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530A - 터미널용 핑거캡 - Google Patents

터미널용 핑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530A
KR20210028530A KR1020190109764A KR20190109764A KR20210028530A KR 20210028530 A KR20210028530 A KR 20210028530A KR 1020190109764 A KR1020190109764 A KR 1020190109764A KR 20190109764 A KR20190109764 A KR 20190109764A KR 20210028530 A KR20210028530 A KR 20210028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p
finger cap
finger
straigh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530A/ko
Publication of KR2021002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용 핑거캡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절연성 재질의 핑거캡(20)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21')을 가지고, 상기 터미널(10)의 선단이 상기 내부공간(2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 되도록 복수의 탄성슬릿(24)이 형성되는 캡몸체(21)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슬릿(24)은 일부가 상기 핑거캡(20)의 삽입방향과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상기 캡몸체(21)를 가로지르며 형성된다. 상기 탄성슬릿(24)은 상기 핑거캡(20)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24a)와, 상기 직선부(24a)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형성되는 사선부(2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핑거캡에는 탄성슬릿이 직선부와 사선부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터미널의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므로 핑거캡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미널용 핑거캡{TERMINAL FINGER CAB}
본 발명은 터미널용 핑거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핑거캡의 탄성강도가 보강된 터미널용 핑거캡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등과 같은 연료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일반 자동차와는 달리 배터리의 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특성상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인렛(Inlet)에 그에 대응하는 충전기의 커플러를 결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렛(Inlet)에는 교류전압을 이용한 완속충전 커넥터와, 직류전압을 이용한 급속충전 커넥터가 동시에 구비된다. 이러한, 급속충전 커넥터에 사용되는 터미널에는 상대적으로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터미널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고,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터미널의 선단에 절연성 재질의 핑거캡이 설치된다. 상기 핑거캡은 절연재질의 수지로 몰딩되는 과정을 거쳐서 제작되는데, 핑거캡이 터미널의 선단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쪼개지거나 손상되어 제대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350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변형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터미널용 핑거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의 선단에 결합되는 절연성 재질의 핑거캡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터미널의 선단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 되도록 복수의 탄성슬릿이 형성되는 캡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슬릿은 일부가 상기 핑거캡의 삽입방향과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상기 캡몸체를 가로지르며 형성된다.
상기 탄성슬릿은 상기 핑거캡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형성되는 사선부을 포함한다.
상기 사선부는 상기 직선부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연장된다.
상기 탄성슬릿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사선부은 서로 다른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사선부이 서로 엇갈려서 발생하는 사잇각 θ은 직각 또는 둔각이다.
상기 직선부와 사선부가 만나서 생기는 모서리에 챔퍼가 형성된다.
상기 직선부와 사선부는 서로 같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몸체는 링 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면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중공의 원뿔대 형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슬릿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터미널의 선단을 바라보는 면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서 경사지게 진입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서 돌출되는 걸림면이 상기 터미널의 선단에 걸어져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용 핑거캡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핑거캡에는 탄성슬릿이 직선부와 사선부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터미널의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므로 핑거캡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사선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캡몸체가 결합돌기에 의해 벌어질때 가해지는 응력이 일측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핑거캡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부와 사선부가 만나는 부분에 챔퍼가 형성되어 탄성슬릿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핑거캡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용 핑거캡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터미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터미널과 핑거캡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핑거캡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핑거캡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터미널과 핑거캡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터미널용 핑거캡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용 핑거캡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핑거캡(20)은 고전압 터미널(10)의 선단에 끼워진다. 상기 터미널(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기둥형상의 터미널몸체(11)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몸체(11)에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구조 및 씰링을 위한 구조들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터미널몸체(11)의 선단에는 결합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에는 핑거캡(20)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몸체(11)의 선단에 핑거캡(20)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터미널(10)을 직접 만져서 감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돌기(12)는 지지부(13)와 결합부(14)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터미널몸체(11)의 선단에서부터 상기 터미널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14)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터미널몸체(11)와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부(13)는 원기둥 형상 뿐만 아니라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결합돌기(1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에는 상기 핑거캡(20)이 걸어진다. 상기 결합부(14)는 상기 지지부(13)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4)는 외면이 상기 지지부(1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뒤에서 설명될 핑거캡(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핑거캡(20)이 더 쉽게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4)와 지지부(13) 사이에는 단차면(15)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면(15)은 상기 결합부(14)와 지지부(13)의 단면의 넓이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단차면(15)은 상기 핑거캡(20)이 상기 결합부(1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핑거캡(20)의 걸림면(22b)과 간섭되어 상기 핑거캡(20)이 상기 결합부(14)와 결합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핑거캡(20)은 캡몸체(21)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캡몸체(21)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터미널(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10)을 직접 만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캡몸체(2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1')은 상기 결합돌기(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상기 내부공간(21')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캡몸체(21)는 상기 터미널몸체(1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몸체(21)는 제1몸체(22)와 제2몸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22)와 제2몸체(23)는 일체로 형성되지만, 형상적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몸체(22)는 대략 링 형상이고, 상기 제2몸체(23)는 중공의 원뿔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몸체(22)에는 상기 결합돌기(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의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1')의 입구에는 상기 내부공간(21')의 중심을 향해서 진입경사면(22a)이 형성된다. 상기 진입경사면(22a)은 상기 결합부(14)의 외면과 접촉되어 상기 캡몸체(21)가 외측으로 부드럽게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몸체(22)의 진입경사면(22a)의 맞은편에는 걸림면(22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22b)은 상기 내부공간(21')에서 상기 제1몸체(22)와 제2몸체(23)를 형상적으로 구분시킨다. 상기 걸림면(22b)은 상기 제1몸체(22)로부터 상기 내부공간(21')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22b)은 상기 결합돌기(12)의 단차면(15)과 간섭되어 상기 결합돌기(12)의 결합부(14)가 상기 내부공간(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캡몸체(21)에는 상기 제1몸체(22)와 제2몸체(23)에 걸쳐서 탄성슬릿(2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슬릿(24)은 상기 핑거캡(20)이 상기 결합돌기(12)에 결합될 때, 상기 캡몸체(21)가 탄성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다. 상기 결합돌기(12)에 의해 상기 탄성슬릿(24)이 벌어지면서 상기 캡몸체(21)가 탄성변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탄성슬릿(24)은 상기 캡몸체(21)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슬릿(24)이 형성된 개수만큼 상기 캡몸체(21)가 탄성변형되어 벌어지는 부분이 많아진다.
상기 탄성슬릿(24)은 직선부(24a)와 사선부(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선부(24a)는 상기 제1몸체(22)에 형성된다. 상기 직선부(24a)는 상기 제1몸체(22)에 상기 핑거캡(20)의 삽입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시 사선부(24b)는 상기 제2몸체(23)에 형성된다. 상기 사선부(24b)는 상기 직선부(24a)가 끝나는 지점부터 시작되어 상기 직선부(24a)와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상기 제2몸체(23)를 가로지르며 형성된다. 상기 사선부(24b)는 상기 제2몸체(23)의 외면을 따라서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선부(24b)와 직선부(24a)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사선부(24b)는 상기 직선부(24a)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선부(24b)는 상기 캡몸체(21)가 탄성변형되며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상기 캡몸체(21)가 종래의 핑거캡(20)보다 더 큰 변형량을 가질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핑거캡(20)은 상기 캡몸체(21)에 상기 직선부(24a)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핑거캡(20)이 상기 결합돌기(12)에 결합될 때, 상기 직선부(24a)가 끝나는 지점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직선부(24a)가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핑거캡(20)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직선부(24a)가 끝나는 지점에 상기 사선부(24b)가 더 연장되어서 상기 제2몸체(23)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기 캡몸체(21) 전체로 분산시킨다. 상기 사선부(24b)의 선단과 상기 제2몸체(23)의 선단 사이에서 상기 사선부(24b)의 연장방향으로의 거리가, 상기 직선부(24a)가 상기 사선부(24b)만큼 연장되었을 때보다 더 멀기 때문에 응력을 받는 상기 캡몸체(2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사선부(24b)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슬릿(24)의 길이가 길어져서 상기 캡몸체(21)가 탄성변형 될 수 있는 변형량이 증가하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직선부(24a)는 한 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부(24a)로부터 연장되는 사선부(24b)도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는 서로 다른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즉, 상시 한 쌍의 사선부(24b)는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가 같은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 상기 각각의 사선부(24b)가 끝나는 부분에 발생하는 응력이 모여서 상기 캡몸체(21)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가 서로 엇갈려서 발생하는 사잇각 θ은 직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선부(24b)가 상기 캡몸체(21)에 형성되는 면적이 넓어져서 상기 캡몸체(21)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직선부(24a)와 사선부(24b)가 만나서 꺾이는 부분에 챔퍼(24c)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24c)는 상기 직선부(24a)와 사선부(24b)가 만나서 각지게 형성되는 모서리에 곡률을 주어 둥글게 형성되는 것으로, 모서리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캡몸체(2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10)에 핑거캡(20)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핑거캡(20)의 제1몸체(22)와 상기 터미널(10)의 결합돌기(12)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시키고, 상기 핑거캡(20)을 상기 결합돌기(12)를 향해 이동시킨다. 상기 결합돌기(12)의 결합부(14) 선단이 상기 진입경사면(22a)과 접촉되었을 때, 상기 핑거캡(20)이 상기 결합돌기(12)를 향해서 계속 이동하면, 상기 진입경사면(22a)이 상기 결합부(14)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캡몸체(21)가 외측으로 벌어진다.
상기 캡몸체(21)가 벌어져서 상기 결합부(14)가 상기 내부공간(21')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14)와 지지부(13) 사이의 단차면(15)과 상기 제1몸체(22)에 형성된 걸림면(22b)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결합돌기(12)는 상기 핑거캡(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몸체(22)의 외면의 일부가 상기 터미널몸체(11)의 선단에 접촉되어 상기 핑거캡(20)은 상기 터미널몸체(11)를 향해서 더이상 진입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한편, 종래의 핑거캡(20)에는 상기 캡몸체(21)에 직선부(24a)만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핑거캡(20)은 상기 캡몸체(21)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직선부(24a)의 끝나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례의 핑거캡(20)은 상기 직선부(24a)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사선부(24b)가 더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캡몸체(21)의 일정부분으로 집중되는 응력이 상기 캡몸체(21)의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상기 핑거캡(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는 사잇각 θ를 가지도록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캡몸체(21)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추가적으로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가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면,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가 가리키는 캡몸체(21)의 외면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사선부(24b)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응력을 분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터미널 11 : 터미널몸체
12 : 결합돌기 13 : 지지부
14 : 결합부 15 : 단차면
20 : 핑거캡 21 : 캡몸체
21' : 내부공간 22 : 제1몸체
22a : 진입경사면 22b : 걸림면
23 : 제2몸체 24 : 탄성슬릿
24a : 직선부 24b : 사선부
24c : 챔퍼

Claims (10)

  1. 터미널의 선단에 결합되는 절연성 재질의 핑거캡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터미널의 선단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 되도록 복수의 탄성슬릿이 형성되는 캡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슬릿은 일부가 상기 핑거캡의 삽입방향과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상기 캡몸체를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슬릿은
    상기 핑거캡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정한 각도만큼 꺾여서 형성되는 사선부을 포함하는 터미널용 핑거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부는 상기 직선부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연장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슬릿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사선부은 서로 다른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선부이 서로 엇갈려서 발생하는 사잇각 θ은 직각 또는 둔각인 터미널용 핑거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와 사선부가 만나서 생기는 모서리에 챔퍼가 형성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와 사선부는 서로 같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는
    링 형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면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중공의 원뿔대 형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슬릿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터미널의 선단을 바라보는 면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서 경사지게 진입경사면이 형성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서 돌출되는 걸림면이 상기 터미널의 선단에 걸어져 고정되는 터미널용 핑거캡.
KR1020190109764A 2019-09-04 2019-09-04 터미널용 핑거캡 KR20210028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764A KR20210028530A (ko) 2019-09-04 2019-09-04 터미널용 핑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764A KR20210028530A (ko) 2019-09-04 2019-09-04 터미널용 핑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30A true KR20210028530A (ko) 2021-03-12

Family

ID=7517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764A KR20210028530A (ko) 2019-09-04 2019-09-04 터미널용 핑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5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19A (ko) *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유라 라운드 단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072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072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19A (ko) *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유라 라운드 단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WO2015141452A1 (ja) コネクタ
US11050180B2 (en) Connector terminal capable of suppressing reduction in connectivity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10326228B2 (en) Connector having terminal with insulated tip and edges
KR102227471B1 (ko) 전력 단자 커넥터
WO2018233711A1 (zh) 极柱组合件、高压组件和电连接器
CN108352687B (zh) 保护器
US20220294153A1 (en) Seal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as well as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Assembly with such a Seal
KR20210028530A (ko) 터미널용 핑거캡
JP6298377B2 (ja) 蓄電装置
US20180226745A1 (en) Wire cover member
US9343889B2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US1086839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12585810B (zh) 电池布线模块
US11043761B2 (en) Connector
CN114162059B (zh) 护线套
EP3751674A1 (en) Power connector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US9705212B1 (en) Structure improvement for connection terminals of terminal block
CN212810591U (zh) 电连接器固定结构、电池包及车辆
JP2019096483A (ja) ソケット端子およびソケットコネクタ
CN110915070B (zh) 圆形连接器组件
KR102281965B1 (ko) 커넥터용 단자 및 커넥터
KR102253612B1 (ko) 고전압 커넥터
JP2020031510A (ja)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