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121A -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121A
KR20210059121A KR1020190145874A KR20190145874A KR20210059121A KR 20210059121 A KR20210059121 A KR 20210059121A KR 1020190145874 A KR1020190145874 A KR 1020190145874A KR 20190145874 A KR20190145874 A KR 20190145874A KR 20210059121 A KR20210059121 A KR 2021005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열
이경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121A/ko
Priority to US17/071,129 priority patent/US11594155B2/en
Priority to EP20207198.1A priority patent/EP3822740A1/en
Priority to CN202011265569.2A priority patent/CN112802397A/zh
Publication of KR2021005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모듈 및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표시모듈은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모듈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연장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딩 가능한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전자장치들은 표시장치 이외에 다양한 전자모듈들을 더 포함한다.
최근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구비하여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와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 영역에서의 굴곡 변형을 감소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및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표시모듈은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모듈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연장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패널 몸체부, 및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되는 패널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층 및 표시패널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지지 플레이트 또는 케이스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들의 구속력에 의해서 폴딩 영역에서 표시모듈의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b에 도시된 표시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e는 도 3d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a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패널 및 상부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절단선 Ⅳ-Ⅳ`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절단선 Ⅴ-Ⅴ`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절단선 Ⅵ-Ⅵ`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절단선 Ⅶ-Ⅶ`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c는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절단선 Ⅷ-Ⅷ`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표시패널 및 상부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절단선 Ⅸ-Ⅸ'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인-폴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1)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복수의 비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 사이에 폴딩 영역(FA)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표시장치(DD1)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표시장치(DD1)는 2개 이상의 폴딩영역들(F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영역(FA)에는 폴딩축(FX)이 정의된다. 폴딩축(FX)은 표시장치(DD1)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회전축으로써 표시장치(DD1)의 기구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DD1)는 이미지(IM)를 표시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한다. 표시면(DS)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 및 폴딩영역(FA)의 표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펼쳐진 상태의 표시면(DS)을 정의한다. 제3 방향(DR3)은 표시장치의 두께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제2 방향(DR2)은 폴딩축(FX)의 연장방향을 지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축(FX)을 따라서 폴딩된다. 이하,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의 표시면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인-폴딩(in-folding)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폴딩축(FX)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표시장치(DD1)가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렬되도록 표시장치(DD1)를 인-폴딩하기 위해서, 폴딩축(FX)은 제1 방향(DR1)에 따른 표시장치(DD1)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축(FX)을 따라서 폴딩될 수도 있다. 이하,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아웃-폴딩(out-folding)이라 정의한다.
표시장치(DD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될 때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폴딩 영역(FA)의 표시면도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1)는 펼쳐진 상태에서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은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는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FA1, FA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폴딩 영역들(FA1, FA2)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D2)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표시장치(DD2)는 제1 내지 제3 비폴딩 영역(NFA1, NFA2, NFA3), 및 제1 및 제2 폴딩 영역(FA1, FA2)을 포함한다. 표시장치(DD2)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폴딩 영역(FA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폴딩 영역(FA2)은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제3 비폴딩 영역(NFA3) 사이에 배치된다. 폴딩 방식에 따라, 제1 및 제2 폴딩 영역(FA1, FA2)의 폭은 같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폴딩 영역(FA1, FA2)에는 제1 폴딩축(FX1) 및 제2 폴딩축(FX2)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DD2)는 제1 폴딩축(FX1) 및 제2 폴딩축(FX2)을 따라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2)는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제1 폴딩 영역(FA1)에서 인-폴딩되고, 제2 폴딩축(FX2)을 따라서 제2 폴딩 영역(FA2)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2)는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제1 폴딩 영역(FA1)에서 아웃-폴딩되고, 제2 폴딩축(FX2)을 따라서 제2 폴딩 영역(FA2)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표시장치(DD2)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 폴딩 영역(FA1)에서 아웃-폴딩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과 제3 비폴딩 영역(NFA3)의 표시면이 마주하도록 제2 폴딩 영역(FA2)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DD2)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통해 외부에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비폴딩 상태의 표시장치(DD2)는 제1 내지 제3 비폴딩 영역(NFA1~NFA3)의 표시면 및 제1 및 제2 폴딩 영역(FA1, FA2)의 표시면에서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b에 도시된 표시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e는 도 3d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표시장치(DD)는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DD1)의 구체화된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구조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DD2)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모듈(DM) 전체가 연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표시모듈(DM)의 일부분(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모듈(DM)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모듈(DM)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표시모듈(DM)과 지지 플레이트(SP)의 결합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 플레이트(SP)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의 강도는 표시모듈(DM)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에 대응하는 개수의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모듈(DM)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표시모듈(DM1)의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폴딩 영역(FA)과 일부 중첩될 수 있으며,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폴딩 영역(FA)과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 상에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이격 거리는 폴딩 영역(FA)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접착 필름을 통해 표시모듈(DM)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 필름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를 표시모듈(DM)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제1 접착 필름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표시모듈(DM)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제2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및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모듈은 힌지 모듈 또는 다관절 모듈(M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 모듈(MS)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연결 모듈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 사이의 이격 공간은 폴딩 영역9F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방향(DR1) 상에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이격 거리는 폴딩 영역(FA)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힌지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 및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배치된 하나의 통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SP)는 폴딩 영역(FA) 내에 형성된 복수의 홀(H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HA)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HA)은 지지 플레이트(SP)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홀(HA) 각각은 폴딩 영역(FA)을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홀(H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HA)은 마름모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지지 플레이트(SP1),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지지 플레이트(SP2) 및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지지바(S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SB)는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바(SB)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지지바들(SB) 사이에는 슬릿(SLA)이 제공될 수 있다. 슬릿(SLA)에 의해 복수의 지지바들(SB)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SB) 중 양측 끝단에 배치된 최외곽 지지바들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와 슬릿(SLA)에 의해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지지 플레이트(SP)는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관절 모듈(MS,도 3a에 도시됨)을 포함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모듈(DM)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특정한 영역에서 접혀질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및 표시패널(DP)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된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또는 전기습윤 표시패널 등일 수 있다. 기능성 부재들은 보호 부재, 광학 부재,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층 중 표시패널(DP)의 상측에 배치된 층을 상부층(UL)으로 정의하고, 표시패널(DP)의 하측에 배치된 층을 하부층(LL)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부층(LL)은 표시패널(DP)과 지지 플레이트(SP) 사이에 배치되는 층일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UL)은 반사방지층(RPL), 윈도우(WM) 및 보호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표시장치(DD)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패널(DP)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편광필름 및/또는 위상지연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의 동작 원리에 따라 위상지연필름의 개수와 위상지연필름의 위상지연 길이(λ/4 또는 λ/2)가 결정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과 표시패널(DP) 사이에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은 패널 형태로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연속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DP)에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 유닛은 표시패널(DP)의 박막 봉지층(TFE, 도 3e에 도시됨)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적으로 배치란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입력 감지층이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M)는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플라스틱 플레이트 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보호층(PL)은 윈도우(WM) 상에 배치된다. 보호층(PL)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L)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패널(DP)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도 3d에서는 보호층(PL)이 윈도우 상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보호층(PL)은 윈도우(WM)와 반사방지층(R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PL)은 윈도우(WM)와 반사방지층(RPL) 사이 및 윈도우(WM)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d에서는 상부층(UL)이 반사방지층(RPL), 윈도우(WM) 및 보호층(PL)을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부층(UL)은 상기한 층 이외에 기능층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한 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EP1, EP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P)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장부(EP1, EP2)는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BP)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2개의 장변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2개의 단변(이하, 제1 및 제2 단변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 연장부(EP1, EP2)는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EP1) 및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부(EP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EP1)는 몸체부(BP)로부터 밴딩되어, 제1 연장부(EP1)의 일단부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EP2)는 몸체부(BP)로부터 밴딩되어 제2 연장부(EP2)의 일단부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EP1)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 사이에는 제1 접착 필름(AF1)이 배치되고, 제2 연장부(EP2)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 사이에는 제2 접착 필름(AF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EP1)는 제1 접착 필름(AF1)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결합되고, 제2 연장부(EP2)는 제2 접착 필름(AF2)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결합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상부층(UL)이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상부층(UL)을 구성하는 모든 층이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를 구비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상부층(UL)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를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상부층(UL)을 구성하는 반사방지층(RPL), 윈도우(WM) 및 보호층(PL) 각각이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를 구비할 수 있고, 다른 일 예로, 반사방지층(RPL), 윈도우(WM) 및 보호층(PL) 중 적어도 하나의 층만이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복수의 층 중 윈도우(WM)가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LL)은 베이스층(BSL) 및 커버패널(CP)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L)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L)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L)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베이스층(BSL)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층(BSL)은 일부 영역이 패터닝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DP)이 지지 플레이트(SP)의 후면으로 밴딩되는 구조에서, 베이스층(BSL)은표시패널(DP)의 밴딩영역에서 오픈될 수 있다.
커버 패널(CP)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완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필름은 접착 필름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완충 필름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의 폴딩 영역(FA)은 폴딩 중심(C1)을 지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의 표시면(IS)은 노출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폴딩 상태에서 표시모듈(DM) 중 폴딩 중심(C1)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부층(UL)은 폴딩 중심(C1)으로부터 가까운 하부층(LL)보다 곡률 반경이 크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변형량이 크다.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된 경우 상부층(UL)의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부분의 늘어짐 현상 또는 굴곡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따라서,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각각 결합되면,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구속력에 의해서 상부층(UL)의 에지부가 폴딩 중심(C1) 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SUB), 베이스층(SUB)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베이스층(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절연층, 복수 개의 도전층들 및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DP-CL)의 복수 개의 도전층들은 신호라인들 또는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들(TFT)과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다. 일 예로,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영역(PA) 중 발광 영역(PX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소자, 예컨대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기능층 상에 직접 형성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과 연속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은 수분/산소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표시 소자층(DP-OLED)을 보호한다.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SUB) 상에 회로층(DP-CL)이 배치된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BFL, 10, 20, 30)과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층들(BFL, 10, 20, 30) 각각은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고,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층들(BFL, 10, 20, 30) 중 일부, 예컨대 버퍼층(BFL)은 생략될 수 있고, 또 다른 절연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DP-CL) 상에 표시 소자층(DP-OLED)이 배치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각 화소 영역(PA)은 평면상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배치된 발광 영역(PXA)과 그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발광 영역(PXA)과 대응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및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된 발광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CE)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전면 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 전극(CE)은 제1 전극(AE)보다 박막 봉지층(TFE)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3e에서, 발광 기능층은 제1 전하 제어층(HCL), 발광층(EML), 및 제2 전하 제어층(ECL)을 포함하나, 발광 기능층의 적층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층(EML)은 호스트와 도펀트가 혼합된 유기 발광 물질 및/또는 반도체 나노결정(예컨대, 퀀텀닷, 퀀텀로드, 퀀텀튜브)과 같은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하 제어층(HCL) 및 제2 전하 제어층(ECL) 각각은 전자 및 정공 중 대응하는 전하를 주입 및/또는 수송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광 기능층과 제2 전극(CE)은 복수 개의 발광 영역(PXA)과 그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및 크롬(C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AE)은 인듐틴옥사이드(ITO)/은(Ag)/ 인듐틴옥사이드(ITO)의 3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흡수율이 작으면서 반사율이 높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제1 전극(AE)과 공진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반투명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가시광 영역에서 굴절률과 흡광 계수(extinction ratio)의 곱이 1 내지 10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CE)은 은(Ag), 알루미늄(Al), 이터븀(Yb), 티타늄(Ti), 마그네슘(Mg), 니켈(Ni),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 LiF/Al, MgAg 및 CaAg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SEP1, SEP2, SEP3, SEP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SEP1, SEP2, SEP3, SEP4)는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5a에서 연장부(SEP1, SEP2, SEP3, SEP4)는 몸체부(BP)의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부(SEP1, SEP2) 및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3 및 제4 연장부(SEP3, SEP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장부(SEP1, SEP2)는 몸체부(BP)로부터 밴딩되고, 제3 및 제4 연장부(SEP3, SEP4)는 몸체부(BP)로부터 밴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장부(SEP1, SEP2) 각각의 일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연장부(SEP3, SEP4)의 일단부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SEP1)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 사이에는 제5 접착 필름(AF5, 도 6d 참조)이 배치되고, 제2 연장부(SEP2)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 사이에는 제6 접착 필름(AF6, 도 6d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장부(SEP1, SEP2)는 제5 및 제6 접착 필름(AF5, AF6)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결합된다. 또한, 제3 연장부(SEP3)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 사이에는 제7 접착 필름(AF7, 도 6d 참조)이 배치되고, 제4 연장부(SEP4)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 사이에는 제8 접착 필름(ASF8, 도 6d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연장부(SEP3, SEP4)는 제7 및 제8 접착 필름(AF7, AF8)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처럼, 제1 내지 제4 연장부(SEP1~SEP4)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되면, 상부층(UL)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연장부(SEP1~SEP4)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되면, 상부층(UL)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배면 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UL)의 단면이 표시패널(DP) 및 하부층(LL)의 단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패널 및 상부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단,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표시패널(DP)은 패널 몸체부(P_BP) 및 패널 몸체부(P_BP)로부터 연장된 패널 연장부(P_EP1, P_EP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서 패널 연장부(P_EP1, P-EP2)는 패널 몸체부(P_BP)의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패널 연장부(P_EP1) 및 패널 몸체부(P_BP)의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패널 연장부(P_EP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패널 연장부(P_EP1)에는 제1 연성회로기판(FCB1)이 부착되고, 제2 패널 연장부(P_EP2)에는 제2 연성회로기판(FCB2)이 부착된다.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FCB1, FCB2) 상에는 제1 및 제2 구동칩(DIC1, DIC2)이 각각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일 예로, 제1 및 제2 패널 연장부(P_EP1, P-EP2) 중 어느 하나에만 연성회로기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표시패널(DP)은 패널 몸체부(P_BP)의 어느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패널 연장부 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은 하나의 패널 연장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패널 연장부(P_EP1)는 상부층(UL)의 제1 및 제2 연장부(SEP1, SEP2)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연장부(P_EP1)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으로 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널 연장부(P_EP1)에 부착된 제1 연성회로기판(FCB1)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 연장부(P_EP1)는 제3 접착 필름(AF3)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패널 연장부(P_EP2)는 상부층(UL)의 제3 및 제4 연장부(SEP3, SEP4)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연장부(P_EP2)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으로 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패널 연장부(P_EP2)에 부착된 제2 연성회로기판(FCB2)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널 연장부(P_EP2)는 제4 접착 필름(AF4)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제1 메인회로기판(MCB1) 및 제2 메인회로기판(MC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인회로기판(MCB1, MCB2)에는 컨트롤 칩, 복수 개의 수동소자 및 능동소자 등의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인회로기판(MCB1, MCB2)은 제 및 제2 연성회로기판(FCB1, FCB2)과 같이 플렉서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구동칩(DIC1, DIC2)이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FCB1, FCB2) 상에 각각 실장된 칩 온 필름(Chio On Film)구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구동칩(DIC1, DIC2)은 제1 및 제2 패널 연장부(P_EP1, P_EP2) 상에 각각 실장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상부층(UL)이 지지 플레이트(SP)에 결합되기 위한 연장부(SEP1~SEP4)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표시패널(DP)이 지지 플레이트(SP)의 배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표시패널(DP)이 지지 플레이트(SP)의 배면 측으로 밴딩되는 연장부(P_EP1, P_EP2)를 구비하는 구조에서 상부층(UL)의 연장부(SEP1~SEP4)는 표시패널(DP)의 밴딩부(P_EP1, P_EP2)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서 지지 플레이트(SP)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층(UL)이 지지 플레이트(SP)의 배면에 고정됨으로써, 상부층(UL)의 굴곡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표시패널(DP)의 일측 또는 양측이 지지 플레이트(SP)의 배면에 고정됨으로써, 표시패널(DP)의 폴딩 영역(FA)에서의 굴곡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절단선 Ⅳ-Ⅳ`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EP)를 포함하고, 표시패널(DP)은 패널 몸체부(P_BP) 및 패널 몸체부(P_BP)로부터 연장된 패널 연장부(P_E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서 연장부(EP)는 몸체부(BP)의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패널 연장부(P_EP)는 패널 몸체부(P_BP)의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다. 패널 연장부(P_EP)는 몸체부(BP)의 제2 단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패널 연장부(P_EP)가 구비되는 몸체부(BP)의 제2 단변 측에서는 상부층(UL)에 연장부(EP)를 형성하지 않고, 생략할 수 있다.
상부층(UL)의 연장부(EP)는 밴딩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제3 접착 필름(AF3)을 통해 결합된다. 패널 연장부(P_EP)는 밴딩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제4 접착 필름(AF4)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표시모듈(DM)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표시모듈(DM)의 폴딩 영역(FA)에서의 굴곡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절단선 Ⅴ-Ⅴ`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단,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EP1, EP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P)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장부(EP1, EP2)는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8a에서 연장부(EP1, EP2)는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EP1) 및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부(EP2)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제1 연장부(EP1)와 마주하고,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지지부(SPP1)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SPP1)는 표시패널(DP) 및 하부층(UL)과 중첩하지 않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지지부(SPP1)의 상면은 제1 연장부(EP1)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P1)와 제1 연장부(EP1) 사이에는 제1 접착 필름(AF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EP1)는 제1 접착 필름(AF1)에 의해 제1 지지부(SPP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2 연장부(EP2)와 마주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지지부(SPP2)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SPP2)는 표시패널(DP) 및 하부층(UL)과 중첩하지 않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지지부(SPP2)의 상면은 제2 연장부(EP2)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지지부(SPP2)와 제2 연장부(EP2) 사이에는 제2 접착 필름(AF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EP2)는 제2 접착 필름(AF2)에 의해 제2 지지부(SPP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층(UL)의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부층(UL)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절단선 Ⅵ-Ⅵ`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단,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EP1, EP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에서 연장부(EP1, EP2)는 몸체부(BP)의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EP1) 및 몸체부(BP)의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부(EP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EP1)에는 제1 고정홀(H1)이 형성되고, 제2 연장부(EP2)에는 제2 고정홀(H2)이 형성된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지그부(JP1)를 포함한다. 제1 지그부(JP1)는 표시패널(DP) 및 하부층(UL)과 중첩하지 않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그부(JP1)는 제1 연장부(EP1)의 제1 고정홀(H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EP1)는 제1 고정홀(H1)에 제1 지그부(JP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지그부(JP2)를 포함한다. 제2 지그부(JP2)는 표시패널(DP) 및 하부층(UL)과 중첩하지 않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그부(JP2)는 제2 연장부(EP2)의 제2 고정홀(H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EP2)는 제2 고정홀(H2)에 제2 지그부(JP2)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층(UL)의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부층(UL)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표시패널(DP) 및 하부층(LL)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에 대응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은 패널 몸체부(P_BP) 및 패널 몸체부(P_BP)로부터 연장된 패널 연장부(P_EP1, P_EP2)를 구비할 수 있다. 패널 연장부(P_EP1, P_EP2)는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에 대응하여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패널 연장부(P_EP1, EP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패널 연장부(P_EP1, P_EP2)에는 제1 및 제2 고정홀(H1, H2, 도 8b에 도시됨)에 대응하여 각각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층(UL)은 하부 몸체부(L_BP) 및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연장된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연장부(L_EP1, L_EP2)는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에 대응하여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에는 제1 및 제2 고정홀(H1, H2)에 대응하여 각각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EP1), 제1 패널 연장부(P_EP1) 및 제1 하부 연장부(L_EP1) 각각에 형성된 홀에 의해 제1 지그부(JP1)가 삽입되는 제1 홀부(HP1)가 형성된다. 제2 연장부(EP2), 제2 패널 연장부(P_EP2)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2) 각각에 형성된 홀에 의해 제2 지그부(JP2)가 삽입되는 제2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그부(JP1)가 제1 홀부(HP1)에 삽입되고, 제2 지그부(JP2)가 제2 홀부(HP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부층(UL), 하부층(LL) 및 표시패널(DP) 각각의 양측변이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층(UL), 하부층(LL) 및 표시패널(DP) 각각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 하부층(LL) 및 표시패널(DP) 각각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절단선 Ⅶ-Ⅶ`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c는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하부층(LL)은 하부 몸체부(L_BP) 및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연장된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a에서 하부 연장부(L_EP1, L_EP2)는 하부 몸체부(L_BP)의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하부 연장부(L_EP1) 및 하부 몸체부(L_BP)의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하부 연장부(L_EP2)를 포함한다.
제1 하부 연장부(L_EP1)는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밴딩되어, 제1 하부 연장부(L_EP1)의 일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연장부(L_EP2)는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밴딩되어 제2 하부 연장부(L_EP2)의 일단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장부(L_EP1)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 사이에는 제1 접착 필름(AF1)이 배치되고, 제2 하부 연장부(L_EP2)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 사이에는 제2 접착 필름(AF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부 연장부(L_EP1)는 제1 접착 필름(AF1)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결합되고, 제2 하부 연장부(L_EP2)는 제2 접착 필름(AF2)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결합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하부층(LL)이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하부층(LL)을 구성하는 모든 층이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상부층(UL)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하부층(LL)을 구성하는 베이스층(BSL, 도 3d 참조) 및 커버 패널(CP, 도 3d 참조) 각각이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할 수 있고, 다른 일 예로, 베이스층(BSL) 및 커버 패널(CP) 중 적어도 하나의 층만이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하부층(LL) 중 베이스층(BSL) 만이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의 폴딩 영역(FA)은 폴딩 중심(C1)을 지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인-폴딩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의 표시면(DS)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인-폴딩 상태에서 표시모듈(DM) 중 폴딩 중심(C2)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하부층(LL)은 폴딩 중심(C2)으로부터 가까운 상부층(UL)보다 곡률 반경이 크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변형량이 크다.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된 경우 하부층(LL)의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는 부분의 늘어짐 현상 또는 굴곡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따라서,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EP1, L_EP2)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각각 고정되면,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구속력에 의해서 하부층(LL)의 에지부가 폴딩 중심(C2) 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하부층(L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절단선 Ⅷ-Ⅷ`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하부층(LL)은 하부 몸체부(L_BP) 및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연장된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 L_SEP3, L_SEP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 L_SEP3, L_SEP4)는 하부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1a에서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 L_SEP3, L_SEP4)는 하부 몸체부(L_BP)의 제1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 및 제2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3 및 제4 하부 연장부(L_SEP3, L_SEP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는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밴딩되고, 제3 및 제4 하부 연장부(L_SEP3, L_SEP4)는 하부 몸체부(L_BP)로부터 밴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 각각의 일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하부 연장부(L_SEP3, L_SEP4)의 일단부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L_SEP1, L_SEP2)는 접착 필름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결합되고, 제3 및 제4 하부 연장부(L_SEP3, L_SEP4)는 접착 필름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처럼, 제1 내지 제4 하부 연장부(L_SEP1~L_SEP4)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되면, 하부층(LL)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하부층(L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하부 연장부(L_SEP1~L_SEP4)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되면, 하부층(LL)의 에지부는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배면 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LL)의 단면이 표시패널(DP) 및 상부층(UL)의 단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11b에서는 몸체부(BP)의 변들 중 폴딩축(FX)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변으로부터 연장부(EP1, EP2)가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장부(EP1, EP2)는 몸체부(BP)의 변들 중 폴딩축(FX)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4b를 연장부가 몸체부(BP)의 변들 중 폴딩축(FX)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변으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LEP1, LEP2, LEP3, LEP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P)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장부(LEP1, LEP2, LEP3, LEP4)는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2a에서 연장부(LEP1, LEP2, LEP3, LEP4)는 몸체부(BP)의 제1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 장변 연장부(LEP1, LEP2), 그리고 몸체부(BP)의 제2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3 및 제4 장변 연장부(LEP3, LEP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장변 연장부(LEP1, LEP2)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3 및 제4 장변 연장부(LEP3, LEP4)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3 장변 연장부(LEP1, LEP3)는 몸체부(BP)로부터 밴딩되어, 제1 및 제2 장변 연장부(LEP1, LEP3)의 일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4 장변 연장부(LEP2, LEP4)는 몸체부(BP)로부터 밴딩되어 제2 및 제4 장변 연장부(LEP2, LEP4)의 일단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3 장변 연장부(LEP1, LEP3)는 접착 필름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결합되고, 제3 및 제4 장변 연장부(LEP3, LEP4)는 접착 필름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결합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장변 연장부(LEP1~LEP4) 각각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서브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장변 연장부(LEP1)는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SLEP1, SLEP2)로 분리될 수 있고, 제2 장변 연장부(LEP2)는 제3 및 제4 서브 연장부(SLEP3, SLEP4)로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장변 연장부(LEP3)는 제5 및 제6 서브 연장부(SLEP5, SLEP6)로 분리될 수 있고, 제4 장변 연장부(LEP4)는 제7 및 제8 서브 연장부(SLEP7, SLEP8)로 분리될 수 있다.
폴딩축(FX)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몸체부(BP)의 일측 변으로부터 연장부가 형성된 경우, 연장부들을 지지 플레이트(SP)에 고정시킴으로써, 폴딩 영역(FA)에서의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표시패널 및 상부층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DP)은 패널 몸체부(P_BP) 및 패널 몸체부(P_BP)로부터 연장된 패널 연장부(P_LEP1, P_LEP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패널 연장부(P_LEP1, P_LEP2)는 패널 몸체부(P_BP)의 제1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패널 연장부(P_LEP1) 및 패널 몸체부(P_BP)의 제2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패널 연장부(P_LEP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패널 연장부(P_LEP1, P_LEP2)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연장부(P_LEP1)는 패널 몸체부(P_BP)로부터 밴딩되어, 제1 패널 연장부(P_LEP1)의 일단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연장부(P_LEP2)는 패널 몸체부(P_BP)로부터 밴딩되어 제2 패널 연장부(P_LEP1)의 일단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널 연장부(P_LEP1)는 제3 접착 필름(AF3)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배면에 결합되고, 제2 패널 연장부(P_LEP2)는 제4 접착 필름(AF4)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배면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FCB1, FCB2) 및 제1 및 제2 구동칩(DIC1, DIC2)에 대한 설명은 도 6c 및 도 6d에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PP1, PP2, PP3, PP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에서 연장부(PP1, PP2, PP3, PP4)는 몸체부(BP)의 제1 장변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 돌출부(PP1, PP2), 그리고 제2 장변으로부터 돌출된 제3 및 제4 돌출부(PP3, PP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돌출부(PP1, PP2)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3 및 제4 돌출부(PP3, PP4)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제1 장변에 인접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GB1, GB2) 및 제2 장변에 인접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5 및 제6 가이드바(GB5, GB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GB1, GB2) 및 제5 및 제6 가이드바(GB5, GB6)는 표시패널(DP) 및 하부층(UL)과 중첩하지 않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GB1, GB2)는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5 및 제6 가이드바(GB5, GB6)는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GB1, GB2) 사이에는 제1 돌출부(PP1)가 삽입되고, 제5 및 제6 가이드바(GB5, GB6) 사이에는 제3 돌출부(PP3)가 삽입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제1 장변에 인접하여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3 및 제4 가이드바(GB3, GB4) 및 제2 장변에 인접하여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7 및 제8 가이드바(GB7, GB8)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가이드바(GB3, GB4) 및 제7 및 제8 가이드바(GB7, GB8)는 표시패널(DP) 및 하부층(UL)과 중첩하지 않는 제2 지지 플레이트(SP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3 및 제4 가이드바(GB3, GB4)는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7 및 제8 가이드바(GB7, GB8)는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 및 제4 가이드바(GB3, GB4) 사이에는 제2 돌출부(PP2)가 삽입되고, 제7 및 제8 가이드바(GB7, GB8) 사이에는 제4 돌출부(PP4)가 삽입된다.
도 14b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GB1, GB2)와 제1 돌출부(PP1)의 결합 관계를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3 및 제4 가이드바(GB3, GB4)와 제2 돌출부(PP2), 제5 및 제6 가이드바(GB5, GB6)와 제3 돌출부(PP3) 및 제7 및 제8 가이드바(GB7, GB8)와 제4 돌출부(PP4)도 이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바(GB1)의 측벽과 제1 돌출부(PP1)의 제1 측면 사이에는 제1 접착 필름(AF1)이 구비되고, 제2 가이드바(GB2)의 측벽과 제1 돌출부(PP1)의 제2 측면 사이에는 제2 접착 필름(AF2)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PP1)는 제1 및 제2 접착 필름(AF1, AF2)에 의해서 제1 및 제2 가이드바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층(UL)의 제1 내지 제4 돌기부(PP1~PP4)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에 고정됨으로써, 상부층(UL)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a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D)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전자장치(E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장치(ED)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폴더블 전자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를 폴딩 상태로 정의하고,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비폴딩 상태로 정의한다.
폴딩축(FX)은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폴딩축(FX)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ED)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E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장치(E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E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영역(D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표시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영역(D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일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는 표시영역(DA)에 인접한 영역으로,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전자장치(ED)의 베젤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TC)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전자장치(ED)는 전자장치(ED)의 구조에 따라 전자장치(E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ED)는 표시면(IS)을 활성화시켜 영상(IM)을 표시하는 동시에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영역(DA)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되거나, 표시면(IS)의 모든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ED)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전자장치(E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IS)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D)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전자장치(ED)가 아웃-폴딩될 경우 표시면(IS)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7a는 도 15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절단선 Ⅸ-Ⅸ'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D)는 표시장치(DD) 및 케이스(HS)을 포함한다.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를 포함한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표시패널(DP) 상측에 배치된 상부층(UL) 및 표시패널(DP) 하측에 배치된 하부층(LL)을 포함한다.
상부층(UL)은 몸체부(BP) 및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된 연장부(EP1, EP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P)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장부(EP1, EP2)는 몸체부(BP)의 일측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7a에서, 연장부(EP1, EP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장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1 연장부(EP1) 및 제2 연장부(EP2)를 포함한다.
도 17a 및 도 17b에서는 상부층(UL)만이 연장부(EP1, EP2)를 갖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부층(UL) 뿐만 아니라 표시패널(DP) 및 하부층(LL) 중 적어도 하나가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표시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모듈(DM)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SP)에 대한 설명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SP)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HS)는 표시장치(DD)를 커버한다. 케이스(HS)는 바닥면(BS) 및 바닥면(BS)으로부터 연장된 측벽(SW)을 포함하고, 바닥면(BS)과 측면(SW)에 의해서 정의된 내부 공간에 표시장치(DD)가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장치(ED)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도 케이스(HS)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HS)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HS)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HS)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자장치(ED)의 구성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HS)는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와 각각 마주하는 제1 및 제2 상면(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면(SS1, SS2)은 케이스(HS)의 측벽(SW)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면(SS1, SS2)은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와의 결합을 위해 측벽(SW)의 다른 상면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DD)가 케이스(HS)에 수납되면,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는 제1 및 제2 상면(SS1, S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EP1)와 제1 상면(SS1) 사이에는 제1 접착 필름(AL1)이 배치되고, 제2 연장부(EP2)와 제2 상면(SS2) 사이에는 제2 접착 필름(AL2)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연장부(EP1)는 제1 접착 필름(AL1)에 의해 하우징(HS)의 제1 상면(SS1)에 결합되고, 제2 연장부(EP2)는 제2 접착 필름(AL2)에 의해 하우징(HS)의 제2 상면(SS)에 결합된다.
이처럼, 상부층(UL)의 제1 및 제2 연장부(EP1, EP2)가 케이스(HS)에 고정됨으로써, 상부층(UL)의 에지부가 폴딩 영역(FA) 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상부층(UL)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굴곡 변형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폴딩 방식에 따라 상부층(UL)이 아닌 하부층(LL)을 케이스(HS)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층(LL)과 케이스(HS)의 결합 방식은 상부층(UL)과 케이스(HS)의 결합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DM: 표시모듈 UL: 상부층
LL: 하부층 BP: 몸체부
EP1, EP2: 연장부 SP: 지지 플레이트
FX: 폴딩축 FA: 폴딩 영역
NFA1, NFA2: 비폴딩 영역 ED: 전자장치
HS: 케이스

Claims (29)

  1.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의 배면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연장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층;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하부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패널의 표시면이 노출되도록 폴딩되고,
    상기 상부층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연장부는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마주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상기 연장부는 접착 필름에 의해 결합되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연장부와 상기 지지부는 접착 필름에 의해 결합되는 표시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연장부에는 홀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비폴딩 시 상기 상부층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의 결합 인장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상기 표시패널 및 하부층의 단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패널 몸체부; 및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패널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장부는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마주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상기 패널 연장부는 접착 필름에 의해 결합되는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연장부는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마주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연장부는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마주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연장부와 상기 패널 연장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표시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표시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되고,
    상기 하부층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베이스층 및 커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및 커버 패널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하부 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장부는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마주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상기 하부 연장부는 접착 필름에 의해 결합되는 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비폴딩 시 상기 하부층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의 결합 인장력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부의 단면은 상기 상부층 및 표시패널의 단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20.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패널 몸체부; 및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되는 패널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장부에 부착된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또는 상기 패널 연장 상에 실장된 구동칩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장부는,
    상기 패널 몸체부의 제1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패널 연장부; 및
    상기 패널 몸체부의 제2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패널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 연장부 각각은 상기 패널 몸체부로부터 밴딩되고, 접착 필름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되는 표시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연장부는 밴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마주하고,
    상기 윈도우의 연장부는 접착 필름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과 결합하는 표시장치.
  25.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측과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전자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층; 및
    상기 표시패널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층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패널의 표시면이 노출되도록 폴딩되고,
    상기 상부층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전자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벽의 상면과 마주하고,
    상기 연장부는 접착 필름에 의해 상기 측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전자장치.
KR1020190145874A 2019-11-14 2019-11-14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20210059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74A KR20210059121A (ko) 2019-11-14 2019-11-14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US17/071,129 US11594155B2 (en) 2019-11-14 2020-10-15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0207198.1A EP3822740A1 (en) 2019-11-14 2020-11-12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2011265569.2A CN112802397A (zh) 2019-11-14 2020-11-1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74A KR20210059121A (ko) 2019-11-14 2019-11-14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21A true KR20210059121A (ko) 2021-05-25

Family

ID=7340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874A KR20210059121A (ko) 2019-11-14 2019-11-14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94155B2 (ko)
EP (1) EP3822740A1 (ko)
KR (1) KR20210059121A (ko)
CN (1) CN112802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84A (ko) 2021-11-23 2023-05-31 김지원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qr 쇼핑도우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691B (zh) * 2019-12-25 2021-08-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20022003A (ko) * 2020-08-14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22941A (ko) * 2020-08-19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96755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167819A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744662A (zh) * 2021-09-29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4078385B (zh) * 2021-11-05 2023-05-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24B1 (ko) 2013-06-25 2019-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490312B2 (en) * 2014-12-22 2016-11-0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US9933870B2 (en) * 2015-03-17 2018-04-03 Lg Display Co., Ltd.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66299B1 (ko) * 2015-08-31 202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569008B1 (en) 2015-08-31 2017-02-14 Logitech Europe S.A. Solid state input device
KR102409701B1 (ko) 2015-12-14 2022-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05609006B (zh) * 2015-12-31 2020-05-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装置
KR102426512B1 (ko) 2016-06-09 2022-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496467B1 (ko) 2016-11-23 202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80062273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62275A (ko)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8382A (ko) 2016-12-13 2018-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72832B1 (ko) 2016-12-30 2024-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79216B1 (ko) * 2017-04-24 2022-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0559B1 (ko) * 2017-07-04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477424B1 (en) * 2017-10-31 2021-09-15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KR102547854B1 (ko) 2018-05-04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9377887A (zh) 2018-12-19 2019-02-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84A (ko) 2021-11-23 2023-05-31 김지원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qr 쇼핑도우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2740A1 (en) 2021-05-19
US20210150944A1 (en) 2021-05-20
CN112802397A (zh) 2021-05-14
US11594155B2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9121A (ko)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2579030B1 (ko) 전자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표시장치
CN108255331B (zh) 柔性触摸屏及制作方法、显示屏及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US20200152895A1 (en) Display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37071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2559524B1 (ko) 표시 장치
US10649597B2 (en) Display apparatus
CN111292613A (zh) 显示装置和具有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US20220278303A1 (en) Display device
KR1026217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11256377B2 (en) Display device
KR102662389B1 (ko) 표시 장치
CN116133491A (zh) 显示装置
KR102579027B1 (ko) 전자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표시장치
CN114791781A (zh) 电子装置
CN221103941U (zh) 电子设备
EP3955091A1 (en) Display device
WO2024114235A1 (zh) 折叠显示终端
KR20210077179A (ko) 표시 장치
CN116645878A (zh) 保护面板以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30170190A (ko) 표시 장치
CN113377233A (zh) 可折叠触控模组以及可折叠显示装置
CN115224080A (zh) 显示装置
KR20240085956A (ko) 표시 장치
CN115550483A (zh) 折叠式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