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030A -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030A
KR20210048030A KR1020190131761A KR20190131761A KR20210048030A KR 20210048030 A KR20210048030 A KR 20210048030A KR 1020190131761 A KR1020190131761 A KR 1020190131761A KR 20190131761 A KR20190131761 A KR 20190131761A KR 20210048030 A KR20210048030 A KR 2021004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iquid
filter
sol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아
이대영
Original Assignee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030A/ko
Publication of KR2021004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with stirring elements moving with respect to the stirrer shaft, e.g. floating or comprising contract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7/00183
    • B01F7/16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필터(120); 상기 필터(12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액체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시키고 고형물은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착스크류(130); 상기 본체(11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필터(12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투입부(14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남아있는 액체를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교반유닛(15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밀폐하다가 고형물이 점차 쌓이면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개방하여 고형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유닛(160);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형물 배출부(170); 상기 본체(110)와 고형물 배출부(170)의 사이를 연결하여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80); 상기 보조몸체(180)의 내측에 상기 몸체(110)에서 공급하는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분쇄하여 액체는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쇄유닛(190);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과 액체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1차 분리된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다시 한번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a high-value separator for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과 액체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과 액체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형물과 액체를 분리하는 과정 및 구성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고형물과 액체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고형물이 액체에 포함되어 배수관으로 그대로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일본공개특허 평11-333415호(1999.12.0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0578호(2005.03.31.) 한국등록특허 제10-0618948호(2006.09.01.) 한국등록특허 제10-0805377호(2008.02.22.) 한국등록특허 제10-2010-0074613호(2010.07.02.) 한국등록특허 제10-1309388호(2013.09.17.) 한국등록특허 제10-1878911호(2018.09.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과 액체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1차 분리된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다시 한번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필터(120); 상기 필터(12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액체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시키고 고형물은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착스크류(130); 상기 본체(11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필터(12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투입부(14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남아있는 액체를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교반유닛(15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밀폐하다가 고형물이 점차 쌓이면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개방하여 고형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유닛(160);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형물 배출부(170); 상기 본체(110)와 고형물 배출부(170)의 사이를 연결하여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80); 상기 보조몸체(180)의 내측에 상기 몸체(110)에서 공급하는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분쇄하여 액체는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쇄유닛(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 상기 레일(11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수위감지센서(112,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필터(120)는 중앙에 상기 압착스크류(1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액체 배출부(121)를 구비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120)의 중앙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고,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상기 압착스크류(130)와 연결하는 구동수단(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교반유닛(150)은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151); 상기 지지부(15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연결부(152); 상기 연결부(152)의 하부에 형성하는 교반날개(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153)는 상기 연결부(152)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52)의 하단에 상기 교반날개(153)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154)을 형성하며, 상기 교반날개(153)의 상부 일측에 부력부(15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유닛(160)은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폐구(161); 상기 밀폐구(16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62); 상기 밀폐구(161)와 받침구(16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밀폐구(161)를 항상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차단하고 상기 밀폐구(161)가 고형물로 인해서 하부로 내려오면 압축하면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체(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유닛(190)은 일측에는 다수개의 분쇄날을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고, 타측에는 상기 분쇄날의 사이로 삽입하여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분쇄날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쇄유닛(190)의 하부에 상기 분쇄날을 통과하는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액체는 통과시켜 상기 보조몸체(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액체 배출부(182)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별망(1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과 액체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1차 분리된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다시 한번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필터(120); 상기 필터(12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액체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시키고 고형물은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착스크류(130); 상기 본체(11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필터(12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투입부(14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남아있는 액체를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교반유닛(15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밀폐하다가 고형물이 점차 쌓이면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개방하여 고형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유닛(160);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형물 배출부(170); 상기 본체(110)와 고형물 배출부(170)의 사이를 연결하여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80); 상기 보조몸체(180)의 내측에 상기 몸체(110)에서 공급하는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분쇄하여 액체는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쇄유닛(19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는 액체를 저장한 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 상기 레일(11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수위감지센서(112,113);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110)에 남아있는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센서(112,113)는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120)는 내측으로 투입하는 음식물 쓰레기 중에서 액체를 통과시켜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120)는 중앙에 상기 압착스크류(1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액체 배출부(121)를 구비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필터(120)는 일정두께를 갖고 중앙에 상기 압착스크류(1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비어있는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를 배열하여 그 사이에 액체 배출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 배출부(121)의 간격을 고형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120)의 중앙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고,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고형물과 액체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투입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압착스크류(130)는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고형물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액체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시켜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압착스크류(130)는 나사 형태로 감긴 상태로 상기 필터(120)의 내측에 중앙에 삽입하여 상기 필터(120)의 상부를 통해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과 동시에 하부방향으로 압착시켜 고형물은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는 액체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배출시켜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상기 압착스크류(130)와 연결하는 구동수단(131);을 포함하여 상기 압착스크류(13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131)은 모터 또는 모터와 감속기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입부(140)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필터(120)의 내측 중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상기 압착스크류(130)와 함께 회전하는 교반유닛(150)의 지지부(151)가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중간 일측에 여유공간(1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유닛(150)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남아있는 액체를 교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교반유닛(150)은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151); 상기 지지부(15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연결부(152); 상기 연결부(152)의 하부에 형성하는 교반날개(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51)는 회전하는 과정에서 투입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얇은 판재형태로 방사상으로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개(153)는 상기 연결부(152)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52)의 하단에 상기 교반날개(153)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154)을 형성하며, 상기 교반날개(153)의 상부 일측에 부력부(155)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부(155)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액체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교반날개(15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유닛(160)은 평소에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밀폐하다가 고형물이 점차 쌓이면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개방하여 고형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유닛(160)은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폐구(161); 상기 밀폐구(16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62); 상기 밀폐구(161)와 받침구(16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밀폐구(161)를 항상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차단하고 상기 밀폐구(161)가 고형물로 인해서 하부로 내려오면 압축하면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체(16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밀폐구(161)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하여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맞닿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163)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구(161)가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맞닿거나 떨어진 후 다시 맞닿을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확보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몸체(180)는 상기 본체(110)와 고형물 배출부(170)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본체(110)를 통과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와 보조몸체(180)의 사이에 액체를 배출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8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유닛(190)은 상기 보조몸체(180)의 내측에 위치하여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다시 한번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분쇄유닛(190)은 일측에는 다수개의 분쇄날을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고, 타측에는 상기 분쇄날의 사이로 삽입하여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분쇄날을 배열한다.
따라서 상기 분쇄유닛(190)의 상부로 투입하는 액체에서 고형물은 상기 분쇄날에 의해서 다시 분쇄되고 액체는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유닛(190)의 하부에 상기 분쇄날을 통과하는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액체는 통과시켜 상기 보조몸체(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액체 배출부(182)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별망(1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별망(191)은 액체는 하부로 통과하고 고형물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일정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타공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140)를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필터(120)의 내측 중앙으로 투입하면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회전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은 점차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액체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쌓여지는 고형물은 일정량 이상 모일 경우 상기 개폐유닛(160)의 작동으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방시켜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를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남아있는 액체는 상기 분쇄유닛(190)의 상부로 투입하여 액체에 포함된 고형물은 상기 분쇄유닛(190)에 의해서 다시 분쇄되어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를 통해서 배출하고 액체는 하부로 배출하여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110: 본체 111: 레일
112,113: 수위감지센서
120: 필터 121: 액체 배출부
130: 압착스크류 131: 구동수단
140: 투입부
150: 교반유닛 151: 지지부
152: 연결부 153: 교반날개
154: 지지턱 155: 부력부
160: 개폐유닛 161: 밀폐구
162: 받침구 163: 탄성체
170: 고형물 배출부
180: 보조몸체
190: 분쇄유닛 191: 선별망

Claims (10)

  1.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필터(120); 상기 필터(12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액체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시키고 고형물은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압착스크류(130); 상기 본체(11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필터(12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투입부(14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또는 일측에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남아있는 액체를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교반유닛(150);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밀폐하다가 고형물이 점차 쌓이면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개방하여 고형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개폐유닛(160); 상기 필터(120)의 하부에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형물 배출부(170); 상기 본체(110)와 고형물 배출부(170)의 사이를 연결하여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80); 상기 보조몸체(180)의 내측에 상기 몸체(110)에서 공급하는 액체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분쇄하여 액체는 하부로 배출하고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쇄유닛(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 상기 레일(11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는 수위감지센서(112,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120)는 중앙에 상기 압착스크류(1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액체 배출부(121)를 구비하여 액체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120)의 중앙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고,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상기 압착스크류(130)와 연결하는 구동수단(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150)은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151); 상기 지지부(15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연결부(152); 상기 연결부(152)의 하부에 형성하는 교반날개(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153)는 상기 연결부(152)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52)의 하단에 상기 교반날개(153)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154)을 형성하며, 상기 교반날개(153)의 상부 일측에 부력부(15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160)은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폐구(161); 상기 밀폐구(16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착스크류(13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62); 상기 밀폐구(161)와 받침구(16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밀폐구(161)를 항상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차단하고 상기 밀폐구(161)가 고형물로 인해서 하부로 내려오면 압축하면서 상기 필터(120)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탄성체(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190)은 일측에는 다수개의 분쇄날을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배열하고, 타측에는 상기 분쇄날의 사이로 삽입하여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분쇄날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190)의 하부에 상기 분쇄날을 통과하는 고형물은 상기 고형물 배출부(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액체는 통과시켜 상기 보조몸체(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액체 배출부(182)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별망(1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KR1020190131761A 2019-10-22 2019-10-22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KR20210048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61A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19-10-22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61A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19-10-22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030A true KR20210048030A (ko) 2021-05-03

Family

ID=7591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761A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19-10-22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030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3415A (ja) 1998-05-26 1999-12-07 Mitsuhisa Nishimura 生ゴミ処理機
KR200380578Y1 (ko) 2004-12-09 2005-03-31 정세용 그리스 공급장치
KR100618948B1 (ko) 2004-06-03 2006-09-01 윤광호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0805377B1 (ko) 2006-12-04 2008-02-22 (주)케이비시스템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고액분리기
KR20100074613A (ko) 2008-12-24 2010-07-02 동우바이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액 고액분리기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3-09-17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8-09-20 홍정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3415A (ja) 1998-05-26 1999-12-07 Mitsuhisa Nishimura 生ゴミ処理機
KR100618948B1 (ko) 2004-06-03 2006-09-01 윤광호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200380578Y1 (ko) 2004-12-09 2005-03-31 정세용 그리스 공급장치
KR100805377B1 (ko) 2006-12-04 2008-02-22 (주)케이비시스템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고액분리기
KR20100074613A (ko) 2008-12-24 2010-07-02 동우바이오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액 고액분리기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3-09-17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8-09-20 홍정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836B2 (ja) 厨芥処理装置
CN100415379C (zh) 食物残渣处理装置
CN108296261A (zh) 一种餐厨垃圾预处理***及工艺
KR100755792B1 (ko) 비닐선별분쇄기
KR101433308B1 (ko) 배출성능 향상형 배출구를 갖는 원심 분리기
KR102235520B1 (ko) 로터리 스크린 커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고형물 감량화시스템
KR20210048030A (ko)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JP2010036143A (ja) 固液分離装置
KR10130938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CN209613485U (zh) 一种杂质标准品的分离装置
KR101187325B1 (ko)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3110099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114798080A (zh) 一种豆制品磨浆设备
KR101495905B1 (ko)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KR20190026242A (ko) 압착필터 장치
CN207386143U (zh) 一种杂质分离效果好的新型餐厨垃圾预处理装置
US2957577A (en) Flotation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65127B1 (ko) 고효율 이물질 탈리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0880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20736552U (zh) 一种炼化用固液分离装置
CN219037445U (zh) 一种餐厨垃圾脱水设备
CN210846702U (zh) 一种分离彻底且方便检修的粉料输送分离设备
CN2710755Y (zh) 竖式离心分离器
KR0156698B1 (ko) 음식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