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178A -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178A
KR20210058178A KR1020190145335A KR20190145335A KR20210058178A KR 20210058178 A KR20210058178 A KR 20210058178A KR 1020190145335 A KR1020190145335 A KR 1020190145335A KR 20190145335 A KR20190145335 A KR 20190145335A KR 20210058178 A KR20210058178 A KR 2021005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period
index
investment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규
Original Assignee
김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규 filed Critical 김형규
Priority to KR102019014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178A/ko
Publication of KR2021005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을 공시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식 시장의 지수 정보를 전송받아 기간별 시장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성과 지표로 산출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를 고려하여 전문성 등급을 대표하는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등급 결정 모듈; 및 상기 등급 결정 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평가 지수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병기하여, 제3자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평가 지수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시하는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PUBLIC ANNOUNCEMENT SERVICE PLATFORM AND APPLICATION OF PROFESSIONAL GRADING SYSTEM FOR INVESTOR EXPERTISE WHO RECOMMEND STOCKS}
본 발명은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주식 전문가들의 전문성의 정도를 공시하여 투자 자문을 의뢰하는 일반인들이 직접 객관적인 주식 전문가의 실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 법률 제6조에 명시된 정식 금융업자는 투자자문업으로 분류된다. 투자자문업자는 금융감독원에서 정식으로 허가를 받고 영업을 한다. 반면, 유사투자자문업은 금융감독원의 허가 없이 금융위원회에 단순 신고로 등록되어 정식 금융업자와 구분된다. 유사투자자문업자는 정식 금융업자가 아니므로, 타인의 계좌를 직접적으로 거래하거나 운용하지 못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매체를 이용해 불특정 다수에게 투자 정보만을 제공하고 일정한 대가를 받는 업을 말한다.
현재 실정은, 유사투자자문업자가 소위 주식 전문가라 호칭되어, 종목 추천과 매수 비중 및 매매 타이밍 등의 직접적인 투자행위까지 자문하고 있다. 유사투자자문업자들은 회원들에게 추천한 종목을 본인이 매매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자신의 실제 계좌 공개를 자연스럽게 거부하고, 적중했던 자문의 성과만을 강조하여 일반인 고객을 유입한다. 이렇다 보면, 일정 경력이 형성된 유사투자자문업자는 자문업 이전에 본인의 주식 실력 입증이 더욱 어려워진다. 이에, 일반인들은 검증되지 못한 소위 전문가들에 의하여 주식 투자 본질에 맞지 않는 투기적인 성향으로 주식을 매매하여 큰 손실을 입는 것이 일상다반사이다. 투자자문을 받는 일반인 입장에서는, 투자 책임이 본인에게 있는 이상 전문가의 실력에 의문이 있더라도 별다른 구제책이 없고, 잘못된 전문가를 선택했다며 자신을 질책하는 결과만 따라올 뿐이다.
종래기술로, 주식 투자자 또는 주식 분석가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몇몇 선행문헌들이 존재하지만, 유사투자자문업자의 신뢰성을 일반인들이 객관적으로 인지하여 평가하기에 적합한 서비스는 아직 제안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하에서, 주식 투자자 또는 주식 분석가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종래기술과 그 한계를 살펴본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479호(투자 종목 선정능력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평가 시스템, 이하 ‘문헌 1’이라 약칭)는 투자 분석가에 대한 평가에 있어 보다 신뢰성 있는 평가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문헌 1은 투자 분석가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평가수단으로 종목에 대한 선정 정보를 입력받아 목표 기간 동안의 종목에 대한 성패 여부 및 수익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평가를 받는 투자 분석가가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가 대상이라면, 문헌 1과 같이 성과를 ‘종목’기반으로 평가하는 것은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한다.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들은 다수의 회원을 대상으로 수많은 종목을 추천한다.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는 경우에 따라서, A회원에게 X1 내지 X5의 종목을 추천하고, B회원에게 X6 내지 X10의 종목을 추천한다. 추천 종목의 스프레드가 넓어짐에 따라, 반드시 수익이 나는 종목이 존재하게 된다. 다만, 문제는 X1 내지 X5의 종목으로 손해를 본 A회원은 가입을 탈퇴할 지라도, X6 내지 X10의 종목으로 수익을 본 B회원은 주식 전문가에게 강한 신뢰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의 예시와 같은 스프레드 영업을 수행하면, 특정 회원들에게는 전문가의 종목 추천이 백발백중으로 느껴질 수 있다.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주식 전문가의 가장 큰 문제점은 주식 전문가 본인은 주식을 하지 않더라도, 주식의 추천 만으로 회원들로부터 정기적인 리딩비를 받는 것에 있다. 주식 전문가 본인은 주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종목선정에 실패하여도 손해가 없으며, 종목선정에 성공한 회원만 존재한다면 수익 활동에 지장이 없다.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2번은 맞기 때문에 투자자문의 실력과 관계없이 적절한 언변과 영업방법의 선택만으로도 소위 주식 전문가가 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유사투자자문업에 있어서, 종목 선정에 대한 수익률 평가로 접근한다면, 실제 본인의 계좌를 공개하지 않는 주식 전문가의 실력을 정확히 검증할 수 없다.
따라서, 사실상 본인의 계좌를 공개하지 않거나, 교묘하게 편집된 계좌 수익률 스크린 샷만을 게시하여 실제 주식투자를 하지 않고도 타인에게 종목을 추천하는 주식 전문가를 평가의 대상으로 한다면, 문헌 1에서 개시된 신뢰성 평가와는 다른 과제해결 수단이 제시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5420호(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이하 ‘문헌 2’라 약칭)는 투자 분석가에 대한 평가에 있어 신뢰성 있는 평가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문헌 2는 투자 분석가에 대한 신뢰성에 평가 등급을 산출하여, 등급에 따라 주식 담보 대출이나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한다. 문헌 2에서 개시한 신뢰성 평가의 과제해결 수단은 평가 대상자의 주식 매매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와,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등을 연관하여 산출된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를 고려한다. 문헌 2는 투자 성과 고려의 실시예로서, 평가 대상자가 매매한 직접 수익에 해당하는 절대수익율과, 종합지수를 고려한 합산수익율의 차이값으로 계산한 상대수익율을 개시한다. 문헌 2는 ‘종목’에 대한 평가가 아닌 종목들을 거래한 최종적인 수익에 시장의 수익률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투자자의 신뢰성 평가 수단을 제안한다.
다만, 문헌 2는 주식 담보 대출이나 투자 유치시의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투자 성과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평가를 받는 투자 분석가가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가 대상이라면, 투자성과에 변동성이 심하지 않고 일관된 수익을 창출하는 투자 성과의 평가가 특히 중요할 것이다. 문헌 2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투자 평가 대상자가 5년 동안의 투자 성과를 평가받는다고 가정 할 때, 4년 동안 시장수익율 대비 월등히 낮은 절대수익율을 기록하여, 만약 4년차에 평가를 받았다면 아주 낮은 평가를 받을 것이다. 그러나, 해당 투자 평가 대상자가 이후의 1년차에 미수/신용 등의 레버리지 위험투자로 소위 대박종목을 매매하여 시장수익율 대비 월등한 절대수익율을 기록한다면, 최종적인 5년간의 평가에서 높은 등급으로 탈바꿈 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문헌 2에서처럼 투자자를 평가하는 주체가 주식 담보 대출을 하는 기관이나 투자를 유치하려는 전문기관이라면 전술한 투자 안정성 관련 신뢰도를 훼손할 수 있는 문제적인 상황은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평가를 받는 투자 분석가가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가 대상이라면, 일반인 입장에서 소위 대박종목에 의한 절대수익율과 상대수익율의 거품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9346호(온라인 상에서 적중률을 기반으로 한 투자분석가를 평가하는 방법, 이하 ‘문헌 3’이라 약칭)는 투자 분석가들의 시장 분석능력을 평가하여 계량화함으로써 일반투자자들의 요구에 실질적으로 부합하여 투자활동에 의미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문헌 3은 투자 분석가들의 시장 분석능력을 평가하는 과제해결 수단으로, 투자 분석가의 예측 주가 정보를 입력받아 적중률을 수치화한다. 문헌 3은 실제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기업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기업을 추천하고 목표주가를 제시하는 애널리스트의 분석 능력에 특히 적합한 평가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평가를 받는 투자 분석가가 애널리스트가 아닌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가 대상이라면, 문헌 3과 같이 성과를 적중률 기반으로 평가하는 것은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한다. 실제 주식의 매매는 종목 선정 뿐만 아니라, 종목을 매매하는 비중 조절이 수익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적중률이 높게 평가된 주식 전문가라 할지라도, 적중되지 못한 실패한 종목을 큰 비중으로 매수했다면 해당 주식 투자자는 오히려 큰 손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분석 능력이 중요한 애널리스트와는 달리,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들은 기업의 선정에 비중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살펴본바와 같이, 종래에는 투자자 또는 정보제공자 또는 분석가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시하지만,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유사투자자문업을 영위하는 소위 주식 전문가를 대상으로 일반인들에게 큰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식 전문가의 객관적인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은 제안되지 않은 실정이다.
유사투자자문업은 사설 투자자문업자의 양성화 목적으로 97년 증권거래법을 통해 도입된 이래, ‘신고’만으로 영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사투자자문업자는 투자 실력과 관계없이 신고만으로 적법한 영업활동이 가능하며, 일반인들은 객관적으로 유사투자자문업자를 평가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에 있지 못하다. 더욱 큰 문제는, 유사투자자문업자들의 투자 자문은 객관성이 담보되지 못한 차트분석 내지, 근본없는 노하우 기법 등에 의한 급등주 추천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증시환경은 건전한 투자문화 조성에 악영향을 끼치며, 현재까지도 대다수의 일반인들에게 주식 투자를 도박 행위의 연장으로 인지시킨다.
투자 실력의 평가 및 라이센스화는 제도적으로 구현하기에 극히 어려운 성질을 갖는다. 유사투자자문업은 별도의 실력 평가없이도 허가가 날 수 있는 ‘신고’제도임에도, 이들은 스스로를 ‘전문가’라 자청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유사투자자문업자들의 왜곡된 수익율 또는 교묘하게 수익난 구간을 편집한 수익률 또는 기타의 이유로 본인의 투자 수익률을 공개하지 않고 타인을 자문하기에 적합한 전문가라 칭하는 유사투자자문업자들을 일반인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04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0542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19346호
본 발명은 투자자의 투자 성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투자 수익률과 투자 안정성의 특징을 모두 고려하여 결과론적인 수익평가가 아닌 타인을 자문하기에 적합한 투자 실력과 포트폴리오 구축 능력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검증된 성과 지표를 제3자가 볼 수 있도록 등급 및 서열화로 공시함에 따라 라이센스 제도가 없는 유사투자자문업에서 최소한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자칭 전문가의 허위 및 과대광고의 영업행위를 자문을 얻고자 하는 소비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건전한 투자 문화와 투자실력 향상을 위한 올바른 경쟁의 장을 형성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을 공시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식 시장의 지수 정보를 전송받아 기간별 시장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성과 지표로 산출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를 고려하여 전문성 등급을 대표하는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등급 결정 모듈; 및 상기 등급 결정 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평가 지수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병기하여, 제3자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평가 지수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시하는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급 결정 모듈은, 상기 평가 대상자가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하여 평가를 요청한 날짜를 말일로 하고, 역산하여 1년(year) 이전의 기산일을 상기 평가 대상자로부터 설정받아 최소 1년(year) 이상의 기간을 상기 평가 지수 산출을 위한 평가대상 기간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급 결정 모듈은, 상기 평가 대상자가 설정한 평가대상 기간 동안의 계좌 수익률이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정도를 상기 성과 지표의 베이스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금 규모 또는 상기 평가대상 기간의 길이를 상기 베이스 값의 가중치로 연산하여 상기 성과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급 결정 모듈은, 상기 안정성 지표의 산출을 위한 변동성 요소로,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에서 수익률의 성과와 최대 손실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의 산출에 사용된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은, 상기 제3자로부터 수수료를 결제 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투자 계좌 정보의 조회 권한을 상기 제3자에게 부여하고, 상기 수수료 중 일부를 조회 대상이 되는 상기 평가 대장자에게 지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은, 상기 평가 지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전문가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전문가 등급의 상기 평가 대상자에게 전용 웹 페이지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가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 받는 기능;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식 시장의 지수 정보를 전송받아 기간별 시장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성과 지표로 산출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를 고려하여 전문성 등급을 대표하는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가 산출된 상기 평가 지수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병기하여, 제3자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평가 지수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대수익이 목표화 되는 일반적인 투자실정에서 수익의 정도뿐만 아니라 수익을 창출한 과정에서 리스크를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지의 안정성을 함께 평가하여, 본인이 아닌 타인의 투자를 자문하기에 적합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지수를 공시한다.
평가 지수가 공시됨에 따라, 제3자는 투자자의 전문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객관적인 투자 실력의 확인과 함께 유사투자자문업의 효과적인 마케팅이 동시에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3자는 평가 지수에 대한 호기심으로 투자자의 수익률 정보를 소정의 수수료로 열람 가능하며, 제3자의 열람으로 수수료의 일부가 투자자에게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플랫폼 운영자, 평가를 받고자 하는 투자자 및 제3자 모두에게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박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정석적으로 투자 실력 및 등급의 향상을 목적하는 동기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사투자자문업과 관계가 없는 일반인인 개인 투자자도 평가 대상자가 될 수 있으므로, 개인 투자자들이 자신의 투자실력이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체크할 수 있으며, 스스로 투자실력 향상을 위한 동기의식을 고취시켜 건전한 경쟁의 장으로 투자문화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이 제공하는 분석 조회 컨텐츠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이 제공하는 분석 조회 컨텐츠(67)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을 공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을 운영하는 서버(10)는 입력 모듈(13), 등급 결정 모듈(15), 데이터베이스(17) 및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서비스 제공자의 운영 서버(10)가 구축한 웹 페이지(60)의 형태로 평가 대상자(3)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을 웹 페이지(60)의 형태로 일반 대중인 제3자(4)에게 공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웹 페이지(60)에서 평가를 의뢰한 평가 대상자(3)의 평가 지수(65)를 내림차순으로 리스트업하며,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평가 지수(65)를 받은 평가 대상자(3)를 전문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평가 대상자(3)의 상대적 순위를 고려하여 등급을 보다 세분화할 수 있으며, 세분화한 등급은 평가 대상자(3)의 평가 지수(65)에 따라 티어(tier)가 부여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평가 지수(65)가 100 이상인 투자자는 전문가로 분류 될 수 있으며, 상위 1%는 ‘달인’의 티어, 상위 10%는 ‘골드’의 티어, 상위 30%는 ‘실버’의 티어가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상기와 같은 상대적인 등급 및 티어를 부여함에 따라, 이미 시장에서 충분한 수익을 획득한 평가 대상자(3)라 할지라도, 투자 의욕을 더욱 고취시켜서 지속적으로 투자에 대한 공부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의도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60)는 평가 대상자(3) 또는 제3자(4)로 하여금 산출된 평가 지수(65)에 대한 상세 평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분석 조회(67)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조회(67) 컨텐츠는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결과를 상세히 분석한 지표 및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평가 대상자(3)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과 문제점을 고찰할 수 있으며, 제3자(4)는 평가 대상자(3)에 대한 투자 자문의 적합도를 자신의 성향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상기의 분석 조회(67)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평가 대상자(3)로부터 분석 수행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받아 수익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평가 대상자(3) 뿐만 아니라 일반인인 제3자(4)도 분석 조회(67)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3자(4)가 수수료를 지급하고 열람하게 되는 당사자인 평가 대상자(3)는 제3자(4)가 지급한 수수료의 일부를 지불받아 평가 대상자(3) 역시 자신의 수익률 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수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특징의 웹 페이지(60)를 제공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보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도 2에서 설명하게 될 서비스 플랫폼(1)의 서버(10)가 수행하는 각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플랫폼(1)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60)를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이동 단말에서 지원하는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서비스 플랫폼(1) 또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한 서버(10)의 각 구성과 기능을 설명한다.
입력 모듈(13)은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모듈(13)은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로서, 평가 대상자(3)가 사용한 증권사에 대한 정보와, 사용 증권사의 계좌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식별정보는 해당 증권사의 HTS(Home Trading System) 정보일 수 있다.
예시로서, 키움증권을 사용한 투자자가 평가를 의뢰한 경우, 평가 대상자(3)는 이용한 증권사로 ‘키움증권’을 선택하고, 조회를 위한 키움증권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대부분의 증권사는, 실제 종목을 매매하거나 입출금 등의 서비스가 불가능한 ‘조회전용’서비스를 제공한다. HTS를 사용하는 투자자가 로그인을 위해서는 아이디,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3가지 식별정보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또는 공인인증서 만으로도 HTS를 이용할 수 있다. 반면, 계좌의 조회 서비스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인인증서 없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도 계좌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13)은 공인인증서의 요구 없이도 HTS의 조회 전용 관련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입력 모듈(13)은 평가 대상자(3)로부터 조회 전용 관련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평가 대상자(3)가 선택한 증권사(5)로부터 투자 계좌 정보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자 계좌 정보란, 평가 대상자(3)의 계좌번호, 예수금, 실시간 잔고, 계좌평가 잔고내역(합산), 일/월별 실현손익, 거래내역, 기간별 수익률 현황, 일별/월별/연도별 수익률 현황, 주식종목별월수익현황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식 시장의 지수 정보를 전송받아 기간별 시장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평가 대상자(3)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성과 지표(673)로 산출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표(675)를 산출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성과 지표(673)와 안정성 지표(675)를 고려하여 전문성 등급을 대표하는 평가 지수(65)를 산출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성과 지표(674)와 안정성 지표(675)의 조합으로 평가 대상자(3)의 평가 지수(65)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성과 지표(674)는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비교하여 시장대비 초과 수익을 지표 평가의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성과 지표(674)의 연산에 종목관련 수익률은 고려되지 않으며, 기간별 수익률의 정보가 변수로 설정됨에 유의한다.
투자는 크게 패시브 투자와 액티브 투자로 분류될 수 있다. 패시브 투자는 시장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같은 상품에 투자하는 것으로 시장 수익률을 추종한다. 반면, 액티브 투자는 개별종목을 거래하여 시장 수익률 대비 초과 수익을 의도할 때 선택하는 투자 방법이다. 여기서, 현재의 투자 실정은 소수의 일반 투자자만이 액티브 투자로 시장 수익을 초과하는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시장수익률에도 못 미치는 성과를 달성하여 사실상 패시브 투자를 하는 것이 보다 유리함에도 워낙 변동성이 작고 기대수익률이 낮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개별종목을 매매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사투자자문업자들의 과장된 수익률 성과 광고는 개별종목이 소위 대박이나서 짧은 기간 동안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을 때 이루어진다. 이 경우, 기간을 좀더 넓게 설정하면 사실 급등주 등의 대박을 좆기 위한 무리한 매매로 형편없는 수익률이 감추어지는 것이 일상다반사이다. 따라서, 연(year)단위의 기간으로 놓고 보면 사실상 패시브 투자의 성과에도 못 미치는 손해계좌이나, 특정 액티브 투자가 성공했던 기간만을 한정하여 마치 대단한 투자자인 것처럼 투자 성과가 홍보되는 것이다. 따라서, 등급 결정 모듈(15)은 성과 지표(673)로서, 성과의 기준을 시장 수익률을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와 비교하여 초과 수익이 발생되었는지를 지표로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과 지표(673) 산출에 의하면, 1년 기준으로 시장 지수(예를 들어, 코스피)가 10% 상승했을 때, 계좌 수익률이 8% 상승하면, 비록 1년동안 수익을 냈더라도 우수하지 못한 성과 지표(673)로 평가될 수 있다. 반면, 1년 기준으로 시장 지수(예를 들어, 코스피)가 10% 하락했을 때, 계좌 수익률이 5% 하락에 그쳤다면, 비록 1년동안 손실을 발생시켰더라도 우수한 성과 지표(673)로 평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간별 시장 수익률과 비교한 계좌 수익률을 초과 수익률이라 한다. 한편, 현재 투자평잔 기준의 계좌 수익률은 매매가 종료되지 않은 보유 종목에 대한 수익률 정보가 합산된다. 반면, 매매가 종료하여 수익 또는 손해를 실현할 때의 수익률 정보를 실현 수익률이라 한다. 평가 대상자(3)의 실현 수익률이 높을수록 한번 매수한 종목을 장기로 보유하여 복리의 효과를 높게 받는 ‘투자자’의 매매특성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실현 수익률이 낮다면 종목의 급등락에 잦은 매매를 수행한 트레이더의 매매특성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트레이더의 매매특성을 갖는 경우, 투자자문을 영위하더라도 일반 개인투자자가 해당 리딩을 따라 매매하기가 극히 어렵게 된다. 만약 3%, 5%의 수익권에서 매도사인을 주는 경우, 호가창의 상태에 따라 매수매도가 체결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 개인투자자에게 자문을 영위하기에 적합한 전문가로서 평가 대상자(3)의 성과 지표(673)에는 ‘트레이더'적인 특성보다 ‘투자자’적인 특성에 보다 가중치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3%~5% 수익권에서 매도사인을 받은 일반 투자자는 체결이 되더라도 그 수익권이 1%~2%의 수익으로 낮아질 수 있으며, 0.25%의 거래세 또한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20%~30% 수익권에서 매도사인을 받은 일반 투자자는 실제 20%~30%에 해당하는 수익의 실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성과지표(673)는 초과 수익률의 데이터에서 실현 수익률의 정보를 가중치로 반영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평가 대상자(3)가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하여 평가를 요청한 날짜를 말일로 하고, 역산하여 1년(year) 이전의 기산일을 설정하여, 최소 1년(year) 이상의 기간을 평가 지수 산출을 위한 평가대상 기간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등급 결정 모듈(15)은 전문가 등급의 경우 최소 3년 이상의 기간을 평가대상 기간으로 하여 투자자(3)의 평가 지수(65)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기산일은 평가 대상자(3)가 최소 1년 이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기산일은 평가 대상자(3)가 최초 계좌를 개설하여 거래를 시작한 날로 설정되어, 평가 대상자(3)가 해당 계좌로 주식 투자를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로 투자 기간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1)은 입력 모듈(13)이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아 평가를 요청한 날짜가 말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평가 대상자(3)는 임의의 수익 구간이 발생된 기간을 선택할 수 없으며, 시스템상 말일로부터 최소 1년, 바람직하게는 3년 이상을 역산하여 해당 평가대상 기간 동안 기간별(월별) 계좌 수익률을 평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로, 등급 결정 모듈(15)에서 평가 지수(65)가 전문가 등급으로 산출된 경우, 제3자(4)는 적어도 3년간 시장 수익률 대비 안정적인 초과 수익을 달성한 투자자로 인식할 수 있다.
평가 대상자(3)가 급등주 등의 리스키(risky)한 매매로 인해 월별 수익률에 충분한 왜곡이 발생된다 할지라도, 평가대상 기간이 최소 년(year)단위가 되기 때문에 투자자가 감당한 리스크에 따른 수익률이 충분히 종합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평가 대상자(3)가 설정한 평가대상 기간 동안의 계좌 수익률이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정도를 성과 지표(673)의 베이스 값으로 설정하고, 평가 대상자의(3) 투자금 규모 또는 평가대상 기간의 길이 또는 실현 수익률을 베이스 값의 가중치로 연산하여 성과 지표(673)를 산출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초과 수익률을 성과 지표(673)의 베이스 값으로 설정한다. 다른 가중치 요소가 아무리 높더라도 투자자는 기본적으로 패시브 투자인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성과를 올려야 제3자(4) 입장에서 비로소 전문가의 역량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과 지표(673)의 기본이 되는 베이스 값은 평가대상 기간에 따른 평균적인 초과 수익률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값에 더하여 등급 결정 모듈(15)이 산출하는 성과 지표(673)의 가중치 변수는 크게 실현 수익률, 투자금의 규모, 평가대상 기간의 길이가 될 수 있다. 투자자는 실현 수익률이 높을수록 투자 성향이 트레이더보다는 투자자에 가까우며, 투자자에 가까울수록 타인의 투자 자문을 하기에 적합한 성과를 올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는 투자금의 규모가 클수록 투자금의 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투자금이 클수록 단일 종목의 충분한 물량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내재가치로 움직이는 대형주 위주의 매매가 이루어지거나, 여러 종목의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같은 베이스 값을 갖더라도 투자평잔이 큰 투자자가 보다 높은 성과를 올린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투자자는 같은 베이스 값을 갖더라도 평가대상 기간이 길수록 보다 높은 성과를 올린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성과지표(673)의 세부 변수 및 평가 결과는 분석 조회 컨텐츠(67)를 통해 제3자(4)가 열람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안정성 지표(675)의 산출을 위한 변동성 요소로, 평가 대상자(3)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에서 수익률의 성과와 최대 손실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다. 안정성 지표(675)는 투자자가 목적하는 수익률 대비 리스크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대표할 수 있다. 예시로서, 월평균 10%의 수익률을 달성한 투자자가, 특정 달에서 최대 손실로 인한 수익률이 마이너스 40%일 때, 수익률의 변동성이 크게 평가되어 안정성 지표(675)가 낮게 산출될 수 있다. 투자자의 평가에 있어서, 해당 투자자가 높은 수익률의 성과를 낼 지라도, 마이너스 30~40%의 높은 리스크를 갖고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제3자(4) 입장에서 투자 자문을 얻기에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변동성은 크게, 월별 수익률을 기준으로하는 수익률 변동성, 매매가 완료된 실현손익과 최대손해의 변동성이 고려될 수 있다. 보유종목의 수익률 변동성과, 매매한 실현손익의 변동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 대상자(3)의 리스크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유종목의 수익률 변동성과, 매매한 실현손익의 변동성 및 리스크 지수는 분석 조회 컨텐츠(67)를 통해 제3자(4)가 열람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모듈(15)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평가 지수(65)를 도출함에 있어서 크게 성과 지표(673)와 안정성 지표(675)를 고려한다. 성과 지표(673) 및 안정성 지표(675)는 세부 산출 변수가 분석 조회 컨텐츠(67)를 통해 공개된다. 등급 결정 모듈(15)이 산출한 상세 평가 정보로 인하여, 제3자(4)는 투자금이 작아 높은 리스크와 높은 리턴을 기대할 경우 안정성 지표(675) 보다는 성과 지표(673)가 높은 전문가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투자금이 높은 제3자(4)는 성과 지표(673)보다 안정성 지표(675)가 높은 전문가를 선택할 수 있다. 결국, 객관적인 투자자의 성과 평가 및 세부 항목을 공시함에 따라 제3자(4)가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투자자문 전문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7)는 성과 지표(673)와 안정성 지표(675)의 산출에 사용된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17)는 등급 결정 모듈(15)이 연산하여 산출된 지표 뿐만 아니라, 산출되기 전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7)가 저장하는 평가 대상자(3)의 투자 계좌 정보로는, 매매가 완료된 종목, 년/월별 수익률, 월/일별 실현손익이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가 저장한 데이터 중, 등급 결정 모듈(15)이 연산하여 산출된 지표가 아닌 평가 대상자(3)의 HTS가 제공하는 투자 계좌 정보는 분석 조회 컨텐츠(67)에서 별도의 조회(677)항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지표 산출이나 연산에 의문이 있는 제3자(4)를 위한 것으로, 평가 대상자(3)의 HTS수익률을 제3자(4)에게 그대로 공개시키기 위함이다.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은 등급 결정 모듈(15)에서 산출된 평가 지수(65)를 평가 대상자(3)의 식별 정보(63)와 병기하여, 제3자(4)가 평가 대상자(3)의 식별 정보(63)와 평가 지수(65)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은 평가 지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전문가 등급으로 분류하고, 전문가 등급의 평가 대상자(3)에게 전용 웹 페이지(679)를 부여할 수 있다.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은 웹 페이지(60)의 형태로 평가 대상자(3)의 식별 정보(63)와 평가 지수(65) 및 평가 등급(61)을 공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은 웹 페이지(60)에서 평가 대상자(3)의 평가 관련된 상세 분석 조회 컨텐츠(67)를 제공할 수 있다.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은 제3자(4)로부터 수수료를 결제 받아 데이터베이스(17)의 투자 계좌 정보의 조회 권한을 제3자(4)에게 부여하고, 수수료 중 일부를 조회 대상이 되는 평가 대장자(3)에게 지불할 수 있다. 웹 페이지(60)가 제공할 수 있는 분석 조회 컨텐츠(67)는 도 2를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구축 모듈(19)이 제공하는 분석 조회 컨텐츠(67)와 전문가 등급의 평가 대상자(3)에게 부여하는 전용 웹 페이지(679)의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분석 조회 컨텐츠(67)는 평가 지수(65)의 산출 기반이 된 연산 변수로 성과 지표(673)와 안정성 지표(675) 및 분석된 투자 성향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평가 항목을 제시하는 ‘상세조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조회 컨텐츠(67)는 등급 결정 모듈(15)의 연산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평가 대상자(3)의 년/월별 수익률 정보와 월/일별 실현손익 정보를 제공하는 ‘계좌조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조회 컨텐츠(67)는 평가 대상자(3)를 전문가로 선정하여 투자자문을 의뢰하는 고객을 관리하는 전용 웹 페이지(679)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10: 서버 3: 평가 대상자
4: 제3자 5: 금융기관
13: 입력 모듈 15: 등급 결정 모듈
17: 데이터베이스 19: 웹 페이지 구축 모듈
60: 웹 페이지 61: 등급
63: 식별 정보 65: 평가 지수
67: 분석 조회 671: 평가 정보 다이어그램
673: 성과 지표 675: 안정성 지표
677: 수익률 정보 조회 679: 전용 웹 페이지

Claims (7)

  1.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을 공시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식 시장의 지수 정보를 전송받아 기간별 시장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성과 지표로 산출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를 고려하여 전문성 등급을 대표하는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등급 결정 모듈; 및
    상기 등급 결정 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평가 지수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병기하여, 제3자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평가 지수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시하는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 모듈은,
    상기 평가 대상자가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하여 평가를 요청한 날짜를 말일로 하고, 역산하여 1년(year) 이전의 기산일을 설정하여, 최소 1년(year) 이상의 기간을 상기 평가 지수 산출을 위한 평가대상 기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 모듈은,
    상기 평가 대상자가 설정한 평가대상 기간 동안의 계좌 수익률이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정도를 상기 성과 지표의 베이스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금 규모 또는 상기 평가대상 기간의 길이를 상기 베이스 값의 가중치로 연산하여 상기 성과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 모듈은,
    상기 안정성 지표의 산출을 위한 변동성 요소로,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에서 수익률의 성과와 최대 손실의 성과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의 산출에 사용된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은,
    상기 제3자로부터 수수료를 결제 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투자 계좌 정보의 조회 권한을 상기 제3자에게 부여하고, 상기 수수료 중 일부를 조회 대상이 되는 상기 평가 대장자에게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구축 모듈은,
    상기 평가 지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전문가 등급으로 분류하고, 상기 전문가 등급의 상기 평가 대상자에게 전용 웹 페이지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랫폼.
  7.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컴퓨터에,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가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를 입력 받는 기능;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고 주식 시장의 지수 정보를 전송받아 기간별 시장 수익률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간별 시장 수익률 대비 상기 평가 대상자의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성과를 성과 지표로 산출하고, 상기 평가 대상자의 투자 계좌 정보에서 기간별 계좌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성과 지표와 상기 안정성 지표를 고려하여 전문성 등급을 대표하는 평가 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가 산출된 상기 평가 지수를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병기하여, 제3자가 상기 평가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평가 지수를 열람할 수 있도록 공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KR1020190145335A 2019-11-13 2019-11-13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KR20210058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335A KR20210058178A (ko) 2019-11-13 2019-11-13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335A KR20210058178A (ko) 2019-11-13 2019-11-13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78A true KR20210058178A (ko) 2021-05-24

Family

ID=7615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335A KR20210058178A (ko) 2019-11-13 2019-11-13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1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756B1 (ko) * 2022-10-11 2023-07-28 김동인 주식 트레이딩 성과분석을 이용한 트레이더 선별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WO2023195726A1 (ko) * 2022-04-07 2023-10-12 최한철 차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트 분석 제공 디바이스
KR102650137B1 (ko) * 2023-07-31 2024-03-21 주식회사 아데나소프트웨어 소셜 트레이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46B1 (ko) 2009-12-24 2012-03-06 이창근 온라인 상에서 적중률을 기반으로 한 투자분석가를 평가하는 방법
KR101805420B1 (ko) 2015-10-27 2017-12-07 김해동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0479A (ko) 2018-01-23 2019-08-29 주식회사 에이제이케이 투자 종목 선정능력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46B1 (ko) 2009-12-24 2012-03-06 이창근 온라인 상에서 적중률을 기반으로 한 투자분석가를 평가하는 방법
KR101805420B1 (ko) 2015-10-27 2017-12-07 김해동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0479A (ko) 2018-01-23 2019-08-29 주식회사 에이제이케이 투자 종목 선정능력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평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26A1 (ko) * 2022-04-07 2023-10-12 최한철 차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트 분석 제공 디바이스
KR102561756B1 (ko) * 2022-10-11 2023-07-28 김동인 주식 트레이딩 성과분석을 이용한 트레이더 선별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KR102650137B1 (ko) * 2023-07-31 2024-03-21 주식회사 아데나소프트웨어 소셜 트레이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sch et al. Actual share repurchases, price efficiency, and the information content of stock prices
El‐Masry Derivatives use and risk management practices by UK nonfinancial companies
Dvořák Do domestic investors have an information advantage? Evidence from Indonesia
Chen et al. The seven percent solution
US8494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ransaction based recommendations
JP5372743B2 (ja) 投資情報のコンソリデーション、共有、及び分析
Haslem Mutual Funds: Portfolio structures, analysis, management, and stewardship
Gavazza Demand spillovers and market outcomes in the mutual fund industry
KR20210058178A (ko) 주식투자 자문을 영위하는 투자자의 수익률 평가 및 전문성의 등급 공시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Wulfmeyer Irrational mutual fund managers: Explaining differences in their behavior
Baker et al. Commodities: Markets, performance, and strategies
Zha Giedt Economic consequences of announcing strategic alternatives: A voluntary disclosure's benefits and costs
Staub The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on Auditing (ISA) in minimizing the Occupational Fraud Risks within Ent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t. Gallen)
Doumpos et al. Credit scoring and rating
Ivanauskas IPO underpricing and aftermarket performance in OMX Baltic
Murgia Shopify: The Valuation Case
Yılmaz Increasing interest in cryptocurrencies in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case of Turkey
Damilano et al. Risk Management Instruments Offered by P2P Lending Platforms. A Cross-Country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coring System
Janda et al. Bankruptcy triggering asset value: continuous time finance approach
Picquet Determinants of Deal Duration in Mergers and Acquisitions: Are They the Same for Private and Public Targets
Mutemeri Investigating price performance on initial public off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hannesburg Stock Exchange and the Nigerian Stock Exchange
Delhougne To what extent could alternative performance measures be considered as sector-based?
Šyškov Structural-functional deformations of the stock market in Ukraine: macro-and micro-measurements
Rakhi Analysing the performance of Islamic and conventional stock portfolios: Evidence from the Malaysia stock exchange
Malinova et al. Design report for the CSA pilot study on rebate prohibition (revised to address public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