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221A -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 Google Patents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221A
KR20210043221A KR1020190126127A KR20190126127A KR20210043221A KR 20210043221 A KR20210043221 A KR 20210043221A KR 1020190126127 A KR1020190126127 A KR 1020190126127A KR 20190126127 A KR20190126127 A KR 20190126127A KR 20210043221 A KR20210043221 A KR 20210043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carbon
formula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709B1 (ko
Inventor
박호순
Original Assignee
박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순 filed Critical 박호순
Priority to KR102019012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7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는 탄소형 전도체 분말, 수용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 경화제,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형 전도체 분말은, 도전성 카본 및 인상 흑연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 상기 인상 흑연은 5~20 중량%,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는 20~30 중량%, 상기 우레탄 경화제는 2~10 중량%, 및 상기 물 2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WATER SOLUBLE CARBON INK AND PLANAR HEATING ELEMENT USING SAME}
본 개시는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난방 등에 사용되는 발열용 면상 발열체에 사용되는 발열용 카본 잉크와 회로용 실버 잉크는 석유화학물질인 유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환경 공해의 문제, 작업자의 안전 문제, 화재 문제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개선된 발열용 면상 발열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전도성과 접착력이 개선된 수용성 카본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전도성과 접착력이 개선된 수용성 카본 잉크를 사용한 면상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는 탄소형 전도체 분말, 수용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 경화제,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형 전도체 분말은, 도전성 카본 및 인상 흑연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 상기 인상 흑연은 5~20 중량%,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는 20~30 중량%, 상기 우레탄 경화제는 2~10 중량%, 및 상기 물 2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카본 잉크는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은: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이고,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R3=R4= CH3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는 시트; 상기 시트 상에 코팅된 카본선; 상기 카본선의 양 단 상에 평행하게 제1 금속막; 및 상기 제1 금속막과 접촉하며, 상기 카본선과 이격되는 제2 금속막을 포함하되, 상기 카본선은,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은: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이고,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R3=R4= CH3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제4류 위험물)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수용성 카본 잉크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전도성과 접착력이 개선된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면상 발열체 제조 시 피착물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한 카본 잉크를 제공하여 제품 가공 시 발행할 수 있는 피착물과의 탈락 현상, 및/또는 완제품 시공 시 구부러짐 꺾임 등에 의한 탈락 현상에 기인한 전기 합선, 스파크 발생 및/또는 저항 값 변화로 인한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면상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는 탄소형 전도체 분말, 수용성 우레탄 수지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카본 잉크는 탄소형 전도체 분말, 수용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 경화제,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및 수용성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본 잉크가 탄소형 전도체 분말은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및/또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용제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 잉크는 도전성 카본 2~15 중량%, 인상 흑연, 5~20 중량%, 그래핀 0.1~5 중량%, 수용성 우레탄 수지 20~30 중량%, 우레탄 경화제 2~10 중량%, 증점제 0.1~5 중량%, 안정제 및 보조제 0.1~5 중량% 및 물 20~8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형 전도체 분말의 배합량에 따라, 카본 잉크의 전도성이 조절될 수 있다.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 인상 흑연은 5~20 중량%, 그래핀은 0.1~5 중량%이 적합하다.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및/또는 그래핀의 함량이 각각 전술한 배합량 미만이면 전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배합량 이상이면 카본 잉크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코팅이 어려워질 수 있다.
수용성 우레탄 수지는 절연성 수지부로서,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배합량에 따라 카본 잉크의 접착성과 전도성이 조절될 수 있다.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배합량은 20~30 중량%가 적절하다.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배합량이 20 중량%미만이면, 접착력이 저하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전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우레탄 경화제는 -NCO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레탄 경화제의 배합량에 따라 경화 시간, 강도 등의 물성 변화가 조절될 수 있다.
증점제는 카본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물질로, 증점제의 배합량에 따라 카본 잉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안정제 및 보조제는 카본 잉크의 제조 및 보관 상의 안전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수용성 용제는 물이며,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던 유기용제(제4류 위험물)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제 대신 물을 사용함으로써, 유기용제를 사용할 때 발생되었던 인체 유해 및 환경 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 제조 방법은 일정량의 물에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용해시킨 후, 여기에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그래핀을 혼합한 후 3mill Roller, Sand mill, Basket mill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약 4시간 이상 완벽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후, 여기에 증점제, 안정제 및 보조제 및 우레탄 경화제를 혼합하여 교반하여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수용성 우레탄 수지 20g을 물 50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0g, 인상 흑연 10g, 그래핀 2g, 우레탄 경화제 4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20
도전성 카본 10
인상 흑연 10
그래핀 2
우레탄 경화제 4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50
[실시예 2]수용성 우레탄 수지 15g을 물 56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0g, 인상 흑연 10g, 그래핀 2g, 우레탄 경화제 3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15
도전성 카본 10
인상 흑연 10
그래핀 2
우레탄 경화제 3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56
[실시예 3]수용성 우레탄 수지 30g을 물 38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0g, 인상 흑연 10g, 그래핀 2g, 우레탄 경화제 6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30
도전성 카본 10
인상 흑연 10
그래핀 2
우레탄 경화제 6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38
[실시예 4]수용성 우레탄 수지 35g을 물 32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0g, 인상 흑연 10g, 그래핀 2g, 우레탄 경화제 7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35
도전성 카본 10
인상 흑연 10
그래핀 2
우레탄 경화제 7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32
[실시예 5]수용성 우레탄 수지 20g을 물 54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g, 인상 흑연 15g, 그래핀 2g, 우레탄 경화제 4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20
도전성 카본 1
인상 흑연 15
그래핀 2
우레탄 경화제 4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54
[실시예 6]수용성 우레탄 수지 20g을 물 54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g, 인상 흑연 15g, 우레탄 경화제 4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20
도전성 카본 15
인상 흑연 3
그래핀 -
우레탄 경화제 4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54
[실시예 7]수용성 우레탄 수지 20g을 물 54g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15g, 인상 흑연 3g, 우레탄 경화제 4g, 증점제 2g 및 안정제 및 보조제 2g을 교반한다.
성분 함량(g)
수용성 우레탄 수지 20
도전성 카본 15
인상 흑연 3
그래핀 -
우레탄 경화제 4
증점제 2
안정제, 보조제 2
5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잉크에 대하여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기재하였다.[비교예]
분석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접착력 양호 나쁨 양호 우수 나쁨 우수 양호
비저항(Ω) 140-150 120-140 170-180 180-200 170-200 110-130 140-150
인쇄성 우수 나쁨 양호 나쁨 양호 나쁨 우수
피막 경도(H) 3-4 3-4 3-4 3-4 3-4 1-2 1-2
표 5를 참조하면,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이 증가하되, 비저항도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양은 일정 한도까지는 양이 증가할수록 인쇄성이 우수해지나, 일정 한도를 초과하면 인쇄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동일한 경우, 도선성 카본 함량이 높을수록 비저항은 낮아지나, 접착력과 인쇄성은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동일한 경우, 그래핀의 함량이 저하되면 피막 경도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는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그래핀,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물, 및 하기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의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 R3 = R4는 CH3일 수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는 그래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의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이고, 인상 흑연은 5~20 중량%이고, 증점제는 0.1~5 중량%이고, 안정제 및 보조제는 0.1~5 중량%이고, 상기 물 20~80 중량%이고,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0~35 중량%일 수 있다. 그래핀은 0.1~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수용성 고분자 비닐 공중합체(water soluble polyvinyl copolymer)에 Silan Coupling Agents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비닐 공중합체(water soluble polyvinyl copolymer)는 비닐 아크릴레이트 모노머(vinyl acrylate monomer)를 주성분으로 합성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 고분자 비닐 공중합체(water soluble polyvinyl copolymer)는 하기의 화학식 2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는 아세트산 비닐이며, RK는 C=C-COOH, 또는 C=C-OCOCH3일 수 있다. RK는 상기 화학식 1의 R1과 동일하다.
Silan Coupling Agents는 하기의 화학식 3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의 Ra는 상기 화학식 1의 R2, Rb는 상기 화학식 1의 R3, Rc는 상기 화학식 R4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Silan Coupling Agents는Ra=Rb=Rc=CH3의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인 에폭시 실란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수용성 고분자 비닐 공중합체(water soluble polyvinyl copolymer)와 상기 화학식 3의 Silan Coupling Agents가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화학식 2의 수용성 고분자 비닐 공중합체 20~30 중량%, 상기 화학식 3의 Silan Coupling Agents 0.1~5 중량%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다. 여기에, 도전성 카본 2~15 중량%, 인상 흑연은 5~20 중량%, 증점제는 0.1~5 중량%, 안정제 및 보조제는 0.1~5 중량%, 상기 물 20~80 중량%을 혼합하여 일정시간 교반함으로써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래핀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0.1~5 중량%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수용성 비닐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카본 잉크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30%를 초과하면 전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및/또는 그래핀의 함량이 각각 전술한 배합량 미만이면 전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배합량 이상이면 카본 잉크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코팅이 어려워질 수 있다.
화학식 2와 화학식 3을 반응시켜 생성된 화학식 1을 포함하는 카본잉크는 2중 결합 구조로 인한 불안정성을 해결되고, 에폭시기의 구조를 통해 카본 잉크의 접착력, 건조속도, 및 피막 강도 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용 실버 잉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면상 발열체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상 발열체용 실버 잉크는 수용성 우레탄 수지 5~15 중량%, 우레탄 경화제 1~3 중량%, 증점제 0.1~5 중량%, 안정제 및 보조제 0.1~5 중량%, 실버 Flake (10micron 이하 입자) 30~70 중량% 및 물 30~7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용 실버 잉크가 상기와 같은 배합량을 갖는 경우, 전술한 카본 잉크와 동일하게, 우수한 접착력과 면상 발열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전기전도성 및 피막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상 발열체용 실버 잉크는 수용성 수지 5~15 중량%, 우레탄 경화제 1~3 중량%, 증점제 0.1~5 중량%, 안정제 및 보조제 0.1~5 중량%, 실버 Flake (10micron 이하 입자) 30~70 중량%, 물 30~70 중량%, 하기의 화학식 1의 화합물 5~15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의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 R3 = R4는 CH3일 수 있다. 상기 면상 발열체용 실버 잉크는 그래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합률로 화학식 1을 포함하는 실버 잉크는, 전술한 카본 잉크와 동일하게, 2중 결합 구조로 인한 불안정성이 해결되고, 에폭시기의 구조를 통해 카본 잉크의 접착력, 건조속도, 및 피막 강도 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면상 발열체는 시트(10), 카본선(20), 제1 금속막(30) 및 제2 금속막(4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10)는 PET 또는 PE 등의 시트지, 판지, 합판, 유리 섬유, 세라믹, 또는 MICA 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10)는 면상 발열체의 발열 온도에 따라 적절한 소재로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본선(20)이 시트(10)상에 코팅될 수 있다. 카본선(20)은 규격화된 여러 개의 선으로 형성되거나, 격자 무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카본선(2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본선(20)은 수용성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일 수 있다. 수용성 면상 발열체용 카본 잉크인 카본선(20)은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은: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이고,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R3=R4= CH3일 수 있다.
카본선(20)은 도전성 카본 2~15 중량%, 인상 흑연 5~20 중량%이고,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0~3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막(30)이 카본선(20)의 양 단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카본선(20)의 일 단 상에 배치된 제1 상부 금속막(31)과 타 단 상에 배치된 제1 하부 금속막(3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금속막(31)은 일부가 카본선(20)의 일 단과 겹쳐지도록 시트(10)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제1 하부 금속막(32)은 일부가 카본선(20)의 타 단과 겹쳐지도록 시트(10)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제1 금속막(30)은 실버 코팅일 수 있다. 실버 코팅에 사용된 은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시판용인 것일 수 있다. 실버 코팅은 수지 10에 대해 50~8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실버 코팅에 사용되는 수지는 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금속막(30)은 전술한 수용성 우레탄 수지 5~15 중량%, 우레탄 경화제 1~3 중량%, 증점제 0.1~5 중량%, 안정제 및 보조제 0.1~5 중량%, 실버 Flake (10micron 이하 입자) 30~70 중량% 및 물 30~70 중량%을 포함하는 실버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금속막(30)은 수용성 수지 5~15 중량%, 우레탄 경화제 1~3 중량%, 증점제 0.1~5 중량%, 안정제 및 보조제 0.1~5 중량%, 실버 Flake (10micron 이하 입자) 30~70 중량%, 물 30~70 중량%, 및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5~15중량%을 포함하는 실버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막(40)이 시트(10) 상에 제1 금속막(30)과 접촉하며, 카본선(20)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속막(40)은 제1 상부 금속막(31)에 접촉하는 제2 상부 금속막(41)을 포함하고, 제1 하부 금속막(32)에 접촉하는 제2 하부 금속막(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금속막(32)과 제2 하부 금속막(4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속막(40)은 동막(Copper), 주석 도금 또는 니켈 도금 일 수 있다. 실버 코팅인 제1 금속막(30)이 전극을 형성하는 면상 발열체는 넓은 면적을 가질 경우, 전극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내부 저항이 크게 상승하여 고온으로 인한 발화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이에, 실버 코팅인 제1 금속막(30) 상에 동막(Copper) 등의 제2 금속막(40)을 붙여 은의 잔류 저항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시트
20: 카본선
30: 제1 금속막
31: 제1 상부 금속막
32: 제1 하부 금속막
40: 제2 금속막
41: 제2 상부 금속막
42: 제2 하부 금속막

Claims (7)

  1. 탄소형 전도체 분말, 수용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 경화제,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형 전도체 분말은,
    도전성 카본 및 인상 흑연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 상기 인상 흑연은 5~20 중량%, 상기 수용성 우레탄 수지는 20~30 중량%, 상기 우레탄 경화제는 2~10 중량%, 및 상기 물 20~80 중량%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2. 제1항에 있어서,
    그래핀 0.1~5 중량 %를 더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3.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증점제, 안정제, 보조제, 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은: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이고,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R3=R4= CH3인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이고, 상기 인상 흑연은 5~20 중량%이고,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0~35 중량%이고, 및 상기 물은 20~80 중량%인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는,
    그래핀 0.1~5 중량 %를 더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6. 시트;
    상기 시트 상에 코팅된 카본선;
    상기 카본선의 양 단 상에 평행하게 제1 금속막; 및
    상기 제1 금속막과 접촉하며, 상기 카본선과 이격되는 제2 금속막을 포함하되,
    상기 카본선은,
    도전성 카본, 인상 흑연,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은: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이고,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C-COOH, 또는 C=C-OCOCH3이고,
    R2= R3=R4= CH3인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카본은 2~15 중량%이고, 상기 인상 흑연은 5~20 중량%이고, 및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0~35 중량%인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KR1020190126127A 2019-10-11 2019-10-11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KR10225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27A KR102250709B1 (ko) 2019-10-11 2019-10-11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27A KR102250709B1 (ko) 2019-10-11 2019-10-11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21A true KR20210043221A (ko) 2021-04-21
KR102250709B1 KR102250709B1 (ko) 2021-05-11

Family

ID=7574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127A KR102250709B1 (ko) 2019-10-11 2019-10-11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7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681A (ja) * 1998-06-03 1999-12-14 Co-Op Chem Co Ltd 面状発熱体
JP2009099329A (ja) * 2007-10-15 2009-05-07 Azesu:Kk Ptc面状発熱体とその成形用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45795B1 (ko) * 2010-07-30 2011-07-05 주식회사 렉스바 면상 발열체용 친환경성 전도 코팅조성물
KR20150118641A (ko) * 2014-04-14 2015-10-23 (주) 파루 그라비아용 ptc 잉크를 이용한 ptc 면상발열체 제조 방법
KR20170059147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탄소 소재 분산용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7920A (ko) * 2016-09-07 2018-03-15 (주)아크웨이브솔루션스코리아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전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681A (ja) * 1998-06-03 1999-12-14 Co-Op Chem Co Ltd 面状発熱体
JP2009099329A (ja) * 2007-10-15 2009-05-07 Azesu:Kk Ptc面状発熱体とその成形用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45795B1 (ko) * 2010-07-30 2011-07-05 주식회사 렉스바 면상 발열체용 친환경성 전도 코팅조성물
KR20150118641A (ko) * 2014-04-14 2015-10-23 (주) 파루 그라비아용 ptc 잉크를 이용한 ptc 면상발열체 제조 방법
KR20170059147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탄소 소재 분산용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7920A (ko) * 2016-09-07 2018-03-15 (주)아크웨이브솔루션스코리아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전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709B1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3340B2 (ja) 導電性銀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波シールド部材
JP4972955B2 (ja) 導電性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
US20150104625A1 (en) Electroconductive composition
KR20060024321A (ko) 도전성 페이스트
KR102328465B1 (ko) 도전성 페이스트
CN110099963B (zh) 树脂组合物、固化物、导电性膜、导电性图案和衣服
KR100955496B1 (ko) 태양전지 전극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JPH0321659A (ja) 銅導電性組成物
JP5608501B2 (ja) 導電パターン形成用ペースト組成物、導電パターン及びその形成方法
DE112018005323T5 (de) Leitende zusammensetzung und diese verwendende leiterplatte
JP5353163B2 (ja) 導電性インク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集電極が形成された太陽電池セル
JP5277844B2 (ja) 導電性インク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0972014B1 (ko) 태양전지 전극형성방법
KR102250709B1 (ko) 면상 발열체용 수용성 카본 잉크 및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KR102199895B1 (ko) 면상발열체용 ptc 카본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용 ptc 발열필름
KR101340554B1 (ko)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KR102442606B1 (ko)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JP6488156B2 (ja) 導電性ペースト
KR101232798B1 (ko) 전자재료용 전극 형성 방법
JP2598792B2 (ja) 導電性インク
TW201120162A (en) Polymer thick film silver electrode composition for use as a plating link
KR20100009877A (ko) 유기/나노-은 졸 용액과 이를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잉크 및 그 제조방법
CN110698925A (zh) 一种纳米印刷导电油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797614A (zh) 用于制做碳阻元件的碳油及其制备方法以及由其制做的碳阻元件
JP5692295B2 (ja) 太陽電池セルの集電極の形成方法及び該太陽電池セルを備え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