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929A -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929A
KR20210034929A KR1020190116903A KR20190116903A KR20210034929A KR 20210034929 A KR20210034929 A KR 20210034929A KR 1020190116903 A KR1020190116903 A KR 1020190116903A KR 20190116903 A KR20190116903 A KR 20190116903A KR 20210034929 A KR20210034929 A KR 2021003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old
battery pack
down bracke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영
노태환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1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929A/ko
Priority to PCT/KR2020/011781 priority patent/WO2021060734A1/ko
Priority to US17/637,727 priority patent/US20220285780A1/en
Priority to JP2022502153A priority patent/JP7493734B2/ja
Priority to EP20869562.7A priority patent/EP3982472A4/en
Priority to CN202080059848.5A priority patent/CN114342166A/zh
Publication of KR2021003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38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이 카트리지에 내장된 상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전지모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상부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하부가 외향 돌출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의 상면을 덮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Battery Pack Including Hold Down Bracket Having Protrusion Structure}
본원 발명은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할 때 상기 돌기 구조의 높이만큼 홀드다운 브라켓이 가압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가솔린이나 디젤과 같은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이에 대한 대체 원료로서 이차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전기 자동차 및 전지 및 종래의 연소 엔진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서 종래에는 니켈-금속 수소 이차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고출력 및 고용량의 특성이 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가 주된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고출력 및 대용량의 동력원이 필요한 바, 리튬 이차전지는 단위 전지셀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상호 연결되어 전지모듈을 형성하고, 복수의 전지모듈들이 상호 연결되어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 특성을 갖는 전지팩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지팩을 전기 자동차와 같은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한 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디바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홀드다운 브라켓을 사용할 수 있는데, 홀드다운 브라켓은 디바이스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볼팅부가 풀리는 문제가 있고, 복수의 전지모듈을 개별적으로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전지모듈 간의 단차에 따른 공차가 발생하여 전지모듈을 고정시키는 힘이 균일하게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전지모듈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의 하단부에 외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상부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각각의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정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일측 부위가 전지모듈의 외향 돌출부를 감싸고 타측 부위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조의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으로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홀드다운 브라켓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는 차량에 탑재하는 배터리 스택의 하 프레임으로의 고정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중공 단면 형상의 하 프레임 상에 병설하고 대향하는 양측의 플랜지부를 상부에서 공통적으로 누르도록 상기 하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누름편으로 상기 대향하는 양측의 플랜지부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을 볼트로 하 프레임의 중공부에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셀 홀더의 플랜지부를 단순히 누름편으로 누르고 고정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인 바, 전지셀을 포함하는 셀 홀더를 상하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베이스 플레이스의 결합을 위하여 홀드다운 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로서,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과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될 뿐 아니라,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69577호 (2017.08.11)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618747호 (2014.09.26)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홀드다운 브라켓에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홀드다운 브라켓과 베이스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이 카트리지에 내장된 상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전지모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상부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하부가 외향 돌출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의 상면을 덮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의 돌기 구조만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있을 수 잇다.
상기 돌기 구조의 최대 높이는,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의 높이에서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에서 상단부 하면과 하단부 하면 간의 높낮이 차이를 뺀 것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기 구조는 상기 하단부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측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 구조가 상기 하단부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 구조가 상기 하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구조와 돌기 구조 사이에는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1개의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에는 상기 홈에 수용되는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 이륜차, 전동 카트,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홀드다운 브라켓에 형성된 돌기 구조로 인하여 홀드다운 브라켓이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더욱 강하게 인가할 수 있으므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고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의 일부에 탄성 소재를 적용하면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 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 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홀드다운 브라켓의 결합 전 상태이다.
도 6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홀드다운 브라켓의 결합 후 상태이다.
도 7은 도 2의 선 B-B'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종속항에 기재된 한정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들에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모듈 어셈블리(100), 전지모듈 어셈블리(100)가 상부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및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를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고정하기 위한 홀드다운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전지모듈(110)로 구성되고, 전지모듈(110)은 전지셀(10)이 카트리지(20)에 내장되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지셀(10)은 전지모듈(110) 내에서 소망하는 용량 및 출력에 맞도록 직렬 연결 및/또는 병렬 연결을 형성하며 결합되고, 개별 전지모듈(110) 간에 직렬 연결 및/또는 병렬 연결을 형성하며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를 형성한다.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바,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를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홀드다운 브라켓(300)을 사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홀드다운 브라켓(300)과 결합되는 하부가 외향 돌출되는 단차부(21)를 포함하는 바, 홀드다운 브라켓(300)이 단차부(21)의 상면을 덮도록 카트리지를 감싸면서 장착된다.
한편, 카트리지(20)의 양측 하부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홀드다운 브라켓은 양측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 각각을 감싸며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 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홀드다운 브라켓(300)은 카트리지(20)의 단차부(21) 상면을 덮는 상단부(310),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단부(330) 및 상단부(310)와 하단부(330)를 연결하는 중간부(320)를 포함한다.
하단부(33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331)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구조(331)는 수직 단면이 U자 형태이거나 V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돌기의 끝단이 뾰족할 수 있으며, 또는 뭉뚝한 형태일 수 있다.
돌기 구조(331)는 하단부(330)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양측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바, 도 2 및 도 3은 양측 끝단 각각에 한 개씩의 돌기 구조(331)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인 내측에 2개의 돌기 구조(331)가 형성되어 모두 4개의 돌기 구조(331)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지모듈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는 하단부(330)의 돌기 구조(331)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접촉하고 있으며, 돌기 구조(331)를 제외한 하단부(330)의 나머지 부분은 평면 형태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대향하는 면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돌기 구조(3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330)의 외주부(335)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돌기 구조가 하단부의 중심부(336)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기 구조(331)와 돌기 구조(331) 사이에는 홀드다운 브라켓(300)과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332)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홀드다운 브라켓의 관통구(332)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너트와 결합하는 바, 돌기 구조(331)에 의해 떠 있던 하단부를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더 밀어 체결할 수 있으므로 볼트와 너트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홀드다운 브라켓(300)을 통해 1개의 전지모듈(110)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홀드다운 브라켓(300)의 길이를 연장해서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 브라켓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드다운 브라켓(400)은 카트리지의 단차부 상면을 덮는 상단부(410),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단부(430) 및 상단부(410)와 하단부(430)를 연결하는 중간부(420)를 포함한다.
하단부(43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431)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구조(431)는 수직 단면이 U자 형태이거나 V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돌기의 끝단이 뾰족할 수 있으며, 또는 뭉뚝한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홀드다운 브라켓(400)은 도 3에 도시된 홀드다운 브라켓(300)과 같이, 하단부(430)의 양측 끝단 각각에 돌기 구조(431)가 한 개씩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인 내측에 2개의 돌기 구조(431)가 형성되어 모두 4개의 돌기 구조(431)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돌기 구조의 개수 및 형태는 홀드다운 브라켓의 길이 및 카트리지의 단차부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 및 형태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홀드다운 브라켓(400)은 도 3의 홀드다운 브라켓(300)과 달리 돌기 구조가 하단부(430)의 중심부(436)에 형성되어 있는 바, 관통구(432)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3과 같이 돌기 구조가 하단부의 외주부(335)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지셀이 수납된 카트리지 단차부의 높이 차이에 따른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홀드다운 브라켓의 상단부가 카트리지의 단차부를 누르는 거리가 돌기 구조의 높이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더 강하게 홀드다운 브라켓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의 높이 차이에 따른 공차 발생을 줄임으로써 전지셀을 구속하는 카트리지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돌기 구조가 하단부의 중심부(436)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볼트 체결시 돌기 구조가 압축되어 돌기 구조의 높이가 줄어든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 깊이가 늘어나는 바, 볼트의 풀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홀드다운 브라켓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중간부, 하단부, 또는 돌기 구조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홀드다운 브라켓의 체결과정에서 탄성 소재 부분이 연신되거나, 돌기 구조의 탄성 부분이 가압되어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더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결과, 볼트와 너트의 풀림방지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의 단차부에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홀드다운 브라켓(300, 400)에는 상기 홈에 맞물리도록 수용되는 만입부(311, 411)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전지팩에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전지모듈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홀드다운 브라켓의 결합 전 상태이고, 도 6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홀드다운 브라켓의 결합 후 상태이며, 도 7은 도 2의 선 B-B'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의 선 A-A'는 돌기 구조가 형성된 부분 상에 위치하며, 선 B-B'는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이 홀드다운 브라켓(300)이 결합 전 상태에서, 홀드다운 브라켓(300)의 상단부는 카트리지 단차부(21)의 상면을 덮으면서 배치되고, 하단부(330)의 전체 부분 가운데 돌기 구조(331)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접촉된 상태이다.
이 때, 돌기 구조(331)의 최대 높이는 카트리지의 단차부(21)의 높이(a1)에서 홀드다운 브라켓에서 상단부(310) 하면과 하단부(330) 하면의 높낮이 차이(a2)를 뺀 것 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 구조의 최대 높이가 카트리지의 단차부(21)의 높이(a1)에서 홀드다운 브라켓에서 상단부(310) 하면과 하단부(330) 하면의 높낮이 차이(a2)를 뺀 것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더욱 강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를 통해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도 6와 같이 홀드다운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가 되면 돌기 구조가 압박되어 돌기 구조를 제외한 하단부(330)에서 돌기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도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된다. 즉, 돌기 구조의 높이에 의해 하단부(330)를 베이스 플레이트로 더 밀수 있는 공간이 생기므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더 깊게 이루어지는 바,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간에 단차가 형성되거나 전지모듈 간의 단차 또는 공차가 형성되어 전지모듈 내의 전지셀들 간에 또는 전지모듈 간에 부분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력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홀드다운 브라켓을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누를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전지셀
20: 카트리지
21: 단차부
100 전지모듈 어셈블리
110: 전지모듈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400: 홀드다운 브라켓
310, 410: 상단부
311, 411: 만입부
320, 420: 중간부
330, 430: 하단부
331, 431: 돌기 구조
332, 432: 관통구
335, 435: 외주부
336, 436: 중심부
a1: 카트리지 단차부의 높이
a2: 상단부 하면과 하단부 하면 간의 높낮이 차이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이 카트리지에 내장된 상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전지모듈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상부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홀드다운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하부가 외향 돌출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의 상면을 덮는 상단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하단부의 돌기 구조만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있는 전지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의 최대 높이는,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의 높이에서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에서 상단부 하면과 하단부 하면 간의 높낮이 차이를 뺀 것 보다 큰 전지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는 상기 하단부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측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전지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가 상기 하단부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전지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가 상기 하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전지팩.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와 돌기 구조 사이에는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전지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인 전지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1개의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전지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전지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단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드다운 브라켓에는 상기 홈에 수용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 이륜차, 전동 카트,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디바이스.
KR1020190116903A 2019-09-23 2019-09-23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34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03A KR20210034929A (ko) 2019-09-23 2019-09-23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PCT/KR2020/011781 WO2021060734A1 (ko) 2019-09-23 2020-09-02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US17/637,727 US20220285780A1 (en) 2019-09-23 2020-09-02 Battery pack including hold-down bracket having protrusion structure formed thereon
JP2022502153A JP7493734B2 (ja) 2019-09-23 2020-09-02 突起構造が形成されたホールドダウンブラケットを含む電池パック
EP20869562.7A EP3982472A4 (en) 2019-09-23 2020-09-02 BATTERY PACK HAVING HOLD-DOWN BAR WITH PROBE STRUCTURE DEFINED THEREON
CN202080059848.5A CN114342166A (zh) 2019-09-23 2020-09-02 包括其上形成有突起结构的压紧支架的电池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03A KR20210034929A (ko) 2019-09-23 2019-09-23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29A true KR20210034929A (ko) 2021-03-31

Family

ID=7516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903A KR20210034929A (ko) 2019-09-23 2019-09-23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5780A1 (ko)
EP (1) EP3982472A4 (ko)
KR (1) KR20210034929A (ko)
CN (1) CN114342166A (ko)
WO (1) WO202106073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747B1 (ko) 1971-05-20 1981-05-01
KR101769577B1 (ko) 2014-05-07 2017-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000A (ja) * 1992-12-18 1994-07-08 Yuasa Corp 積層形注水式電池
KR200336867Y1 (ko) * 2003-10-01 2003-12-24 김구환 건축물외벽의 마감석재 부착용 앵커 플레이트
EP2527206B1 (en) * 2011-05-27 2014-04-02 Volvo Car Corporation Battery console for a vehicle
KR20170063097A (ko) * 2015-11-30 2017-06-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충격저감장치
KR101991925B1 (ko) * 2015-12-04 2019-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립핑부가 구비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JP2019513674A (ja) 2016-04-12 2019-05-30 エージーシー グラス ユーロップAgc Glass Europe 低下した内部反射率のガラス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011790B2 (en) * 2017-03-17 2021-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pack plate with retention flange
KR102244139B1 (ko) * 2017-07-31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6935776B2 (ja) * 2018-03-15 2021-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保持構造
CN208336324U (zh) * 2018-06-15 2019-01-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端板以及电池模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747B1 (ko) 1971-05-20 1981-05-01
KR101769577B1 (ko) 2014-05-07 2017-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2472A4 (en) 2022-08-10
CN114342166A (zh) 2022-04-12
US20220285780A1 (en) 2022-09-08
WO2021060734A1 (ko) 2021-04-01
JP2022541430A (ja) 2022-09-26
EP3982472A1 (en)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8951B2 (ja) 電池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気車両又はハイブリッド電気車両
KR101400090B1 (ko)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5209502B2 (ja) 垂直な積層構造の中型および大型の電池モジュール
JP4980673B2 (ja) 蓄電モジュール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CN114388957A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1532499B1 (ko) 버스 바 케이스, 축전 장치, 차량
KR101883386B1 (ko) 전지 압축 저지체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667519B1 (ko)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491282B1 (ko) 배터리 모듈 고정구조
KR10108498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477548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20210034929A (ko) 돌기 구조가 형성된 홀드다운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팩
JP5443039B2 (ja) バッテリスタックの固定構造
US20230216124A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ame
JP7493734B2 (ja) 突起構造が形成されたホールドダウンブラケット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839402B1 (ko) 텐션 댐핑부가 형성되어 있는 셀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지팩용 팩 케이스
JP715438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20130143183A (ko) 배터리 팩 시스템
KR20210064715A (ko) 절곡된 차단부가 형성된 탑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9768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325037B1 (ko)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20126208A (ko) 전지방열용 안전케이스
JP6939492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658508B1 (ko) 전지모듈의 이동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