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019A -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019A
KR20210027019A KR1020200016560A KR20200016560A KR20210027019A KR 20210027019 A KR20210027019 A KR 20210027019A KR 1020200016560 A KR1020200016560 A KR 1020200016560A KR 20200016560 A KR20200016560 A KR 20200016560A KR 20210027019 A KR20210027019 A KR 2021002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laundry
housing
laundry detergen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91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86336B1/en
Priority to RU2020127885A priority patent/RU2748181C1/ru
Priority to AU2020223652A priority patent/AU2020223652B2/en
Priority to CN202010877305.6A priority patent/CN112442858B/zh
Priority to US17/006,539 priority patent/US11555268B2/en
Publication of KR2021002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저장용기 프레임; 내부에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세탁제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각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이동시키는 세탁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유입된 세탁제가 세제투입홀을 향하도록 세탁제 이동통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부를 향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동통로로 분리되는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으로 세탁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처리 대상인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에 수납하고, 세제 또는 유연제 등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드럼 내부에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로 이루어진다.
세제공급장치는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이하, '세탁제'로 기재한다.)를 공급하는 세탁제 공급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세탁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탁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탁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탁제가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융해성이 미흡하여 세탁 후 용해되지 아니하고 수조 또는 세탁물에 세탁제 성분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가루형 세탁제 대신에 상대적으로 융해성이 우수한 액체 세탁제의 이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471446호에는, 세제 저장부와 연통되는 저수용 풀에 물넘침용 단턱을 형성하여, 세제 저장부 내부에 세제가 잔류하지 않게 되는 구조의 세제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통해, 터브에 투입되는 세제의 양을 정량으로 조절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과다한 양을 투입한 경우, 세탁물의 손상이나 과다한 세탁수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제의 공급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한 후 도어 안쪽에 설치된 세제저장용기에 세탁제를 수동으로 넣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세제 또는 유연제의 공급을 위해, 드로워(drawer)를 자주 여닫으면서 피로 누적에 의한 잔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별도로 구비되는 수납 용기에 세제 또는 유연제를 미리 넣어둔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세탁제는 설정된 의류 처리 과정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 터브에 공급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의류 처리 과정이 수행될 때마다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세제저장용기에 저장된 세탁제를 의류 처리 과정에 따라 공급할 경우, 서로 다른 세탁제의 이동 경로가 중첩되면서 서로 혼합되면서 침전물이 발생하면서 오염될 우려가 있으며, 침전물이 생기는 경우, 세탁제의 이동이 방해하여 원활한 세탁제의 공급이 어려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저장용기를 탈거할 경우, 미관상 좋지 못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세탁과정에서 침전물이 터브로 이동하여 세탁물을 오염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다량의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세탁제를 드럼에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서로 다른 세탁제의 이동 경로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다른 점성을 갖는 세탁제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세제투입홀을 향해 각 세탁제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져 터브로의 세탁제의 공급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저장용기 프레임; 내부에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세탁제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각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이동시키는 세탁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유입된 세탁제가 세제투입홀을 향하도록 세탁제 이동통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부를 향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동통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제1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 및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세탁제 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의 혼합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어느 한 측부에는,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벽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경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경사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그 폭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양 단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 및 상기 세제투입홀과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제펌프는,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 측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서 상기 세제투입홀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각 세탁제는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상기 세제투입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각 저장용기의 상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세탁수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세탁수디스펜서의 후방부 양 측에는 세탁수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탁수 공급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통해, 상기 세탁수가 하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의 상측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세탁수 공급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장용기와 상기 제2 저장용기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세탁제가 투입되도록 수동세제투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수동세제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가루세제는 세제투입홀 혹은 경사부로 낙하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터브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세탁제가 각각 저장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각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이동시키는 세탁제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세제투입홀을 향하도록 세탁제 이동통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세탁제펌프에 의해 유입되는 각 세탁제는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를 따라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제1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 및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세탁제 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부를 향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 및 상기 세제투입홀과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어느 한 측부에는,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면의 양 측부에 각각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제 이동통로의 일단이나 제2 세탁제 이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하도록 후방부에서 전방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저면부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세탁수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각 세탁제는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세제투입홀을 따라 배출되어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세탁수는 세탁제가 투입되는 하우징의 하부를 향해 공급될 뿐만 아니라, 경사부를 향해 낙하되므로, 세탁제와 혼합된 상태로 세제투입홀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제공급장치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통해 다량의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탁 단계에서 세탁제펌프의 작동을 통해 터브를 향해 적정량의 세탁제를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수동세제투입부에 직접 원하는 적정량의 세탁제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확대될 수 있게 된다.
둘째, 세제투입장치의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의 이동이 각각 가능하도록 세탁제 이동 통로가 형성되며, 각 세탁제는 각 세탁제 이동통로의 사이에 형성된 분리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셋째, 세탁제 이동 통로를 따라 세제투입홀을 향해 이동하는 세탁제는, 경사부를 따라 세탁제 이동 통로의 폭이 증가되도록 이루어져, 세탁제의 보다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여, 세탁 과정에 따라 적절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세제공급장치가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는, 세제공급장치가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세제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상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세제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세제공급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세제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세탁제 펌프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세탁제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세제공급장치의 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ㅇ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조의 내부로 세탁물이 삽입된 후, 투입되는 세탁제를 통해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의 의류 처리 작업이 수행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세탁제"란, 의류 또는 섬유 등을 살균, 소독하거나 불순물을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서 분말 형태의 고체 또는 액체의 형태를 갖는 세제, 유연제 및 표백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제는 의류 또는 섬유 등을 부드럽고 연하게 하기 위한 섬유유연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세탁제는 의류 또는 섬유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색 물질을 화학 작용을 통해 분해하거나 제거하여 섬유 등을 하얗게 하는 표백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1과 같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뿐만 아니라, 탑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조작부(113), 본체(11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어(11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체(11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어(111)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112)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112)은,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미도시)와, 외조(미도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112)의 일 측에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본체(11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작동키들과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11)는 세탁물의 출입홀을 여닫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10)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세제공급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상부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세탁제를 저장하는 것으로, 세탁 과정에서 세탁제를 드럼(112)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세탁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세제공급장치(20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저장용기 프레임(210d)에 장착되는 세탁제 저장용기(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용기 프레임(210d)의 전면부(210a)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세제공급장치(200)는 의류처리장치 본체(110)의 전면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면부(210a)를 본체(110)를 향해 밀게 되면,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110)에 설치되는 하우징(21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저장용기(221, 222)의 마개(224), 수동세제투입부(223') 및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세제공급장치(200)를 본체로부터 인출한 후, 저장용기(221, 222)에 세탁제를 보충하거나, 수동세제투입부(223')와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를 향해 세탁제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세제공급장치가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세제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용기 프레임(210d)의 전면부(210a)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전면부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세제공급장치(20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저장용기(221, 222)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것이다.
저장용기 프레임(210d)의 내측에는 세탁제 저장용기(221, 222)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 프레임(210d)의 내측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 세탁제가 저장되는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세탁제는 액상의 세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세탁제는 섬유 유연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세탁제는 섬유 유연제를, 제2 세탁제는 세제를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세탁제의 부피는 서로 유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의류 처리 과정에서 유연제에 비해 세제가 더 많이 사용됨을 감안하여, 어느 하나의 저장용기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세탁제의 용량이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저장용기에는 액상의 세제가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저장 용기(221) 및 제2 저장 용기(222)는 내부에 세제 또는 유연제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며 그 형상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으나, 그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장용기 프레임(210d)에 제1 및 제2 저장용기(221, 222)가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210)에 삽입되게 되면,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후방면에 설치되는 세탁제 펌프(231, 232, 도 4 참조)와 연통되어 내부에 저장된 세제 또는 유연제를 세탁제 펌프(231, 232)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터브(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본체(1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용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일정한 용량의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서로 마주보도록 저장용기 프레임(210d)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의 하부면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각 저장용기(221, 222)에 수용된 세탁제의 유동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에 저장된 세탁제는 세탁제펌프(231, 232)를 거쳐 터브를 향해 공급되어야 하므로, 후방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저장용기(221, 222)는 세탁제가 수용되는 수용부(내부 공간)와, 각 수용부를 덮어 세탁제의 외부노출을 제한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 프레임(210d)의 일 측에 제1 저장용기(210)와 제2 저장용기(2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므로, 제1 저장용기(210)와 제2 저장용기(220)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세제가 투입되도록 수동세제투입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수동세제투입부(223')는,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세제투입부(223')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수동으로 섬유유연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는 유연제가 수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연제 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유연제 하우징(미도시)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에 끼워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유연제 하우징을 향해 유연제가 공급되어 유연제가 넘치는(overflow) 경우, 유연제 하우징과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의 사이로 이동하여, 후술할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에는 각각 마개(224)가 설치될 수 있다. 마개(224)는 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저장용기(221, 222)로부터 탈부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저장용기(221, 222)로부터 마개(224)가 탈거되면 사용자는 저장용기(221, 222)에 세탁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조작패널(113)에 세탁제 부족에 알림을 인지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210)으로부터 저장용기 프레임(210d)을 인출한 후, 외부에 노출된 저장용기(221, 222)에 결합된 마개(22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탈거시킨 후, 저장용기(221, 222)에 세제 또는 유연제의 세탁제를 보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 상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체(11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10)의 내부에는 본체(110)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S)은 앞서 설명한 도어(111)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공간(S)에는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처리 등 열의 전달과 관련된 의류 처리 과정을 위한 압축기(미도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S)에는 터브와 터브(미도시)에 내부에 삽입되는 드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세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호스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호스 부재(미도시)의 일측은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 부재(미도시)의 타측은 수도꼭지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와 외부는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상기 통전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S)에는 세제공급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후면에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24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에서 세제공급장치(2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세제공급장치(200)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세제공급장치(2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는, 하우징(210), 저장용기 프레임(210d)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저장용기(221, 222), 세탁수디스펜서(251) 및 디스펜서덮개(25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조작부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조작부(113)를 통해 입력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는 세제공급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입력된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따라 터브(미도시)에 세제, 유연제 또는 표백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10)의 내측에는 세탁수디스펜서(251)가 고정 설치되며, 각 저장용기(221, 222)가 결합된 저장용기 프레임(210d)이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수디스펜서(251)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될 것이다.
세탁수디스펜서(251)는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며 세탁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용기 프레임(210d)이 본체(110)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세탁수디스펜서(251)는 저장용기 프레임(210d)에 장착되는 각 저장용기(221, 222)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세탁수디스펜서(251)의 상부에는, 상기 세탁수디스펜서(251)를 덮도록 디스펜서덮개(252)가 결합될 수 있다.
세탁수디스펜서(251)에는 각 세탁수유입부(251c, 251c')를 따라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표면을 따라 일정한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세탁수유로(251a, 251b)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유로(251a, 251b)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세탁수유로(251a)와 제2 세탁수유로(251b)로 구성되며, 세탁수 디스펜서(251)의 후면에 형성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세탁수유입부(251c, 251c')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탁수유로(251a)는 제1 세탁수유입부(251c)와 연통되며, 제2 세탁수유로(251b)는 또 다른 제2 세탁수유입부(251c')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수디스펜서(251)의 후방면에는, 세탁수가 공급되기 위한, 제3 세탁수유입부(2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 세탁수유입부(251")에는 세탁수가 공급되며, 세탁수디스펜서(251)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세탁수 공급부(251d)를 향해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세탁수 공급부(251d)는, 후방샤워부라고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세탁수 공급부(251d)에 세탁수가 공급되게 되면, 세탁수는 각 세탁수 공급부(251d)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통해 배출되어 하우징(210)으로 공급될 수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세탁수 공급부(251d)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는, 저장용기 프레임(210d)(또는 각 세탁제 저장용기(221, 222))과 하우징(21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갭)을 향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갭)을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는 하우징(21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간격(갭) 갭의 상측에 세탁수 공급부(251d)가 위치되기 때문이며, 이에, 세탁수는 세탁제가 투입되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을 향해 유입되면서 세탁제와 혼합된 후,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하우징(210)의 후방부의 하부면 일 측에는 일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면(S')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S')은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세탁수 공급부(251d)를 통해 낙하되는 세탁수는 경사면(S')를 따라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각 세탁수유로(251a, 251b)는 일정하게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양 측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디스펜서(251)에 디스펜서덮개(252)가 결합되는 경우,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는 폐공간을 형성되므로, 세탁수는 각 세탁수유로(251a, 251b)를 따라 각 세탁수수용부(253a, 253b)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각 세탁수유로(251a, 251b)는 세탁수디스펜서(25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각 세탁수수용부(253a, 253b)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유로(251a, 251b)는 제1 세탁수유로(251a)와 제2 세탁수유로(25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세탁수유로(251a)는 제1 세탁수유입부(251c)와 연통되어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제1 세탁수유로(251a)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를 향해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세탁수수용부(253a)는 제1 세탁수유로(251a)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는 복수개의 세탁수이동홀(254)이 형성되어,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 수용된 세탁수는 세탁수이동홀(254)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세탁수수용부(253b)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세탁수유로(251b)와 연통되어 이동하는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세탁수유로(251b)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는 제2 세탁수수용부(253b)에 수용된 후, 복수개의 세탁수이동홀(254)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세탁과정에 따라, 제3 세탁수유입부(251")에는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세탁수디스펜서(251)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세탁수 공급부(251d)를 향해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각 세탁수 공급부(251d)에 세탁수가 공급되게 되면, 세탁수는 각 세탁수 공급부(251d)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통해 배출되어 저장용기 프레임(210d)(또는 각 세탁제 저장용기(221, 222))과 하우징(21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갭)으로 이동한 후, 하우징(210)의 하부면을 향해 유입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세탁수는 세탁제와 혼합되면서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해 이동하여 세제투입홀(214)로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우징(21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세제투입홀(21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제투입홀(214)은 의류처리장치(100)의 터브(미도시)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세탁수와 혼합된 세탁제가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한 후 터브(미도시)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저장용기 프레임(210d)이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하우징(210)에 삽입될 경우, 제1 세탁수수용부(253a)는 하우징(210)의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이에, 수동으로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를 향해 투입되거나, 후술할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를 따라 이동하는 섬유유연제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와 함께 혼합되어 세제투입홀(214)을 통해 배출되어 터브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저장용기 프레임(210d)이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경우, 제2 세탁수수용부(253b)는 하우징(210)의 수동세제투입부(223')와 상하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공급되는 가루세제나 후술할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는 액상 세제는, 제2 세탁수수용부(253b)에 형성된 복수개의 세탁수이동홀(254)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수와 함께 혼합되어, 세제투입홀(214)을 통해 터브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디스펜서덮개(252)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세탁수디스펜서(251)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덮개(252)가 세탁수디스펜서(251)에 결합되면, 세탁수 디스펜서(251)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세탁수유로(251a, 251b)는 밀폐될 수 있다.
디스펜서덮개(252)는 세탁수디스펜서(251)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펜서덮개(252)의 일 측에는 세탁수디스펜서(251)에 형성되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 및 제2 세탁수수용부(253b)와 상하 중첩되도록,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 및 제2 세탁수수용돌부(25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와 제2 세탁수수용돌부(252b)는 각각 상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 세탁수유로(251a, 251b)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의 하우징(2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우징(210)의 하면에는, 세탁제펌프(231, 232)에 의해 유입된 각 세탁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후방부에서 전방부를 향해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세제투입홀(21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0)의 하면은, 후방부에서 전방부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각 세탁제는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세제투입홀(214)이 형성되며, 세제투입홀(214)은 의류처리장치(100)의 터브(미도시)와 연텅되므로, 하우징(210)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세탁제 및 세탁수는 터브(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는 세제투입홀(2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세제투입홀(214)은 의류처리장치(100)의 터브(미도시)와 연통되므로, 하우징(2210)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세탁제는 세탁수와 함께 세제투입홀(214)을 통과한 후, 터브(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는 제1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분리벽(2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포함한다.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는 양 단이 하우징(210)의 후방면과 세제투입홀(214)과 각각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하우징(210)의 후방면으로부터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세탁제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분리벽(213)은, 하우징(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벽(213)을 통해,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는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분리벽(213)은, 하우징(210)의 하면에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하우징(210)의 후방면으로부터 경사부(215b)를 향하도록,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분리벽(213)에 의해, 상기 각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벽(213)은 하우징(210)의 후단부까지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나, 후술할 세탁수 공급부(251d)에 의해 세탁수가 공급될 경우, 하우징(210)의 양쪽 측벽을 따라 투입되는 세탁제가 세탁수와 보다 원활히 혼합될 수 있도록, 분리벽(213)은 하우징(210)의 후단부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벽(21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는, 하우징(210)의 후방면의 일 측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세제와 섬유유연제가 서로 혼합되는 경우,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분리벽(213)에 의해,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제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제는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의 유로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세탁수의 이동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 세제투입부(223')를 통해, 가루 세제가 공급되더라도 세탁제 이동통로에 세탁수에 의해 가루 세제를 원활히 씻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는 하우징(210)의 후방면에서부터 세제투입홀(214)까지 연장 형성된 전체의 길이가 다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보다 더 큰 전체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보다 하우징(210)의 전방까지 경사부(215b)를 따라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동 세제투입부(223')를 통해, 가루 세제가 넓은 영역에 퍼져 분포되더라도 더욱 용이하게 씻겨져 나갈수 있다.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부(215b)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각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는, 하우징(2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세탁제 유입홀(211a, 211b)과 세제투입홀(214)과 각각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세탁제 펌프의 구동으로,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따라 하우징(210)의 배면부로부터 유입되는 제1 세탁제와 제2 세탁제는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세탁제 펌프(231, 232)는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제를 하우징(210)의 후방면에 형성된 세탁제 유입홀(211a, 211b)를 통해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어느 일 측에는 상기 세제투입홀(2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215a, 215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하부면의 양 측에는 세제투입홀(2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215a, 215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부(215a, 215b)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세제투입홀(214)의 투입부 전면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경사부(215a, 215b)를 통해,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는 각 세탁제는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자중에 의해, 원활히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방 측으로 갈수록 점점 유로의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져,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제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부(215b)에 인접한 영역에서 그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는, 도 8의 확대된 부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 각각 경사부(215b)에서 세제투입홀(214)을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경사부(215b)를 향해 세탁수가 낙하되는 경우, 각 세탁제는 세탁수에 의해 혼합되어 잔량없이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원활히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의 폭(D1)은, 경사부(215b)를 따라 형성되는 폭(D2)보다 더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215b)를 향해 세탁수가 낙하되는 경우, 세탁제는 그 잔량없이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원활히 투입될 수 있으며, 수동세제투입부(223')를 통해 투입되는 가루세제도 세탁수에 의해 원활히 씻겨 세제투입홀(214)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동세제투입부(223')를 통해 투입되는 가루세제는 세제투입홀(214) 혹은 경사부(215a, 215b)로 낙하되어, 하우징(21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세탁수는 세탁제가 투입되는 하우징(210)의 하부를 향해 공급될 뿐만 아니라, 경사부(215b)를 향해 낙하되어 세제투입홀(214)의 주변부로 급수될 수 있어, 세탁제와 보다 잘 혼합된 상태로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9는, 세탁제 펌프(231, 232)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세탁제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하우징(210)의 후방부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의 이동을 형성하기 위한, 세탁제 펌프(231, 23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각 저장용기(221, 222)에 저장된 세탁제는 세탁제펌프(230)의 작동에 의해, 각 저장용기(221, 222)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세탁제가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세탁제는 하우징(210)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서로 혼합된 후, 터브(미도시)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하우징(210)에 제1 저장용기(221) 및 제2 저장용기(222)가 장착되는 경우, 각 저장용기(221, 222)에 수용된 세탁제는 세탁제 펌프(231, 232)에 의해 터브(미도시)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세탁제 펌프(231, 232)는, 세탁제의 이동을 형성하기 위한 이송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세탁제 펌프(231)와 제2 세탁제 펌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제 펌프(231)는 제1 저장용기(221)에 저장된 세탁제를 제1 세탁제 흡입관(231a)을 통해 흡입한 후, 제1 세탁제투입관(241)을 거쳐 제1 세탁제 유입홀(211a)을 향해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세탁제 유입홀(211a)을 통해 배출되는 세탁제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세탁제 펌프(232)는 제2 저장용기(222)에 저장된 세탁제를
제2 세탁제 흡입관(232b)을 통해 흡입한 후, 제2 세탁제투입관(242)을 거쳐 제2 세탁제 유입홀(211b)을 향해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세탁제 유입홀(211b)을 통해 배출되는 세탁제는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와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는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분리벽(2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는 각 세탁제는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세탁수유입부(251")에 의해, 세탁수디스펜서(251)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세탁수 공급부(251d)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세탁수(W)는 하우징(210)의 양쪽 측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탁제가 투입되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을 향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세탁수(W)는 세탁제와 혼합된 후,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유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0은, 세제공급장치(200)의 횡 단면도이다.
저장용기 프레임(210d)이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세탁수수용부(253a)는 하우징(210)의 유연제 하우징 수용부(22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용기 프레임(210d)이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210)에 삽입될 경우, 제2 세탁수수용부(253b)는 하우징(210)의 수동세제투입부(223')와 상하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각 저장용기(221, 222)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세탁제펌프(230)의 구동으로 각 저장용기(221, 222)에 저장된 세탁제는,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후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각 저장용기(221, 222)의 후면부에는 세탁제 펌프(231, 23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221, 22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는 세탁제 흡입부(231a, 231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탁제 펌프(2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세탁제 흡입부(231a)는 제1 저장용기(221)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제1 세탁제 펌프(231)의 작동에 의해, 제1 저장용기(221)에 저장된 세탁제를 흡입하여, 제1 세탁제 투입관(241)을 거쳐 제1 세탁제 유입홀(211a)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세탁제 펌프(232)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세탁제 흡입부(232a)는 제2 저장용기(222)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제2 세탁제 펌프(232)의 작동에 의해, 제2 저장용기(222)에 저장된 세탁제를 흡입한 후, 제2 세탁제 투입관(242)을 거쳐 제2 세탁제 유입홀(211b)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세탁수는 세탁수 디스펜서(251)에 형성되는 세탁수유입부(251c, 251c', 251c")를 통해 유입되며, 유입된 세탁수는 제1 및 제2 세탁수유로(251a, 251b)를 따라 이동한 후, 세탁수이동홀(214)을 통해 경사부(215b)를 향해 배출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탁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21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2)를 따라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하는 세탁제와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한 후, 터브(미도시)를 향해 공급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세제투입홀(214)를 통해 각 저장용기(221, 222)로부터 하우징(210)의 내부로 이동되는 세탁제는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211, 212)를 따라 이동한 후, 하우징(21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서로 혼합된 후 세제투입홀(214)을 통해 터브(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저장용기 프레임;
    내부에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세탁제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각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이동시키는 세탁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유입된 세탁제가 세제투입홀을 향하도록 세탁제 이동통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부를 향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동통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제1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 및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세탁제 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의 혼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어느 한 측부에는,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경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경사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그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양 단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 및 상기 세제투입홀과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제펌프는,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 측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에서 상기 세제투입홀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탁제는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상기 세제투입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용기의 상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세탁수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디스펜서의 후방부 양 측에는 세탁수 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탁수 공급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통해, 상기 세탁수가 하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갭이 형성되며, 상기 갭의 상측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세탁수 공급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용기와 상기 제2 저장용기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세탁제가 투입되도록 수동세제투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세제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세제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가루세제는 세제투입홀 혹은 경사부로 낙하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7.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터브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저장용기 프레임;
    내부에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세탁제가 각각 저장되며,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각 세탁제를 상기 하우징을 향해 이동시키는 세탁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유입된 세탁제가 세제투입홀을 향하도록 세탁제 이동통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부를 향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동통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제1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세탁제 이동통로; 및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세탁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세탁제 이동통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 및 상기 세제투입홀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상기 세제투입홀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어느 한 측부에는,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세탁제 이동통로와 상기 제2 세탁제 이동통로는, 상기 경사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16560A 2019-08-29 2020-02-11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10027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1892.7A EP3786336B1 (en) 2019-08-29 2020-08-20 Detergent supply device
RU2020127885A RU2748181C1 (ru) 2019-08-29 2020-08-21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AU2020223652A AU2020223652B2 (en) 2019-08-29 2020-08-25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010877305.6A CN112442858B (zh) 2019-08-29 2020-08-27 洗涤剂供应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US17/006,539 US11555268B2 (en) 2019-08-29 2020-08-28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13 2019-08-29
KR20190106713 2019-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019A true KR20210027019A (ko) 2021-03-10

Family

ID=7514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560A KR20210027019A (ko) 2019-08-29 2020-02-11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7019A (ko)
RU (1) RU2748181C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434054V0 (it) * 1984-10-05 1984-10-05 Zanussi Elettrodomestici Distributore di detersivi liquidi e in polvere per macchine lavatrici.
DE3608620A1 (de) * 1986-03-14 1987-09-24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einspuelschale
KR101482109B1 (ko) * 2008-05-2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기기
PL3460120T3 (pl) * 2009-05-11 2024-01-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Urządzenie piorące do prania
EP2251480B1 (en) * 2009-05-11 2017-11-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appliance
KR20130131653A (ko) * 2012-05-24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8181C1 (ru)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52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7921493B2 (en) Washing machine
US8341982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KR102628096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4057821A (ja) 洗濯機
WO2021085162A1 (ja) 洗濯機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84759B1 (ko) 세탁기
EP3786336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KR20230169002A (ko) 의류처리장치
JP6105683B2 (ja) 食器洗い機
KR102402082B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08034A1 (zh) 洗衣机
KR100830487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210027019A (ko)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JP2020089535A (ja) 洗濯機
JP7222832B2 (ja) 洗濯機
JP2013141551A (ja) 洗濯機
WO2022070753A1 (ja) 洗濯機
JP7329732B2 (ja) 補助剤ユニットおよび洗濯機
KR1019382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4760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29950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23156063A (ja) 洗濯機
KR102053142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