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159A - 커넥터, 보조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커넥터, 보조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159A
KR20210076159A KR1020217017536A KR20217017536A KR20210076159A KR 20210076159 A KR20210076159 A KR 20210076159A KR 1020217017536 A KR1020217017536 A KR 1020217017536A KR 20217017536 A KR20217017536 A KR 20217017536A KR 20210076159 A KR20210076159 A KR 2021007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necting member
connector
wearable device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545B1 (ko
Inventor
창 쑨
하이쟈오 차이
신펑 펑
지 저우
Original Assignee
넥스트브이피유 (상하이) 코포레이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532150.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801114U/zh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브이피유 (상하이) 코포레이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넥스트브이피유 (상하이) 코포레이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01F7/0263Closures, bags, bands, engagement devices with male and female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커넥터(100), 보조 장치(200), 웨어러블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100)는 제1 자기 연결부재(100)와 자기 흡착에 의해 제1 자기 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00)를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유연하게 보조 장치(200)를 웨어러블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보조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세트
본 개시는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의류 또는 착용부품과 일체화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말한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안경, 헬멧, 시계, 팔찌, 이어폰 등이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구현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지능형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의류 또는 착용부품에 일체화될 수 있는 유형(일체형이라 간단히 지칭) 및 부품의 형태로 스마트형 기능을 구현하는 부품을 의류 또는 착용부품에 부착하는 유형(조립형으로 간단히 지칭)으로 나눌 수 있다. 일체형은 성능, 외관, 사용자 경험 등 측면의 장점을 가지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원가가 높다. 조립형은 성능, 외관, 사용자 경험 등 측면은 일체형보다 좋지 않으나,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원가가 비교적 낮다.
조립형의 경우, 현재 가장 흔한 형태는 일반적인 안경테(즉 지능형 기능이 없는 안경테)에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리더와 같은 소형 보조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다. 소형 보조 장치는 예를 들면 자석을 통해 안경테에 장착된 커넥터에 흡착시킬 수 있다. 자기 흡착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자기력이 필요하므로, 보조 장치와 커넥터의 부피와 중량도 이에 따라 비교적 커져, 사용자의 사용 경험에 영향을 준다. 특히 사용자가 어떤 운동을 할 경우, 보조 장치는 운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진동으로 인해 떨어지기 쉽다.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은 반드시 이전에 이미 구상되거나 사용된 방법만은 아니다. 별도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여기서 설명되는 모든 방법은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종래 기술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유사하게, 별도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여기서 언급한 문제가 모든 종래 기술에서 공인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 장치는 예를 들면 지능형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리더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안경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보조 장치가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안정되게 연결되도록 하여, 진동 환경(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하는 동안)에서 보조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떨어지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는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한 커넥터를 제공하며, 상기 커넥터는 제1 자기 연결부재; 자기 흡착에 의해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자기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서로 흡착 연결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와의 형상 매칭을 통해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자기 흡착되는 방향과 서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자기 흡착되는 방향과 서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자기 흡착에 의해 연결된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제2 자기 연결부재 사이의 유효 자기 흡착 면적이 감소되는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보조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은 중력 방향을 포함하고, 착용자의 격렬한 운동으로 인한 보조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분리를 줄일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와의 형상 매칭을 통해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제1 거리로 이동하는 것만을 허용한다. 따라서, 자기 흡착 연결된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제2 자기 연결부재 사이의 유효 자기 흡착 면적이 항상 가장 크도록 보장하여, 보조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는 위험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커넥터는 자기 흡착 연결된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제2 자기 연결부재 사이의 유효 자기 흡착 면적이 감소되는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작고, 더욱 가볍고 얇은 자기 부품을 사용할 수 있어, 커넥터의 중량과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테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의 경우, 중량 및/또는 두께를 줄여 심미성 및 착용자의 편안함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 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 턱을 수용할 수 있는 걸림 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 내에서 자기 흡착의 방향과 평행인 방향에서 상기 제1 거리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클램핑 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형상 매칭 방식으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상기 오목부에 진입하는 깊이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에 가까운 측부에 챔퍼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챔퍼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챔퍼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상기 커넥터의 자기 흡착상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특히 안경테의 경우, 중량과 두께의 감소는 심미성과 착용자의 편안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핀을 수용하는 돌출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핀이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핀 수용부에 진입하는 깊이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극성이 반대인 적어도 한 쌍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이격 설치된 적어도 두 쌍의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걸림부재는 상기 보조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장치와 일체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제1 자기 연결부재와 걸림부재는 단독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접착제, 패스너 등을 통해 보조 장치에 연결되며, 또는 제1 자기 연결부재와 걸림부재는 보조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분이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보조 장치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일체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접착제, 패스너 등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일부분이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 홈은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면과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룬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구조는 보조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유효 영역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어, 시야각의 이용률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경사 각도는 10도 내지 20도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15도이다. 예를 들면, 보조 장치가 안경테의 다리에 대해 아래로 15도 경사질 경우, 이미지 유효 영역은 20% 증가한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보조 장치를 구매하여, 상기 보조 장치를 각 웨어러블 장치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보조 장치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룬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를 구매한 후, e-리더, 스마트 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종방향 축선과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룬다.
본 개시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 세트를 제공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 세트는 보조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안경테이고, 상기 보조 장치는 e-리더이다.
상기 제4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를 서로 흡착 연결하여 상기 보조 장치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할 경우, 상기 보조 장치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연결된 부분은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4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은 상기 보조 장치의 종방향 축선과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4 측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룬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통해,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의 일 예시인 안경테에 연결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보조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제1 자기 연결부재의 영구 자석은 생략하였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제1 자기 연결부재는 걸림부재 및 보조 장치의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고, 제1 자기 연결부재에 이격 설치되고 극성이 반대인 2개의 영구 자석을 나타낸다.
도 6은 제2 자기 연결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제2 자기 연결부재에 이격 설치되고 극성이 반대인 2개의 영구 자석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제1 자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영구자석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며, 챔퍼를 자세히 나타낸다.
도 9는 도 2의 제1 자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돌출핀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걸림부재를 생략한 점에서만 제1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통해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의 일 예시인 안경테에 연결하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보조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7은 각각 본 개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자기 연결부재의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자기 연결부재가 도 17의 A-A에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제4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걸림부재를 생략한 점에서만 제3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르다.
첨부된 도면은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여, 명세서의 문자 설명과 함께 실시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다양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이러한 요소들의 위치적 관계, 타이밍 관계 또는 중요성 관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요소와 다른 하나의 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예시에서, 제1 요소와 제2 요소는 해당 요소의 동일한 예시를 가리킬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문맥에 기반하면, 이들은 서로 다른 예시를 가리킬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예시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문맥상 별도의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요소의 수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 해당 요소는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 있다. 그밖에,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가능한 조합 방식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문에서는 일반적인 안경테를 웨어러블 장치로 사용하고 스마트 카메라/e-리더를 보조 장치로 사용하여 배경기술과 웨어러블 장치에 보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는 또한 스마트 안경테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고, 보조 장치도 스마트 기능이 없는 부품일 수 있다. 결합 사용(또는 결합 사용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할 수 있고 또한 반복 사용을 위해 장착 및 분리해야 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보조 장치라면, 모두 본 개시의 커넥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를 설명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는 보조 장치(200)를 탈착 가능하게 웨어러블 장치의 일 예시인 안경테(300)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100)는 제1 자기 연결부재(110), 걸림부재(120)와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연결부재(110), 걸림부재(120)와 보조 장치(2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즉 제1 자기 연결부재(110), 걸림부재(120)는 보조 장치(200)의 하우징(210)의 일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300)의 다리(310)는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U형 홈(131, 클램핑 홈) 내에 클램핑되고, 상기 다리(310)는 U형 홈(131)내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고정 수단(예를 들면 접착제, 나사 등)없이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안경테(300)의 다리에 고정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은, 다른 바람직한 방식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안경테(300)의 다리에 접합하거나 또는 다리(310)에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직접 사출 성형한다. 또한,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또한 안경테(300)의 다른 부분에 고정되거나 또는 다른 부분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은, 본 개시의 제1 자기 연결부재(110), 걸림부재(120)는 또한 보조 장치(200)와 일체로 성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착제 및 각종 패스너에 의해 보조 장치(200)의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기 연결부재(110)에는 이격 설치되고 극성이 반대인 한 쌍의 영구 자석(111, 112, 영구 자석(111)은 S극 자석이고, 영구 자석(112)은 N극 자석임)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자기 연결부재(130)에 대응하여 이격 설치된 극성이 반대인 한 쌍의 영구 자석(130a, 130b, 도 6 참고)과 흡착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격 설치되고 극성이 반대인 영구 자석에 의해, 충분한 자기 흡착력이 보장되면서, 보조 장치가 자기 흡착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제2 자기 연결부재(130)에 각각 한 쌍의 동일한 극성을 제공하는(예를 들면 제1 자기 연결부재(110)는 2개의 S극 자석을 구비하고,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2개의 N극 자석을 구비함) 경우에 비해, 보조 장치(200)가 잘못된 방향으로 안경테(300)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자기 연결부재(110)는 하나의 S극 자석과 하나의 N극 자석을 구비하고, 또한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대응되는 하나의 N극 자석과 하나의 S극 자석을 구비하므로, 제1 자기 연결부재(110)를 구비한 보조 장치(200)가 정확한 방향으로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가진 안경테(300)에 장착될 경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S극 자석은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N극 자석에 흡착되고,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N극 자석은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S극 자석에 흡착되지만, 제1 자기 연결부재(110)를 구비한 보조 장치(200)가 잘못된 방향(예를 들면 보조 장치는 180도 회전한다)으로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구비한 안경테(300)에 장착될 경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S극 자석은 제2 자석 연결부재(130)의 S극 자석에 마주하고,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N극 자석은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N극 자석에 자기 흡착되고, 이를 통해 제1 자기 연결부재(110)는 제2 자기 연결부재(130)와 서로 배척되므로, 설치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지능형 카메라, e-리더 등 보조 장치의 경우, 장착 방향이 잘못되면 정상 작동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장착 방향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장착 방향이 잘못된 것을 발견한 경우, 감지 가능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은 시각 장애인에게 매우 유익하다.
이해해야 할 점은,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또한 각자 하나의 영구자석(예를 들면 비원형의 영구자석)만이 설치되거나, 또는 한쌍 이상의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20)는 버클 형태이며, 기본적으로 보조 장치(200)의 하우징(210)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부(121)와 기본적으로 제1 걸림부(121)에 수직이고 제1 자기 연결부재(110) 상방의 일정 거리 위치에서 연장되는 제2 클램핑부(122, 걸림 턱)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부(122)와 하우징(210)사이에 제1 걸림 홈(123)을 형성한다. 대응되게,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제2 걸림 홈(13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 홈(132)은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되는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표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이를 통해 제3 클램핑부(133)을 형성한다.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120)의 제2 걸림부(122)는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제2 걸림 홈(132)에 삽입된다.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제3 걸림부(133)는 상기 제1 걸림 홈(123)에 삽입된다. 걸림부재(120)의 제2 걸림부(122)와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제2 걸림 홈(132)의 형상 및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형상 매칭을 통해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10)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서로 자기 흡착의 방향과 서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제한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서로 자기 흡착의 방향과 수직인 모든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제한하고, 또한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자기 흡착력에 저항하여 자기 흡착의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을 따라 제1 거리(d1)로 이동하는 것만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리(d1)를 최대한 작게 하여, 커넥터(100) 조립 후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거리(d1)는 0.5 내지 5mm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서로 자기 흡착하는 방향과 수직인 모든 방향 상에서의 이동을 방지 또는 제한하므로, 제1 자기 연결부재(11)와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영구 자석은 항상 마주하므로, 유효 자기 흡착면적을 항상 최대화되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영구 자석의 부피, 두께를 적절히 감소시켜 영구 자석의 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은,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심미성과 착용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중량과 두께를 줄이기를 바란다. 본 개시의 상기 기술 방안을 통해, 커넥터의 전체 두께 및 중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종래 기술보다 유익한 기술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기 연결부재(110)는 보조 장치(200)의 하우징(2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대응되게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되는 표면에 오목부를 구비하여, 형상 매칭의 방식으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돌출부를 수용하므로, 더욱 안정된 연결을 구현한다.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용이한 분석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돌출부는 자기 흡착 방향을 따라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오목부에 진입하는 깊이(d2)는 상기 제1 거리(d1)보다 작게 한다. 따라서,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자기 흡착력에 저항하여 자기 흡착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의 거리가 상기 깊이(d2, 제1 거리(d1) 미만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자기 흡착에 기본적으로 수직하고, 또한 제1 걸림부(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4,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보조 장치(200)의 하우징(2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재(120)에 가까운 일측에 챔퍼(113)를 구비한다. 챔퍼(113)를 설치함으로써,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분리될 경우, 제2 자기 연결부재(130)가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제1 자기 연결부재(1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또한 자기 흡착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걸림부(121)에서 멀어지면서 이동한다(즉 도 8의 쌍 화살표를 따라 이동). 이러한 챔퍼(11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거리(d1)는 상기 깊이(d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챔퍼(113)의 경사도와 제2 걸림부(122)가 제2 걸림 홈(132)에 진입하는 깊이를 설정함으로써, 연결의 안정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거리(d1)의 크기를 감소시키므로, 제1 걸림부(121)가 기본적으로 보조 장치(200)의 하우징(210)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크기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커넥터의 조립 후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심미성과 착용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중량과 두께를 줄이기를 바란다. 본 개시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커넥터의 전체 두께 및 중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종래 기술보다 유익한 기술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바람직한 방식으로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돌출핀(114, 도면에는 2개의 돌출핀(114)으로 도시)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돌출핀(114)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에 대응 설치된 돌출핀 수용부(134)에 수용되어(도 9에 도시), 연결 및 위치 고정의 안정성을 추가로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점은, 상기 돌출핀(114)이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돌출핀 수용부(134)에 진입하는 깊이 또한 상기 제1 거리(d1)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돌출부가 상기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오목부에 진입하는 깊이보다 작거나 같다.
본 개시의 커넥터(100)의 사용 방식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방식을 제한해서는 안되며, 즉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걸림부재(120)는 보조 장치(200)와 일체로 성형되고,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안경테(300)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100)는 장착이 필요한 보조 장치(200) 및 안경테(300)와 별도로 판매될 수 있고, 소비자가 커넥터(100)를 구매한 후 접착제, 패스너(예를 들면 나사, 볼트 등)을 통해 제1 자기 연결부재(110)와 걸림부재(120)를 보조 장치(200)와 안경테(300)중 하나에 고정하고,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보조 장치(200)와 안경테(300)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함으로써, 유연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보조 장치(200)와 안경테(300)를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보조 장치(200)가 잘못된 방향으로 안경테(300)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100)의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또한 웨어러블 장치(예를 들면 안경테(3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예를 들면 안경테(300))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해해야 할 점은, 본 개시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또한 걸림부재(12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하였고, 걸림부재(120)를 생략한 점에서만 제1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르다. 도 10에 도시된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타 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바람직한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를 설명하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0)는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의 가능한 예시인 안경테(3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11 내지 도 18에서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2 자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보조 장치(200)가 상기 안경테(300)의 다리에 대해 아래로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설정된 것이며(도 11 참고), 즉, 보조 장치(200)의 종방향 축선(A1)이 안경테(300)의 다리의 종방향 축선(B1)에 대해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한다. 이처럼 아래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은 특히 리딩 장면에 적용되며, "시선"이 진행 방향과 평행해야 하는 걷는 장면과 다르며, 리딩 장면에서, "시선"이 안경테(300)의 다리에 대해 아래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더욱 좋은 사용 경험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소정의 경사 각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면 안경테(300)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보조 장치(200)가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유효 영역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보조 장치(200)의 종방향 축선(A1)은 안경테(300)의 다리의 종방향 축선(B1)사이에 10도 내지 20도의 소정의 경사 각도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경사 각도는 14도, 15도, 16도 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200)를 상기 안경테(300)의 다리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하기 위해(도 11 참고), 본 개시에 따르면,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U형 홈(131)은 2개의 측면(131a, 131b)과 상기 2개의 측면(131a, 131b)에 연결된 연결면(131c)에 의해 한정되고,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U형 홈(131)이 상기 안경테(300)의 다리를 수용하면, 상기 연결면(131c)은 안경테(300)의 다리의 상부면에 맞닿는다. 상기 연결면(131c)을 보조 장치(200)의 종방향 축선(A1)과 평행한 제2 자기 연결부재(130)의 종방향 축선(C1)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도 18 참고), 보조 장치(200)는 안경테(300)에 장착된 후 안경테(300)의 다리에 대해 경사지게 된다.
현재 이미 알고 있는 카메라를 구비한 보조 장치는 장착 후 안경테의 다리와 평행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인식해야 하는 물체(예를 들면 저널 또는 다른 이미지 콘텐츠)는 안경의 높이 위치보다 약간 높거나 낮다. 보조 장치의 카메라의 시야각은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상기 보조 장치가 안경테의 다리와 평행하게 장착될 경우, 안경테 상방의 식별 영역은 의미가 없으며, 낭비이며, 즉 이미지 인식시, 보조 장치의 카메라의 시야각의 이용률이 높지 않다. 반면, 본 개시의 상기 실시방식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안경테의 다리에 대해 아래를 향해 소정의 경사 각도로 경사지므로, 안경테가 수평 상태일 경우, 보조 장치의 카메라의 시야각 영역을 전체적으로 아래로 이동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이때 보조 장치가 인식하는 이미지 유효 영역을 현저히 증가시키므로, 시야각의 이용률을 크게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보조 장치가 안경테의 다리에 대해 아래로 15도 경사질 경우, 이미지 유효 영역은 20% 증가한다.
이해해야 할 점은, 걸림부재(120)의 형상 및 걸림부재(120)와 매칭되는 제2 걸림 홈(132)의 형상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0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20)의 형상 및 걸림부재(120)와 매칭되는 제2 걸림 홈(120)의 형상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130)에 대해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형성한다. 예시로서, 상기 제1 각도는 안경테(300)의 다리와 거의 평행인 상기 보조 장치(200)에 대응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음), 예를 들면 도보와 같은 "정시(平)의 장면에 적용된다. 상기 제2 각도는 안경테(300)의 다리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기 보조 장치(200)에 대응될 수 있고(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음), 예를 들면 리딩 등과 같이 "시선"이 아래로 경사진 장면에 적용된다.
추가로 이해해야 할 점은, 상기 보조 장치(200)가 안경테(300)의 다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기 위해, 상기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방식 이외에, 본 개시에 따르면, 또한 제1 자기 연결부재(110)를 제1 자기 연결부재(110)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보조 장치(200)의 종방향 축선을 소정의 경사 각도로 설정하거나 또는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다른 방식으로 안경테(300)의 다리와 소정의 경사 각도로 설치하고, 상기 다른 방식은 안경테(300)의 다리에 경사 돌기부(다리는 U형 홈(131)에 수용)를 설치하고, 제2 자기 연결부재(130)를 안경테(300)의 다리에 소정의 경사 각도로 직접 사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점은, 본 개시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또한 걸림부재(12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하였고, 제3 바람직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단지 걸림부재(120)를 생략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타 구조는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제3 바람직한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 또는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법, 시스템 및 장치는 단지 예시적 실시예 또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등록된 청구범위 및 그 동등한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의 각종 요소는 생략되거나 또는 그 동등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그밖에, 본 개시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예 또는 예시의 다양한 요소를 조합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여기서 설명한 많은 요소들은 본 개시 후에 나타나는 동등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Claims (26)

  1. 보조 장치를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1 자기 연결부재; 및
    자기 흡착에 의해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자기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서로 흡착 연결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와의 형상 매칭을 통해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자기 흡착되는 방향과 서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와의 형상 매칭을 통해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제1 거리로 이동하는 것만을 허용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 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 턱을 수용할 수 있는 걸림 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걸림 홈 내에서 자기 흡착의 방향과 평행인 방향에서 상기 제1 거리로 이동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클램핑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형상 매칭 방식으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상기 오목부에 진입하는 깊이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에 가까운 측부에 챔퍼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챔퍼를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자기 흡착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핀을 수용하는 돌출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핀이 자기 흡착의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핀 수용부에 진입하는 깊이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극성이 반대인 적어도 한 쌍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걸림부재는 상기 보조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장치와 일체로 성형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보조 장치와 일체로 성형되는,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일체로 성형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일체로 성형되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에 대해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자기 위치에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형성하는, 커넥터.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홈은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면과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경사 각도는 10도 내지 20도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15도인, 커넥터.
  18.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보조 장치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보조 장치.
  20.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웨어러블 장치.
  22. 보조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세트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세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안경테이고, 상기 보조 장치는 e-리더인, 웨어러블 장치 세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를 서로 흡착 연결하여 상기 보조 장치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할 경우, 상기 보조 장치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제2 자기 연결부재가 연결된 부분은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는, 웨어러블 장치 세트.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보조 장치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웨어러블 장치 세트.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종방향 축선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웨어러블 장치 세트.
KR1020217017536A 2019-04-18 2020-02-12 커넥터, 보조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세트 KR102375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532150.5 2019-04-18
CN201920532150.5U CN209801114U (zh) 2019-04-18 2019-04-18 连接件、辅助设备、可穿戴设备和可穿戴设备套件
PCT/CN2020/074807 WO2020211514A1 (zh) 2019-04-18 2020-02-12 连接件、辅助设备、可穿戴设备和可穿戴设备套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159A true KR20210076159A (ko) 2021-06-23
KR102375545B1 KR102375545B1 (ko) 2022-03-16

Family

ID=7283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536A KR102375545B1 (ko) 2019-04-18 2020-02-12 커넥터, 보조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89933B2 (ko)
KR (1) KR1023755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820A (ja) * 2005-05-24 2008-11-27 バリベル・ビー.ブイ. 眼鏡テンプルへ補聴器のイヤピースを接続する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5515638A (ja) * 2012-02-17 2015-05-28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鏡類に電子デバイスを取り外し可能に連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61015A1 (en) * 2014-03-14 2015-09-17 Lg Electronics Inc. Clip type display module and glass typ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60371219A1 (en) * 2015-06-18 2016-12-22 Vufine Inc. Eyeglass docking station for a wearable display device
JP2017524159A (ja) * 2014-08-03 2017-08-24 ポゴテック インク ウェアラブル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又は他の電子デバイスをウェアラブル物品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2741A1 (en) 1992-11-13 1994-05-14 Jerald W. Anderson Interlocking module system
JP5126682B2 (ja) 2008-12-10 2013-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GB0912608D0 (en) 2009-07-21 2009-08-26 Tech Specs Ltd Apparatus for attaching to spectacles
US8608502B2 (en) 2012-05-08 2013-12-17 Otter Products, Llc Connection mechanism
US20160003270A1 (en) 2013-03-15 2016-01-07 L. Christopher Franklin Mounting apparatus
US10339406B2 (en) 2013-03-15 2019-07-02 Orcam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ackground change to determine context
US20140347736A1 (en) 2013-05-23 2014-11-27 Omnivis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A Near-Eye Display Device
CN104216139A (zh) 2013-05-30 2014-12-17 许振宇 一种用于传统眼镜与多媒体附件连接用的夹片
US20160150861A1 (en) 2014-12-02 2016-06-02 Aevoe International Ltd. Mountable case assembly
US9397719B1 (en) 2015-06-17 2016-07-19 Airo Collective, Inc. Mobile device holder
JP2017114470A (ja) 2015-08-27 2017-06-29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車両の製造方法
JP6407824B2 (ja) 2015-09-01 2018-10-17 株式会社東芝 メガネ型ウエアラブル端末およびこの端末を用いる方法
CN113382150B (zh) 2015-10-30 2023-05-19 佳能株式会社 电子装置和照相机模块
CN205480085U (zh) 2016-01-29 2016-08-17 欧斯科技股份有限公司 支撑架夹持装置
CN205430410U (zh) 2016-03-15 2016-08-03 福州金泽屹电子有限公司 一种监控摄像头
WO2017223042A1 (en) 2016-06-20 2017-12-28 PogoTec, Inc. Image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CN208369798U (zh) 2018-05-28 2019-01-11 江门市魔音高科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可拆装磁铁的麦克风发射机
CN108600558B (zh) 2018-07-18 2024-02-02 北京零矩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配件的固定装置和移动终端配件
CN209801114U (zh) 2019-04-18 2019-12-17 上海肇观电子科技有限公司 连接件、辅助设备、可穿戴设备和可穿戴设备套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820A (ja) * 2005-05-24 2008-11-27 バリベル・ビー.ブイ. 眼鏡テンプルへ補聴器のイヤピースを接続する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5515638A (ja) * 2012-02-17 2015-05-28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鏡類に電子デバイスを取り外し可能に連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61015A1 (en) * 2014-03-14 2015-09-17 Lg Electronics Inc. Clip type display module and glass typ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17524159A (ja) * 2014-08-03 2017-08-24 ポゴテック インク ウェアラブル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又は他の電子デバイスをウェアラブル物品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60371219A1 (en) * 2015-06-18 2016-12-22 Vufine Inc. Eyeglass docking station for a wear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89933B2 (en) 2021-04-27
KR102375545B1 (ko) 2022-03-16
US20200333634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4197B2 (ja) コネクタ、補助デバイス、着用可能デバイス、および着用可能デバイスキット
CN204331191U (zh) 眼镜和双重附接构件
EP1969418B1 (en) Screwless magnetic eyewear
US8292427B2 (en) Screwless magnetic eyewear
JP6851099B2 (ja) コネクタ、補助デバイス、および着用可能デバイス
US6786593B2 (en) Removable lens frame mounted to an eyewear platform
US6217170B1 (en) Magnetic coupling system for securing a temple to an eyeglass hinge
US6702439B1 (en) Clip on eyeware with spring hinge
US7390086B2 (en) Clip on eyeware with insertable member
US20030086052A1 (en) Removable lens frame mounted to an eyewear platform
US20070258037A1 (en) Auxiliary and Primary Eyewear with Easy Release Snap Connection
CN111880307B (zh) 穿戴式装置及其转轴模块
US7458680B1 (en) Eyeglasses
CN210199412U (zh) 可穿戴装置及其连接件、辅助装置和组件
KR102375545B1 (ko) 커넥터, 보조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세트
US20150146158A1 (en) Structure of eyeglasses
US7244022B2 (en) Clip on eyeware with spring hinge
US10795185B1 (en) Connector, assistive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11112059B2 (e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an assistiv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KR20170116651A (ko) 웨어러블 카메라를 지지하는 클립장치
US7175272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US20050052611A1 (en) Connection system for securing sunglasses to eyeglasses
KR20180001398U (ko) 한 쌍의 보조 안경을 고착하기 위한 자기적으로 장착된 커넥터
CN211263992U (zh) 一种主架不使用磁铁的外挂式套镜
WO2003100475A2 (en) Clip on eyeware with spring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