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420A - 휴대용 정수물병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420A
KR20210049420A KR1020190133707A KR20190133707A KR20210049420A KR 20210049420 A KR20210049420 A KR 20210049420A KR 1020190133707 A KR1020190133707 A KR 1020190133707A KR 20190133707 A KR20190133707 A KR 20190133707A KR 20210049420 A KR20210049420 A KR 2021004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pper
purification container
water purifica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명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텍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텍
Priority to KR102019013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9420A/ko
Publication of KR2021004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용기, 정수용기를 밀봉하는 마개몸체와, 마개몸체를 연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를 제공하는 드레인부재와, 마개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마개, 정수용기에 매립되어 정수용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펌프, 마개의 하부에 결합되어 정수용기에 수용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조립체 및 마개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마개몸체를 연통시켜 정수용기의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하는 압력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물병{PORTABLE WATER PURIFIER BOTTLE}
이하의 설명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물을 정수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란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을 정수하는 기구를 말하며, 최근에는 인구증가와 환경오염 문제로 전 세계적으로 식수부족 현상이 나타나 질 좋은 물을 얻기 위한 정수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낚시나 등산을 즐기는 야외 여가 활동 인구도 증가함에 따라, 야외에서도 정수된 물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군사 작전이나 오지 탐험시에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식수를 구해야 하는데, 미리 정수된 물을 구비하는 것은 무게 및 부피로 인해 그 양의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은 간단하게 여과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은 휴대용 정수물병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물의 여과를 위해서는 정수물병 내부에서 물이 필터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압력을 생겅하기 위해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9389호 "휴대용 정수기"(2018.06.14)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용기 내부에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압력을 발생시켜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마개를 통해 물을 유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정수기는 물을 취수한 후, 정수용기 내부에 잔여압력이 남아 있는 상태로 마개를 폐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결국 휴대용 정수기의 잔여압력으로 인해 물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가방에 휴대용 정수기를 담아 이동하였는데, 휴대용 정수기에서 물이 유출되어 가방내부가 물에 젖는 것은 물론 가방에 함께 담긴 스마트폰, 보조 배처리 등의 고장을 일으키는 2차 피해도 발생할 수 있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정수용기의 잔여압력을 제거함으로써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물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잔여압력 제거동작 없이, 잔여압력의 제거가 마개의 덮개가 패쇄될 때 일괄적으로 진행되는 휴대용 정수물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을 설명한다.
휴대용 정수물병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용기, 상기 정수용기를 밀봉하는 마개몸체와, 상기 마개몸체를 연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를 제공하는 드레인부재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마개, 상기 정수용기에 매립되어 상기 정수용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마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정수용기에 수용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조립체 및 상기 마개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마개몸체를 연통시켜 상기 정수용기의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하는 압력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압력제거부는 상기 마개몸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일부에 단면이 작게 형성된 배기부가 형성되는 압력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압력핀을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에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상기 배기부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배기부는 길이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 및 하부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배기부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압력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 형상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마개몸체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핀이 관통되는 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압력제거부는 상기 압력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면, 상기 핀홀의 하부를 씰링하는 하부씰링부재 및 상기 압력핀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 상기 핀홀의 상부를 씰링하는 상부씰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덮개는 상기 마개몸체를 밀폐할 때, 상기 압력제거부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기 배기부의 최상부보다 하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핀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갈수록 내면과 외면사이에 두께가 점차 얇아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용기의 잔여압력을 제거함으로써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잔여압력을 제거하는 동작 또는 시간없이 잔여압력의 제거를 마개의 덮개를 밀폐할 때,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정수용기에 매립된 펌프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정수용기에 매립된 펌프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마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덮개가 마개몸체를 밀폐했을 때,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가 압력제거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가 압력제거부를 일부 가압했을 때,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가 압력제거부를 완전히 가압했을 때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는 도 1에서 정수용기(100)를 기준으로 마개(400)가 위치한 상측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는 마개(400)를 기준으로 정수용기(100)가 위치한 하측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방향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수물병(10)은 내부에 수용된 물을 토출할 때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휴대용 정수물병(10)은 정수용기(100), 펌프(200), 필터조립체(300), 마개(400) 및 압력제거부(500)를 포함한다.
정수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정수용기(1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휴대가 가능할 정도의 크기 및 형상이면 모든 크기 및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정수용기(100)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정수용기(100)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하부에 하부덮개(110)를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수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도 가능할 수 있다.
정수용기(100)는 외주면 일측에 펌프(200)가 매립되는 공간의 매립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매립부(120)는 펌프(200)의 표면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매립될 수 잇는 정도의 공간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매립부(120)는 정수용기(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움푹 파인 형태로 구성된다.
매립부(120)의 중앙에는 펌프(200)의 일부분이 정수용기(100)의 내부로 밀봉되게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홀(130)을 정수용기(10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131)가 형성되어 정수용기(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정수용기(100)는 매립부(120)가 형성되는 반대쪽 표면에 파지홈(140)이 더 형성된다. 파지홈(140)은 사용자가 정수용기(1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파지홈(14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며 펌프(2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 휴대용 정수물병(10)을 파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수용기(100)의 하부에는 컵(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컵은 정수용기(100)의 하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펌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정수용기에 매립된 펌프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정수용기에 매립된 펌프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펌프(200)는 정수용기(100)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정수용기(100)내에 압력을 형성한다. 펌프(200)는 표면만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매립부(120)에 매립된 형상일 수 있다. 펌프(200)는 펌프몸체(210), 펌프마개(220) 및 제1체크밸브(230)를 포함한다.
펌프몸체(210)는 공기를 가압하며 탄성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유연한 고무재질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펌프몸체(210)는 내부에 빈공간(211)을 형성하며, 둥근 타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펌프몸체(210)는 정수용기(100) 쪽 면에 펌프마개(220)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다. 펌프몸체(210)는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의 십자방향으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띠(2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강띠(214)는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펌프 몸체의 제작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몸체(210)는 표면을 눌렀다가 놓을 경우 외부공기를 펌프몸체(2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체크밸브(212)가 구비된다. 제2체크밸브(212)는 펌프몸체(210)의 표면을 누를 경우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펌프몸체(210)의 내부 공기가 제2체크밸브(212)를 통해 정수용기 내부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크밸브(212)는 펌프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몸체(210)는 외부 공기가 제2체크밸브(212) 쪽으로 원할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13)을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홈(313)은 펌프몸체(210)의 테두리에서 제2체크밸브(212) 쪽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펌프(200)는 정수용기(100)의 매립부(120)에 매립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 때, 펌프(200)와 정수용기(100)의 매립부(120) 사이에는 어느 정도가 틈새가 형성된다. 즉, 펌프몸체(210)를 눌러 공기를 펌핑할 경우 상기와 같은 틈새를 통해 제2체크밸브(212)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제2체크밸브(212)를 거쳐 펌프몸체(210)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가이드홈(313)을 펌프몸체(210)의 표면에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가이드홈(313)을 구비할 경우에는 제2체크밸브(212) 쪽으로의 원활한 공기 유동이 가능하다.
펌프마개(220)는 삽입홀(130)의 연장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펌프몸체(210)를 정수용기(100)에 고정한다. 펌프마개(220)는 다수의 공기 유동홀이 형성되어 펌프몸체(210)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수용기(100)로 연통한다.
제1체크밸브(230)는 펌프마개(220)에 결합된다. 제1체크밸브(230)는 펌프몸체(210)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수용기(100)의 내부로 유동시키되, 정수용기(100)의 공기가 펌프몸체(21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제1체크밸브(230)는 공기가 정수용기(100)로 공급되는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로 돌아와서, 필터조립체(300)는 마개(4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정수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을 정수한다. 필터조립체(300)는 후술하는 마개(400)의 고정부재(440)에 맞물려 고정되며 일정 내부 공간을 가진 필터케이스(310)와, 필터케이스(310)의 내부에 수납되어 물을 정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스(310)는 내부에 수납되는 필터에 물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및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스(310)는 정수용기(100) 및 고정부재(44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필터는 정수용기(100) 내부의 물을 통과시키며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는 사용용도, 목적, 장소에 따라 적합한 필터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마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덮개가 마개몸체를 밀폐했을 때,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가 압력제거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가 압력제거부를 일부 가압했을 때,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가 압력제거부를 완전히 가압했을 때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개(400)는 정수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정수용기(100)를 밀봉한다. 또한, 마개(400)는 정수용기(100)에 수용된 물이 필터를 거쳐 정수되면 이를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유출시킨다. 마개(400)는 마개몸체(410), 드레인부재(420), 덮개(430) 및 고정부재(440)를 포함한다.
마개몸체(410)는 정수용기(100)를 밀봉한다. 여기서, 마개몸체(410)는 정수용기(100)의 상부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하부에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정수용기(100)와 결합된다.
드레인부재(420)는 마개몸체(410)를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드레인부재(420)는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부분이다. 드레인부재(420)는 덮개(430)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구가 개폐될 수 있다.
덮개(430)는 마개몸체(4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에 힌지축(431)을 형성하여 힌지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마개몸체(410)에는 덮개(430)를 개방하거나 잠그기 위한 잠금홈(미도시)을 갖는 버튼(411)이 형성되고, 덮개(430)에는 잠금홈에 맞물리는 잠금돌기(432)가 형성된다. 또한, 마개몸체(410)에는 덮개(430)가 열리지 않도록 버튼(411)의 누름을 제한하는 레버(4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412)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개몸체(410)에 결합되어 잠금돌기(432)를 잠금홈에서 결합 해제시키는 버튼(411)이 선택적으로 눌리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재(440)는 마개(400)의 하부에 필터조립체(300)를 결합한다.
압력제거부(500)는 마개몸체(410)에 결합된다. 여기서 마개몸체(410)는 상부면에 상부로 돌출된 리브 형태의 소켓부(413)가 형성되어 압력제거부(500)의 홀더(520) 및 탄성부재(530)를 수용한다. 또한, 소켓부(413)의 중심에 압력제거부(500)의 압력핀(510)이 관통 결합되는 핀홀(414)이 형성된다. 여기서 핀홀(414)은 압력핀(5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압력제거부(500)는 선택적으로 마개몸체(410)를 연통시켜 정수용기(100)의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한다. 압력제거부(500)는 압력핀(510), 홀더(520), 탄성부재(530), 하부씰링부재(540) 및 상부씰링부재(550)를 포함한다.
압력핀(510)은 마개몸체(4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압력핀(510)은 마개몸체(410)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정수용기(100)의 압력이 높아진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써, 압력핀(510)의 외주면 일부에 단면이 작게 형성된 배기부(51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기부(511)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핀(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기부(511)는 압력핀(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작아질 수 있는 형태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배기부(511)는 길이가 마개몸체(410)의 상부 및 하부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배기부(511)의 길이는 마개몸체(410)의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배기부(511)는 마개몸체(410)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위치될 때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홀더(520)는 마개몸체(410)의 상부에서 압력핀(510)을 고정한다. 홀더(520)는 중심에 압력핀(510)을 삽입 결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홀더(520)의 외주면은 소켓부(413)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홀더(520)의 상부에는 플랜지형태로 형성되어 소켓부의 상부로 완전히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탄성부재(530)는 소켓부(413)에 삽입 배치되고, 홀더(5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홀더(520)에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530)는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530)가 완전히 인장되었을 때, 압력핀(510)의 배기부(511)의 하단부는 마개몸체(410)의 하부면 위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덮개(430)는 마개몸체(410)를 밀폐할 때, 압력제거부(500)의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부(433)가 형성된다. 가압부(433)는 덮개가 마개몸체(410)를 밀폐할 때 압력핀(510)의 배기부(511)의 하단부가 마개몸체(410)의 하부면 아래로 이동되도록 충분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부씰링부재(540)는 압력핀(5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부재(530)가 인장될 때, 핀홀(414)의 하부에 압착되어 씰링한다. 하부씰링부재(5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하부씰링부재(540)는 핀홀(414)의 하부를 밀폐하는 모든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하부씰링부재(540)의 상단부는 상부쪽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씰링부재(550)는 압력핀(51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부씰링부재(550)는 압력핀(510)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배기부(5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씰링부재(550)의 최하단부는 배기부(511)의 최상단보다 아래에 결합되되, 가압부(433)가 압력제거부(500)를 완전히 가압할 때는 핀홀(414)을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부씰링부재(550)는 하부가 개구되어 핀홀(414)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홈이 형성된다. 상부씰링부재(550)는 내면이 핀홀(414)을 감싸는 형태로 씰링할 수 있다. 이때, 상부씰링부재(550)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갈수록 내면과 외면사이에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씰링부재(550)와 하부씰링부재(540)가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가져 상부씰링부재(550)의 하부와 하부씰링부재(540)의 상부는 마개몸체(410)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씰링부재(550)의 하부와 하부씰링부재(540)의 상부는 마개몸체(410)의 두께보다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만큼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33)가 압력제거부(50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부씰링부재(540)의 상부가 마개몸체(410)에 압착되어 핀홀(414)을 밀봉한다. 이때, 덮개(430)를 밀폐하여 가압부(433)가 압력제거부(500)를 일부 가압하는 경우에 배기부가 마개몸체(410)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정수용기(100)에 남아있는 잔여압력이 제거된다. 이때, 상부씰링부재(550)는 잔여압력으로 인해 최하단부가 들뜨게 되어 공기가 배출되어 정수용기(100)내의 압력이 제거된다. 또한, 상부씰링부재(550)의 홈에 의한 내부 공간 형상으로 인해 잔여압력이 상부씰링부재(550)를 밀어 올리며 발생하는 힘 때문에 잔여압력이 제거된 후에 가압부(433)가 압력제거부(500)를 완전히 밀어 덮개(430)가 마개몸체(410)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물병(10)은 물을 정수하여 음용한 후에 덮개를 밀폐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잔여압력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정수물병(10)이 눕혀지더라도 잔여압력으로 인해 물이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휴대용 정수물병 100: 정수용기
110: 하부덮개 120: 매립부
130: 삽입홀 131: 연장부
140: 파지홈 200: 펌프
210: 펌프몸체 211: 빈공간
212: 제2체크밸브 214: 보강띠
220: 펌프마개 230: 제1체크밸브
300: 필터조립체 310: 필터케이스
313: 가이드홈 400: 마개
410: 마개몸체 411: 버튼
412: 레버 413: 소켓부
414: 핀홀 420: 드레인부재
430: 덮개 431: 힌지축
432: 잠금돌기 433: 가압부
440: 고정부재 500: 압력제거부
510: 압력핀 511: 배기부
520: 홀더 530: 탄성부재
540: 하부씰링부재 550: 상부씰링부재

Claims (9)

  1.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용기;
    상기 정수용기를 밀봉하는 마개몸체와, 상기 마개몸체를 연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를 제공하는 드레인부재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마개;
    상기 정수용기에 매립되어 상기 정수용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마개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정수용기에 수용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조립체; 및
    상기 마개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마개몸체를 연통시켜 상기 정수용기의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하는 압력제거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물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거부는,
    상기 마개몸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일부에 단면이 작게 형성된 배기부가 형성되는 압력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압력핀을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에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상기 배기부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정수물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길이가 상기 마개몸체의 상부 및 하부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휴대용 정수물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압력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 형상인 휴대용 정수물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몸체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핀이 관통되는 핀홀;
    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물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거부는,
    상기 압력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인장되면, 상기 핀홀의 하부를 씰링하는 하부씰링부재; 및
    상기 압력핀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 상기 핀홀의 상부를 씰링하는 상부씰링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물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마개몸체를 밀폐할 때, 상기 압력제거부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물병.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기 배기부의 최상부보다 하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핀홀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홈이 형성되는 휴대용 정수물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갈수록 내면과 외면사이에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휴대용 정수물병.
KR1020190133707A 2019-10-25 2019-10-25 휴대용 정수물병 KR20210049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07A KR20210049420A (ko) 2019-10-25 2019-10-25 휴대용 정수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707A KR20210049420A (ko) 2019-10-25 2019-10-25 휴대용 정수물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20A true KR20210049420A (ko) 2021-05-06

Family

ID=7591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707A KR20210049420A (ko) 2019-10-25 2019-10-25 휴대용 정수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9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63464A (ja) 液状化粧品容器
DE502005004718D1 (de) Flüssigkeitsfilter mit einer Entleerungsvorrichtung
CN106458382A (zh) 具有自闭阀的水瓶
CA2661415C (en) Liquid container
KR101869389B1 (ko) 휴대용 정수기
US9023290B2 (en) Container for a contact lens storage solution and cleaning and/or sterilizing device for contact lenses in a contact lens storage solution
KR101939511B1 (ko)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KR101289483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49420A (ko) 휴대용 정수물병
RU23337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CN115316766A (zh) 隐形眼镜盒
CN205525687U (zh) 用于能够填充含碳酸的饮料的水瓶的水瓶盖
KR20120138464A (ko) 수밀형 오링,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하우징
KR20120002011U (ko) 스포이드형 용기
KR101372051B1 (ko) 정수기
KR20090005104U (ko) 슬라이드 캡을 갖는 펌프용기
TWM492296U (zh) 可保存負氫離子水的容器結構
KR102168030B1 (ko) 락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정수 물병
DE102007001183A1 (de) Kontaktlinsenbehälter mit integriertem Flüssigkeitsreservoir
TWI617346B (zh) 中空紗膜模組
KR200400995Y1 (ko) 가스안전 이중밸브
KR200240848Y1 (ko) 용기뚜껑의 개폐장치
KR20120108825A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0434775Y1 (ko) 주사기 물감용기
KR20210091908A (ko) 필터 카트리지, 이를 구비하는 정수 필터 조립체 및 휴대용 정수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