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660A - 내진용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내진용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660A
KR20210075660A KR1020190167002A KR20190167002A KR20210075660A KR 20210075660 A KR20210075660 A KR 20210075660A KR 1020190167002 A KR1020190167002 A KR 1020190167002A KR 20190167002 A KR20190167002 A KR 20190167002A KR 20210075660 A KR20210075660 A KR 2021007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reinforcing bar
rebar
female screw
fix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송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혁 filed Critical 송재혁
Priority to KR102019016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660A/ko
Publication of KR2021007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해야 할 철근의 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정이나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내진용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 둘레에 마디가 형성된 철근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내진용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끝단부에 일체형 나사부가 가공된 철근과, 이 철근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캡과, 상기 철근의 나사부를 포함하여 고정캡이 양측에서 함께 체결되는 원통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캡에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일측방향에 관통공을 갖는 몸체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몸체의 내,외주면에 제1숫나사부 및 제1암나사부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원통 몸체에는 단턱에 의해 직경 차이를 갖는 동시에 각각 제2 및 제3암나사부가 가공된 삽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철근의 연결단부에 대한 결속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체결부위의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최소의 부품으로 결속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용 철근 커플러 {SEISMIC-RESISTANT REBAR COUPLER}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해야 할 철근의 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정이나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내진용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은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설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打設)한 후에 양생과정을 거쳐 축조하게 되는데, 통상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거푸집 내에 배근작업을 행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설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연결단부를 서로 겹친 후 철사 등으로 묶어 고정시키는 겹침이음,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철근의 연결부위를 가열 및 가압하여 연결하는 압접이음, 철근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금속분말의 반응열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 이외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철근의 연결단부에 커플러(coupler)를 장착하여 결속시키거나 혹은 철근의 단부에 나사 가공을 행한 후 직접 체결하는 방식도 활용되고 있다.
겹침이음을 이용하는 방식은 서로 겹쳐진 철근의 단부에 철사를 감아 상호 연결하게 되므로 배근작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철근마다 철사를 일일이 감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결속부분의 굽힘강도가 취약하여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용접이음은 철근의 단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결부분의 강도는 양호하지만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공사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철근의 단부에 나사를 가공하여 연결하는 경우, 철근의 단면 및 측면을 반복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고압 프레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기계 가공을 실시해야 하므로 운반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속도가 더디게 진행됨은 물론 전체적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통상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의 양 연결단부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방식과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240099호, 제0272745호를 비롯하여 등록실용신안등록 제0317137호, 제0361102호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품생산에 따른 코스트가 높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를 지연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철근은 동일한 규격이라 하더라도 제조사마다 마디의 간격이나 높이, 마디별 철근 두께가 상이하여 캡 또는 나사형 편체가 조여짐에 따라 특정 부위(쐐기형 편체, 나사형 편체의 앞쪽 또는 뒤쪽부분)에만 조임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조임 압력이 가해진 부위에만 편체가 철근에 접촉하고 다른 부위는 접촉되지 않고 들뜨거나 벌어진 형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를 구현하기 어렵다.
또, 제조사에 따른 철근의 두께 공차뿐만 아니라 편체 제조시의 가공공차 등으로 인해 커플러 조립시 편체 내면이 철근의 외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위가 더욱 커지게 되며, 커플러의 결속시에 편체 내면을 철근에 강제로 접촉시키기 위해 커플러의 나사부를 조이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어 시공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종래의 커플러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식에 있어서는 지진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체결부위의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철근과 연결된 부분의 강도가 취약하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240099호(1999.10.25 등록) - 철근 연결구조. 등록특허 제0272745호(2000.08.29 등록)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등록실용신안 제0317137호(2003.06.09 등록) -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 등록실용신안 제0361102호(2004.08.27 등록) - 철근 연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의 연결단부에 대한 결속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행할 수 있으며, 진동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연결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풀림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내진용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사별로 리브나 마디 위치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 구성부품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단가의 절감 및 이로 인한 제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내진용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 둘레에 마디가 형성된 철근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내진용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끝단부에 일체형 나사부가 가공된 철근과, 이 철근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캡과, 상기 철근의 나사부를 포함하여 고정캡이 양측에서 함께 체결되는 원통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캡에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일측방향에 관통공을 갖는 몸체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몸체의 내,외주면에 제1숫나사부 및 제1암나사부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원통 몸체에는 단턱에 의해 직경 차이를 갖는 동시에 각각 제2 및 제3암나사부가 가공된 삽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캡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의 피치는 제1암나사부의 피치와 상이하게 가공되고, 제1암나사부의 피치와 철근에 형성된 나사부의 피치는 동일하게 가공되며, 상기 원통 몸체에 형성된 제3암나사부의 피치는 제2암나사부의 피치와 상이하게 가공되고, 이 제2암나사부의 피치와 철근에 형성된 나사부의 피치는 동일하게 가공된다.
본 발명은 철근의 연결단부에 대한 결속작업을 원통 몸체 및 고정캡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철근과 원통 몸체의 사이에 고정캡을 체결함에 따라 철근과 원통 몸체를 당겨주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에 대한 풀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철근이 체결되는 나사산의 피치보다 원통 몸체에 장착되는 고정캡의 피치를 상이하게 하는 경우 지진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체결부위에 대한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별로 리브나 마디 위치가 다르게 제작되는 철근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철근의 연결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최소의 부품으로 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223407호에 개시된 내진용 철근 커플링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단면도 및 A부 확대도,
도 3은 각 부품이 분리된 상태의 실시예 A 및 다른 실시예 B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B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철근 커플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각 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각 부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9는 각 부품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나선형 철근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각 부품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등록특허 제1223407호에 개시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100)은 내주연에 철근(200,200a)이 회전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120)이 형성되는 관통된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이 커플링(100)의 양측 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단턱홈(130)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긴 장방향을 가진 철근(200,200a)인 경우에게 단턱홈(130)으로 인해 일정 깊이의 철근(200,200a)이 삽입되어 위치를 잡게 되며, 용이하고 간편하게 커플링(100)과 철근(200,200a)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홈(130)은 커플링(100)의 양측으로 각각의 철근(200,200a) 외주연의 나사산(230,230a)과 커플링(100)의 나사산(120)이 상호 맞물리되, 상기 각각의 철근(200,200a)이 손쉽게 삽입되어 맞물려 회전 결합이 가능하도록 커플링(100)에 형성된 나사산(1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구성되어 나사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 있어, 커플링과 철근을 결합할 때 각각의 나사산 중앙을 맞추기가 힘들어 불편함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나사산의 파손으로 인해 철근 또는 커플링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200,200a)은 커플링(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커플링(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철근(200)은 외주연에 나사산(230)이 형성됨과 동시에 단부에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철근(200a)은 외주연에 나사산(230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단부에 돌출부(210)가 끼워지는 요홈(220)이 형성되어 각각의 철근(200,200a)이 커플링(100)의 양측에 회전 결합됨으로써 돌출부(210)가 요홈(220)에 끼워져 맞물리게 된다.
종래에 있어, 철근이 커플링에 결합될 때 상호 맞닿는 면이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쉽게 파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힘을 받지 못하게 되지만, 상기 철근(20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10)와 철근(200a)의 단부에 형성된 요홈(220)이 커플링(100)에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힘을 받을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더할 수 있게 되며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100)의 나사산(120)은 일측이 결합되는 철근(200)의 나사산(230)과 타측에 결합되는 철근(200a)의 나사산(230a)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커플링(100)의 회전으로 각각의 철근(200,200a)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100)의 내측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반대로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120)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측의 나사산(12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야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타측의 나사산(120)은 그 반대인 왼쪽으로 회전시켜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100)의 나사산(120)의 형상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을 하게 되면, 양 측에 결합되는 철근(200,200a)의 나사산(230,230a)의 방향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호 회전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철근(200)의 나사산(230)이 오른쪽으로 회전시켜야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타측에 결합되는 철근(200a)의 나사산(230a)은 왼쪽으로 회전시켜야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커플링(100)의 나사산(120) 형상에 맞춰 회전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커플링(100)과 철근(200,200a)을 구성함에 따라 커플링(100)의 회전만으로 각각의 철근(200,200a)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진용 철근 커플링 구조는, 커플링(100)의 양측에 형성된 단턱홈(130)으로 인해 철근(200,200a)과 결합시 길이가 긴 철근(200,200a)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플링(100)의 회전만으로 각각의 철근(200,200a)을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각각의 철근(200,200a)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10)와 요홈(220)이 상호 맞물림으로써 진동 발생시에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철근과 커플링의 결합시에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능률을 향상시킬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지진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진동이 주기적으로 철근 및 커플링에 가해지는 경우, 단지 나사 체결에만 의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풀림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철근과 연결된 부분의 강도가 취약하다는 단점을 회피할 수 없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내진용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끝단부에 일체형 나사부가 가공된 철근(30A,30B)과, 이 철근(30A,30B)의 나사부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캡(40)과, 상기 철근(30A,30B)의 나사부를 포함하여 고정캡(40)이 양측에서 함께 체결되는 원통 몸체(5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철근(30A,30B)은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표면에 리브(a) 및 마디(b)가 소정 형태로 형성된 통상의 구조를 갖추게 됨은 물론 다양한 굵기 및 길이로 제작된다.
이들 철근(30A,30B)은 제조처로부터 소정 규격으로 공급되어 설계사양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혹은 단부를 서로 결속하여 사용하게 되며, 서로 연결해야 할 철근(30A,30B)의 단부에는 소정 피치(P1)로 가공된 나사부(3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40)에는 플랜지(41)를 포함하여 이 플랜지(41)의 일측방향으로 관통공(42)을 갖는 몸체가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 몸체의 내,외주면에 제1숫나사부(43a) 및 제1암나사부(43b)가 가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4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3a)의 피치(P2)의 경우,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3) 보다는 작고, 이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3)와 철근(30A,30B)에 형성된 나사부(31)의 피치(P1)는 동일하게 가공된다.
상기 원통 몸체(50)에는 단턱(51)에 의해 내경 차이를 갖는 삽입공(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52)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2암나사부(53a) 및 제3암나사부(53b)가 가공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원통 몸체(50)에 형성된 제3암나사부(53b)의 피치(P5)는 제2암나사부(53a)의 피치(P4) 보다는 작고, 제2암나사부(53a)의 피치(P4)와 철근(30A,30B)에 형성된 나사부(31)의 피치(P1)는 동일하며, 제3암나사부(53b)의 피치(P5)는 고정캡(4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3a)의 피치(P1)와 동일하게 가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캡(4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3a)의 피치(P2)와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3)를 포함하여 원통 몸체(50)에 형성된 제2암나사부(53a)의 피치(P4)와 제3암나사부(53b)의 피치(P5)를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양쪽 철근(30A,30B)을 원통 몸체(50)에 체결하는 경우 고정캡(40)에 의한 당김력이 가해짐에 따라 풀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철근(30A,30B)에 형성되는 나사부(31)의 경우, 일반 나선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고정캡(40)의 제1암나사부(43b)와 원통 몸체(50)의 제2암나사부(53a)를 이에 맞춰 동일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두개의 철근(30A,30B)을 서로 결속시키고자 할 경우, 각 철근(30A,30B)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1)에 고정캡(40)의 관통공(42)에 형성된 제1암나사부(43b)을 끼워서 체결한 다음 원통 몸체(50)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캡(40)을 일차적으로 철근(30A)의 나사부(31)에 체결한 상태에서 이 철근(30A)의 나사부(31)를 원통 몸체(50)의 삽입공(52)에 형성된 제2암나사부(53a)에 체결함과 동시에 다시 고정캡(40)의 제1숫나사부(43a)를 원통 몸체(50)의 제3암나사부(53b)에 체결한다.
이 원통 몸체(50)의 반대쪽에 장착해야 할 철근(30B)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함에 따라 양쪽 철근(30A,30B)을 모두 견고하게 이어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철근(30A,30B)과 원통 몸체(50)의 사이에 고정캡(40)을 체결함에 따라 철근(30A,30B)과 원통 몸체(50)를 당겨주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에 대한 풀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4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3a)의 피치(P2)를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3) 보다 작도록 상이하게 형성하여 철근(30A,30B) 및 원통 몸체(50)를 체결하는 경우, 지진 등의 강한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풀림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진용 철근 커플러를 나선형 철근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나선형 철근(60A,60B)은 제조과정에서 표면에 리브(a1) 및 마디(b1)가 철근 표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다양한 굵기 및 길이로 제작되며, 제조처로부터 소정 규격으로 공급되어 설계사양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혹은 단부를 서로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고정캡(4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3a)의 피치(P2)는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3)와 상이하고, 원통 몸체(50)에 형성된 제3암나사부(53b)의 피치(P5)는 제2암나사부(53a)의 피치(P4)와 상이하다.
또, 고정캡(40)에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3) 및 원통 몸체(50)에 형성되는 제2암나사부(53a)의 피치(P4)는 나선형 철근(60A,60B)에 맞춰 가공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는, 철근의 연결단부에 대한 결속작업을 원통 몸체 및 고정캡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철근과 원통 몸체의 사이에 고정캡을 체결함에 따라 철근과 원통 몸체를 당겨주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에 대한 풀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철근이 체결되는 나사산의 피치보다 원통 몸체에 장착되는 고정캡의 피치를 상이하게 하는 경우 지진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체결부위에 대한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별로 리브나 마디 위치가 다르게 제작되는 철근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철근의 연결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최소의 부품으로 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A,30B: 철근 31: 나사부
40: 고정캡 41: 플랜지
42: 관통공 43a: 제1숫나사부
43b: 제1암나사부 50: 원통 몸체
51: 단턱 52: 삽입공
53a: 제2암나사부 53b: 제3암나사부

Claims (3)

  1. 외주 둘레에 마디가 형성된 철근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내진용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끝단부에 일체형 나사부가 가공된 철근(30A,30B)과, 이 철근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캡(40)과, 상기 철근의 나사부를 포함하여 고정캡이 양측에서 함께 체결되는 원통 몸체(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캡(40)에는 플랜지(41) 및 이 플랜지의 일측방향에 관통공(42)을 갖는 몸체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몸체의 내,외주면에 제1숫나사부(43a) 및 제1암나사부(43b)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원통 몸체(50)에는 단턱(51)에 의해 직경 차이를 갖는 동시에 각각 제2 및 제3암나사부(53a,53b)가 가공된 삽입공(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4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3a)의 피치(P1)는 제1암나사부(43b)의 피치(P2)와 상이하게 가공되고, 제1암나사부의 피치와 철근에 형성된 나사부의 피치는 동일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몸체(50)에 형성된 제3암나사부(53b)의 피치(P5)는 제2암나사부(53a)의 피치(P4)와 상이하게 가공되고, 이 제2암나사부의 피치와 철근에 형성된 나사부의 피치는 동일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철근 커플러.
KR1020190167002A 2019-12-13 2019-12-13 내진용 철근 커플러 KR20210075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02A KR20210075660A (ko) 2019-12-13 2019-12-13 내진용 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002A KR20210075660A (ko) 2019-12-13 2019-12-13 내진용 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60A true KR20210075660A (ko) 2021-06-23

Family

ID=7659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002A KR20210075660A (ko) 2019-12-13 2019-12-13 내진용 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5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50A1 (ja) * 2022-05-12 2023-11-16 合同製鐵株式会社 ネジ節鉄筋用カプラーおよびそのカプラーが具備されたネジ節鉄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099B1 (ko) 1997-07-28 2000-06-01 정경옥 철근 연결 구조
KR100272745B1 (ko) 1998-04-10 2000-11-15 노인환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KR100317137B1 (ko) 1999-01-19 2001-12-22 윤덕용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 방법
KR100361102B1 (ko) 1999-06-02 2002-1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트렌치 아이솔레이션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099B1 (ko) 1997-07-28 2000-06-01 정경옥 철근 연결 구조
KR100272745B1 (ko) 1998-04-10 2000-11-15 노인환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KR100317137B1 (ko) 1999-01-19 2001-12-22 윤덕용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 방법
KR100361102B1 (ko) 1999-06-02 2002-1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트렌치 아이솔레이션의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50A1 (ja) * 2022-05-12 2023-11-16 合同製鐵株式会社 ネジ節鉄筋用カプラーおよびそのカプラーが具備されたネジ節鉄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1036591B1 (ko) 철근 커플러
KR20060109592A (ko) 철근 커플러
KR101123849B1 (ko) 철근 결속장치
KR20210075660A (ko) 내진용 철근 커플러
KR101123347B1 (ko) 철근 결속장치
KR101033681B1 (ko) 철근 커플러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KR102105141B1 (ko)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200415050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404425B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WO2019194189A1 (ja) 雄ねじ部の不完全ねじ部を活用した継手
KR101160532B1 (ko) 철근 연결구
KR101525762B1 (ko) 시공성과 안전성을 보강한 철근용 커플링 및 철근 커플링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KR101249077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1187379B1 (ko) 나사 체결식 철근 결속장치
KR100244963B1 (ko) 무방향성 철근 연결 장치(1) (Splicing device for reinforcement steel bars)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20010048018A (ko) 철근 이음구
TW202012756A (zh) 活用外螺紋部之不完整螺紋部的接頭
KR200317137Y1 (ko)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
KR200210602Y1 (ko)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