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37A -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 Google Patents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37A
KR20210050137A KR1020190134384A KR20190134384A KR20210050137A KR 20210050137 A KR20210050137 A KR 20210050137A KR 1020190134384 A KR1020190134384 A KR 1020190134384A KR 20190134384 A KR20190134384 A KR 20190134384A KR 20210050137 A KR20210050137 A KR 2021005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il vapor
air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417B1 (ko
Inventor
김주리
김명숙
한유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엘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엘, 김명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엘
Priority to KR102019013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4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하우징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재를 포함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은 공기 흡입구가 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재는 유증기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 프레임 내측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AIR PURIFIER FOR OIL MIST AND OIL MIST FILTER}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육안으로 유증기 필터의 오염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수년 전부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등 대기질 악화로 인해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는 2012년부터 연평균 12% 이상씩 성장하여 현재 14조원에 이르는 시장으로 공기청정기는 가정의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 조리할 때 가열된 기름이 증기화되어 안개 형태로 공기 중에 부유되어 있는 상태의 유증기(oil mist)는 초미세먼지 등과 함께 발암물질로 작용하여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들이 폐암에 걸리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주로 대기중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으며, 가정 내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와 같이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오히려 공기청정기의 사용을 중지하고 조리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유증기가 찐득찐득한 기름때 형태로 공기청정기 필터에 달라붙어 필터의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고 나아가 공기청정기의 고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유증기를 걸러주기 위한 주방 전용 공기청정기가 몇몇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 제안된 기술들은 모두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유증기용 필터를 장착하고 내부에 장착된 필터의 오염 여부를 센서로 감지하여 교체시기 등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어, 오일필터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구성이 필요하거나, 미세먼지 여과용 메인필터 센서와 겸용하여 사용할 경우 오일 필터만의 오염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9-0087809 공개특허 10-2018-0094255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유증기로 인한 필터의 오염여부는 초미세먼지 등과 비교하여 육안으로도 비교적 쉽게 그 오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유증기용 필터의 오염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확인한 바에 따라 오염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들의 배치 위치 및 하우징 내부 공기유로의 구조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유증기 등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정청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하우징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은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재는 유증기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공기 흡입구 표면에 상기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은 공기 흡입구가 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고 하우징의 나머지 면으로 둘러싸인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 프레임 내측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완전히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다면체, 원뿔, 원통, 물방울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유증기 필터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적응하여 흡입구 표면을 피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재는 상기 유증기 필터의 후면에는 금속 매쉬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 매쉬 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탈취필터, 헤파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증기 필터는 제1 필터층과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코팅 결합된 상기 제1 필터층보다 미세한 조직의 제2 필터층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개구부 하단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개구부 하단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교체분을 포함하는 일정 길이의 유증기 필터가 축적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 중인 부분은 상기 축적 구조로부터 풀려져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미사용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개구부 하단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축적 구조는 롤 구조 또는 아코디언식으로 접혀진 접이식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개구부 상단 프레임의 상부에는 슬릿 형태의 유증기 필터 배출구가 구비되며, 사용이 끝난 유증기 필터의 교체시에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유증기 필터가 개구부 양측면의 프레임을 따라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유증기 필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 상단 프레임의 유증기 필터 배출구와 인접한 일 측면에는, 유증기 필터의 교체 시에 사용이 끝난 유증기 필터 전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하우징의 제2 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에는 정화되어 나오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날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하우징 내부는, 공기 흡입구, 필터재가 장착된 필터재부, 송풍팬이 장착된 송풍팬부의 순으로 각 부분의 종방향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는 열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열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음향이나 램프색 등의 변화로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 제1 면으로부터 열원 방향으로의 안전거리를 지시하는 자와 같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열원에 과도하게 근접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제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유증기용 공기청정기가 적어도 2개 이상 힌지로 결합되어,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결합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코팅된 상기 제1 필터층 보다 미세한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제1 필터층을 거친 공기를 통과시키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는 유증기 필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 필터층의 양 면 중에서 상기 제2 필터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 상에는 부분적으로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소재 또는 유증기 친화 소재로 소정 패턴이 형성되어 유증기에 의한 필터의 오염 시 패턴이 시각화될 수 있는 유증기 필터가 제공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육안으로 유증기용 필터의 오염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확인한 바에 따라 오염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구성 부품들의 배치 위치 및 하우징 내부 공기유로의 구조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유증기 등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리 중에도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필터에 의하면, 사용자가 육안으로 필터의 오염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외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필터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흡입 개구부가 설치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유증기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증기 필터 배출구의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에서 예시적인 필터 장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화된 공기의 토출구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를 각각 구성하는 2개의 본체가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환경에 따라 폴딩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문에 설명되는 특징 및 측면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하나의 특징이 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또 다른 특징이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경우, 본 발명은 이들 특징의 조합을 갖는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외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통상적인 공기청정기와 마찬가지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공기가 흡입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하우징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재로서 유증기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유증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공기 흡입구 표면에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하우징(100)의 제1 면(110)이 공기 흡입구로 기능하는 개구부(114)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프레임(112) 형태로 구성되고, 공기 중의 유증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114)를 통해 유증기 필터(210)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채택한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공기가 최초로 유입되는 흡입구, 즉, 완전히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114) 상에 유증기 필터가 직접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전체 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유증기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유증기 필터의 오염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다면체를 포함하여 원뿔형, 원통형, 물방울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유증기 필터(210)를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여 유증기 필터가 상기 다양한 하우징의 형상에 적응하여 흡입구 표면을 피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 상에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하우징의 형상이나 필터의 장착구조 등은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가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필터재가 설치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는 하우징의 제1 면(110)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유증기 필터(210)의 후면과 인접하여 매쉬필터(220)가 장착되며, 상기 매쉬필터(220)로써 유증기필터의 지지대로 기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차를 통해 잔여 유증기가 응결하도록 기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매쉬필터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공기청정기의 경우 매쉬필터가 필터재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고려하여 매쉬필터(220)가 유증기 필터(21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 특징이 있다.
그 다음 상기 금속 매쉬필터(220)와 송풍팬(300) 사이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 탈취필터(230)와 헤파(HAPA)필터(240)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탈취필터의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성분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와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유사 기능을 하는 재료로 대체될 수 있고, 헤파필터를 설치할 경우 공기중의 초미세먼지와 세균까지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유증기 필터(210)와 매쉬필터(22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탈취필터(230)와 헤파필터(240)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필터들은 탈취필터와 헤파필터 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특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각각의 필터재를 하우징 내부에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와 각 필터재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선택적 필터들을 원하는 배치순서로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탈장착 홈과 손잡이 등 탈장착 수단(220a, 250a)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석 등과 같이 쉽게 탈착이 가능한 수단을 이용하여 필터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탈취필터(230), 헤파필터(240)를 포함한 특수 필터들은 동일한 크기와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순서로 필터를 배치하거나 필터를 추가/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 내부는 공기 흡입구(114) 측에서 토출구(124) 측으로 갈수록 공기 유동 통로의 종방향 단면적이 좁아지는 피라미드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흡입구, 필터재가 장착되는 필터재부, 송풍팬 부의 순으로 그 종방향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유입된 공기의 유동 및 정화가 촉진되어 결과적으로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증기 필터의 예시적인 설치 구조가 설명된다. 도 3에는 흡입 개구부를 통해 유증기 필터(210)가 외부로 노출 설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제1 면의 프레임(112)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제1 면(110)에 형성된 개구부(114)의 하단 프레임(112b)은 상기 흡입 개구부가 설치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폭(w)을 가진다. 유증기를 포함한 공기의 흡입 개구부(114)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음식 조리시에 발생하는 유증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본 발명 공기청정기의 용도를 고려한 설계이다. 다시 말하면, 통상적으로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 위에 조리용 냄비나 후라이팬을 올리고 음식을 조리할 때 실제 유증기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조리용구의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공기중으로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흡입 개구부를 유증기가 실제 발산되는 영역에 유효하게 위치시킬 때 유증기 제거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흡입 개구부(114)가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구부 하단 프레임(112b)의 폭(w)을, 바람직하게는 조리용 냄비 등의 높이에 맞춰 설계한 특징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정된 폭을 가지는 하단 프레임(112b)의 내측, 하우징 내부에는 롤 형태로 감겨진 유증기 필터(21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유증기 필터(210)는 하우징의 제1 면(110) 상에 흡입 개구부의 길이 만큼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사용 중인 부분과, 상기 사용 중인 부분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된 일정 길이의 미사용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미사용 부분은 추후 사용 중인 부분이 오염되어 교체될 때 교체분으로서 롤 형태로 감겨진 구조로 하우징 내부에 유지된다. 즉, 교체분을 포함하는 일정 길이의 유증기 필터는 롤 형태로 감겨져 하우징 내부에 하단 프레임(112b)의 내측에 장착 보관되고, 현재 사용 중인 부분은 상기 롤로부터 풀려져 흡입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증기 필터가 롤 형태로 감겨져 축적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유증기 필터의 축적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코디언 식으로 다수겹으로 접혀진 접이식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증기 필터(210)의 구성으로는 1~10㎛의 유증기를 걸러줄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필터층과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코팅 결합된 상기 제1 필터층보다 미세한 조직의 제2 필터층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인 유증기 필터가 오염되었을 때 용이하게 이를 축적 구조로부터 떼어버리고, 축적 구조에 유지되어 있는 미 사용의 새로운 유증기 필터로 교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증기 필터는 연장된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 분량만큼 씩 점선 형태로 절개선이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 완료된 필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유증기 필터의 배출구에 칼 또는 열선 등의 커팅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 필터는 부직포 섬유로 구성될 수 있는 섬유 필터층과 그 위에 부분적으로 코팅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층은 섬유 필터층의 양 면 중에서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외측 면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필터층의 표면(210a)에 부분적으로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소재(210c) 또는 유증기 친화소재(210b)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유증기 필터가 사용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섬유 필터층의 표면(210a)에 부분적으로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소재(210c)를 형성한 경우에, 유증기 필터의 사용에 의해 섬유 필터층의 표면(210a)은 오염되고 상기 패턴이 형성된 부분(210c)은 오염되지 않아 패턴이 선명하게 대비되어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c)는 섬유 필터층의 표면(210a)에 이보다 유증기 흡착성능이 뛰어난 유증기 친화소재(210b)로 패턴을 형성한 경우에, 유증기 필터의 사용에 의해 섬유 필터층의 표면(210a) 보다 상기 패턴이 형성된 부분(210b)이 더욱 오염되어 패턴이 시각화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섬유 필터층보다 유증기 흡수력이 더 좋은 소재, 예를 들면 기름종이 재질로 패턴을 형성하여, 패턴 부분의 변색에 의해 유증기 필터의 오염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필터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분별하여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패턴은 점, 선, 문양 등 섬유 필터층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 필터는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제1 필터층과,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상기 제1 필터층 보다 미세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2 필터층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필터층은 제1 필터층을 1차적으로 통과한 공기가 추가로 여과되는 필터층으로 상기 제1 필터층의 양 면 중에서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내측 면에 형성되며, 부직포 또는 펄프재질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층은 제1 필터층보다 작은 공극을 가지는 미세한 조직으로 이루어지므로 공기의 흐름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필터층보다 얇은 두께, 예를 들면 1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 필터는 부직포 섬유로 구성되는 상기 제1 필터층의 양 면 중에서 제2 필터층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한 면 상에, 부분적으로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소재 또는 유증기 친화소재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터층과 유증기 흡착성능이 상이한 소재를 이용하여 패턴층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유증기 필터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분별하여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에서 오염된 유증기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구성이 설명된다. 도 5의 (a)와 (b)의 각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필터 배출구(116)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하우징의 제1 면(110)의 개구부 상단 프레임의 상부로는 개구부(114)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증기 필터의 단부가 약간 나와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4)의 상단 프레임 상부(112a)에는 사용 완료된 유증기 필터가 그 단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슬릿 형태의 유증기 필터 배출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유증기 필터 배출구(116)를 통해 상기 노출된 단부를 상방으로 뽑아내는 방식으로 사용이 끝난 유증기 필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끝난 유증기 필터의 교체 시에,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유증기 필터가 개구부 양 측면의 프레임을 따라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유증기 필터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사용 완료된 유증기 필터의 상방 미끄럼 이동은 사용자가 상단 프레임의 상부(112a)에 노출된 필터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하우징의 외부 일 측면에 내부의 유증기 필터 롤 유지수단과 연동되어 감겨진 롤이 풀리거나 감기도록 작동시키는 회전 놉을 구성하고, 감겨진 롤이 상방으로 풀려지도록 상기 회전 놉을 작동시킴으로써 사용 완료된 유증기 필터의 상방 미끄럼 이동을 유도하고 미사용 유증기 필터가 상기 개구부에 노출되도록 세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유증기 필터의 구체적인 배출 매커니즘은 유증기 필터의 인장강도나 뻣뻣한 정도 등 구체적인 재질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증기 필터의 상방 미끄럼 이동시에 필터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우징의 양 측면 프레임의 내측에는 유증기 필터의 후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떨어져 이동 중인 유증기 필터를 개구면에 인접하도록 유지시키는 가이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양 측면 프레임 내측에 돌기(118)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증기 필터를 개구면에 인접하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그 구성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양 측면 프레임 내측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증기 필터의 마찰력을 활용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제1 면(110)을 본체(120)와 분리하지 않아도 유증기 필터가 미끄러지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서 위, 아래 도면은 각각 개구부(114)의 상단 프레임(112a)을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개구부의 상단 프레임(112a)의 유증기 필터 배출구(116)와 인접한 일 측면에 프레임 오염 방지 수단(116a)이 구비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유증기 필터의 교체를 위하여 오염된 유증기 필터를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 오염된 필터 전면이 상단 프레임의 일 측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 프레임의 일 측면과 기울기를 달리하여 형성된 수단으로 상단 프레임(112a)과 일체로 또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 오염 방지 수단(116a)은 흡착된 유증기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단 프레임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오염 방지수단은 절취선에 따른 유증기 필터의 커팅 시에 절취선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 오염 방지 수단(116a)에 유증기 필터를 절단할 수 있는 커팅수단을 포함시켜, 배출되는 유증기 필터의 오염된 사용분이 상기 커팅수단을 통해 잘려져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유증기 필터의 축적구조가 구비된 실시형태에서 유증기 필터 교체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9에서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원통형, 원뿔형 등으로 구성하고 탄성재질의 유증기 필터가 흡입구 표면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필터의 교체시 사용 완료된 필터를 잡아당겨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필터를 덮어 씌우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a와 도 7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의 구성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 하우징(100)의 제2 면(122)에는 하우징 내부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토출구(124)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124)에는 정화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날개(126)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는 통상적인 공기청정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면에 다수개의 토출공이 타공된 형태나 매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날개(126)는 토출구의 하단부에 통판형 유도날개(126)를 힌지 결합시켜 하우징 면에 밀착된 수직방향으로부터 하우징 면의 법선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날개(126)를 다수개의 가늘고 기다란 날개가 연동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 형으로 구성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정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토출구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정화된 공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열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열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에게 소리나 빛을 발하는 방식으로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하우징 제1 면으로부터 열원 방향으로의 안전거리를 지시하는 자와 같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리기구의 불이나 열기와 최소한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열원에 과도하게 근접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제품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안전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는 이온생성기와 같은 부가적인 구성과, 공기질 측정센서, 전원 등 조작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 수단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를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증기가 포함된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2개의 본체가 서로 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성과, 사용 환경에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앞서 설명된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2개의 본체는 각각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필터재와 송풍팬이 구비되고,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공기 흡입구인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2개의 본체는 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서로 맞닿도록 접혀졌을 때 공기 흡입구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본체에는 회전축을 다른 하나의 본체에는 회전공을 적절한 부위에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회동시키는 구조를 포함하여 공지된 회전 링크 구조가 제한없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 본체는 각각의 흡입구 부분이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완전히 펼쳐질 수 있고, 2개 본체가 완전히 접혀져 흡입구 부분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회동 각도가 0~180도 범위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개 본체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성을 통하여, 조리기구의 구조나 유증기 발생 영역에 맞춰 공기 흡입구를 유연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기정화기는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2개 본체를 완전히 겹쳐지도록 접어 보관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공기청정기 본체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2개보다 많은 수의 공기청정기 본체를 아코디언 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필터재
300 송풍팬 114 개구부(흡입구)
112 프레임 210 유증기 필터
116 유증기 필터 배출구 124 토출구
126 유도날개

Claims (12)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하우징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재를 포함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은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재는 유증기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공기 흡입구 표면에 상기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은 공기 흡입구가 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고 하우징의 나머지 면으로 둘러싸인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 프레임 내측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증기 필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다면체, 원뿔, 원통, 물방물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증기 필터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흡입구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필터의 후면에는 금속 매쉬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 매쉬 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탈취필터, 헤파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개구부 하단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 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개구부 하단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증기 필터는, 교체분을 포함하는 일정 길이의 유증기 필터가 축적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 중인 부분은 상기 축적 구조로부터 풀려져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미사용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개구부 하단 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필터는
    섬유 필터층;
    상기 섬유 필터층 위에 부분적으로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소재 또는 유증기 친화소재로 소정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여,
    유증기에 의해 오염시 상기 패턴이 시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의 개구부 상단 프레임의 상부에는 슬릿 형태의 유증기 필터 배출구가 구비되며,
    사용이 끝난 유증기 필터의 교체시에,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유증기 필터가 개구부 양측면의 프레임을 따라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상기 유증기 필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상단 프레임의 유증기 필터 배출구와 인접한 일 측면에는, 유증기 필터의 교체 시에 사용이 끝난 유증기 필터 전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에는 정화되어 나오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열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하우징 제1 면으로부터 안전거리를 지시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11. 청구항 2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가 적어도 2개 힌지로 결합되어,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증기용 공기청정기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용 공기청정기.
  12.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 보다 미세한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제1 필터층을 거친 공기를 통과시키는 제2 필터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필터.
KR1020190134384A 2019-10-28 2019-10-28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KR10229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84A KR102292417B1 (ko) 2019-10-28 2019-10-28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84A KR102292417B1 (ko) 2019-10-28 2019-10-28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37A true KR20210050137A (ko) 2021-05-07
KR102292417B1 KR102292417B1 (ko) 2021-08-25

Family

ID=7591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84A KR102292417B1 (ko) 2019-10-28 2019-10-28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846B1 (ko) * 2021-06-08 2022-07-28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스마트센싱 유해가스 정화기
KR102641384B1 (ko) * 2023-03-14 2024-02-27 강성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742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20170105333A (ko) * 2016-03-09 201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KR20180094255A (ko) 2017-02-15 2018-08-23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시스템
KR20190000599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7809A (ko) 2018-01-17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930B1 (ko) * 2018-04-19 2019-09-19 주식회사 교원 스윙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742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20170105333A (ko) * 2016-03-09 201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KR20180094255A (ko) 2017-02-15 2018-08-23 코웨이 주식회사 주방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시스템
KR20190000599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7809A (ko) 2018-01-17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930B1 (ko) * 2018-04-19 2019-09-19 주식회사 교원 스윙형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846B1 (ko) * 2021-06-08 2022-07-28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스마트센싱 유해가스 정화기
KR102641384B1 (ko) * 2023-03-14 2024-02-27 강성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417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417B1 (ko) 유증기용 공기 청정기 및 유증기 필터
US8991003B2 (en)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JP6899847B2 (ja) 空気処理装置のための加湿モジュール
JP5836549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KR101962730B1 (ko) 필터 교체가 용이한 공동주택 주방후드 거름망
KR102321002B1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7809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1734A (ko) 공기정화기
KR102480324B1 (ko) 공기정화기
EP3659484B1 (en) Vacuum cleaner
JP5832214B2 (ja) 加湿装置
JP6699963B2 (ja) 加湿機
CN111780183B (zh) 吸油烟机
KR20210052185A (ko) 공기청정기
JP2015114045A (ja) レンジフード用脱臭装置
KR100968116B1 (ko) 연속 공급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용 필터유닛
KR200417118Y1 (ko) 공기정화기
JP2020002887A (ja) 送風手段および空気清浄装置
KR102325563B1 (ko)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TWI821418B (zh) 空氣清淨裝置
TWI816891B (zh) 空氣清淨裝置
JP7125738B2 (ja) 送風手段および空気清浄装置
KR100633181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JP6149954B2 (ja) 空気調和機
JP2014070789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