과대크기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텅의 경우일 수도 있다. 상향 텅은 또한 수직 방향으로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결합 상태에서 과대크기 상향 텅이 하향 그루브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약간 가압되도록 한다. 이는 상향 텅이 아래로 구부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오목부가 상향 텅 아래쪽에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패널의 비결합 상태에서, 하향 그루브에 대한 상향 텅의 윤곽의 중첩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결합부의 잠금 요소는 결합된 패널의 잠금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텅과 그루브의 협력은 수평 잠금 또는 결합된 패널의 평면에서의 잠금에 기여한다. 제1 및 제2 잠금 요소는 일반적으로 수직 잠금 또는 결합된 패널의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잠금에 기여하거나 회전 잠금에 기여하여 두 패널이 자유롭게 선회할 수 없게 하거나 이러한 선회가 감소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의 하부측에는 상향 텅의 하향 구부러짐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가 구비되어, 바람직하게는 상향 그루브가 넓어져 두 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오목부를 제공함으로써, 상향 텅의 아래쪽으로 구부러짐(처짐)을 허용하고 용이하게 하는 공간이 제1 결합부 아래쪽에 생성된다. 결합 동안 텅 재질로 점유될 수 있다. 이러한 상향 텅의 처짐은 상향 그루브가 적어도 결합 중에는 넓어질 수 있도록 하며, 더 큰 상향 그루브는 두 패널을 서로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상향 그루브의 넓어진 상태와 상향 텅의 구부러진 상태는 인접한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유지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패널의 결합 동안, 상향 텅은 오목부 내로 하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그 다음 초기 위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귀한다.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부는 일반적으로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 하에서 패널을 서로를 향해 가압한다. 이 장력은 결합된 패널을 함께 또는 서로를 향해 가압하여 결합된 패널의 잠금을 증가시킨다. 상향 텅이 인접한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는 비결합 상태의 상향 텅의 초기 위치보다 약간 낮게 위치할 것이다. 초기 위치(비결합 상태)와 구부러짐 위치(결합 상태) 사이의 높이 차이는 0.1 내지 5 mm, 전형적으로 0.2 내지 2 mm 일 수 있다.
오목부는 예를 들어 밀링된 그루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밀링된 그루브은 패널이 수평 하부바닥 또는 표면에 배치될 때 수평 방향으로도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그루브는 패널의 바닥측의 일정 거리로부터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제1 결합부는 패널의 코어에 연결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향 텅은 상기 하부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에 대해 상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모따기부는 상향 텅 아래쪽에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오목부가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브릿지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하부 브릿지 폭의 적어도 절반의 양쪽 모두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더 바람직하다. 후자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하부 브릿지에 대한 상향 텅의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목부는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의 원위 측으로 연장된다.
패널의 단면도에서,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단면도에서는 패널의 주요 방향 중 하나를 따라 취한 도면이 의도된다. 패널 또는 바닥 패널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단면도는 패널의 중심선 중 하나를 따라 취해진다. 이러한 형상은 예를 들어 기존의 밀링 기술로 패널의 일부를 밀링가공함으로써 비교적 쉽게 생산할 수 있다. 패널의 이 밀링가공된 부분은 향후 패널 생산에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목부는 패널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대해 (상향) 경사면을 갖는 모따기부인 것도 상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모따기부와 패널의 하부측(의 나머지 부분)은 서로 둔각을 둘러싸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더 견고하고 따라서 예각 및/또는 수직을 둘러싸는 재료 표면에 비해 덜 깨지고 덜 취약하다.
오목부로부터 패널의 하부측(의 나머지 부분)으로의 내향 전환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 있거나, 또는 오목부로부터 패널의 코어로의 내향 전환부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오목부의 곡선 전환부는 오목부와 코어 사이의 부드러운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패널에 가해지는 힘도 다소 부드럽게 전달될 수 있다. 반면에 정사각형 전환부는 상대적으로 제조하기가 쉽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밖에 없는(따라서 완전한) 상향 텅의 상부측은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으로부터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의 원위 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그루브의 상부측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하향 플랭크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두 경사는 0도와 5도(를 포함하는) 사이의 각도를 서로 둘러싼다. 상향 텅의 상부측의 경사는 수평면(패널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45도, 더 바람직하게는 25도 내지 3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도에 위치한다. 상향 텅의 상부측의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하며, 이는 상부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배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그루브의 상부측은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상향 텅의 상부측의 경사에 비해) 경사 배향을 가지며, 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향 텅의 방향으로 상향이다. 위에서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1 결합부는 패널의 코어에 연결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향 텅은 상기 하부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에 대해 상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브리지의 상부측은 상향 그루브의 하부측을 정의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2 결합부는 코어를 하향 텅과 연결하는 상부 브릿지를 포함하며, 하향 텅은 상기 상부 브릿지에 대해 하향 연장된다. 상부 브리지의 하부측은 하향 그루브의 상부측을 정의한다. 하향 그루브의 경사진 상부측을 적용하면 하향 텅의 방향으로 코어에서 볼 때 상부 브리지의 두께가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크고 하향 텅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이러한 위치 의존적인 브리지 두께는 여러 장점을 갖는다. 코어에 가까운 상부 브리지의 두꺼운 부분은 브리지에 더 많은 충분한 강도와 견고성을 제공하는 반면, 측향 텅 및/또는 하향 텅에 가까운 상부 브리지의 얇은 부분은 브리지의 가장 약한 지점을 형성하며, 따라서 결합 중 첫 번째 변형의 위치(피봇 포인트)를 결정한다. 이 변형 지점이 하향 텅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하향 텅을 인접한 패널의 상향 그루브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형되는 재료의 양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다. 변형이 적으면 재료 응력이 줄어드는데, 이는 결합부(들)의 수명, 따라서 패널(들)의 수명에 유리하다. 인접한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제1 하향 오목부 또는 제2 하향 오목부의 상부측은 상향 잠금 요소의 상부측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지지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자체로 결합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하향 그루브의 상부측의 경사는 상향 텅의 상부측의 경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하향의 상부측의 경사가 수평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45도, 더 바람직하게는 25도 내지 3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도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사는 평평하거나 둥글거나, 또는 결국 구부러지거나 할 수 있다.
제1 잠금 요소는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잠금 요소는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볼록부는 일반적으로 잠긴 결합, 바람직하게는 수직 잠김 결합을 실현할 목적으로 인접한 결합된 패널의 오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잠금 요소 및 제2 잠금이 볼록부-오목부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협력 프로파일 표면 및/또는 고마찰 접촉 표면의 다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후자의 실시예에서, 제1 잠금 요소 및 제2 잠금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는 맞물림(결합) 상태에 있는 다른 패널의 다른 하나의 잠금 요소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선택적으로 별개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평평하거나 다른 형상인) 접촉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찰을 발생시키는 데 적합한 플라스틱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아세탈(POM). 단단하고 강하며 크리프 저항성이 우수하다. 마찰 계수가 낮고,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온수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 나일론(PA). 대부분의 고분자보다 수분을 많이 흡수하고, 수분을 흡수할수록 충격 강도와 전반적인 에너지 흡수성이 실제로 향상된다. 나일론은 또한 마찰 계수가 낮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 폴리프탈아미드(PPA). 이 고성능 나일론은 완전히 향상된 내열성과 낮은 흡습성을 가진다. 또한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우수한 내화학성과 난연성이 고강도와 결합된 고온 열가소성 수지이다. PEEK는 항공우주산업에서 가장 선호되는 제품이다.
- 폴리페닐렌 황화물(PPS). 내화학성 및 고온 내열성, 난연성, 유동성, 치수 안정성 및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포함한 특성의 균형을 제공한다.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치수 안정성이 높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크며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 열가소성 폴리이미드(TPI). 고유 난연성이 있고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및 내마모 특성을 가진다.
- 폴리카보네이트(PC).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크며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PC는 또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물과 미네랄 또는 유기산에서 안정적이다.
- 폴리에테르이미드(PEI). 고온에서 강도와 강성을 유지한다. 또한 장기 내열성, 치수 안정성, 고유 난연성, 그리고 탄화수소, 알코올 및 할로겐화 용매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패널의 비결합 상태에서, 제1 잠금 요소는 제2 잠금 요소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잠금 요소의 중심선(중심축)은 제2 잠금 요소의 중심선(중심축)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패널의 비결합 상태에서, 제1 잠금 요소 및 제2 잠금 요소는 오프셋된 위치를 갖는다. 패널이 다른 패널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패널의 제1 잠금 요소는 인접한 패널의 제2 잠금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요소와 상기 제2 잠금 요소는 서로에 대해 여전히 (약간) 오프셋되어 있다고 상상해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잠금 요소의 중심선(중심축)과 상기 제2 잠금 요소의 중심선(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결합 동안 감소할 것이며, 상기 거리는 패널의 초기 비결합 상태에 비해 결합 상태에서 더 작을 (또는 심지어 0일)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에는, 예를 들어 각각 오목부 또는 외향 볼록부 형태인 인접한 패널의 제4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외향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태인 제3 잠금 요소가 구비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에는, 예를 들어 외향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태인 인접한 패널의 제3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오목부 또는 외향 볼록부 형태인 제4 잠금 요소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제3 및 제4 잠금 요소는 결합된 패널 사이의 수직 잠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잠금 요소와 제1 및 제2 잠금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에 적용되는 것을 상상해볼 수 있다. 제1 및 제2 잠금 요소 대신에 패널이 제3 및 제4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것도 상상해볼 수 있다. 제1 및 제2 잠금 요소와 비교할 때 제3 및 제4 잠금 요소의 대안적인 위치설정은, 잠금 요소가 인접한 패널 사이에 형성된 상부 이음매에 가깝게 위치하여, 상기 이음매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패널이 이음매에 가깝게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복수의 제1 잠금 요소, 제2 잠금 요소, 제3 잠금 요소 및/또는 제4 잠금 요소가 적용될 수 있음이 나타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제3 잠금 요소의 하부측 및 제4 잠금 요소의 하부측에서 발생하는, 두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수직 잠금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3 잠금 요소와 제4 잠금 요소 사이의 협력은 패널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함께 각도 A1을 둘러싸는 접선 T1을 정의하며, 이 각도 A1은 패널에 의해 정의된 상기 평면과,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의 경사 부분과 하향 플랭크를 향하는 하향 텅의 근위 측의 경사 부분 사이의 협력에 의해 정의된 접선 T2로 둘러싸인 각도 A2보다 작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각도 A1과 각도 A2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5도 내지 20도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 잠금 요소 및 상기 제4 잠금 요소는 상향 텅의 상부측에 비해 패널의 상부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의 최대 변형을 줄이는 반면, 연결 프로세스 및 변형 프로세스가 연속 단계로 실행될 수 있다. 변형이 적으면 재료 응력이 줄어드는데, 이는 결합부의 수명, 따라서 패널(들)의 수명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코어 층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조가 비교적 쉽고 비용 효율적인 일체형 패널이 형성된다.
코어에 두께가 있고 그 두께는 코어의 상부측과 하부측 사이의 거리인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의 일측은 상향 플랭크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며, 이때 거리는 코어의 두께보다 작고 오목부는 거리(D)의 적어도 75%만큼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거리에 걸쳐 연장되는, 패널의 추가 실시예를 생각해볼 수 있다.
상향 텅의 외부와 상향 플랭크 사이의 거리가 코어의 두께보다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돌출 요소가 생성되어 결합부의 취약성을 제한한다. 한편, 오목부를 거리의 큰 부분에 걸쳐 연장함으로써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이는 비교적 많은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거된 재료는 새 패널에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재료를 제거하면 더 많은 재료를 시스템에 다시 도입할 수 있다. 둘째, 비교적 큰 오목부는 상향 텅의 점진적인 구부러짐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구부러짐이 더 큰 표면적에 걸쳐 펼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단단하거나 가요성(탄력성)이 있거나 또는 약간 가요성이 있는 (반강성인) 것일 수 있다. 각 패널 패널은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트 바닥 패널; 소위 "탄력성 있는 바닥 패널"; "LVT"(럭셔리 비닐 패널) 패널 또는 "VCT 패널"(비닐 조성물 패널) 또는 이에 비견될 만한, 비닐 이외의 다른 합성 재료 기반의 패널; 제1 합성 재료 기반의, 바람직하게는 발포된 기재 층(코어 층)을 갖고, 그 위에 비닐 또는 다른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이에 기반한 바람직하게는 더 얇은 제2 기재 층(제2 코어 층)을 갖는 바닥 패널; 경질 합성 재료 기반의 기재를 갖는 바닥 패널 중 한 종류로 만들어진다. 패널, 특히 결합부를 제조하는 데 비교적 단단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재료는 상기 패널의 결합된 결합부 사이에 프리텐션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인접한 패널을 결합하기 위해 (약간의) 변형을 허용해야 한다. 이는 상향 텅이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이고/이거나 하향 텅이 상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특히 유용하다.
코어는 단일 재료(단일 코어 층)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코어는 복수의 코어 층을 포함한다. 상이한 코어 층이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코어의 전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둘 이상의 상이한 코어 층이 상이한 조성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코어 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와 적어도 하나의 비중합체 재료의 복합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코어 층의 복합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는 활석, 백악, 목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하소점토, 도자기, (다른) 미네랄 충전제, 및 (다른) 천연 충전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충전제는 섬유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먼지와 같은 입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라는 표현은 목재 먼지, 코르크 먼지, 또는 광물 먼지, 돌 분말, 특히 시멘트와 같은 비목재 먼지와 같은 작은 먼지 형태 입자(분말)로 이해된다. 먼지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0 마이크론, 더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 마이크론이다. 이러한 종류의 충전제의 주요 역할은 코어 층에 충분한 경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코어 층 및 패널(들)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복합재에서 이러한 종류의 충전제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합재가 발포(팽창) 복합재인 경우 40% 내지 48%,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합재가 비발포(솔리드) 복합재인 경우 65% 내지 70%이다.
적어도 하나의 코어 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데 적합한 중합체 물질에는 폴리우레탄(PUR),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IR) 및 폴리에틸렌(PE) 플라스틱이 포함되며, 이들 모두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다. 코어 층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는 고체일 수 있거나 발포(팽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소화 PVC(CPVC) 및/또는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및/또는 다른 염소화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하여 코어 층 및 패널의 경도와 강성을 추가로 개선하여 각 패널의 (선택적으로 뾰족한) 모서리의 취약성을 감소시킨다. 폴리염화비닐(PVC) 재료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부식에 강하며 난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코어 층을 형성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코어 층에서 가소성 재료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층의 원하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떠한 가소제도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또한 환경적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코어 층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PVC가 없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조성물은 (a) 적어도 하나의 이오노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 공중합체; 및 (b)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중합체,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이오노머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고 및 이온화된 단위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해된다. 이오노머의 이온화된 단위는 특히 금속 양이온으로 부분적으로 중화된 카르복실산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량(일반적으로 구성 단위의 15 mol% 미만)으로 존재하는 이온 그룹은 연속 중합체상에서 이온 도메인의 미세상 분리를 유발하고 물리적 가교 역할을 한다. 그 결과물이 기존 플라스틱에 비해 물리적 특성이 향상된 이온 강화 열가소성 수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비발포(솔리드) 복합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의 코어 층을 포함한다. 솔리드 코어 층은 패널 강도를 향상시켜 뾰족한 꼭지점의 취약성을 감소시키고, 쉐브론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패널을 사용하는 적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코어 층에 발포 복합재를 적용하는 대신에 솔리드 복합재를 코어 층에 적용할 때의 단점은 패널 무게가 증가한다는 점이고(동일한 두께의 코어 층이 적용될 경우), 이는 높은 취급비용 및 재료비용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층의 복합재는 염, 스테아레이트 염,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아연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코어 층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한다. 스테아레이트는 안정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유리한 가공 온도로 유도하고, 가공 중 및 가공 후 복합재 성분의 분해를 막아 장기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스테아레이트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칼슘 아연을 안정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복합재에서 안정제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일 것이다.
코어 층의 복합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충격 개질제는 일반적으로 제품 성능, 특히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충격 개질제는 일반적으로 코어 층을 강화하므로, 파손 위험을 더욱 줄여주는 강화제로 볼 수도 있다. 종종 개질제는, 예를 들어,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교적 일관된(일정한) 폼(foam) 구조를 갖는 폼의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생산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복합재에서 충격 개질제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한 코어 층은 발포 복합재 또는 비발포(솔리드) 복합재에 의해 형성된다. 코어 층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층의 원하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떠한 가소제도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또한 환경적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패널의 코어 층 및/또는 다른 층은 목재 기반 재료, 예를 들어 MDF, HDF, 목재 먼지, 조립식 목재, 보다 구체적으로 소위 공학 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재 기반 재료는 코어 층의 복합 재료의 일부일 수 있다.
코어 층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1.5 g/cm3,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1.4 g/cm3,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3 g/cm3,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1.2 g/cm3,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2 g/cm3,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6 내지 1.2 g/cm3 사이에 있다.
이와 같이 코어 층에 사용되는 중합체 및/또는 코어 층 그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700 MPa(섭씨 23도의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코어 층에, 따라서 평행사변형/마름모꼴 패널 자체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은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는 베이스 층의 발포를 처리하여 베이스 층의 밀도를 감소시킨다. 이는 치수가 유사하고 비발포 베이스 층을 갖는 패널에 비해 더 가벼운 경량 패널로 이어질 것이다. 바람직한 발포제는 베이스 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뿐만 아니라 원하는 폼 비율, 폼 구조 및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폼 비율 및/또는 폼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원하는 (또는 필요한) 폼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 위해, 각각 상이한 온도에서 베이스 층을 발포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발포제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발포된 베이스 층이 보다 점진적이고 보다 제어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베이스 층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두 개의 상이한 발포제의 예는 아지디카본아미드 및 탄산수소나트륨이다. 이와 관련하여, 베이스 층 전체에 걸쳐 폼 구조를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개질제를 적용하는 것이 종종 유리하다.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4 mm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패널 두께는 일반적으로 3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m에 위치한다.
코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코어의 높이에 따라 변한다. 이는 패널의 음향(소음 감쇠)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발포 코어 층의 상부 섹션 및/또는 하부 섹션에 크러스트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적어도 하나의 크러스트 층은 코어 층의 불가결한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층의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모두 폼 구조를 둘러싸는 크러스트 층을 형성한다. 크러스트 층은 상대적으로 폐쇄되어 있으므로(다공도 감소, 바람직하게는 기포(셀) 없음), 더 다공성의 폼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단한 (하위) 층을 형성한다. 반드시 그런 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크러스트 층은 코어 층의 하부 및 상부 표면을 밀봉(시어링)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크러스트 층의 두께는 0.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mm이다. 크러스트가 너무 두꺼우면 코어 층의 평균 밀도가 높아져 코어 층의 비용과 강성이 모두 증가한다. 이와 같은 코어 층(코어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mm, 전형적으로 대략 4 또는 5 mm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재) 코어 층의 상부 섹션 및/또는 하부 섹션은 코어 층의 폐쇄 셀 폼 플라스틱 재료의 다공도보다 작은 다공도를 갖는 크러스트 층을 형성하며, 여기서 각 크러스트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mm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패널은 코어 층의 바닥측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백킹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킹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요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다. 백킹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2.5 mm 사이에 있다. 백킹 층을 만들 수 있는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코르크,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있다. 폴리에틸렌 백킹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2 mm 이하이다. 백킹 층은 일반적으로 각 패널에 추가적인 견고성과 내충격성을 제공하여 패널의 내구성을 높인다. 또한, (가요성이 있는) 백킹 층은 패널의 음향(소음 감쇠)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코어 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킹 층에 부착된 복수의 개별 코어 층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층 세그먼트가 서로 힌지 가능하도록 된다. 패널의 경량 기능은 수직 벽면에 패널을 설치할 때 단단한 결합을 얻기에 유리하다. 교차하는 벽의 내부 모서리, 가구 조각, 입구 통로와 같은 외부 모서리와 같은 수직 모서리에 패널을 설치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내부 또는 외부 모서리 설치는 패널의 구부러짐 또는 접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널의 코어 층에 그루브을 형성하여 수행한다.
각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강 층은 코어와 코어에 부착된 상부 기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두 코어 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보강 층의 적용은 그 자체로 패널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패널의 음향(소음 감쇠)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보강 층은 직조 또는 부직 섬유 재료, 예를 들어 유리 섬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는 0.2 내지 0.4 mm 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패널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일반적으로 더 얇은) 코어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강 층은 인접한 두 코어 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층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kg/m3,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1.900 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1.700 kg/m3 사이에 위치한다.
각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코어의 상부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상부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장식 층을 포함한다. 상부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합금, 비닐 단량체 공중합체 및/또는 단일 중합체와 같은 고분자 물질;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에폭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같은 축합 중합체; 식물 섬유, 동물 섬유, 광물 섬유, 세라믹 섬유 및 탄소 섬유와 같은 천연 고분자 물질 또는 변형된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비닐 단량체 공중합체 및/또는 단일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및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부 기재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부 기재 층은 또한 충전제 재료와 제품의 물리적 특성 및/또는 화학적 특성 및/또는 가공성을 개선하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에는 공지의 강인화제, 가소제, 보강제, 곰팡이 방지제(소독제), 난연제 등이 포함된다. 상부 기재는 전형적으로 장식 층 및 상기 장식 층을 덮는 내마모성 마모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마모 층의 상부 표면은 상기 패널의 상부 표면이고, 마모 층은 투명한 재료여서, 장식 층은 투명한 마모 층을 통해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패널은 코어의 상부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상부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베니어 층을 포함한다. 상기 베니어 층은 바람직하게는 3보다 큰 모스 경도를 갖는다. 상기 베니어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mm이다. 상기 베니어 층은 지지 코어 및/또는 결합부 위에 놓이지 않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베니어 층은 바람직하게는 천연석, 대리석, 화강암, 슬레이트, 유리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재료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베니어 층은 모노컷투라(Monocuttura) 세라믹, 모노포로사(Monoporosa) 세라믹, 포셀린 세라믹 또는 멀티캐스팅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유형의 세라믹이다. 바람직하게는, 베니어 층은 10 N/mm2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N/mm2 초과의 파단계수를 갖는다.
상부 기재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3.5 mm,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5 mm 사이에 있다. 베이스 층 대 상부 기재의 두께 비율은 일반적으로 각각 약 1 내지 15 : 0.1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10 : 0.5 내지 3.2,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8 : 1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 : 2 내지 2.5 사이에 있다.
각각의 패널은 베이스 층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부 기재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은 상부 기재와 베이스 층을 함께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주지된 결합제 또는 바인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층은 핫멜트 결합제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상부 기재의 일부일 수 있는 장식 층 또는 디자인 층은 PVC 수지, 안정제, 가소제 및 해당 업계에 주지된 기타 첨가제의 공지의 배합물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층은 나뭇결, 금속 또는 석재 디자인 및 섬유 패턴 또는 3차원 도형과 같은 인쇄된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층은 화강암, 석재 또는 금속과 같은 무거운 제품과 유사한 3차원 외관을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디자인 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0.01 내지 0.1 mm,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0.08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0.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5 mm 사이에 있다. 전형적으로 패널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마모 층은 그 아래의 층에 코팅된 내마모성 고분자 물질 또는 공지의 세라믹 비드 코팅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내마모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모 층이 층 형태로 제공되면 그 아래의 층에 결합될 수 있다. 마모 층은 또한 유기 중합체 층 및/또는 무기 재료 층, 예컨대 자외선 코팅 또는 다른 유기 중합체 층과 자외선 코팅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표면 내스크래치성, 광택, 항균성 및 기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페인트가 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 또는 비닐 수지와 같은 다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른 유기 중합체, 및 적절한 양의 가소제 및 기타 가공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베이스 층의 상부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띠 형태의 상부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재는 동일한 평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구성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여기서, 복수의 상부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의 상부 표면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패널의 제1 에지로부터 제2 에지로 연장된다. 복수의 상부 기재 각각은 장식 층을 포함하고, 이때 인접하게 배열된 둘 이상의 상부 기판의 장식 층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외관을 갖는다. 동일한 평면에 나란히 배열되고 베이스 층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띠 형태의 상부 기재를 적용하면, 쉐브론 패널이 띠 형태의 상부 기재에 의해 정의되는 매력적인 미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시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띠 형태의 상부 기재가 아니라 이러한 패널만 결합하면 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패널은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패널 에지에는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 및/또는 제2 결합부는 가요성 재료, 반강성 재료, 및/또는 부드러운 결합과 결합 상태의 결합부 사이에 프리텐션 생성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변형을 여전히 나타내는 다소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평행사변형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도 상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지의 수가 짝수인 패널의 경우, 제1 결합부의 수는 제2 결합부의 수와 동일하다. 패널이 평행사변형 형상인 경우 두 쌍의 인접한 에지는 예각을 둘러싸고, 두 쌍의 다른 인접한 에지는 둔각을 둘러싼다. 이러한 패널은 소위 쉐브론 패턴을 만들 수 있게 한다. 예각은 전형적으로 30도 내지 60도 사이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5도이다. 둔각은 전형적으로 120도 내지 150도 사이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35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셰브론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상이한 유형의 패널(각각 A 및 B)이 사용되며, 여기서 하나의 패널 유형(A)의 결합부는 다른 하나의 패널 유형(B)의 대응하는 결합부에 대해 거울 반전 방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컬러 라벨, 기호 라벨, (미리 부착된) 상이한 컬러의 백킹 층 및/또는 텍스트 라벨과 같은 독특한 시각적 표시는 사용자가 설치 중에 여러 패널 유형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패널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각적 표시는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는 (평면도에서)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는 상향 텅의 상부측 및/또는 상향 그루브 내부 및/또는 하향 그루브 내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로 구성된 커버링이 두 개보다 더 많은 상이한 유형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상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3 결합부는: 패널의 상부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향 텅, 측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2 하향 플랭크, 및 측향 텅과 제2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제2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제4 결합부는: 인접한 패널의 제3 결합부의 측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립 및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부 립에는 상향 잠금 요소가 구비되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며,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로테이션 동작 또는 앵글링 다운 동작으로도 지칭되는 회전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결합 상태에서, 제1 패널의 측향 텅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제2 패널의 제2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상향 잠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패널의 제2 하향 그루브에 삽입된다. 제3 결합부는 로테이션 동작 또는 앵글링 다운 동작으로도 지칭되는 회전 동작에 의해 제4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1 결합부는 가위질 동작 또는 지퍼 올리기 동작으로도 지칭되는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제2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여전히 사용자 친화적인 폴드-다운 설치 기술을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결합부가 있는 개선된 패널에 있고, 여기서 별도의 연결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하기 쉬운 결합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간단한 제조의 장점, 패널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친화적인 폴드-다운 원리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 그리고 비교적 신뢰성 및 내구성이 있는 결합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겸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결합 상태가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 사이에 프리텐션이 실질적으로 없도록 구성된다. 이는 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 사이의 접촉 표면은 결합 상태에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접촉 표면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연결(결합)은, 특히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프리텐션으로 인한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 사이의 연결(결합)보다, 두 패널 사이의 이음매의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패널(들)의 평면에 평행하게 단위 에지 길이 당 더 견고한 결합으로 이어진다.
상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상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패널의 평면과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일측의 경사 부분 사이에 둘러싸인 각도는 90도 내지 45도, 특히 90도 내지 60도, 더욱 특히 90도 내지 80도 사이에 있다.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의 이러한 내향 경사는 소위 "폐쇄형 그루브" 잠금 시스템을 만들어낸다. 이 구성에서 클레임의 90도 값은 범위의 일부가 아니다. 클레임된 범위는 경사 부분과 수직 사이의 각도가 0도에서 45도 사이, 특히 0도에서 30도 사이, 특히 0도에서 10도 사이임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값으로서, 이 각도는 약 2.5도이고, 따라서 이는 경사 부분이 코어를 향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정도의 양 또는 값이다. 이러한 폐쇄형 그루브 시스템은 결합하는 동안 결합 부품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결합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장점은 경사 부분이 결합 상태에서 패널의 수직 잠금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상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으며, 패널의 평면과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일측의 경사 부분 사이에 둘러싸인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 특히 90도 내지 120도, 더욱 특히 90도 내지 100도 사이에 있다. 그 결과 소위 "개방형 그루브" 시스템이 만들어진다. 폐쇄형 그루브 시스템에 비해 이러한 개방형 그루브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결합하기 쉽지만, 일반적으로 수직 잠금 효과가 감소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상호 결합된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패널의 경량 기능은 수직 벽면에 패널을 설치할 때 확실한 결합을 얻기에 유리하다. 또한 교차하는 벽의 내부 모서리, 가구 조각, 입구 통로와 같은 외부 모서리와 같은 수직 모서리에 패널을 설치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이 문서에 사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같은 서수는 식별 목적으로 만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3 잠금 요소" 및 "제4 잠금 요소"라는 표현의 사용이 반드시 "제1 잠금 요소" 및 "제2 잠금 요소"가 공존할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타일 또는 보드로도 지칭될 수 있다. 코어 층 역시 코어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결합부 역시 결합 프로파일 또는 연결 프로파일로 지칭될 수 있다. "상보적인" 결합부는 이들 결합부가 서로 협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상보적인 결합부가 반드시 상보적인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다. "수직 방향"으로 잠그는 것은 패널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 방향"으로 잠그는 것은 두 패널의 각각의 결합된 에지에 수직이고 패널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평행하거나 그와 함께 떨어지는 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서에서 "바닥 패널" 또는 "바닥 패널"을 참조하는 경우 이러한 표현은 "패널", "벽 패널", "천장 패널", "커버링 패널"과 같은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문서와 관련하여, "발포 복합재" 및 "발포 플라스틱 재료" (또는 "폼 플라스틱 재료")라는 표현은 상호대체 가능하며, 실제로 발포 복합재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비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발포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다음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절에 제시된다.
1. 패널, 특히 바닥 패널, 천장 패널 또는 벽 패널로서,
- 상부측 및 하부측을 구비하고, 평면을 정의하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
-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로서,
제1 결합부는:
o 상향 텅,
o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o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o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향 플랭크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제2 결합부는:
o 하향 텅,
o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o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o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하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향 플랭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의 패널을 각각의 에지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프리텐션이 결합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하향 텅 및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향 텅 및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에서,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의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어 하향 텅이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되거나 상향 텅이 제2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는, 패널.
2. 패널, 특히 바닥 패널, 천장 패널 또는 벽 패널로, 바람직하게는 제1절에 따른 패널로서,
- 상부측 및 하부측을 구비하고, 평면을 정의하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
-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로서,
제1 결합부는:
o 상향 텅,
o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o 상향 텅과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향 그루브, 및
o 바람직하게는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의 원위 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는:
o 하향 텅,
o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o 하향 텅과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 및
o 인접한 패널의 제1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하향 플랭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의 패널을 각각의 에지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프리텐션이 결합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하향 텅 및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향 텅 및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에서,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의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어 하향 텅이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되거나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는, 패널.
3. 제1절 또는 제2절에 있어서, 하향 텅은 상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4. 제3절에 있어서, 하향 텅의 폭은 상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5. 제4절에 있어서, 하향 텅의 최대 폭은 상향 그루브의 최대 폭을 초과하는, 패널.
6. 제1절 내지 제5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하향 텅의 높이는 상향 그루브의 높이와 같거나 더 작은, 패널.
7. 제1절 내지 제6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상향 텅은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8. 제7절에 있어서, 상향 텅의 폭은 하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9. 제8절에 있어서, 상향 텅의 최대 폭은 하향 그루브의 최대 폭을 초과하는, 패널.
10. 제1절 내지 제9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상향 텅의 높이는 하향 그루브의 높이와 같거나 더 작은, 패널.
11. 제1절 내지 제10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제1 결합부의 하부측에는 상향 텅의 하향 구부러짐을 허용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향 그루브가 넓어져 두 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오목부가 구비되는, 패널.
12. 제11절에 있어서, 인접한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된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은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상향 그루브는 상기 제1 결합부의 비결합 상태에 비해 넓어진, 패널.
13. 제11절 또는 제12절에 있어서, 패널의 단면도에서,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패널.
14. 제1절 내지 제13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패널의 코어에 연결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향 텅은 상기 하부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에 대해 상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15. 제12절 내지 제14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오목부는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브릿지의 적어도 일부 양쪽 모두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패널.
16. 제1절 내지 제15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결합하는 동안 상향 텅이 하향으로 구부러진 다음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복귀하는, 패널.
17. 제1절 내지 제16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상향 텅의 상부측은 경사지고,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향 텅의 근위 측으로부터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의 원위 측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패널.
18. 제1절 내지 제17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제1 잠금 요소는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잠금 요소는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패널.
19. 제1절 내지 제18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하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에는, 예를 들어 오목부 또는 외향 볼록부 형태인 인접한 패널의 제4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외향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태인 제3 잠금 요소가 구비되고;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에는, 예를 들어 외향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태인 인접한 패널의 제3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오목부 또는 외향 볼록부 형태인 제4 잠금 요소가 구비되는, 패널.
20. 제19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잠금 요소 대신에, 패널은 제3 및 제4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패널.
21. 제1절 내지 제20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코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패널.
22. 제1절 내지 제21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가요성 재료 또는 반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패널.
23. 제1절 내지 제22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코어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패널.
24. 제1절 내지 제23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패널.
25. 제1절 내지 제24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가요성 재료 또는 반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패널.
26. 제1절 내지 제25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다각형 형상, 특히 정사각형 형상 및/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패널.
27. 제1절 내지 제26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지며, 두 쌍의 인접한 에지는 예각을 둘러싸고, 두 쌍의 다른 인접한 에지는 둔각을 둘러싸는 패널.
28. 제1절 내지 제27절 중 어느 한 절에 있어서, 패널은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3 결합부는:
o 코어의 상부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향 텅,
o 측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2 하향 플랭크, 및
o 측향 텅과 제2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제2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제4 결합부는:
o 인접한 패널의 제3 결합부의 측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립 및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부 립에는 상향 잠금 요소가 구비되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며,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회전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결합 상태에서, 제1 패널의 측향 텅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제2 패널의 제2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상향 잠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패널의 제2 하향 그루브에 삽입되는, 패널.
29. 제28절에 있어서,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결합 상태가 제3 결합부와 제4 결합부 사이의 프리텐션이 실질적으로 없도록 구성되는, 패널.
30. 제1절 내지 제29절 중 어느 한 절에 따른 복수의 상호 결합된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
다음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상응하는 요소는 상응하는 도면부호로 도면에 표시된다.
-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패널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 도 2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널의 선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널의 선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며,
- 도 3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패널이 각각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서 함께 결합중인 것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패널이 결합 위치에 있는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1a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패널(100)은 직사각형 상부측(102) 및 하부측(103)을 가지며 두 쌍의 대향 에지(104, 105)를 포함한다. 이로써 각각의 인접한 두 에지는 직각(106)을 둘러싼다. 제1 결합부(107)와 제2 결합부(108)는 한 쌍의 대향 에지(104) 중 상이한 에지에 각각 연결된다. 패널(100)에는 나머지 한 쌍의 대향 에지(105) 중 상이한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제3 결합부(109) 및 제4 결합부(110)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1b는 평행사변형 형상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패널(10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패널(101)은 평행사변형 형상의 상부측(102) 및 하부측(103)을 가지며 두 쌍의 대향 에지(104, 105)를 포함한다. 이로써 두 쌍의 인접한 에지는 예각(111)을 둘러싸고, 나머지 두 쌍의 인접한 에지는 둔각(112)을 둘러싼다.
도 2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널(100, 101)의 선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패널(100, 101)은 중앙에 위치한 코어(113)를 포함하며, 패널(100, 102)의 상부측(102) 및 하부측(103)을 정의한다. 패널(100, 101)의 대향 에지(104)에서 코어(113)에 연결된 것은 제1 결합부(107) 및 제2 결합부(108)이다.
제1 결합부(107)는 상향 텅(114), 상향 텅(114)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상향 플랭크(115), 및 상향 텅(114)과 상향 플랭크(115) 사이에 형성된 상향 그루브(116)를 포함한다. 상향 텅(114)의 상부측(117)은 상향 플랭크(115)를 향하는 상향 텅(114)의 근위 측(118)으로부터 상향 플랭크(115)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향 텅(114)의 원위 측(119)을 향해 하향 연장되도록 경사진다. 상향 텅(114)은 패널(100, 101)의 코어(113)에 연결된 하부 브리지(120)에 연결된다. 이로써 상향 텅(114)은 하부 브릿지(120)에 대해 상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향 텅(114)의 근위 측(118)의 일부는 상향 플랭크(115)를 향해 상향 경사진다. 상향 텅(114)의 원위 쪽(119)에서, 상향 텅(114)에는 외향 볼록부 형태를 취하는 제1 잠금 요소(121)가 추가로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역시 외향 볼록부 형태인 제4 잠금 요소(122)가 상향 플랭크(115) 상에 구비된다. 제1 결합부(107)의 하부측(123)에는 상향 텅(114)이 하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오목부(124)가 구비된다. 도시된 패널(100, 101)에서, 오목부(124)는 상향 텅(114)과 하부 브릿지(120) 양쪽 모두의 아래쪽에 구비된다.
제2 결합부(108)는 하향 텅(125), 하향 텅(125)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126) 및 하향 텅(125)과 하향 플랭크(126) 사이에 형성된 하향 그루브(127)를 포함한다. 하향 플랭크(126)를 향하는 하향 텅(125)의 근위 측(128)의 일부는 하향 플랭크(126)를 향해 하향 경사진다. 하향 플랭크(126)에는 인접한 패널(100, 101)의 제1 잠금 요소(121)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잠금 요소(129)가 추가로 구비된다. 하향 플랭크(126)의 반대쪽을 향하는 하향 텅(125)의 원위 측(130)에는 오목부 형태를 취하는 제3 잠금 요소(131)가 추가로 구비된다. 제3 잠금 요소(131)는 인접한 패널(100, 101)의 제4 잠금 요소(122)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널(100, 101)의 선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패널(100, 101)의 중앙에 위치한 코어(113)가 다시 보이며, 패널(100, 101)의 상부측(102) 및 하부측(103)을 정의한다. 패널(100, 101)의 대향 에지(105)에서 코어(113)에 연결된 것은 제3 결합부(109) 및 제4 결합부(110)이다.
제3 결합부(109)는 패널(100, 101)의 상부 측(10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향 텅(132), 측향 텅(132)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2 하향 플랭크(133), 및 측향 텅(132)과 제2 하향 플랭크(133) 사이에 형성된 제2 하향 그루브(134)를 포함한다. 제4 결합부(110)는 인접한 패널(100, 101)의 제3 결합부(109)의 측향 텅(1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그루브(13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루브(135)는 상부 립(136) 및 하부 립(137)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하부 립(137)에는 상향 잠금 요소(138)가 구비된다.
도 3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패널(100, 101)이 각각 제1 결합부(107)와 제2 결합부(108)에서 함께 결합중인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다. 제1 결합부(107)와 제2 결합부(108)의 도시된 구성으로 인해, 두 패널(100, 101)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동작은 제2 결합부(108)의 하향 텅(125)이 제1 결합부(107)의 상향 그루브(116)에 삽입되도록 하며, 이는 상향 텅(114)의 하향 구부러짐과 함께 진행되어, 그 결과 상향 그루브(116)가 넓어진다.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상향 텅(114)은 그 후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복귀할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패널(100, 101)이 결합 위치에 있는 것을 단면으로 나타내며, 이때 하향 텅(125)이 제1 결합부(107)에 의해 클랭핑되고/되거나 상향 텅(114)이 제2 결합부(108)에 의해 클램핑된다. 제1 결합부(107)와 제2 결합부(108)가 중첩 윤곽을 가지므로, 두 패널(100, 101)과 그 에지(104)를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프리텐션이 상기 결합부(107, 108) 내에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하향 텅(125)이 상향 그루브(116)에 대해 과대크기이며, 하향 텅(125)의 최대 폭(139)이 상향 그루브(116)의 최대 폭(140)을 초과한다. 추가적으로, 상향 텅(114)이 하향 그루브(127)에 대해 과대크기이며, 상향 텅(114)의 최대 폭(141)이 하향 그루브(127)의 최대 폭(142)을 초과한다. 그러나 각각의 패널(100, 101)의 상부측(102)의 동일 높이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하향 텅(125)의 높이(143)는 상향 그루브(116)의 높이(144)와 같고(또는 더 작고) 상향 텅(114)의 높이(145)는 하향 그루브(127)의 높이(146)와 같다(또는 더 작다).

Claims (30)

  1. 패널, 특히 바닥 패널, 천장 패널 또는 벽 패널로서,
    - 상부측 및 하부측을 구비하고, 평면을 정의하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
    - 상기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로서,
    상기 제1 결합부는:
    o 상향 텅,
    o 상기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및
    o 상기 상향 텅과 상기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o 상기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기 상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향 플랭크를 향해 상향 경사지고,
    상기 제2 결합부는:
    o 하향 텅,
    o 상기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및
    o 상기 하향 텅과 상기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며,
    o 상기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기 하향 텅의 근위 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향 플랭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각각의 패널을 각각의 에지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프리텐션이 결합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상기 하향 텅 및 상기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기 상향 텅 및 상기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상기 두 개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하향 텅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되거나 상기 상향 텅이 상기 제2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향 텅은 상기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2. 패널, 특히 바닥 패널, 천장 패널 또는 벽 패널로, 바람직하게는 제1항에 따른 패널로서,
    - 상부측 및 하부측을 구비하고, 평면을 정의하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
    - 상기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로서,
    상기 제1 결합부는:
    o 상향 텅,
    o 상기 상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상향 플랭크,
    o 상기 상향 텅과 상기 상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2 결합부의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향 그루브, 및
    o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기 상향 텅의 원위 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o 하향 텅,
    o 상기 하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하향 플랭크,
    o 상기 하향 텅과 상기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1 결합부의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향 그루브, 및
    o 인접한 패널의 제1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플랭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각각의 패널을 각각의 에지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프리텐션이 결합 상태에서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중첩 윤곽, 특히 상기 하향 텅 및 상기 상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 및/또는 상기 상향 텅 및 상기 하향 그루브의 중첩 윤곽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상기 두 개가 폴드-다운 동작 및/또는 수직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상기 하향 텅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상향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하향 텅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고/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결합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향 텅은 상기 하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텅은 상기 상향 그루브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텅의 폭은 상기 상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텅의 최대 폭은 상기 상향 그루브의 최대 폭을 초과하는, 패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텅의 높이는 상기 상향 그루브의 높이와 같거나 더 작은, 패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텅은 상기 하향 그루브에 대해 적어도 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과대크기인, 패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텅의 폭은 상기 하향 그루브의 폭에 대해 과대크기인,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텅의 최대 폭은 상기 하향 그루브의 최대 폭을 초과하는, 패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텅의 높이는 상기 하향 그루브의 높이와 같거나 더 작은, 패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측에는 상기 상향 텅의 하향 구부러짐을 허용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그루브가 넓어져 두 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오목부가 구비되는,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인접한 패널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결합된 제1 결합부의 상기 상향 텅은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상향 그루브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상기 비결합 상태에 비해 넓어진, 패널.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단면도에서, 상기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패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패널의 상기 코어에 연결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텅은 상기 하부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에 대해 상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상향 텅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부 브릿지의 적어도 일부 양쪽 모두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패널.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하는 동안 상기 상향 텅이 하향으로 구부러진 다음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복귀하는, 패널.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텅의 상부측은 경사지고, 상기 상향 플랭크를 향하는 상기 상향 텅의 상기 근위 측으로부터 상기 상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기 상향 텅의 원위 측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패널.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요소는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요소는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패널.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플랭크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기 하향 텅의 일측의 일부에는, 예를 들어 오목부 또는 외향 볼록부 형태인 인접한 패널의 제4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외향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태인 제3 잠금 요소가 구비되고; 상기 상향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에는, 예를 들어 외향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태인 인접한 패널의 상기 제3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오목부 또는 외향 볼록부 형태인 제4 잠금 요소가 구비되는,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요소 대신에, 상기 패널은 상기 제3 및 제4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패널.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코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패널.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가요성 재료 또는 반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패널.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패널.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패널.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가요성 재료 또는 반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패널.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각형 형상, 특히 정사각형 형상 및/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패널.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지며, 두 쌍의 인접한 에지는 예각을 둘러싸고, 두 쌍의 다른 인접한 에지는 둔각을 둘러싸는 패널.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코어의 대향 에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결합부는:
    o 상기 코어의 상부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향 텅,
    o 상기 측향 텅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2 하향 플랭크, 및
    o 상기 측향 텅과 상기 제2 하향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제2 하향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결합부는:
    o 인접한 패널의 상기 제3 결합부의 상기 측향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립 및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부 립에는 상향 잠금 요소가 구비되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결합부 및 상기 제4 결합부는 이러한 패널 중 두 개가 회전 동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결합 상태에서, 제1 패널의 상기 측향 텅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제2 패널의 상기 제2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상향 잠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2 하향 그루브에 삽입되는, 패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 및 상기 제4 결합부는 결합 상태가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제4 결합부 사이의 프리텐션이 실질적으로 없도록 구성되는, 패널.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상호 결합된 패널을 포함하는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
KR1020217015858A 2018-10-26 2019-09-30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및 패널 커버링 KR20210078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1886A NL2021886B1 (en) 2018-10-26 2018-10-26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and panel covering
NL2021886 2018-10-26
PCT/EP2019/076442 WO2020083615A1 (en) 2018-10-26 2019-09-30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and panel cov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550A true KR20210078550A (ko) 2021-06-28

Family

ID=6460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858A KR20210078550A (ko) 2018-10-26 2019-09-30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및 패널 커버링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2) US11702848B2 (ko)
EP (2) EP3870775B1 (ko)
JP (1) JP7434310B2 (ko)
KR (1) KR20210078550A (ko)
CN (2) CN115928981A (ko)
AU (1) AU2019367123A1 (ko)
BR (1) BR112021007778A2 (ko)
CA (1) CA3116621A1 (ko)
CL (1) CL2021001056A1 (ko)
CO (1) CO2021006902A2 (ko)
EA (1) EA202191118A1 (ko)
ES (1) ES2930767T3 (ko)
HR (1) HRP20221426T1 (ko)
HU (1) HUE060317T2 (ko)
MA (1) MA53962A (ko)
MX (1) MX2021004764A (ko)
NL (1) NL2021886B1 (ko)
PL (1) PL3870775T3 (ko)
PT (1) PT3870775T (ko)
TW (1) TWI797391B (ko)
UA (1) UA127998C2 (ko)
WO (1) WO2020083615A1 (ko)
ZA (1) ZA2021024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0256B1 (en) * 2018-01-09 2019-07-1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NL2020972B1 (en) * 2018-05-23 2019-12-02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NL2021884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JP7291794B2 (ja) * 2019-01-30 2023-06-15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パネルおよびそれを含むカバー材
CN114514356A (zh) * 2019-09-25 2022-05-17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具有锁定装置的面板
ES2956313T3 (es) * 2019-11-07 2023-12-19 Lignum Tech Ag Paneles con un labio saliente desmontable para revestimientos de paredes, techos o suelos
NL2028616B1 (en) * 2021-07-02 2023-01-10 I4F Licensing Nv Wall panel for forming a wall covering with multiple panels
US11814838B2 (en) * 2021-07-02 2023-11-14 I4F Licensing Nv Wall panel for forming a wall covering with multiple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3505B4 (de) * 2001-01-26 2008-06-26 Pergo (Europe) Ab Boden- oder Wandpaneel
AU2003296680A1 (en) * 2003-01-08 2004-08-10 Flooring Industries Ltd. Floor panel, its lay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0566083B1 (ko) * 2003-08-07 2006-03-30 주식회사 한솔홈데코 조립식 바닥재
CA2581021C (en) * 2004-09-17 2012-10-23 Hdm Gmbh Panel, in particular floor panel
DE102005028072B4 (de) * 2005-06-16 2010-12-30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Fußbodenpaneel
KR100947849B1 (ko) * 2008-11-11 2010-03-18 동화자연마루(주)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US8365499B2 (en) * 2009-09-04 2013-02-05 Va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DE102010063976B4 (de) * 2010-12-22 2013-01-17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CN102155083B (zh) * 2011-01-29 2014-07-23 刘谦益 一种地板连接结构
PL2686502T3 (pl) * 2011-03-18 2020-03-31 Välinge Innovation AB System złącza pionowego i powiązany system przykrywający powierzchnię
US8806832B2 (en) * 2011-03-18 2014-08-19 Inotec Global Limited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AU2012284623C1 (en) * 2011-07-19 2017-07-06 Ceraloc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PL3238899T3 (pl) * 2012-06-19 2020-12-28 Välinge Innovation AB Mechaniczny układ blokowania paneli podłogowych
WO2015130160A1 (en) 2014-02-26 2015-09-03 Innovations 4 Flooring Holding N.V.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FR3024990B1 (fr) * 2014-08-25 2018-11-16 Gerflor Panneau de sol pour la realisation d'un revetement.
PL3186459T3 (pl) * 2014-08-29 2019-11-29 Vaelinge Innovation Ab Układ pionowego złącza dla panelu pokrywającego powierzchnię
EP3198089B1 (en) * 2014-09-26 2021-03-31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panel.
US10428535B2 (en) * 2015-01-15 2019-10-01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BE1023542B1 (nl) * 2015-10-27 2017-04-28 Unilin Bvba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BE1023779B1 (nl) * 2015-12-31 2017-07-24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Vloerpaneel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CN105507549A (zh) * 2016-01-14 2016-04-20 湖州南浔森可优木制品加工厂 一种地热地板锁扣
MX2019003403A (es) * 2016-09-30 2019-05-30 Vaelinge Innovation Ab Conjunto de paneles armados mediante desplazamiento vertical y asegurados unos con otros en la direccion vertical y horizontal.
CN106836726A (zh) * 2017-02-17 2017-06-13 南京久扬木业有限公司 一种锁扣多层实木复合地板及其制备方法
NL2018970B1 (en) * 2017-05-23 2018-12-04 Innovations 4 Flooring Holding Nv Multi-purpose tile system
NL2020256B1 (en) * 2018-01-09 2019-07-1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SE542839C2 (en) * 2018-05-04 2020-07-14 Vilox Ab Joining system for floor panels with improved lock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221426T1 (hr) 2023-01-06
US11702848B2 (en) 2023-07-18
US20230304302A1 (en) 2023-09-28
EP3870775B1 (en) 2022-11-02
TW202030407A (zh) 2020-08-16
CN112930426B (zh) 2023-02-17
CO2021006902A2 (es) 2021-09-20
MX2021004764A (es) 2021-06-08
MA53962A (fr) 2021-09-01
JP2022505777A (ja) 2022-01-14
CA3116621A1 (en) 2020-04-30
ZA202102462B (en) 2022-07-27
PL3870775T3 (pl) 2023-01-09
TWI797391B (zh) 2023-04-01
CL2021001056A1 (es) 2021-10-01
NL2021886B1 (en) 2020-05-13
UA127998C2 (uk) 2024-03-06
BR112021007778A2 (pt) 2021-07-27
JP7434310B2 (ja) 2024-02-20
EP4144935A1 (en) 2023-03-08
ES2930767T3 (es) 2022-12-21
US20210404189A1 (en) 2021-12-30
EP3870775A1 (en) 2021-09-01
CN115928981A (zh) 2023-04-07
WO2020083615A1 (en) 2020-04-30
EA202191118A1 (ru) 2021-07-12
PT3870775T (pt) 2022-11-28
AU2019367123A1 (en) 2021-05-27
HUE060317T2 (hu) 2023-02-28
CN112930426A (zh)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1683B (zh) 多用途磚瓦系統、磚瓦覆蓋物、磚瓦及安裝磚瓦系統的方法
US11773602B2 (en) Multi-purpose tile system
KR20210078550A (ko)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및 패널 커버링
KR102649955B1 (ko)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TW202314090A (zh) 多用途瓷磚系統、瓷磚覆蓋物及瓷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