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266A - 두피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두피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266A
KR20210041266A KR1020190123731A KR20190123731A KR20210041266A KR 20210041266 A KR20210041266 A KR 20210041266A KR 1020190123731 A KR1020190123731 A KR 1020190123731A KR 20190123731 A KR20190123731 A KR 20190123731A KR 20210041266 A KR20210041266 A KR 2021004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camera
monitoring device
cas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겸
신철웅
유현선
김미정
김연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266A/ko
Publication of KR2021004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6Scalp evaluation or scalp disorder diagnosis, e.g. dandr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두피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는, 케이스, 카메라, 모션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는 카메라의 영상정보들과 모션센서의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한다.

Description

두피 모니터링 장치{SCALP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두피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를 촬영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모발은 두피의 건강에서부터 시작된다. 두피는 모발로 덮여 있어서 습도도 높고 피지나 땀의 분비도 많다. 두피를 불결한 상태로 두면 세균 번식도 쉽고 비듬, 가려움, 홍반, 염증도 생길 수 있으며, 이들은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두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관리하면, 탈모를 사전에 예방하고 악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18397호(이하 '선행문헌 1')는 탈모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1의 탈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해 머리 부위의 이미지를 찍는다. 탈모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를 수신하여 탈모 관리를 수행한다. 탈모 관리 서버는 이미지 저장부와 탈모 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지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탈모 진단부는 이미지 저장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탈모의 진행 상태를 진단한다.
탈모 진단부는 이미지 수신과정, 이미지 분석과정, 분석결과 출력과정을 수행한다. 이미지 수신과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이미지를 수신 받는 과정이다. 이미지 분석과정은 수신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두발 영역과 피부 영역이 점유하는 비율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분석결과 출력과정은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이다.
선행문헌 1의 탈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두피, 모발 등의 이미지를 직접 촬영하고 전송해야 한다. 이미지는 한쪽에서 머리를 전체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탈모 관리 서버는 이미지들이 동일한 위치라고 가정하고 이미지들을 비교분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매번 동일한 위치에 휴대폰 또는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리고 선행문헌 1의 탈모 관리 시스템은 이미지의 RGB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각각의 화소 영역이 피부 영역, 두발 영역 또는 제외 영역인지 판단한다. 그러나 RGB 히스토그램은 이미지를 촬영할 때 조명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은 매일 자란다. 따라서 머리카락을 커트하기 전까지는 두발 영역이 계속 증가한다.
또한, 선행문헌 1의 탈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처음 촬영한 이미지에 기준 영역, 피부 영역, 두발 영역, 제외 영역을 직접 지정해야 한다. 머리카락이 많이 난 부분과 적게 난 부분의 경계는 대개 뚜렸하지 않다. 따라서 두발영역과 피부 영역을 나누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이다. 따라서 선행문헌 1의 탈모 관리 시스템이 진단한 결과는 부정확성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문헌 1의 탈모 관리 시스템은 진단 결과에 따라 약품, 운동, 마사지법과 같은 처방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러나 RGB 히스토그램 분석은 머리카락으로 보이는 부분을 검출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두피 상태에 대한 진단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진단 결과와 처방 가이드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18397호 (등록일: 2015.04.30)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해야 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이전 촬영한 영상과 새로 촬영한 영상의 정확한 비교분석이 가능한 두피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외부조명의 영향이나 머리카락의 성장과 관계 없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의 진단에 개입하지 않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모니터링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두피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부가 카메라의 영상정보들과 모션센서의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서 두피를 촬영하지 않아도 이전 촬영한 영상과 새로 촬영한 영상의 정확한 비교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두피 모니터링 장치는, 케이스, 상기 카메라, 상기 모션센서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를 잡고 상기 두피 모니터링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두피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이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카메라와 두피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카메라를 두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두피를 조명하는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의 내면은 상기 카메라와 두피 사이 공간을 에워쌀 수 있다.
상기 램프의 빛은 상기 이격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조명의 영향이나 머리카락의 성장과 관계 없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두피의 온도를 재는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정보들과 상기 영상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의 성장과 관계 없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두피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가 두피를 감지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들과 상기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의 진단에 개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본체 및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와 본체는 일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제1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헤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에는 제2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와 상기 본체 결합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일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에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일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내면은 상기 일 방향을 축으로 비대칭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의 내면은 상기 일 방향을 축으로 하는 상기 삽입부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삽입홈의 둘레를 따라 제1 자력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에는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제2 자력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자력부재와 상기 제2 자력부재가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두피 모니터링 장치는, 케이스, 모니터링모듈, 모션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를 잡고 상기 두피 모니터링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카메라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정보들,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정보들 및 상기 모션센서의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서 두피를 촬영하지 않아도 이전 촬영한 영상과 새로 촬영한 영상의 정확한 비교분석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모듈커버, 이격부재 및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온도센서는 모듈커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개구의 안쪽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모듈커버와 상기 이격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의 내면은 상기 카메라와 두피 사이 공간을 에워쌀 수 있다.
상기 램프의 빛은 상기 이격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조명의 영향이나 머리카락의 성장과 관계 없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은, 두피 모니터링 장치 및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영상정보들 및 상기 모션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가 카메라의 영상정보들과 모션센서의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하여, 영상정보들이 촬영한 방향 및 높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동일한 위치에서 두피를 촬영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이전 촬영한 영상과 새로 촬영한 영상에서 동일한 두피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비교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격부재가 카메라를 두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한편, 두피에 닿은 이격부재에 의해 카메라의 방향이 정해짐으로써, 머리카락의 성장과 관계 없이 두피상태와 머리상태를 매번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시마다 두피상태와 머리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램프의 빛이 이격부재를 통과하여 카메라와 두피 사이 공간으로 일정하게 유입되는 한편, 이격부재의 외면이 카메라와 두피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조명의 빛을 반사함으로써, 외부조명의 세기와 방향과 관계 없이 두피 및 머리카락을 매번 일정한 조명조건에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촬영시마다 두피상태와 머리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근접센서가 두피를 감지할 때, 제어부가 영상정보들과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함으로써, 영상정보들은 카메라가 일정한 거리에서 두피를 촬영한 정보들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정보들은 사용자의 촬영 스킬이나 주관적 판단이 영상정보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모니터링 결과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단면도.
도 3은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니터링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헤드를 확대한 부분 사시단면도.
도 6은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의 본체와 헤드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장치(10)는 케이스(100), 모니터링모듈(200), 이격부재(300), 모션센서(400), 배터리(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뼈대 및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0)는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본체(110) 및 헤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일 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10)를 잡고 두피 모니터링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110) 내부에 제어부(600)가 구비된다.
본체(110)의 일측에 작동버튼(111)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작동버튼(111)을 누르면, 두피 모니터링 장치(10)가 작동하거나 정지한다. 작동버튼(111)은 기계식 푸시 버튼(mechanical push button) 또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한쪽에 충전모듈(112)이 설치된다. 충전모듈(112)은 무선충전모듈(wireless recharge module)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10)를 충전패드 또는 충전거치대에 올려놓고 충전할 수 있다. 충전모듈(112)은 배터리(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110)의 다른 한쪽에 헤드(120)가 결합된다. 헤드(120)에 개구(121)가 형성된다. 카메라(21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는 개구(121)를 통해 두피(2)를 지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개구(121)를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을 '전방', '앞쪽'으로 지칭하고, 개구(121)를 기준으로 헤드(120) 안쪽 방향을 '후방', '뒤쪽'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헤드(120)로부터 설치부(122)가 연장된다. 제어부(600), 모션센서(400) 및 배터리(500)는 설치부(122)에 결합된다. 헤드(120)와 본체(110)를 결합하면, 설치부(122)는 본체(110) 내부에 삽입된다.
도 4는 도 3의 모니터링모듈(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헤드(120)를 확대한 부분 사시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모듈(200)은 개구(121)를 통해 헤드(120) 안쪽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모듈(200)은 카메라(21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를 모듈화한 구성이다.
모니터링모듈(200)은 카메라(210), 램프(220), 램프커버(230), 온도센서(240), 근접센서(250), 모듈커버(261) 및 보호커버(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는 모듈커버(261)에 장착된다. 모듈커버(261)는 제1 장착홀(261), 제2 장착홀(262) 및 제3 장착홀(263)을 형성한다. 카메라(210)는 뒤쪽에서 제1 장착홀(261)에 삽입된다. 근접센서(250)는 앞쪽에서 제2 장착홀(262)에 삽입된다. 온도센서(240)는 앞쪽에서 제3 장착홀(263)에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0)는 두피(2)를 촬영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0)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로 구비된다. 카메라(210)는 이미지 센서를 활용하여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광신호를 RGB(red, green, blue)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카메라(210)가 생성한 영상정보들은 제어부(600)에 전송된다. 카메라(210)가 생성한 영상정보들은 제어부(600)에 저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0)는 개구(121) 안쪽에 단턱(123)을 형성한다. 모듈커버(261)의 가장자리는 단턱(123)에 안착된다. 모듈커버(261)의 가장자리가 단턱(123)에 안착되면, 카메라(21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는 개구(121) 바깥쪽을 지향한다. 카메라(21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는 동일한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240)는 두피(2)의 온도를 재는 구성이다. 온도센서(240)는 비접촉식 온도센서(240)로 구비된다. 온도센서(240)는 적외선 온도센서(240)로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240)는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 파장을 검출한다. 온도센서(240) 앞에는 특정 파장의 대역만 통과하는 필터(241)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240)와 필터(241)는 제3 장착홀(263)에 삽입된다. 온도센서(240)가 생성한 온도정보들은 제어부(600)에 전송된다. 온도센서(240)가 생성한 온도정보들은 제어부(600)에 저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250)는 두피(2)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근접센서(250)는 헤드(120)의 개구(121) 전방에 일정 거리 이상 다가온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250)는 이격부재(300) 앞쪽에 밀착된 두피(2)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250)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것,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것,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근접센서(250)는 물체 감지시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근접센서(250)는 물체 미감지시 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근접센서(250)가 생성한 감지신호는 제어부(600)에 전송된다. 근접센서(250)가 생성한 감지신호는 제어부(600)에 저장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20)는 두피(2)를 조명하는 구성이다. 램프(220)는 다수의 LED가 실장된 LED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LED모듈은 폐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LED모듈은 모듈커버(261)의 전면 가장자리에 안착될 수 있다. 다수의 LED는 개구(121) 안쪽에서 모듈커버(26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커버(230)는 램프(220)의 전면에 밀착된다. 램프커버(230)는 두피(2)의 반력에 의한 램프(220)의 파손을 방지한다. 램프커버(230)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호커버(270)는 모듈커버(261)의 전면에 밀착된다. 보호커버(270)는 삽입홀(271)을 형성한다. 카메라(210)는 뒤쪽에서 삽입홀(271)에 삽입된다. 보호커버(270)는 근접센서(250)와 온도센서(240)의 오염을 방지한다. 보호커버(270)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호커버(270)의 전면은 빛을 반사하는 거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커버(270)의 전면은 입사된 램프(220)의 빛을 두피(2)로 반사한다. 보호커버(270)의 전면에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이나 유전체 다층막을 증착할 수 있다. 근접센서(250)와 온도센서(240)의 앞쪽에는 거울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재(300)는 개구(121)를 통해 헤드(120)에 결합된다. 이격부재(300)의 뒤쪽 부분은 개구(121) 안쪽에 삽입된다. 이격부재(300)는 폐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재(300)는 개구(121)의 안쪽 둘레를 따라 램프(220) 전방에 구비된다. 램프(220)는 모듈커버(261)와 이격부재(300) 사이에 개재된다.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두피(2)에 밀착시키면, 두피와 머리카락의 유동이 억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20)의 빛은 이격부재(300)를 통과하여 카메라(210)와 두피(2) 사이 공간(이하 '촬영공간')으로 유입된다. 두피(2)에서 반사된 램프(220)의 빛은 보호커버(270)의 전면에 반사되어 다시 두피(2)로 입사된다. 이격부재(300)의 내면은 촬영공간을 에워싼다. 촬영공간 쪽에서 이격부재(300)의 내면에 입사된 빛은 반사되어 다시 두피(2)로 입사될 수 있다.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두피(2)에 밀착시키면, 이격부재(300)는 카메라(210)와 두피(2) 사이에 개재된다. 카메라(210)가 지향한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부재(300)의 앞쪽은 카메라(210)와 일정한 거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10)는 두피(2)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모션센서(400)는 케이스(100)의 동작을 인식하는 구성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센서(400)는 설치부(122)에 결합된다. 모션센서(400)는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로 구비된다.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이다. 동작 인식 센서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압 센서(press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의 기능이 하나의 칩에 들어가 있는 복합 센서이다.
모션센서(400)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이동, 회전, 방향, 높이를 감지한다. 모션센서(400)가 생성한 모션정보들은 제어부(600)에 전송된다. 모션센서(400)가 생성한 모션정보들은 제어부(600)에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케이스(100), 모니터링모듈(200), 이격부재(300), 모션센서(400), 배터리(500) 및 제어부(600)의 기술적 특징들은 사용상태의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버튼(111)을 누르면,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작동이 개시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110)를 잡고 두피 모니터링 장치(10)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작동버튼(111)을 누르면, 근접센서(250)의 작동이 개시된다.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두피(2)에 밀착시키면, 근접센서(250)는 두피(2)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근접센서(250)가 생성한 감지신호는 제어부(600)에 전송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600)는 카메라(210), 램프(220), 온도센서(240) 및 모션센서(400)를 작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두피(2)에 밀착시키면, 이격부재(300)는 카메라(210)와 두피(2) 사이에 개재된다. 카메라(210)가 지향한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부재(300)의 앞쪽은 카메라(210)와 일정한 거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10)는 두피(2)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카메라(210)는 두피(2)를 촬영한 영상정보들을 생성한다. 램프(220)의 빛은 이격부재(300)를 통과하여 촬영공간으로 유입된다. 카메라(210)는 두피(2)를 일정한 밝기와 방향의 조명하에서 촬영하게 된다.
온도센서(240)는 두피(2)의 온도를 측정한 온도정보들을 생성한다. 모션센서(400)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이동, 회전, 방향, 높이를 감지한 모션정보들을 생성한다.
제어부(600)는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서로 연관지어 저장한다. 어느 하나의 영상정보는 동일한 시점에 생성된 온도정보 및 모션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온도정보는 동일한 시점에 생성된 영상정보 및 모션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모션정보는 동일한 시점에 생성된 영상정보 및 온도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두피(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모니터링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한다.
또는 사용자는 이격부재(300)를 두피(2)에서 이격시키고 나서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다시 두피(2)의 다른 부분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격부재(300)를 두피(2)에서 이격시키면, 근접센서(250)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근접센서(250)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면, 카메라(210), 램프(220) 및 온도센서(24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모션센서(400)는 이격부재(300)의 앞쪽이 두피(2)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모션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두피 모니터링 장치(10)가 꺼지기 전까지 모션센서(400)는 지속적으로 모션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두피 모니터링 장치(10)가 꺼지기 전까지 모션센서(400)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이동, 회전, 방향, 높이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모든 모션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격부재(300)의 앞쪽을 다시 두피(2)의 다른 부분에 밀착시키면, 근접센서(250)는 다시 두피(2)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근접센서(250)가 생성한 감지신호는 제어부(600)에 전송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600)는 다시 카메라(210), 램프(220) 및 온도센서(24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600)는 다시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서로 연관지어 저장한다.
사용자가 작동버튼(111)을 누르면, 근접센서(250), 카메라(210), 램프(220), 온도센서(240) 및 모션센서(400)가 꺼지고,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작동이 종료된다. 제어부(600)는 근접센서(250)가 맨 처음 두피(2)를 감지한 후 생성된 모든 모션정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들 및 온도정보들을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1)은 두피 모니터링 장치(10) 및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피 모니터링 장치(10)는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출력장치(20,30)는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장치(20,30)는 PC(20) 및 스마트폰(30)을 포함할 수 있다.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에 저장된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은 PC(20) 및 스마트폰(30)에 유선 또는 무선 전송된다.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와 PC(20)는 유선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와 스마트폰(30)은 와이파이(WiFi) 등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20)에는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30)에는 영상정보들, 온도정보들 및 모션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하는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의 좌측에는 프로그램이 실행된 PC(20)를 도시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모션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두피(2)를 형상화(21)할 수 있다. 모션정보들은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이동, 회전, 방향, 높이에 대한 정보들이다.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와 두피(2)는 일정한 상대좌표를 가진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모션정보들을 분석하여 두피(2)의 형태를 형상화(21)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온도정보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온도정보를 형상화된 두피에 표시(22)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를 형상화된 두피에 표시(23)할 수 있다.
도 9의 우측에는 어플이 실행된 스마트폰(30)을 도시하고 있다.
어플은 모션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두피(2)를 형상화(31)할 수 있다. 모션정보들은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이동, 회전, 방향, 높이에 대한 정보들이다.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와 두피(2)는 일정한 상대좌표를 가진다. 따라서 어플은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모션정보들을 분석하여 두피(2)의 형태를 형상화(31)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온도정보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어플은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온도정보를 형상화된 두피에 표시(32)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어플은 근접센서(250)가 두피(2)를 감지한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를 형상화된 두피에 표시(33)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10)의 본체(110)와 헤드(120)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피 모니터링 장치(10)는 헤드(120)와 본체(110)가 일 방향(이하 '조립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00) 이외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모듈(200)은 헤드(120)에 설치된다. 그리고 모션센서(400), 배터리(500) 및 제어부(600)는 본체(110)에 설치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제1 단자(113)가 형성된다. 제1 단자(113)는 제어부(600) 및 배터리(500)와 연결된다. 헤드(120)에는 제2 단자(124)가 형성된다. 제2 단자(124)는 카메라(210), 램프(22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와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20)와 본체(110) 결합시 제1 단자(113)와 제2 단자(124)는 조립방향으로 접촉한다. 제1 단자(113)와 제2 단자(124)가 접촉하면, 카메라(210), 램프(22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는 제어부(600)와 연결된다. 또한, 제1 단자(113)와 제2 단자(124)가 접촉하면, 카메라(210), 램프(220), 온도센서(240) 및 근접센서(250)는 배터리(500)와 연결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삽입홈(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120)에 삽입부(125)가 형성된다. 삽입부(125)는 삽입홈(114)에 조립방향으로 삽입된다. 삽입홈(114)의 내면은 조립방향을 축으로 비대칭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부(125)의 외면도 조립방향을 축으로 비대칭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부(125)가 삽입홈(114)에 조립방향으로 삽입되면, 삽입홈(114)의 내면과 삽입부(125)의 외면은 작은 간극(clearance)을 형성한다. 삽입홈(114)의 내면은 조립방향을 축으로 하는 삽입부(125)의 회전을 구속한다.
본체(110)에는 삽입홈(114)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자력부재(115)가 설치된다. 헤드(120)에는 삽입부(125)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 자력부재(126)가 설치된다. 삽입부(125)가 삽입홈(114)에 삽입될 때, 제1 자력부재(115)들과 제2 자력부재(126)들이 서로 인력을 형성한다. 헤드(120)와 본체(110)는 제1 자력부재(115)들과 제2 자력부재(126)들 간 인력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
10,20 : 두피 모니터링 장치
100 : 케이스 200 : 모니터링모듈
110 : 본체 210 : 카메라
111 : 작동버튼 220 : 램프
112 : 충전모듈 230 : 램프커버
113 : 제1 단자 240 : 온도센서
114 : 삽입홈 241 : 필터
115 : 제1 자력부재 250 : 근접센서
120 : 헤드 260 : 모듈커버
121 : 개구 261 : 제1 장착홀
122 : 설치부 262 : 제2 장착홀
123 : 단턱 263 : 제3 장착홀
124 : 제2 단자 270 : 보호커버
125 : 삽입부 271 : 삽입홀
126 : 제2 자력부재 2 : 두피
300 : 이격부재 20 : PC
400 : 모션센서 30 : 스마트폰
500 : 배터리
600 : 제어부

Claims (11)

  1. 사용자가 잡고 이동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두피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케이스의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센서; 및
    상기 카메라의 영상정보들과 상기 모션센서의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이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가 두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카메라와 두피 사이에 개재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두피를 조명하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이격부재의 내면은 상기 카메라와 두피 사이 공간을 에워싸며,
    상기 램프의 빛은 상기 이격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두피의 온도를 재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정보들과 상기 영상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두피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근접센서가 두피를 감지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들과 상기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고, 제1 단자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고, 제2 단자가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와 상기 본체는 일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와 상기 본체 결합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일 방향으로 접촉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에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일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일 방향을 축으로 하는 상기 삽입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내면은 상기 일 방향을 축으로 비대칭 형태를 형성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삽입홈의 둘레를 따라 제1 자력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에는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제2 자력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자력부재와 상기 제2 자력부재가 인력을 형성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9. 사용자가 잡고 이동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카메라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모듈;
    상기 케이스의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센서; 및
    상기 카메라의 영상정보들,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정보들 및 상기 모션센서의 모션정보들을 생성시점별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모듈커버;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의 안쪽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이격부재; 및
    상기 모듈커버와 상기 이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내면은 상기 카메라와 두피 사이 공간을 에워싸며,
    상기 램프의 빛은 상기 이격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두피 모니터링 장치.
  11. 제1항의 두피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영상정보들 및 상기 모션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두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123731A 2019-10-07 2019-10-07 두피 모니터링 장치 KR20210041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31A KR20210041266A (ko) 2019-10-07 2019-10-07 두피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31A KR20210041266A (ko) 2019-10-07 2019-10-07 두피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266A true KR20210041266A (ko) 2021-04-15

Family

ID=7544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31A KR20210041266A (ko) 2019-10-07 2019-10-07 두피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24B1 (ko) * 2022-12-30 2023-11-23 주식회사 비컨 두피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분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397B1 (ko) 2013-01-22 2015-05-08 김기윤 탈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397B1 (ko) 2013-01-22 2015-05-08 김기윤 탈모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24B1 (ko) * 2022-12-30 2023-11-23 주식회사 비컨 두피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848B2 (en) Mobile hyperspectral camera system and human skin monitoring using a mobile hyperspectral camera system
ES2909057T3 (es) Seguimiento ocular que utiliza la posición del centro del globo ocular
ES2873175T3 (es) Sistemas y métodos de diagnóstico médico portátiles que usan un dispositivo móvil
US20160206204A1 (en) Organ Imaging Device
EP1830306A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distance measurement function
US112436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glint/reflection identification
JP2003016434A (ja) 個体認証装置
JP6625219B2 (ja) バイタルサインを連続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10099226B (zh) 阵列摄像模组及其深度信息采集方法和电子设备
US20200187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lluminators
KR102305997B1 (ko) 홍채 인식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그 시스템의 홍채 인식 방법
US102888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glint/reflection identification
KR20210041266A (ko) 두피 모니터링 장치
KR20150139183A (ko) 정맥인식이 가능한 손목용 웨어러블 장치
WO20191851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lluminators
CN115427883A (zh) 电子装置
KR101730648B1 (ko) 다기능을 갖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13439912A (zh) 一种可穿戴设备
EP38011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lint/reflection identification
KR20130076273A (ko) 능동형 홍채영상 촬영장치
CN213637940U (zh) 摄像装置及移动终端
KR20140083563A (ko) 다중 신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장치
JP5703120B2 (ja) テレビジョン視聴支援装置
KR20220000212U (ko) 몰래카메라 탐지시스템용 감지장치
US20140152791A1 (en) Mobile Device Biometric Sens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