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144A - 식품 조리기 - Google Patents

식품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144A
KR20210031144A KR1020190112717A KR20190112717A KR20210031144A KR 20210031144 A KR20210031144 A KR 20210031144A KR 1020190112717 A KR1020190112717 A KR 1020190112717A KR 20190112717 A KR20190112717 A KR 20190112717A KR 20210031144 A KR20210031144 A KR 20210031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ntainer
food
jui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2742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127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2742B1/ko
Priority to KR102019011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742B1/ko
Priority to CN202080070918.7A priority patent/CN114502042B/zh
Priority to EP20863208.3A priority patent/EP4029414A4/en
Priority to JP2022516032A priority patent/JP2022548236A/ja
Priority to AU2020344408A priority patent/AU2020344408B2/en
Priority to US17/642,190 priority patent/US20220322864A1/en
Priority to PCT/KR2020/011759 priority patent/WO2021049807A2/ko
Priority to CN202021948692.XU priority patent/CN215077444U/zh
Publication of KR2021003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144A/ko
Publication of KR10268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는, 파쇄날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재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는 상기 용기에 대해 편심 배치되어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접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며,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의 하단측은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 조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착즙하는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블렌더, 녹즙기, 원액기 등의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녹즙기와 원액기는 식재료를 저속으로 분쇄 및 압착하여 식재료의 착즙액을 분리한다.
그러나 사과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나 부피가 큰 식재료의 경우 사용자가 녹즙기나 원액기에 투입하기 전에 미리 작게 절단하여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는 작게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하더라도 스크류와 용기 사이로 식재료가 유입되지 않아 분쇄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0273호(20005.1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착즙 효율이 향상된 식품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는, 파쇄날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재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는 상기 용기에 대해 편심 배치되어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접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며,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의 하단측은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최외곽에 위치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외곽 라인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라인과 상기 상부 라인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상기 상부 라인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하부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과 상기 용기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에 인접한 제1 에지 라인은 상기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에 인접한 제2 에지 라인에 비해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에 대해 더 급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벽에는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대해 돌출되는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는 상기 재료 안내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진입한 식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필터 커버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구비되는 착즙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내측 필터 및 상기 내측 필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필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필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슬릿과 미세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슬릿 내로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구비한 외측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은 상기 미세 간극을 통해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된 착즙액이 배출되는 착즙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착즙액이 상기 착즙액 배출구로 흘러가도록 상기 용기를 향한 하향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액 배출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로 투입된 식재료 또는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식재료 부산물이 상기 착즙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상기 착즙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 방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방지편은 상기 내측 필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스크류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즙액 배출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압출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제2 찌꺼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직경이 큰 식재료를 사전에 절단하지 않고도 투입할 수 있는 대구경의 재료 투입구를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식품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재료가 스크류와 용기 사이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여,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식재료의 분쇄가 가능한 식품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즙액이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찌꺼기가 착즙액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즙 효율이 향상된 식품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와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의 다른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 스크류 및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절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외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되는 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식품 조리기의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재료 안내부(20)가 형성된 용기(10), 스크류(50), 착즙 필터(60), 착즙액 배출 방지부(70) 및 필터 커버(80)를 포함한다.
재료 안내부(20)는 안전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커버(30)는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 형성된 재료 투입구(21)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커버(30)는 재료 투입구(31)가 형성된 제1 부분(32)과 제1 부분(32)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부분(33)을 포함한다.
안전 커버(30)는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2)이 재료 투입구(21)를 덮어 안전 커버(30)의 재료 투입구(31)가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회전축에 대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안전 커버(30)의 재료 투입구(31)를 통해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커버(30)의 재료 투입구(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식재료를 투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안전 커버(30)를 회동시켜(도 1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가 노출되도록 한 후,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를 통해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전 커버(30)를 회동시켜 제1 부분(32)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제2 부분(33)이 상승하여 재료 안내부(20)의 내부(재료 투입구(21)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식재료 이동 경로)를 가로막는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가 노출되더라도 사용자의 손 등이 재료 안내부(20)의 내부로 진입하여 후술하는 스크류(50)까지 진입하는 것이 제2 부분(33)에 의해 차단되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는 안전 커버(30)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스위치(25)가 구비될 수 있다.
재료 안내부(20)는 대략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기(10)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료 안내부(20)와 용기(10)의 내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는 용기(10)에 대해 비대칭으로 구비된다.
즉, 재료 안내부(20)는 일측면(21)이 용기(10)의 상부측에 접하고, 타측면(22)이 용기(10)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도록, 용기(10)에 대해 편심 배치된다.
재료 안내부(20)를 용기(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하되 용기(10)에 대해 편심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재료 안내부(20)를 따라 용기(10) 측으로 낙하하는 식재료는 용기(10)의 타측으로 편심되어 용기(10) 내로 유입되므로, 식재료가 용기(10)와 용기(10)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50) 사이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스크류(50)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되게 된다.
재료 안내부(20)의 편심 방향은 스크류(5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한다. 즉, 도 3에는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편심 배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 스크류(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식재료가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우측으로 편심하여 낙하하는데, 식재료와 스크류(50)가 만나는 지점에서 스크류(50)는 하방으로 회전하므로, 스크류(50)가 식재료를 낙하와 동시에 분쇄하며 전방(착즙 필터(60) 방향으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을 기준으로, 스크류(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에 대해 좌측으로 편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 배치되더라도, 직경이 큰 식재료(예를 들어, 사과 등)를 절단하지 않고 바로 투입할 수 있을 정도로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면서도 식품 조리기(1)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의 일측면(21)은 용기(10)의 중심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일측 방향(편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G)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재료 안내부(20)의 일측면(21)이 용기(10)의 중심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 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용기(10)의 중심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 방향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의 중심으로부터 상당히 이격되어 중량이 큰 식재료를 재료 안내부(20)를 통해 투입하면 식품 조리기(1)가 전도될 수 있고, 식품 조리기(1)의 전도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재료 안내부(20)의 크기를 줄이면 직경이 큰 식재료(예를 들어, 사과 등)를 바로 투입할 수 없고 사용자가 미리 절단하여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와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의 하단측은 스크류(50)의 선단측(필터 커버(80)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점들을 연결하는 외곽 라인(22a, 22b)을 형성하며, 외곽 라인(22a, 22b)은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라인(22a)과 상부 라인(22a)의 하부에서 스크류(50)의 선단측을 향해 상부 라인(22a)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하부 라인(22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의 하단측과 용기(10)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지 라인(22c, 22d)은 하부 라인(22b)을 중심으로 스크류(50)의 선단측에 가까운 제1 에지 라인(22c)과 스크류의 기단측에 가까운 제2 에지 라인(22d)을 포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지 라인(22c)은 제2 에지 라인(22d)에 비해 스크류(50)의 회전축 또는 수평면에 대해 더 급한 경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스크류(50)가 회전하며 투입된 식재료가 분쇄 및 압착되며 식재료를 스크류(50)의 선단측으로 이송시키는데,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의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해, 스크류(50)와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 사이로 안내되거나 그 사이에서 분쇄 및 압착된 식재료의 흐름이 스크류(50)의 선단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상술한 재료 안내부(20)의 용기(10)에 대한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식재료의 착즙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식재료를 스크류(50)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별도의 누름봉을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를 통해 진입시켜 식재료를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누름봉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름봉이 스크류(50)에 빨려 들어가 식품 조리기(1)가 파손되거나, 누름봉으로 식재료를 누르는 과정에서 식품 조리기(1)가 전도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용기(10)는 스크류(50)의 기단을 형성하는 스크류 회전 기어(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11)와, 필터 커버(8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12)을 각각 양단에 구비한다.
스크류 회전 기어(52)의 단부는 베이스(11)의 외부로 노출된다(도 7 참고). 베이스(11)는 도시되지 않은 본체와 결합되는데, 본체에는 스크류(5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구비되며, 베이스(11)의 외부로 노출된 스크류 회전 기어(52)의 단부는 베이스(11)가 본체에 결합됨에 따라 모터의 출력축과 결합될 수 있다.
용기(10)의 바닥면에는 결합단(12)과 인접한 위치에 용기(10)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착즙액 배출구(15)가 형성된다(도 12 참고).
용기(10)의 하부에는 착즙액 배출구(15)를 개폐할 수 있는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40)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40)는 용기(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착즙액 배출구(15)를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41)와 개폐 플레이트(41)의 개폐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4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40)의 용기(10)에 대한 개폐 방향을 변형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동하며 착즙액 배출구(15)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거나, 볼 타입의 잠금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용기(10)는 스크류(50)의 기단측을 내부에 수용하고, 스크류(50)의 선단측은 결합단(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도 7 참고). 스크류(50)는 회전하는 동안 용기(10) 내부로 안내된 식재료는 스크류(50)와 용기(10)의 내벽 사이에서 분쇄 및 압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의 다른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벽에는 복수의 파쇄부(13a, 13b)가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3a, 13b)는 스크류(50)의 회전 방향(R)에 대해 돌출 형성된 단턱(13a)과 내벽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리세스(13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파쇄부(13a, 13b)는 스크류(50)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3a, 13b)는 스크류(50)에 의해 용기(10)의 내벽에 가압되며 이동하는 식재료를 분쇄하여 분쇄 및 착즙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 스크류 및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절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50)는 파쇄날(51), 스크류 회전 기어(52), 선단 돌기(53) 및 재료 수용홈(54)을 포함한다.
파쇄날(51)은 외주를 따라 회전하며 기단측(스크류 회전 기어(52))에서 선단측(선단 돌기(53))으로 연장 형성된다. 파쇄날(51)은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쇄날(51)의 돌출 높이는 기단측에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으며, 스크류(50)의 전체적인 직경 역시 기단측에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착즙 필터(60) 및 필터 커버(80)의 형상이 용기(10) 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파쇄날(51)은 기단측 보다 선단측에서 높은 밀도를 갖도록(파쇄날(51) 사이의 간극이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류(50)의 기단측에서는 스크류(50)와 용기(10) 사이에서 식재료의 분쇄가 주로 이루어지만, 스크류(50)의 선단측에서는 스크류(50)와 착즙 필터(60) 사이에서 식재료의 착즙이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50)의 기단인 스크류 회전 기어(52)는 용기(10)의 베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크류(50)의 선단인 선단 돌기(53)는 용기(10)에 결합된 필터 커버(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크류(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선단 돌기(53)에는 파쇄날(51)이 형성되지 않고, 선단 돌기(53)의 외면은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50)의 기단측,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10) 내에 수용되며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재료 수용홈(54)이 형성된다.
재료 수용홈(54)은 재료 안내부(20)를 통해 투입되는 식재료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사용자가 빈번하게 투입하는 식재료, 예를 들어 사과, 의 평균적인 외형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직경이 큰 식재료를 재료 안내부(20)를 통해 용기(10) 내로 투입하면, 스크류(50)가 회전하는 중에 식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재료 수용홈(54) 내로 수용되고, 그 상태에서 스크류(50)가 회전하며 파쇄날(51)에 의해 또는 스크류(50)와 용기(10)의 내벽 사이에서 식재료가 분쇄될 수 있다.
즉, 스크류(50)에 형성된 재료 수용홈(54)에 의해 식재료가 보다 빠르게 스크류(50)의 파쇄날(51)에 의해 분쇄되거나, 스크류(50)와 용기(10)의 내벽 사이로 진입하여 분쇄 및 압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외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되는 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의 착즙 필터(60)는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필터(6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림(61a)와 제2 림(61b)이 양단에 위치하고, 제1 림(61a)과 제2 림(61b)을 연결하는 측면부(61d)에는 복수의 슬릿(61c)이 형성된다.
내측 필터(61)는 스크류(50)의 선단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용기(10) 내에서 스크류(50)의 기단측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는 스크류(50)의 파쇄날(51)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스크류(50)의 선단측과 내측 필터(61) 사이로 유입된다.
내측 필터(61)와 스크류(50) 사이로 유입된 식재료는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선단을 향해 이동하며 내측 필터(61)와 스크류(50) 사이에서 더욱 분쇄 및 압착된다.
제1 림(61a)은 용기의 결합단(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림(61b)은 스크류(50)의 선단 돌기(53)를 수용하는데, 용기(10) 측으로부터 분쇄된 식재료가 쉽게 내측 필터(6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림(61a)은 제2 림(61b)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식재료가 스크류(50)의 선단으로 가며 착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2 림(61b)은 제1 림(61a)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61c)은 제2 림(61b)으로부터 제1 림(61a)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이로 인해 측면부(61d)의 일부는 슬릿(61c)에 의해 단절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측면부(61d)의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파쇄편(61e)이 구비될 수 있다. 파쇄편(61e)은 스크류(50)에 의해 내측 필터(61)의 내측면으로 가압되는 식재료를 분쇄하여 식재료의 분쇄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파쇄편(61e)은 슬릿(61c)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파쇄편(61e)은 스크류(5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파쇄편(61e) 이후에 슬릿(61c)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외측 필터(62)과 결합된 이후 슬릿(61c)은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착즙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데, 파쇄편(61e)이 슬릿(61c) 이전에 위치함에 따라, 파쇄편(61e)은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찌꺼기가 슬릿(61c)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필터(61)는 제1 림(6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배출 방지편(61f)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방지편(61f)은 착즙액 배출구(15)의 상부에 위치하여(도 12 참고) 식재료가 용기 내에서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식재료 부산물(착즙액, 찌꺼기, 식재료 파편 등)이 착즙액 배출구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림(61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1 찌꺼기 배출구(61g, 도 10 참고)가 된다. 즉, 스크류(50)와 내측 필터(61)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찌꺼기는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50)의 선단 측으로 이동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61g)를 통해 배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62)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림(62a)와 제2 림(62c)이 양단에 위치하고, 제1 림(62a)과 제2 림(62c)을 연결하는 복수의 플러그(62d)가 형성된다. 제1 림(62a)과 제2 림(62c) 사이에는 복수의 플러그(62d)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보강림(62b)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필터(62)는 내측 필터(61)를 둘러싸도록 내측 필터(6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62)와 내측 필터(61)는 결합되는 과정에서, 외측 필터(62)의 복수의 플러그(62d)들이 각각 내측 필터(61)의 복수의 슬릿(61c)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삽입된다. 동시에 내측 필터(61)의 측면부(61d) 중 슬릿(61c)에 의해 단절된 형상을 갖는 부분들은 각각 외측 필터(62)의 플러그(62d)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62)와 내측 필터(61)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슬릿(61c)과 플러그(62d) 사이에는 미세 간극이 형성되고, 내측 필터(61)와 스크류(50)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은 미세 간극을 통해 착즙 필터(60)의 외부로 배출되고,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찌꺼기는 미세 간극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50)의 선단 측으로 이동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61g)를 통해 배출된다.
보강림(62b)은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플러그(62d)들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미세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쉽게 분리 가능한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를 통해,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생성되는 미세 간극으로 착즙액을 배출하므로 착즙액에 찌꺼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내측 필터(61)의 슬릿(61c)과 외측 필터(62)의 플러그(62d) 사이의 공간이 미세 간극에 비해 넓으므로 세척이 용이하다.
도 12는 도 1의 식품 조리기의 절개도이다.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 방지부(70)는 외측 필터(62)의 제2 림(62c)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 스크류(50)의 선단 돌기(53)를 수용할 수 있는 선단 돌기 수용홀(72)이 형성된 탄성 변형부(71)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 방지부(70)는 탄성 변형부(71)가 선단 돌기(53)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제1 찌꺼기 배출구(61g)와 선단 돌기(53) 사이로 착즙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내측 필터(61) 내부에서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찌꺼기가 제1 찌꺼기 배출구(61g)와 선단 돌기(53) 사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부(71)는 스크류(50)가 회전함에 따라 찌꺼기에 가해지는 압출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필터(61) 내부에서 발생한 식재료의 찌꺼기는 탄성 변형부(71)를 변형시키며 탄성 변형부(71)와 선단 돌기(53) 사이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커버(80)는 스크류(50)의 선단측, 착즙 필터(60) 및 착즙액 배출 방지부(70)를 수용한 상태로 용기(10)의 결합단(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 커버(80)의 일단(81)에는 용기(10)의 결합단(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 구조가 형성되고, 타단(82)에는 스크류(50)의 선단 돌기(53)를 수용하면서 제1 찌꺼기 배출구(61g)와 연통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61g)를 통해 배출된 찌꺼기가 필터 커버(8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찌꺼기 배출구(83)가 형성된다.
필터 커버(80)의 일단(81)과 타단(82)을 연결하는 측면은 착즙 필터(60)에서 배출된 착즙액을 착즙액 배출구(15)로 안내하는 유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커버(80)의 측면은 착즙 필터(60)에서 배출된 착즙액이 착즙액 배출구(15)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착즙액 배출구(15)를 향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식품 조리기 10: 용기
20: 재료 안내부 30: 안전 커버
40: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 50: 스크류
60: 착즙 필터 61: 내측 필터
62: 외측 필터 70: 착즙액 배출 방지부
80: 필터 커버

Claims (15)

  1. 파쇄날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재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는 상기 용기에 대해 편심 배치되어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접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며,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의 하단측은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최외곽에 위치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외곽 라인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라인과 상기 상부 라인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상기 상부 라인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하부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과 상기 용기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에 인접한 제1 에지 라인은 상기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에 인접한 제2 에지 라인에 비해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에 대해 더 급한 경사를 형성하는, 식품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벽에는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가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대해 돌출되는 단턱을 형성하는, 식품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는 상기 재료 안내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진입한 식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홈이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필터 커버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구비되는 착즙 필터;를 더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내측 필터 및
    상기 내측 필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필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필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슬릿과 미세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슬릿 내로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구비한 외측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은 상기 미세 간극을 통해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되는, 식품 조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된 착즙액이 배출되는 착즙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착즙액이 상기 착즙액 배출구로 흘러가도록 상기 용기를 향한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액 배출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로 투입된 식재료 또는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식재료 부산물이 상기 착즙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상기 착즙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 방지편을 더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지편은 상기 내측 필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사이로 배출되는, 식품 조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스크류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즙액 배출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압출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며 배출되도록 하는, 식품 조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제2 찌꺼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식품 조리기.
KR1020190112717A 2019-09-11 2019-09-11 식품 조리기 KR10268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17A KR102682742B1 (ko) 2019-09-11 식품 조리기
AU2020344408A AU2020344408B2 (en) 2019-09-11 2020-09-02 Food processor
EP20863208.3A EP4029414A4 (en) 2019-09-11 2020-09-02 FOOD COOKER
JP2022516032A JP2022548236A (ja) 2019-09-11 2020-09-02 フードプロセッサー
CN202080070918.7A CN114502042B (zh) 2019-09-11 2020-09-02 食品加工机
US17/642,190 US20220322864A1 (en) 2019-09-11 2020-09-02 Food processor
PCT/KR2020/011759 WO2021049807A2 (ko) 2019-09-11 2020-09-02 식품 조리기
CN202021948692.XU CN215077444U (zh) 2019-09-11 2020-09-08 食品料理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17A KR102682742B1 (ko) 2019-09-11 식품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144A true KR20210031144A (ko) 2021-03-19
KR102682742B1 KR102682742B1 (ko) 2024-07-12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273A (ko)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다목적 녹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273A (ko)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다목적 녹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8236A (ja) 2022-11-17
AU2020344408A1 (en) 2022-04-28
EP4029414A2 (en) 2022-07-20
EP4029414A4 (en) 2023-11-01
US20220322864A1 (en) 2022-10-13
WO2021049807A3 (ko) 2021-05-06
WO2021049807A2 (ko) 2021-03-18
CN215077444U (zh) 2021-12-10
CN114502042A (zh) 2022-05-13
CN114502042B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5798B (zh) 用於榨汁機的榨汁模組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EP2810567A1 (en) Juice-extraction module for juicing apparatus
EP2976974B1 (en) Juice extraction module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10135501A (ko) 과일 및/또는 야채로부터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KR102388822B1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455080B1 (ko) 착즙기
KR200496302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EP4029414A2 (en) Food cooker
KR102682742B1 (ko) 식품 조리기
AU2020344408B2 (en) Food processor
KR200497316Y1 (ko) 착즙기
KR20210109300A (ko) 식품 조리기
KR102515513B1 (ko) 펄프와 착즙물의 혼합을 방지하는 주서기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20020046882A (ko) 쥬스기.
KR200495526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101593615B1 (ko) 푸드 균질기
KR200497345Y1 (ko) 착즙기
KR20130142497A (ko) 다기능 커터기
KR20230002196U (ko) 착즙기
KR102504166B1 (ko) 별도의 배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