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144A -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144A
KR20210059144A KR1020190146037A KR20190146037A KR20210059144A KR 20210059144 A KR20210059144 A KR 20210059144A KR 1020190146037 A KR1020190146037 A KR 1020190146037A KR 20190146037 A KR20190146037 A KR 20190146037A KR 20210059144 A KR20210059144 A KR 2021005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loss
hair
hair growth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135B1 (ko
Inventor
주형률
Original Assignee
주형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률 filed Critical 주형률
Priority to KR102019014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1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에 작용하고,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탈모 방지 및 발모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개암 추출물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tract of Corylus heterophylla and Helianthus tuberos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 발달에 따른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모든 연령층에서 탈모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성별에 관계없이 그 연령층마저 갈수록 낮아지면서 탈모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탈모 증상은 누구에게나 심한 스트레스를 줄뿐만 아니라 외적 내적 자신감을 잃게 한다. 탈모는 초기에 진단하여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전적 탈모의 원인과 후천성 탈모의 원인이 복합되면 탈모증상은 더욱 심하게 나타나므로 초기에 진단하여 예방하는 것이 좋다.
모발은 모낭에서 형성되고, 모낭은 내모근초(inner root sheath), 외모근초(outer root sheath), 모간(hair shaft), 모기질세포(hair matrix) 등으로 구성되며,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낭형성 능력과 직결되어 모낭형성에 있어서 핵심기능을 하므로 모유두세포가 없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모낭을 형성하지 못한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일반적으로 유전, 노화, 과도한 스트레스, 남성호르몬 과다분비로 인한 DHT(dihydrotestosterone) 생성, 내분비 계통의 질환, 약물 사용, 예민성 두피, 지루성 두피, 거의 매일 사용하는 합성계면활성제(synthetic surfactant)의 사용, 파마, 염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경오염, 부적절한 식습관과 식생활의 서구화, 음주와 흡연, 수면 부족, 영양 불균형 그리고 과도한 다이어트 등도 탈모의 원인으로 거론된다.
이와 같은 탈모를 방지하고, 진행된 탈모를 개선시키기 위해, 등록특허 제2003606호와 같이 미녹시딜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개선용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921246호와 같이 피나스테리드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으나, 미녹시딜이나 피나스테리드는 효과가 미미하거나 사람마다 편차가 심하고, 부작용이 있어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며, 안정성이 뛰어난 안전성이 뛰어난 안전성이 뛰어난 탈모 방지제, 양모제, 육모제, 발모제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두피에 작용하고,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탈모 방지 및 발모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암 추출물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암 및 국우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두피에서 DHT 호르몬, 코티졸 호르몬의 생성을 감소시켜, 탈모 방지, 양모, 육모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발의 굵기 및 모발의 밀도 역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을 주지 않으면서 탈모 방지, 양모, 육모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적용한 두피와 적용하지 않은 두피에서의 모발 굵기 변화 및 모발 밀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 두피에서의 호르몬 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 타액(saliva)내의 호르몬 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적인 모발의 성장은 모낭(hair follicle)의 활동과 세포분열이 활발해 모발이 성장하는 생장기(anagen), 모낭의 성장활동이 정지되고 급속도로 위축되는 퇴행기(catagen), 모낭의 세포 활동이 완전히 소멸된 휴지기(telogen)의 주기인,모주기(hair cycle)에 따라 생성 및 소멸을 반복한다.
한편, 테스토스테론은 5α-환원효소(5α-reductase)의 작용에 의해 모낭(hair follicle)에서 활성이 높은DHT(Dihydrotestosterone)로 환원되는데, 환원된 DHT는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모낭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지연시켜 모낭의 생장기를 단축시키고, 모기질(hair matrix) 세포의 분열을 억제시키며, 모낭을 위축시켜 탈모를 야기시킨다.
상기 5α-환원효소는 2종류(제1형, 제2형)의 동종효소가 있으며 두 가지 모두 테스토스테론을 DHT로 변화시키는 효소이다. 제1형은 피지선, 표피, 모낭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 모유두세포, 땀샘에 주로 분포하며, 제2형은 두피 모낭의 모근초(root sheaths), 부고환, 정관, 정낭(seminal vesicle), 전립선, 태아 생식기의 피부에 주로 분포한다.
따라서, 상기 5α-환원효소의동종효소들을 억제하면 안드로겐 탈모(androgenic alopecia)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즉, 제2형 5α-환원효소가 선천적으로 결핍된 사람에서는 안드로겐 탈모가 발생되지 않거나 앞 이마선이 뒤로 조금 후퇴하는 정도가 된다. 그러나, 탈모 환자들의 모낭에는 5α-환원효소의 활성도가 높고, 이로 인해 직접적인 탈모가 발생된다.
또한, 탈모는 코티졸(cortisol)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한다. 코티졸은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스트레스 상태에 관여한다. 코티졸 수치가 높다는 것은 스트레스 상태가 높다는 것이며, 수치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스트레스 상황에 덜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스트레스 상태에서 인체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되며 모발도 그에 따라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탈모든 스트레스에 그 영향을 받기 마련이고,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발모주기 중 성장기에서 퇴행기 및 휴지기로 이행을 촉진시키는 물질인 TGF-ß1(Transforming growth factor-ß1)의 활성량도 증가한다.
즉, DHT와 코티졸의 증가는 탈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상기 DHT 및 코티졸의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 탈모를 예방하거나, 양모, 육모 및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명세서는 천연 물질들을 사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DHT 및 코티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우수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개암 추출물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1 혼합물이 상기 개암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국우 추출물을 1 내지 3의 중량부로 포함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혼합물은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켜 항산화 및 항노화물질로 사용되는 퀘세틴(quercetin)을 주요 성분으로 가지고 있는 개암을 사용하며,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식물성 물질 가운데 천연 인슐린으로 불리는 이눌린(inulin)을 15% 이상 함유하고 있는 국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암(Corylusheterophylla)의 주요 성분은 지방산(fatty acid)으로 퀘세틴(quercetin)계 배당체이다. 상기 퀘세틴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s)의 일종으로 항염증, 항알러지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를 막는 항산화 작용을 하고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혈액 점도를 낮춰 피를 맑게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양을 줄여주며 심혈관 질환 및 뇌혈관 질환,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준다. 개암은 택솔(Taxol)이라는 천연 항암(natural anticancer) 물질도 함유하고 있어 각종 암치료와 예방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개암은 피부의 보습과 탄력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개암의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는 알려진 바 없다.
상기 개암 추출물은 개암나무의 잎, 줄기 또는 뿌리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암나무의 열매를 이용한 추출물이다.
나아가, 국우(Helianthus tuberosus의 뿌리)는 면역기능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비타민B2, 당 대사에 영향을 주는 비타민C, 나이아신(niacin, 비타민B3) 등의 비타민, 단백질, 당질, 미네랄, 칼륨이 풍부하다. 또한 국우에는 과당, 글루코스(glucose)가 미량 포함되어 있고,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 변비에 효과가 있다. 국우에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Phenolic compounds), 안토시아닌(anthocyanin), 카르티노이드(carotenoid) 등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다. 특히 국우에는 칼로리가 낮은 다당류인 이눌린(inulin)이 함유되어 있어 혈당치를 상승시키지 않는 천연 인슐린(natural insulin)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국우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는 알려진 바 없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제2 혼합물이 상기 골든베리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퀴노아 추출물, 백작약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1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든베리(Physalis Peruviana)는 식물성 스테롤(sterol)이자 프로비타민D인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고 있으며, 콜레스테롤 축적에 의한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성 질환, 당뇨병에 널리 쓰인다. 베타시토스테롤은 상처 치유, 염증의 제거에 유익하며, 잇몸 질환, 충치예방, 전립선비대증, 탈모 등에도 도움을 준다.
퀴노아(Chenopodium quinoa)는 베타인(betaine)이 풍부하고 곡류 중에서도 칼륨, 비타민E, 라이신(lysine), 사포닌(saponin) 함유량이 높다. 퀴노아의 라이신은 염기성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항체, 호르몬, 효소, 콜라겐(collagen) 생성 및 조직형성과 복구에 도움을 주는데, 특히 라이신은 모발 성장 촉진과 모발 탄력에 효능을 지니고 있어, 라이신의 결핍은 탈모를 유발시킨다. 퀴노아의 사포닌은 두피 혈행을 개선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고 모발 굵기 개선에도 관여하며, 피부 노화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백작약(Paeonia radix)은 피부 미백과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두피와 모발에서는 모발을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두피에 보습을 공급하여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가려움과 비듬을 억제하는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백작약은 우수한 항산화와 제2형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모발 성장 효과와 탈모 방지 효과, 항산화, 항암효과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수오(Pleuropterus multiorus)는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제2형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모발성장 촉진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하수오는 체내의 세포, 특히 두피 세포의 대사활동을 활성화시켜 두피 상태를 개선시킴으로써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제2 혼합물은 상기 제1 혼합물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1 내지 2:1의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1:1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피비에서 제2 혼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현저히 많아,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피 진정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제1 혼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현저히 많아,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피 및 모발의 보습(moisture)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각 원료 성분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를 물에 일정시간 담가둔 다음, 열을 가해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개암 및 국우 추출물, 그리고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 추출물 모두 열수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은 개암 및 국우를 물에 5시간 동안 담가 둔 다음, 80~120℃에서 8~22시간 동안 가열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에 적용되기 쉬운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누,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에센스, 토닉, 크림, 팩, 로션, 영양제, 페이스트 및 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두피에 적용되기 쉬운 형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개암 및 국우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개암과 국우를 1: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개암 및 국우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배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암을 기준으로, 상기 국우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공하고자 하는 영양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상기 제1 혼합물과 혼합하여 혼합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골든베리,상기 퀴노아,상기 백작약 및 상기 하수오를, 상기 골든베리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를 각각 1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혼합한 후,상기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 총 중량에 1 내지 5배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골든베리를 기준으로, 상기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되는 성분에 차이가 발생하여, 영양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은 80~120℃의 온도로 8~22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암, 국우 및 물이 혼합된 수용액을 100℃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가열하기 전에 5 내지 8시간 동안 물에 담가둘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또는 혼합 추출 용액을 농축기에 넣어 80 내지 90℃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추출 용액을 80 내지 90℃에서 5 내지 15시간 농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농축된 혼합 추출 용액은 여과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고, 숙성하는 단계를 통해 안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여과는 250 내지 350메쉬의 여과 장치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여과 장치를 통해 농축된 혼합 추출 용액 내의 불순물이 거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은 20 내지 25℃에서 6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혼합 추출 용액이 안정화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개암(개암나무의 열매), 국우, 백작약, 하수오를 세척 건조하여 세절(細切)하고 골든베리, 퀴노아는세척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용매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은 상기 개암 50g, 국우 100g 및 물 750g을 혼합하여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수용액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온(20℃ 내지 25℃)에서 완전히 식혀,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나아가, 상기 골든베리 100g, 퀴노아 150g, 백작약 150g, 하수오 150g 및 물 2,750g을 혼합하여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수용액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온(20℃ 내지 25℃)에서 완전히 식혀,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85℃에서 10시간 동안 농축시킨 후 상온(20℃ 내지 25℃)에서 완전히 식혀, 혼합 추출 용액을 획득하였다.
상기 혼합 추출 용액을 300메쉬의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시킨 후 획득된 조성물의 안정화를 위해 상온(20℃ 내지 25℃)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획득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을JU-7505로 명명하고, 고형샴푸로 제조(JU-7505)하여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을 위한 임상에 적용하였다. 하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상기 임상 연구를 기재한 것이며, 본 임상 연구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로 제조된 고형 샴푸를 탈모가 있는 환자에게 처리하여 모발 굵기, 모발 밀도 및 각종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탈모가 있는 환자에게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고, 모발 굵기, 모발 밀도 및 각종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을 위해 하기 표 1과 같은 탈모가 진행 중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수행하였다. 비교를 위해 정상인(탈모가 없는 일반인)을 컨트롤로 설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컨트롤(정상인, 탈모가 없는 일반인)
나이 평균(범위) 47.7(30-61) 49.0(29-65) 41.24(22-63)
키(cm) 172.6(165-183) 172.1(160-192) 174.8(161-186)
몸무게(kg) 75.6(55-92) 73.5(55-117) 79.3(63-110)
흡연력(비흡연: 1; 흡연경력있으나 금연: 2; 흡연 중: 3) 1: 23.6%; 2: 16.4%; 3: 60% 1: 21%; 2: 35.5%; 3: 43.5% 1: 35%; 2: 15%; 3: 50%
금연자의 금연 기간(년) 19.1(8-30) 16.6(2-30) 9.64(5-20)
금연자의 금연기간 전 흡연량(개비/일) 13.9(10-20) 13.4(2-30) 16.5(7-30)
흡연자의 흡연기간(년) 23.9(10-40) 22.5(6-36) 17.1(3-40)
흡연자의 흡연량(개비/일) 16.0(2-40) 17.4(10-40) 16.4(2-40)
음주일(일/주) 1.4(0-6) 1.7(0-7) 1.7(0-7)
음주량(잔/주) 5.7(0-20) 6.7(0-24) 7.6(0-30)
가족 중 탈모자 유무 유: 65.5%; 무:34.5% 유: 65.6%; 무:34.4% 유: 33%; 무:67%
가족 중 탈모자(중복표시) 부계열: 92.8%; 모계열: 14.3%; 형제: 32.1%, 친조부모: 14.3%; 외조부모: 2.5% 부계열: 93.1%; 모계열: 6.9%; 형제: 24.1%, 친조부모: 17.4%; 외조부모: 3.4% 부계열: 90%; 모계열: 10%; 형제: 20%, 친조부모: 15%; 외조부모: 2.5%
탈모기간(년) 9.2(1-30) 10.6(2-26)
탈모형태 O+MC 타입: 36.3% O+MC 타입: 36.7%
C 타입: 7.3% C 타입: 13.3%
O타입: 30.9% O타입: 30%
M 타입: 12.7% M 타입: 20%
[모발 굵기 및 모발 밀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컨트롤의 두부에 미간 중간기점을 기점으로 두정부로 이어지는 가상의 선(미간선)과 좌측 귀바퀴 정점을 기점으로 우측 귀바퀴로 이어지는 가상의 선(측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측정점을 정하였다.
각 개인의 측정점을 기준으로 반경 2cm 내 지점에서 틴닝가위를 이용하여 약 50mg의 모발(일렬로 묶으면 성냥개비 절반 두께 정도)을 두피로부터 2cm 길이로 채취하였고, 채취된 모발은 두께측정 게이지(Thickness gaze)를 이용하여 모발 굵기를 측정하였다.
모발 채취 후 50배 혹은 250배율의 렌즈가 장착된 모발진단기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측정점 부위 두피 사진을 촬영하였고, 이 사진의 한 화각에 포함되어 있는 모발의 수를 세어 모발밀도를 측정하였다.
위 방법으로 제품 사용 전(0개월 후), 제품사용 2개월 후 및 4개월 후의 모발의 굵기 및 밀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모발 굵기 및 모발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모발 굵기(지름, mm)
컨트롤 실시예 1 비교예 1
- 0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0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평균(mean) 0.07495 0.06376 0.06768 0.07085 0.06444 0.06371 0.06376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0.009935 0.0092 0.009072 0.006944 0.008626 0.008745 0.008093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0.001328 0.001168 0.001191 0.001157 0.001153 0.001179 0.001133
모발 밀도(모발 수/cm2)
컨트롤 실시예 1 비교예 1
0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0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평균(mean) 161.9 122 136.9 159.4 191.1 116 116.9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24.86 44.26 41.07 28 45.18 45.94 42.39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3.589 5.666 5.696 4.875 6.206 7.657 7.065
표 2 및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탈모가 진행 중인 일반인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모발의 굵기와 모발 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피 부분의 호르몬 생성 변화 측정]
두피 부분의 호르몬 생성 변화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되었다.
1) 시료 정제
각 참여자들로부터 약 2cm 길이의 모발 80-100 mg을 탈모가 진행중인 가장자리 부위에서 채취하였다. 화학천칭을 이용하여 채취된 모발의 무게를 다시 정량하였고 수술용 가위와 핀셋을 이용하여 이들 모발을 3-4 mm 간격으로 잘게 절단하였다.
2) DHT의 정량분석
Deng 등(1999)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채취된 모발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잘게 절단된 모발에 1N NaOH를 1ml 이용하여 상온에서 알칼리 분해하였고, 1시간 후에 1N HCl을 이용하여 pH 7.0으로 중화하였다. 중화된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4ml의 100% 디에틸에티르(diethyl ether)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원심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디에틸에티르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농축하였고, 1ml의 호르몬 분석용 인산완충용액을 첨가한 후 -8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이를 HSS-1((hair steroid solution-1)로 하였다.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erone, DHT)의 분자구조는 상호 유사하기 때문에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해 호르몬을 정량분석 하고자 할 때, DHT의 항체(antibody)는 테스토스테론과 DHT를 구분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Werawatgoompa 등(1982)의 방법을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을 산화시켜 제거한 후에 DHT을 정량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0.5 ml의 HSS-1에 500ul의 과망간산 칼륨(potassium permanganate, 500mg/lOOml)을 첨가한 후 2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HSS-1에 포함되어 있는 테스토스테론을 제거하였고, 이 혼합액에 2ml의 100% 디에틸에티르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여 혼합액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추출하였다. 원심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디에틸에티르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농축하였고, DHT의 분석을 위하여 0.2ml의 호르몬 분석용 인산완충용액을 첨가한 후 호르몬 분석 직전까지 -8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3) 모발에 포함되어 있는 호르몬 분석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HSS-1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석하였다. HSS-1을 이용하여 코티졸, 테스토스테론,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피테스토스테론(epitestosterone, Epi-T)을 분석하였다. 코티졸에 대한 항체는 USbiological life science(MA, USA)에서, DHEA에 대한 항체는 LSBio(WA, USA)에서,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항체는 Absolue antibody 사(MA, USA)에서, Epi-T에 대한 항체는 Creative diagnostic 사(NY,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호르몬 정량분석에 필요한 각 호르몬의 표준물질은 Sigma-aldreich(MI,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클로라민-T(Chloramine-T) 방법을 이용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125I를 결합 시켜 (스테로이드-125I) 호르몬 정량분석에 이용하였다.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석은 Ahn 등(2007)의 방법을 따랐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험관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의 총량은 감마선계측기(gamma counter, lPerkinElmer life sicences, MA, USA)를 이용하여 계측하였으며 통상적으로 각 분석과정에 둘 또는 셋의 표준시료가 적용되었고 각 시료는 두 번의 반복적 실험 과정을 거쳤다. 방사선 계측이 끝난 시험관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Riasmart program(PerkinElmer life sicences, MA, USA)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스테로이드 분석과정에 나타나는 실험내, 실험간 변동계수(coefficients of variation, CV)는 각각 10%, 5% 미만 이었으며 코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을 분석 수 있는 예민도는 최고 2.5pg/tube 이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컨트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두피 부분의 호르몬의 생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컨트롤 실시예 1 비교예 1
- 0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0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코티졸(Cortisol, pg/mg) 평균(mean) 8.929 19.4 13.35 10.69 15.55 15.98 15.33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1.032 2.949 1.763 2.254 1.879 2.953 2.722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pg/mg) 평균(mean) 5.137 8.832 4.485 4.869 6.306 5.285 5.309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0.6254 1.155 0.237 0.308 0.8011 0.3009 0.3056
DHT(pg/mg) 평균(mean) 0.8571 1.354 1.1 0.7965 1.304 1.263 1.347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0.1008 0.1261 0.07082 0.05432 0.07467 0.07069 0.09401
Epi-T(pg/mg) 평균(mean) 28.29 37.61 27.19 19.07 30.99 27.83 28.33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2.702 3.017 2.846 2.539 2.675 2.206 2.302
DHEA(pg/mg) 평균(mean) 552.7 787.8 459.1 364.5 738.3 738.9 744.4
평균의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43.61 82.16 24.96 23.88 84.45 49.87 54.49
상기 표 3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탈모가 진행 중인 일반인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두피의 코티졸, 테스토스테론, DHT, EPI-T 및 DHEA가 모두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두피 및 모낭의 호르몬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액에서의 호르몬 생성 변화 측정]
타액에서의 호르몬 변화 측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되었다.
1) 시료정제
각 참여자들로부터 얻은 타액검체는 1차적인 정제 작업을 거쳤다. 구체적으로, 타액검체는 20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 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급속 해동하여 고속원심분리(15000xg에서 30 분)한 다음, 상층액을 호르몬 분석직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이를 검체 1로 하였다.
2) DHT의 정량분석 준비
상기 검체에서 300 ul의 시료을 취한 후, 상기 시료에 0.3 ml의 과망간산 칼륨(potassium permanganate, 500mg/lOOml)을 첨가한 후 2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HSS-1에 포함되어 있는 테스토스테론을 제거하였고, 이 혼합액에 1.2ml의 100% 디에틸에티르(diethyl ether)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여 혼합액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추출하였다.나아가, 원심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디에틸에티르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농축하였고, DHT의 분석을 위하여 0.2ml의 호르몬 분석용 인산완충용액을 첨가한 후 호르몬 분석 직전까지 -80℃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이를 검체 2로 하였다.
나아가, 상기 [두피 부분의 호르몬 생성 변화 측정]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검체 2로부터 DHT의 농도를 정량분석 하였다.
3) 타액에 포함되어있는 호르몬 분석
상기 검체에포함되어 있는 스테로드호르몬은Ahn 등(Ahn et al., 2007)의 방법에 근거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검체 1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는 혈액에 비해 수십 배(코르티졸의 경우 20-30배) 낮기 때문에 상용화된 호르몬 분석용 키트는 타액내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측정을 위해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액상-이중 항체(liquid phased-double antibody) 방사면역측정법 이용하여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였다. 코티졸, 테스토스테론,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 및 에피테스토스테론(epitestosterone, Epi-T)을 분석하였다. 코티졸에 대한 항체는 USbiological life science(MA, USA)에서, DHEA에 대한 항체는 LSBio(WA, USA)에서,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항체는 Absolue antibody 사(MA, USA)에서, Epi-T에 대한 항체는 Creative diagnostic 사(NY,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호르몬 정량분석에 필요한 각 호르몬의 표준물질은 Sigma-aldreich(MI,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클로라민-T(Chloramine-T) 방법을 이용하여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125I를 결합 시켜 (스테로이드-125I) 호르몬 정량분석에 이용하였다.
상기 측정과정은 측정튜브에 정해진 농도의 표준(standard) 시료들과 시료 0.1ml을 각각 넣고, 비 특이 반응 (non-specific binding)을 측정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첨가되지 않은 시험관에 호르몬에 대한 항체를 대신하여 GPBS가 첨가되었으며, 표준시료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포함되어 있는 시험관에는 차콜-스트립 침(charcoal-stripped saliva)이추가되었다. 125I 로표지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체 방사선량은 대략 50,000cpm/tube 으로 하였고 항체는 30-35% 결합하게 희석하였다. 1차 반응 전체 부피는 시험관 당 0.4ml 이었고, 표준시료와 분석 대상들은 4℃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다음날 2차 반응을 위해 실온에서 30분간 추가 반응시킨 후, 2차 항체 0.1ml 이 각 시험관에 추가하였고 그 후 30분을 더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각 시험관에 10% PEG 0.5ml 추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키고 4℃에서 1500g로 2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제거하였고 각 시험관에 남아있는 침전물의 방사선량은 감마선 계측기(Cobra 5005, PerkinElmer Life and Analytical Scienc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각 호르몬의 농도는 Riasmart 소프트웨어 (PerkinElmer Life and Analytical Sciences)를 이용하여 표준 커브(standard curve)로부터 산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컨트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타액에서의 호르몬의 생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컨트롤 실시예 1 비교예 1
기상 후 측정시간(분) - 적용 전 2개월 후 4개월 후 적용 전 2개월 후 4개월 후
코티졸(Cortisol, nmol/L) 평균(표준오차) 0 15.98(1.452) 14.8(1.156) 11.2(1.376) 19.51(2.839) 18.64(1.884) 10.31(1.286) 15.95(2.832)
30 23.74(1.666) 23.93(1.411) 22.37(2.264) 22.99(2.379) 24.17(1.995) 24.35(2.744) 23.54(2.793)
60 16.03(1.146) 17.65(1.759) 18.7(2.507) 15.81(1.6) 15.88(1.921) 19.25(1.364) 16.01(2.294)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pmol/L) 평균(표준오차) 0 416.3(37.77) 451.2(40.86) 384.8(60.69) 391.5(34.49) 411.6(35.01) 414.9(95.7) 528.9(109.6)
30 483(48.97) 618.7(119.8) 322.7(71.88) 407.2(38.44) 537.5(76.25) 428.1(69.15) 546.8(81.33)
60 516.1(65.29) 683(188.5) 368.9(69.86) 409.7(44.17) 577.6(96.41) 426.9(63.96) 499.7(65.43)
DHT(pmol/L) 평균(표준오차) 0 28.43(2.108) 24.28(1.723) 27.06(3.065) 27.62(1.75) 29.2(2.688) 33.18(4.288) 41.17(6.641)
30 28.96(3.354) 25.25(2.141) 26.4(4.027) 28.71(2.187) 33.31(5.638) 33.01(5.316) 32.69(3.505)
60 23.63(1.592) 24.42(2.241) 33.83(7.451) 27.43(2.55) 31.15(5.989) 44.86(16.53) 37.49(4.788)
Epi-T(pmol/L) 평균(표준오차) 0 156.4(19.29) 183.7(34.19) 155.6(11.94) 165.3(15.99) 155.8(14.66) 166.7(29.27) 271.1(47.42)
30 187.4(89.28) 181.1(24.24) 171.1(26.13) 151.8(17.97) 188.1(34.19) 178.3(49.99) 178.3(31.86)
60 186.8(30.87) 179.4(24.83) 181.8(26.08) 138.8(22.38) 165.2(23.15) 178.9(22.1) 210.8(40.65)
DHEA(nmol/L) 평균(표준오차) 0 0.9091(0.1768) 0.6574(0.1559) 0.7774(0.1596) 0.85(0.224) 0.9518(0.2152) 1.016(0.2753) 0.7533(0.1899)
30 1.1(0.1959) 1.248(0.252) 0.8532(0.2319) 0.7336(0.1894) 0.8355(0.1816) 0.6638(0.1992) 1.055(0.2875)
60 1.043(0.2444) 1.142(0.2637) 0.9579(0.2579) 0.6536(0.1859) 0.7136(0.2004) 1.094(0.3184) 1.5(0.4343)
상기 표 4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탈모가 진행 중인 일반인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타액(saliva)의 코티졸, 테스토스테론, DHT, EPI-T 및 DHEA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호르몬의 차이가 크지 않음(유의미한 차이가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에서의 호르몬 생성을 유의하게 낮추나, 체내 호르몬 생성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1. 개암 추출물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개암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국우 추출물을 1 내지 3의 중량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상기 골든베리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퀴노아 추출물, 백작약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1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제1 혼합물과 2:1 내지 1: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각 원료 성분의 열수 추출물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누,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에센스, 토닉, 크림, 팩, 로션, 영양제, 페이스트 및 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9. 개암 및 국우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상기 제1 혼합물과 혼합하여 혼합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상기 개암과 국우를 1: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개암 및 국우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배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수행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골든베리, 상기 퀴노아, 상기 백작약 및 상기 하수오를, 상기 골든베리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를 각각 1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혼합한 후, 상기 골든베리, 퀴노아, 백작약 및 하수오 총 중량에 1 내지 5배 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수행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80~120℃의 온도로 8~22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되는 것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또는 혼합 추출 용액을 농축기에 넣어 80 내지 90℃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농축된 혼합추출 용액을 여과시킨 후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250 내지 350메쉬의 여과 장치로 수행하는 것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20 내지 25℃에서 6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146037A 2019-11-14 2019-11-14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8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37A KR102308135B1 (ko) 2019-11-14 2019-11-14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37A KR102308135B1 (ko) 2019-11-14 2019-11-14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44A true KR20210059144A (ko) 2021-05-25
KR102308135B1 KR102308135B1 (ko) 2021-10-06

Family

ID=7614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037A KR102308135B1 (ko) 2019-11-14 2019-11-14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7405A (zh) * 2022-05-06 2022-08-05 山东益得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羽毛发育的菊芋提取物及其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6446A (ja) * 2006-03-16 2007-09-27 Sansho Seiyaku Co Ltd 皮膚または毛髪用外用剤
KR100761660B1 (ko) * 2006-03-08 2007-1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CN101129191A (zh) * 2007-08-08 2008-02-27 徐翠琴 一种生发、黑发保健品及其制备方法
US20090104295A1 (en) * 2005-08-12 2009-04-23 Kenji Kohno Agent for Hair Growth
KR20130007524A (ko) * 2012-12-26 2013-01-18 중국 길림 바이탈 바이오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개암나무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지닌 건강 기능성 조성물
KR101797667B1 (ko) * 2017-07-24 2017-12-12 최기남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4295A1 (en) * 2005-08-12 2009-04-23 Kenji Kohno Agent for Hair Growth
KR100761660B1 (ko) * 2006-03-08 2007-1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JP2007246446A (ja) * 2006-03-16 2007-09-27 Sansho Seiyaku Co Ltd 皮膚または毛髪用外用剤
CN101129191A (zh) * 2007-08-08 2008-02-27 徐翠琴 一种生发、黑发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20130007524A (ko) * 2012-12-26 2013-01-18 중국 길림 바이탈 바이오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개암나무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지닌 건강 기능성 조성물
KR101797667B1 (ko) * 2017-07-24 2017-12-12 최기남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7405A (zh) * 2022-05-06 2022-08-05 山东益得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羽毛发育的菊芋提取物及其应用
CN114847405B (zh) * 2022-05-06 2023-09-22 山东益得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羽毛发育的菊芋提取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135B1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608B1 (en) Bio-identical hormones and method of use
CA2587665C (en) Composition based on vegetal extracts of ajuga reptans for preventing hair loss, stimulating the growth of hair, regulating the production of sebum.
US20120020982A1 (en) Formulations and treatments for trichology
Sawaya et al. Androgenetic alopecia: new approved and unapproved treatments
CN113908091B (zh) 一种防脱育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49824A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308135B1 (ko) 개암 및 국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036196A (zh) 一种防脱育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Shahtalebi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love oil in emu oil self-emulsion for hair conditioning and hair loss prevention
US2024021626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s of corylus heterophylla and helianthus thberosu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Mccoy et al. Botanical Extracts for the Tr; 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
Sawaya et al. Alopecia: unapproved treatments or indications
KR101764264B1 (ko)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WO2018021848A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EP3638198B1 (de) Zusammensetzung zur verhinderung von haarausfall und wachstumsförderung von haaren
Kareem et al. Effect of malnutrition, hormones disturbance and malondialdehyde on hair loss in women: patients at Al-sader educational hospital, basrah governorate, Iraq-A case study
CN113440446A (zh) 祛斑组合物及其应用和祛斑护理膜片
CN113398019A (zh) 具有防脱生发功能的纳米微乳体系组合物及制法与应用
KR20150070684A (ko) 진세노사이드 Rg3, Rg5 및 Rk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육모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CN111543572A (zh) 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Anjum et al. Physiological perspective of Hirsutism in Unani Medicine: An Overview and Update
DO et al. Improvement Of Alopecia And Decreases In Hair Cortisol And Dihydrotestosterone Concentrations After The Topical Use Of Plant Extracts In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Mysore et al. Optimal use of topical minoxidil in management of female pattern hair loss in India: An expert opinion
US20080233213A1 (en) Hair sustaining formulation
KR10142757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