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895A -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 Google Patents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895A
KR20210061895A KR1020190149967A KR20190149967A KR20210061895A KR 20210061895 A KR20210061895 A KR 20210061895A KR 1020190149967 A KR1020190149967 A KR 1020190149967A KR 20190149967 A KR20190149967 A KR 20190149967A KR 20210061895 A KR20210061895 A KR 20210061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vac
dust
subway vehicle
air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2732B1 (en
Inventor
이주열
김해기
박병현
최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to KR102019014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732B1/en
Publication of KR2021006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HVAC-linkable dust collector performing transmission to an HVAC after primarily collecting fine dust with respect to air outside a subway vehicle. The HVAC-linkable dust collector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provided for outside air inflow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subway vehicle movement and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ubway vehicle; and a damper unit provided in order to allow or block inflow to the HVAC with respect to cleaned air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first filter unit from the outside air. Accordingly, fine dust collec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 tunnel where the degree of pollution is higher than in a subway vehicle or on a platform and fine dust flowing into the subway vehicle and the platform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is provided in the subway vehicle, automatic dust collection is performed while the subway vehicle is driven, and thus intra-tunnel air purification is possible even without additional intra-tunnel air purification equipment. In addition, the HVAC-linkable dust collector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n existing HVAC, pre-HVAC primary collection is performed, and the collection is performed with a mechanism requiring no separate repair and maintenance. As a result, the frequency and cost of HVAC repair and maintenance can be reduced.

Description

HVAC 연계형 집진장치{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본 발명은 HVAC 연계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구적인 매커니즘에 따라 지하철 터널과 같이 별도의 공기정화 설비가 구축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도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HVAC-linked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HVAC-linked dust collector that enables air purification even in areas where a separate air purification facility is not built, such as a subway tunnel, according to a mechanical mechanism. will be.

지하철과 같이 환기가 어려운 공간에 불특정 다수가 밀집되어 이용하는 경우 역사(대합실, 승강장)뿐만 아니라 지하철 차량 내 객실의 공기질은 쾌적성과 건강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When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are densely used in a space that is difficult to ventilate such as a subway, the air quality of not only the station (waiting room, platform) but also the cabin of the subway car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comfort and health.

이에, 환경부는 지하생활공간(underground living space)의 공기질 관리에 대한 법적근거가 되는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법률 제5224호)」을 1996년 제정하였고, 이후 2003년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법률 제6911호)」이 공표되면서 지하생활공간을 포함한 실내공간의 공기질 관련 관리법의 기틀이 마련되었다.According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nacted the 「Underground Living Space Air Quality Management Act (Act No.5224)」 in 1996, which is the legal basis for air quality management in underground living spaces.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Air Quality Management Act (Act No. 6911), the basis for the air quality management law for indoor spaces including underground living spaces was laid.

통상, 지하철이라고 일컬어지는 도시철도의 시스템적 구성공간은 크게 터널, 역사, 차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PM10) 오염도가 가장 높은 터널 공기가 역사 또는 차량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실내 오염도가 증가할 우려가 높다. In general, the systemic spaces of urban railways, which are referred to as subway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unnels, stations, and vehicles, and indoor pollution increases when tunnel air with the highest particulate matter (PM10) pollution enters the station or vehicle interior. There is a high fear of doing it.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하철 및 버스 등과 같은 각종 차량에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즉, 난방, 통풍, 공기조화)라 일컫는 자동차 공조 시스템이 설치되는바, 상기한 자동차 공조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정화된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 입자상 물질이나 가스상 물질을 여과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각각의 필터들이 구비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called HVAC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i.e.,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that purifies and supplies indoor air is installed in various vehicles such as subways and buses. The system is basically equipped with individual filters capable of filtering 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or gaseous material to supply the purified outside air into the room.

그러나, 이러한 HVAC는 주기적인 교체나 보수 등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철 터널 내의 미세먼지의 농도가 가장 높은 이유로, 터널 내의 미세먼지는 이러한 HVAC의 관리 주기나 관리 비용을 결정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However, these HVACs require continuous management such as periodic replacement or maintenan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subway tunnel is the highest, and the fine dust in the tunnel is a major factor that determines the management cycle or management cost of these HVACs. It causes.

뿐만 아니라, 환기구를 통해 지상의 미세먼지가 도시철도 터널 안으로 유입되는 경우, 열차풍(train draft, 列車風)에 의해 바닥의 미세먼지가 재비산하는 경우, 팬토그라프(Pantograph)의 마찰과 스파크 방전에 의해 나노입자가 발생하는 경우, 차륜과 레일 사이나 마찰 제동시 마모입자가 발생하는 경우 등의 이유로 미세먼지가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미세먼지의 입자는 터널 사이에서 부유하면서 지하철 차량의 이동에 의해 확산되고 객실을 환기시키는 과정에서 지하철 차량 안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차량 안으로의 유입은 승객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fine dust on the ground flows into the urban railroad tunnel through the ventilation openings, when fine dust on the floor is re-scattered by train drafts, the friction and spark discharge of the pantograph are prevented. As a result, fine dust is generated for reasons such as when nanoparticles are generated, between wheels and rails, or when wear particles are generated during frictional braking, and the particles of the generated fine dust are suspended between tunnels and diffused by the movement of subway vehicles. In the process of ventilating the cabin,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bway vehicle, and the inflow into the vehicle can have a fatal effect on passengers.

즉, 승객들에 대해 청정 공기를 제공하고 HVAC의 유지관리가 잦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역사와 차량에 비해 오염도가 높은 터널에서의 미세먼지 제거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vide clean air to passengers and prevent frequent HVAC maintenance, management of fine dust removal in tunnels with higher pollution levels compared to stations and vehicles becomes an important issue.

그러나, 승강장이나 지하철 차량 내부와 달리 터널은 그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터널에 승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적인 문제 뿐 아니라 비용적인 문제를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공기정화 설비의 구축이 곤란한 것이 사실이다.However, unlike the platform or the inside of a subway car, the tunnel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there are no passengers in the tunnel. Therefore, considering not only the space problem but also the cost problem, it is a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 air purification facility in reality.

따라서, 특별한 설비를 따로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터널과 같은 지하철 차량 외부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HVAC에 대한 유지관리 빈도가 줄어들 수 있도록 HVAC와 연계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일차적인 포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Therefore, even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of special facilities, it removes fine dust outside of subway vehicles such as tunnels, and can play a primary role of collecting fine dust in connection with HVAC so that the maintenance frequency of HVAC can be reduced. It is requested to find a way to make it possible.

한국등록특허 제10-0620060호(발명의 명칭: 철도 차량용 객실 공기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0060 (Name of invention: Ai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railroad vehicles) 한국등록특허 제10-1666460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미세먼지 필터링장치)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6460 (Name of invention: Fine dust filtering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차량 외부의 공기를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며, 지하철 차량이 운행만 한다면 기구적인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터널과 같은 별도의 공기정화 설비가 구축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imarily filter the air outside the subway vehicle, and to automatically purify the air according to a mechanical method if the subway vehicle is running. Therefore, it is to provide an HVAC-linked dust collection device that enables air purification even in places where no separate air purification facilities such as tunnels are establish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VAC 연계형 집진장치는, 지하철 차량의 외부 공기에 대해 미세먼지를 일차 포집하여 HVAC로 전달하며, 상기 지하철 차량이 이동하는 반대방향과 상기 지하철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함께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외부 공기에서 상기 제1 필터부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된 세정공기에 대해, 상기 HVAC로의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댐퍼부;를 포함한다.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ollects fine dust from the outside air of a subway vehicle first and delivers it to the HVAC, and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moves and the subway A first filter part provided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 together in the vehicle's inner direction; And a damper part provided to allow or block the inflow of the cleaning air into the HVAC from the outside air to the cleaning air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first filter part.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HVAC 연계형 집진장치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반대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판형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판형 가이드 부재의 절곡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포집 부재; 상기 제1 판형 가이드 부재의 후면이되 상기 HVAC 연계형 집진장치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측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판형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판형 가이드 부재의 절곡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포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filt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VAC-linked dust collecting device and formed by bending a horizontal cross section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opposite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llecting member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s that are rear surfaces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and are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so that a horizontal cross section is bent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inne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llecting member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가 상기 제1 포집 부재 및 상기 제2 포집 부재에 의해 포집된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 상기 낙하된 미세먼지를 집결시키기 위한 더스트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first coll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llecting member and then dropped by gravity, a dust box for collecting the fallen fine dus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댐퍼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세정공기를 추가 세정하기 위한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으로 포위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2 필터부에 의해 상기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Further, a second filter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damper unit for additional cleaning of the cleaning air, wherein the first filter unit is surrounded by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plurality of It may be provided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air through the opening, and the damper part may be provided not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air by the second filter part.

그리고, 상기 더스트박스는, 상기 집결된 미세먼지에 대한 처리를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해체작업을 하지 않아도 상기 HVAC 연계형 집진장치에서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box may be provided in a drawer type under the housing for treatment of the collected fine dust, and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without disassembling the housing.

이에 의해, 지하철 차량 내부나 승강장 대비 오염도가 높은 터널 내에서의 미세먼지에 대한 포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지하철 차량 내부와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llect fine dust inside a subway vehicle or in a tunnel having a high pollution level compared to a platform, so that fine dust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subway vehicle and the platform can be minimized.

또한, 지하철 차량에 집진장치가 마련되도록 하여 지하철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 집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에 별도의 추가적인 공기정화 설비를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터널 내의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subway vehicle so that dust collec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ile the subway vehicle is running, so that air purification in the tunnel can be performed even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air purification facility in the tunnel. .

뿐만 아니라, 기존의 HVAC와 연계하여 동작하되, HVAC에 앞서 일차적인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기구적인 구조로 포집을 실시함에 따라, HVAC에 대한 유지보수 빈도를 줄이고 유지보수 발생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HVAC, but the collection is carried out in a mechanical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separate maintenance, allowing the primary collection to take place prior to the HVAC, reducing the maintenance frequency of HVAC and maintena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urred cost.

도 1은 지하철 차량에 설치된 HVAC 시스템과 HVAC 시스템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집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VAC 연계형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터부의 구체적 형상과 이에 따른 미세먼지의 포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HVAC system installed in a subway vehicl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VAC system.
2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pecific shape of a first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of collecting fine dust according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allow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지하철 차량(10)에 설치된 HVAC 시스템(20)과 이러한 HVAC 시스템(20)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집진장치(30)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HVAC system 20 installed in a subway vehicle 10 and a dust collector 30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VAC system 20.

본 실시예에 따른 HVAC 시스템(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차량(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하철 차량(10)의 내부에 난방, 냉방, 통풍, 공기 정화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The HVAC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bove the subway vehicle 10 as shown, and is provided to perform heating, cooling, ventilation, air purification, etc. inside the subway vehicle 10. .

그러나 이러한 HVAC 시스템(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철 차량(10)의 내부의 공기 정화를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지하철 차량(10) 외부의 공기 정화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지하철 차량(10)이 터널과 같이 미세먼지의 오염도가 심한 지역을 거치는 관계상 HVAC 시스템(20) 자체에 대한 유지보수가 잦게 된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HVAC system 20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subway vehicle 10 and not used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the air outside the subway vehicle 10, and the subway vehicle 10 The HVAC system 20 itself is frequently maintained and repaired because it passes through an area with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of fine dust such as a tunnel.

이에 따라, 집진장치(30)는 HVAC 시스템(20)에 연계하여 동작하되, 지하철 차량(10)의 주행중에 지하철 차량(10) 외부에 대한 집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시철도의 시스템 전반에 대한 궁극적 미세먼지 해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차적으로 미세먼지가 세정된 공기를 HVAC 시스템(20)에 제공함으로써 HVAC 시스템(20)에서의 유지보수 빈도가 줄어들거나 유지보수 비용이 감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HVAC system 20, but by enabling dust collection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vehicle 10 while the subway vehicle 10 is runn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fine dust, and by primarily providing the air cleaned of the fine dust to the HVAC system 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frequency or the maintenance cost in the HVAC system 20.

뿐만 아니라, 집진장치(30)는 HVAC 시스템(20)과 달리 별도의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기구적인 방식에 따라 미세먼지를 집진하여 수거함으로써,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unlike the HVAC system 20, the dust collector 30 does not have a filter that requires a separate replacement, and collects and collects fine dust according to a mechanical method, thereby enabling permanent use.

이를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는 제1 필터부(100), 댐퍼부(200) 및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For this purpose,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100, a damper unit 200, and a housing 300.

제1 필터부(100)는 HVAC 시스템(20)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의 외부에 마련되어 지하철 차량(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마련되되, 지하철 차량(10)의 상부에서 양 측면에 하나씩 마련된다. 이러한 제1 필터부(100)는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또한,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되는 지하철 차량(10)의 내측방향으로도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first filter unit 100 is provided outside the frame 21 constituting the HVAC system 20 and is provid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vehicle 10,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from the top of the subway vehicle 10. It is prepared one by one. The first filter unit 100 allows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to be introduc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and, in addition, the subway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is also introduced into the vehicle 10 in the inner direction.

이와 같이 두 방향으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A state in which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in two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2.

제1 필터부(100)에는 댐퍼부(200)가 연결되는데, 제1 필터부(100)가 HVAC 시스템(20)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의 외부에 마련되는 반면, 댐퍼부(200)는 HVAC 시스템(20)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의 내부에 마련된다. A dampe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100. While the first filter unit 100 is provided outside the frame 21 constituting the HVAC system 20, the damper unit 200 is It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21 constituting the HVAC system 20.

즉, 댐퍼부(200)는 지하철 차량(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되며, HVAC 시스템(20)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의 내부에서 좌우측 하나씩의 제1 필터부(100)에 대응되도록 각각 좌우측에 하나씩 마련된다. That is, the damper unit 200 is provided in a state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bway vehicle 10, and in the first filter unit 100 on each left and right inside the frame 21 constituting the HVAC system 20 One is provided on each left and right to correspond.

이에 따라, 지하철 차량(10)의 외부 공기는 댐퍼부(200)로 직접 유입되지 않으며, 오로지 제1 필터부(100)를 경유한 후에 유입되게 된다. Accordingly, outside air of the subway vehicle 10 is not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damper unit 200, but is introduced only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100.

즉, 댐퍼부(200)는 외부 공기에서 제1 필터부(100)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된 세정공기에 대해, HVAC 시스템(20)으로의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That is, the damper unit 200 is provided to allow or block the inflow of the cleaning air into the HVAC system 20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air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first filter unit 100 from outside air.

하우징(300)은 HVAC 시스템(20)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의 외부를 덮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21)은 물론 제1 필터부(100)를 포위하여 덮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housing 300 serves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rame 21 constituting the HVAC system 20, and serves to surround and cover the frame 21 as well as the first filter unit 100.

그러나, 하우징(300)은 복수의 개구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제1 필터부(100)가 복수의 개구를 통해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However, the housing 300 is provided to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so that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lter unit 100 is directly exposed to external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is maintai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VAC 연계형 집진장치(3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으로서, 제1 필터부(100)의 부분 단면이 도시되도록 표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expressed so that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100 is shown.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필터부(100)와 댐퍼부(200)는 상호 연결된 상태로 마련되어, 제1 필터부(100)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1차적으로 세정되어 세정공기가 댐퍼부(200)로 유입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unit 100 and the damper unit 200 ar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unit 100 is primarily cleaned so that the cleaning air is transferred to the damper unit 200. Will flow into.

제1 필터부(100)는 복수의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와 복수의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s 120.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는 집진장치(30)의 전면에 마련되어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반대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는 집진장치(30)의 측면에 마련되어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되는 지하철 차량(10)의 내측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and provided so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bent in zigzag along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and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so that a horizontal section is bent in zigzag alo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bway vehicle 10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이러한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는 복수로 마련되어 각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 사이의 공간이 외부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이는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도 마찬가지이다. A plurality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110 are provid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110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passes, and this is the same for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이에 따라, 제1 필터부(100)는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또한,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되는 지하철 차량(10)의 내측방향으로도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filter unit 100 allows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to be introduc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and also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bway vehicle 10.

한편, 복수의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와 복수의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에는 외부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복수의 제1 포집 부재와 복수의 제2 포집 부재가 각각 연결된 상태가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1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s 120 are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collecting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llecting members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outside air.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3.

복수의 제1 포집 부재와 복수의 제2 포집 부재에 의해 포집된 미세먼지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더스트박스(400)로 집결되어 수거될 수 있다.The fine dust collec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collect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llecting members may fall by gravity and collect and collect in the dust box 400.

더스트박스(400)는 제1 필터부(100)의 하부 및 하우징(300)이 끝나는 지점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마련되어 하우징(300)에 대한 해체작업을 하지 않아도 하우징(300)이 그대로 연결된 상태에서 집진장치(3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게 된다. The dust box 400 is provided in a drawer type at the bottom of the first filter unit 100 and at the bottom of the point where the housing 300 ends, and collects dust while the housing 300 is connected as it is without disassembling the housing 300. It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evice 30.

한편, 집진장치(30)는 필요에 따라 제2 필터부(5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cond filter unit 500 as necessary.

제2 필터부(500)는 제1 필터부(100)와 댐퍼부(20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세정공기를 추가 세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The second filter part 5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er part 100 and the damper part 200 and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additionally cleaning the cleaning air.

뿐만 아니라, 제2 필터부(500)는 제1 필터부(100)와 댐퍼부(200)가 연결될 때, 연결상태가 온전하지 않아 충분한 기밀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외부 공기가 직접 댐퍼부(200)로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filter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unit 100 and the damper unit 200, the connection state is not intact, so that sufficient airtightness is not achieved, so that outside ai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amper unit 200 It can also be prepared for the purpose of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moving to.

한편, 댐퍼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10)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가 제1 필터부(100)를 통해 세정된 세정 공기 또는 제2 필터부(500)에 의해 추가 세정된 공기의 유입 여부 또는 유입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amper part 200 is provided with a wing part 210 as shown, and external air is additionally cleaned by the cleaning air cleaned through the first filter part 100 or the second filter part 500. It is provided so as to determine whether air is introduced or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air is intro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터부(100)의 구체적 형상과 이에 따른 미세먼지의 포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specific shape of the first filter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of collecting fine dust according thereto.

특히, 제1 필터부(100)를 구성하는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와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뿐 상호 동작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particular,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and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constituting the first filter unit 100 may have been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collect fine dust from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different directions. However, since the principle of mutual operation is the same, i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는 집진장치(30)의 전면에 마련되되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and is provided so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bent in zigzag alo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

이러한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의 절곡된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포집 부재(130)가 마련된다. A plurality of first collecting members 130 are provid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in a form that protrudes outward and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장치(30)의 측면에 마련되되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되는 지하철 차량(10)의 내측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 as described above, bu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bway vehicle 10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It is provided so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bent and formed in zigzag along the line.

이러한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의 절곡된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포집 부재(140)가 마련된다. A plurality of second collecting members 140 are provid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to protrude outward and b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이에 따라, 외부 공기는 지그재그의 유로를 형성하며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유로가 꺾여지는 부분마다 반대쪽으로 돌출된 포집 공간이 마련된에 따라, 미세먼지가 효과적으로 포집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outside air forms a zigzag flow path and enters the inside. In the process, as a collection space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is provided for each part where the flow path is bent, fine dust is effectively collected.

특히,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의 경우,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게 되므로, 지하철 차량(10)의 운행 속도가 빠른 구간에서 포집 효과가 극대화되게 되고, 이러한 운행 속도가 빠른 구간은 바로 터널 내부에 해당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since the horizontal section is bent in zigzag alo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the section in which the driving speed of the subway vehicle 10 is high The collection effect is maximized, and the section with such a high driving speed falls directly inside the tunnel.

즉, 제1 판형 가이드 부재(110)와 제1 포집 부재(130)는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맞바람치는 특성을 이용하여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면 자연스레 미세먼지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역할은 미세먼지 농도가 최정점을 이루는 터널 내에서 극대화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10 and the first collecting member 130 use the characteristic that the outside air meets during the movement of the subway vehicle 10, so that when the subway vehicle 10 moves, it is naturally fine dust. It plays a role to enable the collection of dust, and this role is maximized within the tunnel whe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at its peak.

또한, 제2 판형 가이드 부재(120)의 경우, 지하철 차량(10)이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되는 지하철 차량(10)의 내측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게 되므로, 지하철 차량(10)의 운행 속도가 느리거나 정차한 구간에서도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since the horizontal section is bent in zigzag alo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bway vehicle 10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10 moves, the subway vehicle 10 ) Is to be collected in a slow or stopped sec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하철 차량 20 : HVAC 시스템
21 : 프레임 30 : 집진장치
100 : 제1 필터부 110 : 제1 판형 가이드 부재
120 : 제2 판형 가이드 부재 130 : 제1 포집 부재
140 : 제2 포집 부재 200 : 댐퍼부
210 : 날개부 300 : 하우징
400 : 더스트박스 500 : 제2 필터부
10: subway car 20: HVAC system
21: frame 30: dust collector
100: first filter unit 110: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120: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130: first collecting member
140: second collecting member 200: damper portion
210: wing part 300: housing
400: dust box 500: second filter unit

Claims (5)

지하철 차량의 외부 공기에 대해 미세먼지를 일차 포집하여 HVAC로 전달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차량이 이동하는 반대방향과 상기 지하철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함께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외부 공기에서 상기 제1 필터부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된 세정공기에 대해, 상기 HVAC로의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
In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that first collects fine dust from the outside air of a subway vehicle and delivers it to the HVAC,
A first filter unit provided to allow the external air to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ubway vehicle moves an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bway vehicle; And
And a damper part provided to allow or block the inflow of the cleaning air into the HVAC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air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first filter part from the external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HVAC 연계형 집진장치의 전면에 마련되어 상기 반대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판형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판형 가이드 부재의 절곡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포집 부재;
상기 제1 판형 가이드 부재의 후면이되 상기 HVAC 연계형 집진장치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측방향을 따라 수평단면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판형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판형 가이드 부재의 절곡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포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ilter unit,
A plurality of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and formed by bending a horizontal cross section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opposite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llecting member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s that are rear surfaces of the first plate-shaped guide members and are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so that a horizontal cross section is bent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inner direction;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collecting member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plate-shaped guide member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가 상기 제1 포집 부재 및 상기 제2 포집 부재에 의해 포집된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 상기 낙하된 미세먼지를 집결시키기 위한 더스트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first coll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llecting member and then dropped by gravity, a dust box for collecting the dropped fine dust is further included.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댐퍼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세정공기를 추가 세정하기 위한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으로 포위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2 필터부에 의해 상기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econd filter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er part and the damper part for additional cleaning of the cleaning air;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filter unit is surrounded by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is provided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The damper unit HVAC-linked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o as not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ir by the second filter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박스는,
상기 집결된 미세먼지에 대한 처리를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해체작업을 하지 않아도 상기 HVAC 연계형 집진장치에서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AC 연계형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dust box,
HVAC-linked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drawer type under the housing for treatment of the collected fine dust, and is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HVAC-linked dust collector without disassembling the housing.
KR1020190149967A 2019-11-20 2019-11-20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KR102292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67A KR102292732B1 (en) 2019-11-20 2019-11-20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67A KR102292732B1 (en) 2019-11-20 2019-11-20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895A true KR20210061895A (en) 2021-05-28
KR102292732B1 KR102292732B1 (en) 2021-08-23

Family

ID=7614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67A KR102292732B1 (en) 2019-11-20 2019-11-20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73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0780A (en) * 2021-09-01 2021-11-23 郑州通源电气有限公司 Multifunctional box-type substation
KR20230005029A (en) * 2021-06-30 2023-01-09 세메스 주식회사 Buffer uni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un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60B1 (en) 2005-03-31 2006-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quality monitorring and com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2007030723A (en) * 2005-07-28 2007-02-08 Gac Corp Dampe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0725996B1 (en) * 2006-05-04 2007-06-08 주식회사 에어화인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KR101666460B1 (en) 2015-06-24 2016-10-14 주식회사 애니텍 Microscopic dust filt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684353B1 (en) * 2015-06-22 201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onpowered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60B1 (en) 2005-03-31 2006-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quality monitorring and com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2007030723A (en) * 2005-07-28 2007-02-08 Gac Corp Dampe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0725996B1 (en) * 2006-05-04 2007-06-08 주식회사 에어화인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KR101684353B1 (en) * 2015-06-22 201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onpowered dust collector
KR101666460B1 (en) 2015-06-24 2016-10-14 주식회사 애니텍 Microscopic dust filtering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029A (en) * 2021-06-30 2023-01-09 세메스 주식회사 Buffer uni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unit
CN113690780A (en) * 2021-09-01 2021-11-23 郑州通源电气有限公司 Multifunctional box-type substation
CN113690780B (en) * 2021-09-01 2024-04-09 郑州通源电气有限公司 Multifunctional box-type transformer sub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732B1 (en)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403B1 (en) Particulate Matter removal system of subway vent
KR101140386B1 (en)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tunnel
KR20210061895A (en)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KR102246264B1 (en) Dust collector which works in conjunction with air conditioner of train
KR20140050871A (en) Removal devi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for electric rolling stocks
KR101046939B1 (en) Subway air filter
KR101666460B1 (en) Microscopic dust filt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090094512A (en) Zero-power centrifugal de-dusting apparatus for subway tunnel
KR20080030987A (en) Naturally-pressured ventilation system for railroad carriage
KR101006169B1 (en) That is established to Subway station tunnel track remove installation
KR100757745B1 (en) Air cleaner with roll filter
KR101006166B1 (en) That is established to subway station rail track remove installation and the way
KR20190100673A (en) Vehicle fine dustreduction device
KR20090022066A (en)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trains
KR20160097896A (en) A cleaning appararus for rail
CN113498393B (en) Ventilation device for rail vehicle
KR102301320B1 (en) Bi-directional Nonpowered Dust Collec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CN204778193U (en) Elevator car purifier
CN204365056U (en) Vehicle-mounted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utomobile
KR101524200B1 (en) Train-vehic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KR101264373B1 (en) harmful gases remove filter change device of air purifier for electric car
CN206307038U (en) Tape jam diagnoses the motor car air handling system of mechanism
CN205227687U (en) Electric album of dirt air purification automatic control system
CN210640788U (en) Traction motor cooling and ventilating device for urban train
KR101725241B1 (en) Structure and Apparatus for Ventilation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