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716A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716A
KR20210060716A KR1020190147720A KR20190147720A KR20210060716A KR 20210060716 A KR20210060716 A KR 20210060716A KR 1020190147720 A KR1020190147720 A KR 1020190147720A KR 20190147720 A KR20190147720 A KR 20190147720A KR 20210060716 A KR20210060716 A KR 2021006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plate
dust
unit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1012B1 (en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012B1/en
Publication of KR2021006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80Cleaning the electrodes by gas or solid particle bl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to maximize spati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dust collector collects charged fine particles by charging polluted air. A dust collection unit collecting the charged fine particles by electrostatic force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spaced apart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neighboring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 first fixing part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a second fixing part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Both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Description

전기 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Electric dust collect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사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대용량의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rge-capacity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can be used in subway stations and the like.

최근 미세 먼지와 같이 대기 오염에 관한 문제가 크게 부각됨에 따라서 공기 청정기와 같은 가정용 공기 청정기가 널리 공급되고 있다. 가정용 또는 개인용 공기 청정기와 별도로 지하철 역사와 같이 공기가 쉽게 오염되는 공공 장소에도 대용량의 공기 정화 시스템이 설치된다. In recent years, as problems related to air pollution such as fine dust have emerged, household air purifiers such as air purifiers are widely supplied. Apart from air purifiers for home or personal use, large-capacity air purification systems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where air is easily polluted, such as subway stations.

현재, 지하철 역사의 공기 정화 시스템에는 필터를 통해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오염도가 높은 지하철 역사에서는 대용량의 필터가 아주 짧은 기간 내에 오염되어 필터 성능이 떨어져 공기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필터를 교체하는데 비용도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the air purification system of subway stations uses a method of filtering out dust or harmful substances through a filter. However, in subway stations with high pollution, large-capacity filters are contaminated within a very short period, resulting in poor filter performance, resulting in poor air purification efficiency. A problem ari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xpensive to replace the filter.

이에, 전기 집진 방식의 필터를 사용하되, 집진부의 일측에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미세입자를 집진판으로부터 이탈시키고 반대쪽 타측에서 이를 흡입하여 집진판에 집진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방식의 건식 세정 방법의 전기 집진기를 고려할 수가 있다. Thus, an electric dust collection filter is used, but a high-pressure gas is injected from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 separate the fine particles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side inhales them to remove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You can consider a dust collector.

전위차에 의해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는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집진판과 접지되거나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집진판을 교대로 복수 개 이격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집진판의 일단부는 복수의 고정슬롯을 포함하는 고정부에 장착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order to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charged by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lly arranged alternately with a first dust collector plate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dust collector plate to which a voltage of a different polarity is applied alternate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one end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mounted on a fix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slot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이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종래에는 복수의 제 1 집진판(10)을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12)가 제 1 집진판(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집진판(20)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22)가 반대쪽 타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 1 집진판(10)과 제 2 집진판(10)을 교대로 복수 개 이격 배치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제 1 고정부(12)와 제 2 고정부(12)가 각각 집진판(10, 20)의 양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제 1 고정부(10)와 제 2 고정부(20)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공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in the related art, a first fixing part 12 for fixing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20 The second fixing part 22 fixing) wa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owever, in this case, as the first fixing part 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0 and 20, respectively, the first fixing part 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0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space.

특히, 집진판(10, 20)의 말단부는 전하가 집중되기 때문에, 제 1 집진판(10)의 말단부와 제 2 고정부(22) 사이 및 제 2 집진판(20)의 말단부와 제 1 고정부(12) 사이는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하여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격을 두는 경우 집진판(10, 20)을 배치하는데 있어 공간의 효율성이 더욱 떨어지게 된다. Particularly, since electric charges are concentrat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0 and 20,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0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s 22 an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20 and the first fixing portions 12 ) Spaced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m to prevent sparks from occurring. When spaced apart in this way, space efficiency is further reduced in arranging the dust collecting plates 10 and 20.

지하철 등에 사용되는 대용량 전기 집진기의 경우 복수의 제 1 집진판(10)과 복수의 제 2 집진판(20)으로 이루어지는 집진부를 모듈화하여 모듈을 가로 및 세로로 배치시켜 집진부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 공간 효율의 문제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electric dust collectors used in subways, etc., a dust collecting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0 and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20 is modularized and the module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be used as a dust collecting unit. In this case, space efficiency Can become more importa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407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407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위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을 이격 배치시킬 때 제 1 집진판을 고정시키며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고정부와 제 2 집진판을 고정시키며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고정부를 모두 집진판의 일측에 배치시키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when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fixing part that fixes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s it.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precipitator capable of maximizing space efficiency by arranging all of the second fixing parts that fix th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 them to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집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며 병렬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집진판; 상기 제 1 집진판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제 1 집진판과 전위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집진판; 복수의 상기 제 1 집진판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고정부; 및 복수의 상기 제 2 집진판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는 모두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의 일측 같은 쪽에 배치되는 전기 집진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charged fine particles by charging contaminated air,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charged fine particles by electrostatic force, and a plurality of particles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1 dust collecting plate;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neighboring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 first fixing part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a second fixing part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and both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It can be achieved by an electric precipitator.

여기서, 상기 제 1 집진판은 평판 형태의 제 1 메인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 1 메인 플레이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기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집진판은 평판 형태의 제 2 메인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 2 메인 플레이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기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is formed of a first main plate portion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is in a flat plate shape.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second main plat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제 1 전기연결부는 상기 제 1 메인 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메인 플레이트부의 폭보다는 좁게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기연결부는 상기 제 2 메인 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 2 메인 플레이트부의 폭보다는 좁게 좌측 또는 우측 중 상기 제 1 전기연결부와 반대쪽 타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main plate part to one side of the left or the right side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main plate part,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At one end, the width of the second main plate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main plate and may be exten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전기연결부가 연장 형성되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기연결부가 삽입되어 제 1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정슬롯이 복수 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제 2 전기연결부가 연장 형성되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기연결부가 삽입되어 제 1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정슬롯이 복수 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fixing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extende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to form a plurality of fixing slots are formed spaced apart, the second fixing The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to be extended, and a plurality of fixing slo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by inserting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집진판과 상기 제 2 집진판을 내부에 수용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집진하는 집진 공간과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전기열결부와 상기 제 1 고정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기 연결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 공간을 분리시키는 차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mmodates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therein, and a chamber in which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And a dust collecting space for collecting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in the chamber, and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fixed therein, and the first electric heat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ixing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first fixing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2 It may include a shielding plate sepa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챔버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전기 연결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챔버;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집진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챔버와 결합하는 제 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가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결합할 때 사이에 개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chamber includes a first chamber having one side open and form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One side is open and forms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includes a second chamber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and the shield plate is between wh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e coupled through the open side. It can be interpos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차폐판에는 상기 제 1 집진판과 상기 제 2 집진판이 삽입되도록 하는 슬릿홀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sli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hielding plate.

여기서, 상기 전기 연결 공간 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형성하는 양압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for forming a pressure by supplying gas in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여기서, 상기 집진부의 일측에서 상기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입자를 향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고압 기체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의 타측에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에 의해 상기 집진부로부터 분리된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high-pressure gas from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ward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 suction unit configured to suck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by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at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여기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는 하전된 미세입자가 유입되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집진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hrough which charged fine particles are introduced, and the suction unit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so as to fac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여기서, 상기 흡입부는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와 상기 호퍼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각각 이동할 수 있다. Here, the suction unit includes a hopper, and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and the hopper may respectively move so as to be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는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may include a spray nozzl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in an up/down or left/right direction.

여기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기체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may include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gas to inject compressed ai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집진기에 따르면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 1 집진판 및 접지되는 복수의 제 2 집진판을 챔버 내의 일측에서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llowing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on plates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on plates to be groun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

또한, 집진부를 수용하는 챔버 내에 집진이 이루어지는 집진 공간과 집진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 공간을 차폐판을 통해 분리시킴으로써, 집진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미세 먼지에 의해 오염되어 화재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dust collection space where dust is collected in the chamber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hielding plate, the area where the dust collection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is contaminated by fine dust, causing a fire.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lve the problem.

또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집진의 방법으로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때문에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고압 기체 분사부와 흡입부를 이용하여 집진판에 집진된 미세입자를 저렴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fine particles are collected by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without using a filter, the cost of replacing the filter can be reduced, and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can be removed inexpensively and easily by using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and the suction unit.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being.

또한, 연성의 플라스틱 필름층에 카본을 코팅하여 집진판을 구성함으로써 집진판을 가볍고 저렴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ust collection plate can be constructed lightly and inexpensively by forming the dust collection plate by coating carbon on the flexible plastic film layer.

도 1은 종래의 집진판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고압 기체 분사부에서 집진판을 향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호퍼가 먼지를 흡입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서 집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제 1 집진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제 2 집진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와 도 10의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을 고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ust collecting plate.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unit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pressure gas is injected from a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toward a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pper of the suction unit sucks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in Fig. 5.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dust collecting unit in FIG. 2.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 in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in FIG. 7.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in FIG. 7.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of FIGS. 9 and 10 to a fixing unit.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 집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하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고압 기체 분사부에서 집진판을 향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호퍼가 먼지를 흡입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unit in FIG. 2, and FIG. 4 is a dust collecting plate in a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pressure gas is injected toward the air,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pper of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ales dust,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기는 하전부(110), 집진부(120), 고압 기체 분사부(130) 및 흡입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ging unit 110, a dust collecting unit 120, a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a suction unit 140.

하우징(100)은 오염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하전부(110), 고압 기체 분사부(130), 집진부(120), 흡입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압 기체 분사부(130)와 흡입부(14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으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압 기체 분사부(130)가 집진부(120)의 전방에 형성되고 흡입부(140)가 집진부(12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using 10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moves, and a charging unit 110, a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 dust collecting unit 120, and a suction unit 140 are arranged in order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 Can be.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the suction unit 140 may be changed to each other, but as shown,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is formed in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and the suction unit 140 It is preferable that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하전부(110)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설치되어 이온을 발생시켜,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도록 한다. 하전부(110)는 복수의 탄소섬유(116) 가닥으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115)와 상기 이온발생기(115)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harging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side where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to generate ions, thereby charging the fine particles in the contaminated air. The charging unit 110 may include an ion generator 115 made of a plurality of strands of carbon fibers 116 and a voltage application device 118 for applying a high voltage (current) to the ion generator 115.

상기 전압인가장치(118)에서 탄소섬유(116)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면 탄소섬유(116)에서 다량의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전압인가장치(118)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종류에 따라서 (+) 이온 또는 (-)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When a high voltage (current) is applied to the carbon fiber 116 in the voltage application device 118, a large amount of ions are generated in the carbon fiber 116. At this time, (+) ions or (-) ion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urrent applied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device 118.

상기 탄소섬유(116)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115)에 고전압(전류)를 인가하여 이온을 발생시킬 경우, 방전극과 이에 대응하는 접지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낮은 전압에서도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탄소섬유(116)는 전압(전류)을 인가하여 이온을 발생시킬 때 접지극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이 있고, 금속재질의 접지극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강산성의 환경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When generating ions by applying a high voltage (current) to the ion generator 115 made of the carbon fiber 116, a configuration in which ions are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generated by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corresponding ground electrode Compared with, 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ions even at a lower voltage, generation of ozone is suppressed and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In addition, the carbon fiber 116 has a feature that does not require a ground electrode when generating ions by applying a voltage (current), and has a feature that corrosion does not occur even in a strongly acidic environment by not including a ground electrode made of a metal material. .

이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전부(110)는 복수의 이온발생기(115)로 형성될 수가 있다. 세로 방향으로 긴 고정봉(114)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온발생기(115)를 고정시킬 수가 있고, 고정봉(114)의 내측을 통해 전압인가장치(118)로부터 각 이온발생기(115)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권선이 형성될 수가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charging unit 1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on generators 115. The ion generator 115 can be fixed to the long fixing rod 114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from the voltage application device 118 to each ion generator 115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ing rod 114. A supply winding can be formed.

이때, 상기 고정봉(114)이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됨에 따라서 오염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면 상에 복수의 이온발생기(115)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킬 수가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이온발생기(115)에 대하여 격판(112)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격판(112)이 형성하는 각각의 격실(113)로 분리시킬 수가 있으며, 각 격실(113) 내에 설치되는 이온발생기(115)에서 발생하는 이온에 의해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오염된 공기를 각각의 격실(113)에서 이온발생기(115)에서 발생하는 이온에 의해 하전시킴으로써, 미세입자의 하전 효율을 높여 집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In this case, as the plurality of fixing rods 114 ar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ion generators 115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 path surface through which contaminated air flow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by installing a diaphragm 112 for each ion generator 115, the incoming contaminated air can be separated into each compartment 113 formed by the diaphragm 112. In addition, air contaminated by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or 115 installed in each compartment 113 is charged. By charging the contaminated air by the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or 115 in each of the compartments 113,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fine particles can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집진부(120)는 하전부(110)에서 발생시킨 이온에 의해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판(122)에 집진시킨다.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collects fine particles charged by ions generated from the charging unit 110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by electrostatic force.

집진부(12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집진판(122)을 병렬로 이격 배열시키고, 이웃하는 집진판(122a, 122b)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정전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전된 입자는 정전기력에 의해 이동하여 집진판(122)에 포집될 수가 있다. 이때,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판(122)에 대하여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집진판(122a)과 접지 또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집진판(122b)을 교대로 배치시킴으로써, 이웃하는 집진판(122a, 112b)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정전기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generates an electrostatic forc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neighboring dust collecting plates 122a and 122b. Accordingly, the charged particles may be moved by electrostatic force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At this time, by alternately disposing a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arranged in parallel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to which a voltage of a ground or opposite polarity is applied, neighboring dust collecting plates ( By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122a and 112b), electrostatic force can be generated.

도 5에서는 복수의 집진판(122)이 가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나, 세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집진판(122)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화 한 것으로 집진판(122)의 개수 및 집진판(122) 사이의 간격은 실제와 다를 수가 있다. 5 shows that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y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 shown in FIGS. 5 and 7 are simplified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ber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and the spac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ones.

이때, 각 집진판(122)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필름층(1221) 및 코팅층(12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층(122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필름층(1221)의 양측면에는 카본으로 코팅된 코팅층(1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팅층(122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집진판(122)은 쉽게 구부러지는 연성을 가지며 아주 가볍게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 또는 CFRP 재질로 형성되는 집진판(122)과 비교하여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In this case, each dust collecting plate 122 may be formed of a film layer 1221 and a coating layer 1222 as shown in FIG. 6. The film layer 1221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a coating layer 1222 coated with carb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m layer 1221. Therefore,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ating layer 1222.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ductility that can be easily bent and can be constructed very lightly.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ust collecting plate 122 formed of a metal or CFRP material,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a very low price.

지하철 역사에 배치되는 전기 집진기의 경우 집진부(120)의 용량과 크기가 커서 집진판(122)의 개수가 아주 많을 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필름층(1221) 및 코팅층(1222)으로 구성되는 집진판(122)에 의해 가볍고 저렴하게 집진부(120)를 구성할 수가 있다. In the case of electric dust collectors disposed in subway stations, the number of dust collection plates 122 may be very large due to the large capacity and siz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20.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is composed of the film layer 1221 and the coating layer 1222. ),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lightly and inexpensively.

집진부(120)의 구성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고압 기체 분사부(130)는 집진부(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집진판(12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집진판(122)에 집진된 미세입자를 집진판(122)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한다.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to inject a high-pressure gas toward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 to separate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Let's do it.

본 발명에서는 고압의 기체를 생성시키기 위한 압축기(134)를 포함할 수가 있다. 즉, 팬 또는 블로어를 이용하는 경우 세정 효율이 아주 떨어지게 되므로, 압축기(134)를 이용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or 134 for generating a high-pressure gas may be included. That is, when a fan or a blower is used, the cleaning efficiency is very low, so it is necessary to inject a high-pressure gas using the compressor 134.

또한, 고압 기체 분사부(13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기체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기체의 유동을 형성하여 이탈된 미세입자를 집진부(12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고압 기체 분사부(130)에 의해 집진판(122)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미세입자는 집진부(120) 후방에 위치하는 흡입부(140)에 의해 흡입되어 처리될 수가 있다. In addition, the high-pressure gas injected from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forms a flow of ga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o move the separated fine particles to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The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by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moving backward may be sucked and processed by the suction unit 140 located behind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고압 기체 분사부(130)는 복수의 집진판(122)이 병렬로 배치되는 방향(도 5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압 기체 분사부(130)는 집진판(12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좌우로 이동하며 복수로 배치되는 집진판(122)에 대하여 고압 기체의 분사 처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are arranged in parallel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5 ). Accordingly,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moves to the left and right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and can perform injection treatment of the high-pressure gas o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또한,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집진판(122)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전면적에 대하여 고압 기체의 분사 처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injection treatment of the high-pressure gas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

나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압 기체 분사부(130)를 구성하는 분사 노즐(132)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후방과 전방에 대하여 고압의 기체가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여 집진판(122)의 전면적에 대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as shown in FIG. 4, by adjusting the injection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132 constituting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the high-pressure gas is evenly injected in the rear and fron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It is preferable to inject a high-pressure gas to the entire area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so as to be possible.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분사 노즐(132)이 하방을 향하는 각도를 작게하여 분사 노즐(132)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기체가 집진판(122)의 후방부에 도달하도록 하며,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분사 노즐(132)이 하방을 향하는 각도를 보다 크게하여 분사 노즐(132)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기체가 집진판(122)의 전방부에 도달하도록 하여, 전후방 방향으로 고압 기체가 골고루 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4, the angle in which the spray nozzle 132 faces downward is reduced so that the high-pressure gas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132 reaches the rea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and FIG. 4 As shown in (b) of, the angle in which the spray nozzle 132 faces downward is increased so that the high-pressure gas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132 reaches the front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can make the high-pressure gas reach evenly.

나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좌우 방향으로도 각도 조절을 하도록 하여 좌우 전면적에 대하여 고압 기체가 집진판(122)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고압 기체 분사부(130)를 집진판(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high-pressure gas can reach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entire areas. In this case, the same purpose can be achieved by moving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흡입부(140)는 집진부(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고압 기체 분사부(130)에 의해 집진판(122)으로부터 이탈시킨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제거한다. 흡입부(14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집진부(120)의 후방에서 집진판(122)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호퍼(142)와 음압을 형성하여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빨아들이는 음압 형성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The suction unit 140 is disposed behind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and sucks and removes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by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s shown in FIG. 2, the suction unit 140 forms a negative pressure with a hopper 142 arranged to be close to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from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20, and a negative pressure forming unit that sucks and sucks fine particles.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145).

이때, 상기 호퍼(14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부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는 챔버(200) 내 집진 공간(210)을 포함하도록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142)의 세로 방향 폭이 충분히 크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 미세입자의 일부는 호퍼(142) 내부로 흡입되지 않고 바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호퍼(142)의 폭(특히 도면에서 세로 방향의 폭)을 충분히 크게 형성함으로써 호퍼(142) 바깥으로 유출되는 미세입자의 양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In this case, the hopper 14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5,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 to include the dust collecting space 210 in the chamber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pper 142 is not formed sufficiently large, some of the fine particles may not be sucked into the hopper 142 and may move outwar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width of the hopper 142 (especially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sufficiently large,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flowing out of the hopper 142 can be minimized.

이때, 도 5에서 호퍼(142)의 단부를 집진부(120)의 후방 전면을 수용하도록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지하철 역사에 사용되는 집진부(120)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호퍼(142)의 크기를 크게 만드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퍼(142)의 단부를 적어도 세로 방향으로는 챔버(200) 내 집진 공간(210)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되, 호퍼(142)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진부(120) 후방의 전면에 대하여 흡입 처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In this case, the end of the hopper 142 in FIG. 5 may be formed to be large to accommodate the rear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but the size of the hopper 142 is increased because the siz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used in the subway station is large. There are limitations in making it.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end of the hopper 142 is formed to include the dust collection space 210 in the chamber 200 at least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by configuring the hopper 142 to move left and right The suc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이때, 고압 기체 분사부(130)와 흡입부(14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고압 기체 분사부(130)와 흡입부(140)를 각각 이동시키며 집진부(120)의 전면적에 대하여 미세입자를 흡입시킬 수가 있다. At this tim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the suction unit 140 mov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the suction unit 140 respectively so that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the suction unit 140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collect fine particles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It can be inhaled.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로 전술한 집진부(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dust collect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도 7은 도 2에서 집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차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제 1 집진판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서 제 2 집진판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와 도 10의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을 고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이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art in FIG. 2,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ielding part in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in FIG. 7,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in FIG. 7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of FIGS. 9 and 10 to a fixing unit,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집진판(122a)과 접지되거나 제 1 집진판(122a)과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집진판(122b)이 병렬로 서로 교대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되어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22a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to which a voltage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is applied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은 챔버(200) 내에 수용된다. 이때 챔버(200) 내에 형성된 차폐판(205)에 의해 집진 공간(210)과 전기 연결 공간(220)으로 챔버(200) 내부의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are accommodated in the chamber 200. In this case, the space inside the chamber 200 may be partitioned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2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by the shielding plate 205 formed in the chamber 200.

본 발명에서 챔버(200)는 제 1 챔버(201)와 제 2 챔버(202)로 분리될 수가 있는데, 제 1 챔버(201)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기 연결 공간(220)을 형성하고, 제 2 챔버(202)는 제 1 챔버(201)와 마찬가지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집진 공간(210)을 형성한다. 따라서, 양 챔버(201, 202)의 개방된 일측을 맞대어서 볼트(208)로 체결시킴으로써 집진판(122)을 내부에 수용하는 챔버(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 1 챔버(201)와 제 2 챔버(202)가 결합할 때 사이에 차폐판(205)을 개재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챔버(200) 내 공간을 전기 연결 공간(220)과 집진 공간(210)으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2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201 and a second chamber 202,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201 is open and 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and Like the first chamber 201, the second chamber 202 has one side open and forms a dust collection space 210. Accordingly, the chamber 200 for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may be configured by facing the open side of both chambers 201 and 202 and fastening them with bolts 208.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posing the shielding plate 205 between when the first chamber 201 and the second chamber 202 are coupled, the space inside the cha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It can be separated into space 210.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차폐판(205)에는 제 1 챔버(201)와 제 2 챔버(202)가 결합할 때 볼트(208)가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홀(206)이 형성되며,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집진판(122)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사각 슬릿 형상의 관통하는 복수 개의 슬릿홀(207)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8, the shielding plate 20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206 through which the bolts 208 pass when the first chamber 201 and the second chamber 202 are coupled. A plurality of slit holes 207 penetrating through a square slit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본 발명에서 제 1 집진판(122a)의 일단부에는 고정슬롯(129)에 삽입되어 제 1 집진판(122a)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전기연결부(1226a)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집진판(122b)의 일단부에도 고정슬롯(129)에 삽입되어 제 2 집진판(122b)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전기연결부(1226b)가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t one end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a is formed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slot 129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to the outside, and similarly,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 At one end of 122b), a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226b is formed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slot 129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to the outside.

따라서,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이 슬릿홀(207)에 삽입될 때, 상단부의 제 1 전기연결부(1226a)와 제 2 전기연결부(1226b)는 상부의 전기 연결 공간(220)에 위치하게 되고,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 사이에 전기가 공급되어 전위차에 의한 정전기력으로 도 5의 지면 전방에 형성된 유입구(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시키도록 하는 제 1 메인 플레이트부(1225a)와 제 2 메인 플레이트부(1225b)는 챔버(200) 내 집진 공간(210)에 위치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are inserted into the slit hole 207, the first electric connection part 1226a and the second electric connection part 1226b at the upper end are formed in the upper electric connection space ( 220), and electricity is suppli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and charged fine particles flowing from the inlet (not shown) formed in front of the paper in FIG. 5 by electrostatic force caused by a potential difference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1225a and the second main plate portion 1225b for collecting dust are locat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210 in the chamber 20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폐판(205)에 의해 집진 공간(210) 내에 있는 미세입자가 전기 연결 공간(2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가 있다. 집진판(122)의 세정 과정에서 고압 기체 분사부(130)에 의해 집진판(122)으로부터 분리된 미세입자는 집진판(122)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위에 쌓여서 오염시킬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폐판(205)에 의해 집진판(122)을 수용하는 챔버(200) 내부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이를 차단시킬 수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microparticles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210 from flowing in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by the shielding plate 205. In the cleaning process of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the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by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may accumulate and contaminate the area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to the outside. By separ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200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by the plate 205, it can be block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기 연결 공간(220) 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 형성부(150)가 형성되어, 전기 연결 공간(220) 내의 압력에 의해 차폐판(205)에 형성된 슬릿홀(207)과 집진판(122) 사이의 미세 틈으로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것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ve pressure forming part 150 for supplying gas in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to form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and a slit hole formed in the shielding plate 205 by the pressur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 It is also possible to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fine dust into the fine gap between the 207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챔버(200) 내에는 복수의 집진판(1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차폐판(205)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슬릿홀이 형성된 간격유지부(203)가 형성될 수가 있다. In the chamber 200, a gap maintaining portion 203 in which a plurality of slit holes are formed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hielding plate 205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집진판(122a)의 제 1 전기연결부(1226a)와 제 2 집진판(122b)의 제 2 전기연결부(1226b)가 모두 챔버(200)의 일측에 배치된다. 즉, 챔버(200) 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차폐판(205)을 형성하여, 상부 측에는 제 1 집진판(122a)의 제 1 전기연결부(1226a)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형성하고 하부 측에는 제 2 집진판(122b)의 제 2 전기연결부(1226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챔버(200) 내 상부에 단일의 차폐판(205)을 형성하고 제 1 집진판(122a)의 제 1 전기연결부(1226a)와 제 2 집진판(122b)의 제 2 전기연결부(1226b)가 모두 챔버(200) 내 일측의 전기 연결 공간(220)에서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에 대하여 챔버(200) 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기 연결 공간(220)을 형성하는 경우 대비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1226a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1226b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hamber 200. That is, a shielding plate 205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amber 20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 1226a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a is formed at the lower side. Instead of forming a configuration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1226b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b, a single shielding plate 205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200,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is forme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a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b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are bo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on one side of the chamber 200.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amber 200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122a and 122b.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 1 집진판(122a)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메인 플레이트부(1225a)와 제 1 메인 플레이트부(1225a)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전기연결부(1226a)로 형성되는데, 제 1 전기연결부(1226a)는 직사각 형상의 제 1 메인 플레이트부(1225a)의 상단에서 제 1 메인 플레이트부(1225a)의 폭 보다는 좁게 좌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is formed of a first main plate part 1225a and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a extending from the first main plate part 1225a as shown in FIG. 9. However,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1226a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eft side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1225a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1225a having a rectangular shape.

마찬가지로 제 2 집진판(122b)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집진판(122a)과 마찬가지로 제 2 메인 플레이트부(1225b)와 제 2 전기연결부(1226b)로 형성되는데, 제 1 집진판(122a)과는 반대로 제 2 메인 플레이트부(1225b)의 폭 보다는 좁게 우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제 1 집진판(122a)과 복수의 제 2 집진판(122b)을 전술한 바와 같이 교대로 번갈아가며 이격 배치시켰을 때, 집진판(122)의 상단부에서 제 1 전기연결부(1226a)는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 2 전기연결부(1226b)는 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없거나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Similarly,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is formed of a second main plate part 1225b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b, similar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Contrary to ), it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right side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main plate portion 1225b. That is,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22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122b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In the first electrical connector 1226a is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or 1226b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there is no overlapping area or the overlapping area is minimized when viewed from the side.

이때, 제 1 집진판(122a)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제 1 집진판(122a)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고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제 1 고정부(128a)가 형성되는데,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고정부(128a)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는 집진판(122)의 배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판 부재에 제 1 전기연결부(1226a)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고정슬롯(129)이 복수 개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슬롯(129) 사이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1 고정부(128a)에 고전압을 공급시키는 구성으로 복수의 제 1 집진판(122a)에 대하여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시킬 수가 있다. At this time, a first fixing part 128a for applying a high voltage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22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Likewise, the first fixing part 128a is a fixing slot 129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y inserting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a into a plate member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width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 dispos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 Is formed apart from a plurality of. Therefore, by configuring to electrically connect all between the plurality of fixing slots 129, a high voltage can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22a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a high voltage is supplied to the first fixing part 128a. .

고정슬롯(129)은 판 부재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블록(1291)과 고정블록(1291)의 인접한 곳에서 전기연결부(1266a, 1266b)가 삽입될 때 옆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탄성 플레이트(1292)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1292)를 전도성 재질로 형성하여 고정블록(1291)과 탄성 플레이트(1292) 사이에 전기연결부(1266a, 1266b)가 삽입되어 고정될 때 탄성 플레이트(1292)와 접하는 전기연결부(1266a, 1266b)를 탄성 플레이트(1292)를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가 있다. The fixing slot 129 is formed to protrude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laterally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s 1266a and 1266b are inserted adjacent to the fixing block 1291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plate member and the fixing block 1291.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plate 1292, and when the elastic plate 1292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electrical connectors 1266a and 1266b are inserted between the fixing block 1291 and the elastic plate 1292 to be fixed, the elastic plate (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s 1266a and 1266b in contact with the 129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astic plate 1292.

제 2 집진판(122b)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 2 고정부(128b)의 구성은 제 1 고정부(128a)의 구성과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128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128a.

이때, 제 1 고정부(128a)는 상기 전기 연결 공간(220) 내에서 좌측에 배치시키고, 제 2 고정부(128b)는 상기 전기 연결 공간(220) 내에서 우측에 배치시키도록 하여, 제 1 고정부(128a)와 제 2 고정부(128b) 사이에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전기연결부(1226a)는 제 1 집진판(122a)의 상단 좌측에 돌출 연장되도록 하고, 제 2 전기연결부(1226b)는 제 2 집진판(122b)의 상단 우측에 돌출 연장되도록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며 이격시킴으로써,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 사이에 물리적 간섭 및 전기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art 128a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8b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so that the firs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xing portion (128a)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28b). Furth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a protrudes from the upper left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1226b is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By minimizing and spaced apart portions overlapping each oth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right of the top, it is possible to minimize physical interference and electr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참고로, 도 11 및 도 12에는 차폐판(205)의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plate 205 is not shown in FIGS. 11 and 12.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will be described.

하우징(100)의 유입구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면 하전부(110)에서 생성되는 이온에 의해 미세입자가 하전될 수가 있다. 이때, 탄소섬유(116) 가닥으로 구성되는 이온발생기(115)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는 방법으로 이온을 발생시킬 수가 있는데,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킬 수가 있고, 오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When contaminated air flows into the inlet of the housing 100, the fine particles may be charged by ions generated by the charging unit 110. At this time, ions can be generated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ion generator 115 composed of strands of carbon fibers 116, and a large amount of ions can be generated at a relatively low voltage, and ozone generation can be minimized. have.

이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동면에 대하여 복수의 이온발생기(115)를 이격 배치시키고, 각각의 이온발생기(115)를 격판(112)을 이용하여 격실(113)로 분리시켜 미세입자의 하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ion generators 115 are spaced apart from the flow surface, and each ion generator 115 is separated into a compartment 113 using a diaphragm 112 to obtain fine particl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harging efficiency of.

하전된 미세입자는 후방의 집진부(120)로 이동하게 되는데, 복수의 집진판(122)이 병렬로 이격 배치되는 이웃하는 집진판(122a, 122b)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정전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하전된 미세입자는 이동하여 집진판(122)에 포집될 수가 있다. The charged fine particles move to the rear dust collecting part 120, and charged fine particles by generating an electrostatic force by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neighboring dust collecting plates 122a and 122b in which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22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May be moved and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이와 같이 소정의 시간 동안 전기 집진에 의해 먼지를 포집한 이후에 집진판(122)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are removed after dust is collected by electric dust colle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때, 집진판(122a)에 인가되는 전압을 중단시키고, 집진부(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고압 기체 분사부(130)와 흡입부(140)를 위치시킨다. 이때, 고압 기체 분사부(130) 또는 흡입부(140)는 상시적으로 집진부(1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고, 집진판(122)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할 때에만 집진부(120)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voltage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a is stopped, and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the suction unit 140 are positioned in front and rea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or the suction unit 140 may be located in front and rea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at all times, and only when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are removed,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front and rear.

고압 기체 분사부(130)는 집진판(12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집진판(122)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집진판(122)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유동을 형성하여 이탈된 미세입자를 집진부(12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집진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흡입부(140)는 음압에 의해 상기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처리하게 된다.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injects high-pressure gas toward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on plates 122 to separate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from the dust collection plate 122 and form a flow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separated fine particles are moved to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At this time, the suction unit 140 located at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sucks and processes the fine particles by negative pressure.

이때, 고압 기체 분사부(130)와 흡입부(14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이동하며 미세입자를 처리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and the suction unit 140 may move so as to be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o process fine particles.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흡입부(140)를 구성하는 호퍼(142)는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체 집진판(122)에 대하여 미세입자를 포집하게 되는데, 이때 고압 기체 분사부(130)는 호퍼(142)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집진판(12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고압 기체를 분사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hopper 142 constituting the suction unit 140 mov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collects fine particle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ust collecting plate 122, at this tim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0 Move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hopper 142 and injects high-pressure gas toward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

이때, 본 발명에서는 차폐판(205)에 의해 집진판(122)을 수용하는 챔버(200) 내부를 집진 공간(210)과 전기 연결 공간(220)으로 분리시키기 때문에, 집진판(122)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 연결 부위가 미세 먼지에 의해 오염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ior of the chamber 200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is separated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2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220 by the shielding plate 205, the dust collecting plate 122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ire due to contamin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that is connected by means of fine dust.

또한, 제 1 집진판(122a)과 제 2 집진판(122b)을 각각 고정시키며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고정부(128a)와 제 2 고정부(128b)를 모두 집진판(122a, 122b)의 일측의 같은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both the first fixing part 128a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8b, which respectively fix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b, are the same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22a and 122b. Spac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y placing it in a loca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ranges that can be modified.

100: 하우징
110: 하전부
112: 격판
113: 격실
114: 고정봉
115: 이온발생기
116: 탄소섬유
118: 전압인가장치
120: 집진부
122: 집진판
122a: 제 1 집진판
122b: 제 2 집진판
1221: 필름층
1222: 코팅층
1225a: 제 1 메인 플레이트부
1225b: 제 2 메인 플레이트부
1226a: 제 1 전기연결부
1226b: 제 2 전기연결부
128a: 제 1 고정부
128b: 제 2 고정부
129: 고정슬롯
1291: 고정블록
1292: 탄성 플레이트
130: 고압 기체 분사부
132: 분사 노즐
134: 압축기
140: 흡입부
142: 호퍼
145: 음압 형성부
150: 양압 형성부
200: 챔버
201: 제 1 챔버
202: 제 2 챔버
203: 간격 유지부
205: 차폐판
206: 나사홀
207: 슬릿홀
208: 볼트
210: 집진 공간
220: 전기 연결 공간
100: housing
110: electric charge
112: plate
113: compartment
114: fixed rod
115: ion generator
116: carbon fiber
118: voltage application device
120: dust collecting unit
122: dust collecting plate
122a: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22b: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21: film layer
1222: coating layer
1225a: first main plate portion
1225b: second main plate portion
1226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1226b: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128a: first fixing part
128b: second fixing part
129: fixed slot
1291: fixed block
1292: elastic plate
130: high pressure gas injection unit
132: spray nozzle
134: compressor
140: suction unit
142: hopper
145: negative pressure forming part
150: posi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200: chamber
201: first chamber
202: second chamber
203: gap maintaining unit
205: shielding plate
206: screw hole
207: slit hole
208: bolt
210: dust collection space
220: electrical connection space

Claims (13)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집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며 병렬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집진판;
상기 제 1 집진판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제 1 집진판과 전위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집진판;
복수의 상기 제 1 집진판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고정부; 및
복수의 상기 제 2 집진판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는 모두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의 일측 같은 쪽에 배치되는 전기 집진기.
In an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collects charged fine particles by charging contaminated air,
The dust collecting part that collects charged fine particles with electrostatic force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neighboring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 first fixing part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nd
And a second fixing part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are both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or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진판은 평판 형태의 제 1 메인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 1 메인 플레이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기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집진판은 평판 형태의 제 2 메인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 2 메인 플레이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기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is composed of a first main plate portion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econd dust collector includes a second main plate portion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main plate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연결부는 상기 제 1 메인 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메인 플레이트부의 폭보다는 좁게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기연결부는 상기 제 2 메인 플레이트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 2 메인 플레이트부의 폭보다는 좁게 좌측 또는 우측 중 상기 제 1 전기연결부와 반대쪽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eft or the right side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main plate portion,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is an electric dust collecto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plate part to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main plate 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전기연결부가 연장 형성되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기연결부가 삽입되어 제 1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정슬롯이 복수 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제 2 전기연결부가 연장 형성되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기연결부가 삽입되어 제 1 집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정슬롯이 복수 개 이격 형성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fixing par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extending, and a plurality of fixing slo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by inserting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extending,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 dust collector having a plurality of fixed slots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집진판과 상기 제 2 집진판을 내부에 수용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집진하는 집진 공간과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전기열결부와 상기 제 1 고정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기 연결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 공간을 분리시키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dust collecting unit
A chamber accommoda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dust collecting space for collecting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in the chamber,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fixed therein, the first electric heat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ixing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seco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comprising a shield plate separating an electric connection space to which an electric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전기 연결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챔버;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집진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챔버와 결합하는 제 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가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결합할 때 사이에 개제되어 고정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hamber is
A first chamber having one side open and form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One side is open and forms the dust collecting space, and includes a second chamber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The shielding plate is an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is interpos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when they are coupled through an open s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상기 제 1 집진판과 상기 제 2 집진판이 삽입되도록 하는 슬릿홀이 형성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5,
An electric dust collector in which a sli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shielding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 공간 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형성하는 양압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5,
An electric dust collector further comprising a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configured to supply gas in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pace to form a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일측에서 상기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입자를 향하여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고압 기체 분사부; 및
상기 집진부의 타측에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에 의해 상기 집진부로부터 분리된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1,
A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high-pressure gas from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ward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unit configured to suck fin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by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at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는 하전된 미세입자가 유입되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집진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hrough which charged fine particles are introduced, and the su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so as to face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와 상기 호퍼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각각 이동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ction unit includes a hopper,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and the hopper are electric dust collectors respectively moving so that they are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는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electric dust collector including a spray nozzl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체 분사부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기체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ic dust collector includ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gas so that the high-pressure gas injection unit injects compressed air.
KR1020190147720A 2019-11-18 2019-11-18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331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20A KR102331012B1 (en) 2019-11-18 2019-11-18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20A KR102331012B1 (en) 2019-11-18 2019-11-18 Electrostatic precipit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16A true KR20210060716A (en) 2021-05-27
KR102331012B1 KR102331012B1 (en) 2021-11-29

Family

ID=7613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20A KR102331012B1 (en) 2019-11-18 2019-11-18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0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299B1 (en) 2022-10-14 2023-06-1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Plate Clean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500A (en) * 1995-02-20 1996-09-03 Daido Steel Co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H1142442A (en) * 1997-07-28 1999-02-16 Kawasaki Heavy Ind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1087676A (en) * 1999-09-27 2001-04-0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ethod for cleaning dry electric dust collector and cleaning device
JP2008296127A (en) * 2007-05-31 2008-12-11 Kitanihon Mizushori:Kk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10014076A (en)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에이앤이 Reusable air filter
KR20190055922A (en) * 2017-11-16 2019-05-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llector for electric precipit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500A (en) * 1995-02-20 1996-09-03 Daido Steel Co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H1142442A (en) * 1997-07-28 1999-02-16 Kawasaki Heavy Ind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1087676A (en) * 1999-09-27 2001-04-0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ethod for cleaning dry electric dust collector and cleaning device
JP2008296127A (en) * 2007-05-31 2008-12-11 Kitanihon Mizushori:Kk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10014076A (en)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에이앤이 Reusable air filter
KR20190055922A (en) * 2017-11-16 2019-05-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llector for electric precipi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012B1 (en)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176B1 (en) System for air cleaning in subway station
KR920004208B1 (en) Dust collector for a air cleaner
KR100859840B1 (en) Air cleaning device
KR101651034B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air purification system comprising it
CN103313795B (en) Use the induction type precipitator of many intersection pin ion generators
KR100724556B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62266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722863B1 (en) Collector cell unit for electric precipitator
KR101957095B1 (en) Small-sized air purifier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ion function
KR101082713B1 (en) Dust collector
KR102331015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331012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30886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00093809A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carbon fiber woven fabrics
KR20110046419A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carbon fiber woven fabrics
JP2015066509A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0989875B1 (en) Electrostatic air cleaning device with an ion spray
KR20150027430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10994794U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assembly and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549600B1 (en) Harmful nano-aerosol removal apparatus
KR20140100819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30115765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easily replaceable collection plates
KR20180007766A (e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KR10240774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11359779A (en) Electric purification assembly and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