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007A - 공기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007A
KR20210073007A KR1020190163425A KR20190163425A KR20210073007A KR 20210073007 A KR20210073007 A KR 20210073007A KR 1020190163425 A KR1020190163425 A KR 1020190163425A KR 20190163425 A KR20190163425 A KR 20190163425A KR 20210073007 A KR20210073007 A KR 2021007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using
plate
air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남
주근호
노양환
최정근
오민규
이서연
김소영
성재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007A/ko
Priority to CN202010351366.9A priority patent/CN112944653A/zh
Publication of KR2021007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관리장치이다. 좌우로 길게 연장된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은 주거공간의 바닥에 안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은 주거공간의 벽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하우징(10)의 배면과 벽면 사이에는 배면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공간(13')은 상기 하우징(10)과 벽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데, 상기 배면공간(13')에는 실외기와의 연결을 위한 부품, 전원공급을 위한 구성 등이 위치된다.

Description

공기관리장치{Air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공간 바닥에 위치되어 주거공간의 공기를 관리하는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관리장치는 소정의 공간 내의 공기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여 그 공간에 있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관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공기조화기가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되어 창문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있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기가 해당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 실내 공간에 세워져 설치되는 스탠드형, 실내 공간의 벽면 상단에 설치되는 벽면형이 있다.
최근에 거실, 침실, 방, 주방, 서재 등의 주거공간이 연결되고 있어, 주거공간의 효율과 기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다. 주거공간이 통합되는 추세와 핵가족 추세가 겹치면서 다양한 가전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주거공간 내의 온도, 습도, 청정함 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적인 가전제품의 하나인데, 공기조화기도 주거공간의 연결 및 핵가족 추세에 맞춰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주거공간 내에서 사용되는 공기관리장치는 주거공간에 있는 다른 요소들과의 조화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주거공간 내에서 다른 요소 들과의 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원코드가 하우징의 외면 중에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외면을 통해 인출되어 전원과 연결되고 있어 외관상 좋지 않다.
선행문헌1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09777호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에 도시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의 상단에 돌출되어 설치되므로 주변 가구 등과의 조화가 어렵고, 특히 전원코드가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인출되어 연장되어 콘센트에 결합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다.
선행문헌2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555호에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다양한 외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주변과의 조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바닥에서 상방으로 탑형상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어 다른 가구들과의 조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0977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85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주거공간의 바닥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공기관리장치가 주변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관리장치에서 하우징의 노출된 외면을 통해 전원코드가 연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과 벽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두어 다양한 부품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배면에 하우징이 설치되는 주거공간의 벽면과 마주보는 배면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면공간을 둠에 의해 공기관리장치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구성을 없앨 수 있어 공기관리장치 외관이 깔끔하게 되어 주변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면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 및 하우징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판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하우징과 주거공간의 벽면 사이에 배면공간을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배면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배면판을 하우징의 배면에서 내부쪽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판, 측판 그리고 바닥판과 결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배면공간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내부에는 주거공간의 공기와 작동유체의 열교환을 위한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공간과 구획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다수개로 구획되어 다양한 기능을 공기관리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공간과 상기 배면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제2공간과 배면공간을 연통시켜 실외기 측과의 연결이 원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공은 전원코드가 통과하는 전원통공, 호스가 통과하는 호스통공, 작동유체 배관이 통과하는 배관통공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전원코드, 호스, 배관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통공은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는 제2이동판을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후단과 주거공간의 벽체 사이에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배면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면공간에는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구성과 실외기에 있는 구성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호스, 파이프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후단에 배면공간을 두어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사용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 하우징의 외관이 매우 깔끔하게 되어 하우징의 외면 디자인을 가구형태로 함에 의해 주변의 가구 등과 잘 조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후단과 벽체 사이에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배면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벽체의 콘센트가 위치하도록 하고,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에 접근하여 기계실 등에 있는 제어부에서 연장된 전원코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하우징의 외부에 전원코드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공기관리장치의 전원과의 연결을 매우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 후단에 있는 배면공간은 하우징 내부에 있는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는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에서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공기관리장치의 각종 기능들이 보다 다양하게 발휘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에서 상판을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를 배면쪽에서 보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D5-D5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D6-D6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팬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팬가이드내에 구동팬이 위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제2공간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주거공간내의 공기가 공기관리장치내에서 열교환되고 루버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에서 제3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추가토출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주거공간 벽면에 있는 콘센트에 전원코드가 연결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 실시례가 채용된 공기관리장치는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은 주거공간의 바닥과 마주보게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은 주거공간의 벽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소정 면적의 직사각형 평면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성인이 서서 내려다 볼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인데 높이의 2배 이상의 좌우폭을 가지고 높이가 전후길이보다 약간 크며 상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된다. 보다 자세한 하우징(10)의 치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좌우폭이 2000mm, 전후길이가 450mm, 높이가 600mm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을 바닥판(11)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1)은 직사각형상의 판으로, 주거공간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상기 바닥판(11)의 양측에는 측판(12)이 있는데, 이들 측판(12)이 하우징(10)의 양측 면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을 배면판(13)이 형성하는데, 상기 배면판(13)은 상기 바닥판(11)의 후단 끝과 상기 측판(12)의 대응되는 끝부분에서 소정 길이 이동된 위치에서 바닥판(11) 및 측판(12)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이 주거공간 내에 설치되었을 때, 벽면과 상기 배면판(13)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면서, 상기 바닥판(11), 측판(12) 및 배면판(13) 그리고 벽면에 의해 소정의 배면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공간(13')과 관련된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상판(14)이 형성한다. 상기 상판(14)은 평평한 평면으로 직사각형상의 평면이 된다. 상기 상판(14)의 표면인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여러가지 물품이 놓여질 수 있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물품이 놓여져야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을 전면판(1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5)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전체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유동공간(20)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전면판(1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5)에는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주거공간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형상과 대응되게 좌우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전면판(1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전면은 제1이동판(16)과 제2이동판(16')이 형성한다. 상기 제1이동판(16)과 제2이동판(16')은 일종의 도어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은 주거공간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적어도 4 모서리에는 레그(18)가 있다. 상기 레그(18)는 소정의 높이를 가져 상기 하우징(10)을 주거공간 바닥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바닥판(11)에 형성된 흡입구(11')로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주거공간 바닥과 하우징(10)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상기 레그(18)가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레그(18)가 하우징(10)의 바닥판(11) 네 모서리에 있으나, 바닥판(11)의 모서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많은 숫자의 레그(18)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은 가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구성하는 재료를 목재 또는 목재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들 중에서 최소한 측판(12), 상판(14), 전면판(15), 제1이동판(16), 제2이동판(16')은 외관이 목재 또는 목재의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10)을 전방 또는 상방에서 볼 때, 제1구획벽(19)과 제2구획벽(19')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도 2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구획벽(19)에 의해 공기유동공간(20)과 제1공간(22)이 구획되고, 제2구획벽(19')에 의해 공기유동공간(20)과 제2공간(24)이 구획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주거공간 내의 공기가 열교환하면서 유동되는 곳으로, 열교환되어 원하는 상태로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통해서 주거공간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과 제1구획벽(19)에 의해 구획되어 제1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중 하나와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공간(22)중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1이동판(1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과 제2구획벽(19')에 의해 구획되어 제2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중 하나가 위치되고 제어부(510)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50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500)이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2이동판(16')에 의해 계폐된다.
상기 제2공간(24)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배면판(13)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24)과 상기 배면공간(13')을 연통시키는 것들이다. 먼저, 상기 제2공간(24)의 배면에 해당되는 배면판(13)의 상단에는 전원통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통공(26)은 전원코드(512)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원통공(26)은 또한 사용자가 벽면에 있는 콘센트(514)에 접근하여 상기 전원코드(512)와 콘센트(514)의 결합과 분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통공(26)의 크기는 최소한 콘센트(514)의 전면 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원통공(26)의 크기는 콘센트(514)를 상기 배면공간(13')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고 손을 넣어서 전원코드(512)를 연결할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공간(24)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13)의 일측에는 배관통공(27)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통공(27)을 통해서는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입구파이프와 출구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한다. 상기 배관통공(27)은 입구파이프와 출구파이프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는 면적으로 상기 전원통공(26)보다는 작게 된다.
상기 배면판(13)에는 또한 호스통공(28,28')이 형성된다. 상기 호스통공(28,28')은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호스(522)와 산소공급을 위한 공급호스(53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9는 제2구획판(19')에 형성된 호스통공이다. 이들 호스통공(28, 28', 29)들은 대응되는 호스(522,53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의 좌우폭은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의 좌우폭의 2배 이상이 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의 좌우폭은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형성되는 토출구(15'-1,15'-2,15'-3)의 갯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 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장치(10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성과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구성 등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위치에는 필터유니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열교환기(104)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04)는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운전인 경우에는 공기로부터 열을 열교환기(104)의 작동유체가 전달받아 실외기로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난방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받아 주거공간 내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난방운전에서 상기 열교환기(104)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기(104)로는 실외기에서 전달된 작동유체가 입구파이프를 통해 전달되고,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출구파이프를 통해 실외기로 전달된다.
상기 열교환기(104)의 하부에는 드레인팬(108)이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모아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로(102)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구성들이 있다. 먼저 상기 필터유니트(300)와 마주보게 입구가이드(110)가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는 상기 흡입구(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는 상기 흡입구(11')의 대부분의 영역과 마주보게 되어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에는 안내경사면(110')이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선단쪽에 인접한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배면판(13)쪽으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경사면(110')은 상기 배면판(13)쪽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11')에서 멀어지도록 된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은 상기 배면판(13)을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 위치는 하우징(10)의 전후방향 기준으로 상기 흡입구(11')의 2/3 정도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을 설정하는 것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유로(102)의 최대한 후방으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상면에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12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부가이드(112)가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공기유로(102)의 천정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배면판(13)에서 시작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120)까지 연장된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배면판(13)과 만나는 부분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곡면으로 된다. 즉, 상기 배면판(13)과 상부가이드(112)가 직교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면판(13)의 내면중 공기유로(102)에 해당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면판(13)과 상기 상부가이드(112)가 연속되는 곡면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면판(13)의 후면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와 상부가이드(112)는 되도록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와 상부가이드(112) 자체가 단열성이 좋은 재질이 아니라면, 표면에 단열성이 좋은 부재를 두어서 주변과의 열교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열교환기(104)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팬가이드(120)까지 연장된다.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상기 공기유로(102)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유동되어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팬(130,130',130")이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공기를 분리해서 유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경로로 나눠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실내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팬가이드(120)의 골격을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된 팬가이드몸체(122)가 형성한다. 상기 팬가이드몸체(12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팬공간(124,124',124")이 형성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팬(130,130',130")들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내부에서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상기 열교환기(104)와 마주보는 쪽은 모두 개방되어 유입구(126)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팬공간(124,124',124")에서 토출구(15'-1,15'-2,15'-3)들과 대응되는 쪽은 일부만이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팬공간(124,124',124")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유출구(128)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전면판(15)의 제1에서 3토출구(15'-1,15'-2,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유동단면적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내면 일측에는 분지유로(129)가 형성된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공간(124,124',124")들에는 각각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은 각각의 팬모터(132)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모두 3개의 구동팬(130,130',130")이 사용된다. 물론 구동팬(130,130',130")의 갯수는 적어도 2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4개의 구동팬이 사용되거나 5개의 구동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양 단에 있는 구동팬(130,130")들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도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전체 구동팬(130,130',130")들은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구동팬(130,130',130")들을 제1구동팬(130), 제2구동팬(130'), 제3구동팬(130')이라 칭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에 각각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제1토출구(15'-1)에 제1루버(141), 제2토출구(15'-2)에 제2루버(142), 제3토출구(15'-3)에 제3루버(143)가 설치된다. 이들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은 동시에 모두 가동되거나, 선별적으로 조합되어 같이 가동될 수 있다. 즉, 공기관리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조합으로 구동팬(130,130',130")이 동작된다.
먼저, 모든 구동팬(130,130',130")이 동작되고, 모든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는 도시되지 않은 제1댐퍼를 사용하여 폐쇄하여 분지유로(129)에서 다른 부분으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3개의 구동팬(130,130',130")중 어느 하나 만을 가동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루버(141,142,143)를 개방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는 제1댐퍼를 사용하여 폐쇄하여 분지유로(129)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루버(141,142,143)를 닫은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을 가동시켜 공기가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제1댐퍼는 개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에 의해 공기가 분지유로(129)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팬(130')도 가동시키고 상기 제2루버(142)를 개방해서 하우징(10)의 전방으로도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 추가토출부(200)가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팝업덕트가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제1공간(22) 및 제2공간(24)에 위치되는 공간프레임(202,202')을 설명한다. 상기 공간프레임(202,202')은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을 구획하여 사용되도록 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2공간(24)에 설치되는 공간프레임(202')을 기초로 설명한다.
상기 공간프레임(202')은 제2공간(24)을 구획하여 추가토출부(200)와 기계실(500)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공간프레임(202')의 일측에는 프레임공간(203)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공간(203)이 기계실(500)이 된다. 상기 프레임공간(203)은 상기 제2이동판(1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이동판(16')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공간(203)을 개폐한다.
상기 프레임공간(203)의 내면에 해당되는 부분중 상기 배면판(13)과 밀착되는 영역에는 상기 전원통공(26), 배관통공(27) 그리고 호스통공(28,28')에 대응되는 통공들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배면판(13)과 대응되는 공간프레임(202')의 벽체가 없어서 상기 프레임공간(203)의 일측 내벽을 상기 배면판(13)이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공간(203)에서 상기 배면판(13)과 밀착되는 벽체에는 프레임전원통공(226)이 상기 전원통공(26)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배관통공(27)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프레임배관통공(2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스통공(28,2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프레임호스통공(228,228')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29는 상기 호스통공(29)와 대응되는 또 하나의 프레임호스통공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204는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와 추가토출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이고, 205는 상기 연결덕트(204) 내부에 있는 연결유로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 하부에는 필터유니트(300)가 서랍식으로 입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는 주거공간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공간(22) 내에는 가습장치(4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습장치(400)는 상기 제1이동판(16)의 개방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제1공간(22)의 공간프레임(202)에 위치되어 가습된 공기를 만들어낸다.
상기 제2공간(24)에는 기계실(500)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500)은 본 발명에서는 공간프레임(202')의 프레임공간(203)과 그 주변에 형성된다. 상기 기게실(500)의 일측에는 제어부(51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10)는 공기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510)의 일측에는 전원코드(512)가 있다. 상기 전원코드(512)는 주거공간의 벽면에 있는 콘센트(514)에 연결되어 공기관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1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500)에는 상기 드레인팬(108)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520)가 있다. 상기 배수펌프(520)에서 상기 배면공간(13')으로 연장되게 배수호스(522)가 연장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500)을 통과하게 공급호스(530)가 있다. 상기 공급호스(530)는 예를 들면, 산소를 상기 공기유로(102)로 공급하여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주거공간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호스(530)는 상기 공기유로(102), 기계실(500), 배면공간(13')을 통해 실외기 측으로 연장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는 주거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데, 하우징(10)의 배면은 배면판(13)이 주거공간의 벽면에 직접 닿지 않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하우징(10)을 구성하는 바닥판(11)의 후단, 양쪽의 측판(12)의 후단, 상판(14)의 후단이 주거공간의 벽면에 닿게 된다. 이는 상기 배면판(13)은 상기 바닥판(11), 측판(12) 그리고 상판(14)의 후단 끝부분과 결합되지 않고, 이들의 후단 끝부분에서 소정 거리만큼 선단쪽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바닥판(11), 측판(12), 상판(14)과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배면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공간(13')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이 주거공간의 벽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수는 없다. 즉, 상기 바닥판(11), 측판(12) 그리고 상판(14)의 후단이 주거공간의 벽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공간(1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이동판(16')을 개방하고 상기 기계실(500)의 제어부(510)에 있는 전원코드(512)를 벽면에 있는 콘센트(514)에 결합시킨다.
상기 전원코드(512)는 상기 기계실(500)을 구성하는 공간프레임(202')의 후면에 형성된 프레임전원통공(226)과 하우징(10)의 배면판(13)에 형성된 전원통공(26)을 통해서 상기 배면공간(13')으로 인출되고, 상기 배면공간(13')을 통해서 볼 수 있는 벽면의 콘센트(51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콘센트(514)가 상기 배면공간(13')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콘센트(514)에 결합되는 전원코드(512)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기 콘센트(514)의 위치가 상기 프레임전원통공(226)과 전원통공(26)의 위치에서 어느 정도 어긋나 있게 되면 상기 하우징(1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원코드(512)와 콘센트(514)의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공간(24) 외에 상기 제1공간(22)의 배면과 이에 있는 공간프레임(202)에도 전원통공(26)과 상기 프레임전원통공(226)을 형성하여 콘센트(514)에 전원코드(512)를 결합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코드(512)는 상기 기계실(500)에 있는 것의 길이를 길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면공간(13')은 하우징(10)과 벽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배수호스(522)를 통해 응축수를 실외기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벽면에 형성된 구멍의 위치까지 배수호스(522)가 연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배면공간(13')이 사용된다. 상기 배면공간(13')에는 또한 실외기 측과 연결되어야 하는 입구파이프, 출구파이프, 공급호스(530) 등이 위치되어 특정한 위치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배면공간(13')에는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사이를 연결하는 각종 부품들도 위치된다. 예를 들면 제1공간(22)의 가습장치(400)에서 만들어진 가습된 공기를 제2공간(22)의 연결덕트(204)로 전달하는 가습연결덕트(400')(도 3참고)가 상기 배면공간(13')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이 주거공간의 바닥에 레그(18)가 안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배면의 바닥판(11), 측판(12), 상판(14)의 후단이 벽면에 밀착되게 하여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주거공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는 것을,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실내공기는 실내의 바닥과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공기유로(102)로 유동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이물질 그리고 이취 등이 제거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102)의 상대적으로 후단으로 유동되는 것은 상기 입구가이드(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안내경사면(110')이 상기 배면판(13)을 향해 상향 경사지므로,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주로 배면판(13)쪽으로 안내된다. 이는 상기 안내경사면(110')과 필터유니트(300)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면판(13)쪽으로 가면서 점차 더 넓어짐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면판(13) 근처의 공기유로(102) 후단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를 지나서 가동되고 있는 구동팬(130,130',130")이 있는 팬가이드(120)의 팬공간(124,124',124")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공기유로(102)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해서 상기 열교환기(104)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열교환기(104)의 상부를 넘어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유로(102)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전부가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공기는 각각의 구동팬(130,130',130')의 구동에 의해 특정한 팬공간(124,124',124")으로 들어가서 유동경로가 분리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상기 유출구(128)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대응되는 토출구(15'-1,15'-2,15'-3)로 공기가 유동된다. 해당되는 토출구(15'-1,15'-2,15'-3)의 루버(142,142,143)가 개방되어 소정의 각도로 세워져 있으면 공기가 루버(141,142,143)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특정 구동팬(130,130',130")의 가동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한 공기의 토출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1루버(141)를 개방하여 제1토출구(15'-1)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2루버(142)를 개방하여 제2토출구(15'-2)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3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3루버(143)를 개방하여 제3토출구(15'-3)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을 적어도 2개 이상씩 조합하여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 가동되는 구동팬(130,130',130")과 대응되는 루버(141,142,143)를 동작시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달되는 거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의 동작여부와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영역에 대해 다양하게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루버(141,142,143)의 상하방향의 각도 조절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각각의 토출구(15'-1,15'-2,15'-3)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절날개를 둘 수도 있다.
도 11에는 모든 구동팬(130,130',130")을 가동하면서, 3개의 토출구(15'-1,15'-2,15'-3)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루버(141,142,143)를 동작시켜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것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120)에 형성된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기가 팝업덕트(234)쪽으로 가는 것은 상기 제1댐퍼를 닫아 연결덕트(204)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는 상기 분지유로(129)로 유동되지 않고 모두 각각 유출구(128)를 통해 제1토출구(15'-1)나 제3토출구(15'-3)로 유동된다.
한편,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보내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멀리 보낼 수 있다. 이는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고 또한 회전되면서 원하는 위치로 공기를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공기관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인접한 다른 공간으로까지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가 거실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인접한 주방으로 까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통해 공기가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댐퍼가 상기 분지유로(219)를 개방하여 상기 분지유로(219)와 연결덕트(204)가 서로 연통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된다. 즉, 양측의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의 추가토출부(200)를 통해서만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양측의 추가토출부(200)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12에서는 제2토출구(15'-2)의 제2루버(142)가 동작되어 이를 통해서도 제2구동팬(13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2루버(142)도 제1루버(141)나 제3루버(143)와 같이 폐쇄되고, 양측의 추가토출부(20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작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2에는 추가토출부(20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고,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상승시켜 돌출시키고, 상승 후에 회전을 수행하여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바닥판
11': 흡입구 12: 측판
13: 배면판 14: 상판
15: 전면판 15'-1: 제1토출구
15'-2: 제2토출구 15'-3: 제3토출구
16: 제1이동판 16': 제2이동판
18: 레그 19: 제1구획벽
19': 제2구획벽 20: 공기유동공간
22: 제1공간 24: 제2공간
26: 전원통공 27: 배관통공
28,28': 호스통공 29: 호스통공
100: 열교환장치 102: 공기유로
104: 열교환기 108: 드레인팬
110: 입구가이드 110': 안내경사면
112: 상부가이드 120: 팬가이드
122: 팬가이드몸체 124: 제1팬공간
124': 제2팬공간 124": 제3팬공간
126: 유입부 128: 유출구
129: 분지유로 130: 제1구동팬
130': 제2구동팬 130": 제3구동팬
132: 팬모터 141: 제1루버
142: 제2루버 143: 제3루버
200: 추가토출부 202,202': 공간프레임
203: 프레임공간 204: 연결덕트
205: 연결유로 226: 프레임전원통공
227: 프레임배관통공 228,228': 프레임호스통공
300: 필터유니트 400: 가습장치
500: 기계실 510: 제어부
512: 전원코드 514: 콘센트
520: 배수펌프 522: 배수호스

Claims (11)

  1. 주거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배면이 주거공간의 벽면과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부에 열교환을 위한 부품이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과 주거공간의 벽면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는 배면공간을 포함하는 공기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판은 상기 상판, 측판 그리고 바닥판의 후단에서 소정 거리 선단을 향해 떨어진 위치에서 상판, 측판 그리고 바닥판과 결합되어 상기 배면공간을 형성하는 공기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주거공간의 공기와 작동유체의 열교환을 위한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공간과 구획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에는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과 상기 배면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전원코드가 통과하는 전원통공, 호스가 통과하는 호스통공, 작동유체 배관이 통과하는 배관통공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공기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통공은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는 제2이동판을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관리장치.
  9. 가구의 외관을 가지고 바닥판, 양쪽의 측판, 배면판, 전면판, 상판이 좌우로 긴 육면체형상으로 되는 하우징과,
    상기 배면판이 상기 바닥판, 측판, 상판의 후단에서 선단쪽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바닥판, 측판, 상판과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이 안착되는 주거공간의 벽면과 마주보는 배면공간을 포함하는 공기관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상기 배면공간을 연통시켜 상기 주거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전원코드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전원통공이 형성되는 공기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통공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제1이동판이나 제2이동판을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관리장치.
KR1020190163425A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25A KR20210073007A (ko)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CN202010351366.9A CN112944653A (zh) 2019-12-10 2020-04-28 空气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25A KR20210073007A (ko)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07A true KR20210073007A (ko) 2021-06-18

Family

ID=7623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425A KR20210073007A (ko) 2019-12-10 2019-12-10 공기관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3007A (ko)
CN (1) CN1129446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555A (ko) 2007-10-16 2009-04-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555A (ko) 2007-10-16 2009-04-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44653A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6176B2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KR20170061137A (ko) 스탠드형 에어컨
CN108413500B (zh) 一种空调室内机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EP3835670A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20100071888A1 (e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10073007A (ko) 공기관리장치
JP2014092333A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KR20130043979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EP3835669A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KR20210105544A (ko) 공기관리장치
KR20170035824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210073016A (ko) 공기관리기의 필터장치
KR20210073015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09A (ko) 공기관리장치
KR10074330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20210073017A (ko) 공기관리장치
KR20210073022A (ko) 공기관리장치
KR20170095785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EP3835671B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2B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WO2023074499A1 (ja) 換気装置
EP3835675A1 (en)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KR10075711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