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993A -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993A
KR20210066993A KR1020190155753A KR20190155753A KR20210066993A KR 20210066993 A KR20210066993 A KR 20210066993A KR 1020190155753 A KR1020190155753 A KR 1020190155753A KR 20190155753 A KR20190155753 A KR 20190155753A KR 20210066993 A KR20210066993 A KR 2021006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loop
shaft
unit storage
storag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384B1 (ko
Inventor
백수곤
박이천
Original Assignee
박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천 filed Critical 박이천
Priority to KR102019015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3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65G1/12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the circuit being confined in a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1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guided at least partially along a vertical or incline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자재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저장 선반(30),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을 핀(Pin)으로 연결한 대칭형 폐 루프(CLP, Closed Loop)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40)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마다 양단의 체인에 핀(Pin)으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저장 선반(30), 상기 대칭형 폐루프(CLP)는 다수의 스프로켓(11)을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내의 형상과 일정 거리를 두고 기준 축(10), 가변 축(20)을 양단에 배치하며 상기 기준 축(10)과의 일정 수평 거리를 둔 되돌이 축(60)으로 하여 구성하되,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내면 또는 외면에 두어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방향을 바꿈으로서 조립되는 대칭형 구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Automatic Material Handling System}
본 발명은 산업용 부재의 저장과 관련한 적재 및 불출 분야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대량으로 생산, 유통되고 있는 산업용 자재를 저장하고 적재/불출함에 있어 기존의 적재/불출 공간을 없애고 실내 모든 공간에 자재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자동으로 불출할 수 있는 분야의 기술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산업용 부재의 저장과 관련한 자동 적재 및 자동 불출 분야에 관한 기술로서 타이어의 저장, 적재 및 불출에 관한 기술이 일부분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선행기술 문헌으로 특허 문헌에 기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10-1343260 (등록일자 2013년12월12일) “타이어보관용 자동수납장치”
일반적으로 대량의 자재를 생산, 유통, 판매하는 산업 사회에서 자재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원가 및 품질관리의 필수 요소가 된다. 통상 대량의 자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재를 저장하는 공간과 이를 적재/불출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도 5의 (1)에는 P01, P02, P03, P04가 자재를 저장하는 공간이고, P01, P02과 P03, P04가 적재/불출하는 공간이다. 이 경우 통상 적재/불출하는 행위는 지게차가 수행하는데 이 지게차의 자장 공간이 전 자재 저장/관리 체적에서 대용량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자재 저장/관리 체적에서 자재의 적재/불출 공간을 배제할 수 있다면 도 5의 (2)와 같이 빈 공간이 하나도 없이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자재 저장/관리 체적에서 자재의 적재/불출 공간을 배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도 6에 예시된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10-1343260 (등록일자 2013년12월12일) “타이어보관용 자동수납장치”에 나타난 기술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지게차의 이동 대신 단위 저장 선반이 이동하게 함으로서 지게차 관련 인건비 및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은 있으나 다량의 자재를 도 5의 (2)와 같이 저장 창고 전체에 자동으로 저장하고, 자동 적재/불출 공간을 제거하지는 못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산업용 자재를 도 5의 (2)와 같이 실내의 모든 공간에 적재하되, 실내에 산업시설이나 구조물 또는 벽면의 굴곡이 있는 임의의 형태의 실내 벽면 구조를 가진 상태에서서 모든 공간에 자재를 자동으로 적재하고, 간단히 자재를 자동으로 불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물건을 실은 단위 저장 선반이 실내 공간 내 어디에도 자동으로 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쉽게 불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하여 단위 저장 선반을 폐루프형 체인에 연결하고, 이 체인을 구동하는 스프로켓의 가동축을 기준 축, 가변 축, 되돌이 축으로 구분하여 인접하는 스프로켓 간의 길이와 각도를 임의의 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인에 연결된 단위 저장 선반이 건물 내 어느 위치에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통해서 건물 벽면이나 장치의 존재 유무에 구애받지 않고 건물 내 공간 전체에 자재를 저장하기 위해 자동 적재/불출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저장 선반의 개념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재 저장 관련 개념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재 저장 및 불출장치의 개념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선반 핀의 개념도
용어의 정의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 본 발명에서는 산업용 자재(물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를 보관 창고로 이동시켜 선반에 적재하여 저장하고, 일정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자재를 꺼내어 놓은 장치를 의미한다. 저장은 자재를 도 5의 (2)와 같이 실내 가득히 정돈된 상태로 채워 놓은 상태이고, 적재는 물건을 선반에 올려 놓는 행위이며, 불출은 선반에서 꺼내는 것을 말한다. 저장은 적재하는 행위를 통하여 이루어 지는 개념으로 본 발명에서 저장은 적재된 상태 또는 적재를 포함한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자재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저장 선반(30),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을 핀(Pin)으로 연결한 대칭형 폐 루프(CLP, Closed Loop)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40)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마다 양단의 체인에 핀(Pin)으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저장 선반(30), 상기 대칭형 폐루프(CLP)는 다수의 스프로켓(11)을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내의 형상과 일정 거리를 두고 기준 축(10), 가변 축(20)을 양단에 배치하며 상기 기준 축(10)과의 일정 수평 거리를 둔 되돌이 축(60)으로 하여 구성하되,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내면 또는 외면에 두어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방향을 바꿈으로서 조립되는 대칭형 구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 축(10)은 다수의 상기 스프로켓(11) 중심축간의 연결 각도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가변 축(20)과 상기 되돌이 축(60)간의 연결 각이 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인(40)을 따라 이동된 자재를 불출하거나 적재하는 저장품 자동 집게(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장에서는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련 도면을 보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수의 자재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저장 선반(30)이란 도 5의 (1)에 예시된 도면 중 UE로 표시된 것과 같이 길이가 길게 만들어져 있는 선반 선반 하나 하나를 말하는 것이다. 이의 일 실시예로서는 도 4에 예시된 것으로, 길이가 긴 구조재로서 최소한 2개 이상의 직선형 파이프나 환봉을 이용한 선반 지지판(32)을 저장할 재품의 외형에 맞추어 배치하고, 선반 지지판(32)의 양단을 판형 구조재 또는 트러스형 구조재로서 접합(용접등의 구조재 결합 방법)한 후, 선반 지지판(32)의 상부에 선반 핀(31)을 접합하면 된다. 이 선반 핀은 도 7에 일 실시 사진이 표기되어 있다. 이 선반 핀(31)이 체인의 연결핀과 결합되기 위해서는 체인의 연결핀을 파이프 형태로 하고, 이 파이프 형태의 구조에 본 선반 핀을 널고 대응하는 너트를 채우면 체인으로부터 단위 저장 선반(30)이 이탈하지 않게 된다. 단위 저장 선반(30)은 이는 도 5의 (1)과 도 5의 (2)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선반과 유사하나, 도 5는 선반이동이 불가능한 고정식 선반이다. 본 발명과 같이 선반이 체인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서는 도 6에 일 실시예가 예시된 것이 나타나 있는 데 이는 본 발명의 선행기술에서 표기된 특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을 핀(Pin)으로 연결한 대칭형 폐 루프(CLP, Closed Loop)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40)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마다 양단의 체인에 핀(Pin)으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저장 선반(30)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을 핀(Pin)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에 있는 선반 지지판(32)을 두 개의 선반 핀(31)으로 도 4와 같이 연결한다는 것이다. 대칭형 폐 루프(CLP, Closed Loop)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40)은 도 1, 도 2, 도 3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의 스프로켓(도 1의 T1, T2, T3, R1 내지 R7과 도 2 및 도 3의 11, 12, 21 내지 25)이 닫혀있는 체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면서 하나 이상의 구동 동력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러켓 축의 회전으로 전체 체인(40, 도 1에서는 C1, C2, H1 내지 H6, 도 2와 도 3에서는 41, 42, 43)을 구동하는 것으로 체인이 닫혀 있다하여 폐 루프(CLP)라고 하였다. 이 폐 루프, 즉 닫혀 있는 체인이 단위 저장 선반의 양 단면에 한쌍의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인(40)도 단위 저장 선반을 중심에 두고 한 쌍, 스프로켓(11)도 단위 저장 선반을 가운데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칭형 폐루프(CLP)는 다수의 스프로켓(11)을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내의 형상과 일정 거리를 두고 기준 축(10), 가변 축(20)을 양단에 배치하며 상기 기준 축(10)과의 일정 수평 거리를 둔 되돌이 축(60)으로 하여 구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도 1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준 축(10)은 도 1에서 왼꼭의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 개의 스프로켓 T1, T2, T3를 말한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 실내의 내부 형태에 따라 폐루프 체인의 스프로켓이 체인의 왼쪽이나 오른 쪽 또는 상부나 하부로 위치하게 되는 데 이는 도 1, 도 2 또는 도 3에 일 실시예가 잘 나타나 있으므로 이를 참고로 하여 실시하면 된다. 가변 축(20)과 기준 축(10)과의 일정 수평 거리를 둔 되돌이 축(60)은 임의의 형상의 건물 내부를 도 5의 (2)와 같이 자재로 꽉 채우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배치하는 데, 가변 축(20)은 도 1에서 오른 쪽에 있는 스프로켓(R1, R3, R5, R7)이 되며, 되돌이 축(60)은 기준 축과 가변 축사이에 있는 스프로켓(R2, R3, R4, R6)이다. 기준 축(10), 가변 축(20), 되돌이 축(60)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폐 루프를 도 1, 도 2, 도 3과 같이 구성하는 것을 말는 데 여기서 다서의 스프로켓의 축을 지지하고 배치하는 것도 도 6과 같은 구조물 또는 도 5와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프로켓 축을 지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된다는 뜻이다.
다수의 단위 저장 선반이 동시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의할 사항은 이동 중 단위 저장 선반 간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도 2와 도 3에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실시하면 된다. 단위 저장 선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도 3에 예시된 거리들(DP, DC, DG)을 잘 유지하여야 한다. 폐 루프로 된 체인을 따라 이어진 단위 저장 선반은 이웃 용기간 거리(DP)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 3에 예시된 기준 축(10)과 되돌이 축(60) 사이에는 단위 저장 선반이 이동하면서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축사이 용기간 거리(DC)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기준-가변 인접 축간 거리(DG)를 통하여 조절한다. 임의의 단면적을 갖는 실내의 공간 내부 전체를 꽉 채워 물품을 저장하는 특성상 저장 위치에 맞는 기준-가변 원격 축간 거리(DS)와 저장 높이(H)를 실내 체적에 맞게 조절하고, 저장 폭(W) 또한 실내 크기를 보아 도 3과 도 1을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웃 용기간 거리(DP)는 이웃 하는 단위 저장 선반의 선반 지지판(32)의 양단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는 거리여야 하므로, 이웃하는 선반 핀(31)간의 거리가 선반 지지판의 폭보다 커야만 한다. 또한, 선반 핀이 스프로켓(11)의 원주를 이동할 때에는 체인이 직선부를 이동할 때보다도 이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이점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선반 지지판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축사이 용기간 거리(DC)는 기준-가변 인접 축간 거리(DG)를 조정하여 도 3의 왼쪽 수직부 체인에 있는 단위 저장 선반과 되돌이 축 상의 스프로켓을 회전하는 단위 저장 선반이 부딪히지 않도록 거리를 조정하여야 하며, 기준-가변 원격 축간 거리(DS)는 건물 내부의 최대 폭에 맞춰 도 1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실내 벽과 단위 저장 선반이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저장 높이(H)와 저장 폭(W)은 실내의 공간을 고려하여, 최대 폭과 최대 높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바닥 위치에 있는 체인은 실제는 체인에 단위 저장 선반이 걸려 있게되므로 단위 저장 선반의 높이보다 조금더 높게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수평부위의 이웃하는 체인들<수직 부위(C1,C2)가 아닌 것들, 도 1의 H6-H5, H5-S2, S2-H4, H4-H3, H3-S1, S1-H2, H2-H1>간의 체인 중심선의 높이 간격은 단위 저장 선반의 높이보다 더 커야만 한다.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내면 또는 외면에 두어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방향을 바꿈으로서 조립되는 대칭형 구조재라 함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나타난 것처럼 스프로켓 T1이나 T2, T3등에서 보면 체인이 본 스프로켓을 지나면서 방향이 바뀌게 되는 데 이렇게 체인이 폐루프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같은 방향이지만 체인이 직진성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라 함은 다수의 자재를 단위 저장 선반에 쌓아두는 저장 행위와 저장된 자재를 빼어 내는 불출 행위를 하는 단위 저장 선반을 집단적으로 쌓아두거나 이동 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 축(10)은 다수의 상기 스프로켓(11) 중심축간의 연결 각도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가변 축(20)과 상기 되돌이 축(60)간의 연결 각이 변화할 수 있는 것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난 일 실시예를 참고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인(40)을 따라 이동된 자재를 불출하거나 적재하는 저장품 자동 집게(50)는 도 2와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재하거나 불출할 자재가 있거나 있도록 하여야 할 단위 저장 선반이 본 저장품 자동 집게가 있는 위치(통상적으로 지면에 있도록 하는 것이 실시에 편리함)로 오면 있는 물건을 집어 내는 물출 작업을 하거나 저장할 물건을 적재하게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달리 표현하면 임의의 수직 단면 벽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다수의 스프로켓(11)으로 조립된 기준 축(10)과 가변 축(20), 상기 기준 축(10)과 일정한 수평 거리를 두고 배치된 되돌이 축(60)이 실내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축 중심 각을 갖는 두개 이상의 스프로켓(11)이 실내의 한 벽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기준 축(10),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축 중심 각을 갖는 두개 이상의 스프로켓(11)이 실내의 타 벽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가변 축(20),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축 중심 각을 갖는 두개 이상의 스프로켓(11)이 상기 기준 축(10)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되돌이 축(60)으로 구성되고, 양단이 평판형 구조로서 축방향으로 다수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최소 2개 이상의 직선형 구조재의 양단이 대칭형 평판으로 일체화된 단위 저장 용기(30), 상기 직선형 구조재의 양단 외곽 양쪽에 비치된 스프로켓(10), 상기 스프로켓의 외륜과 맞물리는 체인(40), 상기 대칭형 평판의 상부 외곽에 비치된 회전축 구멍(HO)을 구비하여 실시함으로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스프로켓(11)은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축 중심 각을 갖는 두개 이상의 스프로켓(11)이 실내의 한 벽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기준 축(10),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축 중심 각을 갖는 두개 이상의 스프로켓(11)이 실내의 타 벽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가변 축(20),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축 중심 각을 갖는 두개 이상의 스프로켓(11)이 상기 기준 축(10)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되돌이 축(60)을 배치시킨다. 여기에, 길이가 긴 구조재인 선반 뼈대(33)의 양단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판(32)의 상부에 돌출한 선반 핀(31)으로 구성된 단위 저장 선반(30), 상기 단위 저장 선반(30)의 양단을 상기 선반 지지축(31)을 평행하는 두 라인(Line)의 연결구멍에 체결한 체인(40), 상기 두 라인의 체인을 기준축(10)과 가변축(20)에서 다수의 스프로켓(11, Sprocket)으로 이동시키고자 상기 스프로켓의 축 중심들을 지지, 연결하는 구조물인 체인 골조(CFM)를 통하여 목적하는 저장 물품을 상기 단위 저장 선반(30)에 적재하고 꺼내는 저장품 자동 집게(50)를 포함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다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다수의 자재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저장 선반(30),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을 핀(Pin)으로 연결하고, 다수의 스프로켓(11)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는 폐 루프(Closed Loop)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40), 상기 다수의 스프로켓(11)은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내의 수직 벽면에 일정 수평거리를 둔 기준 축(10), 타 벽면에 일정 거리를 둔 가변 축(20) 및 상기 기준 축(10)과의 일정 수평 거리를 둔 되돌이 축(60)으로 조립되는 구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기준 축
20: 가변 축
30: 단위 저장 선반
40: 체인
50: 저장품 자동 집게
60: 되돌이 축

Claims (3)

  1. 다수의 자재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저장 선반(30);

    다수의 상기 단위 저장 선반의 양단을 핀(Pin)으로 연결한
    대칭형 폐 루프(CLP, Closed Loop)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40)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마다 양단의 체인에 핀(Pin)으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저장 선반(30);

    상기 대칭형 폐루프(CLP)는 다수의 스프로켓(11)을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내의 형상과 일정 거리를 두고 기준 축(10), 가변 축(20)을 양단에 배치하며 상기 기준 축(10)과의 일정 수평 거리를 둔 되돌이 축(60)으로 하여 구성하되,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내면 또는 외면에 두어 상기 대칭형 폐루프의 방향을 바꿈으로서 조립되는 대칭형 구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축(10)은 다수의 상기 스프로켓(11) 중심축간의 연결 각도가 변화할 수 있고, 상기 가변 축(20)과 상기 되돌이 축(60)간의 연결 각이 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40)을 따라 이동된 자재를 불출하거나 적재하는 저장품 자동 집게(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KR1020190155753A 2019-11-28 2019-11-28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KR10241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53A KR102418384B1 (ko) 2019-11-28 2019-11-28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53A KR102418384B1 (ko) 2019-11-28 2019-11-28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93A true KR20210066993A (ko) 2021-06-08
KR102418384B1 KR102418384B1 (ko) 2022-07-07

Family

ID=7639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53A KR102418384B1 (ko) 2019-11-28 2019-11-28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3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3708A (ja) * 1995-04-21 1999-03-30 フアビオ ペリニ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前進速度を制限することによって半製品を蓄積するための貯蔵ユニット
KR101343260B1 (ko) 2011-05-30 2013-12-18 김정규 타이어보관용 자동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3708A (ja) * 1995-04-21 1999-03-30 フアビオ ペリニ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前進速度を制限することによって半製品を蓄積するための貯蔵ユニット
KR101343260B1 (ko) 2011-05-30 2013-12-18 김정규 타이어보관용 자동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384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6796A (en) Drum stacking rack
ES2344507T3 (es) Instalacion de almacenamiento vertical con compartimientos de picking para el picking automatizado de mercancias.
JP2008507461A (ja) 生産品流通方法および装置
CA3110764A1 (en) Mobile storage system
KR102465387B1 (ko) 물품 적재 설비
US2262794A (en) Article handling and storing apparatus
JP2022545665A (ja) コンテナを輸送する送達システム、自動倉庫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222626B1 (ko) 원통형 부품들을 지지하는 팰릿 및 그 팰릿과 관련적으로 사용되는 고정 부재
KR102418384B1 (ko) 자재의 자동 저장 및 불출 장치
EP3015400B1 (en) A storage assembly for bulk bags
US2963169A (en) Storage rack
US3628672A (en) Captive pallet for load-stacking racks
US4247245A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mixed cargo
US5782317A (en) Transport apparatus for vertically moving objects and method
JP7374102B2 (ja) 積載パレット用グループ化ステーション
US3595376A (en) Vertical lift
WO2019125137A1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trolleys
US20230278753A1 (en) Storage container for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801075B1 (en) Unloader of rod-like articles of the tobacco industry
JP6861734B2 (ja)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パレット
JP3001813U (ja) 可搬型倉庫
JP2557467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出庫順位変更設備
JPH0518330Y2 (ko)
JP2001233404A (ja) 自動倉庫
JP2017171434A (ja) 物品収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